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정비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4-25)

PC정비사 2급
(2004-04-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PC유지보수

1.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높은 배속의 CD-ROM 일수록 CD 인식률이 낮아진다. 특히 고배속의 제품은 이러한 현상이 더욱 두드러져 백업 CD는 종종 에러를 일으킨다.
  2. CD-ROM, FDD, 쿨링팬, 하드디스크 등의 모터를 사용하는 기기는 일반적으로 12V의 전압을 사용한다.
  3. 75MHz 등 비공식 외부 클럭으로 설정해서 사용할 경우 주변 기기가 CPU의 속도를 따라 가지 못해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4. DDC(Display Data Channel) 기능은 모니터와 비디오 카드가 서로 신호를 주고받으면서 최고 해상도만 자동으로 설정해 주는 기능을 한다.
(정답률: 45%)
  • "DDC(Display Data Channel) 기능은 모니터와 비디오 카드가 서로 신호를 주고받으면서 최고 해상도만 자동으로 설정해 주는 기능을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므로, 모든 보기가 맞는 설명이다.

    CD-ROM의 경우, 높은 배속으로 돌릴수록 인식률이 낮아지는 것은 사실이다.

    CD-ROM, FDD, 쿨링팬, 하드디스크 등의 모터는 대부분 12V의 전압을 사용한다.

    비공식 외부 클럭으로 설정해서 CPU를 사용할 경우, 주변 기기가 CPU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DDC(Display Data Channel) 기능은 모니터와 비디오 카드가 서로 신호를 주고받으면서 최고 해상도만 자동으로 설정해 주는 기능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BIOS 셋업으로 설정할 수 있는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1. 시간과 날짜 설정
  2. 사운드 카드 추가
  3. 캐시 램 설정
  4. 디스크 드라이브 설정
(정답률: 64%)
  • BIOS는 컴퓨터의 기본 입력/출력 시스템으로,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구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BIOS 셋업으로 설정할 수 있는 내용은 하드웨어와 관련된 것들입니다. 그러므로 "사운드 카드 추가"는 하드웨어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PC 부품은 정전기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PC 정비에 주의를 요한다. 다음 중 정전기로 인한 에러를 대비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절치 못한 것은?

  1. 옷소매를 팔꿈치 위까지 걷어 올린 후 케이스를 한 번 만진 다음에 마더보드에 램을 장착한다.
  2. 인터페이스 카드를 운반할 때는 엄지와 검지손가락만을 이용해 PCB 기판의 양쪽 끝을 맞잡는다.
  3. 램을 보관할 때 은박지에 감싼다.
  4. 하드디스크를 케이스에 장착할 때 나사가 마더보드 위에 떨어지기 쉬우므로 자석 드라이버를 이용한다.
(정답률: 58%)
  • "하드디스크를 케이스에 장착할 때 나사가 마더보드 위에 떨어지기 쉬우므로 자석 드라이버를 이용한다."가 적절치 못한 방법이다. 이유는 자석 드라이버는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원인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전기 방지를 위해서는 자석 드라이버 대신 비자석 드라이버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Windows가 사용하고 있는 특정 파일이 손상되어 부팅시 에러가 발생 할 경우 해결 하는데 가장 좋은 것은?

  1.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
  2. 드라이버 자동 생략 에이전트
  3. 시스템 정보
  4. 시스템 파일 검사기
(정답률: 58%)
  • 시스템 파일 검사기는 Windows 시스템 파일의 손상을 검사하고 복구하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Windows가 부팅시 에러를 발생시키는 특정 파일이 손상되어 있는 경우, 시스템 파일 검사기를 사용하여 해당 파일을 복구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시스템 파일의 복구와는 관련이 없거나,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데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플러그 앤 플레이 (Plug & Play) 기능과 거리가 먼 것은?

  1. I/O 어드레스
  2. 새로운 하드웨어 설치
  3. ROM BIOS 설정
  4. 하드웨어 인터럽트
(정답률: 72%)
  •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은 새로운 하드웨어를 연결하면 자동으로 인식하고 설정을 완료해주는 기능이지만, ROM BIOS 설정은 컴퓨터의 기본 설정을 변경하는 작업으로, 하드웨어를 추가하는 것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ROM BIOS 설정이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에 오류가 발생하여 드라이버를 변경한 후에도 Windows로 부팅이 되지 않고 있다. 드라이버를 원상태로 복구 할 수 있는 일반적인 방법은?

  1. 도스로 부팅한 후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를 변경한다.
  2. Windows로 부팅하여 드라이버를 변경한다.
  3. Windows를 재 설치 한다.
  4. 안전 모드로 부팅한 후 드라이버를 변경한다.
(정답률: 74%)
  • 안전 모드로 부팅하면 Windows가 최소한의 드라이버와 설정으로 시작되므로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일반 모드에서는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가 로드되어 있어 변경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안전 모드로 부팅한 후 드라이버를 변경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RAM을 업그레이드 하였더니 화면에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고 삐삐 하는 경고음만 들린다. 이 때, 확인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RAM
  2. CPU
  3. VGA
  4. 배터리
(정답률: 64%)
  • 배터리는 컴퓨터 부품 중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RAM, CPU, VGA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RAM을 업그레이드 하였을 때 화면에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고 삐삐 소리가 나는 경우, RAM이 제대로 인식되지 않거나 잘못 설치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Windows에서 사용자가 쉽게 하드웨어를 설치하도록 도와주는 규약이다.
  2. 하드웨어(Hardware)를 컴퓨터에 설치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인식하여 기본 드라이버가 있는 경우 이를 설치한다.
  3. 윈도우 95 이전부터 사용되었다.
  4. 컴퓨터의 부팅과 함께 작동하며, 각 하드웨어(Hardware)를 검색한다.
(정답률: 79%)
  • 정답: "윈도우 95 이전부터 사용되었다."

    설명: Plug & Play는 1990년대 초에 개발되어 윈도우 95 이후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전에는 하드웨어를 설치하고 드라이버를 수동으로 설치해야 했기 때문에 Plug & Play가 등장하면서 하드웨어 설치가 훨씬 쉬워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MSGSVR을 중단시키면 Windows 사용 중 Fatal Error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MSGSVR가 의미하는 것은?

  1. 멀티미디어 장치의 오류를 담당한다.
  2. 운영체제와 각종 프로그램의 버전들을 표시한다.
  3. 파일 시스템 동작의 오류를 담당한다.
  4. Windows 실행시 각 이벤트 간 메시지 교환을 담당한다.
(정답률: 51%)
  • MSGSVR은 Windows 실행 중에 각 이벤트 간 메시지 교환을 담당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중단시키면 Windows 사용 중 Fatal Error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Windows 실행시 각 이벤트 간 메시지 교환을 담당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Windows 98의 FDISK를 이용하여 하드디스크를 파티션 하려고 한다. 이러한 작업에 대하여 잘못 설명한 것은?

  1. 하드디스크를 기본 혹은 확장 DOS영역으로 구분한다.
  2. 확장 영역을 논리 드라이브로 나눈다.
  3. 파티션이 끝나면 재 부팅 없이 바로 논리 드라이브를 포맷한다.
  4. 부팅에 사용할 드라이브에 실행영역을 지정한다.
(정답률: 59%)
  • "파티션이 끝나면 재 부팅 없이 바로 논리 드라이브를 포맷한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파티션을 만든 후에는 해당 파티션을 포맷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반드시 재부팅이 필요하다. 이는 파티션 정보를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함이다.

    - 하드디스크를 기본 혹은 확장 DOS영역으로 구분한다.
    → 맞는 설명입니다.
    - 확장 영역을 논리 드라이브로 나눈다.
    → 맞는 설명입니다.
    - 파티션이 끝나면 재 부팅 없이 바로 논리 드라이브를 포맷한다.
    → 잘못된 설명입니다.
    - 부팅에 사용할 드라이브에 실행영역을 지정한다.
    →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시스템이 갑자기 오동작 하면서 문제를 발생시킬 경우, 문제 해결을 위한 다음 조치들 중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CPU에 냉각 팬이 달려 있는지 확인하고 달려 있지 않다면 CPU가 충분히 식을 때까지 시스템을 중단시켰다가 다시 시동한다.
  2. 메인보드의 CPU 클럭 속도 설정이 장착되어 있는 CPU 클럭 속도와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이를 일치하도록 수정 해 준다.
  3. CPU의 냉각 팬 또는 전원 공급장치의 냉각 팬이 이물질들에 의해 제대로 동작하는 것을 방해받고 있는지 확인한다. 만일 이물질들에 의해 방해받고 있다면 청소해 준다.
  4. CPU를 CPU 소켓으로부터 제거했다가 다시 삽입한 후 시동을 건다.
(정답률: 63%)
  • CPU를 CPU 소켓으로부터 제거했다가 다시 삽입한 후 시동을 건다는 조치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는 잘못된 조치로 CPU를 손상시킬 수 있으며,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CPU 소켓에서 CPU를 제거하고 다시 삽입하는 작업은 전문가나 숙련된 사용자만이 시도해야 합니다.

    CPU를 제거하고 다시 삽입하는 작업은 CPU와 소켓 사이의 연결을 다시 설정하는 것이므로, CPU와 소켓 사이에 먼지나 이물질이 들어가 있는 경우에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CPU를 제거하고 다시 삽입하는 것은 위험하며,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은 더 적절한 조치입니다.

    따라서, CPU를 CPU 소켓으로부터 제거했다가 다시 삽입하는 조치는 적절하지 않으며, 다른 조치들을 시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Windows 사용 중에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대처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필요 없는 시작 프로그램이 Windows 시작할 때마다 자동으로 실행된다면 시스템구성편집기(sysedit)에서 MS-CONFIG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도록 편집해 준다.
  2. 최대화, 최소화, 닫기 버튼이 이상하게 표시된다면 시스템 파일검사기로 COMCTL32.DLL 파일과 COMDLG32.DLL 파일을 복원해 준다.
  3. Windows에서 글꼴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거나 깨져 나온다면 도스모드로 시스템을 시작한 후 Windows 폴더에 있는 TTFCACHE 파일을 삭제한다.
  4. 바탕화면의 아이콘이 이상하게 표시될 때는 도스모드로 시스템을 시작한 후, Windows 폴더에 있는 ShelliconCache 파일을 삭제한다.
(정답률: 40%)
  • "필요 없는 시작 프로그램이 Windows 시작할 때마다 자동으로 실행된다면 시스템구성편집기(sysedit)에서 MS-CONFIG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도록 편집해 준다."가 잘못된 것이다. 실제로는 시스템구성 유틸리티(msconfig)를 사용하여 시작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시스템구성편집기(sysedit)는 Windows 98 이전 버전에서 사용되던 유틸리티이며, 현재 Windows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Windows 98에서 어떤 응용프로그램이 특정한 DLL 파일을 찾을 수 없다며 실행되지 않는다면, 다음 중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해당 응용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해본다.
  2. 동일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다른 PC에서 문제가 되는 DLL 파일을 찾아 해당 폴더에 복사해 넣는다.
  3. 하드디스크의 이상으로 파일이 손실된 경우에 대비해 디스크 검사' 등으로 하드디스크 점검을 해본다.
  4. Windows 98의 가상 메모리 크기를 늘려준다.
(정답률: 77%)
  • 해당 응용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해본다.

    Windows 98의 가상 메모리 크기를 늘려준다는 것은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필요한 메모리 공간을 늘려주는 것이다. 따라서 DLL 파일을 찾을 수 없는 문제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DLL 파일을 찾을 수 없는 문제는 해당 DLL 파일이 손상되었거나 삭제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해당 파일을 다시 설치하거나 복사해 넣는 것이 적절한 해결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Award 바이오스에서 하드디스크를 포맷하거나 FDISK를 실행할 때 반드시 'Disabled' 하여야 하는 항목은?

  1. Boot Sequence
  2. Virus Warning
  3. Boot up Floopy Drive
  4. CPU Internal cache
(정답률: 54%)
  • 'Virus Warning' 항목은 하드디스크를 포맷하거나 FDISK를 실행할 때 'Disabled' 상태로 설정해야 하는 이유는 바이오스에서 바이러스 경고를 표시하는 기능이기 때문입니다. 이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바이러스가 감염된 디스크를 사용할 때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어 작업을 계속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하드디스크를 포맷하거나 FDISK를 실행할 때는 'Virus Warning' 항목을 'Disabled' 상태로 설정하여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컴퓨터에 전원을 연결한 후에 도스 화면부터 심하게 흔들리고 Windows로 부팅한 후에도 화면이 심하게 흔들리고 있다. 모니터를 다른 것으로 교체해도 마찬가지 이다. 이에 대한 원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전원 공급 장치 불량
  2. 커넥터의 고장
  3. 그래픽 카드에서 전송하는 신호 오류
  4. 그래픽 카드가 제대로 장착되어 있지 않다.
(정답률: 64%)
  • 전원 공급 장치가 불량이라면 충분한 전력을 공급하지 못해 모니터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모니터로 교체해도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전원 공급 장치 불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운영체제

16. Windows 98에서 파일을 삭제할 때 휴지통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삭제하는 방법은?

  1. Ctrl + Tab + Delete 키
  2. Ctrl + Delete 키
  3. Shift + Delete 키
  4. Ctrl + Shift + Delete 키
(정답률: 91%)
  • Shift + Delete 키를 누르면 파일이 휴지통으로 이동하지 않고 바로 삭제되기 때문입니다. 이 방법은 파일을 완전히 삭제하고 복구할 수 없게 만들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디스크 검사]로 알 수 있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총 디스크 공간 용량
  2. 사용할 수 없는 공간 용량과 할당 단위
  3. 전체 할당 단위 수
  4. 숨겨진 파일 수와 용량
(정답률: 37%)
  • 디스크 검사를 통해 알 수 있는 사항 중 "사용할 수 없는 공간 용량과 할당 단위"는 알 수 없는 사항이다. 이는 디스크 검사가 디스크의 물리적인 상태와 파일 시스템의 구조를 분석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스크 검사를 통해 알 수 있는 사항은 총 디스크 공간 용량, 전체 할당 단위 수, 숨겨진 파일 수와 용량 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도스 모드에서 Windows 98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ie :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설치하지 않는다.
  2. /ih : 레지스트리 검사를 생략한다.
  3. /im : 기본 메모리 부족 여부 검사를 건너뛴다.
  4. /is : 디스크 검사를 실행하지 않는다.
(정답률: 39%)
  • "/ie :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설치하지 않는다."가 잘못된 것은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설치하지 않는 옵션이 아니라,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설치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설치하는 옵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ie :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설치하지 않는다."가 아닌 다른 보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 )에 적당한 용어는?

  1. OLE
  2. DLL
  3. INI
  4. PCX
(정답률: 70%)
  • 위의 그림은 OLE(Object Linking and Embedding)에 대한 설명이다. OLE은 다른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객체를 현재 작업 중인 문서에 삽입하거나, 다른 문서에 있는 객체를 현재 문서에 링크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따라서, 위의 그림에서는 OLE을 이용하여 다른 문서에서 작성된 그래프를 현재 문서에 삽입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시스템 도구의 디스크 검사 유형에서, 물리적 오류는 검사하지 않고 파일과 폴더의 오류를 검사하는 유형은?

  1. 표준 검사
  2. 정밀 검사
  3. 오류 자동 수정
  4. 오류 자동 검출
(정답률: 68%)
  • 표준 검사는 파일과 폴더의 오류를 검사하는 유형이며, 물리적 오류는 검사하지 않습니다. 이는 파일 시스템의 일반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검사 방법으로, 파일 시스템의 불안정성을 감지하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파일과 폴더의 오류를 검사하는 일반적인 검사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프로그램을 삭제하려고 한다. 틀린 설명은?

  1.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에서 삭제한다.
  2. 해당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삭제 프로그램으로 삭제한다.
  3. 프로그램의 폴더를 삭제한다.
  4. 프로그램 삭제 응용 프로그램으로 삭제한다.
(정답률: 78%)
  • 프로그램의 폴더를 삭제한다는 것은 해당 프로그램의 파일들을 직접 삭제하는 것이므로, 시스템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올바른 방법은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에서 삭제하거나 해당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삭제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컴퓨터의 편리한 사용을 위해 컴퓨터와 사용자의 중간적 위치에서 제반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은?

  1. 운영체제
  2. 주변장치
  3. 소프트웨어 패키지
  4. 응용 소프트웨어
(정답률: 82%)
  • 운영체제는 컴퓨터와 사용자 사이에서 중간적인 역할을 수행하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관리하고 제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컴퓨터의 편리한 사용을 위해 필수적인 프로그램이 운영체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컴퓨터 바이러스를 치료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아닌 것은?

  1. V3+
  2. Norton Antivirus
  3. Scandisk
  4. Turbo-Vaccine
(정답률: 89%)
  • Scandisk는 하드디스크의 오류를 검사하고 복구하는 유틸리티 프로그램으로, 컴퓨터 바이러스를 검사하거나 치료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레지스트리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1. Windows는 구성 정보를 레지스트리라고 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2. system.dat, user.dat, win.dat로 이루어져 있다.
  3. Windows에 탑재된 레지스트리 편집기는 regedit.exe이다.
  4.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사용하여 레지스트리를 검사하고 수정할 수 있다.
(정답률: 67%)
  • "system.dat, user.dat, win.dat로 이루어져 있다."는 바르지 못한 설명이다. 레지스트리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파일인 "registry hive"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파일은 보통 C:WindowsSystem32Config 폴더에 위치한다. 따라서, "system.dat, user.dat, win.dat"은 레지스트리 파일이 아니라 Windows 9x/ME 운영 체제에서 사용되던 파일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Windows 98을 사용하는 컴퓨터에서 시동디스크를 작성할 때 사용되는 항목은?

  1. 사용자
  2. 시스템
  3. 프로그램 추가/삭제
  4. 새 하드웨어 추가
(정답률: 30%)
  • Windows 98에서 시동디스크를 작성할 때는 시스템 파일들을 포함시켜야 합니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추가/삭제 항목에서 "시스템 파일 백업" 옵션을 선택하여 필요한 파일들을 시동디스크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프로그램 추가/삭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두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네트워크 게임을 즐기고 싶다면 다음 중 꼭 설치해야 하는 프로토콜은?

  1. TCP/IP 프로토콜
  2. NETBIOS 프로토콜
  3. IPX/SPX 호환 프로토콜
  4. ADSL 프로토콜
(정답률: 50%)
  • IPX/SPX 호환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게임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로, 게임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프로토콜은 TCP/IP와는 다른 프로토콜이며, 게임에 최적화되어 있어서 더 빠르고 안정적인 게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두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네트워크 게임을 즐기고 싶다면 IPX/SPX 호환 프로토콜을 꼭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Windows 98에서 시스템의 고장진단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휴지통에서 삭제한 파일을 복구 할 때는, [디스크 조각 모음] 기능을 실행한다.
  2.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삭제]기능은 통신프로토콜에 대한 고장진단을 할 때 사용한다.
  3. 충돌이난 장치는 [제어판] - [시스템] - [장치관리자]를 열면 노란 느낌표가 붙어서 쉽게 고장진단을 할 수 있다.
  4. 모든 시스템 고장진단은 [제어판] - [시스템] - [장치관리자]의 SCSI를 확인하면 알 수 있다.
(정답률: 64%)
  • Windows 98에서 시스템의 고장진단은 [제어판] - [시스템] - [장치관리자]를 이용하여 할 수 있다. 충돌이 난 장치는 노란 느낌표가 붙어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에서 설명하는 Windows 98의 부팅 방법은?

  1. Normal
  2. Step-by-step confirmation
  3. Safe mode command prompt only
  4. Command prompt only
(정답률: 50%)
  • "Safe mode command prompt only"는 Windows 98을 안전 모드에서 부팅하면서 커맨드 프롬프트 창만 열리도록 하는 옵션이다. 이 옵션은 시스템에 문제가 있을 때, 일반적인 부팅이 실패할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커맨드 프롬프트 창을 통해 시스템 파일을 수정하거나 복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Outlook Express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1. Outlook Express는 친구 및 동료와 편지를 교환하고, 아이디어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뉴스 그룹에 참여할 수 있는 전자메일 프로그램이다.
  2. Outlook Express가 없을 경우 웹메일을 확인하기 위해 [시작]을 누르고 [내 컴퓨터]를 실행한다.
  3. 여러 개의 메일 및 뉴스 계정을 관리하고, 한 서버에 편지를 보관하여 두 대 이상의 컴퓨터에서 편지를 보고, 메시지에 편지지 또는 서명을 추가할 수 있다.
  4. Outlook Express를 열려면 [시작] - [프로그램] - [Outlook Express]를 클릭한다.
(정답률: 79%)
  • Outlook Express가 없을 경우 웹메일을 확인하기 위해 [시작]을 누르고 [내 컴퓨터]를 실행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 웹메일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하여 확인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EBD.CAB에 포함된 파일들의 설명으로 바른 것은?

  1. ATTRIB.EXE - 시스템에서 Windows를 안전하게 제거하는 프로그램
  2. CHKDSK.EXE - 도스용 시스템 복구 프로그램
  3. SCANDISK.INI - Scandisk의 실행 방법을 설정한 정보 파일
  4. SCANDISK.EXE - 디스크 포맷 프로그램
(정답률: 53%)
  • SCANDISK.INI 파일은 Scandisk 프로그램의 실행 방법을 설정한 정보 파일입니다. 다른 파일들은 ATTRIB.EXE는 파일 속성을 변경하는 프로그램, CHKDSK.EXE는 도스용 시스템 복구 프로그램, SCANDISK.EXE는 디스크 검사 및 복구 프로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PC주변기기

31. 프린터는 기존의 도트프린터를 시작으로 많이 발전하여왔다. 현재 일반 사용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칼라도 출력할 수 있는 장비로써 다음 중에서 다른 프린터에 비해 일반적으로 저가이기도 한 장비는?

  1. 레이저프린터
  2. 잉크젯프린터
  3. 핸드스캐너
  4. COM출력장치
(정답률: 84%)
  • 잉크젯프린터는 인쇄물의 해상도가 높고, 인쇄 속도가 빠르며, 저렴한 잉크를 사용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인쇄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저가의 프린터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프린터의 전송 모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ECP
  2. EPP
  3. SPP
  4. ESP
(정답률: 45%)
  • ESP는 프린터의 전송 모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이다. 이유는 ESP는 프린터 전송 모드 중 하나가 아니며, 대신에 Epson 프린터에서 사용되는 특정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따라서 ESP는 프린터의 전송 모드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디지털 캠코더와 PC를 연결하여 테이프에 녹화된 동영상을 편집하려고 할 때 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중 가장 적절한 것은?

  1. USB1.1
  2. ITU 445
  3. SCSI
  4. IEEE 1394
(정답률: 55%)
  • IEEE 1394는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로, 디지털 캠코더와 PC를 연결하여 대용량의 동영상 파일을 빠르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또한, IEEE 1394는 데이터 전송 중에도 동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서 디지털 캠코더를 충전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디지털 캠코더와 PC를 연결하여 테이프에 녹화된 동영상을 편집하기 위해서는 IEEE 1394가 가장 적절한 인터페이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PC용 비디오 카드는 비디오 출력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엑셀레이터 칩을 탑재하거나, 화면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 비디오 램 메모리를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다음 중 가장 최신 기능을 탑재한 비디오 카드의 인터페이스 방식은?

  1. PCI
  2. VESA
  3. AGP
  4. EIDE
(정답률: 62%)
  • 가장 최신 기능을 탑재한 비디오 카드의 인터페이스 방식은 AGP이다. AGP는 Accelerated Graphics Port의 약자로, 비디오 출력 속도를 높이기 위해 개발된 인터페이스 방식이다. AGP는 PCI 버스보다 더 높은 대역폭을 가지며, 그래픽 카드가 메인 메모리에 직접 접근할 수 있어 더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AGP는 그래픽 카드에 대한 전원 공급을 개선하고, 그래픽 카드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AGP는 최신 비디오 카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방식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컴퓨터를 처음 켤 때 나는 ‘웅’하는 소리는 본체 뒤에 있는 냉각팬에서 나는 것이다. 다음 중 냉각팬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컴퓨터 본체 내부의 열기를 식혀주는 역할을 한다.
  2. 주변 장치 점검을 해주는 역할을 한다.
  3. 컴퓨터 전원 공급 장치이다.
  4. 내부 온도를 알리는 장치이다.
(정답률: 86%)
  • 냉각팬은 컴퓨터 본체 내부의 열기를 식혀주는 역할을 합니다. 컴퓨터가 동작하면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팬이 흡입하여 공기를 순환시켜 열을 배출하고,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입력장치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조이스틱
  2. 플로터
  3. 마우스
  4. 마이크
(정답률: 91%)
  • 플로터는 출력장치의 범주에 속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입력장치의 범주에 속하지 않습니다. 플로터는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그림이나 도형 등을 출력하는 장치로, 종이나 필름 등에 그림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RF방식의 마우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적외선을 이용한다.
  2. 장애물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설치장소를 잘 고려해야 한다.
  3. 무선주파수 방식이다.
  4. IR방식이라고도 한다.
(정답률: 56%)
  • RF방식의 마우스는 무선주파수 방식이다. 이는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적외선과 달리 장애물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장소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CPU에 관한 내용 중 옳은 것은?

  1. CPU 클럭이 높은 PC가 항상 처리 속도가 빠르다.
  2. MMX(Multi Media eXtension)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멀티미디어의 특성을 포함한 기술이다.
  3. 고속의 CPU일 수록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캐쉬 크기를 줄여야 한다.
  4. 수퍼스칼라는 한 번에 한 명령어만을 실행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정답률: 50%)
  • MMX(Multi Media eXtension)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멀티미디어의 특성을 포함한 기술이다. 이는 CPU가 멀티미디어 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SIMD(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 방식을 사용하여 한 번에 여러 개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를 통해 비디오, 음악, 이미지 등의 멀티미디어 작업을 더욱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피쳐 커넥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꿔주는 장치
  2. 모니터에 출력될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
  3. 비디오 입출력에 관한 정보와 제어 프로그램을 담고 있는 장치
  4. 다른 영상 장치에서 보낸 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
(정답률: 58%)
  • 피쳐 커넥터는 다른 영상 장치에서 보낸 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PC에서 EIDE 인터페이스를 가진 컴퓨터에는 최대 4대의 하드디스크 또는 CD-ROM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같은 인터페이스 라인에 연결된 두 번째 하드디스크 또는 CD-ROM을 일컫는 용어는?

  1. Master
  2. Slave
  3. Primary
  4. Secondary
(정답률: 42%)
  • EIDE 인터페이스에서는 하나의 인터페이스 라인에 최대 2개의 장치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 때 첫 번째로 연결된 장치를 "Master"라고 부르고, 두 번째로 연결된 장치를 "Slave"라고 부른다. Slave는 Master의 하위 장치로서, Master가 우선적으로 제어권을 가지고 있으며, Slave는 Master의 명령에 따라 동작한다. 따라서 Slave는 Master의 보조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Primary와 Secondary는 EIDE 인터페이스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Master와 Slave와는 다른 개념이다. Primary는 EIDE 인터페이스의 첫 번째 채널을 의미하고, Secondary는 두 번째 채널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ISA방식의 속도 한계로 인하여 요즘에는 대부분의 장치들이 PCI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다음 중 PCI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 장치가 아닌 것은?

  1. 메모리
  2. 사운드 카드
  3. 모뎀
  4. 랜 카드
(정답률: 63%)
  • PCI 방식은 입출력 장치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버스이며, 메모리는 입출력 장치가 아니기 때문에 PCI 방식으로 연결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메모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DVD(Digital Versatile/Video Disc)는 CD와 같은 모양이지만 양면 모두 재생이 가능하며 신호 기록의 밀도가 훨씬 더 촘촘하여 CD의 몇 배에 달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음 중 DVD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성에 의한 디지털 저장 기술을 사용한다.
  2. 고화질과 고음질의 영상을 기록할 수 있다.
  3. 4.7GB이상의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4. MPEG-2 기술을 접목시켜 비디오 데이터까지 저장이 가능하다.
(정답률: 72%)
  • "자성에 의한 디지털 저장 기술을 사용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DVD는 자성에 의한 디지털 저장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어들인다. 이 기술은 DVD의 표면에 있는 작은 구멍들을 자석으로 변화시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디지털카메라는 CCD 렌즈를 사용하여 사진을 촬영하는데, 다음의 디지털 카메라의 구현 방법 중 가장 뛰어난 화질을 나타내는 방식과 가장 낮은 화질을 나타내는 방식을 연결한 것은?

  1. Linear Array 방식 - Oneshot One Array 방식
  2. Oneshot Three Array 방식 - Linear Array 방식
  3. Linear Array 방식 - Oneshot Three Array 방식
  4. Oneshot Three Array 방식 - Oneshot Three Array 방식
(정답률: 45%)
  • Linear Array 방식은 이미지를 한 줄씩 차례로 읽어들이는 방식으로, 화질이 높고 선명하며 노이즈가 적습니다. 반면에 Oneshot One Array 방식은 한 번에 한 장면을 촬영하는 방식으로, 화질이 낮고 노이즈가 많습니다. 따라서 두 방식을 연결하면 가장 뛰어난 화질과 가장 낮은 화질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하드디스크의 인터페이스 방식 중 최대 허용 용량이 528MB인 방식은?

  1. IDE
  2. ESDI
  3. SCSI
  4. ST-506/412
(정답률: 58%)
  • IDE는 Integrated Drive Electronics의 약자로, 하드디스크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방식 중 하나입니다. IDE는 ATA(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라는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며, 최대 허용 용량이 528MB인 방식으로도 사용됩니다. 이는 IDE가 다른 인터페이스 방식에 비해 비교적 구형 기술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PC의 마더 보드에 확장 슬롯을 사용하는 이유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하드디스크나 플로피디스크드라이브와 같은 내장형 장치들이 제어 카드를 통해 컴퓨터 버스에 연결하기 위해
  2. 모니터, 외부 모뎀과 같은 외부 장치들을 위한 I/O 포트 제공하기 위해
  3. 처리 속도 향상을 위한 가속기 카드와 같은 특수 목적의 장치를 컴퓨터 버스에 연결하기 위해
  4. 컴퓨터 버스의 종단을 개방시켜 고속 처리를 가능하기위해
(정답률: 58%)
  • 마더 보드의 확장 슬롯을 사용하는 이유 중 "컴퓨터 버스의 종단을 개방시켜 고속 처리를 가능하기 위해"는 옳지 않습니다. 확장 슬롯은 주로 다양한 종류의 카드를 추가하여 컴퓨터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도 가속기 카드와 같은 특수 목적의 장치를 연결하여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컴퓨터 버스의 종단을 개방시켜 고속 처리를 가능하기 위해"라는 이유는 정확하지 않습니다. 컴퓨터 버스의 종단을 개방시키는 것은 일반적으로 다른 목적을 위해 수행됩니다. 예를 들어, 여러 개의 마더 보드를 연결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컴퓨터 버스의 종단을 개방시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PC네트워크

46. RS-232C의 전송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직렬(Serial) 전송을 위한 규격이다.
  2. 전송할 때 8개의 bit가 동시에 8개의 데이터 선을 통해 전송된다.
  3. 전송할 때 송·수신측의 전송 속도를 일치시켜야 한다.
  4. 전송 속도는 bps 또는 baud로 표시된다.
(정답률: 48%)
  • 전송할 때 8개의 bit가 동시에 8개의 데이터 선을 통해 전송된다는 설명이 잘못되었습니다. RS-232C는 직렬 전송을 위한 규격으로, 데이터를 한 비트씩 순차적으로 전송합니다. 따라서 8개의 데이터 비트를 전송하려면 8번의 전송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각 허브에 연결된 노드가 세그먼트와 같은 효과를 갖도록 해주는 장비로서, 트리 구조로 연결된 각 노드가 동시에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게 해주며, 규정된 네트워크 속도를 공유하지 않고 각 노드에게 규정 속도를 보장해 줄 수 있는 네트워크 장비는?

  1. Hub
  2. Router
  3. Switching Hub
  4. Gateway
(정답률: 63%)
  • Switching Hub은 각 노드에게 규정된 속도를 보장해주며, 동시에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트리 구조로 연결된 각 노드에게 세그먼트와 같은 효과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비입니다. 따라서, Switching Hub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IP 주소의 부족에 대한 대안으로 내놓은 IPv6 프로토콜의 구조는?

  1. 32비트
  2. 64비트
  3. 128비트
  4. 256비트
(정답률: 69%)
  • IPv6 프로토콜은 128비트의 주소 체계를 사용하여 IP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합니다. 이는 IPv4의 32비트 주소 체계보다 훨씬 더 많은 주소를 할당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IPv6는 이론적으로 2의 128승 개의 주소를 할당할 수 있으며, 이는 현재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기의 주소를 할당하는 데 충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유해 정보를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뉴의 이름은?

  1. 캐시
  2. 보안
  3. 내용관리자
  4. 히스토리
(정답률: 32%)
  • "내용관리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유해한 웹사이트나 콘텐츠를 차단하기 위한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부적절한 콘텐츠가 포함된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용관리자"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Windows 98 시스템의 마이크로소프트 패밀리 로그온에 대한 설명 중 바르지 않는 것은?

  1. 사용자에 따라 바탕화면을 다르게 유지 할 수 있다.
  2. 사용자에 따라 시작 메뉴를 다르게 설정 할 수 있다.
  3. Windows를 시작할 때 사용자를 선택 할 수 있다.
  4. 로그온 하려면 반드시 암호를 설정하여야 한다.
(정답률: 74%)
  • 정답: "로그온 하려면 반드시 암호를 설정하여야 한다."

    이유: Windows 98에서는 암호를 설정하지 않고 로그인할 수도 있지만, 보안상의 이유로 암호를 설정하는 것이 권장된다. 따라서 "로그온 하려면 반드시 암호를 설정하여야 한다."는 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