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정비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11-08)

PC정비사 2급
(2020-11-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PC유지보수

1. 다음 중 Windows 10 사용자가 듀얼모니터 또는 빔 프로젝터와 연결하고 복제, 확장 등의 기능을 빠르게 사용하기 위한 단축키는 무엇인가?

  1. 윈도우 로고 키 + P
  2. 윈도우 로고 키 + S
  3. 윈도우 로고 키 + E
  4. 윈도우 로고 키 + R
(정답률: 94%)
  • 정답은 "윈도우 로고 키 + P"이다. 이는 Windows 10에서 듀얼 모니터 또는 빔 프로젝터와 연결하고 복제, 확장 등의 기능을 빠르게 사용하기 위한 단축키이다. 이 단축키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빠르게 모니터 설정을 변경할 수 있으며, 복제, 확장 등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는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운영체제에서 발생하는 Interrupt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어떤 프로세스에게 주어진 시간 할당량이 종료했을 경우
  2. 어떤 하드웨어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3. 어떤 프로세스가 입출력을 위한 시스템 호출을 한 경우
  4. 어떤 프로세스가 시스템 내부의 다른 프로세스로부터 메시지를 받는 경우
(정답률: 85%)
  • 잘못된 설명은 "어떤 프로세스가 시스템 내부의 다른 프로세스로부터 메시지를 받는 경우"입니다. 이는 Interrupt와는 관련이 없는 개념으로, Inter-Process Communication(IPC)의 일종입니다. IPC는 프로세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거나 서로 통신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Interrupt는 운영체제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커니즘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프로세스에게 주어진 시간 할당량이 종료했을 경우, 하드웨어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어떤 프로세스가 입출력을 위한 시스템 호출을 한 경우 등이 Interrupt의 예시입니다. Interrupt는 운영체제가 이벤트를 즉시 처리하고, 해당 프로세스를 중단하고 다른 작업을 수행하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Windows 10 Pro 에서 NetBIOS over TCP/IP 를 사용해 프로토콜의 통계와 현재 TCP/IP 연결을 확인할때 사용하는 명령어는?

  1. ping
  2. nbtstat
  3. tracert
  4. netstat
(정답률: 73%)
  • 정답은 "nbtstat"입니다. 이 명령어는 NetBIOS over TCP/IP 프로토콜의 통계와 현재 TCP/IP 연결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ping"은 호스트에 대한 응답 시간을 확인하는 데 사용되며, "tracert"는 패킷이 네트워크를 통해 어떻게 전달되는지 추적하는 데 사용됩니다. "netstat"은 현재 열려있는 포트와 연결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Windows 10 Pro 에서 관리도구에 포함되지 않는 항목은?

  1. Windows 메모리 진단
  2. 구성 요소 서비스
  3. 작업 스케줄러
  4. 내게 필요한 옵션
(정답률: 83%)
  • 정답은 "내게 필요한 옵션"입니다. 이는 실제로 Windows 10 Pro에서 관리도구에 포함되지 않는 항목 중 하나이며, 이유는 이 옵션은 사용자가 직접 추가한 커스텀 항목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항목은 사용자에게 필요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유용한 옵션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각 멤버 디스크에 같은 데이터를 중복 기록해 멤버 디스크 중 하나만 살아남으면 데이터는 보존되며 복원도 1:1 복사로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서버 또는 연구목적 PC에서 혹시 모를 데이터 손실에 대비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식의 RAID는?

  1. RAID 0
  2. RAID 1
  3. RAID 3
  4. RAID 5
(정답률: 86%)
  • RAID 1은 각 멤버 디스크에 같은 데이터를 중복 기록해 데이터를 보존하고 복원하기 쉬운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RAID 방식들은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거나 패리티 정보를 이용해 데이터를 보호하는 방식이므로, RAID 1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가상 메모리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Page Fault
  2. Demand Paging
  3. Thrashing
  4. DMA
(정답률: 84%)
  • 정답은 "DMA"입니다. DMA는 직접 메모리 접근(Direct Memory Access)의 약자로, 입출력 장치가 시스템 버스를 통해 직접 메모리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가상 메모리와는 관련이 없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스케줄링(Scheduling)은 운영체제의 기능 중 하나이다. 스케줄링 기법 중 선점형(Preemptive) 기법에 해당하는 시스템은 무엇인가?

  1. 분산 처리 시스템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2. 다중 처리 시스템 (Multi-Processing System)
  3.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 (Multi-Programming System)
  4. 실시간 처리 시스템 (Real Time Processing System)
(정답률: 75%)
  • 실시간 처리 시스템은 정해진 시간 안에 작업을 완료해야 하는 실시간 시스템에서 사용되는데, 이 때 선점형 스케줄링 기법을 사용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이 중간에 들어와도 바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선점형 스케줄링 기법을 사용하는 시스템 중에서는 실시간 처리 시스템이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Windows 10 Pro 의 레지스트리 구조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HKEY_LOCAL_CONFIG
  2. HKEY_CURRENT_CONFIG
  3. HKEY_CLASSES_ROOT
  4. HKEY_USERS
(정답률: 73%)
  • "HKEY_LOCAL_CONFIG"은 Windows 10 Pro의 레지스트리 구조에 속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Windows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레지스트리 키는 "HKEY_LOCAL_MACHINE"과 "HKEY_CURRENT_USER" 두 가지입니다. "HKEY_LOCAL_CONFIG"는 존재하지 않는 키이므로 올바른 답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펌웨어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하드웨어의 기능 추가 및 변경이 불가능하다.
  2.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간 성격을 지닌다.
  3. BIOS는 PC의 기본적 입출력 기능을 제어하는 펌웨어의 일종이다.
  4. ROM에 저장되는 마이크로컴퓨터 프로그램이 해당된다.
(정답률: 83%)
  • "하드웨어의 기능 추가 및 변경이 불가능하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펌웨어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중간 성격을 가지며, 하드웨어의 기능을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스마트폰에서는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카메라 기능이 추가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운영체제에서 하드웨어를 인식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은?

  1. 레지스트리
  2. 압축프로그램
  3. 드라이버
  4. 유틸리티
(정답률: 87%)
  • 운영체제는 하드웨어를 인식하고 제어하기 위해 드라이버라는 프로그램을 필요로 합니다. 드라이버는 하드웨어와 운영체제 간의 통신을 담당하며, 하드웨어의 기능을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따라서 드라이버는 운영체제와 하드웨어 간의 중요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Windows 10 Pro 의 보조 프로그램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MS WORD
  2. 그림판
  3. 워드패드
  4. 캡처 도구
(정답률: 88%)
  • MS WORD는 워드 프로세서 소프트웨어로, Windows 10 Pro의 보조 프로그램이 아니라 독립적인 소프트웨어입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Windows 10 Pro의 기본적인 보조 프로그램으로 제공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음성을 위한 압축 포맷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OGG
  2. AVI
  3. VQF
  4. MP3
(정답률: 91%)
  • AVI는 비디오 파일 포맷이며, 음성을 위한 압축 포맷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OGG, VQF, MP3은 모두 음성을 위한 압축 포맷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운영체제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MS-DOS
  2. JINI
  3. UNIX
  4. Windows 10
(정답률: 91%)
  • JINI는 운영체제가 아니라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서로 다른 기기들 간의 통신을 위한 기술이기 때문에 운영체제의 범주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Windows 10 Pro 에서 실행되고 있는 창을 강제로 종료할 수 있는 단축키는?

  1. [Alt] + [F4]
  2. [Ctrl] + [Esc]
  3. [Ctrl] + [Enter]
  4. [Alt] + [Tab]
(정답률: 95%)
  • 정답은 "[Alt] + [F4]"이다. 이는 현재 실행 중인 창을 강제로 종료하는 단축키이다. 이 단축키를 누르면 현재 창이 바로 종료되며, 저장되지 않은 작업이 있다면 저장 여부를 묻는 창이 나타난다. 이 단축키는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매우 간단하고 빠르게 창을 종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Windows 에서 다음 ( a )와 ( b )에 들어갈 용어로 올바른 것은?

  1. a - 파일, b - 폴더
  2. a - 파일, b - 프로그램
  3. a - 폴더, b - 파일
  4. a - 폴더, b - 프로그램
(정답률: 93%)
  • 그림에서 첫 번째 아이콘은 파일을 나타내고, 두 번째 아이콘은 폴더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a는 파일이고 b는 폴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운영체제

16. 그래픽카드의 GPU(Graphic Processing Unit)가 병렬처리 프로세서로 널리 보급되는 주요 계기가 된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1. 마이크로 프로그래밍
  2. 그래픽 API
  3. JAVA 프로그래밍 언어
  4. CUDA 프로그래밍 모델
(정답률: 72%)
  • 정답: CUDA 프로그래밍 모델

    설명: CUDA 프로그래밍 모델은 NVIDIA에서 개발한 병렬처리 프로그래밍 모델로, 그래픽카드의 GPU를 활용하여 병렬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 모델은 그래픽 API나 JAVA 프로그래밍 언어와는 달리, GPU의 병렬처리 능력을 직접 활용할 수 있어서 그래픽카드의 GPU가 병렬처리 프로세서로 널리 보급되는 주요 계기가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IEEE 1284'는 무엇에 대한 규격인가?

  1. 직렬포트
  2. USB
  3. 병렬포트
  4. LAN
(정답률: 84%)
  • IEEE 1284는 병렬포트에 대한 규격입니다. 이 규격은 프린터와 컴퓨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병렬포트를 사용하는 프린터와 컴퓨터는 이 규격을 준수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습니다. 직렬포트, USB, LAN은 각각 다른 인터페이스 규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컴퓨터에서 소리를 만드는 방식으로 일정한 주기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파형의 값을 표본화하고 양자화와 부호화 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방식은?

  1. PCM 방식
  2. FM 방식
  3. MIDI 방식
  4. Wave Table 방식
(정답률: 68%)
  • PCM 방식은 Pulse Code Modulation의 약자로,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주기로 표본화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양자화와 부호화를 통해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므로, 디지털 신호의 정확도가 높아지고 소음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컴퓨터에서 소리를 만드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사운드 카드 구입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전이중 전송 방식 지원 여부
  2. 3D 그래픽 가속 지원 여부
  3. 다이렉트X와 호환 여부
  4. 3D 음향이나 에코 효과 등의 지원 여부
(정답률: 85%)
  • 사운드 카드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고 출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3D 그래픽 가속 지원 여부는 사운드 카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3D 그래픽 가속은 그래픽 카드에서 처리하는 기능이므로, 사운드 카드를 구입할 때는 이를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Flash ROM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데이터를 한 번만 기록할 수 있는 ROM이다.
  2. 자외선을 이용하여 자료를 삭제 한다.
  3. 자료의 부분 소거와 부분 기록이 가능하다.
  4. 자료의 삭제/기록은 ROM Writer로만 가능하다.
(정답률: 73%)
  • Flash ROM은 자료의 부분 소거와 부분 기록이 가능한 ROM이다. 이는 전기적으로 데이터를 지우고 쓰기 때문에 가능하다. 따라서, 데이터를 여러 번 기록할 수 있어 유연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인터페이스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SCSI
  2. SATA
  3. DVI
  4. Fiber Channel
(정답률: 80%)
  • DVI는 디지털 비디오 인터페이스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SCSI, SATA, Fiber Channel은 모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의 인터페이스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정적램(SRAM)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플립플롭 방식의 메모리 셀을 가진 임의접근 기억장치이다.
  2. 동작속도가 매우 빨라 대용량 기억장치에 많이 사용된다.
  3. 전원이 공급되어도 주기적으로 충전해야 기억된 자료가 유지된다.
  4. 정적램은 동적램(DRAM) 보다 속도가 5배 정도 느리다.
(정답률: 69%)
  • 정적램(SRAM)은 플립플롭 방식의 메모리 셀을 가진 임의접근 기억장치이다. 이는 각 셀이 1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하며,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필요한 전력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원이 공급되어도 주기적으로 충전해야 기억된 자료가 유지된다. 정적램은 동적램(DRAM)보다 속도가 빠르며, 대용량 기억장치에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하드디스크 포맷 후 Windows에 나타나는 전체 사용 가능한 용량이 제조사 표시 용량과 약간 차이가 있다. 주된 이유로 타당한 것은? (단, 바이오스의 설정은 모두 정상적으로 되어 있다.)

  1. 하드디스크 자체의 오류이다.
  2. 제조업체는 1KB=1000Byte로 계산하나 실제로는 1024Byte이기 때문이다.
  3. 하드디스크를 포맷하면 하드디스크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하드디스크 일부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4. 하드디스크 케이블을 잘못 연결해 데이터가 롬 바이오스에 잘못 인식되었다.
(정답률: 93%)
  • 정답은 "제조업체는 1KB=1000Byte로 계산하나 실제로는 1024Byte이기 때문이다." 이다. 이는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이진법과 10진법의 차이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다. 컴퓨터에서는 2의 거듭제곱을 사용하기 때문에 1KB는 1024Byte이다. 하지만 제조업체는 10진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1KB를 1000Byte로 계산한다. 따라서 하드디스크의 용량이 제조사가 표시한 용량보다 약간 작게 나타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갑작스런 정전으로부터 컴퓨터 시스템 등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해주는 장치는?

  1. UPS
  2. AVR
  3. SCANNER
  4. FAX
(정답률: 89%)
  • UPS는 Uninterruptible Power Supply의 약자로, 갑작스러운 정전이나 전원 이상으로부터 컴퓨터 시스템 등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해주는 장치입니다. 즉, 전원 공급이 끊겨도 일정 시간 동안은 전원을 유지하여 중요한 데이터나 작업을 저장하고 안전하게 종료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컴퓨터나 서버 등을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UPS가 필수적인 보조 장치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USB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USB로 연결된 모든 기기는 전원을 별도로 공급해야 한다.
  2. USB는 한 개의 콘트롤러에 최대 16개의 디바이스 장착이 가능하다.
  3. USB 3.0의 경우 최대속도가 FIR(Fast InfraRed)와 동일한 400MB이다.
  4. USB 3.0의 외장 하드디스크를 컴퓨터 USB 2.0 포트에 연결하여 사용가능하며 이 경우 낮은 2.0 버전의 성능으로 동기화 된다.
(정답률: 88%)
  • USB 3.0은 USB 2.0과 하위 호환성이 있어서 USB 2.0 포트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이 경우 USB 2.0의 속도로 동작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중 프로그래밍 환경 하에서 용량이 크고 신속한 액세스가 가능한 디스크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 프로그램이 입/출력할 데이터를 직접 I/O장치로 보내지 않고 디스크에 모았다가 나중에 한꺼번에 입/출력함으로써 처리 속도를 보완하는 기법은?

  1. POST
  2. Stack
  3. Ping
  4. Spooling
(정답률: 82%)
  • Spooling은 입/출력 작업을 디스크에 모아놓고 나중에 처리하는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입/출력 장치와 CPU 간의 속도 차이를 보완하고, 다중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입/출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Spooling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CPU의 구조 중 임시저장 장소는?

  1. Registor
  2. ALU
  3. CU
  4. FTU
(정답률: 86%)
  • 레지스터는 CPU 내부에 있는 작은 메모리 공간으로, 데이터나 명령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임시 저장 장소입니다. 따라서 레지스터가 CPU의 구조 중 임시저장 장소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레이저 프린터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1. DPI(Dot Per Inch)
  2. CPI(Character Per Inch)
  3. BPS(Bit Per Second)
  4. WPS(Word Per Second)
(정답률: 87%)
  • DPI는 레이저 프린터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나 텍스트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이는 인치당 출력되는 점의 수를 의미하며, 높은 DPI는 더욱 선명하고 정확한 출력물을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레이저 프린터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DPI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CPU와 주기억 장치 또는 CPU와 주변장치 사이에서 데이터의 입, 출력시 발생되는 속도의 차이를 줄여주는 기억장치는?

  1. VRAM
  2. CACHE Memory
  3. PROM
  4. DRAM
(정답률: 81%)
  • CACHE Memory는 CPU와 주변장치 사이에서 데이터의 입, 출력시 발생되는 속도의 차이를 줄여주는 기억장치이다. 이는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두어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CACHE Memory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CPU에 마크되어 있는 클록보다 높게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1. 가상메모리
  2. 파이프라인
  3. 슈퍼스칼라
  4. 오버클러킹
(정답률: 95%)
  • 오버클러킹은 CPU의 클록 속도를 공식적으로 지정된 속도보다 높게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CPU의 성능을 높일 수 있지만, 과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PC주변기기

31. 컴퓨터를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원격으로 전원을 키고자 할 때 바이오스에서 어떤 메뉴를 활성화 해야 하는가?

  1. power to lan
  2. netstart
  3. wake up on lan
  4. network start
(정답률: 81%)
  • "wake up on lan"은 컴퓨터를 원격으로 켜기 위해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기능이다. 이 기능을 활성화하면 네트워크에서 특정 패킷을 보내면 컴퓨터가 자동으로 켜지게 된다. 따라서 이 기능을 사용하여 컴퓨터를 원격으로 켜기 위해서는 바이오스에서 "wake up on lan"을 활성화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BIOS의 설정 값이 자주 초기화된다. 원인으로 올바른 것은?

  1. 메인보드 배터리 전력 부족
  2. 메인보드 캐쉬 메모리 오류
  3. CMOS 설정 오류
  4. 메인보드와 CMOS간의 호환성 문제
(정답률: 86%)
  • BIOS는 메인보드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설정 값을 유지합니다. 만약 메인보드 배터리의 전력이 부족하면 BIOS 설정 값이 초기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메인보드 배터리 전력 부족"이 BIOS 설정 값이 자주 초기화되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아래 에러 메시지는 컴퓨터 부팅 시 나타나는 것들이다. 이들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Parity Error
  2. Base 64KB Memory Failure
  3. 8042-Gate A20 Failure
  4. Refresh Failure
(정답률: 75%)
  • 정답: "Base 64KB Memory Failure"

    이유:
    - Parity Error: 메모리 오류를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
    - Refresh Failure: 메모리 오류를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
    - 8042-Gate A20 Failure: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를 제어하는 게이트 오류를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

    반면에 "Base 64KB Memory Failure"는 메모리 오류를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이지만, 다른 세 가지와 달리 구체적인 메모리 오류 유형을 지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세 가지와는 성격이 조금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메인보드의 각종 입출력 단자를 케이스 바깥과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1. 백 패널(Back Panel)
  2. 스페이서(Spacer)
  3. 서플라이(Supply)
  4. 커넥터(Connector)
(정답률: 89%)
  • 백 패널은 메인보드의 각종 입출력 단자를 케이스 바깥으로 노출시켜주는 부품입니다. 따라서 메인보드와 케이스를 연결할 때 백 패널을 사용하여 각종 입출력 단자를 외부와 연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리눅스 파티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Primary 파티션
  2. Extended 파티션
  3. Logical 파티션
  4. Physical 파티션
(정답률: 86%)
  • "Physical 파티션"은 리눅스 파티션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는 파티션의 물리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용어로, 파티션의 종류를 나타내는 용어가 아닙니다. 따라서, "Physical 파티션"은 올바른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Windows를 사용하는 도중 속도가 점점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문제의 원인으로 잘못된 것은?

  1. 레지스트리가 점점 커지고 불필요한 내용이 쌓이기 때문이다.
  2. Windows에서 사용하는 DLL과 드라이버 파일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3. 하드디스크의 단편화가 심해지기 때문이다.
  4. 주기억 장치(RAM)의 단편화가 심해지기 때문이다.
(정답률: 74%)
  • 주기억 장치(RAM)는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필요한 데이터와 명령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이 공간이 단편화되면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필요한 데이터와 명령어를 찾는 데 시간이 더 걸리게 되어 속도가 느려집니다. 따라서 주기억 장치(RAM)의 단편화가 심해지면 Windows의 속도가 점점 느려지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컴퓨터의 전원을 켜면 메모리 테스트 도중에 시스템이 다운되고 부팅이 되지 않는다. 이 경우 예상할 수 있는 원인으로 잘못된 것은?

  1. 메모리 클록과 CPU FSB가 맞지 않기 때문이다.
  2. 메모리가 소켓에 잘못 끼워져 있다.
  3. CPU의 냉각팬 전원선이 연결되지 않았다.
  4. CMOS 셋업에서 메모리 속도를 잘못 설정했다.
(정답률: 84%)
  • CPU의 냉각팬 전원선이 연결되지 않았다는 것은 CPU가 과열되어 작동하지 않아서 시스템이 다운되고 부팅이 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이것이 예상할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메모리 클록과 CPU FSB가 맞지 않거나 메모리가 소켓에 잘못 끼워져 있거나 CMOS 셋업에서 메모리 속도를 잘못 설정하는 것은 메모리와 관련된 문제이지 CPU의 과열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드라이버 롤백 기능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컴퓨터 시스템 장치의 드라이버를 업그레이드 한 후 리소스 충돌 등의 문제가 발생한 경우, 업그레이드 설치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2. 업데이트 바로 이전의 상태로만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며, 두 번 이상 변경된 드라이버를 건너 뛰어 되돌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3. 프린터 드라이버도 되돌릴 수 있다.
  4. 드라이버 롤백으로 드라이버를 교체할 수는 있지만 제거할 수는 없다.
(정답률: 79%)
  • 잘못된 설명은 "프린터 드라이버도 되돌릴 수 있다." 입니다. 이유는 프린터 드라이버도 컴퓨터 시스템 장치의 드라이버 중 하나이기 때문에, 드라이버 롤백 기능을 통해 이전 상태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AMI 바이오스 설정 중 USB 부팅을 가능하게하는 설정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BIOS 진입 -> [Save & Exit] 선택 -> [Boot Override] -> [USB drive/CD-ROM] 선택
  2. BIOS 진입 -> [Security] 선택 -> [User Passwoed] 선택
  3. BIOS 진입 -> [Boot] 선택 -> [Delete Boot Option] 선택
  4. BIOS 진입 -> [Boot] 선택 -> [Hard Drive BBS Priorities] 선택
(정답률: 80%)
  • USB 부팅을 가능하게 하려면 BIOS 진입 후 [Save & Exit]을 선택하고, [Boot Override]를 선택한 후 [USB drive/CD-ROM]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는 부팅 우선순위를 변경하여 USB 드라이브 또는 CD-ROM에서 부팅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입니다. [Security] 선택 -> [User Password] 선택은 사용자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것이며, [Boot] 선택 -> [Delete Boot Option] 선택은 부팅 옵션을 삭제하는 것이며, [Boot] 선택 -> [Hard Drive BBS Priorities] 선택은 하드 드라이브 부팅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PC에서 컴퓨터 바이오스와 운영체제에 PnP 장치들과의 통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는?

  1. ESCD(Extended System Configuration Data)
  2. NVRAM(Non-Volatile RAM)
  3. DMA
  4. CMOS ROM
(정답률: 71%)
  • ESCD는 PnP 장치들과의 통신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이며, PC에서 컴퓨터 바이오스와 운영체제가 이 정보를 활용하여 장치들을 인식하고 제어할 수 있습니다. NVRAM은 비휘발성 RAM으로, 시스템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DMA는 직접 메모리 접근을 의미하며, 입출력 장치와 메모리 간의 데이터 전송을 관리합니다. CMOS ROM은 바이오스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ROM입니다. 따라서, PnP 장치들과의 통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는 ESC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BIOS 설정을 위한 암호를 잊어버렸을 경우, 암호를 초기화하거나 찾기 위한 적합한 해결 방법은?

  1. Windows Registry의 BIOS 항목을 수정한 후 컴퓨터를 다시 부팅한다.
  2. 메인보드의 전원을 차단한 후 다시 부팅한다.
  3. CMOS의 전원에 높은 전압을 가하여 BIOS 정보를 초기화 한다.
  4. CMOS 정보 삭제 점퍼를 찾아 점퍼를 꽂아 BIOS 정보를 초기화 한다.
(정답률: 78%)
  • CMOS 정보 삭제 점퍼를 찾아 점퍼를 꽂아 BIOS 정보를 초기화하는 것은 BIOS 설정을 저장하는 CMOS 메모리를 초기화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BIOS 설정에 설정된 암호도 초기화됩니다. 다른 방법들은 BIOS 설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암호 초기화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시스템 등록정보의 장치관리자에 나타난 '노란색 물음표'의 의미는?

  1. 이동식 저장장치 한계 용량 경고
  2. 자원 충돌
  3. 드라이버 미설치
  4. 하드웨어 고장
(정답률: 90%)
  • 장치관리자에서 노란색 물음표는 해당 장치에 대한 드라이버가 제대로 설치되지 않았거나, 설치된 드라이버가 올바르지 않아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해당 장치의 드라이버를 설치해주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하드웨어에 속하는 장치로 잘못된 것은?

  1. 드라이버
  2. 주기억장치
  3. 사운드카드
  4. 하드디스크
(정답률: 78%)
  • 드라이버는 하드웨어 자체가 아니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통신을 돕는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에 하드웨어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컴퓨터에 주변기기를 추가할 때 별도의 물리적인 설정을 하지 않아도 설치만 하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은?

  1. P2P(Peer to Peer)
  2. PnP(Plug and Play)
  3. CMOS
  4. POST(Power-on Self Test)
(정답률: 87%)
  • PnP(Plug and Play)은 새로운 주변기기를 추가할 때 별도의 물리적인 설정을 하지 않아도 컴퓨터가 자동으로 인식하고 필요한 드라이버를 설치하여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잡한 설정 과정 없이 쉽게 주변기기를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Ctrl] + [Alt] + [Del] 키를 누르면 작업관리자가 실행된다. 작업관리자에서 확인할 수 없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CPU 사용률
  2.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상태
  3. 실행중인 프로세스 이름
  4. 하드디스크 용량
(정답률: 87%)
  • 작업관리자는 현재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도구이다. CPU 사용률, 실행중인 응용프로그램의 상태, 실행중인 프로세스 이름은 모두 작업관리자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이다. 하지만 하드디스크 용량은 작업관리자에서 확인할 수 없는 정보이다. 따라서 정답은 "하드디스크 용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PC네트워크

46. 전자우편을 사용할 때 수신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로 올바른 것은?

  1. SMTP
  2. POP3
  3. IMAP
  4. FTP
(정답률: 72%)
  • POP3는 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의 약자로, 이메일 서버에서 이메일을 받아와 로컬 컴퓨터에 저장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이메일을 수신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로 적합합니다. SMTP는 이메일을 보내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IMAP은 이메일 서버에서 이메일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FTP는 파일 전송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므로 이메일 수신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전송 매체 종류에서 가격은 비싸지만 간섭, 감쇠 현상 등이 거의 없는 전송 매체는?

  1. UTP
  2. STP
  3. Fiber Optics
  4. Thick
(정답률: 68%)
  • Fiber Optics는 광섬유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전기 신호가 아닌 빛을 이용하므로 간섭, 감쇠 현상이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다른 전송 매체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기업체나 연구소 등 조직 내부의 모든 업무를 인터넷 관련 기술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네트워크의 개념은?

  1. 인트라넷
  2. 엑스트라넷
  3. 공중 통신망
  4. 비밀 통신망
(정답률: 89%)
  • 인트라넷은 조직 내부에서만 사용되는 네트워크로,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내부 업무를 처리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기업체나 연구소 등 조직 내부의 모든 업무를 처리하는데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인트라넷과는 다른 개념이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라우터의 장점으로 잘못된 것은?

  1. 알고리즘에 따라 자동으로 경로가 결정되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2. 특정 프로토콜이나 하위 프로토콜 지원이 가능하고 복잡하므로 가격이 싸다.
  3. 환경설정이 가능하여 관리 방침에 따라 라우팅 방식이 결정되고 전체 네트워크의 성능이 개선된다.
  4. 네트워크 형상에 구애받지 않으므로 대규모 네트워크 구성이 용이하다.
(정답률: 82%)
  • "특정 프로토콜이나 하위 프로토콜 지원이 가능하고 복잡하므로 가격이 싸다."는 잘못된 내용입니다. 라우터는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비싸지만, 기능이 적은 모델은 가격이 저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격이 싸다"는 라우터의 장점으로는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웹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프로토콜은?

  1. TCP/IP
  2. NETBIOS
  3. DLC
  4. Token Ring
(정답률: 91%)
  • 웹 서비스는 인터넷 상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합니다. TCP/IP는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웹 서비스에서도 HTTP 프로토콜을 포함하여 TCP/IP를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따라서 웹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TCP/IP 프로토콜이 필요합니다. NETBIOS, DLC, Token Ring은 모두 네트워크 프로토콜이지만, 인터넷에서는 사용되지 않거나 사용 빈도가 낮기 때문에 웹 서비스를 위해서는 필수적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