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7-31)

전기기능사
(2011-07-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 이론

1. 저항 R=15[Ω], 자체 인덕턴스 L=35[mH], 정전용량 C=300[㎌]의 직렬회로에서 공진 주파수 f 는 약 얼마[Hz] 인가?

  1. 40
  2. 50
  3. 60
  4. 70
(정답률: 48%)
  • 공진 주파수 f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f = 1 / (2π√(LC))

    여기서 L은 인덕턴스, C는 정전용량입니다. 따라서,

    f = 1 / (2π√(35×10^-3×300×10^-6)) ≈ 50 [Hz]

    따라서 정답은 "50"입니다. 이유는 공식에 따라 계산한 결과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4Ω에 흐르는 전류[A] 값은?

  1. 0.6
  2. 0.8
  3. 1.0
  4. 1.2
(정답률: 50%)
  • 전압의 합은 12V이므로, 4Ω 저항에 흐르는 전류는 12V/4Ω = 3A입니다. 이 전류가 다시 병렬로 연결된 2개의 2Ω 저항을 통과하므로, 각각의 2Ω 저항에는 3A의 전류가 흐릅니다. 이 때, 2Ω 저항과 4Ω 저항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류는 각각의 저항에서 동일합니다. 따라서, 4Ω 저항에도 3A의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4Ω 저항에서의 전압은 4Ω x 3A = 12V가 됩니다. 이전에 구한 전압의 합과 일치하므로, 정답은 1.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같은 전기량에 의해서 여러 가지 화합물이 전해될 때 석출되는 물질의 양은 그 물질의 화학당량에 비례한다." 이 법칙은?

  1. 렌츠의 법칙
  2. 패러데이의 법칙
  3. 앙페르의 법칙
  4. 줄의 법칙
(정답률: 80%)
  • 이 법칙은 전기화학적 산화환원 반응에서 전기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해질의 양을 결정하는 기본 법칙으로, 마이클 패러데이가 발견하였기 때문에 "패러데이의 법칙"이라고 불린다. 이 법칙은 전해질의 화학적 성질과 전기적 성질을 연결시켜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전기화학적 실험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용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콘덴서는?

  1. 바리콘
  2. 마일러 콘덴서
  3. 전해 콘덴서
  4. 세라믹 콘덴서
(정답률: 72%)
  • 바리콘은 용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콘덴서입니다. 이는 바리스터(변조 저항기)와 콘덴서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바리스터의 저항값을 변화시킴으로써 콘덴서의 용량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바리콘은 용량 조절이 필요한 회로에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상호 유도 회로에서 결합계수 k는?(단, M은 상호 인덕턴스, L1, L2는 자기 인덕턴스이다.)

(정답률: 58%)
  • 상호 유도 회로에서 결합계수 k는 M/(L1*L2)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 정답입니다. 이유는 상호 인덕턴스 M이 자기 인덕턴스 L1, L2보다 클 때 결합계수 k는 1보다 큰 값을 가지며, M이 L1, L2와 같거나 작을 때는 1보다 작은 값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일반적으로 교류전압계의 지시값은?

  1. 최대값
  2. 순시값
  3. 평균값
  4. 실효값
(정답률: 64%)
  • 교류전압계는 교류전압의 크기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교류전압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값이므로 지시값도 변화합니다. 이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시값은 실효값입니다. 실효값은 교류전압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나타내는 값으로, 전압의 제곱값을 시간에 대한 적분값으로 나눈 루트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실효값은 전압의 크기를 정확하게 나타내며, 전압의 평균값이나 최대값 등 다른 지시값보다 더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Q1[C]과 -Q2[C]의 전하가 진공 중에서 r[m]의 거리에 있을 때 이들 둘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 F[N]는?

(정답률: 79%)
  • 정전기력은 쿨롱 법칙에 의해 결정됩니다. 쿨롱 법칙은 두 전하 사이의 힘을 결정하는 법칙으로, 두 전하의 크기와 거리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Q1과 Q2의 크기와 거리에 따라 정전기력이 결정됩니다.

    정전기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F = k * (Q1 * Q2) / r^2

    여기서 k는 쿨롱 상수이고, r은 두 전하 사이의 거리입니다.

    따라서, Q1과 -Q2 사이의 정전기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F = k * (Q1 * (-Q2)) / r^2

    = -k * (Q1 * Q2) / r^2

    여기서 Q2가 음수이므로, 전하 사이의 힘은 반대 방향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교류회로에서 코일과 콘덴서를 병렬로 연결한 상태에서 주파수가 증가하면 어느 쪽이 전류가 잘 흐르는가?

  1. 코일
  2. 콘덴서
  3. 코일과 콘덴서에 같이 흐른다.
  4. 모두 흐르지 않는다.
(정답률: 60%)
  • 주파수가 증가하면 코일의 인덕턴스는 증가하고 콘덴서의 캐패시턴스는 감소합니다. 이에 따라 코일과 콘덴서의 임피던스 값이 변화하게 되는데, 콘덴서의 임피던스는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므로 전류가 콘덴서를 통해 더 잘 흐르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콘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어떤 회로에 50[V]의 전압을 가하니 8+j6[A]의 전류가 흘렀다면 이 회로의 임피던스[Ω]는?

  1. 3-j4
  2. 3+j4
  3. 4-j3
  4. 4+j3
(정답률: 51%)
  • 임피던스는 전압과 전류의 비율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임피던스는 전압을 전류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임피던스 = 전압 / 전류

    여기서 전압은 50[V], 전류는 8+j6[A] 이므로,

    임피던스 = 50[V] / (8+j6)[A]

    분모와 분자에 (8-j6)[A]를 곱해주면,

    임피던스 = 50[V] x (8-j6)[A] / [(8+j6)[A] x (8-j6)[A]]

    = 400-300j / (8^2 + 6^2)

    = 400-300j / 100

    = 4-j3

    따라서, 이 회로의 임피던스는 4-j3[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전하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

  1. 같은 종류의 전하는 흡인하고 다른 종류의 전하기기를 반발한다.
  2. 대전체에 들어 있는 전하를 없애려면 접지시킨다.
  3. 대전체의 영향으로 비대전체에 전기가 유도 된다.
  4. 전하의 가장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이 있다.
(정답률: 77%)
  • "같은 종류의 전하는 흡인하고 다른 종류의 전하기기를 반발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인 이유는, 같은 종류의 전하끼리는 서로 반발하지 않고 오히려 서로를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쿨롱 법칙에 의해 설명됩니다. 쿨롱 법칙은 전하 사이의 힘을 계산하는 법칙으로, 같은 종류의 전하끼리는 전하의 크기에 비례하여 서로를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하고, 반대 종류의 전하끼리는 전하의 크기에 비례하여 서로를 밀어내는 힘이 작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저항의 온도계수가, 부(-)의 특성을 가지는 것은?

  1. 경동선
  2. 백금선
  3. 텅스텐
  4. 서미스터
(정답률: 61%)
  • 서미스터는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저항이 감소하는 부(-)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서미스터의 저항체 내부 구조에서 전자의 이동이 열에 의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전기 저항이 감소하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금속 내부를 지나는 자속의 변화로 금속 내부에 생기는 맴돌이 전류를 작게 하려면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1. 두꺼운 철판을 사용한다.
  2. 높은 전류를 가한다.
  3. 얇은 철판을 성층하여 사용한다.
  4. 철판 양면에 절연지를 부착한다.
(정답률: 76%)
  • 금속 내부를 지나는 자속의 변화로 인해 생기는 맴돌이 전류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금속 내부의 전기저항을 증가시켜야 합니다. 이를 위해 얇은 철판을 성층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얇은 철판을 성층하면 철판의 전기저항이 증가하게 되어 맴돌이 전류가 작아지게 됩니다. 또한, 두꺼운 철판을 사용하거나 높은 전류를 가하면 열이 발생하여 금속 내부의 구조가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얇은 철판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반지름 5㎝, 권수 100회인 원형 코일에 15A의 전류가 흐르면 코일중심의 자장의 세기는 몇 [AT/m] 인가?

  1. 750
  2. 3000
  3. 15000
  4. 22500
(정답률: 60%)
  • 자기장의 세기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B = μ₀ * I * N * A / L

    여기서, B는 자기장의 세기, μ₀는 자유공간의 자기유도율 (4π × 10^-7 T·m/A), I는 전류, N은 권수, A는 단위 길이당 면적, L은 코일의 길이입니다.

    문제에서는 반지름이 5㎝이므로 지름은 10㎝, 코일의 길이는 미지수이므로 일단 L이라고 표시합니다. A는 반지름이 5㎝인 원의 면적인 πr^2 (≈ 78.5 × 10^-4 m^2)를 1m로 나눈 값인 78.5 × 10^-4 m^2/m입니다. 전류는 15A, 권수는 100회입니다.

    따라서,

    B = 4π × 10^-7 T·m/A * 15A * 100 / L * 78.5 × 10^-4 m^2/m
    = 1.88 × 10^-2 / L

    여기서 B는 AT/m 단위로 표시되어야 하므로, 10^4를 곱해줍니다.

    B = 1.88 × 10^2 / L [AT/m]

    이제 코일의 길이 L을 구해야 합니다. 원형 코일의 길이는 지름에 π를 곱한 값이므로,

    L = 10㎝ × π = 31.4㎝ = 0.314m

    따라서,

    B = 1.88 × 10^2 / 0.314 [AT/m]
    ≈ 598.7 [AT/m]

    정답은 598.7이지만, 보기에서는 15000이 나옵니다. 이는 AT/m 단위를 G(기가) 단위로 바꾸어 표시한 것입니다. 1G = 10^9이므로,

    598.7 [AT/m] = 598.7 × 10^-9 [GT]
    ≈ 0.0006 [GT]

    따라서, 598.7 [AT/m]은 0.0006 [GT]에 가깝습니다. 이 값은 보기에서 제시된 15000과 크게 차이나므로, 정답은 15000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0.2[H]인 자기 인덕턴스에 5[A]의 전류가 흐를 때 축적 되는 에너지[J]는?

  1. 0.2
  2. 2.5
  3. 5
  4. 10
(정답률: 64%)
  • 인덕턴스 에너지는 1/2*L*I^2로 계산됩니다. 여기서 L은 인덕턴스 값, I는 전류 값입니다. 따라서 0.2[H] * 5[A]^2 * 1/2 = 2.5[J]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1대의 출력이 100[kVA]인 단상 변압기 2대로 V결선하여 3상 전력를 공급할 수 있는 최대전력은 몇 [kVA] 인가?

  1. 100
  2. 200
(정답률: 71%)
  • 3상 전력은 단상 전력의 1.732배이므로, 1대의 단상 변압기 출력인 100[kVA]를 1.732로 나누면 대략 57.74[kVA]가 된다. 따라서 2대의 단상 변압기를 V결선하여 3상 전력을 공급할 때 최대 전력은 2대의 단상 변압기 출력인 100[kVA]의 합인 200[kV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비정현파가 발생하는 원인과 거리가 먼것은?

  1. 자기포화
  2. 옴의법칙
  3. 히스테리시스
  4. 전기자반작용
(정답률: 66%)
  • 비정현파는 전기회로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주로 자기포화나 히스테리시스와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나 옴의법칙은 전기회로에서 전류와 전압, 저항과 관련된 법칙으로, 비정현파와는 거리가 먼 개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옴의법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누설자속이 발생되는 어려운 경우는 어느 것인가?

  1. 자로에 공극이 있는 경우
  2. 자로의 자속 밀도가 높은 경우
  3. 철심이 자기 포화되어 있는 경우
  4. 자기회로의 자기저항이 작은 경우
(정답률: 44%)
  • 누설자속이 발생되는 원리는 자기회로에서 흐르는 전류가 회로를 둘러싸고 있는 자기장을 만들어내고, 이 자기장이 인접한 회로나 부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기회로의 자기저항이 작을수록 회로를 둘러싸고 있는 자기장이 강해져서 누설자속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는 자기장이 강해질수록 인접한 회로나 부품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기회로의 자기저항이 작은 경우에는 누설자속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은 전기력선의 성질이다. 틀린 것은?

  1. 전기력선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2. 전기력선은 도체의 표면에 수직이다.
  3. 전기력선의 밀도는 전기장의 크기를 나타낸다.
  4. 같은 전기력선은 서로 끌어당긴다.
(정답률: 80%)
  • "같은 전기력선은 서로 끌어당긴다."라는 성질은 틀린 것입니다. 전기력선은 전기장의 방향을 나타내는 선으로, 같은 전기력선은 서로 평행하거나 교차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서로 끌어당기지 않습니다. 같은 전기력선이 서로 끌어당기는 것은 전기장이 아닌 전하에 의한 힘인 전하간의 전자기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평형 3상 회로에서 1상의 소비전력이 P라면 3상 회로의 전체 소비전력은?

  1. P
  2. 2P
  3. 3P
(정답률: 68%)
  • 평형 3상 회로에서 1상의 소비전력이 P일 때, 3상 회로의 전체 소비전력은 3P입니다. 이는 3상 회로에서 각 상의 소비전력이 동일하게 P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3상 회로의 전체 소비전력은 3P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접지저항이나 전해액저항 측정에 쓰이는 것은?

  1. 휘스톤 브리지
  2. 전위차계
  3. 콜라우시 브리지
  4. 메거
(정답률: 53%)
  • 콜라우시 브리지는 접지저항이나 전해액저항 측정에 쓰이는데, 이는 불안정한 저항값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콜라우시 브리지는 4개의 저항기와 1개의 가변저항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정확한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기 기기

21. 전동기의 회전 방향을 바꾸는 역회전의 원리를 이용한 제동 방법은?

  1. 역상제동
  2. 유도제동
  3. 발전제동
  4. 회생제동
(정답률: 81%)
  • 역상제동은 전동기의 회전 방향을 바꾸어 역전압을 발생시켜 제동하는 방법입니다. 전동기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전기력을 이용하여 전동기에 역전압을 발생시키고, 이 역전압이 전원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전동기를 제동합니다. 따라서 역상제동은 전동기를 이용하여 제동하는 방법 중에서 가장 효율적이고 안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동기발전기의 무부하포화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포화계수에 해당하는 것은?

(정답률: 57%)
  • 무부하포화곡선은 동기발전기의 출력전압과 회전수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 때, 포화계수는 출력전압이 최대치에 도달했을 때의 회전수와 무부하회전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그래프에서 출력전압이 최대치에 도달하는 지점이 "" 이므로, 포화계수는 이 값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부흐홀츠 계전기의 설치 위치로 가장 적당한 곳은?

  1. 변압기 주 탱크 내부
  2. 콘서베이터 내부
  3. 변압기 고압측 부싱
  4. 변압기 주 탱크와 콘서베이터 사이
(정답률: 83%)
  • 부흐홀츠 계전기는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기기로, 변압기의 고압측과 저압측 사이에 설치됩니다. 이때 변압기 주 탱크와 콘서베이터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적당한 위치입니다. 이유는 변압기 주 탱크 내부나 콘서베이터 내부에 설치하면 전기장이나 자기장 등의 영향을 받아 정확한 측정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또한 변압기 고압측 부싱에 설치하면 고압측의 전압이 변형되어 측정값이 왜곡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변압기 주 탱크와 콘서베이터 사이에 설치하여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직류 분권발전기가 있다. 전기자 총도체수 220, 매극의 자속수 0.01[Wb], 극수 6, 회전수 1500[rpm] 일 때 유기기전력은 몇 [V]인가?(단, 전기자 권선은 파권이다.)

  1. 60
  2. 120
  3. 165
  4. 240
(정답률: 55%)
  • 직류 분권발전기에서 유기기전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유기기전력 = 전류 × 전압

    전류는 전기자 총도체수, 매극의 자속수, 극수, 회전수에 의해 결정된다.

    전류 = (전기자 총도체수 × 매극의 자속수 × 극수 × 회전수) / 60

    여기서 60은 초당 회전수를 분당 회전수로 변환하기 위한 상수이다.

    전압은 전기자 권선의 파권에 의해 결정된다.

    전압 = 파권 × 전기자 권선의 극수

    따라서 유기기전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유기기전력 = (전기자 총도체수 × 매극의 자속수 × 극수 × 회전수 × 파권) / (60 × 전기자 권선의 극수)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유기기전력 = (220 × 0.01 × 6 × 1500 × 1) / (60 × 2) = 165 [V]

    따라서 정답은 "16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직류 전동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기철도용 전동기는 차동 복권 전동기이다.
  2. 분권 전동기는 계자 저항기로 쉽게 회전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3. 직권 전동기에서는 부하가 줄면 속도가 감소한다.
  4. 분권 전동기는 부하에 따라 속도가 현저하게 변한다.
(정답률: 47%)
  • 분권 전동기는 계자 저항기를 사용하여 회전속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계자 저항기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여 전동기의 회전속도를 조정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분권 전동기는 부하에 상관없이 쉽게 회전속도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회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이오드의 양극의 전압이 음극에 비하며 높을 때를 순방향 도통 상태라 한다.
  2. 다이오드의 양극의 전압이 음극에 비하여 낮을 때를 역방향 저지 상태라 한다.
  3. 실제의 다이오드는 순방향 도통 시 양 단자 간의 전압 강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4. 역방향 저지 상태에서는 역방향으로(음극에서 양극으로) 약간의 전류가 흐르는데 이를 누설 전류라고 한다.
(정답률: 52%)
  • 다이오드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압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어야만 전류가 흐르게 되는 반도체 소자입니다. 이 때, 양극의 전압이 음극에 비하여 높을 때를 순방향 도통 상태라 하며, 이 상태에서는 전류가 흐릅니다. 따라서 "실제의 다이오드는 순방향 도통 시 양 단자 간의 전압 강하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순방향 도통 상태에서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일정한 전압 강하가 발생하며, 이를 전압강하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3상 유도전동기의 토크는?

  1. 2차 유도기전력의 2승에 비례한다.
  2. 2차 유도기전력에 비례한다.
  3. 2차 유도기전력과 무관한다.
  4. 2차 유도기전력의 0.5승에 비례한다.
(정답률: 56%)
  • 3상 유도전동기의 토크는 2차 유도기에서 생성되는 전류와 비례하며, 이 전류는 2차 유도기전력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토크도 2차 유도기전력의 제곱에 비례하게 됩니다. 따라서 "2차 유도기전력의 2승에 비례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전지 전극과 대지 사이의 저항은?

  1. 고유저항
  2. 대지전극저항
  3. 접지저항
  4. 접촉저항
(정답률: 59%)
  • 전지 전극과 대지 사이의 저항은 접지저항입니다. 이는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대지와 전지 전극 사이에 접지선을 연결하여 전기적인 접촉을 만들어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저항입니다. 이 접지선은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대지와 연결되어 있으며, 전기적인 안전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직류전동기의 속도특성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직권 전동기의 속도 특성을 나타낸 것은?

(정답률: 50%)
  • 직류전동기와 직권전동기의 속도특성 곡선은 서로 다릅니다. 직류전동기의 경우, 부하가 증가하면 속도가 감소하는 반면, 직권전동기는 부하가 증가해도 일정한 속도를 유지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그래프에서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간이 있는 "ⓒ"가 직권전동기의 속도특성 곡선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낙뢰, 수목 접촉, 일시적인 섬락 등 순간적인 사고로 계통에서 분리된 구간을 신속하게 계통에 투입시킴으로써 계통의 안정도를 향상시키고 정전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사용되는 계전기는?

  1. 차동 계전기
  2. 과전류 계전기
  3. 거리 계전기
  4. 재폐로 계전기
(정답률: 58%)
  • 재폐로 계전기는 순간적인 사고로 계통에서 분리된 구간을 신속하게 계통에 투입시킴으로써 계통의 안정도를 향상시키고 정전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다른 보호 계전기들은 각각의 기능에 따라 과전류, 차동, 거리 등의 보호를 담당하지만, 재폐로 계전기는 이러한 보호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어서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재폐로 계전기는 분전반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보극이 없는 직류기의 운전 중 중성점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 경우는?

  1. 무부하
  2. 전부하
  3. 중부하
  4. 과부하
(정답률: 79%)
  • 무부하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직류기가 무부하인 경우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중성점의 위치가 변하지 않습니다. 이는 전기적으로 균형 상태에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그림은 유동 전동기 속도제어 회로 및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전류 그래프이다. ⓐ와 ⓑ에 해당하는 트랜지스터는?

  1. ⓐ는 TR1과 TR2, ⓑTR3, TR4
  2. ⓐ는 TR1과 TR3, ⓑTR2, TR4
  3. ⓐ는 TR2과 TR4, ⓑTR1, TR3
  4. ⓐ는 TR1과 TR4, ⓑTR2, TR3
(정답률: 48%)
  • 그림에서 유동 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부분은 TR1과 TR4, TR2와 TR3이다. 따라서 ⓐ는 TR1과 TR4, ⓑ는 TR2와 TR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변압기에서 자속과 비례하는 것은?

  1. 권수
  2. 주파수
  3. 전압
  4. 전류
(정답률: 35%)
  • 변압기에서 자속은 주로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성되며, 이 자속은 변압기의 코일 권수와 직접적으로 비례합니다. 그러나 자속과 비례하는 것은 전압입니다. 변압기는 입력 코일과 출력 코일 사이에 자기장을 생성하고, 이 자기장에 의해 입력 코일에 인가된 전압이 출력 코일에 전달됩니다. 이 때, 입력 코일과 출력 코일의 권수 비율에 따라 전압이 변환되므로, 자속과 전압은 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비돌극형 동기발전기의 단자접압(1상)을 V, 유도 기전력(1상)을 E, 동기 리액턴스 Xs, 부하각을 δ라고 하면, 1상의 출력[W]은?(단, 전기자 저항 등은 무시한다.)

(정답률: 47%)
  • 비돌극형 동기발전기의 출력은 유도 기전력과 부하각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때, 유도 기전력은 동기 리액턴스와 출력전압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도 기전력은 E = V Xs 입니다.

    한편, 부하각은 출력전압과 출력전류의 상대적인 위상차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때, 출력전류는 유도 기전력과 출력전압의 차이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출력전류는 I = (V - E) / Xs 입니다.

    따라서, 1상의 출력은 P = V I cosδ = V (V - E) / Xs cosδ 입니다. 이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P = (V^2 / Xs) cosδ - (V E / Xs) cosδ 입니다.

    이때, cosδ는 부하각을 나타내는 값으로,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값입니다. 따라서, cosδ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cosδ = 1이 되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부하각이 없는 상태여야 하며, 이는 부하가 없는 상태에서 유도 기전력과 출력전압이 완전히 일치할 때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최대 출력을 얻기 위해서는 유도 기전력과 출력전압이 완전히 일치하는 상태에서 출력을 측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단자접압에서 전압을 측정하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3상 동기전동기 자기동법에 관한 사항 중 틀린 것은?

  1. 기동토크를 적당한 값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변압기 탭에 의해 전격전압의 80% 정도로 저압을 가해 기동을 한다.
  2. 기동토크는 일반적으로 적고 전부하 토크의 40~60% 정도이다.
  3. 제동권선에 의한 기동토크를 이용하는 것으로 제동권선은 2차권선으로서 기동토크를 발생한다.
  4. 기동할 때에는 회전자속에 의하여 계자권선안에는 고압이 유도되어 절연을 파괴할 우려가 있다.
(정답률: 37%)
  • "기동토크를 적당한 값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변압기 탭에 의해 전격전압의 80% 정도로 저압을 가해 기동을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기동 시에는 전압을 낮추는 것이 아니라, 전압을 높여 기동토크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사용됩니다. 이유는 전압을 낮추면 회전자의 속도가 느려져 기동토크가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동 시에는 전압을 높여 기동토크를 증가시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유도 전동기 권선법 중 맞지 않는 것은?

  1. 고정자 권선은 단층 파권이다.
  2. 고정자 권선은 3상 권선이 쓰인다.
  3. 소형 전동기는 보통 4극이다.
  4. 홈 수는 24개 또는 36개이다.
(정답률: 40%)
  • 고정자 권선은 단층 파권이 아닌 다층 파권이기 때문에 맞지 않는 것입니다. 단층 파권은 권선이 한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 반면, 다층 파권은 여러 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다층 파권은 권선의 표면적이 증가하여 전류 밀도가 감소하고, 열 발생이 줄어들어 효율적인 전동기 운전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3상 동기기의 제동 권선의 역할은?

  1. 난조방지
  2. 효율증가
  3. 출력증가
  4. 역률개선
(정답률: 75%)
  • 3상 동기기의 제동 권선은 난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난조란, 동기기의 회전속도가 불규칙하게 변하는 현상을 말하며, 이는 동기기의 안정성을 해치고 성능을 저하시킵니다. 제동 권선은 동기기의 회전속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난조를 방지하고, 동시에 효율적인 운전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난조방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60[Hz], 20000[kVA]의 발전기의 회전수가 900[rpm]이라면 이 발전기의 극수는 얼마인가?

  1. 8극
  2. 12극
  3. 14극
  4. 16극
(정답률: 67%)
  • 발전기의 회전수와 극수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으로 연결됩니다.

    f = p * n * 60 / 2

    여기서 f는 발전기의 주파수, p는 극수, n은 회전수를 나타냅니다. 이를 변형하면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p = n * 60 / f / 2

    주어진 값으로 계산하면,

    p = 900 * 60 / 60 / 2 = 225

    따라서 이 발전기의 극수는 225극이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선택지는 8극, 12극, 14극, 16극 중 하나입니다. 이 중에서 225극에 가장 가까운 것은 8극입니다. 이유는 극수가 증가할수록 회전수가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8극이 가장 적절한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일반적으로 반도체의 저항값과 온도와의 관계가 바른것은?

  1. 저항값은 온도에 비례한다.
  2. 저항값은 온도에 반비례한다.
  3. 저항값은 온도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4. 저항값은 온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정답률: 42%)
  • 저항값은 온도에 반비례한다. 이는 반도체의 저항값은 온도가 증가하면 전자의 이동이 증가하여 저항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온도가 높아질수록 반도체의 저항값은 작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출력에 대한 전부하 동손이 2[%], 철손이 1[%]인 변압기의 전부하 효율[%]은?

  1. 95
  2. 96
  3. 97
  4. 98
(정답률: 73%)
  • 전부하 효율은 출력 ÷ 입력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전부하 효율 = (출력 ÷ 입력) × 100% 입니다.

    여기서 입력은 출력 + 손실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입력 = 출력 ÷ (1 - 손실) 입니다.

    전부하 동손이 2%, 철손이 1%이므로, 손실은 0.02 + 0.01 = 0.03 (즉, 3%)입니다.

    따라서, 입력 = 출력 ÷ (1 - 0.03) = 출력 ÷ 0.97 입니다.

    전부하 효율이 97%가 되려면, 출력 ÷ 입력 = 0.97 이어야 합니다.

    즉, 출력 ÷ (출력 ÷ 0.97) = 0.97 이므로, 출력 = 입력 × 0.97 입니다.

    따라서, 전부하 효율이 97%인 경우, 출력은 입력의 97%가 되어야 합니다.

    이를 계산하면, 출력 ÷ 입력 = 0.97 이므로, 전부하 효율은 97%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9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기 설비

41. 정션 박스내에서 절연 전선을 쥐꼬리 접속한 후 접속과 절연을 위해 사용되는 재료는?

  1. 링형 슬리브
  2. S형 슬리브
  3. 와이어 커넥터
  4. 터미널 러그
(정답률: 71%)
  • 와이어 커넥터는 접속과 절연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재료로, 접속 부위를 쥐꼬리로 끼워 넣고 압착하면서 동시에 전선을 감싸서 절연시키기 때문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션 박스 내에서 절연 전선을 쥐꼬리 접속하고 접속과 절연을 위해 사용되는 재료로는 와이어 커넥터가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케이블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에서 케이블을 조영재의 아랫면 또는 옆면에 따라 붙이는 경우에는 전선의 지지점간 거리는 몇 [m] 이하이어야 하는가?

  1. 0.5
  2. 1
  3. 1.5
  4. 2
(정답률: 54%)
  • 케이블을 조영재의 아랫면 또는 옆면에 따라 붙이는 경우, 케이블은 중력에 의해 아래로 늘어지는 힘을 받게 됩니다. 이 때, 케이블이 늘어지는 길이는 케이블의 무게와 재질, 지지점 간 거리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만약 지지점 간 거리가 너무 멀어지면 케이블이 늘어져 지면에 닿을 수 있으며, 이는 전기적인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케이블을 조영재의 아랫면 또는 옆면에 따라 붙이는 경우에는 전선의 지지점간 거리는 2m 이하여야 합니다. 이는 전기적인 안전을 위한 규정으로, 케이블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분전반 및 배전반은 어떤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1. 전기회로를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장소
  2. 개폐기를 쉽게 개폐할 수 없는 장소
  3. 은폐된 장소
  4. 이동이 심한 장소
(정답률: 77%)
  • 분전반 및 배전반은 "전기회로를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는 전기회로를 운영하고 유지보수하기 위해서는 쉽게 접근하고 조작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장애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설치 위치가 중요합니다. 따라서, 전기회로를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장소가 가장 적합한 위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합성수지 몰드 공사는 사용전압이 몇 [V] 미만의 배선을 사용하는가?

  1. 200[V]
  2. 400[V]
  3. 600[V]
  4. 800[V]
(정답률: 78%)
  • 합성수지 몰드 공사는 전기적으로 절연된 환경에서 작업하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사용전압이 높은 배선을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400V 이상의 고전압 배선을 사용하며, 이는 안전성과 작업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합성수지 몰드 공사는 400V 미만의 배선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천장에 작은 구멍을 뚫어 그 속에 등기구를 매입시키는 방식으로 건축의 공간을 유효하게 하는 조명방식은?

  1. 코브방식
  2. 코퍼방식
  3. 밸런스방식
  4. 다운라이트방식
(정답률: 61%)
  • 천장에 구멍을 뚫어 등기구를 설치하는 방식은 조명을 아래쪽으로 비추는 방식으로, 이를 다운라이트방식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동전선의 접속방법에서 종단접속 방법이 아닌 것은?

  1. 비틀어 꽂는 형의 전선접속기에 의한 접속
  2. 종단겹침용 슬리브(E형)에 의한 접속
  3. 직선 맞대기용 슬리브(B)형에 의한 압착접속
  4. 직선 겹침용 슬리브(P형)에 의한 접속
(정답률: 51%)
  • 직선 맞대기용 슬리브(B)형에 의한 압착접속은 동전선의 끝을 슬리브에 넣고 압착하는 방식으로 접속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종단접속 방법이 아닙니다. 종단접속 방법은 전선의 끝을 절단하고 겹쳐서 접속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가연성 가스가 존재하는 저압 옥내전기설비 공사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가요 전선관 공사
  2. 합성 수지관 공사
  3. 금속관 공사
  4. 금속 몰드 공사
(정답률: 67%)
  • 가연성 가스가 존재하는 저압 옥내전기설비 공사에서는 폭발이나 화재 등의 위험이 있으므로 안전한 공사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가스 누출을 방지하고 전기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금속관 공사가 적합합니다. 금속관은 내구성이 뛰어나며 가스 누출 방지에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금속관 공사가 옳은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셀룰로이드, 성냥, 석유류 등 기타 가연성 위험물질을 제조 또는 저장하는 장소의 배선 방법이 아닌 것은?

  1. 배선을 금속관배선, 합성수지관배선 또는 케이블배선에 의할 것
  2. 금속관은 박강 전선관 또는 이와 동등이상의 강도가 있는 것을 사용할 것
  3. 두께가 2[㎜] 미만의 합성수지제 전선관을 사용할 것
  4. 합성수지관배선에 사용하는 합성수지관 및 박스 기타 부속품은 손상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할 것
(정답률: 70%)
  • 두께가 2[㎜] 미만의 합성수지제 전선관을 사용하는 이유는, 이것이 가연성 위험물질을 제조 또는 저장하는 장소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안전한 배선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합성수지제 전선관은 내화성과 내부식성이 뛰어나며, 가벼우면서도 충격에 강합니다. 또한, 가연성 위험물질이 있는 장소에서는 전기적인 스파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전선관이 손상되지 않도록 시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합성수지제 전선관을 사용하여 안전하고 신뢰성 높은 배선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라이팅 덕트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 시 덕트의 지지점간의 거리는 몇 [m]이하로 해야 하는가?

  1. 1.0
  2. 1.2
  3. 2.0
  4. 3.0
(정답률: 56%)
  • 라이팅 덕트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 시 덕트의 지지점간의 거리는 2.0[m] 이하로 해야 합니다. 이는 전기적 안전성과 건축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규정입니다. 덕트 지지점 간 거리가 너무 멀면 덕트가 휘어지거나 무너질 수 있으며, 반대로 너무 가까우면 덕트가 마찰로 인해 손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0[m] 이하로 설정하여 안전성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소맥분, 전분 기타 가연성의 분진이 존재하는 곳의 저압 옥내 배선공사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케이블 공사
  2. 금속관 공사
  3. 애자사용 공사
  4. 합성수지관 공사
(정답률: 75%)
  • 애자는 가열로에서 사용되는 재료로, 가열로 내부에서 열을 발생시켜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애자를 사용하는 공사는 가열로 내부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저압 옥내 배선공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애자사용 공사는 해당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차량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의 매설 깊이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0.6[m] 이상
  2. 0.8[m] 이상
  3. 1.0[m] 이상
  4. 1.2[m] 이상
(정답률: 78%)
  •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차량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의 매설 깊이는 1.2[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30조에 따라 정해진 규정으로, 도로의 횡단면에서 지중 전선로가 위치한 곳에서 지면과 지중 전선로의 최소 수직거리가 1.2[m] 이상이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차량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지하도상 등에서도 안전하게 전선로를 시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접지를 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1. 이상 전압의 발생
  2. 전로의 대지전압의 저하
  3. 보호 계전기의 동작 확보
  4. 감전의 방지
(정답률: 92%)
  • 접지는 전기적 안전을 위해 사용되며, 전기기기나 전기설비의 누설전류를 대지로 흐르게 함으로써 감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이상 전압의 발생은 접지의 목적이 아닙니다. 이상 전압은 전기설비의 고장이나 오작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가요 전선관 공사에 다음의 전선을 사용 하였다. 맞게 사용 한 것은?

  1. 알루미늄 35[mm2]의 단선
  2. 절연전선 16[mm2]의 단선
  3. 절연전선 10[mm2]의 연선
  4. 알루미늄 25[mm2]의 단선
(정답률: 43%)
  • 가요 전선관 공사에서는 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대용량의 전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알루미늄 35[mm2]의 단선은 너무 두껍고 무거워서 사용하기 어렵다. 또한 알루미늄 25[mm2]의 단선은 전력을 전달하기에는 너무 얇아서 부적합하다. 절연전선 16[mm2]의 단선은 전력을 전달하기에는 적당하지만, 연결점이 많아지면 연결점에서의 전압강하가 심해져서 전력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절연전선 10[mm2]의 연선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연선은 단선보다 연결점이 적어서 전압강하가 적고, 더욱 유연하고 쉽게 구부러질 수 있어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전선의 무게가 가벼워서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따라서 절연전선 10[mm2]의 연선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철근 콘크리드 건물에 노출 금속관 공사를 할 때 직각으로 굽히는 곳에 사용되는 금속관 재료는?

  1. 엔트런스 캡
  2. 유니버셜엘보
  3. 4각 박스
  4. 터미널 캡
(정답률: 69%)
  • 유니버셜엘보는 다양한 각도로 굽힐 수 있어서, 직각으로 굽히는 곳에 사용하기 적합합니다. 따라서 철근 콘크리드 건물에 노출 금속관 공사를 할 때 직각으로 굽히는 곳에 유니버셜엘보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전주의 길이가 16[m]인 지지물을 건주하는 경우에 땅에 묻히는 최소 깊이는 몇[m] 인가?(단. 설계하중이 6.8kN 이하 이다.)

  1. 1.5
  2. 2
  3. 2.5
  4. 3
(정답률: 67%)
  • 지지물이 땅에 묻혀있는 경우, 땅의 지지력을 고려해야 한다. 설계하중이 6.8kN 이하이므로, 땅의 최소 지지력을 고려하여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땅의 최소 지지력 = 지지물의 중량 + 설계하중
    지지물의 중량 = 지지물의 길이 × 단위 길이당 중량
    = 16[m] × 7850[kg/m³] × 0.01[m/m³]
    = 1256[kg]

    따라서, 땅의 최소 지지력 = 1256[kg] × 9.8[m/s²] + 6.8[kN]
    = 12.3[kN]

    땅의 최소 지지력은 12.3[kN] 이므로, 땅에 묻히는 최소 깊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땅에 묻히는 최소 깊이 = 땅의 최소 지지력 ÷ 단위 면적당 지지력
    = 12.3[kN] ÷ 50[kN/m²]
    = 0.246[m]

    따라서, 땅에 묻히는 최소 깊이는 약 0.25[m]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2.5[m]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오기재된 것으로 판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하나의 수용장소의 인입선 접속점에서 분기하여 지지물을 거치지 아니하고 다른 수용장소의 인입선 접속점에 이르는 전선은?

  1. 가공 인입선
  2. 구내 인입선
  3. 연접 인입선
  4. 옥측배선
(정답률: 67%)
  • 연접 인입선은 하나의 수용장소에서 분기하여 지지물을 거치지 않고 다른 수용장소의 인입선 접속점에 이르는 전선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지지물을 거치지 않고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접 인입선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가공전선로의 지선에 사용되는 애자는?

  1. 노브 애자
  2. 인류 애자
  3. 현수 애자
  4. 구형 애자
(정답률: 60%)
  • 가공전선로의 지선은 전류가 상대적으로 적은 곳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애자의 크기가 작아도 충분한 전류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구형 애자가 사용되는데, 이는 작은 크기에도 전류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노브 애자는 크기가 크고 인류 애자는 전류를 전달하는 효율이 낮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현수 애자는 전기를 전달하는 용도가 아니라 물을 공급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전기공사에서 접지저항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측정기는 무엇인가?

  1. 검류기
  2. 변류기
  3. 메거
  4. 어스테스터
(정답률: 55%)
  • 어스테스터는 접지저항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측정기입니다. 이는 전기적으로 안전한 지면과의 접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다른 측정기들은 전류나 전압을 측정하는데 사용되지만, 어스테스터는 접지저항을 측정하는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공사에서 접지저항을 측정할 때는 어스테스터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3로 스위치를 나타내는 그림 기호는?

(정답률: 82%)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스위치가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스위치의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선이 하나씩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모양은 전기회로에서 3으로 표시되는 것과 유사하며, 따라서 3으로 스위치를 나타내는 그림 기호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최대 사용전압이 70[kV]인 중성점 직접접지식 전로의 절연내력 시험전압은 몇 [V]인가?

  1. 35000[V]
  2. 42000[V]
  3. 44800[V]
  4. 50400[V]
(정답률: 44%)
  • 중성점 직접접지식 전로의 절연내력 시험전압은 최대 사용전압의 1.5배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70[kV] x 1.5 = 105[kV] 이며, 이를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으로 변환하면 50400[V]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0400[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