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출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10-02)

전자출판기능사
(2005-10-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출판론

1.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과 가장 관련 있는 것은?

  1. 색상대비
  2. 채도대비
  3. 명도단계
  4. 채도단계
(정답률: 77%)
  • 그레이 스케일은 흑백 이미지를 의미하며, 색상이 아닌 명도(밝기)에 따라 구성됩니다. 따라서 그레이 스케일과 가장 관련 있는 것은 명도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국제표준도서번호(ISBN)의 코드순서로서 맞는 것은?

  1. 국가번호-발행자번호-도서명식별번호-체크기호
  2. 국가번호-체크기호-발행자번호-도서명식별번호
  3. 체크기호-국가번호-발행자번호-도서명식별번호
  4. 체크기호-도서명식별번호-발행자번호-국가번호
(정답률: 90%)
  • ISBN은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도서 식별번호이며, 국가번호-발행자번호-도서명식별번호-체크기호의 순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국가번호: 해당 도서가 출판된 국가를 식별하는 번호입니다.
    - 발행자번호: 해당 도서를 출판한 출판사를 식별하는 번호입니다.
    - 도서명식별번호: 해당 도서의 제목, 판본, 부록 등을 식별하는 번호입니다.
    - 체크기호: ISBN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번호로, 이전 세 자리의 숫자들을 바탕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ISBN은 국가, 출판사, 도서 식별 정보와 유효성 검증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위와 같은 코드 순서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PS판의 내쇄력 향상을 위한 처리 공정은?

  1. 빛쬠
  2. 버닝
  3. 래커칠
  4. 정면
(정답률: 69%)
  • PS판의 내쇄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처리 공정 중 "버닝"은 PS판 표면에 열을 가해 적층된 미세 입자를 융해시켜 표면을 경화시키는 공정입니다. 이를 통해 PS판의 내구성과 내쇄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책자의 규격 중 문고본인 A6판의 규격은 어느 정도인가?

  1. 148mm*210mm
  2. 105mm*148mm
  3. 210mm*297mm
  4. 74mm*210mm
(정답률: 81%)
  • A6판은 ISO 216 규격에서 A6 크기에 해당하며, A6 크기는 105mm x 148m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5mm*148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양장 제책에서 표지의 여는 쪽 위아래에 클로스나 가죽 등을 세모꼴로 붙이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동정
  2. 책귀
  3. 귀발(받)이
  4. 돋음띠
(정답률: 84%)
  • 양장 제책에서 표지의 여는 쪽 위아래에 클로스나 가죽 등을 세모꼴로 붙이는 것을 "귀받이"라고 합니다. 이는 책의 표지를 보호하고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책의 내용을 보호하는 책귀와는 구분됩니다. "귀받이"는 책의 외관을 더욱 아름답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며, 책을 보관하거나 전시할 때도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단행본의 발행 목적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1. 학술서
  2. 번역서
  3. 교양서
  4. 전문서
(정답률: 75%)
  • 번역서는 발행 목적이 번역이기 때문에 다른 세부적인 분류와는 별개로 존재합니다. 다른 세 가지 분류는 발행 목적에 따라 분류되는데, 학술서는 학문적인 지식을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교양서는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지식을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문서는 특정 분야의 전문 지식을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포지티브형 PS판의 제판공정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노광-현상-정착-고무칠-판완성
  2. 노광-정착-현상-고무칠-판완성
  3. 부식-노광-현상-정착-판완성
  4. 노광-현상-고무칠-정착-판완성
(정답률: 65%)
  • PS판 제작 과정은 노광으로 미리 만들어진 마스크를 이용해 빛을 조사하여 이미지를 형성하고, 현상으로 이미지를 고정시키고, 정착으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며, 고무칠로 인쇄 시 잉크가 부착되는 부분과 부착되지 않는 부분을 구분하고, 마지막으로 판완성으로 인쇄를 위한 최종적인 마무리 작업을 진행합니다. 따라서 "노광-현상-정착-고무칠-판완성"이 올바른 제판공정의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표지를 제외한 모든 속장을 실로 꿰매고, 정해진 규격으로 재단한 다음, 둥근둥이나 모등으로 튼튼하게 굳혀진 천과 면지의 힘으로 두터운 합지를 쓴 표지에 붙여 만드는 제책 방식은?

  1. 반양장
  2. 양장
  3. 중철
  4. 호부장
(정답률: 86%)
  • 양장은 표지를 제외한 모든 속장을 꿰매고, 표지에 두꺼운 합지를 씌워 붙이는 제책 방식입니다. 따라서 두꺼운 합지를 사용하여 내구성이 뛰어나며, 표지에 씌워진 합지로 인해 더욱 튼튼하게 만들어집니다. 이에 반해 반양장은 표지와 속장을 따로 제작하여 붙이는 방식이며, 중철은 철사를 이용하여 제본하는 방식, 호부장은 표지와 속장을 붙이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스크린 인쇄시 판이 막혀 인쇄가 잘되지 않는 것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잉크점도가 너무 높음
  2. 용제의 잘못 선택
  3. 잉크의 건조가 늦음
  4. 잉크량의 부족
(정답률: 71%)
  • 잉크의 건조가 늦어서 스크린에 잉크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인쇄가 잘 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색상 표기 중 5GY 6/4에서 4에 대한 가장 올바른 설명은?

  1. 명도
  2. 채도
  3. 색상
  4. 순도
(정답률: 89%)
  • 5GY 6/4에서 4는 채도를 나타냅니다. 채도는 색의 진하고 연한 정도를 나타내며, 숫자가 작을수록 연하고 큰수록 진한 색상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출판기획의 요건으로 적시성(適時性)에 해당하는 것은?

  1. 기획 아이디어를 어떻게, 어떤 대상에 적용할 것인가 판단
  2. 시대 변화에 민감해야 하고 독자의 의식 변화를 예견
  3. 문화적 배경에 근거하여 독자들이 공감할 수 있도록 고안
  4.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어 확대 이용이 가능한 연속적인 파급 효과
(정답률: 75%)
  • 출판기획은 적시성이 중요한데, 이는 시대 변화에 민감해야 하고 독자의 의식 변화를 예견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즉, 출판물이 현재의 시대적 상황과 독자들의 관심사에 부합하며, 미래의 변화를 예측하여 미리 대비할 수 있는 기획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출판물이 독자들에게 더욱 가치 있는 정보와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알루미늄판에 모랫발을 세워서 양극산화로 표면을 처리한 후 감광액을 도포한 판은?

  1. 와이프온판
  2. 난백판
  3. PVA판
  4. PS판
(정답률: 73%)
  • 알루미늄판에 모랫발을 세워서 양극산화로 표면을 처리한 후 감광액을 도포한 판은 PS판입니다. PS는 폴리스티렌의 약자로, 감광액이 잘 달라붙고 인쇄에 용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PS판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색감각을 일으키는 방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시자극
  2. 색지각
  3. 시자극
  4. 색자극
(정답률: 52%)
  • 색감각을 일으키는 방사를 "색자극"이라고 합니다. 이는 색깔을 보는 데 필요한 시각적 자극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시각적 자극"을 의미하는 용어들이지만, 색깔을 구분하는 데 필요한 자극은 "색자극"이기 때문에 이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기업에서 일상적으로 처리하는 주문서, 송장 등과 같은 기업 간의 상거래 정보를 종이로 된 문서나 전표 대신에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표준화죈 형태와 코드체계를 이용하여 컴퓨터 간에 전자적인 전송수단을 통해 교환하는 시스템을 무엇이라 하는가?

  1. ISBN(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2.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3. DOI(Digital Object Identify)
  4. VAN(Value Added Network)
(정답률: 72%)
  • EDI는 기업 간의 상거래 정보를 전자적으로 교환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표준화된 형태와 코드체계를 이용하여 컴퓨터 간에 전송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주문서나 송장 등의 정보를 종이 대신에 전자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서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보교환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바람직한 의사결정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 중 맞는 것은?

  1. 정보의 파악-설계의 구성-선택의 실현-검토와 조정
  2. 정보의 파악-검토와 조정-설계의 구성-선택의 실현
  3. 설계의 구성-정보의 파악-선택의 실현-검토와 조정
  4. 정보의 파악-설계의 구성-검토와 조정-선택의 실현
(정답률: 57%)
  • 정답은 "정보의 파악-설계의 구성-선택의 실현-검토와 조정"입니다.

    의사결정 과정에서는 먼저 문제를 파악하고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합니다. 이후에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설계를 구성하고, 가능한 대안들을 검토하여 선택합니다. 마지막으로 선택된 대안이 실현되었을 때 결과를 검토하고 필요한 조정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야 바람직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출판의 기능 중에서 다른 미디어가 추종할 수 없는 출판미디어가 가지고 있는 탁월한(특수한) 기능은?

  1. 문화의 광고기능
  2. 문화의 동원기능
  3. 문화의 단절기능
  4. 문화의 보전, 전달기능
(정답률: 86%)
  • 출판미디어는 문화의 보전과 전달기능이 가장 탁월합니다. 출판물은 글과 그림, 사진 등을 통해 문화적인 내용을 전달하고 보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출판물은 인쇄물로서 오랜 시간 동안 보관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문화적인 가치를 계속해서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출판미디어는 다른 미디어가 추종하기 어려운 문화의 보전과 전달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인쇄판이 유연하여 피인쇄체가 곡면인 경우에도 직접 인쇄가 가능한 방식은?

  1. 볼록판인쇄
  2. 그라비아인쇄
  3. 오프셋인쇄
  4. 스크린인쇄
(정답률: 64%)
  • 스크린인쇄는 인쇄판이 유연하고, 인쇄물의 표면이 곡면인 경우에도 인쇄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인쇄판 위에 메시(가는 선)를 덮어놓고, 잉크를 스크린으로 눌러서 인쇄하는 방식으로, 인쇄물의 표면에 따라 메시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인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크린인쇄는 곡면 인쇄에 적합한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잡지와 서적의 합성어로서 서적이면서도 저널한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많은 소재를 모아 편집하였고 광고가 있으며 다채롭게 레이아웃한 점이 잡지와 비슷하나 발행방식이 정기적이 아니라는 점이 특징인 것은?

  1. 총서(叢書)
  2. 무크(mook)
  3. 문고(文庫)
  4. 전집(全集)
(정답률: 81%)
  • 무크(mook)는 잡지와 서적의 합성어로, 잡지처럼 다양한 소재를 모아 편집하고 광고가 포함되어 있으며 레이아웃이 다채로우나, 발행 주기가 정기적이지 않은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라비아 인쇄를 출판, 포장, 특수 그라비아로 분류할 때 출판 그라비아 인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팜플렛
  2. 라벨
  3. 카다로그
  4. 포스터
(정답률: 75%)
  • 라벨은 제품에 부착되는 작은 인쇄물로, 출판물이 아닌 상품 포장에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출판 그라비아 인쇄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기획을 집행하여 출간하기까지의 기간을 3년 이상으로 보고 책을 기획한다면, 이는 어떤 기획에 해당되는가?

  1. 단기기획
  2. 중기기획
  3. 말기기획
  4. 장기기획
(정답률: 55%)
  • 정답: 장기기획

    설명: 출간까지 3년 이상의 기간이 필요하다는 것은 출판사가 장기적인 시각으로 책을 기획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는 장기기획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 출판

21. 인터넷의 정보표현언어가 아닌 것은?

  1. HTML
  2. JAVA
  3. LINUX
  4. XML
(정답률: 77%)
  • 인터넷의 정보표현언어는 HTML과 XML이며, JAVA는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LINUX는 운영체제이므로 인터넷의 정보표현언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에 설명하는 내용과 가장 관련 있는 용어는?

  1. 현상기
  2. 립(RIP)
  3. OPI서버
  4. 이미지세터
(정답률: 55%)
  •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린터 드라이버 중 하나인 립(RIP)은 PostScript나 PDF와 같은 페이지 설명 언어를 해석하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위의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립(RIP)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이것은 특수한 전자기기로서 손바닥만한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플레시 메모리칩에 담긴 파일을 바꿔가며 액정 화면 스크린을 통해 내용을 읽는 디지털 시대의 서적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1. CD-ROM
  2. e-book
  3. DTP
  4. FAX-Book
(정답률: 61%)
  • 이 전자기기는 손바닥만한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플레시 메모리칩에 담긴 파일을 바꿔가며 액정 화면 스크린을 통해 내용을 읽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보아 디지털 시대의 서적인 e-book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출력기의 기록 방식 중 인화지나 필름 자체의 지탱력을 이용한 드럼 방식은?

  1. 캡스터 방식
  2. 가상드럼 방식
  3. 외장드럼 방식
  4. 내장드럼 방식
(정답률: 38%)
  • 인화지나 필름 자체의 지탱력을 이용하지 않고, 이미지를 가상으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방식이 가상드럼 방식입니다. 따라서 인화지나 필름의 지탱력에 의존하지 않으며, 출력물의 품질이 일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화면책(Neetwork Screen Book)을 만들 때 사용하는 소프트웨어가 아닌 것은?

  1. 나모웹에디터
  2. 핫도그프로
  3. 칵텔99
  4. 드림위버
(정답률: 42%)
  • 화면책을 만들 때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는 "나모웹에디터", "핫도그프로", "드림위버"이지만, "칵텔99"는 화면책을 만들 때 사용하는 소프트웨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전자출판 응용프로그램인 PhotoShop에서 지원되지 않는 파일 포맷은?

  1. BMP
  2. EPS
  3. PDF
  4. CDR, CGM
(정답률: 80%)
  • CDR은 CorelDRAW의 파일 포맷이며, PhotoShop은 CorelDRAW의 소프트웨어가 아니기 때문에 지원되지 않습니다. CGM은 Computer Graphics Metafile의 약자로, 벡터 그래픽을 저장하는 파일 형식입니다. PhotoShop은 주로 래스터 그래픽을 다루기 때문에 벡터 그래픽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CDR과 CGM은 PhotoShop에서 지원되지 않는 파일 포맷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DTP(탁상출판)의 출판과정에서 반드시 하지 않아도 되는 작업은?

  1. 교정
  2. 편집레이아웃
  3. 출력
  4. 제판작업(CAMERA WORK)
(정답률: 79%)
  • 제판작업은 디지털 출판 기술이 발전하기 전에 필요한 작업으로, 인쇄를 위해 필름을 만들어내는 작업입니다. 하지만 현재는 디지털 출판 기술이 발전하여 제판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따라서 DTP 출판과정에서 반드시 하지 않아도 되는 작업은 제판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글자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 체계가 아닌 것은?

  1. 포인트
  2. 파이카
  3. 비트
(정답률: 56%)
  • 비트는 글자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 체계가 아니라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이기 때문입니다. 비트는 0 또는 1의 이진수로 표현되는 정보의 최소 단위이며,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글자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 체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편집에서 특수효과 프로그램에 쓰이는 것은?

  1. 갤러리이펙트
  2. 일러스트레이터
  3. 포토샵
  4. 프리핸드
(정답률: 60%)
  • 갤러리이펙트는 이미지나 비디오에 다양한 특수효과를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편집에서 특수효과를 적용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러스트레이터, 포토샵, 프리핸드는 모두 그래픽 디자인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이지만, 갤러리이펙트처럼 특수효과를 적용하는 데 특화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저장 용량이 가장 큰 매체는?

  1. 음악용 CD
  2. CD-ROM
  3. FLOPPY DISK
  4. DVD-ROM
(정답률: 77%)
  • DVD-ROM은 다른 매체들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저장 용량이 가장 큽니다. 예를 들어, DVD-ROM은 4.7GB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지만, CD-ROM은 700MB, 음악용 CD는 80분의 음악만 저장할 수 있으며, 플로피 디스크는 1.44MB의 데이터만 저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외부의 전기적 신호를 컴퓨터 내부로 입력하거나 컴퓨터 내부에서 처리된 각종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해 여러 개의 포트(port)가 컴퓨터 뒷면에 나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고성능 직렬버스 표준(IEEE 1394)으로서 이러한 방식과 가장 관련 있는 것은?

  1. USB(Universal Serial Bus)방식
  2. 패러럴(Parallel)방식
  3. SCSI(Small Computer System Inetrface)방식
  4. 파이어와이어(Fire Wire)방식
(정답률: 50%)
  • 파이어와이어(Fire Wire) 방식은 고성능 직렬버스 표준(IEEE 1394)으로서, 컴퓨터와 다양한 디바이스를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기술이다. 이 방식은 USB 방식과 달리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며, 동시에 여러 개의 디바이스를 연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 중간에 오류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재전송을 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사진, 그림, 문자 등 이미지를 입력하는 장치로서 전자출판에 많이 사용되고, 그림을 읽어 들이는 것뿐만 아니라 이미 인쇄된 문자를 입력하는데 사용되기도 하는 것은?

  1. Scanner
  2. Mouse
  3. Keyboard
  4. Printer
(정답률: 90%)
  • Scanner는 이미지를 입력하는 장치로서, 그림이나 사진을 읽어들이는 것뿐만 아니라 인쇄된 문자도 입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Mouse는 컴퓨터를 조작하는 입력장치, Keyboard는 문자나 숫자 등을 입력하는 입력장치, Printer는 출력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FTP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온라인상에서 파일을 전송하는 프로토콜이다.
  2. http://123.456.789.12 와 같이 입력해야 한다.
  3. 웹페이지 파일들을 서버로 전송하거나 받을 때 흔히 사용한다.
  4. 인터넷의 TCP/IP 응용 프로토콜 중의 하나이다.
(정답률: 73%)
  • FTP는 http://123.456.789.12와 같은 형식으로 입력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ftp://123.456.789.12와 같은 형식으로 입력해야 한다. 따라서 "http://123.456.789.12 와 같이 입력해야 한다."는 FTP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컴퓨터의 모니터 위에서 편집된 화면 그대로의 것을 인쇄 형태로 억을 수 있다는 의미의 용어는?

  1. WYSIWYG
  2. LAYOUT
  3. GRID
  4. TYPOGRAPHIC
(정답률: 75%)
  • 정답: WYSIWYG

    설명: WYSIWYG는 "What You See Is What You Get"의 약어로, 컴퓨터의 모니터 화면에서 편집된 내용이 인쇄물로 출력될 때와 동일하게 보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화면에서 보이는 그대로 인쇄물로 출력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한글 표준규격 코드는 몇 바이트인가?

  1. 1 Byte
  2. 2 Byte
  3. 8 Byte
  4. 16 byte
(정답률: 45%)
  • 한글 표준규격 코드는 2 Byte입니다. 이는 한글을 표현하기 위해 2바이트의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한글은 초성, 중성, 종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요소는 1바이트씩 할당되어 총 3바이트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한글 표준규격 코드는 초성, 중성, 종성을 조합하여 1글자를 표현할 수 있도록 2바이트의 공간만을 할당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디지털인쇄(Digital Printing)를 가장 적합하게 설명한 것은?

  1. 디지털 시스템으로 생산되는 제판의 형태
  2. 종이를 사용하지 않고 디지털 상태로 저장만 되는 제판 및 인쇄 형태
  3. 필름과 인쇄판을 만들지 않고 데이터를 직접 인쇄기에서 처리, 인쇄하는 형태
  4. 빛쬠기 자체가 디지털화 되어 있어 자동으로 제판되는 시스템
(정답률: 67%)
  • 디지털인쇄는 필름이나 인쇄판을 만들지 않고, 데이터를 직접 인쇄기에서 처리하여 인쇄하는 형태입니다. 즉, 디지털 시스템으로 생산되는 제판의 형태이며, 종이를 사용하지 않고 디지털 상태로 저장만 되는 제판 및 인쇄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DTP에 대한 용어를 가장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Desk Tower Publishing
  2. Document Top Publishing
  3. Document To Publishing
  4. Desk Top Publishing
(정답률: 90%)
  • 정답은 "Desk Top Publishing"입니다.

    "DTP"는 "Desk Top Publishing"의 약어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문서나 출판물 등을 제작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Desk Top"은 컴퓨터의 데스크탑 환경을 의미하며, "Publishing"은 출판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Desk Top Publishing"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출판물을 제작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하이퍼링크 태그는?

  1. <hr>
  2. <img src>
  3. <frame>
  4. <a href>
(정답률: 59%)
  • 하이퍼링크를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태그는 "<a href>" 입니다. "a"는 anchor(닻)의 약자로, 이 태그를 사용하여 다른 웹 페이지나 같은 페이지 내의 특정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를 만들 수 있습니다. "href"는 hyperlink reference(하이퍼링크 참조)의 약자로, 링크가 이동할 대상의 URL을 지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레이저 광선을 통하여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CD-ROM을 출판에 이용할 경우 장점이 아닌 것은?

  1. 문자정보 뿐만 아니라 소리, 동영상 까지도 표현 할 수 있다.
  2. 교육용과 아동용 책 또는 백과사전과 같은 출판에 적당하다.
  3. 기존의 책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보관을 위한 많은 공간이 필요하지 않다.
  4. 저장능력이 뛰어나 음향이나 영상 같은 정보를 거의 무한정하게 담을 수 있다.
(정답률: 72%)
  • 저장능력이 뛰어나 음향이나 영상 같은 정보를 거의 무한정하게 담을 수 있다는 것은 CD-ROM이 많은 양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출판에 이용할 경우에도 많은 양의 정보를 담을 수 있어서 출판물의 내용을 풍부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CD-ROM에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을 정해 놓은 규격은?

  1. 그린 북 표준 포맷
  2. 레드 북 표준 포멧
  3. 옐로 북 표준 포맷
  4. 블루 북 표준 포멧
(정답률: 77%)
  • CD-ROM에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을 정해 놓은 규격은 "옐로 북 표준 포맷"입니다. 이는 CD-ROM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과 파일 시스템, 데이터 구조 등을 표준화하여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D-ROM을 사용하는 모든 기기에서 데이터를 읽고 쓰는 것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산 편집

41. A4사이즈로 여성잡지나 주간지 등에 주로 쓰이는 판형의 이름은?

  1. 국판
  2. 국배판
  3. 사륙배판
  4. 크라운판
(정답률: 71%)
  • A4 사이즈는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종이 크기이며, 국배판은 A4 사이즈를 2등분하여 만든 판형으로, 여성잡지나 주간지 등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국배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양장 제책에서 면지의 주된 역할은?

  1. 책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해 준다.
  2. 책장을 넘기기 쉽게 해 준다.
  3. 책등이 변형되지 않도록 해 준다.
  4. 표지와 본문을 연결시켜 준다.
(정답률: 73%)
  • 면지는 표지와 본문 사이에 끼워져 있어서, 표지와 본문을 하나로 묶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면지는 표지와 본문을 연결시켜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책의 판형과 실제 크기를 나타낸 것 중 가장 적절한 것은?

  1. 신국판 : 225*152mm
  2. 크라운판 : 374*254mm
  3. 국배판 : 225*254mm
  4. 4*6배판 : 297*210mm
(정답률: 45%)
  • 책의 판형은 책의 내용과 디자인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됩니다. 이 중 "신국판 : 225*152mm"이 가장 적절한 것은,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출판되는 대부분의 소설이나 문학작품의 판형이기 때문입니다. 이 크기는 책을 들고 읽기에 적합하며, 책장에 보관하기도 편리합니다. 또한, 이 크기는 인쇄비용도 저렴하고, 판매가격도 저렴하여 대중적인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글자의 서체 및 크기, 자간, 행간, 사진의 위치 선정, 인쇄 표현에 대한 지시 등을 결정하는 작업은 무엇인가?

  1. 스케치
  2. 그리드
  3. 레이아웃
  4. 폰트 스타일
(정답률: 69%)
  • 레이아웃은 글자의 서체 및 크기, 자간, 행간, 사진의 위치 선정, 인쇄 표현에 대한 지시 등을 결정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레이아웃"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스케치는 디자인 아이디어를 스케치로 그리는 작업을 말하며, 그리드는 디자인 요소를 배치하기 위한 격자 또는 라인을 말합니다. 폰트 스타일은 글자의 스타일을 결정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중질지에 사진원고를 인쇄하려 할 때 가장 적합한 스크린 선 수는?

  1. 35~50선
  2. 85~100선
  3. 133~175선
  4. 185~250선
(정답률: 58%)
  • 중질지에 사진을 인쇄할 때는 고해상도의 스크린 선 수가 필요합니다. 이는 인쇄물의 선명도와 해상도를 높여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85~100선이 가장 적합한 스크린 선 수입니다. 35~50선은 저해상도이며, 133~175선과 185~250선은 고해상도이지만 중질지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편집에서 사용되는 캡션(Caption)의 가장 정확한 의미는?

  1. 그림이라는 뜻이다.
  2. 사진과 그림 등을 설명하는 짧은 문장이다.
  3. 본문을 장식하는 문자의 한 요소이다.
  4. 다이어그램을 설명하는 글이다.
(정답률: 86%)
  • 캡션은 사진이나 그림 등을 설명하는 짧은 문장으로, 해당 이미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사진과 그림 등을 설명하는 짧은 문장이다."가 가장 정확한 의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전산편집된 내용을 프린트를 통해 교정을 할 때 프린트 교정의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틀리거나 에러가 발생한 문자의 교정
  2. 색상의 교정
  3. 면주와 쪽 숫자의 교정
  4. 용지의 백색도, 평활도 교정
(정답률: 81%)
  • 프린트 교정은 인쇄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작업입니다. 이 중에서 용지의 백색도와 평활도 교정은 프린트물의 색감과 질감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용지의 백색도는 용지의 백색 정도를 의미하며, 이는 인쇄물의 색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평활도는 용지의 표면 상태를 의미하며, 이는 인쇄물의 질감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용지의 백색도와 평활도를 교정하는 것은 인쇄물의 품질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반면에 틀리거나 에러가 발생한 문자의 교정, 색상의 교정, 면주와 쪽 숫자의 교정은 인쇄물의 정확성과 완성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요소이지만, 용지의 백색도와 평활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사진의 제판 인쇄방식이 아닌 것은?

  1. 연판 방식
  2. 오프셋 방식
  3. 그라비아 방식
  4. 트리밍 방식
(정답률: 50%)
  • 정답: 트리밍 방식

    설명: 트리밍 방식은 인쇄 방식이 아니라 후가공 방식입니다. 인쇄물의 가장자리를 잘라내는 방식으로, 제판 인쇄방식이 아닙니다. 연판 방식, 오프셋 방식, 그라비아 방식은 모두 제판 인쇄방식으로, 각각 목판, 금속판, 돌판을 사용하여 인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지면이 부드럽고 단조로울 때 어떤 일부분의 포인트만은 변화시키거나 강조시키면 그 지면은 어느 정도 긴장의 효과가 있다. 레이아웃의 원리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

  1. 비례
  2. 밸런스
  3. 액센트
  4. 대조
(정답률: 62%)
  • 액센트는 지면의 단조로움을 깨고 특정 부분을 강조하여 긴장감을 주는 레이아웃의 원리입니다. 따라서 지면의 일부분을 강조하여 시선을 집중시키고, 디자인에 활기와 생동감을 더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종이 중 가장 품질이 좋은 것은?

  1. 중질지
  2. 상갱지
  3. 모조지
  4. 갱지
(정답률: 52%)
  • 모조지는 나무 파우더를 압축하여 만든 종이로, 다른 종이들보다 더 튼튼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인쇄도 잘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품질이 좋은 종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인쇄물 제작 시 종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종이는 낱장과 두루마리가 있다.
  2. 두루마리는 윤전 인쇄에 사용하기 위해 축에 감은 종이 이다.
  3. 낱장은 연(ream)을 단위로 유통되고, 원칙적으로 1연은 1000장을 기준으로 한다.
  4. 연(ream)은 간단히 R이라 표기하고, 매수를 S로 표기할 때 10연 250매를 10R 250S로 나타낸다.
(정답률: 78%)
  • "종이는 낱장과 두루마리가 있다."가 틀린 것입니다. 종이는 낱장, 두루마리, 시트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합니다.

    "낱장은 연(ream)을 단위로 유통되고, 원칙적으로 1연은 1000장을 기준으로 한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종이를 구매할 때 연 단위로 구매하는 경우가 많으며, 1연은 보통 1000장으로 구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책의 구성 안내나 표기상의 해설이 필요할 때 추가하는 책의 구성요소로서 범례라고도 하는 것은?

  1. 일러두기
  2. 헌사
  3. 추천사
  4. 약어표
(정답률: 67%)
  • 일러두기는 책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그림, 사진, 차트 등을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책의 구성 안내나 표기상의 해설이 필요할 때 추가하는 책의 구성요소로서 범례라고도 합니다. 헌사는 책을 바침으로써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전하는 글이며, 추천사는 책의 내용이나 저자에 대한 추천의 글입니다. 약어표는 책에서 사용되는 약어를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책의 구성요소 중 일반적으로 딋부분에 오는 것이 아닌 것은?

  1. 참고문헌
  2. 찾아보기
  3. 차례
  4. 부록
(정답률: 93%)
  • 일반적으로 책의 구성요소 중 딱딱한 부분에 오는 것은 "참고문헌", "찾아보기", "부록"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차례"는 책의 맨 앞에 위치하여 독자가 책의 내용을 파악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차례"는 일반적으로 딱딱한 부분에 오는 것이 아니라 책의 구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인쇄 출판물의 크기를 구별하는 단위를 판형이라고 한다. 국판 전지 사이즈로 옳은 것은?

  1. 1090*788mm
  2. 1085*765mm
  3. 1030*728mm
  4. 939*636mm
(정답률: 60%)
  • 국판 전지 사이즈는 939*636mm이다. 이는 대부분의 대형 출판물에서 사용되는 표준 판형으로, 인쇄용지의 크기를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국판 전지 사이즈보다 크거나 작은 크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흑백 사진을 프린트할 때, 두 가지 다른 컬러의 잉크를 이용하여 깊이와 풍성함을 더해주는 기법은?

  1. 모노톤
  2. 듀오톤
  3. 트리톤
  4. 쿼드톤
(정답률: 67%)
  • 듀오톤은 두 가지 다른 컬러의 잉크를 이용하여 흑백 사진에 깊이와 풍성함을 더해주는 기법입니다. "듀오"는 라틴어로 "둘"을 뜻하며, 이 기법에서는 두 가지 컬러를 사용하기 때문에 "듀오톤"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듀오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안에 들어갈 말로 거장 적당한 것은?

  1. 전달성
  2. 가독성
  3. 그리그
  4. 레이아웃
(정답률: 79%)
  • 이미지가 보기 쉽고 글씨가 분명하여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독성"이 적당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포인트 단위와 급 단위의 비교에서 가장 유사한 것은?

  1. 1Pt = 0.4급
  2. 1Pt = 1.4급
  3. 1Pt = 2.4급
  4. 1Pt = 3.4급
(정답률: 50%)
  • 포인트와 급은 모두 사용자의 능력치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높을수록 높은 능력을 가진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포인트는 상대적인 값으로, 사용자의 능력치가 어느 정도인지를 비교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반면에 급은 절대적인 값으로, 사용자의 능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포인트와 급은 서로 다른 단위이며, 비교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1Pt = 1.4급"이라는 정답은 일종의 근사치로, 대략적으로 포인트와 급의 비교를 나타내기 위한 것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1포인트가 약 1.4급에 해당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게임 등에서 사용되는 일종의 규칙이며, 정확한 값은 게임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Yo, Te, LY, YA 등과 같이 글자와 글자사이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줄임으로서 조판하였을 때 글자와 글자사이의 공간이 균등하게 남도록 하는 것은?

  1. 커닝(Kerning)
  2. 스파인(spaine)
  3. 다이그라프(digraph)
  4. 스템(stem)
(정답률: 81%)
  • 커닝은 글자와 글자사이의 공간을 조절하여 균등하게 맞추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문제에서 설명한 것과 일치하는 답은 "커닝(Kerning)"입니다. 스파인은 글자의 중심선을 말하며, 다이그라프는 두 개의 글자가 합쳐진 것을 말합니다. 스템은 글자의 세로줄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디지털 방식에서 사용하는 화상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로서, 1인치당 망점(dot) 수를 표시한 것은?

  1. DPI
  2. 콘트라스트
  3. 비트(Bit)
  4. 감도
(정답률: 69%)
  • DPI는 "dots per inch"의 약자로, 1인치당 망점 수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디지털 화상에서 해상도를 표시할 때 망점 수가 많을수록 더 선명하고 고해상도의 화면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DPI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타이포그래피의 주요 시각적 요소가 아닌 것은?

  1. 글자의 크기
  2. 글자의 종류
  3. 글자 간격
  4. 종이 규격
(정답률: 93%)
  • 종이 규격은 타이포그래피에서 사용되는 디자인 요소 중 하나이지만, 주요 시각적 요소는 아닙니다. 타이포그래피에서 주요 시각적 요소는 글자의 크기, 글자의 종류, 글자 간격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종이 규격은 디자인 작업 시에 고려해야 할 요소 중 하나이지만, 타이포그래피의 핵심적인 개념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