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4-17)

네트워크관리사 2급
(2005-04-1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TCP/IP

1. IP의 체크섬(Checksum)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IP Header의 완전성을 검사한다.
  2. IP Header와 데이터의 완전성을 검사한다.
  3. 데이터의 완전성을 검사한다.
  4. IP Header의 크기는 8bit이다.
(정답률: 56%)
  • IP의 체크섬은 IP Header의 완전성을 검사하기 위한 것이다. IP Header와 데이터의 완전성을 검사하는 것은 TCP와 UDP의 체크섬이다. 따라서 "IP Header의 완전성을 검사한다."가 올바른 설명이다. "IP Header의 크기는 8bit이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IP Header의 크기는 20바이트(160비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ARP Cache가 갱신되는 경우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

  1. RARP Request를 보낸 경우
  2. 새로운 네트워크 하드웨어가 추가된 경우
  3. 새로운 IP Address가 재 할당된 경우
  4. 중복된 IP Address가 할당된 경우
(정답률: 35%)
  • ARP Cache는 IP 주소와 MAC 주소 간의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캐시이다. ARP Cache가 갱신되는 경우는 새로운 네트워크 하드웨어가 추가된 경우, 새로운 IP Address가 재 할당된 경우, 중복된 IP Address가 할당된 경우이다. 그러나 RARP(Request ARP)은 MAC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이므로 ARP Cache를 갱신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RARP Request를 보낸 경우"가 ARP Cache가 갱신되는 경우로 타당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하면, 트래픽 관리 및 제어가 가능하다.
  2. 서브넷 마스크는 목적지 호스트의 IP Address가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지 확인한다.
  3. 하나의 네트워크 클래스를 여러 개의 네트워크로 분리하여 IP Address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4. 서브넷 마스크는 클래스 A, B, C의 IP Address는 항상 같은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한다.
(정답률: 81%)
  • "서브넷 마스크는 클래스 A, B, C의 IP Address는 항상 같은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서브넷 마스크는 IP Address의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을 구분하는 역할을 하며, 클래스 A, B, C의 IP Address는 각각 고정된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항상 같은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라우팅 테이블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로 옳지 않은 것은?

  1. 송신지 IP Address
  2. 다음-홉(Hop) 라우터
  3. 목적지 IP Address
  4. 인터페이스
(정답률: 42%)
  • 송신지 IP Address는 라우팅 테이블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라우팅 테이블은 목적지 IP Address와 다음-홉 라우터, 그리고 해당 라우터와 연결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합니다. 송신지 IP Address는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어 있으며, 라우팅 테이블과는 별개의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RIP 프로토콜의 일반적인 특징을 기술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RIP 메시지는 전송계층의 UDP 데이터그램에 의해 운반된다.
  2. 각 라우터는 이웃 라우터들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 배정표를 갱신한다.
  3. 멀티캐스팅을 지원한다.
  4. 네트워크의 상황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한다.
(정답률: 49%)
  • 멀티캐스팅을 지원한다는 것은 RIP 메시지를 한 번에 여러 대상에게 보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높이고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멀티캐스팅을 지원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도메인 네임으로 IP Address를 조회할 수 있는 명령은?

  1. finger
  2. nslookup
  3. netstat
  4. telnet
(정답률: 70%)
  • 도메인 네임으로 IP Address를 조회하는 명령은 "nslookup"이다. 이는 네트워크 상에서 도메인 네임과 IP Address 간의 매핑 정보를 조회하는 DNS(Domain Name System)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명령어이다. 따라서 nslookup 명령어를 사용하면 도메인 네임에 대응하는 IP Address를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TCP/IP 응용 계층에서 지원하지 않는 프로토콜은?

  1.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2.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3. NFS(Network File System)
  4.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정답률: 49%)
  • TCP/IP 응용 계층에서는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는 멀티캐스트 그룹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됩니다. TCP/IP 응용 계층에서는 SMTP, NFS, SNMP 등의 프로토콜을 지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ARP Cache를 지우는 명령어는?

  1. arp -l
  2. arp -d
  3. arp -a
  4. arp -s
(정답률: 85%)
  • ARP Cache를 지우는 명령어는 "arp -d"이다. "arp -d"는 ARP Cache에서 특정 IP 주소에 대한 MAC 주소를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arp -l"은 ARP Cache에 저장된 항목을 보여주는 명령어이고, "arp -a"는 ARP Cache에 저장된 모든 항목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arp -s"는 ARP Cache에 수동으로 항목을 추가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ICMP의 Message Type 필드 번호와 유형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0 - Echo Reply
  2. 8 - Echo Request
  3. 12 - Timestamp Request
  4. 17 - Address Mask Request
(정답률: 48%)
  • ICMP의 Message Type 필드 번호와 유형이 잘못 연결된 것은 없습니다.

    12번은 Timestamp Request로 올바르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메시지는 네트워크 딜레이와 시간 동기화를 위해 사용됩니다. Timestamp Request 메시지를 받은 호스트는 자신의 현재 시간을 Timestamp Reply 메시지에 담아 응답합니다.

    0번은 Echo Reply로, 8번은 Echo Request로, 17번은 Address Mask Request로 각각 올바르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Echo Request와 Echo Reply는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며, Address Mask Request는 호스트의 서브넷 마스크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호스트 컴퓨터 aaa.bbb.ccc에 텔넷으로 접속하기 위해 "telnet aaa.bbb.ccc : 9999"라고 명령을 입력한 경우 9999가 뜻하는 것은?

  1. 사용자 번호
  2. 네트워크 주소
  3. 포트 번호
  4. IP 주소
(정답률: 91%)
  • 9999는 호스트 컴퓨터에서 열려있는 포트 번호를 나타냅니다. 포트 번호는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프로그램이나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한 번호로, 텔넷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23번 포트를 사용하지만, 사용자가 지정한 포트 번호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포트 번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인터넷의 WWW에서 하이퍼미디어, 하이퍼텍스트를 통한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통신에 이용되는 TCP/IP 응용 프로토콜은?

  1. FTP
  2. SNMP
  3. HTTP
  4. SMTP
(정답률: 88%)
  •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에서 웹 페이지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HTT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요청과 응답을 처리하며, 하이퍼미디어 및 하이퍼텍스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인터넷의 WWW에서 하이퍼미디어, 하이퍼텍스트를 통한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통신에 이용되는 TCP/IP 응용 프로토콜은 HTT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원격 파일전송 서비스에서 등록되어 있지 않는 익명의 일반 사용자를 위한 계정은?

  1. FTP
  2. Anonymous
  3. Everyone
  4. Guests
(정답률: 62%)
  • 원격 파일전송 서비스에서 등록되어 있지 않는 익명의 일반 사용자를 위한 계정은 "Anonymous"이다. 이는 FTP 프로토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계정으로, 사용자가 로그인할 필요 없이 파일 전송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이 계정은 일반적으로 익명 사용자를 위한 것으로,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지만, 서버에 대한 제한된 권한만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SMTP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메일전송 프로토콜이다.
  2. FTP와의 차이는 처리가 모두 하나의 커넥션으로 실행된다.
  3. 110번 포트를 이용한다.
  4. 전자메일 관리자를 따로 지정할 수 있다.
(정답률: 70%)
  • 110번 포트를 이용하는 것은 POP3(전자우편 수신 프로토콜)이며, SMTP는 25번 포트를 이용한다. SMTP는 메일을 보내는 프로토콜이며, FTP와의 차이점은 파일 전송이 아닌 메일 전송에 특화되어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전자메일 관리자를 따로 지정할 수 있는 것은 IMAP(인터넷 메일 접근 프로토콜)이며, SMTP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SNMP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NMP는 주기적으로 폴링(Polling)하여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2. 네트워크 확장을 용이하게 해준다.
  3. SNMP는 TCP 세션을 이용한다.
  4. Polling Overhead가 크다.
(정답률: 52%)
  • SNMP는 TCP 세션을 이용하지 않고 UDP 세션을 이용한다. UDP는 연결 지향적이지 않기 때문에 SNMP는 연결 지향적인 TCP보다 더 빠르고 경량화된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SNMP는 TCP 세션을 이용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TCP/I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층적 모델에 따라서 구현된 프로토콜이다.
  2. LAN 환경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제한된 프로토콜이다.
  3. 비용이 무료인 개방형 표준이다.
  4. 인터넷 환경의 표준 프로토콜이다.
(정답률: 77%)
  • TCP/IP 프로토콜은 LAN 환경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제한된 프로토콜이 아니라, 인터넷 환경의 표준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DHCP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앙에서 IP Address를 관리하고 개별 클라이언트들에게 자동으로 할당한다.
  2. IP Address가 없는 경우에도 인터넷에 접속이 가능하게 해준다.
  3. DHCP는 호스트 이동시에 자동으로 새로운 IP Address를 할당할 수 있다.
  4. 임의 주소를 할당하는 경우에는 주소 재사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72%)
  • "IP Address가 없는 경우에도 인터넷에 접속이 가능하게 해준다."는 DHCP의 역할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은 설명이다.

    DHCP는 중앙에서 IP Address를 관리하고 개별 클라이언트들에게 자동으로 할당하며, 호스트 이동시에 자동으로 새로운 IP Address를 할당할 수 있고, 임의 주소를 할당하는 경우에는 주소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Subnetting을 하는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1. IP Address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Network ID와 Host ID를 구분 할 수 있다.
  3. 불필요한 Broadcasting Message를 제한할 수 있다.
  4. Host ID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률: 83%)
  • Subnetting을 하면 Host ID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Subnetting은 IP 주소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Network ID와 Host ID를 구분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Subnetting을 하면 Network ID와 Host ID를 더 세분화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지만, Host ID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모든 서브넷은 여전히 Host ID를 가지고 있으며, 각 서브넷에서는 여전히 호스트 간 통신이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8. 데이터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전송 속도 단위로서 초간에 운반할 수 있는 데이터의 비트 수의 단위는?

  1. byte
  2. bps
  3. throughput
  4. band
(정답률: 78%)
  • 정답은 "bps"입니다. bps는 초당 전송되는 비트 수를 나타내는 단위로, 데이터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전송 속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데이터 양이나 대역폭을 나타내는 단위이지만, bps는 시간 단위인 초에 대한 비트 수를 나타내므로 전송 속도를 측정하는 데 가장 적합한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여러 사용자들이 동시에 채널을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1. 인코딩(Encoding)
  2. 멀티 플렉싱(Multi Plexing)
  3. 디코딩(Decoding)
  4. 시분할(Time Sharing)
(정답률: 87%)
  • 멀티 플렉싱은 여러 사용자들이 동시에 채널을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여러 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하나의 채널로 묶어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는 이를 다시 분리하여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복원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여러 사용자들이 동시에 채널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어떤 전송시스템의 전송신호의 주파수는 최소 2KHz에서 최대 10KHz일 때, 이 신호를 손실 없이 디지털화 하기 위한 표본추출 수는?

  1. 2,000
  2. 4,000
  3. 8,000
  4. 16,000
(정답률: 31%)
  • 디지털화를 위해서는 최소 2배 이상의 표본추출 수가 필요하므로, 최대 주파수인 10KHz를 기준으로 계산하면 10KHz x 2 = 20KHz가 된다. 따라서, 20KHz를 초당 표본추출해야 하므로 20,000Hz의 표본추출 수가 필요하다. 이를 보기에서 선택할 수 있는 값으로 변환하면 16,00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6,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데이터 흐름제어(Flow Control)와 전혀 무관한 것은?

  1. ARQ
  2. XON/OFF
  3. Loop/Echo
  4. Sliding Window
(정답률: 53%)
  • Loop/Echo는 데이터 흐름제어와 전혀 무관한 것이다. Loop/Echo는 데이터를 보낸 측에서 다시 받아들여서 확인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흐름제어와는 관련이 없다. Loop/Echo는 주로 통신 라인의 문제를 진단하거나 테스트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데이터통신망에서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2. 메시지 교환(Message Switching)
  3. 망 교환(Network Switching)
  4.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정답률: 60%)
  • 망 교환(Network Switching)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전체 네트워크를 공유하며 경로를 찾아 전송하는 방식이 아니라, 목적지 주소를 확인하고 해당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입니다. 망 교환은 일반적으로 전화망에서 사용되는 방식이며, 데이터통신망에서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TCP/IP와 OSI 7 Layer의 비교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TCP 프로토콜은 OSI 7 Layer의 전송계층에 해당한다.
  2. IP 프로토콜은 OSI 7 Layer의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한다.
  3. 파일전송 프로토콜인 FTP는 OSI 7 Layer의 응용계층에 해당한다.
  4. HTTP 프로토콜은 OSI 7 Layer의 표현계층에 해당한다.
(정답률: 65%)
  • "HTTP 프로토콜은 OSI 7 Layer의 표현계층에 해당한다."는 옳지 않은 것이다. HTTP 프로토콜은 OSI 7 Layer의 응용계층에 해당한다. 표현계층은 데이터의 표현 방식을 정의하는 계층으로, 데이터를 압축하거나 암호화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HTTP 프로토콜은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표현계층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Ethernet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IEEE 801.2에 표준으로 정의되어 있다.
  2. 케이블 길이에 제한이 없다.
  3. 10MB/sec를 전송하며, 광전송 선로보다 가격이 고가이고, 설치 시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
  4. CSMA/CD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정답률: 74%)
  • Ethernet은 CSMA/CD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충돌을 감지하고 처리하기 때문에 정확한 데이터 전송을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프로토콜 계층구조상의 기본 구성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체(Entity)
  2. 접속(Connection)
  3. 데이터 단위(Data Unit)
  4. 구문(Syntax)
(정답률: 52%)
  • 프로토콜 계층구조상의 기본 구성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구문(Syntax)"입니다. 구문은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메시지나 데이터의 형식이나 문법을 의미하는데, 이는 데이터 단위(Data Unit)의 일부분으로 포함됩니다. 따라서 구문은 기본 구성요소가 아니라 보조적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일반적으로 Finger를 통해 알 수 있는 정보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당 사용자의 비밀번호
  2. 해당 사용자가 계정 등록 때 사용한 이름
  3. 해당 사용자가 메일을 보았는지 확인
  4. 해당 사용자가 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한 컴퓨터의 IP Address
(정답률: 59%)
  • 정답은 "해당 사용자의 비밀번호"입니다. Finger는 사용자의 이름, 전자 메일 주소, 로그인 시간, 호스트 이름 등의 정보를 제공하지만, 비밀번호는 보안상의 이유로 제공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고속 Ethernet의 액세스 방식에 해당되는 것은?

  1. ALOHA
  2. CSMA/CD
  3. Token Bus
  4. Token Ring
(정답률: 83%)
  • CSMA/CD는 고속 Ethernet의 액세스 방식 중 하나입니다. 이 방식은 충돌 감지를 통해 데이터 충돌을 방지하며,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채널이 비어있는지 확인합니다. 채널이 비어있으면 데이터를 전송하고, 충돌이 발생하면 일정 시간 동안 대기한 후 다시 전송을 시도합니다. 이 방식은 Ethernet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액세스 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NOS

28. Windows 2000 Server에서 프린터를 공유하여 같이 사용할 때 프린트를 요청했지만 프린트가 되지 않고 작업을 지울 수도 없을 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용하는 서비스는?

  1. Printer Job Service
  2. Directory Service
  3. Spooler Service
  4. Printer Request Service
(정답률: 54%)
  • 정답은 "Spooler Service"입니다.

    Spooler Service는 Windows 운영체제에서 프린터 작업을 처리하는 서비스입니다. 프린터 작업을 요청하면 Spooler Service가 해당 작업을 대기열에 저장하고, 프린터가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되면 대기열에서 작업을 꺼내서 프린트합니다.

    따라서, Windows 2000 Server에서 프린터를 공유하여 같이 사용할 때 프린트가 되지 않거나 작업을 지울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면 Spooler Service를 확인해야 합니다. Spooler Service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면 프린터 작업이 처리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Windows 2000 Server에서 웹 서비스 및 FTP 서비스를 하려고할 때 먼저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1. DNS Server
  2. IIS Web Server
  3. Exchange Server
  4. Active Directory
(정답률: 60%)
  • Windows 2000 Server에서 웹 서비스 및 FT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IIS(Web Server)가 먼저 설치되어야 합니다. IIS는 웹 서버 역할을 수행하며, 웹 페이지 및 FTP 파일을 호스팅할 수 있습니다. DNS Server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Exchange Server는 이메일 서버 역할을 합니다. Active Directory는 네트워크의 사용자 및 컴퓨터 관리를 위한 디렉토리 서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Windows 2000 Server에서 여러 사용자 계정을 만들 경우 홈 디렉터리로 지정할 최종 경로에서 사용자 이름대신 사용하는 시스템 변수는?

  1. %username%
  2. %userdomain%
  3. %homeshare%
  4. %homedrive%
(정답률: 71%)
  • "%username%"은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이름을 나타내는 시스템 변수이다. 이 변수를 사용하면 여러 사용자 계정을 만들 때 각각의 홈 디렉터리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Users%username%"으로 지정하면 각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마다 자신의 이름으로 된 폴더가 생성되어 홈 디렉터리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DNS(Domain Name System)서버를 처음 설치하면서 가장 먼저 만들어야 하는 데이터베이스 레코드는?

  1. CNAME
  2. HINFO(Host Information)
  3. PTR(Pointer)
  4. SOA(Start Of Authority)
(정답률: 60%)
  • SOA(Start Of Authority) 레코드는 DNS(Domain Name System)서버에서 가장 먼저 만들어야 하는 데이터베이스 레코드입니다. 이는 해당 도메인의 권한을 가지고 있는 DNS 서버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도메인의 캐시 된 레코드의 유효 기간을 설정하는 등 DNS 서버의 기본 설정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DNS 서버를 처음 설치할 때는 SOA 레코드를 먼저 만들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익명의 사용자가 회사 FTP 사이트의 특정 디렉터리에 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적용할 사용 권한은?

  1. 특정 디렉터리에 읽기 사용권한을 부여한다.
  2. 특정 디렉터리에 쓰기 사용권한을 부여한다.
  3. UNIX 디렉터리 리스트 형식을 사용하여 FTP 사이트를 구성한다.
  4. MS-DOS 디렉터리 리스트 형식을 사용하여 FTP 사이트를 구성한다.
(정답률: 62%)
  • 특정 디렉터리에 쓰기 사용권한을 부여해야 한다. 이는 익명 사용자가 해당 디렉터리에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읽기 권한만 부여하면 파일을 업로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FTP 사이트를 구성하는 디렉터리 리스트 형식은 이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SQL Server를 관리하는데 있어서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툴(Tool)로, 트랜잭트(Transacted) SQL 문을 모르더라도 데이터베이스나 테이블을 생성하는 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백업 및 복구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은?

  1. 프로파일러(Profiler)
  2. 서비스 매니저
  3. 엔터프라이즈 매니저
  4. 쿼리 분석기
(정답률: 37%)
  • 엔터프라이즈 매니저는 SQL Server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트랜잭트 SQL 문을 모르더라도 데이터베이스나 테이블을 생성하는 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백업 및 복구 작업도 가능합니다. 따라서 SQL Server 관리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DHCP 관리자는 특정 IP Address를 특정 호스트가 예약하여 사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예약 설정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항목은?

  1. 서브넷 마스크
  2. DNS 주소
  3. 해당 호스트의 MAC Address
  4. 옵션 클래스
(정답률: 62%)
  • DHCP는 호스트의 IP 주소를 할당할 때 MAC 주소를 사용하여 식별한다. 따라서 예약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해당 호스트의 MAC 주소가 필요하다.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를 서브넷으로 분할하는 데 사용되며, DNS 주소는 호스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데 사용된다. 옵션 클래스는 DHCP 서버에서 제공하는 추가 구성 옵션을 지정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DHCP 클라이언트가 DHCP 서버로부터 IP를 임대 받는 과정 중 처음으로 초기화할 때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대하여 패킷을 브로드 캐스트 하는 단계는?

  1. IP 대여 요청단계
  2. IP 대여 제안단계
  3. IP 대여 선택단계
  4. IP 대여 응답단계
(정답률: 71%)
  • DHCP 클라이언트가 DHCP 서버로부터 IP를 임대 받는 과정에서 처음으로 초기화할 때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 상에 DHCP 서버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패킷을 브로드 캐스트합니다. 이 단계를 "IP 대여 요청단계"라고 합니다. 클라이언트는 이 패킷에 자신의 MAC 주소와 IP 주소를 포함시켜서 브로드 캐스트합니다. DHCP 서버는 이 패킷을 받고, 클라이언트에게 IP 주소를 제안합니다. 이후에는 "IP 대여 제안단계", "IP 대여 선택단계", "IP 대여 응답단계"가 이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Windows 2000 Server에서 Active Directory는 모든 네트워크 자원들에 대한 중앙 집중적인 관리를 지원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단 한 번의 로그온으로 네트워크상의 어떠한 자원들이라도 액세스 할 수 있다. 이때 Active Directory 설치 마법사 실행 파일은?

  1. sendmail.exe
  2. dcpromo.exe
  3. apache.exe
  4. explorer.exe
(정답률: 66%)
  • Active Directory는 Windows 2000 Server에서 제공하는 디렉토리 서비스이며, 네트워크 자원들의 중앙 집중적인 관리를 지원합니다. Active Directory 설치 마법사 실행 파일은 dcpromo.exe입니다. 이 파일을 실행하면 Windows 2000 Server에 Active Directory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Windows 2000 Server 설치 시에 기본적으로 설정되는 그룹이 아닌 것은?

  1. Administrators
  2. Users
  3. Guests
  4. Operators
(정답률: 73%)
  • "Administrators", "Users", "Guests"는 Windows 2000 Server 설치 시에 기본적으로 설정되는 그룹이며, 각각 시스템 관리자, 일반 사용자, 게스트 사용자를 나타냅니다. 하지만 "Operators" 그룹은 기본적으로 설정되지 않습니다. "Operators" 그룹은 일부 시스템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그룹으로, 일반 사용자보다는 권한이 높지만 시스템 관리자보다는 권한이 낮습니다. 따라서 이 그룹은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생성하고 구성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NTF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NTFS는 Windows 2000 Server 시스템에서 가장 효율적인 파일 시스템으로 대부분의 운영체제에서 호환성을 가진다.
  2. FAT, HPSF 파일 시스템 보다 더 큰 파일과 파티션 사이즈를 지원한다.
  3. FAT와 비교해 볼 때 파일과 디렉터리 단위의 보안을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4. 파일과 디렉터리의 압축과 POSIX 요구사항을 지원한다.
(정답률: 47%)
  • NTFS는 대부분의 운영체제에서 호환성을 가지지 않는다. NTFS는 Microsoft Windows 운영체제에서만 지원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FAT와 NTFS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FAT는 자체적인 압축 기능을 지원한다.
  2. FAT 파일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일반적인 PC 사용자들을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3. FAT 파일시스템은 기본적인 파일의 기록과 불러오기 기능 등으로만 구성된다.
  4. NTFS 파일시스템은 file에 보안을 설정할 수 있다.
(정답률: 47%)
  • "FAT는 자체적인 압축 기능을 지원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FAT 파일시스템은 압축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Windows 2000 Server의 인증 프로토콜끼리 짝지어진 것은?

  1. L2TP, CHAP
  2. EAP, MS-CHAP
  3. CHAP, PPTP
  4. MS-CHAP, L2TP
(정답률: 36%)
  • Windows 2000 Server에서 L2TP 프로토콜을 사용할 때 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EAP과 MS-CHAP입니다. EAP은 확장 가능한 인증 프로토콜로, 다양한 인증 방법을 지원합니다. MS-CHAP은 Microsoft Challenge Handshake Authentication Protocol으로, 비밀번호 기반 인증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L2TP와 함께 사용되는 인증 프로토콜은 EAP과 MS-CHA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조직 내에 극도의 보안을 요구하는 팀이 한시적으로 결성되어 이들에 대해서는 패스워드를 일주일에 한 번씩 변경하게 하려고 한다. 어떤 단위로 이들을 묶는 것이 가장 적절한가?

  1. Administrator 그룹
  2. OU(Organization Unit)
  3. 도메인(Domain)
  4. 포리스트(Forest)
(정답률: 50%)
  • 가장 적절한 단위는 "OU(Organization Unit)"이다. OU는 조직 내에서 특정 부서나 그룹을 나타내는 단위로, 이들 보안 팀은 조직 내에서 특정한 역할과 책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나타내는 OU를 생성하여 그룹핑하는 것이 적절하다. Administrator 그룹은 특정 권한을 가진 사용자들의 그룹이고, 도메인과 포리스트는 조직 전체를 나타내는 더 큰 범위의 단위이기 때문에 이들을 이용하여 보안 팀을 묶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IIS를 설치할 경우 가능한 서비스가 아닌 것은?

  1. DHCP 서비스
  2. Web 서비스
  3. FTP 서비스
  4. SMTP 서비스
(정답률: 54%)
  • DHCP 서비스는 네트워크에서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해주는 서비스이며, IIS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IIS는 웹 서비스, FTP 서비스, SMTP 서비스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DHCP 서비스는 IIS를 설치할 경우 가능한 서비스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Linux 시스템에 설치된 입출력 장치들과 마운트 될 파일시스템의 마운트 포인터가 위치하는 디렉터리는?

  1. /dev
  2. /lib
  3. /root
  4. /mnt
(정답률: 57%)
  • "/mnt" 디렉터리는 일반적으로 시스템에 추가된 장치나 파일시스템을 마운트할 때 사용되는 디렉터리입니다. 이 디렉터리는 시스템 관리자가 임의로 생성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mnt" 디렉터리는 시스템 관리자가 마운트할 파일시스템을 일시적으로 마운트하거나, 테스트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임시적인 공간으로 사용됩니다. 이에 반해, "/dev"는 시스템에 연결된 하드웨어 장치들의 파일 인터페이스가 위치하는 디렉터리이며, "/lib"은 시스템 라이브러리 파일들이 위치하는 디렉터리입니다. "/root"는 시스템의 root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Linux에서 DNS 서버의 설정과 관련된 파일은 ?

  1. /etc/named.conf
  2. /etc/dns.conf
  3. /etc/dns/named.conf
  4. /etc/dns/dns.conf
(정답률: 46%)
  • 정답은 "/etc/named.conf"입니다.

    DNS 서버는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는 역할을 합니다. Linux에서 DNS 서버의 설정과 관련된 파일은 "/etc/named.conf"입니다. 이 파일은 BIND (Berkeley Internet Name Domain) 서버의 설정 파일로, DNS 서버의 동작 방식과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의 매핑 정보를 포함합니다. 따라서 DNS 서버를 구성하고 관리하는 데 필수적인 파일입니다. "/etc/dns.conf", "/etc/dns/named.conf", "/etc/dns/dns.conf"는 존재하지 않는 파일이거나 다른 DNS 서버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되는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Linux를 설치하고 부팅 하였더니 li 메시지만 나오고 시스템이 멈추었다. 이때 LILO를 삭제하는 방법은?

  1. 파티션을 제거한다.
  2. fdisk /mbr 명령어를 사용하여 부트 레코드를 제거한다.
  3. format 명령어를 사용하여 하드디스크를 포맷한다.
  4. del 명령어로 lilo를 삭제한다.
(정답률: 56%)
  • LILO는 부트 레코드에 설치되어 부팅 시에 실행되는데, LILO가 설치된 부트 레코드를 제거하지 않으면 LILO 메시지만 나오고 시스템이 멈추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fdisk /mbr 명령어를 사용하여 부트 레코드를 제거해야 한다. 이 명령어는 마스터 부트 레코드(MBR)를 초기화하여 부트 레코드에 설치된 LILO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46. 다음 중 네트워크 어댑터 카드(NIC)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OSI 참조 모델 중 4 계층 장비이다.
  2.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하기 위한 장치이다.
  3. 병렬 데이터를 받아 직렬로 전송한다.
  4. 고유한 네트워크 어드레스인 MAC 어드레스가 있다.
(정답률: 64%)
  • "OSI 참조 모델 중 4 계층 장비이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NIC는 OSI 참조 모델 중 1계층(물리 계층)에 속하는 장비이다. NIC는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하기 위한 장치이며, 병렬 데이터를 받아 직렬로 전송한다. 또한, NIC는 고유한 네트워크 어드레스인 MAC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라우터(Router)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물리적인 주소를 참조하여 데이터 패킷을 Forwarding 한다.
  2. 네트워크 세그먼트의 길이를 확장하여 하나의 충돌영역을 갖는다.
  3. 신호나 커넥터의 연결 형태를 다른 형태로 바꾸어 주는 장비이다.
  4. 패킷 전송 시 논리적인 주소인 IP Address를 기초로 하고 OSI 참조모델 중 3 계층 장비이다.
(정답률: 68%)
  • 라우터는 패킷 전송 시 논리적인 주소인 IP Address를 기초로 하고 OSI 참조모델 중 3 계층 장비이다. 이는 라우터가 IP 주소를 참조하여 패킷을 전송하며,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기 때문이다. 라우터는 또한 네트워크 세그먼트의 길이를 확장하여 하나의 충돌영역을 갖는다는 것은 스위치의 역할이며, 물리적인 주소를 참조하여 데이터 패킷을 Forwarding 한다는 것은 스위치나 허브의 역할이다. 또한, 신호나 커넥터의 연결 형태를 다른 형태로 바꾸어 주는 장비는 변환기나 게이트웨이 등의 장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네트워크 장치 중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가진 두 시스템 간을 연결시키며, OSI 참조모델의 모든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치는?

  1. Gateway
  2. Router
  3. Bridge
  4. Repeater
(정답률: 62%)
  • Gateway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가진 두 시스템 간을 연결시키며, OSI 참조모델의 모든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치입니다. 다른 장치들은 주로 네트워크의 물리적인 연결을 담당하거나, 라우팅을 수행하는 등의 역할을 하지만, Gateway는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여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시스템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Gateway가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시스템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OSI 참조모델의 모든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T-1 회선에 사용되는 프레임은 보통 각각 8bit로 된 24 Channel과 여분의 1비트로 구성된다. 이러한 T-1 회선이 초당 나눌 수 있는 프레임의 개수는?

  1. 300
  2. 1,600
  3. 8,000
  4. 24,000
(정답률: 31%)
  • T-1 회선의 전송 속도는 1.544Mbps이다. 하나의 프레임은 24개의 8bit 채널과 1개의 여분 비트로 구성되므로, 하나의 프레임 크기는 193비트이다. 초당 전송 가능한 프레임 수는 전송 속도를 프레임 크기로 나눈 값이므로, 1.544Mbps / 193bits = 8000 frames per second 이다. 따라서 정답은 "8,0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네트워크 회선 기기 중 브리지(Bridg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네트워크 IP를 이용해 원하는 목적지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2. Ethernet의 브로드캐스팅 트래픽을 완벽하게 차단한다.
  3.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작동한다.
  4. LAN과 WAN에서 함께 쓰이는 인터네트워킹 장비이다.
(정답률: 52%)
  • 브리지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정답이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작동한다." 입니다.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물리적인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브리지는 이러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목적지 주소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다른 네트워크로 전달합니다. 따라서 브리지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관리하고 전송 속도를 개선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