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7-10)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2016-07-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축구조

1. 목구조 기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층건물의 상·하층 기둥이 길게 한 재로 된 것은 토대이다.
  2. 활주는 추녀뿌리를 받친 기둥이고, 단면은 원형과 팔각형이 많다.
  3. 심벽식 기둥은 노출된 형식을 말한다.
  4. 기둥의 형태가 밑둥부터 위로 올라가면서 점차 가늘어 지는 것을 흘림기둥이라 한다.
(정답률: 59%)
  • "중층건물의 상·하층 기둥이 길게 한 재로 된 것은 토대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오히려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상층의 무게를 하층으로 전달하여 지반에 안정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오히려 거짓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신축 이음(Expansion joint)을 설치해야 하는 위치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기존 건물과의 접합부분
  2. 저층의 긴 건물과 고층 건물의 접속부분
  3. 복잡한 평면부분의 교차부분
  4. 단면이 균일한 소규모의 바닥판 부분
(정답률: 67%)
  • 단면이 균일한 소규모의 바닥판 부분은 큰 변형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신축 이음을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건물의 변형이나 움직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부분이기 때문에 신축 이음을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반자구조의 구성부재로 잘못된 것은?

  1. 반자돌림대
  2. 달대
  3. 변재
  4. 달대받이
(정답률: 82%)
  • 반자구조의 구성부재로 "변재"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변재는 건축물의 구조체를 지탱하기 위한 기둥이나 기둥과 유사한 형태의 부재로, 반자구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반자돌림대, 달대, 달대받이는 반자구조의 구성부재에 해당하지만, 변재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구조형식 중 셸구조인 것은?

  1. 잠실 운동장
  2. 파리 에펠탑
  3. 서울 월드컵 경기장
  4.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정답률: 85%)
  •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는 셸구조입니다. 이는 건물의 외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 구조물이 건물의 무게를 지탱하는 구조입니다.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의 외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 구조물이 건물의 무게를 지탱하므로 셸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역학구조상 비내력벽에 포함되지 않는 벽은?

  1. 장막벽
  2. 칸막이벽
  3. 전단벽
  4. 커튼월
(정답률: 63%)
  • 역학구조상 비내력벽은 지진 등의 자연재해나 인위적인 충격에 대한 안전성을 보장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건축물 내부에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내력벽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내력벽 중에서도 전단력에 대한 안전성을 보장하는 벽이 전단벽입니다. 따라서 역학구조상 비내력벽에 포함되지 않는 벽은 전단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각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PC의 접합 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둥에 CFT를 적용한다.
  2. 초고층 골조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아웃리거(Out Rigger)를 설치한다.
  3. 프리스트레스구조(Pre-stressed)에서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강선에 미리 인장을 작용한다.
  4. 철골구조 접합부의 피로강도를 증진을 위해 고력볼트를 접합한다.
(정답률: 54%)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 PC의 접합 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둥에 CFT를 적용한다.
    여기서 "PC"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를 의미하고, "CFT"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Concrete Filled Tube)을 의미합니다. PC의 접합 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CFT를 적용한다고 되어 있는데, 이 문장은 구조적 설명으로는 잘못된 부분이 있습니다. PC 구조와 CFT 구조는 각각의 목적이 다릅니다. CFT는 강관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워 강성을 증가시키고, 주로 내진성과 압축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하지만, 이 문장이 PC 구조에서의 접합 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CFT를 적용한다고 언급한 것은 맞지 않는 표현입니다. PC의 접합 응력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접합부의 설계 개선이나 프리스트레싱 방법 등이 고려될 수 있지만, CFT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Chatgpt 설명입니다. 오류가 있을수 있으니 참고 부탁드려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철골구조의 플레이트 보에서 스티프너는 웨브의 무엇을 방지하는가?

  1. 처짐
  2. 좌굴
  3. 진동
  4. 블리딩
(정답률: 78%)
  • 스티프너는 웨브의 좌굴을 방지합니다. 이는 플레이트 보가 하중에 의해 좌우로 굽어지는 것을 말하며, 스티프너는 이러한 좌굴을 제어하여 보의 안정성을 유지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2개소의 개구부를 가진 조적식 구조에서 대린 벽으로 구획된 벽의 길이가 6m일 때 최대 개구부의 폭 합계로 옳은 것은?

  1. 6m
  2. 4m
  3. 3m
  4. 2m
(정답률: 71%)
  • 2개소의 개구부를 가진 조적식 구조에서 대린 벽으로 구획된 벽의 길이가 6m이면, 최대 개구부의 폭 합계는 3m이다. 이는 대린 벽의 중앙에 2개의 개구부를 배치하고, 각 개구부의 폭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때 3m이 되기 때문이다. 만약 개구부의 폭을 더 늘리면 대린 벽의 안정성이 감소하게 되므로 최대 개구부의 폭 합계는 3m이 최적의 선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I형강의 웨브를 톱니모양으로 절단한 후 구멍이 생기도록 맞추고 용접하여 구멍을 각 층의 배관에 이용하도록 한 보는?

  1. 트러스보
  2. 판보
  3. 래티스보
  4. 허니컴보
(정답률: 66%)
  • 해당 설명은 "허니컴보"가 톱니모양으로 절단된 I형강을 사용하여 구멍을 만들고 용접하여 각 층의 배관에 이용하는 보이기 때문입니다. "트러스보"는 삼각형 형태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보이고, "판보"는 단순한 판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보입니다. "래티스보"는 격자 형태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트러스의 종류 중 상현재와 하현재 사이에 수직재로 구성된 것은?

  1. 플랫 트러스
  2. 와렌 트러스
  3. 하우 트러스
  4. 비렌딜 트러스
(정답률: 47%)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 비렌딜 트러스는 상현재와 하현재 사이에 수직재가 구성된 트러스 구조입니다. 또한 대각선재는 빠질수도 있는 형태로, 각 결점은 강접합으로 이루어져 고층건물 최하층의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할때나 많은 힘을 받을 때 사용합니다.
    하우 트러스도 비슷하게 상현재와 하현재 사이 수직재와 대각선재가 있으며,

    문제에서는 대각선재가 빠졌으므로 4번 비렌딜 트러스가 답이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목구조의 부재 중 가새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벽체를 안정형 구조로 만든다.
  2. 구조물에 가해지는 수평력보다는 수직력에 대한 보강을 위한 것
  3. 힘의 흐름상 인장력과 압축력에 모두 저항 할 수 있다.
  4. 가새를 결손시켜 내력상 지장을 주면 안 된다.
(정답률: 60%)

  • 2번이 옳지 않은 이유는 가새의 주된 목적과 관련이 있습니다.

    가새는 구조물에 가해지는 수평력(예: 바람, 지진 등)에 저항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이는 구조물이 횡방향으로 변형되거나 붕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가새는 주로 횡력에 대한 보강을 담당합니다.

    반면, 수직력(예: 중력에 의한 하중, 상부 구조물의 무게 등)에 대한 보강은 주로 기둥, 벽체, 또는 슬래브 등의 요소들이 담당합니다.

    따라서 "구조물에 가해지는 수평력보다는 수직력에 대한 보강을 위한 것"이라는 설명은 잘못된 것입니다. 가새는 수평력에 저항하기 위한 요소이기 때문에 2번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Chatgpt 설명입니다. 오류가 있을수 있으니 참고 부탁드려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벽돌쌓기에서 처음 한 켜는 마구리쌓기, 다음 켜는 길이쌓기를 교대로 쌓는 것으로 통줄눈이 생기지 않으며 가장 튼튼한 쌓기법은?

  1. 영국식 쌓기
  2. 네덜란드식 쌓기
  3. 프랑스식 쌓기
  4. 미국식 쌓기
(정답률: 76%)
  • 영국식 쌓기는 벽돌을 겹치는 것이 아니라 벽돌 사이에 공간을 두고 쌓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쌓으면 벽돌이 서로 미끄러지지 않고 서로를 지탱하면서 튼튼한 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벽돌을 쌓을 때마다 벽돌을 회전시켜서 쌓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영국식 쌓기는 가장 튼튼한 쌓기법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보강콘크리트 블록조 단층에서 내력벽의 벽량은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는가?

  1. 10㎝/m2
  2. 15㎝/m2
  3. 20㎝/m2
  4. 25㎝/m2
(정답률: 66%)
  • 보강콘크리트 블록조 단층에서 내력벽은 구조적인 안전성을 위해 필요하다. 내력벽의 벽량은 벽의 높이와 너비, 그리고 벽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최소한 15㎝/m2 이상으로 설계된다. 이는 충분한 내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벽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15㎝/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강구조의 기둥 종류 중 앵글·채널 등으로 대판을 플랜지에 직각으로 접한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H형강기둥
  2. 래티스기둥
  3. 격자기둥
  4. 강관기둥
(정답률: 62%)
  • 격자기둥은 대판을 플랜지에 직각으로 접합한 앵글·채널 등의 기둥으로, 격자 모양의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그렇게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하중의 작용방향에 따른 하중분류에서 수평 하중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활하중
  2. 풍하중
  3. 수압
  4. 벽토압
(정답률: 53%)
  • 활하중은 수평적인 작용이 아닌 수직적인 작용으로서, 건물의 구조물에 대한 부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한 부하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수평 하중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현장치기 콘크리트 중 수중에서 타설하는 콘크리트의 최소 피복두께는?

  1. 60mm
  2. 80mm
  3. 100mm
  4. 12mm
(정답률: 64%)
  • 수중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수분과 염분 등의 영향을 받아 부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표면에는 최소한의 피복두께가 필요합니다. 국내 콘크리트 설계기준인 한국콘크리트학회 권고안에 따르면, 수중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최소 피복두께는 100m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창문이나 문 위에 걸쳐대어 상부에서 오는 하중을 받는 수평부재는?

  1. 인방돌
  2. 창대돌
  3. 문지방돌
  4. 쌤돌
(정답률: 70%)
  • 인방돌은 수평부재를 받는 데 적합한 돌로, 한쪽 면이 평평하고 다른 세 면이 모서리가 있는 직육면체 모양을 가지고 있어서 수평하게 쌓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창문이나 문 위에 걸쳐대어 상부에서 오는 하중을 받는 수평부재로 적합합니다.
  • 1. 인방돌 (Lintel)
    정의: 창문이나 문 위에 위치하여 상부에서 오는 하중을 지지하는 수평 부재입니다.
    용도: 창문, 문 또는 개구부 위에 설치되어 위에서 오는 하중을 지탱하고 개구부 아래쪽의 구조를 지지합니다.
    2. 창대돌 (Window Sill)
    정의: 창문 아래쪽에 위치하는 수평 부재로, 창문 하부에 설치되어 벽체에서 오는 하중을 지탱하거나 창문을 설치할 때 기초 역할을 합니다.
    용도: 창문 아래쪽에서 수직 하중을 지지하며 창문틀의 기초 역할을 합니다.
    3. 문지방돌 (Door Sill)
    정의: 문 아래쪽에 위치하는 수평 부재로, 문틀 아래에 설치되어 문을 지지합니다.
    용도: 문 아래쪽에서 수직 하중을 지지하며 문틀의 기초 역할을 합니다.
    4. 쌤돌 (Sill Stone)
    정의: 전통적인 건축에서 창문이나 문 아래에 위치하는 돌로, 창대돌이나 문지방돌과 유사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트러스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모든 방향에 대한 응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절점은 강접합으로만 이루어져야 한다.
  2. 풍하중과 적설하중은 구조계산 시 고려하지 않는다.
  3. 부재에 휨 모멘트 및 전단력이 발생한다.
  4. 구성부재를 규칙적인 3각형으로 배열하면 구조적으로 안정된다.
(정답률: 61%)
  • 트러스 구조는 구성부재를 규칙적인 3각형으로 배열하면 구조적으로 안정되는 구조이다. 이는 각 부재가 서로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여 모든 방향에 대한 응력을 전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성부재의 배열이 중요하며, 절점은 강접합으로만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부재에는 휨 모멘트 및 전단력이 발생하며, 풍하중과 적설하중은 구조계산 시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목재 반자구조에서 반자틀받이의 설치간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30㎝
  2. 50㎝
  3. 90㎝
  4. 150㎝
(정답률: 60%)
  • 목재 반자구조에서 반자틀받이의 설치간격은 주로 90㎝이 적절합니다. 이는 반자틀받이가 목재의 중앙에 위치하여 균형적인 하중분산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90㎝ 간격으로 설치하면 목재의 굽힘과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어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90㎝이 가장 적절한 설치간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목재의 접합에서 두 재가 직각 또는 경사로 짜여지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이음
  2. 맞춤
  3. 벽선
  4. 쪽매
(정답률: 62%)
  • 정답은 "맞춤"입니다.

    이유는 목재의 접합에서 두 재가 직각 또는 경사로 짜여지는 것을 "맞춤"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목재를 연결할 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며, 두 재를 정확하게 맞추어 연결함으로써 강한 구조를 만들어냅니다. 이와 달리 "이음"은 두 재를 서로 겹쳐서 연결하는 방법을 말하며, "벽선"은 벽을 세울 때 벽돌이나 돌을 일정한 간격으로 쌓는 방법을 말합니다. "쪽매"는 목재의 끝을 다듬어서 연결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축재료

21. 시멘트 저장 시 유의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멘트는 개구부와 가까운 곳에 쌓여 있는 것부터 사용해야 한다.
  2. 지상 30㎝ 이상 되는 마루 위에 적재해야 하며 그 창고는 방습설비가 완전해야 한다.
  3. 3개월 이상 저장한 시멘트 또는 습기에 노출된 시멘트는 반드시 사용 전에 재시험해야 한다.
  4. 포대에 들어 있는 시멘트는 13포대 이상 쌓으면 안 되며 특히 장기간 저장할 경우에는 7포대 이상 쌓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72%)
  • 정답: "시멘트는 개구부와 가까운 곳에 쌓여 있는 것부터 사용해야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설명: 시멘트는 개구부와 가까운 곳에 쌓여 있는 것이 먼저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시멘트는 FIFO(First In First Out) 원칙에 따라 먼저 들어온 것이 먼저 사용되어야 한다. 이는 시멘트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시멘트를 사용할 때는 먼저 들어온 것부터 사용하고, 새로운 시멘트는 뒤에 쌓아두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각 석재의 용도로 옳지 않는 것은?

  1. 화강암-외장재
  2. 점판암-지붕재
  3. 석회암-구조재
  4. 대리석-장식재
(정답률: 65%)
  • 석회암은 구조재로 사용하기에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보다 안정적인 구조재로는 화강암이나 점판암 등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콘크리트용 골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골재의 강도는 경화된 시멘트 풀의 최대 강도 이하이어야 한다.
  2. 골재의 표면은 거칠고, 모양은 원형에 가까운 것이 좋다.
  3. 골재는 잔 것과 굵은 것이 고루 혼합된 것이 좋다.
  4. 골재는 유해량 이상의 염분을 포함하지 않는 다.
(정답률: 58%)
  • "골재의 강도는 경화된 시멘트 풀의 최대 강도 이하이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은, 골재의 강도는 경화된 시멘트 풀의 최대 강도보다 높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골재의 강도가 높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M.D.F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톱밥, 나무 조각 등을 사용한 인공 목재이다.
  2. 고정철물을 사용한 곳은 재시공이 어렵다.
  3. 천연목재보다 강도가 작다.
  4. 천연목재보다 습기에 약하다.
(정답률: 53%)
  • M.D.F는 천연목재보다 강도가 작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M.D.F는 천연목재보다 강도가 높은 대체재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M.D.F는 톱밥, 나무 조각 등을 사용한 인공 목재이며, 고정철물을 사용한 곳은 재시공이 어렵고, 천연목재보다 습기에 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인조석에 사용되는 각종 안료로써 옳지 않은 것은?

  1. 트래버틴
  2. 황토
  3. 주토
  4. 산화철
(정답률: 52%)
  • 트래버틴은 인조석에 사용되는 안료 중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목재에서 힘을 받는 섬유소 간의 접착제 역할을 하는 것은?

  1. 도관세포
  2. 헤미셀룰로오스
  3. 리그닌
  4. 탄닌
(정답률: 56%)
  • 목재에서 힘을 받는 섬유소는 도관세포와 헤미셀룰로오스입니다. 이들 간의 접착제 역할을 하는 것은 리그닌입니다. 리그닌은 목재의 주요 성분 중 하나로, 도관세포와 헤미셀룰로오스를 결합시켜서 목재의 강도와 내구성을 높여줍니다. 탄닌은 가죽 제조에 사용되는 성분으로, 목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콘크리트, 모르타르 바탕에 아스팔트 방수층 또는 아스팔트 타일 붙이기 시공을 할 때의 초벌용 재료는?

  1. 아스팔트 프라이머
  2. 아스팔트 컴파운드
  3. 블로운 아스팔트
  4. 아스팔트 루핑
(정답률: 72%)
  • 아스팔트 프라이머는 콘크리트나 모르타르 바탕에 아스팔트 방수층 또는 아스팔트 타일 붙이기 전에 바탕면을 보호하고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입니다. 따라서 초벌용 재료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넓은 기계 대패로 나이테를 따라 두루마리를 펴듯이 연속적으로 벗기는 방법으로 얼마든지 넓은 베니어를 얻을 수 있고 원목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제조법은?

  1. 소드 베니어
  2. 로터리 베니어
  3. 반 로터리 베니어
  4. 슬라이스드 베니어
(정답률: 63%)
  • 로터리 베니어는 넓은 기계 대패에 원목을 고정시키고 회전시키면서 나이테를 따라 연속적으로 벗기는 방법으로 제조됩니다. 이 방법은 소드 베니어나 반 로터리 베니어와 달리 원목을 두루마리 형태로 벗기기 때문에 원목의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넓은 베니어를 얻을 수 있고 원목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석고보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식이 진행되지 않고 충해를 받지 않는다.
  2. 팽창 및 수축의 변형이 크다.
  3. 흡수로 인해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된다.
  4. 단열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60%)
  • 석고보드는 흡수로 인해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되지만, 옳지 않은 설명은 "팽창 및 수축의 변형이 크다"입니다. 이는 오히려 시멘트보드 등 다른 건축자재에 해당됩니다. 석고보드는 부식이 진행되지 않고 충해를 받지 않으며, 단열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목재의 심재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목질부 중 수심 부근에 있는 것을 말한다.
  2. 변형이 적고 내구성이 좋아 활용성이 높다.
  3. 오래된 나무일수록 폭이 넓다.
  4. 색깔이 엷고 비중이 적다.
(정답률: 68%)
  • 색깔이 엷고 비중이 적다는 설명이 잘못되었습니다. 이는 오히려 심재가 아닌 경재(근재)의 특징입니다. 심재는 경재보다 변형이 적고 내구성이 좋아 활용성이 높으며, 오래된 나무일수록 폭이 좁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건축재료의 강도구분에 있어서 정적강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압축강도
  2. 충격강도
  3. 인장강도
  4. 전단강도
(정답률: 65%)
  • 압축강도, 인장강도, 전단강도는 모두 정적강도에 해당합니다. 즉, 정적인 상태에서의 강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하지만 충격강도는 동적인 상태에서의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정적인 상태에서의 강도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따라서, 충격강도는 정적강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석재의 조직 중 석재의 외관 및 성질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조암광물
  2. 석리
  3. 절리
  4. 석목
(정답률: 61%)
  • 석리는 석재의 외관과 성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석리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석재의 색상, 질감, 경도, 내구성 등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석재의 품질을 판단할 때는 석리의 종류와 함량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10㎝ × 10㎝인 목재를 400kN의 힘으로 잡아당겼을 때 끊어졌다면 이 목재의 최대 인장 강도는?

  1. 4MPa
  2. 40MPa
  3. 400MPa
  4. 4000MPa
(정답률: 6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건축물의 내구성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으로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해풍
  2. 지진
  3. 화재
  4. 광택
(정답률: 83%)
  • 건축물의 내구성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으로 해당되지 않는 것은 "광택"입니다. 광택은 건축물의 내구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해풍, 지진, 화재는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성과 연관이 있으며, 내구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파티클보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변형이 적고 음 및 열의 차단성이 우수함
  2. 상판, 칸막이벽, 가구 등이 널리 사용됨
  3. 수분과 습도에 강하므로 별도의 방습 및 방수 처리가 불필요하다.
  4. 합판에 비해 휨강도는 떨어지나 면내 강성은 우수하다.
(정답률: 69%)
  • 수분과 습도에 강하므로 별도의 방습 및 방수 처리가 불필요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파티클보드는 합판에 비해 수분과 습도에 민감하며, 방습 및 방수 처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한중 콘크리트의 시공에 적합한 시멘트는?

  1. 조강 포틀랜트 시멘트
  2. 고로 시멘트
  3. 백색 포틀랜트 시멘트
  4. 플라이 애쉬 시멘트
(정답률: 62%)
  • 한중 콘크리트는 강도가 높은 콘크리트로, 조강 포틀랜트 시멘트는 강도가 높은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 적합한 시멘트입니다. 또한, 조강 포틀랜트 시멘트는 내구성이 뛰어나며, 환경에 강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한중 콘크리트의 시공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안전유리로서 판유리를 약600℃까지 가열하여 급냉시켜 만드는 유리는?

  1. 보통판유리
  2. 복층유리
  3. 무늬유리
  4. 강화유리
(정답률: 82%)
  • 안전유리로서 판유리를 가열하여 급냉시켜 만드는 유리는 강화유리입니다. 이는 가열과 급냉으로 인해 유리의 내구성과 강도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강화유리는 안전유리로서 차량, 건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길이가 5m인 생나무가 전건상태에서 길이가 4.5m로 변했다면 수축률은 얼마인가?

  1. 6%
  2. 10%
  3. 12%
  4. 14%
(정답률: 72%)
  • 수축률은 원래 길이에서 변화한 길이의 비율을 나타내는데, 이 경우에는 (5-4.5)/5 = 0.5/5 = 0.1 = 10% 이므로 정답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목재의 부패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적당한 온도
  2. 수분
  3. 목재의 밀도
  4. 공기
(정답률: 58%)
  • 목재의 밀도가 부패 조건과 거리가 먼 이유는, 밀도가 높을수록 목재 내부에 공기와 수분이 적게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공기와 수분은 목재 부패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밀도가 높을수록 이들이 적게 존재하므로 부패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집니다. 따라서 목재의 밀도가 부패 조건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시멘트 분말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분말도가 클수록 수화작용이 빠르다.
  2. 분말도가 클수록 초기강도의 발생이 빠르다.
  3. 분말도가 클수록 강도증진율이 빠르다.
  4. 분말도가 클수록 초기균열이 적다.
(정답률: 58%)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축계획 및 제도

41. 건축 형태의 구성 원리 중 일반적으로 규칙 적인 요소들의 반복으로 디자인에 시각적인 질서를 부여하는 통제된 운동감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리듬
  2. 균형
  3. 강조
  4. 조화
(정답률: 75%)
  • 리듬은 규칙적인 요소들의 반복으로 디자인에 시각적인 질서를 부여하는 원리이다. 건축 형태에서도 건축물의 구성 요소들이 일정한 간격과 패턴으로 반복되어 리듬을 형성하며, 이는 건축물의 시각적인 조화와 통제된 운동감각을 부여한다. 따라서, 정답은 "리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건축도면에 사용되는 글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숫자는 로마 숫자를 원칙으로 한다.
  2. 문장은 왼쪽에서부터 가로쓰기를 한다.
  3. 글자체는 수직 또는 15° 경사의 고딕체로 한다.
  4. 글자의 크기는 각 도면의 상황에 맞추어 알아보기 쉽게 한다.
(정답률: 67%)
  • 건축도면에서는 일반적으로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하며, 로마 숫자를 사용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나머지 항목들은 모두 건축도면에 사용되는 글자에 대한 적절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압력탱크식 급수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급수 공급 압력이 일정하다.
  2. 단수 시에 일정량의 급수가 가능하다.
  3. 전력 공급 차단 시에도 급수가 가능하다.
  4. 위생성 측면에서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다.
(정답률: 56%)
  • 압력탱크식 급수방식에서는 물을 미리 압력탱크에 저장해두기 때문에 단수 시에도 일정량의 급수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급수 공급 압력이 일정하지 않고, 전력 공급 차단 시에는 급수가 불가능하며, 위생성 측면에서는 다른 방식들에 비해 덜 이상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 압력탱크식 급수방식은 급수공급 압력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압력탱크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탱크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저장해두고, 급수가 필요할 때 탱크 내부의 압력을 이용하여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급수공급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단수 시에도 일정량의 급수가 가능합니다. 또한 전력 공급 차단 시에도 탱크 내부의 물을 이용하여 급수가 가능하며, 위생성 측면에서도 가장 이상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단면도에 표기되는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층높이
  2. 창대높이
  3. 부지경계선
  4. 지반에서 1층 바닥까지의 높이
(정답률: 68%)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의 아파트 평면형식 중 일조와 환기조건이 가장 불리한 것은?

  1. 홀형
  2. 집중형
  3. 편복도형
  4. 중복도형
(정답률: 58%)
  • 일조와 환기조건이 가장 불리한 아파트 평면형식은 "집중형"입니다. 이는 주거공간이 한 곳에 집중되어 있어서 다른 공간에 비해 일조와 환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또한, 집중형 아파트는 인테리어나 가구 배치 등으로 인해 공간 활용이 제한적이며, 쾌적한 생활환경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복층형 공동주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용 통로 면적을 절약할 수 있다.
  2. 상하층의 평면이 똑같아 평면 구성이 자유롭다.
  3. 엘리베이터의 정지 층수가 적어지므로 운영면에서 효율적이다.
  4. 1개의 단위 주거가 2개 층 이상에 걸쳐 있는 공동주택을 일컫는다.
(정답률: 60%)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직경 13㎜의 이형철근을 100㎜ 간격으로 배치 할 때 도면표시 방법은?

  1. D13 #100
  2. D13 @100
  3. Ø13 #100
  4. D13 @1000
(정답률: 77%)
  • 정답은 "D13 @100"입니다.

    - "D13 #100": # 기호는 직경을 나타내는 기호가 아니므로 오답입니다.
    - "D13 @100": @ 기호는 간격을 나타내는 기호이므로 정답입니다.
    - "Ø13 #100": Ø 기호는 직경을 나타내는 기호이지만, # 기호는 간격을 나타내는 기호가 아니므로 오답입니다.
    - "D13 @1000": 간격이 1000mm로 너무 크므로 오답입니다.

    따라서, "D13 @100"은 이형철근의 직경이 13mm이고 간격이 100mm인 것을 나타내는 도면표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각 실내의 입면으로 벽의 형상, 치수, 마감상세 등을 나타낸 도면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평면도
  2. 전개도
  3. 배치도
  4. 단면상세도
(정답률: 50%)
  • 각 실내의 입면을 나타내는 도면은 벽의 형상, 치수, 마감상세 등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정보들을 평면적으로 전개하여 나타낸 도면을 전개도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개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먼셀표색계에서 5R 4/14로 표시된 색의 명도는?

  1. 1
  2. 4
  3. 5
  4. 14
(정답률: 72%)
  • 먼셀표색계에서 숫자 앞의 "5R"은 색상을 나타내고, 숫자 뒤의 "4/14"는 색의 명도와 채도를 나타냅니다. 여기서 "4"는 명도를 나타내며, 숫자가 작을수록 어두운 색이므로 "4"는 상대적으로 어두운 명도를 가진 색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전력퓨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재투입이 불가능하다.
  2. 과전류에서 용단될 수도 있다.
  3. 소형으로 큰 차단용량을 가졌다.
  4. 릴레이는 필요하나 변성기는 필요하지 않다.
(정답률: 64%)
  • 릴레이는 전력퓨즈가 과전류 상황에서 차단될 때 자동으로 재투입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하며, 변성기는 전압을 변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력퓨즈 동작에 직접적으로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릴레이는 필요하나 변성기는 필요하지 않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투시도에 사용되는 용어의 기호 표시가 잘못된 것은?

  1. 화면- P.P
  2. 기선- G.L
  3. 시점- V.P
  4. 수평면- H.P
(정답률: 61%)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 투시도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기호의 올바른 대응은 다음과 같습니다:

    화면 (Picture Plane): P.P (맞음)
    기선 (Ground Line): G.L (맞음)
    소실점 (Vanishing Point): V.P (V.P는 소실점을 나타내며, 시점은 "S.P" 또는 "E.P"라고 합니다.)
    수평면 (Horizontal Plane): H.P (맞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LP가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중이 공기보다 크다.
  2. 발열량이 크며 연소 시에 필요한 공기량이 많다.
  3. 누설이 된다 해도 공기 중에 흡수되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다.
  4. 석유정제과정에서 채취된 가스를 압축냉각해서 액화시킨 것이다.
(정답률: 73%)
  • LP가스는 누설이 되어도 공기 중에 흡수되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LP가스는 공기보다 무거우므로 누설된 가스는 지면에 머무르게 되어 폭발이나 화재의 위험이 있으므로 적극적인 안전조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동선의 3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길이
  2. 빈도
  3. 방향
  4. 하중
(정답률: 5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그림의 치수기입 방법 중 틀린 것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81%)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프랑스의 사회학자 숑바르 드 로브가 설정한 주거면적기준 중 거주자의 신체적 및 정신적인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병리기준은?

  1. 8m2 이하
  2. 14m2 이하
  3. 16m2 이하
  4. 18m2 이하
(정답률: 61%)
  • 8m2 이하의 주거면적은 한 사람이 살기에 충분하지 않은 공간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작은 공간에서는 생활에 필요한 물건들을 보관하거나 움직이는 것이 제한되어 있어 신체적인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또한 좁은 공간에서 오랫동안 생활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스트레스 등이 정신적인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8m2 이하의 주거면적은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병리기준으로 설정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주택의 부엌에서 작업 삼각형(Work triangle)의 구성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냉장고
  2. 배선대
  3. 개수대
  4. 가열대
(정답률: 63%)
  • 주택의 부엌에서 작업 삼각형은 냉장고, 개수대, 가열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요리를 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세 가지 작업 공간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배선대는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공간으로 작업 삼각형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배선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도면에서 가장 굵은 선으로 표현해야 할 것은?

  1. 치수선
  2. 경계선
  3. 기준선
  4. 단면선
(정답률: 74%)
  • 단면선은 제품의 내부 구조와 형상을 나타내는 선으로, 제품의 기하학적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기 때문에 가장 굵은 선으로 표현해야 합니다. 치수선은 제품의 크기와 위치를 나타내는 선, 경계선은 제품의 외곽을 나타내는 선, 기준선은 제품의 부품 간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공기조화방식 중 이중덕트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혼합상자에서 소음과 진동이 발생
  2. 냉풍과 온풍으로 인한 혼합손실이 발생
  3. 전수방식이므로 냉·온수관 전기배선 등을 실내에 설치
  4. 단일덕트방식에 비해 덕트 샤프트 및 덕트 스페이스를 크게 차지
(정답률: 55%)
  • "전수방식이므로 냉·온수관 전기배선 등을 실내에 설치"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이중덕트방식은 냉·온풍을 따로 분리하여 전기배선 등을 실내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중덕트방식은 전수방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실내의 잔향시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것은?

  1. 실의 용적에 비례한다.
  2. 실의 흡음력에 비례한다.
  3. 일반적으로 잔향시간이 짧을수록 명료도는 높아진다.
  4. 음악을 주목적으로 하는 실의 경우는 잔향시간을 비교적 길게 계획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56%)
  • 잔향시간은 실의 흡음력에 반비례합니다. 즉, 실내의 흡음력이 높을수록 잔향시간은 짧아지게 됩니다. 흡음재가 많은 실에서는 소리가 빨리 흡수되므로 잔향시간이 줄어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1200형 에스컬레이터의 공칭 수송능력은?

  1. 4800인/h
  2. 6000인/h
  3. 7200인/h
  4. 9000인/h
(정답률: 55%)
  • 1200형 에스컬레이터는 1분당 1200명을 수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시간에는 1200명 x 60분 = 72,000명을 수송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12단계로 구성된 1200형 에스컬레이터는 일반적으로 75% 정도의 이용률을 가지므로, 실제로는 72,000명 x 0.75 = 54,000명을 수송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반올림하여 공칭 수송능력은 9000인/h로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