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10-20)

네트워크관리사 2급
(2013-10-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TCP/IP

1. TCP/IP 계층과 OSI 7 Layer를 비교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TCP 프로토콜은 OSI 7 Layer의 전송계층에 해당한다.
  2. IP 프로토콜은 OSI 7 Layer의 네트워크계층에 해당한다.
  3. FTP는 OSI 7 Layer의 응용계층에 해당한다.
  4. HTTP 프로토콜은 OSI 7 Layer의 표현계층에 해당한다.
(정답률: 77%)
  • "HTTP 프로토콜은 OSI 7 Layer의 표현계층에 해당한다."는 옳지 않은 내용이다. HTTP 프로토콜은 OSI 7 Layer의 응용계층에 해당한다. 표현계층은 데이터의 표현 방식을 정의하는 계층으로, 데이터의 압축, 암호화, 인코딩 등을 처리한다. HTTP 프로토콜은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표현계층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응용 계층 수준에서 보안기능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은?

  1. CA
  2. TLS
  3. IPSec
  4. SSH
(정답률: 93%)
  • 응용 계층에서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은 SSH입니다. 이는 Secure Shell의 약자로, 원격으로 안전하게 로그인하고 네트워크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SSH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인증을 제공하여 보안성을 강화합니다. 따라서 SSH는 인터넷을 통해 안전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보안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NIC(Network Interface Car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NIC는 이더넷, 토큰링, FDDI와 같은 네트워크 형태에 따라 설계된 어댑터이다.
  2. OSI 7 Layer 중 전송 계층에서 사용된다.
  3. LAN 카드라 불리고 컴퓨터 내에 설치되는 확장카드이다.
  4. 대부분의 NIC에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가 부여되어 있다.
(정답률: 84%)
  • NIC는 OSI 7 Layer 중 전송 계층에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물리 계층에서 사용된다. 이는 NIC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물리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전송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OSI 7 Layer 중 전송 계층에서 사용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FTP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인터넷을 통해 파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토콜
  2. 인터넷 전자우편을 위한 프로토콜
  3.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4. 원격접속을 하기 위한 프로토콜
(정답률: 85%)
  • FTP는 인터넷을 통해 파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IP Address의 Class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A Class 주소는 실제 128개의 네트워크에 할당할 수 있다.
  2. B Class는 IP Address에서 최상위 비트를 '10'으로 설정하고, 그 이후 총 2 Octet 까지 네트워크 ID로 사용한다.
  3. C Class 네트워크에서는 특별한 목적의 예약 주소를 제외하고 최고 256개의 호스트를 가질 수 있다.
  4. D Class는 앞으로 사용하기 위해 남겨둔 실험적인 범위이다.
(정답률: 79%)
  • B Class는 IP Address에서 최상위 비트를 '10'으로 설정하고, 그 이후 총 2 Octet 까지 네트워크 ID로 사용한다. 이는 B Class 주소가 16비트의 네트워크 ID와 16비트의 호스트 ID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이용하는 하드웨어 주소를 IP주소로 맵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2. ARP Cache는 IP Address를 하드웨어 주소로 맵핑한 모든 정보를 유지하고 있다.
  3. ARP Cache의 내용을 보기 위한 명령으로 arp명령을 이용하고 이때 옵션은 '-a' 이다.
  4. ARP가 IP Address를 알기 위해 특정 호스트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기다린다.
(정답률: 54%)
  • ARP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이용하는 하드웨어 주소를 IP주소로 맵핑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ARP Cache는 IP Address를 하드웨어 주소로 맵핑한 모든 정보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arp명령을 이용하고 옵션은 '-a'를 사용합니다. ARP는 IP Address를 알기 위해 특정 호스트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기다리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ICMP 프로토콜의 기능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호스트가 성공적으로 통신하기 위해서 각 하드웨어의 물리적인 주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2. 네트워크 구획 내의 모든 라우터의 주소를 결정하기 위해 라우터 갱신 정보 메시지를 보낸다.
  3. Ping 명령어를 사용하여 두 호스트간 연결의 신뢰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반향과 회답 메시지를 지원한다.
  4. 원래의 데이터그램이 TTL을 초과할 때 시간초과 메시지를 보낸다.
(정답률: 60%)
  • "모든 호스트가 성공적으로 통신하기 위해서 각 하드웨어의 물리적인 주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ARP 프로토콜의 기능이며, ICMP 프로토콜과는 관련이 없다. ICMP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여 네트워크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UD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UDP는 TCP에 비해 신뢰성이 떨어진다.
  2. UDP는 사용자 데이터그램(Datagram)이라고 하는 데이터 유닛을 송신지의 응용 프로세스에서 수신지의 응용 프로세스로 전송한다.
  3. UDP가 제공하는 서비스는 비연결형 데이터 전달 서비스(Connectionless Data Delivery Service)이다.
  4. UDP가 제공하는 오류검사는 홀수 패리티와 짝수 패리티가 있다.
(정답률: 75%)
  • UDP가 제공하는 오류검사는 홀수 패리티와 짝수 패리티가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UDP는 오류검사를 위해 체크섬(checksum)을 사용한다. 체크섬은 데이터의 일부분을 더해서 전송하는 방식으로 오류를 검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Telnet을 이용하여 상대방 컴퓨터에 접속을 시도하려고 한다. 상대방 컴퓨터에게 일정한 데이터를 보내 상대방 컴퓨터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는?

  1. ping
  2. nslookup
  3. netstat
  4. finger
(정답률: 78%)
  • 정답은 "ping"이다. ping은 상대방 컴퓨터에게 일정한 데이터 패킷을 보내고, 그에 대한 응답을 받아서 상대방 컴퓨터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nslookup은 도메인 이름에 대한 IP 주소를 조회하는 명령어, netstat은 현재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 finger는 특정 사용자의 정보를 조회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인터넷의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 번호로 옳지 않은 것은?

  1. 23번 - FTP
  2. 25번 - SMTP
  3. 80번 - WWW
  4. 110번 - POP
(정답률: 74%)
  • 23번 포트는 Telnet 프로토콜에 사용되는 포트이며, FTP는 21번 포트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23번 - FTP"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SNM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TCP를 이용하여 신뢰성 있는 통신을 한다.
  2.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다.
  3. 응용 계층 프로토콜이다.
  4. RFC 1157에 규정 되어 있다.
(정답률: 64%)
  • SNMP는 UDP를 이용하여 통신을 하기 때문에 "TCP를 이용하여 신뢰성 있는 통신을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UDP는 신뢰성이 낮은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SNMP에서는 오류 검사와 재전송 등의 기능을 직접 구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라우트(Route) 프로토콜은 라우팅(Routing) 프로토콜과 라우티드(Routed)로 구분할 수 있다. 라우팅(Routing) 프로토콜이 아닌 것은?

  1. IGRP
  2. TCP/IP
  3. RIP
  4. OSPF
(정답률: 73%)
  • TCP/IP는 라우팅(Routing) 프로토콜이 아닌 네트워크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IGRP, RIP, OSPF은 모두 라우팅(Routing)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네트워크에서 송신측과 수신측간에 신뢰성 있는 전송을 확인한다.
  2. 연결지향(Connection Oriented)이다.
  3. 송신측은 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누어 일련번호, 수신측 주소, 에러검출코드를 추가한다.
  4. 수신측은 수신된 데이터의 에러를 검사하여 에러가 있으면 스스로 수정한다.
(정답률: 84%)
  • 수신측은 수신된 데이터의 에러를 검사하여 에러가 있으면 스스로 수정하는 것은 TCP의 기능이 아니라 오류 검출 및 수정을 위한 다른 프로토콜인 CRC 등의 기능이다. 따라서 "수신측은 수신된 데이터의 에러를 검사하여 에러가 있으면 스스로 수정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IP Address '172.16.0.0'인 경우에 이를 14개의 서브넷으로 나누어 사용하고자 할 경우 서브넷 마스크 값은?

  1. 255.255.228.0
  2. 255.255.240.0
  3. 255.255.248.0
  4. 255.255.255.192
(정답률: 69%)
  • 172.16.0.0은 Class B 주소이므로 기본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0.0이다. 하지만 14개의 서브넷으로 나누기 위해서는 4비트를 추가로 빌려와야 한다. 4비트를 빌려오면 2^4=16개의 서브넷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서브넷 마스크는 기본 마스크에서 4비트를 추가한 255.255.24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아래 프로토콜 중 TCP/IP 계층 모델로 보았을 때, 나머지와 다른 계층에서 동작하는 것은?

  1. IP
  2. ARP
  3. RARP
  4. UDP
(정답률: 77%)
  • 정답은 "UDP"입니다.

    TCP/IP 계층 모델은 4개의 계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Network Access Layer)
    2. 인터넷 계층 (Internet Layer)
    3.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4.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UDP는 전송 계층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신뢰성 없이 빠르게 전송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반면, IP, ARP, RARP는 인터넷 계층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라우팅, 주소 변환 등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UDP는 나머지 프로토콜과는 다른 계층에서 동작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IP Address '11101011.10001111.11111100.11001111' 가 속한 Class는?

  1. A Class
  2. B Class
  3. C Class
  4. D Class
(정답률: 69%)
  • IP 주소 '11101011.10001111.11111100.11001111'는 첫 번째 숫자가 1로 시작하므로 D 클래스에 속합니다. D 클래스는 멀티캐스트 주소를 위해 예약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ipconfig는 TCP/IP 설정을 확인하는 유틸리티이다. 다음 중 이 유틸리티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정보로 옳지 않은 것은?(단, ipconfig의 /all과 같은 파라미터는 사용하지 않는다.)

  1. IP Address
  2. DNS 서버
  3.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4. 기본 게이트웨이(Default Gateway)
(정답률: 81%)
  • 정답은 "DNS 서버"이다. ipconfig는 TCP/IP 설정을 확인하는 유틸리티로,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DNS 서버는 ipconfig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정보가 아니다. DNS 서버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정보는 ipconfig의 /all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8. 매 프레임 전송 시마다 일단 멈추고 응답이 오기를 기다리는 형태로, ACK 응답인 경우에는 다음 프레임을 전송하지만 NAK인 경우에는 다시 재전송하여 에러를 복구하는 에러 제어 방식은?

  1. continuous ARQ
  2. selective ARQ
  3. stop-and-wait ARQ
  4. Go-Back-N ARQ
(정답률: 74%)
  • 이 방식은 매 프레임 전송 시마다 일단 멈추고 ACK 또는 NAK 응답을 기다리는 방식으로, 전송 중 에러가 발생하면 NAK를 받고 해당 프레임을 다시 전송하여 에러를 복구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전송 속도가 느리고 대역폭을 낭비하지만, 에러 제어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므로 신뢰성이 높은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 방식은 "stop-and-wait ARQ"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LAN의 Topology 중, 아래 그림과 같이 공통 배선에 시스템의 모든 요소를 연결하는 방식은?

  1. 스타형
  2. 버스형
  3. 링형
  4. 결선형
(정답률: 91%)
  • 정답은 "버스형"입니다.

    버스형은 공통 배선에 시스템의 모든 요소를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즉, 모든 장치가 하나의 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데이터는 이 선을 통해 전송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모든 컴퓨터가 하나의 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버스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데이터링크 계층(Datalink Lay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송상에 발생하는 오류를 검출한다.
  2. 데이터의 표현형식을 변경한다.
  3. 전송상에 발생하는 오류를 정정한다.
  4. 비트들을 프레임으로 구성한다.
(정답률: 56%)
  • "데이터의 표현형식을 변경한다."는 데이터링크 계층의 역할이 아니라 표현 계층의 역할이다. 데이터링크 계층은 전송상에 발생하는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하며, 비트들을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OSI 7 Layer 중 세션계층의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화 제어
  2. 에러 제어
  3. 연결 설정 종료
  4. 동기화
(정답률: 73%)
  • 세션 계층의 역할 중 에러 제어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세션 계층은 대화 제어, 연결 설정 및 종료, 동기화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에러 제어는 전송 계층에서 수행됩니다. 전송 계층은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에러를 감지하고 복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정보 전송의 형태로 데이터 전송에 앞서 수신 시간을 얻도록 하는 방식으로, 송신측에서 동기부호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방식은?

  1. 직렬 전송
  2. 병렬 전송
  3. 동기식 전송
  4. 비동기식 전송
(정답률: 80%)
  • 동기식 전송은 송신측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수신측과 동기화하여 일정한 주기로 동기 신호를 보내 수신 시간을 맞추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시간을 예측할 수 있어 효율적인 전송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동기식 전송"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근거리 통신망의 전송방식 중 베이스밴드(Baseband) 방식의 특징은?

  1. 아날로그 전송방식
  2. 디지털 전송방식
  3. 단일채널의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여 전송
  4. 단방향 통신
(정답률: 75%)
  • 베이스밴드(Baseband) 방식은 디지털 전송방식을 사용합니다. 이 방식은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며, 단일채널의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지 않고 직접 전송합니다. 또한, 이 방식은 단방향 통신을 지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데이터 전송 제어 절차로 올바른 것은?

  1. 회선 연결 --> 링크 설정 --> 데이터 전송 --> 링크 해제 --> 회선 해제
  2. 회선 연결 --> 링크 설정 --> 데이터 전송 --> 회선 해제 --> 링크 해제
  3. 링크 설정 --> 회선 연결 --> 데이터 전송 --> 링크 해제 --> 회선 해제
  4. 링크 설정 --> 회선 연결 --> 데이터 전송 --> 회선 해제 --> 링크 해제
(정답률: 85%)
  • 데이터 전송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회선을 연결하고, 그 다음에 링크를 설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데이터를 전송한 후에는 링크를 해제하고, 마지막으로 회선을 해제해야 합니다. 따라서 "회선 연결 --> 링크 설정 --> 데이터 전송 --> 링크 해제 --> 회선 해제"가 올바른 데이터 전송 제어 절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축적 전송방식의 일환으로 프레임의 수신과 CRC에러 확인 후 목적지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프레임의 길이만큼 전달지연이 발생하는 LAN의 스위칭 방식은?

  1. Cut Throguh
  2. Store And Forward
  3. Call Together
  4. Store And Backward
(정답률: 74%)
  • Store and Forward 방식은 프레임의 수신과 CRC 에러 확인 후 목적지로 전송하기 때문에, 프레임의 길이만큼 전달지연이 발생합니다. 이는 프레임의 내용을 모두 받아들인 후에 전송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Store and Forward 방식은 축적 전송방식의 일환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IEEE 802 프로토콜의 연결이 올바른 것은?

  1. IEEE 802.3 : 토큰 버스
  2. IEEE 802.4 : 토큰 링
  3. IEEE 802.11 : 무선 LAN
  4. IEEE 802.5 : CSMA/CD
(정답률: 85%)
  • IEEE 802.11은 무선 LAN을 위한 프로토콜로, 무선으로 연결된 디바이스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줍니다. 따라서 다른 프로토콜들은 유선 네트워크를 위한 것이고, IEEE 802.11만이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아래 내용에서 IPv6의 일반적인 특징만을 나열한 것은?

  1. A, B, C, D
  2. A, C, D, E
  3. B, C, D, E
  4. B, D, E, F
(정답률: 87%)
  • IPv6의 일반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A. 128비트 주소 체계
    C. 자동 구성 기능
    D. IPSec 보안 기능 지원
    E. 멀티캐스트 기능 지원

    B와 F는 IPv6의 특징이 아니므로 제외된다. A는 IPv6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 128비트 주소 체계를 나타내며, C는 IPv6에서 자동으로 주소를 구성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D는 IPv6에서 IPSec 보안 기능을 지원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E는 IPv6에서 멀티캐스트 기능을 지원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A, C, D, 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NOS

28. Windows 2003 Server의 IIS Web Server 사이트에서 사용하는 디렉터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IIS 사이트의 등록되는 홈 디렉터리는 항상 로컬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에 있는 디렉터리만 설정가능하다.
  2. 디렉터리 설정화면에 읽기/쓰기 등의 액세스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3. 가상 디렉터리란 홈 디렉터리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어떤 디렉터리로 부터 퍼블리싱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4. 홈 디렉터리 기본 위치는 '/inetpub/wwwroot'이다.
(정답률: 70%)
  • "IIS 사이트의 등록되는 홈 디렉터리는 항상 로컬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에 있는 디렉터리만 설정가능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 IIS Web Server 사이트에서는 로컬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드라이브나 FTP 서버 등 다양한 위치에 있는 디렉터리를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Windows 2003 Server의 DNS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DNS 서버 내의 리소스 레코드를 동적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2. 레코드의 에이징(Aging) 기능으로 무효(사용되지 않는)레코드를 방지한다.
  3. DHCP, WINS와 통합 운영이 가능하다.
  4.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 관리 도구를 이용하여 설정이 가능하다.
(정답률: 55%)
  • Windows 2003 Server의 DNS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없다.

    하지만,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 관리 도구를 이용하여 설정이 가능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DNS와 IIS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IIS 관리 도구를 이용하여 DNS 설정을 변경할 수는 없다. DNS 설정은 DNS 관리 도구를 이용하여 변경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TCP/IP의 수동 주소 할당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호스트의 IP Address를 자동으로 할당하고 TCP/IP의 구성 정보를 중앙 집중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서비스는?

  1. DNS
  2. DHCP
  3. WINS
  4. ARP
(정답률: 78%)
  • DHCP는 호스트의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고 TCP/IP 구성 정보를 중앙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서비스이다. 따라서 수동 주소 할당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DNS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서비스이고, WINS는 NetBIOS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서비스이다. ARP는 IP 주소를 물리적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Windows 2003 Server에서 랜카드에서 송수신한 패킷의 용량 및 종류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와 옵션으로 올바른 것은?

  1. ipconfig -n
  2. netstat -r
  3. netstat -e
  4. ipconfig /all
(정답률: 48%)
  • 정답: "netstat -e"

    설명: "netstat -e" 명령어는 Windows 2003 Server에서 랜카드에서 송수신한 패킷의 용량 및 종류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는 Ethernet 통계를 보여주며, 수신된 바이트, 전송된 바이트, 수신된 패킷, 전송된 패킷 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 "ipconfig -n": 현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보여줍니다.
    - "netstat -r": 라우팅 테이블을 보여줍니다.
    - "ipconfig /all": 현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세 정보를 보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Linux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내린 명령어를 Kernel에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System Program
  2. Loader
  3. Shell
  4. Directory
(정답률: 87%)
  • Shell은 사용자와 커널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해석하여 커널에 전달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Linux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내린 명령어를 Kernel에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Shel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Windows 네트워크의 NetBIOS 이름에 대한 IP Address를 제공하는 일종의 데이터베이스로서, 클라이언트가 NetBIOS 이름으로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에 해당하는 IP를 응답해 주는 기능을 가진 서버는?

  1. DNS
  2. DHCP
  3. WINS
  4. SMTP
(정답률: 50%)
  • WINS는 Windows 네트워크에서 NetBIOS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기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NetBIOS 이름으로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해당하는 IP 주소를 응답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DNS는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DHCP는 네트워크에서 IP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하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SMTP는 이메일 전송 프로토콜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Windows 2003 Server가 감사하는 이벤트의 종류를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정책 변경 : 사용자 보안옵션, 사용자 권한 또는 계정 정책이 변경되는 이벤트
  2. 시스템 이벤트 : Windows 2003 보안 및 보안 로그에 영향을 주는 이벤트
  3. 디렉터리 서비스 액세스 : 사용자가 도메인 컴퓨터 외에 로컬 컴퓨터의 파일, 폴더 또는 프린터에 액세스 하는 이벤트
  4. 권한 사용 : 시스템 시간 변경과 같은 사용자가 권한을 사용한 이벤트
(정답률: 50%)
  • "디렉터리 서비스 액세스 : 사용자가 도메인 컴퓨터 외에 로컬 컴퓨터의 파일, 폴더 또는 프린터에 액세스 하는 이벤트"가 옳지 않은 것이다. 디렉터리 서비스 액세스는 사용자가 도메인 컴퓨터 내의 파일, 폴더 또는 프린터에 액세스하는 이벤트를 감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Linux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환경 설정에 필요한 설정 파일들과 passwd 파일을 포함하고 있는 디렉터리는?

  1. /bin
  2. /home
  3. /etc
  4. /root
(정답률: 74%)
  • "/etc" 디렉터리는 Linux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환경 설정 파일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디렉터리에는 시스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설정 파일들이 위치하며,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설정, 사용자 계정 설정, 서비스 설정 등이 있습니다. 또한, passwd 파일도 이 디렉터리에 위치하며, 이 파일은 사용자 계정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etc" 디렉터리는 Linux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Windows 2003 Server 설치 도중에 파티션을 어떤 File System으로 포맷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Windows 2003 Server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File System은?

  1. NTFS
  2. FAT
  3. NFS
  4. FAT32
(정답률: 61%)
  • Windows 2003 Server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File System은 "NFS"이다. 이는 Network File System의 약자로, UNIX나 Linux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이다. Windows 운영체제에서는 NFS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Windows 2003 Server에서는 NFS를 포맷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Linux 명령어의 tar의 Option 중에서 현재 작업 상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1. z
  2. x
  3. v
  4. c
(정답률: 67%)
  • 정답은 "v"입니다. "v"는 verbose mode로, tar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진행 상황과 함께 파일 및 디렉토리 이름을 표시합니다. 이는 작업이 제대로 수행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z"는 gzip으로 압축하고, "x"는 압축을 해제하고, "c"는 새로운 아카이브를 만들고, "f"는 아카이브 파일 이름을 지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Linux 명령어 중 특정한 파일을 찾고자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는?

  1. mv
  2. cp
  3. find
  4. file
(정답률: 87%)
  • 정답은 "find"이다. "find"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에서 특정한 파일을 찾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이 명령어는 파일 이름, 크기, 수정 날짜 등 다양한 조건으로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mv"는 파일을 이동시키는 명령어, "cp"는 파일을 복사하는 명령어, "file"은 파일의 종류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Linux 명령어 중 사용자 그룹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는?

  1. groups
  2. mkgroup
  3. groupstart
  4. groupadd
(정답률: 75%)
  • 정답은 "groupadd" 입니다. 이 명령어는 새로운 사용자 그룹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groups" 명령어는 현재 사용자가 속한 그룹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며, "mkgroup"과 "groupstart"는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Linux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메모리양과 사용 가능한 메모리 양, 공유 메모리와 가상 메모리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는 명령어는?

  1. mem
  2. free
  3. du
  4. cat
(정답률: 77%)
  • 정답은 "free"이다. "free" 명령어는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메모리와 사용 가능한 메모리, 공유 메모리와 가상 메모리 등의 정보를 보여준다. 이 정보는 시스템의 메모리 사용 상태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mem"은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이고, "du"는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디스크 사용량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며, "cat"은 파일의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Bind 설정 파일 중 존(Zone) 파일은 여러 개의 레코드로 구분되어 설정된다. 각 레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TTL, SOA, NS, MX, A, CNAME 레코드 등으로 구분된다.
  2. SOA 레코드는 Start of Authority의 약자로 존 파일의 전체적인 설정이 시작됨을 나타낸다.
  3. $TTL은 특정 네임 서버가 질의하여 가져간 정보를 보관하고 있을 시간을 지정한다.
  4. MX 레코드는 호스트 이름에 대한 IP Address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정답률: 72%)
  • MX 레코드는 호스트 이름에 대한 IP Address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MX 레코드는 메일 서버의 우선순위와 호스트 이름을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MX 레코드는 도메인 이름에 대한 메일 서버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우선순위가 같은 경우에는 호스트 이름을 참조하여 메일 서버의 IP 주소를 찾는다. 따라서 MX 레코드는 메일 서버의 우선순위와 호스트 이름을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Linux에서 파티션 Type이 'SWAP' 일 경우의 의미는?

  1. Linux가 실제로 자료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파티션이다.
  2. Linux가 네트워킹 상태에서 쿠키를 저장하기 위한 파티션이다.
  3.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 하드 디스크의 일부분을 마치 메모리인 것처럼 사용하는 파티션이다.
  4. Utility 프로그램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파티션이다.
(정답률: 84%)
  • SWAP 파티션은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 하드 디스크의 일부분을 마치 메모리인 것처럼 사용하는 파티션이다. 이는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Linux의 Redirection(리다이렉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어떤 명령의 결과 값을 원하는 위치로 출력하거나 어떤 명령의 입력 값을 원하는 위치로 받을 수 있다.
  2. '>' 기호를 중심으로 앞의 결과 값이 뒤에 나오는 파일이나 하드웨어 장치로 출력된다.
  3. '<' 기호를 중심으로 앞에 있는 파일이나 하드웨어 장치로부터 명령어를 입력받는다.
  4. '>>' 기호는 앞의 결과 값이 뒤에 나오는 파일로 출력되었을 경우 기존 파일의 내용을 덮어쓴다.
(정답률: 65%)
  • "'>>' 기호는 앞의 결과 값이 뒤에 나오는 파일로 출력되었을 경우 기존 파일의 내용을 덮어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gt;>' 기호는 앞의 결과 값이 뒤에 나오는 파일로 출력되었을 경우 기존 파일의 내용을 덮어쓰는 것이 아니라, 기존 파일의 끝에 내용을 추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Linux와 다른 이기종의 파일 시스템이나 프린터를 공유하기 위해 설치하는 서버 및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1. 삼바(SAMBA)
  2. 아파치(Apache)
  3. 센드메일(Sendmail)
  4. 바인드(BIND)
(정답률: 85%)
  • 삼바는 Linux와 다른 이기종의 파일 시스템이나 프린터를 공유하기 위해 설치하는 서버 및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입니다. 삼바는 Windows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SMB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Windows와 Linux 간의 파일 공유가 가능하도록 해줍니다. 또한, 삼바는 간단한 설정으로 사용자 인증, 파일 권한 설정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삼바가 Linux와 다른 이기종의 파일 시스템이나 프린터를 공유하기 위해 설치하는 서버 및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자신의 Linux 서버에 네임서버 운영을 위한 BIND Package가 설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해 보기 위한 명령어는?

  1. #rpm -qa l grep bind
  2. #rpm -ap l grep bind
  3. #rpm -qe l grep bind
  4. #rpm -ql l grep bind
(정답률: 62%)
  • 정답은 "#rpm -qa l grep bind"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rpm -qa: 현재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패키지를 나열하는 명령어이다.
    - l: 나열된 패키지들의 정보를 자세히 보여주는 옵션이다.
    - grep bind: 패키지 이름 중 "bind"라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패키지들만 필터링하여 보여준다.

    따라서,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재 시스템에 설치된 BIND Package의 정보를 자세히 보여준다. 이를 통해 BIND Package가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46. 장비간 거리가 증가하거나 케이블 손실로 인한 신호 감쇠를 재생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네트워크 장치는?

  1. Gateway
  2. Router
  3. Bridge
  4. Repeater
(정답률: 84%)
  • Repeater는 신호를 증폭하여 장비간 거리가 증가하거나 케이블 손실로 인한 신호 감쇠를 보상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Repeater가 정답입니다. Gateway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역할을 하고, Router는 패킷을 전달하고 경로를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Bridge는 두 개의 LAN을 연결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로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광케이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멀티 모드형과 싱글 모드형이 있다.
  2. 동축케이블과 마찬가지로 단선이 되었을 경우, 별도의 장비 없이 선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3. 광섬유는 코어(Core)와 클래드(Clad)로 구성된다.
  4. 보안 및 잡음 등에 강한 것이 특징이다.
(정답률: 78%)
  • 광케이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동축케이블과 마찬가지로 단선이 되었을 경우, 별도의 장비 없이 선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다. 광케이블은 단선이 되었을 경우 광신호가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장비인 광커플러를 사용하여 선을 연결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OSI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에서 작동하는 네트워크 연결장치는?

  1. 브리지(Bridge)
  2. 라우터(Router)
  3. 리피터(Repeater)
  4. 게이트웨이(Gateway)
(정답률: 78%)
  • 라우터는 OSI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에서 작동하는 네트워크 연결장치입니다. 이는 라우터가 패킷을 받아서 목적지 주소를 확인하고, 다음에 어떤 경로로 보낼지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라우터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인터넷과 같은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경로 지정을 위해 'hop'을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1. SNA
  2. RIP
  3. TCP/IP
  4. OSPF
(정답률: 86%)
  • 'RIP'은 Routing Information Protocol의 약자로, 경로 지정을 위해 'hop'을 사용하는 프로토콜 중 하나입니다. RIP은 라우터 간에 경로 정보를 교환하고, 최단 경로를 찾기 위해 'hop count'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RIP은 경로 지정을 위해 'hop'을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게이트웨이(Gateway)의 역할로 올바른 것은?

  1. 전혀 다른 프로토콜을 채용한 네트워크 간의 인터페이스이다.
  2.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사용 시 이용되는 네트워크 케이블 집선 장치이다.
  3. 케이블의 중계점에서 신호를 전기적으로 증폭한다.
  4. 피지컬 어드레스의 캐시 테이블을 갖는다.
(정답률: 80%)
  • 게이트웨이는 전혀 다른 프로토콜을 채용한 네트워크 간의 인터페이스입니다. 이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데이터를 변환하고 라우팅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