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정비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10-15)

PC정비사 2급
(2006-10-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PC유지보수

1. PC 조립 시 각종 케이블과 메인보드를 연결할 때의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PC 케이스의 LED와 스피커 커넥터가 메인보드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PC가 부팅이 되지 않는다.
  2. 일반적으로 전원 스위치, 리셋 스위치는 커넥터에 반대로 연결해도 동작이 된다.
  3. 전원케이블에는 여러 종류의 전압이 출력된다.
  4. IDE 케이블은 CD-ROM과 하드디스크에 연결한다.
(정답률: 80%)
  • "일반적으로 전원 스위치, 리셋 스위치는 커넥터에 반대로 연결해도 동작이 된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PC 케이스의 LED와 스피커 커넥터가 메인보드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PC가 부팅이 되지 않는 이유는, 이 커넥터들은 부팅 시 필요한 신호를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전원 LED가 메인보드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전원이 공급되어도 부팅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전원 스위치와 리셋 스위치는 커넥터에 반대로 연결해도 동작이 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모든 경우가 아닙니다. 따라서 올바르게 연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원케이블에는 여러 종류의 전압이 출력되는 것은 맞지만, 이는 조립 시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전압이 필요한 부분에 올바르게 연결하면 됩니다.

    IDE 케이블은 CD-ROM과 하드디스크에 연결하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SCSI 방식의 주변 기기를 자신의 컴퓨터에 연결하려고 한다. 이때 주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한 것 중 올바른 것은?

  1. SCSI 장치의 케이블은 반대로 꽂아도 상관 없다.
  2. SCSI 장치 설치 시 장치의 ID 점퍼를 설정한다.
  3. 일반적인 SCSI 인터페이스 카드에는 1개 이상의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없다.
  4. 모든 ID가 유일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률: 56%)
  • 정답은 "SCSI 장치 설치 시 장치의 ID 점퍼를 설정한다." 이다.

    SCSI는 여러 개의 장치를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연결하는 기술이다. 이때 각 장치는 고유한 ID를 가져야 하며, 이 ID는 장치의 점퍼를 설정하여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SCSI 장치를 설치할 때는 각 장치의 ID 점퍼를 설정해야 한다.

    그 외의 보기들은 모두 틀린 내용이다. SCSI 케이블은 꼭 올바른 방향으로 꽂아야 하며, 일반적인 SCSI 인터페이스 카드에는 여러 개의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SCSI에서는 각 장치의 ID가 유일해야 하므로 중복된 ID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PC가 부팅되기 전에 자체진단 프로그램인 POST(Power On Self Test)가 전달하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마우스의 이상 유무 검사
  2. 주기억장치의 이상 유무 검사
  3. 키보드의 이상 유무 검사
  4. CPU의 이상 유무 검사
(정답률: 70%)
  • POST는 컴퓨터 부팅 시 하드웨어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는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마우스는 주변기기에 해당하며, POST는 주변기기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지 않는다. 따라서 "마우스의 이상 유무 검사"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ECP, EPP, SPP, ECP+EPP"는 Award BIOS의 Chipset Features Setup에서 볼 수 있는 설정 값이다. 이 값을 사용하는 BIOS 설정 항목으로 올바른 것은?

  1. ECP DMA Select
  2. IDE Ultra DMA Mode
  3. Onboard PCI IDE Enable
  4. Parallel Port Mode
(정답률: 53%)
  • 정답: "Parallel Port Mode"

    이유: "ECP, EPP, SPP, ECP+EPP"는 모두 병렬 포트 모드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 설정은 컴퓨터와 병렬 포트를 사용하는 장치 간의 통신 방식을 결정한다. ECP는 확장 가능한 병렬 포트를 나타내며, 높은 전송 속도와 DMA(Direct Memory Access) 기능을 제공한다. EPP는 확장 병렬 포트를 나타내며, 높은 전송 속도와 양방향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SPP는 표준 병렬 포트를 나타내며, 가장 기본적인 통신 방식을 제공한다. ECP+EPP는 확장 가능한 병렬 포트와 확장 병렬 포트를 모두 지원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Parallel Port Mode"는 이러한 병렬 포트 모드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BIOS 설정 항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PC가 부팅되는 시간이나 Windows의 체감 속도, 프로그램 실행 속도 등 전체적으로 속도가 저하되었다. 그 원인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Windows의 레지스트리 정보가 많아졌다.
  2. 특정 프로그램의 실행 속도나 Windows의 부팅 속도는 하드디스크의 단편화가 그 원인이 되기도 한다.
  3. Windows를 오래 사용하다 보면 각종 DRV, INI 파일 등이 Windows 디렉터리에 쌓여가게 된다. 이러한 정보로 인하여 Windows 속도가 느려지기도 한다.
  4. DNS 서버의 지정이 잘못되거나 서버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이다.
(정답률: 80%)
  • DNS 서버의 지정이 잘못되거나 서버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는 인터넷 연결과 관련된 문제이며, PC의 전체적인 속도 저하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따라서 이 보기가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Windows XP의 멀티 부팅 정보를 담고 있는 boot.ini 파일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boot.ini 파일은 Windows의 메모장으로 편집이 가능한 텍스트 파일이다.
  2. /noguiboot 옵션을 사용하면 Windows가 시작될 때 Windows 로고 화면을 보여주지 않는다.
  3. boot.ini 파일을 편집해 멀티 부팅 메뉴를 표시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4. /fastdetect 옵션을 사용하면 부팅 시 운영체제를 선택할 수 없다.
(정답률: 44%)
  • "/fastdetect 옵션을 사용하면 부팅 시 운영체제를 선택할 수 없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이는 부팅 시 하드웨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사용 가능한 하드웨어 드라이버를 로드하는 옵션이며, 멀티 부팅 메뉴를 표시하는 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여러 운영체제를 선택할 수 있는 멀티 부팅 메뉴는 여전히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Windows XP의 부팅 과정 중 Windows 로고화면에서 멈춘 채 반응이 없을 때의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Windows XP의 시스템 파일이 손상되었다.
  2. 장치 드라이버의 문제이거나 장치에 장애가 있다.
  3. PC의 본체에 마우스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
  4.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었다.
(정답률: 85%)
  • PC의 본체에 마우스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Windows 로고화면에서 멈추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마우스가 필요한 입력 장치이기 때문에, 시스템이 마우스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마우스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시스템은 입력을 받을 수 없어 멈추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Windows XP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도중, 디스크 공간이 부족하다는 메시지가 출력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사용하지 않는 Windows 구성 요소를 삭제한다.
  2. 휴지통을 비운 후 휴지통의 사용 공간을 줄인다.
  3. 자주 사용하는 파일들을 바탕화면으로 옮겨 놓아 디스크 용량을 확보한다.
  4. 시스템의 디스크 정리를 실행하여 디스크 공간을 확보한다.
(정답률: 87%)
  • 바탕화면에 있는 파일들은 일반적으로 사용 빈도가 높기 때문에 자주 접근하게 된다. 이러한 파일들을 바탕화면에서 제거함으로써 디스크 용량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자주 사용하는 파일들을 바탕화면으로 옮겨 놓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PC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해 PC의 암호를 BIOS에서 설정하였으나 이를 분실하였다. 분실한 패스워드를 복구하기 위한 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1. 하드디스크의 부트 섹터를 초기화한 후 다시 부팅하여 비밀번호를 다시 설정한다.
  2. 메인보드의 CMOS Clear Jumper를 Short시켜 CMOS를 초기화 시킨 후 다시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3. Windows 응급 복구용 Booting 디스켓으로 부팅을 하여 CMOS 비밀번호를 다시 설정한다.
  4. Power Off 후 전원코드를 분리하면 5초 후에 비밀번호가 초기화되므로 다시 설정한다.
(정답률: 73%)
  • BIOS에 설정된 암호는 CMOS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CMOS를 초기화하면 암호가 제거됩니다. 메인보드의 CMOS Clear Jumper를 Short시켜 CMOS를 초기화하는 것은 가장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CMOS에 저장된 모든 설정을 초기화하므로, 초기화 후에는 다시 BIOS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모니터에 아무 내용도 나타나지 않고, 컴퓨터가 부팅되지 않으며, 메인보드에서 특별한 소리도 들리지 않는다. 특별하게 새로운 주변기기를 추가하거나 컴퓨터를 분해한 적은 없다. 이 증상에 대한 원인으로 잘못된 것은?

  1. 컴퓨터의 파워 서플라이에 제대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아서 발생할 수 있다.
  2. 메인보드의 부품에 이상이 생겼을 수 있으므로 메인보드의 이상을 확인한다.
  3. 하드디스크의 단편화가 심화되었다.
  4. 메인메모리 그래픽카드 등의 부품이 메인보드에 제대로 장착이 되지 않았거나 케이블 연결 오류 등으로 부팅이 되지 않기도 한다.
(정답률: 77%)
  • 하드디스크의 단편화가 심화되었다는 것은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가 조각나서 느려지거나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는 컴퓨터가 부팅되지 않거나 모니터에 아무 내용도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하드디스크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므로, 하드디스크를 점검하고 단편화를 해결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에 대하여 잘못 설명한 것은?

  1. 기본적으로 PCI와 AGP는 플러그 앤 플레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2. ISA장치는 플러그 앤 플레이를 전혀 지원하지 못한다.
  3. 플러그 앤 플레이는 주변장치를 검색, 설치하여 준다.
  4. 일반적으로 플러그 앤 플레이를 지원하지 않는 장치를 검색할 때에는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정답률: 70%)
  • 정답은 "ISA장치는 플러그 앤 플레이를 전혀 지원하지 못한다." 이다. ISA 장치는 플러그 앤 플레이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한다. 이는 PCI나 AGP와 같은 플러그 앤 플레이를 지원하는 장치와는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PC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 것 중 잘못된 것은?

  1. 그래픽 카드는 모니터를 연결할 때 슬롯에서 쉽게 빠질 수 있다. 그래서 최근 메인보드는 이를 막기 위해 잠금 장치를 제공한다.
  2. CPU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히기 위해 냉각팬을 CPU 위에 설치하고 냉각팬은 메인보드로부터 작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 받는다.
  3. 병렬 방식의 하드디스크를 지원하는 P-ATA 커넥터는, 직렬방식인 S-ATA 케이블보다 작고 점퍼 설정도 할 필요가 없다.
  4. 메모리를 소켓에 꽂을 때는 메모리의 구멍을 소켓의 홈에 맞춘 다음 수직으로 세워 눌러 주면 된다.
(정답률: 80%)
  • 잘못된 것은 "병렬 방식의 하드디스크를 지원하는 P-ATA 커넥터는, 직렬방식인 S-ATA 케이블보다 작고 점퍼 설정도 할 필요가 없다." 이다. 이유는 P-ATA 커넥터는 직렬방식이 아닌 병렬방식의 하드디스크를 지원하는 커넥터이며, 점퍼 설정이 필요하다. S-ATA 케이블은 직렬방식의 하드디스크를 지원하는 커넥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컴퓨터를 부팅할 때마다 ‘BIOS Checksum Error'가 발생한다. BIOS SETUP에서 설정을 변경하고 재부팅하면 이상이 없지만 전원을 끈 후에 다시 켜보면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원인으로 타당한 것은?

  1. CMOS 배터리 방전이 원인이다.
  2. HDD의 부트섹터 오류가 원인이다.
  3. CPU의 무리한 오버클록이 원인이다.
  4. BIOS의 버전이 낮은 것이므로 업데이트하면 해결된다.
(정답률: 59%)
  • BIOS는 컴퓨터의 기본 입력/출력 시스템으로, 컴퓨터 부팅 시 가장 먼저 실행된다. 이때 BIOS는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검사하고 초기화하는데, 이 과정에서 BIOS는 CMOS라는 메모리에 저장된 설정값을 읽어온다. 하지만 CMOS는 전원이 끊어지면 저장된 데이터가 사라지는 휘발성 메모리이기 때문에, CMOS에 저장된 BIOS 설정값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CMOS 배터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CMOS 배터리가 방전되면 BIOS 설정값이 유지되지 않아 부팅할 때마다 BIOS Checksum Error가 발생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항목 중에서 컴퓨터 사용의 부적절한 자세로 인하여 목, 어깨, 팔 등의 통증을 말하는 직업병은?

  1. VDT(Visual Display Terminal) 증후군
  2.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증후군
  3. Hardware 증후군
  4.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증후군
(정답률: 95%)
  • VDT(Visual Display Terminal) 증후군은 컴퓨터 사용 시 자세가 부적절하여 목, 어깨, 팔 등의 근육에 지속적인 스트레스가 가해지면서 발생하는 직업병이다. 이는 컴퓨터 사용 시 자세를 바르게 유지하지 않거나, 장시간 사용하면서 자세를 고정시키는 등의 원인으로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Windows XP를 OS로 사용하는 여러 대의 PC 중 최근 들어 한 대의 PC 만이 눈에 띄게 작업 속도가 느려졌다. 이런 경우 문제의 원인과 대처 방안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시작 프로그램 - Windows XP의 시작 프로그램에 가능한 많은 프로그램을 등록한다.
  2. 바이러스 - 백신 프로그램으로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는지를 점검하고 치료한다.
  3. 부족한 가상 메모리 - 시스템 등록정보의 가상 메모리 설정에서 가상 메모리의 크기를 충분히 확보한다.
  4. 불필요한 프로그램 - Windows XP의 프로그램 추가/제거 기능을 이용해 불필요한 프로그램을 제거한다.
(정답률: 92%)
  • 정답인 "시작 프로그램 - Windows XP의 시작 프로그램에 가능한 많은 프로그램을 등록한다."는 PC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들이 많아져서 시스템 자원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작업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작 프로그램에 등록된 프로그램들을 줄이거나 제거하여 시스템 자원을 확보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운영체제

16. 다음은 운영체제의 발전 과정을 나열한 것이다. 이 중에서 가장 나중에 적용된 기법은?

  1. 분산처리(Distributed Processing) 시스템
  2. 다중프로그래밍(Multi Programming) 및 시분할(Time Sharing) 시스템
  3. 다중모드(Multi Mode) 시스템
  4. 일괄처리(Batch Processing) 시스템
(정답률: 69%)
  • 가장 나중에 적용된 기법은 "분산처리(Distributed Processing) 시스템"이다. 이는 여러 대의 컴퓨터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작업을 분산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기존의 중앙집중식 시스템과는 달리 각각의 컴퓨터가 독립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며, 작업의 분산으로 인해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산처리 시스템은 클라우드 컴퓨팅과 같은 혁신적인 기술의 발전을 이끌어내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바이러스의 예방과 거리가 먼 것은?

  1. 반드시 하드디스크에서 부팅을 한다.
  2. 디스켓이나 메모리카드의 쓰기 방지 탭을 사용한다.
  3. 중요한 데이터는 CD-ROM에 보관한다.
  4.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정답률: 70%)
  • 바이러스는 주로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하드디스크에서 부팅을 하지 않으면 바이러스가 실행되지 않아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Windows XP에서 처음 시작할 때 자동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수정할 수 있는 곳이 아닌 것은?

  1. 레지스트리
  2. msconfig.exe
  3. 시작 프로그램 폴더
  4. system.ini
(정답률: 59%)
  • 정답은 "system.ini"입니다. system.ini 파일은 Windows XP에서는 시작 프로그램을 수정하는 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 파일은 시스템 구성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시작 프로그램을 수정하려면 "시작 프로그램 폴더" 또는 "msconfig.exe"를 사용하거나 레지스트리를 수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주기억 장치의 메모리 용량보다 큰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이용 기법은?

  1. Cache Memory
  2. Virtual Memory
  3. Core Memory
  4. DMA
(정답률: 72%)
  • Virtual Memory은 주기억 장치의 메모리 용량보다 큰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드 디스크를 보조로 사용하는 메모리 이용 기법이다. 따라서 프로그램이 필요한 데이터를 주기억 장치에 올리지 않고 하드 디스크에서 가져와 사용할 수 있어 메모리 용량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CD-ROM 드라이브를 포함해서 모든 드라이브는 이 드라이브 루트에 숨은 공유를 할당받는데, 이 공유를 가리키는 것은?

  1. 관리 공유(Administrative Shares)
  2. 초기 공유(Basic Shares)
  3. 일반 공유(Public Shares)
  4. 할당 공유(Allocated Shares)
(정답률: 55%)
  • CD-ROM 드라이브를 포함해서 모든 드라이브는 관리 공유를 할당받는다. 이는 시스템 관리자가 원격으로 해당 드라이브에 접근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 공유를 가리키는 것은 "관리 공유(Administrative Share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Windows XP에서 실행 중인 창을 강제로 종료할 수 있는 단축키는?

  1. Alt + F4
  2. Ctrl + Esc
  3. Ctrl + Enter
  4. Alt + Tab
(정답률: 91%)
  • 정답은 "Alt + F4"입니다. 이는 현재 실행 중인 창을 닫는 단축키로,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모든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Ctrl + Esc"는 시작 메뉴를 열고, "Ctrl + Enter"는 주소 표시줄에 입력한 주소를 열고, "Alt + Tab"은 현재 실행 중인 창을 전환하는 단축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MS-DOS용 부팅디스켓을 만들려고 한다. 플로피디스크 부팅 시 반드시 필요한 파일이 아닌 것은?

  1. MSDOS.SYS
  2. IO.SYS
  3. HIMEM.SYS
  4. COMMAND.COM
(정답률: 74%)
  • HIMEM.SYS는 MS-DOS 운영체제에서 메모리 관리를 위한 파일로, 부팅디스크를 만들 때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부팅디스크는 운영체제를 부팅하기 위한 필수 파일인 MSDOS.SYS, IO.SYS, COMMAND.COM만 있으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Windows XP의 [제어판] 메뉴에서 사용 가능한 기능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Windows 보안 센터] 메뉴에서 시스템의 암호 설정 가능
  2. [디스플레이] 메뉴에서 화면의 해상도 변경 가능
  3. [사용자 계정] 메뉴에서 사용자의 암호 설정 가능
  4. [프로그램 추가/제거] 메뉴에서 프로그램의 추가 또는 삭제 가능
(정답률: 85%)
  • "[Windows 보안 센터] 메뉴에서 시스템의 암호 설정 가능"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Windows 보안 센터는 시스템 보안과 관련된 설정을 관리하는 도구이며, 암호 설정은 [사용자 계정] 메뉴에서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에 설명하는 파일 시스템은?

  1. FAT
  2. FAT32
  3. NTFS
  4. HPFS
(정답률: 70%)
  • 이 파일 시스템은 NTFS이다. 이유는 파일 시스템의 이름이 그림에서 "NTFS"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인 "FAT", "FAT32", "HPFS"는 해당 그림에서 표시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하드디스크를 오래 사용하다보면 파일이 여러 곳에 산재하게 되는데 이런 파일들을 모아 디스크 액세스 속도를 향상시켜주는 시스템 도구는?

  1. 디스크 검사
  2. 디스크 조각 모음
  3. 디스크 에러 전송
  4. 디스크 공간 늘림
(정답률: 90%)
  • 디스크 조각 모음은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파일들이 여러 곳에 산재하게 되어 디스크 액세스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 도구입니다. 이 도구는 디스크에 저장된 파일들을 모아서 하나의 큰 파일로 만들어주고, 이를 연속된 공간에 저장함으로써 디스크 액세스 속도를 향상시켜줍니다. 따라서 디스크 조각 모음은 하드디스크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에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프로그램에서 요구되는 메모리의 양이 실제로 이용 가능한 메모리양을 초과할 때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식이 아닌 것은?

  1. 페이징(Paging)
  2. 할당(Allocation)
  3.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
  4. 페이징과 세그멘테이션의 혼용(Paging & Segmentation)
(정답률: 58%)
  • 할당(Allocation)은 메모리를 더 이상 할당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메모리를 해결할 수 있는 방식이 아닙니다. 페이징, 세그멘테이션, 페이징과 세그멘테이션의 혼용은 모두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할당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Windows XP에서 제어판의 키보드 등록정보에 대한 내용 중 잘못된 것은?

  1. 키 재입력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2. 키 반복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3. 커서 깜빡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4. 커서의 모양을 바꿀 수 있다.
(정답률: 76%)
  • 정답은 "커서의 모양을 바꿀 수 있다." 이다. Windows XP의 제어판에서는 키보드 등록정보를 통해 키 재입력 시간, 키 반복 속도, 커서 깜빡임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지만, 커서의 모양을 바꿀 수 있는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커서의 모양을 바꾸려면 마우스 설정을 변경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Windows XP의 프린터 스풀(Spool)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Simultaneous Peripheral Operation Online의 약자이다.
  2. 중앙처리장치와 프린터 사이의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위한 것으로 프린터로 출력할 데이터를 모아두어 연속적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3. 스풀 기능을 사용하면 같은 작업그룹 내에서 프린터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없다.
  4. 설정한 프린터 아이콘에서 등록 정보를 선택하여 세부 사항의 지정이 가능하다.
(정답률: 77%)
  • "스풀 기능을 사용하면 같은 작업그룹 내에서 프린터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없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스풀 기능은 같은 작업그룹 내에서 프린터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Windows XP에서 다음 (a)와 (b)에 적당한 용어는?

  1. a - 파일, b - 폴더
  2. a - 파일, b - 프로그램
  3. a - 폴더, b - 파일
  4. a - 폴더, b - 프로그램
(정답률: 92%)
  • (a)는 하나의 문서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위인 파일을 의미하고, (b)는 파일이나 다른 폴더를 포함하는 디렉토리 구조를 가진 폴더를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a - 파일, b - 폴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이러스/악성코드는?

  1. 트로이 목마
  2. 스파이웨어
  3. 하이재커
  4. 패킷 스나이퍼
(정답률: 55%)
  • 이 그림은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들을 모니터링하고,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스파이웨어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특정한 기능을 가진 악성코드들이지만, 이 그림에서는 프로그램 모니터링과 개인정보 수집이 주요 기능으로 나타나므로 스파이웨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PC주변기기

31. 전원공급이 없어도 내용이 보존되고 고쳐 쓰기가 가능하며, 소형화가 쉬워서 휴대용 기기의 저장 매체로 활용되는 메모리는?

  1. DRAM
  2. Flash Memory
  3. SRAM
  4. SDRAM
(정답률: 73%)
  • Flash Memory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고, 고쳐 쓰기가 가능하며, 소형화가 쉬워서 휴대용 기기의 저장 매체로 적합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DRAM, SRAM, SDRAM은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데이터가 손실되기 때문에 Flash Memory와는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컴퓨터의 내부와 외부사이에 데이터를 교환하려면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다음 중 PC에서 사용하는 BUS 인터페이스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2.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3. PCI-X(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tended)
  4. AGP(Accelerated Graphics Port)
(정답률: 58%)
  •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은 인터페이스가 아니라 전자기파 잡음 현상을 의미한다.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BUS 인터페이스 종류는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X(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tended)", "AGP(Accelerated Graphics Port)" 이다.

    EMI는 전자기파가 발생하여 다른 전자기기나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전자기파가 발생하는 기기나 시스템에서 발생하며, 전자기파를 방출하는 기기와 전자기파를 수신하는 기기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EMI는 전자기기나 시스템의 성능 저하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자기파 차폐재를 사용하거나 전자기파 방출을 줄이는 기술을 적용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고용량의 HDD를 제작하기 위한 기술 중에 자장의 척력(밀어내는 힘)을 이용하여 근접한 트랙을 동시에 읽어내는 것은?

  1. MR(Magneto Resistive)
  2. RLL(Run-Length Limited)
  3. MF(Meta Finder)
  4. LBA(Logical Block Addressing)
(정답률: 62%)
  • MR(Magneto Resistive) 기술은 자기 디스크의 표면에 있는 자기적인 정보를 읽어내는데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자장의 척력을 이용하여 근접한 트랙을 동시에 읽어내는 것이 가능합니다. MR 헤드는 일반적인 헤드보다 더 민감하게 자기적인 정보를 읽어낼 수 있어서 고밀도의 자료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용량의 HDD를 제작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일반적인 모니터의 구분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화면 표시 방법에 따라 CRT 방식과 액정방식으로 나눈다.
  2. 영상신호 입력방식에 따라 PCI 방식과 AGP 방식으로 나눈다.
  3. 주사방식에 따라 비월주사 방식과 순차주사 방식으로 구분한다.
  4. 화면의 크기는 대각선 길이에 따라 인치로 구분한다.
(정답률: 44%)
  • 일반적인 모니터의 구분 방법은 화면 표시 방법, 주사방식, 화면의 크기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 영상신호 입력방식에 따라 PCI 방식과 AGP 방식으로 나누는 것은 일반적인 모니터의 구분 방법이 아닙니다. PCI와 AGP는 그래픽 카드의 인터페이스 방식을 나타내는 용어이기 때문입니다. 모니터는 이러한 그래픽 카드의 인터페이스 방식과는 무관하게 동작합니다. 따라서 영상신호 입력방식에 따라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화면 표시 방법, 주사방식, 화면의 크기 등으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인 모니터의 구분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PC 주변기기 중에서 영상처리와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1. 광출력 브라켓
  2. TV 수신 카드
  3. 이미지 그래버 보드
  4. 비디오 오버레이 보드
(정답률: 73%)
  • 광출력 브라켓은 영상처리와는 관련이 없는 주변기기입니다. 광출력 브라켓은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로, 주로 광케이블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나 모니터에 신호를 전달합니다. 따라서 영상처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물리적인 하나의 하드디스크를 용량에 따라 여러 개의 논리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 분할하는 것은?

  1. 스핀들 (Spindle)
  2. 로우레벨 포맷(Low-level Format)
  3. 파티션(Partition)
  4. 하드디스크 인터리브(Interleave)
(정답률: 100%)
  • 하나의 물리적인 하드디스크를 용량에 따라 여러 개의 논리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 분할하는 것을 파티션(Partition)이라고 합니다. 이는 하나의 하드디스크를 여러 개의 드라이브로 나누어서 각각의 드라이브를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각각의 파티션은 서로 다른 파일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나 데이터의 보호를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CPU 기능 중 하나인 제어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프로그램 계수기
  2. 명령 레지스터
  3. 명령 해독기
  4. 보수기
(정답률: 77%)
  • 보수기는 CPU의 제어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니며, 주로 산술 연산을 수행하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프로그램 계수기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위치를 저장하고, 명령 레지스터는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를 저장하며, 명령 해독기는 명령어를 해석하여 실행할 수 있는 신호를 생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전원공급기에서 직류 출력전압이 안정되면 ‘H’상태로 되고, 정상치 이하로 떨어지면 ‘L’상태로 되는 단자는?

  1. +12 Volt
  2. -12 Volt
  3. Power Good
  4. +5 Volt
(정답률: 29%)
  • 답은 "Power Good"입니다.

    전원공급기에서는 여러 가지 전압이 생성되는데, 이 중에서도 중요한 것이 +5V, +12V 등의 전압입니다. 이러한 전압이 안정적으로 공급되어야 컴퓨터나 기타 전자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원공급기에서는 전압이 안정적으로 공급되기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이를 확인하기 위한 신호가 필요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것이 Power Good 신호입니다.

    Power Good 신호는 전압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는지를 확인하는 신호로, 전압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면 H(high) 상태가 되고, 정상치 이하로 떨어지면 L(low) 상태가 됩니다.

    따라서 Power Good 신호는 전자기기가 안정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신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다른 세 가지와 달리 수치가 클수록 성능이 낮아지는 것은?

  1. CPU 성능(Mhz)
  2. RAM의 Access 속도(ns)
  3. CD-ROM 성능(배속)
  4. LAN 연결속도(bps)
(정답률: 78%)
  • RAM의 Access 속도가 클수록 성능이 낮아지는 이유는 RAM이 느리면 CPU가 데이터를 불러오기 위해 기다려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RAM의 Access 속도가 빠를수록 CPU가 데이터를 빠르게 불러올 수 있어 성능이 좋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메인보드를 형태에 따라 구분한 것이 아닌 것은?

  1. AT
  2. ATX
  3. BTX
  4. LTX
(정답률: 75%)
  • "AT", "ATX", "BTX"는 모두 메인보드의 형태에 따라 구분된 것이지만, "LTX"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메인보드 형태이기 때문에 다른 세 가지와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컴퓨터에 일정한 전압을 유지시켜주기 위해 설치하는 장비는?

  1. AVR(Automatic Voltage Regulator)
  2. SRM(Storage Resource Management)
  3.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4. AUI(Attachment Unit Interface)
(정답률: 87%)
  • AVR은 자동 전압 조절기로, 전압의 변동을 감지하여 일정한 전압을 유지시켜주는 장비입니다. 따라서 컴퓨터 등 전기 제품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설치됩니다. SRM은 저장소 자원 관리, ASP는 응용 프로그램 서비스 제공자, AUI는 첨부 단위 인터페이스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바이오스(BIOS)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Dvorak
  2. AMI
  3. Award
  4. Phoenix
(정답률: 60%)
  • "Dvorak"은 키보드 레이아웃의 하나이며, BIOS의 종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BIOS는 컴퓨터의 기본 입력 및 출력 시스템으로, 컴퓨터의 부팅 및 하드웨어 구성을 관리합니다. AMI, Award, Phoenix은 BIOS 제조사의 이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모니터 관련 용어와 그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해상도 : 모니터 표시영역에 몇 개의 점들로 구성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척도
  2. 도트 피치 : 모니터에서 점과 점사이의 거리로, 이 값이 클수록 화면의 선명도가 높음
  3. 재생률 : 모니터 화면에 나타나는 그래픽 영상이 1초 동안 다시 그려지는 횟수
  4. Flicker-Free : 70Hz가 넘는 재생률을 가져서 깜박임이 없는 화면 상태
(정답률: 75%)
  • 정답은 "도트 피치 : 모니터에서 점과 점사이의 거리로, 이 값이 클수록 화면의 선명도가 높음" 이다. 도트 피치는 점과 점사이의 거리가 작을수록 화면의 선명도가 높아지는데, 문장에서는 그 반대로 설명되어 있다. 도트 피치가 작을수록 화면의 선명도가 높아지는 것이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마우스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마우스의 종류는 광마우스, 볼마우스 등이 있다.
  2. USB 마우스와 USB 키보드는 동시에 USB 커넥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3. 메인보드의 PS/2 포트는 키보드와 마우스 포트의 구분 없이 어느 곳에 연결해도 사용이 가능하다.
  4. 시리얼 마우스나 PS/2 마우스를 사용하면 마우스 하나가 한 개의 IRQ를 사용한다.
(정답률: 71%)
  • 정답은 "메인보드의 PS/2 포트는 키보드와 마우스 포트의 구분 없이 어느 곳에 연결해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다. 이는 잘못된 설명이다. PS/2 포트는 키보드와 마우스를 구분하여 사용해야 한다. PS/2 포트에 마우스를 연결하려면 마우스 아이콘이 그려진 포트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평면 입력 장치로서 2차원 평면상에 펜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좌표를 입력하는 장치는?

  1. 태블릿
  2. 플래시 메모리
  3. CCD
  4. LCD
(정답률: 72%)
  • 태블릿은 펜을 사용하여 2차원 평면상에 그림을 그리거나 글을 쓸 수 있는 입력 장치입니다. 펜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좌표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평면 입력 장치로서 적합합니다. 플래시 메모리, CCD, LCD는 모두 다른 종류의 기술이며, 평면 입력 장치로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PC네트워크

46. LAN 구간에서 현재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확인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ipconfig 명령어를 사용해 확인한다.
  2. ping 명령어를 사용해 확인한다.
  3. 실행메뉴에서 “\\서버이름” 으로 검색한다.
  4.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버를 검색한다.
(정답률: 64%)
  • 잘못된 것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버를 검색한다."입니다. 이는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되지 않았으며, 일반적으로는 사용되지 않는 방법입니다.

    ipconfig 명령어는 현재 컴퓨터의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등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LAN 구간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확인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Router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패킷 전달을 위해 최적의 경로를 결정한다.
  2. OSI 7 Layer 중에 전송계층에 대응된다.
  3. 네트워크상의 패킷을 전달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4. 통신 흐름을 제어하며 통신망 내부에 여러 보조 통신망을 구성하는 등의 다양한 통신망 관리기능을 수행한다.
(정답률: 52%)
  • 정답은 "OSI 7 Layer 중에 전송계층에 대응된다."가 아니다. Router는 OSI 7 Layer 중에 네트워크 계층에 대응된다. Router는 패킷 전달을 위해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고 네트워크상의 패킷을 전달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며, 통신 흐름을 제어하고 통신망 내부에 여러 보조 통신망을 구성하는 등의 다양한 통신망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TCP/IP를 설정할 때 DNS 서버를 설정하게 된다. DNS 서버를 지정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1. 통신 메시지를 처음으로 전달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지정하기 위해
  2. 숫자로 구성된 IP 주소 대신 문자로 구성된 인터넷 주소를 사용하기 위해
  3. 외부의 불법 침입에 대비하여 내부 자료를 보호하기 위해
  4. Windows를 사용하는 네크워크에서 이름으로 컴퓨터를 확인/검색하기 위해
(정답률: 67%)
  • DNS 서버를 지정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숫자로 구성된 IP 주소 대신 문자로 구성된 인터넷 주소를 사용하기 위해서입니다. DNS 서버는 도메인 이름을 해당하는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우리는 www.google.com과 같은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근거리통신망 내의 컴퓨터들이 상호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인 NetBIOS의 새로운 확장판으로 단일 LAN내에서의 통신에 있어 좋은 성능을 보이는 프로토콜은?

  1. NetBEUI
  2. IPX/SPX
  3. SLIP
  4. TCP/IP
(정답률: 54%)
  • NetBEUI는 NetBIOS의 확장판으로, 단일 LAN 내에서의 통신에 최적화되어 있어서 빠른 속도와 안정성을 보입니다. 또한, TCP/IP와는 달리 별도의 설정이 필요하지 않아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근거리통신망 내의 컴퓨터들이 상호 통신할 때 NetBEUI가 좋은 성능을 보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웹 브라우저, 웹 서버 간에 데이터를 안전하게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서 웹 제품 뿐 아니라 FTP나 텔넷 등 다른 TCP/IP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는 보안기술은?

  1. SET(Secure Electronic Transaction)
  2. SSL(Secure Sockets Layer)
  3. S/MIME(Secure 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4. PGP(Pretty Good Privacy)
(정답률: 60%)
  • SSL은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안전하게 전송하는 보안 프로토콜입니다. 이를 통해 제3자가 중간에서 데이터를 가로채어 엿볼 수 없도록 보호합니다. SSL은 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웹 사이트의 보안을 강화하며, 인터넷 결제 등 민감한 정보를 처리하는 웹 사이트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SSL은 TCP/IP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보안 기술로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