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1-27)

네트워크관리사 2급
(2013-01-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TCP/IP

1. 라우팅을 지원하는 프로토콜들로만 구성된 것은?

  1. NetBIOS, TCP/IP, IPX/SPX
  2. NetBEUI, DLC, Appletalk
  3. IPX/SPX, NetBEUI
  4. TCP/IP, IPX/SPX
(정답률: 83%)
  • 라우팅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할 때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TCP/IP와 IPX/SPX는 라우팅을 지원하는 프로토콜로만 구성된 것입니다. NetBIOS와 NetBEUI는 네트워크 내에서의 통신에만 사용되며, DLC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Appletalk은 애플 컴퓨터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IGMP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시작지 호스트에서 여러 목적지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된다.
  2. TCP/IP 프로토콜의 IP에서 접속없이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기능을 규정한다.
  3. 네트워크의 구성원에 패킷을 보내기 위한 하드웨어 주소를 정한다.
  4. IP에서의 오류(Error) 제어를 위하여 사용되며, 시작지 호스트의 라우팅 실패를 보고한다.
(정답률: 73%)
  • IGMP는 "시작지 호스트에서 여러 목적지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된다"는 설명이 올바르다. IGMP는 인터넷 프로토콜(IP)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하고 떠나는 것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IGMP는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한 호스트들에게만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여러 목적지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된다"는 설명이 올바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IP Address 설정에 관한 내용으로 올바른 것은?

  1. IP Address는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구성된다.
  2. IPv6에서 IP Address의 크기는 32Bits이다.
  3. IP Address '129.120.120.88'은 A Class 범위에 속한다.
  4. IP Address 중 '255'는 Broadcast 하기 위해 이용되고, 주소가 모두 '0'일 때는 로컬 호스트를 가리킨다.
(정답률: 78%)
  • IP Address는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구성된다는 것은 IP 주소가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네트워크 ID와 호스트를 식별하는 호스트 ID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IP 주소를 통해 어떤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지와 해당 네트워크 내에서 어떤 호스트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IP 데이터그램 전달을 위한 주소 형태 중 IPv4와 비교하여 IPv6에서만 제공되는 서비스는?

  1. Unicasting
  2. Multicasting
  3. Broadcasting
  4. Anycasting
(정답률: 82%)
  • IPv6에서만 제공되는 서비스는 "Anycasting"입니다. Anycasting은 동일한 목적지 주소를 가진 여러 대상 중에서 가장 가까운 대상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더 빠르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집니다. IPv4에서는 Anycasting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IPv6 프로토콜의 구조는?

  1. 32비트
  2. 64비트
  3. 128비트
  4. 256비트
(정답률: 94%)
  • IPv6 프로토콜은 128비트의 주소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IPv4 프로토콜의 32비트 주소 구조보다 훨씬 더 많은 주소를 할당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IPv6 프로토콜은 인터넷의 확장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이를 위해 더 많은 주소 공간이 필요했습니다. 따라서 128비트의 주소 구조를 채택하여 IPv6 프로토콜은 더 많은 주소를 할당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인터넷 서비스를 위해 기본으로 할당된 Telnet의 포트 번호는?

  1. 23
  2. 22
  3. 80
  4. 70
(정답률: 86%)
  • Telnet은 인터넷에서 원격으로 다른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Telnet 클라이언트는 Telnet 서버에 접속하여 명령어를 입력하고, 서버에서 실행된 결과를 받아온다. 이때, Telnet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위해 기본으로 할당된 포트 번호는 23번이다. 따라서 Telnet의 포트 번호는 "2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바꿔주는데 사용하는 통신망의 주소 변환기술이다.
  2. NAT를 사용할 경우 내부 사설 IP 주소는 C Class를 사용해야만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3. 외부 침입자가 공격하기 위해서는 사설망의 내부 사설 IP 주소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공격이 어려워지므로 내부 네트워크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NAT를 이용하면 한정된 공인 IP 주소를 절약 할 수 있다.
(정답률: 79%)
  • "NAT를 사용할 경우 내부 사설 IP 주소는 C Class를 사용해야만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NAT를 사용할 때는 A, B, C 클래스 모두 사용 가능하며, 주소 범위에 따라 적절한 NAT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IP Address를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로 변환시켜주는 Protocol은?

  1. TCP
  2. ARP
  3. DHCP
  4. WINS
(정답률: 86%)
  • ARP는 IP 주소를 물리적 MAC 주소로 매핑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ARP는 IP 패킷을 보낼 때 해당 패킷을 받을 수신자의 물리적 MAC 주소를 찾아야 할 때 사용됩니다. ARP는 이를 위해 네트워크 상의 모든 호스트에게 ARP 요청을 보내고, 해당 호스트가 응답하면 그 호스트의 물리적 MAC 주소를 알아내어 IP 패킷을 전송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DHCP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앙에서 IP Address를 관리하고 개별 클라이언트들에게 자동으로 할당한다.
  2. IP Address를 할당 받으려면 반드시 DHCP 서버의 IP Address를 클라이언트의 네트워크 등록정보에 입력해야 한다.
  3. DHCP는 호스트 이동 시에 자동으로 새로운 IP Address를 할당할 수 있다.
  4. 임의 주소를 할당하는 경우에는 같은 호스트에서 동일한 주소의 사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53%)
  • "IP Address를 할당 받으려면 반드시 DHCP 서버의 IP Address를 클라이언트의 네트워크 등록정보에 입력해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DHCP 클라이언트는 DHCP 서버의 IP 주소를 알고 있어야 하지만, 이는 자동으로 설정되거나 라우터에서 자동으로 전달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가 수동으로 입력할 필요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UD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영상에 있어서는 얼마만큼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달되었는지 보다 얼마만큼 끊이지 않고 전달되었는지가 중요하기 때문에, 동영상 전송에 많이 사용된다.
  2. OSI 7 계층 모델에서 전송 계층에 속한다.
  3. 양방향 전송을 하며, 종단 간의 흐름제어를 위해 Dynamic Sliding Window 방식을 사용한다.
  4. TCP와 비교하여 최소한의 오버 헤드를 갖는 작은 헤더를 갖는다.
(정답률: 75%)
  • UDP는 종단 간의 흐름제어를 위해 Dynamic Sliding Window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다. UDP는 비연결형 프로토콜로, 데이터 전송에 대한 보장이 없으며 오류 검사와 복구 기능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UDP는 실시간성이 중요한 음성,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에 많이 사용되며, TCP보다는 최소한의 오버헤드를 갖는 작은 헤더를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DNS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다른 호스트에 접근하고자 할 때 기억하기 어려운 IP Address 대신에 좀 더 이해하기 쉬운 계층적인 호스트 이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 서비스이자 프로토콜이다.
  2. 호스트 이름에 대한 분산 데이터베이스이다.
  3. 호스트 이름은 단순한 나열이 아니라 하나의 논리적인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이들 호스트들은 하나의 도메인으로 그룹화 되어 있고, 내부에 다른 도메인을 포함할 수 있다.
  4. 호스트 이름은 영문자와 숫자 그리고 '@', '#'과 같은 특수 문자로 구성이 된다.
(정답률: 83%)
  • "호스트 이름은 영문자와 숫자 그리고 '@', '#'과 같은 특수 문자로 구성이 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호스트 이름은 영문자와 숫자 그리고 '-'와 '.'과 같은 특수 문자로 구성된다. '@'와 '#'은 이메일 주소나 소셜 미디어 계정 등에서 사용되는 특수 문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호스트의 IP Address가 '201. 100. 5. 68/28' 일 때, Network ID로 올바른 것은?

  1. 201. 100. 5. 32
  2. 201. 100. 5. 0
  3. 201. 100. 5. 64
  4. 201. 100. 5. 31
(정답률: 74%)
  • IP 주소에서 /28은 서브넷 마스크를 의미하며, 이는 255.255.255.240과 같습니다. 이 서브넷 마스크를 적용하면 네트워크 ID는 호스트 ID를 제외한 비트들이 모두 0이 되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호스트의 IP 주소에서 마지막 4비트를 모두 0으로 만들면 네트워크 ID가 됩니다.

    201.100.5.68의 이진수 표현은 11001001.01100100.00000101.01000100입니다. 마지막 4비트를 모두 0으로 만들면 11001001.01100100.00000101.01000000이 되며, 이는 201.100.5.64와 같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네트워크 ID는 "201.100.5.6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TCP/IP에서 Unicast의 의미는?

  1. 메시지가 한 호스트에서 다른 여러 호스트로 전송되는 패킷
  2. 메시지가 한 호스트에서 다른 한 호스트로 전송되는 패킷
  3. 메시지가 한 호스트에서 망상의 다른 모든 호스트로 전송되는 패킷
  4. 메시지가 한 호스트에서 망상의 특정 그룹호스트들로 전송되는 패킷
(정답률: 78%)
  • Unicast는 TCP/IP에서 한 호스트에서 다른 한 호스트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메시지가 한 호스트에서 다른 한 호스트로 전송되는 패킷"이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Multicast와 Broadcast를 설명하는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rlogin과 같은 초기 유닉스 계열 명령어에 보안 기능을 보완하여 원격지에 있는 호스트를 보다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는 응용 계층 프로토콜은?

  1. SSH
  2. RSH
  3. RIP
  4. CMIP
(정답률: 89%)
  • SSH는 Secure Shell의 약자로, 보안 기능을 강화한 원격 접속 프로토콜이다. rlogin과 같은 초기 유닉스 계열 명령어에 비해 데이터 암호화, 인증, 무결성 보호 등의 보안 기능을 제공하여 원격지에 있는 호스트에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SS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Subnet Mask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 IP Address의 Broadcasting 범위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2. 모든 IP Address의 Subnet Mask가 동일하다.
  3. 하나의 네트워크 Class를 여러 개의 네트워크 Segment로 분리하여 IP Address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4. 하나의 네트워크 IP Segment란 Broadcasting Boundary를 의미한다.
(정답률: 84%)
  • 정답: "모든 IP Address의 Subnet Mask가 동일하다."

    Subnet Mask는 IP Address를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나누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하나의 네트워크 Class를 여러 개의 네트워크 Segment로 분리하여 IP Address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각 IP Address의 Broadcasting 범위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하나의 네트워크 IP Segment란 Broadcasting Boundary를 의미합니다. 모든 IP Address의 Subnet Mask가 동일하다는 것은 같은 네트워크에 속하는 모든 호스트들이 동일한 Subnet Mask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같은 네트워크에 속하는 호스트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SMTP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두 호스트 간 메시지 전송을 제공한다.
  2. 네트워크의 구성원에 패킷을 보내기 위한 하드웨어 주소를 정한다.
  3. 전송에 대해 TCP를 사용한다.
  4. 인터넷상에서 전자우편(E-Mail)의 전송을 규정한다.
(정답률: 63%)
  • SMTP는 네트워크의 구성원에 패킷을 보내기 위한 하드웨어 주소를 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메일 메시지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이므로 "네트워크의 구성원에 패킷을 보내기 위한 하드웨어 주소를 정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메일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TCP를 사용하며, 인터넷상에서 전자우편(E-Mail)의 전송을 규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TCP/IP의 동작 과정 중 옳지 않은 것은?

  1. TCP/IP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데이터를 패킷들로 나눈다.
  2. IP는 TCP 패킷에 Destination Address를 추가한다.
  3. 모든 패킷들은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되어 목적지에 전송된다.
  4. 패킷이 목적지에 도달하면, 호스트가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한다.
(정답률: 75%)
  • "모든 패킷들은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되어 목적지에 전송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TCP/IP는 디지털 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며, 패킷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전송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8.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기능 중에서 수신측에서 데이터 전송량이나 전송 속도 등을 조절하는 기능은?

  1. Flow Control
  2. Error Control
  3. Sequence Control
  4. Connection Control
(정답률: 79%)
  • "Flow Control"은 수신측에서 데이터 전송량이나 전송 속도 등을 조절하는 기능이다. 이는 송신측에서 너무 많은 데이터를 한 번에 보내는 것을 방지하고, 수신측에서 처리할 수 있는 양의 데이터만 받도록 제어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인접한 개방 시스템 사이의 확실한 데이터 전송 및 전송 에러제어 기능을 갖고 접속된 기기 사이의 통신을 관리하고, 신뢰도가 낮은 전송로를 신뢰도가 높은 전송로로 바꾸는데 사용되는 계층은?

  1. 물리 계층(Physical Layer)
  2.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3. 전달 계층(Transmission Layer)
  4. 데이터링크 계층(Datalink Layer)
(정답률: 70%)
  • 데이터링크 계층은 인접한 개방 시스템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및 전송 에러제어 기능을 갖고, 접속된 기기 사이의 통신을 관리하며, 신뢰도가 낮은 전송로를 신뢰도가 높은 전송로로 바꾸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기능들은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링크 계층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멀티 포인트 방식에서 중앙 컴퓨터가 주변의 터미널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수신측 터미널의 상태를 확인하는 절차는?

  1. Contention
  2. Polling
  3. Selection
  4. Routing
(정답률: 47%)
  • 멀티 포인트 방식에서 중앙 컴퓨터가 주변의 터미널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수신측 터미널의 상태를 확인하는 절차는 "Selection"이다. 이는 중앙 컴퓨터가 각 터미널에게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순서대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이때 데이터를 받을 준비가 된 터미널이 있으면 해당 터미널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선택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다른 방식에 비해 전송 지연 시간이 짧고,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에서 무선 LAN의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는 기구는 어느 것인가?

  1. IEEE
  2. IETF
  3. ITU-T
  4. ISO
(정답률: 85%)
  • 정답: IEEE

    IEEE는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의 약자로, 전기 및 전자 분야에서 표준화를 담당하는 국제적인 기구이다. IEEE는 무선 LAN의 표준화를 위해 802.11 시리즈를 개발하고 유지보수하고 있다. 따라서 무선 LAN의 표준화를 담당하는 기구는 IEE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광통신 전송로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긴 중계기 간격
  2. 대용량 전송
  3. 비전도성
  4. 협대역
(정답률: 76%)
  • 정답: "긴 중계기 간격"

    광통신 전송로는 광섬유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기술로, 대용량의 정보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으며, 비전도성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광섬유의 대역폭이 매우 넓어 협대역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긴 중계기 간격"은 광통신 전송로의 특징으로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CSMA/CD에 기반한 네트워킹 기술은?

  1. Token Ring
  2. FDDI
  3. Ethernet
  4. Token Bus
(정답률: 80%)
  • CSMA/CD는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의 약자로, 여러 대의 컴퓨터가 동시에 네트워크를 사용할 때 충돌을 감지하고 해결하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을 사용하는 네트워킹 기술 중에서 Ethernet이 있습니다. Ethernet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유선 LAN 기술로, CSMA/CD를 사용하여 여러 대의 컴퓨터가 동시에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CSMA/CD에 기반한 네트워킹 기술은 Etherne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PCM 변조 방식의 변조과정 순서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표본화 - 양자화 - 압축 - 부호화
  2. 표본화 - 압축 - 양자화 - 부호화
  3. 표본화 - 부호화 - 양자화 - 압축
  4.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 압축
(정답률: 67%)
  • PCM 변조 방식에서는 먼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표본화를 수행합니다. 그 다음, 양자화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고 근사값으로 변환합니다. 이후, 압축을 통해 데이터를 압축하고 부호화를 수행하여 디지털 신호를 전송 가능한 형태로 만듭니다. 따라서, 올바른 변조과정 순서는 "표본화 - 압축 - 양자화 - 부호화"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하나의 회선을 여러 사용자들이 동시에 채널을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1. 엔코딩
  2. 멀티 플렉싱
  3. 디코딩
  4. 흐름 제어
(정답률: 89%)
  • 멀티 플렉싱은 하나의 회선을 여러 사용자들이 동시에 채널을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여러 개의 신호를 하나의 신호로 합치는 방식으로, 각각의 신호는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전송됩니다. 따라서 멀티 플렉싱을 사용하면 회선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통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ARQ 방식 중 에러가 발생한 블록으로 되돌아가 모든 블록을 재전송하는 것은?

  1. Go-back-N ARQ
  2. Selective ARQ
  3. Adaptive ARQ
  4. Stop-and-Wait ARQ
(정답률: 87%)
  • Go-back-N ARQ 방식은 에러가 발생한 블록으로 되돌아가 모든 블록을 재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일정한 크기의 윈도우를 가지고 있어, 송신측에서 일정 개수의 블록을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이를 확인한 후에 ACK를 보내는 방식입니다. 만약 ACK를 받지 못하거나 NAK를 받으면, 송신측에서는 해당 블록부터 다시 전송을 시작합니다. 따라서 에러가 발생한 블록으로 되돌아가 모든 블록을 재전송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기가비트 이더넷(Gigabit Ethernet)의 특징 중 옳지 않은 것은?

  1. IEEE 803. 3에 표준으로 정의되어 있다.
  2. 전송방식으로 기존 이더넷상의 CSMA/CD를 그대로 사용한다.
  3. 기존 이더넷상의 전송 속도를 초당 1기가비트까지 향상시킨 것이다.
  4. 기업의 백본(Backbone)망으로도 사용된다.
(정답률: 63%)
  • 전송방식으로 기존 이더넷상의 CSMA/CD를 그대로 사용한다. 이것은 옳지 않은 특징이다. 기가비트 이더넷은 CSMA/CD 대신에 스위칭 기술을 사용하여 충돌을 방지하고 전송 속도를 높이는 것이 특징이다. IEEE 803.3은 기가비트 이더넷의 표준을 정의하는 국제 표준 기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NOS

28. Windows 2003 Server의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에서 설정 가능한 서비스로 옳지 않은 것은?

  1. TELNET
  2. FTP
  3. NNTP
  4. WWW
(정답률: 64%)
  • TELNET은 IIS에서 설정 가능한 서비스가 아닙니다. TELNET은 원격 접속 프로토콜로, IIS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TELNE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Windows 2003 Server의 파일 및 프린터 공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드라이브 공유 시에 접속할 수 있는 최대 사용자 수를 제한할 수 있다.
  2. 공유된 드라이브나 디렉터리에는 손모양의 아이콘이 나타난다.
  3. 디스크 드라이브 뿐만 아니라, 특정 디렉터리만 공유시킬 수도 있다.
  4. 공유 프린터는 반드시 기본 프린터로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정답률: 79%)
  • 공유 프린터는 반드시 기본 프린터로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사용자는 공유된 프린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기본 프린터로 설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아파치 서버의 설정파일인 'httpd. conf'의 항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KeepAlive On : HTTP에 대한 접속을 끊지 않고 유지한다.
  2. StartServers 5 : 웹서버가 시작할 때 다섯 번째 서버를 실행 시킨다.
  3. MaxClients 150 : 한 번에 접근 가능한 클라이언트의 개수는 150개 이다.
  4. Port 80 : 웹서버의 접속 포트 번호는 80번이다.
(정답률: 78%)
  • "StartServers 5 : 웹서버가 시작할 때 다섯 번째 서버를 실행 시킨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StartServers는 웹서버가 시작될 때 실행되는 프로세스의 수를 설정하는 항목으로, 5는 다섯 개의 프로세스를 실행시킨다는 뜻이다. 따라서 "다섯 번째 서버"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Linux에서 외부에서 마운트 요청이 오면 응답해 주는 역할을 하는 데몬(Daemon)은?

  1. rpc. mountd
  2. rpc. nfsd
  3. rpc. lockd
  4. rpc. statd
(정답률: 82%)
  • rpc.mountd는 Linux 시스템에서 외부에서 마운트 요청이 오면 응답해 주는 데몬입니다. 이는 NFS(Network File System)를 사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공유하는 데 필요한 데몬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rpc.mountd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Windows 2003 Server에서 Active Directory의 논리적 구조로 옳지 않은 것은?

  1. Domain
  2. Tree
  3. Forest
  4. Graph
(정답률: 73%)
  • "Graph"는 Active Directory의 논리적 구조에 속하지 않습니다. Active Directory의 논리적 구조는 "Domain", "Tree", "Forest"로 구성됩니다. "Graph"는 Active Directory와 관련이 없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컴퓨터가 부팅 될 수 있도록, Linux 운영체제의 핵이 되는 커널을 주 기억 장소로 상주시키는데 사용되는 부트 로더는?

  1. LILO
  2. MBR
  3. CMOS
  4. SWAP
(정답률: 66%)
  • LILO는 Linux Loader의 약자로, Linux 운영체제의 부트 로더 중 하나입니다. LILO는 Master Boot Record (MBR)에 설치되어 부팅 시 커널을 로드하고 실행합니다. 따라서 컴퓨터가 부팅될 수 있도록 Linux 운영체제의 핵이 되는 커널을 주 기억 장소로 상주시키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Windows 2003 Server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계정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dministrator 계정은 Windows 2003 Server 설치 시 만들어진다.
  2. 일반적으로 사용자를 만들면 그 사용자는 Backup Operations 그룹의 구성원이 된다.
  3.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온 하면 컴퓨터와 도메인에 대한 제한적인 권한만을 가진다.
  4. Administrator 계정으로 로그온 하면 컴퓨터와 도메인에 대한 모든 관리를 할 수 있다.
(정답률: 67%)
  • "일반적으로 사용자를 만들면 그 사용자는 Backup Operations 그룹의 구성원이 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사용자를 만들 때 Backup Operators 그룹에 추가할지 여부는 선택사항이며, 기본적으로 추가되지 않는다.

    정답을 설명하면, Administrator 계정은 Windows 2003 Server 설치 시 자동으로 만들어지며, 이 계정으로 로그온하면 컴퓨터와 도메인에 대한 모든 관리를 할 수 있다.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온하면 컴퓨터와 도메인에 대한 제한적인 권한만을 가진다. Backup Operators 그룹에 추가할지 여부는 선택사항이며, 기본적으로 추가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Linux 시스템의 기본 명령어들이 포함되어 있는 디렉터리는?

  1. /dev
  2. /lib
  3. /bin
  4. /etc
(정답률: 77%)
  • "/bin" 디렉터리는 기본적인 명령어들이 위치하는 디렉터리로, 시스템 부팅 시 필요한 명령어들이 위치하고 있어서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부팅될 수 있도록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Linux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디렉터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자신의 IP 정보를 확인 했더니 IP는 '203. 254. 101. 100'이고, 서브넷 마스크는 '255. 255. 255. 0' 이었다. 이 IP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공인(Public) IP Address이다.
  2. B Class에 속하는 IP Address이다.
  3. 약 65,500개의 내부 PC사용이 가능하다.
  4. 멀티캐스트(Multicast) 용도로 사용되는 IP Address로, 일반 용도로 사용되는 PC에서 할당된 경우라면 잘못 할당된 경우이다.
(정답률: 76%)
  • 정답은 "공인(Public) IP Address이다." 이다.

    이유는 IP 주소가 203.254.101.100으로 시작하는 것으로 보아, 이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에서 할당한 공인 IP 주소이다. 또한,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0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 IP 주소는 B 클래스에 속한다.

    약 65,500개의 내부 PC 사용이 가능하다는 설명은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0인 경우, 해당 네트워크에서 사용 가능한 호스트 주소의 수가 254개이므로 옳지 않다.

    멀티캐스트 용도로 사용되는 IP 주소는 224.0.0.0 ~ 239.255.255.255 범위에 속하므로, 이 IP 주소는 멀티캐스트 용도로 사용되는 IP 주소가 아니다.

    따라서, 이 IP 주소는 공인 IP 주소이며, B 클래스에 속한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Linux 설치 시 Swap 영역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RAM의 부족한 용량을 보충하기 위해 하드 디스크의 일정부분을 지정하여 RAM처럼 사용한다.
  2. 일반적으로 실제 메모리의 두 배 정도면 적당하다.
  3. 시스템을 모니터링 한 결과 Swap이 많이 일어나면 메모리를 증설해야 한다.
  4. 한번 설정한 Swap은 추가가 불가능하므로 신중을 기해 크기를 결정해야 한다.
(정답률: 74%)
  • "한번 설정한 Swap은 추가가 불가능하므로 신중을 기해 크기를 결정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Swap 영역은 추가할 수 있다. 이유는 시스템이나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에 따라 Swap 영역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Swap 영역의 크기를 결정할 때에는 현재 시스템의 상황과 앞으로 예상되는 요구를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를 결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Windows 2003 Server에서 NTFS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FAT, HPFS 파일 시스템보다 더 큰 파일과 파티션 사이즈를 지원한다.
  2. 파일과 디렉토리의 압축을 지원한다.
  3. POSIX 요구 사항을 지원한다.
  4. NTFS의 가장 큰 장점은 널리 호환된다는 것이다.
(정답률: 55%)
  • "NTFS의 가장 큰 장점은 널리 호환된다는 것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NTFS는 Windows 운영체제에서만 지원되기 때문에 다른 운영체제와 호환되지 않는다.

    - FAT, HPFS 파일 시스템보다 더 큰 파일과 파티션 사이즈를 지원한다.
    - 파일과 디렉토리의 압축을 지원한다.
    - POSIX 요구 사항을 지원한다.

    위 세 가지는 NTFS의 특징으로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Linux 시스템에서 '-rwxr-xr-x'와 같은 퍼미션을 나타내는 숫자는?

  1. 755
  2. 777
  3. 766
  4. 764
(정답률: 79%)
  • '-rwxr-xr-x'는 소유자에게는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이 있고, 그룹과 다른 사용자에게는 읽기와 실행 권한만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를 숫자로 나타내면 각 권한에 대해 4, 2, 1의 값을 부여하여 계산합니다. 따라서, 소유자에게는 4+2+1=7, 그룹과 다른 사용자에게는 4+1=5의 값을 부여하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75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Linux에서 사용되는 파티션 이름이 'hda1'인 경우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hd'는 스카시(SCSI)하드 디스크를 말한다.
  2. 'hd'는 IDE 하드 디스크를 말한다.
  3. 'a'는 물리적으로 첫 번째 IDE 커넥터에 연결된 하드 디스크를 나타낸다.
  4. '1'은 그 하드 디스크의 첫 번째 파티션을 나타낸다.
(정답률: 66%)
  • "'hd'는 스카시(SCSI)하드 디스크를 말한다." 이 설명이 옳지 않다. 'hd'는 IDE 하드 디스크를 나타내는 것이 맞다. SCSI 하드 디스크는 'sd'로 표기된다.

    IDE(ATA)와 SCSI는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 기술로, 각각의 하드웨어를 구분하기 위해 다른 이름을 사용한다. IDE(ATA)는 'hd'로 시작하는 이름을 사용하고, SCSI는 'sd'로 시작하는 이름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Linux에서 '/home' 디렉터리 밑에 'icqa'라는 하위 디렉터리를 생성하고자 할 때 올바른 명령은?

  1. ls /home/icqa
  2. cd /home/icqa
  3. rmdir /home/icqa
  4. mkdir /home/icqa
(정답률: 80%)
  • 정답은 "mkdir /home/icqa"이다.

    이유는 'mkdir'은 디렉터리를 생성하는 명령어이며, '/home' 디렉터리 밑에 'icqa'라는 하위 디렉터리를 생성하려면 '/home' 디렉터리에서 'mkdir icqa'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하지만 '/home' 디렉터리 밑에 생성하려면 'mkdir /home/icqa' 명령어를 입력해야 한다.

    따라서, 올바른 명령어는 "mkdir /home/icqa"이다.

    그 외의 보기들은 다음과 같다.

    - "ls /home/icqa": '/home/icqa' 디렉터리 내부의 파일과 디렉터리를 나열하는 명령어이다. 하지만 아직 '/home/icqa' 디렉터리가 생성되지 않았으므로 실행할 수 없다.
    - "cd /home/icqa": '/home/icqa' 디렉터리로 이동하는 명령어이다. 하지만 아직 '/home/icqa' 디렉터리가 생성되지 않았으므로 실행할 수 없다.
    - "rmdir /home/icqa": '/home/icqa' 디렉터리를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하지만 아직 '/home/icqa' 디렉터리가 생성되지 않았으므로 실행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Windows 2003 Server에서 네임서버를 구축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2. 공인 IP Address
  3. InterNIC 이나 KRNIC에 등록된 도메인 명
  4. Linux, Windows 2000 Server, Unix가 설치된 시스템
(정답률: 62%)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은 네임서버를 구축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항이 아닙니다. NAT는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환하는 기술로, 네트워크 보안을 위해 사용되기도 하지만 네임서버 구축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Linux에서 게이트웨이를 추가 또는 삭제하려고 할 때 사용되는 명령어는?

  1. route
  2. ipconfig
  3. ping
  4. passwd
(정답률: 65%)
  • "route" 명령어는 Linux에서 게이트웨이를 추가 또는 삭제할 때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네트워크 경로를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패킷이 목적지로 전달될 때 어떤 경로를 통해 전달될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Linux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DNS 관련 파일로 옳지 않은 것은?

  1. named. conf
  2. zone_file
  3. rzone_file
  4. reverse_zone_file
(정답률: 66%)
  • rzone_file은 Linux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DNS 관련 파일이 아닙니다. named.conf는 DNS 서버 설정 파일이며, zone_file은 DNS 존 파일이며, reverse_zone_file은 역존 파일입니다. 하지만 rzone_file은 존재하지 않는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삼바(SAMBA)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삼바(SAMBA) 설치는 RPM으로 설치할 수 있다.
  2. MS Windows 계열 운영체제가 설치된 컴퓨터에 연결된 프린터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3. MS Windows 계열 운영체제가 설치된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공유할 수 있다.
  4. 네트워크를 통해 Linux의 NTFS 파일 시스템을 연결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정답률: 63%)
  • 네트워크를 통해 Linux의 NTFS 파일 시스템을 연결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삼바는 MS Windows 계열 운영체제와 Linux/Unix 운영체제 간의 파일 및 프린터 공유를 가능하게 해주는 소프트웨어입니다. 따라서, 삼바 설치는 RPM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MS Windows 계열 운영체제가 설치된 컴퓨터에 연결된 프린터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MS Windows 계열 운영체제가 설치된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4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OSI 7 Layer 중 4 계층 장비이다.
  2.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하기 위한 장치이다.
  3. 병렬 데이터를 받아 직렬로 전송한다.
  4. 고유한 네트워크 어드레스인 MAC Address가 있다.
(정답률: 68%)
  • "OSI 7 Layer 중 4 계층 장비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NIC는 OSI 7 Layer 중 2 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이다. 이 계층에서는 물리적인 네트워크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MAC 주소를 사용하여 통신을 한다. 따라서 NIC는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하기 위한 장치이며, 고유한 네트워크 어드레스인 MAC Address가 있다. 또한 NIC는 병렬 데이터를 받아 직렬로 전송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최대길이가 100M인 케이블은?

  1. 10Base2
  2. 10BaseT
  3. 토큰링
  4. 아크넷(ArcNet)
(정답률: 73%)
  • 10BaseT는 최대 길이가 100m인 케이블이다. 이는 10M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Ethernet 케이블로, T는 "twisted pair"를 나타내며, 쌍으로 꼬인 케이블을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10Base2, 토큰링, 아크넷은 모두 최대 길이가 100m보다 짧거나 길이 제한이 없는 케이블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라우터가 패킷의 목적지를 결정하는 방법은?

  1. 출발지 IP Address를 검사한다.
  2. MAC 주소를 검사한다.
  3. BDC 주소를 검사한다.
  4. 목적지 IP Address를 검사한다.
(정답률: 67%)
  • 라우터는 패킷의 목적지 IP 주소를 검사하여 해당 IP 주소가 어떤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지 확인합니다. 그리고 해당 네트워크로 패킷을 전송합니다. 이를 통해 라우터는 패킷을 올바른 목적지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목적지 IP Address를 검사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스테틱 라우팅(Static Rouing)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스테틱의 대표적인 프로토콜은 RIP와 OSPF가 있다.
  2. 네트워크 관리자가 직접 경로를 알고서 라우터에 입력해줘야 한다.
  3. 라우팅 경로의 자동우회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4. 보안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61%)
  • 네트워크 관리자가 직접 경로를 알고서 라우터에 입력해줘야 한다는 이유는 스테틱 라우팅 프로토콜이 라우팅 테이블을 수동으로 구성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구성이 변경되거나 장애가 발생할 경우에는 수동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업데이트해주어야 합니다. 이에 비해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구성이 변경되거나 장애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업데이트하기 때문에 수동으로 구성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이기종간의 네트워크 특성을 상호 변환하여 호환성이 있는 정보 전송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기로 OSI 7 Layer의 세션, 표현, 응용 계층 등을 연결하는 장치는?

  1. Repeater
  2. Bridge
  3. Router
  4. Gateway
(정답률: 71%)
  • Gateway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기로, 이기종간의 네트워크 특성을 상호 변환하여 호환성이 있는 정보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OSI 7 Layer의 세션, 표현, 응용 계층 등을 연결하는 장치로서 Gateway가 정답입니다. Repeater는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를 늘리는 기기, Bridge는 같은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기, Router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