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2-17)

네트워크관리사 2급
(2019-02-1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TCP/IP

1. IP Header Fields에 대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Version - 4bits
  2. TTL - 16bits
  3. Type of Service - 8bits
  4. Header Checksum - 16bits
(정답률: 79%)
  • TTL은 Time to Live의 약자로, 패킷이 라우터를 통과할 때마다 1씩 감소하며, 0이 되면 해당 패킷은 폐기됩니다. TTL은 8bits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TTL - 16bits"는 옳지 않은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10.0.0.0/8′ 인 네트워크에서 115개의 서브넷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서브넷 마스크는?

  1. 255.0.0.0
  2. 255.128.0.0
  3. 255.224.0.0
  4. 255.254.0.0
(정답률: 60%)
  • 10.0.0.0/8 네트워크에서 115개의 서브넷을 만들기 위해서는 2의 7승인 128개의 서브넷이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7비트를 서브넷 마스크로 사용해야 합니다. 7비트를 1로 채우면 128이 되므로, 서브넷 마스크는 255.254.0.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TCP/IP 4 Layer 중 전송 계층에 속하는 것은?

  1. Telnet
  2. FTP
  3. IP
  4. TCP
(정답률: 82%)
  • TCP/IP 4 Layer 중 전송 계층은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계층입니다. TCP는 전송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로,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고 오류 검출 및 복구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TCP가 전송 계층에 속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RARP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시작지 호스트에서 여러 목적지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된다.
  2. TCP/IP 프로토콜의 IP에서 접속없이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기능을 규정한다.
  3. 하드웨어 주소를 IP Address로 변환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4. IP에서의 오류제어를 위하여 사용되며, 시작지 호스트의 라우팅 실패를 보고한다.
(정답률: 89%)
  • RARP는 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로, 하드웨어 주소를 IP Address로 변환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즉, MAC 주소를 가지고 IP 주소를 찾아내는 프로토콜이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을 할 때, 목적지 호스트의 IP 주소를 알지 못해도 MAC 주소를 알고 있다면 통신이 가능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IPv6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IP Address 부족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만들었다.
  2. IPv6 보다는 IPv4가 더 다양한 옵션 설정이 가능하다.
  3. 주소 유형은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3가지이다.
  4. Broadcasting 기능을 제공한다.
(정답률: 78%)
  • IPv6는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IP Address 부족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이전의 IPv4는 주소 부족 문제가 발생하여 IPv6가 개발되었습니다. IPv6는 IPv4보다 더 많은 주소 공간을 제공하며, 주소 유형은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3가지가 있습니다. 하지만 IPv4보다는 옵션 설정이 적은 편이며, Broadcasting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UD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송 계층의 프로토콜이다.
  2. 연결지향으로 신뢰성 있는 전송을 한다.
  3. User Datagram Protocol의 약자이다.
  4. Broadcast를 이용하여 한꺼번에 많은 수의 호스트들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정답률: 85%)
  • UDP는 비연결지향 프로토콜로,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연결지향으로 신뢰성 있는 전송을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프로토콜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포트번호(Well-Known Port)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FTP : 21번
  2. Telnet : 23번
  3. HTTP : 180번
  4. SMTP : 25번
(정답률: 92%)
  • HTTP는 일반적으로 80번 포트를 사용하므로 "HTTP : 180번"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 감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TCP/IP 상에 정의된 응용 계층의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관리자가 네트워크 성능을 관리하고 네트워크 문제점을 찾아 수정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은?

  1. SNMP
  2. CMIP
  3. SMTP
  4. POP
(정답률: 89%)
  • SNMP는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의 약자로,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 감시하기 위한 응용 계층 프로토콜입니다. SNMP를 사용하면 네트워크 관리자가 네트워크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문제를 식별하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SNMP는 네트워크 장비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보고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장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문제를 빠르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TCP/IP 프로토콜 중에서 IP 계층의 한 부분으로 에러 메시지와 같은 상태 정보를 알려주는 프로토콜은?

  1.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2.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3.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4. UDP(User Datagram Protocol)
(정답률: 93%)
  •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는 IP 계층의 한 부분으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알려주는 프로토콜입니다. 예를 들어, 에러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ping 명령어를 실행할 때 ICMP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ICMP입니다.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는 IP 주소를 물리적인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이고,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는 MAC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입니다. UDP(User Datagram Protocol)는 데이터를 신뢰성 없이 전송하는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IP Address 중 Class가 다른 주소는?

  1. 191.234.149.32
  2. 198.236.115.33
  3. 222.236.138.34
  4. 195.236.126.35
(정답률: 88%)
  • IP 주소의 Class는 주소의 첫 번째 바이트에 따라 결정된다.

    - Class A: 첫 번째 바이트가 1~126 범위 내에 있는 주소
    - Class B: 첫 번째 바이트가 128~191 범위 내에 있는 주소
    - Class C: 첫 번째 바이트가 192~223 범위 내에 있는 주소
    - Class D: 첫 번째 바이트가 224~239 범위 내에 있는 주소
    - Class E: 첫 번째 바이트가 240~255 범위 내에 있는 주소

    따라서, 주어진 보기에서 "191.234.149.32"는 첫 번째 바이트가 128~191 범위 내에 있으므로 Class B 주소이다. 나머지 주소들은 모두 Class C 주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OSPF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업의 근거리 통신망과 같은 자율 네트워크 내의 게이트웨이들 간에 라우팅 정보를 주고받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2. 대규모 자율 네트워크에 적합하다.
  3. 네트워크 거리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홉의 총계를 사용한다.
  4. OSPF 내에서 라우터와 종단국 사이의 통신을 위해 RIP가 지원된다.
(정답률: 70%)
  • "네트워크 거리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홉의 총계를 사용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OSPF는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거리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홉의 총계를 사용한다. 이는 라우터 간의 경로를 결정할 때 경로 상의 모든 링크의 비용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경로 상의 홉 수만을 고려하여 최적 경로를 찾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TCP/IP에서 데이터 링크층의 데이터 단위는?

  1. 메시지
  2. 세그먼트
  3. 데이터그램
  4. 프레임
(정답률: 86%)
  • TCP/IP에서 데이터 링크층의 데이터 단위는 "프레임"이다. 이는 데이터 링크층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어 전송하기 때문이다. 이 블록을 프레임이라고 하며, 각각의 프레임은 헤더와 트레일러로 구성되어 있다. 헤더는 송신자와 수신자의 주소 정보를 담고 있으며, 트레일러는 오류 검사 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 이러한 프레임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데이터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IEEE 802.11 WLAN(무선랜) 접속을 위한 NIC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중 접속 프로토콜은?

  1. ALOHA
  2. CDMA
  3. CSMA/CD
  4. CSMA/CA
(정답률: 76%)
  • IEEE 802.11 WLAN에서는 무선 환경에서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CSMA/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이 프로토콜은 충돌을 감지하고 충돌을 피하기 위해 무선 전송을 지연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따라서 CSMA/CA가 IEEE 802.11 WLAN에서 사용되는 다중 접속 프로토콜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IP Address ′127.0.0.1′ 이 의미하는 것은?

  1. 모든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2. 사설 IP Address를 의미한다.
  3. 특정한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를 의미한다.
  4. 루프 백 테스트용이다.
(정답률: 87%)
  • IP Address ′127.0.0.1′은 "루프 백 테스트용"이다. 이는 컴퓨터 내부에서 자기 자신을 가리키는 IP 주소로, 네트워크 연결 없이도 자신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해준다. 따라서 이 IP 주소는 다른 네트워크나 인터넷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DNS 서버가 호스트 이름을 IP Address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정하는 것은?

  1. 정방향 조회
  2. 역방향 조회
  3. 양방향 조회
  4. 영역 설정
(정답률: 86%)
  • DNS 서버가 호스트 이름을 IP Address로 변환하는 것을 "정방향 조회"라고 합니다. 이는 DNS 서버가 호스트 이름을 입력받아 해당 호스트의 IP Address를 찾아주는 과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DNS 서버를 정방향 조회로 설정하면 호스트 이름을 IP Address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IP 데이터그램 헤더구조의 Field Name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Destination IP Address
  2. Source IP Address
  3. Port Number
  4. TTL(Time to Live)
(정답률: 72%)
  • IP 데이터그램 헤더구조에는 "Port Number" 필드가 없습니다. 이는 TCP나 UDP와 같은 전송 계층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필드입니다. IP 프로토콜은 전송 계층과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므로 "Port Number" 필드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TCP/IP에서 Unicast의 의미는?

  1. 메시지가 한 호스트에서 다른 여러 호스트로 전송되는 패킷
  2. 메시지가 한 호스트에서 다른 한 호스트로 전송되는 패킷
  3. 메시지가 한 호스트에서 망상의 다른 모든 호스트로 전송되는 패킷
  4. 메시지가 한 호스트에서 망상의 특정 그룹 호스트들로 전송되는 패킷
(정답률: 81%)
  • Unicast는 TCP/IP에서 한 호스트에서 다른 한 호스트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메시지가 한 호스트에서 다른 한 호스트로 전송되는 패킷"이 정답입니다. Unicast는 일반적으로 일대일 통신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8. ARQ 중 에러가 발생한 블록 이후의 모든 블록을 재전송하는 방식은?

  1. Go-Back-N ARQ
  2. Stop-and-Wait ARQ
  3. Selective ARQ
  4. Adaptive ARQ
(정답률: 85%)
  • Go-Back-N ARQ은 에러가 발생한 블록 이후의 모든 블록을 재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이전에 전송한 모든 블록을 버리고, 에러가 발생한 블록 이후의 모든 블록을 다시 전송합니다. 따라서, 전송 속도가 느려지는 단점이 있지만, 전송 중인 모든 블록을 다시 전송해야 하는 경우에 유용합니다. Stop-and-Wait ARQ는 한 번에 하나의 블록만 전송하고,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만 해당 블록을 재전송하는 방식입니다. Selective ARQ는 에러가 발생한 블록만 재전송하는 방식이며, Adaptive ARQ는 전송 환경에 따라 전송 방식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Bus Topology의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문제가 발생한 위치를 파악하기가 쉽다.
  2. 각 스테이션이 중앙스위치에 연결된다.
  3. 터미네이터(Terminator)가 시그널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4. Token Passing 기법을 사용한다.
(정답률: 86%)
  • Bus Topology는 모든 장치가 한 줄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의 네트워크 구성 방식이다. 이 때, 터미네이터(Terminator)는 끝단에 위치한 장치로, 시그널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시그널이 반사되면 다른 장치에서 잘못된 신호를 받을 수 있으므로, 터미네이터를 사용하여 이를 방지한다. 따라서, "터미네이터(Terminator)가 시그널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가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PCM 변조 방식의 변조과정 순서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표본화-양자화-압축-부호화
  2. 표본화-압축-양자화-부호화
  3. 표본화-부호화-양자화-압축
  4. 표본화-양자화-부호화-압축
(정답률: 69%)
  • PCM 변조 방식에서는 먼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표본화를 수행합니다. 그 다음, 양자화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묶어서 표현합니다. 이렇게 양자화된 신호는 압축을 거쳐 전송 효율을 높입니다. 마지막으로, 부호화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전송 가능한 비트열로 변환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변조과정 순서는 "표본화-압축-양자화-부호화"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인접한 개방 시스템 사이의 확실한 데이터 전송 및 전송 에러제어 기능을 갖고 접속된 기기 사이의 통신을 관리하고, 신뢰도가 낮은 전송로를 신뢰도가 높은 전송로로 바꾸는데 사용되는 계층은?

  1. 물리 계층(Physical Layer)
  2.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3.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4. 데이터링크 계층(Datalink Layer)
(정답률: 62%)
  • 데이터링크 계층은 인접한 개방 시스템 사이의 데이터 전송과 전송 에러 제어를 담당하며, 접속된 기기 사이의 통신을 관리합니다. 또한, 신뢰도가 낮은 전송로를 신뢰도가 높은 전송로로 바꾸는 기능도 수행합니다. 이러한 기능들은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프레임 단위로 처리되며, 이를 통해 안정적인 통신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링크 계층이 인접한 개방 시스템 사이의 통신을 관리하고, 신뢰도가 낮은 전송로를 신뢰도가 높은 전송로로 바꾸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A) 안에 들어가는 용어 중 옳은 것은?

  1. VLAN
  2. NAT
  3. VPN
  4. Public Network
(정답률: 86%)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여러 개의 지점이 있는 사내망이다. 이러한 사내망에서 외부와의 통신을 할 때, 보안상의 이유로 VPN(Virtual Private Network)을 사용한다. VPN은 인터넷을 통해 사내망과 같은 보안 수준을 제공하는 가상 사설망이다. 따라서, 정답은 "VPN"이다. VLAN은 가상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NAT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 Public Network는 공용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내용이 나타내는 매체 방식은?

  1. Token Passing
  2. Demand Priority
  3. CSMA/CA
  4. CSMA/CD
(정답률: 75%)
  • 이 매체 방식은 CSMA/CD 방식이다. 이유는 그림에서 충돌이 발생하면 재전송을 하기 때문이다. CSMA/CD는 충돌 감지 다중 접속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채널이 비어있는지 확인하고 충돌이 발생하면 재전송을 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기가비트 이더넷(Gigabit Ethernet)의 특징 중 옳지 않은 것은?

  1. IEEE 803.3에 표준으로 정의되어 있다.
  2. 전송방식으로 기존 이더넷상의 CSMA/CD를 그대로 사용한다.
  3. 기존 이더넷상의 전송 속도를 초당 1기가비트까지 향상시킨 것이다.
  4. 기업의 백본(Backbone)망으로도 사용된다.
(정답률: 62%)
  • 전송방식으로 기존 이더넷상의 CSMA/CD를 그대로 사용한다는 것이 옳지 않다. 기가비트 이더넷은 CSMA/CD 대신에 스위칭 기술을 사용하여 충돌을 방지하고 전송 속도를 높이는 것이 특징이다. IEEE 803.3은 기가비트 이더넷의 표준을 정의한 국제 표준 기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패킷 교환망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결설정에 따라 가상회선과 데이터그램으로 분류된다.
  2. 메시지를 보다 짧은 길이의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한다.
  3. 망에 유입되는 데이터의 양이 많아질수록 전송속도가 빠르다.
  4. 블록킹 현상이 없다.
(정답률: 88%)
  • 망에 유입되는 데이터의 양이 많아질수록 전송속도가 빠르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패킷 교환망은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전송속도가 변동될 수 있으며, 데이터 양이 많아질수록 혼잡도가 증가하여 전송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패킷 교환망의 특징은 연결설정에 따라 가상회선과 데이터그램으로 분류되며, 메시지를 보다 짧은 길이의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며, 블록킹 현상이 없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OSI 7 Layer 중 세션계층의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화 제어
  2. 에러 제어
  3. 연결 설정 종료
  4. 동기화
(정답률: 73%)
  • 세션 계층의 역할 중 에러 제어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세션 계층은 대화 제어, 연결 설정 및 종료, 동기화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에러 제어는 전송 계층에서 수행됩니다. 전송 계층은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에러를 감지하고 복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A) 안에 들어가는 용어 중 옳은 것은?

  1. NIC
  2. F/W
  3. IPS
  4. NAC
(정답률: 64%)
  • 이미지에서 보이는 장비는 네트워크 보안 장비이며, 네트워크 내부에서 발생하는 보안 위협을 탐지하고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도 "NAC"는 Network Access Control의 약자로,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사용자나 장치의 신원을 확인하고,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나 장치의 접근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이 이미지에서 보이는 장비가 "NAC"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NOS

28. SOA 레코드의 설정 값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 서버 : 주 영역 서버의 도메인 주소를 입력한다.
  2. 책임자 : 책임자의 주소 및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3. 최소 TTL : 각 레코드의 기본 Cache 시간을 지정한다.
  4. 새로 고침 간격 : 주 서버와 보조 서버간의 통신이 두절되었을 때 다시 통신할 시간 간격을 설정한다.
(정답률: 78%)
  • 책임자의 주소 및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www.icqa.or.kr′의 IP Address를 얻기 위한 콘솔 명령어는?

  1. ipconfig www.icqa.or.kr
  2. netstat www.icqa.or.kr
  3. find www.icqa.or.kr
  4. nslookup www.icqa.or.kr
(정답률: 72%)
  • 정답은 "nslookup www.icqa.or.kr"입니다.

    이유는 nslookup은 DNS(Domain Name System) 서버에 질의하여 도메인 이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얻는 명령어이기 때문입니다. 반면 ipconfig은 현재 컴퓨터의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이고, netstat은 현재 열려있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find는 파일 내에서 특정 문자열을 찾는 명령어이므로, 도메인 이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얻기 위해서는 nslookup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DNS 레코드 중 IP Address를 도메인 네임으로 역매핑하는 레코드는?

  1. SOA
  2. A
  3. PTR
  4. CNAME
(정답률: 76%)
  • PTR 레코드는 IP 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역매핑하는 레코드입니다. 이는 주로 IP 주소에서 호스트 이름을 찾을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PTR 레코드를 사용하여 IP 주소 192.0.2.1을 도메인 이름 example.com으로 매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TR 레코드가 IP 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역매핑하는 레코드인 이유로 정답은 "PT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Windows Server 2008 R2의 ′netstat′ 명령어로 알 수 없는 정보는?

  1. TCP 접속 프로토콜 정보
  2. ICMP 송수신 통계
  3. UDP 대기용 Open 포트 상태
  4. 접속자 MAC 주소
(정답률: 69%)
  • Windows Server 2008 R2의 'netstat' 명령어는 TCP, UDP, ICMP 등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컴퓨터 간의 연결 상태와 네트워크 통계 정보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netstat' 명령어는 OSI 모델의 3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이 계층에서는 MAC 주소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netstat' 명령어로는 접속자의 MAC 주소를 알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Linux의 퍼미션(Permission)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파일의 그룹 소유권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은 'chgrp'이다.
  2. 파일의 접근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명령은 'chmod'이다.
  3. 모든 사용자에게 모든 권한을 부여하려면 권한을 '666'으로 변경한다.
  4. 파일의 소유권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은 'chown'이다.
(정답률: 82%)
  • "모든 사용자에게 모든 권한을 부여하려면 권한을 '666'으로 변경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666'은 모든 사용자에게 읽기와 쓰기 권한을 부여하지만 실행 권한은 부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실행 권한이 필요한 파일에는 '666'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Linux에서 주어진 명령어의 매뉴얼(도움말, 옵션 등)을 출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는?

  1. ps
  2. fine
  3. man
  4. ls
(정답률: 80%)
  • 정답은 "man"이다. "man"은 manual의 약자로, Linux에서 제공하는 명령어들의 매뉴얼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ps"는 프로세스 상태를 출력하는 명령어이고, "find"는 파일을 검색하는 명령어이며, "ls"는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DHCP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클라이언트에게 자동으로 IP Address를 할당해 줄 수 있다.
  2. IP Address의 관리가 용이하다.
  3. 영구적인 IP Address를 필요로 하는 웹 서버에 대해서는 동적인 주소를 제공한다.
  4. 사용자들이 자주 바뀌는 학교와 같은 환경에서 특히 유용하다.
(정답률: 83%)
  • DHCP는 동적인 IP 주소 할당을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자동으로 IP 주소를 할당해 줄 수 있으며, IP 주소의 관리가 용이하고 사용자들이 자주 바뀌는 환경에서 특히 유용합니다. 그러나 영구적인 IP 주소가 필요한 웹 서버에 대해서는 DHCP에서 동적인 주소를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영구적인 IP Address를 필요로 하는 웹 서버에 대해서는 동적인 주소를 제공한다."는 장점으로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Windows Server 2008 R2의 FTP Server 설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FTP 방화벽 지원 - 외부 방화벽에 대해 패시브 연결을 수락할지에 대해 서버를 구성할 수 있다.
  2. FTP 메시지 - 사용자 지정 환영메시지, 종료메시지, 그리고 추가적인 연결이 사용 가능하지 않아 사용자를 거부했을 때의 메시지 설정이 가능하다.
  3. FTP 사용자 격리 - 다른 사용자의 FTP 홈 디렉터리에 대한 접근을 막을 수 있게 한다.
  4. FTP SSL 설정 - FTP 사이트 생성 시에 연결한 SSL 설정을 확인하는 기능으로 한 번만 수정할 수 있다.
(정답률: 79%)
  • FTP SSL 설정 - FTP 사이트 생성 시에 연결한 SSL 설정을 확인하는 기능으로 한 번만 수정할 수 있다.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FTP SSL 설정은 사이트 생성 후에도 수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Linux에서 사용자에 대한 패스워드의 만료기간 및 시간 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어는?

  1. chage
  2. chgrp
  3. chmod
  4. usermod
(정답률: 81%)
  • "chage" 명령어는 Linux에서 사용자 계정의 패스워드 만료기간 및 시간 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사용자 계정의 패스워드 만료일을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으며, 패스워드 만료일이 지난 사용자 계정을 비활성화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chage"이다. "chgrp"는 그룹 소유권을 변경하는 명령어이고, "chmod"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며, "usermod"는 사용자 계정 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Linux 시스템에서 상위 디렉터리에 있는 ′abc.txt′ 파일을 홈 디렉터리로 복사하고자 한다. 다음 중 알맞은 명령어는?

  1. cp ~/abc.txt ..
  2. cp ~/abc.txt /
  3. cp ../abc.txt /
  4. cp ../abc.txt ~
(정답률: 71%)
  • 정답: "cp ../abc.txt ~"

    설명:
    - "cp ~/abc.txt ..": 홈 디렉터리에 있는 abc.txt 파일을 상위 디렉터리로 복사한다.
    - "cp ~/abc.txt /": 홈 디렉터리에 있는 abc.txt 파일을 루트 디렉터리로 복사한다.
    - "cp ../abc.txt /": 상위 디렉터리에 있는 abc.txt 파일을 루트 디렉터리로 복사한다.
    - "cp ../abc.txt ~": 상위 디렉터리에 있는 abc.txt 파일을 홈 디렉터리로 복사한다.

    따라서, 상위 디렉터리에 있는 abc.txt 파일을 홈 디렉터리로 복사하고자 할 때는 "cp ../abc.txt ~" 명령어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Linux에서 서버를 종료하기 위해 ′shutdown - h +30′을 입력하였으나 갑자기 어떤 작업을 추가로 하게 되어 앞서 내렸던 명령을 취소하려고 한다. 이때 필요한 명령어는?

  1. shutdown –c
  2. shutdown -v
  3. shutdown –x
  4. shutdown -z
(정답률: 85%)
  • 정답: "shutdown –c"

    설명: "shutdown –c" 명령어는 현재 예약된 셧다운 작업을 취소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위의 상황에서는 "shutdown –c" 명령어를 입력하여 예약된 셧다운 작업을 취소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 "shutdown -v": 셧다운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메시지를 출력한다.
    - "shutdown –x": 셧다운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시스템을 재부팅한다.
    - "shutdown -z": 셧다운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시스템을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Linux 시스템에서 필수적인 실행 파일과 기본 명령어가 포함되어 있는 디렉터리는?

  1. /boot
  2. /etc
  3. /bin
  4. /lib
(정답률: 77%)
  • "/bin" 디렉터리는 Linux 시스템에서 필수적인 실행 파일과 기본 명령어가 포함되어 있는 디렉터리입니다. 이 디렉터리에는 사용자가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필요한 기본적인 명령어들이 저장되어 있어 시스템이 부팅될 때 자동으로 로드됩니다. 예를 들어, ls, cp, mv, rm 등의 명령어들이 "/bin" 디렉터리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른 운영체제와 Linux가 공존하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멀티 부팅을 지원할 때 사용되며, Linux 로더를 의미하는 것은?

  1. MBR
  2. RAS
  3. NetBEUI
  4. GRUB
(정답률: 82%)
  • GRUB은 다른 운영체제와 공존하는 시스템에서 멀티 부팅을 지원하는 Linux 로더이다. MBR은 부트로더가 저장되는 영역을 의미하며, RAS는 실시간 분석 서비스, NetBEUI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므로 멀티 부팅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GRU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Hyper-V에서 지원하는 가상 네트워크의 구성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외부(External)네트워크
  2. 내부(Internal)네트워크
  3. 개인(Private)네트워크
  4. 공유(Share)네트워크
(정답률: 65%)
  • Hyper-V에서는 공유(Share)네트워크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다른 세 가지 옵션인 외부(External)네트워크, 내부(Internal)네트워크, 개인(Private)네트워크는 모두 지원됩니다. 공유(Share)네트워크는 Hyper-V에서 지원하지 않는 개념으로, 이유를 설명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사용자관리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그룹관리를 지원한다. 다음 중 그룹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로컬 그룹은 서버에 있는 로컬 사용자 계정을 포함하며, 서버가 멤버인 Active Directory의 사용자나 그룹을 포함 할 수 있다.
  2. 명령 프롬프트에서 그룹을 생성하는 명령어는 ′net localgroup′이다.
  3. 로컬 그룹에 도메인 그룹을 추가하여 관리 할 수 있다.
  4. 그룹을 삭제한 후 동일한 그룹이름으로 생성하면 기존 그룹의 권한이 남아있다.
(정답률: 83%)
  • "그룹을 삭제한 후 동일한 그룹이름으로 생성하면 기존 그룹의 권한이 남아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그룹을 삭제하면 해당 그룹의 모든 권한과 멤버십도 함께 삭제된다.

    그룹을 삭제한 후 동일한 그룹이름으로 생성하면 기존 그룹의 권한이 남아있다는 이유는 그룹의 SID(Security Identifier)가 변경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일한 그룹이름으로 생성하더라도 새로운 SID가 할당되어 기존 그룹의 권한과 멤버십은 모두 초기화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Windows Server 2008 R2의 파일 암호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NTFS 파일 시스템만 암호화가 가능하다.
  2. 암호화된 파일은 한 사람만 사용이 가능하다.
  3. 일반 백업 절차에 의해 암호화된 파일을 백업하면 복구 시에 복호화 된다.
  4. 폴더를 암호화 했을 때, 폴더 내 생성된 모든 파일은 그 시점에 암호화 된다.
(정답률: 67%)
  • "암호화된 파일은 한 사람만 사용이 가능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암호화된 파일은 해당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가지고 있는 다른 사용자도 열어볼 수 있습니다.

    일반 백업 절차에 의해 암호화된 파일을 백업하면 복구 시에 복호화 된다는 것은 암호화된 파일을 백업할 때는 복호화되어 백업되므로, 복구 시에는 이미 복호화된 파일이 복원됩니다. 이는 보안상 취약점이 될 수 있으므로 백업 시에는 암호화된 파일을 백업하는 것이 좋습니다.

    폴더를 암호화 했을 때, 폴더 내 생성된 모든 파일은 그 시점에 암호화 된다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NTFS 파일 시스템만 암호화가 가능하다는 것도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Linux에서 ′ls -al′의 결과 맨 앞에 나오는 항목이 파일 혹은 디렉터리의 권한을 나타내준다. 즉, [파일타입] [소유자 권한] [그룹 권한] [그 외의 유저에 대한 권한]을 표시한다. 만약 [파일타입]부분에 ′-′표시가 되어 있다면 이것의 의미는?

  1. 파일 시스템과 관련된 특수 파일
  2. 디렉터리
  3. 일반 파일
  4. 심볼릭/하드링크 파일
(정답률: 76%)
  • ′-′표시는 파일타입이 일반 파일을 나타낸다. 이는 파일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파일을 의미하며, 텍스트 파일, 이미지 파일, 실행 파일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 파일은 실행 가능하거나, 읽을 수 있거나, 쓸 수 있는 등의 일반적인 파일 권한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Active Directory에서 트러스트 내의 도메인들에 포함된 개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통합 저장소에 해당하는 것은?

  1. 글로벌 카탈로그
  2. 트러스트
  3. 읽기 전용 도메인 컨트롤러
  4. DNS 서버
(정답률: 62%)
  • 글로벌 카탈로그는 Active Directory에서 트러스트 내의 도메인들에 포함된 개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통합 저장소입니다. 이는 다른 도메인의 정보를 검색하고 사용자 인증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트러스트 관계에 있는 다른 도메인의 정보를 사용하려면 해당 도메인의 글로벌 카탈로그 서버를 참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46. Repeat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자기 또는 광학 전송 매체 상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를 증폭한 후 다음 구간으로 재전송하는 장치를 말한다.
  2. 전자기장 확산이나 케이블 손실로 인한 신호 감쇠를 보상해 주기 때문에 여러 대의 Repeater를 써서 먼 거리까지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3. 근거리 통신망을 구성하는 세그먼트들을 확장하거나 서로 연결하는데 주로 사용한다.
  4. 네트워크를 확장하면서 충돌 도메인을 나누어 줄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한데 이럴 때 Repeater를 사용하여 충돌 도메인을 나누어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정답률: 75%)
  • "근거리 통신망을 구성하는 세그먼트들을 확장하거나 서로 연결하는데 주로 사용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Repeater는 근거리 뿐만 아니라 원거리 통신망에서도 사용되며, 세그먼트를 확장하거나 연결하는 것 뿐만 아니라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를 늘리는 역할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한 대의 스위치에서 네트워크를 나누어 마치 여러 대의 스위치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하고, 하나의 포트에 여러 개의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은?

  1.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2. 가상 랜(Virtual LAN)
  3. TFTP 프로토콜
  4. 가상 사설망(VPN)
(정답률: 79%)
  • 가상 랜(Virtual LAN)은 하나의 스위치에서 네트워크를 나누어 여러 개의 가상 네트워크를 생성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하나의 포트에 여러 개의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할 수 있어, 네트워크 관리가 용이해지고 보안성도 높아집니다. 따라서 이 기능이 정답입니다.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은 브리지나 스위치에서 루프를 방지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며, TFTP 프로토콜은 파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가상 사설망(VPN)은 인터넷을 통해 안전하게 연결된 사설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IP Address의 부족과 내부 네트워크 주소의 보안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로, 내부에서는 사설 IP Address를 사용하고 외부 네트워크로 나가는 주소는 공인 IP Address를 사용하도록 하는 IP Address 변환 방식은?

  1. DHCP 방식
  2. IPv6 방식
  3. NAT 방식
  4. MAC Address 방식
(정답률: 77%)
  • NAT 방식은 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설 IP Address를 사용하고, 외부 네트워크로 나갈 때 공인 IP Address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IP Address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내부 네트워크 주소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DHCP 방식은 IP Address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방식, IPv6 방식은 IP Address를 128비트로 확장한 방식, MAC Address 방식은 네트워크 장비의 고유 주소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OSI 7 Layer 중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연결 장치는?

  1. Repeater
  2. Router
  3. Bridge
  4. NIC
(정답률: 85%)
  •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IP 주소를 이용하여 패킷을 전송하고, 이를 위해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가 바로 라우터입니다. 라우터는 패킷을 받아서 목적지 IP 주소를 확인하고, 다른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해 적절한 경로를 선택합니다. 따라서 OSI 7 Layer 중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연결 장치는 "Rout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사람의 머리카락 굵기만큼의 가는 유리 섬유로, 정보를 보내고 받는 속도가 가장 빠르고 넓은 대역폭을 갖는 것은?

  1. Coaxial Cable
  2. Twisted Pair
  3. Thin Cable
  4. Optical Fiber
(정답률: 89%)
  • "Optical Fiber"는 사람의 머리카락 굵기만큼의 가는 유리 섬유로 만들어져 있어서, 빛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가장 빠르고 넓은 대역폭을 갖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보다 더 빠르고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