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2-15)

네트워크관리사 2급
(2004-02-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TCP/IP

1. 다음 중 UDP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타당하지 않은 것은?

  1. UDP는 TCP에 비해 신뢰성이 떨어진다.
  2. UDP는 사용자 데이터그램(Datagram)이라고 하는 데이터 유니트를 송신지의 응용 프로세스에서 수신지의 응용 프로세스로 전송한다.
  3. UDP가 제공하는 오류검사는 홀수 패리티와 짝수 패리티가 있다.
  4. UDP가 제공하는 서비스는 비연결형 데이터 전달서비스(Compunctionless Data Delivery Service)이다.
(정답률: 70%)
  • "UDP가 제공하는 오류검사는 홀수 패리티와 짝수 패리티가 있다."는 타당한 설명이 아니다. UDP는 오류검사를 위해 체크섬(checksum)을 사용하며, 패리티 비트(parit bit)를 사용하지 않는다. 체크섬은 데이터의 일부분을 더해서 전송하는 방식으로 오류를 검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IP 프로토콜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한 메시지를 여러 패킷으로 나눈 경우 패킷들은 보낸 순서와 다른 순서로 도착될 수 있다.
  2. 한 메시지를 여러 패킷으로 나눈 경우 각 패킷은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보내 질 수 있다.
  3. 하나의 사용자 데이터가 너무 큰 경우는 여러 개의 IP 패킷으로 나누어져 전송될 수 있다.
  4. 수신측에서는 도착한 IP 패킷의 에러여부를 검사하며 에러가 발생한 경우 재전송을 통하여 에러를 회복한다.
(정답률: 62%)
  • 정답은 "수신측에서는 도착한 IP 패킷의 에러여부를 검사하며 에러가 발생한 경우 재전송을 통하여 에러를 회복한다." 이다. IP 프로토콜은 에러 검사와 재전송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러한 기능은 전송 계층 프로토콜인 TCP에서 제공된다.

    간단명료한 설명: IP 프로토콜은 패킷을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패킷의 경로를 결정하고 목적지에 도달하면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패킷의 에러 검사와 재전송 기능은 TCP 프로토콜에서 제공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에 관한 설명으로 타당한 것은?

  1. IP 주소를 물리계층에서 이용하는 하드웨어 주소로 매 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2. Dynamic으로 설정된 내용을 Static 상태로 변경하는 ARP 명령어 옵션은 -d이다.
  3. ARP가 IP 주소를 알기 위해 특정 호스트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기다린다.
  4. ARP Cache는 IP 주소를 이더넷(Ethernet) 주소로 매핑한 모든 정보를 유지하고 있다.
(정답률: 69%)
  • 정답은 "IP 주소를 물리계층에서 이용하는 하드웨어 주소로 매 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다. ARP는 IP 주소와 물리적인 MAC 주소를 매핑하여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IP 패킷을 물리적인 네트워크 주소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ARP Cache는 이러한 매핑 정보를 저장하고 유지한다. ARP 명령어의 -d 옵션은 ARP Cache에서 특정 항목을 삭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ARP는 특정 호스트에게 메시지를 전송하여 IP 주소를 알아내고, 이에 대한 응답을 기다리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TCP 헤더 중에서 에러제어를 위한 필드는?

  1. Offset
  2. Checksum
  3. Source Port
  4. Sequence Number
(정답률: 84%)
  • Checksum 필드는 TCP 헤더에서 에러제어를 위한 필드 중 하나입니다. 이 필드는 TCP 세그먼트의 데이터 무결성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TCP 세그먼트가 전송되는 동안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유실될 수 있기 때문에, 수신측은 Checksum 필드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사하고 손상된 데이터를 재전송 요청합니다. 따라서 Checksum 필드는 TCP 통신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ICMP의 메시지 사용에 대한 설명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

  1. 라우터나 호스트간의 제어 또는 오류 정보를 서로 통신하는 메커니즘 설명
  2. 호스트나 라우터가 IP 헤더의 문법 오류를 발견한 경우
  3. 호스트의 IP가 중복된 경우
  4. 라우터가 데이터를 전달할 수 없는 경우
(정답률: 60%)
  • "호스트의 IP가 중복된 경우"는 ICMP의 메시지 사용과 관련이 없는 설명입니다. ICMP의 메시지는 라우터나 호스트간의 제어 또는 오류 정보를 서로 통신하는 메커니즘으로 사용됩니다. 호스트나 라우터가 IP 헤더의 문법 오류를 발견한 경우, 라우터가 데이터를 전달할 수 없는 경우 등의 상황에서 ICMP 메시지가 사용됩니다.

    즉, "호스트의 IP가 중복된 경우"는 DHCP 서버에서 IP 주소를 할당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로, ICMP 메시지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IP(Internet Protocol)는 데이터 세그먼트를 패킷으로 만들어 목적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패킷의 MTU (Maximum Transmission Unit)에 관한 설명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

  1. 네트워크 기반 하드웨어 유형에 따라 MTU 크기가 다르다.
  2. RFC791에 따르면 MTU의 최대 크기는 65,535 바이트를 넘을 수 없게 되어 있다.
  3. 패킷이 분할되었는지, 그렇지 않은지 확인하는 필드는 Reserved Flag 필드이다.
  4. 커다란 MTU를 가진 네트워크에서 작은 MTU를 가진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달할 때 패킷은 라우터에 의해 분열된다.
(정답률: 49%)
  • 정답은 "패킷이 분할되었는지, 그렇지 않은지 확인하는 필드는 Reserved Flag 필드이다." 이다. IP 패킷의 분할 여부는 Fragmentation Flag와 Fragment Offset 필드를 사용하여 확인한다.

    Reserved Flag 필드는 예약된 필드로,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 필드는 나중을 위해 예약되어 있으며, 나중에 사용될 수 있는 기능을 위해 남겨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TCP/IP 응용프로토콜이 아닌 것은?

  1. UDP
  2. SMTP
  3. SNMP
  4. TFTP
(정답률: 54%)
  • UDP는 비연결형 프로토콜로, 데이터 전송 시 데이터의 정확성을 보장하지 않고 속도를 우선시하는 반면, 나머지 프로토콜들은 연결형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정확성을 보장하고 오류 검사 및 복구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UDP는 TCP/IP 응용프로토콜 중에서 유일하게 연결형이 아닌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SNMP의 설명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

  1. SNMP는 주기적으로 폴링하여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2. 네트워크 확장을 용이하게 해준다.
  3. SNMP는 TCP 세션을 이용한다.
  4. Polling Overhead가 크다.
(정답률: 52%)
  • "SNMP는 TCP 세션을 이용한다."는 타당하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잘못된 정보이며, SNMP는 UD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UDP는 TCP보다 더 빠르고 경량화되어 있지만, 데이터 전송 중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IP 헤더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

  1. TOS - 인터넷에 제공되는 QOS 기능을 위한 서비스 형식 필드
  2. Identification - 데이터그램의 조각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필드
  3. TTL - 출발시간을 위한 필드
  4. IP Option - 부가적인 서비스 식별을 위한 필드
(정답률: 59%)
  • TTL 필드는 출발 시간을 위한 필드가 아니라, 패킷이 라우터를 통과할 때마다 감소하는 생존 시간(Time To Live)을 나타내는 필드입니다. 따라서 "TTL - 출발시간을 위한 필드"는 타당하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텔넷(Telnet)의 기능으로 옳은 것은?

  1. 컴퓨터(Computer)간의 파일(File) 전송 기능
  2. 네트워크(Network) 관리 기능
  3. 네트워크를 통한 가상 단말기 기능
  4. 네트워크를 통한 도메인(Domain) 관리 기능
(정답률: 53%)
  • 텔넷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 접속하여 가상 단말기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원격지의 컴퓨터를 제어하거나 관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통한 가상 단말기 기능"이 옳은 답입니다. 파일 전송이나 도메인 관리와 같은 기능은 다른 프로토콜이나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ARP 캐시에 대한 설명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

  1. 각 호스트는 ARP Request를 보내기 전에 ARP 캐시에서 해당 호스트의 하드웨어 주소를 찾는다.
  2. ARP 캐시는 새로운 하드웨어가 네트워크에 추가된 경우 갱신된다.
  3. ARP 캐시의 수명이 유한하여 무한정 커지는 것을 방지한다.
  4. 중복된 IP가 발견된 경우 ARP 캐시는 갱신되지 않는다.
(정답률: 55%)
  • "중복된 IP가 발견된 경우 ARP 캐시는 갱신되지 않는다."는 타당하지 않은 설명이다. ARP 캐시는 IP 주소와 매칭되는 MAC 주소를 저장하는데, 중복된 IP가 발견되면 해당 IP를 가진 호스트의 MAC 주소가 변경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ARP 캐시는 갱신되어야 한다. 따라서 중복된 IP가 발견된 경우 ARP 캐시는 갱신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에서 설명하는 프로토콜은?

  1. UDP
  2. ARP
  3. RARP
  4. Proxy ARP
(정답률: 53%)
  • 이 프로토콜은 MAC 주소를 기반으로 IP 주소를 찾는 역할을 하는 RARP (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입니다. RARP는 ARP와 반대로, MAC 주소를 가지고 IP 주소를 찾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RARP 요청이 전송되고, RARP 서버가 MAC 주소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반환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다중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이다.
  2. 네트워크간의 IP 정보를 물리적 주소로 매핑 한다.
  3. 하나의 메시지는 하나의 호스트에 전송된다.
  4. TTL(Time To Live)이 제공되지 않는다.
(정답률: 73%)
  •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는 다중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IGMP는 호스트가 다중 캐스트 그룹에 가입하고 떠날 수 있도록 허용하며, 라우터가 다중 캐스트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IGMP는 다중 전송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1. RFC
  2. DLS
  3. ARP
  4. DNS
(정답률: 76%)
  • 이 그림은 IP 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하는 DNS(Domain Name System)의 역할을 보여줍니다. DNS는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로 IP 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정답은 "DN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SMTP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SMTP는 메일전송 프로토콜이다.
  2. SMTP는 서버의 이름과 주소가 정확해야 메일을 전송할 수 있다.
  3. SMTP는 110번 포트를 이용한다.
  4. SMTP는 전자메일 관리자를 따로 지정할 수 있다.
(정답률: 75%)
  • SMTP는 110번 포트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25번 포트를 이용한다. 110번 포트는 POP3 프로토콜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포트 넘버와 프로토콜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Telnet - 21번 포트
  2. POP2 - 27번 포트
  3. POP3 - 25번 포트
  4. HTTP - 80번 포트
(정답률: 77%)
  • 정답은 "HTTP - 80번 포트" 입니다. HTTP는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이며, 이때 사용되는 포트 번호가 80번입니다. 따라서 HTTP와 80번 포트는 바르게 짝지어진 것입니다. Telnet은 원격 로그인을 위한 프로토콜로 21번 포트를 사용하며, POP2와 POP3는 이메일 수신을 위한 프로토콜로 각각 27번과 25번 포트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IP(155.100.100.5)가 속하는 Class는?

  1. Class A
  2. Class B
  3. Class C
  4. Class D
(정답률: 80%)
  • IP 주소 155.100.100.5는 첫 번째 옥텟이 128 ~ 191 범위에 속하므로 Class B에 속합니다. Class B는 첫 번째 옥텟이 128 ~ 191 범위에 속하고 두 번째 옥텟이 0 ~ 255 범위에 속하는 IP 주소 범위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8. 프로토콜의 일반적인 기능 중 캡슐화(Encapsulation)를 할 때 제어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연결 제어(Connection Control)
  2. 프로토콜 제어(Protocol Control)
  3. 에러 검출 코드(Error Detecting Code)
  4. 주소(Address)
(정답률: 33%)
  • 캡슐화는 데이터를 보호하고 전송하기 위해 제어 정보와 함께 패킷으로 묶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제어 정보에는 연결 제어, 프로토콜 제어, 에러 검출 코드, 주소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연결 제어는 데이터 전송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제어 정보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연결 제어(Connection Contro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두 개 이상의 독립적인 네트워크가 서로 연동되어 연결되는 형태의 망은?

  1. Catenet
  2. PSDN
  3. SNA
  4. TCP/IP
(정답률: 33%)
  • "Catenet"은 두 개 이상의 독립적인 네트워크가 서로 연동되어 연결되는 형태의 망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나 시스템을 나타내는 용어이므로 정답은 "Catene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OSI 모델에서 계층구조상 기본 구성요소 중 개방형 시스템에서 각 계층별로 정보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행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실체(Entity)
  2. 접속(Connection)
  3. 데이터 단위(Data Unit)
  4. 서비스(Service)
(정답률: 50%)
  • 각 계층에서 다른 계층으로 정보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해당 계층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때, 다른 계층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하는 것을 "서비스(Service)"라고 합니다. 따라서, OSI 모델에서 각 계층별로 정보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행위를 서비스(Service)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정보통신망에서 이용자와 망 인터페이스 간에는 여러 가지 접속 조건이 있다.DTE와 DCE를 접속할 때의 커넥터의 형상, 핀 수, 핀 배열 등을 규정하고 있는 조건은?

  1. 물리적 조건
  2. 전기적 조건
  3. 논리적 조건
  4. 절차적 조건
(정답률: 65%)
  • DTE와 DCE를 접속할 때의 커넥터의 형상, 핀 수, 핀 배열 등은 물리적인 특성에 해당한다. 이는 전기적인 신호가 올바르게 전달되고, 장치 간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야만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접속 조건을 물리적 조건이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의 망 연동 장치 중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하며, 여러 개의 서브네트워크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것은?

  1. Bridge
  2. Router
  3. Repeater
  4. Gateway
(정답률: 61%)
  • Router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작동하며, 여러 개의 서브네트워크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IP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을 전달하며,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Router는 여러 개의 서브네트워크를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데이터 링크 제어 프로토콜의 유형을 분류한 것 중 잘못된 것은?

  1. 비동기 프로토콜 : start - stop
  2. 문자 지향 프로토콜 : IBM SDLC
  3. 바이트 지향 프로토콜 : DECNET DDCMP
  4. 비트 지향 프로토콜 : X.25 LAPB
(정답률: 37%)
  • 문자 지향 프로토콜인 IBM SDLC는 잘못된 분류입니다. IBM SDLC는 바이트 지향 프로토콜입니다. 이는 데이터를 8비트 바이트 단위로 전송하며, 각 바이트는 문자나 숫자 등 다양한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발신 가입자로부터 수신자까지의 모든 전송, 교환 과정이 디지털로 처리되며 음성과 비음성 등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처리하는 통신망은?

  1. LAN
  2. VAN
  3. ISDN
  4. WAN
(정답률: 55%)
  • ISDN은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의 약자로, 음성과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통신망입니다. 이는 발신 가입자로부터 수신자까지의 모든 전송, 교환 과정이 디지털로 처리되며, 음성과 비음성 등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선택지 중에서 ISDN이 가장 적합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인터넷 서비스 중에서 Finger는 현재 인터넷의 호스트에 접속 중인 각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알려준다. 다음 중 일반적으로 Finger를 통해 알 수 있는 정보와 거리가 먼 것은?

  1. 해당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2. 해당 사용자가 계정 등록 때 사용한 이름
  3. 해당 사용자가 메일을 보았는지 확인
  4. 해당 사용자가 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한 컴퓨터의 IP 주소
(정답률: 72%)
  • 해당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인터넷에서 공개되지 않는 정보이기 때문에 Finger를 통해 알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인터넷의 계층적 구조가 순서에 맞게 배치된 것은?

  1. 네트워크계층-데이터링크계층-트랜스포트계층-응용계층
  2. 데이터링크계층-네트워크계층-트랜스포트계층-응용계층
  3. 네트워크계층-트랜스포트계층-데이터링크계층-응용계층
  4. 트랜스포트계층-네트워크계층-응용계층-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정답률: 70%)
  • 인터넷의 계층적 구조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처리합니다. 이때, 데이터링크계층은 물리적인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네트워크계층은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한 경로를 설정합니다. 그리고 트랜스포트계층은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고, 응용계층은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순서로 배치된 것이 가장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구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참조모델의 계층별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세션계층(Session Layer): 통신시스템 간의 상호대화를 허용하여 프로세스 간의 통신을 허용하고 동기화 한다.
  2. 표현계층(Presentation Layer): 서로 다른 컴퓨터에 의해 다양한 형식으로 표현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 표준형식으로 변환한다.
  3. 전송계층(Transport Layer): 통신망의 양단에서 시스템 간에 전체 메시지가 올바른 순서로 도착하는 것을 보장한다.
  4. 데이터링크계층(Data Link Layer): 응용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응용 기능을 제공한다.
(정답률: 62%)
  • 데이터링크계층(Data Link Layer): 응용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응용 기능을 제공한다. - 이 설명은 데이터링크계층의 역할과는 관련이 없으므로 적절하지 않다.

    세션계층(Session Layer)은 통신 시스템 간의 상호대화를 허용하여 프로세스 간의 통신을 허용하고 동기화한다. 표현계층(Presentation Layer)은 서로 다른 컴퓨터에 의해 다양한 형식으로 표현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 표준형식으로 변환한다. 전송계층(Transport Layer)은 통신망의 양단에서 시스템 간에 전체 메시지가 올바른 순서로 도착하는 것을 보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NOS

28. 다음 중 Windows 2000 Server의 파일 서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을 액세스 할 수 있도록 만드는 방법은 해당 디렉토리를 공유하는 것이다.
  2. 공유된 디렉토리의 공유 이름으로 네트워크상의 다른 사용자가 공유 리소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3. 공유 디렉토리가 NTFS 볼륨에 있는 경우 일부 디렉토리에 대한 액세스를 막기 위해 디렉토리 사용 권한을 사용할 수 있다.
  4. 디렉토리를 공유할 때 공유 이름은 반드시 해당 디렉토리 이름을 사용한다.
(정답률: 60%)
  • "디렉토리를 공유할 때 공유 이름은 반드시 해당 디렉토리 이름을 사용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공유 이름은 해당 디렉토리 이름과 다를 수 있습니다. 이는 다른 사용자가 해당 공유 리소스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하나의 웹 사이트에 디렉토리 별로 인증과 권한을 다르게 설정할 경우 사용하는 디렉토리는?

  1. Active Directory
  2. Dynamic Directory
  3. Static Directory
  4. Virtual Directory
(정답률: 36%)
  • 정답은 "Virtual Directory"입니다.

    Virtual Directory는 하나의 웹 사이트 내에서 디렉토리 별로 인증과 권한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웹 사이트 내에서 특정 디렉토리에 접근할 때마다 다른 인증 및 권한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Active Directory"는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디렉토리 서비스이며, "Dynamic Directory"와 "Static Directory"는 디렉토리의 내용이 동적으로 변화하는지 정적으로 유지되는지에 따라 구분되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Windows 2000 Server에서 여러 사용자 계정을 만들 경우 홈 디렉토리로 지정할 최종 경로에서 사용자 이름대신 사용하는 시스템 변수는?

  1. %username%
  2. %userdomain%
  3. %homeshare%
  4. %homedrive%
(정답률: 67%)
  • "%username%"은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이름을 나타내는 시스템 변수이다. 따라서 여러 사용자 계정을 만들 경우 각각의 사용자 이름에 맞게 홈 디렉토리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C:Users%username%"은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이름에 따라 "C:UsersJohn", "C:UsersJane" 등으로 자동으로 경로가 설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Windows 2000 Server의 IIS 웹 서버를 설치할 경우 자동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기본 웹 사이트
  2. 관리 웹 사이트
  3. 기본 SMTP 가상서버
  4. POP3
(정답률: 54%)
  • Windows 2000 Server의 IIS 웹 서버를 설치할 경우 자동으로 설치되는 것은 "기본 웹 사이트", "관리 웹 사이트", "기본 SMTP 가상서버" 이다. POP3은 이메일을 수신하기 위한 프로토콜인데, 이는 웹 서버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자동으로 설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POP3를 따로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DNS 서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FQDN를 이용하여 IP주소에서 호스트 네임을 확인한다.
  2. DNS 서버를 설정하려면 Administrator 또는 관리자 권한이 있는 계정으로 로그온 해야 한다.
  3. Windows NT4.0에서 사용하던 Wins 기능은 지원하지 않는다.
  4. 도메인 네임을 IP 주소로 또는 IP 주소를 도메인 네임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57%)
  • "Windows NT4.0에서 사용하던 Wins 기능은 지원하지 않는다."는 DNS 서버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Windows NT4.0에서 사용하던 Wins 기능에 대한 설명이다. DNS 서버는 Wins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이유는 Wins는 NetBIOS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데 비해 DNS는 도메인 네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DNS 서버의 이름을 사용자들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DNS 대화상자에서 해당 서버의 어떤 메뉴를 실행하는가?

  1. 새 호스트
  2. 새 별칭
  3. 새 위임
  4. 새 도메인
(정답률: 60%)
  • DNS 서버의 이름을 사용자들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DNS 대화상자에서 "새 별칭" 메뉴를 실행해야 합니다. 이는 DNS 서버의 별칭을 설정하는 메뉴로, 사용자들은 이 별칭을 이용하여 DNS 서버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새 호스트"는 호스트를 추가하는 메뉴이고, "새 위임"은 DNS 서버의 위임을 설정하는 메뉴입니다. "새 도메인"은 도메인을 추가하는 메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현재 FTP 사이트에 접속 중인 사용자를 확인할 경우, FTP서버의 등록정보에서 어느 탭을 클릭 하는가?

  1. 보안계정
  2. FTP사이트
  3. 디렉토리 보안
  4. 홈 디렉토리
(정답률: 41%)
  • 정답은 "FTP사이트"이다. 이는 FTP사이트 탭에서 현재 접속 중인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탭들은 보안과 관련된 설정이나 디렉토리 관리와 관련된 설정들이기 때문에, 현재 접속 중인 사용자를 확인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Linux에서 서버를 종료하기 위해 “shutdown - h +30”을 입력하였다. 그런데 갑자기 어떤 작업을 추가로 하게 되어 앞서 내렸던 명령을 취소하려고 한다. 이때 필요한 명령어는?

  1. shutdown -c
  2. shutdown -v
  3. shutdown -x
  4. shutdown -z
(정답률: 59%)
  • 정답은 "shutdown -c"이다. 이 명령어는 이전에 입력한 shutdown 명령어를 취소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서버를 종료하기 위해 입력한 "shutdown -h +30" 명령어를 취소하고자 할 때는 "shutdown -c"를 입력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인터넷 정보 서비스 메뉴에서 관리 웹 사이트 등록정보에 없는 탭은?

  1. 웹 사이트
  2. 디렉토리 보안
  3. 홈 디렉토리
  4. LDAP 라우팅
(정답률: 66%)
  • 정답: LDAP 라우팅

    LDAP 라우팅은 인터넷 정보 서비스 메뉴에서 관리 웹 사이트 등록정보에 없는 탭이다. LDAP 라우팅은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LDAP)을 사용하여 웹 서버에서 사용자 인증 및 권한 부여를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웹 서버는 LDAP 서버에서 사용자 정보를 가져와 인증 및 권한 부여를 수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Active Directory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네트워크 상의 파일과 디렉토리 등의 자료를 좀 더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한다.
  2. Active Directory의 설치와 삭제는 [시작] - [실행] - dcpromo 이다.
  3. 조직단위를 생성시킬 수 있다.
  4. DNS의 기능과 관계가 없다.
(정답률: 65%)
  • "DNS의 기능과 관계가 없다"는 것은 Active Directory가 DNS 서버의 역할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Active Directory는 네트워크 상의 자원들을 관리하기 위한 디렉토리 서비스이며, DNS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서비스입니다. 둘은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Active Directory의 설치와 관련된 명령어인 dcpromo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Active Directory의 논리적 구조 중 ‘도메인’이 제공하는 장점이 아닌 것은?

  1. 관리 권한 및 액세스 제어 목록과 같은 보안 정책과 설정이 해당 도메인에만 적용된다.
  2. 도메인 또는 조직 단위에 관리 권한을 위임하면 모든 관리 권한을 가진 관리자가 많이 필요하다.
  3. 도메인을 사용하면 소속 조직의 구조를 좀 더 충실히 반영하도록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4. 각 도메인은 해당 도메인에 있는 개체의 정보만 저장한다. 이런 방식으로 디렉토리를 분할함으로써 수많은 개체를 수용하도록 Active Directory를 확장할 수 있다.
(정답률: 60%)
  • 도메인 또는 조직 단위에 관리 권한을 위임하면 모든 관리 권한을 가진 관리자가 많이 필요하다는 것은 장점이 아니라 단점이다. 이는 보안상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도메인 또는 조직 단위에 관리 권한을 위임하면 모든 관리 권한을 가진 관리자가 많이 필요하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Windows 2000 Server에서 사용하는 NTFS 시스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Windows NT부터 지원하기 시작한 NTFS 파일시스템은 다중사용자에 대한 효과적인 접근제어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2. NTFS 파일 시스템에서 다른 파일 시스템으로 바꾸려면 다시 포맷해야 한다.
  3. FAT에 비해 성능이나 확장성 및 보안성이 개선되었다.
  4. 긴 파일 이름을 지원하지 않는다.
(정답률: 60%)
  • "긴 파일 이름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틀린 설명이다. NTFS 파일 시스템은 긴 파일 이름을 지원한다. 이전 FAT 파일 시스템에서는 8자 이하의 파일 이름만 지원했지만, NTFS에서는 최대 255자까지 파일 이름을 지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은 로컬 사용자 계정 만들기에서 ‘새 사용자’ 대화상자이다. 디폴트는 어느 부분에 체크되어 있는가?

  1. 다음 로그온할 때 반드시 암호 변경
  2. 암호 변경할 수 없음
  3. 암호 사용 기간 제한 없음
  4. 계정 사용 안함
(정답률: 56%)
  • 디폴트는 "다음 로그온할 때 반드시 암호 변경"이 체크되어 있다. 이는 보안상의 이유로 새로운 사용자가 최초 로그인 시에 반드시 암호를 변경하도록 강제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기본 암호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안전한 암호를 사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Windows 2000 Server가 설치되면서 자동 생성되는 그룹으로 수정이 불가능한 그룹은?

  1. Local Group
  2. System Group
  3. Built-in Group
  4. Application Group
(정답률: 48%)
  • Built-in Group은 Windows 2000 Server 설치 시 자동으로 생성되는 그룹으로, 시스템의 기본적인 운영에 필요한 권한과 설정이 미리 정의되어 있어 수정이 불가능한 그룹입니다. 이 그룹에는 Administrators, Users, Guests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그룹의 권한을 변경하려면 다른 그룹에 속한 사용자를 이 그룹에 추가하거나, 새로운 그룹을 만들어서 권한을 부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Windows 2000 Server의 MMC(Microsoft Management Console)의 기능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네트워크 기능들을 모니터링하고 관리도구들을 액세스하기 위한 고용콘솔이다.
  2. 하나의 관리자 인터페이스에 필요한 관리 요소를 스냅인으로 추가하여 관리할 수 있는 편리한 도구이다.
  3. 로컬 컴퓨터와 원격 컴퓨터를 하나의 화면에서 관리할 수는 없다.
  4. 컴퓨터 관리에는 보통 시스템 도구, 저장소, 서비스 및 응용프로그램을 관리한다.
(정답률: 68%)
  • "로컬 컴퓨터와 원격 컴퓨터를 하나의 화면에서 관리할 수는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MMC는 로컬 컴퓨터와 원격 컴퓨터를 모두 관리할 수 있는 도구이다. 따라서 정답은 "로컬 컴퓨터와 원격 컴퓨터를 하나의 화면에서 관리할 수는 없다."가 아니라 다른 보기들 중 하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Windows 2000 Server의 네트워크 방식 중에서, 모든 계정과 자원을 특정 서버에서 관리하는 중앙 집중식 방식은?

  1. 도메인 방식
  2. 워크그룹 방식
  3. 분산 처리 방식
  4. 일괄 처리 방식
(정답률: 38%)
  • 도메인 방식은 모든 계정과 자원을 중앙 서버에서 관리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 중앙 서버에서 인증을 받고, 해당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자원을 제어한다. 이 방식은 보안성이 높고, 관리가 용이하며, 사용자들 간의 자원 공유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Windows 2000 Server의 네트워크 방식 중에서, 모든 계정과 자원을 특정 서버에서 관리하는 중앙 집중식 방식은 도메인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계정 잠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용자가 여러 번 로그인에 실패하였을 때 해당 사용자의 계정을 파기한다.
  2. 잠금이 발생한 이후에는 반드시 관리자에 의해 해당 잠금이 풀려야 한다.
  3. 잠금이 발생하기 위한 로그인 실패 횟수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4. Windows 2000 Server는 계정 잠금을 지원하지 않는다.
(정답률: 61%)
  • 잠금이 발생하기 위한 로그인 실패 횟수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 이유는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로그인 시도를 일정 횟수 이상 실패하면 해당 계정을 잠금 처리하여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막기 위함이다. 이 설정은 관리자가 시스템 보안 정책을 설정할 때 결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Linux에서는 긴 파일명을 허용한다. 너무 긴 파일명을 지정할 경우 몇 글자만 입력 후 어떤 키를 사용하면 그 이후의 글자가 입력되게 하는가?

  1. Tab키
  2. Shift키
  3. Alt키
  4. Ctrl키
(정답률: 67%)
  • Tab키는 Linux에서 파일명 자동완성 기능을 수행하는 키이다. 긴 파일명을 입력할 때는 일부만 입력한 후 Tab키를 누르면 시스템이 자동으로 나머지 파일명을 완성해준다. 따라서 너무 긴 파일명을 입력할 때는 Tab키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46. 2 개 이상의 동일한 LAN 사이를 연결하여 네트워크 범위를 확장하고 스테이션 간의 거리를 확장해 주는 장치는?

  1. Repeater
  2. Brouter
  3. Router
  4. Gateway
(정답률: 47%)
  • Repeater는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를 늘려주는 장치로, 동일한 LAN 사이를 연결하여 네트워크 범위를 확장하고 스테이션 간의 거리를 확장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Repeater"입니다. Brouter, Router, Gateway는 모두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Ethernet 표준 케이블을 사용한 외장 MAU(Medium Access Unit)를 무엇이라 하는가?

  1. Transceiver
  2. Hub
  3. Switching Hub
  4. Codec
(정답률: 41%)
  • Transceiver는 Ethernet 표준 케이블을 사용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장치로, MAU(Medium Access Unit)라고도 불립니다. 이 장치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데 사용되며, Ethernet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Transceiv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최근 공중망 무선랜서비스가 상용화 되었는데 가입자는 접속장치에서 100m 반경이내에서 무선 랜카드 장착 노트북, PDA 등을 통해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접속장치는?

  1. AP(Access Point)
  2. RF(Radio Frequency) Transceiver
  3. Router
  4. Switch
(정답률: 63%)
  • AP(Access Point)는 무선 랜 신호를 발신하고 수신하는 장치로, 무선 랜 클라이언트(노트북, PDA 등)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공중망 무선랜서비스를 이용하려면 AP가 설치된 지역에서 무선 랜 클라이언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RF(Radio Frequency) Transceiver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Router는 네트워크 간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 장치, Switch는 네트워크 내부에서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네트워크 장치 중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가진 두 시스템 간을 연결시키며, OSI 참조모델의 모든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치는?

  1. Gateway
  2. Router
  3. Bridge
  4. Repeater
(정답률: 63%)
  • Gateway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가진 두 시스템 간을 연결시키며, OSI 참조모델의 모든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치입니다. 다른 장치들은 주로 네트워크의 물리적인 연결을 담당하거나, 라우팅을 수행하는 등의 역할을 하지만, Gateway는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여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시스템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Gateway가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시스템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OSI 참조모델의 모든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CISCO 사의 2501 라우터를 사용하고 있는 회사에 근무하는 네트워크 관리자이다. 지금 라우터의 설정을 바꾸기 위해 라우터에 접속하여야 한다. 다음 중 라우터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콘솔케이블을 이용해 연결한다.
  2. AUX 포트를 이용해 연결한다.
  3. In - Line 포트를 이용해 연결한다.
  4. 텔넷을 이용해 연결한다.
(정답률: 38%)
  • In-Line 포트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In-Line 포트를 이용해 연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