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7-26)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2009-07-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자계산기 프로그래밍

1. C 언어에서 문자열 입력 함수는?

  1. getchar()
  2. puts()
  3. gets()
  4. putchar()
(정답률: 75%)
  • 문자열 입력 함수는 문자열을 입력받아 변수에 저장하는 함수이다. 이 중에서 C 언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함수는 gets() 함수이다. 이유는 gets() 함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문자열을 개행 문자('n')을 만날 때까지 계속해서 입력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열의 길이에 상관없이 문자열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하지만 gets() 함수는 버퍼 오버플로우 등의 보안 문제가 있기 때문에, 보안을 고려해야 하는 경우에는 fgets()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원시프로그램을 번역할 때 어셈블러에게 요구되는 동작을 지시하는 명령으로서 기계어로 번역되지 않는 명령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매크로 명령(macro instruction)
  2. 기계어 명령(machine instruction)
  3. 의사 명령(pseudo instruction)
  4. 오퍼랜드 명령(operand instruction)
(정답률: 91%)
  • 의사 명령(pseudo instruction)은 어셈블러에게 요구되는 동작을 지시하는 명령으로서 기계어로 번역되지 않는 명령어를 말한다. 이는 프로그래머가 코드를 작성할 때 편의를 위해 사용되며, 어셈블러가 이를 해석하여 기계어 명령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를 초기화하는 명령어인 "MOV AX, 0"는 기계어로 번역될 수 있지만, "DB 0"과 같은 의사 명령으로 작성할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PLC의 프로그램 방식을 시퀀스 회로를 변화시킨 회로도 방식과 기계 등의 동작을 직접 프로그램한 동작도 방식으로 분류할 경우 회로도 방식에 의한 프로그램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래더도 방식
  2. 명령어 방식
  3. 로직 방식
  4. 플로우차트 방식
(정답률: 59%)
  • 플로우차트 방식은 PLC의 프로그램 방식이 아니라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사용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회로도 방식에 의한 프로그램의 종류가 아니다. PLC의 프로그램 방식은 래더도 방식, 명령어 방식, 로직 방식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C언어에서 이스케이프시퀀스의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f : form feed
  2. \r : carriage return
  3. \b : back slash
  4. \t : tab
(정답률: 79%)
  • 정답은 "\b : back slash"입니다. 이스케이프시퀀스 중 "\b"는 백스페이스를 나타내며, 백슬래시는 "\"로 표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고급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하였다. 번역 중에 발생한 문법에러를 모두 수정하여 실행 파일을 만들었으나 실행 결과가 정확하지 않았다. 다음 중 어떤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논리적인 문제점을 검토할 수 있는가?

  1.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2. 링커(linker)
  3. 디버거(debugger)
  4. 편집기(editor)
(정답률: 88%)
  • 디버거(debugger)를 이용하면 프로그램 실행 중에 변수 값, 메모리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으며, 코드 실행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를 추적하여 원인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논리적인 문제점을 검토하기에 가장 적합한 도구입니다. 운영체제는 시스템 자원을 관리하고 프로그램 실행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며, 링커는 여러 개의 오브젝트 파일을 하나의 실행 파일로 결합하는 역할을 합니다. 편집기는 소스 코드를 작성하고 수정하는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단항(Unary) 연산자 연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MOVE
  2. SHIFT
  3. COMPLEMENT
  4. AND
(정답률: 77%)
  • AND는 이항(Binary) 연산자이기 때문에 단항 연산자 연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단항 연산자는 하나의 피연산자에 대해 연산을 수행하지만, 이항 연산자는 두 개의 피연산자에 대해 연산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AND는 이항 연산자이므로 단항 연산자 연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객체 지향 개념에서 다음 각 설명에 해당하는 것을 옳게 짝지은 것은?

  1. (ㄱ) 클래스, (ㄴ) 실체
  2. (ㄱ) 메소드, (ㄴ) 메시지
  3. (ㄱ) 메소드, (ㄴ) 클래스
  4. (ㄱ) 실체, (ㄴ) 메시지
(정답률: 86%)
  • (ㄱ) 메소드는 객체가 가지고 있는 기능을 나타내며, (ㄴ)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설계도 역할을 한다. 즉, 메소드는 객체가 수행할 수 있는 동작을 정의하고,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틀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하나의 오퍼랜드에 호출할 가로채기 벡터의 번호를 표현하여 가로채기를 요청하는 어셈블리어 명령은?

  1. TITLE
  2. INC
  3. INT
  4. REP
(정답률: 61%)
  • 정답은 "INT"이다. INT는 Interrupt(인터럽트)를 의미하는데, 이는 프로그램 실행 중에 다른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여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흐름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해당 이벤트를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가로채기를 요청하기 위해서는 해당 오퍼랜드에 대한 인터럽트를 호출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PLC 설치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먼지, 염분, 부식성 가스, 인화성 가스가 없는 곳에 설치한다.
  2.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곳에 설치한다.
  3. 가급적 발열체 부근에 설치한다.
  4.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하여 이슬이 맺히지 않는 곳에 설치한다.
(정답률: 79%)
  • 가급적 발열체 부근에 설치하는 것은 PLC가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해서이다. PLC는 작동 중에 발열하므로, 발열체 부근에 설치하지 않으면 PLC 내부 온도가 상승하여 오작동이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발열체 부근에 설치하여 PLC 내부 온도를 안정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PLC의 입/출력부가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조건이 아닌 것은?

  1. 외부기기와 전기적 규격이 일치할 것
  2. 외부기기로부터 잡음(noise)을 막아줄 것
  3. 입/출력 상태를 감시할 수 있을 것
  4. 외부기기와의 접속을 어렵게 할 것
(정답률: 89%)
  • 외부기기와의 접속을 어렵게 할 것은 PLC의 입/출력부가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조건이 아닙니다. 오히려 외부기기와의 접속을 쉽게 할 수 있어야 PLC와 외부기기 간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외부기기와의 접속을 어렵게 할 것"은 PLC의 입/출력부가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가장 적합한 언어는?

  1. BASIC
  2. COBOL
  3. C
  4. FORTRAN
(정답률: 92%)
  • C 언어는 저수준의 메모리 조작이 가능하고, 시스템 레벨에서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가장 적합한 언어입니다. 또한, C 언어는 컴파일러를 통해 기계어로 변환되기 때문에 실행 속도가 빠르고, 운영체제나 하드웨어와의 상호작용이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어셈블리어에서 주석(Comment)의 시작을 나타내는 기호는?

  1. %
  2. #
  3. $
  4. ;
(정답률: 73%)
  • 어셈블리어에서 주석의 시작을 나타내는 기호는 ";"입니다. 이는 세미콜론으로 표시되며, 이후에 나오는 모든 텍스트는 컴파일러에 의해 무시됩니다. 이는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코드에 대한 설명이나 메모를 추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다른 기호들은 주석 기호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작성된 표현식이 BNF의 정의에 의해 바르게 작성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만든 트리는?

  1. parse tree
  2. menu tree
  3. king tree
  4. home tree
(정답률: 76%)
  • BNF는 문법을 나타내는 표기법이며, 이를 이용하여 작성된 표현식이 올바른 문법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이를 분석하는 parse tree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parse tree"이다. Menu tree, king tree, home tree는 BNF와는 관련이 없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세그먼트 레지스터에 각 세그먼트의 시작 번지를 할당하여 현재의 세그먼트가 어느 것인가를 지적하게 하는 어셈블리어 명령은?

  1. EXTERN
  2. PUBLIC
  3. ASSUME
  4. EJECT
(정답률: 57%)
  • 정답은 "ASSUME"입니다.

    "ASSUME" 명령은 세그먼트 레지스터에 각 세그먼트의 시작 번지를 할당하여 현재의 세그먼트가 어느 것인가를 지적하게 합니다. 이는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메모리 상의 어느 위치에서 데이터나 코드를 참조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EXTERN" 명령은 다른 모듈에서 선언된 변수나 함수를 참조할 때 사용하며, "PUBLIC" 명령은 현재 모듈에서 선언된 변수나 함수를 다른 모듈에서 참조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EJECT" 명령은 프린터 출력을 제어하는 명령으로, 세그먼트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C언어에서 나머지를 구하는 잉여 연산자(modular operator)는?

  1. #
  2. $
  3. &
  4. %
(정답률: 83%)
  • C언어에서 잉여 연산자는 "%" 기호로 표시됩니다. 이 연산자는 나눗셈 연산에서 나머지 값을 반환합니다. 예를 들어, 7을 3으로 나누면 몫은 2이고 나머지는 1입니다. 따라서 7 % 3은 1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논리 곱(AND)을 나타내는 C 언어의 연산자는?

  1. ||
  2. |
  3. &&
  4. #
(정답률: 88%)
  • C 언어에서 논리 곱(AND)을 나타내는 연산자는 "&&"이다. 이유는 두 개의 조건이 모두 참일 때만 전체 조건이 참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 개의 조건이 모두 참인 경우에만 결과가 참이 되어야 하므로, 이를 나타내는 연산자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수명 시간동안 고장된 하나의 값과 이름을 가진 자료로서 프로그램이 작동하는 동안 값이 절대로 바뀌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1. 상수
  2. 변수
  3. 포인터
  4. 함수
(정답률: 81%)
  • 상수는 값이 고정되어 있어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변경될 수 없는 자료형이다. 따라서 상수는 한 번 정해지면 그 값을 변경할 수 없으며, 프로그램에서 일정한 값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변수는 값이 변경될 수 있고, 포인터는 메모리 주소를 가리키는 변수이며, 함수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C 언어의 기억 클래스 종류가 아닌 것은?

  1. 레지스터 변수(register variables)
  2. 내부 변수(internal variables)
  3. 정적 변수(static variables)
  4. 자동 변수(automatic variables)
(정답률: 75%)
  • 내부 변수(internal variables)는 C 언어에서 사용되지 않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내부 변수(internal variable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C 언어에서 문자형 자료 선언 시 사용하는 것은?

  1. int
  2. double
  3. float
  4. char
(정답률: 86%)
  • 문자형 자료를 선언할 때는 "char"를 사용합니다. 이는 문자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형으로, 한 글자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int"는 정수형 자료, "double"과 "float"는 실수형 자료를 선언할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어셈블리어에서 라이브러리에 기억된 내용을 프로시저로 정의하여 서브루틴으로 사용하는 것과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그 내용을 현재의 프로그램 내에 포함시켜 주는 명령은?

  1. EVEN
  2. INCLUDE
  3. ORG
  4. NOP
(정답률: 92%)
  • INCLUDE 명령은 어셈블리어에서 다른 파일에 저장된 코드를 현재의 프로그램 내에 포함시켜 주는 명령입니다. 이를 통해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코드를 프로그램에서 서브루틴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INCLUDE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료구조 및 데이터통신

21. 하나의 메시지 단위로 저장-전달(Store-and-Forward) 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은?

  1. 메시지교환
  2. 공간분할회선교환
  3. 패킷교환
  4. 시분할회선교환
(정답률: 75%)
  • "메시지교환"은 데이터를 하나의 메시지 단위로 저장하고 전달하는 방식으로, 전체 메시지가 도착하기 전까지는 중간에 저장되어 대기하게 된다. 이 방식은 전송 중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전체 메시지를 다시 보내야 하는 단점이 있지만, 전체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 아니라 메시지 단위로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 시간이 빠르고, 전송 중간에 다른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방식은 대화형 통신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PCM(Pulse Code Modulation) 과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다중화
  2. 샘플링
  3. 양자화
  4. 부호화
(정답률: 50%)
  • 다중화는 PCM 과정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여러 개의 신호를 하나의 신호로 합치는 과정으로, PCM 과정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CM은 샘플링, 양자화, 부호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통신 프로토콜의 정의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정보 전송의 통신 규약이다.
  2. 통신 하드웨어의 표준 규격이다.
  3. 통신 소프트웨어의 개발 환경이다.
  4. 하드웨어와 사용자간의 인터페이스이다.
(정답률: 67%)
  • 정보 전송의 통신 규약이라는 정의가 가장 올바른 것은, 프로토콜이란 통신을 할 때 어떤 방식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지에 대한 규약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보 전송에 대한 규약을 정의하는 것이 가장 핵심적인 역할이며, 이를 통해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데이터 통신에서 전송제어 절차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통신 회선 접속
  2. 데이터 링크 설정
  3. 데이터 구조의 확인
  4. 통신 회선 절단
(정답률: 88%)
  • 데이터 구조의 확인은 전송제어 절차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전송제어 절차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절차로, 통신 회선 접속, 데이터 링크 설정, 오류 제어, 흐름 제어 등이 포함됩니다. 반면 데이터 구조의 확인은 전송된 데이터의 내용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전송제어 절차와는 별개의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채널만 차례로 시간 슬롯을 이용하여 데이터와 함께 주소정보를 헤더로 붙여 전송하는 다중화 방식은?

  1. 주파수 분할 다중화
  2. 역 다중화
  3. 예약 시분할 다중화
  4.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
(정답률: 74%)
  • 주어진 보기 중에서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가 해당한다. 이는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채널만 차례로 시간 슬롯을 이용하여 데이터와 함께 주소정보를 헤더로 붙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다른 다중화 방식과는 달리 데이터가 없는 채널은 시간 슬롯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빈 공간이 생기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은 데이터 전송량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 유용하며, 통계적으로 데이터 전송량이 일정하게 분포되어 있을 때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프로토콜의 기본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entity
  2. syntax
  3. semantic
  4. timing
(정답률: 62%)
  • 정답: entity

    설명: 프로토콜의 기본 구성 요소는 문법(syntax), 의미(semantic), 시간(timing)이다. Entity는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구체적인 객체나 개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프로토콜의 기본 구성 요소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부정적 응답에 해당하는 전송제어 문자는?

  1. NAK(Negative ACKnowledge)
  2. ACK(ACKnowledge)
  3. EOT(End of Transmission)
  4. SOH(Start of Heading)
(정답률: 88%)
  • 부정적 응답에 해당하는 전송제어 문자는 "NAK(Negative ACKnowledge)"이다. 이는 수신측이 전송된 데이터를 받지 못하거나 오류가 발생했음을 송신측에 알리는 신호이다. ACK와는 달리 데이터 전송이 실패했음을 알리는 응답이다. EOT는 전송 종료를 알리는 신호이고, SOH는 데이터 전송 시작을 알리는 신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순방향 오류 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 방식에 사용되는 오류 검사 방식은?

  1. 수평 패리티 검사
  2. 군 계수 검사
  3. 수직 패리티 검사
  4. 해밍 코드 검사
(정답률: 69%)
  • 해밍 코드 검사는 순방향 오류 정정 방식에서 사용되는 오류 검사 방식으로, 데이터에 일정한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데이터 전송 중에 발생한 오류를 검출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오류를 정정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TCP/IP 계층 구조 중 응용계층 프로토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IP
  2. FTP
  3. SMTP
  4. TELNET
(정답률: 74%)
  • IP는 인터넷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계층에 속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응용계층에 해당하는 FTP, SMTP, TELNET은 모두 IP보다 상위 계층에 위치한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협의의V AN이 제공하는 기본 기능에 속하지 않는 것 은?

  1. 부하 분산 기능
  2. 전송 기능
  3. 교환 기능
  4. 통신 처리 기능
(정답률: 53%)
  • 협의의V AN은 가상 사설망(VPN)을 구축하기 위한 기술로, 전송 기능, 교환 기능, 통신 처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부하 분산 기능은 협의의V AN이 제공하는 기본 기능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는 부하 분산 기능은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기능으로, 협의의V AN의 핵심 기능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데이터베이스의 3층 스키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관계 스키마
  2. 내부 스키마
  3. 외부 스키마
  4. 개념 스키마
(정답률: 78%)
  • 관계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정의하는 스키마 중 하나이며, 3층 스키마 중 개념 스키마와 외부 스키마 사이에 위치합니다. 개념 스키마는 전체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정의하고, 외부 스키마는 각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이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일부분을 정의합니다. 반면에 관계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테이블들의 구조와 관계를 정의하는 스키마입니다. 따라서 관계 스키마는 3층 스키마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DBMS의 필수 기능이 아닌 것은?

  1. 데이터 조작(Data Manipulation)
  2. 데이터 정의(Data Definition)
  3. 데이터 변경(Data Modification)
  4. 데이터 제어(Data Control)
(정답률: 97%)
  • DBMS의 필수 기능은 데이터 조작, 데이터 정의, 데이터 제어이며, 데이터 변경은 선택적인 기능입니다. 데이터 변경은 데이터를 삽입, 수정, 삭제하는 기능을 말하며, 데이터를 유지보수하거나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데이터 변경 기능이 없어도 DBMS는 여전히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 변경은 필수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선형 자료 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스택
  2. 데크
  3. 트리
(정답률: 80%)
  • 트리는 선형 자료 구조가 아닌 비선형 자료 구조이다. 선형 자료 구조는 데이터를 일렬로 나열한 것으로, 데이터 간의 순서가 존재한다. 하지만 트리는 데이터를 계층 구조로 표현하며, 각 노드는 하나의 부모 노드와 여러 개의 자식 노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트리는 선형 자료 구조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색인 순차(Indexed Sequential Access) 파일의 색인구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Track Index
  2. Cylinder Index
  3. Master Index
  4. Overflow Index
(정답률: 80%)
  • 색인 순차 파일에서 데이터 레코드는 색인 구역에 저장되며, 이 구역은 트랙 인덱스와 실린더 인덱스로 구성된다. 마스터 인덱스는 모든 색인 구역의 위치를 가리키는 역할을 하며, 오버플로우 인덱스는 색인 구역에 저장할 수 없는 추가 데이터 레코드를 저장하는 구역이다. 따라서 오버플로우 인덱스는 색인 구역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트리의 차수(Degree)는?

  1. 2
  2. 3
  3. 4
  4. 9
(정답률: 82%)
  • 트리의 차수란 각 노드가 가지고 있는 자식 노드의 수를 말합니다. 따라서, 각 노드의 차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2번 노드의 차수: 2
    - 3번 노드의 차수: 1
    - 4번 노드의 차수: 3
    - 9번 노드의 차수: 0

    따라서, 가장 큰 차수는 4번 노드의 3이므로, 트리의 차수는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트리를 후위순회(Post-Order Traversal)한 결과는?

  1. A B C D E F G
  2. B D E A C F G
  3. D E B A F G C
  4. D E B F G C A
(정답률: 84%)
  • 후위순회는 왼쪽 자식 노드, 오른쪽 자식 노드, 그리고 부모 노드 순으로 방문하는 순회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트리의 후위순회 결과는 "D E B F G C A"가 됩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A를 루트 노드로 하여 왼쪽 서브트리를 순회합니다. 이때 D, E, B 순으로 방문합니다. 그리고 오른쪽 서브트리를 순회합니다. 이때 F, G, C 순으로 방문합니다. 마지막으로 루트 노드인 A를 방문합니다. 따라서 전체적인 방문 순서는 "D E B F G C A"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데이터베이스 설계단계로 옳은 것은?

  1. 요구조건분석 → 논리설계 → 개념설계 → 물리설계
  2. 요구조건분석 → 개념설계 → 논리설계 → 물리설계
  3. 개념설계 → 요구조건분석 → 물리설계 → 논리설계
  4. 개념설계 → 요구조건분석 → 논리설계 → 물리설계
(정답률: 70%)
  •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요구조건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념적 모델링, 논리적 모델링, 물리적 모델링을 수행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요구조건을 분석한 후 개념설계, 논리설계, 물리설계 순서로 진행하는 것이 옳다. 따라서, 정답은 "요구조건분석 → 개념설계 → 논리설계 → 물리설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해싱(Hashing)과 가장 직접적인 관계에 있는 file은?

  1. Sequential file
  2. Indexed sequential file
  3. Direct file
  4. Inverted file
(정답률: 66%)
  • 해싱은 데이터를 빠르게 검색하기 위한 기술 중 하나로, 데이터를 해시 함수를 이용해 고유한 값으로 변환하고 이 값을 인덱스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한다. 이 때, 데이터를 빠르게 검색하기 위해서는 인덱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사용되는 파일이 "Direct file"이다. Direct file은 데이터를 인덱스로 관리하며, 인덱스 값에 따라 데이터를 직접 접근할 수 있어 검색 속도가 매우 빠르다. 따라서 해싱과 가장 직접적인 관계에 있는 파일은 Direct fil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주어진 파일에서 인접한 2개의 레코드 키 값을 비교하여 그 크기에 따라 레코드 위치를 서로 교환하는 정렬 방식은?

  1. 선택 정렬
  2. 삽입 정렬
  3. 퀵 정렬
  4. 버블 정렬
(정답률: 70%)
  • 버블 정렬은 인접한 두 레코드의 크기를 비교하여 크기가 작은 레코드를 앞으로 이동시키고, 이를 반복하여 정렬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가장 큰 값이 맨 뒤로 이동하게 되어 "거품이 올라가는 것과 같은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버블 정렬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스택을 이용하는 경우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영체제의 작업 스케줄링
  2. 부프로그램 호출시 복귀주소의 저장
  3. 컴파일러를 이용한 언어번역
  4. 재귀(Recursive)프로그램의 순서제어
(정답률: 66%)
  • 운영체제의 작업 스케줄링은 스택을 이용하는 것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기능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스택은 주로 함수 호출과 반환, 재귀 호출 등과 같은 프로그램의 순서제어에 사용되며, 부프로그램 호출시 복귀주소의 저장과 재귀 프로그램의 순서제어에 사용된다. 또한, 컴파일러를 이용한 언어번역에서도 스택이 사용되어 함수 호출과 반환, 연산자 우선순위 등을 처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계산기구조

41. 다음 중 컴퓨터의 메이저 상태와 제어 데이터의 관계가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인출(fetch) : PC(program counter)
  2. 실행(execute) : PC(program counter)
  3. 간접(indirect) : 유효주소
  4. 인터럽트(interrupt) : 상대주소
(정답률: 43%)
  • 정답은 "실행(execute) : PC(program counter)"입니다. 실행 상태에서는 제어 데이터가 아닌 명령어와 데이터가 처리됩니다.

    인터럽트는 컴퓨터가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다른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발생하는 신호입니다. 이 때, 인터럽트가 발생한 위치나 종류에 따라 상대주소를 참조하여 처리합니다.

    간접(indirect)는 주소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참조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인출(fetch)은 다음 실행할 명령어를 가져오는 과정에서 PC(program counter)를 참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제어장치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하드와이어드 방식의 제어장치는 마이크로프로그래밍 기법의 제어장치보다 속도가 빠르다.
  2. 마이크로프로그래밍 기법의 제어장치는 펌웨어(firmware)로 구현된다.
  3. 하드와이어드 방식은 PC에 많이 사용되는 반면 마이크로프로그래밍 기법은 워크스테이션에 주로 사용된다.
  4. 마이크로프로그래밍 방식의 제어장치는 하드와이어드 방식의 제어장치에 비해 하드웨어 오버헤드가 적다.
(정답률: 61%)
  • "하드와이어드 방식은 PC에 많이 사용되는 반면 마이크로프로그래밍 기법은 워크스테이션에 주로 사용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이는 사실이 아니며, 제어장치의 구현 방식은 사용되는 컴퓨터 시스템의 종류와는 크게 상관이 없다. 따라서 이 설명은 잘못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Major State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것은?

  1. direct cycle
  2. execute cycle
  3. fetch cycle
  4. interrupt cycle
(정답률: 55%)
  • "Direct cycle"은 컴퓨터 구조에서 사용되지 않는 용어이기 때문에, 다른 주기들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다. 따라서 "direct cycle"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주기억장치로부터 cache memory로 data를 전송하는 것을 mapping process라고 한다. 다음 중 이것과 관련 없는 것은?

  1. Associative mapping
  2. Direct mapping
  3. Indirect mapping
  4. Set-associative mapping
(정답률: 32%)
  • Indirect mapping은 cache memory와 관련이 없는 용어이다. Cache memory의 mapping process는 Associative mapping, Direct mapping, Set-associative mapping과 관련이 있다. Indirect mapping은 다른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명령어의 주소 부분에 실제 유효 번지가 저장되어 있는 주소를 갖고 있는 방식으로 최소한 두 번 이상의 주기억 장치를 접근하는 방식은?

  1. 직접 주소
  2. 계산에 의한 주소
  3. 자료자신
  4. 간접 주소
(정답률: 61%)
  • 간접 주소 방식은 명령어의 주소 부분에 실제 유효 번지가 저장되어 있는 주소를 갖고 있는 방식으로, 명령어가 실행될 때 해당 주소에 저장된 값이 실제로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해당 주소에 접근하여 저장된 값을 가져와야 하므로 최소한 두 번 이상의 주기억 장치를 접근해야 합니다. 따라서 간접 주소 방식은 최소한 두 번 이상의 주기억 장치를 접근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채널 명령어(CCW)로 알 수 있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명령 코드
  2. 데이터 주소
  3. 데이터 전송 속도
  4. 데이터 크기
(정답률: 45%)
  • 채널 명령어(CCW)는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이며, 데이터 전송 속도는 이와 관련이 없습니다. 채널 명령어는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거나 중지하고, 데이터를 읽거나 쓰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속도"가 CCW로 알 수 있는 내용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병렬처리 방법 중 명령 실행을 아주 작은 여러 개의 서브 프로세스로 분할하여 처리하는 방법은?

  1. 프로세서 플로어 방식
  2. 다중 처리기 방식
  3. 배열 처리기 방식
  4. 파이프라인 제어 방식
(정답률: 31%)
  • 파이프라인 제어 방식은 명령어 실행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를 병렬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위해 명령어 실행을 작은 여러 개의 서브 프로세스로 분할하고, 각 서브 프로세스는 다음 단계로 데이터를 전달하면서 처리를 진행합니다. 이 방식은 처리 속도를 높이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중앙처리장치가 무엇을 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을 메이저 상태라 한다. 인스트럭션의 종류를 판단하는 메이저 상태는?

  1. INTERRUPT
  2. EXECUTE
  3. FETCH
  4. INDIRECT
(정답률: 52%)
  • 메이저 상태 중 FETCH는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를 메모리에서 가져오는 단계이다. 따라서 인스트럭션의 종류를 판단하는 메이저 상태는 FETC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여러 개의 LAB(Logic Array Block)와 연결선인 PIA(Programmable Interconnection Array)로 구성되며, 빠른 성능이나 정확한 타이밍의 예측이 필요로 하는 곳에 적합한 것은?

  1. PLA(Programmable Logic Array)
  2. PAL(Programmable Array Logic)
  3.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4.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정답률: 32%)
  • CPLD는 여러 개의 LAB와 PIA로 구성되어 있어서, 더 복잡한 논리 회로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빠른 성능과 정확한 타이밍 예측이 필요한 곳에 적합하며, FPGA보다는 더 작은 규모의 회로에 적합합니다. PLA와 PAL은 더 단순한 논리 회로를 구현하는 데에 사용되며, FPGA는 더 큰 규모의 회로를 구현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machine instruction에 있어서 꼭 필요한 부분은?

  1. OP-code와 index register field
  2. OP-code와 operand field
  3. base register와 index register field
  4. indirect addressing과 address field
(정답률: 75%)
  • OP-code는 해당 명령어가 어떤 작업을 수행하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부분이며, operand field는 명령어가 수행될 때 필요한 데이터나 메모리 주소 등을 지정하는 데 필요한 부분입니다. 따라서 OP-code와 operand field는 machine instruction에서 꼭 필요한 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고급 언어(high-level language)에 대한 특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computer 하드웨어와 compiler에 종속적이다.
  2. computer 하드웨어에 독립적이고, compiler에 종속적이다.
  3. computer 하드웨어에 종속적이고, compiler에 독립적이다.
  4. computer 하드웨어와 compiler에 독립적이다.
(정답률: 42%)
  • 고급 언어는 computer 하드웨어에 독립적이고, compiler에 종속적이다. 이는 고급 언어로 작성된 코드는 특정한 하드웨어나 운영체제에 종속되지 않으며, 다양한 컴파일러를 통해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컴파일러에 따라 코드의 실행 결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compiler에 종속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잡음에 대해서는 강력하나, 동작속도가 빠르지 않은 특성을 지닌 논리 회로는?

  1. DTL(diode-transistor logic)
  2. CML(current-mode logic)
  3. HTL(high threshold logic)
  4. ECL(emitter-coupled logic)
(정답률: 50%)
  • HTL(high threshold logic)은 입력 신호가 일정 임계치 이상이어야 출력이 발생하는 논리 회로로, 잡음에 대해서는 강력하지만 동작 속도가 느린 특성을 지닌다. 이는 입력 신호가 일정 임계치 이상이어야만 출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입력 신호가 충분히 강해지기를 기다려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HTL은 노이즈가 많은 환경에서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할 수 있지만, 빠른 동작이 필요한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식 와 동일한 것은?

(정답률: 6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인터럽트의 병렬 우선순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폴링에 의해 어느 입출력 장치가 인터럽트를 요구했는지 찾는다.
  2. 반응시간이 빠르지만 비경제적이다.
  3. 우선순위는 레지스터 비트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4. 마스크 레지스터를 이용하여 각 인터럽트의 요구를 조절할 수 있다.
(정답률: 32%)
  • "폴링에 의해 어느 입출력 장치가 인터럽트를 요구했는지 찾는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폴링은 CPU가 주기적으로 입출력 장치를 검사하여 인터럽트 요구가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폴링은 인터럽트의 병렬 우선순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인터럽트의 병렬 우선순위는 레지스터 비트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며, 마스크 레지스터를 이용하여 각 인터럽트의 요구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반응시간이 빠르지만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주기억장치의 용량이 512KB인 컴퓨터에서 32비트의 가상주소를 사용하는데, 페이지의 크기가 1K워드이고 1워드가 4바이트라면 주기억장치의 페이지 수 는 몇 개인가?

  1. 32개
  2. 64개
  3. 128개
  4. 512개
(정답률: 47%)
  • 가상주소가 32비트이므로 가상주소 공간은 2^32 바이트이다. 페이지의 크기가 1K워드이므로 페이지 크기는 4KB이다. 따라서 주기억장치의 페이지 수는 512KB / 4KB = 128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의 내용을 오른쪽으로 한 번 시프트하면 data는 어떻게 변하는가?

  1. 기존 data의 1/2배
  2. 기존 data의 1/4배
  3. 기존 data의 2배
  4. 기존 data의 4배
(정답률: 63%)
  • 시프트 레지스터는 이진수를 저장하는 레지스터로, 내용을 한 칸씩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 가장 오른쪽 비트는 사라지고 왼쪽에는 0이 추가됩니다. 이 때, 이진수에서 한 자리를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값이 2로 나누어지므로, 기존 data의 1/2배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존 data의 1/2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연관메모리(associative memory)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큰 용량의 메모리나 데이터 저장 공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
  2. 메모리에 저장된 내용에 의한 access
  3. 가상기억장치, 캐시기억장치의 주소변환 테이블에 사용
  4. 내용 지정 메모리
(정답률: 47%)
  • "큰 용량의 메모리나 데이터 저장 공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은 연관메모리의 특징이 아닙니다. 연관메모리는 메모리에 저장된 내용에 의한 access가 가능하며, 가상기억장치나 캐시기억장치의 주소변환 테이블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내용 지정 메모리 역시 연관메모리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기억된 정보를 읽어내기도 하고 다른 정보를 기억시킬 수도 있으며, 응용 프로그램의 일시적 로딩, 데이터의 일시적 저장 등에 사용되는 것은?

  1. ROM
  2. RAM
  3. Register
  4. Address
(정답률: 48%)
  • RAM은 Random Access Memory의 약자로, 컴퓨터가 실행 중인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따라서 응용 프로그램의 일시적 로딩, 데이터의 일시적 저장 등에 사용됩니다. 또한 기억된 정보를 읽어내기도 하고 다른 정보를 기억시킬 수도 있습니다. 반면 ROM은 Read Only Memory의 약자로, 컴퓨터가 처음에 부팅할 때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공간이며, Register는 CPU 내부에 있는 기억장치이고, Address는 메모리 주소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RA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명령 중 실행시간이 가장 오래 걸리는 것은?

  1. Clear register
  2. Shift register(1 bit)
  3. Complement AC
  4. Branch and save return address
(정답률: 50%)
  • "Branch and save return address" 명령이 실행시간이 가장 오래 걸린다. 이 명령은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변경하고, 현재 실행 위치를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에 접근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다른 명령들과 달리 메모리 접근이 필요하므로 실행시간이 더 오래 걸리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데이터내의 특정한 비트를 검사하는데 이용되는 연산은?

  1. 산술적 Shift
  2. 논리적 Shift
  3. complement
  4. ADD
(정답률: 28%)
  • 논리적 Shift 연산은 데이터 내의 특정한 비트를 검사하는데 이용됩니다. 이 연산은 비트를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데, 이때 빈 자리는 0으로 채워집니다. 따라서 이 연산을 이용하면 특정한 비트의 값을 검사하거나, 특정한 비트를 0으로 만들어서 다른 연산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산술적 Shift 연산은 부호 비트를 유지하기 위해 빈 자리를 부호 비트로 채우는 반면, 논리적 Shift 연산은 빈 자리를 항상 0으로 채우기 때문에 데이터의 부호를 고려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데이터 내의 특정한 비트를 검사하는데는 논리적 Shift 연산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운영체제

61. 운영체제의 목적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2. 주변 장치 관리
  3. 원시 프로그램의 기계어 번역
  4. 신뢰성 향상
(정답률: 80%)
  • 운영체제의 목적은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 및 응용 프로그램에게 편리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그 중에서도 "원시 프로그램의 기계어 번역"은 운영체제의 주요 목적이 아닙니다. 이는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 등의 프로그램이 수행하는 역할이며, 운영체제는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원시 프로그램의 기계어 번역"은 운영체제의 목적으로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파일 디스크립터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류 발생시 처리 방법
  2. 보조기억장치 정보
  3. 파일 구조
  4. 접근 제어 정보
(정답률: 64%)
  • 파일 디스크립터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오류 발생시 처리 방법"이다. 파일 디스크립터는 운영체제가 파일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정보를 담고 있는데, 이 정보에는 파일 구조, 보조기억장치 정보, 접근 제어 정보 등이 포함된다. 하지만 파일 디스크립터는 오류 발생시 처리 방법을 담고 있지 않다. 오류 처리는 운영체제가 파일을 열거나 읽거나 쓸 때 발생할 수 있는 예외 상황을 처리하는 방법이며, 이는 운영체제의 파일 시스템에서 처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페이지 오류율(Page Fault Ratio)과 스래싱(Thrash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페이지 오류율이 크면 스래싱이 많이 발생한 것이다.
  2. 페이지 오류율과 스래싱은 전혀 관계가 없다.
  3. 스래싱이 많이 발생하면 페이지 오류율이 감소한다.
  4. 다중 프로그래밍의 정도가 높을수록 페이지 오류율과 스래싱이 감소한다.
(정답률: 70%)
  • 정답은 "페이지 오류율이 크면 스래싱이 많이 발생한 것이다."이다.

    페이지 오류율은 메모리에서 필요한 페이지가 없어서 디스크에서 가져와야 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페이지 오류율이 높을수록 디스크에서 페이지를 가져오는 빈도가 높아지고, 이는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스래싱을 유발할 수 있다. 스래싱은 메모리에 필요한 페이지가 부족해서 프로세스가 지속적으로 페이지 교체를 발생시키는 현상으로, 이는 시스템의 성능을 심각하게 저하시킨다. 따라서 페이지 오류율이 크면 스래싱이 많이 발생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3개의 페이지 프레임(Frame)을 가진 기억장치에서 페이지 요청을 다음과 같이 페이지 번호 순으로 요청했을 때 교체 알고리즘으로 FIFO 방법을 사용한다면 몇 번의 페이지 부재(Fault)가 발생하는가? (단, 현재 기억장치는 모두 비어 있다고 가정한다.)

  1. 7번
  2. 8번
  3. 9번
  4. 10번
(정답률: 60%)
  • 페이지 요청 순서에 따라 페이지가 차례대로 기억장치에 적재되고, 기억장치가 가득 차면 가장 먼저 적재된 페이지가 교체된다. 따라서 페이지 요청 순서에 따라 기억장치에 적재된 페이지는 다음과 같다.

    1. 7번
    2. 8번
    3. 9번
    4. 10번
    5. 7번
    6. 8번
    7. 9번
    8. 7번
    9. 8번
    10. 9번

    따라서 9번 페이지 요청 시에는 기억장치에 이미 적재되어 있으므로 페이지 부재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페이지 부재는 총 9번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주기억장치 배치 전략 기법으로 최초 적합(First Fit) 방법을 사용한다고 할 때, 다음과 같은 기억장소 리스트에서 10K 크기의 작업은 어느 기억공간에 할당되는가? (단, 탐색은 위에서 아래로 한다.)

  1. A
  2. B
  3. C
  4. 할당할 수 없다.
(정답률: 68%)
  • First Fit 방법은 기억장소 리스트를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탐색하면서, 처음으로 발견한 충분한 크기의 빈 공간에 작업을 할당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10K 크기의 작업은 "B" 기억공간에 할당된다. "A" 기억공간은 12K 크기이므로 작업을 할당할 수 없고, "C" 기억공간은 8K 크기이므로 작업을 할당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UNIX 시스템에서 커널의 수행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프로세스 관리
  2. 기억장치 관리
  3. 입/출력 관리
  4. 명령어 해독
(정답률: 77%)
  • UNIX 시스템에서 커널의 주요 기능은 프로세스 관리, 기억장치 관리, 입/출력 관리이다. 이 중에서 명령어 해독은 커널의 수행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다. 명령어 해독은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이해하고 실행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작업으로, 이는 쉘(shell)이 수행하는 역할이다. 따라서 명령어 해독은 커널의 수행 기능이 아니라 쉘의 수행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보안 유지 방식 중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한 후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게만 시스템에 접근하게 하는 방법은?

  1. 운용보안
  2. 시설보안
  3. 사용자 인터페이스 보안
  4. 내부보안
(정답률: 66%)
  • 사용자 인터페이스 보안은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게만 시스템에 접근을 허용하는 방법이다. 이는 로그인 인증, 암호화, 접근 제어 등의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따라서 이 방법이 보안 유지 방식 중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한 후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게만 시스템에 접근하게 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스케줄링 방식 중 라운드 로빈 방식에서 시간간격을 무한히 크게 하면 어떤 방식과 동일하게 되는가?

  1. LIFO 방식
  2. FIFO 방식
  3. HRN 방식
  4. Multilevel Queue 방식
(정답률: 54%)
  • 시간간격을 무한히 크게 하면 라운드 로빈 방식은 FCFS(FIFO) 방식과 동일해진다. 이는 각 프로세스가 CPU를 할당받는 순서가 도착한 순서대로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FIFO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UNIX의 쉘(Shel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스템과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2. 프로세스 관리, 파일 관리, 입·출력 관리, 기억장치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3. 명령어 해석기 역할을 한다.
  4. 사용자의 명령어를 인식하여 프로그램을 호출한다.
(정답률: 68%)
  • 정답은 "명령어 해석기 역할을 한다."이다. 쉘은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사용자의 명령어를 인식하여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프로세스 관리, 파일 관리, 입·출력 관리, 기억장치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명령어를 해석하는 것은 쉘의 역할 중 하나일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UNIX 운영체제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높은 이식성
  2. 파일 시스템의 리스트 구조
  3. 사용자 위주의 시스템 명령어 제공
  4. 쉘 명령어 프로그램 제공
(정답률: 53%)
  • UNIX 운영체제는 높은 이식성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 위주의 시스템 명령어와 쉘 명령어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파일 시스템의 리스트 구조는 UNIX 운영체제의 특징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UNIX 운영체제는 파일 시스템을 트리 구조로 관리하며, 각 디렉토리와 파일은 다른 디렉토리와 파일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파일 및 디렉토리의 관리와 검색을 용이하게 하며, 파일 시스템의 리스트 구조는 이와는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SJF 기법의 길고 짧은 작업 간의 불평등을 보완하기 위한 기법으로 대기 시간과 서비스 시간을 이용한 우선순위 계산 공식으로 우선순위를 정하는 스케줄링 기법은?

  1. Round-Robin
  2. FIFO
  3. HRN
  4. Multilevel Feedback Queue
(정답률: 72%)
  • HRN 기법은 대기 시간과 서비스 시간을 이용하여 우선순위를 계산하는 기법으로, 작업의 길고 짧은 간격에 상관없이 작업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SJF 기법의 단점인 작업 간의 불평등을 보완할 수 있으며,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을 먼저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HR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은행가 알고리즘은 다음 교착상태 관련 연구 분야 중 어떤 분야에 속하는가?

  1. 예방
  2. 발견
  3. 회피
  4. 회복
(정답률: 71%)
  • 은행가 알고리즘은 교착상태 회피 알고리즘으로 분류된다. 이는 교착상태를 예방하거나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교착상태에 빠진 상태에서 탈출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 알고리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회피"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페이지 교체 기법 중 매 페이지마다 두 개의 하드웨어 비트가 필요한 기법은?

  1. FIFO
  2. LRU
  3. LFU
  4. NUR
(정답률: 63%)
  • 매 페이지마다 두 개의 하드웨어 비트가 필요한 기법은 NUR(Not Used Recently)이다. 이 기법은 페이지의 최근 사용 여부와 참조 횟수를 기반으로 페이지 교체를 수행하는데, 각 페이지마다 최근 사용 여부와 참조 횟수를 나타내는 두 개의 하드웨어 비트를 유지한다. 이 비트는 페이지가 참조될 때마다 업데이트되며, 페이지 교체 시에는 이 비트를 기반으로 교체할 페이지를 선택한다. 따라서 매 페이지마다 두 개의 하드웨어 비트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스레드(Threa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 개의 프로세스는 여러 개의 스레드를 가질 수 없다.
  2. 커널 스레드의 경우 운영체제에 의해 스레드를 운용한다.
  3. 사용자 스레드의 경우 사용자가 만든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스레드를 운용한다.
  4. 스레드를 사용함으로써 하드웨어, 운영체제의 성능과 응용 프로그램의 처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답률: 63%)
  • "한 개의 프로세스는 여러 개의 스레드를 가질 수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한 개의 프로세스는 여러 개의 스레드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멀티스레딩(multithreading)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멀티스레딩은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서 여러 개의 스레드가 동시에 실행되는 것을 말한다. 이를 통해 하드웨어와 운영체제의 성능, 응용 프로그램의 처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커널 스레드와 사용자 스레드는 스레드를 운용하는 방법의 차이이다. 커널 스레드는 운영체제에 의해 스레드를 운용하고, 사용자 스레드는 사용자가 만든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스레드를 운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시간 구역성(Temporal Locality)의 예가 아닌 것은?

  1. 스택
  2. 순환문
  3. 부프로그램
  4. 배열 순회
(정답률: 60%)
  • 배열 순회는 시간 구역성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배열 순회는 인접한 메모리 위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접근하기 때문에, 이전에 접근한 데이터를 다시 접근할 가능성이 높아 시간 구역성을 나타냅니다. 스택, 순환문, 부프로그램도 모두 시간 구역성을 나타내는 예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과 같은 접근제어 행렬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단, E: 실행가능, R: 판독가능, W: 기록 가능, NONE: 모든 권한 없음)

  1. 김영수는 인사와 급여파일을 판독하고 기록할 수 있다.
  2. 이길동은 인사와 급여파일을 판독할 수 있다.
  3. 최동규는 급여파일을 기록할 수 있다.
  4. 이길동은 인사파일에 대하여 실행, 판독, 기록의 권한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75%)
  • - 접근제어 행렬은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나타내는 행렬이다.
    - 행은 사용자, 열은 파일을 나타낸다.
    - E는 실행, R은 판독, W는 기록 권한을 나타낸다.
    - NONE은 모든 권한이 없음을 나타낸다.
    - 이길동은 인사파일에 대하여 E, R, W 권한을 가지고 있으므로 실행, 판독, 기록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분산 운영체제의 구조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구조는?

  1. Ring Connection
  2. Hierarchy Connection
  3. Star Connection
  4. Partially Connection
(정답률: 49%)
  • "Ring Connection"은 각 노드가 서로를 일렬로 연결하여 링 형태로 구성된 구조이다. 이 구조에서는 각 노드가 다음 노드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데이터 전송이 빠르고 효율적이다. 또한, 한 노드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노드들이 계속해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서 신뢰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운영체제를 수행 기능에 따라 분류할 경우 제어 프로그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서비스프로그램
  2. 감시프로그램
  3. 데이터관리프로그램
  4. 작업제어프로그램
(정답률: 63%)
  • 운영체제를 수행하는 기능에는 제어 프로그램, 감시 프로그램,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 작업 제어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제어 프로그램은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으로, 시스템 자원을 관리하고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감시 프로그램은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오류를 감지하여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을 관리하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작업 제어 프로그램은 프로세스 스케줄링과 같은 작업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제어 프로그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서비스 프로그램"입니다. 서비스 프로그램은 운영체제의 부가 기능으로, 사용자와 상호작용하여 시스템의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프린터 서비스나 네트워크 서비스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중 처리기 운영체제 구성에서 주/종(Master/Slave) 처리기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프로세서는 입/출력과 연산을 담당한다.
  2. 종프로세서는 입/출력 위주의 작업을 처리한다.
  3. 주프로세서만이 운영체제를 수행한다.
  4. 주프로세서에 문제가 발생하면 전체 시스템이 멈춘다.
(정답률: 50%)
  • "종프로세서는 입/출력 위주의 작업을 처리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주프로세서는 입/출력과 연산을 담당하고, 종프로세서는 입/출력 위주의 작업을 처리한다. 주프로세서만이 운영체제를 수행하는 것은 맞지만, 종프로세서도 운영체제의 일부분을 처리한다. 주프로세서에 문제가 발생하면 전체 시스템이 멈추는 것도 맞지만, 이는 주프로세서의 중요성 때문이다. 종프로세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주프로세서가 멈추면 시스템 전체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PCB(Process Control Block)가 갖고 있는 정보가 아닌 것은?

  1.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
  2. 프로세스 고유 식별자
  3. 스케줄링 및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4. 할당되지 않은 주변장치의 상태 정보
(정답률: 67%)
  • PCB는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 프로세스 고유 식별자, 스케줄링 및 프로세스의 우선순위와 같은 정보를 갖고 있지만, 할당되지 않은 주변장치의 상태 정보는 갖고 있지 않습니다. 이는 PCB가 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데 초점을 맞추기 때문입니다. 할당되지 않은 주변장치의 상태 정보는 시스템 전체에서 관리되며, 각 장치의 상태는 해당 장치의 드라이버에서 관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마이크로 전자계산기

81. HALT 명령이 실행되면 CPU는 동작을 멈추게 되고 CPU의 외부 제어 신호인 를 low로 하여 외부 장치에게 알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 수행되어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외부 장치 요청 신호()를 보낸다.
  2. DMA를 통해 입출력 동작을 수행한다.
  3. NOP 명령을 실행한다.
  4. CPU 외부로부터 인터럽트가 요청되어야 한다.
(정답률: 50%)
  • HALT 명령은 CPU를 멈추게 하고 외부 장치에게 알리는 명령이다. 따라서 CPU 외부로부터 인터럽트가 요청되어야만 CPU가 멈춘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는 외부 장치가 CPU에게 어떤 작업을 요청하거나 CPU가 처리해야 할 작업이 발생했을 때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CPU가 멈춘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CPU 외부로부터 인터럽트가 요청되어야 한다."가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일종의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와 같이 동작하는 메모리 소자는 무엇인가?

  1. RAM
  2. ROM
  3. PROM
  4. CCD
(정답률: 58%)
  • CCD는 일종의 시프트 레지스터와 같이 동작하는 메모리 소자로, 전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동시키는데 사용됩니다. CCD는 이미지 센서 등에 널리 사용되며, 높은 속도와 낮은 소비 전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Off Line과 On Lin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Off Line은 주변장치들이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2. On Line은 주변장치들이 프로세서의 직접적인 제어 하에 있다.
  3. Off Line 방식이 On Line 방식보다 CPU의 부담이 크다.
  4. On Line 또는 Off Line으로 연결된 장치를 주변장치라고 한다.
(정답률: 84%)
  • "On Line 방식이 Off Line 방식보다 CPU의 부담이 크다."가 맞는 설명이다. On Line 방식은 주변장치들이 프로세서의 직접적인 제어 하에 있기 때문에 프로세서가 주변장치들의 동작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제어해야 하므로 CPU의 부담이 크다. 반면 Off Line 방식은 주변장치들이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프로세서의 부담이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전처리기라고도 하며, 고급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그에 대응하는 다른 고급언어로 번역하는 것은?

  1. assembler
  2. preprocessor
  3. compiler
  4. interpreter
(정답률: 64%)
  • 정답은 "preprocessor"입니다. 전처리기는 고급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번역하기 전에 먼저 처리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소스 코드 내에서 특정한 패턴을 찾아 이를 다른 코드로 대체하거나, 컴파일러가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전처리기는 고급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CPU 내부에 있는 것으로 이 값이 1 이면 CPU는 인터럽트 동작(enable) 상태가 되는 것은?

  1. PC(프로그램 카운터)
  2. IFF(인터럽트 인에이블 플립플롭)
  3. NMI(마스크 불가능 인터럽트)
  4. 플래그 레지스터
(정답률: 50%)
  • CPU는 인터럽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IFF(인터럽트 인에이블 플립플롭) 값을 확인합니다. 이 값이 1이면 CPU는 인터럽트 동작을 허용하고, 0이면 인터럽트 동작을 차단합니다. 따라서 IFF는 CPU의 인터럽트 동작을 제어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로더(Loader)에 관한 설명 중 적재모듈을 주기억장치에 적재하고 상대 주소를 절대 주소로 변환하는 것은?

  1. 절대 로더
  2. 부트 로더
  3. 바인더
  4. 재배치 로더
(정답률: 55%)
  • 적재모듈을 주기억장치에 적재하고 상대 주소를 절대 주소로 변환하는 것은 "재배치 로더"이다. 이는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주소를 다시 계산하여 메모리에 적재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이 메모리의 다른 위치에 적재되어도 정상적으로 실행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시스템의 상태를 기록하기 위한 상태비트들의 집합을 나타내는 것은?

  1. DMA
  2. 마이크로 명령
  3. PSW(program status word)
  4. 캐시(cache)
(정답률: 73%)
  • PSW(program status word)는 시스템의 상태를 기록하기 위한 상태비트들의 집합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DMA는 직접 메모리 접근(Direct Memory Access)을 의미하며, 마이크로 명령은 CPU에서 실행되는 명령어의 최소 단위를 의미합니다. 캐시(cache)는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 놓는 임시 저장소입니다. 이들은 시스템의 상태를 기록하는 것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정답은 PSW(program status wor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IEEE 488 버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16 single line으로 구성되어 있다.
  2. 3 line의 전송 제어선은 기기의 데이터 입출력 시에 handshaking 하는데 사용된다.
  3. serial data 전송에 적합하다.
  4. GPIB 라고도 하며 시스템 간 통신에 많이 사용된다.
(정답률: 52%)
  • "serial data 전송에 적합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IEEE 488 버스는 병렬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버스입니다. 이는 16개의 싱글 라인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데이터를 직렬로 전송하려면 병렬 데이터를 직렬로 변환하는 장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입·출력 지시를 받으면 직접 주기억 장치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입·출력에 관한 모든 동작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입·출력 제어 방식은?

  1. 프로그램에 의한 입·출력 제어 방식
  2. 인터럽트에 의한 입·출력 제어 방식
  3. DMA에 의한 입·출력 제어 방식
  4. 프로세서에 의한 입·출력 제어 방식
(정답률: 69%)
  • DMA(Direct Memory Access)는 입·출력 장치가 직접 주기억장치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입·출력에 관한 모든 동작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가 입·출력 작업을 수행하는 것보다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입·출력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DMA에 의한 입·출력 제어 방식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그림에 보여진 프로그램이 수행된 후 accumulator의 내용은? (단, immediate 어드레싱 모드를 사용하는 Exclusive OR Accumulator with data의 OP-Code는 EE(16진수)이고 mnemonic은 XRI이다.)

  1. 1100 1100
  2. 0010 0010
  3. 1000 1000
  4. 0101 0101
(정답률: 35%)
  • 프로그램의 실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accumulator에 0010 0010을 로드한다.
    2. accumulator와 1000 1000을 XOR 연산한다.
    3. accumulator와 0101 0101을 XOR 연산한다.

    따라서 accumulator의 최종 내용은 1100 1100이 된다. 이는 XOR 연산의 특성상 두 비트가 다를 때 1을 반환하기 때문에, 0010 0010과 1000 1000, 0101 0101 중에서 홀수 개의 비트가 1인 비트들이 1로 바뀌어서 나타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16K 바이트의 기억용량을 갖는 8비트 마이크로컴퓨터에서 필요한 최소 어드레스 라인 수는?

  1. 8
  2. 14
  3. 16
  4. 32
(정답률: 60%)
  • 8비트 마이크로컴퓨터에서 16K 바이트의 기억용량을 갖는 경우, 2의 14승 개의 어드레스 라인이 필요하다. 이는 2의 14승이 16,384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소 어드레스 라인 수는 1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two-pass 어셈블러의 second pass에서 수행하는 일이 아닌 것은?

  1. object code를 생성한다.
  2. symbol table을 작성한다.
  3. source와 object code의 리스트를 작성한다.
  4. error list를 작성한다.
(정답률: 20%)
  • symbol table은 first pass에서 생성되고 second pass에서는 참조만 하기 때문에, second pass에서 symbol table을 작성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정답은 "symbol table을 작성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번역기(Translator)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Assembler
  2. Loader
  3. Interpreter
  4. Compiler
(정답률: 80%)
  • 번역기(Translator)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다른 언어로 변환하는 소프트웨어를 일컫는데, 이 중 Loader는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적재하는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이다. 따라서 Loader는 번역기가 아니며, 정답은 Loade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입·출력 장치와 CPU 사이의 자료 교환 시에 사용되는 기법들이다. 성격이 다른 것은?

  1. parity bit 전송
  2. synchronous 전송
  3. cyclic redundancy character 전송
  4. echo back
(정답률: 38%)
  • synchronous 전송은 송신 측과 수신 측이 동일한 클럭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반면에, parity bit 전송, cyclic redundancy character 전송, echo back은 데이터의 오류 검출 및 수정, 송신 확인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법들이다. 따라서, synchronous 전송은 다른 기법들과 성격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논리 마이크로 동작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mask 동작
  2. selective-set 동작
  3. selective-supplement 동작
  4. selective-complement 동작
(정답률: 48%)
  • 논리 마이크로 동작 중에서 "selective-supplement 동작"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selective-supplement 동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or) 어셈블리 프로그램의 ORG 명령이 사용될 수 없는 것은?

  1. 프로그램 카운터(program counter)
  2. 서브루틴(subroutine)
  3. 램 스토리지(RAM storage)
  4. 메모리 스택(memory stack)
(정답률: 35%)
  • ORG 명령은 프로그램의 시작 주소를 지정하는 명령이다. 따라서 ORG 명령은 프로그램이 실행될 위치를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프로그램 카운터는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의 주소를 가리키는 레지스터이다. 따라서 ORG 명령은 프로그램 카운터와 관련이 없으므로 사용될 수 없다. 서브루틴, 램 스토리지, 메모리 스택은 ORG 명령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개념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어셈블러의 기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format conversion
  2. storage allocation
  3. data generation
  4. memory loading
(정답률: 32%)
  • 어셈블러의 기능 중 "memory loading"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어셈블러는 어셈블리어로 작성된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변환하여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어셈블러는 소스 코드의 형식을 변환하고, 메모리 할당을 수행하며,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하지만 메모리 로딩은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수행되는 작업으로, 어셈블러의 역할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누산기(accumulator)를 clear 하고자 할 때 사용하면 효과적인 명령어는?

  1. EX-OR
  2. SHIFT
  3. ROTATE
  4. EXCHANGE
(정답률: 74%)
  • EX-OR 명령어는 누산기의 모든 비트를 0으로 만들어 clear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EX-OR 연산은 두 비트가 서로 다를 때 1을 반환하므로, 누산기의 모든 비트를 0으로 만들기 위해 0으로 된 레지스터나 메모리와 EX-OR 연산을 수행하면 됩니다. SHIFT, ROTATE, EXCHANGE 명령어는 누산기를 clear하는 명령어가 아니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데이터링크레이어 프로토콜의 하나로 2진 동기식 데이터 전송 제어 프로토콜을 발전시킨 것이며 SNA에 채용된 동기식 데이터 전송 제어 프로토콜로 국제표준규격인 것은?

  1. UART
  2. BCC
  3. CRC
  4. SDLC
(정답률: 37%)
  • SDLC는 2진 동기식 데이터 전송 제어 프로토콜을 발전시킨 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송신측과 수신측 간에 동기화를 맞추고,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오류 검출 및 재전송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기능들은 SNA에서 채용되어 국제표준규격이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캐스케이드(cascade) 스택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스택 포인터를 따로 지정할 필요가 없다.
  2. PUSH할 때마다 스택 포인터가 증가한다.
  3. 기억 번지 내에 구성되므로 융통성이 높다.
  4. 스택의 bottom이 정의되지 않는다.
(정답률: 36%)
  • 정답: "PUSH할 때마다 스택 포인터가 증가한다."

    캐스케이드 스택은 PUSH할 때마다 스택 포인터가 증가하며, POP할 때마다 스택 포인터가 감소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스택 포인터를 따로 지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기억 번지 내에 구성되므로 융통성이 높지만, 스택의 bottom이 정의되지 않는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