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7-24)

네트워크관리사 2급
(2011-07-2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TCP/IP

1. IP Address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IPv4는 40bit로 구성되어 있다.
  2. Network Address와 Host Address로 이루어진다.
  3. IPv6은 128bit로 구성되어 있다.
  4. 공인(Public) IP Address를 쓰는 모든 컴퓨터는 고유한 IP Address를 갖는다.
(정답률: 95%)
  • IPv4는 32bit로 구성되어 있으며, "IPv4는 40bit로 구성되어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TCP/IP 프로토콜 계층 모델 중 응용 계층에 해당되며 원격장치의 설정 및 네트워크 사용을 감시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1. SMTP
  2. SNMP
  3. FTP
  4. HTTP
(정답률: 89%)
  • SNMP는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의 약자로, 네트워크 장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응용 계층에 해당되며, 원격장치의 설정 및 네트워크 사용을 감시 관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SMTP는 이메일 전송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FTP는 파일 전송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HTTP는 웹 페이지 요청 및 전송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TCP/IP에서 Multicast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하나의 호스트가 네트워크 내의 정해진 호스트 그룹으로 메시지를 보내는 것
  2. 하나의 호스트가 네트워크 내의 모든 호스트에게 메시지를 보내는 것
  3. 하나의 호스트가 네트워크 내의 하나의 호스트로 메시지를 보내는 것
  4. 하나의 호스트가 다시 자기 자신에게 메시지를 보내는 것
(정답률: 73%)
  • Multicast는 하나의 호스트가 네트워크 내의 정해진 호스트 그룹으로 메시지를 보내는 것입니다. 다른 호스트들은 이 그룹에 속해있어야만 해당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DNS 서버에서 사용하는 리소스 레코드 중 In-addr.arpa 도메인에 있는 특정 주소에 DNS 이름을 공급하는 address-to-name 매핑을 제공하며, A 레코드의 반대 기능으로 역 룩업에 사용되는 것은?

  1. PTR
  2. NS
  3. MX
  4. CNAME
(정답률: 60%)
  • In-addr.arpa 도메인은 IP 주소를 역으로 나타내는 도메인이며, PTR 레코드는 이 도메인에서 사용되는 리소스 레코드 중 하나입니다. PTR 레코드는 특정 IP 주소에 대한 DNS 이름을 제공하여 역 룩업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PTR 레코드는 A 레코드의 반대 기능을 수행하며, IP 주소에서 DNS 이름을 찾을 때 사용됩니다. NS, MX, CNAME 레코드는 다른 용도로 사용되며, 역 룩업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패킷이 라우팅 되는 경로의 추적에 사용되는 유틸리티로, 목적지 경로까지 각 경유지의 응답속도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은?

  1. ipconfig
  2. route
  3. tracert
  4. netstat
(정답률: 74%)
  • tracert는 패킷이 라우팅되는 경로를 추적하는 유틸리티로, 각 경유지의 응답속도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ipconfig는 IP 주소와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확인하는 유틸리티이고, route는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하고 수정하는 유틸리티입니다. netstat은 현재 열려있는 포트와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유틸리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인터넷 주소에 사용되는 도메인 네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도메인 네임은 숫자, 영문자 또는 숫자와 영문자의 조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2. 도메인 네임은 영문자의 대, 소문자 구분이 없다.
  3. 도메인 네임에 언더바(_), 대시(-)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4. 최상위 도메인은 일반 도메인과 국가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정답률: 73%)
  • "도메인 네임에 언더바(_), 대시(-)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도메인 네임에는 알파벳, 숫자, 하이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언더바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유는 DNS 시스템에서 언더바는 특수문자로 취급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IPv4 Address 체계에서 가장 많은 네트워크를 가지는 Class로, 시작 옥텟의 비트가 '110'인 것은?

  1. A Class
  2. B Class
  3. C Class
  4. D Class
(정답률: 79%)
  • C Class는 시작 옥텟의 비트가 '110'인 IPv4 Address 체계에서 가장 많은 네트워크를 가지는 Class이다. 이는 시작 옥텟의 첫 3비트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5비트(나머지 24비트 중 3비트는 고정, 8비트는 호스트 주소로 사용)를 네트워크 ID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C Class는 약 2백만 개의 네트워크를 가질 수 있으며, 각 네트워크당 최대 254개의 호스트를 가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IGMP 프로토콜의 주된 기능은?

  1. 네트워크 내에 발생된 오류에 관한 보고 기능
  2. 대용량 파일을 전송하는 기능
  3. 멀티 캐스트 그룹에 가입한 네트워크 내의 호스트 관리 기능
  4. 호스트의 IP Address에 해당하는 호스트의 물리주소를 알려주는 기능
(정답률: 82%)
  • IGMP 프로토콜은 멀티 캐스트 그룹에 가입한 네트워크 내의 호스트 관리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는 멀티 캐스트 그룹에 가입한 호스트들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관리하며, 그룹에 가입한 호스트들의 정보를 유지하고 관리합니다. 따라서, 이 기능은 멀티 캐스트 그룹 통신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Class가 다른 IP Address는?

  1. 223.235.47.35
  2. 224.128.105.4
  3. 225.114.58.5
  4. 226.204.26.34
(정답률: 81%)
  • IP 주소는 32비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첫 8비트는 Class를 나타내는데, "223"은 Class C에 해당합니다. 나머지 24비트는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로 나뉘며, 이 주소는 Class C의 범위 내에 있지만 다른 세 주소는 Class D와 Class E에 해당하므로 다른 Class에 속합니다. 따라서 "223.235.47.35"는 다른 IP 주소와 Class가 다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네트워크의 고장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사용하는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질의 메시지는?

  1. 에코 요청과 응답
  2. 타임스탬프 요청과 응답
  3. 주소 마스크 요청과 응답
  4. 라우터 요청과 광고
(정답률: 80%)
  • ICMP 질의 메시지 중 "에코 요청과 응답"은 네트워크의 호스트나 라우터가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호스트나 라우터는 에코 요청 메시지를 받으면 해당 메시지를 그대로 응답 메시지로 보내게 되며, 이를 통해 상대방이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일반적으로 ping 명령어를 사용할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IP 주소 체계에서 서브넷을 이용하는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1.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전달되는 패킷의 경로를 바꿈으로써 트래픽을 관리할 수 있다.
  3. 불필요한 Broadcasting Message를 줄일 수 있다.
  4. IP 헤더의 체크섬(checksum) 필드와 비교하여, 데이터 전송 오류를 방지하고, 오류 발생 시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정답률: 65%)
  • IP 주소 체계와 관련 없는 내용인 "IP 헤더의 체크섬(checksum) 필드와 비교하여, 데이터 전송 오류를 방지하고, 오류 발생 시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서브넷을 이용하는 이유는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전달되는 패킷의 경로를 바꿈으로써 트래픽을 관리하며, 불필요한 Broadcasting Message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에서 설명하는 프로토콜은?

  1. UDP
  2. ARP
  3. RARP
  4. Proxy ARP
(정답률: 59%)
  • 이 프로토콜은 MAC 주소를 이용하여 IP 주소를 찾는 RARP (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입니다. RARP는 ARP와 반대로, MAC 주소를 이용하여 IP 주소를 찾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RARP 프로토콜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C Class의 네트워크 주소가 '192.168.10.0' 이고,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240' 일 때, 최대 사용 가능한 호스트 수는?(단,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호스트는 제외한다.)

  1. 10개
  2. 14개
  3. 26개
  4. 32개
(정답률: 78%)
  •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240' 이므로, 4비트를 서브넷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28비트를 호스트로 사용한다. 따라서, 총 2^4-2=14개의 호스트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2는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호스트를 제외한 호스트 수이다. 따라서 정답은 "14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ARP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IP Address를 장치의 하드웨어 주소로 매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2. Dynamic으로 설정된 내용을 Static 상태로 변경하는 ARP 명령어 옵션은 '-d'이다.
  3. ARP가 IP Address를 알기 위해 특정 호스트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기다린다.
  4. ARP Cache는 IP Address를 도메인(Domain) 주소로 매핑한 모든 정보를 유지하고 있다.
(정답률: 80%)
  • ARP는 IP Address를 장치의 하드웨어 주소로 매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할 대상의 MAC 주소를 알아낼 수 있게 된다. ARP Cache는 이러한 매핑 정보를 유지하고 있다. ARP가 IP Address를 알기 위해서는 특정 호스트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기다린다. ARP 명령어에서 '-d' 옵션은 Dynamic으로 설정된 내용을 Static 상태로 변경하는 옵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프로토콜은 라우터를 사용하는 라우터블(Routable) 프로토콜과 라우터를 사용하지 않는 논라우터블(Non-Routable) 프로토콜로 나눌 수 있다. 다음 중 논라우터블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것은?

  1. TCP/IP
  2. IPX/SPX
  3. DECnet
  4. NetBEUI
(정답률: 55%)
  • 정답: NetBEUI

    NetBEUI는 논라우터블 프로토콜에 해당한다. 이는 라우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로컬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NetBEUI는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에서 주로 사용되며,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OSI 7 Layer의 전송 계층에 속하며, 사용자에게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은?

  1. IP
  2. TCP
  3. UDP
  4. RARP
(정답률: 85%)
  • TCP는 전송 계층에 속하며, 데이터 전송 시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패킷의 손실 및 중복을 검사하고, 순서를 보장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합니다. 따라서, TCP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OSI 7 Layer와 그 계층에서 동작하는 것과의 관계가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Network Layer - IP
  2. Transport Layer - FTP
  3. Application Layer - Ethernet
  4. Physical Layer - SMTP
(정답률: 77%)
  • Network Layer은 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라우팅하고 전송합니다. 따라서 "Network Layer - IP"가 올바른 연결입니다. Transport Layer는 FTP와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Application Layer는 Ethernet과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Physical Layer는 SMTP와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8. 반이중(Half-Duplex) 통신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ㄴ), (ㄹ)
(정답률: 69%)
  • 반이중 통신방식은 송신과 수신이 번갈아가며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동시에 송신과 수신을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ㄴ)은 맞습니다. 그리고 위의 그림에서는 송신과 수신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고 번갈아가며 이루어지므로 (ㄹ)도 맞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ㄴ), (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MAC Addres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48bit의 길이를 갖는다.
  2.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이용된다.
  3. 실제 데이터 전송은 IP Address를 이용하기 때문에, 같은 네트워크 내에 중복된 MAC Address가 할당되어도 네트워크 오류가 발생되지 않는다.
  4. 장치 디바이스가 가지고 있는 Address이다.
(정답률: 77%)
  • MAC Address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에 할당되는 고유한 주소이며,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이용된다. 하지만 실제 데이터 전송은 IP Address를 이용하기 때문에, 같은 네트워크 내에 중복된 MAC Address가 할당되면 네트워크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MAC Address는 중복되지 않도록 관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실제 데이터 전송은 IP Address를 이용하기 때문에, 같은 네트워크 내에 중복된 MAC Address가 할당되어도 네트워크 오류가 발생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Windows 2000 Server에서 TCP/IP 망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PX/SPX 주소
  2. IP Address
  3. DNS 서버 주소
  4. 서브넷 마스크
(정답률: 76%)
  • Windows 2000 Server에서 TCP/IP 망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 "IPX/SPX 주소"이다. IPX/SPX는 Novell NetWare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며, TCP/IP와는 별개의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Windows 2000 Server에서 TCP/IP 망을 구성하는데 IPX/SPX 주소는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분리된 두 장치 간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에서, 주 스테이션이 부 스테이션들에게 차례로 전송할 데이터의 유무를 물어 허용 여부를 확인하고 스테이션으로 넘기는 방식은?

  1. 단방향 통신(Simplex)
  2. 이중 통신(Duplex)
  3. 선택(Selection)
  4. 폴링(Polling)
(정답률: 64%)
  • 주 스테이션이 부 스테이션들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먼저 물어보고, 부 스테이션들이 응답하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폴링(Polling)이라고 합니다. 이 방식은 주 스테이션에서 제어가 가능하며, 부 스테이션들은 주 스테이션의 요청에 따라 응답하게 됩니다. 따라서 주 스테이션은 부 스테이션들의 상태를 파악하고, 데이터 전송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메시지 교환망과 비교했을 때, 회선 교환망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결이 설정되면 데이터의 지연이 적다.
  2. 소용량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
  3. 대화식/실시간 통신이 가능하다.
  4. 초기의 연결설정이 복잡하다.
(정답률: 60%)
  • 정답: 초기의 연결설정이 복잡하다.

    회선 교환망은 연결이 설정되면 데이터의 지연이 적고 대화식/실시간 통신이 가능하며, 소용량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회선 교환망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미리 경로를 설정하고 해당 경로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용량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며, 대화식/실시간 통신에도 적합하다. 하지만 초기의 연결설정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초기에는 경로를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송신측에서 여러 개의 터미널이 하나의 통신 회선을 통하여 신호를 전송하고, 전송된 신호를 수신측에서 다시 여러 개의 신호로 분리하는 것은?

  1. Multiplexing
  2. MODEM
  3. DSU
  4. CODEC
(정답률: 82%)
  • Multiplexing은 여러 개의 신호를 하나의 통신 회선을 통해 전송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따라서 송신측에서 여러 개의 터미널이 하나의 통신 회선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이를 다시 여러 개의 신호로 분리하여 받아들이는 것이 Multiplexing입니다. MODEM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기술, DSU는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비, CODEC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술입니다. 이들은 Multiplexing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OSI 7 Layer의 계층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물리 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전송 계층 - 프레젠테이션 계층 - 세션 계층 - 응용 계층
  2. 물리 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프레젠테이션 계층 - 세션 계층 - 전송 계층 - 응용 계층
  3. 물리 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전송 계층 - 세션 계층 - 프레젠테이션 계층 - 응용 계층
  4. 물리 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전송 계층 - 세션 계층 - 응용 계층 - 프레젠테이션 계층
(정답률: 81%)
  • OSI 7 Layer는 데이터 통신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7개의 계층으로 나눈 것입니다. 이 계층은 데이터의 전송 과정을 단계별로 나누어 관리하며, 각 계층은 다른 계층과 독립적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각 계층은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며, 다른 계층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따라서, OSI 7 Layer의 계층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물리 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전송 계층 - 세션 계층 - 프레젠테이션 계층 - 응용 계층" 입니다. 이는 데이터가 물리적인 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물리 계층에서 시작하여, 데이터를 패킷으로 분할하고 주소를 할당하는 데이터링크 계층, 패킷을 라우팅하고 경로를 결정하는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고 오류를 검출 및 복구하는 전송 계층, 세션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세션 계층, 데이터를 표현하고 암호화하는 프레젠테이션 계층, 마지막으로 응용 프로그램과 상호작용하는 응용 계층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에서 설명하는 전송 방식은?

  1. Token Ring 방식
  2. Token Bus 방식
  3. CSMA/CD 방식
  4. Slotted Ring 방식
(정답률: 72%)
  • 이 그림은 CSMA/CD 방식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CSMA/CD 방식은 충돌이 발생할 경우 일정 시간 동안 기다린 후 다시 전송을 시도하는 방식입니다. 이 그림에서는 A와 B가 동시에 전송을 시도하여 충돌이 발생하였고, 일정 시간 동안 기다린 후 다시 전송을 시도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IEEE 표준안 중 Ethernet에 관한 표준안은?

  1. IEEE 802.3
  2. IEEE 802.4
  3. IEEE 802.5
  4. IEEE 802.6
(정답률: 88%)
  • Ethernet은 LAN(Local Area Network)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이며, 이를 위한 IEEE 표준안이 IEEE 802.3이다. 따라서 Ethernet을 구현하고자 할 때는 IEEE 802.3 표준을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중심부에는 굴절률이 높은 유리, 바깥 부분은 굴절률이 낮은 유리를 사용하여 중심부 유리를 통과하는 빛이 전반사가 일어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에너지 손실이 매우 적어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손실률도 낮고 외부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장점이 있는 전송 매체는?

  1. Coaxial Cable
  2. Twisted Pair
  3. Thin Cable
  4. Optical Fiber
(정답률: 82%)
  • 중심부에는 굴절률이 높은 유리, 바깥 부분은 굴절률이 낮은 유리를 사용하여 중심부 유리를 통과하는 빛이 전반사가 일어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에너지 손실이 매우 적어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손실률도 낮고 외부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장점이 있는 전송 매체는 "Optical Fib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NOS

28. Windows 2000 Server에서 설치 시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빌트인 계정으로 올바른 것은?

  1. Admin
  2. Telnetuser
  3. Guest
  4. Wins
(정답률: 69%)
  • Windows 2000 Server에서 설치 시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빌트인 계정 중에서 올바른 것은 "Guest"입니다. 이는 일반 사용자가 시스템에 로그인할 때 사용하는 계정으로, 일반적으로 제한된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계정은 보안상의 이유로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만 활성화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Admin"은 관리자 계정, "Telnetuser"는 Telnet을 사용하는 사용자 계정, "Wins"는 Windows Internet Naming Service를 관리하는 계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Windows 2000 Server에서 사용하는 NTFS 시스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Windows NT부터 지원하기 시작한 NTFS 파일시스템은 다중 사용자에 대한 효과적인 접근제어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2. FAT에서 NTFS로 바꿀 경우 다시 포맷을 하지 않아도 가능하다.
  3. FAT에 비해 성능이나 확장성 및 보안성이 개선되었다.
  4. 영문자 64자 이상 긴 파일 이름을 지원하지 않는다.
(정답률: 64%)
  • "영문자 64자 이상 긴 파일 이름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NTFS는 영문자 255자까지의 긴 파일 이름을 지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Windows 2000 Server에서 현재 공유 자원에 연결된 사용자들을 끊지 않고 파일에 대한 액세스만 끊을 경우 '[컴퓨터 관리]의 MMC트리'에서 실행해야 하는 작업은?

  1. [컴퓨터 관리]의 MMC트리에서 '세션'을 실행한다.
  2. [컴퓨터 관리]의 MMC트리에서 '열린 파일'을 실행한다.
  3. [컴퓨터 관리]의 MMC트리에서 '공유'를 실행한다.
  4. [컴퓨터 관리]의 MMC트리에서 '모든 작업'을 실행한다.
(정답률: 56%)
  • 올바른 답은 "[컴퓨터 관리]의 MMC트리에서 '열린 파일'을 실행한다."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열린 파일'은 현재 공유 자원에 대한 액세스를 가진 사용자 및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이 기능을 사용하여 파일에 대한 액세스만 끊을 수 있습니다. 반면 '세션'은 현재 연결된 사용자를 보여주는 기능이며, 이 기능을 사용하여 사용자를 끊을 경우 파일에 대한 액세스도 함께 끊어지게 됩니다. '공유'와 '모든 작업'은 해당 공유 자원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 기능을 제공하므로, 파일에 대한 액세스만 끊기 위해서는 '열린 파일' 기능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Windows 2000 Server에 새로운 사용자 계정을 등록하는 곳은?

  1. 관리 도구/컴퓨터 관리/시스템 도구/로컬 사용자 및 그룹
  2. 관리 도구/컴퓨터 관리/시스템 도구/시스템 정보
  3. 관리 도구/라이센스 관리자/사용자 등록
  4. 관리 도구/클라이언트 관리자/사용자 등록
(정답률: 77%)
  • Windows 2000 Server에서 새로운 사용자 계정을 등록하는 곳은 "관리 도구/컴퓨터 관리/시스템 도구/로컬 사용자 및 그룹" 입니다. 이는 로컬 사용자 및 그룹을 관리하는 도구로, 서버에 로그인할 수 있는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라이센스 관리, 클라이언트 관리, 시스템 정보 등과 관련된 도구이므로, 새로운 사용자 계정을 등록하는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Windows 2000 Server의 IIS를 이용하여, 홈페이지를 운영하고자 한다. 아래의 설정 과정 중 옳지 않은 것은?

  1. 새로운 웹 사이트를 등록하고, 웹 사이트의 설명과 IP 주소, TCP 포트를 설정하였다.
  2. 웹 사이트의 홈 디렉터리를 홈페이지 소스의 기본 폴더로 지정하였다.
  3. 홈페이지의 초기 페이지를 'index.html'로 지정하기 위해, 웹 사이트 등록 정보 문서 탭의 기본 문서를 모두 제거 하였다.
  4. 보안을 위해 특정 IP 주소를 가진 컴퓨터의 액세스를 거부하도록 설정하였다.
(정답률: 74%)
  • "홈페이지의 초기 페이지를 'index.html'로 지정하기 위해, 웹 사이트 등록 정보 문서 탭의 기본 문서를 모두 제거 하였다."가 옳지 않다. 이유는 기본 문서를 모두 제거하면 웹 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어떤 페이지를 보여줘야 할지 모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홈페이지의 초기 페이지를 'index.html'로 지정하기 위해서는 기본 문서 중 'index.html'을 선택하고, 다른 기본 문서는 제거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Windows 2000 Server에서 지원하는 사용자 계정과 그룹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NTFS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자 계정이나 그룹을 이용하여 폴더에 NTFS 사용권한을 부여하는 경우 각 계정별 또는 그룹별로 읽기/쓰기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2. 사용자 계정 옵션 중에 '계정만료' 옵션에서 '다음 날짜까지 사용'으로 계정만료일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계정이 기간 만료일이 될 때, 항상 자동으로 계정이 삭제된다.
  3. 삭제된 로컬 사용자와 같은 ID로 사용자를 다시 등록할 수 없다.
  4. 기본생성 그룹 중에 Power User그룹은 디렉터리를 네트워크로 공유할 수 있고, 프린터 설치, 사용자 계정 생성 및 수정 등의 관리자 권한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56%)
  • 정답은 "NTFS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자 계정이나 그룹을 이용하여 폴더에 NTFS 사용권한을 부여하는 경우 각 계정별 또는 그룹별로 읽기/쓰기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다.

    이유는 NTFS 파일 시스템에서는 폴더나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데, 이때 사용자 계정이나 그룹을 이용하여 각 계정별 또는 그룹별로 읽기/쓰기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Windows 2000 Server의 IIS를 설치할 경우 자동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기본 웹 사이트
  2. 관리 웹 사이트
  3. 기본 SMTP 가상서버
  4. DNS
(정답률: 64%)
  • Windows 2000 Server의 IIS를 설치할 경우 자동으로 설치되는 것은 "기본 웹 사이트", "관리 웹 사이트", "기본 SMTP 가상서버"이다. DNS는 IIS와는 별개의 서비스이기 때문에 자동으로 설치되지 않는다. DNS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IIS는 웹 서버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DNS를 사용하려면 별도로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Windows NT 계열에서 로그인 과정 중 ID를 입력하기 직전에 [Ctrl]+[Alt]+[Del]를 수행하는 이유는?

  1. 메모리를 회복(Refresh)하기 위해 시스템 재시작
  2. 보안 로그 삭제 위한 시스템 재시작
  3. Trojan Horse 바이러스의 방어
  4. 로그온 대화 상자로 부터 마지막 사용자 이름 삭제
(정답률: 50%)
  • [Ctrl]+[Alt]+[Del]를 수행하면 Windows NT 계열 운영체제에서 로그인 대화 상자를 띄우는데, 이는 시스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를 통해 Trojan Horse 바이러스와 같은 악성 코드가 로그인 정보를 가로채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Trojan Horse 바이러스의 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Windows 2000 Server에서 이미 지정된 이름에 대한 별칭 도메인을 지정하는 DNS 레코드는?

  1. ISDN
  2. A
  3. MX
  4. CNAME
(정답률: 73%)
  • "CNAME"은 Canonical Name Record의 약자로, 이미 지정된 이름에 대한 별칭 도메인을 지정하는 DNS 레코드입니다. 이 레코드는 하나의 도메인 이름을 다른 도메인 이름으로 매핑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www.example.com"이라는 도메인 이름을 "example.com"으로 매핑하고 싶을 때 "CNAME" 레코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Windows 2000 Server의 프린터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문서 스풀 옵션 지정하면, 문서를 우선 하드 디스크에 저장한 다음 인쇄 장치로 보내기 때문에 인쇄 속도를 높일 수 있다.
  2. 프린터 공유를 사용하면, 하나의 프린터를 네트워크로 공유하여 여러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다.
  3. 프린터 간에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동일한 인쇄 장치로 인쇄되는 문서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4. 프린터 관리를 위하여, 사용자 별로 하루에 인쇄할 수 있는 양을 제한할 수 있다.
(정답률: 71%)
  • 정답은 "문서 스풀 옵션 지정하면, 문서를 우선 하드 디스크에 저장한 다음 인쇄 장치로 보내기 때문에 인쇄 속도를 높일 수 있다."입니다.

    프린터 관리를 위하여, 사용자 별로 하루에 인쇄할 수 있는 양을 제한할 수 있는 이유는 회사나 학교 등에서 인쇄 낭비를 막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하루에 100장 이상 인쇄를 하는 사용자가 있다면, 그 사용자의 인쇄량을 제한하여 인쇄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Windows 2000 Server의 FT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FTP 서비스는 IIS에서 설정이 가능하다.
  2. 디렉터리 보안 탭을 이용하여, 액세스가 가능한 컴퓨터를 설정할 수 있다.
  3. 메시지 탭을 이용하여, 로그인 시 환영 메시지와 접속 인원 초과 시 나타나는 메시지를 설정할 수 있다.
  4. 성능 탭을 이용하여, 사이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대역폭을 'KB/초' 단위로 조절할 수 있다.
(정답률: 61%)
  • Windows 2000 Server의 FTP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없다. 모든 설명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Windows 2000 Server가 감시하는 이벤트의 종류를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정책 변경 : 사용자 보안옵션, 사용자 권한 또는 계정 정책이 변경되는 이벤트
  2. 시스템 이벤트 : Windows 2000 보안 및 보안 로그에 영향을 주는 이벤트
  3. 디렉터리 서비스 액세스 : 사용자가 도메인 컴퓨터 외에 로컬 컴퓨터의 파일, 폴더 또는 프린터에 액세스 하는 이벤트
  4. 권한 사용 : 시스템 시간 변경과 같은 사용자가 권한을 사용한 이벤트
(정답률: 53%)
  • 정답은 "디렉터리 서비스 액세스 : 사용자가 도메인 컴퓨터 외에 로컬 컴퓨터의 파일, 폴더 또는 프린터에 액세스 하는 이벤트"입니다. 이유는 Windows 2000 Server는 디렉터리 서비스 액세스 이벤트를 감시하지 않습니다. 디렉터리 서비스 액세스 이벤트는 Windows Server 2003 이상에서 감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Windows 2000 Server에서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자동으로 IP Address를 할당해주는 서버는?

  1. DHCP
  2. WINS
  3. DNS
  4. IIS
(정답률: 82%)
  • DHCP는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로,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자동으로 IP Address를 할당해주는 서버입니다. DHCP를 사용하면 네트워크 관리자가 수동으로 IP 주소를 할당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으며, IP 주소 충돌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Windows 2000 Server에서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자동으로 IP Address를 할당해주는 서버는 DHC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Windows 2000 Server 설치 도중에 파티션을 어떤 File System으로 포맷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Windows 2000 Server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파티션은?

  1. NTFS
  2. FAT
  3. NFS
  4. FAT32
(정답률: 68%)
  • Windows 2000 Server는 기본적으로 NTFS와 FAT 파일 시스템을 지원한다. 그러나 NFS는 Windows 운영체제에서 지원하지 않는 파일 시스템이다. NFS는 Network File System의 약자로, UNIX 및 Linux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이다. 따라서 Windows 2000 Server에서는 NFS를 포맷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Windows 2000 Server에서 제공하는 공유폴더 사용 권한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변경
  2. 읽기
  3. 모든 권한
  4. 삭제
(정답률: 70%)
  • "삭제"는 공유폴더 사용 권한 중에서 존재하지 않는 옵션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Linux 시스템에서 특정 파일의 권한이 '-rwxr-x--x' 이다. 이 파일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소유자는 읽기 권한, 쓰기 권한, 실행 권한을 갖는다.
  2. 소유자와 같은 그룹을 제외한 다른 모든 사용자는 실행 권한만을 갖는다.
  3. 이 파일의 모드는 '751' 이다.
  4. 동일한 그룹에 속한 사용자는 실행 권한만을 갖는다.
(정답률: 71%)
  • 정답: "동일한 그룹에 속한 사용자는 실행 권한만을 갖는다."

    해설: 이 파일의 권한은 '-rwxr-x--x' 이므로, 소유자는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모두 갖고 있고, 소유자와 같은 그룹에 속한 사용자는 실행 권한만을 갖고, 다른 모든 사용자는 실행 권한만을 갖는다. 이 파일의 모드는 '75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Windows 2000 Server에서 사용자 계정 관리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적으로 제공된, 관리자 계정은 삭제할 수 없다.
  2. Guest 계정은 사용 불가로 만들 수 있다.
  3. 각 사용자 계정은 사용자 이름에 의해 확인되고, 도메인 내에서 고유한 이름을 가져야 한다.
  4. 관리자나 계정 운영자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계정은 삭제할 수 없다.
(정답률: 71%)
  • "관리자나 계정 운영자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계정은 삭제할 수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관리자나 계정 운영자는 생성한 사용자 계정을 삭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Linux 명령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 ls [abc]* : 파일 이름의 첫 글자가 a, b, c 중의 하나로 시작하는 파일 목록을 출력
  2. $ pwd > temp : pwd 명령에 대한 출력 결과를 temp 파일에 출력
  3. $ gzip mbox : mbox 파일을 압축
  4. $ cp * /home/network : /home/network 디렉터리의 모든 파일을 현재 디렉터리로 복사
(정답률: 51%)
  • "$ cp * /home/network : /home/network 디렉터리의 모든 파일을 현재 디렉터리로 복사"가 옳지 않은 설명은 아니다.

    해당 명령은 현재 디렉터리의 모든 파일을 /home/network 디렉터리로 복사하는 명령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제시된 설명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46. 네트워크 연결 장치 중, 보내지는 송신 정보에서 수신처 주소를 읽어 가장 적절한 통신 통로를 지정하고, 다른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하는 장치로, OSI 7 Layer 참조모델의 물리, 데이터 링크,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치는?

  1. Repeater
  2. Bridge
  3. Router
  4. Dummy Hub
(정답률: 76%)
  • 정답은 "Router"입니다. Router는 OSI 7 Layer 참조모델의 물리, 데이터 링크,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치로, 보내지는 송신 정보에서 수신처 주소를 읽어 가장 적절한 통신 통로를 지정하고, 다른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합니다. 따라서 다른 장치들과 달리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며, 인터넷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Repeater는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를 늘리는 역할을 하고, Bridge는 같은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Dummy Hub는 신호를 단순히 중계하는 역할을 하지만, 실제로는 사용되지 않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Star Topology에서 동시에 두 개 이상의 Connection을 할 수 있는 장치로, 연결된 각 포트마다 전용 대역폭 할당이 가능하여, 연결된 장치의 수에 따라 주고받는 데이터의 속도가 낮아지지 않고, 속도를 보장할 수 있는 것은?

  1. Switching Hub
  2. Repeater
  3. Dummy Hub
  4. Bridge
(정답률: 74%)
  • Switching Hub은 각 포트마다 전용 대역폭을 할당하여 동시에 두 개 이상의 Connection을 할 수 있으며, 연결된 장치의 수에 따라 데이터 속도가 낮아지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이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 목적지 주소를 확인하여 해당 포트로만 전송하기 때문에 다른 포트로는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아 대역폭이 분할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Switching Hub은 Star Topology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를 보장할 수 있는 최적의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Repeater가 동작하는 OSI 7 Layer의 계층은?

  1. 물리 계층
  2. 응용 계층
  3. 데이터링크 계층
  4. 네트워크 계층
(정답률: 74%)
  • Repeater는 물리 계층에서 동작합니다. Repeater는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를 늘리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물리 계층에서 동작하는 것입니다. 다른 계층에서는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프로토콜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지만, Repeater는 단순히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만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동축케이블(Coaxial Cable)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Twisted Pair 보다 전송거리가 짧다.
  2.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전송방식은 Baseband와 Broadband 방식이 있다.
  3. 광케이블보다 비용이 적게 든다.
  4. 외부전자계가 동축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의해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정답률: 56%)
  • "Twisted Pair 보다 전송거리가 짧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동축케이블은 전송거리가 길고 대역폭이 넓은 특성을 가지고 있어, 멀리 떨어진 장소로 신호를 전송하는 데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IP Address의 부족과 내부 네트워크 주소의 보안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로, 내부에서는 사설 IP Address를 사용하고 외부 네트워크로 나가는 주소는 공인 IP Address를 사용하도록 하는 IP Address 변환 방식은?

  1. DHCP 방식
  2. IPv6 방식
  3. NAT 방식
  4. MAC Address 방식
(정답률: 73%)
  • NAT 방식은 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설 IP Address를 사용하고, 외부 네트워크로 나갈 때 공인 IP Address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IP Address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내부 네트워크 주소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DHCP 방식은 IP Address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방식, IPv6 방식은 IP Address를 128비트로 확장한 방식, MAC Address 방식은 네트워크 장비의 고유 주소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