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4-08)

네트워크관리사 1급
(2018-04-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TCP/IP

1. IPv6은 몇 비트의 Address 필드를 가지고 있는가?

  1. 32
  2. 64
  3. 128
  4. 256
(정답률: 83%)
  • IPv6은 128 비트의 Address 필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IPv4의 32 비트 Address 필드보다 4배 더 많은 주소 공간을 제공하며, 인터넷의 확장성과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IPv6 주소는 8개의 16진수 블록으로 구성되며, 각 블록은 콜론(:)으로 구분됩니다. 예를 들어,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는 IPv6 주소의 예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IGMP 쿼리 메시지는 ( A )에서 ( B )로 보내지는 메시지이다. 빈칸에 해당하는 것은?

  1. A-호스트, B-호스트
  2. A-호스트, B-라우터
  3. A-라우터, B-호스트
  4. A-라우터, B-라우터
(정답률: 48%)
  • 정답은 "A-라우터, B-호스트"이다.

    IGMP 쿼리 메시지는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한 호스트들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라우터가 보내는 메시지이다. 따라서 IGMP 쿼리 메시지는 라우터에서 호스트로 보내지게 된다. 호스트는 이 메시지를 받아 자신이 속한 멀티캐스트 그룹에 대한 응답을 보내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DNS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DNS는 최상위에 루트 노드를 갖는 계층구조의 트리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최대 128개의 계층(level)을 가질 수 있다.
  2. DNS에서 1차 서버 (Primary Server)는 자신의 권역(Zone)에 대한 정보의 생성, 관리, 업데이트를 맡고 있다.
  3. DNS 메시지에는 모두 쿼리(Query)와 응답(Response)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
  4. DNS에서는 하위 계층 프로토콜로써 UDP만 사용한다.
(정답률: 82%)
  • DNS에서는 TCP와 UDP 두 가지 프로토콜을 모두 사용한다. DNS 쿼리가 작고 간단하므로 대부분의 경우 UDP를 사용하지만,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경우 TCP를 사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DNS에서는 하위 계층 프로토콜로써 UDP만 사용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네트워크 ID '210.182.73.0'을 6개의 서브넷으로 나누고, 각 서브넷 마다 적어도 30개 이상의 Host ID를 필요로 한다. 적절한 서브넷 마스크 값은?

  1. 255.255.255.224
  2. 255.255.255.192
  3. 255.255.255.128
  4. 255.255.255.0
(정답률: 64%)
  • 6개의 서브넷으로 나누기 위해서는 2의 6승인 64개의 서브넷이 필요하다. 하지만 각 서브넷에서 적어도 30개 이상의 Host ID를 필요로 하므로, 2의 5승인 32개의 Host ID를 가지는 서브넷으로 나누어야 한다.

    서브넷 마스크 값은 255.255.255.224이다. 이는 32개의 Host ID를 가지는 서브넷을 만들기 위한 마스크 값이다. 255.255.255.224는 1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으로 표현되며, 이는 5개의 1로 시작하는 비트를 가지고 있어 2의 5승인 32개의 Host ID를 가지는 서브넷을 만들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32개의 Host ID를 가지는 서브넷을 만들 수 없으므로 적절한 서브넷 마스크 값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TCP/IP 망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호스트간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전달하여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표준 프로토콜은?

  1. FTP
  2. ICMP
  3. SNMP
  4. SMTP
(정답률: 65%)
  • SNMP는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의 약자로, TCP/IP 망을 기반으로 하는 호스트간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전달하여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다른 프로토콜들은 파일 전송, 에러 검사, 이메일 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SNMP는 네트워크 장비들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데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관리자들은 SNMP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장비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빠르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TC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두 호스트 사이에 믿을 수 있는 연결 지향적인 전송을 제공한다.
  2.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흐름을 감시하고 에러를 제어한다.
  3.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한다.
  4. TCP는 UDP보다 더 빨리 정보를 전송한다.
(정답률: 76%)
  • TCP는 UDP보다 더 빨리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 오히려 TCP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패킷의 손실이나 중복을 감지하고 재전송을 요청하는 등의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UDP보다 전송 속도가 느릴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ARP의 기능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호스트가 성공적으로 통신하기 위해서 각 하드웨어의 물리적인 주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2. 목적지 호스트의 IP Address를 MAC Address로 바꾸는 역할을 하며, 목적지 호스트가 시작지의 IP Address를 MAC Address로 바꾸는 것을 보장한다.
  3. 기본적으로 ARP 캐시(Cache)를 사용하지 않으며, 매번 서버와 통신할 때 마다 MAC Address를 요구한다.
  4. ARP 캐시(Cache)는 MAC Address와 IP Address의 리스트를 저장한다.
(정답률: 74%)
  • "기본적으로 ARP 캐시(Cache)를 사용하지 않으며, 매번 서버와 통신할 때 마다 MAC Address를 요구한다."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ARP는 MAC Address와 IP Address의 매핑 정보를 ARP 캐시(Cache)에 저장하여 매번 요구하지 않고도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ARP 캐시(Cache)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설명은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브로드캐스트(Broadcast)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어떤 특정 네트워크에 속한 모든 노드에 대하여 데이터 수신을 지시할 때 사용한다.
  2. 단일 호스트에 할당이 가능하다.
  3. 서브네트워크로 분할할 때 이용된다.
  4. 호스트의 Bit가 전부 '0'일 경우이다.
(정답률: 74%)
  • 브로드캐스트는 어떤 특정 네트워크에 속한 모든 노드에 대하여 데이터 수신을 지시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는 모든 호스트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 유용하며, 단일 호스트에 할당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 전체에 대한 명령이다. 서브네트워크로 분할할 때 이용되기도 하지만, 호스트의 Bit가 전부 '0'일 경우에만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SSH 프로토콜은 외부의 어떤 공격을 막기 위해 개발 되었는가?

  1. Sniffing
  2. DoS
  3. Buffer Overflow
  4. Trojan Horse
(정답률: 66%)
  • SSH 프로토콜은 "Sniffing" 공격을 막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Sniffing은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가로채어 볼 수 있는 공격 기법으로, 이를 통해 중요한 정보가 유출될 수 있습니다. SSH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가로채어 볼 수 없도록 하여 보안성을 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ICMP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IP에서의 오류(Error) 제어를 위하여 사용되며, 시작지 호스트의 라우팅 실패를 보고한다.
  2. TCP/IP 프로토콜에서 데이터의 전송 서비스를 규정한다.
  3. TCP/IP 프로토콜의 IP에서 접속없이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기능을 규정한다.
  4. 네트워크의 구성원에 패킷을 보내기 위한 하드웨어 주소를 정한다.
(정답률: 59%)
  • ICMP는 IP에서의 오류(Error) 제어를 위하여 사용되며, 시작지 호스트의 라우팅 실패를 보고합니다. 이는 ICMP가 인터넷 프로토콜(IP)의 일부이기 때문입니다. ICMP는 인터넷상의 다른 호스트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토콜이 아니며, 데이터의 전송 서비스를 규정하거나 접속없이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기능을 규정하지 않습니다. 또한, 하드웨어 주소를 정하는 것은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TFTP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TCP/IP 프로토콜에서 데이터의 전송 서비스를 규정한다.
  2. 인터넷상에서 전자우편(E-mail)의 전송을 규정한다.
  3. UD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두 호스트 사이에 파일 전송을 가능하게 해준다.
  4. 네트워크의 구성원에 패킷을 보내기 위한 하드웨어 주소를 정한다.
(정답률: 64%)
  • TFTP는 UD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두 호스트 사이에 파일 전송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이는 TCP와 달리 연결 지향적이지 않고, 간단한 파일 전송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TCP 헤더 포맷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hecksum은 1의 보수라 불리는 수학적 기법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2. Source 포트 32bit 필드는 TCP 연결을 위해 지역 호스트가 사용하는 TCP 포트를 포함한다.
  3. Sequence Number 32bit 필드는 세그먼트들이 수신지 호스트에서 재구성되어야 할 순서를 가리킨다.
  4. Data Offset 4bit 필드는 32bit 워드에서 TCP 헤더의 크기를 가리킨다.
(정답률: 45%)
  • "Source 포트 32bit 필드는 TCP 연결을 위해 지역 호스트가 사용하는 TCP 포트를 포함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Source 포트는 송신 호스트가 사용하는 TCP 포트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멀티캐스트 라우터에서 멀티캐스트 그룹을 유지할 수 있도록 메시지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은?

  1. ARP
  2. ICMP
  3. IGMP
  4. FTP
(정답률: 78%)
  • IGMP는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십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하거나 탈퇴하는 등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십을 관리하여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멀티캐스트 라우터에서 멀티캐스트 그룹을 유지하기 위해 IGMP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ARP는 주소 해결 프로토콜,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IP 패킷의 구조에서 헤더 부분에 들어가는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Version
  2. Total Length
  3. TTL(Time to Live)
  4. Data
(정답률: 63%)
  • IP 패킷의 구조에서 헤더 부분에 들어가는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 "Data"입니다. IP 패킷의 헤더에는 버전(Version), 총 길이(Total Length), TTL(Time to Live) 등의 정보가 포함되지만, 데이터(Data)는 페이로드(Payload) 부분에 포함됩니다. 페이로드는 IP 패킷의 헤더와 트레일러(Trailer) 사이에 위치하며, 실제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RI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독립적인 네트워크 내에서 라우팅 정보 관리를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된 프로토콜이다.
  2. 자신이 속해 있는 네트워크에 매 30초마다 라우팅 정보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한다.
  3. 네트워크 거리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홉의 총계를 사용한다.
  4.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최적의 해결방안이다.
(정답률: 63%)
  •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최적의 해결방안이라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RIP는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것이 적합하며,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는 다른 라우팅 프로토콜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라우터는 자신을 네트워크의 중심점으로 간주하여 최단 경로의 트리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에 의한 경로의 지정, 가장 경제적인 경로의 지정, 복수경로 선정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은?

  1.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2. IGRP(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3.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4. BGP(Border Gateway Protocol)
(정답률: 73%)
  • OSPF는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로, 라우터 간의 링크 상태 정보를 교환하여 최단 경로를 계산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이를 통해 라우터 간의 경로 선택이 더욱 정확하고 빠르며,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도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OSPF는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많이 사용되며, 다른 프로토콜에 비해 더욱 안정적인 라우팅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7. IP Address 중 Class가 다른 주소는?

  1. 191.234.149.32
  2. 198.236.115.33
  3. 222.236.138.34
  4. 195.236.126.35
(정답률: 70%)
  • IP 주소의 Class는 주소의 첫 번째 바이트에 따라 결정된다.

    - Class A: 첫 번째 바이트가 1~126 범위 내에 있는 주소
    - Class B: 첫 번째 바이트가 128~191 범위 내에 있는 주소
    - Class C: 첫 번째 바이트가 192~223 범위 내에 있는 주소
    - Class D: 첫 번째 바이트가 224~239 범위 내에 있는 주소
    - Class E: 첫 번째 바이트가 240~255 범위 내에 있는 주소

    따라서, 주어진 보기에서 "191.234.149.32"는 첫 번째 바이트가 128~191 범위 내에 있으므로 Class B 주소이다. 나머지 주소들은 모두 Class C 주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CSMA/CA
  2. CSMA/CD
  3. POSIX
  4. Token Pass
(정답률: 71%)
  • POSIX은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이 아니라, 운영 체제 인터페이스 표준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CSMA/CA, CSMA/CD, Token Pass는 모두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전송한 프레임의 순서에 관계없이 단지 손실된 프레임만을 재전송하는 방식은?

  1. Selective-repeat ARQ
  2. Stop-and-wait ARQ
  3. Go-back-N ARQ
  4. Adaptive ARQ
(정답률: 70%)
  • Selective-repeat ARQ은 손실된 프레임만을 재전송하는 방식으로, 전송한 프레임의 순서에 관계없이 선택적으로 재전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Stop-and-wait ARQ, Go-back-N ARQ, Adaptive ARQ와는 달리 전송한 모든 프레임을 재전송하지 않아도 되므로 효율적인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버스형 토폴로지의 단점에 해당되는 것은?

  1. 비교적 설치가 용이하다.
  2. 경제적이다.
  3. 네트워크의 트래픽이 많아 버스를 느리게 할 수 있다.
  4. 간단하고 규모가 작은 경우에도 설치가 용이하다.
(정답률: 73%)
  • 버스형 토폴로지에서는 모든 컴퓨터가 하나의 버스를 공유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트래픽이 많아지면 버스의 대역폭이 부족해져서 전송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규모가 커지거나 트래픽이 많은 경우에는 다른 토폴로지를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PCM 변조 과정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세분화
  2. 표본화
  3. 양자화
  4. 부호화
(정답률: 74%)
  • PCM 변조 과정에서는 표본화, 양자화, 부호화가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세분화"는 PCM 변조 과정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는 오타일 가능성이 있으며, "세분화"가 어떤 의미인지 명확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확한 답변을 위해서는 "세분화"가 어떤 의미인지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흐름제어, 오류제어, 접근제어, 주소 지정을 담당하는 계층은?

  1. 네트워크 계층
  2. 데이터링크 계층
  3. 물리 계층
  4. 전송 계층
(정답률: 56%)
  • 데이터링크 계층은 물리 계층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나누고, 각 프레임에 대한 흐름제어, 오류제어, 접근제어, 주소 지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여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이 계층이 흐름제어, 오류제어, 접근제어, 주소 지정을 담당하는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무선 LAN에 관한 IEEE표준은?

  1. IEEE 802.8
  2. IEEE 802.9
  3. IEEE 802.10
  4. IEEE 802.11
(정답률: 80%)
  • IEEE 802.11은 무선 LAN에 대한 표준으로, 무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과 무선 기기 간의 통신을 위한 규격을 제공합니다. 이 표준은 Wi-Fi라고도 불리며, 무선 인터넷, 스마트폰, 태블릿 등 다양한 무선 기기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기능 중에서 수신측에서 데이터 전송량이나 전송 속도 등을 조절하는 기능은?

  1. Flow Control
  2. Error Control
  3. Sequence Control
  4. Connection Control
(정답률: 75%)
  • "Flow Control"은 수신측에서 데이터 전송량이나 전송 속도 등을 조절하는 기능이다. 이는 송신측에서 너무 많은 데이터를 한 번에 보내는 것을 방지하고, 수신측에서 처리할 수 있는 양의 데이터만 받도록 제어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여러 개의 타임 슬롯(Time Slot)으로 하나의 프레임이 구성되며 각 타임 슬롯에 채널을 할당하여 다중화하는 것은?

  1. TDMA
  2. CDMA
  3. FDMA
  4. CSMA
(정답률: 65%)
  • 여러 개의 타임 슬롯으로 하나의 프레임이 구성되며 각 타임 슬롯에 채널을 할당하여 다중화하는 것은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입니다. TDMA는 시간을 분할하여 각 사용자에게 독립적인 시간 슬롯을 할당하여 다중화하는 방식으로, 한 번에 하나의 사용자만이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에게 독립적인 전송 시간을 할당하여 충돌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에러 검출(Error Detection)과 에러 정정(Error Correction)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기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검사합(Checksum)
  2. 단일 비트 에러 정정(Single Bit Error Correction)
  3. 해밍코드(Hamming Code)
  4. 상승코드(Convolutional Code)
(정답률: 51%)
  • 검사합(Checksum)은 에러 검출 기능만을 포함하고, 에러 정정 기능은 없다. 검사합은 데이터의 일부분을 더해서 생성된 값으로, 수신측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데이터 일부분을 더해서 생성된 값과 비교하여 에러를 검출한다. 하지만 검사합은 단순한 방식으로 에러를 검출하기 때문에, 에러 정정 기능은 없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에서 옳지 않은 것은 "검사합(Checksu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A) 안에 맞는 용어로 옳은 것은?

  1. QoS (Quality of Service)
  2. F/W (Fire Wall)
  3. IPS (Intrusion Prevention System)
  4. IDS ( Intrusion Detection System)
(정답률: 68%)
  • 이 그림은 네트워크에서 트래픽을 제어하고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을 보여줍니다. 그 중에서도 QoS (Quality of Service)는 네트워크에서 트래픽의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특정한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대역폭을 보장하는 기술입니다. 다시 말해, QoS는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데이터나 서비스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더 나은 성능과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NOS

28. DNS가 URL 'icqa.or.kr'을 IP Address '211.111.144.240'으로 서비스하고 있을 때 DNS 설정 항목을 수정하여 'test.icqa.or.kr'로 외부에 서비스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방법은?

  1. DNS MX 레코드를 추가한다.
  2. DNS A 레코드를 추가한다.
  3. DNS REVERSE 영역을 추가한다.
  4. 서비스 할 수 없다.
(정답률: 67%)
  • 정답: DNS A 레코드를 추가한다.

    이유: DNS A 레코드는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는 레코드이다. 따라서 'test.icqa.or.kr' 도메인을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DNS A 레코드를 추가하여 해당 도메인을 IP 주소로 매핑해야 한다. DNS MX 레코드는 메일 서버를 지정하는 레코드이며, DNS REVERSE 영역은 IP 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매핑하는 레코드이다. 이 경우에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매핑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DNS A 레코드를 추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Linux에서 네임서버의 동작 확인 및 운영관리를 위하여 널리 사용되는 명령어는?

  1. nslookup
  2. netstat
  3. ping
  4. traceroute
(정답률: 55%)
  • "nslookup"은 DNS(Domain Name System) 서버에 질의하여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 간의 매핑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네임서버의 동작 확인 및 운영관리를 위해 널리 사용된다. "netstat"은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이고, "ping"은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며, "traceroute"는 패킷이 전송되는 경로를 추적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DHCP 서버 구성 시 옳은 것은?

  1. 특정 호스트에게 항상 같은 IP 주소를 부여하려면 그 호스트의 이름이 필요하다.
  2. 특정 호스트에게 IP 주소 부여를 허가하거나 거부하려면 해당 호스트의 MAC 주소가 필요하다.
  3. 클라이언트가 도메인 이름 조회를 할 수 있게 하려면 WINS 서버를 지정한다.
  4. DHCPv6 클라이언트가 DHCP 서버로부터 IPv6 주소를 얻기 원한다면 상태 비저장 모드를 사용한다.
(정답률: 53%)
  • 정답은 "특정 호스트에게 IP 주소 부여를 허가하거나 거부하려면 해당 호스트의 MAC 주소가 필요하다."입니다.

    DHCP 서버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클라이언트에게 IP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DHCP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MAC 주소를 기반으로 IP 주소를 할당합니다. 따라서 특정 호스트에게 IP 주소를 부여하거나 거부하려면 해당 호스트의 MAC 주소가 필요합니다. 호스트의 이름은 DNS 서버에서 관리되며, DHCP 서버와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리눅스 시스템에서 마운트 되었는지 확인 사용하는 명령어로 옳지 않은 것은?

  1. fdisk
  2. mount
  3. df
  4. cat /etc/mtab
(정답률: 45%)
  • 정답은 "fdisk"입니다.

    fdisk는 디스크 파티션을 관리하는 명령어이며, 마운트 된 파일 시스템을 확인하는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마운트 된 파일 시스템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mount, df, cat /etc/mtab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Windows Server 2008 R2의 VPN Server의 클라이언트를 인증하는 방법이다.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컴퓨터 상태 검사만 수행 - 특정한 컴퓨터만 접속 가능하게 한다.
  2. 암호화 안 된 인증(PAP, SPAP) - 인증을 단순 문자열로 주고받는다. 프로토콜 분석기로 패킷을 가로채서 자격증명을 읽을 수 있다.
  3. 암호화인증 (CHAP) - 암호화된 인증 프로토콜로 최초로 사용되었다. 정기적으로 새로운 NONCE를 클라이언트에 보내 이 세션에서 새로운 연결을 한다.
  4. Microsoft 스마트 카드 또는 기타 인증서 - 인증서를 발급하고 스마트 카드를 사용자가 가짐으로써 다단계 인증을 제공 할 수 있다.
(정답률: 52%)
  • 옳지 않은 설명은 "컴퓨터 상태 검사만 수행 - 특정한 컴퓨터만 접속 가능하게 한다." 이다. 컴퓨터 상태 검사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보안 상태를 확인하는 기능으로,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VPN 서버에 접속하기 전에 수행된다. 따라서 이 기능은 특정한 컴퓨터만 접속 가능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보안 상태를 확인하여 접속을 허용하거나 거부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은 Windows Server 2008 R2의 액티브 디렉터리 도메인서비스 데이터베이스 관리에 대한 내용이다. 다음에서 설명하는 기능은?

  1. 온라인 조각모음
  2. 가비지 컬렉션
  3. AD DS 다시시작
  4. 오프라인 조각모음
(정답률: 47%)
  • 정답: "가비지 컬렉션"

    가비지 컬렉션은 액티브 디렉터리 도메인서비스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된 객체들을 정리하는 기능이다. 이 기능은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을 유지하고, 불필요한 공간을 확보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액티브 디렉터리 도메인서비스 데이터베이스의 가비지 컬렉션은 중요한 관리 기능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Windows Server 2008 R2의 파일 암호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NTFS 파일 시스템만 암호화가 가능하다.
  2. 암호화된 파일은 한 사람만 사용이 가능하다.
  3. 일반 백업 절차에 의해 암호화된 파일을 백업하면 복구 시에 복호화 된다.
  4. 폴더를 암호화 했을 때, 폴더 내 생성된 모든 파일은 그 시점에 암호화 된다.
(정답률: 44%)
  • "암호화된 파일은 한 사람만 사용이 가능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암호화된 파일은 해당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통해 복호화가 가능하므로, 해당 사용자가 다른 컴퓨터나 계정에서 로그인하여도 복호화가 가능하다.

    일반 백업 절차에 의해 암호화된 파일을 백업하면 복구 시에 복호화 된다는 것은, 백업 파일 자체가 암호화되어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암호화된 파일을 복사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복구 시에는 해당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통해 복호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일반 백업 절차에 의해 암호화된 파일을 백업하더라도, 해당 파일이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보안 조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Windows Server 2008 R2의 백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완전 서버 백업(bare-metal backup)이 가능하다.
  2. 다른 하드웨어에 서버를 복구 할 수 있다.
  3. 자기 테이프 백업을 지원한다.
  4. 네트워크 공유나 로컬하드드라이브의 백업을 지원한다.
(정답률: 58%)
  • 자기 테이프 백업을 지원하지 않는다. Windows Server 2008 R2는 다양한 백업 옵션을 제공하지만 자기 테이프 백업은 지원하지 않는다. 대신 디스크 백업, 네트워크 공유 백업, 로컬 하드 드라이브 백업 등 다양한 백업 방법을 지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불필요한 브로드캐스트 트래픽을 차단하고, 네트워크의 보안성강화를 위하여 대부분의 스위치에서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1. VLAN
  2. Spanning-Tree Protocol
  3. Trunk
  4. VTP
(정답률: 52%)
  • VLAN은 가상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로, 하나의 물리적인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가상 네트워크로 분할하여 불필요한 브로드캐스트 트래픽을 차단하고 네트워크의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VLAN을 사용하면 네트워크 관리가 용이해지며, 서로 다른 VLAN 간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스위치에서 VLAN을 필수적으로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Linux 시스템 부팅과 함께 자동으로 마운트 되어야 할 항목과 옵션이 정의되어 있는 파일은?

  1. /etc/fstab
  2. /usr/local
  3. /mount/cdrom
  4. /home/public_html
(정답률: 64%)
  • "/etc/fstab" 파일은 Linux 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 되어야 할 파일 시스템과 옵션을 정의하는 파일이다. 따라서 이 파일에는 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 되어야 할 디렉토리와 파일 시스템의 경로, 마운트 옵션 등이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이 파일이 정답이다. "/usr/local", "/mount/cdrom", "/home/public_html"은 모두 파일 시스템의 경로를 나타내는 것으로, "/etc/fstab" 파일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Windows Server 2008 R2의 'netstat' 명령 중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 할 수 있는 명령 옵션은?

  1. netstat –a
  2. netstat -r
  3. netstat –n
  4. netstat -s
(정답률: 52%)
  • 정답은 "netstat -r"입니다. 이 명령은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하는 옵션으로, 현재 시스템의 라우팅 테이블을 보여줍니다. 이 테이블은 네트워크 패킷이 전송될 때 어떤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이 명령은 네트워크 관리자나 시스템 관리자가 네트워크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SID(Security Identifi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윈도우의 각 사용자나 그룹에 부여되는 고유한 식별번호이다.
  2. 사용자가 로그인을 수행하면 접근 토큰(엑세스 토큰)이 생성되고, 해당 토큰에는 로그인한 사용자와 그 사용자가 속한 모든 작업 그룹들에 관한 SID 정보가 담겨진다.
  3. 접근 토큰의 사본은 그 사용자에 의해 시작된 모든 프로세스에게 할당된다.
  4. 사용자 계정 및 패스워드 정보를 담고 있는 passwd 파일에 SID 정보가 저장된다.
(정답률: 38%)
  • "사용자 계정 및 패스워드 정보를 담고 있는 passwd 파일에 SID 정보가 저장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asswd 파일에는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지만, SID 정보는 보안을 위해 따로 저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Windows Server 2008 R2의 보안 이벤트 감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권한 사용 이벤트는 사용자 권한이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때 감사한다.
  2. 프로세스 추적은 응용프로그램이 추적되고 있는 동작을 할 때 감사한다.
  3. 시스템 이벤트는 컴퓨터가 재시작되거나 보안에 영향을 주는 기타 이벤트가 발생할 때 감사한다.
  4. 디렉토리 서비스 이벤트는 디렉토리 서비스 이벤트의 사용여부 경우만 감사한다.
(정답률: 44%)
  • "디렉토리 서비스 이벤트는 디렉토리 서비스 이벤트의 사용여부 경우만 감사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디렉토리 서비스 이벤트는 디렉토리 서비스와 관련된 모든 이벤트를 감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Windows Server 2008 R2의 Hyper-V에서 운영체제를 설치 운영하다가 특정 프로그램을 잘못 설치하거나 삭제하여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때 운영체제를 성공적으로 설치한 시점으로 되돌리기 위하여 중요한 시점을 저장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스냅샷(snapshot)
  2. 가상 머신
  3. 가상 소프트웨어
  4. 가상 하드디스크
(정답률: 67%)
  • 스냅샷(snapshot)은 가상 머신에서 특정 시점의 상태를 저장하는 것으로, 이를 이용하여 시스템에 문제가 생긴 경우 해당 시점으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의 상황에서도 스냅샷을 이용하여 운영체제를 성공적으로 설치한 시점으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가상 머신은 가상 소프트웨어와 가상 하드디스크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스냅샷은 이러한 가상 머신에서 사용되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세분화된 암호정책을 지원한다. 암호설정개체(PSO)를 만들 수 있는 사용자는?

  1. 일반 사용자
  2. 로컬 관리자
  3. 도메인 관리자
  4. Guests
(정답률: 47%)
  • 암호설정개체(PSO)를 만들기 위해서는 도메인 관리자 권한이 필요합니다. 이는 도메인 전체의 암호 정책을 관리하는 권한이 있기 때문입니다. 일반 사용자나 로컬 관리자, Guests 등은 도메인 전체의 암호 정책을 관리할 수 있는 권한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FTP 사이트 구성시 SSL을 적용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은?

  1. 전송속도 증대
  2. 사용자 편의 향상
  3. 동시 접속 사용자 수 증가
  4. 보안 강화
(정답률: 73%)
  • SSL을 적용함으로써 FTP 사이트에서 전송되는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전송되므로 보안이 강화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컴퓨터가 부팅 될 수 있도록 Linux 운영체제의 핵이 되는 커널을 주 기억 장소로 상주시키는데 사용되는 부트 로더는?

  1. GRUB
  2. MBR
  3. CMOS
  4. SWAP
(정답률: 48%)
  • 부트 로더는 컴퓨터가 부팅될 때 운영체제를 로드하기 위해 사용되며, Linux 운영체제에서는 GRUB(Grand Unified Bootloader)이 주로 사용됩니다. GRUB은 다양한 운영체제를 지원하며, 부트 로더의 역할뿐만 아니라 커널의 위치를 찾아서 로드하는 역할도 수행합니다. 따라서 Linux 운영체제에서는 GRUB이 부팅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대화형 프롬프트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해 사용 가능한 스크립팅 환경을 포함하는 새로운 Windows 명령줄 도구는?

  1. PowerShell
  2. Server Core
  3. Active Directory
  4. Terminal Services Gateway
(정답률: 59%)
  • PowerShell은 대화형 프롬프트와 함께 스크립팅 환경을 제공하는 Windows 명령줄 도구입니다. 또한 PowerShell은 Server Core, Active Directory, Terminal Services Gateway와 같은 다양한 Windows 서비스와 호환되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46. OSI 참조모델의 물리계층에서 작동하는 네트워크 장치는?

  1. Gateway
  2. Bridge
  3. Router
  4. Repeater
(정답률: 74%)
  • 물리계층에서는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신호가 약해지거나 손실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신호를 증폭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Repeater입니다. 따라서 OSI 참조모델의 물리계층에서 작동하는 네트워크 장치는 Repeat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RAID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RAID level 2 : 어레이 안의 모든 드라이브에 비트 수준으로 자료 나누기를 제공한다. 추가 드라이브는 해밍 코드를 저장한다. 미러링된 드라이브는 필요없다.
  2. RAID level 3 : 기본적으로 RAID 1+2이다. 이는 다수의 RAID 1 한 쌍에 걸쳐 적용된 것이다. 패리티 정보는 생성되고 단일 패리티 디스크에 작성된다.
  3. RAID level 4 : 데이터가 비트나 바이트보다는 디스크 섹터 단위로 나뉘어 지는 것만 제외하면 RAID level 3과 비슷하다. 패리티 정보도 생성된다.
  4. RAID level 5 : 데이터는 드라이브 어레이의 모든 드라이브에 디스크 섹터 단위로 작성된다. 에러-수정 코드도 모든 드라이브에 작성된다.
(정답률: 44%)
  • RAID level 3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RAID level 3은 다수의 데이터 디스크와 단일 패리티 디스크로 구성되며, 패리티 정보는 모든 데이터 디스크에 걸쳐 분산되어 저장됩니다. RAID level 1+2는 존재하지 않는 레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스위치 허브(Switch Hub)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네트워크 관리가 용이하다.
  2. 네트워크 확장이 용이하다.
  3. 포트 당 일정한 속도를 보장해 준다.
  4. 스위치 허브에 연결된 사용자가 많을수록 전송속도는 향상된다.
(정답률: 74%)
  • 스위치 허브에 연결된 사용자가 많을수록 전송속도는 향상되지 않는다. 사실, 스위치 허브는 각 포트마다 독립적인 전송 경로를 제공하므로 포트 당 일정한 속도를 보장해 준다. 따라서, 사용자가 많아지면 각 포트의 대역폭이 분할되어 전송속도가 떨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라우터에서 'show running-config' 란 명령어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곳은?

  1. ROM
  2. RAM
  3. NVRAM
  4. FLASH
(정답률: 45%)
  • "show running-config" 명령어는 현재 라우터의 설정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이며, 이 정보는 라우터의 메모리인 RAM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은 RAM이다. ROM은 라우터의 부팅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NVRAM은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며, FLASH는 IOS 이미지 파일 등이 저장되는 메모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IPv4가 고갈됨에 따라 내부 네트워크의 사설IP 및 보안강화를 위해 네트워크를 분리하는 방법으로 내부에는 사설IP 대역을 사용하고 외부 네트워크에는 공인 IP를 사용하도록 하는 IP Address 변환 방식은?

  1. IPv6 방식
  2. DHCP 방식
  3. Mac Address 방식
  4. NAT 방식
(정답률: 59%)
  • NAT 방식은 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사설IP를 공인IP로 변환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보안성을 높일 수 있으며, IPv4 주소 고갈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DHCP 방식은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방식이며, Mac Address 방식은 네트워크 장비의 고유한 식별자인 Mac 주소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식입니다. IPv6 방식은 IPv4의 주소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새로운 IP 주소 체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정보보호개론

51. Apache 웹 서버 로그에서 확인 할 수 없는 정보는?

  1. 클라이언트의 IP Address
  2. 클라이언트의 요청 페이지
  3. 클라이언트의 접속 시도 날짜
  4. 클라이언트의 게시판 입력 내용
(정답률: 69%)
  • Apache 웹 서버 로그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 내용을 기록하는데, 이 중에서는 클라이언트의 IP 주소, 요청 페이지, 접속 시도 날짜 등을 확인할 수 있지만, 클라이언트의 게시판 입력 내용은 로그에 기록되지 않습니다. 이는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조치로, 클라이언트의 입력 내용은 서버 측에서만 처리되고 저장되며, 로그에는 기록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시스템의 침투 형태 중 네트워크의 한 호스트에서 실행되어 다른 호스트들의 패킷 교환을 엿듣는 해킹 유형은?

  1. Sniffing
  2. IP Spoofing
  3. Domain Spoofing
  4. Repudiation
(정답률: 66%)
  • Sniffing은 네트워크 상에서 패킷을 엿듣는 해킹 유형이다. 이는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가로채어 비밀 정보를 탈취하거나, 패스워드 등의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등의 공격에 이용된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Sniffing"이 네트워크의 한 호스트에서 실행되어 다른 호스트들의 패킷 교환을 엿듣는 해킹 유형이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Linux 시스템에서 아래 내용이 설명하는 것은?

  1. TCP_Wrapper
  2. PAM
  3. SATAN
  4. ISSm
(정답률: 65%)
  • 이 그림은 TCP_Wrapper의 기능을 설명하고 있다. TCP_Wrapper는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중 하나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를 확인하고, 접속을 허용 또는 거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불법적인 접근을 차단하거나, 보안상 취약한 서비스를 보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암호기술 서비스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밀성
  2. 분별성
  3. 부인봉쇄
  4. 인증
(정답률: 50%)
  • 분별성은 암호기술 서비스의 핵심 원칙 중 하나가 아니므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기밀성은 정보가 오직 인가된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도록 보호하는 것을 의미하며, 부인봉쇄는 발신자가 자신의 행동을 부인하지 못하도록 보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인증은 사용자가 자신이 주장하는 신원이 맞는지 확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은 TCP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플래그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SYN(Synscronization) : 초기 TCP 연결 요청
  2. FIN(Finish) : TCP 연결을 즉시 종료
  3. PSH(Push) : 수신측에 가능한 빨리 데이터를 전달
  4. URG(Urgent) : 인터럽트
(정답률: 46%)
  • 정답은 "URG(Urgent) : 인터럽트"이다.

    FIN(Finish) 플래그는 TCP 연결을 종료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플래그가 전송되면, 해당 연결에서 더 이상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겠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대방에게 연결 종료를 요청한다. 이후에는 더 이상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없다.

    SYN(Synchronization) 플래그는 초기 TCP 연결 요청에 사용된다. 이 플래그가 전송되면, 상대방과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초기화 과정이 시작된다.

    PSH(Push) 플래그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된다. 이 플래그가 전송되면, 데이터를 수신측에 가능한 빨리 전달하도록 요청한다.

    URG(Urgent) 플래그는 데이터 중에서도 긴급하게 처리되어야 하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된다. 이 플래그가 전송되면, 수신측은 해당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처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S/MIM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자우편 보안 서비스로, HTTP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2. X.509 형태의 S/MIME 인증서를 발행하여 사용한다.
  3. 전자 서명과 암호화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4. 대칭키 암호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전자우편을 암호화 한다.
(정답률: 47%)
  • S/MIME은 전자우편 보안 서비스로, HTTP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자우편 보안 서비스로, HTTP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에서 설명하는 암호화 기술은?

  1. RSA
  2. 디지털 서명
  3. IDEA
  4. DES
(정답률: 41%)
  • 위 그림은 DES 암호화 기술의 라운드 함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DE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Brute Force' 공격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암호문을 풀기 위해 모든 가능한 암호 키 조합을 적용해 보는 시도이다.
  2. 대량의 트래픽을 유발해 네트워크 대역폭을 점유하는 형태의 공격이다.
  3. 네트워크상의 패킷을 가로채 내용을 분석해 정보를 알아내는 행위이다.
  4. 공개 소프트웨어를 통해 다른 사람의 컴퓨터에 침입하여 개인정보를 빼내는 행위이다
(정답률: 52%)
  • 'Brute Force' 공격은 암호문을 풀기 위해 모든 가능한 암호 키 조합을 적용해 보는 시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Linux 커널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넷필터(Net Filter)를 이용하여 방화벽을 구성할 수 있는 패킷 제어 프로그램은?

  1. iptables
  2. nmap
  3. fcheck
  4. chkrootkit
(정답률: 49%)
  • iptables는 Linux 커널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넷필터(Net Filter)를 이용하여 방화벽을 구성할 수 있는 패킷 제어 프로그램이다. 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특정 포트나 IP 주소를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등의 패킷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iptable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Linux의 서비스 포트 설정과 관련된 것은?

  1. /etc/services
  2. /etc/pam.d
  3. /etc/rc5.d
  4. /etc/service.conf
(정답률: 50%)
  • "/etc/services" 파일은 Linux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서비스 포트 번호와 해당 포트 번호에 대한 서비스 이름을 매핑하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네트워크 서비스를 구성하고 관리하는 데 필요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이 파일을 수정하여 서비스 포트를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