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10-05)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2003-10-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축구조

1. 철근콘크리트 플랫 슬래브의 두께는 얼마 이상으로 하는가?

  1. 8cm
  2. 12cm
  3. 15cm
  4. 18cm
(정답률: 57%)
  • 철근콘크리트 플랫 슬래브는 건물의 층간 구조물 중 하나로, 바닥을 이루는 구조물입니다. 이 구조물은 건물의 하중을 지탱하고, 바닥의 평탄성과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플랫 슬래브의 두께는 건물의 하중과 사용 용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층간 구조물 중 가장 두께가 두꺼운 플랫 슬래브는 15cm입니다. 이는 건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하면서도, 바닥의 강도와 평탄성을 유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두께로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기둥 맨 위 처마의 부분에 수평으로 거는 것으로 기둥머리를 고정하여 지붕틀을 받아 기둥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깔도리
  2. 층보
  3. 허리잡이
  4. 토대
(정답률: 65%)
  • 기둥 맨 위에 수평으로 놓이며 지붕틀을 받아 기둥에 전달하는 것은 깔도리입니다. 깔도리는 지붕을 지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지붕의 안정성과 견고함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깔도리는 건축물의 안전성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벽돌조 벽체에서 내쌓기를 할 때 내미는 정도의 한계는?

  1. 0.5B
  2. 1.0B
  3. 1.5B
  4. 2.0B
(정답률: 70%)
  • 벽돌조 벽체에서 내쌓기를 할 때 내미는 정도는 벽돌의 높이의 반 이하로 제한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큰 값인 2.0B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목구조에서 버팀대와 가새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가새의 경사는 45°에 가까울수록 유리하다.
  2. 가새는 하중의 방향에 따라 압축응력과 인장응력이 번갈아 일어난다.
  3. 버팀대는 가새보다 수평력에 강한 벽체를 구성한다.
  4. 버팀대는 기둥 단면에 적당한 크기의 것을 쓰고 기둥 따내기도 되도록 적게 한다.
(정답률: 51%)
  • 정답: "버팀대는 기둥 단면에 적당한 크기의 것을 쓰고 기둥 따내기도 되도록 적게 한다."

    버팀대는 가새보다 수평력에 강한 벽체를 구성한다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버팀대는 수평적인 힘을 받아들이는 구조이기 때문에, 수평력에 강한 벽체를 구성하여 버팀대의 안정성을 높입니다.

    가새의 경사가 45°에 가까울수록 유리하다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경사가 너무 가파르면 압축응력이 커지고, 너무 완만하면 인장응력이 커지기 때문에, 45°가 가장 안전하고 효율적인 경사각입니다.

    가새는 하중의 방향에 따라 압축응력과 인장응력이 번갈아 일어난다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가새는 하중을 받으면 그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압축응력이 발생하고, 그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 사이에서 인장응력이 발생합니다.

    버팀대는 기둥 단면에 적당한 크기의 것을 쓰고 기둥 따내기도 되도록 적게 한다는 것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버팀대는 안정성을 위해 충분한 크기와 강도를 갖춘 기둥을 사용해야 하며, 기둥 따내기는 오히려 안정성을 해치는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대린벽으로 구획된 벽돌조 내력벽의 벽길이가 7m일 때 개구부의 폭의 합계는 최대 얼마 이하로 하는가?

  1. 3m
  2. 3.5m
  3. 4m
  4. 4.5m
(정답률: 85%)
  • 벽돌조 내력벽은 일정한 간격으로 개구부를 두어야 하므로, 개구부의 폭이 클수록 벽의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개구부의 폭의 합계를 최대한 작게 만드는 것이 목표이다.

    벽의 길이가 7m이므로, 개구부의 폭의 합계는 최대 7m가 된다. 이때, 개구부의 폭을 모두 같게 하면 가장 작은 값이 나오게 된다. 따라서 개구부의 폭을 3.5m로 나누어 두 개의 개구부를 만들면, 개구부의 폭의 합계는 7m가 되고, 이는 최대값이다. 따라서 정답은 "3.5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 중 꺽인지붕(curb roof)의 평면모양은?

(정답률: 68%)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꺽인지붕은 양쪽 면이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평면모양이 대칭이 아니며, 중앙에서 꺾이는 형태를 띄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대칭적인 모양을 띄고 있어 꺽인지붕의 평면모양과는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내민보(cantilever beam)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연속보의 한 끝이나 지점에 고정된 보의 한 끝이 지지점에서 내밀어 달려 있는 보를 말한다.
  2. 보의 양단이 벽돌, 블록, 석조벽 등에 단순히 얹혀있는 상태로 된 보를 말한다.
  3. 단순보와 동일하게 보의 하부에 인장주근을 배치하고 상부에는 압축철근을 배치한다.
  4. 전단력에 대한 보강의 역할을 하는 늑근은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59%)
  • 내민보(cantilever beam)는 연속보의 한 끝이나 지점에 고정된 보의 한 끝이 지지점에서 내밀어 달려 있는 보를 말합니다. 이는 보의 일종으로, 한쪽 끝이 지지점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한쪽 끝이 자유롭게 내밀어져 있는 형태를 말합니다. 이러한 형태는 건축물의 구조물에서 많이 사용되며, 예를 들어 건물의 지붕이나 베란다 등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기둥의 최소단면적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600㎠
  2. 500㎠
  3. 400㎠
  4. 300㎠
(정답률: 55%)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기둥의 최소단면적은 구조물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와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를 위해 건축구조기준에 따라 기둥의 최소단면적이 정해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600㎠ 이상으로 규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0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철골구조에서 보통볼트로 접합시 볼트 구멍은 볼트 직경보다 얼마 이상 크게 해서는 안되는가?

  1. 0.2mm
  2. 0.5mm
  3. 0.9mm
  4. 1.2mm
(정답률: 58%)
  • 철골구조에서 볼트 구멍은 볼트 직경보다 0.5mm 이상 크게 해서는 안됩니다. 이는 볼트가 접합부에서 충분한 접촉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구멍이 너무 크다면 볼트가 충분한 접촉면적을 확보하지 못하고, 접합부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통볼트로 접합시에는 구멍을 0.5mm 이상 크게 해서는 안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철근 배근에 대한 설명 중 부적당한 것은?

  1. 기둥을 보강하는 세로철근, 즉 축방향철근이 주근이다.
  2. 띠철근이나 나선철근은 주근의 좌굴과 콘크리트가 수평으로 터져나가는 것을 구속한다.
  3. 주근은 사각형 기둥에서는 6개 이상, 원형, 다각형 기둥에서는 4개 이상을 사용한다.
  4. 띠철근 간격은 보통 30cm 이하로 한다.
(정답률: 70%)
  • "주근은 사각형 기둥에서는 6개 이상, 원형, 다각형 기둥에서는 4개 이상을 사용한다."가 부적당한 설명입니다. 이유는 기둥의 크기와 사용되는 철근의 직경, 간격 등에 따라 주근의 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확한 수는 구조 설계 시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벽돌조 이중벽(공간벽)쌓기에서 연결재의 배치曺거리 간격의 수직거리는 최대 얼마 이하로 하는가?

  1. 40cm
  2. 50cm
  3. 75cm
  4. 90cm
(정답률: 28%)
  • 벽돌조 이중벽(공간벽)쌓기에서 연결재의 배치 간격은 벽돌의 가로길이와 세로길이의 배수로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벽돌의 가로길이는 20cm, 세로길이는 10cm입니다. 따라서 연결재의 배치 간격은 20cm, 30cm, 40cm, 50cm 등이 됩니다.

    이중벽에서 연결재의 배치 간격은 수직거리와 수평거리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수평거리는 벽돌의 가로길이와 연결재의 배수에 따라 결정되며, 수직거리는 벽돌의 세로길이와 연결재의 배수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이중벽에서 연결재의 배치 간격의 수직거리는 최대 40cm 이하로 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는 벽돌의 세로길이인 10cm의 4배인 40cm이기 때문입니다. 50cm, 75cm, 90cm은 모두 40cm보다 큰 수직거리를 가지므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문꼴을 보기 좋게 만드는 동시에 주위벽의 마무림을 잘하기 위하여 둘러대는 누름대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문선
  2. 풍소란
  3. 가새
  4. 인방
(정답률: 61%)
  • 문꼴을 보기 좋게 만드는 동시에 주위벽의 마무림을 잘하기 위하여 둘러대는 누름대를 "문선"이라고 합니다. "풍소란"은 문양이나 그림을 둘러싸는 장식물을 말하며, "가새"는 문양이나 그림을 둘러싸는 장식물 중 하나입니다. "인방"은 문양이나 그림을 둘러싸는 장식물이 아니라, 문양이나 그림을 그리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반자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지붕 밑 또는 윗층 바닥 밑을 가리어 장식적, 방온적으로 꾸민 구조부분을 말한다.
  2. 반자틀은 반자돌림대, 반자틀받이, 달대, 달대받이로 짜 만든다.
  3. 주택 거실의 반자높이는 2.1m 이상으로 한다.
  4. 달반자는 바닥판 밑을 제물로 또는 직접 바르는 반자이다.
(정답률: 46%)
  • 달반자는 바닥판 밑을 제물로 또는 직접 바르는 반자이다. - 이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장변방향 철근의 배근간격은 몇 [cm] 이하로 하는가?

  1. 10[cm]
  2. 20[cm]
  3. 30[cm]
  4. 40[cm]
(정답률: 40%)
  •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장변방향 철근의 배근간격은 슬래브의 두께와 철근의 지름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철근 지름이 클수록 배근간격은 넓어집니다. 그리고 철근의 배근간격이 넓을수록 슬래브의 변형이 커지고, 강도가 낮아지므로 적절한 배근간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철근 지름이 16mm 이하인 경우에는 20cm 이하, 20mm 이상인 경우에는 30cm 이하로 배근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0[c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철골구조에서 간사이가 15m를 넘거나, 보의 춤이 1m 이상되는 보를 판보로 하기에는 비경제적일 때 사용하는 것으로 접합판(gusset plate)을 대서 접합한 조립보는?

  1. 형강보
  2. 래티스보
  3. 상자형보
  4. 트러스보
(정답률: 50%)
  • 접합판을 대서 접합한 조립보는 트러스보입니다. 이는 철골구조에서 간사이가 15m를 넘거나, 보의 춤이 1m 이상되는 보를 판보로 하기에는 비경제적일 때 사용됩니다. 트러스보는 접합판을 이용하여 보를 조립한 구조로, 경제성과 강도를 모두 고려한 구조물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트러스보가 가장 적합한 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과 같은 보에 하중이 다음과 같이 작용할 때 가장 올바른 철근 배근은?

(정답률: 49%)
  • 보에 작용하는 하중은 중앙에서 가장 크기 때문에, 철근 배근도 중앙에서 가장 많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올바른 철근 배근이다. "", "", ""는 중앙에서의 하중을 받는 철근이 아니기 때문에 올바르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벤딩모멘트나 전단력을 견디게 하기 위해 보의 단부의 단면을 중앙부의 단면보다 증가시킨 부분은?

  1. 헌치(haunch)
  2. 주두(capital)
  3. 스터럽(stirrup)
  4. 후프(hoop)
(정답률: 68%)
  • 헌치(haunch)는 보의 단부를 중앙부의 단면보다 더 두껍게 만든 부분을 말합니다. 이는 벤딩모멘트나 전단력을 견디기 위해 보의 단부를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헌치는 보의 안정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두께는 최소 얼마 이상인가?

  1. 5㎝
  2. 8㎝
  3. 10㎝
  4. 12㎝
(정답률: 38%)
  •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는 건물의 바닥이나 지하주차장 등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 판입니다. 이 슬래브는 건물의 무게를 지탱하고, 인력이나 기계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 충분한 두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최소 두께는 8㎝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유는 8㎝ 이하로 슬래브를 만들 경우,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건축법에서도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최소 두께를 8㎝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를 설계할 때는 최소 두께 8㎝ 이상을 고려해야 하며, 이를 준수하여 건축물을 안전하게 건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곡면판이 지니는 역학적 특성을 응용한 구조로서 외력은 주로 판의 면내력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경량이고 내력이 큰 구조물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은?

  1. 철골구조
  2. 셸구조
  3. 현수구조
  4. 커튼월구조
(정답률: 68%)
  • 셸구조는 곡면판의 역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외력이 주로 면내력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경량이면서도 내력이 큰 구조물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셸구조는 주로 대형 건축물의 지붕, 천장, 돔 등에 적용되며, 대표적인 예시로는 시드니 오페라하우스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지반이 연약하거나 기둥에 작용하는 하중이 커서 기초판이 넓어야 할 때 사용하는 기초로 건물의 하부 전체 또는 지하실 전체를 하나의 기초판으로 구성한 것은?

  1. 독립기초
  2. 줄기초
  3. 복합기초
  4. 온통기초
(정답률: 80%)
  • 온통기초는 건물의 하부 전체 또는 지하실 전체를 하나의 기초판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지반이 연약하거나 기둥에 작용하는 하중이 커서 기초판이 넓어야 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독립기초, 줄기초, 복합기초와는 구성 방식이 다르며, 온통기초만이 전체적인 지반의 상태를 고려하여 설계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축재료

21. 목재의 성질로 틀린 것은?

  1. 함수율에 의한 변형이 크다.
  2. 가공하기 쉽다.
  3. 불에 타기 쉽다.
  4. 열전도율이 크다.
(정답률: 80%)
  • 정답: 열전도율이 크다.

    설명: 목재는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 중 하나입니다. 이는 목재가 열을 잘 전달하지 않기 때문에, 뜨거운 물체나 불꽃과 접촉해도 빠르게 뜨거워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목재는 화재 발생 시 불이 붙어도 빠르게 타지 않고, 화재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석재의 용도로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트래버틴 - 특수실내장식재
  2. 응회암 - 구조용
  3. 점판암 - 지붕재
  4. 대리석 - 장식재
(정답률: 68%)
  • 응회암은 암석 중 하나로서 구조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응회암이 약하고 부서지기 쉬운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구조물의 일부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대신 장식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콘크리트의 배합설계를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콘크리트에 요구되는 성능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에 따른 콘크리트가 구비하여야 할 성질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소요의 강도를 얻을 수 있을 것
  2. 적당한 워커빌리티가 있을 것
  3. 균일성이 있을 것
  4. 슬럼프 값이 클것
(정답률: 70%)
  • 슬럼프 값이 클수록 콘크리트의 흐름성이 높아지므로, 콘크리트의 강도와 균일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적절한 슬럼프 값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이형철근에서 표면에 마디를 만드는 이유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부착강도를 높이기 위해
  2. 인장강도를 높이기 위해
  3. 압축강도를 높이기 위해
  4. 항복점을 높이기 위해
(정답률: 57%)
  • 이형철근의 표면에 마디를 만드는 이유는 부착강도를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마디를 만들면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에 마찰력이 증가하여 부착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구조물의 강도와 안전성을 높이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수화작용시 발열량을 적게 한 시멘트로 조기강도는 적으나 장기강도가 크며 경화수축이 적어 댐 축조나 큰 구조물에 사용하는 시멘트는?

  1. 보통 포틀랜드시멘트
  2. 중용열 포틀랜드시멘트
  3. 조강 포틀랜드시멘트
  4. 백색 포틀랜드시멘트
(정답률: 67%)
  • 중용열 포틀랜드시멘트는 발열량이 적어서 조기강도는 적지만 장기강도가 크며 경화수축이 적어서 대형 구조물에 사용하기 적합합니다. 따라서 댐 축조나 큰 구조물에 사용하는 시멘트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벽돌의 품질시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1. 압축강도 시험과 휨강도 시험
  2. 흡수율과 휨강도 시험
  3. 흡수율과 압축강도 시험
  4. 압축강도 시험과 전단강도 시험
(정답률: 63%)
  • 벽돌의 품질을 평가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벽돌의 내구성과 강도입니다. 이를 평가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시험은 흡수율과 압축강도 시험입니다. 흡수율은 벽돌이 물을 흡수하는 정도를 나타내며, 내구성과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압축강도는 벽돌이 얼마나 많은 압력을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며, 벽돌의 강도를 평가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시험은 벽돌의 품질을 평가하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철재의 부식방지 방법으로 부적당한 것은?

  1. 철재의 표면에 아스팔트나 콜-탈(coar-tar) 등을 도포한다.
  2. 모르터 및 콘크리트 피막을 만든다.
  3. 도금 또는 법랑마감으로 한다.
  4. A.E제를 도포한다.
(정답률: 56%)
  • A.E제는 철재의 부식을 방지하는 것보다는 철재의 표면을 광택나게 만드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부적당한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A.E제를 도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아스팔트의 품질을 판별하는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1. 신도
  2. 침입도
  3. 감온비
  4. 압축강도
(정답률: 45%)
  • 압축강도는 아스팔트의 내구성과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반면에 신도는 아스팔트의 연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침입도는 아스팔트의 물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감온비는 아스팔트의 열적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압축강도는 아스팔트의 품질을 판별하는 중요한 지표이며, 다른 지표들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안전 유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형판 유리
  2. 접합 유리
  3. 강화 판유리
  4. 배강도 유리
(정답률: 53%)
  • 형판 유리는 안전 유리에 속하지 않습니다. 안전 유리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강화되어 깨지더라도 조각이 분산되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반면, 형판 유리는 깨지면 조각이 크게 분산되지 않아 위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중 열가소성 수지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염화비닐 수지
  2. 멜라민 수지
  3. 폴리에틸렌 수지
  4. 아크릴 수지
(정답률: 42%)
  • 열가소성 수지는 고온에서도 변형이 적은 수지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멜라민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에 속하지 않습니다. 멜라민 수지는 열에 약하며, 고온에서 변형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화성암의 풍화물, 유기물, 기타 광물질이 땅속에 퇴적되어 지열과 지압의 영향을 받아 응고된 것을 수성암이라하는데, 다음 중 수성암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안산암
  2. 석회암
  3. 응회암
  4. 사암
(정답률: 50%)
  • 안산암은 화성암이 아닌 퇴적암으로, 강물이나 바람 등에 의해 운반되어 쌓인 퇴적물이 응고하여 만들어진 암석입니다. 따라서 수성암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골재의 품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잔 것과 굵은 것이 골고루 혼합된 것이 좋다.
  2. 강도는 시멘트 풀의 최대 강도 이상이어야 한다.
  3. 표면이 매끄럽고, 모양은 편평하거나 가늘고 긴 것이 좋다.
  4. 내마멸성이 있고, 화재에 견딜 수 있는 성질을 갖추어야 한다.
(정답률: 66%)
  • "표면이 매끄럽고, 모양은 편평하거나 가늘고 긴 것이 좋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골재의 품질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기 때문입니다. 골재의 품질은 잔 것과 굵은 것이 골고루 혼합된 것이 좋고, 강도는 시멘트 풀의 최대 강도 이상이어야 하며, 내마멸성이 있고, 화재에 견딜 수 있는 성질을 갖추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보통 재료에서는 축방향에 하중을 가할 경우 그 방향과 수직 횡방향에도 변형이 생기는데, 횡방향의 변형과 축방향의 변형의 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탄성계수
  2. 경도
  3. 푸아송비
  4. 굳기
(정답률: 74%)
  • 푸아송비는 축방향에 가해진 하중으로 인해 생긴 축방향 변형과 수직 횡방향 변형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값은 재료의 탄성에 대한 특성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0.2 ~ 0.3 사이의 값을 가집니다. 이 값이 작을수록 재료는 축방향 하중에 대해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며, 횡방향 변형이 크게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푸아송비는 재료의 탄성에 대한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일반적인 콘크리트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장강도가 크다.
  2. 철근, 철골 등과 접착성이 우수하다.
  3. 내화적이다.
  4. 내수적이다.
(정답률: 61%)
  • 인장강도가 크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콘크리트는 압축강도가 높지만 인장강도는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입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인장력에 대한 내성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철근 등의 강재를 사용하여 인장강도를 보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점토제품 중 흡수성이 가장 큰 것은?

  1. 토기
  2. 도기
  3. 석기
  4. 자기
(정답률: 53%)
  • 토기는 점토를 구워 만든 제품으로, 구멍이 많아서 흡수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도기, 석기, 자기보다 흡수성이 더 뛰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표준형 점토 벽돌의 크기는? (단, 단위는 mm)

  1. 190× 90× 57
  2. 190× 90× 60
  3. 210× 100× 57
  4. 210× 100× 60
(정답률: 80%)
  • 표준형 점토 벽돌의 크기는 190mm × 90mm × 57mm 입니다. 이는 대부분의 건축물에서 사용되는 표준 크기이며, 벽돌의 크기는 건축물의 구조와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표준형 벽돌의 크기와 다르거나,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크기는 190mm × 90mm × 57m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건축구조재료에 요구되는 성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재질이 균일하고 강도가 커야 한다.
  2. 내화, 내구성이 커야 한다.
  3. 가공이 쉬워야 한다.
  4. 외관이 미려해야 한다.
(정답률: 79%)
  • 건축구조재료에 요구되는 성질은 대부분 기능적인 측면에서의 요구사항이며,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외관이 미려해야 한다." 입니다. 건축구조재료는 건축물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기능적인 측면에서의 요구사항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외관이 미려하다는 것은 건축물의 기능적인 측면에서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것보다는 보조적인 요소로서의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목재의 접합에서 목재와 목재 사이에 끼워서 전단에 대한 저항 작용을 목적으로 한 철물은?

  1. 꺽쇠
  2. 듀벨
  3. 클램프
  4. 비계
(정답률: 62%)
  • 듀벨은 목재와 목재 사이에 끼워서 전단에 대한 저항 작용을 목적으로 하는 철물로, 목재를 끼워서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이에 비해 꺽쇠는 목재를 끼워서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목재를 끼워서 끌어당기는 방식으로 사용되며, 클램프는 목재를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비계는 건물 건설 등에서 사용되는 구조물로, 목재의 접합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합성 수지의 일반적인 성질이 아닌 것은?

  1. 가소성이 크다.
  2. 전성 및 연성이 크다.
  3. 무기재료에 비해 내화, 내열성이 부족하다.
  4. 착색이 자유롭고 투수성이 크다.
(정답률: 37%)
  • 정답: "무기재료에 비해 내화, 내열성이 부족하다."

    설명: 합성 수지는 유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만들어지는 고분자 물질로, 가소성, 전성, 연성 등의 물리적 성질이 뛰어나지만 내화, 내열성은 무기재료에 비해 부족합니다. 또한 합성 수지는 분자 구조의 변화로 인해 다양한 색상을 가지며, 투명하고 투수성이 크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점토에 톱밥이나 분탄 등의 가루를 혼합하여 소성한 것으로 절단, 못치기 등의 가공이 우수한 것은?

  1. 이형 벽돌
  2. 다공질 벽돌
  3. 포도 벽돌
  4. 규회 벽돌
(정답률: 76%)
  • 다공질 벽돌은 점토와 가루를 혼합하여 소성한 것으로, 소성 과정에서 가스가 발생하여 다공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절단이나 못치기 등의 가공이 우수합니다. 이에 비해 이형 벽돌, 포도 벽돌, 규회 벽돌은 다공성이 낮아 가공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축계획 및 제도

41. 도면에는 척도를 기입해야 하는데, 그림의 형태가 치수에 비례하지 않을 경우 표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US
  2. DS
  3. NS
  4. KS
(정답률: 65%)
  • NS(Non Scale)는 그림의 형태가 치수에 비례하지 않을 때 사용하는 표시 방법입니다. 이는 그림의 비례를 유지하지 않고도 정확한 치수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합니다. 따라서 NS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제도 용구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T자는 단독으로 평행선, 수직선, 사선을 긋는다.
  2. 선을 그릴 때 T자 머리를 제도판에서 약간 띄운다.
  3. T자로 수평선을 그을 때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긋는다.
  4. 삼각자 1개 또는 2개를 가지고 여러 가지 위치를 바꾸면 여러 가지 각도의 선을 그을 수 있다.
(정답률: 65%)
  • 삼각자는 선을 그리기 위한 도구로, 선을 그리는 데 사용되는 각도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삼각자 1개 또는 2개를 가지고 여러 가지 위치를 바꾸면 여러 가지 각도의 선을 그을 수 있는 이유는, 삼각자가 각도를 유지해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삼각자를 이용하면 정확한 각도로 선을 그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KS 제도통칙에 의한 A0 용지의 크기에 해당하는 것은?

  1. 594× 841㎜
  2. 841× 1189㎜
  3. 1189× 1090㎜
  4. 1090× 1200㎜
(정답률: 60%)
  • KS 제도통칭에 따르면 A0 용지의 크기는 841×1189㎜이다. 이는 A 시리즈 용지의 기본 크기인 1m²을 2의 제곱근으로 나눈 것으로, A1 용지는 A0 용지를 반으로 나눈 크기인 594×841㎜이 되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A2, A3, A4 등의 크기가 결정된다. 따라서 A0 용지의 크기는 KS 제도통칙에 따라 841×1189㎜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아래 그림의 재료명으로 옳은 것은?

  1. 석재
  2. 인조석
  3. 벽돌
  4. 목재 치장재
(정답률: 80%)
  • 그림에서 보이는 것은 돌로 된 벽이므로, 이를 만드는 재료인 "석재"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그림과 같은 평면기호 명칭은?

  1. 오르내리창
  2. 붙박이문
  3. 붙박이창
  4. 격자문
(정답률: 74%)
  • 그림에서 보이는 창이 벽면에 붙어서 열리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데, 이를 붙박이창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건축물의 묘사에 있어서 묘사 도구로 사용하는 연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폭이 넓은 명암을 나타낸다.
  2. 다양한 질감 표현이 가능하다.
  3. 지울 수 있으나 번지거나 더러워질 수 있다.
  4. 일반적으로 H의 수가 많을수록 무르다.
(정답률: 79%)
  • 일반적으로 H의 수가 많을수록 무르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H는 연필의 굵기와 관련이 있으며, H의 수가 많을수록 연필의 굵기가 얇아지므로 세밀한 묘사가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H의 수가 많을수록 더 세밀한 묘사가 가능해지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공사 예산서 작성시 불필요한 것은?

  1. 공사에 소요되는 재료명
  2. 재료의 수량
  3. 각종 단가
  4. 구조 계산서
(정답률: 67%)
  • 구조 계산서는 공사 예산서 작성시 필요한 항목이 아닙니다. 이는 건축 설계 단계에서 필요한 문서로, 건축물의 구조적 안전성을 검토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공사 예산서 작성시에는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투시도법의 시점에서 화면에 수직하게 통하는 투사선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1. 소점
  2. 시선축
  3. 시점
  4. 수직선
(정답률: 40%)
  • 시선축은 투시도법에서 시점과 수직선이 만나는 선으로, 이를 기준으로 물체의 모습을 그립니다. 시선축은 화면에 수직하게 통하는 투사선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선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CAD 사용의 효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설계의 생산성 향상
  2. 도면 작성시간의 증가
  3. 설계 오류의 감소
  4. 설계변경에 따른 수정 작업의 용이
(정답률: 84%)
  • CAD를 사용하면 설계 작업을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설계 생산성이 향상됩니다. 그러나 CAD를 사용하면 도면 작성에 필요한 시간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CA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데 익숙하지 않은 경우 또는 복잡한 도면을 작성해야 하는 경우에 더욱 두드러집니다. 따라서 CAD를 사용하는 경우 도면 작성시간을 줄이기 위해 꾸준한 연습과 교육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지붕 경사의 표시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4/10
  2. 4/100
  3. 4/50
  4. 2/100
(정답률: 72%)
  • 정답은 "4/10"입니다. 이는 지붕의 가로 길이에 대한 세로 길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4:10 또는 2:5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이는 지붕이 가파르게 경사진 것을 나타내며, 지붕이 10m 가로로 뻗어나갈 때 4m 정도의 높이가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화면에 직접 접촉하여 명령어 선택이나 좌표 입력이 가능한 CAD 시스템의 입력 장치는?

  1. 마우스
  2. 태블릿
  3. 라이트 펜
  4. 조이스틱
(정답률: 33%)
  • 라이트 펜은 화면에 직접 접촉하여 입력하는 입력 장치로, 마우스나 조이스틱과는 달리 좌표 입력이나 명령어 선택 등이 더욱 직관적이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CAD 시스템과 같이 정밀한 그래픽 작업이 필요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배경표현법의 주의 사항 중 틀린 것은?

  1. 표현에서는 크기와 무게, 그리고 배치는 도면 전체의 구성요소가 고려되어야 한다.
  2. 건물 앞에 것은 사실적으로, 멀리 있는 것은 단순히 그린다.
  3. 공간과 구조, 그리고 그들의 관계를 표현하는 요소들에게 지장을 주어서는 안 된다.
  4. 건물의 용도와는 무관하게 가능한 한 세밀한 그림으로 표현한다.
(정답률: 84%)
  • "건물의 용도와는 무관하게 가능한 한 세밀한 그림으로 표현한다."가 옳은 것이 아니라, 오히려 "건물의 용도와 기능에 맞게 적절한 단계에서 세밀한 그림으로 표현한다."가 되어야 합니다. 배경표현법에서는 건물의 용도와 기능에 따라 그림의 세부정보를 다르게 표현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주거용 건물의 경우에는 방의 크기와 배치, 가구의 위치 등을 상세하게 표현해야 하지만, 공장이나 창고 등의 건물의 경우에는 기계나 제품의 배치 등을 중심으로 표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건축 도면에서 사람의 배경과 표현을 통해 알 수 있는 것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스케일감
  2. 공간의 깊이
  3. 건물 공간의 관습적인 용도
  4. 건물의 배치
(정답률: 50%)
  • 건축 도면에서 사람의 배경과 표현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건물 내부의 공간적인 깊이나 크기, 사용 용도 등이며, 건물의 배치는 도면 상에서는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단면도에 표시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건축물의 높이. 층높이
  2. 처마높이. 창높이
  3. 난간높이, 배란다의 돌출정도
  4. 지붕의 물매. 창의 개폐법
(정답률: 60%)
  • 단면도는 건축물의 구조와 형태를 이해하기 위한 도면으로, 건축물의 다양한 요소들을 표시합니다. 이 중에서도 지붕의 물매와 창의 개폐법은 건축물의 외관과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지붕의 물매는 지붕의 경사와 모양을 나타내며, 건축물의 외관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창의 개폐법은 창문의 개폐 방식을 나타내며, 건축물의 환기와 조명 등 기능적인 측면에서 중요합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요소가 단면도에 표시되어야 하며, 다른 요소들보다 더욱 중요하게 다뤄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치수를 표기하는 요령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1. 치수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마무리 치수로 표시한다.
  2. 협소한 간격이 연속될 때에는 인출선을 사용하여 치수를 쓴다.
  3. 치수 기입은 치수선에 평행하게 도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아래에서 위로 읽을 수 있도록 기입한다.
  4. 치수 기입은 치수선을 중단하고 선의 중앙에 기입하는 것이 원칙이다.
(정답률: 71%)
  • "치수 기입은 치수선을 중단하고 선의 중앙에 기입하는 것이 원칙이다."가 정답입니다. 이유는 치수선이 가리키는 위치에 치수를 기입하면 치수선이 가리키는 위치와 치수 값이 겹쳐서 가독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치수선을 중단하고 선의 중앙에 치수를 기입하여 가독성을 높이는 것이 원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주택 도면을 제도하는데 있어서 유의해야 할 사항에 대한 설명으로서 부적당한 것은?

  1. 기초에 사용하는 재료를 알아야 한다.
  2. 기초의 깊이는 지질에 따라서만 결정하면 된다.
  3. 제도 순서와 도면 내용을 숙지해야 한다.
  4. 기초의 구조와 크기 등을 이해해야 한다.
(정답률: 79%)
  • "기초의 깊이는 지질에 따라서만 결정하면 된다."는 부적당한 설명입니다. 기초의 깊이는 지질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무게, 지하수 수위, 지반의 안정성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기초에 사용하는 재료, 기초의 구조와 크기 등을 이해하고, 지질뿐만 아니라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적절한 깊이를 결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CAD시스템을 통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분야를 가장 바르게 묶은 것은?

  1. ① ② ③ ④
  2. ① ② ③
  3. ② ③ ④
  4. ① ② ④
(정답률: 40%)
  • CAD 시스템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품 설계 및 생산에 필요한 작업을 자동화하고 최적화하는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CAD 시스템을 통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분야는 제품 설계, 제조, 생산, 품질 관리 등의 분야입니다. 이 중에서 "② ③ ④"는 모두 제품 생산과 관련된 분야이므로, CAD 시스템을 통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분야로 가장 바르게 묶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CAD로 작성한 도면의 출력장치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플로터
  2. 스캐너
  3. 마우스
  4. 태블릿
(정답률: 67%)
  • CAD로 작성한 도면은 대부분 크기가 크고 상세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출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고해상도와 큰 용지에 출력할 수 있는 출력장치가 필요한데,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로 플로터입니다. 스캐너, 마우스, 태블릿은 CAD로 작성한 도면을 출력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시공후 보의 단부에 균열이 생겼다. 설계상의 결함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주근의 부족
  2. 늑근의 부족
  3. 대근의 부족
  4. 나선철근의 부족
(정답률: 60%)
  • 늑근의 부족은 강도가 충분하지만 균열 발생에 취약한 부족으로, 시공 후 보의 단부에 균열이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늑근의 부족이 설계상의 결함으로 가장 적당합니다. 주근의 부족은 강도가 부족한 부족, 대근의 부족은 지지력이 부족한 부족, 나선철근의 부족은 균열 발생에 취약한 부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강재 표시중 2L-125 × 125 × 6에서 6이 나타내는 뜻은?

  1. 수량
  2. 길이
  3. 높이
  4. 두께
(정답률: 59%)
  • 강재의 표시에서 2L-125 × 125 × 6에서 6은 두께를 나타냅니다. 이는 해당 강재의 두께가 6mm임을 의미합니다. 나머지 수량, 길이, 높이는 강재의 다른 크기를 나타내는 값이며, 두께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