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정비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2-01)

PC정비사 2급
(2015-02-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PC유지보수

1. PC용 운영체제의 발전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 중 순서가 올바른 것은?

  1. Windows 98 -> Windows XP -> Windows Vista -> Windows7
  2. Windows XP -> Windows ME -> Windows98 -> DOS
  3. DOS -> Windows XP -> Windows3.0 -> Windows98
  4. Windows 98 -> Windows ME -> Windows Vista -> Windows 8.1
(정답률: 90%)
  • 정답은 "Windows 98 -> Windows XP -> Windows Vista -> Windows7"이다.

    Windows 98은 1998년에 출시되었고, 이후 2001년에 Windows XP가 출시되었습니다. 그리고 2006년에 Windows Vista가 출시되었으며, 이후 2009년에 Windows 7이 출시되었습니다. 이 순서대로 발전하였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순서가 올바르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Windows XP -> Windows ME -> Windows98 -> DOS"는 Windows XP가 Windows ME보다 먼저 출시되었기 때문에 순서가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Windows XP에서 장치 관리자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장치 관리자는 모든 하드웨어의 정보를 확인하며 하드웨어의 추가/제거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2. 장치 관리자의 정보는 표시하는 방법에 따라 장치 종류별 또는 연결별 구분 표시가 가능하다.
  3. 자원별 표시를 통해 각 장치가 사용하는 메모리 용량을 확인 할 수 있다.
  4. 장치가 사용하는 IRQ등의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정답률: 60%)
  • 정답은 "자원별 표시를 통해 각 장치가 사용하는 메모리 용량을 확인 할 수 있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장치 관리자에서는 메모리 용량을 확인할 수 없으며, 장치가 사용하는 IRQ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운영체제가 처리해야 할 긴급 상황 또는 돌발 상황을 통지하는 방법은?

  1. 시그널
  2. 인터럽트
  3. 세마포어
  4. 가상 메모리
(정답률: 87%)
  • 인터럽트는 운영체제가 처리해야 할 긴급 상황 또는 돌발 상황을 처리하기 위해 CPU에게 통지하는 방법입니다. CPU는 현재 실행 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운영체제가 처리해야 할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인터럽트는 운영체제가 실시간으로 처리해야 할 상황을 처리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Windows XP에서 하드웨어 장치의 드라이버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 한 후 해당 장치가 작동하지 않거나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이전 드라이버로 되돌리는데 사용하는 기능은?

  1. 자원 확인
  2. 드라이버 확인
  3. 드라이버 롤백
  4. 드라이버 업데이트
(정답률: 91%)
  • 드라이버 롤백은 이전에 사용하던 드라이버로 되돌리는 기능이다. 이전에 설치한 드라이버가 문제를 일으키거나 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때, 이전 버전의 드라이버로 롤백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Windows XP의 레지스트리와 관련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C:\WINDOWS\system32\config 폴더에 저장되어 있다.
  2. 레지스트리의 구성 데이터가 저장된 파일은 확장자가 없다.
  3. 총 6개의 루트 키를 가지고 있다.
  4. 유틸리티를 이용해 백업/복원이 가능하다.
(정답률: 71%)
  • "총 6개의 루트 키를 가지고 있다."가 잘못된 것이다. Windows XP의 레지스트리는 총 5개의 루트 키를 가지고 있다. 이는 HKEY_CLASSES_ROOT, HKEY_CURRENT_USER, HKEY_LOCAL_MACHINE, HKEY_USERS, HKEY_CURRENT_CONFIG이다.

    레지스트리는 Windows 운영체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데이터베이스로, 시스템 설정, 프로그램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저장한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C:WINDOWSsystem32config 폴더에 저장되어 있으며, 확장자가 없는 파일 형태로 저장된다. 유틸리티를 이용해 백업/복원이 가능하다는 것은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Windows XP 제어판에는 다양한 아이콘들이 있다. 이들 아이콘들 중에서 새로운 하드웨어를 추가할 경우에 드라이버를 찾아 수동으로 설치할 때 사용하는 기능이 포함된 것은?

  1. 시스템
  2. 프로그램 추가/제거
  3. 사운드 및 오디오 장치
  4. 사용자 계정
(정답률: 68%)
  • "시스템" 아이콘은 하드웨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며, 새로운 하드웨어를 추가할 때 드라이버를 수동으로 설치하는 기능도 제공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아이콘들은 각각 프로그램 추가/제거, 사운드 및 오디오 장치,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Windows XP에서 다음 ( a )와 ( b )에 들어갈 용어로 올바른 것은?

  1. a - 파일, b - 폴더
  2. a - 파일, b - 프로그램
  3. a - 폴더, b - 파일
  4. a - 폴더, b - 프로그램
(정답률: 89%)
  • 그림에서 첫 번째 아이콘은 파일을 나타내고, 두 번째 아이콘은 폴더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a)는 파일, (b)는 폴더입니다. 파일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고, 폴더는 파일을 구성하고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디렉토리입니다. 프로그램은 실행 가능한 파일이므로 (b)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PC 운영체제에서 수행하는 주된 기능이 아닌 것은?

  1. 정보 관리
  2. 프로세서 관리
  3. 입출력 관리
  4. 데이터 타입 정의
(정답률: 69%)
  • PC 운영체제에서 수행하는 주된 기능은 정보 관리, 프로세서 관리, 입출력 관리이다. 데이터 타입 정의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변수의 자료형을 결정하는 것으로, 운영체제의 주된 기능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Windows XP의 안전모드 옵션으로 잘못된 것은?

  1. 안전 모드(네트워킹 사용)
  2. 안전 모드(명령 프롬프트 사용)
  3. 디버그 모드
  4. SVGA 모드 사용
(정답률: 84%)
  • 안전 모드에서는 일반적으로 기본 그래픽 드라이버를 사용하므로 SVGA 모드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SVGA 모드 사용"은 Windows XP의 안전모드 옵션으로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Windows XP Professional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환경은?

  1. Domain 환경
  2. Workgroup 환경
  3. Professional 환경
  4. Server 환경
(정답률: 78%)
  • 위의 그림은 컴퓨터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네트워크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공유하는 리소스들을 관리하는 방식에 따라서 Workgroup 환경과 Domain 환경으로 나뉩니다.

    Workgroup 환경은 컴퓨터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각각의 컴퓨터에서 사용자 계정과 파일 공유 등을 설정합니다. 이러한 설정은 각각의 컴퓨터에서 관리되며, 다른 컴퓨터에서는 이러한 설정을 알 수 없습니다. 따라서 위의 그림에서는 Workgroup 환경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에 Domain 환경은 네트워크 내에서 중앙 집중적으로 사용자 계정과 파일 공유 등을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이 경우에는 네트워크 내에서 하나의 서버가 중앙 집중적으로 이러한 설정을 관리하며, 각각의 컴퓨터에서는 이러한 설정을 서버에서 받아와서 사용합니다.

    따라서 위의 그림에서는 Workgroup 환경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Professional 환경과 Server 환경은 운영체제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이 문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은 바이러스에 대한 대책의 일환으로 감염전에 예방의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프트웨어를 다양하게 복사하여 사용한다
  2. 예방용 백신을 이용한다
  3. 정기적으로 백신을 이용하여 검사한다
  4. 정품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
(정답률: 87%)
  • "소프트웨어를 다양하게 복사하여 사용한다"는 옳지 않은 방법입니다. 이는 소프트웨어의 불법 복제를 유도하며, 복제된 소프트웨어에는 악성 코드가 포함될 가능성이 높아져서 오히려 보안에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품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거나, 예방용 백신을 이용하고, 정기적으로 백신을 이용하여 검사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디스크 조각 모음을 사용할 수 있는 드라이브는?

  1. CD-ROM 드라이브
  2. 로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3. 네트워크 드라이브
  4. 방향 전환된 가상 드라이브
(정답률: 83%)
  • 디스크 조각 모음은 로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CD-ROM 드라이브, 네트워크 드라이브, 방향 전환된 가상 드라이브는 모두 다른 종류의 드라이브이며, 디스크 조각 모음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윈도우 XP에서 디스크 관리에 관한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

  1. 윈도우 98은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을 관리하기 위하여 FDISK를 사용한다.
  2. 윈도우 XP에서는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을 관리하기 위하여 디스크 관리라는 기능을 사용한다.
  3. 파티션의 삭제는 해당 파티션 위에서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논리 드라이브 삭제를 선택한다.
  4. 해당 논리 드라이브가 삭제되더라도 해당 드라이브의 정보가 남아있다.
(정답률: 65%)
  • 해당 논리 드라이브가 삭제되더라도 해당 드라이브의 정보가 남아있는 이유는, 디스크 관리에서 논리 드라이브를 삭제하면 해당 드라이브의 파일 시스템만 삭제되고, 실제 데이터는 삭제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데이터 복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삭제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64비트 Windows XP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32비트 전용 CPU에도 64비트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 있다.
  2. 64비트 시스템을 꾸미기 위해서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하드디스크 등 모든 하드웨어가 64비트용 이어야 한다.
  3. 기존의 32비트 장치 드라이버 파일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4. 128GB의 RAM과 16TB의 가상 메모리를 지원한다.
(정답률: 67%)
  • 64비트 운영체제는 32비트 운영체제보다 더 많은 메모리를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128GB의 RAM과 16TB의 가상 메모리를 지원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MMC(Microsoft Management Console)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MMC에는 컴퓨터, 서비스, 기타 시스템 구성 요소 및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관리도구가 들어 있다.
  2. 스냅인 이라는 관리 도구를 한 개 이상 콘솔에 추가할 수 있다.
  3. 저장된 MMC는 Windows 98, 2000, XP에서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4. [시작] - [실행]을 클릭한 후 MMC를 입력하여 실행한다.
(정답률: 75%)
  • 정답은 "저장된 MMC는 Windows 98, 2000, XP에서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이다. 이는 잘못된 설명이다. 저장된 MMC는 호환성 문제로 인해 다른 버전의 Windows에서 사용할 수 없을 수 있다. 이는 MMC에 사용된 컴포넌트 및 플러그인의 버전 및 호환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운영체제

16. EEPROM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칩을 구성하는 소자의 전하를 전기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데이터를 기록, 소거한다.
  2. 모뎀, 비디오카드, 메인보드, SCSI 컨트롤러 등에 사용된다.
  3. 전원이 없이도 장기간 안정적으로 기억하는 비휘발성 기억 장치이다.
  4. 재기록 가능 회수의 제한이 없이 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다.
(정답률: 71%)
  • "재기록 가능 회수의 제한이 없이 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EEPROM은 일정 회수 이상의 재기록이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EEPROM의 수명을 제한하는 요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재기록 가능 회수의 제한이 없이 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듀얼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기 위한 조건으로 잘못된 것은?

  1. 두 개의 AGP 포트
  2. 두 대의 모니터
  3. AGP, PCI 그래픽 카드
  4. 다중 디스플레이를 지원하는 그래픽 카드 칩셋
(정답률: 63%)
  • 두 개의 AGP 포트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AGP 포트는 그래픽 카드를 연결하는 포트이며, 하나의 그래픽 카드는 하나의 AGP 포트에만 연결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 개의 AGP 포트"가 잘못된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중앙처리장치(CPU)와 주기억장치(RAM)와의 속도차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필요한 메커니즘은?

  1. Channel
  2. Cache Memory
  3. Register
  4. Virtual Memory
(정답률: 85%)
  • CPU와 RAM 사이의 속도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Cache Memory가 필요하다. Cache Memory는 CPU와 RAM 사이에 위치하여 CPU가 필요로하는 데이터를 미리 RAM에서 가져와 저장해두는 고속 메모리이다. CPU가 데이터를 요청할 때 Cache Memory에서 먼저 찾아보고, 없으면 RAM에서 가져오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CPU와 RAM 사이의 속도차이를 줄이고, 빠른 데이터 접근이 가능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부트 섹터(Boot Sector)의 정보로 잘못된 것은?

  1. 트랙 당 섹터의 개수
  2. 헤드의 개수
  3. 파일 할당 테이블의 개수
  4. 실질적인 파일의 내용
(정답률: 71%)
  • 부트 섹터는 부팅 가능한 디스크의 첫 번째 섹터로, 트랙 당 섹터의 개수, 헤드의 개수, 파일 할당 테이블의 개수 등 디스크의 물리적인 구조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부트 섹터에는 실질적인 파일의 내용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부트 섹터는 운영체제가 부팅될 때 가장 먼저 읽히는 섹터이므로, 부트 로더와 같은 부팅 프로그램이 위치하고 있을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CPU 성능 평가 지표가 아닌 것은?

  1. 클럭속도
  2. 캐시 메모리
  3. 집적도
  4. RAM속도
(정답률: 72%)
  • RAM속도는 CPU 성능 평가 지표가 아닌 이유는 RAM은 CPU와는 별개의 하드웨어이기 때문입니다. CPU 성능 평가 지표는 CPU 자체의 속도와 성능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RAM속도는 CPU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시스템의 입출력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FSB(Front Side Bus)의 속도는 데이터 입출력과 무관하다.
  2. CPU가 처리한 데이터가 다른 장치와 입출력되는 통로를 버스라 한다.
  3. 램과 CPU간의 데이터 입출력 통로를 시스템 버스 (FSB - Front Side Bus)라고 하며 시스템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4. FSB(Front Side Bus)의 속도가 떨어지면 전체 시스템 속도도 떨어진다.
(정답률: 67%)
  • "FSB(Front Side Bus)의 속도는 데이터 입출력과 무관하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FSB는 CPU와 다른 장치 간의 데이터 입출력 통로이며, CPU가 처리한 데이터가 다른 장치와 입출력되는 통로를 버스라고 한다. FSB의 속도가 떨어지면 전체 시스템 속도도 떨어지므로 시스템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광마우스의 렌즈가 얼마나 선명한 품질의 이미지를 스캔하는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광 마우스의 정밀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1. DPI
  2. CPS
  3. BPS
  4. BPI
(정답률: 81%)
  • DPI는 "dots per inch"의 약자로, 인치당 스캔하는 점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DPI가 높을수록 더 선명하고 정확한 이미지를 스캔할 수 있습니다. 광 마우스의 정밀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DPI가 사용되는 이유는 광 마우스가 이동하는 거리에 따라 스캔하는 점의 개수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DPI가 높을수록 작은 움직임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더 정밀한 작업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그래픽 카드 성능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픽셀 파이프 라인
  2. GPU 코어와 클럭
  3. GPU 메모리 버스
  4. GPU 메모리 용량
(정답률: 84%)
  • 그래픽 카드의 성능은 GPU 코어와 클럭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GPU 코어는 그래픽 카드의 처리 능력을 결정하며, 클럭은 GPU 코어가 일을 처리하는 속도를 결정합니다. 따라서 GPU 코어와 클럭이 높을수록 그래픽 카드의 성능이 더욱 향상됩니다. 픽셀 파이프 라인, GPU 메모리 버스, GPU 메모리 용량은 그래픽 카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만, GPU 코어와 클럭에 비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가상 메모리는 하드디스크를 주기억 장치처럼 사용하는 메모리 관리 방법 중의 하나이다. 가상 메모리 시스템에서는 프로그램 실행 도중에 할당받지 못한 메모리에 접근하려고 할 때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기 위해서 수행되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Booting
  2. Load
  3. Memory Allocation
  4. Swapping
(정답률: 69%)
  • 가상 메모리에서 할당받지 못한 메모리에 접근하려고 할 때, 해당 페이지를 하드디스크로 옮기고 그 자리에 필요한 페이지를 가져오는 과정을 "Swapping" 이라고 한다. 이는 하드디스크를 주기억 장치처럼 사용하여 메모리 용량을 확장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물체에 비추어 반사된 빛을 전기 신호로 바꾸어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장치는?

  1. 프린터
  2. 스캐너
  3. 모니터
  4. VGA
(정답률: 83%)
  • 스캐너는 물체에 비추어 반사된 빛을 전기 신호로 바꾸어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장치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출력 장치나 입력 장치가 아닌 것들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ISO에 의하여 제정된 CD-ROM의 국제 형식 규격이며, 하이 시에라(High Sierra) 규격에 기초를 둔 것은?

  1. ISO9000
  2. ISO9002
  3. ISO9096
  4. ISO9660
(정답률: 79%)
  • ISO9660은 CD-ROM의 국제 형식 규격으로, 하이 시에라(High Sierra) 규격에 기초를 둔 것입니다. 이 규격은 CD-ROM의 파일 시스템을 정의하며,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 호환성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ISO9660은 CD-ROM을 사용하는 다양한 기기와 운영 체제에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중요한 규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 )안에 들어갈 단어 중 올바른 것은?

  1. 블루레이
  2. Hybrid Hard Disk
  3. MLC
  4. SSD
(정답률: 85%)
  • 이미지에 나타난 제품은 하드 디스크가 아닌 SSD이기 때문입니다. SSD는 하드 디스크와 달리 기계적인 부품이 없고,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더 빠르고 내구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 제품은 SS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주변기기의 속도향상을 위한 것으로 전송속도는 12Mbps 또는 480Mbps이며 100개가 넘는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방식은?

  1. PCI 방식
  2. SCSI 방식
  3. USB 방식
  4. IEEE1394 방식
(정답률: 63%)
  • USB 방식은 Plug and Play 기능을 지원하며, 하나의 USB 포트에 여러 개의 장치를 연결할 수 있어 확장성이 뛰어나다. 또한 전송속도가 빠르고 저렴하며, 대부분의 컴퓨터에서 기본적으로 지원되는 인터페이스이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따라서 100개가 넘는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방식으로 USB 방식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레이저 프린터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1. DPI(Dot Per Inch)
  2. CPI(Character Per Inch)
  3. BPS(Bit Per Second)
  4. WPS(Word Per Second)
(정답률: 82%)
  • DPI는 레이저 프린터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나 텍스트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이는 인치당 출력되는 점의 수를 의미하며, 높은 DPI는 더욱 선명하고 정확한 출력물을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레이저 프린터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DPI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CD-ROM 드라이브와 DVD-ROM 드라이브의 1배속으로 올바른 것은?

  1. CD-ROM - 150KB/s, DVD-ROM - 700KB/s
  2. CD-ROM - 135KB/s, DVD-ROM - 1350 KB/s
  3. CD-ROM - 150KB/s, DVD-ROM - 1350KB/s
  4. CD-ROM - 135KB/s, DVD-ROM - 700KB/s
(정답률: 75%)
  • CD-ROM 드라이브의 1배속은 150KB/s이고, DVD-ROM 드라이브의 1배속은 1350KB/s입니다. 이는 DVD-ROM 드라이브가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DVD-ROM 드라이브는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더 빠르게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습니다. 따라서 DVD-ROM 드라이브의 1배속은 CD-ROM 드라이브의 1배속보다 더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PC주변기기

31. PC를 조립한 후 상태 확인 및 점검을 위해 해야 할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1. 모니터 화면에 POST 부트 메시지를 확인하여 RAM이나 하드디스크의 설치 상태가 이상이 없음을 확인한다.
  2. 키보드와 마우스는 본체에 연결한 후 전원과 동작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다.
  3. USB로 연결되는 프린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PC부팅 전에 프린터의 전원을 켜야 한다.
  4. 스피커를 켜고 소리가 제대로 들리는지 확인한다.
(정답률: 77%)
  • USB로 연결되는 프린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PC부팅 전에 프린터의 전원을 켜야 한다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실제로는 PC 부팅 후에 프린터를 켜도 정상적으로 인식되고 동작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프린터가 동작하지 않은 원인으로 잘못된 것은?

  1. 프린터 드라이버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지 않았다.
  2. 프린터 케이블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3. 프린터 포트가 잘못 설정되어 있다.
  4. COM 포트를 설정하지 않았다.
(정답률: 83%)
  • COM 포트는 프린터와 컴퓨터 간의 통신을 위해 필요한 포트이며, 이를 설정하지 않으면 프린터와 컴퓨터가 통신할 수 없어 프린터가 동작하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COM 포트를 설정하지 않았다는 것은 프린터와 컴퓨터 간의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아 프린터가 동작하지 않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VDT(Visual Display Terminal) 증후군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컴퓨터 사용으로 인한 눈의 피로나 육체적 통증을 총칭한다.
  2. 부적절한 작업자세로 인해 목, 어깨, 팔 등의 통증이 유발된다.
  3. 시각 장애는 조명 불량, 화면의 반짝거림, 눈부심 등이 원인으로 되고 있다.
  4. 각종 전자제품에 대한 전자파 등의 규제를 마련한 법규를 말한다.
(정답률: 82%)
  • "각종 전자제품에 대한 전자파 등의 규제를 마련한 법규를 말한다."는 VDT 증후군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잘못된 설명이다. VDT 증후군은 컴퓨터 사용으로 인한 눈의 피로나 육체적 통증을 총칭하며, 부적절한 작업자세로 인해 목, 어깨, 팔 등의 통증이 유발되며, 시각 장애는 조명 불량, 화면의 반짝거림, 눈부심 등이 원인으로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두 개의 P-ATA 방식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한 후 부팅을 했더니, BIOS 설정에서 하드디스크를 인식하지 못한다. 다음 중 원인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데이터 케이블 접속 불량
  2. HDD의 자체 고장
  3. Master, Slave 점퍼 미설정
  4. 파티션 설정 오류
(정답률: 63%)
  • 파티션 설정 오류는 하드디스크를 인식하지 못하는 원인이 될 수 없다. 파티션 설정 오류는 하드디스크 내부의 데이터 구성에 문제가 있을 때 발생하는 오류이다. 따라서, 이 문제의 원인은 "데이터 케이블 접속 불량", "HDD의 자체 고장", "Master, Slave 점퍼 미설정" 중 하나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도스모드에서 CD-ROM 인식과 관련이 없는 파일은?

  1. AUTOEXEC.BAT
  2. MSCDEX.EXE
  3. OAKCDROM.SYS
  4. SYSTEM.INI
(정답률: 66%)
  • SYSTEM.INI 파일은 운영체제의 설정 파일로, CD-ROM 인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AUTOEXEC.BAT 파일은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배치 파일이며, MSCDEX.EXE와 OAKCDROM.SYS 파일은 CD-ROM 드라이버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시스템의 기본 하드웨어 설정 값이 저장된 곳은?

  1. RAM
  2. CMOS
  3. HDD
  4. CD-ROM
(정답률: 73%)
  • 시스템의 기본 하드웨어 설정 값은 CMOS에 저장됩니다. 이는 시스템이 부팅될 때 BIOS가 읽어들이는 정보로, 시스템의 기본 동작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RAM은 일시적인 데이터 저장에 사용되며, HDD와 CD-ROM은 데이터 저장 및 읽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컴퓨터 조립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모든 부품은 충격을 주거나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는다.
  2. 쿨링팬의 방열판과 CPU는 완전히 밀착시키지 않고 적당히 간격을 띄운다.
  3. 시스템 내부의 부품 등은 자성에 약하므로 자성이 있는 물건을 가까이하지 않는다.
  4. 110[V]/220[V]조정 스위치가 있는 전원 공급기는 사용전압에 맞도록 조정한다.
(정답률: 78%)
  • "쿨링팬의 방열판과 CPU는 완전히 밀착시키지 않고 적당히 간격을 띄운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쿨링팬의 방열판과 CPU는 최대한 밀착시켜야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간격을 띄우면 열 전달이 원활하지 않아 CPU가 과열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메인보드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칩셋은 메인보드 상에 납땜으로 고정된 부품으로서 메인보드에서 사용 가능한 CPU 및 메모리 종류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2.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하여 메모리(RAM) 슬롯의 경우 전체 슬롯을 사용하지 말고, 1개 또는 2개의 여유 슬롯을 남겨 두어야 한다.
  3. 새로운 부품을 추가하고자 할 때 그 부품이 메인보드에서 지원 가능한 형태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4. 만약 장착한 CPU의 성능에 비해 실제 동작 속도가 현저히 낮게 동작한다고 판단될 경우 BIOS의 캐쉬 설정 부분이 활성 상태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비활성으로 되어 있으면 활성으로 설정을 바꾼다.
(정답률: 69%)
  • 정답은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하여 메모리(RAM) 슬롯의 경우 전체 슬롯을 사용하지 말고, 1개 또는 2개의 여유 슬롯을 남겨 두어야 한다." 이다. 이유는 메모리 슬롯을 모두 사용하면 메모리 간의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여유 슬롯을 남겨두어 충돌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BIOS의 설정 값이 자주 초기화된다. 원인으로 올바른 것은?

  1. 메인보드 배터리 전력 부족
  2. 메인보드 캐쉬 메모리 오류
  3. CMOS 설정 오류
  4. 메인보드와 CMOS간에 호환성 문제
(정답률: 71%)
  • BIOS는 메인보드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설정 값을 유지합니다. 만약 메인보드 배터리의 전력이 부족하면 BIOS 설정 값이 초기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메인보드 배터리 전력 부족"이 BIOS 설정 값이 자주 초기화되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Over Clocking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Over Clocking을 하는 방법은 클럭 배수와 외부 클럭을 조정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2. CPU의 Over Clocking은 CPU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CPU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3. 메인보드에서 지원하는 클럭 수 까지만 오버 클럭킹이 가능하다.
  4. CPU의 작동 클럭은 클럭 배수와 외부 클럭의 곱에 의해 결정된다.
(정답률: 67%)
  • CPU의 Over Clocking은 CPU의 성능을 향상시키지만, CPU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과열 등의 문제로 인해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CPU의 Over Clocking은 CPU의 성능을 향상시키지만, CPU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은 아니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업데이트된 드라이버를 설치했더니 시스템이 불안해지고 Windows XP에 이상이 생긴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마지막으로 성공한 구성으로 부팅해 본다.
  2. 드라이버 롤백 작업을 진행한다.
  3. BIOS 설정에서 부팅 순서를 변경한다.
  4. 시스템 복원을 실행한다.
(정답률: 71%)
  • BIOS 설정에서 부팅 순서를 변경하는 것은 시스템의 부팅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것이다. 이는 시스템이 부팅할 때 사용하는 장치를 선택하는 것으로, 잘못된 드라이버 설치로 인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CD나 USB 등의 부팅 장치를 선택하여 시스템을 부팅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BIOS 설정에서 부팅 순서를 변경하는 것이 올바른 선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오디오 채널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5.1 채널에서 센터, 전방좌우, 후방좌우는 각각 1채널을 갖는다.
  2. 5.1 채널에서 서브우퍼는 저음신호를 담당하며, 0.1 채널을 갖는다.
  3. 외부 앰프가 필요한 서브우퍼를 액티브 서브우퍼라 부른다.
  4. 최근 6.1채널, 7.1 채널 등의 확장된 규격이 출시되고 있다.
(정답률: 66%)
  • "외부 앰프가 필요한 서브우퍼를 액티브 서브우퍼라 부른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실제로는 외부 앰프가 필요하지 않고 내장된 앰프를 가지고 있는 서브우퍼를 액티브 서브우퍼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하드디스크를 RAID로 구성하고자 할때 확인해야 하는 것은?

  1. 모니터
  2. 주기억장치 타입
  3. 메인보드 지원유무
  4. IRQ 설정
(정답률: 75%)
  • RAID는 하드디스크를 여러 개 묶어서 하나의 논리적인 드라이브로 인식하게 만드는 기술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메인보드가 RAID를 지원해야 합니다. 메인보드가 RAID를 지원하지 않으면 RAID를 구성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메인보드의 RAID 지원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Windows를 사용하던 중 “KERNEL32.DLL에서 잘못된 연산이 수행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타나는 이유로 잘못된 것은?

  1. 어플리케이션간 메모리 충돌이 일어날 때
  2. KERNEL32.DLL의 버전이 다르거나 손상된 경우
  3. CPU와 메모리의 FSB가 맞지 않을 경우
  4. 메인 메모리가 불량인 경우
(정답률: 69%)
  • “KERNEL32.DLL에서 잘못된 연산이 수행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타나는 이유는 CPU와 메모리의 FSB가 맞지 않을 경우입니다. 이는 CPU와 메모리 간의 통신 속도가 맞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로, 이로 인해 잘못된 명령어가 전달되어 오류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시스템에서 소음이 과도하게 발생할 경우 해결책으로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전원 공급장치 및 CPU에 부착되어 있는 쿨러를 청소해 준다.
  2. 메인보드 및 각종 주변장치를 고정시키는 나사를 견고하게 조여준다.
  3. 컴퓨터 내부의 먼지를 제거한다.
  4. 팬 컨트롤러를 이용해 쿨러의 RPM을 높인다.
(정답률: 78%)
  • 팬 컨트롤러를 이용해 쿨러의 RPM을 높이는 것은 소음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은 해결책이다. 오히려 쿨러를 청소하고 나사를 조여주며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PC네트워크

46. 회선 경쟁 선택(Contention) 방식의 프로토콜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트래픽이 많은 멀티포인트 회선에 사용할 경우에는 비효율적이다.
  2. 이 방식의 프로토콜에는 토큰링 토큰버스와 같은 방식이 있다.
  3. 터미널의 통신량, 사용빈도에 따라 경쟁 선택의 기회를 차등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4. 경쟁 선택이 동시에 일어나도 데이터가 충돌하여 유실되는 경우가 있다.
(정답률: 47%)
  • 정답은 "트래픽이 많은 멀티포인트 회선에 사용할 경우에는 비효율적이다." 이유는, 회선 경쟁 선택 방식은 여러 대의 컴퓨터가 하나의 회선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트래픽이 많은 경우에는 경쟁이 더 많아져서 데이터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트래픽이 많은 멀티포인트 회선에는 다른 방식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아래 내용의 통신망 구성 형태로 올바른 것은?

  1. 버스형
  2. 망형
  3. 스타형
  4. 링형
(정답률: 78%)
  • 정답은 "스타형"입니다. 이유는 중앙에 중계기가 있고, 각각의 단말기들이 중계기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구성은 단일 장애 지점이 존재하므로, 중계기가 고장나면 해당 네트워크의 모든 단말기들이 통신 불능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형태의 구성에 비해 설치와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단말기들 간의 통신이 빠르고 안정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데이터 링크 확립 절차에서 제어국이 종속국을 일국씩 선택하여 송신유무를 확인하는 방식은?

  1. 회선 쟁탈 방식
  2. 폴링 방식
  3. 셀렉션 방식
  4. 대화 모드 방식
(정답률: 63%)
  • 제어국이 종속국을 일국씩 선택하여 송신유무를 확인하는 방식은 폴링 방식이다. 이는 제어국이 종속국에게 일일이 요청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접근하여 효율성이 떨어지지만 간단하고 구현이 쉬워 널리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OSI 7 계층의 구조를 순서대로 (하부구조부터)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네트워크→ 데이터 링크→ 물리→ 세션→ 표현 → 응용→ 전송
  2. 응용→ 표현→ 세션→ 물리→ 데이터 링크→ 전송→ 네트워크
  3. 세션→ 표현→ 물리→ 응용→ 전송→ 데이터 링크→ 네트워크
  4. 물리→ 데이터 링크→ 네트워크→ 전송 → 세션→ 표현→ 응용
(정답률: 82%)
  • OSI 7 계층은 하부구조부터 물리, 데이터 링크, 네트워크, 전송, 세션, 표현, 응용 순으로 나열됩니다. 이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하드웨어적인 부분부터 시작하여, 데이터의 표현과 응용까지 차례로 처리되기 때문입니다. 물리 계층에서는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오류 검출 및 수정을 수행합니다.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데이터의 경로를 결정하고, 전송 계층에서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세션 계층에서는 데이터의 세션 관리를 수행하고, 표현 계층에서는 데이터의 형식 변환을 처리합니다. 마지막으로 응용 계층에서는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MAU(Medium Attachment Unit)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세그먼트 스위칭이나 포트 스위칭 아키텍쳐를 이용하여, 동일한 워크그룹이면서 물리적인 위치가 다른(제1층, 제2층)워크그룹의 LAN을 물리적 위치에 개의치 않고 구축이 가능하다.
  2. 세그먼트 스위칭과 같이 동작하며 스위칭을 하지만 복수 개의 터미널이 접속된 세그먼트끼리 스위칭하는것이 아니라 한 대의 터미널 단위로 스위칭하는 방식이다.
  3. 목적지를 세그먼트 단위로 판단하여 패킷전송이 필요할 때 에만 세그먼트끼리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이 필요없을 때 에는 분할된 각각의 세그먼트로서 존재하게 한다.
  4.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HUB로부터 Twisted Pair Cable에 송신한 신호를 트랜시버 케이블(AUI)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정답률: 50%)
  • MAU는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HUB로부터 Twisted Pair Cable에 송신한 신호를 트랜시버 케이블(AUI)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