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정비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4-28)

PC정비사 2급
(2013-04-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PC유지보수

1. 운영체제의 역할로 잘못된 것은?

  1. 폴더 생성 및 체계적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2. 파일관리와 하드디스크 관리를 도와준다.
  3. 각종 하드웨어를 진단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4. 각종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 환경과 그 소스코드를 제공한다.
(정답률: 84%)
  • 운영체제는 각종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 환경과 소스코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이는 개발 도구와 관련된 역할이며, 운영체제는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와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각종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 환경과 그 소스코드를 제공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두 개의 CPU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PC를 듀얼 시스템이라 부른다. 다음 항목에 제시된 운영체제 가운데 듀얼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는 운영체제는?

  1. Windows 7
  2. Windows 98
  3. UNIX
  4. Linux
(정답률: 83%)
  • 정답은 "Windows 98"이다. 이는 Windows 98이 멀티 프로세서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Windows 98은 단일 프로세서 시스템에서만 작동하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듀얼 시스템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 반면, Windows 7, UNIX, Linux는 멀티 프로세서를 지원하므로 듀얼 시스템에서 작동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Windows XP에서 복사하거나 잘라내기 한 내용이 임시 저장되는 영역으로 올바른 것은?

  1. 워드패드
  2. 클립보드
  3. 메모장
  4. 그림판
(정답률: 93%)
  • 복사 또는 잘라내기 한 내용은 클립보드에 임시 저장됩니다. 클립보드는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기능으로, 복사 또는 잘라내기 한 내용을 임시로 저장해두고 다른 곳에 붙여넣기 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복사 또는 잘라내기 한 내용이 임시로 저장되는 영역은 클립보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Windows XP에서 특정한 IP 주소에 대하여 IP 충돌이 일어날 경우, 어떤 컴퓨터와 문제가 있는지 알아볼 때 사용하는 명령어는?

  1. ping
  2. nbtstat
  3. tracert
  4. netstat
(정답률: 61%)
  • nbtstat은 NetBIOS over TCP/IP 상태 및 이름 정보를 표시하는 명령어입니다. IP 충돌이 일어날 경우, 해당 IP 주소를 사용하는 컴퓨터와의 NetBIOS 연결이 끊어질 수 있습니다. 이때 nbtstat 명령어를 사용하면 해당 IP 주소를 사용하는 컴퓨터의 NetBIOS 이름을 확인할 수 있어, 문제가 있는 컴퓨터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nbtsta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Windows XP에서 DirectX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DirectX를 통해 디스플레이와 오디오 카드의 기능에 액세스함으로써 현실감 넘치는 3차원 그래픽과 풍부한 음악 및 오디오 효과를 내는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2. DirectX는 Windows 프로그램에 고성능 하드웨어 가속 멀티미디어 지원을 제공하는 낮은 수준의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l) 집합이다.
  3. DirectX의 다이렉트 input은 조이스틱, 마우스등 게임에 필요한 보조장치를 제어하고, 다이렉트 플레이는 멀티 플레이, 모뎀 플레이등을 통일된 규격 상태로 즐길 수 있게 해준다.
  4. DirectX에는 2차원 도형을 지원하는 API는 포함되지 않는다.
(정답률: 82%)
  • 잘못된 설명은 "DirectX에는 2차원 도형을 지원하는 API는 포함되지 않는다." 입니다. DirectX에는 2D 그래픽을 지원하는 API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Direct2D API는 2D 그래픽을 렌더링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운영체제에서 하드웨어를 인식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은?

  1. 레지스트리
  2. 압축프로그램
  3. 드라이버
  4. 유틸리티
(정답률: 83%)
  • 운영체제는 하드웨어를 인식하고 제어하기 위해 드라이버라는 프로그램을 필요로 합니다. 드라이버는 하드웨어와 운영체제 간의 통신을 담당하며, 하드웨어의 기능을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따라서 드라이버는 운영체제와 하드웨어 간의 중요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Windows XP를 다시 설치하려고 한다. 설치 전 이전 시스템을 백업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아웃룩 익스프레스로 전자메일을 관리 중이라면 아웃룩 익스프레스의 메일과 주소록, 메일 계정 등을 백업한다.
  2.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즐겨찾기를 사용 중 이었다면, 즐겨찾기 폴더를 백업한다.
  3. Windows 전체적인 설정 및 특정 폴더를 백업하려면 "파일 및 설정 전송 마법사"를 이용한다.
  4. Windows의"Program Files" 폴더 전체를 백업하면 설치된 프로그램을 한 번에 복원할 수 있다.
(정답률: 75%)
  • 정답은 "Windows의 'Program Files' 폴더 전체를 백업하면 설치된 프로그램을 한 번에 복원할 수 있다."입니다. 이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폴더만 백업하더라도 해당 프로그램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프로그램을 복원하려면 해당 프로그램의 설치 파일이나 백업 파일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음성을 위한 압축 포맷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OGG
  2. AVI
  3. VQF
  4. MP3
(정답률: 87%)
  • AVI는 비디오 파일 포맷이며, 음성을 위한 압축 포맷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OGG, VQF, MP3은 모두 음성을 위한 압축 포맷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Windows XP의 제어판 메뉴에서 사용 가능한 기능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Windows 보안 센터] - 시스템의 암호 설정 가능
  2. [디스플레이] - 화면의 해상도 변경 가능
  3. [사용자 계정] - 사용자의 암호 설정 가능
  4. [프로그램 추가/제거] - 프로그램의 추가/삭제 가능
(정답률: 85%)
  • "[Windows 보안 센터] - 시스템의 암호 설정 가능"이 잘못된 설명인 이유는 Windows 보안 센터는 시스템 보안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며, 암호 설정 기능은 [사용자 계정] 메뉴에서 제공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Windows XP에서 공유 폴더 설정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최대 100명 까지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2. 공유된 폴더에 접근 할 수 있는 그룹 및 사용자를 지정 할 수 있다.
  3. 명령 프롬프트에서 'net share'명령으로 컴퓨터의 공유된 전체 폴더를 확인할 수 있다.
  4. 관리 목적으로 공유된 경우 사용 권한을 설정할 수 없다.
(정답률: 80%)
  • "최대 100명 까지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Windows XP에서는 공유 폴더에 대한 접근 제한이 없으며, 최대 접속 가능한 컴퓨터 수는 시스템 자원에 따라 달라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레지스트리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Windows는 구성 정보를 레지스트리라고 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2. 아스키(ASCII) 구조의 파일이다.
  3. Windows에 탑재된 레지스트리 편집기는 Regedit.exe이다.
  4.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사용하여 레지스트리를 검사하고 수정할 수 있다.
(정답률: 60%)
  • 잘못된 것은 "아스키(ASCII) 구조의 파일이다." 이다. 레지스트리는 이진(binary) 형식으로 저장된다.

    레지스트리 편집기는 Regedit.exe이며, 이를 사용하여 레지스트리를 검사하고 수정할 수 있다. 레지스트리는 Windows 운영체제에서 구성 정보를 저장하는 중요한 데이터베이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Windows XP에서 가상 메모리 설정 시 제공되는 정보가 아닌 것은?

  1. 드라이브[볼륨 레이블]
  2. 페이징 크기
  3. 선택된 드라이브의 페이징 파일 크기
  4. 선택된 드라이브의 세그먼트의 크기
(정답률: 71%)
  • 가상 메모리 설정 시 제공되는 정보 중 선택된 드라이브의 세그먼트의 크기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이는 가상 메모리 설정과는 관련이 없는 정보이며, 디스크 관리나 파일 시스템과 같은 다른 영역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선택된 드라이브의 세그먼트의 크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백신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진화하는 바이러스와 악성코드로부터 PC의 보호를 위해서는 주기적인 업데이트 관리가 필수적이다.
  2. 백신, 설치만으로 악성코드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
  3. 백신은 정상적인 파일을 악성코드로 오진할 수 있다.
  4. 백신도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다.
(정답률: 93%)
  • 백신은 설치만으로 악성코드로부터 해방될 수 없다. 백신은 악성코드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역할을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주기적인 업데이트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백신은 정상적인 파일을 악성코드로 오진할 수도 있으며, 자체적으로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Windows Update 사이트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모든 하드웨어 업체의 최신 드라이버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2. 인터넷 익스플로러 보안 업데이트 패치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3. Internet Explorer, DirectX, Windows Media Player 등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4. Windows XP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한다.
(정답률: 67%)
  • 정답: "모든 하드웨어 업체의 최신 드라이버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설명: Windows Update 사이트는 Microsoft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Windows 운영체제와 관련된 보안 업데이트, 패치, 최신 드라이버 등을 제공한다. 하지만 Windows Update 사이트에서는 모든 하드웨어 업체의 최신 드라이버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Windows Update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드라이버는 일부 하드웨어 업체의 제품에 대해서만 지원하며, 모든 하드웨어 업체의 최신 드라이버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모든 하드웨어 업체의 최신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려면 해당 하드웨어 업체의 공식 웹사이트나 드라이버 다운로드 사이트를 방문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CD-ROM 드라이브에 CD를 넣으면 자동으로 실행이 된다. 자동실행이 되지 않게 하려면?

  1. CTRL Key를 누른다.
  2. SHIFT Key를 누른다.
  3. ALT Key를 누른다.
  4. Windows Key를 누른다.
(정답률: 77%)
  • CD-ROM 드라이브에 CD를 넣으면 자동실행이 되는 것은 CD에 Autorun.inf 파일이 있기 때문이다. SHIFT Key를 누르면 CD를 삽입할 때 Autorun.inf 파일을 무시하고 자동실행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키들은 CD-ROM 드라이브의 동작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운영체제

16. Random Access 방식으로 데이터를 읽을 수 없는 기억장치로 잘못된 것은?

  1. DVD-ROM
  2. Hard Disk
  3. Digital Audio Tape
  4. Flash Memory
(정답률: 73%)
  • 정답은 "Digital Audio Tape"입니다. Digital Audio Tape(DAT)은 Random Access 방식으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기억장치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Flash ROM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데이터를 한 번만 기록할 수 있는 ROM이다.
  2. 자외선을 이용하여 자료를 삭제 한다.
  3. 자료의 삭제/기록이 제품장착 상태에서도 가능하다.
  4. 자료의 삭제/기록은 ROM Writer로만 가능하다.
(정답률: 64%)
  • Flash ROM은 데이터를 여러 번 기록할 수 있는 ROM이다. 이는 제품이 장착된 상태에서도 가능하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이다. EEPROM은 전기적으로 자료를 삭제하고 기록할 수 있는 ROM으로, 이를 이용하여 Flash ROM은 자료의 삭제/기록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HDD의 분당 회전수를 나타내는 단위는?

  1. RPM
  2. PPM
  3. BPS
  4. CPS
(정답률: 85%)
  • HDD의 분당 회전수를 나타내는 단위는 RPM이다. RPM은 "Revolutions Per Minute"의 약자로, 1분 동안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회전하는 횟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따라서 HDD의 속도와 성능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용량의 단위 중 잘못된 것은?

  1. 1Kbyte=10000Byte
  2. 1Khz=1000hz
  3. 1Byte=8Bit
  4. 1Mbyte=1024KByte
(정답률: 81%)
  • 정답: "1Kbyte=10000Byte" (잘못된 것)

    설명:
    - 1Kbyte = 1024Byte (2의 10승)
    - 1Khz = 1000hz (주파수 단위)
    - 1Byte = 8Bit (비트 단위)
    - 1Mbyte = 1024KByte (2의 20승)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광디스크에 사용되는 라이트스크라이브 (LightScribe)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레이저를 이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나 도안을 CD 또는 DVD 미디어 표면에 인쇄하는 기능이다.
  2. 광학저장장치가 라이트스크라이브를 지원해야만 사용할 수 있다.
  3. 라이트스크라이브가 지원되는 특수 코팅된 전용 공 CD 또는 DVD에만 사용할 수 있다.
  4. 한번 기록된 문자나 도안을 다시 지우고 입력할 수 있다.
(정답률: 78%)
  • "한번 기록된 문자나 도안을 다시 지우고 입력할 수 있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LightScribe 기술은 CD 또는 DVD 미디어 표면에 레이저를 이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나 도안을 인쇄하는 기능을 제공하지만, 이미 인쇄된 내용을 지우고 다시 입력하는 기능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Windows XP에서 사용 가능한 한글 자판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2벌식 자판
  2. 드보락 자판
  3. 3벌식 최종자판
  4. 3벌식 390 자판
(정답률: 74%)
  • Windows XP에서는 "드보락 자판"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정답은 "드보락 자판"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Windows XP에서 사용 가능한 한글 자판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입력장치 중 Mouse가 지원하는 인터페이스가 아닌 것은?

  1. Serial
  2. IDE
  3. USB
  4. PS/2
(정답률: 77%)
  • Mouse는 Serial, USB, PS/2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만, IDE 인터페이스는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장치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이므로 Mouse가 지원하는 인터페이스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해상도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해상도가 높을수록 이미지의 저장 용량이 작아진다.
  2. 해상도가 낮을수록 더 깨끗하고 정밀하다.
  3. 일반적으로 'DPI'라는 단위가 사용된다.
  4. 해상도가 높을수록 스캐닝 하는 시간이 짧아진다.
(정답률: 87%)
  • 해상도란 이미지나 화면의 세부정보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이를 측정하는 단위로 일반적으로 'DPI'라는 단위가 사용된다. 해상도가 높을수록 이미지의 저장 용량이 커지고, 해상도가 낮을수록 더 깨끗하고 정밀해진다는 것은 올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또한 해상도가 높을수록 스캐닝 하는 시간이 짧아진다는 것도 올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전원관리용 규격으로 운영체제가 직접 제어하도록 하는 기능은?

  1. ATAPI
  2. UPS
  3. ATX
  4. ACPI
(정답률: 66%)
  • ACPI는 Advanced Configuration and Power Interface의 약자로, 전원 관리와 관련된 기능을 운영체제가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규격이다. 따라서 운영체제는 ACPI를 통해 컴퓨터의 전원 관리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ATA/ATAPI는 하드디스크와 광학 드라이브의 인터페이스 규격, UPS는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ATX는 컴퓨터의 전원 공급 장치 규격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비디오카드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요소와 관계없는 것은?

  1. 칩셋
  2. 바이오스
  3. CRT 편향코일
(정답률: 80%)
  • CRT 편향코일은 비디오카드를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가 아니며, CRT 모니터에서 사용되는 부품입니다. 따라서 비디오카드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CPU 기능 중 하나인 제어장치의 구성요소로 잘못된 것은?

  1. 프로그램 계수기
  2. 명령 레지스터
  3. 명령 해독기
  4. 보수기
(정답률: 80%)
  • 보수기는 제어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니라 산술논리장치(ALU)의 구성요소입니다. 보수기는 덧셈 연산에서 자리올림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며, 제어장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보수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CPU의 성능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

  1. 시스템 버스 클록과 L2 캐시 용량
  2. L2 캐시와 CPU간 처리 속도
  3. 시스템 복구 여부
  4. 제조 공정
(정답률: 63%)
  • 시스템 복구 여부는 CPU의 성능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에 적절치 않은 기준이다. CPU의 성능을 판단하는 기준으로는 시스템 버스 클록과 L2 캐시 용량, L2 캐시와 CPU간 처리 속도, 제조 공정 등이 적절한 기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메인보드의 구성 요소 중 배터리의 역할은?

  1. CMOS에 전원을 공급한다.
  2. 칩셋에 전원을 공급한다.
  3. CPU에 전원을 공급한다.
  4. 슬롯에 전원을 공급한다.
(정답률: 68%)
  • 메인보드의 CMOS는 시스템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작은 메모리 칩입니다. 배터리는 메인보드가 꺼져 있을 때에도 CMOS에 전원을 공급하여 설정 정보를 유지합니다. 따라서 "배터리는 CMOS에 전원을 공급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5.1채널 스피커의 기본적인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서브 우퍼(Sub-woofer)
  2. 프런트 스피커(Front Speaker)
  3. 리어 스피커(Rear Speaker)
  4. 트위터(Tweeter)
(정답률: 89%)
  • 트위터는 5.1채널 스피커의 기본적인 구성요소 중 하나가 아니라, 고음을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요소이다. 5.1채널 스피커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는 서브 우퍼, 프런트 스피커, 리어 스피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종료(Termination) 설정이 필요 없는 장치는?

  1. 스카시 호스트 어댑터
  2.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성
  3. 스카시를 이용한 스캐너
  4. UTP 케이블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성
(정답률: 76%)
  • UTP 케이블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성은 전기적인 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종료 설정이 필요 없습니다. 반면, 스카시 호스트 어댑터와 스카시를 이용한 스캐너는 전기적인 신호를 사용하므로 종료 설정이 필요합니다.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성도 전기적인 신호를 사용하므로 종료 설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PC주변기기

31. PC 내부의 발열과 전원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일반적으로 Geforce 계열의 3D를 지원하는 비디오 카드는 예전 2D만 지원하는 비디오 카드보다 발열량이 매우 적다.
  2. 컴퓨터 케이스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는 파워 또는 케이스의 절연 장치가 불량한 경우이다.
  3. PC 본체에 연결된 휀(FAN)이 동작할 때 환기가 잘되도록 배기구에 장애물을 제거한다.
  4. CPU위에 장착된 쿨러에 이상이 있을 경우 PC의 동작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정답률: 84%)
  • 일반적으로 Geforce 계열의 3D를 지원하는 비디오 카드는 예전 2D만 지원하는 비디오 카드보다 발열량이 매우 적다는 설명이 잘못되었습니다. 실제로는 3D 그래픽 처리를 위해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하므로 발열량이 더 많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BIOS 설정을 할 때 설정 가능한 항목이 아닌 것은?

  1. Power LED와 HDD LED의 사용 여부
  2. 부팅 시 암호 사용 여부
  3. 시스템의 날짜 및 시간 설정
  4. Boot Device 순서 변경
(정답률: 76%)
  • "Power LED와 HDD LED의 사용 여부"는 BIOS 설정과는 관련이 없는 하드웨어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BIOS 설정에서는 설정할 수 없는 항목입니다. BIOS 설정은 주로 시스템의 동작 방식과 관련된 항목들을 설정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PnP(Plug & Play)를 완벽하게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로 잘못된 것은?

  1. 장치 스스로에 대한 정보 제공 기능
  2. Processor의 실행코드에 대한 계층적 권한 부여
  3. 주변기기와 시스템간의 호환성
  4. 운영체제의 Plug & Play 기능 지원
(정답률: 68%)
  • 정답은 "Processor의 실행코드에 대한 계층적 권한 부여"입니다. PnP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장치 스스로에 대한 정보 제공 기능, 주변기기와 시스템간의 호환성, 운영체제의 PnP 기능 지원이 필요하지만, Processor의 실행코드에 대한 계층적 권한 부여는 PnP를 지원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괄호 속에 적당한 용어는?

  1. 카그라스 증후군
  2. ADD 증후군
  3. VDT 증후군
  4. 리셋 증후군
(정답률: 89%)
  • 이미지에서 보이는 사람은 컴퓨터 앞에서 오랫동안 일을 하고 있어서 눈이 피로하고 머리가 아프고 몸이 피로한 상태입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VDT(Visual Display Terminal) 증후군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VDT 증후군은 컴퓨터나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일이 많은 사람들이 겪는 증상으로, 눈의 피로, 두통, 어깨와 목의 통증, 손목과 손의 통증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오류에 대한 해결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CMOS 설정의 하드디스크 설정 부분을 살펴본다.
  2. 하드디스크 케이블 연결상태를 확인한다.
  3. 하드디스크의 LED가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확인한다.
  4. Windows XP의 서비스팩을 3 이상으로 업데이트 한다.
(정답률: 66%)
  • CMOS 설정이나 하드디스크 케이블 연결상태, LED 연결상태 등은 하드웨어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지만, 이 경우는 "NTLDR is missing" 오류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이므로 Windows XP의 서비스팩을 3 이상으로 업데이트하여 오류를 해결해야 한다. 이는 Windows XP의 부팅과정에서 필요한 파일들을 업데이트하여 오류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Windows XP가 실행된 상태에서 [디스크관리] 기능을 이용하여 HDD의 분할 영역을 삭제 또는 분할 하려고 한다. 이때 분할영역을 변경할 수 없는 볼륨은?

  1. 쓰기 방지 탭이 붙어 있는 하드디스크 볼륨
  2. UDMA 기능을 지원하는 하드디스크 볼륨
  3. Windows가 설치된 하드디스크 볼륨
  4. 1TB 이하의 하드디스크 볼륨
(정답률: 74%)
  • Windows가 설치된 하드디스크 볼륨은 시스템 파일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분할이나 삭제가 불가능하다. 이는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Windows XP가 실행된 상태에서 디스크관리 기능을 이용하여 HDD의 분할 영역을 삭제 또는 분할하려고 할 때, Windows가 설치된 하드디스크 볼륨은 변경할 수 없는 볼륨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Ctrl] + [Alt] + [Del] 키를 누르면 작업관리자가 실행된다. 작업관리자에서 확인할 수 없는 것은?

  1. CPU 사용률
  2.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상태
  3. 실행중인 프로세스 이름
  4. 하드디스크 용량
(정답률: 86%)
  • 작업관리자는 현재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도구이다. 따라서 CPU 사용률,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상태, 실행중인 프로세스 이름과 같은 시스템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는 모두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하드디스크 용량은 시스템의 하드웨어적인 부분에 해당하며, 작업관리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에 대한 정보만 제공하기 때문에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하드디스크 용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하드디스크에 파일을 복사하는 도중 복사가 중단되면서 복사할 영역이 부족하다는 메시지가 출력될 경우 타당한 해결책으로 잘못된 것은?

  1. 휴지통 비우기를 실행한다.
  2. "바탕화면"에 있는 사용하지 않는 파일들을 "내 문서"폴더로 이동 시킨다.
  3. C:\Windows\Temp 디렉터리 밑의 임시 파일들 중 사용되지 않는 임시파일을 모두 지운다.
  4. Netscape 또는Internet Explore등의 웹 검색기들에 의해 유지되는 캐시 파일들을 모두 지운다.
(정답률: 82%)
  • 잘못된 것은 ""바탕화면"에 있는 사용하지 않는 파일들을 "내 문서"폴더로 이동 시킨다."입니다. 이는 복사할 영역이 부족한 문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해당 메시지가 출력된 경우, 해결책으로는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늘리거나, 복사할 파일을 압축하여 용량을 줄이는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또는 다른 파일을 삭제하여 용량을 확보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보기에서 제시된 해결책들은 모두 다른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입니다. 휴지통을 비우거나 임시 파일을 삭제하는 것은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고, 캐시 파일을 삭제하는 것은 인터넷 사용 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Windows에서 동영상을 재생할 때 소리가 나지 않는 원인으로 부적절한 것은?

  1. 동영상 파일이 손상되었다.
  2. 자막 파일이 손상되었다.
  3. 코덱(CODEC)이 맞지 않다.
  4. 코덱(CODEC)이 설치되지 않았다.
(정답률: 86%)
  • 자막 파일이 손상되었다는 것은 동영상 파일과 함께 제공되는 자막 파일이 올바르게 작동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동영상 파일은 정상적으로 재생되지만, 자막 파일이 손상되어 소리가 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막 파일을 다시 다운로드하거나 복구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시스템을 관리하는 요령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먼지와 습기의 염려가 적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설치한다.
  2. 번개가 치는 날에는 인터넷 모뎀에 연결된 LAN선을 빼두는 것이 좋다.
  3. 모니터 화면 부분은 깨끗한 물걸레로 잘 닦아 주어야 한다.
  4. 정기적으로 하드디스크의 오류를 검사해 준다.
(정답률: 89%)
  • "모니터 화면 부분은 깨끗한 물걸레로 잘 닦아 주어야 한다."는 시스템을 관리하는 요령이 아니라 일반적인 컴퓨터 유지보수 방법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법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엔비디아(NVIDIA)의 SLI(Scan Line Interacing)를 구성하려고 한다. 구성 시 주의할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1. SLI 모드를 구성하는 그래픽 카드는 코어, 램댁, 클럭이 같은 동일 칩셋을 사용하는 모델이어야 한다.
  2. 보급형 메인보드에서는 SLI 모드로 동작할 때는 PCI 익스프레스 16배속이 아닌 8배속 × 2개로 동작한다.
  3. SLI 모드로 사용하지 않고 한 개의 그래픽 카드만 사용할 경우 반드시 2번 슬롯에 그래픽 카드를 설치해야 한다.
  4. SLI 구성 메인보드는 반드시 24핀 전원 커넥터 규격의 ATX 2.0 파워서플라이를 사용해야 한다.
(정답률: 71%)
  • 정답은 "SLI 모드로 사용하지 않고 한 개의 그래픽 카드만 사용할 경우 반드시 2번 슬롯에 그래픽 카드를 설치해야 한다." 이다. 이유는 SLI 모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래픽 카드를 어느 슬롯에 설치해도 상관이 없기 때문이다. 다만, SLI 모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그래픽 카드를 1번 슬롯과 2번 슬롯에 각각 하나씩 설치해야 하며, 이때 1번 슬롯에 먼저 그래픽 카드를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주변기기에서 메모리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방식은?

  1. DMA
  2. PCI
  3. PIO
  4. SMART
(정답률: 83%)
  • DMA는 Direct Memory Access의 약자로, 주변기기에서 메모리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CPU의 개입 없이 주변기기가 메모리에 직접 접근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 속도가 빠르고 CPU의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DMA가 정답입니다. PCI는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의 약자로, 컴퓨터의 주변기기를 연결하는 표준 인터페이스입니다. PIO는 Programmed Input/Output의 약자로, CPU가 데이터 전송을 직접 수행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SMART는 Self-Monitoring, Analysis, and Reporting Technology의 약자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문제를 예측하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Windows 최적화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불필요한 시작프로그램을 정리하면 부팅시간이 빨라진다.
  2. 가상 메모리를 최적의 설정 값으로 설정하면 성능이 향상된다.
  3. 하드디스크의 캐시를 증가시키면 시스템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4. 시스템 가동 시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검색을 생략하면 부팅속도가 느려진다.
(정답률: 74%)
  • 시스템 가동 시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검색을 생략하면 부팅속도가 느려진다는 것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현재 대부분의 컴퓨터에서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가 없거나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검색을 생략해도 부팅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모니터 화면에 붉은색과 녹색이 구분되지 않는 경우 점검해야할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1. 모니터를 다른 모니터와 교체해 본다.
  2. 화면 해상도를 낮춘다.
  3. 그래픽 카드를 교체해 본다.
  4. 시그널 케이블을 교체해 본다.
(정답률: 71%)
  • 정답은 "화면 해상도를 낮춘다." 이다.

    화면 해상도가 높을 경우에는 화면에 표시되는 픽셀이 많아져서 세밀한 색상 차이를 구분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해상도를 낮추면 픽셀이 줄어들어 색상 차이를 더욱 선명하게 구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다른 모니터와 교체하거나 그래픽 카드, 시그널 케이블을 교체하는 것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BIOS 설정을 위한 암호를 잊어버렸을 경우, 암호를 초기화하거나 찾기 위한 적합한 해결 방법은?

  1. Windows Registry의 BIOS 항목을 수정한 후 컴퓨터를 다시 부팅한다..
  2. 메인보드의 전원을 차단한 후 다시 부팅한다.
  3. CMOS의 전원에 높은 전압을 가하여 BIOS 정보를 초기화 한다.
  4. CMOS 정보 삭제 점퍼를 찾아 점퍼를 꽂아 BIOS 정보를 초기화 한다.
(정답률: 64%)
  • BIOS 설정을 초기화하는 가장 간단하고 안전한 방법은 CMOS 정보 삭제 점퍼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는 메인보드에 있는 작은 점퍼를 꽂아 BIOS 정보를 초기화하는 것으로, BIOS 암호를 제거하고 다른 설정도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다른 방법들은 보다 복잡하거나 위험할 수 있으므로 권장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PC네트워크

46. 패킷 스위칭 방식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패킷 단위로 데이터 전송이 일어난다.
  2. 메시지를 일정 크기로 자른 것을 패킷이라 한다.
  3. Store-and-Forward 방식을 이용한다.
  4. 많은 양의 정보를 연속으로 보낼 때 유효한 방식이다.
(정답률: 62%)
  • 잘못된 것은 없다. 패킷 스위칭 방식은 메시지를 일정 크기로 자른 패킷 단위로 데이터 전송이 일어나며, Store-and-Forward 방식을 이용한다. 또한, 많은 양의 정보를 연속으로 보낼 때 유효한 방식이다. 이는 데이터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기 때문에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도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플랫폼이 다른 네트워크 사이에서도 자료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ISO에서 제안한 네트워크 구축 참조 모델로 올바른 것은?

  1. Network 7 Layer
  2. OSI 7 Layer
  3. Network Layer
  4. OS 7 Layer
(정답률: 85%)
  • ISO에서 제안한 네트워크 구축 참조 모델은 OSI 7 Layer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을 7개의 계층으로 나누어 관리하며, 각 계층은 서로 독립적이고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합니다. 이를 통해 다른 플랫폼 간의 자료 공유가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알맞게 연결한 것은?

  1. 더미 허브 - 사용자의 수에 따라 전송 속도가 증가한다.
  2. 스위칭 허브 - 사용자가 많아도 각각의 포트가 네트워크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3. 패스트 이더넷용 허브 - 전송 속도는 1Gbps이다.
  4. 이더넷용 허브 - 전송 속도는 100Mbps이다.
(정답률: 79%)
  • 스위칭 허브 - 사용자가 많아도 각각의 포트가 네트워크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유는 스위칭 허브는 패킷을 목적지로 바로 전송하기 때문에 충돌이 발생하지 않고 각각의 포트가 독립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많아져도 각각의 포트에서는 전송 속도가 유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인터넷에서 외부로부터 불법 침입을 막고 접근 통제를 주된 목적으로 설치되는 장비는?

  1. Firewall
  2. Proxy Server
  3. File Server
  4. Gateway
(정답률: 79%)
  • Firewall은 인터넷에서 외부로부터 불법 침입을 막고 접근 통제를 주된 목적으로 설치되는 장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파일 공유나 인터넷 접속을 위한 서버나 게이트웨이 등의 역할을 하지만, Firewall은 보안을 위한 목적으로 설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IPv6가 IPv4보다 개선된 점으로 잘못된 것은?

  1. 확장된 IP 주소 공간(Expanded Addressing)
  2. 규모 조정이 가능한 라우팅(Scalable Routing)
  3. 네트워크에서의 감사기능과 보안기법 제공
  4. 멀티캐스트 대신 브로드캐스트 사용
(정답률: 76%)
  • IPv6에서는 멀티캐스트 주소를 사용하여 특정 그룹에게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브로드캐스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는 네트워크 대역폭을 절약하고 보안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멀티캐스트 대신 브로드캐스트 사용"은 IPv6가 개선된 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