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용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7-19)

특수용접기능사
(2015-07-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용접일반

1. CO2용접에서 발생되는 일산화탄소와 산소 등의 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탈산제는?

  1. Mn
  2. Ni
  3. W
  4. Cu
(정답률: 77%)
  • CO2용접에서 발생되는 일산화탄소와 산소 등의 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탈산제는 "Mn"입니다. 이는 망간이 산화제로 작용하여 일산화탄소와 산소를 산화시키고, 이산화탄소와 망간산화물로 변환시키기 때문입니다. 반면, "Ni", "W", "Cu"는 탈산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용접부의 균열 발생의 원인 중 틀린 것은?

  1. 이음의 강성이 큰 경우
  2. 부적당한 용접 봉 사용시
  3. 용접부의 서냉
  4. 용접전류 및 속도 과대
(정답률: 74%)
  • 용접부의 서냉은 균열 발생의 원인이 아닙니다. 용접부의 서냉은 용접 후 냉각이 빠르게 일어나서 용접부 주변의 금속이 신축성을 잃어 파손되는 현상입니다. 이는 용접부의 강성을 감소시키지만 균열 발생의 원인은 아닙니다. 균열 발생의 원인은 이음의 강성이 큰 경우, 부적당한 용접 봉 사용시, 용접전류 및 속도 과대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플라즈마 아크용접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용접속도가 빠르다.
  2. 1층으로 용접할 수 있으므로 능률적이다.
  3. 무부하 전압이 높다.
  4. 각종 재료의 용접이 가능하다.
(정답률: 70%)
  • 플라즈마 아크용접의 장점 중 무부하 전압이 높다는 것은 장점이 아닙니다. 이는 오히려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무부하 전압이 높다는 것은 용접기의 전압이 높아서 용접기에 부하가 걸리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용접기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장점이 있지만, 용접시에는 전류가 불안정해져 용접결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플라즈마 아크용접의 장점은 용접속도가 빠르고 1층으로 용접할 수 있어 능률적이며, 각종 재료의 용접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MIG 용접 시 와이어 송급방식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풀(pull)방식
  2. 푸시(push)방식
  3. 푸시언더(push-under)방식
  4. 푸시풀(push-pull)방식
(정답률: 89%)
  • MIG 용접 시 와이어 송급방식에는 풀(pull)방식, 푸시(push)방식, 푸시풀(push-pull)방식이 있습니다. 그러나 푸시언더(push-under)방식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푸시언더(push-under)방식은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용접 이음부 중에서 냉각속도가 가장 빠른 이음은?

  1. 맞대기 이음
  2. 변두리 이음
  3. 모서리 이음
  4. 필릿 이음
(정답률: 64%)
  • 필릿 이음은 용접 부위가 좁아서 냉각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가장 빠른 이음입니다. 다른 이음들은 용접 부위가 넓어서 냉각속도가 느리거나 불균일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CO2용접시 저전류 영역에서의 가스유량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5~10 ℓ/min
  2. 10~15 ℓ/min
  3. 15~20 ℓ/min
  4. 20~25 ℓ/min
(정답률: 74%)
  • CO2 용접시에는 적정한 가스 유량이 필요합니다. 저전류 영역에서는 10~15 ℓ/min의 가스 유량이 가장 적당합니다. 이유는 이 범위에서는 충분한 가스 공급이 가능하면서도 과도한 가스 유량으로 인한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범위에서는 용접 부위 주변의 대기가 충분히 밀폐되어 용접 부위에서 필요한 보호 기체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비소모성 전극봉을 사용하는 용접법은?

  1. MIG 용접
  2. TIG 용접
  3. 피복아크 용접
  4. 서브머지드 아크용접
(정답률: 73%)
  • 비소모성 전극봉은 용접 과정에서 전극봉이 소모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전극봉을 사용하는 용접법 중 TIG 용접은 텅스텐 전극을 사용하고, 전극과 용접재 사이에 아르곤 가스를 이용하여 보호막을 형성합니다. 이로 인해 용접 부위가 공기와 접촉하지 않아 산화나 부식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TIG 용접은 용접 부위의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며, 용접 부위가 깨끗하고 정교하게 용접됩니다. 따라서 비소모성 전극봉을 사용하는 용접법 중 TIG 용접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용접부 비파괴 검사법인 초음파 탐상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투과법
  2. 펄스 반사법
  3. 형광 탐상법
  4. 공진법
(정답률: 73%)
  • 형광 탐상법은 초음파 탐상법이 아니라, 광학적인 방법으로 불량 부위를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형광 탐상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공기보다 약간 무거우며 무색, 무미, 무취의 독성이 없는 불활성가스로 용접부의 보호 능력이 우수한 가스는?

  1. 아르곤
  2. 질소
  3. 산소
  4. 수소
(정답률: 79%)
  • 아르곤은 공기보다 약간 무거우며 무색, 무미, 무취의 독성이 없는 불활성가스로, 용접부의 보호 능력이 우수합니다. 이에 비해 질소, 산소, 수소는 각각 색이 있거나 냄새가 있거나 화학적으로 반응하기 쉬우므로 용접부 보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르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예열 방법 중 국부 예열의 가열 범위는 용접선 양쪽에 몇 mm 정도로 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가?

  1. 0 ~ 50 mm
  2. 50 ~ 100 mm
  3. 100 ~ 150 mm
  4. 150 ~ 200 mm
(정답률: 63%)
  • 국부 예열은 용접선 양쪽에 일정한 범위 내에서 가열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 범위가 너무 작으면 용접선 주변 영역만 가열되어 용접부위가 충분히 녹아내지 않을 수 있고, 너무 넓으면 가열에 필요한 에너지가 낭비되어 효율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국부 예열의 가열 범위는 50 ~ 100 mm 정도가 적합합니다. 이 범위는 용접선 주변 영역을 충분히 가열하여 용접부위가 충분히 녹아내지도록 하면서도,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범위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인장강도가 750 MPa인 용접 구조물의 안전율은? (단, 허용응력은 250MPa이다.)

  1. 3
  2. 5
  3. 8
  4. 12
(정답률: 74%)
  • 안전율 = 허용응력 / 인장강도 = 250 MPa / 750 MPa = 1/3 = 0.33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용접부의 결함은 치수상 결함, 구조상 결함, 성질상 결함으로 구분된다. 구조상 결함들로만 구성된 것은?

  1. 기공, 변형, 치수불량
  2. 기공, 용입불량, 용접균열
  3. 언더컷, 연성부족, 표면결함
  4. 표면결함, 내식성 불량, 융합불량
(정답률: 72%)
  • 구조상 결함은 부재의 구조적인 결함으로, 기계적인 강도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공, 용입불량, 용접균열은 모두 부재의 구조적 결함으로 분류된다. 기공은 부재 내부에 공기나 다른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는 결함으로, 강도나 내구성을 감소시킨다. 용입불량은 용접 과정에서 용접재가 충분히 융해되지 않아 용접부에 구멍이 생긴 결함으로, 강도나 내구성을 감소시킨다. 용접균열은 용접부에서 열팽창으로 인해 생긴 균열로, 강도나 내구성을 감소시키며 용접부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공, 용입불량, 용접균열은 모두 구조상 결함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연납땜(Sn+Pb)의 최저 용융 온도는 몇 ℃인가?

  1. 327 ℃
  2. 250 ℃
  3. 232 ℃
  4. 183 ℃
(정답률: 50%)
  • 연납땜은 주로 전자제품 등에서 사용되는 땜재로, 주성분인 주석(Sn)과 납(Pb)의 합금입니다. 이 합금의 최저 용융 온도는 183 ℃입니다. 이는 주로 납의 용융 온도가 327 ℃이고, 주석의 용융 온도가 232 ℃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두 금속이 합쳐진 연납땜의 용융 온도는 두 금속의 용융 온도 중 낮은 값인 183 ℃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레이저 용접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루비 레이저와 가스 레이저의 두 종류가 있다.
  2. 광선이 용접의 열원이다.
  3. 열 영향 범위가 넓다.
  4. 가스 레이저로는 주로 CO2가스 레이저가 사용된다.
(정답률: 74%)
  • 열 영향 범위가 넓다는 것은 주변 재료에도 열이 전달되어 변형이나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레이저 용접 시에 정확한 조절이 필요하며, 특히 민감한 부품이나 재료의 경우에는 사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용접부의 연성 결함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시험은?

  1. 인장시험
  2. 경도시험
  3. 피로시험
  4. 굽힘시험
(정답률: 72%)
  • 용접부의 연성 결함은 용접부의 굽힘성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용접부의 연성 결함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굽힘시험이 가장 적합합니다. 굽힘시험은 용접부에 일정한 하중을 가하고 굽힘을 가해 용접부의 굽힘성능을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이를 통해 용접부의 연성 결함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인장시험은 용접부의 인장강도를 측정하는 시험, 경도시험은 용접부의 경도를 측정하는 시험, 피로시험은 용접부의 피로특성을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용융 슬래그와 용융금속이 용접부로부터 유출되지 않게 모재의 양측에 수랭식 동판을 대어 용융 슬래그 속에서 전극 와이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주로 용융 슬래그의 저항열로 와이어와 모재 용접부를 용융시키는 것으로 연속 주조형식의 단층용접법은?

  1.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
  2. 논 가스 아크용접
  3. 그래비트 용접
  4. 테르밋 용접
(정답률: 77%)
  •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은 용융 슬래그와 용융금속을 이용하여 용접하는 방식으로, 모재 양측에 수랭식 동판을 대어 전극 와이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용융 슬래그의 저항열로 와이어와 모재 용접부를 용융시키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연속 주조형식의 단층용접법으로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맴돌이 전류를 이용하여 용접부를 비파괴 검사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자분 탐상 검사
  2. 와류 탐상 검사
  3. 침투 탐상 검사
  4. 초음파 탐상 검사
(정답률: 67%)
  • 와류 탐상 검사는 맴돌이 전류를 이용하여 용접부의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맴돌이 전류를 흘려보내면 용접부에서 결함이 있는 부분은 전류의 흐름이 방해되어 전류 밀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이 때, 결함 부분 주변에서는 자기장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를 센서로 감지하여 결함을 검출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용접이 이루어졌는지를 비파괴적으로 검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화재 및 폭발의 방지 조치로 틀린 것은?

  1. 대기 중에 가연성 가스를 방출시키지 말 것
  2. 필요한 곳에 화재 진화를 위한 방화설비를 설치할 것
  3. 배관에서 가연성 증기의 누출 여부를 철저히 점검할 것
  4. 용접작업 부근에 점화원을 둘 것
(정답률: 88%)
  • 용접작업 부근에 점화원을 둘 경우, 화재 및 폭발의 위험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올바른 방지 조치가 아닙니다. 점화원을 두면 불이 붙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점화원과 가까운 곳에서는 화기안전을 위해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연납땜의 용제가 아닌 것은?

  1. 붕산
  2. 염화아연
  3. 인산
  4. 염화암모늄
(정답률: 64%)
  • 연납땜의 용제는 주로 인산, 염화아연, 염화암모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붕산은 연납땜에 사용되지 않는 화학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점용접에서 용접점이 앵글재와 같이 용접위치가 나쁠 때, 보통 팁으로는 용접이 어려운 경우에 사용하는 전극의 종류는?

  1. P형 팁
  2. E형 팁
  3. R형 팁
  4. F형 팁
(정답률: 53%)
  • 점용접에서 용접점이 앵글재와 같이 용접위치가 나쁠 때, 용접이 어려워지는 이유는 전극과 용접부위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서 전류가 원활하게 흐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때 사용하는 전극은 전극의 끝이 뾰족한 E형 팁입니다. E형 팁은 뾰족한 끝으로 좁은 간격에서도 전류를 원활하게 흐르게 하여 용접이 용이하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E형 팁이 용접이 어려운 경우에 사용되는 전극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용접작업의 경비를 절감시키기 위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용접봉의 적절한 선정
  2. 용접사의 작업 능률의 향상
  3. 용접지그를 사용하여 위보기 자세의 시공
  4. 고정구를 사용하여 능률 향상
(정답률: 82%)
  • 용접지그를 사용하여 위보기 자세의 시공은 경비를 절감시키기 위한 유의사항이 아닙니다. 용접지그는 작업물을 고정시켜 정확한 위치와 각도로 용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표준 홈 용접에 있어 한쪽에서 용접으로 완전 용입을 얻고자 할 때 V형 홈이음의 판 두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 ~ 10 mm
  2. 5 ~ 15 mm
  3. 20 ~ 30 mm
  4. 35 ~ 50 mm
(정답률: 62%)
  • V형 홈이음은 두 판의 각도가 45도인 V자 모양으로 절단한 후 용접하는 방법입니다. 이 때, 판 두께가 너무 얇으면 용접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고, 판 두께가 너무 두껍다면 용접 시간이 길어져 비용이 증가하고 용접 품질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표준 홈 용접에서 V형 홈이음의 판 두께로 가장 적합한 것은 5 ~ 15 mm입니다. 이 범위 내에서는 용접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며, 비용과 품질 면에서도 적절한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프로판(C3H8)의 성질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상온에서 기체 상태이다.
  2. 쉽게 기화하며 발열량이 높다.
  3. 액화하기 쉽고 용기에 넣어 수송이 편리하다.
  4. 온도변화에 따른 팽창률이 작다.
(정답률: 66%)
  • 정답은 "온도변화에 따른 팽창률이 작다."입니다.

    프로판은 상온에서 기체 상태이며, 쉽게 기화하며 발열량이 높습니다. 또한 액화하기 쉽고 용기에 넣어 수송이 편리합니다. 하지만 온도변화에 따른 팽창률이 작은 이유는 분자 구조상 탄소 원자와 수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는데, 이 결합은 굉장히 강하고 안정적입니다. 따라서 온도가 변화해도 분자의 크기가 크게 변하지 않아 팽창률이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용접기의 특성에 있어 수하특성의 역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열량의 증가
  2. 아크의 안정
  3. 아크전압의 상승
  4. 개로전압의 증가
(정답률: 68%)
  • 용접기에서 수하특성은 아크의 안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수하특성이 안정적이지 않으면 아크가 불안정해져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하특성은 용접의 품질과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용접기의 사용률이 40% 일 때, 아크 발생 시간과 휴식시간의 합이 10분이면 아크 발생 시간은?

  1. 2분
  2. 4분
  3. 6분
  4. 8분
(정답률: 83%)
  • 용접기의 사용률이 40%이므로 실제로 아크가 발생하는 시간은 10분 중 40%인 4분입니다. 따라서 아크 발생 시간은 4분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가스 용접에서 용제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재료표면의 산화물을 제거한다.
  2. 용융금속의 산화·질화를 감소하게 한다.
  3. 청정작용으로 용착을 돕는다.
  4. 용접봉 심선의 유해성분을 제거한다.
(정답률: 54%)
  • 가스 용접에서 용제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용접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화물, 산화, 질화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용접 부위를 청정하고 용접을 돕는 것입니다. 따라서 "용접봉 심선의 유해성분을 제거한다."는 적합한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교류 아크 용접기 종류 중 코일의 감긴 수에 따라 전류를 조정하는 것은?

  1. 탭전환형
  2. 가동철심형
  3. 가동코일형
  4. 가포화 리액터형
(정답률: 47%)
  • 탭전환형 교류 아크 용접기는 코일에 감긴 수에 따라 전류를 조정하는데, 이는 코일에 감긴 수에 따라 전압이 변화하면서 전류가 조절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전압 변화는 탭을 전환하여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탭전환형 교류 아크 용접기는 코일의 감긴 수에 따라 전류를 조절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피복아크 용접에서 아크 쏠림 방지대책이 아닌 것은?

  1. 접지점을 될 수 있는 대로 용접부에서 멀리 할 것
  2. 용접봉 끝을 아크쏠림 방향으로 기울일 것
  3. 접지점 2개를 연결할 것
  4. 직류용접으로 하지 말고 교류용접으로 할 것
(정답률: 75%)
  • 용접봉 끝을 아크쏠림 방향으로 기울이면 용접부에서 아크가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용접시 아크가 용접부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용접 품질을 향상시키고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외의 보기들은 모두 아크 쏠림 방지를 위한 대책이며, 용접봉 끝을 기울이는 것은 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피복제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스패터의 발생을 많게 한다.
  2. 중성 또는 환원성 분위기를 만들어 질화, 산화 등의 해를 방지한다.
  3. 용착금속의 탈산 정련 작용을 한다.
  4. 아크를 안정하게 한다.
(정답률: 85%)
  • 중성 또는 환원성 분위기를 만들어 질화, 산화 등의 해를 방지하는 것이 피복제의 역할이지만, 스패터의 발생을 많게 하는 것은 피복제의 역할이 아닙니다. 스패터는 용접 시 용접물에서 떨어져 나오는 불순물이나 금속 조각 등이 용접 아크에 의해 녹아 분사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피복제는 스패터의 발생을 줄이는 역할을 하지만, 스패터의 발생을 많게 하는 역할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용접봉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움직여 비드를 형성하는 것을 운봉법이라 하는데, 위빙비드 운봉 폭은 심선지름의 몇 배가 적당한가?

  1. 0.5 ~ 1.5배
  2. 2 ~ 3배
  3. 4 ~ 5배
  4. 6 ~ 7배
(정답률: 83%)
  • 위빙비드 운봉 폭은 심선지름의 2~3배가 적당합니다. 이는 운봉 폭이 너무 좁으면 용접재료가 충분히 융해되지 않아 용접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운봉 폭이 너무 넓으면 용접재료가 너무 많이 융해져서 용접부위가 부풀어 오르거나 용접재료가 낭비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심선지름의 2~3배가 적당한 운봉 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수중절단 작업시 절단 산소의 압력은 공기 중에서의 몇 배 정도로 하는가?

  1. 1.5 ~ 2배
  2. 3 ~ 4배
  3. 5 ~ 6배
  4. 8 ~ 10배
(정답률: 55%)
  • 수중에서의 절단 작업은 수압이 높은 환경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기 중에서의 압력보다 높은 압력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수중에서의 압력은 1바(기압)당 10m 정도 상승하므로, 10m 이하의 깊이에서는 1.5 ~ 2배 정도의 압력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1.5 ~ 2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산소병의 내용적이 40.7 리터인 용기에 압력이 100 kgf/㎠로 충전되어 있다면 프랑스식 팁 100번을 사용하여 표준불꽃으로 약 몇 시간까지 용접이 가능한가?

  1. 16시간
  2. 22시간
  3. 31시간
  4. 41시간
(정답률: 69%)
  • 산소병의 용량과 압력을 이용하여 산소의 양을 계산하고, 이를 용접에 필요한 산소 소비량과 비교하여 용접 가능한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먼저, 산소병의 용량과 압력을 이용하여 산소의 양을 계산한다. 산소병의 용량은 40.7 리터이고, 압력은 100 kgf/㎠이므로 다음과 같이 산소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산소의 양 = 산소병의 용량 × 압력 × 0.1
    = 40.7 × 100 × 0.1
    = 407 리터

    다음으로, 용접에 필요한 산소 소비량을 계산한다. 이 문제에서는 프랑스식 팁 100번을 사용하여 표준불꽃으로 용접한다고 하였으므로, 이에 필요한 산소 소비량을 참고하여 계산한다. 프랑스식 팁 100번을 사용하여 표준불꽃으로 용접할 때, 1분당 산소 소비량은 약 0.2 ~ 0.3 리터이다. 따라서, 1시간당 산소 소비량은 약 12 ~ 18 리터이다.

    산소의 양과 용접에 필요한 산소 소비량을 비교하여 용접 가능한 시간을 계산한다. 산소의 양은 407 리터이고, 1시간당 산소 소비량은 약 12 ~ 18 리터이므로, 다음과 같이 용접 가능한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용접 가능한 시간 = 산소의 양 ÷ 1시간당 산소 소비량
    = 407 ÷ 12
    ≈ 34 시간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용접 가능한 시간이 41시간이라고 주어졌다. 이는 산소의 양과 용접에 필요한 산소 소비량을 계산할 때, 프랑스식 팁 100번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더 적은 산소 소비량을 가지는 용접 방법을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프랑스식 팁 100번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용접 방법을 사용한다고 가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가스용접 토치 취급상 주의 사항이 아닌 것은?

  1. 토치를 망치나 갈고리 대용으로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2. 점화되어있는 토치를 아무 곳에나 함부로 방치하지 않는다.
  3. 팁 및 토치를 작업장 바닥이나 흙 속에 함부로 방치하지 않는다.
  4. 작업 중 역류나 역화 발생시 산소의 압력을 높여서 예방한다.
(정답률: 91%)
  • 작업 중 역류나 역화 발생시 산소의 압력을 높여서 예방하는 것은 올바른 취급상 주의 사항입니다. 이는 역류나 역화가 발생하면 산소가 토치 내부로 흐르면서 불꽃이 토치 밖으로 튀어나와 화재나 폭발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산소의 압력을 높여서 역류나 역화를 예방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토치의 안전한 취급을 위한 주의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용접기의 특성 중 부하전류가 증가하면 단자전압이 저하되는 특성은?

  1. 수하 특성
  2. 동전류 특성
  3. 정전압 특성
  4. 상승 특성
(정답률: 73%)
  • 부하전류가 증가하면 용접기의 내부 저항이 증가하게 되어 단자전압이 저하됩니다. 이러한 특성을 수하 특성이라고 합니다. 이는 전류가 흐르는 동안 전압이 저하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부하전류가 증가하면 용접기의 단자전압이 감소하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가스 절단시 예열 불꽃이 강할 때 생기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드래그가 증가한다.
  2. 절단면이 거칠어진다.
  3. 모서리가 용융되어 둥글게 된다.
  4. 슬래그 중의 철 성분의 박리가 어려워진다.
(정답률: 56%)
  • 드래그가 증가한다는 것은 가스 절단 시 예열 불꽃이 강할 때 생기는 현상이 아닙니다. 예열 불꽃이 강할수록 절단면이 더욱 부드러워지고, 모서리가 더욱 둥글어지며, 슬래그 중의 철 성분의 박리가 어려워집니다. 하지만 드래그는 절단 시 발생하는 슬래그의 흐름이 절단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예열 불꽃이 강할수록 드래그가 증가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용접재료

36. 보기와 같이 연강용 피복아크 용접봉을 표시하였다. 설명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E : 전기 용접봉
  2. 43 : 용착 금속의 최저 인장강도
  3. 16 : 피복제의 계통 표시
  4. E4316 : 일미나이트계
(정답률: 84%)
  • 보기에서 틀린 것은 "43 : 용착 금속의 최저 인장강도"이다. "43"은 용착 금속의 최소 항복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E4316"은 일미나이트계 피복아크 용접봉을 나타내며, "E"는 전기 용접봉을 의미하고, "16"은 피복제의 계통 표시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가스 절단에서 고속 분출을 얻는데 가장 적합한 다이버전트 노즐은 보통의 팁에 비하여 산소소비량이 같을 때 절단 속도를 몇 % 정도 증가시킬 수 있는가?

  1. 5 ~ 10 %
  2. 10 ~ 15 %
  3. 20 ~ 25 %
  4. 30 ~ 35 %
(정답률: 53%)
  • 다이버전트 노즐은 가스의 유속을 증가시켜 고속 분출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는 절단 속도를 증가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일반적인 팁과 비교하여 산소소비량이 같을 때, 다이버전트 노즐은 20 ~ 25 % 정도의 절단 속도 증가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는 다이버전트 노즐이 가스 유속을 증가시켜 더 많은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직류아크 용접에서 정극성(DCSP)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용접봉의 녹음이 느리다.
  2. 용입이 얕다.
  3. 비드 폭이 넓다.
  4. 모재를 음극(-)에 용접봉을 양극(+)에 연결한다.
(정답률: 66%)
  • - 직류아크 용접에서 정극성(DCSP)은 용접봉의 양극이 (+)이고 모재의 음극이 (-)인 용접 방식을 말한다. 이 때, 양극이 (+)인 쪽에서 발생하는 열이 모재로 향하면서 용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방식은 모재를 녹이는 데에 더 효과적이다.

    - 따라서, "용접봉의 녹음이 느리다."는 정답이다. 양극이 (+)인 쪽에서 발생하는 열이 모재로 향하면서 용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용접봉의 녹음이 느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게이지용 강이 갖추어야 할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HRC 55 이하의 경도를 가져야 한다.
  2. 팽창계수가 보통 강보다 작아야 한다.
  3.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치수변화가 없어야 한다.
  4. 담금질에 의하여 변형이나 담금질 균열이 없어야 한다.
(정답률: 66%)
  • "HRC 55 이하의 경도를 가져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게이지는 경도가 높을수록 내구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HRC 60 이상의 경도를 갖추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알루미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중이 2.7로 낮다.
  2. 용융점은 1067℃ 이다.
  3. 전기 및 열전도율이 우수하다.
  4. 고강도 합금으로 두랄루민이 있다.
(정답률: 72%)
  • 용융점이 1067℃인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알루미늄은 전기 및 열전도율이 우수하며, 비중이 2.7로 낮고, 고강도 합금으로 두랄루민이 있다는 것도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강의 표면 경화 방법 중 화학적 방법이 아닌 것은?

  1. 침탄법
  2. 질화법
  3. 침탄 질화법
  4. 화염 경화법
(정답률: 72%)
  • 화염 경화법은 열을 이용하여 강의 표면을 경화시키는 물리적인 방법입니다. 따라서 화학적인 반응을 이용하는 침탄법, 질화법, 침탄 질화법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황동 합금 중에서 강도는 낮으나 전연성이 좋고 금색에 가까워 모조금이나 판 및 선에 사용되는 합금은?

  1. 톰백(tombac)
  2. 7-3 황동(cartridge brass)
  3. 6-4 황동(muntz metal)
  4. 주석 황동(tin brass)
(정답률: 66%)
  • 톰백은 황동과 아연의 합금으로, 강도는 낮지만 전연성이 좋고 금색에 가깝기 때문에 모조금이나 판 및 선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비중이 가장 작은 것은?

  1. 청동
  2. 주철
  3. 탄소강
  4. 알루미늄
(정답률: 70%)
  • 알루미늄은 다른 보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밀도가 작아 비중이 가장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냉간가공 후 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항복강도가 감소한다.
  2. 인장강도가 감소한다.
  3. 경도가 감소한다.
  4. 연신율이 감소한다.
(정답률: 56%)
  • 정답: 연신율이 감소한다.

    설명: 냉간가공은 재료를 압력으로 성형하는 과정으로, 이로 인해 결정 구조가 조밀해지고 결함이 줄어들어 강도는 증가하지만, 동시에 재료의 연신율은 감소한다. 이는 결정 구조가 조밀해지면서 재료 내부에서 미세한 결함이 사라지고 결정 구조가 더욱 균일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재료가 더 이상 신축되지 않고 더 이상 늘어나지 않게 되어 연신율이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금속간 화합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유도가 5인 상태의 물질이다.
  2. 금속과 비금속사이의 혼합 물질이다.
  3. 금속이 공기 중의 산소와 화합하여 부식이 일어난 물질이다.
  4. 두 가지 이상의 금속 원소가 간단한 원자비로 결합되어 있으며, 원래 원소와는 전혀 다른 성질을 갖는 물질이다.
(정답률: 69%)
  • 금속간 화합물은 두 가지 이상의 금속 원소가 간단한 원자비로 결합되어 있으며, 원래 원소와는 전혀 다른 성질을 갖는 물질입니다. 이는 금속 원소들이 전자를 공유하거나 양전하를 띄어 전자를 주고 받는 등의 방식으로 결합하여 새로운 물질을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금속간 화합물은 금속의 물성과는 다른 물성을 가지며, 예를 들어 전기전도성, 열전도성, 인성 등의 물성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물과 얼음의 상태도에서 자유도가 “0(zero)”일 경우 몇 개의 상이 공존 하는가?

  1. 0
  2. 1
  3. 2
  4. 3
(정답률: 47%)
  • 물과 얼음의 상태도에서 자유도가 "0(zero)"일 경우, 물과 얼음은 고체 상태로 공존하게 됩니다. 따라서 상이 공존하는 개수는 물과 얼음, 그리고 물과 얼음이 혼합된 고체 세 가지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변태 초소성의 조건과 원칙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재료에 변태가 있어야 한다.
  2. 변태 진행 중에 작은 하중에도 변태 초소성이 된다.
  3. 감도지수(m)의 값은 거의 0(zerom)의 값을 갖는다.
  4. 한 번의 열사이클로 상당한 초소성 변형이 발생한다.
(정답률: 48%)
  • "감도지수(m)의 값은 거의 0(zerom)의 값을 갖는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변태 초소성의 감도지수(m)는 변형에 대한 민감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값이 작을수록 민감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감도지수(m)의 값이 0에 가까울수록 변태 초소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Mg-희토류계 합금에서 희토류원소를 첨가할 때 미시메탈(Micsh-metal)의 형태로 첨가한다. 미시메탈에서 세륨(Ce)을 제외한 합금 원소를 첨가한 합금의 명칭은?

  1. 탈타뮴
  2. 디디뮴
  3. 오스뮴
  4. 갈바늄
(정답률: 49%)
  • 미시메탈은 세륨(Ce)을 비롯한 희토류원소와 철(Fe) 등의 금속원소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Mg-희토류계 합금에 첨가하여 강도와 내식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미시메탈에서 세륨(Ce)을 제외한 합금 원소를 첨가한 합금의 명칭은 "디디뮴"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인장 시험에서 변형량을 원표점 거리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한 것은?

  1. 연신율
  2. 항복점
  3. 인장 강도
  4. 단면 수축률
(정답률: 65%)
  • 연신율은 재료가 인장하면서 원래 길이에 비해 얼마나 늘어나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따라서 변형량을 원표점 거리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하는 것이 연신율입니다. 항복점은 재료가 일정한 변형률을 초과하면 영구적인 변형이 발생하는 지점을 말하며, 인장 강도는 재료가 인장하면서 얼마나 많은 하중을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단면 수축률은 재료가 인장하면서 단면적이 얼마나 감소하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강에 인(P)이 많이 함유되면 나타나는 결함은?

  1. 적열메짐
  2. 연화메짐
  3. 저온메짐
  4. 고온메짐
(정답률: 54%)
  • 강에 인이 많이 함유되면 나타나는 결함은 저온메짐입니다. 이는 인이 강철 내부에서 고체 용해되어 결정화되면서 발생하는 결함으로, 저온에서 발생하며 강도와 인성을 감소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제도

51. 화살표가 가리키는 용접부의 반대쪽 이음의 위치로 옳은 것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70%)
  • 정답은 "B"입니다.

    화살표가 가리키는 용접부는 T자형 용접부입니다. 이 때, T자형 용접부에서는 수직으로 용접된 부분이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따라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용접부의 반대쪽 이음은 수직으로 용접된 부분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어야 합니다. 이를 고려하면, 정답은 "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재료기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SS 400은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이다.
  2. SS 400의 400은 최고 인장 강도를 의미한다.
  3. SM 45C는 기계 구조용 탄소 강재이다.
  4. SM 45C의 45C는 탄소 함유량을 의미한다.
(정답률: 68%)
  • 정답: SS 400의 400은 최고 인장 강도를 의미한다.

    설명: SS 400의 400은 최소 인장 강도를 의미하며, 최고 인장 강도는 아닙니다. 최고 인장 강도는 SS 490이나 SS 540 등 다른 등급의 강재에서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보기 입체도의 화살표 방향이 정면일 때 평면도로 적합한 것은?

(정답률: 77%)
  • 보기에서 ""이 적합한 이유는 입체도의 화살표가 정면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평면도에서도 정면을 향하도록 그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입체도의 화살표가 측면이나 위쪽을 향하고 있어서 평면도에서 그리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보조 투상도의 설명으로 가장 적함한 것은?

  1. 물체의 경사면을 실제 모양으로 나타낸 것
  2. 특수한 부분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것
  3. 물체를 가상해서 나타낸 것
  4. 물체를 90° 회전시켜서 나타낸 것
(정답률: 41%)
  • 보조 투상도는 물체의 경사면을 실제 모양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이는 물체의 실제 모양과 크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다른 보조 투상도들은 특정 부분만 나타내거나 가상으로 나타내는 등 불완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용접부의 보조기호에서 제거 가능한 이면 판재를 사용하는 경우의 표시 기호는?

(정답률: 81%)
  • 제거 가능한 이면 판재를 사용하는 경우의 표시 기호는 "" 입니다. 이유는 이 기호가 "용접부의 보조기호 중 제거 가능한 이면 판재를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ISO 2553 표준에 정의된 기호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용접 부위나 상황을 나타내는 기호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그림과 같이 상하면의 절단된 경사각이 서로 다른 원통의 전개도 형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60%)
  • 절단면의 경사각이 서로 다른 원통의 전개도 형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원통의 전개도 형상은 원통의 모양을 평면으로 펼친 것입니다.
    2. 따라서, 원통의 전개도 형상에서 상하면의 경사각은 원통의 높이와 관련이 있습니다.
    3. ""는 상단이 더 넓고 하단이 더 좁아지는 모양으로, 상하면의 경사각이 서로 다른 원통의 높이와 일치합니다.
    4. 반면, "", "", ""은 상하면의 경사각이 일정하지 않아 원통의 높이와 일치하지 않습니다.
    5. 따라서, 상하면의 경사각이 서로 다른 원통의 전개도 형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기계나 장치 등의 실체를 보고 프리핸드(freehand)로 그린 도면은?

  1. 배치도
  2. 기초도
  3. 조립도
  4. 스케치도
(정답률: 85%)
  • 스케치도는 기계나 장치 등의 실체를 보고 직접 그린 도면으로, 프리핸드로 그려진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배치도, 기초도, 조립도는 특정한 규칙과 체계에 따라 그려진 도면이지만, 스케치도는 그림자나 세부적인 부분까지 표현되어 있지 않아서 자유롭게 그려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도면에서 2종류 이상의 선이 겹쳤을 때, 우선하는 순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숨은선>절단선>중심선
  2. 중심선>숨은선>절단선
  3. 절단선>중심선>숨은선
  4. 무게 중심선>숨은선>절단선
(정답률: 61%)
  • 정답은 "숨은선>절단선>중심선"입니다.

    숨은선은 실제로 존재하지만 도면상에서는 표시하지 않는 선으로, 다른 선들과 겹쳐 있어도 우선순위가 가장 높습니다. 이는 숨은선이 실제 제품의 모양을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절단선은 도면상에서 물체를 자르는 위치를 나타내는 선으로, 숨은선 다음으로 우선순위가 높습니다. 절단선이 없으면 물체의 형태와 크기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중심선은 물체의 중심축을 나타내는 선으로, 가장 마지막에 우선순위가 있습니다. 중심선은 물체의 대칭성과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물체의 형태와 크기를 결정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관용 테이퍼 나사 중 평행 암나사를 표시하는 기호는? (단, ISO 표준에 있는 기호로 한다.)

  1. G
  2. R
  3. Rc
  4. Rp
(정답률: 45%)
  • 정답은 "Rp"입니다.

    ISO 표준에서 "R"은 내부 나사를 나타내는 기호이고, "G"는 외부 나사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Rc"는 내부원통테이퍼 나사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따라서, 평행 암나사는 내부 나사이므로 "R"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리고 "Rp"는 내부평행테이퍼 나사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R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현의 치수 기입 방법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68%)
  • 현의 치수 기입 방법은 ""이 옳은 방법입니다. 이유는 현의 치수를 측정할 때는 현의 길이, 높이, 두께를 각각 측정하여 기입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은 이러한 치수를 모두 표기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