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10-22)

네트워크관리사 2급
(2017-10-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TCP/IP

1.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IP Address에서 Network Address와 Host Address를 구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2. 하나의 Network를 두 개 이상의 Network로 나눌 수 없다.
  3. IP Address는 효율적으로 관리하나 트래픽 관리 및 제어가 어렵다.
  4. 불필요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제한할 수 없다.
(정답률: 83%)
  • 서브넷 마스크는 IP Address에서 Network Address와 Host Address를 구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하나의 Network를 두 개 이상의 Network로 나눌 수 있으며, IP Address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하여 트래픽 관리 및 제어가 가능하며, 불필요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제한할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10.0.0.0/8' 인 네트워크에서 115개의 서브넷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서브넷 마스크는?

  1. 255.0.0.0
  2. 255.128.0.0
  3. 255.224.0.0
  4. 255.254.0.0
(정답률: 62%)
  • '10.0.0.0/8' 인 네트워크에서 115개의 서브넷을 만들기 위해서는 2의 7승보다 큰 128개의 서브넷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서브넷 마스크의 비트 수를 15개로 늘려야 합니다. 따라서, "255.254.0.0"이 정답이 됩니다. 이는 11111111.11111110.00000000.00000000의 이진수로 표현되며, 첫 15비트는 네트워크 ID로 사용되고, 나머지 17비트는 호스트 ID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IPv4와 IPv6를 비교 설명한 것 중 올바른 것은?

  1. IPv4는 자체적으로 IPsec과 같은 보안 프로토콜을 내장하고 있지만, IPv6는 보안 프로토콜의 추가가 필요하다.
  2. IPv4는 필드 구분을 위해 '.'을 사용하고, IPv6는 ';'으로 구분한다.
  3. IPv4의 각 필드는 10진수로 표시되나, IPv6의 각 필드는 16진수로 표시된다.
  4. IPv4는 4개의 16bit 정수로 나누어지나, IPv6는 8개의 32bit 정수로 구분된다.
(정답률: 78%)
  • "IPv4의 각 필드는 10진수로 표시되나, IPv6의 각 필드는 16진수로 표시된다."가 올바른 것이다. 이는 IPv4가 32비트 주소 체계를 사용하며, 각 필드가 0부터 255까지의 10진수로 표시되는 반면, IPv6는 128비트 주소 체계를 사용하며, 각 필드가 0부터 FF까지의 16진수로 표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TCP 헤더의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RST 플래그 : 데이터가 제대로 전송된 것을 알려준다.
  2. Window Size : 현재 상태의 최대 버퍼 크기를 말한다.
  3. Reserved : 수신된 Sequence Number에 대하여 예상된 다음 옥텟을 명시한다.
  4. FIN 플래그 : 3-Way handshaking 과정을 제의하는 플래그이다.
(정답률: 65%)
  • Window Size는 수신측이 현재 처리 가능한 데이터 양을 나타내는 값으로, 송신측은 이 값을 참고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Window Size는 현재 상태의 최대 버퍼 크기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TCP/IP 4 Layer 중 전송 계층에 속하는 것은?

  1. Telnet
  2. FTP
  3. IP
  4. TCP
(정답률: 83%)
  • TCP/IP 4 Layer 중 전송 계층은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계층입니다. TCP는 전송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로,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고 오류 검출 및 복구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TCP가 전송 계층에 속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IP 패킷의 구조에서 헤더 부분에 들어가는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Version
  2. Total Length
  3. TTL(Time to Live)
  4. Data
(정답률: 69%)
  • IP 패킷의 구조에서 헤더 부분에 들어가는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 "Data"입니다. 이는 IP 패킷의 페이로드 부분에 해당하는 데이터이기 때문에 헤더 부분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헤더 부분에는 패킷의 버전 정보, 전체 길이, TTL(Time to Live) 등의 정보가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망 내 교환 장비들이 오류 상황에 대한 보고를 할 수 있게 하고, 예상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를 알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토콜은?

  1. ARP
  2. RARP
  3. ICMP
  4. RIP
(정답률: 86%)
  •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상황에 대한 보고와 예상치 못한 상황 발생 시 알림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망 내 교환 장비들이 오류 상황에 대한 보고를 할 수 있게 하고, 예상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를 알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토콜로 ICMP가 선택된다. ARP는 주소 결정 프로토콜, RARP는 역주소 결정 프로토콜, RIP는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로, 이들은 네트워크 상황 보고와 예상치 못한 상황 발생 시 알림을 지원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TFTP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TCP/IP 프로토콜에서 데이터의 전송 서비스를 규정한다.
  2. 인터넷상에서 전자우편(E-mail)의 전송을 규정한다.
  3. UD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두 호스트 사이에 파일 전송을 가능하게 해준다.
  4. 네트워크의 구성원에 패킷을 보내기 위한 하드웨어 주소를 정한다.
(정답률: 66%)
  • TFTP는 UD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두 호스트 사이에 파일 전송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이는 TCP와 달리 연결 지향적이지 않고, 간단한 파일 전송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TFTP는 네트워크 부팅이나 라우터 설정 등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ARP의 기능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호스트가 성공적으로 통신하기 위해서 각 하드웨어의 물리적인 주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2. 목적지 호스트의 IP Address를 MAC Address로 바꾸는 역할을 하며, 목적지 호스트가 시작지의 IP Address를 MAC Address로 바꾸는 것을 보장한다.
  3. 기본적으로 ARP 캐시(Cache)를 사용하지 않으며, 매번 서버와 통신할 때 마다 MAC Address를 요구한다.
  4. ARP 캐시(Cache)는 MAC Address와 IP Address의 리스트를 저장한다.
(정답률: 63%)
  • "기본적으로 ARP 캐시(Cache)를 사용하지 않으며, 매번 서버와 통신할 때 마다 MAC Address를 요구한다."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ARP는 MAC Address와 IP Address의 매핑 정보를 ARP 캐시(Cache)에 저장하여 매번 요구하지 않고도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ARP 캐시(Cache)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설명은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 감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TCP/IP 상에 정의된 응용 계층의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관리자가 네트워크 성능을 관리하고 네트워크 문제점을 찾아 수정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은?

  1. SNMP
  2. CMIP
  3. SMTP
  4. POP
(정답률: 89%)
  • SNMP는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의 약자로,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 감시하기 위한 응용 계층 프로토콜입니다. SNMP를 사용하면 네트워크 관리자가 네트워크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문제를 식별하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SNMP는 네트워크 장비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보고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장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문제를 빠르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네트워크 컴퓨터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옳지 않은 것은?

  1. IGRP
  2. SMTP
  3. OSPF
  4. BGP
(정답률: 64%)
  • SMTP는 이메일 전송 프로토콜로,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프로토콜이 아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이다. IGRP, OSPF, BGP는 모두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IGMP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라우터가 주어진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한 호스트 존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
  2. IP Address를 물리적인 랜카드 주소로 변환시키는 주소 결정 프로토콜
  3. 신뢰성이 있는 연결형 프로토콜
  4. 신뢰성이 없는 비연결형 프로토콜
(정답률: 83%)
  • "라우터가 주어진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한 호스트 존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이 올바른 설명입니다. IGMP는 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의 약자로,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한 호스트들의 멤버십을 관리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라우터는 IGMP를 사용하여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한 호스트들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RARP 과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RARP 요청은 송신 호스트가 송신자이고, 목적 호스트이기도 하다.
  2. 클라이언트 호스트는 RARP 메시지를 RARP 서버로 보낸다.
  3. RARP 서버는 반드시 송신 호스트와 같은 네트워크 세그먼트에 위치해야 한다.
  4. RARP는 동적으로 IP Address를 할당할 수 있다.
(정답률: 59%)
  • RARP는 MAC 주소를 기반으로 IP 주소를 할당하는 프로토콜이므로, IP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RARP는 동적으로 IP Address를 할당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IP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비신뢰성 서비스
  2. 비연결형 서비스
  3. 데이터그램 형태의 전송
  4. 에러 제어
(정답률: 70%)
  • IP는 에러 제어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IP는 데이터그램 형태의 전송을 지원하며, 비신뢰성 서비스와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IP는 전송 중에 발생한 오류를 감지하거나 수정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상위 계층인 전송 계층에서 제공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RIP 프로토콜의 일반적인 특징을 기술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RIP 메시지는 전송계층의 UDP 데이터그램에 의해 운반된다.
  2. 각 라우터는 이웃 라우터들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 배정표를 갱신한다.
  3. 멀티캐스팅을 지원한다.
  4. 네트워크의 상황 변화에 즉시 대처하지 못한다.
(정답률: 55%)
  • 멀티캐스팅을 지원한다는 것은 RIP 메시지를 여러 대상에게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라우팅 정보를 빠르게 전파하고, 네트워크의 상황 변화에 대한 대처를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멀티캐스팅을 지원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C Class'인 IP Adress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서브넷 마스크로 '255.255.255.0'을 사용했을 경우, '210.111.4.4'와 '210.111.4.5'는 같은 네트워크임을 인식한다.
  2. 서브넷 마스크로 '255.255.255.0'을 사용했을 경우, '210.111.104.1'과 '210.111.104.254'는 같은 네트워크임을 인식한다.
  3. C Class에서는 서브넷 마스크로 '255.255.255.128'은 사용할 수 없다.
  4. C Class에서 네 개의 네트워크로 나누고자 한다면, 실제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192'가 된다.
(정답률: 67%)
  • "C Class에서는 서브넷 마스크로 '255.255.255.128'은 사용할 수 없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 C Class에서도 서브넷 마스크로 '255.255.255.128'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서브넷 마스크는 2개의 서브넷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프로토콜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Well Known) 포트번호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FTP : 21번
  2. Telnet : 23번
  3. HTTP : 180번
  4. SMTP : 25번
(정답률: 90%)
  • HTTP는 일반적으로 80번 포트를 사용하므로 "HTTP : 180번"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8. 멀티 플렉싱 방식 중 주파수 대역폭을 다수의 작은 대역폭으로 분할 전송하는 방식은?

  1. ATDM(Asynchronous Time Division Multiplexing)
  2.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
  3.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4. STDM(Synchronous Time Division Multiplexing)
(정답률: 77%)
  • FDM은 주파수 대역폭을 다수의 작은 대역폭으로 분할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다수의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때 각각의 신호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폭으로 할당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각각의 주파수 대역폭에서 해당 신호를 분리하여 수신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Bus 토폴로지(Topology)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스타 토폴로지보다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더 많은 케이블이 필요하기 때문에, 배선에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2. 각 스테이션이 중앙 스위치에 연결된다.
  3. 터미네이터(Terminator)가 시그널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4. 토큰이라는 비트의 패턴이 원형을 이루며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정답률: 83%)
  • Bus 토폴로지는 모든 스테이션들이 하나의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으며, 데이터는 한 스테이션에서 다른 스테이션으로 직접 전송된다. 이 때, 터미네이터는 시그널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데이터가 전송되는 케이블의 끝단에 위치한 터미네이터는 시그널이 반사되어 다른 스테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막아준다. 따라서, 올바른 설명은 "터미네이터가 시그널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패킷 교환 방식의 단점이 아닌 것은?

  1. 선로 장애 시 복구가 어렵다.
  2. 패킷 교환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가 복잡하다.
  3. 큐잉(queuing) 지연이 존재한다.
  4. 각 패킷마다 주소를 위한 오버헤드가 존재한다.
(정답률: 54%)
  • 패킷 교환 방식의 단점 중 "선로 장애 시 복구가 어렵다."가 아닌 것은 없습니다. 이는 패킷 교환 방식의 가장 큰 단점 중 하나로, 한 노드에서 선로 장애가 발생하면 해당 노드와 연결된 모든 노드들이 영향을 받아 복구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회선 교환 방식과는 달리 패킷 교환 방식의 한계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IEEE 802 프로토콜의 연결이 올바른 것은?

  1. IEEE 802.3 : 토큰 버스
  2. IEEE 802.4 : 토큰 링
  3. IEEE 802.11 : 무선 LAN
  4. IEEE 802.5 : CSMA/CD
(정답률: 85%)
  • IEEE 802.11은 무선 LAN을 위한 프로토콜로, 무선으로 연결된 디바이스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줍니다. 따라서 다른 프로토콜들은 유선 네트워크를 위한 것이고, IEEE 802.11만이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것이기 때문에 올바른 연결은 IEEE 802.11 : 무선 LA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A) 안에 들어가는 용어 중 옳은 것은?

  1. VLAN
  2. NAT
  3. VPN
  4. Public Network
(정답률: 80%)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여러 개의 지점이 있는 회사나 기관에서 사용하는 사설망(VLAN)과 인터넷과 연결되어 있는 공인망(Public Network)이다. 하지만 보안상의 이유로 사설망과 공인망을 연결하는 가상 사설망(VPN)을 사용한다. VPN은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다. 따라서, 정답은 "VPN"이다. NAT은 네트워크 주소 변환 기술로, 공인망과 사설망을 연결할 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A) 안에 맞는 용어로 옳은 것은?

  1. QoS (Quality of Service)
  2. F/W (Fire Wall)
  3. IPS (Intrusion Prevention System)
  4. IDS (Intrusion Detection System)
(정답률: 81%)
  • 이 그림은 네트워크에서 트래픽을 제어하고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을 보여줍니다. 그 중에서도 QoS (Quality of Service)는 네트워크에서 트래픽의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특정한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대역폭을 보장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QoS는 네트워크 트래픽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기능을 나타내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데이터 통신망에서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 중 옳지 않은 것은?

  1. 메시지 교환
  2. 패킷 교환
  3. 망 교환
  4. 회선 교환
(정답률: 65%)
  • 망 교환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전체 네트워크를 통제하는 방식으로, 모든 데이터 전송에 대한 경로를 미리 설정해야 하므로 비효율적이고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다른 방식인 메시지 교환, 패킷 교환, 회선 교환이 더 효율적이고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하나의 회선을 여러 사용자들이 동시에 채널을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1. 엔코딩
  2. 멀티 플렉싱
  3. 디코딩
  4. 흐름 제어
(정답률: 90%)
  • 멀티 플렉싱은 하나의 회선을 여러 사용자들이 동시에 채널을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여러 개의 신호를 하나의 신호로 합치는 방식으로, 각각의 신호는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전송됩니다. 따라서 멀티 플렉싱을 사용하면 회선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통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데이터링크 계층(Datalink Lay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송상에 발생하는 오류를 검출한다.
  2. 데이터의 표현형식을 변경한다.
  3. 전송상에 발생하는 오류를 정정한다.
  4. 비트들을 프레임으로 구성한다.
(정답률: 49%)
  • "데이터의 표현형식을 변경한다."는 데이터링크 계층의 역할이 아니라 표현 계층의 역할이다. 데이터링크 계층은 전송상에 발생하는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하며, 비트들을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PCM 변조 방식의 변조과정 순서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표본화-양자화-압축-부호화
  2. 표본화-압축-양자화-부호화
  3. 표본화-부호화-양자화-압축
  4. 표본화-양자화-부호화-압축
(정답률: 70%)
  • PCM 변조 방식에서는 먼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표본화를 수행합니다. 그 다음, 양자화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고 근사값으로 변환합니다. 이후, 압축을 통해 데이터를 압축하고 부호화를 수행하여 디지털 신호를 전송 가능한 형태로 만듭니다. 따라서 올바른 변조과정 순서는 "표본화-압축-양자화-부호화"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NOS

28. Linux에서 사용자가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의 경로를 절대경로 방식으로 보여주는 명령어는?

  1. cd
  2. man
  3. pwd
  4. cron
(정답률: 79%)
  • 정답은 "pwd"이다. "pwd"는 "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로,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의 절대경로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pwd"를 입력하면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의 절대경로가 출력된다. "cd"는 디렉터리를 변경하는 명령어이고, "man"은 매뉴얼 페이지를 보는 명령어이며, "cron"은 일정한 주기로 명령어를 실행하는 스케줄링 도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tar로 묶인 'mt.tar'를 풀어내는 명령은?

  1. tar –tvf mt.tar
  2. tar -cvf mt.tar
  3. tar –cvvf mt.tar
  4. tar -xvf mt.tar
(정답률: 56%)
  • 정답은 "tar -xvf mt.tar"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tar: tar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 -x: 압축을 해제하는 옵션입니다.
    - -v: 실행 과정을 자세히 출력하는 옵션입니다.
    - -f: 파일 이름을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여기서는 mt.tar 파일을 지정합니다.

    따라서 "tar -xvf mt.tar" 명령어를 실행하면 mt.tar 파일이 현재 디렉토리에 압축 해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Linux에서 네트워크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Linux는 Windows 시스템과 같이 완벽한 PnP 기능을 지원하지 못한다.
  2. LAN 카드 설치는 Linux 커널에 드라이버를 포함시키거나, 필요할 때마다 메모리에 로딩 할 수 있다.
  3. LAN 카드를 메모리에 로딩해서 사용하려면 'modprobe' 명령을 사용한다.
  4. 네트워크 설정은 'ipconfig' 로 확인 할 수 있다.
(정답률: 65%)
  • "네트워크 설정은 'ipconfig' 로 확인 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Windows에서 사용되는 명령어이며, Linux에서는 'ifconfig' 명령어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IIS 관리자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웹 사이트의 기본 웹 문서 폴더를 변경할 수 있다.
  2. 기본 웹 문서를 추가하거나 기본 웹 문서들의 우선순위를 조정할 수 있다.
  3. 가상 디렉터리의 이름은 실제 경로의 이름과 동일하게 해야 한다.
  4. 디렉터리 검색기능을 활성화하면 기본 문서가 없을 때 파일들의 목록이 나타난다.
(정답률: 80%)
  • 정답은 "가상 디렉터리의 이름은 실제 경로의 이름과 동일하게 해야 한다." 이다. 이유는 가상 디렉터리의 이름은 실제 경로의 이름과 달라도 되며, 가상 디렉터리의 이름은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이름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Windows Server 2008 R2에 설치된 DNS에서 지원하는 레코드 형식 중 실제 도메인 이름과 연결되는 가상 도메인 이름의 레코드 형식은?

  1. CNAME
  2. MX
  3. A
  4. PTR
(정답률: 80%)
  • 정답은 "CNAME"입니다. CNAME 레코드는 도메인 이름을 다른 도메인 이름에 매핑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가상 도메인 이름을 실제 도메인 이름에 매핑하는 데 사용됩니다. MX 레코드는 메일 서버를 지정하는 데 사용되며, A 레코드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에 매핑하는 데 사용됩니다. PTR 레코드는 IP 주소를 도메인 이름에 매핑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DHCP 서버 구성 시 옳은 것은?

  1. 특정 호스트에게 항상 같은 IP 주소를 부여하려면 그 호스트의 이름이 필요하다.
  2. 특정 호스트에게 IP 주소 부여를 허가하거나 거부하려면 해당 호스트의 MAC 주소가 필요하다.
  3. 클라이언트가 도메인 이름 조회를 할 수 있게 하려면 WINS 서버를 지정한다.
  4. DHCPv6 클라이언트가 DHCP 서버로부터 IPv6 주소를 얻기 원한다면 상태 비저장 모드를 사용한다.
(정답률: 58%)
  • 정답은 "특정 호스트에게 IP 주소 부여를 허가하거나 거부하려면 해당 호스트의 MAC 주소가 필요하다."입니다.

    DHCP 서버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클라이언트에게 IP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DHCP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MAC 주소를 기반으로 IP 주소를 할당합니다. 따라서 특정 호스트에게 IP 주소를 부여하거나 거부하려면 해당 호스트의 MAC 주소가 필요합니다.

    반면, 호스트의 이름이 필요한 경우는 DNS 서버와 관련이 있습니다. DNS 서버는 호스트의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특정 호스트에게 항상 같은 IP 주소를 부여하려면 그 호스트의 이름이 필요합니다.

    WINS 서버는 NetBIOS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가 도메인 이름 조회를 할 수 있게 하려면 DNS 서버를 지정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DHCPv6 클라이언트가 DHCP 서버로부터 IPv6 주소를 얻기 원한다면 DHCPv6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상태 비저장 모드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Windows Server 2008 R2의 Active Directory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액티브 디렉터리상의 모든 개체는 고유한 식별자를 가진다.
  2. 개체는 이동하거나 이름을 수정할 수 있다.
  3. 개체의 식별자는 변경할 수 있다.
  4. 개체들은 디렉터리 개체에 의해 식별되는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정답률: 38%)
  • 정답: "개체의 식별자는 변경할 수 있다."

    설명: Active Directory에서 개체의 식별자는 GUID (전역 고유 식별자)로 할당되며, 이 값은 개체가 생성될 때 자동으로 생성된다. 이 값은 개체가 이동하거나 이름을 변경해도 변경되지 않는 고유한 값이다. 그러나 Active Directory 관리자는 개체의 식별자를 수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으며,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Windows Server 2008 R2의 Hyper-V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드웨어 데이터 실행 방지(DEP)가 필요하다.
  2. 서버관리자의 역할 추가를 통하여 Hyper-V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
  3. 스냅숏을 통하여 특정 시점을 기록 할 수 있다.
  4. 하나의 서버에는 하나의 가상 컴퓨터만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83%)
  • "하나의 서버에는 하나의 가상 컴퓨터만 사용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Hyper-V를 사용하여 하나의 서버에서 여러 개의 가상 컴퓨터를 운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물리적인 서버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가상 컴퓨터 간의 격리와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리눅스 시스템에서 마운트 되었는지 확인 사용하는 명령어로 옳지 않은 것은?

  1. fdisk
  2. mount
  3. df
  4. cat /etc/mtab
(정답률: 51%)
  • 정답은 "fdisk"입니다.

    fdisk는 디스크 파티션을 관리하는 명령어이며, 마운트 된 파일 시스템을 확인하는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마운트 된 파일 시스템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mount, df, cat /etc/mtab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Linux의 아파치(Apache) 설정파일(httpd.conf)에서 설정 가능한 옵션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Port : 포트번호를 지정한다.
  2. DocumentRoot : 아파치 설정과 관련된 문서의 위치를 지정한다.
  3. Timeout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기본값은 60초이다.
  4. MaxClients : 웹서버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수이다.
(정답률: 60%)
  • MaxClients 옵션은 웹서버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의 최대 수를 지정하는 옵션이다. 이 값을 설정하여 서버의 부하를 조절할 수 있다. 만약 MaxClients 값을 너무 높게 설정하면 서버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너무 낮게 설정하면 동시 접속자가 많을 때 서버가 응답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값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보안 템플릿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로컬 컴퓨터에 보안 템플릿을 적용하려면 보안 구성 및 분석 또는 secedit 명령줄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2. 보안 템플릿은 계정 정책, 로컬 정책, 이벤트 로그, 시스템 서비스 등을 정의할 수 있다.
  3. 그룹 정책으로 보안 설정이 확장 되었으나, 조직 구성 단위, 도메인 및 사이트 그룹 정책 개체에 연결되지는 않기 때문에 보안 설정 도구에서 변경된 그룹 정책 객체의 보안 구성을 차례로 여러 컴퓨터에 영향을 줄 수는 없다.
  4. 보안 템플릿 서식 파일은 텍스트 기반 '.inf' 파일로 저장된다.
(정답률: 71%)
  • "그룹 정책으로 보안 설정이 확장 되었으나, 조직 구성 단위, 도메인 및 사이트 그룹 정책 개체에 연결되지는 않기 때문에 보안 설정 도구에서 변경된 그룹 정책 객체의 보안 구성을 차례로 여러 컴퓨터에 영향을 줄 수는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잘못된 설명이며, 그룹 정책 객체는 조직 구성 단위, 도메인 및 사이트 그룹 정책 개체에 연결될 수 있으며, 변경된 보안 구성은 여러 컴퓨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Windows Server 2008 R2 시스템에서 발생한 사건을 추적하는데 사용되는 최적의 방법으로, 파일 접근, 시스템 로그온, 시스템 구성 변경과 같은 자원 사용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데 감사를 사용할 수 있다. 감사를 구성한 동작이 발생하면 동작은 시스템의 어느 로그에 기록되는가?

  1. 전달된 이벤트 로그
  2. 보안 로그
  3. 응용프로그램 로그
  4. 설치 로그
(정답률: 78%)
  • 감사는 시스템의 보안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기 때문에, 감사를 구성한 동작이 발생하면 해당 동작은 시스템의 보안 로그에 기록된다. 이는 시스템의 보안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보안 위협에 대한 대응을 위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보안 로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리눅스의 네임 서버(DNS) 데몬이 시작될 때 가장 먼저 읽는 파일로 여러 개의 영역(zone)에 대한 설정 파일들의 위치 정보를 갖고 있는 파일은?

  1. /var/named.conf
  2. /var/named/zone
  3. /etc/named.conf
  4. /etc/named/zone
(정답률: 54%)
  • 리눅스의 네임 서버(DNS) 데몬인 named는 시작될 때 /etc/named.conf 파일을 가장 먼저 읽습니다. 이 파일은 여러 개의 영역(zone)에 대한 설정 파일들의 위치 정보를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named가 올바르게 동작하기 위해서는 /etc/named.conf 파일이 존재하고 올바르게 구성되어 있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인 /var/named.conf, /var/named/zone, /etc/named/zone은 named가 시작될 때 읽는 파일이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Linux 시스템에서 삼바서버(Samba Server)의 환경 설정파일은?

  1. samba.conf
  2. smbusers
  3. lmhosts
  4. smb.conf
(정답률: 63%)
  • Samba Server는 Windows와 Linux 간의 파일 공유를 가능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이를 위해 Samba Server의 환경 설정을 담당하는 파일은 "smb.conf"입니다. 이 파일은 Samba Server의 동작 방식, 공유할 디렉토리, 사용자 계정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amba Server를 구성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smb.conf" 파일을 수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아파치 웹서버의 서버 측 에러 메시지 내용으로 맞는 것은?

  1. 502 (Service Unvailable) : 클라이언트 요청 내용에는 이상이 없지만, 서버측에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서비스할 준비가 되지 않은 경우
  2. 501 (Not Implemented) :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요청 내용 중에서 일부 명령을 수행할 수 없을 경우
  3. 503 (Bad Request) : 게이트웨이의 경로를 잘못 지정해서 발생된 경우
  4. 500 (Internal Server Error) : 서버에 보낸 요청 메시지 형식을 서버가 해석하지 못한 경우
(정답률: 65%)
  • 정답은 "501 (Not Implemented) :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요청 내용 중에서 일부 명령을 수행할 수 없을 경우"입니다. 이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명령 중 일부가 서버에서 지원되지 않는 경우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가 PUT 메서드를 사용하여 파일을 업로드하려고 시도하지만 서버가 PUT 메서드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501 오류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사용자 프로필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로컬 프로필은 사용자가 로그온할 때 프로필을 생성한다.
  2. 관리자가 생성한 로밍 프로필은 서버에 저장된다.
  3. 필수 프로필은 누구나 수정할 수 있다.
  4. 로컬 프로필은 로컬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된다.
(정답률: 76%)
  • "필수 프로필은 누구나 수정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필수 프로필은 시스템 관리자만 수정할 수 있으며, 일반 사용자는 수정할 수 없다. 이는 보안상의 이유로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DNS 서버 구성 시 보조 영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조 DNS 서버를 설정하는 것이다.
  2. 주 DNS 서버로부터 영역 DB를 받아오지만, 모든 DB 복사본을 유지하지 않고 일부 레코드의 복사본만 유지한다.
  3. 주 DNS 서버로부터 받아온 DB를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없다.
  4. 보조 DNS 서버를 두는 이유는 내결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정답률: 50%)
  • "주 DNS 서버로부터 영역 DB를 받아오지만, 모든 DB 복사본을 유지하지 않고 일부 레코드의 복사본만 유지한다."가 옳지 않은 것은, 보조 DNS 서버는 주 DNS 서버로부터 영역 DB를 전체 복사하여 유지한다는 것이다. 이는 내결함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주 DNS 서버가 다운되었을 때 보조 DNS 서버가 대체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Linux 시스템에서 'chmod 644 index.html'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였을 때, 'index.html' 파일에 변화되는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소유자의 권한은 읽기, 쓰기가 가능하며, 그룹과 그 외의 사용자 권한은 읽기만 가능하다.
  2. 소유자의 권한은 읽기, 쓰기, 실행이 가능하며, 그룹과 그 외의 사용자 권한은 읽기만 가능하다.
  3. 소유자의 권한은 쓰기만 가능하며, 그룹과 그 외의 사용자 권한은 읽기, 쓰기가 가능하다.
  4. 소유자의 권한은 읽기만 가능하며, 그룹과 그 외의 사용자 권한은 읽기, 쓰기, 실행이 가능하다.
(정답률: 70%)
  • 정답은 "소유자의 권한은 읽기, 쓰기가 가능하며, 그룹과 그 외의 사용자 권한은 읽기만 가능하다." 이다.

    chmod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644는 권한을 나타내는 숫자로, 6은 소유자의 권한을 나타내며, 4는 그룹의 권한을 나타내고, 4는 그 외의 사용자의 권한을 나타낸다.

    숫자 6은 2진수로 110이므로, 소유자는 읽기와 쓰기 권한이 있고, 그룹과 그 외의 사용자는 읽기 권한만 있다. 따라서, index.html 파일의 소유자는 읽기와 쓰기가 가능하고, 그룹과 그 외의 사용자는 읽기만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46. 다음 전송 매체 중 신호 전달 거리가 길고, 속도가 가장 빠른 것은?

  1. 꼬임선
  2. 동축케이블
  3. 광섬유
  4. 2-선식 개방 선로
(정답률: 90%)
  • 신호 전달 거리가 길고, 속도가 가장 빠른 전송 매체는 광섬유입니다. 이는 광섬유가 빛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빛은 전자 신호보다 훨씬 빠르기 때문에 광섬유는 매우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광섬유는 전기적인 간섭이 없기 때문에 장거리 전송에도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IP Address의 부족과 내부 네트워크 주소의 보안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로, 내부에서는 사설 IP Address를 사용하고 외부 네트워크로 나가는 주소는 공인 IP Address를 사용하도록 하는 IP Address 변환 방식은?

  1. DHCP 방식
  2. IPv6 방식
  3. NAT 방식
  4. MAC Address 방식
(정답률: 79%)
  • NAT 방식은 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설 IP Address를 사용하고, 외부 네트워크로 나갈 때 공인 IP Address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IP Address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내부 네트워크 주소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DHCP 방식은 IP Address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방식, IPv6 방식은 IP Address를 128비트로 확장한 방식, MAC Address 방식은 네트워크 장비의 고유 주소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네트워크 장비인 라우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TCP/IP의 트래픽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2. 트래픽상의 신호재생과 증폭을 하여 유효거리를 확장할 수 있다.
  3. OSI 7 Layer에서 3계층에 해당한다.
  4. 분리된 네트워크를 연결해준다.
(정답률: 72%)
  • "트래픽상의 신호재생과 증폭을 하여 유효거리를 확장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라우터는 패킷을 분석하여 목적지까지 가는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네트워크 간 연결을 담당한다. 따라서 라우터는 트래픽을 증폭하거나 유효거리를 확장하는 역할을 하지 않는다. 이러한 역할은 리피터나 증폭기 등의 다른 장비가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RAID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하나의 RAID는 운영체계에게 논리적으로는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로 인식된다.
  2. 모든 디스크의 스트립은 인터리브(Interleave)되어 있으며, 임의적으로 어드레싱 된다.
  3. RAID-0 방식은 스트립은 가지고 있지만 데이터를 중복해서 기록하지는 않는다.
  4. RAID에는 중복되지 않는 어레이를 사용하는 형식은 없다.
(정답률: 54%)
  • RAID-0 방식은 데이터를 스트립으로 나누어 여러 디스크에 분산 저장하지만, 데이터를 중복해서 기록하지 않기 때문에 하나의 디스크가 고장나면 모든 데이터가 손실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Star Topology에서 동시에 2개 이상의 연결을 할수 있는 장비로써 각 포트마다 전용 할당이 가능하고, 연결된 장치 수량에 영향을 받지 아니하며 속도가 떨어지지 않고 사용이 가능한 장치는?

  1. Router
  2. Switch HUB
  3. Repeater
  4. Dummy HUB
(정답률: 78%)
  • Switch HUB은 각 포트마다 전용 할당이 가능하고, 연결된 장치 수량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속도가 떨어지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Star Topology에서 동시에 2개 이상의 연결을 할 수 있는 장비로 사용됩니다. Router는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Repeater는 신호를 증폭시켜 거리를 늘리는 역할을 합니다. Dummy HUB는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만 하고, 각 포트마다 전용 할당이 불가능하며 속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