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10-10)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2015-10-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축구조

1. 지붕물매 중 되물매에 해당하는 것은?

  1. 4㎝ 물매
  2. 5㎝ 물매
  3. 10㎝ 물매
  4. 12㎝ 물매
(정답률: 77%)
  • 지붕물매 중 되물매는 지붕의 경사각이 10도 이하인 경우에 사용되며, 이 때 필요한 물매의 크기는 10㎝이다. 따라서 정답은 "10㎝ 물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철근콘크리트 보의 중량은?

  1. 5184kg
  2. 518.4kg
  3. 2592kg
  4. 259.2kg
(정답률: 6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그림은 일반 반자의 뼈대를 나타낸 것이다. 각 기호의 명칭이 옳지 않은 것은?

  1. 가 - 달대받이
  2. 나 - 지붕보
  3. 다 - 달대
  4. 라 - 처마도리
(정답률: 79%)
  • 정답은 "라 - 처마도리"이다. 처마도리는 지붕의 끝을 덮는 부분으로, 이 그림에서는 지붕의 끝이 아닌 벽면과 연결되는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 기호는 처마도리가 아닌 벽면과 연결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벽면보"로 바꿔주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철근콘크리트구조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재의 크기와 형상을 자유자재로 제작할 수 있다.
  2. 내화성이 우수하다.
  3. 작업방법, 기후 등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균질한 시공이 가능하다.
  4. 철골조에 비해 내식성이 뛰어나다.
(정답률: 73%)
  •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작업방법, 기후 등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균질한 시공이 가능하다는 것이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시공할 때에도 기후나 작업환경 등에 따라 시공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시공할 때에는 적절한 작업환경과 기술력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목조 벽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평벽은 양식구조에 많이 쓰인다.
  2. 심벽은 한식구조에 많이 쓰인다.
  3. 심벽에서는 기둥이 노출된다.
  4. 꿸대는 평벽에 주로 사용한다.
(정답률: 72%)
  • "꿸대는 평벽에 주로 사용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평벽은 양식구조에서는 주로 사용되며, 심벽은 한식구조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심벽에서는 기둥이 노출되는 반면, 평벽에서는 기둥이 노출되지 않습니다. 꿸대는 평벽뿐만 아니라 심벽에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꿸대는 평벽에 주로 사용한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은 이유는 꿸대가 평벽뿐만 아니라 심벽에서도 사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 )에 알맞은 용어는?

  1. 인장력
  2. 압축력
  3. 휨모멘트
  4. 전단력
(정답률: 65%)
  • 이 그림에서는 물체가 위에서 아래로 압축되는 상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때 작용하는 힘은 아래쪽으로 향하는 압력입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압축력"이라는 용어가 알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최소피복두께의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철근의 부식방지
  2. 철근의 연성감소
  3. 철근의 내화
  4. 철근의 부착
(정답률: 64%)
  • 철근의 연성감소는 최소피복두께와 관련이 없습니다. 최소피복두께는 철근의 부식방지와 구조의 내화성능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철근의 연성감소"입니다. 철근의 연성감소는 시간이 지나면서 철근의 강도가 약해지는 현상으로, 구조물의 안전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콘크리트 설계기준 강도를 의미하는 것은?

  1. 콘크리트 타설 후 28일 인장 강도
  2. 콘크리트 타설 후 28일 압축 강도
  3. 콘크리트 타설 후 7일 인장 강도
  4. 콘크리트 타설 후 7일 압축 강도
(정답률: 76%)
  • 콘크리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도가 증가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28일이 지난 후의 압축 강도가 가장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설계기준 강도를 나타내는 것은 "콘크리트 타설 후 28일 압축 강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창호와 창호철물의 연결에서 상호 관련성이 없는 것은?

  1. 오르내리창 – 크레센트
  2. 여닫이문 - 도어체크
  3. 행거도어 – 실린더
  4. 자재문 - 자유경첩
(정답률: 70%)
  • 행거도어와 실린더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행거도어는 슬라이딩 도어이며, 실린더는 문을 잠그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이 둘은 상호 관련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보와 기둥 대신 슬래브와 벽이 일체가 되도록 구성한 구조는?

  1. 라멘구조
  2. 플랫슬래부 구조
  3. 벽식구조
  4. 셀구조
(정답률: 63%)
  • 벽식구조는 보와 기둥 대신 슬래브와 벽이 일체가 되도록 구성된 구조입니다. 이는 벽이 구조적인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외부에서 보이는 디자인적인 역할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벽식구조는 건축물의 안정성과 디자인적인 면에서 모두 우수한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횡력을 받는 벽을 지지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구조물은?

  1. 버트레스
  2. 커튼윌
  3. 타이바
  4. 컬럼밴드
(정답률: 67%)
  • 정답은 "버트레스"입니다. 버트레스는 수직으로 설치된 기둥과 수평으로 설치된 보들로 이루어진 구조물로, 횡력을 받는 벽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커튼윌은 벽체의 수직하중을 받는 구조물, 타이바는 지붕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 컬럼밴드는 기둥을 강화하기 위한 구조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스틸 하우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벽체가 얇기 때문에 결로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2. 공사기간이 짧고 자재의 낭비가 적다.
  3. 내부 변경이 용이하고 공간 활용이 효율적이다.
  4. 얇은 천장을 통해 방 사이의 차음이 문제가 된다.
(정답률: 80%)
  • "벽체가 얇기 때문에 결로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벽체가 얇을수록 외부와 내부의 온도차가 크게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습기가 발생하여 결로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스틸 하우스에서도 적절한 방식으로 수분 관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플레이트 보의 구성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커브플레이트
  2. 웨브플레이트
  3. 스티프너
  4. 데크플레이트
(정답률: 61%)
  • 플레이트 보는 구조물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커브플레이트와 웨브플레이트는 보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플레이트로, 스티프너는 보의 변형을 제한하여 강도를 높이는 요소입니다. 하지만 데크플레이트는 다른 요소들과는 달리 보의 하부에 위치하여, 보의 하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데크플레이트는 보의 구성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강제 계단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식 구조이다.
  2. 형태구성이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다.
  3. 철근콘크리트 계단에 비해 무게가 무겁다.
  4. 내화성이 부족하다.
(정답률: 68%)
  • 강제 계단은 철근콘크리트 계단에 비해 무게가 더 가볍습니다. 이는 강재의 밀도가 콘크리트보다 낮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철근콘크리트 계단에 비해 무게가 무겁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사각형 단면의 철근콘크리트 기둥에서 띠철근을 사용하는 가장 주된 목적은?

  1. 주근의 좌굴을 막기 위하여
  2. 주근 단면을 보강하기 위하여
  3.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4. 콘크리트의 수축 변형을 막기 위하여
(정답률: 71%)
  • 띠철근은 주근의 좌굴을 막기 위해 사용됩니다. 주근은 콘크리트의 압축에 강한 반면, 인장에는 약하기 때문에 띠철근을 사용하여 주근의 인장강도를 보강하고 좌굴을 막아 안정성을 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건축구조의 부재에 발생하는 단면력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풍하중
  2. 전단력
  3. 축방향력
  4. 휨모멘트
(정답률: 69%)
  • 풍하중은 건축물에 발생하는 외부하중으로, 구조물의 부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단면력의 종류가 아닙니다. 풍하중은 건축물의 안정성을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하중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목구조에서 버팀대와 가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가새의 경사는 45°에 가까울수록 유리하다.
  2. 가새는 하중의 방향에 따라 압축응력과 인장응력이 번갈아 일어난다.
  3. 버팀대는 가새보다 수평력에 강한 벽체를 구성한다.
  4. 버팀대는 기둥 단면에 적당한 크기의 것을 쓰고 따내기도 되도록 적게 한다.
(정답률: 54%)
  • 정답: "버팀대는 기둥 단면에 적당한 크기의 것을 쓰고 따내기도 되도록 적게 한다."

    버팀대는 가새보다 수평력에 강한 벽체를 구성한다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버팀대가 수평적인 힘을 받아서 그 힘을 수직적인 힘으로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버팀대는 수평력에 강한 벽체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버팀대는 기둥 단면에 적당한 크기의 것을 쓰고 따내기도 되도록 적게 하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버팀대는 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와 안정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따라서, 기둥 단면의 크기와 따내기의 양은 적절하게 결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기본벽돌(190×90×57㎜)로 벽체두께를 1.0B로 쌓을 때 그 두께로 옳은 것은?

  1. 90㎜
  2. 190㎜
  3. 210㎜
  4. 290㎜
(정답률: 76%)
  • 기본벽돌의 실제 크기는 190×90×57㎜ 이므로, 벽체두께 1.0B로 쌓을 때 벽체의 두께는 190㎜이 됩니다. 이는 기본벽돌의 가로(190㎜)와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9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벽돌조의 기초에서 ⓐ의 길이는 얼마정도가 가장 적당한가? (단, t는 벽두께)

  1. 1t
  2. 2t
  3. 3t
  4. 4t
(정답률: 71%)
  • 벽돌조의 기초에서 ⓐ의 길이가 2t일 때, 벽돌의 중심선이 기초 중심선과 일치하게 배치됩니다. 이는 벽돌의 무게가 균등하게 분산되어 기초에 가해지는 하중이 균일하게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만약 ⓐ의 길이가 1t이라면 벽돌의 중심선이 기초 중심선보다 한쪽으로 치우쳐져 하중이 불균일하게 전달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의 길이는 2t가 가장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트러스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점의 중심선과 트러스절점의 중심선은 가능한 일치시킨다.
  2. 항상 인장력을 받는 경사재의 단면이 가장 크다.
  3. 트러스의 부재중에는 응력을 거의 받지 않는 경우도 생긴다.
  4. 트러스의 부재의 절점은 핀접합으로 본다.
(정답률: 52%)
  • "항상 인장력을 받는 경사재의 단면이 가장 크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경사재가 인장력을 받을 때, 단면이 늘어나는 것을 고려한 것입니다. 즉, 인장력이 가장 큰 부분은 단면이 가장 큰 부분이기 때문에 항상 인장력을 받는 경사재의 단면이 가장 크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축재료

21. 테라코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장식용 점토 소성 제품이다.
  2. 건축물의 난간, 주두, 돌림띠 등에 사용된다.
  3. 일반 석재보다 무겁고 1개의 크기는 m3 이상이 적당하다.
  4. 복잡한 모양의 것은 형틀에 점토를 부어 넣어 만든다.
(정답률: 67%)
  • 테라코타는 일반 석재보다 가벼우며, 1개의 크기는 m3 이하가 적당하다. 따라서 "일반 석재보다 무겁고 1개의 크기는 m3 이상이 적당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운모계와 사문암계 광석으로 800~1000℃로 가열하면 부피가 5~6배로 팽창되며, 비중이 0.2~0.4인 다공질 경석으로 단열, 흡음, 보온 효과가 있는 것은?

  1. 부석
  2. 탄각
  3. 질석
  4. 펄라이트
(정답률: 64%)
  • 운모계와 사문암계 광석은 800~1000℃로 가열하면 부피가 팽창되어 다공질 경석이 되는데, 이때 비중이 0.2~0.4인 것은 질석입니다. 질석은 경량 다공질 석재로, 단열, 흡음, 보온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건축, 공업 등에서 다양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화재의 연소방지 및 내화성의 향상을 주목적으로 하는 재료는?

  1. 아스팔트
  2. 석면시멘트판
  3. 실링재
  4. 글라스 울
(정답률: 60%)
  • 석면시멘트판은 석면과 시멘트를 혼합하여 만든 내화성이 뛰어난 재료입니다. 또한, 화재 발생 시 연소방지 효과도 있어 화재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화재의 연소방지 및 내화성의 향상을 주목적으로 하는 재료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하중을 지속적으로 작용시켜 놓을 경우 하중의 증가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지속하중에 의해 시간과 더불어 변형이 증대하는 현상은?

  1. 액상화
  2. 블리딩
  3. 레이턴스
  4. 크리프
(정답률: 66%)
  • 크리프는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지속하중이 작용할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구조물의 변형이 증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수축과 관련이 있으며, 수축으로 인해 구조물 내부의 응력이 변화하고 이에 따라 구조물이 변형됩니다. 따라서 크리프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명과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시멘트의 일반적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멘트의 강도는 콘크리트의 강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2. 시멘트이 분발이 미세할수록 건조수축은 작아져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다.
  3. 시멘트와 물을 혼합시키면 포졸란 반응이 일어난다.
  4. 일반적으로 분말도가 큰 시멘트일수록 응결 및 강도의 증진율이 크다.
(정답률: 54%)
  • 일반적으로 분말도가 큰 시멘트일수록 응결 및 강도의 증진율이 크다. 이는 분말도가 크면 표면적이 작아져 물과의 반응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과 시멘트의 반응이 더욱 집중되어 응결과 강도가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결로(結露)현상 방지에 가장 적합한 유리는?

  1. 무늬유리
  2. 강화판유리
  3. 복층유리
  4. 망입유리
(정답률: 79%)
  • 복층유리는 내부와 외부 유리 사이에 공기층이 있어 열전도율이 낮아서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한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열경화성수지 중 건축용으로는 글라스섬유로 강화된 평판 또는 판상제품으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아크릴수지
  2. 폴리에스테르수지
  3. 염화비닐수지
  4. 폴리에틸렌수지
(정답률: 61%)
  • 글라스섬유와 폴리에스테르수지는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평판 또는 판상제품에 적합합니다. 아크릴수지는 내구성이 낮아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염화비닐수지와 폴리에틸렌수지는 강도가 낮아 건축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폴리에스테르수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소성이 커서 불이 필요 없다.
  2. 경화 시 수축률이 매우 크다.
  3. 수경성이므로 외벽 바름에 적당하다.
  4. 강알칼리성이므로 건조 후 바로 유성페인트를 칠할 수 없다.
(정답률: 46%)
  • "수경성이므로 외벽 바름에 적당하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돌로마이트 플라스터는 가소성이 크기 때문에 불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경화 시 수축률이 매우 크기 때문에 큰 면적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또한 강알칼리성이므로 건조 후 바로 유성페인트를 칠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수경성이 아니기 때문에 외벽 바름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목재 제품 중 일반건물의 벽 수장재로 사용되는 것은?

  1. 플로링 보드
  2. 코펜하겐 리브
  3. 파키트리 패널
  4. 파키트리 블록
(정답률: 72%)
  • 코펜하겐 리브는 일반건물의 벽 수장재로 사용되는 목재 제품 중 하나입니다. 이는 그만큼 내구성이 뛰어나고, 미적인 면에서도 우수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코펜하겐 리브는 특별한 가공 과정을 거쳐 만들어져서, 노후에도 변형이 적고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강재의 인장강도가 최대가 되는 온도는 대략 어느 정도인가?

  1. 0℃
  2. 150℃
  3. 250℃
  4. 500℃
(정답률: 70%)
  • 강재의 인장강도는 온도에 따라 변화하며,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강도가 감소합니다. 그러나 강재의 인장강도가 최대가 되는 온도가 있습니다. 이 온도를 보통 "최대 인장강도 온도" 또는 "크립 온도"라고 부릅니다. 이 온도는 강재의 내부 구조가 변화하여 인장강도가 최대가 되는 온도입니다.

    강재의 인장강도가 최대가 되는 온도는 강재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250℃ 정도입니다. 이유는 강재의 내부 구조가 이 온도에서 가장 안정화되기 때문입니다. 이 온도 이상에서는 강재의 내부 구조가 변화하면서 인장강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강재를 사용할 때는 이 최대 인장강도 온도를 고려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KS F 3126(치장 목절 마루판)에서 요구하는 치장 목질 마루판의 성능기준과 관련된 시험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내마모성
  2. 압축강도
  3. 접착성
  4. 포름알데히드 방산량
(정답률: 43%)
  • 압축강도는 치장 목질 마루판의 성능과 관련이 없는 시험항목입니다. 치장 목질 마루판은 주로 인테리어 재료로 사용되며, 압축력이 가해지는 경우가 매우 드뭅니다. 따라서 압축강도는 치장 목질 마루판의 성능과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화강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화성은 석재 중에서 가장 큰 편이다.
  2. 주요 광물은 석영과 장석이다.
  3. 콘크리트용 골재로도 사용된다.
  4. 구조재 및 수장재로 쓰인다.
(정답률: 56%)
  • "내화성은 석재 중에서 가장 큰 편이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내화성이란 불에 강한 성질을 말하는데, 화강암은 내화성이 매우 높아서 불에도 잘 타지 않고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구조재나 수장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목면, 마사, 양모, 폐지 등을 혼합하여 만든 원지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침투시킨 두루마리 제품 이름은?

  1. 아스팔트 루핑
  2. 아스팔트 싱글
  3. 아스팔트 펠트
  4. 아스팔트 프라이머
(정답률: 66%)
  • 아스팔트 펠트는 목면, 마사, 양모, 폐지 등을 혼합하여 만든 원지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침투시킨 두루마리 제품으로, 다른 보기들은 아스팔트를 사용하지만 펠트와는 다른 제품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재료와 그 사용용도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테라죠 – 벽, 바닥의 수장재
  2. 트래버틴 – 내벽 등의 수장재
  3. 타일 – 내외벽, 바닥의 수장재
  4. 테라코타 - 흡음재
(정답률: 80%)
  • 테라코타는 흡음재가 아니라 벽, 바닥의 수장재로 사용됩니다. 테라코타는 일종의 벽돌로, 건축물의 외벽, 내벽, 바닥 등에 사용되며 내구성이 뛰어나고 디자인적으로도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테라코타 - 흡음재"는 재료와 사용용도의 연결이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열전도율이 가장 낮은 것은?

  1. 콘크리트
  2. 목재
  3. 알루미늄
  4. 유리
(정답률: 65%)
  • 목재는 열전도율이 가장 낮은 것입니다. 이는 목재가 열을 전달하는 능력이 다른 재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입니다. 목재는 공기 중에 포함된 공극이 많아 열전도율이 낮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목재는 절연재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점토제품 중 타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기질 타일의 흡수율은 3% 이하이다.
  2. 일반적으로 모자이크타일은 건식법에 의해 제조된다.
  3. 클링커 타일은 석기질 타일이다.
  4. 도기질 타일은 외장용으로만 사용된다.
(정답률: 68%)
  • 도기질 타일은 내구성이 낮아 물에 잠기면 파손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내부 공간의 바닥재나 벽면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내부 공간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외부 공간의 바닥재나 벽면, 지붕 등 외장용으로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단열재의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열전도율이 높아야 한다.
  2. 흡수율이 낮고 비중이 작아야 한다.
  3. 내화성, 내부식성이 좋아야 한다.
  4. 가공, 접착 등의 시공성이 좋아야 한다.
(정답률: 75%)
  • 단열재는 열을 잘 전달하지 않는 재료이기 때문에 열전도율이 낮아야 합니다. 열전도율이 높으면 열이 재료를 통해 빠르게 전달되어 단열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열전도율이 높아야 한다."는 옳지 않은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결합재의 하나로서 미장 재료에 혼입하여 보강, 균열 방지의 역할을 하는 섬유질 재료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여물
  2. 골재
  3. 안료
(정답률: 72%)
  • 여물은 섬유질로 이루어져 있어 미장재료에 혼합되면 보강과 균열 방지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여물은 물에 잘 녹아 분해되기 때문에 환경 친화적인 재료입니다. 따라서 미장재료에 여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목재의 착색에 사용하는 도료 중 가장 적당한 것은?

  1. 오일스테인
  2. 연단도료
  3. 클리어 래커
  4. 크래오소트유
(정답률: 51%)
  • 오일스테인은 목재의 자연스러운 느낌을 유지하면서도 색상을 부드럽게 변화시키는데 적합한 도료입니다. 또한 목재 내부로 스며들어 보호 기능도 함께 수행하므로 목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목재의 착색에 가장 적합한 도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금속의 부식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판과 철판을 같이 사용하면 부식방지에 효과적이다.
  2. 산성인 흙속에서는 대부분의 금속재가 부식된다.
  3. 습기 및 수중에 탄산가스가 존재하면 부식작용은 한층 촉진된다.
  4. 철판의 자른 부분 및 구멍을 뚫은 주위는 다른 부분보다 빨리 부식된다.
(정답률: 70%)
  • 정답: "동판과 철판을 같이 사용하면 부식방지에 효과적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해설: 동판과 철판은 서로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동판과 철판을 같이 사용하면 오히려 부식이 더욱 심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축계획 및 제도

41. 실내공기오염의 종합적 지표가 되는 오염물질은?

  1. 먼지
  2. 산소
  3. 이산화탄소
  4. 일산화탄소
(정답률: 82%)
  • 실내공기오염의 종합적 지표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입니다. 이는 실내에서 인체의 호흡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오염물질 중 하나이며, 또한 실내공기의 질을 평가하는데 가장 적합한 지표입니다. 이산화탄소는 인체에 유해한 일산화탄소와는 달리, 실내공기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실내공기의 환기 부족으로 인해 증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농도는 실내공기오염을 평가하는데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대지에 이상전류를 방류 또는 계통구성을 위해 의도적이거나 우연하게 전기회로를 대지 또는 대지를 대신하는 전도체에 연결하는 전기적인 접속은?

  1. 접지
  2. 분기
  3. 절연
  4. 배전
(정답률: 84%)
  • 접지는 전기적인 안전을 위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로, 전기회로에서 발생하는 이상전류를 지면으로 흘려보내는 것을 말합니다. 이상전류가 지면으로 흐르면 인체에 미치는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전기기기나 전선 등의 부품에도 안정적인 전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지에 이상전류를 방류하거나 계통구성을 위해 전기적인 접속을 하는 것을 접지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건축제도에서 반지름을 표시하는 기호는?

  1. D
  2. R
  3. W
(정답률: 83%)
  • 건축제도에서 반지름을 표시하는 기호는 "R"입니다. 이는 반지름(radius)의 첫 글자를 따온 것으로, 직관적이고 간단한 표기법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엘리베이터가 출발 기준층에서 승객을 싣고 출발하여 각 층에 서비스 한 후 출발 기준층으로 되돌아와 다음 서비스를 위해 대기하는 데까지 총시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주행시간
  2. 승차시간
  3. 일주시간
  4. 가속시간
(정답률: 80%)
  • 일주시간은 엘리베이터가 출발 기준층에서 출발하여 각 층에 서비스를 하고 다시 출발 기준층으로 돌아와 대기하는데 걸리는 총 시간을 말합니다. 즉, 엘리베이터가 한 바퀴를 도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승객이 타고 내리는 승차시간과 엘리베이터가 가속하는 가속시간은 일주시간에 포함되지만, 주행시간은 일주시간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한식주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간의 융통성이 낮다.
  2. 가구는 부수적인 내용물이다.
  3. 평면은 실의 위치별 분화이다.
  4. 각 실이 마루로 연결된 조합 평민이다.
(정답률: 76%)
  • 한식주택은 공간의 융통성이 높은 구조로, 각 실이 마루로 연결되어 있어서 필요에 따라 공간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간의 융통성이 낮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계단실형 아파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거주의 프라이버시가 높다.
  2. 채광, 통풍 등의 거주 조건이 양호하다.
  3. 통행부 면적을 크게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4. 계단실에서 직접 각 세대로 접근할 수 있는 유형이다.
(정답률: 71%)
  • 통행부 면적을 크게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는 것은, 계단실형 아파트에서는 계단과 복도 등의 공간이 많아서 실제 거주 공간보다 더 많은 면적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아파트 전체 면적 대비 실제 거주 공간의 비율이 낮아지게 되어, 통행부 면적을 크게 차지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단면도에 표시되는 사항은?

  1. 반자높이
  2. 주차동선
  3. 건축면적
  4. 대지경계선
(정답률: 70%)
  • 단면도에 표시되는 사항은 건물의 구조와 형태, 공간의 배치 등이 있습니다. 이 중 "반자높이"는 건물의 높이를 나타내는데,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높이는 지면부터 지붕까지 측정합니다. 하지만 단면도에서는 지면과 지붕 사이의 중간 지점인 반자높이를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건물의 높이를 한 눈에 파악하기 쉽고, 건축 설계나 시공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주택공간의 배치계획에서 다른 공간에 비하여 프라이버시 유지가 가장 요구되는 곳은?

  1. 현관
  2. 거실
  3. 식당
  4. 침실
(정답률: 90%)
  • 침실은 개인적인 생활 공간으로, 개인의 휴식과 잠을 취하기 위한 공간입니다. 따라서 다른 가족 구성원들로부터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침실은 다른 공간에 비해 프라이버시 유지가 가장 요구되는 곳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투상도의 종류 중 X, Y, Z의 기본 축이 120°씩 화면으로 나누어 표시되는 것은?

  1. 등각 투상도
  2. 유각 투상도
  3. 이등각 투상도
  4. 부등각 투상도
(정답률: 70%)
  • 등각 투상도는 X, Y, Z 축이 120°씩 화면으로 나누어 표시되는 것입니다. 이는 각 축이 동일한 각도로 투영되기 때문에 등각 투상도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건축허가신청에 필요한 설계도서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배치도
  2. 평면도
  3. 투시도
  4. 건축계획서
(정답률: 69%)
  • 투시도는 건물의 외관을 보여주는 그림으로, 건축허가신청에 필요한 설계도서 중에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배치도는 대지 내 건물의 위치와 크기를 보여주는 그림이며, 평면도는 건물의 각 층의 구조와 크기를 보여주는 그림입니다. 건축계획서는 건물의 기본적인 정보와 설계의 목적, 방향성 등을 설명하는 문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사회학자 숑바르 드 로브(Chombard de lauw)의 주거면적 기준 중 한계기준으로 옳은 것은?

  1. 8m2/인
  2. 10m2/인
  3. 14m2/인
  4. 16.5m2/인
(정답률: 54%)
  • 정답은 "14m2/인"입니다.

    숑바르 드 로브는 주거면적 기준을 제시할 때, 인당 최소한 14m2의 공간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인간이 건강하게 생활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공간이라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기준을 넘지 못하는 주거공간은 인간의 건강과 안녕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것이죠.

    그래서 "8m2/인"과 "10m2/인"은 인간의 건강과 안녕을 위해 너무 작은 공간이며, "16.5m2/인"은 너무 큰 공간입니다. 따라서 "14m2/인"이 가장 적절한 기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건축제도의 치수 기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치수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마무리 치수로 표시한다.
  2. 치수 기입은 치수선을 중단하고 선의 중앙에 기입하는 것이 원칙이다.
  3. 치수의 단위는 밀리미터(mm)를 원칙으로 하며, 반드시 단위 기호를 명시하여야 한다.
  4. 치수 기입은 치수선에 평행하게 도면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을 수 있도록 기입한다.
(정답률: 62%)
  • 건축제도에서는 치수를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마무리 치수로 표시합니다. 이는 건축물을 실제로 건설할 때, 마무리 치수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건축제도에서는 마무리 치수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상세한 치수를 추가로 표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건물 각층 벽면에 호스, 노즐, 소화전 밸브를 내장한 소화전함을 설치하고 화재 시에는 호스를 끌어낸 후 화재 발생지점에 물을 뿌려 소화시키는 설비는?

  1. 드렌처설비
  2. 옥내소화전설비
  3. 옥외소화전설비
  4. 스프링클러설비
(정답률: 79%)
  •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각 층의 벽면에 호스, 노즐, 소화전 밸브가 내장되어 있어 화재 발생 시에는 호스를 끌어내어 화재 발생 지점에 물을 뿌려 소화시키는 설비를 옥내소화전설비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증기난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예열시간이 짧다.
  2. 한랭지에서는 동결의 우려가 적다.
  3. 증기의 현열을 이용하는 난방이다.
  4. 부하변동에 따른 실내 방열량의 제어가 곤란하다.
(정답률: 49%)
  • 증기난방은 증기를 이용하여 열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증기의 응축열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증기의 현열을 이용하여 난방을 한다. 따라서 "증기의 현열을 이용하는 난방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설명에 알맞은 통기 방식은?

  1. 각개통기방식
  2. 루프통기방식
  3. 회로통기방식
  4. 신정통기방식
(정답률: 83%)
  • 이 그림은 각 개별적인 공기 처리를 위해 각각의 공기 처리 장치에 연결된 각개통기방식을 보여줍니다. 각 개별적인 공기 처리를 위해 각각의 공기 처리 장치에 연결된 각개통기방식은 각각의 공기 처리 장치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며, 유지 보수 및 고장 시에도 다른 공기 처리 장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설명에 알맞은 형태의 종류는?

  1. 자연적 형태
  2. 현실적 형태
  3. 추상적 형태
  4. 이념적 형태
(정답률: 82%)
  • 이 그림은 실제로 존재하는 사물이나 현상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개념적인 것을 나타내는 추상적 형태의 그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제도용지 A2의 크기는 A0용지의 얼마 정도의 크기인가?

  1. 1/2
  2. 1/4
  3. 1/8
  4. 1/16
(정답률: 79%)
  • A0용지를 절반으로 잘라서 A1용지를 만들고, 다시 A1용지를 절반으로 잘라서 A2용지를 만듭니다. 즉, A2용지는 A0용지의 가로와 세로 길이가 각각 절반인 종이입니다. 따라서 A2용지의 면적은 A0용지의 면적의 1/4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주택의 다이닝 키친(dining kitche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면적 활용도가 높아 효율적이다.
  2. 주부의 가사 노동량을 줄일 수 있다.
  3. 소규모 주택에서는 적용이 곤란하다.
  4. 이상적인 식사 공간 분위기 조성이 어렵다.
(정답률: 70%)
  • "소규모 주택에서는 적용이 곤란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다이닝 키친은 주방과 식사 공간을 합쳐서 하나의 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공간 활용이 효율적이고 작은 주택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투시도법에 사용되는 용어의 표시가 옳지 않은 것은?

  1. 시점 : E.P
  2. 소점 : S.P
  3. 화면 : P.P
  4. 수평면 : H.P
(정답률: 66%)
  • 정답은 "소점 : S.P"입니다.

    투시도법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시점 (Viewpoint) : 관찰자가 위치한 지점을 의미합니다.
    - 화면 (Picture Plane) : 그림을 그리는 평면을 의미합니다.
    - 수평면 (Horizontal Plane) : 지면 또는 바닥을 의미합니다.
    - 소점 (Vanishing Point) : 수직선이 수평면과 만나는 점을 의미합니다.

    소점은 수직선이 수평면과 만나는 점을 의미하므로, "소점 : S.P"는 옳은 용어 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형태의 조화로서 황금비례의 비율은?

  1. 1 : 1
  2. 1 : 1.414
  3. 1 : 1.618
  4. 1 : 3.141
(정답률: 83%)
  • 황금비례는 두 개의 수를 나누었을 때, 두 수의 비율이 더 큰 수를 작은 수로 나눈 비율과 같은 경우를 말합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a+b)/a = a/b = 1.618... 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비율이 1:1인 경우보다 더 큰 비율인 1:1.618이 황금비례의 비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