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10-16)

네트워크관리사 2급
(2005-10-1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TCP/IP

1. 호스트의 IP Address가 “200.221.100.5”을 갖는다면 어떤 Class에 속하는가?

  1. A Class
  2. B Class
  3. C Class
  4. D Class
(정답률: 84%)
  • 200.221.100.5는 첫 번째 옥텟이 128~191 범위에 속하므로 Class C에 속합니다. Class C는 첫 번째 옥텟이 192~223 범위에 속하는 IP 주소를 가지며, 네트워크 ID는 첫 번째부터 세 번째 옥텟까지이고, 호스트 ID는 네 번째 옥텟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패킷 전송의 최적 경로를 위해 다른 라우터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지 않는 프로토콜은?

  1. RIP
  2. OSPF
  3. SMTP
  4. EGP
(정답률: 72%)
  • SMTP는 이메일 전송 프로토콜로, 라우팅과는 관련이 없는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는 프로토콜이다. RIP, OSPF, EGP는 모두 라우팅 프로토콜로, 라우팅 테이블을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서브넷 마스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P Address 체계에서 Network ID와 Host ID로 구분한다.
  2. 목적지 호스트가 동일한 네트워크상에 있는 지 확인한다.
  3. 필요한 서브넷의 수를 결정하여 세팅한다.
  4. 서브넷 마스크는 Network ID 필드는 0으로 Host ID의 필드는 1로 채운다.
(정답률: 84%)
  • 서브넷 마스크는 Network ID 필드는 0으로 Host ID의 필드는 1로 채우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서브넷 마스크가 IP 주소의 Network ID와 Host ID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Network ID 부분은 모두 0으로, Host ID 부분은 모두 1로 채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서브넷 마스크는 Network ID 필드는 0으로 Host ID의 필드는 1로 채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TCP/IP 인터네트워킹 구조에서 라우터가 포함할 수 있는 계층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리계층
  2. 링크계층
  3. 네트워크계층
  4. 응용계층
(정답률: 61%)
  • 라우터는 OSI 7계층 모델에서 1계층인 물리계층과 2계층인 링크계층, 그리고 3계층인 네트워크계층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라우터는 4계층인 전송계층부터 상위 계층인 응용계층까지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응용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IP 프로토콜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 메시지가 여러 개의 패킷들로 나뉜 경우 각 패킷은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보내 질 수 있다.
  2. 수신측에서는 도착한 IP 패킷의 에러여부를 검사하며 에러가 발생한 경우 재전송을 통하여 에러를 회복한다.
  3. 하나의 사용자 데이터가 너무 큰 경우는 여러 개의 IP 패킷으로 나누어져 전송될 수 있다.
  4. 한 메시지를 여러 패킷으로 나눈 경우 패킷들은 보낸 순서와 다른 순서로 도착될 수 있으며, IP는 배달만 할뿐 흐트러진 순서를 재 정렬하지 않는다.
(정답률: 56%)
  • 수신측에서 도착한 IP 패킷의 에러여부를 검사하며 에러가 발생한 경우 재전송을 통해 에러를 회복하는 것은 IP 프로토콜의 기능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IP Address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IP Address는 40bit로 구성되어 있다.
  2. Network Address와 Host Address로 이루어진다.
  3. IP Address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한 개의 주소를 여러 개의 주소로 나누어서 사용하는 Subnet Mask가 이용된다.
  4. IP Address 부족으로 IPv6가 도입되고 있다.
(정답률: 86%)
  • IP Address는 40bit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 IPv4에서는 32bit로 구성되어 있으며, IPv6에서는 128bit로 구성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TCP를 직접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만 묶인 것은?

  1. TFTP(Trivial FTP), FTP
  2. DNS(Domain Name System), Telnet
  3. Ping, BOOTP
  4. Telnet, SMTP
(정답률: 64%)
  • Telnet과 SMTP은 모두 TCP를 직접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Telnet은 원격 로그인을 위해 사용되며, SMTP는 이메일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UDP나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목적지 시스템의 32bit IP Address에 대응되는 48bit의 하드웨어 네트워크 주소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은?

  1. ARP
  2. FTP
  3. Netstat
  4. NAT
(정답률: 70%)
  • ARP는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로, IP 주소와 MAC 주소 간의 매핑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목적지 시스템의 IP 주소를 알고 있을 때, 해당 시스템의 MAC 주소를 알아내기 위해 ARP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TCP/IP 프로토콜 중 같은 계층에서 동작하지 않는 것은?

  1. SMTP
  2. RARP
  3. ICMP
  4. IGMP
(정답률: 66%)
  • SMTP는 응용 계층 프로토콜이며, 나머지 세 프로토콜은 모두 인터넷 계층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같은 계층에서 동작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망 내 교환 장비들이 오류 상황에 대한 보고를 할 수 있게 하고. 예상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를 알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토콜은?

  1. ARP
  2. RARP
  3. ICMP
  4. RIP
(정답률: 79%)
  •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상에서 발생하는 오류 상황에 대한 보고와 예상치 못한 상황 발생 시 알림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망 내 교환 장비들이 오류 상황에 대한 보고를 할 수 있게 하고, 예상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를 알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적합한 프로토콜입니다. ARP는 주소 결정 프로토콜, RARP는 역주소 결정 프로토콜, RIP는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로, 이들은 ICMP와는 목적과 기능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OSI 모델에서 볼 때 세션계층과 트랜스포트계층에 해당하는 계층으로, 도착하고자 하는 시스템까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가진 TCP/IP 프로토콜 계층은?

  1. 전송계층
  2. 인터넷계층
  3. 응용계층
  4. 네트워크접속계층
(정답률: 79%)
  • TCP/IP 프로토콜 계층은 세션계층과 트랜스포트계층에 해당하며,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 계층은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오류 검출 및 복구, 흐름 제어, 혼잡 제어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이 계층은 전송계층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단말기 사용자나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접속하여 마치 바로 옆에 있는 컴퓨터처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프로토콜은?

  1. FTP
  2. Telnet
  3. ARP
  4. Anonymous FTP
(정답률: 81%)
  • Telnet은 원격 접속 프로토콜로, 단말기나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 접속하여 마치 그 컴퓨터에 직접 접속한 것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따라서 Telnet이 정답입니다.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 ARP는 주소 해석 프로토콜, Anonymous FTP는 익명 FTP 접속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TCP/IP의 응용계층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것은?

  1. 전송계층을 담당하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2. 네트워크계층을 담당하는 IP(Internet Protocol)
  3. 전송계층을 담당하는 UDP(User Datagram Protocol)
  4. 웹 검색을 가능하게 하는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정답률: 72%)
  • TCP/IP의 응용계층 프로토콜은 사용자가 인터넷에서 정보를 검색하고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HTTP는 웹 검색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통신을 담당한다. 따라서 HTTP가 TCP/IP의 응용계층 프로토콜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하나의 서버는 서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 서비스는 포트라고 불리는 서로 다른 문을 통하여 제공된다. 다음은 서버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포트 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서비스에 따른 포트번호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HTTP - 81
  2. FTP - 21
  3. Telnet - 23
  4. SMTP - 25
(정답률: 86%)
  • HTTP는 일반적으로 80번 포트를 사용하므로 "HTTP - 81"은 잘못된 짝지어진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인터넷의 도메인 네임(Domain Name)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도메인 네임은 숫자, 영문자 또는 숫자와 영문자의 조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2. 도메인 네임의 길이는 최대 256자까지 가능하다.
  3. 도메인 네임에 언더바(_), 대시(-)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4. 최상위 도메인은 일반 도메인과 국가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정답률: 68%)
  • "도메인 네임에 언더바(_), 대시(-)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도메인 네임에는 언더바와 대시 기호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는 인터넷의 동작 원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도메인 네임은 DNS(Domain Name System)에서 사용되는데, DNS는 도메인 네임을 계층적으로 구조화하여 관리합니다. 이 때 언더바와 대시 기호는 구분자로 사용되기 때문에 도메인 네임에 포함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Domain Name을 IP Address로 변환하는 것은?

  1. ARP
  2. DHCP
  3. RARP
  4. DNS
(정답률: 75%)
  • Domain Name System (DNS)은 인터넷에서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입니다. DNS는 전 세계적으로 분산된 서버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매핑합니다. 따라서 DNS가 정답입니다. ARP는 주소 해결 프로토콜, DHCP는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RARP는 역 주소 해결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은?

  1. SMTP
  2. SLIP
  3. FTP
  4. SNMP
(정답률: 81%)
  • SNMP는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의 약자로, 네트워크 장비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SNMP를 사용하면 네트워크 관리자는 장비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즉시 대처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로 가장 적합하다. SMTP는 이메일 전송 프로토콜, SLIP은 시리얼 라인 인터넷 프로토콜,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관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8. 컴퓨터 온라인 시스템에 사용하는 통신 제어 장치(CCU) 및 통신 제어 처리 장치(CCP)의 주요 기능이나 역할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물리적, 논리적 인터페이스
  2. 직·병렬 변환
  3. 전송 제어 및 버퍼링
  4. 아날로그와 디지털 신호의 변환
(정답률: 54%)
  • 정답: "아날로그와 디지털 신호의 변환"

    CCU와 CCP는 컴퓨터 온라인 시스템에서 통신을 제어하고 처리하는 장치이다. 이들의 주요 기능이나 역할은 물리적, 논리적 인터페이스, 직·병렬 변환, 전송 제어 및 버퍼링 등이 있다. 이들은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며, 아날로그와 디지털 신호의 변환은 이들의 역할과 관계가 없다. 따라서 정답은 "아날로그와 디지털 신호의 변환"이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신호의 변환은 주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이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컴퓨터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샘플링하고 양자화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이는 CCU와 CCP와는 관련이 없는 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인터페이스의 주요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계적(Mechanical) 특성
  2. 전기적(Electrical) 특성
  3. 기능적(Functional) 특성
  4. 화학적(Chemical) 특성
(정답률: 84%)
  • 인터페이스의 주요 특성으로는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특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화학적 특성은 인터페이스의 주요 특성이 아닙니다. 인터페이스의 화학적 특성은 해당 인터페이스가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거나 화학적으로 안정한지 여부 등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이는 인터페이스의 주요 특성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병렬통신(Parallel Communication)과 비교하여 직렬통신 (Serial Communication)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2. 경제적이며 원거리 통신에 적합하다.
  3. 전송속도가 느리다.
  4. 컴퓨터와 주변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다.
(정답률: 30%)
  • "전송속도가 느리다"는 특징이 옳지 않습니다. 직렬통신은 한 번에 하나의 비트씩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병렬통신보다는 전송속도가 느릴 수 있지만, 최근에는 고속 직렬통신 기술이 발전하여 매우 빠른 전송속도를 지원합니다.

    컴퓨터와 주변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이유는, 주변기기와 컴퓨터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또한, 주변기기와 컴퓨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은 대부분 작은 양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직렬통신이 경제적이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공중 통신 사업자로부터 통신 회선을 임대하여 컴퓨터를 접속시킨 후 이 컴퓨터가 갖고 있는 정보를 여러 사용자에게 재판매하는 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1. VAN(Value Added Network)
  2. LAN(Local Area Network)
  3. INS(Information Network System)
  4.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정답률: 57%)
  • VAN은 공중 통신 사업자로부터 임대한 회선을 이용하여 컴퓨터를 접속시킨 후 추가적인 가치를 더하여 다수의 사용자에게 재판매하는 통신 서비스 시스템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설명하는 시스템은 VAN에 해당합니다. LAN은 지역 내 네트워크, INS는 정보망 시스템, ISDN은 통합 서비스 디지털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중화의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TDMA
  2. FDM
  3. TDM
  4. STDM
(정답률: 45%)
  • TDMA는 시간 분할 다중 접속 방식으로, 시간을 나누어 여러 사용자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폭을 공유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TDMA가 다중화의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정보통신망 중에서 노드의 개수가 같다고 가정했을 경우 가장 많은 링크를 발생 할 수 있는 망은?

  1. 성형 망
  2. 트리 망
  3. 루프 망
  4. 메쉬 망
(정답률: 65%)
  • 메쉬 망은 모든 노드가 서로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장 많은 링크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다른 망들은 노드들이 일부만 연결되어 있거나 중심 노드에 의존하는 경우가 있어서 링크 수가 적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IEEE 802 시리즈에 관한 내용이다. 연결이 올바른 것은?

  1. 802.2 - LLC(Logical Link Control)
  2. 802.3 - MAN
  3. 802.4 - CSMA/CD
  4. 802.6 - Token Ring
(정답률: 66%)
  • IEEE 802.2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논리적 링크 제어 프로토콜인 LLC(Logical Link Control)을 정의합니다. LLC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상위 계층과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데이터의 흐름 제어, 오류 제어, 다중화 및 논리적 주소 지정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802.2 - LLC(Logical Link Control)"가 올바른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근거리 통신망(LAN)에서 사용하는 CSMA/CD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장용 프로토콜로 MAP(Manufacturing Automation Protocol)에 주로 사용된다.
  2. 송신을 원하는 호스트는 송신 전에 다른 호스트가 채널을 사용하는지 조사한다.
  3. 전송하는 동안 계속적으로 채널을 감시하여 충돌이 발생하는지를 조사한다.
  4.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충돌한 데이터들은 버려지고 데이터를 전송한 장치들에게 재전송을 요구한다.
(정답률: 57%)
  • "공장용 프로토콜로 MAP(Manufacturing Automation Protocol)에 주로 사용된다."는 CSMA/CD 프로토콜과 관련이 없는 설명이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CSMA/CD 프로토콜은 이더넷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에서 사용되며, 송신 전에 채널 사용 여부를 조사하고 전송 중 충돌이 발생하면 재전송을 요구하는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OSI 7 Layer 중 물리적 링크간의 신뢰성 있는 정보전송을 제공하며 동기화, 에러제어, 흐름제어로서 데이터의 블록을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 계층은?

  1. 물리계층
  2. 데이터링크계층
  3. 트랜스포트계층
  4. 네트워크계층
(정답률: 68%)
  • 데이터링크계층은 물리적 링크간의 신뢰성 있는 정보전송을 제공하며, 데이터의 블록을 전송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계층에서는 동기화, 에러제어, 흐름제어 등의 기능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며, 데이터의 순서를 유지하고 중복을 방지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링크계층은 물리적인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프로토콜을 형성하는 기능 중 각 계층의 데이터에 제어 정보를 부착하는 것을 뜻하는 것은?

  1. 캡슐화
  2. 다중화
  3. 세분화
  4. 동기화
(정답률: 73%)
  • 캡슐화는 각 계층의 데이터에 제어 정보를 부착하여 프로토콜을 형성하는 기능입니다. 이는 데이터를 보호하고,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캡슐화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NOS

28. 하나의 웹 사이트에 Directory 별로 인증과 권한을 다르게 설정할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Directory는?

  1. Active Directory
  2. Dynamic Directory
  3. Static Directory
  4. Virtual Directory
(정답률: 35%)
  • 일반적으로 웹 사이트에서 인증과 권한을 다르게 설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Directory는 Virtual Directory입니다. 이는 실제 파일 시스템의 경로가 아닌 웹 서버에서 가상으로 생성된 디렉토리로, 웹 사이트의 특정 부분에 대한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웹 사이트의 회원 전용 페이지에 대한 접근 권한을 설정하기 위해 Virtual Directory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IIS 웹 서버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WWW 기능
  2. 기본 웹 사이트
  3. 관리 웹 사이트
  4. NEWS 그룹 기능
(정답률: 75%)
  • IIS 웹 서버는 WWW 기능, 기본 웹 사이트, 관리 웹 사이트를 포함한 웹 호스팅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하지만, NEWS 그룹 기능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NEWS 그룹 기능은 주로 이메일 클라이언트나 뉴스 리더 등에서 사용되는 기능으로, IIS 웹 서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도메인 이름의 구성 체계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관의 이름
  2. 사용자 ID
  3. 기관의 성격
  4. 국가 표시
(정답률: 59%)
  • 도메인 이름의 구성 체계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사용자 ID"이다. 도메인 이름은 일반적으로 "기관의 이름.기관의 성격.국가 표시"의 형식으로 구성되며, 사용자 ID는 이와 별개의 개념이다. 사용자 ID는 일반적으로 인터넷 서비스나 웹사이트에 로그인할 때 사용되는 개인 식별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Windows 2000 Server에서 새로운 사용자를 만들어 줄 때 사용자 암호를 사용자만이 알게 하고 싶을 경우 관리자가 설정해야 할 옵션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암호 변경할 수 없음
  2. 다음 로그온 할 때 반드시 암호 변경
  3. 암호 사용 기간 제한 없음
  4. 계정 사용 안함
(정답률: 76%)
  • 정답은 "다음 로그온 할 때 반드시 암호 변경"입니다. 이 옵션을 선택하면 새로운 사용자가 처음 로그인할 때 암호를 변경하도록 강제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관리자가 암호를 설정해도 사용자만이 암호를 알 수 있게 됩니다. 또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일정 기간마다 암호를 변경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현재 FTP 사이트에 접속 중인 사용자를 확인할 경우, FTP 서버의 등록정보에서 어느 탭을 사용하는가?

  1. 보안 계정
  2. FTP 사이트
  3. 디렉터리 보안
  4. 홈 디렉터리
(정답률: 48%)
  • 정답은 "FTP 사이트"이다.

    FTP 사이트 탭은 현재 FTP 서버에 접속 중인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탭으로, 접속 중인 사용자의 IP 주소, 로그인 ID, 접속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탭들은 보안 계정, 디렉터리 보안, 홈 디렉터리 등과 같이 FTP 서버의 보안 설정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DHCP 서버 서비스를 설치한 후, 주소 범위를 설정하려고 한다. 이때 주소 범위 설정에 사용되지 않는 옵션은?

  1. 서브넷 마스크
  2. 임대기간
  3. 라우터 및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
  4. DHCP 서버의 MAC 주소
(정답률: 50%)
  • DHCP 서버의 MAC 주소는 주소 범위 설정과는 관련이 없는 옵션이다. DHCP 서버의 MAC 주소는 DHCP 클라이언트가 DHCP 서버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지만, 주소 범위 설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DHCP 서버의 MAC 주소는 주소 범위 설정에 사용되지 않는 옵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Windows 2000 Server에서 전 네트워크에 있는 자원에 대한 정보를 논리적 계층 구조로 저장하고 있어서 이를 찾아내거나 관리하고 사용하기 용이하게 만든 것은?

  1. Active Directory 서비스
  2. DHCP 서비스
  3. DNS 서비스
  4. WINS 서비스
(정답률: 63%)
  • Active Directory 서비스는 Windows 2000 Server에서 전 네트워크에 있는 자원에 대한 정보를 논리적 계층 구조로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찾아내거나 관리하고 사용하기 용이하게 만들어줍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관리자는 사용자, 컴퓨터, 프린터 등의 자원을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으며, 보안, 그룹 정책, 로그인 스크립트 등을 통해 네트워크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한정된 IP Address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Windows 2000 Server에서 정해진 범위 내의 IP Address를 자동적으로 할당해 주는 서버는?

  1. WINS
  2. DHCP
  3. NetBEUI
  4. RAS
(정답률: 80%)
  • DHCP는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로,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들에게 자동으로 IP 주소를 할당해주는 서버이다. 따라서 한정된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는 IP 주소를 다른 컴퓨터에 할당하여 더 많은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Windows 2000 Server에서 정해진 범위 내의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해주는 서버는 DHC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SQL 서버 7.0의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지원하지 않는 운영체제는?

  1. Windows 95
  2. Windows NT
  3. Windows 2000 Server
  4. Windows 3.1
(정답률: 49%)
  • SQL Server 7.0의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는 ODBC 드라이버를 사용하며, Windows 3.1은 ODBC 드라이버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SQL Server 7.0의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지원하지 않는 운영체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Windows 2000 Advanced Server와 데이터센터에 있는 기능으로 한 컴퓨터에서 결함이나 오류가 발생할 경우 클러스터의 다른 컴퓨터를 이용해서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은?

  1. 인덱스 서비스
  2. 터미널 서비스
  3. 인증 서비스
  4. 클러스터 서비스
(정답률: 48%)
  • 클러스터 서비스는 여러 대의 컴퓨터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컴퓨터에서 결함이나 오류가 발생할 경우 다른 컴퓨터에서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클러스터 서비스는 Windows 2000 Advanced Server와 데이터센터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시스템의 가용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Active Directory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DNS와 통합
  2. 정보 보안
  3. 개체 스키마 확장성
  4. 낮은 시스템 요구사항
(정답률: 59%)
  • Active Directory는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컴퓨터, 그룹 등의 정보를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낮은 시스템 요구사항"은 장점이 아닙니다. 이는 Active Directory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ctive Directory를 구축하려면 일정 수준 이상의 시스템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그룹 파일이나 폴더의 소유권을 수행할 수 있는 영역은?

  1. User
  2. Power User
  3. Administrators
  4. Backup Operators
(정답률: 81%)
  • "Administrators" 그룹은 시스템 관리자들이 소유권을 수행할 수 있는 영역입니다. 이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은 파일 및 폴더에 대한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시스템 설정 및 구성 변경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룹 파일이나 폴더의 소유권을 변경하려면 "Administrators" 그룹에 속한 사용자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Windows 2000 Server의 Active Directory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조건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Active Directory 서비스는 대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에 적용해야 한다.
  2. Active Directory 설치 시 동적 업데이트를 지원하는 DHCP 서버가 필요하다.
  3. Active Directory 서비스가 설치될 파티션은 NTFS 파일시스템으로 포맷되어 있어야 한다.
  4. Active Directory는 관리자계정의 암호 없이도 설치가 가능하다.
(정답률: 53%)
  • Active Directory 서비스가 설치될 파티션은 NTFS 파일시스템으로 포맷되어 있어야 한다. 이는 NTFS 파일시스템이 보안성이 높고, 파일 및 폴더에 대한 접근 권한을 더욱 세밀하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NTFS 파일시스템은 파일 복구 및 디스크 공간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하므로 Active Directory 서비스의 안정성과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Windows 2000 Server에서 공유 폴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유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의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2. 공유 폴더는 생성과 동시에 모든 사용자에게 자동적으로 접근이 허가된다.
  3. 다른 컴퓨터의 임의 폴더에 접근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네트워크상에 공유되어 있어야 한다.
  4.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를 네트워크 서버에 위치시켰을 경우 사용자 홈 디렉터리가 생성될 폴더는 먼저 공유되어 있어야 한다.
(정답률: 60%)
  • 정답은 "공유 폴더는 생성과 동시에 모든 사용자에게 자동적으로 접근이 허가된다."이다. 이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공유 폴더는 생성 후에도 접근 권한을 설정해야 다른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네트워크 서버 운영체제로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Linux
  2. Windows NT
  3. Unix
  4. DOS
(정답률: 78%)
  • DOS는 오래된 운영체제로, 네트워크 서버 운영체제로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DOS는 멀티태스킹 및 멀티유저 기능이 부족하며, 보안성이 낮아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취약합니다. 따라서, DOS는 네트워크 서버 운영체제로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사용자에 대한 패스워드의 만료기간 및 시간 정보를 변경하는 Linux 명령어는?

  1. chage
  2. chgrp
  3. chmod
  4. usermod
(정답률: 63%)
  • "chage" 명령어는 사용자 계정의 패스워드 만료기간 및 시간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chgrp"는 그룹 소유권을 변경하는 명령어이고, "chmod"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usermod"는 사용자 계정의 속성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chage"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Linux 시스템에서 지원하지 않는 파일 시스템은?

  1. FAT
  2. EXT2
  3. EXT3
  4. EXT5
(정답률: 53%)
  • Linux 시스템에서는 EXT5 파일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파일 시스템이며, EXT4 이후에는 EXT4의 개선 버전이 출시되었지만, 이들은 모두 EXT4 파일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EXT5는 존재하지 않는 파일 시스템이며, Linux 시스템에서 지원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Linux 시스템에서 ‘icqa’라는 파일을, 파일의 소유자가 아닌 사람도 볼 수는 있지만 수정을 못하도록 하는 명령어는?

  1. chmod 777 icqa
  2. chmod 666 icqa
  3. chmod 646 icqa
  4. chmod 644 icqa
(정답률: 65%)
  • 정답은 "chmod 644 icqa"이다. 이는 파일 소유자는 읽기와 쓰기 권한을 가지고 있지만, 그룹과 다른 사용자는 읽기 권한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파일을 볼 수는 있지만 수정할 수 없다. "chmod 777 icqa"는 모든 사용자가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가지므로 보안상 위험하다. "chmod 666 icqa"는 그룹과 다른 사용자가 쓰기 권한을 가지므로 수정이 가능하다. "chmod 646 icqa"는 그룹은 읽기와 쓰기 권한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사용자는 아무 권한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파일을 볼 수도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46. ELA/TLA에서 규정한 UTP 케이블 등급(Category)과 지원 가능한 최대 대역폭을 올바르게 짝지어 놓은 것은?

  1. Category2 : 2Mbps
  2. Category3 : 32Mbps
  3. Category4 : 64Mbps
  4. Category5 : 100Mbps
(정답률: 54%)
  • UTP 케이블의 등급(Category)은 케이블의 성능을 나타내며, 숫자가 높을수록 더 높은 대역폭을 지원합니다. 따라서 Category5는 다른 등급에 비해 더 높은 대역폭을 지원하며, 최대 100Mbps의 속도를 지원합니다. 이는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인 네트워크 구성에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xDSL 방식 중 전송속도가 가장 빠른 방식은?

  1. HDSL
  2. SDSL
  3. VDSL
  4. ADSL
(정답률: 56%)
  • VDSL은 Very-high-bit-rate Digital Subscriber Line의 약자로, 다른 xDSL 방식에 비해 더 높은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여 더 높은 전송속도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VDSL은 다른 xDSL 방식에 비해 전송속도가 가장 빠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LAN을 계층적으로 구성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비로서 현재 저렴한 가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장비는?

  1. Repeater
  2. Hub
  3. Router
  4. Bridge
(정답률: 67%)
  • 정답은 "Hub"입니다. Hub은 OSI 7계층에서 물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로, 여러 대의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Hub은 데이터를 받으면 모든 포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러한 이유로 현재는 스위치(Switch)로 대체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렴한 가격으로 많이 사용되는 장비이기 때문에 여전히 많은 곳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세션계층, 프리젠테이션계층, 응용계층 간을 연결하여 메시지형식 변환, 주소변환, 프로토콜변환 기능을 갖는 장비는?

  1. Gateway
  2. Router
  3. Repeater
  4. Bridge
(정답률: 65%)
  • Gateway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을 연결하여 메시지 형식 변환, 주소 변환, 프로토콜 변환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이다. 따라서 세션 계층, 프리젠테이션 계층, 응용 계층 간을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반면, Router는 네트워크 간 경로 선택을 위한 장비이고, Repeater는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를 늘리는 장비이며, Bridge는 같은 네트워크 간을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Gatewa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위성 통신이 다른 통신에 비해 우수한 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간 지연이 없다.
  2. 전송 품질이 우수하다.
  3. 통신 구간 거리는 통신비용에 거의 영향이 없어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4. 신뢰성이 높다.
(정답률: 42%)
  • 위성 통신은 시간 지연이 있는 통신 방식이다. 이는 위성과 지구 간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지상 통신에 비해 약간의 시간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시간 지연이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