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정비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4-22)

PC정비사 2급
(2018-04-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PC유지보수

1. Windows에서 지원하는 디스크 관리 프로그램이다. 이들 가운데 디스크 에러를 검사하거나 디스크를 최적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아닌 것은?

  1. 디스크 정리
  2. 디스크 검사
  3. Auslogics Disk Defrag
  4. RecoveryDesk
(정답률: 79%)
  • RecoveryDesk는 디스크 에러를 검사하거나 디스크를 최적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아니라, 삭제된 파일을 복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Windows의 레지스트리 구조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Windows 환경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곳은?

  1. HKEY_CLASSES_ROOT
  2. HKEY_CURRENT_USER
  3. HKEY_LOCAL_MACHINE
  4. HKEY_USERS
(정답률: 79%)
  • HKEY_CURRENT_USER는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Windows 환경 설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레지스트리 키입니다. 따라서 이곳에서는 사용자가 설정한 환경 변수, 화면 해상도, 마우스 설정 등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하드디스크 포맷 후 사용자가 실제 쓸 수 있는 용량이 하드디스크에 표기된 것보다 적은 이유는?

  1. 하드디스크에 오류가 있어 쓸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든 것이다.
  2. 하드디스크 포맷에 필요한 기본 용량 때문이다.
  3. 하드디스크 전체 용량의 10%는 파티션 테이블을 위한 공간이기 때문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다.
  4. 하드디스크 제조업체에서는 1KB를 1000Byte로 계산하지만 실제로는 1024Byte로 계산된다.
(정답률: 92%)
  • 하드디스크 제조업체에서는 1KB를 1000Byte로 계산하지만 실제로는 1024Byte로 계산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컴퓨터에 바이러스가 감염되었을 때 나타나는 증상이 아닌 것은?

  1. 컴퓨터의 속도가 평상시보다 빨라진다.
  2. 프로그램이 잘못된 동작을 한다.
  3. 파일의 크기가 커진다.
  4. 컴퓨터가 부팅이 되지 않는다.
(정답률: 90%)
  • 정답: "컴퓨터의 속도가 평상시보다 빨라진다."

    해설: 바이러스는 컴퓨터의 자원을 사용하여 작동하기 때문에 컴퓨터의 속도가 느려지는 것이 일반적인 증상입니다. 따라서, 컴퓨터의 속도가 평상시보다 빨라진다는 것은 바이러스 감염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원인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최근에 하드웨어를 업그레이드하거나, 시스템을 최적화한 경우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인터넷에 연결된 호스트 컴퓨터에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인터넷 공유할 때 허브를 사용하지 않고 인터넷을 공유하기 위해 필요한 준비물로 잘못된 것은?

  1. 크로스오버 케이블선
  2.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있어야 할 랜카드 1개
  3. 호스트 컴퓨터에 있어야 할 랜카드 1개
  4.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있어야 할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정답률: 74%)
  • 정답은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있어야 할 랜카드 1개"입니다. 인터넷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호스트 컴퓨터에 랜카드 1개가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해 인터넷 신호를 받아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전달합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랜카드가 있어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크로스오버 케이블선은 호스트 컴퓨터와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인터넷 공유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Firmware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하드웨어의 기능 추가 및 변경이 불가능
  2.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간 성격
  3. BIOS는 PC의 기본적 입출력을 기능을 제어하는 펌웨어의 일종
  4. ROM에 저장되는 마이크로컴퓨터 프로그램이 해당
(정답률: 81%)
  • "하드웨어의 기능 추가 및 변경이 불가능"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Firmware는 하드웨어의 기능을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이 업그레이드되는 것은 Firmware의 업데이트로 가능합니다. Firmware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간 성격을 가지며, BIOS는 PC의 기본적 입출력을 제어하는 펌웨어의 일종이며, ROM에 저장되는 마이크로컴퓨터 프로그램이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Windows의 레지스트리와 관련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레지스트리는 Windows의 모양과 동작을 결정하는 모든 구성 설정을 나열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집합을 말한다.
  2.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고 신뢰할 수 있는 원본에서 변경하도록 지시한 레지스트리 값만 변경하는 것이 권장 된다.
  3. Windows 7 Professional 의 레지스트리는 총 12개의 루트 키를 가지고 있다.
  4. 레지스트리 클리너는 신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게시자의 프로그램만 사용해야 한다.
(정답률: 87%)
  • 잘못된 것은 "Windows 7 Professional 의 레지스트리는 총 12개의 루트 키를 가지고 있다." 이다. Windows 7 Professional의 레지스트리는 총 5개의 루트 키를 가지고 있다. (HKEY_CLASSES_ROOT, HKEY_CURRENT_USER, HKEY_LOCAL_MACHINE, HKEY_USERS, HKEY_CURRENT_CONFIG)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Windows 7에서 파일을 삭제할 때 휴지통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삭제하는 단축키는?

  1. Ctrl + Tab + Delete키
  2. Ctrl + Delete키
  3. Shift + Delete키
  4. Ctrl + Shift + Delete키
(정답률: 87%)
  • 정답은 "Shift + Delete키"입니다. 이는 파일을 휴지통으로 보내지 않고 바로 삭제하는 단축키입니다. Shift 키를 누른 채로 Delete키를 누르면 파일이 영구적으로 삭제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파일을 삭제할 때 휴지통을 이용하는 단축키이거나,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단축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인터넷 사용자에게 강제적인 광고를 사용자 PC에 띄워서 사용자의 불편과 프라이버시 침해를 야기하는 악성 애드웨어의 사례들이다. 악성 애드웨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사용자가 조작하지 않는데도 PC 네트워크가 송수신 작업을 하거나, 하드디스크 포맷, 백도어 오픈 등 프로그램에 의해 숨겨진 작업을 한다.
  2. 특정 사이트로 시작페이지를 고정하고 사용자가 변경하지 못하게 한다.
  3. 다른 회사의 팝업광고를 가로채어 자신의 팝업광고로 대체한다.
  4. 악성툴바 등을 사용하여 사이트 방문정보 등을 유출한다.
(정답률: 74%)
  • 사용자가 조작하지 않는데도 PC 네트워크가 송수신 작업을 하거나, 하드디스크 포맷, 백도어 오픈 등 프로그램에 의해 숨겨진 작업을 하는 것은 악성 애드웨어의 특징 중 하나인 백도어(backdoor) 기능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백도어는 사용자의 동의 없이 컴퓨터 시스템에 접근하고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이를 통해 해커나 악성코드 제작자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탈취하거나, 컴퓨터를 원격으로 조작하여 악의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이 포함된 악성 애드웨어는 매우 위험하며, 즉시 제거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Windows 7 Professional의 안전모드 옵션으로 잘못된 것은?

  1. 컴퓨터 복구
  2. 저해상도 비디오 사용(640x480)
  3. 시스템 오류 시 자동 다시 시작 사용 안 함
  4. XVGA 모드 사용
(정답률: 84%)
  • Windows 7 Professional의 안전모드 옵션 중에서 잘못된 것은 "XVGA 모드 사용" 입니다. 이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옵션입니다. Windows 7 Professional의 안전모드 옵션은 "컴퓨터 복구", "저해상도 비디오 사용(640x480)", "시스템 오류 시 자동 다시 시작 사용 안 함" 이렇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빠른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여러 드라이브에 분산 저장하며 여분의 정보를 기록하지 않기 때문에 성능은 매우 뛰어나지만 어느 한 드라이브에서 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데이터는 손실되는 방식의 RAID는?

  1. RAID 0
  2. RAID 1
  3. RAID 3
  4. RAID 5
(정답률: 81%)
  • RAID 0은 여러 드라이브에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여 빠른 입출력을 가능하게 하지만, 데이터를 여러 드라이브에 분산 저장하기 때문에 어느 한 드라이브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데이터가 손실됩니다. 따라서 RAID 0는 데이터의 안정성을 보장하지 않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Windows 7 Professional의 로그오프/사용자 전환 옵션에 관련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Windows에서 로그오프하면 사용하던 프로그램은 모두 닫히지만 컴퓨터는 꺼지지 않는다.
  2. 원격 데스크톱 연결 등을 사용하여 원격 컴퓨터에 로그온한 경우에도 해당 컴퓨터에서 빠른 사용자 전환을 사용할 수 있다.
  3. 로그오프한 후에는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지 않고도 다른 사용자가 로그온할 수 있다.
  4. 열려 있는 파일이 자동으로 저장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를 전환하기 전에 열려 있는 파일을 모두 저장해야 한다.
(정답률: 70%)
  • 정답은 "Windows에서 로그오프하면 사용하던 프로그램은 모두 닫히지만 컴퓨터는 꺼지지 않는다." 이다.

    원격 데스크톱 연결 등을 사용하여 원격 컴퓨터에 로그온한 경우에도 해당 컴퓨터에서 빠른 사용자 전환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맞다.

    로그오프한 후에는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지 않고도 다른 사용자가 로그온할 수 있다는 것도 맞다.

    열려 있는 파일이 자동으로 저장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를 전환하기 전에 열려 있는 파일을 모두 저장해야 한다는 것도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마우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때 키보드만을 이용하여 작업 전환을 하는 여러 가지 방안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Alt+Tab키를 누른 후 나타난 작업리스트 창에서 Alt키를 누른 상태에서 Tab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작업 위치로 포커스를 이동하여 전환한다.
  2. Ctrl+W키를 이용하면 비 활성화된 모든 창을 한꺼번에 활성화 시킬 수 있다.
  3. Alt+Esc키를 이용하면 창을 연 순서대로 창을 하나씩 활성화 시킬 수 있다.
  4. 전체화면모드로 이용하던 Internet Explorer를 창 모드로 또는 창 모드로 이용하던 프로그램을 전체화면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Alt+Enter를 누르면 된다.
(정답률: 84%)
  • 잘못된 것은 "Ctrl+W키를 이용하면 비 활성화된 모든 창을 한꺼번에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다. Ctrl+W키는 현재 활성화된 창을 닫는 단축키이다. 따라서 비 활성화된 창을 활성화 시키는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개발된 소프트웨어로 표 계산이나 그래픽 작업 등 특별한 기능을 수행한다.
  2. 주 기억 장치와 보조 기억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과 유지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3.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4. 작업의 안전하고 정확한 처리를 위해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을 관리한다.
(정답률: 80%)
  •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개발된 소프트웨어로 표 계산이나 그래픽 작업 등 특별한 기능을 수행한다."는 운영체제의 역할과는 관련이 없는 소프트웨어의 설명이기 때문에 잘못된 것이다. 운영체제는 주 기억 장치와 보조 기억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과 유지 관리,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하며, 작업의 안전하고 정확한 처리를 위해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제시된 컴퓨터 상황이 바이러스의 감염과 관련 없는 것은?

  1. 화면에 이상한 글이 표시 된다.
  2. 몇몇 파일이나 프로그램이 갑자기 사라진다.
  3. 컴퓨터에서 고주파음이 난다.
  4. 컴퓨터 부팅시간이 평소보다 오래 걸린다.
(정답률: 90%)
  • 컴퓨터에서 고주파음이 나는 것은 하드웨어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바이러스는 소프트웨어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고주파음은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운영체제

16. CD-R과 CD-RW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CD-R에서 한번 기록한 부분은 다시 기록할 수 없다.
  2. CD-R은 상변화 방식으로 기록한다.
  3. 두 장치 모두 패킷저장 방식으로 저장 시 포맷을 해야한다.
  4. CD-RW는 염료를 태우는 방식으로 기록한다.
(정답률: 72%)
  • CD-R은 상변화 방식으로 기록되기 때문에 한번 기록한 부분은 더 이상 수정이 불가능하다. 상변화 방식은 레이저로 디스크의 표면을 변화시켜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식으로, 한번 기록한 부분은 더 이상 수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CD-R은 일회성으로 사용되며,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새로운 디스크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볼을 직접 굴려 작동하는 형태의 마우스는?

  1. 볼 마우스
  2. 터치 패드
  3. 포인팅 스틱
  4. 트랙볼 마우스
(정답률: 86%)
  • 트랙볼 마우스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볼을 직접 굴려 작동하는 형태의 마우스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볼이 없거나, 손가락으로 직접 조작하지 않는 형태의 마우스이기 때문에 정답은 트랙볼 마우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래픽카드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케이블을 통해서 모니터로 보내는 컴퓨터 전자부품이다.
  2. VGA가 발표되면서부터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방식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바뀌었다.
  3. 그래픽카드는 비디오칩과 비디오 메모리, DAC로 구성되어 있다.
  4. 메인 보드에 그래픽 카드를 장착할 수 있는 슬롯의 종류는 AGP, PCI-Express 등이 있다.
(정답률: 71%)
  • 잘못된 설명은 "VGA가 발표되면서부터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방식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바뀌었다." 이다. VGA는 아날로그 신호를 사용하며,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는 DVI, HDMI 등은 이후에 발표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동급 해상도임에도 불구하고 레이저 프린터에 비해 잉크젯 프린터 출력물이 덜 선명한 이유로 올바른 것은?

  1. 출력 속도가 느리기 때문이다.
  2. 레이저 프린터는 반드시 레이저 프린터 전용 용지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3. 잉크 방울이 종이에 닿는 순간 번짐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4. 잉크를 녹이는 온도가 약해서이다.
(정답률: 87%)
  • 잉크젯 프린터는 작은 잉크 방울을 종이 위에 뿌리는 방식으로 출력물을 만들어내는데, 이 때 잉크 방울이 종이에 닿는 순간 번짐 현상이 일어나면서 선명도가 떨어지게 된다. 이는 종이의 흡수력이나 잉크의 특성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급 잉크젯 프린터는 특수한 종이나 잉크를 사용하거나, 인쇄 해상도를 높이는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CD-ROM은 CD를 삽입하는 방식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데 다음 중 방식이 다른것은?

  1. EIDE 방식
  2. 캐디 방식
  3. 트레이 방식
  4. 슬롯 방식
(정답률: 73%)
  • EIDE 방식은 CD-ROM 드라이브를 컴퓨터의 IDE 포트에 연결하는 방식이며, 나머지 방식들은 CD-ROM 드라이브에 CD를 삽입하는 방식에 따라 분류된다. 즉, EIDE 방식은 연결 방식에 대한 분류이고 나머지 방식들은 물리적인 삽입 방식에 대한 분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L2 캐시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CPU와 주기억 장치간의 데이터 병목 현상을 줄이기 위해 사용된다.
  2. 일반적으로 L2 캐시의 용량이 작을수록 컴퓨터의 수행 속도는 빨라진다.
  3. 컴퓨터 내의 캐시 메모리의 계층들이다.
  4. L1 캐시보다 약간 크고, CPU에 사용되는 두 번째 레벨이다.
(정답률: 86%)
  • "일반적으로 L2 캐시의 용량이 작을수록 컴퓨터의 수행 속도는 빨라진다." 이 보기가 잘못되었다. L2 캐시의 용량이 작을수록 캐시 미스(miss)가 더 자주 발생하게 되어 CPU가 메인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야 하므로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L2 캐시의 용량이 클수록 컴퓨터의 수행 속도는 빨라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듀얼 코어(Dual Core)를 사용하는 CPU가 아닌 것은?

  1. 애슬론II-X2 레고르 245
  2. 펜티엄 울프데일 E6300
  3. 펜티엄 울프데일 E5300
  4. 페넘II-X3 헤카 710
(정답률: 77%)
  • 페넘II-X3 헤카 710은 삼중 코어(Triple Core)를 사용하는 CPU이기 때문에, 듀얼 코어(Dual Core)를 사용하는 CPU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Monitor와 Video Card와의 관계를 설명한 것 중 잘못된 것은?

  1. VGA Monitor일 경우 16,777,216(True Color)가지 색상을 표현하는데 문제가 없다.
  2. D-SUB 방식을 사용하는 Monitor에서 Video신호 입력 조건은 75Ω을 연결한 상태에서 최대 0.7V 까지가 일반적이다.
  3. Monitor는 Video Card의 신호(정보 처리 내용)에 따라 Display하는 주변 장치이다.
  4. Video Card에서 구현하는 색상 수는 Monitor형태에 의해 결정된다.
(정답률: 70%)
  • "Video Card에서 구현하는 색상 수는 Monitor형태에 의해 결정된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실제로는 Video Card가 지원하는 색상 수가 Monitor가 지원하는 색상 수보다 적을 수 있으며, 이 경우 Video Card가 지원하는 최대 색상 수로 제한된다. 따라서 Video Card와 Monitor는 서로 호환 가능한 색상 수를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디지털 카메라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OCR을 이용하기에 적합하다.
  2. 일반적으로 성능은 영상의 해상도에 의해 결정된다.
  3. CCD를 통해서 외부 영상이 카메라로 저장될 수 있다.
  4. 액정화면, 렌즈, 메모리카드 등으로 구성된다.
(정답률: 69%)
  • 디지털 카메라는 OCR(광학 문자 인식)을 이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OCR은 인쇄된 글자나 문자를 인식하는 기술인데, 디지털 카메라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OCR을 이용하려면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를 컴퓨터나 스캐너를 통해 따로 처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사운드 카드 구입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전이중 전송 방식 지원 여부
  2. 3D 그래픽 가속 지원 여부
  3. 다이렉트X와 호환 여부
  4. 3D 음향이나 에코 효과 등의 지원 여부
(정답률: 80%)
  • 사운드 카드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고 출력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3D 그래픽 가속 지원 여부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사운드 카드를 구입할 때는 3D 그래픽 가속 지원 여부를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인텔의 메인보드 칩셋들은 기존의 Bridge 아키텍처를 채택하고 있다. 이 아키텍처에 사용되는 ICH의 약자는?

  1. Integrated Connection Hub
  2. Interconnect Channel Hub
  3. Interoperation Conversion Hub
  4. I/O Controller Hub
(정답률: 71%)
  • ICH는 "I/O Controller Hub"의 약자로, 이는 인텔 메인보드 칩셋에서 사용되는 아키텍처인 Bridge 아키텍처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ICH는 CPU와 다양한 입출력 장치 간의 통신을 관리하며, 이를 통해 시스템의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키고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ICH는 인텔 메인보드 칩셋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종료(Termination) 설정이 필요 없는 장치는?

  1. 스카시 호스트 어댑터
  2.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성
  3. 스카시를 이용한 스캐너
  4. UTP 케이블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성
(정답률: 75%)
  • UTP 케이블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성은 전기적인 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종료 설정이 필요 없습니다. 반면, 스카시 호스트 어댑터와 스카시를 이용한 스캐너는 전기적인 신호를 사용하므로 종료 설정이 필요합니다.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성도 전기적인 신호를 사용하므로 종료 설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CD-ROM 드라이브의 인터페이스 방식이 아닌 것은?

  1. EIDE
  2. SATA
  3. PS2
  4. USB
(정답률: 59%)
  • PS2는 마우스와 키보드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방식이며, CD-ROM 드라이브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EIDE, SATA, USB는 모두 CD-ROM 드라이브와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PC의 버스에 사용되는 종류가 아닌 것은 ?

  1. ISA BUS
  2. PCI-Express BUS
  3. PCI BUS
  4. PCX BUS
(정답률: 72%)
  • "PCX BUS"는 PC의 버스 종류 중에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것이 주어진 보기에서 정답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DDR400 규격의 램 두 개를 Dual Channel을 지원하는 메인보드에 장착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최대 이론적 전송대역은?

  1. 800MB/s
  2. 1600MB/s
  3. 3200MB/s
  4. 6400MB/s
(정답률: 70%)
  • DDR400은 400MHz의 클럭 속도를 가지며, Dual Channel을 지원하는 메인보드에 램 두 개를 장착하면 전송 대역폭이 두 배가 된다. 따라서, 최대 이론적 전송대역은 400MHz x 2 (Dual Channel) x 64bit (한 번에 전송되는 데이터 비트 수) / 8 (바이트로 변환) = 6400MB/s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PC주변기기

31. BIOS 설정을 위한 암호를 잊어버렸을 경우, 암호를 초기화하거나 찾기 위한 적합한 해결 방법은?

  1. Windows Registry의 BIOS 항목을 수정한 후 컴퓨터를 다시 부팅한다.
  2. 메인보드의 전원을 차단한 후 다시 부팅한다.
  3. CMOS의 전원에 높은 전압을 가하여 BIOS 정보를 초기화 한다.
  4. CMOS 정보 삭제 점퍼를 찾아 점퍼를 꽂아 BIOS 정보를 초기화 한다.
(정답률: 78%)
  • CMOS 정보 삭제 점퍼를 찾아 점퍼를 꽂아 BIOS 정보를 초기화하는 것은 BIOS 설정을 저장하는 CMOS 메모리를 초기화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BIOS 암호를 초기화하거나 찾기 위한 가장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다른 방법들은 BIOS 설정과는 관련이 없거나, 복잡하거나, 위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컴퓨터를 사용하는 도중 갑자기 정전되면 작업 중인 데이터를 잃어버리거나 심한 경우 시스템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게 된다. 갑작스런 정전이 발생할 경우 일정 시간동안 전기를 공급하여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사용하도록 도와주는 장치는?

  1. AVR
  2. UPS
  3. CPS
  4. IPS
(정답률: 74%)
  • 정전이 발생하면 전기를 공급할 수 없기 때문에 시스템이 갑작스럽게 종료될 수 있습니다. 이때,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는 일정 시간동안 전기를 공급하여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갑작스런 정전으로 인한 데이터 손실이나 시스템 손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BIOS를 업그레이드할 때 주의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BIOS 업그레이드 중간에 전원이 꺼지면 부팅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2. Windows 환경에서 BIOS를 업그레이드 할 수도 있다.
  3. BIOS 업그레이드 후에는 반드시 Format 하여 Windows를 재설치 해야 한다.
  4. 최신 버전의 BIOS는 ROM이나 BIN 파일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정답률: 81%)
  • 정답: "BIOS 업그레이드 후에는 반드시 Format 하여 Windows를 재설치 해야 한다."

    이유: BIOS 업그레이드는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것이므로, Windows 운영체제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따라서 BIOS 업그레이드 후에는 Windows를 재설치할 필요가 없다. 다만, BIOS 업그레이드를 진행하다가 전원이 갑자기 꺼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컴퓨터가 부팅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원 공급이 안정적인 상태에서 업그레이드를 진행해야 한다. 또한, BIOS 업그레이드를 위해 ROM이나 BIN 파일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정확하게 다운로드하고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TCP/IP를 이용한 접속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이더넷 카드가 슬롯에 장착되면 PnP 기능에 의해 자동으로 설치된다.
  2. 고정 IP를 사용하는 경우, TCP/IP 설정은 IP 주소, 서브넷마스크, DNS, 게이트웨이 주소를 입력한다.
  3. 네트워크 대화상자에 클라이언트, 어댑터, 프로토콜, 서비스 등을 추가한다.
  4. 파일/프린트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구성요소의 프로토콜에서 파일/프린트 공유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정답률: 56%)
  • 정답은 "파일/프린트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구성요소의 프로토콜에서 파일/프린트 공유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이다. TCP/IP 프로토콜은 파일/프린트 공유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는다. 파일/프린트 공유를 위해서는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파일/프린트 공유 기능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일반적으로 Award BIOS에서 부트섹터에 어떠한 정보도 기록하지 못하도록 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메뉴는?

  1. Video ROM BIOS Shadow
  2. UART2 Use Infrared
  3. Boot Sequence
  4. Anti Virus Protection
(정답률: 77%)
  • "Anti Virus Protection" 메뉴는 부팅 시스템에 바이러스가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트섹터에 어떠한 정보도 기록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보안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지속적인 컴퓨터 사용이나 신체의 노출로 인한 육체적 질병을 의미하는 것은?

  1. TCO
  2. VDT
  3. VLF
  4. EMI
(정답률: 83%)
  • VDT는 Visual Display Terminal의 약자로,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시각적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칭합니다. 지속적인 VDT 사용은 시력 문제와 더불어 두통, 어깨 통증, 목 뻣뻣함 등의 육체적 질병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용어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오디오 채널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5.1 채널에서 센터, 전방좌우, 후방좌우는 각각 1채널을 갖는다.
  2. 5.1 채널에서 서브우퍼는 저음신호를 담당하며, 0.1 채널을 갖는다.
  3. 외부 앰프가 필요한 서브우퍼를 액티브 서브우퍼라 부른다.
  4. 최근 6.1채널, 7.1 채널까지 확장된 규격이 출시되고 있다.
(정답률: 78%)
  • "외부 앰프가 필요한 서브우퍼를 액티브 서브우퍼라 부른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실제로는 외부 앰프가 필요하지 않고 내장된 앰프를 가지고 있는 서브우퍼를 액티브 서브우퍼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바이오스(BIOS) 업그레이드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Windows에서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메인보드도 있다.
  2. 업그레이드 도중에 컴퓨터의 전원을 꺼서는 안 된다.
  3. 메인보드에 바이오스 쓰기 프로텍트(protect)가 걸려있는 경우 쓰기금지를 해제 후 업그레이드 한다.
  4. 바이오스를 업그레이드 할 때는 반드시 메인보드의 배터리를 제거한 후 진행한다.
(정답률: 83%)
  • "바이오스를 업그레이드 할 때는 반드시 메인보드의 배터리를 제거한 후 진행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바이오스 업그레이드를 위해 배터리를 제거할 필요는 없으며, 이는 오히려 바이오스 설정이 초기화되어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다만, 업그레이드 도중에 전원이나 시스템이 갑자기 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보장되는 환경에서 업그레이드를 진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사용하기 위한 명령어는?

  1. regedit
  2. register
  3. regset
  4. regconfig
(정답률: 87%)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는 "regedit" 입니다. 이는 "register", "regset", "regconfig" 와는 다르게 레지스트리를 편집하기 위한 공식적인 도구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하드디스크를 RAID로 구성하고자 할때 확인해야 하는 것은?

  1. 모니터
  2. 주기억장치 타입
  3. 메인보드 지원유무
  4. IRQ 설정
(정답률: 80%)
  • RAID는 하드디스크를 여러 개 묶어서 하나의 논리적인 드라이브로 인식하게 만드는 기술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메인보드가 RAID를 지원해야 합니다. 메인보드가 RAID를 지원하지 않으면 RAID를 구성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메인보드의 RAID 지원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RAID 구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NTFS 파일시스템에서 부팅과정에서 읽어들이는 부분으로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의 정보DB를 담아 놓은 것은?

  1. VFAT
  2. MFT
  3. PROM
  4. CMOS
(정답률: 46%)
  • NTFS 파일시스템에서 부팅과정에서 읽어들이는 부분으로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의 정보DB를 담아 놓은 것은 MFT (Master File Table)입니다. MFT는 NTFS 파일시스템에서 파일 및 디렉토리의 속성, 위치, 크기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따라서 부팅과정에서 MFT를 읽어들여 파일 시스템을 구성하고 파일을 찾아내는 것이 가능합니다. VFAT, PROM, CMOS는 모두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기술이며, NTFS 파일시스템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시스템의 부팅 순서를 A 드라이브에서 C 드라이브 순으로 바꾸고 싶을 때, 적절한 조치는?

  1. 디스크 검사
  2. HDD 포맷
  3. BIOS 설정
  4. RAM 검사
(정답률: 86%)
  • BIOS는 컴퓨터의 부팅 순서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시스템의 부팅 순서를 변경하려면 BIOS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BIOS 설정에서 부팅 순서를 변경할 수 있으며, A 드라이브에서 C 드라이브 순으로 변경하려면 C 드라이브를 첫 번째로 설정하면 됩니다. 디스크 검사, HDD 포맷, RAM 검사는 부팅 순서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작업이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컴퓨터의 전자파 차단을 위한 규격으로 모니터에서 사용되는 인증 규격은?

  1. OSD
  2. TCO
  3. SPS
  4. ROHS
(정답률: 74%)
  • TCO는 "토탈 콜 오브너츠"의 약자로, 모니터의 안전성과 환경 친화성을 인증하는 규격 중 하나입니다. TCO 인증을 받은 모니터는 전자파 차단 기능을 포함하여 안전하고 환경 친화적인 제품으로 인정받습니다. 따라서 컴퓨터의 전자파 차단을 위한 규격으로 모니터에서 사용되는 인증 규격으로 TCO가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Windows의 파티션 관리 프로그램 FDISK로 할 수 없는 작업은?

  1. 분할 영역 생성 및 삭제
  2. 분할 영역에 관한 정보 열람
  3. 클러스터 크기 변경
  4. 분할 영역 활성화
(정답률: 81%)
  • FDISK는 파티션을 생성, 삭제, 활성화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지만, 클러스터 크기를 변경하는 작업은 수행할 수 없습니다. 이는 클러스터 크기는 파일 시스템의 일부이기 때문입니다. FDISK는 파티션 테이블을 조작하는 도구이며, 파일 시스템과 관련된 작업은 다른 도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클러스터 크기를 변경하려면 FDISK가 아닌 다른 도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컴퓨터를 부팅하자마자 'Press [F1] to continue'라는 메시지가 모니터에 나타난다. 그 원인으로 올바른 것은?

  1. 키보드 혹은 마우스 연결 불량
  2. CMOS의 그래픽 카드 설정 오류
  3. ROM BIOS 고장
  4. 캐시 메모리 불량
(정답률: 80%)
  • 키보드 혹은 마우스 연결 불량으로 인해 컴퓨터가 입력장치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확인하고 연결을 다시 해야 한다는 메시지가 나타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PC네트워크

46. 복사기 제조회사인 제록스(Xerox)에서 개발한 프로토콜의 개량형으로서 물리적으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상의 장치들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고 각 장비들의 위치를 추적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1. NetBIOS
  2. IPX
  3. TCP/IP
  4. AppleTalk
(정답률: 70%)
  • IPX는 네트워크상의 장치들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고 위치를 추적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입니다. 이는 제록스에서 개발한 프로토콜의 개량형으로서, 물리적으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상의 장치들 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줍니다. 따라서 IPX는 복사기 제조회사인 제록스에서 개발한 프로토콜의 개량형이며, 네트워크상의 장치들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고 위치를 추적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허브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가 부하가 심하다. 다음 중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 할 수 있는 장비는?

  1. Dumy Hub
  2. Bridge
  3. Switch
  4. Gateway
(정답률: 79%)
  • Switch는 허브와 달리 각 포트마다 독립적인 회선을 가지고 있어, 데이터 전송 시 충돌이 발생하지 않고 빠르게 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부하를 해결하기에 적합한 장비이다. 따라서 Switch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전자 메일의 사서함에 도착된 메일을 자신의 컴퓨터로 전송 받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과 기본 포트 번호가 올바른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POP/25
  2. SMTP/25
  3. POP/110
  4. SMTP/110
(정답률: 49%)
  • POP/110과 SMTP/25은 각각 전자 메일을 받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전자 메일을 보내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지만, POP/25와 SMTP/110은 존재하지 않는 포트 번호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정답은 "POP/110"과 "SMTP/25"입니다. POP/110은 전자 메일을 받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기본 포트 번호이며, SMTP/25는 전자 메일을 보내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기본 포트 번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라우터의 장점으로 잘못된 것은?

  1. 알고리즘에 따라 자동으로 경로가 결정되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2. 특정 프로토콜이나 하위 프로토콜 지원이 가능하고 복잡하므로 가격이 싸다.
  3. 환경설정이 가능하여 관리 방침에 따라 라우팅 방식이 결정되고 전체 네트워크의 성능이 개선된다.
  4. 네트워크 형상에 구애받지 않으므로 대규모 네트워크 구성이 용이하다.
(정답률: 82%)
  • 라우터는 특정 프로토콜이나 하위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가격이 싸다는 장점이 없습니다. 따라서, "특정 프로토콜이나 하위 프로토콜 지원이 가능하고 복잡하므로 가격이 싸다."는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전용선 사용자가 Internet의 'WWW'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반드시 설정해야 하는 값이 아닌 것은?

  1. DNS Address
  2. Proxy Address
  3. Subnet Mask
  4. Gateway Address
(정답률: 72%)
  • Proxy Address는 WWW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반드시 설정해야 하는 값이 아니다. Proxy Address는 인터넷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설정 값으로, WWW 서비스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DNS Address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기 위해 필요하고, Subnet Mask와 Gateway Address는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필요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