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4-27)

네트워크관리사 2급
(2014-04-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TCP/IP

1. TCP와 UDP의 차이점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TCP는 전 이중방식 스트림 중심의 연결형 프로토콜이고, UDP는 비 연결형 프로토콜이다.
  2. TCP는 전달된 패킷에 대한 수신측의 인증이 필요하지만 UDP는 그렇지 않다.
  3. 일반적으로 동영상과 같은 실시간 데이터 전송에는 UDP가 사용된다.
  4. UDP는 TCP에 비해 오버헤드가 크다.
(정답률: 88%)
  • "UDP는 TCP에 비해 오버헤드가 크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실제로 UDP는 TCP보다 오버헤드가 적다. 이는 UDP가 연결 설정 및 연결 해제 과정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UDP는 빠른 전송 속도와 낮은 지연 시간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점은 데이터의 신뢰성과 보안에 대한 제한을 가져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대칭 프로토콜이다.
  2. TTL(Time to Live)이 제공되지 않는다.
  3. 데이터의 멀티 캐스팅을 위해 개발된 프로토콜이다.
  4. 최초의 리포트를 잃어버린 후 ICMP를 갱신하지 않는다.
(정답률: 85%)
  • IGMP는 데이터의 멀티 캐스팅을 위해 개발된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ipconfig는 TCP/IP 설정을 확인하는 유틸리티이다. 다음 중 이 유틸리티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정보로 옳지 않은 것은?(단, ipconfig의 /all과 같은 파라미터는 사용하지 않는다.)

  1. IP Address
  2. DNS 서버
  3.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4. 기본 게이트웨이(Default Gateway)
(정답률: 82%)
  • 정답은 "DNS 서버"이다. ipconfig는 TCP/IP 설정을 확인하는 유틸리티로,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DNS 서버는 ipconfig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정보가 아니다. DNS 서버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정보는 ipconfig의 /all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IPv4 Address 중 네트워크 ID가 '127'로 시작하는 주소의 용도는?

  1. 제한적 브로드캐스트 주소
  2. B Class의 멀티캐스트 주소
  3. C Class의 사설(Private) IP 주소
  4. 루프백(Loopback) 주소
(정답률: 86%)
  • 루프백(Loopback) 주소는 자기 자신을 가리키는 특수한 주소로, IPv4 Address 중 네트워크 ID가 '127'로 시작하는 주소의 용도이다. 이 주소를 사용하면 컴퓨터에서 자신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테스트하거나 네트워크 연결이 없는 상태에서도 자신의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루프백 주소는 네트워크 테스트나 디버깅 등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Class가 다른 IP Address는?

  1. 223.235.47.35
  2. 224.128.105.4
  3. 225.114.58.5
  4. 226.204.26.34
(정답률: 77%)
  • IP 주소는 32비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첫 8비트는 Class를 나타내는데, "223"은 Class C에 해당합니다. 나머지 24비트는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로 나뉘며, 이 주소는 Class C의 범위 내에 있지만 다른 세 주소는 Class D나 E에 해당하므로 다른 Class에 속합니다. 따라서 "223.235.47.35"는 다른 IP 주소와 Class가 다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SSH(Secure Shell) 프로토콜에 들어가지 않는 기능은?

  1. 압축(Compression)
  2. 암호화(Encryption)
  3. 인증(Authentication)
  4. 순서보정(Resequencing)
(정답률: 80%)
  • SSH 프로토콜은 압축, 암호화, 인증 기능을 모두 제공하지만, 순서보정 기능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순서보정은 패킷이 전송되는 도중에 순서가 바뀌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으로, TCP 프로토콜에서 제공됩니다. SSH 프로토콜은 TCP 위에서 동작하므로, TCP에서 제공하는 순서보정 기능을 활용합니다. 따라서 SSH 프로토콜에서는 별도의 순서보정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라우트(Route) 프로토콜은 라우팅(Routing) 프로토콜과 라우티드(Routed)로 구분할 수 있다. 라우팅(Routing) 프로토콜이 아닌 것은?

  1. IGRP
  2. TCP/IP
  3. RIP
  4. OSPF
(정답률: 72%)
  • TCP/IP는 라우팅(Routing) 프로토콜이 아닌 네트워크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IGRP, RIP, OSPF은 모두 라우팅(Routing)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ICMPv6에서 IPv4의 ARP 역할 및 특정 호스트로의 전달 가능 여부 검사 기능을 하는 메시지는?

  1. 재지정 메시지(Redirection)
  2. 에코 요청 메시지(Echo request)
  3. 이웃 요청과 광고 메시지(Neighbor Solicitation and Advertisement)
  4. 목적지 도달 불가 메시지(Destination unreachable)
(정답률: 70%)
  • ICMPv6에서 ARP 역할을 하는 것은 이웃 요청과 광고 메시지(Neighbor Solicitation and Advertisement)입니다. 이 메시지는 특정 호스트로의 전달 가능 여부를 검사하고, 해당 호스트의 MAC 주소를 알아내는 데 사용됩니다. 이웃 요청 메시지는 특정 호스트에게 MAC 주소를 요청하고, 이웃 광고 메시지는 호스트의 MAC 주소를 다른 호스트에게 알리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웃 요청과 광고 메시지는 IPv6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네트워크의 원활한 동작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IPv6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Pv6 Address는 128bit의 길이로 되어 있다.
  2. 현재의 IPv4와도 상호 운용이 가능하다.
  3. 낮은 전송속도를 가지는 네트워크에서는 문제가 있지만, ATM같은 높은 효율성을 가진 네트워크에서도 잘 동작된다.
  4. IPv6 어드레스는 각각의 인터페이스와 인터페이스 집합을 정의해준다.
(정답률: 79%)
  • IPv6는 낮은 전송속도를 가지는 네트워크에서도 잘 동작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사실 IPv6는 패킷 헤더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전송 속도가 느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IPv6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대역폭이 충분한 고속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IPv6의 주소 표기법으로 올바른 것은?

  1. 192.168.1.30
  2. 3ffe:1900:4545:0003:0200:f8ff:ffff:1105
  3. 00:A0:C3:4B:21:33
  4. 0000:002A:0080:c703:3c75
(정답률: 79%)
  • IPv6 주소는 128비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16비트씩 8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콜론(:)으로 구분한다. 각 그룹은 16진수로 표기되며, 앞자리의 0은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3ffe:1900:4545:0003:0200:f8ff:ffff:1105"가 올바른 IPv6 주소 표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TCP의 프로토콜 이름과 일반 사용(Well-Known) 포트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1. SMTP : 25
  2. HTTP : 80
  3. POP3 : 100
  4. FTP-Data : 20
(정답률: 82%)
  • POP3는 일반적으로 110번 포트를 사용하므로 "POP3 : 100"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POP3는 이메일을 수신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이메일 클라이언트가 이메일 서버에 접속하여 이메일을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POP3는 TCP 110번 포트를 사용하며, SSL/TLS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TCP 995번 포트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라우팅 테이블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로 옳지 않은 것은?

  1. 송신지 IP Address
  2. 다음-홉(Hop) 라우터
  3. 목적지 IP Address
  4. 인터페이스
(정답률: 51%)
  • 송신지 IP Address는 라우팅 테이블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라우팅 테이블은 목적지 IP Address와 다음-홉 라우터, 그리고 해당 라우터와 연결된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합니다. 송신지 IP Address는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어 있으며, 라우팅 테이블과는 별개의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DNS에서 사용될 때 TTL(Time to Live)의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데이터가 DNS서버 존으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이다.
  2. 데이터가 DNS서버 캐시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이다.
  3. 패킷이 DNS서버 존으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이다.
  4. 패킷이 DNS서버 네임서버 레코드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이다.
(정답률: 78%)
  • TTL(Time to Live)은 DNS 레코드가 DNS 서버 캐시에서 유지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데이터가 DNS서버 캐시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이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는 DNS 서버가 캐시된 레코드를 언제까지 유지할지 결정하는데 사용됩니다. TTL 값이 작을수록 DNS 레코드가 더 빨리 만료되어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서브넷 마스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서브네팅이란 주어진 IP 주소 범위를 필요에 따라서 여러 개의 서브넷으로 분리하는 작업이다.
  2.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하여 목적지 호스트가 동일한 네트워크상에 있는지 확인한다.
  3. 필요한 서브넷의 수를 고려하여 서브넷 마스크 값을 결정한다.
  4. 서브넷 마스크는 Network ID 필드는 '0'으로, Host ID 필드는 '1'로 채운다.
(정답률: 87%)
  • 서브넷 마스크는 Network ID 필드는 '0'으로, Host ID 필드는 '1'로 채운다는 설명이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TCP/IP 에서 데이터 링크층의 데이터 단위는?

  1. 메시지
  2. 세그먼트
  3. 데이터그램
  4. 프레임
(정답률: 78%)
  • TCP/IP에서 데이터 링크층의 데이터 단위는 프레임이다. 이는 데이터 링크층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패킷의 단위로, 송신측에서는 데이터를 프레임으로 분할하고, 수신측에서는 프레임을 재조립하여 데이터를 전달한다. 프레임은 MAC 주소와 같은 물리적인 주소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C Class 네트워크에서 6개의 서브넷이 필요하다고 할 때 가장 적당한 서브넷 마스크는?

  1. 255.255.255.0
  2. 255.255.255.192
  3. 255.255.255.224
  4. 255.255.255.240
(정답률: 67%)
  • 6개의 서브넷이 필요하다면, 2^3 = 8개의 호스트를 가질 수 있는 서브넷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3비트를 서브넷 마스크로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255.255.255.224가 가장 적당한 서브넷 마스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TCP/IP 프로토콜 계층 구조에서 볼 때, 응용 계층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로 옳지 않은 것은?

  1. ICMP
  2. SMTP
  3. SNMP
  4. TFTP
(정답률: 64%)
  •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로, 응용 계층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이 아니라 인터넷 계층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입니다. SMTP는 이메일 전송 프로토콜, SNMP는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 TFTP는 간단한 파일 전송 프로토콜로 모두 응용 계층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8. 100Mbps 이상의 전송속도를 제공하는 무선 LAN의 표준은?

  1. IEEE 802.11a
  2. IEEE 802.11b
  3. IEEE 802.11g
  4. IEEE 802.11n
(정답률: 71%)
  • IEEE 802.11n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동시에 여러 개의 안테나를 통해 전송하므로 전송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이다. 또한, 2.4GHz와 5GHz 대역을 모두 지원하여 더 많은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어서 더 높은 전송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100Mbps 이상의 전송속도를 제공하는 무선 LAN의 표준으로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하나의 회선을 여러 사용자들이 동시에 채널을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1. 엔코딩
  2. 멀티 플렉싱
  3. 디코딩
  4. 흐름 제어
(정답률: 91%)
  • 멀티 플렉싱은 하나의 회선을 여러 사용자들이 동시에 채널을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 여러 개의 신호를 하나의 신호로 합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멀티 플렉싱은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도록 하며, 효율적인 대역폭 사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10Base-5의 전송 속도는?

  1. 10Mbps
  2. 5Mbps
  3. 2Mbps
  4. 100Mbps
(정답률: 79%)
  • 10Base-5는 이더넷의 한 종류로, 10Mbps의 전송 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10"은 전송 속도를 나타내는 숫자이며, "Base-5"는 케이블의 종류를 나타내는데, 이 케이블은 50옴의 임피던스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5"로 표기됩니다. 따라서 10Base-5의 전송 속도는 10Mbp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OSI 7 Layer의 계층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물리 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전송 계층 - 프레젠테이션 계층 - 세션 계층 - 응용 계층
  2. 물리 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프레젠테이션 계층 - 세션 계층 - 전송 계층 - 응용 계층
  3. 물리 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전송 계층 - 세션 계층 - 프레젠테이션 계층 - 응용 계층
  4. 물리 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전송 계층 - 세션 계층 - 응용 계층 - 프레젠테이션 계층
(정답률: 82%)
  • OSI 7 Layer는 데이터 통신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7개의 계층으로 나눈 것입니다. 이 계층은 데이터의 전송과 처리를 담당하며, 각 계층은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각 계층은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며, 다음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물리 계층은 데이터를 전기적, 기계적, 물리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링크 계층은 물리 계층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나누어 관리하고, 오류 검출 및 수정을 수행합니다. 네트워크 계층은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한 경로를 설정하고, 패킷을 전송합니다. 전송 계층은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며, 오류 검출 및 재전송을 수행합니다. 세션 계층은 데이터 전송 중에 세션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프레젠테이션 계층은 데이터의 형식을 변환하거나,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합니다. 마지막으로, 응용 계층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며,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따라서, OSI 7 Layer의 계층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물리 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전송 계층 - 세션 계층 - 프레젠테이션 계층 - 응용 계층"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오류 검출 방식인 ARQ 방식 중에서 일정한 크기 단위로 연속해서 프레임을 전송하고 수신측에 오류가 발견된 프레임에 대하여 재전송 요청이 있을 경우 잘못된 프레임만을 다시 전송하는 방법은?

  1. Stop-and-Wait ARQ
  2. Go-back-N ARQ
  3. Selective-repeat ARQ
  4. Adaptive ARQ
(정답률: 76%)
  • Selective-repeat ARQ 방식은 수신측에서 오류가 발견된 프레임만을 재전송 요청하므로, 전체 프레임을 다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잘못된 프레임만을 다시 전송하여 효율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이 방식이 정답이다. Stop-and-Wait ARQ는 한 번에 하나의 프레임만을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확인 후에 다음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식이며, Go-back-N ARQ는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 이후의 모든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방식이다. Adaptive ARQ는 전송 환경에 따라 ARQ 방식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Analog 데이터를 Digital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올바른 것은?

  1. Analog → 양자화 → 표본화 → 부호화 → Digital
  2. Analog →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 Digital
  3. Analog → 표본화 → 부호화 → 양자화 → Digital
  4. Analog → 양자화 → 부호화 → 표본화 → Digital
(정답률: 88%)
  • Analog 신호는 연속적인 값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Digital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먼저 표본화 과정을 거쳐 이산적인 값으로 변환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산적인 값들은 양자화 과정을 통해 정확한 Digital 값으로 변환됩니다. 이후에는 부호화 과정을 통해 Digital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는 이진 코드로 변환됩니다. 따라서 올바른 답은 "Analog →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 Digital"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데이터 흐름 제어(Flow Control)와 관련 없는 것은?

  1. Stop and Wait
  2. XON/OFF
  3. Loop/Echo
  4. Sliding Window
(정답률: 74%)
  • Loop/Echo는 데이터 흐름 제어와 관련이 없습니다. Loop/Echo는 데이터 전송이 아닌, 자가 진단을 위한 기능으로,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측에서 그대로 되돌려주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데이터 흐름 제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LAN의 구성형태 중 중앙의 제어점으로부터 모든 기기가 점 대 점(Point to Point) 방식으로 연결된 구성형태는?

  1. 링형 구성
  2. 스타형 구성
  3. 버스형 구성
  4. 트리형 구성
(정답률: 86%)
  • 스타형 구성은 중앙의 제어점으로부터 모든 기기가 점 대 점(Point to Point) 방식으로 연결된 구성형태이다. 이는 각 기기가 중앙 제어점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기기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기기 추가/제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LAN 구성 형태 중에서 스타형 구성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인터넷 프로토콜들 중 OSI 참조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에 속하지 않는 프로토콜은?

  1. IP
  2. ICMP
  3. UDP
  4. ARP
(정답률: 76%)
  • UDP는 전송 계층에 속하는 프로토콜로, OSI 참조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에는 속하지 않습니다. IP는 네트워크 계층,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로, ARP는 주소 결정 프로토콜로 각각 해당 계층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IEEE 802 표준에 대한 연결이 잘못 이루어진 것은?

  1. IEEE 802.2 - LLC
  2. IEEE 802.3 - LDAP
  3. IEEE 802.4 - 토큰 버스
  4. IEEE 802.5 - 토큰 링
(정답률: 78%)
  • IEEE 802.3은 이더넷(Ethernet) 표준을 정의하고, LDAP은 디렉터리 서비스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표준이므로 서로 다른 분야의 표준이기 때문에 연결이 잘못 이루어진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IEEE 802.3 - LDA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NOS

28. Windows 2003 Server의 파일 및 프린터 공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드라이브 공유 시에 접속할 수 있는 최대 사용자 수를 제한할 수 있다.
  2. 공유된 드라이브나 디렉터리에는 손모양의 아이콘이 나타난다.
  3. 디스크 드라이브 뿐만 아니라, 특정 디렉터리만 공유시킬 수도 있다.
  4. 공유 프린터는 반드시 기본 프린터로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정답률: 81%)
  • 공유 프린터는 반드시 기본 프린터로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사용자는 공유된 프린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기본 프린터로 설정할지 여부는 개인의 선택에 따라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Linux에서 사용자가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의 경로를 절대경로 방식으로 보여주는 명령어는?

  1. cd
  2. man
  3. pwd
  4. cron
(정답률: 78%)
  • 정답은 "pwd"이다. "pwd"는 "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로,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의 절대경로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pwd"를 입력하면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의 절대경로가 출력된다. "cd"는 디렉터리를 변경하는 명령어이고, "man"은 매뉴얼 페이지를 보여주는 명령어이며, "cron"은 일정한 주기로 명령어를 실행시키는 스케줄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Windows 2003 Server의 IIS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로 옳지 않은 것은?

  1. DHCP 서비스
  2. NNTP 서비스
  3. FTP 서비스
  4. SMTP 서비스
(정답률: 55%)
  • DHCP 서비스는 인터넷 정보 서비스(IIS)와 관련이 없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입니다. DHCP 서비스는 네트워크에서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서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현재 디렉터리와 하부 디렉터리까지 검색하여 core라는 파일을 찾아 삭제하는 Linux 명령으로 올바른 것은?

  1. find. -name core -exec rm -rf {} \;
  2. find / -name core -exe rm -rf {} \;
  3. find. -name core -print | rm -rf {} \;
  4. find / -name core | rm -rf
(정답률: 54%)
  • 정답은 "find. -name core -exec rm -rf {}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find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을 검색합니다.
    - "."은 현재 디렉터리를 의미합니다.
    - "-name core"는 파일 이름이 "core"인 파일을 찾습니다.
    - "-exec"는 검색된 파일에 대해 실행할 명령어를 지정합니다.
    - "rm -rf {} ;"는 검색된 파일을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는 검색된 파일의 이름을 의미합니다. ";"는 명령어의 끝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Windows 2003 Server의 Active Directory 특성으로 올바른 것은?

  1. DNS와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2. LDAP를 사용하는 다른 디렉터리 서비스와 호환되지 않는다.
  3. 그룹 정책을 기반으로 GPO에 해당 그룹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권한이 명시되어 있다.
  4. 글로벌 카탈로그는 자기 도메인 내의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다.
(정답률: 62%)
  • Active Directory는 그룹 정책을 기반으로 GPO에 해당 그룹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권한이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올바른 특성이다. 이는 사용자 및 컴퓨터 계정에 대한 설정을 중앙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Windows 2003 Server의 NTFS에서 제공하는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일과 폴더 차원의 보안 : NTFS는 파일과 폴더에 대한 접근을 제어한다.
  2. 디스크 압축 : NTFS 압축 파일로 더 많은 저장 공간을 만들 수 있다.
  3. 듀얼 부팅 설정 : Windows XP과 Windows 2003 Server 사이에 듀얼 부트를 구성할 경우, 원활한 파일 공유를 위해 시스템 파티션의 파일 시스템은 NTFS로만 구성해야 한다.
  4. 파일 암호화 : NTFS는 파일에 대한 암호화를 지원한다.
(정답률: 72%)
  • "듀얼 부팅 설정 : Windows XP과 Windows 2003 Server 사이에 듀얼 부트를 구성할 경우, 원활한 파일 공유를 위해 시스템 파티션의 파일 시스템은 NTFS로만 구성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NTFS에서 제공하는 기능 중 하나가 아니라, Windows XP와 Windows 2003 Server 간의 듀얼 부팅 설정 시 권장되는 파일 시스템이 NTFS인 이유를 설명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SOA 레코드의 설정 값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 서버 : 주 영역 서버의 도메인 주소를 입력한다.
  2. 책임자 : 책임자의 주소 및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3. 최소 TTL : 각 레코드의 기본 Cache 시간을 지정한다.
  4. 새로 고침 간격 : 주 서버와 보조 서버간의 통신이 두절되었을 때 다시 통신할 시간 간격을 설정한다.
(정답률: 79%)
  • SOA 레코드의 설정 값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책임자: 책임자의 주소 및 전화번호를 입력한다"입니다. 이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E-Mail에서 주로 사용하는 프로토콜로 옳지 않은 것은?

  1. SMTP
  2. POP3
  3. IMAP
  4. SNMP
(정답률: 77%)
  • SNMP는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의 약자로, 네트워크 장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이는 E-Mail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아니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SMTP는 이메일을 보내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고, POP3와 IMAP은 이메일을 받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아래 화면과 같이 패리티(Parity)가 있는 RAID 방식은?

  1. RAID 0
  2. RAID 1
  3. RAID 2
  4. RAID 5
(정답률: 72%)
  • 위 화면에서는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고 있으며, 패리티 정보도 함께 저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RAID 5 방식으로, 데이터의 안정성과 속도를 모두 고려한 방식입니다. RAID 0은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지만 안정성이 떨어지며, RAID 1은 미러링 방식으로 안정성은 높지만 저장 용량이 절반으로 줄어듭니다. RAID 2는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위 화면은 RAID 5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Windows 2003 Server에서 DHCP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클라이언트가 DHCP 서버에 접속하면 자동으로 게이트웨이 주소를 할당한다.
  2. 클라이언트가 DHCP 서버에 접속하면 자동으로 DNS 주소를 할당한다.
  3. DHCP 서버에 접속하면 자동으로 IP Address를 할당한다.
  4. DHCP 서버에 접속하면 자동으로 컴퓨터 이름을 할당한다.
(정답률: 69%)
  • DHCP 서버에 접속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클라이언트가 DHCP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DHCP 서버가 자동으로 IP 주소, 게이트웨이 주소, DNS 주소 등을 할당해준다. 하지만 DHCP 서버는 컴퓨터 이름을 할당해주지 않는다. 따라서 "DHCP 서버에 접속하면 자동으로 컴퓨터 이름을 할당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Linux에서 사용자에 대한 패스워드의 만료기간 및 시간 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어는?

  1. chage
  2. chgrp
  3. chmod
  4. usermod
(정답률: 67%)
  • "chage" 명령어는 Linux에서 사용자 계정의 패스워드 만료기간 및 시간 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사용자 계정의 패스워드 만료일을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으며, 패스워드 만료일이 지난 사용자 계정을 비활성화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chage"이다. "chgrp"는 그룹 소유권을 변경하는 명령어이고, "chmod"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usermod"는 사용자 계정 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Linux에서 현재 사용 디렉터리 위치에 상관없이 자신의 HOME Directory로 이동하는 명령은?

  1. cd HOME
  2. cd /
  3. cd ../HOME
  4. cd ~
(정답률: 69%)
  • 정답은 "cd ~"입니다.

    이유는 "~" 기호가 사용자의 HOME Directory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d ~" 명령을 실행하면 현재 위치와 상관없이 사용자의 HOME Directory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재 위치가 "/home/user/documents"인 경우 "cd ~" 명령을 실행하면 "/home/user"로 이동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Linux에서 파티션 Type이 'SWAP' 일 경우의 의미는?

  1. Linux가 실제로 자료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파티션이다.
  2. Linux가 네트워킹 상태에서 쿠키를 저장하기 위한 파티션이다.
  3.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 하드 디스크의 일부분을 마치 메모리인 것처럼 사용하는 파티션이다.
  4. Utility 프로그램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파티션이다.
(정답률: 84%)
  • SWAP 파티션은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 하드 디스크의 일부분을 마치 메모리인 것처럼 사용하는 파티션이다. 이는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Linux에서 'manager'라는 파일을, 파일의 소유자가 아닌 사람도 볼 수는 있지만 수정을 못하도록 하는 명령어는?

  1. chmod 777 manager
  2. chmod 666 manager
  3. chmod 646 manager
  4. chmod 644 manager
(정답률: 72%)
  • 정답은 "chmod 644 manager"이다. 이는 파일의 소유자는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가지고 있고, 그룹과 다른 사용자는 읽기 권한만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른 사용자는 파일을 볼 수 있지만 수정할 수 없다.

    다른 선택지들은 모두 파일에 쓰기 권한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도 파일을 수정할 수 있다. "chmod 777 manager"은 모든 사용자가 파일을 읽기, 쓰기, 실행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고, "chmod 666 manager"는 파일의 소유자, 그룹, 다른 사용자 모두가 읽기와 쓰기 권한을 가지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다. "chmod 646 manager"는 파일의 소유자는 읽기와 쓰기 권한을 가지고 있고, 그룹은 읽기 권한만 가지고 있으며, 다른 사용자는 쓰기 권한만 가지고 있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Linux 시스템에서 RPM 패키지 설치시 기존 파일에 강제적으로 설치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옵션은?

  1. --nodeps
  2. --noreplacefiles
  3. --force
  4. --defaultpackage
(정답률: 69%)
  • 정답은 "--force"입니다.

    이 옵션은 RPM 패키지 설치시 기존 파일에 강제적으로 덮어씌우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기존 파일이 있어도 무시하고 새로운 파일로 덮어씌우게 됩니다. 따라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다른 옵션들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 "--nodeps": 의존성 검사를 하지 않고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 "--noreplacefiles": 기존 파일이 있을 때 덮어씌우지 않고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 "--defaultpackage": 패키지 이름을 지정하지 않고 RPM 파일을 설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Linux 시스템의 vi 에디터를 사용하여 텍스트를 입력한 후 저장하지 않았을 때, 바로 종료가 되지 않는 명령은?

  1. :wq
  2. :wq!
  3. :q!
  4. :q
(정답률: 64%)
  • 정답은 ":q"입니다.

    ":q" 명령은 현재 편집 중인 파일을 저장하지 않고 종료하는 명령입니다. 만약 파일이 수정되었다면 저장하지 않은 변경 사항이 있음을 알리고 종료합니다.

    ":wq" 명령은 현재 편집 중인 파일을 저장하고 종료하는 명령입니다.

    ":wq!" 명령은 강제로 파일을 저장하고 종료하는 명령입니다.

    ":q!" 명령은 변경 사항을 무시하고 강제로 종료하는 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Windows 2003 Server에서 보안로그 파일의 내용을 보거나 로그 파일 내에 특정 이벤트를 찾는데 사용하는 기능은?

  1. 이벤트 뷰어
  2. 감사 설정
  3. 프로세스 추적
  4. 시스템 이벤트
(정답률: 66%)
  • 이벤트 뷰어는 Windows 2003 Server에서 발생한 모든 이벤트를 기록하고, 이를 검색하고 분석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보안로그 파일의 내용을 보거나 로그 파일 내에 특정 이벤트를 찾는데 사용됩니다. 감사 설정은 이벤트 뷰어에서 로그를 기록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기능이며, 프로세스 추적은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추적하는 기능입니다. 시스템 이벤트는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기록하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Windows 2003 Server에서 이미 사용 중인 도메인에 별칭 도메인을 하나 추가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Record는?

  1. A Record
  2. CNAME Record
  3. PTR Record
  4. MX Record
(정답률: 72%)
  • 정답은 "CNAME Record"입니다.

    CNAME Record는 Canonical Name Record의 약자로, 도메인 이름의 별칭을 지정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기존에 사용 중인 도메인이 "example.com"이고, 이에 별칭 도메인인 "alias.com"을 추가하고 싶다면, "alias.com"에 대한 CNAME Record를 생성하여 "example.com"을 가리키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alias.com"으로 접속하는 모든 요청이 "example.com"으로 전달되어 처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46. 라우터의 설정 파일이 저장되는 곳은?

  1. NVRAM
  2. Shared RAM
  3. Main RAM
  4. ROM
(정답률: 72%)
  • 라우터의 설정 파일은 NVRAM(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에 저장됩니다. 이는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유지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이기 때문에 라우터가 재부팅되어도 설정 파일이 유지됩니다. Shared RAM은 라우터의 작동 중에 사용되는 공유 메모리이며, Main RAM은 라우터의 주 메모리입니다. ROM은 읽기 전용 메모리로, 라우터의 초기 부팅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게이트웨이(Gatewa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OSI 참조 모델의 Transprot 계층간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장비이다.
  2. 두 개의 완전히 다른 네트워크 사이의 데이터 형식을 변환하는 장치이다.
  3. 데이터 변환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 네트워크내의 병목 현상을 일으키는 지점이 될 수 있다.
  4. 프로토콜이 다른 네트워크 환경들을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정답률: 50%)
  • 정답: "OSI 참조 모델의 Transprot 계층간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장비이다." 이 옳지 않은 설명은, 게이트웨이는 OSI 참조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과 인터넷 계층을 연결하는 장비이다. 즉, Transport 계층이 아닌 Network 계층과 연결하는 장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현재 LAN 카드의 MAC Address는 몇 비트의 번호체계인가?

  1. 32 비트
  2. 48 비트
  3. 64 비트
  4. 128 비트
(정답률: 73%)
  • 현재 대부분의 LAN 카드는 이더넷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이더넷 프로토콜에서 MAC Address는 48 비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12자리의 16진수로 표현되며, 각각의 16진수는 4비트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LAN 카드의 MAC Address는 48 비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OSI 7계층 중에서 리피터가 지원하는 계층은?

  1. 물리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전송계층
  4. 응용계층
(정답률: 77%)
  • 리피터는 OSI 7계층 중에서 가장 하위인 물리계층에서 동작합니다. 물리계층은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리피터는 이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를 늘리거나 신호의 품질을 개선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리피터는 물리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무선랜의 구성 방식 중 무선랜 카드를 가진 컴퓨터 간의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작동하는 방식은?

  1. Infrastructure
  2. Ad-Hoc
  3. Bridge
  4. CSMA/CD
(정답률: 72%)
  • Ad-Hoc 방식은 무선랜 카드를 가진 컴퓨터들이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인프라스트럭처나 브리지와 같은 중개 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각 컴퓨터가 서로 독립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CSMA/CD는 이더넷에서 사용되는 충돌 방지 기술로, 무선랜에서는 CSMA/CA 기술이 사용된다. 따라서 Ad-Hoc 방식은 무선랜 카드를 가진 컴퓨터 간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정답은 Ad-Ho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