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정비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10-22)

PC정비사 2급
(2017-10-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PC유지보수

1. 운영체제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MS-DOS
  2. JINI
  3. UNIX
  4. Windows 7
(정답률: 96%)
  • JINI는 운영체제가 아니라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서로 다른 기기들 간의 통신을 위한 기술이기 때문에 운영체제의 범주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펌웨어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하드웨어의 기능 추가 및 변경이 불가능하다.
  2.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간 성격을 지닌다.
  3. BIOS는 PC의 기본적 입출력을 기능을 제어하는 펌웨어의 일종이다.
  4. ROM에 저장되는 마이크로컴퓨터 프로그램이 해당된다.
(정답률: 83%)
  • "하드웨어의 기능 추가 및 변경이 불가능하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펌웨어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중간 성격을 가지며, 하드웨어의 기능을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다만, 펌웨어가 저장된 ROM에 직접적으로 접근하여 수정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Windows 7 Professional의 프로그램 제거 또는 변경의 구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프로그램 제거/변경/복구
  2. 설치된 업데이트 보기
  3. Windows 기능 사용 / 사용 안함
  4. 하드웨어 프로필
(정답률: 85%)
  • "하드웨어 프로필"은 Windows 7 Professional의 프로그램 제거, 변경 또는 복구의 구성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으로, 프로그램의 설치, 제거 또는 변경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Windows 시스템이 사용하는 가상 메모리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가상 메모리는 컴퓨터의 RAM을 하드 디스크의 임시 공간과 결합한다.
  2. RAM이 부족하면 PC는 RAM의 데이터를 페이징 파일이라는 공간으로 이동시킨다.
  3. 일반적으로 Windows에서는 크기를 자동으로 관리하지만 기본 크기가 부족한 경우에는 가상 메모리 크기를 수동으로 변경해야 할 수 있다.
  4. 하드디스크에서 데이터를 읽어 오는 속도가 RAM에서 읽어 오는 속도보다 훨씬 빠르므로 가상 메모리를 늘리는 것 보다 RAM을 추가하는 것이 더 근본적인 솔루션이다.
(정답률: 85%)
  • 잘못된 것은 "하드디스크에서 데이터를 읽어 오는 속도가 RAM에서 읽어 오는 속도보다 훨씬 빠르므로 가상 메모리를 늘리는 것 보다 RAM을 추가하는 것이 더 근본적인 솔루션이다." 이다. 가상 메모리는 RAM이 부족할 때 일시적으로 하드 디스크를 사용하여 메모리를 확장하는 것이기 때문에, RAM을 추가하는 것이 가장 근본적인 솔루션이라고 할 수 있지만, 가상 메모리를 늘리는 것도 일시적으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사용자 데이터 원본을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관리 도구는?

  1. 데이터 원본
  2. 로컬 보안 정책
  3. 구성 요소 서비스
  4. 이벤트 뷰어
(정답률: 85%)
  • 데이터 원본은 사용자 데이터의 원래 출처이며,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이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관리 도구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데이터 원본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운영체제에서 기억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전략 중에서 배치 전략에 해당되지 않는 기법은?

  1. 요구 반입 (Demand Fetch) 기법
  2. 최초 적합 (First Fit) 기법
  3. 최적 적합 (Best Fit) 기법
  4. 최악 적합 (Worst Fit) 기법
(정답률: 89%)
  • 요구 반입 기법은 기억장치에 필요한 페이지나 세그먼트가 요청될 때 해당 페이지나 세그먼트를 기억장치에 적재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이는 배치 전략에 해당되지 않는다. 최초 적합, 최적 적합, 최악 적합 기법은 모두 기억장치 내에서 사용 가능한 공간을 찾아 적재하는 방식으로 배치 전략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Windows 7 Professional의 시스템 복원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시스템 복원은 Windows 시스템 파일, 프로그램 및 레지스트리 설정에 영향을 준다.
  2. 전자 메일, 문서 또는 사진과 같은 개인 파일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삭제한 파일 복원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3. 시스템 복원을 실행해 이전 지점으로 돌아가는 경우 실행 취소는 불가능 하다.
  4. 복원 지점은 시스템 복원에 예약된 디스크 공간이 가득 찰 때까지 저장됩니다.
(정답률: 72%)
  • "시스템 복원을 실행해 이전 지점으로 돌아가는 경우 실행 취소는 불가능 하다."가 잘못된 것이다. 시스템 복원을 실행한 후에도 언제든지 실행 취소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Windows 7 실행 명령 창에서 레지스트리 편집기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명령은?

  1. sfc
  2. scanreg
  3. winzip
  4. regedit
(정답률: 94%)
  • 정답은 "regedit"입니다.

    "regedit"는 레지스트리 편집기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 이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Windows 7 실행 명령 창에서 "regedit"를 입력하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실행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 이름이지만, 레지스트리 편집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GUI방식 OS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사용이 간편하다.
  2.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아이콘화 하여 보여준다.
  3. 명령어를 몰라도 사용할 수 있다.
  4. CUI OS에 비해 실행 속도가 빠르다.
(정답률: 87%)
  • GUI 방식 OS의 특징은 "CUI OS에 비해 실행 속도가 빠르다."가 아니다. 이유는 GUI 방식은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CUI 방식보다 더 많은 시스템 자원을 사용하고, 그래픽 처리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행 속도는 CUI OS보다 느릴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각 멤버 디스크에 같은 데이터를 중복 기록하는 방식으로 서버 또는 연구목적 PC에서 데이터 손실에 대비하기 위해 사용하는 RAID 방식은?

  1. RAID 0
  2. RAID 1
  3. RAID 3
  4. RAID 5
(정답률: 74%)
  • RAID 1은 각 멤버 디스크에 같은 데이터를 중복 기록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복제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한 디스크가 손상되어도 다른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어 데이터 손실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새로 추가한 드라이버가 하드웨어와 맞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를 복구하기 위하여 마지막으로 성공한 구성을 선택하여 부팅한 경우 복원되는 레지스트리 키는?

  1.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
  2.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
  3. HKEY_LOCAL_MACHINE\HARDWARE\ACPI
  4. HKEY_CURRENT_CONFIG\Software\Microsoft
(정답률: 82%)
  •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 레지스트리 키는 시스템 구성 정보를 담고 있으며, 하드웨어와 관련된 정보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새로 추가한 드라이버가 하드웨어와 맞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를 복구하기 위해 마지막으로 성공한 구성을 선택하여 부팅한 경우, 해당 구성에 대한 정보가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 레지스트리 키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복원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Windows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환경은?

  1. Domain
  2. Workgroup
  3. Professional
  4. Server
(정답률: 86%)
  • 이 환경은 Workgroup입니다. 이는 컴퓨터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중앙 집중화된 관리자나 서버가 없는 환경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각 컴퓨터는 자신의 로컬 계정으로 인증을 받고, 파일 및 프린터 공유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반면, Domain은 중앙 집중화된 관리자나 서버가 있는 환경을 의미하며, Professional은 Windows의 버전 중 하나이고, Server는 서버 운영체제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운영체제의 역할 수행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작업의 연속적인 처리를 위한 관리를 수행한다.
  2. 하드웨어와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존재하는 프로그램이다.
  3.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개발되어진 프로그램으로 계산 업무를 수행한다.
  4.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 정보 갱신, 유지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정답률: 81%)
  •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개발되어진 프로그램으로 계산 업무를 수행한다."는 운영체제의 역할 수행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잘못된 것이다. 운영체제는 작업의 연속적인 처리를 위한 관리, 하드웨어와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존재하는 프로그램,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 정보 갱신, 유지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Windows의 레지스트리와 관련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레지스트리는 Windows의 모양과 동작을 결정하는 모든 구성 설정을 나열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집합을 말한다.
  2.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고 신뢰할 수 있는 원본에서 변경하도록 지시한 레지스트리 값만 변경하는 것이 권장 된다.
  3. Windows 7 Professional의 레지스트리는 총 12개의 루트 키를 가지고 있다.
  4. 레지스트리 클리너는 신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게시자의 프로그램만 사용해야 한다.
(정답률: 90%)
  • 잘못된 것은 "Windows 7 Professional의 레지스트리는 총 12개의 루트 키를 가지고 있다." 이다. Windows 7 Professional의 레지스트리는 총 5개의 루트 키를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Windows 7 Professional의 레지스트리 구조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HKEY_LOCAL_CONFIG
  2. HKEY_CURRENT_CONFIG
  3. HKEY_CLASSES_ROOT
  4. HKEY_USERS
(정답률: 65%)
  • "HKEY_LOCAL_CONFIG"은 Windows 7 Professional의 레지스트리 구조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레지스트리 키이며, 오타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올바른 키는 "HKEY_LOCAL_MACHIN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운영체제

16. 다음 중 스핀들 모터 회전수로 사용되는 단위는?

  1. RPM
  2. APM
  3. PPM
  4. BPS
(정답률: 89%)
  • 정답: RPM

    RPM은 "Revolutions Per Minute"의 약자로, 1분당 회전하는 횟수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스핀들 모터는 회전수를 측정하기 위해 RPM 단위를 사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스핀들 모터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단위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입력 장치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조이스틱
  2. 플로터
  3. 마우스
  4. 디지타이저
(정답률: 90%)
  • 플로터는 출력 장치의 범주에 속하며, 그림이나 도형 등을 인쇄할 때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입력 장치의 범주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PC의 Parallel Port의 작동모드가 아닌 것은?

  1. EPP
  2. ECP
  3. EDP
  4. SPP
(정답률: 73%)
  • EDP는 Parallel Port의 작동모드가 아닙니다. EPP, ECP, SPP는 모두 Parallel Port의 작동모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CPU의 오버클럭킹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발열량
  2. RAM 제조일자
  3. 주변장치의 안전성
  4. 메인보드의 전원부 구성
(정답률: 91%)
  • RAM 제조일자는 CPU 오버클럭킹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에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발열량은 오버클럭킹 시 CPU가 과부하를 받아 발생하는 열의 양을 의미하며, 주변장치의 안전성과 메인보드의 전원부 구성은 오버클럭킹 시 시스템 전체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컬러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고가형 프린터에서 사용하는 방식이 아닌 것은?

  1. 염료승화 방식
  2. 압전 방식
  3. 컬러토너 방식
  4. 고체잉크젯 방식
(정답률: 80%)
  • 압전 방식은 고가형 프린터에서 사용되지 않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전자파를 이용하여 인쇄물에 전기적인 충전을 가해 인쇄하는 방식으로, 주로 복사기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압전 방식"입니다. 컬러 레이저 프린터에서는 염료승화 방식, 컬러토너 방식, 고체잉크젯 방식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VGA에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것에 의해서 변환된 전압을 컬러 모니터의 전자총에 보내 실제 화면에 VGA에서 보낸 색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RAM
  2. BIOS
  3. RAMDAC
  4. ROM
(정답률: 81%)
  • RAMDAC는 VGA에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컬러 모니터의 전자총에 보내어 실제 화면에 VGA에서 보낸 색상이 표시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RAMDAC입니다. RAM, BIOS, ROM은 VGA와는 관련이 있지만 이와 같은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레이저 프린터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1. DPI
  2. CPI
  3. BPS
  4. WPS
(정답률: 91%)
  • 레이저 프린터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DPI (Dots Per Inch)입니다. 이는 인치당 출력 가능한 점의 수를 나타내며, 높은 DPI는 더 선명하고 자세한 출력물을 만들어냅니다. 예를 들어, 1200 DPI의 프린터는 1인치당 1200개의 점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자장의 척력(밀어내는 힘)을 이용하여 근접한 트랙을 동시에 읽어 내는 기술로 올바른 것은?

  1. MR
  2. RLL
  3. FM
  4. LBA
(정답률: 84%)
  • 정답은 "MR"입니다.

    자장의 척력은 하드디스크의 헤드를 움직이는 데 사용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근접한 트랙을 동시에 읽어내는 기술을 MFM(Modified Frequency Modulation)이라고 합니다. MFM 방식은 자장의 척력을 이용하여 헤드를 이동시키면서, 헤드가 지나가는 트랙의 자기 신호를 읽어들이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 방식은 RLL(Run Length Limited) 방식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디스크의 용량을 높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어진 보기에서는 MFM이 아닌 RLL 방식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RLL 방식은 MFM 방식보다는 데이터를 덜 저장할 수 있지만, 오류 검출 및 수정 기능이 더욱 강화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에서는 MFM과 RLL 중에서도 MFM이 더욱 올바른 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키보드의 접점 방식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멤브레인 - 두 장의 필름을 겹쳐 놓고 그 위에 고무로 만든 키 캡 작동기를 올려놓은 구조로 주로 저가형 또는 보급형에 널리 사용된다.
  2. 펜타그래프 - X자형의 특이한 키캡 지지대 덕분에 키의 모서리 부분을 눌러도 중앙을 눌렀을 때와 같이 입력이 되는 특징이 있으며, 소형화와 슬림화가 쉽고 비교적 저렴하여 노트북 및 미니사이즈 키보드에 자주 이용된다.
  3. 기계식 - 각각의 키마다 독립적인 스위치가 존재하여 이를 PCB기판에 올려놓은 방식으로 키의 감촉과 정확성이 우수해 고가의 서버나 키보드 사용률이 높은 곳에 주로 사용된다.
  4. 버클링 스프링 - 물리적인 접점을 가지지 않는 키보드 방식으로써, 캐퍼시터와 일련의 회로가 스위치의 역할을 대신한다.
(정답률: 82%)
  • 잘못된 설명은 "버클링 스프링 - 물리적인 접점을 가지지 않는 키보드 방식으로써, 캐퍼시터와 일련의 회로가 스위치의 역할을 대신한다." 이다. 버클링 스프링 방식은 스위치의 접점이 물리적으로 존재하며, 스위치가 눌렸을 때 스프링이 구부러지면서 접점이 닫히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디지털 카메라의 CCD센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센서에 노출된 이미지를 전기적인 형태로 바꾸어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반도체 기억소자이다.
  2. R-G-B 센서가 모자이크 방식으로 CCD에 배열되어 있어 인입된 빛의 양을 각 센서가 측정하여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3. 가장 기초적인 CCD기술은 Linear Array(3Pass) 방식이다.
  4.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반도체 소자가 직접 빛을 받아들인다.
(정답률: 78%)
  •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반도체 소자가 직접 빛을 받아들이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CCD 센서는 빛을 받아들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필터를 사용하여 색상을 구분한다. 따라서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반도체 소자가 직접 빛을 받아들인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CPU의 세대별 특성을 정리한 것 중 잘못된 것은?

  1. 인텔 코어 i5-2세대 CPU는 775소켓에서 사용이 불가능하다.
  2. 샌디브릿지는 AMD의 마이크로아키텍쳐 코드내임이다.
  3. 셈프론은 INTEL사의 보급형 제품군에 대응하기 위해 출시된 AMD사의 중저가용 CPU이다.
  4. AMD가 인텔에 비해 다중코어 CPU 가격이 저렴하다.
(정답률: 71%)
  • "샌디브릿지는 AMD의 마이크로아키텍쳐 코드내임이다."가 잘못된 것이다. 샌디브릿지는 인텔의 제품군 중 하나이며, 인텔의 2세대 코어 프로세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다. AMD의 마이크로아키텍처 코드네임은 Bulldozer, Piledriver, Zen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RAM의 장착방식에 따른 분류로 잘못된 것은?

  1. SIMM
  2. DIMM
  3. RIMM
  4. PIMM
(정답률: 75%)
  • "PIMM"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RAM의 장착방식이기 때문에 잘못된 것이다. SIMM은 Single In-line Memory Module, DIMM은 Dual In-line Memory Module, RIMM은 Rambus In-line Memory Module으로 각각의 RAM 모듈이 가지는 핀의 수와 배치 방식이 다르다. 하지만 PIMM은 존재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메인보드의 구성 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1. FDD 커넥터
  2. VRAM
  3. 바이오스
  4. 배터리
(정답률: 76%)
  • VRAM은 그래픽 카드에 존재하는 메모리로, 메인보드의 구성 요소와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메인보드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메인보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하드디스크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하드디스크는 안정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안정된 전원 전압이 공급되어야 한다.
  2. 하드디스크는 전기적 충격이나 물리적 충격으로 손상되기 전에는 플로피 디스켓에 비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3. 하드디스크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자료가 손상되면 기계적으로도 하드디스크의 부품들이 손상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4. 하드디스크는 컴퓨터 내부에 있지만 외부적 충격에 약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정답률: 83%)
  • 잘못된 것은 "하드디스크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자료가 손상되면 기계적으로도 하드디스크의 부품들이 손상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이다. 바이러스 감염은 하드디스크의 부품을 직접적으로 손상시키지는 않는다. 하지만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중요한 데이터가 손실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뮤직 신디사이저, 악기, 컴퓨터 등을 상호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규격은?

  1. MPEG
  2. MPC
  3. BUS
  4. MIDI
(정답률: 91%)
  • MIDI는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의 약자로, 음악 신디사이저, 악기, 컴퓨터 등을 상호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규격입니다. 따라서 MIDI가 정답입니다. MPEG은 동영상 압축 규격, MPC는 음악 파일 압축 규격, BUS는 컴퓨터 하드웨어의 연결 규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PC주변기기

31. Windows 업그레이드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Custom 업그레이드 설치 작업은 폴더 변경 및 파일 시스템을 변경할 수 있다.
  2. Windows 95에서 업그레이드할 경우, 곧바로 Windows 7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3. 호환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소프트웨어는 제거한 후에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것이 좋다.
  4. 동적 업데이트 옵션을 선택하면, 웹 사이트로부터 장치와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다.
(정답률: 89%)
  • "Windows 95에서 업그레이드할 경우, 곧바로 Windows 7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Windows 95에서 Windows 7로 업그레이드하려면 중간에 Windows 98, Windows XP, Windows Vista 등의 중간 버전을 거쳐야 합니다. 이는 각 버전 간의 호환성 문제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하나의 프로세서가 두 개의 논리적 프로세서처럼 작동하도록 하는 기술은?

  1. 하이퍼트랜스포트(HyperTransport)
  2. 하이퍼 스레딩(Hyper-Threading)
  3. 멀티 태스킹(Multitasking)
  4. 넷 버스트(Netburst)
(정답률: 83%)
  • 하이퍼 스레딩(Hyper-Threading)은 하나의 물리적인 프로세서가 두 개의 논리적인 프로세서처럼 작동하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의 작업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바이오스(BIOS)를 업그레이드 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아닌 것은?

  1. 큰 용량의 하드디스크를 지원할 수 있다.
  2. 좀 더 높은 사양의 CPU를 사용할 수 있다.
  3. 모든 종류의 램을 사용할 수 있다.
  4.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여 안정적인 환경을 만들 수 있다.
(정답률: 87%)
  • BIOS 업그레이드는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여 안정적인 환경을 만들 수 있고, 큰 용량의 하드디스크를 지원하고 좀 더 높은 사양의 CPU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그러나 모든 종류의 램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BIOS 업그레이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램의 호환성은 주로 마더보드와 CPU의 지원 범위에 따라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과 같은 증상이 발생했을 때 점검해야 할 장치는?

  1. HDD
  2. CPU
  3. Memory
  4. FDD
(정답률: 82%)
  • 이미지에서 보이는 화면은 컴퓨터의 부팅 과정 중 메모리(RAM)를 초기화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이 증상이 발생했을 때 점검해야 할 장치는 메모리(RAM)입니다. HDD는 하드디스크, CPU는 중앙처리장치, FDD는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PC에서 사용하는 BIOS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AWARD
  2. PHOENIX
  3. AMI
  4. HP-UX
(정답률: 83%)
  • BIOS는 PC에서 사용하는 것이므로, HP-UX는 PC에서 사용되는 BIOS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다. HP-UX는 HP사의 유닉스 운영체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BIOS Setup의 USER PASSWORD 메뉴에서 설정한 패스워드를 관리자가 잊어버렸을 때 취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조치는?

  1. BIOS를 교체한다.
  2. 메인보드를 교체한다.
  3. 모든 전원을 차단 한 뒤 메인보드의 건전지를 잠시 제거한 후 결속한다.
  4. Keyboard의 ESC Key를 클릭한다.
(정답률: 91%)
  • BIOS Setup의 USER PASSWORD 메뉴에서 설정한 패스워드는 메인보드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보드의 건전지를 제거하여 저장된 정보를 초기화하면 패스워드가 삭제되어 관리자가 다시 설정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모든 전원을 차단 한 뒤 메인보드의 건전지를 잠시 제거한 후 결속한다."가 가장 적절한 조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BIOS를 교체하거나 메인보드를 교체하는 등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드는 조치이므로, 이 경우에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Keyboard의 ESC Key를 클릭하는 것은 BIOS Setup에서 나가는 것이므로, 패스워드를 초기화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부팅할 때 "Bad or missing Command Interpreter"라는 메시지가 나올 경우, 예상되는 에러 및 조치는?

  1. 드라이브에 부팅 가능한 디스크가 없는 경우로 부팅 가능한 디스크로 재부팅한다.
  2. command.com 파일이 깨졌거나 없어진 경우로 파일을 복사해 준다.
  3. 롬 칩이 고장 난 경우로 CMOS 설정을 확인하고 재설정한다.
  4. 하드디스크의 부트 영역이 손상된 것으로 다시 포맷한다.
(정답률: 87%)
  • "Bad or missing Command Interpreter" 메시지는 command.com 파일이 깨졌거나 없어졌을 때 나타나는 에러 메시지입니다. 이 파일은 MS-DOS 운영체제에서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파일이 없거나 손상되면 운영체제가 명령어를 인식하지 못하고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게 됩니다. 이 경우에는 command.com 파일을 복사해 주는 것이 해결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현재 운영하고 있는 Web 서버에 사용자가 급증하여 응답 시간이 현저히 늦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경우 시스템의 응답 시간을 빠르게 하기 위한 조치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CPU 사용량을 확인하여, Web 서버 컴퓨터를 CPU가 여러 개로 구성된 병렬 컴퓨터 시스템으로 교체한다.
  2. 네트워크 전송량을 확인하여, Web 서버 컴퓨터가 연결된 전용선을 좀 더 용량이 큰 회선으로 교체한다.
  3.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하여, Web 서버 컴퓨터의 주기억(Main Memory) 장치 용량을 늘린다.
  4. 하드디스크 사용 빈도를 확인하여, Web 서버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용량을 늘린다.
(정답률: 78%)
  • 하드디스크 사용 빈도를 확인하여, Web 서버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용량을 늘리는 것은 잘못된 방법입니다. 하드디스크 용량을 늘리는 것은 저장 용량을 늘리는 것이지, 시스템의 응답 시간을 빠르게 하는 것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방법은 CPU 사용량, 네트워크 전송량, 메모리 사용량 등을 확인하여 적절한 대응 방안을 수립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컴퓨터 부팅 중에 'BIOS Check Sum Error' 메시지가 출력되었을 때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1. 메인보드의 배터리를 교체한다.
  2. 키보드 커넥터를 확인한다.
  3. 메인 메모리를 교체한다.
  4. CPU를 교체한다.
(정답률: 87%)
  • BIOS Check Sum Error는 메인보드의 BIOS에 저장된 설정값들이 손상되었을 때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이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메인보드의 배터리를 교체해야 합니다. 배터리는 BIOS 설정값을 유지하기 위한 전원 공급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배터리가 손상되거나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BIOS 설정값이 초기화되어 오류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BIOS 설정의 내용 중에서 부트 섹터와 파티션 테이블에 기록이 되지 않도록 설정 할 때 사용되는 메뉴는?

  1. CPU Cache
  2. Anti Virus Protection
  3. ROM BIOS Shadow
  4. Power Management
(정답률: 83%)
  • "Anti Virus Protection" 메뉴는 BIOS 설정에서 부팅 시스템에 악성 코드가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메뉴를 활성화하면 부트 섹터와 파티션 테이블에 기록이 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악성 코드가 부팅 섹터나 파티션 테이블에 침투하여 시스템을 감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POST 과정의 순서가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시스템 버스 테스트 - 그래픽 카드 테스트 - 메모리 테스트 - 키보드 테스트 - 디스크 테스트 - P&P 기능 동작 - CMOS 내용확인 - DMI 기능 동작
  2. DMI 기능 동작 - 그래픽 카드 테스트 - 메모리 테스트 - 키보드 테스트 - 디스크 테스트 - P&P 기능 동작 - CMOS 내용확인 - 시스템 버스 테스트
  3. 시스템 버스 테스트 - P&P 기능 동작 - 메모리 테스트 - 키보드 테스트 - 디스크 테스트 - 그래픽 카드 테스트 - CMOS 내용확인 - DMI 기능 동작
  4. 시스템 버스 테스트 - CMOS 내용확인 - 그래픽 카드 테스트 - 메모리 테스트 - 키보드 테스트 - P&P 기능 동작 - 디스크 테스트 - DMI 기능 동작
(정답률: 84%)
  • POST 과정은 컴퓨터 부팅 시 하드웨어의 기능을 테스트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시스템 버스 테스트부터 시작하여 그래픽 카드, 메모리, 키보드, 디스크 등의 하드웨어를 순차적으로 테스트하고, 마지막으로 CMOS 내용 확인과 DMI 기능 동작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스템 버스 테스트 - 그래픽 카드 테스트 - 메모리 테스트 - 키보드 테스트 - 디스크 테스트 - P&P 기능 동작 - CMOS 내용확인 - DMI 기능 동작"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일반적으로 Windows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다음 BIOS항목 중에서 Enable로 설정하는 것이 타당한 것은?

  1. CPU internal cache, External cache, Quick power on self test,
  2. Boot up Floppy seek, Boot sequence, External cache
  3. OS/2 onboard Memory>64M, Floppy Disk Access control, PC2/VGA palette snoop
  4. CPU internal cache, Quick power on self test, onboard FDC Controller,
(정답률: 78%)
  • 일반적으로 Windows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CPU internal cache, External cache, Quick power on self test를 Enable로 설정하는 것이 타당합니다.

    CPU internal cache와 External cache는 CPU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Quick power on self test는 컴퓨터 부팅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기능입니다.

    하지만 Boot up Floppy seek와 Boot sequence는 부팅 시 디스크 드라이브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데 사용되는데, 현재는 대부분의 컴퓨터가 하드 디스크를 우선순위로 부팅하기 때문에 설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OS/2 onboard Memory>64M, Floppy Disk Access control, PC2/VGA palette snoop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기능이므로 설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CPU internal cache, External cache, Quick power on self test를 Enable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타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바이오스의 기본적인 역할이 아닌 것은?

  1. 부팅 정보 내장
  2. 하드웨어 진단
  3. 하드디스크 파티션
  4. 파일 입/출력 제어
(정답률: 77%)
  • 바이오스는 컴퓨터의 부팅 정보를 내장하고, 하드웨어 진단을 수행하며, 파일 입/출력을 제어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하드디스크 파티션은 운영체제가 설치되는 공간을 나누는 작업으로, 바이오스의 역할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하드디스크 파티션"은 바이오스의 기본적인 역할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오버클럭킹(Over Clocking)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인텔 i5-2500K CPU는 배수락이 해제된 프로세서로 오버클러킹에 유리하다.
  2. 배수 변경에 의한 오버클럭은 메모리 부분 클럭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3. CMOS의 CPU Core Voltage 에서 전압을 높여주면 오버클럭 헤드룸이 향상되나 지나치게 높은 경우 부품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4. 보드에서 지원하지 않는 베이스클럭으로도 오버 할 수 있다.
(정답률: 77%)
  • "보드에서 지원하지 않는 베이스클럭으로도 오버 할 수 있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보드에서 지원하는 베이스클럭을 넘어서는 클럭으로 오버클럭을 시도하면 시스템이 불안정해지거나 부팅 자체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보드에서 지원하는 범위 내에서만 오버클럭을 시도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VDT 증후군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전자파
  2. 작업자와 스크린과의 거리
  3. 화면의 크기와 밝기
  4. 시스템 내부의 먼지
(정답률: 88%)
  • VDT 증후군의 원인은 전자파, 작업자와 스크린과의 거리, 화면의 크기와 밝기 등이 있지만, 시스템 내부의 먼지는 VDT 증후군의 원인이 아닙니다. 시스템 내부의 먼지는 컴퓨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VDT 증후군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PC네트워크

46. 도메인 이름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com : 상업적인 회사
  2. edu : 학교 등 교육기관
  3. mil : 국제단체
  4. org : 비영리단체
(정답률: 90%)
  • 정답은 "mil : 국제단체"이다. mil은 군사 기관을 위한 도메인 이름이다. 국제단체를 위한 도메인 이름은 in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E-Mail을 보낼 때 이용하게 되는 프로토콜은?

  1. Telnet
  2. FTP
  3. SMTP
  4. NNTP
(정답률: 83%)
  • E-Mail을 보낼 때 이용하는 프로토콜은 SMTP이다. SMTP는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이메일을 보내는 데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이다. 이메일 클라이언트에서 작성한 이메일을 SMTP 서버로 전송하면, SMTP 서버는 수신자의 이메일 서버로 이메일을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이메일의 제목, 본문, 수신자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네트워크에 공유된 자원에 접근을 제한하는 방법으로서 서버급 OS에서 사용하는 사용권한 설정 기능에 해당 하는 것은?

  1. 인증
  2. 접근제어
  3. 봉쇄
  4. 보안검사
(정답률: 87%)
  • 접근제어는 네트워크에 공유된 자원에 접근을 제한하는 방법으로, 서버급 OS에서 사용하는 사용권한 설정 기능에 해당합니다. 이 기능을 통해 사용자들은 자신이 필요로 하는 자원에만 접근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자원에는 접근할 수 없습니다. 이를 통해 보안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Windows에서 TCP/IP를 구성하기 위해 지정하는 항목으로 잘못된 것은?

  1. IPX/SPX 주소
  2. IP 주소
  3. DNS 서버 주소
  4. Gateway 주소
(정답률: 83%)
  • IPX/SPX 주소는 Windows에서 TCP/IP를 구성하는 항목이 아닙니다. IPX/SPX는 Novell NetWare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IPX/SPX 주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응용 계층에서 성격이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상호 변환하여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는?

  1. Repeater
  2. Bridge
  3. Gateway
  4. Hub
(정답률: 78%)
  • Gateway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 프로토콜이나 데이터 형식 등이 다른 네트워크 간의 변환을 수행한다. 따라서 응용 계층에서 성격이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상호 변환하여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 Gateway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