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4-17)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2011-04-1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재료 및 요소

1. 에너지 흡수 능력이 크고, 스프링 작용 외에 구조용 부재기능을 겸하고 있으며, 재료가공이 용이하여 자동차 현가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스프링은?

  1. 공기 스프링
  2. 겹판 스프링
  3. 코일 스프링
  4. 태엽 스프링
(정답률: 59%)
  • 겹판 스프링은 여러 개의 판을 겹쳐서 만든 스프링으로, 이 구조로 인해 에너지 흡수 능력이 크고 구조용 부재기능도 겸하며, 재료가공이 용이하여 자동차 현가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자동차용 신소재인 파인세라믹스(fine ceramics)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가볍다.
  2. 강도가 강하다.
  3. 내화학성이 우수하다.
  4. 내마모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39%)
  • 정답: "강도가 강하다."

    설명: 파인세라믹스는 가볍고 내화학성, 내마모성, 내열성이 우수하지만, 강도는 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파인세라믹스는 경량화가 필요한 자동차 부품에 적합하며, 충격이나 응력이 큰 부분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증기나 기름 등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위 또는 외부로부터 먼지 등의 오염물 침입을 막는데 주로 사용하는 너트는?

  1. 캡 너트(cap nut)
  2. 와셔붙이 너트(washer based nut)
  3. 둥근 너트(circular nut)
  4. 육각 너트(hexagon nut)
(정답률: 73%)
  • 캡 너트는 너트의 상단에 덮개 모양의 부분이 있어서 누출물이나 오염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캡 너트는 누출물이나 오염물이 많은 환경에서 사용되며, 보통 기계나 차량 등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에너지를 소멸하고 충격, 진동 등의 진폭을 경감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는?

  1. 차음재
  2. 로프(rope)
  3. 댐퍼(damper)
  4. 스프링(spring)
(정답률: 46%)
  • 댐퍼는 에너지를 흡수하고 진동을 경감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충격이나 진동을 줄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나사의 피치가 일정할 때 리드(lead)가 가장 큰 것은?

  1. 4줄 나사
  2. 3줄 나사
  3. 2줄 나사
  4. 1줄 나사
(정답률: 81%)
  • 리드(lead)란 나사 한 번 회전할 때 나사가 이동하는 거리를 말합니다. 따라서 피치가 일정하다면 리드가 가장 큰 나사는 나사의 전체 길이가 가장 긴 4줄 나사입니다. 4줄 나사는 나사의 전체 길이가 길어서 한 번 회전할 때 이동 거리가 가장 크기 때문에 리드가 가장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베어링의 재료가 구비할 성질이 아닌 것은?

  1. 가공이 쉬울 것
  2. 부식에 강할 것
  3. 충격하중에 강할 것
  4. 피로강도가 작을 것
(정답률: 71%)
  • 베어링은 회전 운동을 하는 부품으로, 매우 높은 속도와 부하를 견디기 때문에 피로강도가 높아야 합니다. 따라서 "피로강도가 작을 것"은 베어링의 재료가 구비할 성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항온 열처리 방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오스템퍼
  2. 시안화법
  3. 마퀜칭
  4. 마템퍼
(정답률: 59%)
  • 시안화법은 항온 열처리 방법이 아닙니다. 시안화법은 금속 표면에 시안화약을 도금하여 표면을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항온 열처리와는 전혀 다른 원리와 방법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시안화법은 이 보기에서 항온 열처리 방법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주조시 주형에 냉금을 삽입하여 주물 표면을 급냉시킴으로 백선화하고 경도를 증가시킨 내마모성 주철은?

  1. 보통주철
  2. 고급주철
  3. 합금주철
  4. 칠드주철
(정답률: 68%)
  • 주조시 주형에 냉금을 삽입하여 주물 표면을 급냉시킴으로 백선화하고 경도를 증가시킨 것은 칠드주철입니다. 칠드주철은 주철에 칠드라는 표면경화층을 형성하여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뛰어나며, 경도가 높아져 내구성이 향상됩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자동차 엔진 부품, 기계 부품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가스 질화법으로 강의 표면을 경화하고자 할 때 질화효과를 크게 하는 원소는?

  1. 코발트
  2. 니켈
  3. 마그네슘
  4. 알루미늄
(정답률: 28%)
  • 가스 질화법에서는 질화된 원소가 강의 표면에 코팅되어 경화되는데, 이때 질화효과를 크게 하는 원소는 질화물의 안정성과 용이성이 중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알루미늄은 안정성이 높고 질화물의 용이성이 좋아 가스 질화법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알루미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묻힘키(sunk key)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울기가 없는 평행 성크 키도 있다.
  2. 머리 달린 경사 키도 성크 키의 일종이다.
  3. 축과 보스의 양쪽에 모두 키 홈을 파서 토크를 전달시킨다.
  4. 대개 윗면에 1/5정도의 기울기를 가지고 있는 수가 많다.
(정답률: 54%)
  • "대개 윗면에 1/5정도의 기울기를 가지고 있는 수가 많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실제로는 대개 윗면에 1/5보다 적은 기울기를 가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1. 단면적이 20㎟인 어떤 봉에 100kgf의 인장하중이 작용할 때 발생하는 응력은?

  1. 2kgf/㎟
  2. 5kgf/㎟
  3. 20kgf/㎟
  4. 50kgf/㎟
(정답률: 71%)
  • 응력은 단면적에 인장하중을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100kgf을 20㎟으로 나눈 값을 계산하면 됩니다.

    100kgf = 1000N (1kgf = 9.81N)
    응력 = 1000N / 20㎟ = 50N/㎟

    하지만 문제에서 답을 kgf/㎟로 주어졌으므로, 위에서 구한 값을 다시 kgf로 변환해야 합니다.

    50N/㎟ = 50N / 9.81kgf ≈ 5.1kgf/㎟

    따라서, 가장 가까운 답은 "5kgf/㎟"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접촉면의 압력을 p, 속도를 v, 마찰계수가 μ일 때 브레이크 용량(brake capacity)을 표시하는 것은?

(정답률: 49%)
  • 브레이크 용량은 압력과 면적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브레이크 용량은 pA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A는 접촉면적입니다.

    마찰력은 μpA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브레이크 용량은 pA - μpA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를 정리하면 (1-μ)pA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내열강에서 내열성, 내마모성, 내식성 등을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대표적인 원소는?

  1. 크롬(Cr)
  2. 니켈(Ni)
  3. 티탄(Ti)
  4. 망간(Mn)
(정답률: 51%)
  • 크롬은 내열강에서 내열성, 내마모성, 내식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대표적인 원소입니다. 이는 크롬이 강철과 결합하여 크롬산화물을 형성하면서 강철의 표면을 보호하고 내식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입니다. 또한 크롬은 강철과 함께 결합하여 크롬카바이드를 형성하면서 내마모성을 증가시키기도 합니다. 따라서 내열강에서는 크롬이 중요한 첨가원소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나사산과 골이 같은 반지름의 원호로 이은 모양이 둥글게 되어 있는 나사는?

  1. 볼나사
  2. 톱니나사
  3. 너클나사
  4. 사다리꼴나사
(정답률: 35%)
  • 나사산과 골이 같은 반지름의 원호로 이어져 있어서 손으로 잡았을 때 편안하게 잡을 수 있는 모양이 너클나사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달리 원형이 아니거나, 손잡이 부분이 없어서 편안한 잡음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탄소강 중 함유되어 헤어크랙(hair crack)이나 백점을 발생하게 하는 원소는?

  1. 규소(Si)
  2. 망간(Mn)
  3. 인(P)
  4. 수소(H)
(정답률: 69%)
  • 탄소강은 탄소와 철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수소는 이 합금에서 헤어크랙과 백점을 발생시키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수소는 탄소강 내부에서 용해되어 있을 때, 고온 및 고압 상태에서 발생하는 화학반응으로 인해 탄소와 결합하여 탄화수소를 형성합니다. 이 과정에서 수소는 탄소강 내부에서 압력을 증가시키고 결정 구조를 파괴하여 헤어크랙과 백점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탄소강 중에서 헤어크랙과 백점을 발생시키는 원소는 수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일감에 회전 절삭운동을 주어 가공하는 공작기계는?

  1. 선반
  2. 드릴링 머신
  3. 밀링 머신
  4. 보링 머신
(정답률: 66%)
  • 선반은 회전 절삭운동을 이용하여 원통형 또는 원뿔형의 작업물을 가공하는 공작기계입니다. 작업물을 회전시키고, 회전 중인 작업물에 절삭도구를 가까이 대어 회전 절삭운동을 주어 가공합니다. 따라서 선반은 회전 절삭운동을 주어 가공하는 공작기계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윤활제 중 비산 및 유출되지 않고, 급유횟수가 적고 경제적이며, 사용온도 범위가 넓고, 장시간 사용에 적합한 것은?

  1. 극압 유
  2. 그리스
  3. 기계 유
  4. 스핀들 유
(정답률: 53%)
  • 그리스는 비산 및 유출되지 않고, 급유횟수가 적고 경제적이며, 사용온도 범위가 넓고, 장시간 사용에 적합한 윤활제입니다. 그리스는 고점도 윤활제로서,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긴 사용 시간 동안도 윤활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리스는 기계 부품의 마모를 방지하고 부식을 예방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그리스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선반가공에서 테이퍼 절삭 시 복식 공구대의 선회값은 얼마인가?

  1. 3
  2. 2
  3. 0.5
  4. 0.2
(정답률: 28%)
  • 복식 공구대의 선회값은 공구대의 회전 중심축과 작업물의 회전 중심축 사이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이 거리가 작을수록 작업물의 회전 중심축과 공구대의 회전 중심축이 가까워져서 테이퍼 절삭 시 정확한 가공이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선회값이 가장 작은 값인 "0.2"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길이가 짧은 가공물을 절삭하기 편리하며, 베드의 길이가 짧고, 심압대가 없는 경우가 많은 선반은?

  1. 터릿선반
  2. 릴리빙선반
  3. 정면선반
  4. 보통선반
(정답률: 40%)
  • 정면선반은 길이가 짧은 가공물을 절삭하기 편리하며, 베드의 길이가 짧고, 심압대가 없는 경우가 많아서 이에 적합한 선반입니다. 따라서 정면선반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선반에서 절삭속도가 20m/min로 지름 30㎜의 연강을 가공할 때, 스핀들의 회전수는 몇 rpm 정도인가?

  1. 132
  2. 477
  3. 212
  4. 666
(정답률: 55%)
  • 절삭속도(V) = π×지름×회전수(N)/1000 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N = V×1000/(π×지름) = 20×1000/(π×30) = 약 212 (rpm)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1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버니어 캘리퍼스(vernier callipers)에서 어미자의 한 눈금이 1㎜이고, 아들자의 눈금 19㎜를 20등분 한 경우 최소 측정치는 몇 ㎜ 인가?

  1. 0.01㎜
  2. 0.02㎜
  3. 0.05㎜
  4. 0.1㎜
(정답률: 46%)
  • 어미자의 한 눈금은 1㎜이므로, 아들자의 한 눈금은 1/20 = 0.05㎜이다. 따라서, 최소 측정치는 아들자의 한 눈금인 0.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그림에서 더브테일 ø10 핀을 이용하여 측정할 때 M의 길이는 약 얼마인가?

  1. 45.36㎜
  2. 60.65㎜
  3. 73.46㎜
  4. 94.56㎜
(정답률: 72%)
  • 그림에서 더브테일 ø10 핀을 이용하여 측정할 때 M의 길이는 AB와 BC의 합과 같습니다. AB의 길이는 45.36mm이고, BC의 길이는 28.1mm입니다. 따라서 M의 길이는 45.36mm + 28.1mm = 73.46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절삭가공을 위하여 기계를 운전하기 전에 점검하여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기계 작동면의 급유 상태
  2. 백래시와 공작 정밀도 검사
  3. 볼트, 너트 등의 풀림 상태
  4. 안전장치와 동력 전달 장치의 작동 상태
(정답률: 66%)
  • 백래시와 공작 정밀도 검사는 절삭가공을 위한 기계의 점검 사항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는 기계의 정확한 작동을 위한 조정 작업으로, 절삭가공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백래시와 공작 정밀도 검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밀링 절삭조건 중 테이블의 이송속도를 구하는 식은? (단, f는 테이블의 이송속도, fz는 커터의 절삭날 1개마다의 이송, z는 커터의 날수, n은 회전수이다.)

(정답률: 61%)
  • 정답은 "" 입니다.

    테이블의 이송속도(f)는 커터의 절삭날 1개마다의 이송속도(fz)와 커터의 날수(z), 회전수(n)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f = fz x z x n 입니다.

    보기 중 ""는 이 수식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수식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수식들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래핑(lapping)의 장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정밀도고 높은 제품을 가공할 수 있다.
  2. 가공면은 윤활성 및 내마모성이 좋다.
  3. 작업이 용이하고 먼지가 적다.
  4. 가공면이 매끈한 거울면을 얻을 수 있다.
(정답률: 60%)
  • 래핑은 가공면을 매끈하게 연마하는 과정으로, 작업이 용이하고 먼지가 적은 것은 장점이지만, 정밀도가 높은 제품을 가공할 수 있는 것과 가공면이 윤활성 및 내마모성이 좋은 것, 그리고 매끈한 거울면을 얻을 수 있는 것은 모두 래핑의 장점에 해당된다. 따라서, "작업이 용이하고 먼지가 적다."가 래핑의 장점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제도

26. 아래와 같은 구멍과 축의 끼워 맞춤에서 최대 틈새는?

  1. 0.018
  2. 0.023
  3. 0.050
  4. 0.027
(정답률: 75%)
  • 구멍과 축의 끼워 맞춤에서 최대 틈새는 구멍과 축의 가장 큰 차이인 0.1mm에서 구멍과 축의 최소 차이인 0.077mm를 뺀 값인 0.023mm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02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투상방법 설명 중 틀린 것은?

  1. 경사면부가 있는 대상물에서 그 경사면의 실형을 표시할 때에는 보조투상도로 나타낸다.
  2. 그림의 일부를 도시하는 것으로 충분한 경우에는 부분투상도로서 나타낸다.
  3. 대상물의 구멍, 홈 등 한 부분만의 모양을 도시하는 것으로 충분한 경우에는 그 필요한 부분만을 회전 투상도로서 나타낸다.
  4. 특정 부분의 도형이 작은 이유로 그 부분의 상세한 도시나 치수기입을 할 수 없을 때에는 부분 확대도로 나타낸다.
(정답률: 68%)
  • 정답은 "경사면부가 있는 대상물에서 그 경사면의 실형을 표시할 때에는 보조투상도로 나타낸다."입니다.

    대상물의 구멍, 홈 등 한 부분만의 모양을 도시하는 것으로 충분한 경우에는 그 필요한 부분만을 회전 투상도로서 나타내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는 대상물의 전체적인 형태를 파악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하므로 효율적입니다.

    경사면부의 경우에는 보조투상도를 사용하여 경사면의 실형을 표시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는 경사면의 각도와 크기 등을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경사면부가 있는 대상물에서 그 경사면의 실형을 표시할 때에는 보조투상도로 나타낸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끼워 맞춤에서 치수기입 방법으로 틀린 것은?

(정답률: 56%)
  • ""이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모두 "가로 x 세로 x 높이" 순서로 치수를 기입하고 있는데, ""은 "가로 x 높이 x 세로" 순서로 치수를 기입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스케치도를 작성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프리핸드법
  2. 방사선법
  3. 본뜨기법
  4. 프린트법
(정답률: 80%)
  • 방사선법은 스케치도를 작성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방사선법은 X선, 감마선 등을 이용하여 물체의 내부 구조를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스케치도를 작성하는 방법으로는 프리핸드법, 본뜨기법, 프린트법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가공에 사용하는 공구나 지그 등의 위치를 참고로 도시할 경우에 사용되는 선은?

  1. 굵은 파선
  2. 가는 2점 쇄선
  3. 가는 파선
  4. 굵은 1점 쇄선
(정답률: 60%)
  • 가공에 사용하는 공구나 지그 등의 위치를 참고로 도시할 경우에는 가는 2점 쇄선을 사용합니다. 이는 가공에 필요한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2개의 점이 일직선으로 연결된 형태로 표시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가공에 사용되지 않는 선 종류들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과 같이 원뿔을 경사지게 자른 경우의 전개 형태로 올바른 것은?

(정답률: 52%)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원뿔을 자르면서 생긴 모양이 사다리꼴 모양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다리꼴 모양으로 전개를 했을 때, 올바른 모양은 ""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사다리꼴 모양이 아니기 때문에 올바른 전개 형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치수기입 원칙 중 맞지 않는 것은?

  1. 치수는 되도록 주투상도에 집중한다.
  2. 치수는 가능한 중복 기입을 한다.
  3. 관련되는 치수는 되도록 한 곳에 모아서 기입한다.
  4. 치수와 함께 특별한 제작 요구사항을 기입할 수 있다.
(정답률: 87%)
  • 정답: "치수는 가능한 중복 기입을 한다."

    이유: 치수는 제품의 크기와 형태를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에, 가능한 중복 기입하여 정보의 정확성과 명확성을 높이는 것이 좋다. 이를 통해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나 혼란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한국 산업 표준 중 기계부문에 대한 분류 기호는?

  1. KS A
  2. KS B
  3. KS C
  4. KS D
(정답률: 88%)
  • 한국 산업 표준 중 기계부문에 대한 분류 기호는 "KS B"입니다. 이는 한국 산업 표준화원에서 기계 및 장비에 대한 표준화를 담당하는 부서가 "B" 부서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계와 관련된 표준은 "KS B"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줄무늬 방향의 기호에서 가공에 의한 커터의 줄무늬가 여러 방향으로 교차될 때 나타내는 기호는?

  1. R
  2. C
  3. F
  4. M
(정답률: 76%)
  • 가공에 의한 커터의 줄무늬가 여러 방향으로 교차될 때 나타내는 기호는 "M"입니다. 이는 Multiple direction을 의미하며, 여러 방향으로 교차된 줄무늬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Right, Cross, Forward를 나타내는데, 이들은 각각 오른쪽 방향, 교차 방향, 앞쪽 방향을 나타내기 때문에 여러 방향으로 교차된 줄무늬를 나타내는 "M"과는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길이가 50㎜인 축을 도면에 5:1 척도로 그릴 때 기입되는 치수로 옳은 것은?

  1. 10
  2. 250
  3. 50
  4. 100
(정답률: 55%)
  • 5:1 척도는 실제 길이를 5로 나눈 값이 도면상에 그려지는 길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축의 실제 길이인 50㎜을 5로 나눈 값인 10㎜이 도면상에 그려집니다. 따라서, 옳은 치수는 "10"이 아닌 "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리브(rib), 암(arm) 등의 회전도시 단면을 도형 내의 절단한 곳에 겹쳐서 나타낼 때 사용하는 선은?

  1. 굵은 실선
  2. 굵은 1점쇄선
  3. 가는 파선
  4. 가는 실선
(정답률: 40%)
  • 회전체의 단면을 나타낼 때는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가는 실선을 사용합니다. 굵은 실선은 일반적으로 외곽선이나 중심선 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굵은 1점쇄선은 숨겨진 선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가는 파선은 절단면이나 단면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지만, 회전체의 경우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정확하게 나타내기 어렵기 때문에 가는 실선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축의 끼워맞춤에 사용되는 IT공차의 급수에 해당하는 것은?

  1. IT 01 ~ IT 4
  2. IT 01 ~ IT 5
  3. IT 5 ~ IT 9
  4. IT 9 ~ IT 10
(정답률: 65%)
  • 축의 끼워맞춤에 사용되는 IT공차는 일정한 간격으로 증가하는 급수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IT 5부터 IT 9까지의 범위가 해당됩니다. IT 01부터 IT 4까지는 범위가 작아서 축의 끼워맞춤에 사용하기에는 너무 작고, IT 01부터 IT 5까지의 범위는 IT 5부터 IT 9까지의 범위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축의 끼워맞춤에 사용하기에는 너무 넓습니다. IT 9부터 IT 10까지의 범위는 IT 5부터 IT 9까지의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치수 보조기호 표시 중 의미가 잘못 표시된 것은?

  1. S∅ : 구의 지름
  2. SR : 구의 반지름
  3. C : 45° 모떼기
  4. (20) : 완성치수 20
(정답률: 86%)
  • 정답은 "C : 45° 모떼기"입니다. C는 모떼기를 나타내는 기호이며, 각도를 나타내는 기호는 °(도)입니다.

    (20)은 완성치수를 나타내는 기호로, 해당 부품이나 제품의 최종적으로 가져야 할 크기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20)이라는 표기가 있는 나사는 완성치수가 20mm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S∅는 구의 지름을 나타내는 기호이며, SR은 구의 반지름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주로 금형으로 생산되는 플라스틱 눈금자와 같은 제품 등에 제거 가공 여부를 묻지 않을 때 사용되는 기호는?

(정답률: 60%)
  • ""은 제거 가공이 필요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기호인데, 이는 눈금자와 같은 제품이 금형으로 생산되기 때문입니다. 금형으로 생산되는 제품은 이미 형태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가공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기호는 제거 가공이 필요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은 어떤 물체를 제3각법으로 투상하여 정면도와 우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평면도로 옳은 것은?

(정답률: 80%)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정면도와 우측면도를 보면, 물체의 윗면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물체가 어떤 모양인지 확실하게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평면도를 보면, 물체의 윗면이 보이기 때문에 물체가 원통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체의 모양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기하 공차의 기호 연결이 옳은 것은?

  1. 진원도 :
  2. 원통도 :
  3. 위치도 :
  4. 진직도 :
(정답률: 76%)
  • 정답은 "위치도 : " 입니다.

    기하 공차는 등차수열에서 각 항들의 차이를 말합니다. 위치도는 등차수열에서 첫째항과 n번째 항의 합을 나타내는데, 이 때 n은 등차수열의 항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위치도는 등차수열의 첫째항과 마지막 항의 합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는 등차수열의 합 공식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은 제3각법으로 투상한 투상도이다. 입체도로 알맞은 것은? (단, 화살표 방향이 정면도이다.)

(정답률: 77%)
  • 정답인 ""은 입체도 중에서도 정면에서 가장 잘 보이는 모습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투상도에서도 마찬가지로 정면에서 가장 잘 보이는 모습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각도에서의 입체도이므로 정면에서는 왜곡되어 보이거나 일부분만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한국산업표준에서 정한 도면에 사용하는 선 굵기의 기준이 아닌 것은?

  1. 0.18㎜
  2. 0.35㎜
  3. 0.75㎜
  4. 1㎜
(정답률: 48%)
  • 한국산업표준에서 정한 도면에 사용하는 선 굵기의 기준은 0.18㎜, 0.35㎜, 0.5㎜, 0.7㎜, 1㎜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이 아닌 것은 0.75㎜이다. 이유는 한국산업표준에서는 0.75㎜ 굵기의 선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등각 투상도에서 화살표 방향을 정면도로 할 경우 평면도로 올바른 것은?

(정답률: 77%)
  • 정면도에서 보면 두 개의 직선이 서로 교차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이는 두 개의 면이 서로 수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 올바른 평면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공차 기입의 표시방법 중 복수의 데이텀(datum)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정답률: 72%)
  • 복수의 데이텀을 표시하는 방법은 "" 입니다. 이유는 이 방법은 두 개 이상의 데이텀을 사용하여 부품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세 가지 방법은 각각 하나의 데이텀만 사용하므로, 부품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기어의 도시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어의 도면에는 주로 기어소재를 제작하는 데 필요한 치수만을 기입한다.
  2. 피치원 지름을 기입할 때에는 치수 앞에 PCR(Pitch Circle Radius)이라 기입한다.
  3. 요목표의 위치는 도시된 기어와 가까운 곳에 정한다.
  4. 요목표에는 치형, 모듈, 압력각 등 이의 가공에 필요한 사항을 기입한다.
(정답률: 59%)
  • "기어의 도면에는 주로 기어소재를 제작하는 데 필요한 치수만을 기입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기어의 도면에는 기어의 치형, 모듈, 압력각 등 기어의 형상과 가공에 필요한 모든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요목표에는 치형, 모듈, 압력각 등 이의 가공에 필요한 사항을 기입한다."라는 보기가 맞습니다.

    "피치원 지름을 기입할 때에는 치수 앞에 PCR(Pitch Circle Radius)이라 기입한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피치원 지름은 기어의 중심선과 기어의 치면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며, 이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피치원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피치원 지름을 나타낼 때에는 PCR이라는 약어를 사용하여 표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리벳 이음의 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1. 리벳은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표시하지 않는다.
  2. 얇은 판, 형강 등 얇은 것의 단면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3. 형판 또는 형강의 치수는 “호칭 지름×길이×재료”로 표시한다.
  4. 리벳의 위치만을 표시할 때에는 원 모두를 굵게 그린다.
(정답률: 47%)
  • 리벳은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표시하지 않는 이유는 리벳이 부품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부품의 크기나 형태와는 관계없이 단순히 위치만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리벳은 부품의 외형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부품의 조립을 위한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유체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구조의 밸브는?

  1. 안전 밸브
  2. 스톱 밸브
  3. 슬루스 밸브
  4. 체크 밸브
(정답률: 65%)
  • 체크 밸브는 유체가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구조의 밸브입니다. 이는 밸브 내부에 있는 이동 가능한 디스크나 플랩 등이 유체의 흐름 방향에 따라 열리고 닫힘으로써 구현됩니다. 따라서 유체가 역류하지 않도록 보호하는데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벨트 풀리의 도시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벨트 풀리는 축 직각방향의 투상을 주투상도로 할 수 있다.
  2. 벨트 풀리는 대칭형이므로 그 일부분만을 나타낼 수 있다.
  3. 암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하지 않는다.
  4. 암의 단면형은 도형의 안이나 밖에 부분단면으로 나타낸다.
(정답률: 41%)
  • 암의 단면형은 도시하지 않는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암의 단면형은 도시하여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암의 단면형은 도형의 안이나 밖에 부분단면으로 나타낸다."가 됩니다.

    암의 단면형은 보통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절단하여 나타내며, 이를 단면도라고 합니다. 이러한 단면도를 통해 암의 내부 구조나 형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암의 단면형은 도시하여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나사의 도시 방법에서 가는 실선으로 그려야 하는 것은?

  1.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선
  2. 수나사 및 암나사의 골
  3. 암나사의 안지름
  4. 수나사의 바깥지름
(정답률: 59%)
  • 나사의 도시 방법에서는 수나사와 암나사의 골을 그려야 합니다. 이는 나사의 완전 부와 불완전 부의 경계를 나타내며, 나사를 조립할 때 이 부분이 서로 맞물려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부분을 정확하게 그리지 않으면 나사가 제대로 조립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암나사의 안지름과 수나사의 바깥지름은 나사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시 방법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축의 도시방법 중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긴 축은 중간을 파단하여 짧게 그릴 수 있으며 치수는 실제의 길이를 기입한다.
  2. 축 끝의 모따기는 각도와 폭을 기입하되 60°모따기인 경우에 한하여 치수 앞에 “C"를 기입한다.
  3. 둥근 축이나 구멍 등의 일부 면이 평면임을 나타낼 경우에는 굵은실선의 대각선을 그어 표시한다.
  4. 축에 있는 널링(knurling)의 도시는 빗줄인 경우 축선에 대하여 45°로 엇갈리게 그린다.
(정답률: 64%)
  • 긴 축은 중간을 파단하여 짧게 그릴 수 있으며 치수는 실제의 길이를 기입한다. - 긴 축을 그릴 때는 그림이 너무 길어지지 않도록 중간을 파단하여 짧게 그릴 수 있습니다. 이때 치수는 실제 길이를 기입해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스프링에 관한 제도 설명 중 틀린 것은?

  1. 코일 스프링에서 코일 부분의 중간 부분을 생략하는 경우에는 생략하는 부분의 선 지름의 중심선을 가는 1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2. 하중 또는 처짐 등을 표시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선도 또는 항목표로 나타낸다.
  3. 도면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모두 오른쪽 감기로 도시한다.
  4. 벌류트 스프링은 원칙적으로 하중이 가해진 상태에서 그리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65%)
  • 정답: "벌류트 스프링은 원칙적으로 하중이 가해진 상태에서 그리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 벌류트 스프링은 하중이 가해진 상태에서 그리는 것이 원칙이다. 이는 스프링의 실제 사용 상황에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프링을 그릴 때에는 가능한 실제 상황과 유사하게 하중이 가해진 상태에서 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미터 사다리꼴 나사의 호칭지름 40㎜, 피치 7, 수나사 등급이 7e인 경우 옳게 표시한 방법은?

  1. TM40 × 7 - 7e
  2. TW40 × 7 - 7e
  3. Tr40 × 7 - 7e
  4. TS40 × 7 - 7e
(정답률: 67%)
  • 정답은 "Tr40 × 7 - 7e" 입니다.

    - "TM40 × 7 - 7e": "M"은 미터 나사를 의미하는데, 사다리꼴 나사는 "Tr"로 표기합니다.
    - "TW40 × 7 - 7e": "W"는 와이어드 나사를 의미하는데, 나사의 형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 "TS40 × 7 - 7e": "S"는 스퀘어 나사를 의미하는데, 나사의 형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사다리꼴 나사의 호칭지름 40㎜, 피치 7, 수나사 등급이 7e인 경우 "Tr40 × 7 - 7e"로 표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주어진 베어링 호칭에 대한 안지름 치수가 틀린 것은?

  1. 6312 → 안지름 치수 60㎜
  2. 6300 → 안지름 치수 10㎜
  3. 6302 → 안지름 치수 15㎜
  4. 6317 → 안지름 치수 17㎜
(정답률: 83%)
  • 베어링 호칭에서 첫 번째 숫자는 베어링의 타입을 나타내고, 두 번째 숫자는 베어링의 시리즈를 나타냅니다. 마지막 숫자는 안지름 치수를 나타내는데, 따라서 6317의 경우 안지름 치수는 17㎜이 아니라 85㎜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317 → 안지름 치수 1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스퍼 기어에서 피치원의 지름이 160㎜이고, 잇수가 40일 때 모듈(module)은?

  1. 2
  2. 4
  3. 6
  4. 8
(정답률: 89%)
  • 모듈(module)은 톱니바퀴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피치원의 지름을 잇수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모듈 = 피치원 지름 ÷ 잇수 = 160 ÷ 40 = 4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그림은 용접부의 기호 표시방법이다. (가)와 (나)애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그림 (가)의 실제 모양이다. (한쪽 용접)
  2. 그림 (나)의 실제 모양이다. (양쪽 용접)
  3. 그림 (가)는 화살표 쪽을 용접하라는 뜻이다.
  4. 그림 (나)는 화살표 반대쪽을 용접하라는 뜻이다.
(정답률: 56%)
  • 정답은 "그림 (가)는 화살표 쪽을 용접하라는 뜻이다."이다. 그림 (가)는 한쪽 용접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실제 모양은 이다. 그러나 그림 (나)는 양쪽 용접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실제 모양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CAD시스템에서 마지막 점에서 다음 점까지의 각도와 거리를 입력하여 선긋기를 하는 입력 방법은?

  1. 절대 직교좌표 입력방법
  2. 상대 직교좌표 입력방법
  3. 절대 원통좌표 입력방법
  4. 상대 극좌표 입력방법
(정답률: 69%)
  • 상대 극좌표 입력방법은 현재 위치에서 다음 점까지의 거리와 각도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기 때문에 입력이 간단하고 직관적이다. 따라서 이 방법이 CAD시스템에서 선긋기를 할 때 가장 효율적인 입력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입·출력 장치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입력장치 - 키보드, 라이트펜
  2. 출력장치 - 프린터, COM
  3. 입력장치 - 트랙볼, 태블릿
  4. 출력장치 - 디지타이저, 플로터
(정답률: 67%)
  • 출력장치인 디지타이저와 플로터는 입력장치와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출력장치이기 때문에, 입력장치인 키보드, 라이트펜, 트랙볼, 태블릿과는 연결이 잘못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컴퓨터에서 CPU와 주변기기 간의 속도차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두 장치 사이에 존재하는 보조 기억장치는?

  1. cache memory
  2. associative memory
  3. destructive memory
  4. nonvolatile memory
(정답률: 78%)
  • CPU와 주변기기 간의 속도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두 장치 사이에 존재하는 보조 기억장치는 "cache memory"입니다. 이는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두어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입니다. 즉, CPU가 데이터를 요청할 때 메인 메모리보다 빠르게 데이터를 제공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CAD시스템을 이용한 3차원 모델링 중 체적, 무게중심, 관성 모멘트 등의 물리적 성질을 구할 수 있는 것은?

  1. 와이어 프레임 모델링
  2. 서피스 모델링
  3. 솔리드 모델링
  4. 시스템 모델링
(정답률: 76%)
  • 솔리드 모델링은 3차원 모델링 중 가장 현실적인 모델링 방법으로, 물체의 내부와 외부를 모두 포함하는 실체 모델을 만들어 물리적 성질을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체적, 무게중심, 관성 모멘트 등의 물리적 성질을 구할 수 있습니다. 반면, 와이어 프레임 모델링은 선분으로만 물체를 표현하기 때문에 물리적 성질을 구하기 어렵고, 서피스 모델링은 표면만을 표현하기 때문에 내부 정보를 구할 수 없습니다. 시스템 모델링은 다양한 시스템의 동작을 모델링하는 것으로, 물리적 성질을 구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