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출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4-08)

전자출판기능사
(2012-04-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출판론

1. 다음 중 도서 유통에서 POS 시스템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점포가 필요로 하는 상품정보를 신속·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2. 인기상품을 파악하여 상품진열의 합리화를 기할 수 있다.
  3. 판매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앞으로의 판매동향을 예측할 수 있다.
  4. ISBN의 바코드 심벌을 인쇄할 필요가 없어 번거로움을 줄여준다.
(정답률: 92%)
  • ISBN의 바코드 심벌을 인쇄할 필요가 없어 번거로움을 줄여준다는 것은 POS 시스템의 장점이 아니라 바코드 시스템의 장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ISBN의 바코드 심벌을 인쇄할 필요가 없어 번거로움을 줄여준다."입니다. 이유는 바코드는 이미 책의 표지나 뒷면에 인쇄되어 있기 때문에 POS 시스템에서 따로 인쇄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출판기획시 고려해야 할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무슨 책명으로, 누가 집필하며, 어떠한 내용을 담을 것인가?
  2. 도서가 발간되었을 때 예상 판매 부수 및 수익은 어느 정도인가?
  3. 제품 생산 담당자의 연령, 성별, 직업, 학력, 수익 등은 어떻게 되는가?
  4. 타사에서 나온 유사도서의 판매 실적과 그에 대한 평가는 어떠한가?
(정답률: 92%)
  • "제품 생산 담당자의 연령, 성별, 직업, 학력, 수익 등은 어떻게 되는가?"는 출판기획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출판기획은 책의 내용, 예상 판매 부수 및 수익, 유사도서 등을 고려하여 계획되는 것이기 때문에, 제품 생산 담당자의 개인적인 정보는 출판기획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정기간행물로 분류될 수 있는 것은?

  1. 총서
  2. 전집
  3. 사전
  4. 격월간지
(정답률: 91%)
  • 정기간행물은 일정한 주기로 발행되는 출판물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격월간지"는 격월(2개월에 한 번)마다 발행되는 주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정기간행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총서, 전집, 사전은 일회성 출판물이므로 정기간행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어떤 소설책을 제작하려고 할 때 일반적으로 권당 단가가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는 것은? (단, 매번 발행 부수와 장정은 동일하다.)

  1. 초판 1쇄
  2. 초판 2쇄
  3. 초판 3쇄
  4. 초판 4쇄
(정답률: 82%)
  • "초판 1쇄"가 권당 단가가 가장 높은 이유는, 초판 1쇄는 해당 작품이 처음 출간되는 것이기 때문에 수요가 많고, 인기가 높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후의 판매량이나 인기도에 따라 출판사에서 추가적인 판매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초판 1쇄의 가치가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제책의 종류에서 실이나 철사를 사용하지 않고 접착제만으로 제책하는 방식은?

  1. 양장
  2. 반양장
  3. 호부장
  4. 무선철
(정답률: 91%)
  • 정답은 "무선철"입니다. 무선철은 실이나 철사를 사용하지 않고 접착제만으로 제책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제책 과정에서 실이나 철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무선"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제책공정에서 본문과는 별도로 인쇄하여 본문의 전후 혹은 중간에 부속물 인쇄 등을 끼워 넣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쪽맞추기
  2. 딴쪽접기
  3. 고르기
  4. 나눔절단
(정답률: 62%)
  • 본문과는 별도로 인쇄하여 본문의 전후 혹은 중간에 부속물 인쇄 등을 끼워 넣는 것을 "딴쪽접기"라고 합니다. 이는 인쇄물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부속물을 추가하기 위해, 인쇄물의 한 쪽을 접어서 부속물을 끼워 넣고 다시 펴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렇게 하면 인쇄물의 크기가 변하지 않고 부속물을 추가할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평판 오프셋 인쇄기의 장치 중 축임장치에 관 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판을 감아 붙이는 장치이다.
  2. 판면에 잉크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3. 판면에 물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4. 고무 블랭킷을 감아 붙이는 장치이다.
(정답률: 50%)
  • 평판 오프셋 인쇄기에서 축임장치는 판면에 물을 공급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인쇄 전에 판면을 적절한 수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물이 판면에 공급되면 인쇄 시에 잉크와 물이 혼합되어 적절한 인쇄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책의 발행인과 발행처, 저자와 저작권 에 대한 공지사항을 명시한 지면은?

  1. 서문
  2. 헌사
  3. 간기면
  4. 감사의 말
(정답률: 80%)
  • 간기면은 책의 발행인과 발행처, 저자와 저작권에 대한 공지사항을 명시한 지면입니다. 이는 책의 출판 정보와 저작권 보호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서문, 헌사, 감사의 말은 책의 내용과는 관련이 있지만 출판 정보와 저작권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양장 제책에서 표지의 여는 쪽 위아래에 클로스나 가죽 등을 세모꼴로 붙이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동정
  2. 책귀
  3. 귀발이
  4. 돋음띠
(정답률: 67%)
  • 양장 제책에서 표지의 여는 쪽 위아래에 클로스나 가죽 등을 세모꼴로 붙이는 것을 "귀발이"라고 합니다. 이는 책의 표지를 보호하고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책의 귀 부분을 보호하는 역할도 합니다. 또한 책을 세워놓았을 때 귀발이가 있으면 책이 뒤집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서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스크린 인쇄의 간접사진제판법에서 필름 현상 후 핀홀이 생기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노출 부족
  2. 노출 과다
  3. 스크린사의 오염
  4. 먼지에 의한 필름의 오염
(정답률: 70%)
  • 노출 과다는 필름에 너무 많은 빛이 들어와서 필름이 과도하게 노출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필름의 표면에 과도한 열이 발생하고, 이는 필름의 핀홀 현상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노출 과다가 가장 거리가 먼 원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라비어 제판에서 부식 후 비화선부의 더러움을 방지하기 위해 도금처리를 하는데 다음 중 이때 주로 사용되는 재료는?

  1. 니켈
  2. 알루미늄
  3. 크롬
(정답률: 75%)
  • 크롬은 부식에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비화선부의 더러움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그라비어 제판에서 도금 처리에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에서 설명하는 출판매체는 무엇인가?

  1. 단행본(單行本)
  2. 문고본(文庫本)
  3. 전집(全集)
  4. 총서(叢書)
(정답률: 77%)
  • 위 그림은 총서(叢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총서는 특정 주제나 분야에 대한 다수의 저작물을 모아서 출판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총서는 전집과 유사하지만, 전집은 한 작가의 모든 작품을 모은 것이고 총서는 여러 작가의 작품을 모은 것입니다. 단행본은 한 권의 책으로 출판된 것을 말하며, 문고본은 소형화된 책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출판기획시 바람직한 의사결정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정보의 파악→설계의 구성→선택의 실현→검토와 조정
  2. 정보의 파악→검토와 조정→설계의 구성→선택의 실현
  3. 설계의 구성→정보의 파악→선택의 실현→검토와 조정
  4. 정보의 파악→설계의 구성→검토와 조정→선택의 실현
(정답률: 56%)
  • 정답은 "정보의 파악→설계의 구성→선택의 실현→검토와 조정"입니다.

    정보의 파악은 출판기획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출판물의 목적, 대상 독자층, 시장 동향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설계의 구성은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출판물의 구성과 내용을 계획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출판물의 전반적인 틀을 잡을 수 있습니다.

    선택의 실현은 계획한 내용을 실제로 구현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출판물의 내용과 디자인 등을 구체화할 수 있습니다.

    검토와 조정은 구현된 출판물을 검토하고 필요한 조정을 가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출판물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출판물 편집을 진행할 때, 출판물의 대체적 내용을 쪽수에 따라 표시해 놓고 대수 등을 표시해 놓은 양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인쇄 일정표
  2. 편집 배열표
  3. 제작 사양서
  4. 제작 일정표
(정답률: 92%)
  • 출판물의 대체적 내용과 대수 등을 쪽수에 따라 표시해 놓은 양식을 편집 배열표라고 합니다. 이는 출판물의 구성과 페이지 수 등을 파악하고 인쇄 작업을 계획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인쇄 일정표"나 "제작 사양서", "제작 일정표"는 출판물 제작과는 관련이 있지만, 편집 배열표와는 목적과 사용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인터넷을 통하여 책을 판매하는 인터넷서점은 일반서점과 같이 책을 직접 전시하고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점포 없이 운영되는데 이를 다른 용어로 표현할 때 가장 적당한 것은?

  1. 도매 서점
  2. 가상 서점
  3. 오프라인 서점
  4. 전문 서점
(정답률: 94%)
  • 가상 서점은 실제로 물리적인 점포가 없이 인터넷을 통해 책을 판매하는 서점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인터넷서점이라고도 불리며, 온라인 상에서 가상적으로 운영되는 서점이라는 의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일반적으로 바코드 인쇄의 제판에 사용되는 바코드 원고는 어떠한 형태가 가장 바람직한가?

  1. 네거티브 투과원고
  2. 포지티브 투과원고
  3. 네거티브 반사원고
  4. 포지티브 반사원고
(정답률: 55%)
  • 바코드 인쇄의 제판에 사용되는 바코드 원고는 포지티브 투과원고가 가장 바람직합니다. 이는 바코드 인쇄 시 인쇄물과 스캐너 사이에서 빛이 통과하여 인식되는데, 포지티브 투과원고는 빛이 잘 통과하여 인식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반면 네거티브 투과원고는 빛이 잘 통과하지 않아 인식률이 낮고, 반사원고는 빛이 반사되어 인식률이 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전단 ”이라고도 하며, 한 장짜리 인쇄물로 손에 쥐고 읽을 수 있는 정도로 제작한 것은?

  1. 브로슈어(brochure)
  2. 리플릿(leaflet)
  3. 팸플릿(pamphlet)
  4. DM(direct mail)
(정답률: 63%)
  • 전단은 한 장짜리 인쇄물로 손에 쥐고 읽을 수 있는 정도로 제작한 것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리플릿은 전단의 한 종류로, 크기가 작고 내용이 간단한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리플릿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브로슈어는 전단보다 크고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팸플릿은 전단보다 크고 내용이 더 많은 것을 말합니다. DM은 직접 우편으로 발송되는 광고물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상품명이나 제조회사를 인쇄하여 상품에 붙이는 것으로서 실(seal), 레테르(letter), 스티커(sticker), 태그(tag) 등을 통틀어서 지칭하는 것은?

  1. 카본(carbon)
  2. 라벨(label)
  3. 플렉소그래피(flexography)
  4. 비즈니스(business form)
(정답률: 98%)
  • 상품명이나 제조회사를 인쇄하여 상품에 붙이는 것을 라벨(label)이라고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라벨과는 관련이 없는 용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비즈니스 폼인쇄에서 폼인쇄를 입력폼과 출력폼으로 나눌 때, 다음 중 출력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바코드폼
  2. 스톡폼
  3. 라벨폼
  4. 카스텀폼
(정답률: 60%)
  • 바코드폼은 입력폼으로 사용되는 폼이며, 바코드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폼입니다. 따라서 출력폼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인쇄 잉크두께가 가장 얇게 얻어지는 것은?

  1. 공판
  2. 오목판
  3. 볼록판
  4. 평판
(정답률: 69%)
  • 평판은 인쇄면이 완전히 평평하여 인쇄 잉크가 일정한 두께로 분포되기 때문에 인쇄 잉크두께가 가장 얇게 얻어집니다. 반면에 공판, 오목판, 볼록판은 인쇄면이 곡면이기 때문에 인쇄 잉크가 더 많이 적용되어 두껍게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 출판

21. 다음 중 하이퍼링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보에 대한 순차적 접근방식이다.
  2. 뛰어난 검색기능이 있다.
  3. 인터넷출판에서 컨텐츠 구성의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4. 독자와 정보 사이에 쌍방향 네트워크 통신을 제공한다.
(정답률: 53%)
  • 정보에 대한 순차적 접근방식이 아니다. 하이퍼링크는 정보 사이의 비선형적인 연결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로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DVD-ROM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휴대하기 편리하다.
  2. 소리나 정보도 저장할 수 있다.
  3. 종이책보다 많은 양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4. 단면에만 가능하며, 저장된 정보의 용이하다.
(정답률: 87%)
  • 단면에만 가능하며, 저장된 정보의 용이하다는 것은 DVD-ROM이 양면으로 저장이 불가능하고, 저장된 정보를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CD-ROM 제작시에 사용되는 스토리보드(story board)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 한 것은?

  1. 일반적인 전개방식을 말한다.
  2. 멀티미디어 내용을 화면단위로 제시한 구체적인 작업지시서이다.
  3. 멀티미디어 테스트를 하기 위한 작업지시서이다.
  4. 기획단계에서 만들어지는 개략적인 작업흐름도(Flow chart)이다.
(정답률: 64%)
  • CD-ROM 제작시에 사용되는 스토리보드는 멀티미디어 내용을 화면단위로 제시한 구체적인 작업지시서입니다. 이는 제작자들이 어떤 내용을 어떤 순서로 보여줄지를 구체적으로 정리하여 제작과정에서의 오류를 최소화하고 일관성 있는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온라인출판(전자통신출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인터넷을 이용한 출판
  2. PC통신을 이용한 출판
  3. PDA를 이용한 인터넷 출판
  4. CTS를 이용한 출판
(정답률: 79%)
  • 정답: CTS를 이용한 출판

    설명: CTS는 "Content Transformation Services"의 약자로,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에서 인터넷을 이용할 때 웹 페이지를 모바일 기기에 최적화된 형태로 변환해주는 서비스입니다. 따라서 CTS를 이용한 출판은 모바일 기기에서의 웹 페이지 최적화와 관련된 기술이며, 온라인출판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인터넷 상의 많은 정보 중에서 자신에게 필요 한 것을 찾기 위해서는 검색엔진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다음 중 검색엔진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검색엔진은 흔히 검색사이트 또는 서치사이트라고도 한다.
  2. 검색엔진의 수는 현재 대략 5가지 정도 가 있다.
  3. Yahoo나 Naver 등이 검색엔진의 일종이다.
  4. 검색엔진은 키워드형, 주제별, 메타형, 통합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정답률: 93%)
  • "검색엔진의 수는 현재 대략 5가지 정도 가 있다."는 적절하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현재 검색엔진의 수는 매우 다양하며, 대표적인 검색엔진으로 Google, Bing, Yahoo, Naver, Daum 등이 있지만 이 외에도 많은 검색엔진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검색엔진의 수는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외부의 전기적 신호를 컴퓨터 내부로 입력하거나 컴퓨터 내부에서 처리된 각종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해 여러 개의 포트(port)가 컴퓨터 뒷면에 나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고성능 직렬버스 표준(IEEE 1394)으로서의 이러한 방식과 가장 관련 있는 것은?

  1. 패러럴(parallel) 방식
  2. USB(Universal Serial Bus) 방식
  3. 파이어 와이어(Fire Wire) 방식
  4.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방식
(정답률: 49%)
  • 외부의 전기적 신호를 컴퓨터 내부로 입력하거나 컴퓨터 내부에서 처리된 각종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해 여러 개의 포트(port)가 컴퓨터 뒷면에 나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중에서 파이어 와이어(Fire Wire) 방식은 고성능 직렬버스 표준(IEEE 1394)으로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대용량 파일의 전송이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장치와의 연결에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래스터 형식과 벡터 형식 모두에 대응하고 DTP의 표준 그림 형식의 파일 포맷은?

  1. WAV
  2. TXT
  3. DOC
  4. EPS
(정답률: 87%)
  • EPS는 래스터 형식과 벡터 형식 모두에 대응할 수 있으며, DTP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표준 그림 형식이기 때문입니다. EPS는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해도 깨지지 않고 해상도가 유지되는 벡터 형식과,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 정보를 담고 있어 사진 등의 래스터 형식 이미지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하이퍼링크의 구성요소를 3가지 부분으로 나눌 때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인터페이스
  2. 동영상
  3. 노드와 링크
  4. 정보
(정답률: 72%)
  • 하이퍼링크의 구성요소는 "노드와 링크"로 구성되며, "인터페이스"와 "정보"는 하이퍼링크를 구성하는 요소가 아니므로 제외됩니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동영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전자출판물의 제작과정에 있어 준비단계에 해야 할 일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제작팀 구성
  2. 사용목적 결정
  3. 디버깅
  4. 시장조사
(정답률: 93%)
  • 디버깅은 전자출판물의 제작과정에서 마지막 단계인 테스트 단계에서 수행되는 작업으로, 이미 준비단계에서는 수행되지 않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디버깅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전자출판물의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때 참고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용량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2. 상호작용성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3. 복잡한 구조로 독자의 흥미를 끌 수 있도록 설계한다.
  4. 메뉴나 아이콘 실행 방식은 일관성 있게 설계한다.
(정답률: 92%)
  • 복잡한 구조로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것은 독자의 사용성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참고할 사항이 아닙니다. 사용자는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선호하며, 복잡한 구조는 오히려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터페이스 설계 시에는 사용자의 편의성과 쉬운 이해를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전자출판물로서 디스크 책이 종이 책과 비교하여 갖는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디스크 책은 종이 책에 대량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2. 디스크 책은 종이 책에 비해서 유통비용 많이 든다.
  3. 디스크 책은 종이 책에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찾아볼 수 있다.
  4. 디스크 책은 종이 책에 비해서 텍스트뿐만 아니라 소리 및 영상까지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87%)
  • 정답은 "디스크 책은 종이 책에 비해서 유통비용 많이 든다."입니다. 이유는 디스크 책은 제작과 유통에 따른 비용이 종이 책보다 더 많이 들기 때문입니다. 디스크 책은 제작에 필요한 기술적인 비용과 유통에 필요한 배송비, 보관비 등이 종이 책보다 더 많이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나머지 셋과 성격이 다른 용어는?

  1. Disk Book CAP
  2. Digital media based CAP
  3. Screen Book CAP
  4. Paper Book CAP
(정답률: 82%)
  • 정답은 "Paper Book CAP"입니다. 나머지 셋은 모두 디지털 미디어나 디바이스를 이용한 캡스톤 디자인을 의미하는 용어이지만, "Paper Book CAP"은 종이 책을 이용한 캡스톤 디자인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즉, 나머지 셋과는 성격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출판물의 원가를 요소를 직접제조원가 요소와 간접제조원가 요소로 나눌 때 다음 중 직접제조원가 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조판·제판비
  2. 제책비
  3. 인건비
  4. 인쇄비
(정답률: 80%)
  • 인건비는 직접제조원가 요소가 아닙니다. 직접제조원가 요소는 제품을 직접 생산하는 데 필요한 비용으로, 조판·제판비, 제책비, 인쇄비 등이 해당됩니다. 인건비는 생산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비용이 아니며, 간접제조원가 요소로 분류됩니다. 인건비는 회사의 경영비용 중 하나로, 인력을 고용하고 관리하는 데 필요한 비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PDF로 구현하기에 가장 적절하지 않은 디지털 매체는?

  1. 신문
  2. 잡지
  3. 단행본
  4. 영화
(정답률: 95%)
  • 영화는 움직이는 이미지와 소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PDF로 구현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DF는 정적인 이미지와 텍스트를 다루는데 적합한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전자출판물을 인터넷의 다른 일반적인 정보와 구분하는 요건이 아닌 것은?

  1. 검색 기능이 있어야 한다.
  2. 등록된 출판사에서 발행되어야 한다.
  3. 문자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4. 독자가 내용을 임의로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86%)
  • 전자출판물은 인터넷의 다른 일반적인 정보와 구분되는 요건 중에서 "독자가 내용을 임의로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가 아닙니다. 이는 전자출판물의 특징 중 하나로, 독자가 내용을 수정하거나 저장하여 자신의 용도에 맞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다른 요건들은 전자출판물이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CTP(Computer to Plate)에 대하여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편집 데이터에서 필름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인쇄판을 제작하는 것이다.
  2. 데스크톱 컴퓨터로 레이아웃 필름을 완벽하게 처리해 내는 과정을 말한다.
  3. 편집 데이터에서 필름을 한 쪽씩 출력하는 과정을 말한다.
  4. 편집 데이터에서 필름과 인쇄판의 출력을 생략하고 바로 인쇄하는 과정을 말한다.
(정답률: 56%)
  • 정답은 "편집 데이터에서 필름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인쇄판을 제작하는 것이다." 이다. CTP는 Computer to Plate의 약어로, 컴퓨터에서 직접 인쇄판을 제작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를 통해 편집 데이터에서 필름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인쇄판을 제작할 수 있어서 생산성과 품질면에서 이점을 가져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표준정보식별체제라고도 하는데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에 특정한 코드 값을 붙여 디지털 문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무엇이라 고 하는가?

  1. ISBN
  2. tag
  3. DOI
  4. watermark
(정답률: 62%)
  • 정보의 식별과 검색을 위한 표준식별번호인 DOI(Digital Object Identifier)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 디지털 문서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코드 값을 부여하여 관리하는 체제입니다. ISBN은 책의 국제표준도서번호, tag는 태그, watermark는 워터마크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전자출판물 제작을 위한 시스템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문자는 메모장이나 심플텍스트 기능을 활용하여 직접 TXT파일로 입력하기도 한다.
  2. 동영상은 촬영한 데이터를 편집하고 MPEG, AVI, MOV 등의 동영상 포맷으로 전환해서 사용한다.
  3. 사운드는 MIDI, WAV 등의 파일 포맷이 사용된다.
  4. 이미지 처리를 위해서 화상처리 프로그램은 Excel을 주로 활용하며 PCM, RM 등의 화상압축이미지 포맷을 사용한다.
(정답률: 94%)
  • 이미지 처리를 위해서 화상처리 프로그램은 Excel을 주로 활용하며 PCM, RM 등의 화상압축이미지 포맷을 사용한다. - 이미지 처리를 위해서는 화상처리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Excel은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으로 이미지 처리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PCM, RM은 음성 압축 포맷이며, 이미지 압축 포맷이 아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웹 브라우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HTML을 사용하여 작성한 텍스트 파일을 정형화하여 표시해 주는 소프트웨어이다.
  2. 각종 언어로 표시된 웹 문서를 읽어 들 일 수 있다.
  3. 대표적으로 넷스케이프(Netscape)와 익스플로러(Explorer) 등이 있다.
  4. 웹 문서를 쉽게 작성할 수 있도록 프레임, 테이블 만들기 등의 편리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정답률: 68%)
  • 웹 브라우저는 웹 문서를 쉽게 작성할 수 있도록 프레임, 테이블 만들기 등의 편리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웹 브라우저는 웹 문서를 보여주는 소프트웨어이며, 웹 문서를 작성하는 것은 웹 에디터 등의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XML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XML은 웹상에서 문서를 전송하도록 설계된 국제표준 텍스트 형식이다.
  2. XML은 인터넷 표시 언어의 하나이다.
  3. HTML에 비해 정교한 문서의 생성 능력이 떨어진다.
  4. HTML에 비해 유연성이 높은 정보표시 언어이다.
(정답률: 76%)
  • "HTML에 비해 정교한 문서의 생성 능력이 떨어진다."는 거리가 먼 설명입니다. XML은 HTML과 달리 태그를 직접 정의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정교하고 복잡한 문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HTML에 비해 정교한 문서의 생성 능력이 높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산 편집

41. 다음 중 인쇄교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쇄교정은 인쇄물을 고객이 원하는 기대수준으로 출력 센터, 인쇄회사 등에 확인시키기 위한 공정 중의 하나이다.
  2. 인쇄교정은 최상의 결과물을 얻기위한 좋은 방법이다.
  3. 교정쇄의 종류에는 흑백레이저 교정, 디지털 교정, 인화 교정, 라미네이트 교정 등이 있다.
  4. 면주와 숫자의 교정은 주로 특수 인쇄를 위한 교정이다.
(정답률: 79%)
  • 면주와 숫자의 교정은 주로 특수 인쇄를 위한 교정이 아닌 일반적인 인쇄물에서도 필요한 교정이기 때문에 틀린 설명입니다.

    면주와 숫자의 교정은 인쇄물의 가장자리와 페이지 번호 등의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기 위한 교정으로, 모든 인쇄물에서 필요한 교정입니다. 특수 인쇄물에서는 더욱 정밀한 교정이 필요할 수 있지만, 이는 일반적인 인쇄물에서도 필요한 교정이라는 점을 감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디지털 데이터를 종이책으로 변환시키는 기술을 의미한다.
  2.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 의미한다.
  3. 출판사와 독자를 연결시켜 주는 공간을 의미한다.
  4. 종이책을 전자책으로 변환시키는 기술을 의미한다.
(정답률: 70%)
  • 디지털 데이터의 저작권을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술이 DRM이며, 이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문자의 크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문자의 크기는 판형, 내용, 성격 등에 따 라 변할 수 있다.
  2. 본문보다 작게 해야 될 요소는 리드, 발문 등이다.
  3. 일반적으로 본문이 1단일 때는 10포인트 또는 10.5포인트가 적당하다.
  4. 캡션 문자의 크기는 본문 크기보다 작은 포인트로 하는 것이 구성상 바람직하다.
(정답률: 67%)
  • "본문보다 작게 해야 될 요소는 리드, 발문 등이다."라는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리드나 발문은 본문보다 간결하고 요약된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크기가 작아도 충분히 읽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본문은 긴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크기가 작으면 읽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본문의 크기는 충분히 크게 설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오른쪽을 기준으로 왼쪽이 들쭉날쭉하므로 독특하고 흥미로운 실루엣을 보여주지만 글줄의 처음을 찾기가 어려운 글줄 맞추기 방법은?

  1. 앞줄 맞추기
  2. 뒷줄 맞추기
  3. 가운데 맞추기
  4. 양끝 맞추기
(정답률: 72%)
  • 오른쪽을 기준으로 왼쪽이 들쭉날쭉한 글줄에서는 앞줄을 기준으로 맞추기보다는 뒷줄을 기준으로 맞추는 것이 더욱 정확하고 쉽습니다. 뒷줄을 기준으로 맞추면 들쭉날쭉한 앞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일관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장기기획 출판물로 가장 적절한 유형은?

  1. 수험생 대상 수험서
  2. 세계 풍속 대백과사전
  3. 시사 주간지
  4. 교양 월간 잡지
(정답률: 78%)
  • 정답: "세계 풍속 대백과사전"

    이유: 장기기획 출판물은 오랜 기간 동안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지식을 담은 책이어야 합니다. "수험생 대상 수험서"는 시험 기간에만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으므로 장기적인 활용성이 떨어집니다. "시사 주간지"와 "교양 월간 잡지"는 주제가 다양하고 변화하는 현재 사회 상황에 맞춰 발행되므로 장기적인 활용성이 떨어집니다. 반면에 "세계 풍속 대백과사전"은 세계 각국의 문화와 관습, 역사 등 폭넓은 지식을 담고 있으며, 이러한 지식은 오랜 기간 동안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세계 풍속 대백과사전"이 장기기획 출판물로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인간이 볼 수 있는 가시광선의 파장 범위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10~120nm
  2. 240~580nm
  3. 380~780nm
  4. 820~980nm
(정답률: 81%)
  • 인간이 볼 수 있는 가시광선은 주로 380~780nm의 파장을 가지는데, 이는 인간의 망막에 있는 감지 세포인 원뿔세포와 막대세포가 이 파장대역의 빛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달하면 인간은 그 파장의 빛을 인식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단행본의 내부구성 요소를 도입부, 본문, 종결부로 나눌 때 일반적으로 도입부에 들어 갈 내 용이 아닌 것은?

  1. 속표지
  2. 판권
  3. 서문
  4. 간기면
(정답률: 45%)
  • 정답인 "간기면"은 일반적으로 단행본의 내부구성 요소로 포함되지 않는다. 간기면은 일부 출판사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책의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는 페이지를 말한다. 하지만 이는 일반적인 도입부의 역할을 대신하는 것이 아니므로 정답으로 선택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사진 편집시 좋은 편집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사진 설명이 반드시 사진 밑에 있을 필요는 없으나 사진 가까이에 둔다.
  2. 평이한 장면이나 불필요한 부분은 적절히 잘라 긴장감과 정제된 분위기를 연출 한다.
  3. 본문과 통일을 이룰 수 있도록 사진에 대한 설명은 본문과 같은 크기의 같은 서체를 사용한다.
  4. 사진과 사진 설명과의 간격을 너무 붙지 않게 편집한다.
(정답률: 70%)
  • "사진과 사진 설명과의 간격을 너무 붙지 않게 편집한다."는 사진 편집시 좋은 편집이라고 볼 수 없는 것입니다.

    "본문과 통일을 이룰 수 있도록 사진에 대한 설명은 본문과 같은 크기의 같은 서체를 사용한다."는 사진 설명이 독자가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일관성 있게 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이는 독자의 이해도를 높이고, 전체적인 디자인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단색원고와 다색원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컬러 그림을 인쇄하기 위해서 CMYK와 RGB 2가지 방식 모두 출력해야 한다.
  2. 다색 원고는 보통 2색 이상의 원고를 말 한다.
  3. 단색 원고에 1색을 추가할 때마다 제판 비는 물론 인쇄비가 증가한다.
  4. 보통 4색으로 인쇄를 하기 위해서는 컬러 스캐너로 사진 원고를 원색 분해한다.
(정답률: 83%)
  • "컬러 그림을 인쇄하기 위해서 CMYK와 RGB 2가지 방식 모두 출력해야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RGB는 빛의 삼원색으로 모니터나 화면에서 사용되는 색 공간이고, CMYK는 인쇄에서 사용되는 색 공간이기 때문이다. 인쇄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RGB로 만든 그림을 CMYK로 변환하여 인쇄해야 색상이 정확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자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낱글자와 낱글자 사이의 간격이다.
  2. 독서 속도에 영향을 준다.
  3. 수평모음과 수직모음의 적용에 따라 자간의 느낌이 달라진다.
  4. 낱글자 간의 간격이 좁을수록 독서 속도 는 빨라지므로 자간이 좁을수록 유리하고 편리하다.
(정답률: 79%)
  • "수평모음과 수직모음의 적용에 따라 자간의 느낌이 달라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자간은 낱글자와 낱글자 사이의 간격을 의미하며, 이 간격이 좁을수록 독서 속도가 빨라지므로 자간이 좁을수록 유리하고 편리합니다. 수평모음과 수직모음의 적용은 자간의 느낌을 달라지게 할 수 있지만, 자간 자체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오스트발트 표색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오스트발트 색상환은 지각적으로 고른 간격과 좌우, 상하가 동일한 형태로 구성 된다.
  2. 등순색 계열은 등색상 삼각형 C, W와 평행선상에 있는 색으로 흰색량이 모두 같은 색의 계열이다.
  3. 오스트발트 표색계에서 유채색 표시는 색상기호, 흰색량, 검정색량 순으로 표시 한다.
  4. 오스트발트의 색상환은 기본 20색상이다.
(정답률: 47%)
  • 오스트발트 표색계에서 유채색 표시는 색상기호, 흰색량, 검정색량 순으로 표시 한다. 이는 색상을 표현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색상의 기호를 먼저 나타내고 그 다음에는 흰색과 검정색의 양을 나타내어 색상을 정확하게 표현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빨강(red)red)red)red) 빛과 청자(blue) 빛의 혼색으로 옳은 것은?

  1. 시안(cyan)
  2. 노랑(yellow)
  3. 마젠타(magenta)
  4. 검정(black)
(정답률: 75%)
  • 빨강(red)과 청자(blue)는 근접한 보색이므로 혼합하면 회색에 가까운 색이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빨강과 청자를 혼합하면 마젠타(magenta)라는 색이 나옵니다. 이는 빨강과 청자가 혼합되어 나타나는 색 중 하나로, 시안(cyan)과 노랑(yellow)과 함께 CMYK 색 모델에서 사용됩니다. 마젠타는 빨강과 청자의 보색이 아니라, 두 색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새로운 색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인쇄출판물 레이아웃의 여백잡기에 있어서 모리스(William Morris)의 법칙을 적용할 때 여백의 크기가 넓은 것부터 좁은 것으로의 순서가 옳게 된 것은?

  1. 아래쪽 > 위쪽 > 바깥쪽 > 안쪽
  2. 바깥쪽 > 위쪽 > 아래 쪽 > 안쪽
  3. 아래쪽 > 안쪽 > 위쪽 > 바깥쪽
  4. 아래쪽 > 바깥쪽 > 위쪽 > 안쪽
(정답률: 55%)
  • 모리스의 법칙은 인쇄물의 레이아웃에서 여백의 크기를 결정할 때, 해당 페이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서 아래쪽과 위쪽, 바깥쪽과 안쪽은 서로 대칭을 이루어야 합니다. 따라서 여백의 크기가 넓은 것부터 좁은 것으로의 순서는 "아래쪽 > 바깥쪽 > 위쪽 > 안쪽"이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지면을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타이틀(title)의 자수는 길어야 20자정도, 평균 10자 전후가 대부분이다.
  2. 리드(lead)는 타이틀을 보다 자세하게, 기사 내용을 보다 간단하게 글쓴이의 주장, 생각, 사실을 요약한 것이다.
  3. 리드를 쓰는 방법은 기사 속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그대로 발췌하는 방법과 기사 내용을 재구성하여 정리하는 방법이 있다.
  4. 캡션(caption)은 짧은 문장으로 기사의 주된 내용을 주로 전달한다.
(정답률: 73%)
  • 캡션(caption)은 짧은 문장으로 기사의 주된 내용을 주로 전달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캡션은 그림, 사진, 그래프 등의 시각 자료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특정 이미지의 픽셀의 총수를 의미하는 해상도는?

  1. 비트 해상도
  2. 이미지 해상도
  3. 출력 해상도
  4. 스캔 해상도
(정답률: 74%)
  • 정답: 이미지 해상도

    해설: 이미지 해상도는 특정 이미지의 픽셀의 총수를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비트, 출력, 스캔과 관련된 용어이지만, 이미지 해상도는 이미지 자체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즉, 이미지 해상도는 이미지가 얼마나 선명하고 디테일한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세리프(serif)가 있는 서체로만 나열된 것은?

  1. 명조체, 신명조체, 엽서체, 디나루체
  2. 명조체, 신명조체, 중명조체, 바탕체
  3. 고딕체, 중고딕체, 바탕체, 견출고딕체
  4. 고딕체, 중고딕체, 태고딕체, 바탕체
(정답률: 79%)
  • 정답은 "명조체, 신명조체, 중명조체, 바탕체"입니다. 이유는 이 보기에 나열된 서체들은 모두 세리프(serif)가 있는 서체들이기 때문입니다. 세리프란 글자의 끝부분에 작은 장식을 달아주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세리프가 있는 서체들만 나열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전산 편집된 내용을 프린트를 통해 교정할 때 프린트 교정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색상의 교정
  2. 틀리거나 에러가 발생한 문자의 교정
  3. 면주와 쪽 숫자의 교정
  4. 용지의 백색도, 평활도 교정
(정답률: 68%)
  • 용지의 백색도와 평활도는 프린트 교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요소입니다. 프린트 교정은 주로 색상, 문자, 면주와 쪽 숫자 등의 정확성을 확인하고 교정하는 작업이지만, 용지의 백색도와 평활도는 인쇄물의 외관적인 품질을 결정하는 요소입니다. 따라서 프린트 교정과는 거리가 먼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수학적인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베지어 곡선에 의해 도형을 만들고 여러 개의 도형이 모여 이미지를 구성하는 방식은?

  1. 벡터 이미지
  2. 픽셀 이미지
  3. 래스터 이미지
  4. 비트맵 이미지
(정답률: 75%)
  • 베지어 곡선은 수학적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도형을 만들어내는 방식이며, 이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도형들이 모여 이미지를 구성하는 방식이 벡터 이미지입니다. 벡터 이미지는 도형의 크기나 해상도에 상관없이 깨끗하고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하며, 편집이 용이하고 확대/축소에도 무관하게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벡터 이미지는 그래픽 디자인, 로고, 아이콘 등에 많이 사용되며, 인쇄물 등 고품질의 이미지가 필요한 경우에도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여러 가지 파장의 빛이 고루 섞여 있으면 무슨 색으로 지각되는가?

  1. 검정색
  2. 적색
  3. 파란색
  4. 흰색
(정답률: 79%)
  • 여러 가지 파장의 빛이 고루 섞여 있으면 모든 색을 포함하게 되어 흰색으로 지각됩니다. 즉,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 등 모든 색이 고루 섞여 있어서 백색광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문장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여 전체의 글을 다듬는 작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색교정
  2. 사진교정
  3. 교열
  4. 트리밍
(정답률: 81%)
  • 교열은 문장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여 전체의 글을 다듬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문서나 이미지의 세부적인 부분을 수정하는 작업이지만, 교열은 전체적인 내용을 개선하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