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TCP/IP
1. C Class의 네트워크 주소가 ′192.168.10.0′ 이고,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240′ 일 때, 최대 사용 가능한 호스트 수는?(단,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호스트는 제외한다.)
2. Link State 알고리즘을 이용해 서로에게 자신의 현재 상태를 알려주며 네트워크 내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3. ICMPv6에서 IPv4의 ARP 역할 및 특정 호스트로의 전달 가능 여부 검사 기능을 하는 메시지는?
4. IPv6에서 6000Byte의 패킷이 이더넷 LAN을 통과해야 하는 경우 사용할 확장 헤더는?
5. IP 프로토콜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6.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 OSI 7 Layer에 따라 프로토콜을 분류하였을 때, 다음 보기들 중 같은 계층에서 동작하지 않는 것은?
8. ARP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9. TCP/IP에서 Unicast의 의미는?
10. 사설 IP주소를 공인 IP주소로 바꿔주는데 사용하는 통신망의 주소 변환 기술로, 공인 IP주소를 절약하고, 내부 사설망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므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은?
11. 다음 TCP 패킷의 플래그 중에서 연결이 정상적으로 끝남을 의미하는 것은?
12. 다음 지문에 표기된 IPv6 주소는 요약된 표현이다. 보기 중 요약되기 전 상태는?
13.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Lee 사원은 사내에서 잦은 IP 충돌로 인하여 장애신고를 많이 받고 있어 기존 IP정책을 DHCP로 변경하려고 한다. 다음 중 DHCP를 적용해야 하는 장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4. TCP 헤더를 구성하는 필드의 길이(비트수)가 적절하지 않은 것은?
15. HTTP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6. 다음 중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7. 다음 (A) 안에 들어가는 용어 중 옳은 것은?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8. NFV(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9. 메시 네트워크(Mesh Network)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 데이터 전송 전에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한 후 전송 데이터를 정해진 단위별로 전송하되, 규정된 시간 내에 전송 데이터가 없으면 현재 설정된 경로를 해제하는 교환방식은?
21. 송신측에서 여러 개의 터미널이 하나의 통신 회선을 통하여 신호를 전송하고, 전송된 신호를 수신측에서 다시 여러 개의 신호로 분리하는 것은?
22. LAN의 구성형태 중 중앙의 제어점으로부터 모든 기기가 점 대 점(Point to Point) 방식으로 연결된 구성형태는?
23. 전송을 받는 개체에서 발송지로부터 오는 데이터의 양이나 속도를 제한하는 프로토콜의 기능을 나타내는 용어는?
24. ARQ 방식 중 에러가 발생한 블록으로 되돌아가 모든 블록을 재전송하는 것은?
25. 다음 중 여러 가지 주파수 성분을 갖는 신호의 전송에서 각 주파수 성분이 다른 지연시간을 가지고 도달하는 경우 발생하는 전송손실은?
26. 100BASE-T라고도 불리는 이더넷의 고속 버전으로 CSMA/CD 방식을 사용하며, 100M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이더넷은?
27. 다음 중 클라우드 환경 모델(Cloud Deployment Model)로 옳지 않은 것은?
3과목: NOS
28. 아래 지문의 ping 명령어의 결과로 옳지 않은 것은?
29. Linux Shell에서 아래 지문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명령어로 옳은 것은?
30. 서버 담당자 Seo 사원은 Windows Server 2022의 이벤트 뷰어를 통해 서버의 상태를 점검하려고 한다. Windows 로그에 해당하는 항목으로 올바른 것은?
31. 서버관리자 Kim씨는 서버에 대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etc/check.sh′스크립트를 작성하였다. 해당 스크립트를 매주 월요일 오전 10시에 실행시키려고 할때, crontab 파일 설정으로 알맞은 것은?
32. Linux 디렉터리에 대한 소유자와 소유그룹을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는?
33. Linux 시스템에서 환경설정과 사용자 정보 등을 가진 디렉터리로 옳은 것은?
34. 서버 담당자 Park 사원은 Active Directory를 구성하여 다음과 같은 설정을 하고자 한다. 도메인을 두 개 이상 포함하는 대부분의 조직에서 사용자가 다른 도메인에 있는 공유 리소스에 액세스할 수 있어야 하며, 이 액세스를 제어 하려면 한 도메인의 사용자를 인증하고 다른 도메인의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 서로 다른 도메인의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인증 및 권한 부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두 도메인 간에 설정해야 하는 것은?
35. 다음 중 Linux 환경에서 ′netstat′명령어에 사용하는 옵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6. 다음과 같이 파일의 원래 권한은 유지한 채로 모든 사용자들에게 쓰기 가능한 권한을 추가 부여할 때, 결과가 다른 명령어는?
37. Linux의 vi(Visual Interface) 명령어 중 문자 하나를 삭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는?
38. 서버 관리자 Park 사원은 Windows Server 2022의 Active Directory에서 도메인 사용자 계정을 관리하기 위해 도메인 사용자 계정을 생성/수정/삭제하려고 한다. 다음 중 도메인 사용자 계정을 관리하기 위한 명령어가 아닌 것은?
39. Windows Server 2022의 DNS 서버에서 정방향 조회 영역 설정에서 SOA 레코드의 각 필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0. Linux 시스템에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Daemon이 살아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는?
41. 다음 중 Windows Server 2022에서 명령 프롬프트(cmd) 또는 실행창(단축키: Win+R)에 입력했을 때, 실행되지 않거나 해당 프로그램과 연결이 올바르지 않은 명령어는?
42. 네트워크 담당자 Kim 과장은 Windows Server의 명령 프롬프트(cmd) 환경에서 ping 명령어를 사용하여 목적지(IP 주소: 192.168.100.1)와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사용자가 중단하기 전까지 에코 요청 메시지를 반복 전송하는 ping 명령어 옵션으로 옳은 것은?
43. 서버 관리자 Gang 차장은 Linux 기반 Apache 웹 서버(Apache HTTPD)의 기본 포트를 8081번으로 변경하려고 한다. 다음 중 ′httpd.conf′설정 파일에서 기본 포트를 설정하기 위한 올바른 옵션은?
44. FTP(File Transfer Protocol)는 파일 전송을 위한 표준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이 중 사용자 인증과 명령 제어용으로 사용되는 기본 포트번호로 옳은 것은?
45. 아래 지문에서 설명하는 부하분산 방식은?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46. RAID의 레벨 중에서 회전 패리티 방식으로 병목현상을 줄이는 것은?
47. 네트워크에서 신호가 약해질 경우 이를 단순 증폭·재생성하여 전송 거리를 늘려주는 장비가 있다. OSI 7계층 중 이 장비가 속하는 계층은?
48. 내부에 코어(Core)와, 이를 감싸는 유리나 플라스틱 등 굴절률이 다른 외부 클래딩(Cladding)으로 구성된 전송 매체는?
49. 다음 지문처럼 VLAN 식별을 위해 이더넷 프레임에 태그 정보를 추가하여 스위치 간 VLAN 트래픽을 전달하는 방식은?
50. 다음 중 Layer 4 스위치(Layer 4 Switch, L4)의 기능 또는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