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정비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1-05-30)

PC정비사 2급
(2021-05-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PC유지보수

1. 다음이 설명하는 인터넷 용어는?

  1. E-mail
  2. Usenet
  3. News Group
  4. Mailing List
(정답률: 81%)
  • 그림에서는 "Mailing List"가 "메일 목록"으로 번역되어 있습니다. Mailing List는 특정 주제나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 이메일을 주고받는 목록입니다. 이메일 주소를 등록하면 해당 목록에 가입되어 목록에 속한 다른 사람들과 이메일을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림에서 보여지는 이메일 아이콘과 함께 "Mailing List"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Windows 10 사용자가 듀얼모니터 또는 빔 프로젝터와 연결하고 복제, 확장 등의 기능을 빠르게 사용하기 위한 단축키는 무엇인가?

  1. 윈도우 로고 키 + P
  2. 윈도우 로고 키 + S
  3. 윈도우 로고 키 + E
  4. 윈도우 로고 키 + R
(정답률: 94%)
  • 정답은 "윈도우 로고 키 + P"이다. 이는 Windows 10에서 듀얼 모니터 또는 빔 프로젝터와 연결하고 복제, 확장 등의 기능을 빠르게 사용하기 위한 단축키이다. 이 단축키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빠르게 모니터 설정을 변경할 수 있으며, 복제, 확장 등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는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실시간체제(Real-Time System)란 처리를 요구하는 자료가 발생할 때마다 즉시 처리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거나 요구에 대한 응답을 즉시 실행하는 방식이다. 이에 대한 장점이 아닌 것은?

  1. 자료가 발생한 지점에서 단말기를 통한 입출력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노력이 절감된다.
  2. 다량의 자료가 무작위로 도착하는 경우에도 특별히 입출력자료의 저장이나 대기가 필요하지 않다.
  3. 처리시간이 단축된다.
  4. 비용이 절감된다.
(정답률: 72%)
  • 다량의 자료가 무작위로 도착하는 경우에도 특별히 입출력자료의 저장이나 대기가 필요하지 않는 이유는, 실시간체제에서는 자료가 발생하는 즉시 처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료가 저장되거나 대기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입출력자료의 저장이나 대기에 필요한 비용과 시간이 절감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태블릿PC에서 사용되는 OS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WebOS
  2. Windows 10
  3. iOS 14.5.1
  4. Solaris
(정답률: 87%)
  • Solaris는 주로 서버용으로 사용되는 운영체제이며, 태블릿PC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대신에, 태블릿PC에서는 주로 모바일 운영체제인 WebOS, iOS 14.5.1과 데스크톱 운영체제인 Windows 10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Linux 명령어 중에서 의미가 다른 하나는?

  1. reboot
  2. init 6
  3. shutdown –r now
  4. shutdown -h now
(정답률: 85%)
  • 정답은 "shutdown -h now" 이다.

    - "reboot" : 시스템을 재부팅한다.
    - "init 6" : 시스템을 재부팅한다.
    - "shutdown –r now" : 시스템을 재부팅한다.
    - "shutdown -h now" : 시스템을 종료한다.

    즉, "shutdown -h now" 명령어는 시스템을 종료하는 명령어이며, 나머지 명령어들은 시스템을 재부팅하는 명령어들이다. "-h" 옵션은 시스템을 종료하라는 옵션이고, "-r" 옵션은 시스템을 재부팅하라는 옵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설명 중 ( )안에 들어갈 제어판 도구로 알맞은 것은?

  1. BitLocker
  2. Dorker
  3. CryptoMix
  4. CryptLocker
(정답률: 86%)
  • 이미지에서 보이는 화면은 디스크 암호화 설정을 변경하는 화면이다. 따라서 암호화 관련 도구인 BitLocker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보기는 Windows10 Pro 의 '컴퓨터 관리'에 대한 설명이다.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컴퓨터 관리'는 [시작] > [실행]에서 compmgmt.msc를 입력하면 실행할 수 있다.
  2. '컴퓨터 관리'는 [시작] >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관리 도구]에서 실행 할 수 있다.
  3. 저장된 데이터의 손실 없이 파티션 영역을 변경하거나 드라이브를 포맷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관리'의 [디스크 관리] 기능을 이용하면 된다.
  4. 특정 프로그램이 시스템 파일과 충돌하여 '컴퓨터 관리'기능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레지스트리 [HKEY_LOCAL_MACHINE\SOFTWARE \Classes\CLSID\{20D04FE0-3AEA-1069-A2D8 -08002B30309D}\shell\Manage\command] 부분을 편집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다.
(정답률: 75%)
  • '컴퓨터 관리'는 [시작] >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관리 도구]에서 실행 할 수 있다. (올바르지 않음)

    정답 설명: '컴퓨터 관리'는 [시작] 메뉴에서 직접 실행할 수 있으며, [시작] > [실행]에서 compmgmt.msc를 입력하여 실행할 수도 있다.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관리 도구]에서는 다른 관리 도구들과 함께 '컴퓨터 관리'도 제공되지만, 이는 '컴퓨터 관리'를 실행하는 다른 방법일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ROM임에도 불구하고 입력된 내용을 자외선으로 삭제할 수 있고, 새로운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ROM은?

  1. PROM
  2. Mask ROM
  3. EPROM
  4. EEPROM
(정답률: 78%)
  • EPROM은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자외선으로 내용을 삭제할 수 있는 ROM입니다. PROM과 Mask ROM은 일단 내용이 입력되면 수정이 불가능하며, EEPROM은 전기적으로 내용을 삭제하고 수정할 수 있지만, EPROM은 자외선으로 내용을 삭제하고 새로운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유일한 RO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Windows 10 에서 사용자 계정의 암호를 변경하려면 계정 항목 중 어느 것을 선택해야 하는가?

  1. 사용자 정보
  2. 메일 및 계정
  3. 로그인 옵션
  4. 회사 또는 학교 액세스
(정답률: 81%)
  • 로그인 옵션을 선택해야 암호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는 Windows 10에서 로그인 방법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항목이기 때문입니다. 암호를 변경하려면 로그인 옵션에서 현재 사용 중인 계정을 선택하고 암호 변경 옵션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설명하는 운영체제의 기능은 무엇을 말하는가?

  1. 시스템 콜 (System Call)
  2. 인터럽트 (Interrupt)
  3. 시그널 (Signal)
  4. 스와핑 (Swapping)
(정답률: 70%)
  • 운영체제에서 프로세스가 하드웨어 자원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 중 하나가 시스템 콜이다. 시스템 콜은 사용자 프로그램이 운영체제의 기능을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프로세스는 파일 입출력, 메모리 할당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콜은 운영체제와 프로세스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멀티미디어 문서에서 다른 문서나 그림, 애니메이션, 소리, 비디오 등의 다양한 요소들을 연결해주는 기능을 제공해 주는 것은?

  1. 비트맵(Bitmap)
  2. 하이퍼 링크(Hyper Link)
  3. 모핑(Morphing)
  4. 벡터 그래픽(Vector Graphic)
(정답률: 91%)
  • 하이퍼 링크는 멀티미디어 문서에서 다른 문서나 그림, 애니메이션, 소리, 비디오 등의 다양한 요소들을 연결해주는 기능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멀티미디어 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이지만, 하이퍼 링크와 같은 연결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 )안에 적당한 용어는?

  1. OLE
  2. DLL
  3. INI
  4. PCX
(정답률: 73%)
  • OLE은 Object Linking and Embedding의 약자로, 다른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객체를 현재 프로그램에 삽입하거나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합니다.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다른 문서나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객체를 현재 문서나 프로그램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림에서 보이는 것은 OLE 객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리눅스 명령을 이용하여 ICQA 디렉터리와 그 하위 디렉터리까지 모든 파일을 메시지없이 강제로 삭제하기 위한 명령은?

  1. rm – i ICQA
  2. rm - ir ICQA
  3. rm – rf ICQA
  4. rm - ra ICQA
(정답률: 79%)
  • 정답은 "rm – rf ICQA"이다.

    - "rm – i ICQA": i 옵션은 삭제하기 전에 각 파일에 대해 확인 메시지를 출력하므로, 메시지 없이 강제 삭제할 수 없다.
    - "rm - ir ICQA": r 옵션은 디렉터리를 재귀적으로 삭제하므로 하위 디렉터리까지 삭제할 수 있지만, i 옵션과 함께 사용하면 각 파일에 대해 확인 메시지를 출력하므로 메시지 없이 강제 삭제할 수 없다.
    - "rm - ra ICQA": a 옵션은 숨김 파일 및 디렉터리를 포함하여 모든 파일을 삭제하므로, 하위 디렉터리까지 모두 삭제할 수 있지만, r 옵션과 함께 사용하지 않으면 디렉터리는 삭제되지 않는다.
    - "rm – rf ICQA": r 옵션은 디렉터리를 재귀적으로 삭제하고, f 옵션은 강제 삭제를 수행하므로, 메시지 없이 ICQA 디렉터리와 그 하위 디렉터리까지 모든 파일을 강제로 삭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Windows 10 에서 언어 설정을 변경하려면 설정 항목 중 어느 것을 선택해야 하는가?

  1. 접근성
  2. 개인 설정
  3. 시간 및 언어
(정답률: 93%)
  • Windows 10에서 언어 설정을 변경하려면 "시간 및 언어" 항목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 항목은 시스템의 언어, 지역 설정, 키보드 레이아웃 등을 변경할 수 있는 설정을 제공합니다. 다른 항목들은 각각 다른 설정을 제공하므로, 언어 설정을 변경하려면 "시간 및 언어" 항목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컴퓨터 전원을 켜면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운영체제를 메모리에 로드한다. 이러한 과정을 부팅이라고 하는데, 부팅 정보를 가지고 있는 디스크 영역을 부트 섹터라고 한다. 다음 설명하는 바이러스 종류는 무엇인가?

  1. 암호화 바이러스
  2. 부트 바이러스
  3. 파일 바이러스
  4. 매크로 바이러스
(정답률: 94%)
  • 이 그림은 부트 섹터를 감염시키는 부트 바이러스의 예시를 보여준다. 부트 바이러스는 컴퓨터 부팅 시 부트 섹터를 감염시켜, 운영체제가 로드되기 전에 바이러스 코드를 실행시키는 악성 코드이다. 이를 통해 바이러스는 컴퓨터 시스템 전체를 감염시키거나, 중요한 정보를 파괴하거나, 제어권을 탈취하는 등의 악의적인 행위를 할 수 있다. 따라서 부트 바이러스는 컴퓨터 보안에 매우 위협적인 바이러스 종류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운영체제

16. 3D 그래픽 카드의 그래픽 칩셋에서 처리한 폴리곤을 2D 그래픽으로 투영시키는 것을 뜻하는 것은?

  1. DirectX
  2. 블랜딩
  3. 지오메트리
  4. 음영처리
(정답률: 79%)
  • 지오메트리는 3D 그래픽 카드의 그래픽 칩셋에서 처리한 폴리곤을 2D 그래픽으로 투영시키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는 3D 모델을 화면에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중요한 단계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은 메모리를 외형상 분류한 것이다.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DIP
  2. SIMM
  3. DIMM
  4. SRAM
(정답률: 77%)
  • 정답은 "SRAM"이다.

    "DIP", "SIMM", "DIMM"은 모두 메모리 모듈의 형태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하지만 "SRAM"은 메모리의 종류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SRAM은 정적 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의 약자로,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메모리이다.

    따라서, "SRAM"은 다른 세 가지 용어와는 성격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구하는 공식은?

  1. Head의 수 * Track * 실린더 * 섹터당 기록밀도
  2. Head의 수 * 클러스터 * 실린더 * 플래터
  3. Head의 수 * Track * 클러스터 * 버퍼메모리 용량
  4. Head의 수 * 클러스터 * 실린더 * 섹터당 기록밀도
(정답률: 82%)
  • 하드디스크의 용량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 단위인 섹터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이때 섹터당 기록밀도는 하드디스크가 한 섹터에 기록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하드디스크의 용량은 Head의 수(하드디스크의 헤드 개수), Track(하드디스크의 트랙 개수), 실린더(하드디스크의 실린더 개수), 섹터당 기록밀도의 곱으로 계산된다. 이렇게 계산된 용량은 바이트 단위로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MIDI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전자악기와 컴퓨터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2. 기본적으로 4채널을 사용하여 각 악기의 상태나 컨트롤 등을 전송한다.
  3. 별도의 인터페이스가 필요 없다.
  4. General MIDI란 미디에서 사용하기 위한 소리를 담는 데이터를 말한다.
(정답률: 75%)
  • MIDI는 전자악기와 컴퓨터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MIDI는 음악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로, 기본적으로 4채널을 사용하여 각 악기의 상태나 컨트롤 등을 전송합니다. MIDI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인터페이스가 필요합니다. General MIDI는 MIDI에서 사용하기 위한 소리를 담는 데이터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메인보드의 구성 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1. CPU 슬롯
  2. SSD
  3. 바이오스
  4. 배터리
(정답률: 82%)
  • SSD는 메인보드의 구성 요소 중에서 저장 장치에 해당하며, 다른 요소들과는 달리 직접적인 연결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입니다. CPU 슬롯은 CPU를 설치하기 위한 슬롯, 바이오스는 컴퓨터 부팅 시 초기화 및 설정을 담당하는 칩셋, 배터리는 메인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계산속도 단위가 빠른 것에서 느린 것 순으로 차례대로 나열되어 있는 것은?

  1. ps > μs > ns > ms
  2. ps > ns > μs > ms
  3. ms > μs > ns > ps
  4. ms > ns > μs > ps
(정답률: 81%)
  • 정답은 "ps > ns > μs > ms"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ps (피코초): 1조 분의 1초, 즉 0.000000000001초. 가장 작은 단위로, 초당 수십억 번 이상의 계산이 가능합니다.
    - ns (나노초): 1억 분의 1초, 즉 0.000000001초. ps보다는 크지만, 여전히 초당 수십억 번 이상의 계산이 가능합니다.
    - μs (마이크로초): 1만 분의 1초, 즉 0.000001초. ns보다는 크지만, 여전히 초당 수백만 번 이상의 계산이 가능합니다.
    - ms (밀리초): 1천 분의 1초, 즉 0.001초. 가장 큰 단위로, 초당 수천 번 이상의 계산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계산속도 단위가 빠른 것에서 느린 것 순으로 나열하면 ps > ns > μs > ms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이론적으로 가장 빠른 속도를 내는 방식은?

  1. IEEE-1394
  2. USB 3.0
  3. USB-OTG
  4. USB 2.0
(정답률: 91%)
  • USB 3.0은 최대 전송 속도가 5Gbps로, 다른 보기들보다 빠른 속도를 내는 방식입니다. IEEE-1394는 최대 전송 속도가 800Mbps이며, USB-OTG와 USB 2.0은 각각 최대 전송 속도가 480Mbps와 60Mbps입니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가장 빠른 속도를 내는 방식은 USB 3.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스마트폰을 일종의 무선 모뎀으로 활용하여 외부기기가 무선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은 무엇인가?

  1. NIC
  2. 테더링
  3. DLNA
  4. 리피터
(정답률: 89%)
  • 테더링은 스마트폰을 무선 모뎀으로 사용하여 외부 기기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입니다. 즉, 스마트폰의 인터넷 연결을 외부 기기와 공유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테더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데이터와 전력의 전송을 허용하는 24핀 단자이며, 상하 대칭형태로 어느 방향으로도 연결할 수 있는 USB 단자는 무엇인가?

  1. USB Type-A
  2. USB Type-B
  3. USB Type-C
  4. USB Type-D
(정답률: 89%)
  • USB Type-C는 상하 대칭형태로 어느 방향으로도 연결할 수 있는 단자이기 때문에 데이터와 전력의 전송이 편리하며, 다양한 기기와 호환성이 높아 사용이 편리하다. 따라서 USB Type-C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Data를 저장하는 공간(Cell)에 3비트를 저장하는 방식을 뜻하는 용어는 무엇인가?

  1. QLC
  2. TLC
  3. MLC
  4. SLC
(정답률: 77%)
  • 정답은 "TLC"이다. TLC는 Triple-Level Cell의 약자로, 한 셀에 3비트를 저장하는 방식을 뜻한다. 이는 QLC(Quad-Level Cell)보다는 적은 비트를 저장하지만, MLC(Multi-Level Cell)보다는 많은 비트를 저장하는 중간적인 방식이다. 따라서,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서 3비트를 저장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용어로 TLC가 사용된다. SLC는 Single-Level Cell, MLC는 Multi-Level Cell, QLC는 Quad-Level Cell의 약자로, 각각 한 셀에 1비트, 2비트, 4비트를 저장하는 방식을 뜻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컴퓨터에서 소리를 합성할 때 사용하는 방식 중에서 소리의 주파수를 변조해 소리를 만드는 음파 합성 방식은?

  1. PCM(Pulse Coded Modulation) 방식
  2. FM(Frequency Modulation) 음원 방식
  3. 웨이브 테이블(Wave Table) 방식
  4. 풀 듀플렉스(Full Duplex) 방식
(정답률: 76%)
  • FM 음원 방식은 소리의 주파수를 변조하여 소리를 만드는 방식이기 때문에 컴퓨터에서 소리를 합성할 때 사용된다. PCM 방식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고, 웨이브 테이블 방식은 미리 저장된 소리 샘플을 이용하여 소리를 만드는 방식이다. 풀 듀플렉스 방식은 동시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방식이므로 소리 합성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FM 음원 방식이 컴퓨터에서 소리를 합성할 때 사용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프린터의 인쇄 품질을 나타내는 단위로 적당한 것은?

  1. DPI
  2. PPM
  3. RPM
  4. CPS
(정답률: 83%)
  • DPI는 "dots per inch"의 약자로, 인치당 출력되는 점의 수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DPI가 높을수록 인쇄물의 해상도가 높아지며, 더욱 선명하고 세밀한 인쇄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물체에 비추어 반사된 빛을 전기 신호로 바꾸어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장치는?

  1. 프린터
  2. 스캐너
  3. 모니터
  4. VGA
(정답률: 93%)
  • 스캐너는 물체에 비추어 반사된 빛을 전기 신호로 바꾸어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장치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출력 장치나 입력 장치가 아닌 것들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그래픽 카드 인터페이스로 올바른 것은?

  1. SCSI
  2. IDE
  3. PCI-Express
  4. NIC
(정답률: 81%)
  • PCI-Express는 그래픽 카드 인터페이스로 사용되는 최신 기술이며, 높은 대역폭과 낮은 지연 시간을 제공하여 더 높은 그래픽 성능을 제공합니다. SCSI는 주로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다른 장치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이고, IDE는 오래된 기술이며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NIC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나타내며, 그래픽 카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시스템을 네트워크에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확장카드나 기타 장치를 뜻하는 것은?

  1. 프로토콜
  2. 에뮬레이터
  3. 유틸리티
  4. 네트워크 어댑터
(정답률: 77%)
  • 네트워크 어댑터는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장치로, 이를 통해 시스템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어댑터가 정답입니다. 프로토콜은 통신 규약을 뜻하며, 에뮬레이터는 다른 시스템을 모방하여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를 뜻하며, 유틸리티는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PC주변기기

31. 하드디스크의 명령 전달 체계와 액세스 방법을 구체화해 데이터 전송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최대 32개의 명령을 한꺼번에 수행할 수 있는 모드는 무엇인가?

  1. IDE
  2. AHCI
  3. FastRead
  4. MultCommand
(정답률: 68%)
  • 정답은 "AHCI"이다. AHCI는 Advanced Host Controller Interface의 약자로, SATA 하드디스크의 명령 전달 체계와 액세스 방법을 구체화하여 데이터 전송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AHCI 모드에서는 최대 32개의 명령을 한꺼번에 수행할 수 있어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빨라지고, 하드디스크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AHCI 모드는 IDE나 FastRead, MultCommand와 같은 다른 모드보다 더욱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컴퓨터 부팅 중에 [BIOS Check Sum Error] 메시지가 출력되었을 때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1. 메인보드의 배터리를 교체한다.
  2. 키보드 커넥터를 확인한다.
  3. 메인 메모리를 교체한다.
  4. CPU를 교체한다.
(정답률: 83%)
  • BIOS Check Sum Error는 메인보드의 BIOS에 저장된 설정값들이 손상되었을 때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이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BIOS에 저장된 설정값들을 초기화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메인보드의 배터리를 교체해야 합니다. 배터리는 BIOS 설정값들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배터리가 손상되거나 방전되면 BIOS 설정값들이 초기화되어 BIOS Check Sum Error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배터리를 교체하면 BIOS 설정값들이 초기화되어 BIOS Check Sum Error가 해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UEFI방식의 바이오스 설정에서 메인보드의 첫 부팅 시 일부 장치 검사를 생략하고 아주 빠른 속도로 운영체제 부팅단계까지 진입할 수 있게 해주는 옵션으로 옳은 것은?

  1. Vcore
  2. Fast boot
  3. M-Flash
  4. Supports
(정답률: 88%)
  • "Fast boot" 옵션은 UEFI 방식의 BIOS 설정에서 메인보드의 첫 부팅 시 일부 장치 검사를 생략하고 아주 빠른 속도로 운영체제 부팅단계까지 진입할 수 있게 해주는 옵션이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부팅 시간이 단축되어 빠른 시스템 성능을 경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Windows 10 사용 중 보기와 같은 블루스크린 오류 메시지가 나타났을 시 해결방법은 무엇인가?

  1. 메인보드 점검
  2. 그래픽 카드 점검
  3. 사운드 카드 점검
  4. 하드디스크, 메모리 점검
(정답률: 87%)
  • 블루스크린 오류 메시지는 시스템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MEMORY_MANAGEMENT"이라는 오류 메시지가 나타나고 있으므로, 메모리와 관련된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하드디스크도 오류가 발생할 경우 메모리와 같은 오류 메시지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하드디스크와 메모리를 점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하드디스크, 메모리 점검"입니다.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사운드 카드는 오류 메시지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므로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CPU가 CAS/RAS 에 신호를 보내어 메모리의 정보가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1. Lead
  2. Delay
  3. Latency
  4. Integrity
(정답률: 83%)
  • Latency는 CPU가 메모리에 접근하여 정보를 받아오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CAS/RAS 신호를 보내어 메모리의 정보가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용어로 Latency가 정답입니다. Lead는 선도, Delay는 지연, Integrity는 무결성을 나타내는 용어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시스템을 관리하는 요령으로 잘못된 것은?

  1. 먼지와 습기의 염려가 적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설치한다.
  2. 번개가 치는 날에는 초고속인터넷 모뎀에 연결된 전화선을 빼두는 것이 좋다.
  3. 모니터 화면 부분은 깨끗한 물걸레로 잘 닦아 주어야 한다.
  4. 정기적으로 하드디스크의 오류를 검사해 준다.
(정답률: 91%)
  • "모니터 화면 부분은 깨끗한 물걸레로 잘 닦아 주어야 한다."가 잘못된 것이다. 모니터 화면은 특수한 솔루션과 천으로 청소해야 하며, 물걸레로 닦으면 화면에 손상을 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메인보드의 각종 입출력 단자를 외장 시디롬, 스피커, 마우스 등과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1. 백 패널(Back Panel)
  2. 스페이서(Spacer)
  3. 서플라이(Supply)
  4. 커넥터(Connector)
(정답률: 84%)
  • 백 패널은 메인보드의 뒷면에 위치한 입출력 단자들이 모여있는 패널을 말합니다. 이 단자들은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외장 시디롬, 스피커, 마우스 등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백 패널은 메인보드와 외부 기기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PnP(Plug & Play) 기능이 제대로 인식되는 경우는?

  1. 롬바이오스, 주변기기, 슬롯이 지원하는 경우
  2. 주변기기, 운영체제, 슬롯이 지원하는 경우
  3. 롬바이오스, 운영체제, 주변기기가 지원하는 경우
  4. 운영체제, 슬롯, 롬바이오스가 지원하는 경우
(정답률: 71%)
  • PnP(Plug & Play) 기능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자동 인식 및 설정 기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롬바이오스, 운영체제, 주변기기가 모두 PnP 기능을 지원해야 정상적으로 인식됩니다. 롬바이오스는 컴퓨터 부팅 시 하드웨어를 인식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이며, 운영체제는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주변기기는 컴퓨터에 연결된 외부 장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들이 모두 PnP 기능을 지원해야 자동 인식 및 설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BIOS 설정의 내용 중에서 부트 섹터와 파티션 테이블에 기록이 되지 않도록 설정 할 때 사용되는 메뉴는?

  1. CPU Cache
  2. Anti Virus Protection
  3. ROM BIOS Shadow
  4. Power Management
(정답률: 71%)
  • "Anti Virus Protection" 메뉴는 BIOS 설정에서 부팅 시스템에 악성 코드가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메뉴를 활성화하면 부트 섹터와 파티션 테이블에 기록이 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악성 코드가 부팅 섹터나 파티션 테이블에 침투하여 시스템을 감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BIOS 설정을 할 때 설정 가능한 항목이 아닌 것은?

  1. Power LED와 HDD LED의 사용 여부
  2. 부팅 시 암호 사용 여부
  3. 시스템의 날짜 및 시간 설정
  4. 하드디스크의 타입 설정
(정답률: 78%)
  • "Power LED와 HDD LED의 사용 여부"는 BIOS 설정과는 관련이 없는 하드웨어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BIOS 설정에서는 설정할 수 없는 항목입니다. BIOS 설정은 주로 시스템의 동작 방식과 구성 요소들의 설정을 담당하며, 하드웨어적인 문제는 별도의 하드웨어 설정에서 처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노트북을 구성하는 부품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노트북용 S-ATA 하드디스크는 데스크톱 제품과 인터페이스 단자 규격이 같다.
  2. 노트북은 대부분 메인보드에 그래픽 칩셋이 포함되어 있다.
  3. 데스크톱 CPU와 노트북 CPU는 대부분 호환이 가능하므로 발열량을 고려하여 구매한다.
  4. 일반적으로 노트북의 메모리(RAM) 슬롯은 데스크톱 보다 작으므로 호환이 되지 않는다.
(정답률: 80%)
  • "데스크톱 CPU와 노트북 CPU는 대부분 호환이 가능하므로 발열량을 고려하여 구매한다."이 부분이 잘못된 설명입니다. 데스크톱 CPU와 노트북 CPU는 호환되지 않습니다. 노트북 CPU는 데스크톱 CPU보다 작고 발열량이 적은 디자인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호환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노트북을 구매할 때는 노트북 CPU를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DLL 파일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DLL 파일이 없는 경우, DLL 파일 관련 오류의 원인이 된다.
  2. 특정 프로그램이 현재 설치되어 있는 DLL 파일이 아니라 구 버전의 DLL 파일이 필요한 경우, DLL 파일 관련 오류의 원인이 된다.
  3.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DLL 파일의 언어 코드가 맞지 않는 경우, DLL 파일 관련 오류의 원인이 된다.
  4.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참고해야 하는 정보와 데이터가 들어 있어서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므로, DLL 파일은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정답률: 70%)
  • 정답: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참고해야 하는 정보와 데이터가 들어 있어서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므로, DLL 파일은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해설: DLL 파일은 다른 프로그램에서 호출되어 사용되는 파일로,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필요한 정보와 데이터가 들어 있습니다. 따라서 DLL 파일은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없으며, 다른 프로그램에서 호출되어 사용됩니다. 따라서 위의 설명 중에서 잘못된 것은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참고해야 하는 정보와 데이터가 들어 있어서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므로, DLL 파일은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인터럽트(Interrupt)와 관련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인터럽트는 처리프로그램이 실행 중에 예기치 못한 일이 발생하면 이러한 상태를 하드웨어적으로 포착하여 감시 프로그램에게 제어권을 인도하는 것을 말한다.
  2. 인터럽트가 발생하는 원인은 기계검사 인터럽트, 외부 인터럽트, 입출력 인터럽트, 프로그램 검사 인터럽트 등이 있다.
  3. 인터럽트는 예약에 의해서만 실행된다.
  4. 정전에 의한 인터럽트도 있다.
(정답률: 82%)
  • "인터럽트는 예약에 의해서만 실행된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인터럽트는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발생하며, 이에 대한 처리를 위해 운영체제가 제어권을 감시 프로그램에게 넘겨준다. 따라서 예약에 의해서만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발생하고 처리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컴퓨터 부팅과정 중 메모리를 테스트 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장착된 메모리가 정확하게 동작을 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2. 메모리의 용량이 필요이상으로 많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3. 컴퓨터 운영 중 작동상의 에러이다.
  4. Windows 제어판에서 가상 메모리 크기를 실제 메모리의 2배로 설정하면 메모리 테스트과정이 생략된다.
(정답률: 78%)
  • 컴퓨터 부팅과정 중 메모리를 테스트하는 과정은 장착된 메모리가 정확하게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컴퓨터가 안정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입니다. 메모리의 용량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장착되어 있거나, 작동상의 에러가 발생할 경우 이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indows 제어판에서 가상 메모리 크기를 실제 메모리의 2배로 설정하면 메모리 테스트 과정이 생략되지만, 이는 메모리 테스트를 대신하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 부족 상황에서 대처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사용하기 위한 명령어는?

  1. regedit
  2. register
  3. regset
  4. regconfig
(정답률: 82%)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는 "regedit" 입니다. 이는 "register", "regset", "regconfig" 와는 다르게 레지스트리를 편집하기 위한 공식적인 명령어이며,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레지스트리를 직접적으로 수정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PC네트워크

46. 두 컴퓨터가 무선 랜카드를 각각 보유하고 있으나 주변에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을 때, 두 컴퓨터 간에 무선통신을 위하여 사용 가능한 통신 방식은?

  1. Infrastructure
  2. Ad-Hoc
  3. RS-232C
  4. Wireless-Bridge
(정답률: 64%)
  • Ad-Hoc 방식은 액세스 포인트 없이 무선 랜카드를 직접 연결하여 통신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두 컴퓨터가 주변에 액세스 포인트가 없는 상황에서 무선통신을 위해 사용 가능한 방식은 Ad-Hoc 방식이다. Infrastructure 방식은 액세스 포인트를 필요로 하며, Wireless-Bridge 방식은 두 개 이상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방식이므로 해당 상황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RS-232C는 유선 통신 방식이므로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보안의 요구조건이 아닌 것은?

  1. 무결성
  2. 비밀성
  3. 가용성
  4. 범용성
(정답률: 82%)
  • 보안의 요구조건은 무결성, 비밀성, 가용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 범용성은 보안의 요구조건이 아닙니다. 범용성은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가 여러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성질을 말합니다. 보안의 요구조건은 보안에 관련된 요구사항들을 말하는 것이므로, 범용성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인터넷 서비스명과 해당 서비스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의 종류 및 포트번호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DNS – TCP,UDP 포트 53번
  2. SMTP –TCP 포트 21번
  3. Telnet – TCP 포트 23번
  4. DHCP – UDP 포트 67번
(정답률: 66%)
  • SMTP은 이메일 전송 프로토콜로 TCP 포트 25번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SMTP –TCP 포트 21번"이 잘못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도메인 이름에 대한 설명 중 잘못 것은?

  1. com : 상업적인 회사
  2. edu : 학교 등 교육기관
  3. mil : 국제단체
  4. org : 비영리단체
(정답률: 88%)
  • 정답은 "mil : 국제단체"이다. mil은 군사 기관을 위한 도메인 이름이다. 국제단체를 위한 도메인 이름은 in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에서 설명하는 디지털 기기는 무엇인가?

  1. Switch
  2. Hub
  3. Bridge
  4. Router
(정답률: 68%)
  • 이 디지털 기기는 Router이다. 이유는 Router는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때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Switch, Hub, Bridge는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지만 경로 선택 기능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