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1-26)

용접기능사
(2014-01-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용접일반

1. 용접기 설치 및 보수할 때 지켜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셀렌 정류기형 직류아크 용접기에서는 습기나 먼지 등이 많은 곳에 설치해도 괜찮다.
  2. 조정핸들, 미끄럼 부분 등에는 주유해서는 안 된다.
  3. 용접 케이블 등의 파손된 부분은 즉시 절연 테이프로 감아야 한다.
  4. 냉각용 선풍기, 바퀴 등에도 주유해서는 안 된다.
(정답률: 78%)
  • 용접 케이블은 전기를 전달하는 중요한 부품이며 파손되면 전기가 누설되어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즉시 절연 테이프로 감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에서 다전극 방식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

  1. 텐덤식
  2. 횡병렬식
  3. 횡직렬식
  4. 이행형식
(정답률: 71%)
  •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에서 다전극 방식에 의한 분류 중 "이행형식"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이행형식은 전극을 수직으로 배치하여 용접을 수행하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세 가지 방식은 전극을 수평으로 배치하여 용접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TIG 용접에서 직류 정극성으로 용접할 때 전극 선단의 각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5 ~ 10°
  2. 10 ~ 20°
  3. 30 ~ 50°
  4. 60 ~ 70°
(정답률: 68%)
  • TIG 용접에서 직류 정극성으로 용접할 때 전극 선단의 각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30 ~ 50°입니다. 이는 전극과 용접부 사이의 각도가 너무 작으면 용접부가 녹아내리거나 용접선이 끊어질 수 있고, 각도가 너무 크면 용접선이 불규칙하게 용융되어 용접부의 품질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30 ~ 50°의 적절한 각도로 전극 선단을 조정하여 용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용접결함 중 구조상 결함이 아닌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슬래그 섞임
  2. 용입불량과 융합불량
  3. 언더 컷
  4. 피로강도 부족
(정답률: 70%)
  • 피로강도 부족은 구조적 결함이 아니라, 용접 부위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은 결함입니다. 따라서 용접 부위가 충분히 강하지 않아 파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슬래그 섞임은 용접 부위에 불순물이 섞이는 결함, 용입불량과 융합불량은 용접 부위의 결함으로 강도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언더 컷은 용접 부위의 절단면이 충분히 깊지 않은 결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화재 발생 시 사용하는 소화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기로 인한 화재에는 포말소화기를 사용한다.
  2. 분말 소화기에는 기름 화재에 적합하다.
  3. CO2 가스 소화기는 소규모의 인화성 액체 화재나 전기 설비 화재의 초기 진화에 좋다.
  4. 보통화재에는 포말, 분말, CO2 소화기를 사용한다.
(정답률: 65%)
  • "전기로 인한 화재에는 포말소화기를 사용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전기로 인한 화재는 전기가 흐르는 장비나 전기선 등에서 발생하는 화재로, 전기를 차단하고 전기를 통해 확산되는 화재를 막기 위해 CO2 가스 소화기를 사용합니다. 포말소화기는 유류나 가연성 액체 화재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필릿 용접부의 보수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간격이 1.5㎜ 이하일 때에는 그대로 용접하여도 좋다.
  2. 간격이 1.5 ~ 4.5㎜일 때에는 넓혀진 만큼 각장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3. 간격이 4.5 ㎜ 일 때에는 라이너를 넣는다.
  4. 간격이 4.5 ㎜ 이상일 때에는 300㎜ 정도의 치수로 판을 잘라낸 후 새로운 판으로 용접한다.
(정답률: 56%)
  • 간격이 넓혀진 만큼 각장을 감소시키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간격이 넓어지면 용접부의 각장이 커지기 때문에, 이를 보정하기 위해 용접 전 각장을 축소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간격이 1.5 ~ 4.5㎜일 때에는 넓혀진 만큼 각장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그림과 같은 다층 용접법은?

  1. 빌드업법
  2. 케스케이드법
  3. 전진 블록 법
  4. 스킵법
(정답률: 76%)
  • 다층 용접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이전 층의 용접재가 다음 층의 용접재와 함께 용융되어 결합되는 것을 이용하는 용접법이 케스케이드법입니다. 다음 그림에서도 이전 층의 용접재와 다음 층의 용접재가 함께 용융되어 결합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케스케이드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용접 작업 시 작업자의 부주의로 발생하는 안염, 각막염, 백내장 등을 일으키는 원인은?

  1. 용접 흄 가스
  2. 아크 불빛
  3. 전격 재해
  4. 용접 보호 가스
(정답률: 90%)
  • 아크 불빛은 용접 작업 시에 발생하는 강한 빛으로, 눈에 직접적으로 노출될 경우 안염, 각막염, 백내장 등의 눈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용접 작업 시에는 반드시 안전 안경 등의 보호 장비를 착용하여 눈을 보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플라즈마 아크용접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아크 플라즈마의 온도는 10000 ~ 30000'C 온도에 달한다.
  2. 핀치효과에 의해 전류밀도가 크므로 용입이 깊고 비드 폭이 좁다.
  3. 무부하 전압이 일반 아크 용접기에 비하여 2 ~ 5배 정도 낮다.
  4. 용접장치 중에 고주파 발생장치가 필요하다.
(정답률: 66%)
  • "무부하 전압이 일반 아크 용접기에 비하여 2 ~ 5배 정도 낮다."가 잘못된 것이 아닙니다.

    아크 플라즈마는 고온 상태에서 가열된 기체로, 온도가 10000 ~ 30000'C에 달합니다. 핀치효과에 의해 전류밀도가 크므로 용입이 깊고 비드 폭이 좁습니다. 플라즈마 아크 용접기는 무부하 전압이 일반 아크 용접기에 비하여 2 ~ 5배 정도 낮습니다. 이는 플라즈마 아크 용접기가 더 안정적인 아크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입니다. 또한, 플라즈마 아크 용접기는 고주파 발생장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전기저항 점 용접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터랙 점용접이란 용접점의 부분에 직접 2개의 전극을 물리지 않고 용접전류가 피용접물의 일부를 통하여 다른 곳으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2. 단극식 점용접이란 적극이 1쌍으로 1개의 점 용접부를 만드는 것이다.
  3. 맥동 점용접은 사이클 단위를 몇 번이고 전류를 연속하여 통전하는 것으로 용접 속도 향상 및 용접변형방지에 좋다.
  4. 직렬식 점용접이란 1개의 전류 회로에 2개 이상의 용접점을 만드는 방법으로 전류 손실이 많아 전류를 증가시켜야 한다.
(정답률: 52%)
  • 맥동 점용접은 사이클 단위를 몇 번이고 전류를 연속하여 통전하는 것으로 용접 속도 향상 및 용접변형방지에 좋다. (이 설명은 올바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이산화탄소 아크용접의 솔리드와이어 용접봉에 대한 설명으로 YGA-50W-1.2-20 에서 "50" 이 뜻하는 것은?

  1. 용접봉의 무게
  2. 용착금속의 최소 인장강도
  3. 용접와이어
  4. 가스실드 아크용접
(정답률: 80%)
  • "50"은 용접봉의 용착금속의 최소 인장강도를 나타냅니다. 이 값은 용접봉이 만들어진 재료와 용접조건에 따라 다르며, 이 값이 높을수록 용접봉으로 만든 용착부의 강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이 값이 중요한데, 예를 들어 구조물을 만들 때는 용착부의 강도가 중요하기 때문에 이 값을 고려하여 용접봉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스터드 용접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아크 스터드 용접법
  2. 텅스텐 스터드 용접법
  3. 충격 스터드 용접법
  4. 저항 스터드 용접법
(정답률: 61%)
  • 텅스텐 스터드 용접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스터드 용접법의 종류로는 아크 스터드 용접법, 충격 스터드 용접법, 저항 스터드 용접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아크 용접부에 기공이 발생하는 원인과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1. 이음 강도 설계가 부적당 할 때
  2. 용착부가 급랭될 때
  3. 용접봉에 습기가 많을 때
  4. 아크 길이, 전류 값 등이 부적당할 때
(정답률: 66%)
  • 이음 강도 설계가 부적당할 때는 용접부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아서 기공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용접부의 결함을 유발하는 요인들이기 때문에 관련이 있지만, 이음 강도 설계가 부적당할 때는 용접부의 강도 자체가 부족하기 때문에 다른 요인들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전자빔 용접의 종류 중 고전압 소전류형의 가속 전압은?

  1. 20~ 40KV
  2. 50 ~ 70KV
  3. 70 ~ 150KV
  4. 150 ~ 300KV
(정답률: 60%)
  • 고전압 소전류형 전자빔 용접은 전자를 가속시켜 용접 부위에 집중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때 가속 전압이 높을수록 전자의 운동 에너지가 커져 용접 부위에 더욱 집중되어 용접 품질이 향상됩니다. 따라서 70 ~ 150KV가 가장 적절한 가속 전압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TIG 용접기의 주요장치 및 기구가 아닌 것은?

  1. 보호가스 공급장치
  2. 와이어 공급장치
  3. 냉각수 순환장치
  4. 제어장치
(정답률: 55%)
  • TIG 용접기에서는 보호가스를 공급하여 용접부위를 보호하고, 냉각수를 순환하여 용접기를 냉각시키며, 제어장치를 통해 용접전류와 전압을 조절합니다. 하지만 와이어 공급장치는 MIG 용접기에서 사용되는 장치로, TIG 용접기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와이어 공급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용접부에 X선 을 투과하였을 경우 검출할 수 있는 결함이 아닌 것은?

  1. 선상조직
  2. 비금속 개재물
  3. 언더컷
  4. 용입불량
(정답률: 49%)
  • 선상조직은 용접부에서 발생하는 결함 중 하나로, 용접 과정에서 용접봉과 기본 금속 간에 생긴 구멍이나 간극을 말합니다. 이는 용접부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함으로, X선 검사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선상조직은 X선 검사에서 검출할 수 있는 결함 중 하나가 됩니다. 반면에 비금속 개재물, 언더컷, 용입불량은 모두 X선 검사에서 검출할 수 있는 결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층용접 방법 중 각 층마다 전체의 길이를 용접하면서 쌓아 올리는 용착법은?

  1. 전진 블록법
  2. 덧살 올림법
  3. 케스케이드법
  4. 스킵법
(정답률: 69%)
  • 다층용접 방법 중 각 층마다 전체의 길이를 용접하면서 쌓아 올리는 용착법은 "덧살 올림법"입니다. 이는 각 층마다 용접을 완료한 후 다음 층으로 올라가기 전에 이전 층의 용접부위에 덧살을 올려서 다음 층과 용착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용접부위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지만, 용접부위의 강도가 높아지고 용접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용접부의 시험검사에서 야금학적 시험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파면 시험
  2. 육안 조직 시험
  3. 노치 취성 시험
  4. 설퍼 프린트 시험
(정답률: 42%)
  • 노치 취성 시험은 야금학적 시험 방법이 아닙니다. 이 시험은 용접부의 경도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경도계를 사용하여 노치(작은 홈)를 용접부에 취하여 경도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이 시험은 기계적인 시험 방법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구리와 아연을 주성분으로 한 합금으로 철강이나 비철금속의 납땜에 사용되는 것은?

  1. 황동납
  2. 인동납
  3. 은납
  4. 주석납
(정답률: 60%)
  • 주어진 보기 중 구리와 아연을 주성분으로 한 합금은 인동납과 주석납이 있지만, 철강이나 비철금속의 납땜에 사용되는 것은 황동납입니다. 이는 황동이 납과 잘 녹아 붙기 때문에 땜납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황동은 인과 달리 독성이 없어서 안전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황동납이 철강이나 비철금속의 납땜에 널리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탄산가스 아크용접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가스 아크이므로 시공이 편리하다
  2. 철 및 비철류의 용접에 적합하다
  3. 전류밀도가 높고 용입이 깊다
  4. 바람의 영향을 받으므로 풍속 2m/s 이상일 때에는 방풍장치가 필요하다
(정답률: 52%)
  • "바람의 영향을 받으므로 풍속 2m/s 이상일 때에는 방풍장치가 필요하다"가 맞지 않는 것입니다. 탄산가스 아크용접은 가스 아크 용접 중 하나로, 전류밀도가 높고 용입이 깊어 철 및 비철류의 용접에 적합합니다. 또한 가스 아크이므로 시공이 편리하며, 바람의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풍속 2m/s 이상일 때에는 방풍장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MIG 용접 제어장치의 기능으로 크레이터 처리 기능에 의해 낮아진 전류가 서서히 줄어들면서 아크가 끊어지며 이면 용접부가 녹아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1. 예비 가스 유출시간
  2. 스타트 시간
  3. 크레이터 충전 시간
  4. 버언 백 시간
(정답률: 76%)
  • 버언 백 시간은 용접 부위에서 아크가 끊어지고 나서도 일정 시간 동안 전류를 유지하여 용접부가 녹아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크레이터 처리 기능에 의해 낮아진 전류가 서서히 줄어들면서 아크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버언 백 시간은 용접 부위의 안정성을 높이는 중요한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일반적으로 안전을 표시하는 색채 중 특정행위의 지시 및 사실의 고지 등을 나타내는 색은?

  1. 노란색
  2. 녹색
  3. 파란색
  4. 흰색
(정답률: 76%)
  • 파란색은 일반적으로 안전을 표시하는 색 중에서도 특정행위의 지시 및 사실의 고지 등을 나타내는 색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파란색이 주로 교통표지판에서 사용되며, 운전자들에게 특정한 동작을 취하도록 지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파란색은 물과 연관된 색으로서, 안전과 관련된 분야에서도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산소 프로판 가스 절단에서 프로판 가스 1에 대하여 얼마 비율의 산소를 필요로 하는가?

  1. 8
  2. 6
  3. 4.5
  4. 2.5
(정답률: 76%)
  • 산소 프로판 가스 절단에서는 프로판 가스 1에 대해 4.5 비율의 산소가 필요합니다. 이는 산소와 프로판 가스가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열과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이 반응에 최적의 비율이 1:4.5이기 때문입니다. 이 비율을 벗어나면 연소 효율이 떨어지거나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용접설계에 있어서 일반적인 주의사항 중 틀린 것은?

  1. 용접에 적합한 구조 설계를 할 것
  2. 용접 길이는 될 수 있는 대로 길게 할 것
  3. 결함이 생기기 쉬운 용접 방법은 피할 것
  4. 구조상의 노치부를 피할 것
(정답률: 85%)
  • 용접 길이를 가능한 한 길게 하는 것은 용접 부위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용접 부위는 기존의 부재보다 약해지기 때문에, 용접 길이를 길게 하면 용접 부위의 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 부위의 강도가 중요한 구조물에서는 용접 길이를 최대한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가스용접에서 양호한 용접부를 얻기 위한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모재 표면에 기름, 녹 등을 용접 전에 제거하여 결함을 방지하여야 한다.
  2. 용착 금속의 용입 상태가 불균일해야 한다.
  3. 과열의 흔적이 없어야 하며, 용접부에 첨가된 금속의 성질이 양호해야 한다.
  4. 슬래그, 기공 등의 결함이 없어야 한다.
(정답률: 86%)
  • 용착 금속의 용입 상태가 불균일해야 한다는 것은 오타입니다. 올바른 조건은 "용착 금속의 용입 상태가 균일해야 한다" 입니다. 이유는 용접 시 용착 금속이 균일하게 용입되지 않으면 용접부의 강도와 내구성이 떨어지며,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직류 아크 용접에서 역극성의 특징으로 맞는 것은?

  1. 용입이 깊어 후판 용접에 사용된다.
  2. 박판, 주철, 고탄소강, 합금강 등에 사용된다.
  3. 봉의 녹음이 느리다
  4. 비드 폭이 좁다
(정답률: 67%)
  • 역극성 직류 아크 용접은 양극성보다 열이 집중되어 용접 부위의 열처리가 더욱 효과적이며, 따라서 박판, 주철, 고탄소강, 합금강 등과 같은 높은 인장강도를 요구하는 재료에 사용됩니다. 또한 용입이 깊어 후판 용접에도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직류아크 용접기와 비교한 교류아크 용접기의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

  1. 아크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2. 자기쏠림 현상이 있다
  3. 역률이 매우 양호하다
  4. 무부하 전압이 높다
(정답률: 57%)
  • 교류아크 용접기는 직류아크 용접기와 달리 변압기를 사용하여 고전압, 저전류의 교류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용접을 수행합니다. 이 때, 변압기의 자기쏠림 현상으로 인해 무부하 전압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는 용접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의 전압을 의미하며, 이 값이 높을수록 용접 전류가 흐를 때의 전압도 높아지므로 아크의 안정성이 향상됩니다. 따라서 "무부하 전압이 높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피복 아크 용접봉에서 피복 배합제인 아교는 무슨 역할을 하는가?

  1. 아크 안정제
  2. 합금제
  3. 탈산제
  4. 환원가스 발생제
(정답률: 45%)
  • 아교는 피복 아크 용접봉에서 환원가스 발생제 역할을 합니다. 즉, 용접 시에 아교가 가열되면서 환원가스를 발생시켜 용접 부위를 보호하고 산화를 방지합니다. 이는 용접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온과 산소의 영향으로 인해 용접 부위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접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피복금속 아크 용접봉은 습기의 영향으로 기공 (blow hole) 과 균열 (crack) 의 원인이 된다. 보통 용접봉 (1)과 저수소계 용접봉(2) 의 온도와 건조 시간은? (단, 보통 용접봉은 (1)로, 저수소계 용접봉은 (2)로 나타냈다)

  1. (1) 70~100℃) 30~60분, (2) 100~150℃ 1~2시간
  2. (1) 70~100℃ 2~3시간, (2) 100~150℃ 20~30분
  3. (1) 70~100℃ 30~60분, (2) 300~350℃ 1~2시간
  4. (1) 70~100℃ 2~3시간, (2) 300~350℃ 20~30분
(정답률: 68%)
  • 피복금속 아크 용접봉은 습기로 인해 기공과 균열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용접봉을 건조시켜야 합니다. 보통 용접봉은 저수소계 용접봉보다 덜 건조해도 되므로, 온도와 건조 시간이 다릅니다. 따라서, (1)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와 짧은 건조 시간이 필요하며, (2)는 높은 온도와 긴 건조 시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 70~100℃ 30~60분, (2) 300~350℃ 1~2시간"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가스가공에서 강제 표면의 홈, 탈탄층 등의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 얇게 그리고 타원형 모양으로 표면을 깎아내는 가공법은?

  1. 가스 가우징
  2. 분말 절단
  3. 산소창 절단
  4. 스카핑
(정답률: 80%)
  • 스카핑은 강제 표면의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 얇게 그리고 타원형 모양으로 표면을 깎아내는 가공법입니다. 따라서 스카핑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가스용접에서 가변압식(프랑스식) 팁 (TIP) 의 능력을 나타내는 기준은?

  1. 1 분에 소비하는 산소가스의 양
  2. 1 분에 소비하는 아세틸렌가스의 양
  3. 1 시간에 소비하는 산소가스의 양
  4. 1 시간에 소비하는 아세틸렌가스의 양
(정답률: 69%)
  • 가스용접에서 가변압식(프랑스식) 팁(TIP)은 아세틸렌과 산소를 혼합하여 불을 일으키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가변압식(프랑스식) 팁의 능력을 나타내는 기준은 아세틸렌과 산소의 소비량입니다. 그 중에서도 정답은 "1 시간에 소비하는 아세틸렌가스의 양"입니다. 이는 가스용접에서 아세틸렌가스가 산소보다 더 많이 소비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변압식(프랑스식) 팁의 능력을 나타내는 기준은 아세틸렌가스의 소비량으로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아크 쏠림은 직류아크 용접 중에 아크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말하는데 아크 쏠림 방지법이 아닌 것은?

  1. 접지점을 용접부에서 멀리한다.
  2. 아크 길이를 짧게 유지한다.
  3. 가용접을 한 후 후퇴 용접법으로 용접한다.
  4. 가용접을 한 후 전진법으로 용접한다.
(정답률: 69%)
  • 가용접을 한 후 전진법으로 용접하는 것은 아크 쏠림 방지법이 아닙니다. 이유는 전진법은 용접할 부위에서 아크를 시작하고 용접을 진행하는 방법으로, 아크 쏠림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아니라 용접을 진행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가용접을 한 후 전진법으로 용접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용접기의 가동 핸들로 1차 코일을 상하로 움직여 2차 코일의 간격을 변화시켜 전류를 조정하는 용접기로 맞는 것은?

  1. 가포화 리액터형
  2. 가동코어 리액터형
  3. 가동 코일형
  4. 가동 철심형
(정답률: 67%)
  • 가동 코일형 용접기는 가동 핸들을 이용하여 1차 코일을 상하로 움직여 2차 코일의 간격을 조절하여 전류를 조정합니다. 따라서 가동 코일형 용접기가 문제에서 설명하는 방식과 일치하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프로판 가스가 완전연소 하였을 때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완전 연소하면 이산화탄소로 된다.
  2. 완전 연소하면 이산화탄소와 물이 된다.
  3. 완전 연소하면 일산화탄소와 물이 된다.
  4. 완전 연소하면 수소가 된다.
(정답률: 65%)
  • 프로판 가스는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완전 연소란 연료와 산소가 충분히 혼합되어 모든 연료가 연소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프로판 가스가 완전 연소하면 탄소와 수소가 산소와 결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아세틸렌가스가 산소와 반응하여 완전 연소할 때 생성되는 물질은?

  1. CO, H2O
  2. 2CO2, H2O
  3. CO, H2
  4. CO2, H2
(정답률: 57%)
  • 아세틸렌가스는 C2H2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것이 산소와 완전 연소할 때는 다음과 같은 반응식으로 일어납니다.

    C2H2 + 2.5O2 → 2CO2 + H2O

    이 반응식에서 C2H2과 O2이 반응하여 CO2과 H2O가 생성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CO2, H2O"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용접재료

36. 가스용접 시 사용하는 용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용제의 융점은 모재의 융점보다 낮은 것이 좋다.
  2. 용제는 용융금속의 표면에 떠올라 용착금속의 성질을 양호하게 한다.
  3. 용제는 용접 중에 생기는 금속의 산화물 또는 비금속개재물을 용해하여 용융온도가 높은 슬래그를 만든다.
  4. 연강에는 용제를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48%)
  • 정답은 "연강에는 용제를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입니다.

    용제는 용접 중에 생기는 금속의 산화물 또는 비금속개재물을 용해하여 용융온도가 높은 슬래그를 만들어 용접부의 보호와 용접품질 향상을 도와줍니다. 이는 용접부의 산화를 방지하고, 용접부의 강도와 경도를 향상시키며, 용접부의 모양을 조절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용제의 융점은 모재의 융점보다 낮은 것이 좋습니다. 또한 용제는 용융금속의 표면에 떠올라 용착금속의 성질을 양호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용접법을 융접, 압접, 납땜으로 분류할 때 압접에 해당하는 것은?

  1. 피복아크 용접
  2. 전자 빔 용접
  3. 테르밋 용접
  4. 심 용접
(정답률: 59%)
  • 압접에 해당하는 것은 보기에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심 용접은 용접 부위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발생하는 열로 용접을 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융점 용접에 해당하며, 압접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A 는 병 전체 무게 (빈병 +아세틸렌가스)이고, B는 빈병의 무게이며 , 또한 15'C 1기압에서의 아세틸렌 가스용적을 905 리터라고 할 때, 용해 아세틸렌가스의 양 C (리터)를 계산하는 식은?

  1. C = 905 (B - A)
  2. C = 905 +(B - A)
  3. C = 905 (A - B)
  4. C = 905 + (A - B)
(정답률: 71%)
  • 용해 아세틸렌가스의 양 C는 전체 무게 A에서 빈병의 무게 B를 뺀 값이다. 이때, 용적이 905 리터이므로 C = 905(A - B)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C = 905 (A - 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내용적 40.7 리터의 산소병에 150kgf/㎠의 압력이 게이지에 표시되었다면 산소병에 들어있는 산소량은 몇 리터인가?

  1. 3400
  2. 4055
  3. 5055
  4. 6105
(정답률: 75%)
  • 이 문제는 보일의 법칙을 이용하여 풀 수 있습니다.

    보일의 법칙은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의 부피와 몰수가 비례한다는 법칙입니다.

    즉, P1V1/T1 = P2V2/T2 (단, 온도는 절대온도로 표시)

    이 문제에서는 압력과 부피가 주어졌으므로, 보일의 법칙을 이용하여 산소량을 구할 수 있습니다.

    먼저, 압력을 절대압력으로 변환합니다.

    150kgf/㎠ = 150 × 9.8 N/㎠ = 1470 kPa

    다음으로, 온도는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온도인 0℃를 절대온도로 변환합니다.

    0℃ = 273K

    따라서, P1V1/T1 = P2V2/T2에서

    P1 = 1470 kPa, V1 = 40.7 L, T1 = 273K

    P2 = P1 = 1470 kPa, V2 = ?, T2 = 273K

    로 대입하여 V2를 구합니다.

    1470 × 40.7 / 273 = 218.8 L

    따라서, 산소병에 들어있는 산소량은 218.8 L이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선택할 수 있는 답안이 4개밖에 없으므로, 계산 결과를 반올림하여 가장 근접한 값인 6105를 선택하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저 용융점 합금이 아닌 것은?

  1. 아연과 그 합금
  2. 금과 그 합금
  3. 주석과 그 합금
  4. 납과 그 합금
(정답률: 60%)
  • 금은 용융점이 매우 높은 귀금속으로, 대부분의 합금도 용융점이 높습니다. 따라서 "금과 그 합금"은 용융점이 높은 합금이며, 나머지 보기인 "아연과 그 합금", "주석과 그 합금", "납과 그 합금"은 모두 용융점이 낮은 합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중 알루미늄 합금(alloy) 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실루민(silumin)
  2. Y 합금
  3. 로엑스(Lo - Ex)
  4. 인코넬(inconel)
(정답률: 54%)
  • 인코넬은 니켈, 크롬, 철 등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고온 내식성 합금으로, 알루미늄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알루미늄 합금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철강에서 펄라이트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는 강은?

  1. 경질강
  2. 공석강
  3. 강인강
  4. 고용체강
(정답률: 63%)
  • 펄라이트 조직은 철과 탄소가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는 조직으로, 공석강은 이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Ni - Cu 계 합금에서 60 ~ 70% Ni 합금은?

  1. 모넬메탈(monel - metal)
  2. 어드밴스(advance)
  3. 콘스탄탄(constantan)
  4. 알민(almin)
(정답률: 57%)
  • Ni - Cu 합금에서 60 ~ 70% Ni 합금은 모넬메탈(monel - metal)입니다. 이는 Ni와 Cu의 용해도가 비슷하여 높은 강도와 내식성을 가지며, 열팽창 계수가 작아서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질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모넬메탈은 해양 환경에서의 내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선박 부품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가스 침탄법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침탄온도, 기체혼합비 등의 조절로 균일한 침탄층을 얻을 수 있다.
  2. 열효율이 좋고 온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3.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
  4. 침탄 후 직접 담금질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60%)
  • 가스 침탄법은 기체를 이용하여 금속 표면에 적층시키는 방법으로, 침탄온도, 기체혼합비 등을 조절하여 균일한 침탄층을 얻을 수 있으며, 열효율이 좋고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침탄 후 직접 담금질이 불가능한 이유는, 침탄층이 금속 표면에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담금질 시 침탄층이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침탄 후에는 다른 가공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풀림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결정립을 조대화시켜 내부응력을 상승시킨다.
  2. 가공경화 현상을 해소시킨다.
  3. 경도를 줄이고 조직을 연화시킨다.
  4. 내부응력을 제거한다.
(정답률: 59%)
  • "결정립을 조대화시켜 내부응력을 상승시킨다."는 풀림의 목적이 맞습니다. 풀림은 재료 내부의 응력을 제거하기 위한 과정이 아니라, 오히려 내부응력을 높이기 위한 과정입니다. 따라서 "내부응력을 제거한다."가 풀림의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18-8 스테인리스강의 조직으로 맞는 것은?

  1. 페라이트
  2. 오스테나이트
  3. 펄라이트
  4. 마텐자이트
(정답률: 65%)
  • 18-8 스테인리스강은 크롬과 니켈을 주성분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내식성과 강도가 높아서 주로 식기류나 의료기기 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주철의 편상 흑연 결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마그네슘, 세륨, 칼슘 등을 첨가한 것으로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여 자동차 주물 및 특수 기계의 부품용 재료에 사용되는 것은?

  1. 미하나이트 주철
  2. 구상 흑연 주철
  3. 칠드 주철
  4. 가단 주철
(정답률: 57%)
  • 주철에 마그네슘, 세륨, 칼슘 등을 첨가하여 흑연 결함을 개선한 것은 구상 흑연 주철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구상 흑연 주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특수 주강 중 주로 롤러 등으로 사용되는 것은?

  1. Ni 주강
  2. Ni -Cr 주강
  3. Mn 주강
  4. Mo 주강
(정답률: 44%)
  • 롤러 등의 용도에서는 경도와 내마모성이 중요합니다. Mn 주강은 경도와 내마모성이 높아서 롤러 등의 용도에 적합합니다. 반면에 Ni 주강, Ni-Cr 주강, Mo 주강은 각각 내식성, 내열성, 경도 등의 특성이 뛰어나지만, 롤러 등의 용도에서는 Mn 주강보다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Mn 주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탄소가 0.25% 인 탄소강이 0~500℃의 온도 범위에서 일어나는 기계적 성질의 변화 중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가 되는 성질은?

  1. 항복점
  2. 탄성한계
  3. 탄성계수
  4. 연신율
(정답률: 61%)
  • 탄소강의 탄소 함량이 증가하면 강도는 증가하지만 가공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탄소강의 기계적 성질 중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가되는 성질은 탄소강의 가공성을 나타내는 연신율입니다. 연신율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며, 이는 탄소강의 가공성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연신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용접할 때 예열과 후열이 필요한 재료는?

  1. 15㎜ 이하 연강판
  2. 중탄소강
  3. 18℃일 때 18㎜ 연강판
  4. 순철판
(정답률: 58%)
  • 중탄소강은 탄소 함량이 높아서 용접 시에 재료가 빠르게 냉각되어 파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열과 후열을 통해 재료의 온도를 조절하여 파열을 예방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면에 연강판이나 순철판은 탄소 함량이 낮아서 냉각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예열과 후열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18℃일 때 18㎜ 연강판은 두께가 두꺼워서 냉각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후열이 필요할 수 있지만, 중탄소강보다는 예열과 후열이 덜 필요합니다. 따라서 중탄소강이 예열과 후열이 필요한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제도

51. 단면도의 표시방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단면을 표시할 때에는 해칭 또는 스머징을 한다.
  2. 인접한 단면의 해칭은 선의 방향 또는 각도를 변경하든지 그 간격을 변경하여 구별한다.
  3. 절단했기 때문에 이해를 방해하는 것이나 절단하여도 의미가 없는 것은 원칙적으로 긴 쪽 방향으로는 절단하여 단면도를 표시하지 않는다.
  4. 가스킷 같이 얇은 제품의 단면은 투상선을 한 개의 가는 실선으로 표시한다.
(정답률: 42%)
  • "가스킷 같이 얇은 제품의 단면은 투상선을 한 개의 가는 실선으로 표시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모든 단면은 투상선으로 표시되며, 가스킷 같이 얇은 제품의 경우에는 특히 더 간단하게 표시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2종류 이상의 선이 같은 장소에서 중복될 경우 다음 중 가장 우선적으로 그려야할 선은?

  1. 중심선
  2. 숨은선
  3. 무게 중심선
  4. 치수 보조선
(정답률: 66%)
  • 정답은 "숨은선"입니다.

    숨은선은 다른 선들과 겹쳐서 그려지는 선으로, 보통 실선이나 점선으로 표시됩니다. 이는 그림을 더욱 깔끔하고 알아보기 쉽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중복될 경우에는 숨은선을 가장 우선적으로 그리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다른 선들과 겹쳐서 그려지는 경우에도 그림을 보기 쉽게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중심선은 물체의 중심을 표시하는 선, 무게 중심선은 물체의 무게 중심을 표시하는 선, 치수 보조선은 치수를 표시하는 선입니다. 이러한 선들도 중요하지만, 중복될 경우에는 숨은선을 가장 우선적으로 그리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배관도에 사용된 밸브표시가 올바른 것은?

  1. 밸브 일반 :
  2. 게이트 밸브 :
  3. 나비 밸브 :
  4. 체크 밸브 :
(정답률: 74%)
  • 정답은 "체크 밸브 : "입니다.

    체크 밸브는 유체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밸브로, 유체가 역류하지 않도록 방지합니다. 그림에서 화살표가 한 방향으로만 향하고 있으며, 밸브의 모양도 다른 밸브와 구분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일반 구조용 탄소 강관의 KS 재료 기호는?

  1. SPP
  2. SPS
  3. SKH
  4. STK
(정답률: 59%)
  • 일반 구조용 탄소 강관은 STK 재료 기호를 가집니다. 이는 JIS (일본 산업 규격)에서 정한 강관의 재료 기호 중 하나로, S는 Steel(강철)을 나타내고, T는 Tube(관)을 나타냅니다. K는 일반 구조용 강관을 나타내며, H는 내열강관, C는 일반 용도의 탄소강관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STK는 일반 구조용 탄소 강관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용접 보조기호 중 현장용접을 나타내는 기호는?

(정답률: 79%)
  • 정답은 "" 입니다. 이 기호는 현장에서 용접을 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현장용접"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다른 기호들은 각각 "절연용접", "자동용접", "T자용접"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도면에 리벳의 호칭이 "KS B 1102 보일러용 둥근 머리 리벳 13 × 30 SV 400" 로 표시된 경우 올바른 설명은?

  1. 리벳의 수량 13개
  2. 리벳의 길이 30㎜
  3. 최대 인장강도 400kPa
  4. 리벳의 호칭 지름 30㎜
(정답률: 42%)
  • 리벳의 호칭에 따르면 이 리벳은 "보일러용"이며 "둥근 머리"를 가지고 있으며 "13 × 30" 크기이며 "SV 400" 최대 인장강도를 가지고 있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설명은 "리벳의 길이 30㎜"입니다. "13 × 30"은 리벳의 크기를 나타내며, 여기서 30은 리벳의 길이를 나타냅니다. 호칭 지름이 30㎜이라고 명시되어 있지만, 이는 리벳의 머리 부분의 지름을 나타내는 것이며, 리벳의 길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전개도는 대상물을 구성하는 면을 평면 위에 전개한 그림을 의미하는데, 원기둥이나 각기둥의 전개에 가장 적합한 전개도법은?

  1. 평행선 전개도법
  2. 방사선 전개도법
  3. 삼각형 전개도법
  4. 사각형 전개도법
(정답률: 76%)
  • 원기둥이나 각기둥은 모두 원형이나 사각형을 반복하여 구성된 형태이므로, 평행선 전개도법을 사용하면 각 면을 일직선으로 연결하여 전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방법은 면의 크기와 모양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제작과 조립이 용이하며, 전개도를 보고 대상물의 형태와 크기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기둥이나 각기둥의 전개에 가장 적합한 전개도법은 평행선 전개도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그림과 같은 정면도와 우측면도에 가장 적합한 평면도는?(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3번으로 정답이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2, 3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3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

(정답률: 71%)
  • 정면도와 우측면도를 보면, 물체의 가장 긴 변이 y축과 평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y축과 평행한 평면도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에 해당하는 보기는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그림은 투상법의 기호이다. 몇 각법을 나타내는 기호인가?

  1. 제1각법
  2. 제2각법
  3. 제3각법
  4. 제4각법
(정답률: 78%)
  • 이 그림은 세 개의 직각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직각삼각형에서 빗변과 높이의 비율이 다르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이 그림은 제3각법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기계제도에서 도면에 치수를 기입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길이는 원칙으로 ㎜의 단위로 기입하고, 단위 기호는 붙이지 않는다.
  2. 치수의 자릿수가 많을 경우 세 자리마다 콤마를 붙인다.
  3. 관련 치수는 되도록 한 곳에 모아서 기입한다.
  4. 치수는 되도록 주 투상도에 집중하여 기입한다.
(정답률: 60%)
  • "치수의 자릿수가 많을 경우 세 자리마다 콤마를 붙인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는 큰 숫자를 보다 쉽게 읽고 이해하기 위한 표기 방법 중 하나입니다. 예를 들어, 1000mm을 1,000mm로 표기하면 보다 쉽게 읽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