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정비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10-21)

PC정비사 2급
(2012-10-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PC유지보수

1. WIndows XP에서 제어판의 구성 항목으로 잘못된 것은?

  1. 조각모음
  2. 네트워크 연결
  3. 프린터 및 팩스
  4. 게임 컨트롤러
(정답률: 82%)
  • 조각모음은 Windows Vista 이후 버전에서 추가된 기능이므로 Windows XP에서는 제어판의 구성 항목으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조각모음이 잘못된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Windows XP 탐색기에서는 표시되지 않지만, 공유 창을 통해서만 확인이 되는 특수 공유 폴더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drive letter$ - 관리자가 드라이브의 루트 디렉토리에 연결할수 있게 한다.
  2. ADMIN$ - 자원의 경로는 항상 "C:\"를 가리킨다.
  3. IPC$ - 컴퓨터를 원격지에서 접근할 때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공유자원을 확인한다.
  4. PRINT$ - 프린터 공유를 위해 사용된다.
(정답률: 78%)
  • 정답은 "ADMIN$ - 자원의 경로는 항상 "C:\"를 가리킨다."가 잘못된 것이다.

    ADMIN$는 관리자가 원격으로 컴퓨터에 접속하여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특수 공유 폴더이다. 이 폴더는 시스템 폴더이며, 자원의 경로는 항상 해당 컴퓨터의 시스템 드라이브를 가리킨다. 따라서 C:WINDOWSSYSTEM32 폴더에 위치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Windows 에서 ping 명령어 옵션 중 사용자가 중단 시킬 때까지 지정된 호스트를 확인하는 옵션은?

  1. -t
  2. -a
  3. -f
  4. -nCount
(정답률: 80%)
  • "-t" 옵션은 ping 명령어를 실행한 후 사용자가 중단 시킬 때까지 지정된 호스트를 계속해서 확인하는 옵션이다. 즉, 무한정으로 호스트를 확인하며, 사용자가 중단할 때까지 결과를 출력한다. 따라서 이 옵션은 호스트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a" 옵션은 IP 주소를 호스트 이름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옵션이며, "-f" 옵션은 ICMP 패킷의 "Don't Fragment" 플래그를 설정하는 옵션이다. "-nCount" 옵션은 지정된 횟수만큼 호스트를 확인하는 옵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PC용 운영체제의 발전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 중 순서가 올바른 것은?

  1. Windows98→Windows XP→Windows Vista→Windows 7
  2. Windows XP→Windows ME→Windows 98→DOS
  3. DOS→Windows XP→Windows 3.0→Windows 98
  4. Windows 98→Windows ME→Windows 7→Windows Vista
(정답률: 92%)
  • 정답은 "Windows98→Windows XP→Windows Vista→Windows 7"이다.

    Windows 98은 1998년에 출시되었고, 이후 Windows XP가 2001년에 출시되어 Windows 98의 대체제가 되었다. 그리고 Windows Vista는 2006년에 출시되어 Windows XP의 대체제가 되었고, 마지막으로 Windows 7은 2009년에 출시되어 Windows Vista의 대체제가 되었다. 이렇게 PC용 운영체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술적인 발전과 함께 새로운 버전이 출시되어 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프롬프트 모드의 FTP 프로그램으로 사용하여 파일을 업로드 할 때와 다운로드할 때 사용하는 FTP 명령어로 올바른 것은?

  1. up - down
  2. put - get
  3. upload - download
  4. save - send
(정답률: 78%)
  • FTP 프로그램에서 파일을 업로드할 때는 "put" 명령어를 사용하고, 파일을 다운로드할 때는 "get"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put - get" 입니다. "up - down", "upload - download", "save - send" 모두 FTP 명령어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Windows XP에서 ‘.lnk’ 확장자를 갖는 파일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연결 정보를 가지고 있어, 파일을 삭제하면 연결된 원본 프로그램이 제거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2. 단축 아이콘과 관계가 있다.
  3. 시스템에 여러 개 존재할 수 있다.
  4. 연결 대상 파일의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다.
(정답률: 79%)
  • 잘못된 것은 "시스템에 여러 개 존재할 수 있다." 이다.

    .lnk 확장자를 갖는 파일은 바로가기 파일(Shortcut file)로, 원본 파일이나 폴더에 대한 연결 정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파일을 삭제하면 연결된 원본 프로그램이 제거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바로가기 파일은 단축 아이콘과 관계가 있으며, 연결 대상 파일의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하드디스크의 포맷작업이 완료된 후 실제 쓸 수 있는 용량은 하드디스크에 표기된 것보다 적다. 그 이유로 올바른 것은?

  1. 하드디스크에 오류가 있어 쓸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든 것이다.
  2. 하드디스크 포맷에 필요한 기본 용량 때문이다.
  3. 하드디스크 전체 용량의 10%는 파티션 테이블을 위한 공간이기 때문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다.
  4. 하드디스크 제조업체에서는 1KB를 1000Byte로 계산하지만 실제로는 1024Byte로 계산된다.
(정답률: 85%)
  • 하드디스크 제조업체에서는 1KB를 1000Byte로 계산하지만 실제로는 1024Byte로 계산되기 때문이다. 이는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이진법 계산 방식 때문에 발생하는데, 1KB는 2의 10승인 1024Byte를 의미한다. 따라서 하드디스크에 표기된 용량은 실제 용량보다 약간 작게 나타나게 된다. 예를 들어, 1TB(테라바이트)의 하드디스크는 실제로는 931GB(기가바이트) 정도의 용량을 가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Windows XP의 사용자 등록에 관련된 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사용자 등록은 제어판 → 사용자계정을 실행한다.
  2. 새 계정 만들기를 클릭하고, 새로운 사용자 이름을 입력한다.
  3. 제한된 계정은 폴더 및 파일의 생성, 삭제를 제한받을 수 있다.
  4. 사용자 계정에 등록되면 모든 권한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83%)
  • "사용자 계정에 등록되면 모든 권한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사용자 계정에 따라 권한이 제한될 수 있으며, 관리자 계정이 아닌 경우 일부 작업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시스템 설정을 변경하는 작업은 관리자 권한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Windows XP에서 사용자 운영체제의 오류보고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Windows XP 서비스 팩 2 이후 Windows XP의 오류는 Windows XP의 보안센터에서 관리하므로 오류보고를 사용할 수 없다.
  2. [제어판] - [시스템] - [고급] 에서 오류보고를 클릭하여 내용을 설정한다.
  3. 운영체제 오류가 파란 화면으로 나타나면 컴퓨터 작업이 중지된다.
  4. Windows의 시스템 정보 파일에 오류가 발생하면 오류보고가 나타난다.
(정답률: 77%)
  • "Windows XP 서비스 팩 2 이후 Windows XP의 오류는 Windows XP의 보안센터에서 관리하므로 오류보고를 사용할 수 없다." 이 설명은 잘못된 것입니다. Windows XP 서비스 팩 2 이후에도 Windows XP에서는 오류보고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지, 보안센터에서 관리되는 오류보고 기능이 추가되었을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Windows XP에서 '웹서버와 HTTP 프로토콜을 통신하여 사용자가 요구한 홈페이지에 접근하여 웹 문서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웹 브라우저
  2. 이더넷 통신
  3. FTP
  4. TELNET
(정답률: 82%)
  • 웹 브라우저는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웹 서버와 통신하여 사용자가 요구한 홈페이지에 접근하여 웹 문서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이더넷 통신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기술,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 TELNET은 원격 접속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Windows XP에서 윈도우 시작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관리 할 수 있는 명령어는?

  1. msinfo32
  2. msconfig
  3. tsshutdn
  4. convert
(정답률: 87%)
  • "msconfig" 명령어는 Windows XP에서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를 실행하여 윈도우 시작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관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서 부팅 속도를 높이거나 시스템 성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Windows XP에서 공유 프린터를 만들 때마다 시스템이 드라이버를 공유하는 곳은?

  1. ADMIN$
  2. C$
  3. REPL$
  4. PRINT$
(정답률: 85%)
  • "PRINT$"는 Windows XP에서 공유 프린터를 만들 때 사용되는 특수 공유 이름입니다. 이 이름은 시스템이 프린터 드라이버 파일을 공유하는 곳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PRINT$"가 정답입니다. "ADMIN$", "C$", "REPL$"는 각각 시스템 관리, C 드라이브 및 파일 복제 서비스를 위한 특수 공유 이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바탕화면의 휴지통을 이용하여 파일을 복원할 수 있는 경우는?(단, 휴지통 비우기는 사용하지 않았으며, 지워진 파일이 들어갈 만큼 휴지통 크기는 넉넉하다고 가정한다.)

  1. USB메모리 상의 파일을 삭제한 경우
  2. 네트워크 드라이브상의 파일을 삭제한 경우
  3. 같은 디렉터리의 동일한 이름을 가진 파일을 두 번 이상 삭제 한 후, 처음 삭제한 파일을 복원할 경우
  4. 같은 이름의 파일을 복사/이동 작업으로 덮어써서 지운 경우
(정답률: 73%)
  • 바탕화면의 휴지통은 삭제된 파일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곳이다. 따라서 같은 디렉터리의 동일한 이름을 가진 파일을 두 번 이상 삭제한 경우, 휴지통에는 최근에 삭제된 파일이 남아있게 된다. 이때 처음 삭제한 파일을 복원하면, 해당 파일이 휴지통에 아직 존재하기 때문에 복원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음성을 위한 압축 포맷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OGG
  2. AVI
  3. VQF
  4. MP3
(정답률: 86%)
  • AVI는 비디오 파일 포맷이며, 음성을 위한 압축 포맷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OGG, VQF, MP3은 모두 음성을 위한 압축 포맷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Windows XP가 설치된 시스템 부팅 시, 멀티 부팅 옵션 메뉴가 나타나게 하는 기능키는?

  1. [F4]
  2. [F5]
  3. [F8]
  4. [F10]
(정답률: 84%)
  • [F8]은 Windows XP 부팅 시에 고급 부팅 옵션 메뉴를 호출하는 기능키이다. 이 메뉴에서는 멀티 부팅 옵션뿐만 아니라, 시스템 복구, 안전 모드, 디버깅 모드 등 다양한 부팅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Windows XP를 멀티 부팅하고자 할 때 [F8]을 눌러 멀티 부팅 옵션 메뉴를 호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운영체제

16. JEDEC (Joint Electron Device Engineering Council)에서 제정한 RAM의 규격으로 잘못된 것은?

  1. ODD
  2. DDR3
  3. RD-RAM
  4. SDR
(정답률: 82%)
  • ODD는 JEDEC에서 제정한 RAM 규격이 아닙니다. ODD는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의 형식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CPU가 메모리에 데이터 요청 신호 후 전송될 때까지의 지연시간을 의미하는 것은?

  1. Seek Time
  2. Transmission Time
  3. Wait Time
  4. Access Time
(정답률: 76%)
  • CPU가 메모리에 데이터 요청을 보내고 해당 데이터를 받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Access Time이라고 한다. 따라서 Access Time이 정답이다. Seek Time은 하드디스크에서 특정 위치로 이동하는 시간, Transmission Time은 데이터가 전송되는 시간, Wait Time은 대기 시간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하드디스크를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플래터 - 실제 헤드에 의해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으로, 자화 물질이 코팅된 특수한 자기금속판이 사용된다.
  2. 실린더 - 플래터상의 동일한 반지름을 가지는 데이터영역으로 데이터의 최소저장 단위이다.
  3. 헤드 - 플래터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판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장치이다.
  4. 스핀들 모터 - 플래터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이다.
(정답률: 75%)
  • 잘못된 설명은 "실린더 - 플래터상의 동일한 반지름을 가지는 데이터영역으로 데이터의 최소저장 단위이다." 입니다. 실린더는 플래터 상의 같은 위치에 있는 트랙들을 모아서 하나의 그룹으로 묶은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실린더는 플래터상의 같은 반지름을 가지는 데이터 영역이 아니라, 여러 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영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듀얼 레이어와 더블 레이어가 적용된 블루레이 디스크의 최대 저장 용량은? (단 BDXL는 지원하지 않는다)

  1. 5GB
  2. 10GB
  3. 50GB
  4. 100GB
(정답률: 74%)
  • 듀얼 레이어와 더블 레이어는 블루레이 디스크의 층 수를 늘리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듀얼 레이어는 2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층은 25GB의 용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더블 레이어는 2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층은 50GB의 용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더블 레이어가 적용된 블루레이 디스크의 최대 저장 용량은 100GB이지만, BDXL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50GB가 최대 저장 용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일반 케이스에 있는 HDD LED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 확인할 수 있는 것은?

  1. HDD의 바이러스 체크 이상 여부 확인
  2. CMOS의 설정 오류 확인
  3. HDD의 연결 상태 확인
  4. USB의 오류 여부 확인
(정답률: 77%)
  • 일반 케이스에 있는 HDD LED는 하드디스크의 활동 상태를 나타내는 LED이므로, HDD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LED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마우스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방향이동, 메뉴 등과 같은 예시된 명령을 선택 할 때 사용된다.
  2. 대부분의 마우스는 2버튼이나 3버튼 방식이다.
  3. 트랙 볼과 터치패드 방식은 주로 노트북 컴퓨터에서 사용된다.
  4. 볼 마우스는 볼의 움직임을 빛으로 감지하여 좌표를 움직이는 방식이다.
(정답률: 82%)
  • 볼 마우스는 볼의 움직임을 빛으로 감지하여 좌표를 움직이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디스플레이 카드에 사용되고 있는 버스 방식 중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가장 빠른 것은?

  1. ISA
  2. VESA LOCAL
  3. PCI-Express 2.0
  4. accelerated graphics port
(정답률: 87%)
  • PCI-Express 2.0은 다른 버스 방식에 비해 더 많은 데이터를 한 번에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전송 속도가 가장 빠릅니다. 이는 더 높은 대역폭을 제공하며, 그 결과로 더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또한, PCI-Express 2.0은 이전 버전인 PCI-Express 1.0에 비해 더 많은 전송 레인을 가지고 있어서 더 많은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CPU와 주기억 장치 또는 CPU와 주변장치 사이에서 데이터의 입, 출력시 발생되는 속도의 차이를 줄여주는 기억장치는?

  1. VRAM
  2. CACHE Memory
  3. PROM
  4. DRAM
(정답률: 84%)
  • CACHE Memory는 CPU와 주변장치 사이에서 데이터의 입, 출력시 발생되는 속도의 차이를 줄여주는 기억장치이다. 이는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두어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CACHE Memory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시스템의 각 프로세스들이 서로 필요로 하는 자원을 순환적으로 요청하고 있어 어느 프로세스도 진행을 할 수 없는 상태를 지칭하는 용어는?

  1. 시간분할(Time-Sharing)
  2. 분산처리(Distributed Processing)
  3. 교착상태(Deadlock)
  4. 아사상태(Starvation)
(정답률: 82%)
  • 교착상태는 시스템의 각 프로세스들이 서로 필요로 하는 자원을 순환적으로 요청하고 있어 어느 프로세스도 진행을 할 수 없는 상태를 지칭합니다. 이는 자원을 공유하는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 프로세스가 B 프로세스가 가지고 있는 자원을 요청하고, B 프로세스가 A 프로세스가 가지고 있는 자원을 요청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두 프로세스는 서로 자원을 얻지 못하고 기다리는 상태가 되어 무한정 기다리게 되는데, 이를 교착상태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PC의 각 부속품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레귤레이터는 PC의 전원 공급 장치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CPU에 맞는 전압으로 변환시킨다.
  2. 파이프라인 버스트(Pipelined Burst) SRAM은 일반 RAM보다 더욱 고속의 처리가 가능한 특수한 형태의 SRAM이다.
  3. 플래시 바이오스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업그레이드가 불가능한 바이오스이다.
  4. 펜티엄 프로세서는 CPU내에도 캐시메모리를 가지고 있다.
(정답률: 72%)
  • "플래시 바이오스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업그레이드가 불가능한 바이오스이다." 이 설명이 잘못된 것이다. 플래시 바이오스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이는 보안 패치나 새로운 기능 추가 등을 위해 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컴퓨터 시스템을 운영하는 도중에 발생되는 임의의 정전으로부터 예방할 수 있는 장비는?

  1. UPS
  2. MODEM
  3. AVR
  4. FEP
(정답률: 72%)
  • UPS는 Uninterruptible Power Supply의 약자로, 정전이나 전원 이상으로 인한 갑작스러운 전원 차단에 대비하여 전원 공급을 지속할 수 있는 장비이다. 따라서 컴퓨터 시스템을 운영하는 도중에 발생되는 임의의 정전으로부터 예방할 수 있는 장비로서, 중요한 데이터나 작업물을 보호하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정적램(SRAM)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플립플롭 방식의 메모리 셀을 가진 임의접근 기억장치이다.
  2. 동작속도가 매우 빨라 대용량 기억장치에 많이 사용된다.
  3. 전원이 공급되어도 주기적으로 충전해야 기억된 자료가 유지된다.
  4. 정적램은 동적램(DRAM) 보다 속도가 5배 정도 느리다.
(정답률: 61%)
  • 정적램(SRAM)은 플립플롭 방식의 메모리 셀을 가진 임의접근 기억장치이다. 이는 각 셀이 1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하며,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필요한 전력이 계속 공급되어야만 데이터가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원이 공급되어도 주기적으로 충전해야 기억된 자료가 유지된다. 정적램은 동적램(DRAM)보다 속도가 빠르며, 대용량 기억장치에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프린터에서 1 inch에 들어가는 점의 개수를 의미하며, 프린터의 인쇄 성능을 나타내는 것은?

  1. CPS
  2. PPM
  3. DPI
  4. LPM
(정답률: 80%)
  • DPI는 "dots per inch"의 약자로, 1인치에 들어가는 점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프린터의 인쇄 성능을 나타내는 것은 DPI입니다. 다른 보기인 CPS는 "characters per second", PPM은 "pages per minute", LPM은 "lines per minute"을 의미하며, 이들은 프린터의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노트북에 사용하는 규격인 PCMCIA에서 하드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한 규격은?

  1. TYPE 1
  2. TYPE 2
  3. TYPE 3
  4. 관계 없음
(정답률: 74%)
  • PCMCIA 규격 중 하드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한 규격은 TYPE 3입니다. 이는 TYPE 1과 TYPE 2가 메모리 카드와 모뎀 등의 장치에 사용되는 규격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하드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TYPE 3 규격을 지원하는 PCMCIA 슬롯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파워서플라이의 출력 DC 전압의 종류로 잘못된 것은?

  1. +3.3V
  2. +5V
  3. +10V
  4. +12V
(정답률: 76%)
  • 잘못된 것은 "+10V" 이다. 일반적으로 파워서플라이의 출력 DC 전압은 "+3.3V", "+5V", "+12V" 등이 있지만, "+10V"는 흔하지 않은 전압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PC주변기기

31. Award BIOS의 PnP/PCI Configuration 에서 설정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주변장치에 IRQ를 자동으로 부여할 것인지 수동으로 부여할 것인지 여부
  2. PnP 장치를 BIOS에서 관리할지, 운영체제에서 관리할지 여부
  3. USB 컨트롤러와 디스플레이 어댑터에 IRQ를 할당할 것인지 여부
  4. 가상(Virtual) 메모리 방식을 사용할 것인지 사용하지 않을 것인지 여부
(정답률: 61%)
  • 가상 메모리 방식은 운영체제에서 관리하는 기능이므로 BIOS에서 설정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니다. BIOS는 하드웨어와 관련된 설정을 담당하며, 가상 메모리는 소프트웨어적인 기능이기 때문에 BIOS에서 설정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PC 조립에서 각종 케이블과 메인보드 연결 시 주의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1. PC 케이스의 LED와 스피커 커넥터가 메인보드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PC가 부팅이 되지 않는다.
  2. 전원 스위치, 리셋 스위치는 커넥터에 반대로 연결해도 동작이 된다.
  3. 전원 케이블에는 여러 종류의 전압이 출력된다.
  4. 전원 LED와 HDD LED 신호 케이블은 극성이 있기 때문에 반대로 연결되면 램프가 작동하지 않는다.
(정답률: 54%)
  • "PC 케이스의 LED와 스피커 커넥터가 메인보드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PC가 부팅이 되지 않는다." 이것은 올바른 주장입니다. 이것은 전원 및 부팅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커넥터를 올바르게 연결해야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컴퓨터 전원을 켜면 컴퓨터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기 위한 POST(Power On Self Test)가 진행되면서 여러 가지 정보가 모니터에 나타난다. 다음 중 POST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보가 아닌 것은?

  1. CPU 동작 클럭
  2. 메모리의 용량
  3. BIOS 정보
  4. 운영 체제 버전
(정답률: 66%)
  • 운영 체제 버전은 POST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보가 아니다. 이는 컴퓨터 부팅 후 운영 체제가 로드되어야만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이기 때문이다. POST는 컴퓨터 하드웨어의 기본적인 동작을 점검하는 과정으로, CPU 동작 클럭, 메모리 용량, BIOS 정보 등과 같은 하드웨어 정보를 확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현재 사용 중인 컴퓨터의 RAM 용량을 확장하려고 한다. 다음 중 RAM 확장 시 주의할 점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DDR3-SDRAM의 경우 메인보드의 뱅크 번호가 높은 숫자부터 순서대로 RAM을 설치하여야 정상 동작이 가능하다.
  2. 동작 클럭이 다른 두 개의 RAM을 설치하여 사용해도 되나 실제 동작은 클럭이 낮은 RAM에 맞추어 동작된다.
  3. DDR2-SDRAM인 경우 홀수로 설치해도 정상작동된다.
  4. RAM은 꽂아 주기만 하면 인식이 자동으로 되어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정답률: 58%)
  • "DDR3-SDRAM의 경우 메인보드의 뱅크 번호가 높은 숫자부터 순서대로 RAM을 설치하여야 정상 동작이 가능하다." 이 설명이 잘못된 것이다. DDR3-SDRAM은 메인보드의 뱅크 번호와 상관없이 어떤 순서로든 RAM을 설치해도 정상 동작한다. 다만, 듀얼 채널 모드를 사용하려면 같은 용량과 동작 클럭의 RAM을 두 개씩 설치해야 하며, 이때는 메인보드 제조사의 권장하는 뱅크 번호 순서대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Windows XP의 복구 콘솔 명령어와 사용법에 대한 내용 중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fixmbr - 부팅 디스크의 마스터 부팅 레코드를 복구할 때 사용
  2. bootcfg - boot.ini 파일을 구성, 변경하는 명령어
  3. map -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서비스와 드라이버를 표시
  4. diskpart - 하드디스크 파티션 관리 명령어
(정답률: 68%)
  • 정답은 "map -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서비스와 드라이버를 표시" 이다.

    이유는 복구 콘솔에서 "map" 명령어는 사용 가능한 드라이브와 파티션을 표시하는 명령어이며, 서비스와 드라이버를 표시하는 명령어는 아니다. 따라서, "map" 명령어와 사용법에 대한 설명이 잘못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AWARD BIOS의 STANDARD CMOS SETUP 메뉴의 세부항목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Virus Warning - 하드디스크의 부트섹터를 보호하는 옵션이므로, 운영체제 설치 시에는 반드시 Enable로 설정하여 부트섹터를 수정 못하도록 설정한다.
  2. CPU Internal Cache - 이 옵션을 켜놓으면 시스템 속도가 떨어지므로 반드시 Disabled로 설정한다.
  3. Boot Up Floppy Seek - 부팅할 때 바이오스가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를 검색하게 하는 항목으로, 이 기능을 Disable로 설정하면 Floppy Disk 드라이브를 사용할 수 없다.
  4. Security Option - System을 선택하면 바이오스 셋업에 들어올 때와 부팅될 때 모두 암호를 물어본다.
(정답률: 54%)
  • Security Option - System을 선택하면 바이오스 셋업에 들어올 때와 부팅될 때 모두 암호를 물어본다. - 이 옵션을 선택하면 바이오스 셋업에 들어가거나 시스템을 부팅할 때마다 암호를 입력해야 하므로 보안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VDT(Visual Display Terminal) 증후군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컴퓨터 사용으로 인한 눈의 피로나 육체적 통증을 총칭한다.
  2. 부적절한 작업자세로 인해 목, 어깨, 팔 등의 통증이 유발된다.
  3. 시각 장애는 조명 불량, 화면의 반짝거림, 눈부심 등이 원인으로 되고 있다.
  4. 각종 전자제품에 대한 전자파 등의 규제를 마련한 법규를 말한다.
(정답률: 81%)
  • 각종 전자제품에 대한 전자파 등의 규제를 마련한 법규를 말한다. - VDT 증후군은 전자파 규제와는 관련이 없으며, 컴퓨터 사용으로 인한 눈의 피로나 육체적 통증을 총칭하며, 부적절한 작업자세로 인해 목, 어깨, 팔 등의 통증이 유발된다. 시각 장애는 조명 불량, 화면의 반짝거림, 눈부심 등이 원인으로 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Windows XP의 멀티부팅 정보를 담고 있는 boot.ini 파일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boot.ini 파일은 [boot loader]와 [operating systems]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2. /noguiboot 옵션을 사용하면 Windows가 시작될 때 Windows 로고 화면을 보여주지 않는다.
  3. boot.ini 파일을 편집해 멀티부팅 메뉴를 표시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4. /fastdetect 옵션을 사용하면 부팅 시 운영체제를 선택할 수 없다.
(정답률: 58%)
  • "/fastdetect 옵션을 사용하면 부팅 시 운영체제를 선택할 수 없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fastdetect 옵션은 하드웨어 검색을 빠르게 하기 위한 옵션이며, 부팅 시 운영체제 선택 메뉴를 표시하는 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이 옵션을 사용해도 여전히 멀티부팅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Windows XP에서 3D를 지원하는 게임이 실행되지 않을 경우 해결책으로 잘못된 것은?

  1. CPU 및 메모리 용량이 게임이 요구하는 최소 사양에 미달하는 경우 해당 부품을 업그레이드 한다.
  2. 그래픽 카드의 IRQ 번호를 다른 번호로 수정한다.
  3. DirectX가 게임에 맞는 올바른 버전으로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4.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가 제대로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정답률: 79%)
  • 그래픽 카드의 IRQ 번호를 다른 번호로 수정하는 것은 게임 실행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문제이기 때문에, 잘못된 해결책이다. IRQ 번호는 하드웨어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할당되는 것으로, 게임 실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올바른 해결책은 CPU 및 메모리 용량이 게임이 요구하는 최소 사양에 미달하는 경우 해당 부품을 업그레이드 하거나, DirectX가 게임에 맞는 올바른 버전으로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가 제대로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과도한 CPU 오버 클러킹을 함으로써 발생되는 문제가 아닌 것은?

  1. 시스템이 자주 다운된다.
  2. CPU에 과도한 발열이 생긴다.
  3. CPU에 설치된 팬이 오작동 한다.
  4. CPU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정답률: 79%)
  • CPU에 설치된 팬이 오작동하면 CPU의 성능에는 직접적인 영향이 없기 때문에, 과도한 CPU 오버 클러킹으로 인한 문제가 아닙니다. 다만, 팬이 오작동하면 CPU의 온도가 상승하여 과열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이미지 편집 작업을 주로 하는 시스템의 속도가 느려 업그레이드를 하려고 한다. 다음 부품 중 업그레이드를 했을 때 시스템 속도의 증가 효과가 적은 것은?

  1. CPU
  2. 모니터
  3. 그래픽 카드
  4. RAM
(정답률: 78%)
  • 모니터는 이미지 편집 작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업그레이드를 해도 시스템 속도의 증가 효과가 적다. CPU, 그래픽 카드, RAM은 이미지 편집 작업에 필수적인 부품이므로 업그레이드를 하면 시스템 속도의 증가 효과가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ATI의 크로스파이어(CrossFire)를 사용하기 위한 조건으로 잘못된 것은?

  1. 메인보드에는 라데온 익스프레스 X200 칩셋 이상이 장착되어야 한다.
  2. 동작 클럭만 일치하다면 AMD와 NVIDIA의 VGA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3. PCI-Express 기반이므로 구형 AGP기반 그래픽카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4. 크로스파이어 에디션 그래픽카드를 반드시 마스터로 설정하고, 표준 그래픽카드는 슬레이브로 설정해야 한다.
(정답률: 58%)
  • 정답은 "동작 클럭만 일치하다면 AMD와 NVIDIA의 VGA로도 구성이 가능하다."이다. 이는 잘못된 정보이다. ATI의 크로스파이어 기술은 AMD/ATI 그래픽카드만 호환되며, NVIDIA 그래픽카드와는 호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AMD/ATI 그래픽카드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니터의 휘도(밝기)를 나타내는 단위는?

  1. bps
  2. DPI
  3. MHz
  4. cd/㎡
(정답률: 68%)
  • LCD 모니터의 휘도는 측정 단위로 "cd/㎡"를 사용합니다. "cd"는 캔들라(英: candela)의 약자로, 광도의 단위입니다. "㎡"는 제곱미터를 뜻하며, 이는 측정 대상의 면적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cd/㎡"는 측정 대상의 면적당 광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즉, LCD 모니터의 휘도는 측정 대상의 면적당 광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Windows XP에서 특정 응용프로그램이 특정한DLL 파일을 찾을 수 없다며 실행되지 않는 경우,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해당 응용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해본다.
  2. 동일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다른 PC에서 문제가 되는 DLL 파일을 찾아 해당 폴더에 복사해 넣는다.
  3. 하드디스크의 이상으로 파일이 손실된 경우에 대비해 '디스크 검사' 등으로 하드디스크 점검을 해본다.
  4. Windows XP의 가상 메모리 크기를 늘려준다.
(정답률: 72%)
  • 정답은 "Windows XP의 가상 메모리 크기를 늘려준다." 이다.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필요한 DLL 파일이 메모리에 로드되어야 하는데, 메모리가 부족하면 DLL 파일이 로드되지 못하고 실행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가상 메모리 크기를 늘려주면 더 많은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DLL 파일을 로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방법이 문제 해결을 위한 올바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전자파에 관련된 인증 마크가 아닌 것은?

  1. EMC
  2. FCC
  3. CE
  4. KGMP
(정답률: 71%)
  • KGMP는 전자파 관련 인증 마크가 아닌, 대한민국 의약품 안전성 인증 마크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EMC는 전자파 적합성, FCC는 미국 연방 통신 위원회, CE는 유럽 연합에서 사용되는 전자파 관련 인증 마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PC네트워크

46. 여러 개의 포트와 세그먼트를 연결하여, 최대 네트워크 전송 속도를 각 포트에서 보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네트워크 장비는?

  1. Dummy Hub
  2. Switch Hub
  3. MAU
  4. Repeater
(정답률: 81%)
  • Switch Hub은 여러 개의 포트와 세그먼트를 연결하여, 각 포트에서 최대 네트워크 전송 속도를 보장할 수 있는 네트워크 장비입니다. Switch Hub은 데이터 패킷을 목적지 주소에 따라 전송하므로, 각 포트에서 동시에 전송이 가능하며 충돌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Switch Hub은 네트워크 전송 속도를 최적화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LAN에 사용되는 방식 중 전송속도가 가장 빠른 것은?

  1. 10BASE-2
  2. 10BASE-5
  3. FDDI
  4. 10BASE-T
(정답률: 64%)
  • FDDI는 광케이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다른 방식에 비해 전송속도가 빠릅니다. 또한 FDDI는 이중 링 구조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LAN에서 전송속도가 가장 빠른 것은 FDDI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전송 매체 종류에서 가격은 비싸지만 간섭, 감쇠 현상 등이 거의 없는 전송 매체는?

  1. UTP
  2. STP
  3. Fiber Optics
  4. Thick
(정답률: 70%)
  • Fiber Optics는 광섬유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전기 신호가 아닌 빛을 이용하므로 간섭, 감쇠 현상이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다른 전송 매체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인터넷(WWW)의 표준 프로토콜로 올바른 것은?

  1. Apple Talk
  2. NetBEUI
  3. TCP/IP
  4. RIP
(정답률: 83%)
  • TCP/IP는 인터넷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고 인터넷 상에서 컴퓨터들이 통신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따라서 인터넷(WWW)의 표준 프로토콜로 사용됩니다. Apple Talk은 애플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NetBEUI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RIP는 라우팅 프로토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암호화의 기법이 아닌 것은?

  1. DES(Data Encryption Standard)
  2. RSA(Rivest-Shamir-Adleman)
  3. IDEA(International Data Encryption Algorithm)
  4. PTP(Picture Transfer Protocol)
(정답률: 68%)
  • PTP(Picture Transfer Protocol)은 파일 전송 프로토콜로, 암호화 기법이 아닙니다. DES, RSA, IDEA는 모두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알고리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