PC정비사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9-27)

PC정비사 1급
(2009-09-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PC운영체제

1. Windows XP의 인터넷 정보 서비스(IIS)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NNTP 서버 구축
  2. Web 서버 구축
  3. SMTP 서버 구축
  4. FTP 서버 구축
(정답률: 60%)
  • NNTP 서버 구축은 인터넷 정보 서비스(IIS)와는 관련이 없는 서비스이다. NNTP 서버는 Usenet 뉴스 그룹을 호스팅하기 위한 서버이며, IIS는 웹 서버, FTP 서버, SMTP 서버 등을 제공한다. 따라서 NNTP 서버 구축은 이 보기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의 종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Windows XP Professional의 로컬 그룹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Administrators : 컴퓨터/도메인에 모든 액세스 권한을 가진 관리자
  2. Backup Operators : 파일을 백업하거나 복원하기 위해 보안 제한을 변경할 수 있는 백업 관리자
  3. Power Users : 일부 권한을 제외한 관리자 권한을 가진 고급 사용자. 인증된 응용 프로그램과 다른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음
  4. Guests : 이 그룹의 구성원은 원격으로 로그온 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짐
(정답률: 47%)
  • 정답은 "Guests : 이 그룹의 구성원은 원격으로 로그온 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짐"입니다. Guests 그룹의 구성원은 원격으로 로그온할 수 없습니다. 이 그룹은 로컬 컴퓨터에서 제한된 액세스 권한을 가진 사용자를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인터넷 웹사이트의 방문 정보를 기록하는 텍스트 파일로, 사용자 정보가 유출될 수 있는 단점이 있는 것은?

  1. 크래커
  2. 캐시
  3. 쿠키
  4. 패치
(정답률: 75%)
  • 쿠키는 인터넷 웹사이트의 방문 정보를 기록하는 텍스트 파일로, 사용자 정보가 유출될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즉, 개인정보 보호에 취약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레지스트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Windows를 설치하고 최적의 환경을 구성한 후 Windows의 레지스트리를 백업한다.
  2. Windows를 재설치하거나 시스템 파일을 편집하는 등 Windows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는 w작업을 할 때는 레지스트리를 백업한 후 작업을 시작한다.
  3. Windows XP/2000은 레지스트리의 안정성을 위해 레지스트리 자동 복구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4. Windows 시작시 “There is not enough memory to load the registry”라는 오류 메시지는 메모리가 부족한 경우이거나, 레지스트리 파일이 손상되었다는 의미로, 레지스트리를 복구하면 해결된다.
(정답률: 55%)
  • "Windows XP/2000은 레지스트리의 안정성을 위해 레지스트리 자동 복구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이 틀린 설명입니다. Windows XP/2000은 레지스트리 자동 복구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기능은 시스템이 부팅될 때 레지스트리를 검사하고 손상된 항목을 복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Windows XP의 ‘디스크 관리’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Windows를 설치하고 부팅한 시스템 드라이브의 드라이브 문자는 변경할 수 없다.
  2. CD-ROM의 드라이브 문자는 고정되어 있으며, Windows 상태에서 변경할 수 없다.
  3. 전체 이동식 저장장치는 자동인식에 의하여 관리 되므로 이동식 저장소라는 관리 도구를 이용해 관리할 필요성이 적다.
  4. 디스크 조각 모음은 로컬 볼륨을 분석하고, 조각난 파일과 폴더를 찾아 통합하는 시스템 유틸리티이다.
(정답률: 50%)
  • CD-ROM의 드라이브 문자는 고정되어 있으며, Windows 상태에서 변경할 수 없다는 설명이 잘못되었다. CD-ROM의 드라이브 문자도 디스크 관리에서 변경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중 프로그램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여러 개의 작업을 하나로 묶어 자동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이다.
  2. 데이터가 발생하는 즉시 컴퓨터에서 처리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이다.
  3. CPU의 기다리는 시간을 없애고 연속적으로 처리하여 CPU의 효율적 이용이 가능하다.
  4. 초기 컴퓨터에서 사용하던 방식으로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40%)
  • 다중 프로그램 방식은 CPU의 기다리는 시간을 없애고 연속적으로 처리하여 CPU의 효율적 이용이 가능하다. 이는 여러 개의 작업을 하나로 묶어 자동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데이터가 발생하는 즉시 처리하는 시스템은 실시간 처리 시스템이며 초기 컴퓨터에서 사용하던 방식으로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방식은 일괄 처리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가상 메모리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Page Fault
  2. Demand Paging
  3. Thrashing
  4. DMA
(정답률: 43%)
  • 정답은 "DMA"입니다. DMA는 직접 메모리 접근(Direct Memory Access)의 약자로, 입출력 장치가 시스템 버스를 통해 직접 메모리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가상 메모리와는 관련이 없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Windows XP의 인터넷 정보 서비스(IIS)에 기본적으로 설정되는 HTTP 오류 코드와 의미가 잘못 연결되어 있는 것은?

  1. 400 : Bad request, 클라이언트의 잘못된 요청으로 처리할 수 없음
  2. 401 : Unauthorized, 클라이언트의 인증 실패
  3. 403 : Forbidden, 접근이 거부된 문서를 요청함
  4. 404 : Request-URI too long, URL이 너무 김
(정답률: 52%)
  • 정답은 "404 : Request-URI too long, URL이 너무 김" 입니다. 이유는 Request-URI too long은 URL이 너무 김을 의미하지 않고, 요청한 URL의 길이가 서버가 처리할 수 있는 최대 길이를 초과했을 때 발생하는 오류 코드입니다. 따라서, 이 오류 코드와 의미가 잘못 연결되어 있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인터넷 서비스 중 인터넷 상에서 채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로서 어떤 주제에 관하여 실시간(real-time)으로 다른 사람과 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서비스는?

  1. Gopher
  2. Usenet
  3. IRC
  4. FTP
(정답률: 51%)
  • IRC는 인터넷 상에서 실시간으로 대화할 수 있는 채팅 서비스이다. 다른 보기들은 파일 전송, 정보 공유 등 다른 기능을 제공하지만, IRC는 대화를 위한 서비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파일 포맷 시 사용하는 외부명령어로써 빠른 포맷(퀵 포맷이라고 함)을 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는?

  1. FORMAT C:/S
  2. FORMAT C:/P
  3. FORMAT C:/Q
  4. FORMAT C:/F
(정답률: 68%)
  • 정답은 "FORMAT C:/Q"입니다. 이 명령어는 빠른 포맷(Quick Format)을 수행하기 위한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시스템 디스크 생성", "표면 검사", "완전 포맷"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Windows XP의 관리 도구에 대한 설명이다. 각 서비스파일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Alerter - 선택된 사용자와 컴퓨터에 관리 경고를 알린다. 서비스가 중지되면 관리 경고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에서 관리 경고를 받지 않게 된다.
  2. Application Layer Gateway Service -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삭제하는 일을 한다. 이 서비스를 멈추게 하면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삭제할 수 없다. 초기 값 수동을 그대로 두어야 하는 서비스다.
  3. Application Management - 마이크로소프트 Windows 업데이트 사이트에서 업데이트 파일을 내려 받고 설치하는 일을 한다. 서비스를 켜지 않아도 수동으로 업데이트하면 된다.
  4. Automatic Updates - 인터넷 연결 공유나 인터넷 연결 방화벽을 쓸 때 필요하다. Windows XP가 기본으로 내장한 방화벽 서비스를 쓸 때는 수동이나 자동으로 설정돼 있어야 한다.
(정답률: 49%)
  • Alerter 서비스는 관리 경고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에서 경고를 받기 위해 필요하다. 이 서비스가 중지되면 프로그램에서 경고를 받을 수 없게 되므로 올바르게 연결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Windows XP로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의 그룹정책을 설정 하려고 한다. 이에 해당하는 실행 파일은?

  1. Dfrag.msc
  2. Devmgmt.msc
  3. Gpedit.msc
  4. Diskmgmt.msc
(정답률: 63%)
  • 정답은 "Gpedit.msc"입니다. 이는 그룹 정책 편집기를 실행하는 실행 파일입니다. 이를 통해 Windows XP 시스템의 그룹 정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디스크 조각 모음, 장치 관리자, 디스크 관리자를 실행하는 실행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제어판의 시스템 등록정보에서 장치관리자에 표시되는 ‘!’표시의 원인으로 잘못된 것은?

  1. 장치가 제대로 연결되지 않았거나 드라이버가 제대로 설치되지 않았다.
  2. 장치 구동 드라이버 파일이 손상되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3. 다른 장치와 충돌이 발생하였다.
  4. PnP(Plug & Play)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장치이다.
(정답률: 48%)
  • 정답: PnP(Plug & Play)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장치이다.

    해설: PnP(Plug & Play)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장치는 시스템이 자동으로 인식하지 못하므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한다. 이로 인해 장치가 제대로 인식되지 않아 '!'표시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장치와 관련된 문제로 인해 '!'표시가 표시될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Windows XP를 관리 할 때 사용되는 프로그램 중 WWW, Gopher, FTP등의 인터넷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1. 디스크 관리자
  2. 시스템 관리자
  3. 인터넷 서비스 관리자
  4. 사용자 관리자
(정답률: 63%)
  • 인터넷 서비스 관리자는 Windows XP에서 WWW, Gopher, FTP 등의 인터넷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서버를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터넷 서비스 관리자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Windows에서 CTRL키를 누르고 파일을 선택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는 때를 설명하는 것은?

  1. 비연속적인 파일을 선택
  2. 파일 전체를 선택
  3. 연속적인 파일을 선택
  4. 하나의 파일을 선택
(정답률: 54%)
  • CTRL키를 누르고 파일을 선택하는 방법은 비연속적인 파일을 선택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파일 목록에서 특정 파일들만 선택하여 작업을 수행할 때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여러 개의 파일 중에서 일부 파일만 삭제하거나 복사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주변기기

16. 광디스크에 사용되는 라이트스크라이브(LightScribe)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레이저를 이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나 도안을 CD 또는 DVD 미디어 표면에 인쇄하는 기능이다.
  2. 광학저장장치가 라이트스크라이브를 지원해야만 사용할 수 있다.
  3. 라이트스크라이브가 지원되는 특수 코팅된 전용 공 CD 또는 DVD에만 사용할 수 있다.
  4. 한번 기록된 문자나 도안을 다시 지우고 입력할 수 있다.
(정답률: 48%)
  • "한번 기록된 문자나 도안을 다시 지우고 입력할 수 있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LightScribe 기술은 CD 또는 DVD 미디어 표면에 레이저를 이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나 도안을 인쇄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이미 인쇄된 내용을 지우고 다시 입력하는 기능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갑작스런 정전에도 컴퓨터에 전원을 계속 공급해 줄 수 있는 장치는?

  1. Power Saver
  2. IPS
  3. UPS
  4. Power Supply
(정답률: 68%)
  • UPS는 Uninterruptible Power Supply의 약자로, 갑작스러운 정전이나 전원 공급 장애 상황에서도 컴퓨터에 전원을 계속 공급해 줄 수 있는 장치이다. 이는 내장된 충전식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 공급을 유지하며, 정전 시에는 자동으로 배터리로 전환하여 컴퓨터를 계속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UPS는 컴퓨터나 서버와 같은 중요한 전자기기를 보호하고,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는 데 매우 유용한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PC에 마우스를 연결하여 사용하는데 이용되지 않는 인터페이스는?

  1. USB
  2. PS/2
  3. Serial
  4. IEEE1394
(정답률: 45%)
  • IEEE1394는 주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사용되며, 마우스와 같은 일반적인 컴퓨터 주변기기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마우스를 연결하여 사용하는데 이용되지 않는 인터페이스는 IEEE139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하드디스크를 메인보드와 연결하기 위한 두 가지 인터페이스 방법은?

  1. EIDE, SCSI
  2. NTFS, FAT
  3. EIDE, NTFS
  4. FAT, SCSI
(정답률: 54%)
  • 하드디스크를 메인보드와 연결하기 위한 두 가지 인터페이스 방법은 EIDE와 SCSI입니다. EIDE는 Enhanced Integrated Drive Electronics의 약자로, ATA(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와 함께 사용되며, 대부분의 개인용 컴퓨터에서 사용됩니다. SCSI는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의 약자로, 서버나 고성능 컴퓨터에서 사용되며, 더 많은 장치를 연결할 수 있고 더 높은 전송 속도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EIDE와 SCSI가 하드디스크를 메인보드와 연결하기 위한 두 가지 인터페이스 방법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파워 서플라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PC의 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2. 외부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DC이며, 각 부품은 AC로 변환되어 전달된다.
  3. 성능은 용량에 의해서 결정된다.
  4. 용량이 크면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진다.
(정답률: 62%)
  • 파워 서플라이는 PC의 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이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AC이며, 파워 서플라이 내부에서 DC로 변환되어 전달된다. 따라서 "외부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DC이며, 각 부품은 AC로 변환되어 전달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적외선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기술은?

  1. IEEE 1394
  2. SCSI
  3. USB
  4. IrDA
(정답률: 54%)
  • 적외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은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입니다. IrDA는 빛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주로 모바일 기기나 컴퓨터 등에서 사용됩니다. 또한, IrDA는 안정적이고 보안성이 높은 통신을 제공하며, 전력 소모가 적어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특정 해상도나 작업 도중에 모니터 화면에 얼룩이 지고 물결 모양의 나선이 나타나는 현상은?

  1. 모아레
  2. 핀쿠션
  3. 버닝
  4. 방자
(정답률: 48%)
  • 이 현상은 모아레 현상이라고 부릅니다. 모니터 해상도나 작업 도중에 발생하는 이 현상은, 모니터의 해상도와 작업 도구의 해상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 때, 모니터의 해상도와 작업 도구의 해상도를 맞추면 이 현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프린터의 전송 모드에 대한 규약이 아닌 것은?

  1. EPP
  2. ECP
  3. LPT
  4. SPP
(정답률: 64%)
  • "EPP", "ECP", "SPP"는 모두 프린터의 전송 모드에 대한 규약이지만, "LPT"는 프린터 포트의 이름을 나타내는 용어이기 때문에 전송 모드에 대한 규약이 아니다. "LPT"는 프린터가 연결된 컴퓨터의 포트 이름 중 하나로, 병렬 포트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모니터 및 그래픽 카드에서 표현할 수 있는 최대 해상도와 밀접한 관계가 없는 것은?

  1. 그래픽 카드의 메모리 용량
  2. 모니터 지원여부
  3. RAMDAC(RAM Digital-to-Analog Converter)의 속도
  4. PnP(Plug & Play)의 지원 여부
(정답률: 48%)
  • PnP(Plug & Play)의 지원 여부는 모니터 및 그래픽 카드에서 표현할 수 있는 최대 해상도와 밀접한 관계가 없습니다. PnP는 하드웨어 장치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구성하는 기술로, 해상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PnP의 지원 여부는 모니터 및 그래픽 카드의 성능과는 별개의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동영상 기술인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MPEG는 1998년 ISO 및 IEC 산하에서 멀티미디어 표준의 개발을 목적으로 설립된 동화상 전문가 그룹이다.
  2. ITU 산하의 VCEG와 함께 H.264/AVC 표준을 공동 제정하고 있다.
  3. MPEG는 손실 압축 방법을 사용하며 JPEG의 압축 기술인 영상의 중복성을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4. MPEG-4는 MPEG-3을 더욱 개선시킨 기술로 전화선을 이용한 화상회의 시스템과 동영상 데이터 전송 목적으로 사용된다.
(정답률: 49%)
  • "MPEG-4는 MPEG-3을 더욱 개선시킨 기술로 전화선을 이용한 화상회의 시스템과 동영상 데이터 전송 목적으로 사용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MPEG-4는 화상회의 시스템과 동영상 데이터 전송 뿐만 아니라 인터넷 스트리밍, 디지털 방송, DVD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프린터 관련 용어는?

  1. Swap
  2. Spool
  3. DMA
  4. Overplay
(정답률: 67%)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프린터의 출력 작업을 대기시키는 "Spool" 이다. Spool은 "Simultaneous Peripheral Operations On-line"의 약자로, 컴퓨터에서 프린터와 같은 주변장치에 출력 작업을 대기시키는 기술을 말한다. 이를 통해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프린터를 사용할 수 있고, 출력 작업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INTEL의 모바일용 CPU에 채택된 기술로서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연장하는 기술은?

  1. 스피드 스텝
  2. 3D나우
  3. 넷버스트 아키텍쳐
  4. 파워나우
(정답률: 54%)
  • 스피드 스텝은 CPU의 클럭 속도를 동적으로 조절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INTEL의 모바일용 CPU에 채택된 기술 중에서 배터리 사용시간을 연장하는 기술은 스피드 스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AGP(Accelerated Graphics Port)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인텔사에 의해 개발된 규격이다.
  2. 데이터 전송률이 PCI의 약 2배의 속도로 동작한다.
  3. 데이터 전송이 많은 3D그래픽 카드에 많이 사용된다.
  4. ISA 방식에 기반을 두었다.
(정답률: 43%)
  • AGP는 ISA 방식에 기반을 두지 않고, PCI 버스를 기반으로 개발된 규격이므로 "ISA 방식에 기반을 두었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개인컴퓨터에 다중의 주변장치를 쉽게 통합시키고자 개발된 Bus 방식으로 각 주변 장치간의 직접적인 연결이나 허브를 통한 연결 하에서 작동하는 Bus 방식은?

  1. PCI
  2. USB
  3. ISA
  4. EISA
(정답률: 63%)
  • USB는 Universal Serial Bus의 약자로, 다양한 주변장치를 하나의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 인터페이스이다. USB는 Plug and Play 기능을 지원하며, 허브를 통해 여러 장치를 연결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고 전력 소모가 적어 에너지 효율적이다. 따라서 다중의 주변장치를 쉽게 통합시키기 위해 USB가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DVD 지역코드는 전 세계를 6개 지역으로 분할한다. 한국이 포함되어 있는 지역은?

  1. 1지역
  2. 2지역
  3. 3지역
  4. 5지역
(정답률: 60%)
  • 한국은 지역코드 3에 속한다. 이는 아시아와 대양주 지역을 나타내며,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호주 등이 이 지역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디지털 논리회로

31. 7bit로 구성된 코드는?

  1. EBCDIC 코드
  2. 3중 코드
  3. ASCII 코드
  4. BCD 코드
(정답률: 66%)
  • 7bit로 구성된 코드는 ASCII 코드이다. ASCII 코드는 7bit로 구성되어 있으며, 128개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이 코드는 영문 알파벳, 숫자, 구두점 등을 포함하고 있어 컴퓨터에서 문자를 표현하는 데에 널리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전가산기의 올바른 구성은?

  1. 반가산기 2개와 AND 게이트 1개
  2. 반가산기 2개와 AND 게이트 2개
  3. 반가산기 2개와 OR 게이트 1개
  4. 반가산기 2개와 OR 게이트 2개
(정답률: 52%)
  • 전가산기는 입력으로 3개의 비트를 받아서 2개의 비트를 출력해야 하기 때문에, 반가산기 2개를 사용하여 각각의 비트를 더한 후, 그 결과를 OR 게이트로 연결하여 최종 출력을 만들어야 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구성은 "반가산기 2개와 OR 게이트 1개"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주기억장치의 용량보다 크기가 큰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한 방식은?

  1. DMA
  2. PLA
  3. Cache 메모리
  4. Virtual 메모리
(정답률: 50%)
  • Virtual 메모리는 주기억장치의 용량보다 큰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하드디스크를 보조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필요한 부분만 주기억장치에 로드하고, 필요하지 않은 부분은 하드디스크에 저장해둡니다. 이렇게 하면 주기억장치의 용량보다 큰 프로그램도 실행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10진수 10를 2진수로 표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Bit 수는?

  1. 1 Bit
  2. 2 Bit
  3. 3 Bit
  4. 4 Bit
(정답률: 62%)
  • 10진수 10을 2진수로 표현하면 1010이 된다. 이때 1010은 4자리의 이진수이므로 4 Bit가 필요하다. 각 자리는 2의 제곱수로 표현되기 때문에 4 Bit가 필요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CPU 내에서 자료가 일시적으로 기억되는 임시 기억장치는?

  1. 레지스터
  2. 버스
  3. 칩셋
  4. 연산 프로세서
(정답률: 49%)
  • 레지스터는 CPU 내부에 위치하며, 매우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임시 기억장치입니다. 따라서 CPU 내에서 자료가 일시적으로 기억되는 임시 기억장치로 가장 적합합니다. 버스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로, 칩셋은 CPU와 다른 하드웨어 간의 통신을 관리하는 칩, 연산 프로세서는 CPU 내에서 연산을 수행하는 부분입니다. 이들은 모두 CPU 내에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임시 기억장치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PC유지보수

36. 다음과 같은 증상이 발생했을 때 점검해야 할 장치는?

  1. HDD
  2. CPU
  3. Memory
  4. FDD
(정답률: 49%)
  • 이미지에서 보이는 화면은 컴퓨터의 부팅 과정 중 메모리(RAM)를 초기화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이 증상이 발생했을 때 점검해야 할 장치는 메모리(RAM)입니다. HDD는 하드디스크, CPU는 중앙처리장치, FDD는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DLL(Dynamic Link Library) 파일 관련 오류 발생 시 보호된 파일을 찾아내는 명령어는?

  1. sfc/scannow
  2. scanreg/restore
  3. sys A:C:
  4. convert C:/FS:NTFS/X
(정답률: 61%)
  • 정답인 "sfc/scannow"는 시스템 파일 검사 유틸리티로, 시스템 파일이 손상되었거나 DLL 파일 관련 오류가 발생할 때 이를 찾아내고 복구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시스템 파일 검사가 시작되고, 손상된 파일이 발견되면 해당 파일을 복구하거나 교체합니다. 따라서 DLL 파일 관련 오류가 발생할 때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보호된 파일을 찾아내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파일 시스템 관련 명령어이거나 시스템 복구 관련 명령어이므로, DLL 파일 관련 오류 해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 )안에 알맞은 단어는?

  1. BOOT
  2. OS
  3. POST
  4. RAM
(정답률: 57%)
  • 이미지는 컴퓨터 부팅 과정에서 나타나는 화면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POST는 "Power-On Self-Test"의 약자로, 컴퓨터가 부팅될 때 하드웨어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자체 진단을 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POST는 부팅 과정 중 가장 먼저 실행되는 단계이며, 이후에는 OS(운영체제)가 실행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POS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CPU의 원래 속도 보다 더 높게 클록을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을 뜻하는 것은?

  1. 오버 클럭킹
  2. 가상 메모리
  3. 핫 플러킹
  4. 슈퍼 스칼라
(정답률: 64%)
  • 오버 클럭킹은 CPU의 클록 속도를 원래보다 높게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을 뜻합니다. 이를 통해 CPU의 성능을 높일 수 있지만, 과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정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클록 속도를 설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컴퓨터 부팅과정 중 메모리를 테스트 하는 과정이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장착된 메모리가 정확하게 동작을 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2. 메모리의 용량이 필요이상으로 많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3. 컴퓨터 운영 중 작동상의 에러이다.
  4. Windows 제어판에서 가상 메모리 크기를 실제 메모리의 2배로 설정하면 메모리 테스트과정이 생략된다.
(정답률: 50%)
  • 컴퓨터 부팅과정 중 메모리를 테스트하는 과정은 장착된 메모리가 정확하게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컴퓨터가 안정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어워드 바이오스에서 하드디스크의 타입을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은?

  1. Standard CMOS Setup
  2. BIOS Features Setup
  3. Chipset Features Setup
  4. PNP/PCI Configuration
(정답률: 56%)
  • "Standard CMOS Setup"은 하드웨어 구성을 설정하는 BIOS의 기본 설정 메뉴입니다. 이 메뉴에서는 하드디스크의 타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른 항목들은 BIOS의 다른 설정을 변경하는 메뉴이며, 하드디스크의 타입을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Windows 사용 중 치명적인 오류가 불규칙적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할 뿐만 아니라 광범위하게 발생한다. 이에 대한 일반적인 원인으로 잘못된 것은?

  1. 파티션 설정이 잘못되었다.
  2. 중요한 H/W 또는 S/W와 Windows의 호환성 문제이다.
  3. Windows의 시스템 정보 파일에 오류가 발생하였다.
  4. 중요 드라이버 파일에 오류가 발생하였다.
(정답률: 55%)
  • 파티션 설정이 잘못되면 하드 디스크의 공간이 제대로 할당되지 않아서 Windows가 불규칙적인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는 모든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며, 광범위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사용 중인 장비의 전원을 끄지 않은 상태에서 하드디스크나 심지어 전원을 교체해도 시스템에서 바로 인식하는 기술로 PnP의 발전된 형태라 할 수 있는 것은?

  1. Hot Swap
  2. SCSI
  3. PCI
  4. ACI
(정답률: 53%)
  • Hot Swap은 사용 중인 장비의 전원을 끄지 않고도 하드디스크나 전원을 교체할 수 있는 기술로, PnP의 발전된 형태이다. SCSI와 PCI는 인터페이스 기술이며, ACI는 존재하지 않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BIOS에서 제어할 수 없는 것은?

  1. 부트 디스크 설정
  2. 물리적 메모리 용량 설정
  3. 하드디스크 타입(Type) 설정
  4. IRQ 및 DMA 설정
(정답률: 50%)
  • BIOS는 컴퓨터의 기본 입력/출력 시스템으로, 부팅 프로세스와 하드웨어 초기화를 담당합니다. 하지만 BIOS는 물리적 메모리 용량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없습니다. 이는 메모리 용량은 하드웨어적인 한계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메모리 용량을 조절하려면 하드웨어를 업그레이드하거나 교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PC에서 컴퓨터 바이오스와 운영체제에 PnP 장치들과의 통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는?

  1. ESCD(Extended System Configuration Data)
  2. NVRAM(Non-Volatile RAM)
  3. DMA
  4. CMOS ROM
(정답률: 48%)
  • ESCD는 PnP 장치들과의 통신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이며, PC에서 컴퓨터 바이오스와 운영체제가 이 정보를 활용하여 장치들을 인식하고 제어할 수 있습니다. NVRAM은 비휘발성 RAM으로, 시스템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DMA는 직접 메모리 접근을 의미하며, 입출력 장치와 메모리 간의 데이터 전송을 관리합니다. CMOS ROM은 바이오스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ROM입니다. 따라서, PnP 장치들과의 통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는 ESC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Windows로 부팅한 이후 갑자기 다운이 되는 증상이 발생하는 이유로 잘못된 것은?

  1. CPU의 오버 클럭킹은 CPU 속도와 관련된 것으로 밀접한 관련이 없다.
  2. 드라이버의 버그이거나 오류가 발생하면 나타날 수 있다.
  3. 파워 서플라이의 전력이 부족하여도 나타난다.
  4. Windows의 레지스트리에 기록된 정보에 오류가 발생하면 나타난다.
(정답률: 59%)
  • CPU의 오버 클럭킹은 CPU의 속도를 높이는 것으로, 이는 CPU에 과부하를 일으킬 수 있어 다운이 되는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CPU의 오버 클럭킹은 다운이 되는 증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Windows를 사용하는 도중 속도가 점점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문제의 원인으로 잘못된 것은?

  1. 레지스트리가 점점 커지고 불필요한 내용이 쌓이기 때문이다.
  2. Windows에서 사용하는 DLL과 드라이버 파일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3. 하드디스크의 단편화가 심해지기 때문이다.
  4. 주기억 장치(RAM)의 단편화가 심해지기 때문이다.
(정답률: 49%)
  • 주기억 장치(RAM)는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필요한 데이터와 명령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이 공간이 단편화되면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필요한 데이터와 명령어를 찾는 데 시간이 더 걸리게 되어 속도가 느려집니다. 따라서 주기억 장치(RAM)의 단편화가 심해지면 Windows의 속도가 점점 느려지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컴퓨터를 부팅하자마자 'Press [F1] to continue'라는 메시지가 모니터에 나타난다. 그 원인으로 올바른 것은?

  1. 키보드 혹은 마우스 연결 불량
  2. CMOS의 그래픽 카드 설정 오류
  3. ROM BIOS 고장
  4. 캐시 메모리 불량
(정답률: 53%)
  • 키보드 혹은 마우스 연결 불량으로 인해 컴퓨터가 입력장치를 인식하지 못하고, 따라서 부팅 과정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리는 메시지가 나타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POST 과정의 순서가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시스템 버스 테스트 - 그래픽 카드 테스트 - 메모리 테스트 - 키보드 테스트 - 디스크 테스트 - P&P 기능 동작 - CMOS 내용확인 - DMI 기능 동작
  2. DMI 기능 동작 - 그래픽 카드 테스트 - 메모리 테스트 - 키보드 테스트 - 디스크 테스트 - P&P 기능 동작 - CMOS 내용확인 - 시스템 버스 테스트
  3. 시스템 버스 테스트 - P&P 기능 동작 - 메모리 테스트 - 키보드 테스트 - 디스크 테스트 - 그래픽 카드 테스트 - CMOS 내용확인 - DMI 기능 동작
  4. 시스템 버스 테스트 - CMOS 내용확인 - 그래픽 카드 테스트 - 메모리 테스트 - 키보드 테스트 - P&P 기능 동작 - 디스크 테스트 - DMI 기능 동작
(정답률: 52%)
  • POST 과정은 컴퓨터 부팅 시 하드웨어의 기능을 테스트하고 문제가 있는 부분을 찾아내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시스템 버스 테스트부터 시작하여 그래픽 카드, 메모리, 키보드, 디스크 등 순서대로 테스트를 진행하고, 마지막으로 CMOS 내용 확인과 DMI 기능 동작을 수행합니다. 이는 하드웨어의 기능을 순서대로 확인하고 문제가 있는 부분을 찾아내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스템 버스 테스트 - 그래픽 카드 테스트 - 메모리 테스트 - 키보드 테스트 - 디스크 테스트 - P&P 기능 동작 - CMOS 내용확인 - DMI 기능 동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기본 입출력 시스템을 의미하며 시스템의 전원을 켜는 순간부터 Windows가 시작되기까지 부팅 과정을 이끄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BIOS
  2. Hot-Plugging
  3. S-ATA
  4. Plug & Play
(정답률: 64%)
  • BIOS는 컴퓨터의 기본 입출력 시스템으로, 컴퓨터의 전원을 켜면 가장 먼저 실행되어 하드웨어를 초기화하고 부팅 디바이스를 찾아 부팅을 시작합니다. 따라서 Windows가 시작되기 전에 BIOS가 부팅 과정을 이끄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PC네트워크

51. 라우터가 정의 되어있는 OSI 모델의 계층은?

  1. 세션 계층
  2. 표현 계층
  3. 응용 계층
  4. 네트워크 계층
(정답률: 45%)
  • 라우터는 OSI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합니다. 이는 라우터가 패킷을 전송하면서 목적지 네트워크 주소를 확인하고, 다음 라우터로 패킷을 전달하기 위해 라우팅 결정을 내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라우터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네트워크 관리 및 네트워크 장치와 동작을 감시, 총괄하는 프로토콜은?

  1. AMIP
  2. SNMP
  3. SMTP
  4. POP
(정답률: 55%)
  • 정답은 "SNMP"입니다.

    SNMP는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의 약자로, 네트워크 관리 및 장치 감시를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SNMP는 네트워크 장치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보고하며, 문제가 발생하면 경고를 보내어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SNMP는 네트워크 장치의 상태, 성능, 사용량 등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합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관리 및 장치 감시를 위한 프로토콜로서 SNMP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인터넷에서 전자메일과 관련 있는 프로토콜은?

  1. FTP
  2. HTTP
  3. POP3
  4. DNS
(정답률: 66%)
  • POP3는 전자메일을 받아오는 프로토콜로, 이메일 서버에서 이메일을 받아와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전자메일과 관련된 프로토콜 중 POP3가 포함됩니다.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 HTTP는 웹 페이지를 전송하는 프로토콜, DNS는 도메인 이름 시스템으로,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목표 서버와 공격시간대를 정해서 집중적으로 공격함으로써 결국 웹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할 정도로 시스템이 느려지거나 다운되도록 공격하는 방법은?

  1. DoS
  2. IDS
  3. Hacking
  4. VPN
(정답률: 56%)
  • DoS는 목표 서버에 대한 집중적인 공격을 통해 시스템을 다운시키는 공격 방법이다. 이를 위해 공격자는 공격 시간대와 방법을 선정하여 대상 서버에 대한 대역폭을 초과하는 트래픽을 발생시켜 서비스를 마비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DoS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네트워크에서 지정된 호스트에 도달할 때까지 통과하는 경로의 정보와 각 경로에서의 지연 시간을 추적하는 명령어는?

  1. ping
  2. tracert
  3. ipconfig
  4. icmp
(정답률: 49%)
  • "tracert" 명령어는 네트워크에서 지정된 호스트에 도달할 때까지 통과하는 경로의 정보와 각 경로에서의 지연 시간을 추적하는 명령어이다. "ping"은 호스트에 대한 응답 시간을 측정하는 명령어이고, "ipconfig"는 IP 주소와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tracert" 명령어가 네트워크 경로 추적에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최근에는 노트북에 무선통신 칩이 내장되어 통신케이블을 연결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 노트북의 무선랜과 ISP의 유선랜을 연결해주는 장치는?

  1. Access Point
  2. MODEM
  3. LAN
  4. HUB
(정답률: 54%)
  • Access Point은 무선랜과 유선랜을 연결해주는 장치로, 노트북의 무선랜과 ISP의 유선랜을 연결하여 무선으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MODEM은 인터넷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이고, LAN은 로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치이며, HUB는 네트워크 장치들을 연결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무선랜과 유선랜을 연결해주는 Access Point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친구에게 한글2005로 작성한 보고서 파일을 전자우편에 첨부해서 전송하려고 한다. 이와 관련된 인터넷 표준안은?

  1. SMTP
  2. IMAP
  3. FTP
  4. MIME
(정답률: 44%)
  • 정답은 "MIME"입니다.

    MIME은 인터넷에서 이메일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넷 표준안입니다. MIME은 이메일에 첨부 파일을 추가하고, 텍스트와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따라서, 한글2005로 작성한 보고서 파일을 전자우편에 첨부해서 전송하기 위해서는 MIME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인터넷 계층의 일부로서 제어 기능 및 오류 보고를 수행하는 기능은?

  1. TCP/IP
  2. BGP
  3. ARP
  4. ICMP
(정답률: 43%)
  •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로, 인터넷 계층에서 제어 기능과 오류 보고를 수행하는 프로토콜입니다. ICMP는 네트워크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네트워크 장애를 진단하며, 네트워크 상태를 보고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ICMP가 인터넷 계층의 일부로서 제어 기능 및 오류 보고를 수행하는 기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Class C급 IP 주소를 할당받았을 경우 클라이언트 및 서버 주소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1. xxx.xxx.xxx.127
  2. xxx.xxx.xxx.253
  3. xxx.xxx.xxx.255
  4. xxx.xxx.xxx.254
(정답률: 60%)
  • Class C급 IP 주소는 255개의 호스트 주소를 가질 수 있으며, 이 중에서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제외한 253개의 호스트 주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xxx.xxx.xxx.255"는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사용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나 서버 주소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주소로 보내는 패킷은 해당 네트워크의 모든 호스트에게 전송되기 때문에 보안상의 이유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불특정 다수의 웹 사용자를 대상으로 글을 게시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사용자의 글을 자유롭게 조회할 수 있는 시스템을 뜻하는 것은?

  1. BBS
  2. FTP
  3. DNS
  4. E-Mail
(정답률: 44%)
  • BBS는 Bulletin Board System의 약자로, 게시판 시스템을 뜻합니다. 이는 인터넷 상에서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이 글을 게시하고, 다른 사용자들이 그 글을 자유롭게 조회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BBS가 정답입니다.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 DNS는 도메인 이름 시스템, E-Mail은 전자우편을 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