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5-09)

네트워크관리사 1급
(2004-05-0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TCP/IP

1. TCP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IP는 데이터의 배달을 관장하고, TCP는 데이터 패킷을 추적 관리한다.
  2. 비연결 지향형 프로토콜이다.
  3. OSI 통신 모델에서 세션 계층에 속한다.
  4. 데이터 전송에 있어 신뢰성을 제공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TCP는 IP와 함께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로, 데이터의 패킷을 추적하고 관리하여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합니다. 이에 반해 IP는 데이터의 배달을 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IP는 데이터의 배달을 관장하고, TCP는 데이터 패킷을 추적 관리한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Windows 2000에서 호스트의 TCP/IP 설정을 확인하는데 사용되며 인터페이스가 패킷 수신을 대기 중인지 혹은 동작중인지의 여부와 현재 물리적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인터넷 주소 같은 정보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유틸리티는?

  1. ipconfig
  2. ping
  3. traceroute
  4. nslookup
(정답률: 50%)
  • ipconfig은 Windows 2000에서 호스트의 TCP/IP 설정을 확인하는 유틸리티입니다. 이를 사용하여 인터페이스가 패킷 수신을 대기 중인지 혹은 동작중인지의 여부와 현재 물리적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인터넷 주소 같은 정보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ipconfi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IP(Internet Protocol) : 인터넷을 통해 패킷을 한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이동시키는데 이용되는 연결형 데이터 전달 서비스를 제공한다.
  2.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호스트 서버와 인터넷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메시지를 제어하고 에러를 알려준다.
  3.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 두 호스트가 같은 물리적 네트워크 상에 있을 때 근원지 호스트가 목적지 호스트로 직접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4.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아직 자신의 인터넷 주소를 갖지 못한 호스트가 이를 얻도록 해준다.
(정답률: 46%)
  • 정답은 "IP(Internet Protocol) : 인터넷을 통해 패킷을 한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이동시키는데 이용되는 연결형 데이터 전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다. IP는 비연결형 데이터 전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패킷을 전송할 때 각 패킷이 독립적으로 처리되며, 패킷이 전송되는 순서와 관계없이 도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10.0.0.0/8 인 네트워크에서 115개의 서브넷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서브넷 마스크는?

  1. 255.0.0.0
  2. 255.128.0.0
  3. 255.224.0.0
  4. 255.254.0.0
(정답률: 24%)
  • 10.0.0.0/8 네트워크에서 115개의 서브넷을 만들기 위해서는 2의 7승보다 큰 128개의 서브넷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7비트를 서브넷 마스크로 사용해야 합니다. 255.254.0.0은 11111111.11111110.00000000.00000000 이므로 첫 번째 9비트는 네트워크 ID로 사용되고, 다음 7비트는 서브넷 ID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115개의 서브넷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서브넷 마스크는 255.254.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IP주소에서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호스트 어드레스를 구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2. 하나의 네트워크를 두 개 이상의 네트워크로 나눌 수 없다.
  3. 어드레스는 효율적으로 관리하나 트래픽 관리 및 제어가 어렵다.
  4. 불필요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제한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서브넷 마스크는 IP주소에서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호스트 어드레스를 구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하나의 네트워크를 두 개 이상의 네트워크로 나눌 수 있으며, 어드레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하여 트래픽 관리 및 제어가 가능하며, 불필요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제한할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IP Header Fields에 대한 내용 중 잘못된 것은?

  1. Version - 4 bits
  2. TTL - 16 bits
  3. Type of Service - 8 bits
  4. Header Length - 4 bits
(정답률: 알수없음)
  • TTL은 8 bits(1 byte)이며, 최대값은 255입니다. 따라서 "TTL - 16 bits"가 잘못된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라우터를 경유하여 다른 네트워크로 갈 수 있는 프로토콜은?

  1. NetBIOS
  2. NetBEUI
  3. IPX
  4. TCP/IP
(정답률: 64%)
  • TCP/IP는 인터넷 프로토콜이며, 라우터를 경유하여 다른 네트워크로 갈 수 있는 유일한 프로토콜입니다. NetBIOS, NetBEUI, IPX는 모두 로컬 네트워크에서만 작동하며, 라우터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로 전달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IP주소 할당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198.34.45.255는 개별 호스트에 할당 가능한 주소이다.
  2. 127.0.0.1은 로컬 루프백으로 사용되는 특별한 주소이다.
  3. 167.34.0.0은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대표 주소이므로 개별 호스트에 할당할 수 없다.
  4. 220.148.120.256은 사용할 수 없는 주소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198.34.45.255는 개별 호스트에 할당 가능한 주소이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이유는 IP 주소에서 마지막 숫자는 호스트 주소를 나타내는데, 255는 네트워크 주소로 예약되어 있기 때문에 개별 호스트에 할당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UDP(User Datagram Protocol)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TCP와는 달리 메시지를 패킷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재조립하는 것 등이 불가능하다.
  2. 도착하는 데이터의 패킷 순서를 제공하지 않는다.
  3. 교환해야할 데이터가 매우 적은 네트워크 응용프로그램을 만들 때 TCP보다 처리 속도가 빠르다.
  4. 오류를 검사하여 오류가 있을 때 송신측으로 재전송을 요구한다.
(정답률: 70%)
  • UDP는 오류를 검사하여 오류가 있을 때 송신측으로 재전송을 요구하지 않는다. 이는 UDP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ARP와 RARP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RARP는 로컬 디스크가 없는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시스템에도 사용된다.
  2. ARP는 IP데이터그램을 정확한 목적지 호스트로 보내기 위해 IP에 의해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3. RARP는 IP 주소를 알고 있는 상태에서 그 IP 주소에 대한 MAC 주소를 알아낼 때 사용한다.
  4. ARP와 RARP의 패킷 구조는 동일하다.
(정답률: 84%)
  • 정답은 "ARP와 RARP의 패킷 구조는 동일하다."이다.

    RARP는 IP 주소를 알고 있는 상태에서 그 IP 주소에 대한 MAC 주소를 알아낼 때 사용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로컬 디스크가 없는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ARP는 IP 데이터그램을 정확한 목적지 호스트로 보내기 위해 IP에 의해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ARP와 RARP의 패킷 구조는 서로 다르다. ARP 패킷은 목적지 MAC 주소와 송신자 MAC 주소, 목적지 IP 주소와 송신자 IP 주소를 포함하고, RARP 패킷은 목적지 MAC 주소와 송신자 MAC 주소, 목적지 IP 주소와 송신자 IP 주소를 포함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어드레스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어떤 특정 네트워크에 속한 모든 노드에 대하여 데이터 수신을 지시할 때 사용한다.
  2. 단일 호스트에 할당이 가능하다.
  3. 서브네트워크로 분할할 때 이용된다.
  4. 호스트의 Bit가 전부 ‘0’일 경우이다.
(정답률: 84%)
  • 브로드캐스트 어드레스는 어떤 특정 네트워크에 속한 모든 노드에 대하여 데이터 수신을 지시할 때 사용됩니다. 이는 네트워크 상의 모든 호스트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따라서 단일 호스트에 할당되는 것이 아니며, 서브네트워크로 분할할 때 이용되지 않습니다. 호스트의 Bit가 전부 '0'일 경우는 네트워크 주소를 나타내는 것이며, 브로드캐스트 어드레스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Telnet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원격지의 호스트에 접속하여 프로그램이나 파일을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 서비스 이다.
  2. TCP/IP를 기반으로 한다.
  3. 초기 ARPANET 서비스용으로 개발되었다.
  4. 사용하려는 호스트에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호스트를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82%)
  • "사용하려는 호스트에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호스트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Telnet은 원격지의 호스트에 접속하여 프로그램이나 파일을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 서비스로, 사용하려는 호스트에 로그인을 해야만 호스트를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OSI 7계층 표준 모델을 기초로한 TCP/I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 중 잘못 된 것은?

  1. 데이터 링크 계층 : OS의 네트워크 카드의 디바이스 드라이버 등 여기서는 하드웨어와 관련된 모든 것을 해결한다.
  2. 네트워크 계층 : 네트워크상의 패킷의 이동과 관련된 일을 하는데, IP가 이에 포함된다.
  3. 트랜스포트 계층 : 상위의 계층에서 볼 때 두 개의 호스트간의 자료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데 TCP와 UDP가 이에 포함된다.
  4. 프리젠테이션 계층 : 코드 체계가 다른 컴퓨터간의 코드 변환이나, 데이터 압축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정답률: 70%)
  • "데이터 링크 계층 : OS의 네트워크 카드의 디바이스 드라이버 등 여기서는 하드웨어와 관련된 모든 것을 해결한다." 이 설명이 잘못된 이유는 데이터 링크 계층은 하드웨어와 관련된 모든 것을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물리적인 네트워크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의 구성과 오류 제어 등의 기능을 담당하기 때문이다. 하드웨어와 관련된 문제는 물리 계층에서 처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멀티캐스트 라우터에서 멀티캐스트 그룹을 유지할 수 있도록 메시지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은?

  1. ARP
  2. ICMP
  3. IGMP
  4. FTP
(정답률: 85%)
  • IGMP는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십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하거나 탈퇴하는 등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십을 관리하여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멀티캐스트 라우터에서 멀티캐스트 그룹을 유지하기 위해 IGMP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ARP는 주소 해결 프로토콜,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인터넷의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로 맞지 않는 것은?

  1. TFTP : 68
  2. FTP : 21
  3. TELNET : 23
  4. FINGER : 79
(정답률: 60%)
  • TFTP의 포트 번호는 69이며, 68은 DHCP 클라이언트의 포트 번호이다. 따라서 "TFTP : 68"이 인터넷의 잘 알려진 포트로 맞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IP Address가 B 클래스이고 전체를 하나의 네트워크망으로 사용하여야 할 때, 적용해 주어야 하는 서브넷마스크(Subnet Mask)의 값은?

  1. 255.0.0.0
  2. 255.255.0.0
  3. 255.255.255.0
  4. 255.255.255.255
(정답률: 64%)
  • B 클래스 IP 주소는 첫 번째 2 옥텟(16비트)이 네트워크 ID를 나타내고, 마지막 2 옥텟(16비트)이 호스트 ID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전체를 하나의 네트워크망으로 사용하려면 서브넷마스크의 첫 번째 2 옥텟은 모두 1로 설정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정답은 "255.255.0.0" 입니다.

    - "255.0.0.0": A 클래스 IP 주소의 서브넷마스크
    - "255.255.0.0": B 클래스 IP 주소의 서브넷마스크
    - "255.255.255.0": C 클래스 IP 주소의 서브넷마스크
    - "255.255.255.255":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나타내는 서브넷마스크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7.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할당할 때 적용되는 규칙으로 잘못된 것은?

  1. 같은 네트워크 구획상의 호스트는 똑같은 네트워크 ID를 갖는다.
  2. 네트워크 구획상의 각 호스트는 유일한 호스트 IP 어드레스를 갖는다.
  3. 네트워크 ID가 ‘127’로 시작하는 주소는 공인 IP 어드레스로 할당 받을 수 없다.
  4. 네트워크 ID의 비트(bit)가 모두 ‘1’일 때는 지역 네트워크(Local Network)를 의미한다.
(정답률: 60%)
  • "네트워크 ID의 비트(bit)가 모두 ‘1’일 때는 지역 네트워크(Local Network)를 의미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네트워크 ID의 비트(bit)가 모두 ‘1’일 때는 해당 네트워크 ID가 예약된 주소 중 하나인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주소는 호스트 ID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HDLC 커맨드 응답 중 감독 프레임(Supervisory Frame)이 아닌 것은?

  1. Receive Ready(RR)
  2. Disconnect(DISC)
  3. Receive Not Ready(RNR)
  4. Selective Reject(SREJ)
(정답률: 55%)
  • HDLC 프로토콜에서 감독 프레임은 데이터 전송 중 오류 제어 및 흐름 제어를 위해 사용됩니다. "Receive Ready(RR)", "Receive Not Ready(RNR)", "Selective Reject(SREJ)" 모두 감독 프레임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Disconnect(DISC)"는 연결 종료를 위한 프레임으로, 감독 프레임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Disconnect(DIS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광섬유의 특징 중 잘못된 것은?

  1. 광섬유 표면에 상처가 있을 때 파단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2. 광부품의 제조에 미세 가공이 요구되며 접속이 어렵다.
  3. 광중계기의 전원 공급은 코어를 이용함으로 편리하다.
  4. 손실 및 분산 현상이 생길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광중계기의 전원 공급은 코어를 이용함으로 편리하다는 것은 올바른 특징입니다. 이는 광섬유의 코어를 통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SHDSL의 기술적 특성이 아닌 것은?

  1. 유연성
  2. 경제성
  3. 전송거리 확대
  4. 낮은 데이터 전송률
(정답률: 55%)
  • SHDSL은 대역폭이 고정되어 있어 낮은 데이터 전송률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SHDSL은 유연성과 경제성이 뛰어나며, 전송거리를 확대할 수 있는 기술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낮은 데이터 전송률"은 SHDSL의 기술적 특성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세션계층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1. 대화제어
  2. 데이터변환
  3. 데이터 압축
  4. 암호화
(정답률: 알수없음)
  • 세션계층에서 제공하는 기능 중 "대화제어"는 세션을 설정, 유지, 종료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이는 통신 상대와의 대화를 제어하며, 세션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대화제어"가 세션계층에서 제공하는 기능 중 하나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패킷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 된 것은?

  1. 데이터와 흐름제어 신호가 포함된 비트들의 그룹이다.
  2. TTL은 패킷이 네트워크 내에서 너무 오래 있어서 버려져야 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3. 패킷은 옵션에 따라 52, 64, 128, 256 바이트 등의 크기를 가진다.
  4. 패킷의 일반적인 표준 크기는 64 바이트이다.
(정답률: 40%)
  • 패킷의 일반적인 표준 크기는 64 바이트가 아니라, 네트워크와 프로토콜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프로토콜에서는 64 바이트보다 작은 패킷도 있고, 더 큰 패킷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패킷의 일반적인 표준 크기는 64 바이트이다"는 설명은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기가비트이더넷(Gigabit Ethernet)의 특징 중 잘못된 것은?

  1. IEEE 803.3에 표준으로 정의되어 있다.
  2. 전송방식으로 기존 이더넷상의 CSMA/CD를 그대로 사용한다.
  3. 기존 이더넷상의 전송 속도를 초당 1기가비트까지 향상시킨 것이다.
  4. 기업의 백본(Backbone)망으로도 사용된다.
(정답률: 28%)
  • 잘못된 것은 "전송방식으로 기존 이더넷상의 CSMA/CD를 그대로 사용한다." 이다. 기가비트 이더넷은 전송방식으로 CSMA/CD 대신에 전이중(Full-duplex) 전송 방식을 사용한다. 이는 충돌을 감소시키고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IEEE 803.3은 이더넷의 표준을 정의하는 국제 표준화 기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전송부호의 표준부호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ASCⅡ
  2. BAUDOT
  3. BIT
  4. EBCDIC
(정답률: 54%)
  • ASCⅡ, BAUDOT, EBCDIC은 모두 전송부호의 표준부호이지만, BIT은 표준부호가 아닙니다. BIT는 단순히 0과 1로 이루어진 이진수를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데이터를 53 바이트의 셀 또는 패킷으로 나눈다.
  2. 소프트웨어보다는 하드웨어로 더 쉽게 구현되도록 설계되었다.
  3. 동기식 전송 모드를 사용한다.
  4. BISDN(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의 핵심 기술 중 하나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ATM은 동기식 전송 모드를 사용하지 않는다. ATM은 비동기식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는 데이터의 크기와 상관없이 일정한 크기의 셀로 나누어 전송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ATM은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며, BISDN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이다. 또한 하드웨어로 구현되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ARQ 중 에러가 발생한 블록 이후의 모든 블록을 재전송하는 방식은?

  1. Go-back-N ARQ
  2. Stop-and-Wait ARQ
  3. Seletive ARQ
  4. Adaptive ARQ
(정답률: 46%)
  • Go-back-N ARQ은 에러가 발생한 블록 이후의 모든 블록을 재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이전에 전송한 모든 블록을 다시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효율성이 떨어지지만, 전송 중 에러가 발생한 블록 이후의 모든 블록을 재전송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Go-back-N ARQ이 정답입니다. Stop-and-Wait ARQ는 한 번에 하나의 블록만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확인 응답을 받은 후에 다음 블록을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Seletive ARQ는 에러가 발생한 블록만 재전송하는 방식이며, Adaptive ARQ는 전송 환경에 따라 전송 방식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LAN 관련 표준안과 그 내용이 다르게 짝지어진 것은?

  1. IEEE 802.2 - LLC
  2. IEEE 802.3 - CSMA/CD
  3. IEEE 802.5 - Token Bus
  4. IEEE 802.6 - MAN
(정답률: 알수없음)
  • IEEE 802.5 - Token Bus는 다른 세 가지 표준안과는 달리 토큰 패싱 방식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충돌을 방지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방식은 네트워크에 하나의 토큰이 순환하며, 토큰을 가진 컴퓨터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합니다. 따라서 충돌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NOS

28. Windows 2000의 하드 디스크 관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미러 세트는 데이터를 인터넷상의 해커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기능이다.
  2. 명령 프롬프트에서 convert 명령을 사용하면 데이터의 손상 없이 FAT를 NTFS로 바꿀 수 있다.
  3. 볼륨세트는 작은 빈 공간들을 모아 하나의 큰 논리 드라이브를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4. 확장 분할 영역을 지우려면 먼저 확장 분할 영역내의 논리 드라이브를 모두 삭제해야 한다.
(정답률: 55%)
  • "미러 세트는 데이터를 인터넷상의 해커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기능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미러 세트는 하드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두 개 이상의 디스크에 복제하여 데이터의 안정성을 높이는 기능이다. 인터넷상의 해커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방화벽 등의 보안 기능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Windows 2000 Server에서 서버의 이름이 “SERVER"이고 인터넷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익명으로 엑세스하여 이용하고자 할 때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계정명은?

  1. IUSR_SERVER
  2. VUSR_SERVER
  3. IWAM_SERVER
  4. Guest_SERVER
(정답률: 37%)
  • Windows 2000 Server에서 인터넷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익명으로 엑세스하여 이용하고자 할 때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계정명은 "IUSR_SERVER"입니다. 이는 Internet Information Services (IIS)에서 사용되는 기본 익명 사용자 계정으로, IIS가 웹 페이지 및 기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때 사용됩니다. "VUSR_SERVER"와 "IWAM_SERVER"는 IIS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유형의 계정이며, "Guest_SERVER"는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MS-SQL Server 2000에서 데이터를 백업하려고 할 때 백업의 내용과 설명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풀백업 - 데이터 전체를 백업하는 것이다. 다른 방법의 백업을 하기 전에 풀백업을 먼저 해주어야 한다.
  2. 트랜잭션 로그 백업 - 트랜잭션 로그만을 백업한 후 로그를 절단한다.
  3. 디퍼런셜 백업 - 마지막 풀 백업이후 변경된 데이터 페이지를 백업한다.
  4. 파일/파일그룹백업 - 데이터베이스의 전체 로그를 백업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파일/파일그룹백업 - 데이터베이스의 전체 로그를 백업 한다."

    파일/파일그룹백업은 데이터베이스의 파일이나 파일 그룹을 백업하는 것이며, 전체 로그를 백업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내용과 설명이 잘못 연결된 것이다.

    파일/파일그룹백업은 데이터베이스의 파일이나 파일 그룹을 백업하기 때문에, 백업 후에는 데이터베이스의 일부만 복원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데이터베이스를 복원하려면 풀백업과 트랜잭션 로그 백업을 함께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리눅스에서 “gzip”의 압축해제 옵션은?

  1. -a
  2. -d
  3. -l
  4. -v
(정답률: 알수없음)
  • "-d" 옵션은 gzip으로 압축된 파일을 해제하는 옵션입니다. "d"는 "decompress"의 약자이며, gzip으로 압축된 파일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d"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DNS가 URL ‘icqa.or.kr'을 IP Address ‘192.168.0.1'로 서비스하고 있을 때 DNS 설정 항목을 수정하여 ‘test.icqa.or.kr’로 외부에 서비스할 수 있는 방법은?

  1. DNS MX레코드를 추가한다.
  2. DNS A레코드를 추가한다.
  3. DNS REVERSE영역을 추가한다.
  4. 서비스 할 수 없다.
(정답률: 30%)
  • 서비스 할 수 없다.

    DNS는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icqa.or.kr’ 도메인 이름에 대한 IP 주소가 ‘192.168.0.1’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test.icqa.or.kr’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IP 주소를 할당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는 사설 IP 주소인 ‘192.168.0.1’이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서비스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Windows 2000 서버에서 감사정책을 설정하고 기록을 남길 수 있는 그룹은?

  1. Administrators
  2. Security Operators
  3. Backup Operators
  4. Audit Operators
(정답률: 50%)
  • Windows 2000 서버에서 감사정책을 설정하고 기록을 남길 수 있는 그룹은 "Administrators" 입니다. 이는 서버의 모든 기능과 설정을 관리할 수 있는 최상위 권한 그룹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그룹들은 보안, 백업, 감사 등 특정 작업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만, 감사정책 설정과 기록은 서버 전반에 걸쳐 이루어지므로 최상위 권한 그룹인 "Administrators"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SQL문인 “SELECT * FROM 영업부;”의 의미로 옳은 것은?

  1. 영업부 테이블에서 첫번째 레코드의 모든 필드를 검색하라.
  2. 영업부 테이블에서 마지막 레코드의 모든 필드를 검색하라.
  3. 영업부 테이블에서 전체 레코드의 모든 필드를 검색하라.
  4. 영업부 테이블에서 ' * ' 값이 포함된 레코드의 모든 필드를 검색하라.
(정답률: 80%)
  • "SELECT * FROM 영업부;"는 영업부 테이블에서 전체 레코드의 모든 필드를 검색하라는 의미이다. '*'는 모든 필드를 의미하며, SELECT 문에서는 어떤 필드를 선택할 것인지를 나타내는데, '*'를 사용하면 모든 필드를 선택하겠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이 SQL문은 영업부 테이블에서 모든 레코드의 모든 필드를 검색하겠다는 의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리눅스에서 Windows 시스템과 리눅스 간에 파일 및 프린트 공유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데몬은?

  1. Winshare
  2. Samba
  3. Silk
  4. NTlink
(정답률: 알수없음)
  • Samba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Windows 시스템과 파일 및 프린트 공유 등을 할 수 있게 해주는 데몬입니다. 따라서 Samba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IP주소를 NetBIOS 컴퓨터 이름으로 풀이하는데 사용되며, 텍스트 에디터를 이용하여 편집할 수 있는 파일은?

  1. LMHOSTS
  2. HOSTS
  3. BOOTP
  4. NetBEUI
(정답률: 알수없음)
  • LMHOSTS 파일은 IP주소와 NetBIOS 컴퓨터 이름을 매핑하는 파일로, NetBIOS 이름을 사용하여 IP주소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 파일은 텍스트 에디터를 이용하여 편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IP주소를 NetBIOS 컴퓨터 이름으로 풀이하는데 사용되며, 텍스트 에디터를 이용하여 편집할 수 있는 파일은 LMHOSTS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Windows 2000 Server에서 파일 및 프린터 서버를 지원하기 위해 반드시 설치해야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1. SMTP
  2. TCP/IP
  3. NNTP
  4. ICMP
(정답률: 알수없음)
  • TCP/IP는 Windows 2000 Server에서 파일 및 프린터 서버를 지원하기 위해 반드시 설치해야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입니다. 이는 TCP/IP가 인터넷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파일 및 프린터 공유를 위한 기본 프로토콜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SMTP는 이메일 전송 프로토콜, NNTP는 뉴스그룹 전송 프로토콜,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로, 파일 및 프린터 서버를 지원하는 데 필수적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DNS 레코드 중 IP Address를 HostName으로 변환하는 레코드는?

  1. SOA
  2. A
  3. PTR
  4. CNAME
(정답률: 알수없음)
  • PTR 레코드는 IP 주소를 호스트 이름으로 변환하는 레코드입니다. 이 레코드는 역방향 DNS 조회를 수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IP 주소 192.0.2.10에 대한 PTR 레코드는 호스트 이름을 반환할 것입니다. 이 경우, PTR 레코드는 "10.2.0.192.in-addr.arpa"라는 역방향 DNS 존에 저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Windows 2000 Server의 터미널 서비스를 이용할 때 얻어지는 장점이 아닌 것은?

  1. 원격지의 컴퓨터를 직접 사용할 수 있다.
  2. 클라이언트의 작업을 감시 할 수 있다.
  3. 전체적인 TCO의 감소가 가능하다.
  4. Windows 2000 Server의 기본 설치 시 포함이 되므로 별도의 설정이 필요 없이 서비스의 사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Windows 2000 Server의 터미널 서비스는 기본 설치 시 포함되어 있어 별도의 설정이 필요 없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Windows 2000 도메인 컨트롤러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SAM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로그온 인증을 한다.
  2. 도메인 사용자들이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3. 맨 처음 생성되는 도메인 컨트롤러에 Ntds.dit라는 파일이 생성된다.
  4. 사용자의 인증작업 및 로그온 과정을 담당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SAM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로그온 인증을 한다."

    SAM 데이터베이스는 Windows NT 운영 체제에서 사용되었으며, Windows 2000 이상에서는 Active Directory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다. 따라서 Windows 2000 도메인 컨트롤러는 SAM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Active Directory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로그온 인증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아파치 서버의 설정파일인 ‘httpd.conf’의 항목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KeepAlive On : HTTP에 대한 접속을 끊지 않고 유지한다.
  2. StartServers 5 : 웹서버가 시작할 때 다섯번째 서버를 실행 시킨다.
  3. MaxClients 150 : 한번에 접근 가능한 클라이언트의 개수는 150개 이다.
  4. Port 80 : 웹서버의 접속 포트 번호는 80번이다.
(정답률: 70%)
  • 정답은 "StartServers 5 : 웹서버가 시작할 때 다섯번째 서버를 실행 시킨다." 이다. 이는 잘못된 설명이다. StartServers는 웹서버가 시작될 때 실행되는 프로세스의 수를 설정하는 항목이며, 5는 프로세스의 수가 5개라는 뜻이다. 다섯번째 서버를 실행시키는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리눅스에서 게이트웨이를 추가 또는 삭제하려고 할 때 사용되는 명령어는?

  1. route
  2. ipconfig
  3. ping
  4. passwd
(정답률: 73%)
  • "route"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게이트웨이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때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네트워크 경로를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게이트웨이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때 "route"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ipconfig" 명령어는 윈도우에서 네트워크 설정을 확인하는 명령어이며, "ping" 명령어는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passwd" 명령어는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리눅스에서 ‘hostname’ 명령어에 대한 옵션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v: 호스트 네임 출력
  2. -d: 호스트 네임 변경
  3. -a: 호스트 네임에 대한 별칭 이름 출력
  4. -i: 호스트 네임에 대한 IP 출력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d: 호스트 네임 변경"이다.

    옵션 "-d"는 호스트 네임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설정된 도메인 이름을 출력하는 옵션이다.

    따라서, 옵션 "-d"는 호스트 네임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설정된 도메인 이름을 출력하는 옵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SQL Server 데이터베이스 객체 중 다음이 설명하는 것은?

  1. ODBC
  2. 저장 프로시저
  3. ActiveX 데이터
(정답률: 90%)
  • 위 그림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과 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테이블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객체이고, 뷰는 테이블이나 다른 뷰를 기반으로 생성된 가상 테이블입니다. 즉, 뷰는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기존의 데이터를 다른 형태로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뷰는 테이블과 구분되어 표시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리눅스의 vi 에디터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입력모드로 전환은 ‘i’를 눌러서 한다.
  2. 편집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esc’ 키를 누르고 ':'(콜론)을 입력하면 된다.
  3. 기능키 ‘A’는 입력모드로 전환되어 현재 라인의 끝에 입력이 된다.
  4. 기능키 ‘a’는 입력모드로 전환되어 현재 라인의 위 라인에 입력이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기능키 ‘a’는 입력모드로 전환되어 현재 라인의 위 라인에 입력이 된다." 이다. 기능키 ‘a’는 현재 커서 위치 다음에 입력이 되며, 입력모드로 전환된다. 따라서 현재 라인의 위 라인이 아닌 현재 라인에서 입력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46. 매체의 대역폭을 작은 것에서 부터 큰 순서대로 바르게 배열한 것은?

  1. Twisted pair - Fiber optics - Coaxial cable
  2. Fiber optics - Coaxial cable - Twisted pair
  3. Coaxial cable - Twisted pair - Fiber optics
  4. Twisted pair - Coaxial cable - Fiber optics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Twisted pair - Coaxial cable - Fiber optics" 입니다.

    이유는 대역폭이 작은 것부터 큰 것 순서대로 나열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먼저, Twisted pair는 가장 작은 대역폭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 Coaxial cable이 그 다음으로 큰 대역폭을 가지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Fiber optics는 가장 큰 대역폭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Twisted pair - Coaxial cable - Fiber optics 순서로 배열하는 것이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Cisco2501 라우터에서 구성파일(Configuration files)이 저장되어 있는 장소로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구성 파일을 항상 유지하고 있는 곳은?

  1. ROM
  2. RAM
  3. Flash ROM
  4. NVRAM
(정답률: 알수없음)
  • NVRAM은 Non-Volatile RAM의 약자로,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입니다. 따라서 Cisco2501 라우터에서 구성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장소로 NVRAM을 사용하면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구성 파일을 항상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비용은 증가하나 다중 사용자 시스템에서 최고의 성능과 최고의 고장대비 능력을 발휘하는 RAID 구성 방식은?

  1. RAID 1
  2. RAID 2
  3. RAID 3
  4. RAID 5
(정답률: 알수없음)
  • RAID 1은 미러링 방식으로, 동일한 데이터를 2개 이상의 디스크에 복제하여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이로 인해 데이터의 안정성이 높아지며, 한 디스크에 고장이 발생해도 다른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중 사용자 시스템에서 최고의 고장대비 능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디스크 용량의 절반 이상이 중복으로 사용되므로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데이터의 무결성을 구현하는 방법 중 소프트웨어적인 기법만으로 구현 가능한 것은?

  1. 디스크 미러링(Disk Mirroring)
  2. 서버의 이중화(Dual Server)
  3. 핫 스탠바이(Hot Standby)
  4. 리커버리 블록(Recovery Block)
(정답률: 40%)
  • 리커버리 블록은 소프트웨어적인 기법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며, 트랜잭션 실행 중 오류가 발생하면 해당 트랜잭션을 롤백하고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디스크 미러링, 서버의 이중화, 핫 스탠바이는 모두 하드웨어적인 기법으로 데이터의 가용성을 높이는 것에 초점을 둔 기법이므로, 소프트웨어적인 기법만으로 구현 가능한 것은 리커버리 블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Repeater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회선상의 전자기 또는 광학 신호를 증폭하여 네트워크의 길이를 확장할 때 쓰인다.
  2. OSI 7계층 중 물리적 계층에 해당하며 두 개의 포트를 가지고 있어 한쪽 포트로 들어온 신호를 반대 포트로 전송한다.
  3. Hub에 Repeater 회로가 내장되어 Repeater를 대신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4. 단일 네트워크에는 여러 대의 Repeater를 사용 할 수가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일 네트워크에는 여러 대의 Repeater를 사용 할 수가 없다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따라서 이것이 Repeater의 특징이 아닌 것입니다.

    Repeater는 회선상의 전자기 또는 광학 신호를 증폭하여 네트워크의 길이를 확장할 때 사용됩니다. 또한 OSI 7계층 중 물리적 계층에 해당하며 두 개의 포트를 가지고 있어 한쪽 포트로 들어온 신호를 반대 포트로 전송합니다. Hub에 Repeater 회로가 내장되어 Repeater를 대신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단일 네트워크에는 여러 대의 Repeater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Repeater를 너무 많이 사용하면 신호의 지연이 발생하고 신호의 왜곡이 생길 수 있으므로 적절한 수의 Repeater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정보보호개론

51. 시스템에 침투 형태 중 IP주소를 접근 가능한 IP주소로 위장하여 침입하는 방식은?

  1. Sniffing
  2. Fabricate
  3. Modify
  4. Spoofing
(정답률: 31%)
  • IP주소를 위조하여 침입하는 방식을 Spoofing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방화벽의 일반적인 구성 요소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베스천 호스트(Bastion Host)
  2. 방어선 네트워크(Perimeter Network)
  3. 프락시 서버(Proxy Server)
  4. 스크리닝 라우터(Screening Router)
(정답률: 알수없음)
  • 프락시 서버는 방화벽의 일반적인 구성 요소 중 하나이지만, 반드시 필요한 요소는 아닙니다. 프락시 서버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대리로 처리하는 역할을 하며,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방화벽 구성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며, 다른 요소들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고,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디지털 서명의 필수 요건이 아닌 것은?

  1. 재사용 가능
  2. 서명자 인증
  3. 변경 불가
  4. 위조 불가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 서명의 필수 요건은 "서명자 인증", "변경 불가", "위조 불가"입니다. "재사용 가능"은 디지털 서명의 필수 요건이 아닙니다. 이는 디지털 서명이 한 번 사용되면 다시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재사용 가능"은 디지털 서명의 필수 요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시스템에 존재하는 파일에 대해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저장한 후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추가·삭제되거나 변조된 파일이 있는지 점검하고 관리자에게 레포팅해주는 무결성 검사도구는?

  1. TRIPWIRE
  2. Nmap
  3. CIS
  4. TCP-Wrapper
(정답률: 알수없음)
  • Nmap은 네트워크 탐지 및 보안 검사 도구로, 시스템에 존재하는 파일에 대한 무결성 검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TRIPWIRE는 파일 무결성 검사 도구이지만, 추가·삭제되거나 변조된 파일을 레포팅해주는 기능은 따로 없습니다. CIS는 보안 규정 및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조직이며, TCP-Wrapper는 네트워크 접근 제어 도구입니다. 따라서, 파일 무결성 검사와 레포팅 기능을 모두 갖춘 도구는 TRIPWIRE이며, 정답은 Nmap이 아닌 TRIPWIR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Windows 2000 Server에서 지원하는 PPTP(Point-to-Point Tunelling Protocol)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IP 기반의 네트워크에서만 사용가능하다.
  2. PPTP 헤드 압축을 지원한다.
  3. IPSec을 사용하지 않아도 터널 인증을 지원한다.
  4. PPP 암호화를 지원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PPTP는 IP 기반의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IP 기반의 네트워크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이 설명하는 보안 등급은?

  1. A1 등급
  2. B2 등급
  3. B3 등급
  4. D 등급
(정답률: 37%)
  • 이 보안 등급은 "B3 등급"입니다. 이유는 보기에서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모두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B3 등급"은 이 세 가지 요소 모두에 대해 중요도가 높은 등급이기 때문입니다. "A1 등급"은 이보다 더 높은 등급이지만, 이 보기에서는 "기밀성"에 대한 중요도가 낮게 표시되어 있으므로 "B3 등급"이 정답입니다. "B2 등급"은 "기밀성"에 대한 중요도가 높지만, "가용성"에 대한 중요도가 낮게 표시되어 있으므로 "B3 등급"보다 낮은 등급입니다. "D 등급"은 보안 등급이 아니며, 이 보기에서는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비밀키 암호화 기법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두 사람이 똑같은 키를 소유해야한다.
  2. 암호화 알고리즘은 간단하고 편리하지만 관리하기가 어렵다.
  3. 전자서명과 같은 보안 시스템에 많이 사용된다.
  4. 키는 각 메시지를 암호화하고 복호화 할 수 있도록 전달자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서명과 같은 보안 시스템에 많이 사용된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전자서명은 공개키 암호화 기법을 사용하며, 비밀키 암호화 기법과는 다른 방식으로 작동한다.

    공개키 암호화 기법에서는 두 개의 서로 다른 키를 사용하며, 개인키는 소유자만이 알고 있고 공개키는 모두에게 공개된다. 따라서 두 사람이 똑같은 키를 소유할 필요가 없으며, 관리하기도 쉽다.

    반면에 비밀키 암호화 기법에서는 두 사람이 똑같은 키를 소유해야 하며, 관리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자서명과 같은 보안 시스템에 많이 사용된다."라는 설명은 공개키 암호화 기법에 대한 것이다.

    공개키 암호화 기법은 전자서명뿐만 아니라 SSL/TLS, SSH 등 다양한 보안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며, 인터넷 보안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정보보호 표준용어" 용어에 대한 설명이 올바른 것은?

  1. 대칭형 암호 시스템(Symmetric Cryptographic System) : 비밀 함수를 정의하는 비밀키와 공개 함수를 정의하는 공개키들의 쌍
  2. 복호(Decipherment) : 시스템 오류 이후에 시스템과 시스템 내의 데이터 파일을 재 저장하는 행위
  3. 공개키(Public Key) : 정보시스템을 사용하기 전 또는 정보를 전달할 때, 사용자를 확인하기 위해 부여된 보안 번호
  4. 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 데이터를 인가되지 않은 방법으로 변경할 수 없도록 보호하는 성질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보호 표준용어 중 "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 데이터를 인가되지 않은 방법으로 변경할 수 없도록 보호하는 성질"은 데이터가 변조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보안 기능입니다. 데이터 무결성은 데이터의 무결성 검사, 암호화, 접근 제어 등의 방법으로 보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SET(Secure Electronic Transaction)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초기에 마스터카드, 비자카드, 마이크로소프트, 넷스케이프 등에 의해 후원되었다.
  2. 인터넷상에서의 금융 거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3. 메시지의 암호화, 전자증명서, 디지털서명 등의 기능이 있다.
  4. 전체적으로 볼 때 비밀키 암호화 방식을 통해 안전성을 보장해 준다.
(정답률: 64%)
  • SET은 전체적으로 볼 때 공개키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며, 비밀키 암호화 방식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볼 때 비밀키 암호화 방식을 통해 안전성을 보장해 준다."는 설명이 잘못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공개키 암호화 방식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키가 하나만 사용된다.
  2. 수신된 데이터의 부인 봉쇄 기능은 지원하지 않는다.
  3. 전자 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4. 비밀키 암호화 방식보다 처리 속도가 빠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개키 암호화 방식은 두 개의 키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하나는 공개키(public key)로 다른 하나는 개인키(private key)로 이루어져 있다. 공개키는 누구나 알 수 있지만 개인키는 소유자만이 알고 있기 때문에 안전하게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자 서명을 구현할 수 있는데, 송신자는 개인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수신자는 공개키로 복호화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