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4-07)

전기기능사
(2002-04-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 이론

1. 2[㎌], 3[㎌], 4[㎌]의 콘덴서 3개를 병렬로 연결할때 합성 정전용량[㎌]은?

  1. 0.7
  2. 9
  3. 1.5
  4. 12
(정답률: 89%)
  • 콘덴서가 병렬로 연결될 때는 각 콘덴서의 용량을 모두 더해줍니다. 따라서 2[㎌] + 3[㎌] + 4[㎌] = 9[㎌]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10[㎝] 떨어진 2장의 금속 평행판 사이의 전위차가 500[V]일때 이 평행판 안에서 전위의 기울기는?

  1. 5[V/m]
  2. 50[V/m]
  3. 500[V/m]
  4. 5000[V/m]
(정답률: 42%)
  • 전위차는 전기장과 거리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위차가 500[V]이고 두 평행판이 10[㎝] 떨어져 있으므로 전기장은 5000[V/0.1m] = 50000[V/m] 입니다. 전위의 기울기는 전기장의 기울기와 같으므로, 50000[V/m]를 10배 나눈 5000[V/m]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000[V/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전류와 자속에 관한 설명 가운데 옳은 것은?

  1. 전류와 자속은 항상 폐회로를 이룬다.
  2. 전류와 자속은 항상 폐회로를 이루지 않는다.
  3. 전류는 폐회로이나 자속은 아니다.
  4. 자속은 폐회로이나 전류는 아니다.
(정답률: 61%)
  • 전류는 전자의 이동이므로 전자는 항상 폐회로를 이루며, 자속은 전류가 흐르는 회로 주위에 생성되므로 자속도 항상 폐회로를 이룹니다. 따라서 "전류와 자속은 항상 폐회로를 이룬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가우스의 정리는 무엇을 구하는데 사용하는가?

  1. 자장의 세기
  2. 자위
  3. 전장의 세기
  4. 전위
(정답률: 54%)
  • 가우스의 정리는 전기장의 세기를 구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는 전기장이 얼마나 강한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전기장의 크기와 방향을 결정하는 전하의 분포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가우스의 정리는 전하가 분포하는 공간에서 전장의 세기를 계산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용량 리액턴스와 반비례 하는 것은?

  1. 전압
  2. 저항
  3. 임피던스
  4. 주파수
(정답률: 46%)
  • 용량 리액턴스는 주파수에 반비례합니다. 이는 용량이 충전 및 방전되는 속도가 주파수가 높을수록 빨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파수가 높을수록 용량 리액턴스는 작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전압과 저항은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주파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과 같이 자극사이에 있는 도체에 전류 I가 흐를때 힘은 어느 방향으로 작용하는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72%)
  • (1)인 오른쪽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는 왼쪽 자극과 오른쪽 자극의 자기장이 서로 반대 방향이기 때문에 전류가 흐르면서 생기는 자기장도 반대 방향이 되어서 서로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내부저항 0.1[Ω]인 건전지 10개를 직렬로 접속하고 이것을 한조로 하여 5조 병렬로 접속하면 합성 내부저항[Ω]은?

  1. 0.2
  2. 0.3
  3. 1
  4. 5
(정답률: 50%)
  • 10개의 건전지를 직렬로 접속하면 내부저항은 0.1[Ω] × 10 = 1[Ω]이 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한조를 5조 병렬로 접속하면 각 조의 전압은 동일하게 유지되지만 전류는 5배가 됩니다. 따라서 전류가 5배가 되므로 내부저항도 5배가 되어 5[Ω]가 됩니다. 이제 5조의 내부저항을 병렬로 접속하면 전압은 동일하게 유지되지만 전류는 각 조의 내부저항에 반비례하여 나누어지므로, 5조의 내부저항인 5[Ω]를 5로 나누어서 1[Ω]이 됩니다. 따라서 10개의 건전지를 직렬로 접속하고 이것을 한조로 하여 5조 병렬로 접속하면 합성 내부저항은 1[Ω] → 5[Ω] → 1[Ω]이므로 0.2[Ω]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3[Ω]의 저항이 5개, 7[Ω]의 저항이 3개, 114[Ω]의 저항이 1개 있다. 이들을 모두 직렬로 접속할 때의 합성저항[Ω]은?

  1. 120
  2. 130
  3. 150
  4. 160
(정답률: 83%)
  • 직렬 접속 시 전체 저항은 각 저항의 합과 같습니다. 따라서 3[Ω]의 저항 5개를 직렬로 접속하면 15[Ω], 7[Ω]의 저항 3개를 직렬로 접속하면 21[Ω], 114[Ω]의 저항 1개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이들을 모두 직렬로 접속하면 15[Ω] + 21[Ω] + 114[Ω] = 150[Ω]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과 같은 병렬 회로에서 a, b 단자에서 본 역률값은? (단, a, b 단자간에 E[V]의 교류 전압을 가한다.)

(정답률: 43%)
  • 병렬 회로에서는 전압은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a, b 단자에서의 전압은 E[V]이다. 따라서 역률은 전류와 전압의 상관관계에서 cosθ = P/VI로 구할 수 있다. 각 저항의 전류는 전압에 대한 저항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므로, 각 저항의 전류를 구하고 전체 전류를 더하여 전압에 대한 총 저항을 구한다. 이를 이용하여 역률을 계산하면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i=Im sin ω t인 사인파 교류에서 ω t가 몇도일때 순시값과 실효값이 같게 되는가?

  1. 45°
  2. 60°
  3. 90°
(정답률: 54%)
  • 순시값은 최대값인 Im일 때이고, 실효값은 최대값의 1/√2인 Im/√2일 때이다.
    따라서, 순시값과 실효값이 같아지기 위해서는 Im = Im/√2가 되어야 한다.
    이를 풀면 √2 = 2^(1/2) 이므로, sin ωt = 1/√2일 때 순시값과 실효값이 같아진다.
    sin 45° = 1/√2 이므로, 정답은 "4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VA]는 무엇의 단위인가?

  1. 유효전력
  2. 무효전력
  3. 피상전력
  4. 역률
(정답률: 64%)
  • VA는 전력의 단위로, 피상전력을 나타냅니다. 피상전력은 전기회로에서 사용되는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전기기기가 소비하는 전력의 총량을 나타냅니다. 유효전력은 실제로 전기기기가 사용하는 유용한 전력을 나타내고, 무효전력은 전기기기가 사용하지 않는 불필요한 전력을 나타냅니다. 역률은 전기기기가 사용하는 전력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전기분해에 의해 전극에 석출된 물질의 양은 통과한 전기량과 그 물질의 전기 화학당량에 비례하는 것은?

  1. 주울의 법칙
  2. 앙페르의 법칙
  3. 패러데이의 법칙
  4. 렌즈의 법칙
(정답률: 71%)
  • 패러데이의 법칙은 전기분해에 의해 전극에 석출된 물질의 양이 통과한 전기량과 그 물질의 전기 화학당량에 비례한다는 법칙입니다. 이는 전기분해 과정에서 전기적으로 화학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전기량과 화학 반응의 양이 비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전기분해를 할 때 석출된 물질의 양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패러데이의 법칙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두금속의 접속점에 온도차를 주면 열기전력이 생기는 현상은?

  1. 제어벡 효과
  2. 펠티에 효과
  3. 톰슨 효과
  4. 볼타 효과
(정답률: 58%)
  • 두 금속의 접속점에서 온도차가 발생하면, 이 온도차로 인해 전자의 이동이 발생하게 되어 전기적인 열기전력이 발생하는데, 이를 제어하는 효과를 제어벡 효과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제어벡 효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원자핵의 구속력을 벗어나서 물질내에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것은?

  1. 중성자
  2. 양자
  3. 분자
  4. 자유전자
(정답률: 87%)
  • 원자핵에는 양성자와 중성자가 있습니다. 양성자는 양전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원자핵에 묶여있는 상태에서 움직이지 못합니다. 중성자는 전하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원자핵과의 강한 인력으로 인해 묶여있는 상태에서 움직이지 못합니다. 하지만 전자는 원자핵에 의해 끌려있지만, 전하가 음(-)이기 때문에 원자핵과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유전자는 원자핵의 구속력을 벗어나서 물질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쿨롱의 법칙에서 2개의 점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력의 크기는?

  1. 두전자량의 곱에 비례하고 전자량 사이의 거리제곱에 반비례한다.
  2. 두전기량의 곱에 비례하고 전기량 사이의 거리제곱에 비례한다.
  3. 두전하의 곱에 비례하고 전하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비례한다.
  4. 두전기량의 곱에 비례하고 전기량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55%)
  • 쿨롱의 법칙에서 두 점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력은 두 전하의 크기와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두 전하의 크기가 커질수록 정전력도 커지고, 거리가 멀어질수록 정전력은 작아진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두 전하의 크기를 각각 q1, q2라 하고, 거리를 r이라 할 때, 정전력 F는 F ∝ q1q2/r^2로 표현된다. 따라서 두 전하의 크기가 커질수록 정전력도 커지고, 거리가 멀어질수록 정전력은 작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빛을 많이 쬐어 줄수록 자유 전자가 증가하여 저항이 감소되는 소자는?

  1. IC
  2. Diode
  3. CdS
  4. TRIAC
(정답률: 48%)
  • CdS는 광전도 효과를 가지고 있어 빛을 많이 쬐어 줄수록 전기적으로 민감해지며, 이로 인해 자유 전자가 증가하여 저항이 감소됩니다. 따라서 CdS는 빛 감지기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주어진 전선의 지름을 균일하게 2배로 줄였다면 저항 값은 몇 배인가?

  1. 2
  2. 3
  3. 4
  4. 1/2
(정답률: 56%)
  • 전선의 지름을 2배로 줄이면 단면적은 4배가 되므로, 저항 값은 1/4배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합성 임피던스[Ω] 값은?

  1. 1
  2. 2
  3. 3
  4. 5
(정답률: 50%)
  • 해당 회로는 병렬 저항과 직렬 인덕턴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합성 임피던스는 병렬 저항과 직렬 인덕턴스의 합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병렬 저항의 값은 2Ω와 3Ω의 역수의 합의 역수로 구할 수 있습니다.

    1/2 + 1/3 = 5/6

    따라서 병렬 저항의 값은 6/5Ω가 됩니다.

    직렬 인덕턴스의 값은 4Ω와 1H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4Ω × 1H = 4ΩH

    따라서 직렬 인덕턴스의 값은 4ΩH가 됩니다.

    따라서 합성 임피던스는 6/5Ω + 4ΩH가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를 Ω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복소수 표기법을 이용하여 합성 임피던스를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Z = 6/5 - j4

    따라서 합성 임피던스의 값은 5Ω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저압구내 가공 인입선을 DV 전선으로 시설할 때 긍장이 20[m]인 경우에 몇 [mm]이상의 DV전선을 사용하여야 하는 가?

  1. 2.0
  2. 2.6
  3. 3.2
  4. 5.0
(정답률: 50%)
  • DV 전선의 긍장이 20[m]이므로, 이 길이만큼 전압이 상승할 때 전선의 저항에 의한 전압강하가 전압상승과 같아지게 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전압강하를 최소화하기 위한 전선의 저항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전선의 저항은 전선의 길이와 단면적에 반비례하므로, 단면적이 큰 전선일수록 저항이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긍장이 20[m]인 경우에는 최소한 2.6[mm²] 이상의 DV 전선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높은 온도 및 기름에 잘 견디는 전기용 절연 테이프는?

  1. 리노 테이프
  2. 고무 테이프
  3. 비닐 테이프
  4. 블랙 테이프
(정답률: 68%)
  • 리노 테이프는 실리콘으로 코팅된 유리섬유로 만들어져 높은 온도와 기름에 잘 견딜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용 절연 테이프로 많이 사용됩니다. 고무 테이프나 비닐 테이프는 높은 온도나 기름에 대한 내성이 낮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블랙 테이프는 전기용 절연 테이프로 사용되지만, 높은 온도나 기름에 대한 내성은 리노 테이프보다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기 기기

21. 경질 비닐관의 가공 작업으로 볼수 없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90도 구부리기
  2. 2호 박스 커넥타 만들기
  3. S형 및 반오프셋 만들기
  4. 커플링과 부싱 만들기
(정답률: 34%)
  • 경질 비닐관은 열에 대한 저항성이 높기 때문에 가열하여 가공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2호 박스 커넥타 만들기는 경질 비닐관의 가공 작업으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저압단상 3선식 회로의 중심선에서 퓨즈 사용법은?

  1. 다른선의 퓨즈와 같은 용량의 퓨즈를 사용한다.
  2. 퓨즈를 사용하지 않는다.
  3. 다른선 퓨즈의 1/2 용량의 퓨즈를 사용한다.
  4. 다른선 퓨즈의 3배 용량의 퓨즈를 사용한다.
(정답률: 46%)
  • 저압단상 3선식 회로의 중심선은 단상 회로에서 중립선으로 사용되며, 전류가 흐르는 선이 아니기 때문에 퓨즈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퓨즈를 사용하지 않는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금속관 및 그 부속품은 제 몇종 접지공사에 의하여 접지해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제1종 접지공사
  2. 제2종 접지공사
  3. 제3종 접지공사
  4. 특별 제3종 접지공사
(정답률: 63%)
  • 금속관 및 그 부속품은 전기적 안전을 위해 접지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전기안전관리규정에서는 접지공사의 종류를 구분하고 있다. 제1종 접지공사는 일반적인 건축물의 접지를 담당하며, 제2종 접지공사는 전기설비의 접지를 담당한다. 그러나 금속관 및 그 부속품은 전기설비와는 다른 특수한 경우로, 제3종 접지공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금속관 및 그 부속품의 접지는 제3종 접지공사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저압 가공 인입선의 인입구에 사용하는 부속품은?

  1. 플로어 박스
  2. 절연부싱
  3. 엔트런스 캡
  4. 노말벤드
(정답률: 57%)
  • 저압 가공 인입선의 인입구에는 외부로부터의 물질이나 먼지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보호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인입구에는 엔트런스 캡이 사용됩니다. 엔트런스 캡은 인입구를 덮어 외부로부터의 물질이나 먼지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저압 가공 인입선의 인입구에는 엔트런스 캡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설비용량이 600[KW], 부등률 1.2, 수용률 0.6 일때 합성 최대 전력[KW]은?

  1. 240
  2. 300
  3. 432
  4. 833
(정답률: 4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전동기에 공급하는 간선의 설계에서 3개의 분기회로에 각각 10[A], 20[A], 30[A] 의 정격전류가 흐르는 전동기가 접속 되어있다. 간선의 허용전류의 최저값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60
  2. 70
  3. 80
  4. 100
(정답률: 34%)
  • 간선의 허용전류는 분기회로 중 가장 큰 정격전류와 같거나 커야 한다. 따라서 30[A]의 정격전류가 가장 큰 분기회로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간선의 허용전류는 30[A] 이상이어야 한다. 그리고 10[A]와 20[A]의 정격전류를 더한 값인 30[A]보다는 커야 하므로, 30[A] + 40[A] = 70[A]가 가장 적당한 값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7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유니온 커플링의 사용 목적은?

  1. 내경이 틀린 금속관 상호의 접속
  2. 돌려 끼울수 없는 금속관 상호의 접속
  3. 금속관의 박스와의 접속
  4. 금속관 상호를 나사로 연결하는 접속
(정답률: 44%)
  • 유니온 커플링은 돌려 끼울 수 없는 금속관 상호의 접속을 가능하게 해주는 장치입니다. 이는 금속관의 내경이 다른 경우에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입니다. 따라서 "돌려 끼울수 없는 금속관 상호의 접속"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전로와 대지사이의 절연저항 측정에 사용되는 계기는?

  1. 메거
  2. 어스테스터
  3. 회로 시험기
  4. 코올라우쉬브리지
(정답률: 57%)
  • 저압전로와 대지사이의 절연저항 측정에는 메거(megger)가 사용됩니다. 메거는 고저항 측정에 특화된 계기로, 고저항을 측정할 때 내부 전압을 높여 정확한 측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저압전로와 대지사이의 절연저항 측정에 적합한 계기입니다. 어스테스터는 접지 저항 측정에 사용되며, 회로 시험기는 전기 회로의 동작을 확인하기 위한 계기입니다. 코올라우쉬브리지는 저항 측정에 사용되는 계기 중 하나이지만, 메거보다는 저항 측정 범위가 좁아서 이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연피 케이블 접속법은?

  1. 단자 접속함 접속
  2. 주철 직선 접속함 접속
  3. 무단자 접속함 접속
  4. 애자 사용 접속
(정답률: 26%)
  • 연피 케이블은 주로 주철 직선 접속함에 접속되며, 이는 연피 케이블의 전송 특성과 맞는 접속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주철 직선 접속함 접속"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연피 케이블에 적합하지 않은 접속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금속덕트, 버스더트, 플로어덕트에는 어떤 접지를 해야 하는가?

  1. 금속덕트는 제3종, 버스덕트는 제1종, 플로어 덕트는 안한다.
  2. 모두 제3종 접지공사를 한다.
  3. 덕트공사는 모두 제2종 접지공사를 한다.
  4. 덕트공사는 특별히 접지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률: 57%)
  • 금속덕트, 버스더트, 플로어덕트는 모두 전기적 안전을 위해 접지가 필요합니다. 그 중에서도 제3종 접지공사는 땅과의 접지 저항을 최소화하여 전기적 안전성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덕트 모두 제3종 접지공사를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전동기의 정격전류가 4[A]이다. 전동기 전용의 분기회로(3m 이내)에서 전동기에 이르는 전선의 허용전류는 얼마인가?

  1. 4[A]
  2. 5[A]
  3. 8[A]
  4. 10[A]
(정답률: 43%)
  • 전동기의 정격전류가 4[A]이므로, 전동기에 이르는 전선의 허용전류는 정격전류의 125%인 5[A]를 넘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5[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버스덕트 공사에서 덕트를 조영재에 붙이는 경우에는 덕트의 지지점간의 거리를 몇[m]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3
  2. 4.5
  3. 6
  4. 9
(정답률: 55%)
  • 덕트의 지지점간 거리를 작게 하면 더 많은 지지점이 필요하게 되어 비용이 증가하고, 지지점 간 거리가 너무 멀면 덕트가 휘어지거나 무너질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적절한 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덕트의 지지점간 거리는 3m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안전하며, 이에 따라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그림에서 A 는 무엇인가?

  1. 지선로드
  2. 지선밴드
  3. 지선애자
  4. 아이볼트
(정답률: 54%)
  • A는 "지선로드"입니다.

    "지선로드"는 지형이나 도로 등에서 중요한 지점을 연결하는 길로, 주로 작은 도시나 시골 지역에서 사용됩니다. 반면 "지선밴드"는 지형이나 도로 등에서 중요하지 않은 지점을 연결하는 길로, 주로 산책로나 자전거 도로 등에서 사용됩니다. "아이볼트"는 나사못이나 나사와 같은 고정장치를 의미하며, "지선애자"는 산악 등반에서 사용되는 장비 중 하나로, 바위나 얼음에 고정하여 로프를 연결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지선로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전기공사 시공에 필요한 공구사용법 설명 중 잘못된것은?

  1. 콘크리트의 구멍을 뚫기 위한 공구로 타격용 임팩트 전기드릴을 사용한다.
  2. 스위치박스에 전선관용 구멍을 뚫기 위해 노크아웃펀치를 사용한다.
  3. 파상형 합성수지 가요전선관의 굽힘작업을 위해 토오치 램프를 사용한다.
  4. 금속 전선관의 굽힘 작업을 위해 파이프 밴더를 사용한다.
(정답률: 53%)
  • 정답: "파상형 합성수지 가요전선관의 굽힘작업을 위해 토오치 램프를 사용한다."

    설명: 파상형 합성수지 가요전선관의 굽힘작업을 위해서는 히터나 벤더를 사용해야 하며, 토오치 램프는 이와 관련이 없는 공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배선기구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배선용 차단기는 전로의 개폐 및 과 전류에 대해 전로를 자동 차단한다.
  2. 누전차단기는 지락전류를 영상 변류기에서 검출하여 개폐부를 자동 차단한다.
  3. 전자접촉기는 과부하 보호를 위해 열동형 계전기를 조합한 개폐기이다.
  4. 푸시버튼 스위치는 수동조작 자동복귀형 스위치이다.
(정답률: 44%)
  • 전자접촉기는 과부하 보호를 위해 열동형 계전기를 조합한 개폐기가 아니라, 전기적인 접촉을 이용하여 회로를 개폐하는 기구이다. 따라서 "전자접촉기는 과부하 보호를 위해 열동형 계전기를 조합한 개폐기이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옥내배선의 박스 내에서 가는 전선을 접속할 때 어떤 방법으로 접속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브리타니아 접속
  2. 트위스트 접속
  3. 슬리브 접속
  4. 쥐꼬리 접속
(정답률: 59%)
  • 옥내배선의 박스 내에서 가는 전선을 접속할 때는 쥐꼬리 접속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는 전선의 단자를 끝까지 꼬아서 접속하는 방법으로, 접속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다른 접속 방법들은 각각 브리타니아 접속(단자를 끼우는 방법), 트위스트 접속(전선을 꼬아서 접속하는 방법), 슬리브 접속(전선을 슬리브로 덮어서 접속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가제 테이프(gauze tape)에 점착성의 고무 혼합물을 양면에 함침시킨 전기용 절연 테이프는?

  1. 면 테이프
  2. 고무 테이프
  3. 자기 융착 테이프
  4. 리노 테이프
(정답률: 28%)
  • 가제 테이프에 고무 혼합물을 함침시킨 것으로 보아, 이 테이프는 점착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 절연성도 갖추고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가제 테이프는 면으로 만들어진 것이므로, 이 테이프는 "면 테이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합성 수지 몰드 공사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사용 전선은 옥내용 절연 전선을 사용한다.
  2. 몰드 안에는 전선의 접속점을 만들지 않아야 한다.
  3. 전개된 장소와 점검할 수 있는 음폐 장소의 건조한 장소에 한하여 시설할 수 있다.
  4. 베이스의 홈의 나비와 깊이는 10[㎝]이하이어야 한다.
(정답률: 44%)
  • "베이스의 홈의 나비와 깊이는 10[㎝]이하이어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합성 수지 몰드 공사에서는 베이스의 홈이 깊을수록 더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베이스의 홈의 나비와 깊이는 10[㎝] 이상이어도 괜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과전류 차단기 중에서 전동기의 과부하 보호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은?

  1. 온도 퓨즈
  2. 마그넷 스위치
  3. 통형 퓨즈
  4. 타임러그 퓨즈
(정답률: 30%)
  • 통형 퓨즈는 단순히 과전류를 차단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며, 전동기의 과부하 보호 기능은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동기의 과부하 보호를 위해서는 다른 방식의 차단기나 보호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금속관 공사에서 노크아웃의 지름이 금속관의 지름보다 큰 경우에 사용하는 재료는?

  1. 로크너트
  2. 부싱
  3. 콘넥터
  4. 링 리듀서
(정답률: 60%)
  • 링 리듀서는 노크아웃의 지름이 금속관의 지름보다 큰 경우에 사용하는 재료입니다. 이는 링 리듀서가 노크아웃과 금속관 사이에 끼워져 노크아웃의 지름을 줄여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링 리듀서가 정답입니다. 로크너트, 부싱, 콘넥터는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기 설비

41. 전선 접속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접속 부분의 전기 저항을 증가시킨다.
  2. 접속 부분에는 납땜을 한다.
  3. 전선의 강도를 80[%]이상 유지시킨다.
  4. 접속 부분에는 전선접속기류를 사용한다.
(정답률: 52%)
  • "접속 부분의 전기 저항을 증가시킨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전선의 접속 부분이 잘 되어 있지 않으면 전기 저항이 증가하여 전류가 원활하게 흐르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올바른 접속 방법을 사용하여 전기 저항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주상 변압기를 철근 콘크리트주에 설치할 때 사용되는 것은?

  1. 앵커
  2. 암 밴드
  3. 암타이 밴드
  4. 행거 밴드
(정답률: 49%)
  • 주상 변압기를 철근 콘크리트주에 설치할 때는 행거 밴드가 사용됩니다. 이는 주상 변압기를 철근 콘크리트주에 매달아 놓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 장치로, 주상 변압기의 무게를 견디기 위해 강력한 재질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또한, 행거 밴드는 설치가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통신선에 대한 유도장해가 가장 큰 접지방식은?

  1. 비접지방식
  2. 직접접지방식
  3. 저항접지방식
  4. 리액터접지방식
(정답률: 38%)
  • 직접접지방식은 통신선과 접지전극을 직접 연결하는 방식으로, 접지저항이 0에 가까워 유도장해를 가장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큰 접지효과를 가지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가공배전선로에서 고압선과 저압선의 혼촉으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은?

  1. 과전류계전기
  2. 접지공사
  3. 피뢰기 설치
  4. 가공지선 설치
(정답률: 37%)
  • 접지공사는 전기적인 장비나 시설물의 접지를 통해 전기적 위험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고압선과 저압선이 혼촉되면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접지공사를 통해 전기적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공배전선로에서 고압선과 저압선의 혼촉으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접지공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그림과 같은 전선배치에서 등가선간거리는?

(정답률: 35%)
  • 등가선간거리는 전선 사이의 수직거리이므로, 전선과 수평선이 만나는 지점에서 측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수차의 공동현상 방지법이 아닌 것은?

  1. 흡출수두를 증가시킨다.
  2. 적당한 회전수를 선정한다.
  3. 재료를 스테인레스강으로 사용한다.
  4. 손상된 부분을 조속히 수리한다.
(정답률: 39%)
  • 흡출수두를 증가시키는 것은 수차의 공동현상 방지법이 아닙니다. 흡출수두란, 액체가 흡입되는 데 필요한 압력 차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흡출수두를 증가시키는 것은 액체가 흡입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들어 공동현상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차의 공동현상 방지법은 적당한 회전수를 선정하고, 재료를 스테인레스강으로 사용하며, 손상된 부분을 조속히 수리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가장 큰 손실은?

  1. 연도배출가스의 손실
  2. 복수기 냉각수에 의한 손실
  3. 소내용 동력에 의한 손실
  4. 터빈 및 발전기 자체의 손실
(정답률: 38%)
  • 화력발전소에서는 발전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연료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킵니다. 이 열은 수증기를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고, 이 증기는 터빈을 회전시켜 발전기를 작동시킵니다. 이때, 터빈과 발전기는 열에 의해 작동되므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복수기 냉각수를 이용하여 터빈과 발전기를 냉각시키는데, 이때 발생되는 열에 의해 냉각수가 증발하거나 증발하지 않고 냉각되어 손실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복수기 냉각수에 의한 손실이 가장 큰 손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종합효율 34.4%의 화력발전소에서 열량 5000kcal/kg의 석탄 1㎏이 발생하는 전력량은 몇 kWh 인가?

  1. 1.5
  2. 1.7
  3. 2.0
  4. 2.3
(정답률: 27%)
  • 종합효율이 34.4%이므로, 1kg의 석탄에서 전기로 변환되는 열량은 5000kcal * 0.344 = 1720kcal이 됩니다. 이를 전기로 변환하면 1720kcal * 1.163Wh/kcal = 2000Wh = 2.0kWh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발전기의 열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수소를 사용할 때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수소의 비중이 공기보다 적어 풍손이 1/10로 감소한다.
  2. 냉각용 수량이 증가한다.
  3. 공기냉각보다 발전기의 기초구조가 매우 단단해진다.
  4. 동일 정격출력에서 공기냉각방식 때 보다 기계는 소형이 된다.
(정답률: 38%)
  • 수소는 공기보다 비중이 적어서 발전기 내부에서의 풍손이 감소하므로, 냉각용 수량이 적어도 동일한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냉각용 수량이 증가한다는 것은 장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유량도를 기초로 하여 가로축에는 1년 365일을, 세로축에는 유량을 취하고, 유량이 큰 것부터 순차적으로 배열한 곡선은?

  1. 적산유량곡선
  2. 수위유량곡선
  3. 유량도
  4. 유황곡선
(정답률: 30%)
  • 유량도는 일정 기간 동안의 유량을 일일이 측정하여 나타낸 것입니다. 따라서 유량이 큰 것부터 순차적으로 배열한 곡선은 유량의 분포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 유황곡선은 유량이 큰 순서대로 배열한 곡선 중에서 상위 일부를 선택하여 그린 곡선으로, 일정 기간 동안의 최대 유량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유황곡선은 수자적으로 유량의 분포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미분탄 연소방식을 스토우커 연소방식에 비교할 때 장점이 될 수 없는 것은?

  1. 연소 조절이 쉬우며 뱅킹손실이 적다.
  2. 배기가스 중에서 재를 많이 제거할 수 있다.
  3. 보일러 효율이 높다.
  4. 부하 변동에 대하여 신속히 응할 수 있다.
(정답률: 40%)
  • 미분탄 연소방식은 연소 조절이 어렵고 뱅킹손실이 크기 때문에 장점이 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스토우커 연소방식은 배기가스 중에서 재를 많이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적인 측면에서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수용가의 전기설비가 전등 100W×100개, 전열 3kW×5개, 소형전기기구 200W×20개, 동력 5kW×5개라고 할 때 이 수용가의 총 설비용량은 몇 kW 인가?

  1. 54
  2. 140
  3. 150
  4. 235
(정답률: 39%)
  • 전등 100W×100개 = 10,000W
    전열 3kW×5개 = 15,000W
    소형전기기구 200W×20개 = 4,000W
    동력 5kW×5개 = 25,000W

    총 설비용량 = 10,000W + 15,000W + 4,000W + 25,000W = 54,000W = 54kW

    따라서 정답은 "5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그림에서 Cs=0.5㎌, Cm=0.15㎌일 때 작용정전용량은 몇 ㎌ 인가?

  1. 0.62
  2. 0.75
  3. 0.82
  4. 0.95
(정답률: 24%)
  • 작용정전용량은 Cs와 Cm의 곱에 2π를 곱한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작용정전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Ct = 2π × Cs × Cm = 2π × 0.5 × 0.15 = 0.471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기되어 있으므로, 반올림하여 0.47로 계산하면 "0.95"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폐란티현상이 생기는 원인은?

  1. 전선로의 인덕턴스 때문
  2. 누설콘덕턴스 때문
  3. 선로의 정전용량 때문
  4. 선로의 저항과 인덕턴스 때문
(정답률: 33%)
  • 폐란티 현상은 전력선로에서 발생하는 전압 변동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때, 선로의 정전용량 때문에 전압이 갑자기 변동하면서 폐란티 현상이 발생합니다. 선로의 정전용량은 전기적으로 충전되어 있는 상태로, 전압이 변동하면 충전된 전하가 방전되면서 전압이 변동합니다. 이러한 선로의 정전용량 때문에 전압이 갑자기 변동하면서 폐란티 현상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고온의 도전성 가스유체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식은?

  1. MHD 발전
  2. 열전기 발전
  3. 원자력 발전
  4. 기력 발전
(정답률: 37%)
  • 고온의 도전성 가스유체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식은 MHD 발전입니다. MHD 발전은 마그네토하이드로다이나믹 발전의 약자로, 전기적으로 도전성이 있는 유체를 자기장으로 통과시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고온의 도전성 가스유체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MHD 발전이 적합한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송전선로에 코로나가 발생했을 때 이점이 있다면 어느것인가?

  1. 계전기의 신호에 영향을 준다.
  2. 라디오 수신에 영향을 준다.
  3. 전력선 반송에 영향을 준다.
  4. 고전압의 진행파가 발생하였을 때 뇌서지에 영향을 준다.
(정답률: 42%)
  • 고전압의 진행파는 전자기파이기 때문에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뇌는 전기적 신호를 사용하여 신경과 근육을 제어하므로, 고전압의 진행파가 발생하면 뇌서지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는 불안, 두통, 혼란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단일부하 배전선에서 부하역률 cosθ, 부하전류 I, 선로저항 r, 리액턴스를 x라 하면 배전선에서 최대 전압강하가 생기는 조건은?

  1. cosθ = r/x
  2. sinθ = x/r
  3. tanθ = x/r
  4. tnaθ = r/x
(정답률: 35%)
  • 단일부하 배전선에서 최대 전압강하가 생기는 조건은 전압강하가 발생하는 원인인 전류와 저항, 리액턴스의 크기와 방향이 서로 일치할 때입니다. 이때 부하역률 cosθ는 부하전류와 전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므로, cosθ가 1에 가까울수록 전압강하가 커집니다.

    따라서 cosθ = r/x 일 때, 전압강하가 최대가 됩니다. 이를 간단하게 변형하면 tanθ = x/r이 됩니다. 이는 부하의 리액턴스와 선로의 저항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비율이 클수록 전압강하가 커지므로 최대 전압강하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전력용 콘덴서의 방전코일의 역할은?

  1. 잔류전하의 방전
  2. 고조파의 억제
  3. 역률의 개선
  4. 콘덴서의 수명연장
(정답률: 37%)
  • 전력용 콘덴서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방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방전코일은 콘덴서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방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방전코일은 콘덴서에 저장된 잔류전하를 안정적으로 방전시켜서 전력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잔류전하의 방전"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수차발전기에서 부하가 변해도 입력 수량을 자동으로 조절해 일정한 회전수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것은?

  1. 밸브
  2. 조속기
  3. 흡출관
  4. 안내날개
(정답률: 52%)
  • 수차발전기에서 부하가 변하면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입력 수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이때 입력 수량을 조절하는 장치가 필요한데, 이것이 조속기입니다. 조속기는 입력 수량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일정한 회전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수차발전기에서 부하가 변해도 일정한 회전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조속기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디지털 계전기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한 폭넓은 연산이 가능하다.
  2. 계전기의 특성이 변화하지 않는다.
  3. 계전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장치의 표준화가 가능하다.
  4. 신뢰성이 낮다.
(정답률: 57%)
  • 디지털 계전기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하여 폭넓은 연산이 가능하며, 계전기의 특성이 변화하지 않고 장치의 표준화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디지털 계전기는 아날로그 계전기에 비해 복잡한 기술이 사용되기 때문에 신뢰성이 낮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디지털 계전기를 사용할 때는 신뢰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유지보수와 검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