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용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3-30)

특수용접기능사
(2008-03-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용접일반

1. 가스 절단에서 예열 불꽃이 약할 때 나타나는 현상은?

  1. 드래그가 증가한다.
  2. 절단면이 거칠어진다.
  3. 변두리가 용융되어 둥글게 된다.
  4. 슬래그 중의 철 성분의 박리가 어려워진다.
(정답률: 56%)
  • 가스 절단에서 예열 불꽃이 약할 때는 산소와 연료가 충분히 혼합되지 않아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드래그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절단면이 거칠어지고 변두리가 용융되어 둥글게 된다는 현상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또한 슬래그 중의 철 성분의 박리가 어려워지는 것도 예열 불꽃이 약할 때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산소-아세틸렌 가스용접의 단점이 아닌 것은?

  1. 열효율이 낮다.
  2. 폭발할 위험이 있다.
  3. 가열시간이 오래 걸린다.
  4. 가스불꽃의 조절이 어렵다.
(정답률: 48%)
  • 산소-아세틸렌 가스용접의 단점은 "열효율이 낮다.", "폭발할 위험이 있다.", "가열시간이 오래 걸린다." 입니다. 가스불꽃의 조절이 어렵다는 것은 용접 작업에 있어서 정확한 온도 조절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용접 부위의 온도가 적절하지 않아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용접 부위의 과열로 인해 용접 부위가 손상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용접봉 홀더가 KS 규격으로 200호 일 때 용접기의 정격 전류로 맞는 것은?

  1. 100A
  2. 200A
  3. 400A
  4. 800A
(정답률: 90%)
  • KS 규격으로 200호의 용접봉 홀더는 최대 200A의 전류를 견딜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기의 정격 전류가 200A일 때 이 용접봉 홀더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직류 아크용접에서 정극성의 특징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비드 폭이 넓다.
  2. 주로 박판용접에 쓰인다.
  3. 모재의 용입이 깊다.
  4. 용접봉의 녹음이 빠르다.
(정답률: 85%)
  • 직류 아크용접에서 정극성은 모재와 용접봉의 전극 극성이 같은 경우를 말합니다. 이 때 모재의 용입이 깊다는 것은 용접봉과 모재 사이의 전류가 모재의 깊은 부분까지 흐르기 때문에 용접이 깊게 침투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모재의 용입이 깊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고장력강용 피복아크 용접봉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장강도가 50kgf/㎟ 이상이다.
  2. 재료 취급 및 가공이 어렵다.
  3. 동일한 강도에서 판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4. 소요 강재의 중량을 경감시킨다.
(정답률: 52%)
  • "재료 취급 및 가공이 어렵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고장력강용 피복아크 용접봉은 다른 재료와 마찬가지로 가공이 가능하며, 취급도 어렵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항목은 제외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아크 전류가 일정할 때 아크 전압이 높아지면 용접봉의 용융속도가 늦어지고 아크 전압이 낮아지면 용융속도가 빨라지는 특성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부저항 특성
  2. 절연회복 특성
  3. 전압회복 특성
  4. 아크 길이 자기제어 특성
(정답률: 71%)
  • 아크 전압이 높아지면 아크 길이가 길어지고, 아크 전압이 낮아지면 아크 길이가 짧아지는 특성을 아크 길이 자기제어 특성이라고 합니다. 이는 용접봉의 용융속도와 직결되어, 아크 전압이 높아지면 용접봉이 녹는 속도가 느려지고, 아크 전압이 낮아지면 용접봉이 녹는 속도가 빨라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아크 길이 자기제어 특성은 용접 작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TIG 절단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알루미늄, 마그네슘, 구리와 구리합금, 스테인리스강 등 비철금속의 절단에 이용된다.
  2. 절단면이 매끈하고 열효율이 좋으며 능률이 대단히 높다.
  3. 전원은 직류 역극성을 사용한다.
  4. 아크 냉각용 가스에는 아르곤과 수소의 혼합가스를 사용한다.
(정답률: 56%)
  • "전원은 직류 역극성을 사용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TIG 절단에서는 보통 교류 역극성을 사용합니다. 이는 절단면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교류 역극성을 사용하면 아크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열이 균일하게 분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가스 용접에서 전진법과 후진법의 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열 이용률이 좋다.
  2. 용접속도가 빠르다.
  3. 용접 변형이 작다.
  4. 산화정도가 심하다.
(정답률: 79%)
  • 가스 용접에서 전진법과 후진법은 용접 속도와 용접 변형의 정도가 다릅니다. 전진법은 용접 속도가 빠르고 용접 변형이 작지만, 후진법은 용접 속도가 느리고 용접 변형이 큽니다. 따라서, "산화정도가 심하다"는 것은 전진법과 후진법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이며, 이는 용접 시 산화물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용접 속도가 빠르거나 느리더라도 발생하는 문제이므로, 가스 용접 시 적극적인 산화 방지 대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피복 아크 용접에서 용접봉의 용융속도와 관련이 가장 큰 것은?

  1. 아크 전압
  2. 용접봉 지름
  3. 용접기의 종류
  4. 용접봉 쪽 전압강하
(정답률: 64%)
  • 용접봉 쪽 전압강하가 용접봉의 용융속도와 가장 관련이 큰 이유는, 용접봉 쪽 전압강하가 증가하면 용접 아크의 전류가 증가하게 되어 용접봉의 표면 온도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용접봉의 용융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접봉 쪽 전압강하는 용접봉의 용융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가스 용접봉 선택의 조건의 들지 않는 것은?

  1. 모재와 같은 재질일 것.
  2.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것.
  3. 용융 온도가 모재보다 낮을 것.
  4. 기계적 성질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을 것.
(정답률: 75%)
  • 용접봉은 모재와 함께 용융되어 결합되는데, 용융 온도가 모재보다 낮으면 용접봉이 모재에 충분히 용융되지 않아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융 온도는 모재보다 높거나 비슷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기계적 접합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볼트이음
  2. 리벳이음
  3. 코터이음
  4. 스터드 용접
(정답률: 83%)
  • 스터드 용접은 기계적 접합법이 아닙니다. 스터드 용접은 용접 방법 중 하나로, 두 개의 금속 부품을 스터드(나사)로 연결한 후 용접하여 접합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스터드 용접은 기계적 접합법이 아닌 용접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산소 용기의 취급상 주의할 점이 아닌 것은?

  1. 운반 중에 충격을 주지 말 것.
  2. 그늘진 곳을 피하여 직사광선이 드는 곳에 둘 것
  3. 산소 누설시험에는 비눗물을 사용할 것.
  4. 밸브의 개폐는 천천히 할 것.
(정답률: 92%)
  • "그늘진 곳을 피하여 직사광선이 드는 곳에 둘 것"은 산소 용기가 높은 온도에 노출되면 폭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직사광선이 드는 곳은 일반적으로 더 높은 온도를 유발하므로, 그늘진 곳에 두는 것이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교류 아크 용접기에 비해 직류 아크 용접기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구조가 간단하다.
  2. 아크 안전성이 떨어진다.
  3. 감전의 위험이 많다.
  4. 극성의 변화가 가능하다.
(정답률: 47%)
  • 직류 아크 용접기는 교류 아크 용접기보다 구조가 간단하며, 감전의 위험이 적습니다. 또한 극성의 변화가 가능한 이유는 직류 아크 용접기는 전류의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극의 위치를 바꾸어 극성을 바꿀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아크 용접에서 피복제의 역할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용착금속의 급냉 방지
  2. 용착금속의 탈산정련작용.
  3. 전기 절연작용
  4. 스패터의 다량 생성 작용
(정답률: 82%)
  • 아크 용접에서 피복제는 용착금속의 급냉 방지, 용착금속의 탈산정련 작용, 전기 절연 작용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그러나 스패터의 다량 생성 작용은 피복제의 역할로서 옳지 않습니다. 스패터란 용접 시 용착금속이 용융 상태에서 떨어져 나가는 불순물로, 용접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패터는 용접 부위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작업 환경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를 일으킵니다. 따라서 피복제는 스패터의 생성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산소는 대기 중의 공기 속에 약 몇 % 함유되어 있는가?

  1. 11%
  2. 21%
  3. 31%
  4. 41%
(정답률: 64%)
  • 공기는 주로 질소, 산소, 아르곤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에서 산소는 대기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그 비율은 약 21%입니다. 이는 지구 상의 생명체들이 호흡을 하기 위해 필요한 산소의 양을 충분히 공급하기 위한 수준으로, 인간이 호흡을 할 때에도 이 비율의 공기를 마시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산소 프로판 가스 용접시 산소:프로판 가스의 혼합비는?

  1. 1:1
  2. 2:1
  3. 2.5:1
  4. 4.5:1
(정답률: 64%)
  • 산소 프로판 가스 용접시에는 산소와 프로판이 혼합되어 사용됩니다. 이때 산소는 연소를 위한 산소공급을, 프로판은 연소를 위한 연료공급을 담당합니다. 이 두 가스의 혼합비는 연소에 필요한 산소와 연료의 양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산소:프로판 가스의 혼합비는 4.5:1 정도가 적절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산소 4.5 부분에 프로판 1 부분이 들어간다는 의미입니다. 이 비율을 유지하면서 용접을 진행하면 안전하고 효율적인 용접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가스 가우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용접부의 결함, 가접의 제거, 홈가공 등에 사용된다.
  2. 스카핑에 비하여 나비가 큰 홈을 가공한다.
  3. 팁은 슬로우 다이버전트로 설계되어 있다.
  4. 가우징 진행 중 팁은 모재에 닿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58%)
  • "스카핑에 비하여 나비가 큰 홈을 가공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가스 가우징은 스카핑과 마찬가지로 결함 및 가접 제거를 위해 사용되는 공구입니다. 그러나 가스 가우징은 스카핑보다는 작은 홈을 가공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가스 가우징의 팁이 슬로우 다이버전트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 팁은 모재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주조, 단조, 압연 및 용접 후에 생긴 잔류 응력을 제거할 목적으로 보통 500~600℃ 정도에서 가열하여 서냉시키는 열처리는?

  1. 담금질
  2. 질화 불림
  3. 저온뜨임
  4. 응력제거풀림
(정답률: 55%)
  • 정답은 "응력제거풀림"입니다.

    주조, 단조, 압연 및 용접 후에는 잔류 응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잔류 응력은 부품의 변형, 균열, 파손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제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보통 500~600℃ 정도에서 가열하여 서냉시키는 열처리를 수행합니다. 이 과정에서 잔류 응력이 완화되어 부품의 안정성이 향상되는데, 이를 "응력제거풀림"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알루미늄의 전기전도율은 구리의 약 몇 % 정도인가?

  1. 5
  2. 65
  3. 90
  4. 135
(정답률: 62%)
  • 알루미늄의 전기전도율은 구리의 약 65% 정도이다. 이는 알루미늄과 구리 모두 금속이지만, 구리는 전자의 이동이 자유롭고 전자의 수가 많아 전기전도율이 높기 때문이다. 반면 알루미늄은 전자의 이동이 구리보다 제한적이며 전자의 수도 적기 때문에 전기전도율이 낮다. 따라서 구리의 전기전도율이 100%라면, 알루미늄의 전기전도율은 그보다 낮은 65% 정도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KS규격의 SM45C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인장강도가 45㎏f/㎟의 용접 구조용 탄소강재
  2. Cr을 42~48% 함유한 특수 강재
  3. 인장강도 40~45㎏f/㎟의 압연 강재
  4. 화학성분에서 탄소 함유량이 0.42~0.48%인 기계 구조물 탄소 강재
(정답률: 43%)
  • SM45C는 기계 구조물용 탄소 강재로, 화학성분에서 탄소 함유량이 0.42~0.48%인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강도와 경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며, 기계적인 성질을 개선시키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SM45C는 기계 부품, 자동차 부품, 기계 구조물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 향상을 위해 첨가하는 가장 효과적인 원소는?

  1. Zn
  2. Sn
  3. Cr
  4. Mg
(정답률: 52%)
  • 정답은 "Cr"입니다. 스테인리스강은 크롬(Cr)을 첨가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킵니다. 크롬은 공기 중 산화되지 않으며,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에 산화막을 형성하여 내식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크롬은 스테인리스강의 강도와 경도를 높이는데도 기여합니다. 따라서,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가장 효과적인 원소는 크롬(C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주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철로써는 강도가 부족할 경우에 사용된다.
  2. 용접에 의한 보수가 용이하다.
  3. 단조품이나 압연품에 비하여 방향성이 없다.
  4. 주철에 비하여 용융점이 낮다.
(정답률: 57%)
  • 주강은 주철에 비하여 용융점이 높습니다. 이유는 주강은 탄소 함량이 낮아 주철보다 더 많은 열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강은 주철보다 용융점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주강에 대한 설명 중 "주철에 비하여 용융점이 낮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화학적인 표면 경화법이 아닌 것은?

  1. 고체 침탄법
  2. 가스 침탄법
  3. 고주파 경화법
  4. 질화법
(정답률: 55%)
  • 고주파 경화법은 화학적인 반응 없이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고분자를 경화시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화학적인 표면 경화법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철(Fe)의 재결정온도는?

  1. 180~200℃
  2. 200~250℃
  3. 350~450℃
  4. 800~900℃
(정답률: 55%)
  • 철(Fe)은 강한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재결정이 어렵습니다. 그러나, 철(Fe)의 재결정온도는 350~450℃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철(Fe)의 결정구조가 이 온도에서 변화하여 재결정이 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철(Fe)를 재결정하기 위해서는 이 온도 범위 내에서 열처리를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아연을 약 40% 첨가한 황동으로 고온가공 하여 상온에서 완성하며, 열교환기, 열간 단조품, 탄피 등에 사용되고 탈 아연 부식을 일으키기 쉬운 것은?

  1. 알브락
  2. 니켈황동
  3. 문츠메탈
  4. 애드미럴티황동
(정답률: 64%)
  • 문츠메탈은 아연을 약 40% 첨가하여 만들어진 황동으로, 고온가공 후 상온에서 완성됩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열교환기, 열간 단조품, 탄피 등에 사용됩니다. 그러나 아연이 첨가된 만큼 탈 아연 부식을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문츠메탈이 탈 아연 부식을 일으키기 쉬운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주로 전자기 재료로 사용되는 Ni-Fe 합금에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슈퍼인바
  2. 엘린바
  3. 스텔라이트
  4. 퍼멀로이
(정답률: 39%)
  • Ni-Fe 합금은 자기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전자기 재료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스텔라이트는 Ni, Cr, Mo, W 등의 합금으로 이루어져 있어 전자기적인 특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Ni-Fe 합금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주철을 고온으로 가열했다가 냉각하는 과정을 반복하면 부피가 팽창하여 변형이나 균열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청열취성
  2. 적열취성
  3. 고온시효
  4. 성장
(정답률: 45%)
  • 주철을 고온으로 가열하면 주철 내부의 결정 구조가 변화하여 결정의 크기가 커지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성장이라고 합니다. 이후 냉각하면 결정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는데, 이때 주철의 부피가 팽창하여 변형이나 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고온시효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성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중탄소강(0.3~0.5%C)의 용접시 탄소함유량의 증가에 따라 저온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적당한 예열이 필요하다. 다음 중 가장 적당한 예열온도는?

  1. 100~200℃
  2. 400~450℃
  3. 500~600℃
  4. 800℃ 이상
(정답률: 28%)
  • 중탄소강은 탄소 함유량이 높아 용접시 저온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적당한 예열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너무 높은 예열 온도는 강의 경도를 떨어뜨리고 용접부의 인성을 감소시키므로 적절한 예열 온도를 선택해야 합니다. 중탄소강의 경우, 100~200℃ 정도의 예열 온도가 적당합니다. 이유는 이 온도 범위에서는 용접부의 인성을 유지하면서도 충분한 예열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400~450℃ 이상의 높은 예열 온도는 강의 경도를 떨어뜨리고 용접부의 인성을 감소시키므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500~600℃ 이상의 더 높은 예열 온도는 강의 구조 변화를 일으키고 용접부의 인성을 떨어뜨리므로 더욱 적절하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800℃ 이상의 매우 높은 예열 온도는 강의 구조 변화를 일으키고 용접부의 인성을 심각하게 감소시키므로 전혀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탄산가스 아크 용접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아코스 아크법
  2. 테르밋 용접법
  3. 유니언 아크법
  4. 퓨즈 아크법
(정답률: 66%)
  • 테르밋 용접법은 화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금속을 용접하는 방법으로, 탄산가스 아크 용접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다른 세 가지 방법은 모두 탄산가스 아크 용접의 종류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용착 금속이나 모재의 파면에서 결정의 파면이 은백색으로 빛나는 파면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연성파면
  2. 취성파면
  3. 인성파면
  4. 결정파면
(정답률: 42%)
  • 정답: 취성파면

    취성파면은 용착 금속이나 모재의 파면에서 결정의 파면이 은백색으로 빛나는 파면을 말합니다. 이는 파면이 취성을 띄기 때문에 취성파면이라고 부릅니다. 취성은 결정의 표면에 존재하는 미세한 입자로, 파면이 취성을 띄면 빛을 반사하여 은백색으로 빛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용접변형 교정법 중 외력만으로써 소성변형을 일어나게 하는 것은?

  1. 박판에 대한 점 수축법
  2. 형재에 대한 직선 수축법
  3. 피닝법
  4. 가열 후 해머링하는 법
(정답률: 55%)
  • 피닝법은 용접 부위에 외력을 가해 소성변형을 유도하여 교정하는 방법입니다. 다른 세 가지 방법은 모두 수축을 이용하여 교정하는 방법이지만, 피닝법은 외력만으로 교정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다른 방법과 구분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피닝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MIG용접의 기본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1. 피복 아크 용접에 비해 용착효율이 높다.
  2. CO2용접에 비해 스패터 발생이 적다.
  3. 아크가 안정되므로 박판 용접에 적합하다.
  4. TIG용접에 비해 전류밀도가 높다.
(정답률: 59%)
  • MIG용접은 용착효율이 높고 스패터 발생이 적은 것은 맞지만, 아크가 안정되므로 박판 용접에 적합하다는 것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MIG용접은 전류밀도가 낮아서 박판 용접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크가 안정되므로 박판 용접에 적합하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헤드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용제 호퍼
  2. 와이어 송급장치
  3. 불활성가스 공급장치
  4. 제어장치 콘택트 팁
(정답률: 41%)
  •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헤드는 용제 호퍼, 와이어 송급장치, 제어장치 콘택트 팁 등으로 구성되지만, 불활성가스 공급장치는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헤드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는 불활성가스 공급장치가 용접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불활성가스 공급장치는 용접 시 사용되는 보조 장비 중 하나로, 용접 부위를 보호하고 용접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이산화탄소 아크용접시 후판의 아크전압 산출 공식은?

  1. Vо = 0.04×I+20±2.0
  2. Vо = 0.05×I+30±3.0
  3. Vо = 0.06×I+40±4.0
  4. Vо = 0.07×I+50±5.0
(정답률: 47%)
  • 이산화탄소 아크용접시 후판의 아크전압은 전류에 비례한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밝혀졌기 때문에, 전류 I에 대한 일차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상수항은 아크전압이 0일 때의 값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일차함수의 기울기와 상수항이 가장 적절한 것을 선택해야 한다.

    주어진 보기 중에서 기울기가 0.04인 것이 가장 적절하다. 이는 전류가 1A일 때 아크전압이 20.04V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수항의 오차범위가 가장 작은 것도 선택의 기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Vо = 0.04×I+20±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전기용접을 할 때 전격의 위험이 가장 높은 경우는?

  1. 용접 중 접지가 불량할 때
  2. 용접부가 두꺼울 때
  3. 용접봉이 굵고 전류가 높을 때
  4. 용접부가 불규칙할 때
(정답률: 71%)
  • 용접 중 접지가 불량할 때 전기회로가 닫히지 않아 전기가 누전되어 전격의 위험이 가장 높아집니다. 따라서 접지가 중요한데, 접지가 불량하면 전기가 지나가는 길이 늘어나 전기저항이 증가하게 되어 전기가 누전되는 위험이 크게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용접재료

36. 불활성 가스(inert gas)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Ar(아르곤)
  2. CO(일산화탄소)
  3. Ne(네온)
  4. He(헬륨)
(정답률: 62%)
  • CO(일산화탄소)는 불활성 가스가 아닌 이유는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CO는 산화제로 작용하여 다른 물질과 반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O는 불활성 가스가 아닌 활성 가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전기저항 용접법의 특징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작업속도가 빠르고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2. 산화 및 변질부분이 적다.
  3. 열손실이 많고, 용접부에 집중열을 가할 수 없다.
  4. 용접봉, 용재 등이 불필요하다.
(정답률: 63%)
  • 전기저항 용접법은 작업속도가 빠르고 대량생산에 적합하며, 산화 및 변질부분이 적습니다. 하지만 열손실이 많고, 용접부에 집중열을 가할 수 없다는 것은 용접부의 품질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확한 용접을 위해서는 다른 용접법을 사용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납땜에서 경납용 용제가 아닌 것은?

  1. 붕사
  2. 붕산
  3. 염산
  4. 알카리
(정답률: 58%)
  • 염산은 경납용 용제가 아닙니다. 경납용 용제는 붕사, 붕산, 알카리입니다. 염산은 금속을 부식시키는 강한 산으로, 납땜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용접 전의 작업준비 사항이 아닌 것은?

  1. 용접 재료
  2. 용접사
  3. 용접봉의 선택
  4. 후열과 풀림
(정답률: 86%)
  • 후열과 풀림은 용접 후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용접 전의 작업준비 사항이 아닙니다. 후열은 용접 후에 재료가 냉각되면서 발생하는 열팽창으로 인해 변형이 발생하는 현상이고, 풀림은 용접 후에 재료가 충격이나 응력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후열과 풀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용접부의 연성과 안전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시험 방법은?

  1. 굴곡시험
  2. 인장시험
  3. 충격시험
  4. 경도시험
(정답률: 43%)
  • 굴곡시험은 용접부의 연성과 안전성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험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용접부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고 그에 따라 굴곡하면서 용접부의 변형 정도를 측정하여 용접부의 연성과 안전성을 판단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용접부의 굴곡에 따른 변형 정도가 적으면 용접부의 연성과 안전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용접 이음부 중에서 냉각 속도가 가장 빠른 이음은?

(정답률: 63%)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이음부의 두 부분이 모두 두께가 얇고, 냉각 속도가 빠른 물질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비해 다른 이음부들은 두께가 두껍거나 냉각 속도가 느린 물질로 만들어져 있어 냉각 속도가 더 느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용접부의 내부 결함으로서 슬래그 섞임을 방지하는 것은?

  1. 전층의 슬래그는 제거하지 않고 용접한다.
  2. 슬래그가 앞지르지 않도록 운봉속도를 유지 한다.
  3. 용접전류를 낮게 한다.
  4. 루트 간격을 최대한 좁게 한다.
(정답률: 73%)
  • 슬래그는 용접 부위를 보호하고 산화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슬래그가 용접 부위를 덮어버리면 용접 부위와 용접봉 사이에 공기가 차단되어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운봉속도를 유지하여 슬래그가 용접 부위를 앞지르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TIG용접에서 가스노즐의 크기는 가스분출 구멍의 크기로 정해지며 보통 몇 ㎜의 크기가 주로 사용되는가?

  1. 1~3
  2. 4~13
  3. 14~20
  4. 21~27
(정답률: 56%)
  • TIG용접에서 가스노즐은 가스를 분출시켜 아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가스노즐의 크기는 가스분출 구멍의 크기로 정해지며, 이 크기는 용접 작업에 따라 다르게 선택됩니다. 일반적으로 TIG용접에서는 4~13mm의 가스노즐이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대부분의 용접 작업에 적합한 크기로, 작업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범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1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전기용접기의 취급관리에 대한 안전사항으로서 잘못된 것은?

  1. 용접기는 항상 건조한 곳에 설치 후 작업한다.
  2. 용접전류는 용접봉 심선의 굵기에 따라 적정 전류를 정한다.
  3. 용접 전류 조정은 용접을 진행하면서 조정한다.
  4. 용접기는 통풍이 잘되고 그늘진 곳에 설치를 하고 습기가 없어야 한다.
(정답률: 78%)
  • 답: "용접 전류 조정은 용접을 진행하면서 조정한다."이 잘못된 것이다. 용접 전류는 용접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적정 전류로 조정해야 한다. 용접을 진행하면서 전류를 조정하면 용접봉이 녹아버리거나 용접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용접을 크게 분류할 때 압접에 해당 되는 않는 것은?

  1. 저항 용접
  2. 초음파용접
  3. 마찰용접
  4. 전자빔용접
(정답률: 48%)
  • 전자빔용접은 압력을 가하지 않고 전자빔을 이용하여 용접을 수행하는 방법이므로 압접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자빔용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플러그 용접에서 전단강도는 구멍의 면적당 전용착금속 인장강도의 몇 % 정도로 하는가?

  1. 20~30
  2. 40~50
  3. 60~70
  4. 80~90
(정답률: 42%)
  • 플러그 용접에서 전단강도는 구멍의 면적당 전용착금속 인장강도의 약 60~70% 정도로 설정됩니다. 이는 용착부의 전단응력이 인장응력보다 작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용착금속의 인장강도가 높을수록 전단강도도 높아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열적 핀치효과와 자기적 핀치 효과를 이용하는 용접은?

  1. 초음파 용접
  2. 고주파 용접
  3. 레이저 용접
  4. 플라즈마 아크용접
(정답률: 62%)
  • 열적 핀치효과와 자기적 핀치 효과는 높은 온도와 압력을 이용하여 금속을 용접하는 방법입니다. 이 중에서 플라즈마 아크용접은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금속을 용접하는 방법으로, 플라즈마는 고온과 고압으로 이루어진 가스 상태로서, 이를 이용하여 금속을 녹이고 용접합니다. 따라서 열적 핀치효과와 자기적 핀치 효과를 모두 이용하여 용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높은 용접 품질과 속도를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안전모의 사용시 머리 상부와 안전모 내부의 상단과의 간격은 얼마로 유지하면 좋은가?

  1. 10 ㎜ 이상
  2. 15 ㎜ 이상
  3. 20 ㎜ 이상
  4. 25 ㎜ 이상
(정답률: 38%)
  • 안전모를 착용할 때 머리와 안전모 내부의 상단과의 간격은 25mm 이상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이는 안전모가 충격을 흡수하고 보호하는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간격이 너무 작다면 안전모가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머리에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모를 착용할 때는 반드시 25m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용접 결함에서 치수상 결함에 속하는 것은?

  1. 기공
  2. 언더컷
  3. 변형
  4. 균열
(정답률: 79%)
  • 용접 과정에서 금속재료가 가열되어 녹아붙이는 과정에서 금속의 구조가 변형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형은 용접 부위의 치수가 원래의 설계치와 다르게 변형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치수상 결함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변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가스 용접에서 붕사 75%에 염화나트륨 25%가 혼합된 용제는 어떤 금속용접에 적합한가?

  1. 연강
  2. 주철
  3. 알루미늄
  4. 구리합금
(정답률: 33%)
  • 가스 용접에서 붕사 75%에 염화나트륨 25%가 혼합된 용제는 구리합금 용접에 적합합니다. 이는 구리합금이 용접 시에 산화되기 쉬우며, 염화나트륨이 산화를 방지하고 용접 부위를 청소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구리합금은 열전도성과 전기전도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가스 용접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제도

51. 단면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단면부분의 주된 중심선에 대해 45°(도) 경사지게 나타내는 선들을 의미하는 것은?

  1. 호핑
  2. 해칭
  3. 코킹
  4. 스머징
(정답률: 72%)
  • 해칭은 단면을 45° 경사로 나타내는 선들을 그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단면의 형태와 크기를 명확하게 보여주기 때문에 기계 부품 제작 등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인 호핑, 코킹, 스머징은 모두 기계 가공 기술 용어이지만, 단면을 나타내는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배관의 간략 도시방법에서 파이프의 영구 결합부(용접 또는 다른 공법에 의한다) 상태를 나타내는 것은?

(정답률: 79%)
  • 파이프의 영구 결합부 상태를 나타내는 것은 "" 입니다. 이는 용접을 통해 파이프가 영구적으로 결합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은 플랜지를 통해 파이프가 결합되었음을 나타내며, ""는 씰링을 통해 파이프가 결합되었음을 나타냅니다. ""는 파이프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강판을 다른 그림과 같이 용접할 때의 KS 용접 기호는?

(정답률: 70%)
  • 강판을 용접할 때, KS 용접 기호에서 ""은 플레이트 간의 수직 용접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이 경우, 강판이 수직으로 용접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수평 용접, T자 용접, 각도 용접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기계제도에서 호의 길이를 표시하는 치수 기입법은?

(정답률: 69%)
  • ""은 호의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 기입법 중 하나인 호도법(Ho-dob)입니다. 이 기입법은 호의 길이를 호의 중심각과 반지름의 길이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호의 중심각을 각도 기호로, 반지름의 길이를 숫자로 표시합니다. 이렇게 표시된 치수는 호의 길이를 직접적으로 나타내므로, 호의 길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기계제도에서 선의 굵기가 가는 실선이 아닌 것은?

  1. 치수선
  2. 해칭선
  3. 지시선
  4. 특수지정선
(정답률: 62%)
  • 특수지정선은 부가적인 정보를 나타내는 선으로, 선의 굵기와 종류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는 실선이 아닌 경우도 많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특수지정선 중 하나인 점선은 절단면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점선과 긴 실선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절단면이 위치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보기와 같은 입체도를 화살표 방향을 정면으로 하는 제3각법으로 제도한 정투상도는?

(정답률: 69%)
  • 입체도를 화살표 방향을 정면으로 하는 제3각법으로 제도한 정투상도에서는 뒷면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보기 중에서 뒷면이 없는 "" 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특수부분의 도형이 작은 까닭으로 그 부분의 상세한 도시나 치수기입을 할 수 없을 때 그 부분을 에워싸고 영문자의 대문자로 표시하고, 그 부분을 확대하여 다른 장소에 그리는 투상도의 명칭은?

  1. 부분 투상도
  2. 보조 투상도
  3. 부분 확대도
  4. 국부 투상도
(정답률: 53%)
  • 특수부분의 도형이 작아서 상세한 도시나 치수를 기입할 수 없을 때, 그 부분을 에워싸고 영문자의 대문자로 표시하는 것은 부분 확대도의 특징이다. 또한, 그 부분을 확대하여 다른 장소에 그리는 것도 부분 확대도의 명칭이다. 따라서 "부분 확대도"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보기의 도면에서 리벳의 개수는?

  1. 12개
  2. 13개
  3. 25개
  4. 100개
(정답률: 70%)
  • 도면에서 세로 방향으로 4개의 리벳이 있고, 가로 방향으로 3개의 리벳이 있습니다. 따라서 총 4 x 3 = 12개의 리벳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앙에 위치한 4개의 리벳은 상하좌우로 각각 두 개의 판자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중복으로 계산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중앙에 위치한 4개의 리벳을 중복 제거하여 총 12 - 4 = 8개의 리벳이 추가로 필요합니다. 따라서 총 리벳의 개수는 12 + 8 = 13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보기 입체도의 화살표 방향이 정면일 경우 좌측면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56%)
  • 정면에서 보았을 때, 화살표가 왼쪽으로 향하고 있으므로 좌측면도에서는 화살표가 오른쪽으로 향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보기와 같은 원통을 경사지게 절단한 제품을 제작할 때, 다음 중 어떤 전개법이 가장 적합한가?

  1. 혼합형법
  2. 평행선법
  3. 삼각형법
  4. 방사선법
(정답률: 74%)
  • 이 문제에서는 원기둥을 경사지게 절단하여 제품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때, 제품의 모양은 원기둥의 절단면과 같으며, 이는 평행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평행선법이 가장 적합한 전개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