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2-04-10)

네트워크관리사 1급
(2022-04-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TCP/IP

1. IPv6 address 표기 방법에 대한 설명 중 알맞은 것은?

  1. FEC0::/10는 IPv6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사용된다.
  2. FE80::/10는 링크 로컬 유니캐스트 주소로 사용된다.
  3. 2001::1/127는 IPv6 주소에서 Loopback 주소로 사용된다.
  4. FF00::/8는 IPv6 주소에서 애니캐스트 주소로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FE80::/10는 링크 로컬 유니캐스트 주소로 사용된다. 이는 IPv6 주소 중에서 링크 내에서만 사용되는 주소로, 같은 네트워크 상에 있는 장치들끼리 통신할 때 사용된다. FE80::/10 주소는 라우터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로 전달되지 않으며, 같은 네트워크 상에서만 유효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TCP/IP 환경에서 개체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SNMP 기술은 단순하고 직관적으로 동작한다. SNMP에서 사용되는 메시지가 아닌 것은?

  1. GetRequest
  2. GetNextRequest
  3. SetTrap
  4. SetRequest
(정답률: 알수없음)
  • SNMP에서 사용되는 메시지는 "GetRequest", "GetNextRequest", "SetRequest"이다. "SetTrap"은 SNMP에서 사용되는 메시지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다. "SetTrap"은 SNMP 에이전트가 관리자에게 트랩 메시지를 보내는 데 사용되는 메시지가 아니라, 관리자가 SNMP 에이전트에게 설정 값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시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TCP/IP 참조 모델에서 원격 호스트 간의 Data 전송 시 경로 결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은?

  1. Application layer
  2. Internet layer
  3. Transport layer
  4. Data-link layer
(정답률: 알수없음)
  • Internet layer는 IP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고 경로 결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입니다. 따라서 원격 호스트 간의 데이터 전송 시 경로 결정을 담당하는 계층은 Internet lay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TCP/IP 환경에서 사용하는 도구인 ′Netstat′ 명령에서 TCP 및 UDP 프로토콜에 대한 통계를 확인할 때, 올바른 명령을 고르시오.

  1. Netstat –e
  2. Netstat –s
  3. Netstat –o
  4. Netstat -r
(정답률: 알수없음)
  • 올바른 명령은 "Netstat –s" 입니다. 이 명령은 TCP 및 UDP 프로토콜에 대한 통계를 보여주는데, 이는 각 프로토콜의 전송된 패킷 수, 수신된 패킷 수, 오류 발생 수 등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내용에 해당하는 기술에서 사용되는 올바른 프로토콜을 고르시오.

  1. SSTP
  2. MIME
  3. SSH
  4. SSL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SSL"입니다.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으로, HTTPS는 SSL(Secure Sockets Layer)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합니다. SSL은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보호합니다. 따라서, HTTPS를 사용하는 경우 SSL 프로토콜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 A )에 해당되는 용어는 무엇인가?

  1. 재귀
  2. 반복
  3. 선택
  4. 동적
(정답률: 알수없음)
  • 재귀는 함수 내에서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그림에서는 함수 내에서 다시 그림이 그려지는 것을 볼 수 있으므로 재귀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DNS 레코드 중 도메인의 메일 서버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레코드는?

  1. NS 레코드
  2. Host 레코드
  3. Point 레코드
  4. MX 레코드
(정답률: 알수없음)
  • MX 레코드는 도메인의 메일 서버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레코드입니다. 이 레코드는 도메인의 DNS 서버에 등록되어 있으며, 이메일을 보내는 서버가 해당 도메인의 MX 레코드를 참조하여 메일을 전송합니다. 따라서 MX 레코드는 이메일 전송에 필수적인 레코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TCP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비연결형 서비스이고, UDP 보다 전송 속도가 빠르다.
  2. 목적지 프로세서가 모든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했거나 오류가 발생했다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3. 전송되는 데이터를 연속된 옥텟 스트림 중심의 데이터 전달 서비스를 제공한다.
  4. 옥텟 스트림은 세그먼트(Segment) 단위로 나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비연결형 서비스이고, UDP 보다 전송 속도가 빠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TCP는 연결형 서비스이며, UDP보다 전송 속도가 느리다. 이는 TCP가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오류 검사, 재전송, 순서 보장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네트워크 관리자 Kim 사원은 네트워크 환경의 안정성을 점검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분석기를 통하여 ARP request packet를 캡쳐 · 분석하였다. 다음 그림의 내용을 참조하여 ARP 필드의 내용의 Target MAC address ( A )는 무엇을 의미하는 주소인가?

  1. 목적지 호스트에 대한 로컬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의미한다.
  2. 목적지 호스트 주소를 알지 못한다는 의미이다.
  3. ARP reply을 위한 더미(dummy) 값을 의미한다.
  4. Subnet 상에 있는 특정 호스트를 의미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목적지 호스트 주소를 알지 못한다는 의미이다." 이다. ARP request packet은 목적지 호스트의 MAC 주소를 알기 위해 전송되는 패킷으로, Target MAC address 필드는 목적지 호스트의 MAC 주소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하지만 이 필드가 00:00:00:00:00:00으로 채워져 있으면, 해당 ARP request packet을 받은 호스트는 목적지 호스트의 MAC 주소를 모르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 ARP request packet은 로컬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통해 전송되어, Subnet 상에 있는 모든 호스트에게 전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아래 설명하는 내용 중 ( A ) 안에 적합한 것은?

  1. 링크 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트랜스포트 계층
  4. 응용 계층
(정답률: 알수없음)
  •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이때 패킷의 경로를 결정합니다. 하지만 패킷이 목적지에 도착했다고 해서 통신이 완료된 것은 아닙니다. 이제 패킷을 실제로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인지, 그리고 패킷이 유실되지 않았는지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트랜스포트 계층입니다. 트랜스포트 계층은 패킷의 전송을 제어하고, 에러 검출 및 복구, 흐름 제어 등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 C ) "트랜스포트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IPv6 중 그룹 내에 가장 가까운 인터페이스를 가진 호스트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형태는?

  1. Unicast Type
  2. Anycast Type
  3. Multicast Type
  4. Broadcast Type
(정답률: 알수없음)
  • Anycast Type은 그룹 내에서 가장 가까운 인터페이스를 가진 호스트에게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효율적인 네트워크 트래픽 관리와 빠른 응답 시간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IPv6에서 그룹 내에 가장 가까운 호스트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형태는 Anycast Type입니다. Unicast Type은 특정 호스트에게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 Multicast Type은 그룹 내 모든 호스트에게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 Broadcast Type은 네트워크 내 모든 호스트에게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TCP 환경에서는 여러 가지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각 프로토콜에 대해 기본적으로 지정되어 사용되고 있는 포트번호로 옳지 않은 것은?

  1. NNTP : 90
  2. TFTP : 69
  3. SMTP : 25
  4. FTP : 21
(정답률: 알수없음)
  • NNTP는 119번 포트를 사용하며, 90번 포트는 다른 프로토콜과 충돌할 수 있으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NNTP는 Usenet 뉴스 그룹을 사용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TFTP는 간단한 파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SMTP는 이메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FTP는 파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내용과 같은 특징을 가진 프로토콜은?

  1. TCP
  2. ICMP
  3. ARP
  4. UDP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프로토콜은 포트 번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며, 데이터의 신뢰성보다는 속도와 효율성을 중시하는 비연결형 프로토콜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고, 실시간성이 중요한 음성,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에 적합합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이 프로토콜은 "UD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ARP 캐시를 유지하기 위한 규칙 중 잘못된 것은?

  1. 새로 들어온 주소는 생존시간(TTL) 값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2. 새로 들어온 주소가 2분 동안 사용되지 않게 되면 ARP 캐시에서 자동으로 저장한다.
  3. 어떤 TCP/IP상에서는 주소가 ARP 캐시에 있을 때 재사용되면 TTL값이 매번 초기 값으로 다시 설정된다.
  4. ARP 캐시가 가득 차 있는 상태에서 새로운 주소가 추가되어야만 오래된 주소를 지우고 새로 들어올 주소를 위해 공간을 마련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새로 들어온 주소가 2분 동안 사용되지 않게 되면 ARP 캐시에서 자동으로 저장한다." 이다. 이는 잘못된 규칙이다. 실제로는 새로 들어온 주소가 2분 동안 사용되지 않으면 ARP 캐시에서 자동으로 삭제된다. 이는 ARP 캐시의 생존시간(TTL) 값이 만료되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IP Address ′172.16.0.0′인 경우에 이를 14개의 서브넷으로 나누어 사용하고자 할 경우 서브넷 마스크 값은?

  1. 255.255.228.0
  2. 255.255.240.0
  3. 255.255.248.0
  4. 255.255.255.192
(정답률: 알수없음)
  • 172.16.0.0은 Class B 주소이므로 기본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0.0입니다. 14개의 서브넷을 만들기 위해서는 4비트를 빌려야 합니다. 4비트를 빌리면 2의 4승인 16개의 서브넷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첫 번째 서브넷과 마지막 서브넷은 예약되어 있으므로 실제로 사용 가능한 서브넷은 14개입니다. 4비트를 빌렸으므로 서브넷 마스크는 기본 마스크에서 4비트를 추가한 255.255.240.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5.255.24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네트워크 상에서 기본 서브넷 마스크가 구현될 때, IP Address가 ′203.240.155.32′인 경우 아래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Network ID는 ′203.240.155′ 이다.
  2. Network ID는 ′203.240′ 이다.
  3. Host ID는 ′155.32′가 된다.
  4. Host ID가 ′255′일 때는 루프백(Loopback)용으로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Network ID는 ′203.240.155′ 이다."이다.

    기본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이므로, IP Address의 마지막 두 자리는 Host ID가 된다. 따라서, Network ID는 IP Address에서 마지막 두 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된다.

    203.240.155.32의 경우, 마지막 두 자리인 32는 Host ID이므로, Network ID는 203.240.155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7. TFTP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시작지 호스트는 잘 받았다는 통지 메시지가 올 때까지 버퍼에 저장한다.
  2. 중요도는 떨어지지만 신속한 전송이 요구되는 파일 전송에 효과적이다.
  3. 모든 데이터는 512바이트로 된 고정된 길이의 패킷으로 되어 있다.
  4. 보호등급을 추가하여 데이터 스트림의 위아래로 TCP 체크섬이 있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호등급을 추가하여 데이터 스트림의 위아래로 TCP 체크섬이 있게 한다는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T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로, 파일 전송에 효과적이며 모든 데이터는 512바이트로 된 고정된 길이의 패킷으로 되어 있다. 시작지 호스트는 잘 받았다는 통지 메시지가 올 때까지 버퍼에 저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 A )안에 들어가는 용어 중 옳은 것은?

  1. SDN(Software Defined Network)
  2. VLAN(Virtual LAN)
  3. NMS(Network Management System)
  4. Cloud Computing System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SDN(Software Defined Network)"입니다. SDN은 네트워크 제어와 관리를 소프트웨어로 구현하여 유연하고 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입니다. VLAN은 가상 LAN을 구성하는 기술이며, NMS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Cloud Computing System은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이 중 SDN은 네트워크 제어와 관리를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기술로, 다른 용어들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홈네트워크는 일반 가정에서 PC, 주변기기, 디지털 가전기기 등을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어함으로써 기기간에 정보 공유 및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이다. 홈네트워크는 유선 홈네트워크와 무선 홈네트워크로 구분할 수 있는데 다음 항목 중 유선 홈네트워크 접속기술로 옳은 것은?

  1. HomeRF
  2. Zigbee
  3. Home PNA
  4. NFC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Home PNA

    유선 홈네트워크 접속기술로는 전화선을 이용한 Home PNA(Powerline Networking Alliance)이 있다. Home PNA는 전화선을 통해 인터넷 연결을 가능하게 하며, 전화선이 있는 모든 방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화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무선 홈네트워크보다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이동국과 기지국 간의 무선망 접속 방식을 코드 분할을 통해 사용자가 다중접속하는 방식이다. 코드에 의해 구분된 여러 개의 단말기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어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무선 전송 방식은?

  1. CDMA
  2. TDMA
  3. CSMA/CD
  4. FDMA
(정답률: 알수없음)
  • CDMA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으로, 여러 개의 단말기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면서도 각각의 단말기를 고유한 코드로 구분하여 통신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다중 접속도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광섬유 케이블의 재료손실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Microbending
  2. Rayleigh
  3. Raman
  4. Brillouin
(정답률: 알수없음)
  • Microbending은 광섬유 케이블의 기계적인 변형으로 인한 손실로, 재료 손실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Rayleigh, Raman, Brillouin은 모두 광섬유 케이블 내에서 발생하는 광학적인 손실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물리계층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전송매체를 통해서 시스템들을 물리적으로 연결한다.
  2. 자신에게 온 비트들이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3. 전송, 형식 및 운영에서의 에러를 검색한다.
  4. 물리적 연결과 동작으로 물리적 링크를 제어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물리계층은 전송매체를 통해 시스템들을 물리적으로 연결하고, 자신에게 온 비트들이 순서대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전송, 형식 및 운영에서의 에러를 검색하는 것은 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입니다. 따라서 "전송, 형식 및 운영에서의 에러를 검색한다."가 물리계층의 역할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데이터 전송과정에서 먼저 전송된 패킷이 나중에 도착되어 수신측 노드에서 패킷의 순서를 바르게 제어하는 방식은?

  1. 순서 제어
  2. 속도 제어
  3. 오류 제어
  4. 연결 제어
(정답률: 알수없음)
  • 순서 제어는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패킷이 먼저 전송된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을 때, 수신측 노드에서 패킷의 순서를 바르게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고, 정확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주파수 분할 다중화 기법을 이용해 하나의 전송매체에 여러 개의 데이터 채널을 제공하는 전송방식은?

  1. 브로드밴드
  2. 내로우밴드
  3. 베이스밴드
  4. 하이퍼밴드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 분할 다중화 기법은 전송매체의 대역폭을 분할하여 여러 개의 데이터 채널을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이 중에서 전송매체의 대역폭이 넓은 경우에는 브로드밴드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화 기법을 이용해 하나의 전송매체에 여러 개의 데이터 채널을 제공하는 전송방식은 브로드밴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에러 검출(Error Detection)과 에러 정정(Error Correction)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기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검사합(Checksum)
  2. 단일 비트 에러 정정(Single Bit Error Correction)
  3. 해밍코드(Hamming Code)
  4. 상승코드(Convolutional Code)
(정답률: 알수없음)
  • 검사합(Checksum)은 에러 검출 기능만을 포함하고, 에러 정정 기능은 없다. 검사합은 데이터의 일부분을 더해서 생성된 값으로, 수신측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데이터 일부분을 더해서 생성된 값과 비교하여 에러를 검출한다. 하지만 검사합은 단순한 방식으로 에러를 검출하기 때문에 에러 정정 기능은 없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검사합(Checksu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ARQ 중 에러가 발생한 블록 이후의 모든 블록을 재전송하는 방식은?

  1. Go-Back-N ARQ
  2. Stop-and-Wait ARQ
  3. Selective ARQ
  4. Adaptive ARQ
(정답률: 알수없음)
  • Go-Back-N ARQ은 에러가 발생한 블록 이후의 모든 블록을 재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이전에 전송한 모든 블록을 버리고, 에러가 발생한 블록 이후의 모든 블록을 다시 전송합니다. 따라서, 전송 속도가 느려지는 단점이 있지만, 전송 중인 모든 블록을 한 번에 재전송할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Stop-and-Wait ARQ는 한 번에 하나의 블록만 전송하고, 에러가 발생하면 해당 블록만 재전송하는 방식입니다. Selective ARQ는 에러가 발생한 블록만 재전송하는 방식이며, Adaptive ARQ는 전송 환경에 따라 다양한 ARQ 방식을 적용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PCM 변조 과정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세분화
  2. 표본화
  3. 양자화
  4. 부호화
(정답률: 알수없음)
  • PCM 변조 과정에서 세분화는 해당되지 않는다. PCM 변조 과정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표본화, 양자화, 부호화가 포함된다. 세분화는 신호를 작은 단위로 나누는 과정으로, PCM 변조 과정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NOS

28. 다음은 ′/etc/passwd′ 파일의 권한을 root 사용자만 ′rw′ 권한을 주었다. 그리고 ′/etc/passwd′ 파일을 icqa 사용자도 읽을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 A )에 해당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chattr
  2. setenforce
  3. setfacl
  4. chmod
(정답률: 알수없음)
  • setfacl 명령은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한 Access Control List(ACL)을 설정하는 명령어이다. 이를 이용하여 /etc/passwd 파일에 대해 icqa 사용자에게 읽기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chattr은 파일 속성을 변경하는 명령어이고, setenforce는 SELinux Enforcement 모드를 변경하는 명령어이며, chmod는 파일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setfacl 명령어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Windows Server 2016 [로컬 보안 정책]의 [계정 정책] 중 ′계정 잠금 정책′ 항목에서 설정할 수 없는 것은?

  1. 계정 잠금 기간
  2. 계정 잠금 임계값
  3. 계정 암호 길이
  4. 계정 잠금 수 초기화 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계정 암호 길이는 [암호 복잡성 정책]에서 설정할 수 있으며, [계정 잠금 정책]에서는 설정할 수 없습니다. [계정 잠금 기간], [계정 잠금 임계값], [계정 잠금 수 초기화 시간]은 [계정 잠금 정책]에서 설정할 수 있는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Windows Active Directory에 대한 구성요소와 설명 중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Domain – 도메인의 집합
  2. Tree – 도메인을 관리하기 위한 하나의 큰 단위
  3. Site –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으며, IP주소대가 다른 묶음
  4. Trust - 두 개 이상의 트리로 구성된 Active Directory
(정답률: 알수없음)
  • Site은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으며, IP주소대가 다른 묶음입니다. 이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로 다른 지역에 위치한 컴퓨터들을 논리적으로 그룹화하여 관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입니다. Site는 도메인 컨트롤러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을 최적화하고, 대역폭을 절약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미국과 유럽에 각각 Site를 구성하면, 미국에서 유럽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대역폭이 많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Windows 2016 Server에서 DNS Zone영역을 생성할 때, 보조 DNS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지만, 수정과 삭제가 되지 않고 읽기 전용으로만 데이터 영역을 가지고 있는 영역을 무엇이라 하는가?

  1. Primary Zone
  2. Secondary Zone
  3. Stub Zone
  4. ReadOnly Zone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Stub Zone"이다. Stub Zone은 보조 DNS와 같은 역할을 하지만, 수정과 삭제가 되지 않고 읽기 전용으로만 데이터 영역을 가지고 있다. 이 영역은 다른 DNS 서버의 정보를 가지고 있어 해당 영역에 대한 쿼리를 받으면 다른 DNS 서버로 전달하여 답변을 받아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해당 영역은 읽기 전용이며 수정과 삭제가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서버 관리자 Park 대리는 Windows Server 2016의 적절한 감사 정책을 통하여 법적 요구 사항과 조직의 정책에 따라 필요한 로그를 남기도록 설정하고자 한다. 감사 정책 항목에 대하여 권장하는 보안 설정이 옳지 않은 것은?

  1. 계정 관리 감사 : 실패
  2. 권한 사용 감사 : 실패
  3. 정책 변경 감사 : 실패
  4. 계정 로그온 이벤트 감사 : 성공, 실패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정책 변경 감사 : 실패"

    이유: 정책 변경 감사는 정책 변경에 대한 로그를 남기는 것이므로, 실패로 설정하면 정책 변경에 대한 로그가 남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정책 변경 감사는 성공으로 설정해야 한다. 계정 관리 감사와 권한 사용 감사는 보안 관리를 위해 실패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계정 로그온 이벤트 감사는 로그인 성공과 실패에 대한 로그를 남기므로, 성공과 실패 모두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서버 담당자 Park 사원은 Windows Server 2016에서 두개의 노드 사이에 저장소를 공유하는 저장소 복제 기능을 사용하고자 한다. 다음 중 Windows Server 2016에서 저장소 복제 기능을 구축하여 활용하고자 하는 방안이 다른 것은?

  1. 클러스터를 여러 물리 사이트로 확장하는 경우
  2. 두 개의 각 클러스터 사이에 데이터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는 경우
  3. 두 개의 다른 위치에 저장된 동일한 파일의 중복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4. 서버간 저장소 복제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두 개의 다른 위치에 저장된 동일한 파일의 중복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이유: 저장소 복제 기능은 두 개 이상의 노드 간에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데이터의 가용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기능이다. 이를 위해 두 개 이상의 노드가 동일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중복된 데이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다른 위치에 저장된 동일한 파일의 중복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저장소 복제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이 경우에는 중복 파일을 찾아서 삭제하는 등의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네트워크 담당자 Kim 사원은 Windows Server 2016에서 원격 액세스 서비스를 운용하고자 한다. Windows Server 2016 내에 있는 이 기능은 DirectAccess와 VPN과 달리 원격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이 기능은 오히려 내부 웹 리소스를 인터넷에 게시하는데 사용된다. 이 기능은 무엇인가?

  1. WAP(Web Application Proxy)
  2. PPTP(Point-to-Point Tunneling Protocol)
  3. L2TP(Layer 2 Tunneling Protocol)
  4. SSTP(Secure Socket Tunneling Protocol)
(정답률: 알수없음)
  • WAP(Web Application Proxy)은 Windows Server 2016에서 내부 웹 리소스를 인터넷에 게시하는데 사용되는 기능이다. 따라서 DirectAccess와 VPN과는 달리 원격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PPTP, L2TP, SSTP는 모두 VPN 프로토콜이며, WAP와는 목적과 사용 방법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Windows Server 2016이 설치된 컴퓨터는 항상 가동하는 것이 일반적인 용도이기 때문에 서버 담당자 Park 사원은 시스템을 종료할 때마다 그 이유를 명확히 하여 더 안정적으로 시스템을 운영하고자 한다. 다음 중 이전에 종료 또는 재부팅된 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 항목은?

  1. 성능모니터
  2. 이벤트뷰어
  3. 로컬보안정책
  4. 그룹정책편집기
(정답률: 알수없음)
  • 이전에 종료 또는 재부팅된 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 항목은 "이벤트뷰어"입니다. 이벤트뷰어는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기록하고 관리하는 도구로, 시스템 로그에 종료 또는 재부팅과 관련된 이벤트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벤트뷰어를 통해 이전에 종료 또는 재부팅된 기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서버 담당자 Park 사원은 Windows Server 2016의 장애를 대비하여 인증서 키를 백업해 놓았다. 이 인증서 키를 실행창에서 명령어를 통해 복원시키고자 하는데 인증서 관리자를 호출할 수 있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1. eventvwr.msc
  2. compmgmt.msc
  3. secpol.msc
  4. certmgr.msc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인 "certmgr.msc"는 인증서 관리자를 호출하는 명령어이다. 이 명령어는 Windows 운영체제에서 인증서를 관리하는데 사용되며, 인증서를 생성, 복사, 백업, 복원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Park 사원이 백업해 놓은 인증서 키를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인증서 관리자를 호출하는 "certmgr.msc" 명령어를 실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Linux 시스템에서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수정하는 명령어는?

  1. usermod
  2. config
  3. profile
  4. passwd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usermod"입니다. "usermod"는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수정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사용자 계정의 이름, 홈 디렉토리, 로그인 쉘 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config"는 설정 파일을 수정하는 명령어이고, "profile"은 쉘 환경 설정 파일을 수정하는 명령어입니다. "passwd"는 사용자 계정의 암호를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Linux의 ′vi′ 에디터 명령 모드 작업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저장하는 방법은 ′:q′ 이다.
  2. 저장하지 않고 끝내는 방법은 ′:wq!′ 이다.
  3. 문서에 행 번호 붙이기는 ′:set nu′ 이다.
  4. 한 줄 삭제 명령은 ′dw′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문서에 행 번호를 붙이는 명령은 ':set nu'이다. 이 명령은 현재 작업 중인 문서의 왼쪽에 행 번호를 표시해준다. 이는 특정 행을 찾거나 수정할 때 유용하며, 코드 디버깅에도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Linux에서 파일의 접근 권한 변경 시 사용되는 명령어는?

  1. umount
  2. greb
  3. ifconfig
  4. chmod
(정답률: 알수없음)
  • chmod는 change mode의 약자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접근 권한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자, 그룹, 기타 사용자에 대한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보안을 강화하거나,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때 접근 권한을 제한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Linux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환경 설정에 필요한 설정 파일들과 ′passwd′ 파일을 포함하고 있는 디렉터리는?

  1. /bin
  2. /home
  3. /etc
  4. /root
(정답률: 알수없음)
  • "/etc" 디렉터리는 Linux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환경 설정 파일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디렉터리에는 시스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설정 파일들이 위치하며,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설정, 사용자 계정 설정, 서비스 설정 등이 있습니다. 또한, "/etc/passwd" 파일은 사용자 계정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로, 이 파일도 "/etc" 디렉터리에 위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DHCP 클라이언트에서는 지정된 간격으로 대여기간을 갱신 받게 되는데 이를 수동으로 하는 명령어는?

  1. ipconfig /renew
  2. ipconfig /refresh
  3. netstat /renew
  4. netstat /refresh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ipconfig /renew"

    DHCP 클라이언트에서는 IP 주소 대여기간이 지정되어 있으며, 이 기간이 지나면 IP 주소를 다시 요청해야 한다. 이때 "ipconfig /renew" 명령어를 사용하면 DHCP 서버로부터 새로운 IP 주소를 요청하고 대여기간을 갱신할 수 있다. "ipconfig /refresh"는 DNS 캐시를 갱신하는 명령어이며, "netstat /renew"와 "netstat /refresh"는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아파치 서버의 설정 파일인 ′httpd.conf′의 항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KeepAlive On : HTTP에 대한 접속을 끊지 않고 유지한다.
  2. StartServers 5 : 웹서버가 시작할 때 다섯 번째 서버를 실행 시킨다.
  3. MaxClients 150 : 한 번에 접근 가능한 클라이언트의 개수는 150개 이다.
  4. Port 80 : 웹서버의 접속 포트 번호는 80번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StartServers 5 : 웹서버가 시작할 때 다섯 번째 서버를 실행 시킨다."

    설명: StartServers는 웹서버가 시작될 때 실행되는 프로세스의 수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StartServers 5는 웹서버가 시작될 때 5개의 프로세스를 실행시킨다는 뜻이다. 따라서 "다섯 번째 서버를 실행 시킨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Windows Server 2016의 파일 서버에서 사용자 기본접근권한을 설정할 때 사용할 수 없는 항목은 무엇인가?

  1. Read
  2. Write
  3. List folder contents
  4. Wirte & Excute
(정답률: 알수없음)
  • Windows Server 2016의 파일 서버에서 사용자 기본접근권한을 설정할 때 "Wirte & Excute" 항목은 사용할 수 없는 항목이다. 이는 Windows Server 2016에서는 파일 서버에서 실행 가능한 파일을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을 따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Write"와 "Execute" 권한을 따로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아래의 내용에서 설명하는 프로토콜은?

  1. DHCP
  2. SNMP
  3. LDAP
  4. Kerberos 버전5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프로토콜은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LDAP)이다. 그림에서는 LDAP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을 보여주고 있다. LDAP은 디렉토리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로, 사용자, 그룹, 컴퓨터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그림에서는 LDAP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클라이언트가 검색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DHCP, SNMP, Kerberos 버전5는 LDAP과는 다른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E-Mail에서 주로 사용하는 프로토콜로 옳지 않은 것은?

  1. SMTP
  2. POP3
  3. IMAP
  4. SNMP
(정답률: 알수없음)
  • SNMP는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의 약자로, 네트워크 장비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이는 E-Mail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아니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SMTP는 이메일을 보내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고, POP3와 IMAP은 이메일을 받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46. RAID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RAID level 2 : 어레이 안의 모든 드라이브에 비트 수준으로 자료 나누기를 제공한다. 추가 드라이브는 해밍 코드를 저장한다. 미러링된 드라이브는 필요없다.
  2. RAID level 3 : 기본적으로 RAID 1+2이다. 이는 다수의 RAID 1 한 쌍에 걸쳐 적용된 것이다. 패리티 정보는 생성되고 단일 패리티 디스크에 작성된다.
  3. RAID level 4 : 데이터가 비트나 바이트보다는 디스크 섹터 단위로 나누어지는 것만 제외하면 RAID level 3과 비슷하다. 패리티 정보도 생성된다.
  4. RAID level 5 : 데이터는 드라이브 어레이의 모든 드라이브에 디스크 섹터 단위로 작성된다. 에러-수정 코드도 모든 드라이브에 작성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RAID level 3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RAID level 3은 다수의 데이터 디스크와 단일 패리티 디스크로 구성되며, 패리티 정보는 모든 데이터 디스크에 걸쳐 분산되어 저장됩니다. RAID level 1+2는 존재하지 않는 레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OSPF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P의 서비스를 받는다.
  2. 프로토콜 Number는 89번을 사용한다.
  3. 물리적인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따라 네트워크 타입을 규정하고 있다.
  4. Distance Vector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OSPF는 Distance Vector 라우팅 프로토콜이 아니라 Link State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라우터가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검색한 경로 정보를 저장하는 곳은?

  1. MAC Address 테이블
  2. NVRAM
  3. 플래쉬(Flash) 메모리
  4. 라우팅 테이블
(정답률: 알수없음)
  • 라우터가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검색한 경로 정보를 저장하는 곳은 라우팅 테이블입니다. 라우팅 테이블은 라우터가 다른 네트워크로 패킷을 전송할 때 사용하는 경로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입니다. 이 정보는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해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며, 라우터가 패킷을 전송할 때마다 이 테이블을 참조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합니다. 따라서 라우팅 테이블은 라우터의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의 동작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단, 모든 설정 값은 기본 설정 값을 사용한다.)

  1. 라우팅 테이블은 데이타그램 패킷을 통하여 모든 라우터에 방송된다.
  2. RIP에서는 최대 Hop를 16으로 제한하므로 16이상의 경우는 도달할 수 없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3. 매 60초 마다 라우팅 정보를 방송한다.
  4. 만약 180초 이내에 새로운 라우팅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경로를 이상 상태로 간주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라우팅 테이블은 데이타그램 패킷을 통하여 모든 라우터에 방송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RIP는 매 60초마다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을 다른 라우터에게 전송하여 네트워크의 라우팅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이때 전송되는 정보는 라우팅 테이블의 일부분으로, 라우터가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와 그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라우터들의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라우팅 테이블 전체가 데이타그램 패킷을 통해 방송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네트워크 보안 장비 중 네트워크 침입 시도의 흔적을 찾거나 네트워크 장비의 사용을 감시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보안 장비는?

  1. 침입탐지/방지시스템(IDS/IPS)
  2. 방화벽(Firewall)
  3. 네트워크관리시스템(NMS)
  4. 가상사설망시스템(VPN)
(정답률: 알수없음)
  • 침입탐지/방지시스템(IDS/IPS)은 네트워크 보안 장비 중 하나로, 네트워크 상에서 발생하는 침입 시도나 악성 코드 등의 흔적을 탐지하고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고, 중요한 정보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정보보호개론

51. 다음 보기 중 iptables 에서 규칙에 맞는 패킷을 거부해 패킷의 출발지에 에러 메시지를 돌려주는 설정 값은?

  1. DROP
  2. REJECT
  3. MASQUERADE
  4. LOG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REJECT

    iptables에서 REJECT 설정 값은 규칙에 맞는 패킷을 거부하고, 패킷의 출발지에 에러 메시지를 돌려주는 설정 값입니다. 이는 DROP 설정 값과는 달리, 거부된 패킷이 어디서 왔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예를 들어, 방화벽에서 특정 포트를 차단하는 규칙을 설정했을 때, DROP 설정 값은 해당 포트로 들어오는 모든 패킷을 무시하고 버립니다. 하지만 REJECT 설정 값은 해당 포트로 들어오는 패킷을 거부하고, 거부된 이유를 에러 메시지로 전송합니다. 이를 통해 공격자가 어디서부터 공격을 시도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nmap 포스트캔을 이용하여 UDP 포트 스캔 시 서비스 포트가 Close 되어 있을 경우 회신되는 것은?

  1. RST
  2. RST + ACK
  3. ICMP unreachable
  4. 응답없음
(정답률: 알수없음)
  • UDP 포트 스캔 시 서비스 포트가 Close 되어 있을 경우, 해당 포트로 UDP 패킷을 보내도 응답이 없기 때문에, 대상 시스템은 ICMP unreachable 메시지를 보내게 된다. 이 메시지는 대상 시스템이 해당 포트에 대한 응답을 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는 포트가 Close 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ICMP unreachable" 이다. "RST"와 "RST + ACK"는 TCP 포트 스캔에서 사용되는 응답이며, "응답없음"은 대상 시스템이 아예 응답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윈도우 시스템에서 폴더에 대한 공유를 해제하고자 한다. ( A )에 해당하는 해제 명령어로써 옳은 것은?(아래는 윈도우 시스템의 공유 자원에 대한 출력이다.)

  1. net stop
  2. net share
  3. net session
  4. net user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net share

    해설:
    - "net stop": 서비스를 중지하는 명령어
    - "net share": 폴더를 공유하는 명령어
    - "net session": 현재 세션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
    - "net user": 사용자 계정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

    따라서, 폴더에 대한 공유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net share"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이 명령어는 현재 공유 중인 폴더를 보여주고, 공유를 해제할 수 있는 옵션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Secure Sockets Layer 버전 3.0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이용하면 공격자는 패딩 오라클 공격에 의해 암호화 통신의 일부(주로 쿠키 정보)를 해독할 수 있다. 이 취약점의 이름은?

  1. POODLE 취약점
  2. heart bleed 취약점
  3. Bicycle 취약점
  4. freak 취약점
(정답률: 알수없음)
  • POODLE 취약점은 SSL 3.0에서 발견된 취약점으로, 공격자가 패딩 오라클 공격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통신의 일부를 해독할 수 있게 된다. 이 취약점은 주로 쿠키 정보를 탈취하는 데 사용되며, SSL 3.0을 사용하는 모든 웹 사이트에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SSL 3.0을 사용하는 웹 사이트는 POODLE 취약점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은 Windows의 네트워크 기반 유틸리티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ipconfig : 해당 컴퓨터의 IP 설정과 관련된 기능 수행
  2. arp : 라우팅 테이블에 대한 정보 출력
  3. tracert : 목적지 IP 주소까지의 경로에서 중계 역할을 하는 라우터의 주소 표시
  4. nslookup : DNS 서버에 연결해서 IP주소나 도메인 이름에 대한 질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arp : 라우팅 테이블에 대한 정보 출력"이다. arp는 주어진 IP 주소에 대한 물리적 MAC 주소를 찾기 위한 프로토콜이며, 라우팅 테이블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라우팅 테이블에 대한 정보 출력"은 잘못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Linux에서 tar 옵션 중 설명이 틀린 것은?

  1. c - 새로운 아카이브 생성
  2. x - 아카이브 해제
  3. f - tar 아카이브 파일 지정
  4. j - tar.gz 형태로 압축 또는 해제
(정답률: 알수없음)
  • j 옵션은 tar.gz 형태로 압축 또는 해제하는 옵션이 아니라, tar.bz2 형태로 압축 또는 해제하는 옵션입니다. j 옵션은 -z 옵션과 같이 사용되어야 합니다. -z 옵션은 tar.gz 형태로 압축 또는 해제하는 옵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라우터(Router)를 이용한 네트워크 보안 설정 방법 중에서 내부 네트워크로 유입되는 패킷의 소스 IP나 목적지 포트 등을 체크하여 적용하거나 거부하도록 필터링 과정을 수행하는 것은? (Standard 또는 Extended Access-List 사용)

  1. Ingress Filtering
  2. Egress Filtering
  3. Unicast RFP
  4. Packet Sniffing
(정답률: 알수없음)
  • "Ingress Filtering"은 라우터를 이용하여 내부 네트워크로 유입되는 패킷의 소스 IP나 목적지 포트 등을 체크하여 적용하거나 거부하는 필터링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Ingress Filtering"이 정답이다. "Egress Filtering"은 외부 네트워크로 나가는 패킷을 필터링하는 것이고, "Unicast RFP"는 유니캐스트 리버스 패스 필터링을 의미한다. "Packet Sniffing"은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되는 패킷을 가로채어 분석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Linux의 서비스 포트 설정과 관련된 것은?

  1. /etc/services
  2. /etc/pam.d
  3. /etc/rc5.d
  4. /etc/service.conf
(정답률: 알수없음)
  • "/etc/services" 파일은 Linux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서비스 포트 번호와 해당 포트 번호에 대한 서비스 이름을 매핑하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네트워크 서비스를 구성하고 관리하는 데 필요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이 파일을 수정하여 서비스 포트를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은 TCP/IP 공격 유형에 대한 설명이다. 올바른 것은?

  1. DNS Cache Poisoning
  2. Denial of Service
  3. Data Insertion
  4. Man in the middle
(정답률: 알수없음)
  • DNS Cache Poisoning은 DNS 서버의 캐시에 악성 DNS 정보를 삽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사이트로 접속하지 못하도록 하는 공격 유형이다. 이는 중간자 공격과 유사하지만, 중간자 공격은 통신 내용을 가로채서 조작하는 반면, DNS Cache Poisoning은 DNS 서버의 캐시를 조작하여 공격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공격자는 사용자를 악성 사이트로 유도하거나,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탈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정보보호 서비스 개념에 대한 아래의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무결성
  2. 부인봉쇄
  3. 접근제어
  4. 인증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는 데이터가 수정되지 않았음을 보장하는 "무결성"을 나타내는 그림이 나타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무결성"입니다. 무결성은 데이터가 정확하고 완전하며 수정되지 않았음을 보장하는 보안 서비스입니다.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데이터가 생성된 이후에는 수정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데이터가 전송되는 도중에도 데이터가 변조되지 않도록 보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