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4-01)

네트워크관리사 1급
(2007-04-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TCP/IP

1. 다음 중 Internet Layer를 구성하는 프로토콜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P는 TCP와 같이 신뢰성 있는 통신을 제공한다.
  2. ARP는 상대방의 IP Address는 알고 있으나, 상대방의 MAC Address를 모를 경우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3. RARP는 Disk가 없는 터미널에서 자신의 랜 카드 상의 MAC Address는 알고 있으나 자신의 IP Address를 모를 경우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4. ICMP는 Ping 등을 지원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며, 또한 IP 데이터 그램의 전달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에러에 대한 보고용으로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IP는 TCP와 같이 신뢰성 있는 통신을 제공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IP는 신뢰성 있는 통신을 보장하지 않는 비연결형 프로토콜이며, 데이터의 분실이나 중복 전송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TCP는 IP 위에서 동작하는 연결형 프로토콜로, 신뢰성 있는 통신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IP Address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IP Address는 4Byte(32bit)의 숫자 집합으로 표현된다.
  2. Network ID가 다른 어드레스를 가진 컴퓨터끼리는 라우터 없이 서로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3. 하나의 TCP/IP Network 상에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컴퓨터에 동일한 Host ID를 설정할 수 없다.
  4. 상호 접속하는 복수의 TCP/IP Network에 동일 Network ID를 할당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Network ID가 다른 어드레스를 가진 컴퓨터끼리는 라우터 없이 서로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잘못된 정보이며, 서로 다른 Network ID를 가진 컴퓨터끼리는 라우터를 통해 연결해야 한다. Network ID는 IP 주소의 일부로, 같은 네트워크에 속한 컴퓨터들은 동일한 Network ID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Network ID를 가진 컴퓨터끼리는 라우터를 통해 통신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192.168.55.0”이란 네트워크 ID를 가지고 있고, 각 서브넷이 25개의 호스트 ID가 필요하며 가장 많은 서브네트를 가져야할 때 가장 적절한 서브넷 마스크는?

  1. 255.255.255.192
  2. 255.255.255.224
  3. 255.255.255.240
  4. 255.255.255.248
(정답률: 알수없음)
  • 각 서브넷이 25개의 호스트 ID가 필요하므로, 2^5 - 2 = 30개의 호스트를 지원하는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마지막 3비트를 호스트 ID로 사용해야 하므로, 서브넷 마스크는 1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 (또는 255.255.255.224)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5.255.255.22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C Class의 네트워크에서 호스트 수가 12개 일 때 분할할 수 있는 최대 서브넷 수는?

  1. 2
  2. 4
  3. 8
  4. 16
(정답률: 알수없음)
  • C Class의 네트워크에서 호스트 수가 12개일 때, 최소한 4비트의 서브넷 마스크가 필요합니다. 이는 2^4 = 16개의 서브넷을 만들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분할할 수 있는 최대 서브넷 수는 1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OSPF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업의 근거리 통신망과 같은 자율 네트워크 내의 게이트웨이들 간에 라우팅 정보를 주고받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2. 대규모 자율 네트워크에 적합하다.
  3. 네트워크 거리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홉의 총계를 사용한다.
  4. OSPF 내에서 라우터와 종단국 사이의 통신을 위해 RIP가 지원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네트워크 거리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홉의 총계를 사용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OSPF는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거리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홉의 총계를 사용한다. 이는 라우터 간의 경로를 결정할 때 경로 상의 모든 링크의 비용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경로 상의 홉 수만을 고려하여 최적 경로를 찾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프로토콜은 사용 목적과 종류에 따라 다양한 기능의 종합으로 이루어지며, 모든 프로토콜에 모든 기능이 다 있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 몇 가지 같은 기능이 다른 계층의 프로토콜을 나타내기도 한다. 프로토콜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세분화와 재합성
  2. 캡슐화
  3. 확장성
  4. 전송 서비스
(정답률: 50%)
  • 확장성은 프로토콜의 기능 중 하나가 아니라, 프로토콜이 가지고 있는 특성 중 하나이다. 확장성은 시스템이나 서비스가 변화에 대응하여 쉽게 확장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따라서, "확장성"이 프로토콜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TCP/IP Layer 모델에서 네트워크상의 컴퓨터를 특정 짓기 위해 IP Address를 이용하는 Layer는?

  1. Application Layer
  2. Internet Layer
  3. Network Interface Layer
  4. Transport Layer
(정답률: 알수없음)
  • IP Address는 인터넷상에서 컴퓨터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체계이며,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Layer는 Internet Layer입니다. Internet Layer는 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패킷으로 분할하고, 목적지 IP 주소를 설정하여 다음 Hop으로 전송합니다. 따라서 IP Address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상의 컴퓨터를 특정 짓기 위해서는 Internet Layer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네트워크 식별자가 “130.34.12.64/26” 이라고 가정한다. 이를 4개의 서브넷으로 나눌 때 필요한 Prefix의 길이와 각 서브넷은 몇 개의 IP Address를 가지는가?

  1. /28, 64
  2. /30, 16
  3. /30, 64
  4. /28, 16
(정답률: 알수없음)
  • Prefix의 길이는 26이므로 네트워크 주소는 130.34.12.64이고, 호스트 주소는 마지막 6비트로 결정된다.

    서브넷을 4개로 나누기 위해서는 2비트씩을 빌려서 서브넷을 구분해야 한다. 따라서 Prefix의 길이는 28이 되며, 서브넷마다 2비트씩을 빌려서 4개의 서브넷을 만들 수 있다.

    각 서브넷은 2비트씩을 빌렸으므로 2의 2승인 4개의 서브넷이 생성되며, 각 서브넷은 2의 6승인 64개의 IP Address를 가진다.

    따라서 정답은 "/28, 6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IP 패킷의 구조에서 헤더 부분에 들어가는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Version
  2. Total Length
  3. TTL(Time to Live)
  4. Data
(정답률: 알수없음)
  • IP 패킷의 구조에서 헤더 부분에 들어가는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 "Data"입니다. IP 패킷의 헤더에는 버전(Version), 총 길이(Total Length), TTL(Time to Live) 등의 정보가 포함되지만, 데이터(Data)는 페이로드(Payload) 부분에 포함됩니다. 페이로드는 IP 패킷의 헤더와 트레일러(Trailer) 사이에 위치하며, 실제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IP Addres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 Class IP Address의 맨 앞자리 수는 1∼126을 사용한다.
  2. C Class IP Address는 최대 254개의 호스트를 거느릴 수 있다.
  3. D Class는 멀티 캐스팅을 위해 NetID와 HostID로 구분된다.
  4. 현재의 IPv4 Address를 보완하기 위해 IPv6를 도입하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D Class는 멀티 캐스팅을 위해 NetID와 HostID로 구분되지 않는다. D Class는 멀티캐스트 주소를 위해 예약되어 있으며, NetID와 HostID로 구분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TCP/IP 프로토콜들 중에서 종점 사용자 시스템 간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최종 책임을 지는 것은?

  1. IP
  2. SNMP
  3. FTP
  4. TCP
(정답률: 알수없음)
  • TCP는 종점 사용자 시스템 간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최종 책임을 지는 프로토콜이다. 이는 데이터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패킷의 전송 및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재전송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TCP는 데이터 전송의 최종 책임을 지는 프로토콜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네트워크 구획에서 두 호스트가 성공적으로 통신하기 위해 각 하드웨어의 물리적인 주소 문제를 해결해 주는 프로토콜은?

  1. IP
  2. ARP
  3. ICMP
  4. IGMP
(정답률: 알수없음)
  • ARP는 두 호스트가 통신하기 위해 상호간의 물리적인 주소를 알아내는 프로토콜입니다. 이를 통해 호스트는 상대방의 물리적인 주소를 알아내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RP가 두 호스트가 성공적으로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TCP/IP 설정이 잘못되어 특정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와 통신할 수 없게 되는 경우, 어떤 설정 관련 파라미터가 잘못되어 있는지를 찾을 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은?

  1. IP
  2. ICMP
  3. IGMP
  4. ARP
(정답률: 알수없음)
  •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로, TCP/IP 네트워크에서 오류 메시지와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TCP/IP 설정이 잘못되어 특정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와 통신할 수 없게 되는 경우, ICMP를 사용하여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를 통해 어떤 설정 관련 파라미터가 잘못되어 있는지를 찾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멀티캐스트를 지원하는 라우터가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한 네트워크 내의 호스트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1. SNMP
  2. ICMP
  3. SCTP
  4. IGMP
(정답률: 알수없음)
  • IGMP는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한 호스트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한 호스트들의 정보를 라우터에게 전달하여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멀티캐스트를 지원하는 라우터가 멀티캐스트 그룹 내의 호스트를 관리하기 위해 IGMP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SSH가 전송 계층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결성
  2. 서버 인증
  3. 기밀성
  4. 합법성
(정답률: 알수없음)
  • 합법성은 SSH가 제공하는 서비스 중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SSH는 무결성, 서버 인증, 기밀성을 제공합니다. 무결성은 데이터가 변조되지 않았음을 보장하는 것이고, 서버 인증은 서버가 신뢰할 수 있는 것임을 보장하는 것입니다. 기밀성은 데이터가 제3자에게 노출되지 않음을 보장하는 것입니다. 합법성은 SSH가 제공하는 서비스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FTP 서버에 접속 후 "ls -al" 명령어를 통해 얻은 결과 중 일부이다. 맨 앞의 ‘d’가 의미하는 것은?

  1. 링크 파일
  2. 디렉터리
  3. 삭제된 파일
  4. 임시 파일
(정답률: 알수없음)
  • 맨 앞의 'd'는 디렉터리를 의미한다. 디렉터리는 파일을 저장하는 폴더로, 다른 파일들을 포함할 수 있는 파일 시스템의 구성 요소이다. 따라서 'd'는 해당 파일이 디렉터리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7. 아래의 조건은 DNS 기록의 형식이다. 이에 해당되는 것은?

  1. 정규 네임 자원 기록
  2. 주소 자원 기록
  3. 메일 교환 자원 기록
  4. 네임 서버 자원 기록
(정답률: 알수없음)
  • 이 DNS 기록은 MX 레코드로, 메일 교환 자원 기록을 나타낸다. MX 레코드는 이 도메인의 메일 서버를 지정하는 레코드이다. 따라서 이 도메인으로 메일을 보낼 때는 이 MX 레코드에 지정된 메일 서버로 보내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비트(프레임) 동기방식에서 프레임 구간과 타이밍을 위해 사용되는 것은?

  1. START 비트
  2. STOP 비트
  3. FLAG 비트열(01111110)
  4. SYN 문자
(정답률: 알수없음)
  • 비트(프레임) 동기방식에서 프레임 구간과 타이밍을 위해 사용되는 것은 FLAG 비트열(01111110)입니다. 이는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구분자 역할을 하며, 데이터 내에 FLAG 비트열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이를 ESCAPE 문자열로 변환하여 전송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와 FLAG 비트열이 혼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START 비트와 STOP 비트는 비트 동기방식에서 사용되는 것이지만, 비트(프레임) 동기방식에서는 FLAG 비트열이 대신 사용됩니다. SYN 문자는 데이터 전송 중에 오류가 발생했을 때, 재전송을 요청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설명 중 CRC(Cyclic Redundancy Checking) 에러검출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레임이 수신되면 수신기는 같은 제수(Generator)를 사용하여 나눗셈의 나머지를 검사한다.
  2. CRC 비트를 만들기 위해 논리합 연산을 수행한다.
  3. 전체 블록 검사를 위해 메시지는 하나의 긴 2진수로 간주한다.
  4. 메시지를 특정한 이진 소수에 의해 나눈 후 나머지를 송신 프레임에 첨부하여 전송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CRC 비트를 만들기 위해 논리합 연산을 수행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CRC는 데이터 블록에 대한 나머지 값을 계산하여 검사하는 방법으로, 이를 위해 논리합 연산을 수행하여 CRC 비트를 생성한다. 이 비트는 송신 프레임에 첨부되어 전송되며, 수신 측에서는 같은 제수를 사용하여 나머지 값을 계산하여 오류를 검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데이터 통신망의 정보 교환 방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2. 메시지 교환(Message Switching)
  3.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4. 망 교환(Network Switching)
(정답률: 알수없음)
  • 망 교환(Network Switching)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전체 네트워크를 통째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 시간이 길어지고 대역폭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어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망 교환은 데이터 통신망의 정보 교환 방식으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53Byte 크기의 셀을 전송하는 광대역 종합정보 통신망으로 올바른 것은?

  1.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2. X.25
  3. SONET(Synchronous Optical Digital Network)
  4. SDH(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정답률: 알수없음)
  • ATM은 고속 패킷 교환 기술로, 작은 크기의 패킷인 셀을 사용하여 전송하며, 비동기적으로 전송됩니다. 이는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으며,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53Byte 크기의 셀을 전송하는데 적합한 기술입니다. X.25, SONET, SDH는 ATM과는 다른 전송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패킷 교환기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로 설정
  2. 수신된 패킷의 저장
  3. 전송되는 패킷의 변환
  4. 최종목적지 교환기의 순서제어
(정답률: 알수없음)
  • 패킷 교환기는 전송되는 패킷의 변환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패킷 교환기는 패킷을 수신하고 해당 패킷을 목적지로 전달하기 위해 경로 설정과 최종목적지 교환기의 순서제어를 수행하며, 수신된 패킷을 저장하여 필요한 경우 재전송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전송되는 패킷의 변환"은 패킷 교환기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네트워크 관리 및 네트워크 장치와 그들의 동작을 감시, 총괄하는 프로토콜은?

  1. ICMP
  2. SNMP
  3. SMTP
  4. IGMP
(정답률: 알수없음)
  • SNMP는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의 약자로, 네트워크 장치와 그들의 동작을 감시하고 관리하는 프로토콜입니다. SNMP는 네트워크 장치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이 정보를 관리자에게 전달하여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SNMP입니다. ICMP는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SMTP는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IGMP는 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의 약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Token Ring 기법을 발전시킨 것으로 “이중 링” 구조를 가지는 것은?

  1. Token Bus
  2. FDDI
  3. Gigabit Ethernet
  4. ATM
(정답률: 알수없음)
  • FDDI는 Token Ring 기법을 발전시켜 이중 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두 개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링을 사용하여 더욱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FDDI가 이중 링 구조를 가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Frame Relay의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이다.
  2. X.25로 교체되었다.
  3. 연결 지향형 서비스를 지원하며 SVC, PVC를 지원한다.
  4. NT 라우터의 캡슐화 방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Frame Relay는 연결 지향형 서비스를 지원하며 SVC(Service Virtual Circuit), PVC(Permanent Virtual Circuit)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대역폭 사용과 빠른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무선 통신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으로 코드에 의해 구분된 여러 개의 단말기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채널로 보다 많은 통신 노드를 수용할 수 있는 무선 전송 방식은?

  1. CDMA
  2. TDMA
  3. CSMA/CD
  4. FDMA
(정답률: 알수없음)
  • CDMA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으로, 각 단말기는 고유한 코드를 사용하여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다른 방식에 비해 더 많은 통신 노드를 수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통신이 가능하므로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정지 및 이동 중에 언제, 어디서나 고속의 전송속도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 및 컨텐츠 사용이 가능한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는?

  1. Wireless LAN
  2. WiBro
  3. Bluetooth
  4. Zigbee
(정답률: 알수없음)
  • WiBro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고속의 전송속도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WiBro와는 다른 기술이며, 특히 Wireless LAN은 Wi-Fi와 같은 기술을 의미하며, Bluetooth와 Zigbee는 주로 짧은 거리의 무선 통신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NOS

28. Windows 2000 Server에서 FTP 서버의 모든 설정을 외부에서 관리해야 하는 경우 다음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FTP 서버에 FTP 클라이언트 툴로 관리자계정으로 접속한다.
  2. WWW 서비스를 설치하고 HTMLA를 이용한다.
  3. Windows 2000 Server에 내장되어 있는 터미널서비스를 이용한다.
  4. PcAnywhere 같은 원격 제어 툴을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FTP 서버에 FTP 클라이언트 툴로 관리자계정으로 접속한다."가 가장 옳은 것이다. 이유는 FTP 서버의 모든 설정을 외부에서 관리해야 하는 경우, FTP 클라이언트 툴을 사용하여 FTP 서버에 접속하여 설정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웹 서비스나 원격 제어 툴을 이용하여 FTP 서버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이므로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Windows 2000 Server의 터미널 서비스를 이용할 때 얻어지는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원격지의 컴퓨터를 직접 사용할 수 있다.
  2. 클라이언트의 작업을 감시 할 수 있다.
  3. 전체적인 TCO의 감소가 가능하다.
  4. Windows 2000 Server의 기본 설치 시 포함이 되므로 별도의 설정이 필요 없이 서비스의 사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Windows 2000 Server의 터미널 서비스는 원격지의 컴퓨터를 직접 사용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의 작업을 감시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TCO의 감소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Windows 2000 Server의 기본 설치 시 포함이 되므로 별도의 설정이 필요 없이 서비스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은 옳지 않다. 터미널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설정이 필요하며, 사용자 계정에 대한 권한 설정 등을 해주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Windows 2000 Server의 공유 폴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유 폴더의 퍼미션은 각각의 파일이 아니라 공유 폴더 전체에만 적용 될 수 있다.
  2. 공유 폴더란 시스템 사용자가 네트워크의 다른 사용자가 접근 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한 폴더를 의미한다.
  3. 기본 공유 폴더의 퍼미션은 “모든 권한”이며, 폴더를 공유할 때 “Users” 그룹에 할당 된다.
  4. Admin$는 기본적으로 공유되어 있는 폴더로 운영체제의 기본 폴더이며 관리자 그룹만 접근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 공유 폴더의 퍼미션은 “모든 권한”이며, 폴더를 공유할 때 “Users” 그룹에 할당 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기본 공유 폴더의 퍼미션은 "읽기 전용"이며, 폴더를 공유할 때 "Everyone" 그룹에 할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Windows 2000 Server의 "네트워크 모니터" 도구로 캡처한 패킷에 대해 할 수 없는 것은?

  1. 특정 프로토콜을 필터링 한다.
  2. 특정 주소를 필터링 한다.
  3. 특정 데이터 패턴을 필터링 한다.
  4. 특정 시간대를 필터링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네트워크 모니터" 도구는 패킷을 캡처하고 분석하는 도구이지만, 패킷을 생성하거나 수정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따라서 "특정 시간대를 필터링 한다."는 패킷을 생성하거나 수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할 수 있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네트워크 어댑터가 자신에게 오는 패킷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과하는 모든 패킷을 받아들이는 네트워크 설정 모드는?

  1. Promiscuous 모드
  2. Quick 모드
  3. Standard 모드
  4. Thorough 모드
(정답률: 알수없음)
  • Promiscuous 모드는 네트워크 어댑터가 자신에게 오는 패킷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과하는 모든 패킷을 받아들이는 모드이다. 이 모드를 사용하면 네트워크 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할 수 있으며, 보안 검사나 네트워크 문제 해결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Windows 2000 Server의 그룹 계정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그룹 계정은 같은 일을 수행하거나 동일한 자원을 액세스하는 사용자들을 모아 놓기 위한 것이다.
  2. 만일 그룹 계정이 없다면 자원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사용자별로 설정 해 주어야 한다.
  3. 사용자별 기준으로 액세스 권한을 설정하지 않고도 자원 액세스를 위해 그룹 멤버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4. 그룹을 다른 그룹의 구성원으로 추가 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그룹을 다른 그룹의 구성원으로 추가 할 수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그룹 계정은 다른 그룹의 구성원으로 추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계층적인 권한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니저" 그룹에 "팀 리더" 그룹을 추가하여 "팀 리더" 그룹의 멤버들이 "매니저" 그룹의 자원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아래 화면과 같이 패리티(Parity)가 있는 RAID 방식은?

  1. RAID 0
  2. RAID 1
  3. RAID 2
  4. RAID 5
(정답률: 알수없음)
  • 위 화면에서는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고 있으며, 각각의 디스크에는 패리티 정보가 함께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RAID 5 방식으로, 데이터의 안정성과 속도를 모두 고려한 방식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RAID 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라우팅은 패킷이 출발 시스템에서 목적 시스템까지 가는 길을 찾는 과정이다. 아래 화면은 "Route Print"를 이용하여 현재의 라우팅 정보를 보여주고 있다. 기본 게이트웨이는?

  1. 127.0.0.1
  2. 192.168.10.1
  3. 192.168.10.5
  4. 255.255.255.0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 게이트웨이는 "192.168.10.1"이다. 이는 현재 시스템이 다른 네트워크로 패킷을 보낼 때 사용하는 경로이다. 이 경로는 현재 시스템과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127.0.0.1"은 로컬 호스트를 나타내는 IP 주소이고, "192.168.10.5"는 현재 시스템의 IP 주소이며, "255.255.255.0"은 서브넷 마스크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TCP/IP와 같은 프로토콜 드라이브와 네트워크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을 설정하는 프로세서를 의미하는 것은?

  1. 라우팅 서비스
  2. 공유 액세스
  3. 바인딩
  4. 공유
(정답률: 알수없음)
  • 바인딩은 TCP/IP와 같은 프로토콜 드라이브와 네트워크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을 설정하는 프로세서를 의미합니다. 이는 네트워크 카드와 프로토콜 드라이브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바인딩은 네트워크 카드와 프로토콜 드라이브 사이의 통신 채널을 설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서버급 리소스를 제어하고 보호하기가 쉽다.
  2. 모든 보안을 한 명의 관리자가 유지할 수 있다.
  3. 서버급 환경은 수 천 명의 사용자를 쉽게 유지할 수 있다.
  4. 중앙 집중 관리가 어렵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앙 집중 관리가 어렵다는 것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이 원활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는 네트워크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서버의 부하가 많이 걸려있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의 단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Linux는 FSF(Free Software Foundation)의 GPL(General Public License)을 따르게 되는데, GPL에서 부여하는 권리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그램을 복제하는 자유
  2. 소스 코드를 수정하는 자유
  3. 개작된 프로그램을 배포하는 자유
  4. 실행 파일을 리버스 엔지니어링 하는 자유
(정답률: 알수없음)
  • 실행 파일을 리버스 엔지니어링하는 자유는 GPL에서 부여하는 권리 중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GPL이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를 공개하고 수정, 배포하는 것을 보호하기 위한 라이선스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행 파일을 리버스 엔지니어링하여 소스 코드를 추출하는 것은 이를 위반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Linux 시스템의 파일 사용자 허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 허가의 3가지 부분으로 나눠지며, 이것은 읽기(Read), 쓰기(Write), 실행(Execute) 가능 허가이다.
  2. Linux 시스템은 다중 사용자 시스템이기 때문에 파일 사용 허가라 불리 우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3. 사용 허가의 문자열 “rwx”를 십진수로 나타내면 r은 4, w는 2, x는 0 이다.
  4. 문자열 “-rwxrwxrwx”에서 '-'는 일반 파일을 의미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사용 허가의 문자열 “rwx”를 십진수로 나타내면 r은 4, w는 2, x는 0 이다."가 아니다. 이는 옳은 설명이다. r은 읽기 권한을 나타내며 4, w는 쓰기 권한을 나타내며 2, x는 실행 권한을 나타내며 0으로 표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IIS가 설치된 Windows 2000 Server를 원격지에서 인터넷을 이용하여 관리하고자 할 경우 접속해야 할 URL은?

  1. http://도메인/iisconfig
  2. http://도메인/iisroot
  3. http://도메인/iiscontrol
  4. http://도메인/iisadmin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http://도메인/iisadmin" 입니다. 이는 IIS의 관리 도구인 IIS Manager에 접속하기 위한 URL입니다. IIS Manager는 웹 서버의 구성, 사이트 및 응용 프로그램의 관리, 보안 설정 등을 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따라서 이 URL을 통해 원격지에서 Windows 2000 Server의 IIS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SQL Server 데이터베이스 객체 중 "테이블 데이터의 변경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되는 프로시저"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트리거
  2. 규칙
  3. 테이블
  4. 기본 값
(정답률: 알수없음)
  • 트리거는 테이블 데이터의 변경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되는 프로시저로, 데이터의 삽입, 수정, 삭제 등의 작업이 발생할 때마다 자동으로 실행되어 추가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트리거"가 정답입니다. 규칙은 데이터의 입력 또는 수정 시 일정한 규칙을 적용하는 것이며, 기본 값은 데이터의 입력 시 기본 값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Test 테이블에서 name 필드가 "홍길동"이라는 사람의 모든 자료를 지우기 위한 SQL문으로 올바른 것은?

  1. delete from Test what name = “홍길동”;
  2. delete from Test where name = “홍길동”;
  3. delete from Test who name = “홍길동”;
  4. delete from Test which name = “홍길동”;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delete from Test where name = “홍길동”;"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delete 문은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where 절을 사용하여 삭제할 데이터를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delete from Test where name = “홍길동”;"은 Test 테이블에서 name 필드가 "홍길동"인 데이터를 모두 삭제하는 SQL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BIND Serv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DNS 서버 프로그램이다.
  2. BIND 설치 방식은 RPM으로 설치하는 방식과, 소스로 설치하는 방식이 있다.
  3. RedHat Linux 배포판에서는 수동으로만 설치해야 한다.
  4. 현재의 시스템에 BIND의 RPM이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하려면 rpm 명령을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RedHat Linux 배포판에서는 수동으로만 설치해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잘못된 정보이며, RedHat Linux 배포판에서도 RPM으로 BIND를 설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삼바(SAMBA)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삼바(SAMBA) 설치는 RPM으로 설치할 수 있다.
  2. MS Windows 계열 운영체제가 설치된 컴퓨터에 연결된 프린터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3. MS Windows 계열 운영체제가 설치된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공유할 수 있다.
  4. 네트워크를 통해 Linux의 NTFS 파일 시스템을 연결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네트워크를 통해 Linux의 NTFS 파일 시스템을 연결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삼바는 MS Windows 계열 운영체제와 Linux/Unix 운영체제 간의 파일 및 프린터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Linux 시스템에서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수정하는 명령어는?

  1. usermod
  2. config
  3. profile
  4. passwd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usermod"입니다. "usermod"는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수정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사용자 계정의 이름, 홈 디렉토리, 로그인 쉘 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config"는 설정 파일을 수정하는 명령어이고, "profile"은 쉘 환경 설정 파일을 수정하는 명령어입니다. "passwd"는 사용자 계정의 암호를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46. 라우터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하나의 네트워크를 서브넷 마스크에 의해 분할 할 때 서브넷 단위로 분할하는 방법을 말한다.
  2. 조직 내의 네트워크와 인터넷을 접속시킬 때 필요한 기기이다.
  3. 라우팅 기능에 의해 서로 다른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사용하고 있는 네트워크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4.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 어드레스의 정보인 라우팅테이블을 작성 및 관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하나의 네트워크를 서브넷 마스크에 의해 분할 할 때 서브넷 단위로 분할하는 방법을 말한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이다. 라우터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사용하고 있는 네트워크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기이며, 라우팅 기능을 수행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작성하고 관리한다. 서브넷 분할은 라우터가 수행하는 기능 중 하나이지만, 라우터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스테틱 라우팅(Static Routing)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라우팅 경로가 자주 변경되거나 라우터가 자주 추가되는 상황에 적합하다.
  2. 라우터의 메모리 낭비가 적어 메모리 사용에 유리하다.
  3. 일반적으로 다이나믹 라우팅 프로토콜에 비해 우선순위가 높다.
  4. 우회 경로가 없는 Stub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에 좋은 프로토콜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라우팅 경로가 자주 변경되거나 라우터가 자주 추가되는 상황에 적합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스테틱 라우팅은 라우팅 경로가 변경되거나 라우터가 추가되는 경우 수동으로 업데이트해야 하므로, 이러한 상황에서는 유연성이 떨어지고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테틱 라우팅은 라우팅 경로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변경 빈도가 적은 경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802.3 이더넷은 CSMA/CD 방식이다. Collision Domain이 하나인 장비는?

  1. Repeater
  2. Bridge
  3. Router
  4. Switch
(정답률: 알수없음)
  • Repeater는 물리적인 층에서 동작하며,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를 늘리는 역할을 합니다. Collision Domain이 하나인 장비에서는 Repeater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다른 장비들은 논리적인 층에서 동작하며, 패킷을 분석하여 전송할 포트를 결정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근래에 광케이블을 사용하는 기가비트 이더넷 네트워크카드 외에 UTP를 이용하여 기가비트를 전송하는 네트워크카드가 출시되고 있다. 여기에서 정상적으로 기가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하려고 할 때 가장 적절한 케이블은?

  1. CAT3
  2. CAT4
  3. CAT5
  4. CAT6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적절한 케이블은 CAT6이다. 이는 CAT6가 다른 케이블에 비해 더 높은 대역폭과 더 낮은 신호 간섭을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가비트 이더넷 네트워크카드를 사용할 때는 CAT6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xDSL 운영기기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송속도 대비하여 가격 및 성능이 우수하다.
  2. 기존 회선의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설치에 대한 제약사항이 없다.
  3. 중앙기기와 가입자기기로 구분된다.
  4. 설치가 어렵고 유지비용이 고가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설치가 어렵고 유지비용이 고가인 이유는 xDSL 운영기기가 고주파 신호를 처리하기 때문에 전용선을 사용하고, 전용선의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이 높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정보보호개론

51. 시스템의 침투 형태 중 네트워크의 한 호스트에서 실행되어 다른 호스트들의 패킷 교환을 엿듣는 해킹 유형은?

  1. Sniffing
  2. IP Spoofing
  3. Domain Spoofing
  4. Repudiation
(정답률: 알수없음)
  • Sniffing은 네트워크 상에서 패킷을 엿듣는 해킹 유형이다. 이는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가로채어 비밀 정보를 탈취하거나, 패스워드 등의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등의 공격에 이용된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Sniffing"이 네트워크의 한 호스트에서 실행되어 다른 호스트들의 패킷 교환을 엿듣는 해킹 유형이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보안 위협의 형태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로채기(Interception)
  2. 두절(Interrupt)
  3. 위조(Fabrication)
  4. 무결성(Integrity)
(정답률: 알수없음)
  • 무결성은 데이터나 시스템이 정확하고 완전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보안 위협의 형태로 옳지 않은 것은 무결성입니다. 가로채기는 데이터를 가로채서 엿보는 것, 두절은 데이터의 전송을 방해하는 것, 위조는 데이터를 조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설명과 관련 있는 것은?

  1. TCP_Wrapper
  2. PAM
  3. SATAN
  4. ISSm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TCP_Wrapper의 호스트 기반 접근 제어 기능을 보여줍니다. TCP_Wrapper는 호스트 기반 접근 제어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로, 특정 호스트나 IP 주소에서의 접근을 허용하거나 거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TCP_Wrapper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네트워크를 통해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SSL
  2. TLS
  3. IPSec
  4. HTTP
(정답률: 알수없음)
  • HTTP는 암호화되지 않은 텍스트 기반 프로토콜이므로, 네트워크를 통해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HTTP가 가장 옳지 않은 것입니다. 반면에 SSL, TLS, IPSec은 모두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DoS 공격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하나의 대상 시스템에는 하나의 공격자만 공격을 할 수 있다.
  2. 대상 시스템의 자원 및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게 한다.
  3. 구형 DOS 시스템만 공격할 수 있다.
  4. 패킷 필터링으로 방어가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DoS 공격은 대상 시스템에 대량의 요청을 보내어 대상 시스템의 자원 및 서비스를 과부하 상태로 만들어 사용할 수 없게 만드는 공격이다. 따라서 "대상 시스템의 자원 및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게 한다."가 올바른 설명이다. 다른 보기들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S-HTTP와 SS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SL은 잘 알려진 보안 프로토콜인 S-HTTP의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2. SSL에서는 전자서명과 키 교환을 위해 RSA 방식을 이용한다.
  3. SSL은 보안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Server 인증, Message의 신뢰성, 무결성을 지원하고 있다.
  4. SSL은 주고받는 메시지를 암호화하고 그것을 해독하는 기능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SSL은 잘 알려진 보안 프로토콜인 S-HTTP의 대안으로 제시되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SSL과 S-HTTP는 서로 다른 보안 프로토콜이며, SSL은 S-HTTP와는 별개로 개발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암호기술 서비스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밀성
  2. 분별성
  3. 부인봉쇄
  4. 인증
(정답률: 알수없음)
  • 분별성은 암호기술 서비스의 핵심 원칙 중 하나가 아니며, 다른 세 가지 옵션은 모두 암호화와 관련된 서비스입니다. 따라서 분별성이 옳지 않은 암호기술 서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디지털 서명의 필수 요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재사용 가능
  2. 서명자 인증
  3. 변경 불가
  4. 위조 불가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 서명의 필수 요건으로 "재사용 가능"은 옳지 않습니다. 디지털 서명은 한 번 사용하면 재사용할 수 없어야 합니다. 이는 서명의 고유성과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재사용 불가"가 올바른 요건입니다. 서명자 인증, 변경 불가, 위조 불가는 모두 디지털 서명의 필수 요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회사의 사설 네트워크와 외부의 공중 네트워크 사이에 중립 지역으로 삽입된 소형 네트워크를 의미하는 것은?

  1. DMZ
  2. Proxy
  3. Session
  4. Packet
(정답률: 알수없음)
  • DMZ는 Demilitarized Zone의 약자로, 회사의 사설 네트워크와 외부의 공중 네트워크 사이에 중립 지역으로 삽입된 소형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이는 외부에서 내부로의 공격을 막기 위해 사용되며,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서비스들을 DMZ에 위치시켜 내부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DMZ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암호화 프로토콜 중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인증방식으로 RSA 방식과 X.509를 사용하고, 실제 암호화된 정보는 새로운 암호화 소켓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방식은?

  1. S-HTTP
  2. SET
  3. SSL
  4. FV
(정답률: 알수없음)
  • SSL은 RSA 방식과 X.509를 사용하여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인증을 수행하고, 새로운 암호화 소켓채널을 통해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암호화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SSL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