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7-12)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2009-07-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재료 및 요소

1. 6:4 황동에 주석을 0.75% ~ 1% 정도 첨가하여 판, 봉 등으로 가공되어 용접봉, 파이프, 선박용 기계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애드미럴티 황동
  2. 네이벌 황동
  3. 델타 메탈
  4. 듀라나 메달
(정답률: 62%)
  • 네이벌 황동은 해양 환경에서의 내식성과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선박용 기계 등 해양 산업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황동에 주석을 첨가하여 만든 제품들 중에서 선박용 기계에 주로 사용되는 것이 네이벌 황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표준 평기어의 잇수가 48개, 모듈이 4일 때 피치원 지름은 몇 mm인가?

  1. 12
  2. 100
  3. 162
  4. 192
(정답률: 65%)
  • 피치원 지름은 모듈 × 잇수입니다. 따라서, 피치원 지름은 4 × 48 = 192m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전단력 1000kgf가 작용하는 볼트를 설계시 허용 볼트 최소 호칭지름은?(단, 미터 보통 나사로 허용 전단응력 6kgf/mm2 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M10
  2. M12
  3. M16
  4. M20
(정답률: 52%)
  • 전단응력은 전단력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전단응력 = 전단력 / (π/4 x d^2) 이 됩니다. 여기서 d는 볼트의 호칭지름입니다.

    주어진 문제에서 전단응력은 6kgf/mm^2 이고, 전단력은 1000kgf입니다. 이를 대입하여 계산하면, 6 = 1000 / (π/4 x d^2) 이 됩니다. 이를 정리하면, d^2 = 1000 / (6 x π/4) 이므로, d = 15.9mm 입니다.

    주어진 보기 중에서 호칭지름이 15.9mm 이상인 것은 M16입니다. 따라서, 허용 볼트 최소 호칭지름은 M1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플라스틱 재료 중 연신율이 가장 큰 재료는?

  1. 페놀수지(일반용)
  2. 나일론
  3. 에폭시 수지
  4. 폴리에스테르(유리섬유)
(정답률: 49%)
  • 나일론은 고강도, 고연신성, 내마모성 등의 우수한 물성을 가지고 있어, 플라스틱 재료 중에서 연신율이 가장 큰 재료입니다. 또한 내열성, 내구성, 내부식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호칭번호가 6204인 구름 베어링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6은 형식 번호이다.
  2. 2는 계열 번호이다.
  3. 0은 틈새 기호이다.
  4. 04는 안지름 번호이다.
(정답률: 79%)
  • 정답은 "04는 안지름 번호이다."입니다.

    호칭번호는 베어링의 크기와 유형을 식별하는 번호 체계입니다.

    - 6은 형식 번호로, 베어링의 유형을 나타냅니다.
    - 2는 계열 번호로, 베어링의 크기와 용량을 나타냅니다.
    - 0은 틈새 기호로, 베어링의 내부 구조와 특성을 나타냅니다.
    - 04는 안지름 번호로, 베어링의 안지름 크기를 나타냅니다.

    틈새 기호 0은 표준화 기구에서 베어링의 내부 구조와 특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기호입니다. 따라서 0은 틈새 기호이며, 베어링의 크기나 유형을 나타내는 번호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원뿔 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축보 보스의 편심이 적다.
  2. 마찰력만으로 밀착시킬는 키이다.
  3. 축의 어느 위치에나 설치할 수 있다.
  4. 축에는 키 홈을 파고 보스에는 키 홈을 파지 않는다.
(정답률: 51%)
  • "축에는 키 홈을 파고 보스에는 키 홈을 파지 않는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원뿔 키는 축과 보스 사이의 각도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보스에 키 홈을 파면 축과 보스가 정확히 맞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축에는 키 홈을 파고 보스에는 키 홈을 파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침탄법과 질화법의 비교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경도가 침탄법이 질화법보다 낮다.
  2. 침탄법은 침탄 후 열처리가 필요하나 질화법은 필요 없다.
  3. 침탄 후는 수정이 불가능하나 질화 후 수정이 가능하다.
  4. 질화층은 여리나 침탄층은 여리지 않다.
(정답률: 50%)
  • 침탄법과 질화법은 모두 금속의 표면 경도를 높이는 열처리 방법이지만, 침탄법은 금속 표면에 탄소를 침투시켜 경도를 높이는 반면, 질화법은 질소를 침투시켜 경도를 높입니다. 따라서, 침탄 후에는 이미 탄소가 금속 내부로 침투하여 수정이 불가능하지만, 질화 후에는 질소가 금속 표면에 존재하기 때문에 수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침탄 후는 수정이 불가능하나 질화 후 수정이 가능하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주철의 기계적 성질 중 강도가 보통 550 ~ 1080 MPa 정도로 인장강도가 3~5배에 달하는 것은?

  1. 압축 강도
  2. 굽힘 강도
  3. 전단 강도
  4. 충격 강도
(정답률: 52%)
  • 압축 강도는 주철의 기계적 성질 중 강도가 높은 이유는, 압축 강도는 인장강도보다 높기 때문입니다. 주철은 압축력에 강하고 인장력에는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압축 강도가 높은 것입니다. 따라서, 주철의 기계적 성질 중 강도가 보통 550 ~ 1080 MPa 정도로 인장강도가 3~5배에 달하는 것은 "압축 강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탄소강에 s, Pb 및 흑연 등을 첨가하여 가공재료의 피절삭성을 높이고 제품의 정밀도와 절삭공구의 수명을 길게 개선한 강은?

  1. 스프링강
  2. 베어링강
  3. 쾌삭강
  4. 고속도강
(정답률: 70%)
  • 쾌삭강은 탄소강에 s, Pb 및 흑연 등을 첨가하여 가공재료의 피절삭성을 높이고 제품의 정밀도와 절삭공구의 수명을 길게 개선한 강입니다. 따라서, 쾌삭강은 절삭가공에 많이 사용되며, 높은 정밀도와 긴 수명을 필요로 하는 제품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벨트가 회전하기 시작하여 동력을 전달하게 되면 인장 측의 장력은 커지고, 이완측의 장력은 작아지게 되는데 이 차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이완 장력
  2. 허용 장력
  3. 초기 장력
  4. 유효 장력
(정답률: 35%)
  • 벨트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인장 측과 이완 측의 장력 차이가 발생합니다. 이 차이를 유효 장력이라고 합니다. 이유는 유효 장력은 벨트가 동력을 전달하는 데 필요한 실제 장력이기 때문입니다. 이완 장력은 벨트가 이완되는 데 필요한 장력이고, 허용 장력은 벨트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장력을 의미합니다. 초기 장력은 벨트를 장착할 때 가해지는 장력을 말합니다. 따라서, 벨트의 동력 전달 능력을 평가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유효 장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절삭 공구 중 비금속 재료에 해당하는 것은?

  1. 고속 도강
  2. 탄소공구강
  3. 합금공구강
  4. 세라믹
(정답률: 79%)
  • 절삭 공구는 주로 금속 가공에 사용되는데, 비금속 재료는 절삭 공구로 가공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재료를 말합니다. 세라믹은 금속이 아닌 비금속 재료로, 절삭 공구로 가공하기 어려운 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세라믹은 절삭 공구 중 비금속 재료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일반적인 제동 장치의 제동부 조작에 이용되는 에너지가 아닌 것은?

  1. 유압
  2. 전자력
  3. 압축 공기
  4. 빛 에너지
(정답률: 82%)
  • 일반적인 제동 장치의 제동부 조작에 이용되는 에너지는 유압, 전자력, 압축 공기이지만, 빛 에너지는 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제동 장치는 기계적인 움직임을 이용하여 작동하며, 빛 에너지는 이러한 기계적인 작동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종류가 아닌 것은?

  1. 라우탈
  2. 실루민
  3. 하이드로날륨
  4. 델타 메탈
(정답률: 52%)
  •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종류 중 "델타 메탈"은 실제로는 알루미늄 합금이 아닙니다. 델타 메탈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과 같은 복합재료로, 알루미늄 합금과는 구성과 특성이 매우 다릅니다. 따라서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종류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태엽스프링을 축 방향으로 감아 올려 사용하는 것으로 압축용, 오토바이 차체 완충용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1. 벌류트 스프링
  2. 접시 스프링
  3. 고무 스프링
  4. 공기 스프링
(정답률: 64%)
  • 벌류트 스프링은 축 방향으로 감아 올려 사용할 때 높은 강성과 내구성을 가지며,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압축용과 오토바이 차체 완충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벌류트 스프링"입니다. 접시 스프링은 벌류트 스프링과 비슷하지만, 벌류트 스프링보다는 덜 강하고 덜 내구성이 있습니다. 고무 스프링은 유연성이 뛰어나지만, 내구성이 낮아서 사용 범위가 제한적입니다. 공기 스프링은 압축용으로 사용되며,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작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하중의 크기가 방향의 충격 없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하중은?

  1. 변동 하중
  2. 교번 하중
  3. 충격 하중
  4. 이동 하중
(정답률: 51%)
  • 교번 하중은 주기적으로 방향이 바뀌는 하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방향의 충격 없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하중은 교번 하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제도(절삭부분)

16. 선의 종류에 따른 용도 중 기술 또는 기호 등을 표시하기 위하여 끌어내는데 쓰이는 선은?

  1. 치수선
  2. 치수보조선
  3. 지시선
  4. 가상선
(정답률: 57%)
  • 지시선은 특정 부분을 강조하거나, 다른 선들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선으로, 특정 부분을 가리키거나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선의 종류에 따른 용도 중 기술 또는 기호 등을 표시하기 위해 끌어내는데 쓰이는 것은 지시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 구멍의 지름 치수가 일 때 공차는?

  1. 0.023mm
  2. 0.035mm
  3. 0.047mm
  4. -0.012mm
(정답률: 6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맞물리는 1쌍의 기어 간략도에서 보기의 기호는 어느 기어에 해당하는가?

  1. 하이포드기어
  2. 이중 헬리컬 기어
  3. 스파이럴 베벨기어
  4. 스크루 기어
(정답률: 58%)
  • 이중 헬리컬 기어는 맞물리는 두 기어의 헬리컬 각도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진동과 소음이 적고 정확한 회전 전달이 가능하다. 그림에서 보면 두 기어의 헬리컬 각도가 반대 방향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중 헬리컬 기어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물체의 모서리를 비스듬히 잘라내는 것을 모떼기라 한다. 모떼기의 각도가 45°일 때 치수 란에 넣는 모떼기 기호는?

  1. D
  2. C
  3. R
  4. ø
(정답률: 84%)
  • 모떼기의 각도가 45°일 때, 모서리를 비스듬히 잘라내므로 모서리와 수평선이 이루는 각도는 45°이다. 이러한 모양을 나타내는 기호는 "C"이다. "D"는 직각으로 모서리를 자르는 경우, "R"은 둥근 모양으로 모서리를 자르는 경우, "ø"는 모서리를 자르지 않는 경우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M10 - 6H/6g 로 표시된 나사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M : 미터 보통나사
  2. 10 : 나사의 호칭 지름
  3. 6H : 암나사의 등급
  4. 6g : 나사의 줄수
(정답률: 62%)
  • 정답: "6H : 암나사의 등급"

    설명:
    - "M : 미터 보통나사"는 미터 단위의 보통 나사를 의미합니다.
    - "10 : 나사의 호칭 지름"은 나사의 지름을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 "6g : 나사의 줄수"는 나사의 기본 허용 오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사의 외경과 내경 사이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6g는 일반적인 표준 기준이며, 나사의 정확도와 허용 오차를 나타냅니다.
    - "6H : 암나사의 등급"은 암나사의 정확도와 허용 오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설명이 잘못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보기 도면에서 34mm 부분의 외경가공은 표면 거칠기 값을 얼마로 해야 하는가?

  1. 부품번호 옆에는 없는 급
  2. 부품번호 옆에 ( )밖에 있는 급
  3. 부품번호 옆에 ( )에 있는 급
  4. 가공하지 않은 상태로 그대로
(정답률: 44%)
  • 34mm 부분의 외경가공은 표면 거칠기 값을 1.6으로 해야 합니다.

    "부품번호 옆에 ( )밖에 있는 급"은 해당 부품의 가공 방법을 나타내는데, 괄호 안에 있는 숫자는 가공 후의 표면 거칠기 값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부품번호 옆에 ( )밖에 있는 급"은 가공 후의 표면 거칠기 값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보기와 같은 정면도와 평면도에 가장 적합한 우측면도는?

(정답률: 49%)
  • 정면도와 평면도에서 보이는 모습을 종합하여 생각해보면, 물체의 높이와 깊이는 비슷하지만 너비는 좁은 모습을 보입니다. 따라서 너비를 더 자세히 볼 수 있는 우측면도 중에서도 ""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유는 ""에서는 물체의 너비를 가장 자세히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와 ""에서는 물체의 높이와 깊이를 더 자세히 볼 수 있지만, 너비는 충분히 보이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에서는 물체의 너비와 높이는 충분히 보이지만, 깊이는 제대로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 가장 적합한 우측면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제3각법으로 투상한 정면도와 평면도가 보기와 같을 때 우측면도가 될 수 없는 것은?( 복원 오류로 그림 파일 일부가 소실되었습니다. 정답은 1번입니다.)

(정답률: 70%)
  • 정면도와 평면도를 보면, 물체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측면도는 물체의 이동 방향과 수직이어야 합니다. 그러나 1번 보기는 물체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므로 우측면도가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보기의 3각법으로 그린 도면에 평면도와 우측면도가 올바르고, 정면도가 틀린 경우 정면도에 누락된 선을 보완한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41%)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정면도에서 누락된 선을 보완하면, 물체의 윤곽이 더욱 명확해지고, 평면도와 우측면도와 일관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정면도에서 누락된 선을 보완하면, 물체의 전체적인 모양과 크기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기하공차 중 평행도를 나타내는 것은?

(정답률: 73%)
  • 평행한 두 직선은 서로 같은 방향을 가지므로, 그 방향을 나타내는 기울기가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평행도를 나타내는 것은 기울기입니다. 보기 중에서 기울기를 나타내는 것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절삭 공구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강인성이 있을 것
  2. 고온에서도 경도가 감소하지 않을 것
  3. 인장강도와 내마모성이 작을 것
  4. 쉽게 원하는 모양으로 제작이 가능할 것
(정답률: 71%)
  • "인장강도와 내마모성이 작을 것"이 틀린 것입니다. 절삭 공구는 재료를 절단하거나 가공하는 공구로, 인장강도와 내마모성이 높을수록 더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절삭 공구의 구비조건으로는 인장강도와 내마모성이 높을 것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선반을 이용하여 강을 절삭할 때 절삭 칩이 연속적으로 길게 이어져 나와 공작물 표면에 감겨 흠집을 내기도 하고 작업자에게 위험을 주기도 한다. 이때 필요한 조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절삭속도를 높인다.
  2. 절삭속도를 낮춘다.
  3. 바이트에 칩브레이커를 만든다.
  4. 여유각을 늘린다.
(정답률: 71%)
  • 바이트에 칩브레이커를 만드는 것은 절삭 칩이 연속적으로 길게 이어져 나와 공작물 표면에 감겨 흠집을 내거나 작업자에게 위험을 줄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칩브레이커는 절삭 칩을 작은 조각으로 분리시켜서 이러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조치가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밀링 머신에서 10mm인 밀링 커터로 공작물을 가공할 때 커터의 회전수는 약 몇 rpm인가?(단, 절삭 속도는 100m/min이다.)

  1. 185
  2. 1390
  3. 2185
  4. 3183
(정답률: 50%)
  • 절삭 속도 = 회전수 × 파장 × 자주진동수
    파장 = 커터 지름 = 10mm
    자주진동수 = 1 (1회전당 진동수)
    100 = 회전수 × 10 × 1
    회전수 = 1000 rpm
    하지만 밀링 커터는 일반적으로 2~4개의 이빨이 있으므로, 실제 회전수는 2~4배가 더 높아진다.
    따라서, 실제 회전수는 2000~4000 rpm이 되며, 가장 근접한 값은 318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볼트 또는 너트의 머리 부분이 가공물 안으로 묻히게 하기 위하여 드릴로 뚫은 구멍과 동심으로 2단 구멍을 절삭하는 방법은?

  1. 리밍
  2. 보링
  3. 카운터 보링
  4. 태핑
(정답률: 67%)
  • 카운터 보링은 드릴로 뚫은 구멍의 입구 부분에 동심으로 또 다른 구멍을 절삭하여 머리 부분이 묻히게 하는 가공 방법입니다. 따라서 볼트 또는 너트의 머리 부분이 가공물 안으로 묻히게 됩니다. 이는 리밍이나 보링, 태핑과는 다른 가공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각도 측정용 게이지들로 묶은 것은?

  1. 오토 콜리메이터, 사인바, 콤비네이션 세트
  2. 사인 바, 오토 콜리메이터, 옵티컬 플랫
  3. 직각자, 만능 분도기, 옵티컬 패러렐
  4. 만능 분도기, 옵티컬 플랫, 콤비네이션 세트
(정답률: 57%)
  • 각도 측정용 게이지들로 묶은 것은 "오토 콜리메이터, 사인바, 콤비네이션 세트"입니다. 이는 각도를 측정하는 데에 가장 효과적이며, 각도의 크기와 기울기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들은 다양한 측정 범위와 정밀도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작업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공작법

31. 선반의 종류 중 볼트, 작은나사 등을 능률적으로 가공하기 위하여 보통 선반의 심압대 대신에 회전공구대를 설치하여 여러 가지 절삭공구를 공정에 맞게 설치한 선반은?

  1. 터릿선반(turret lathe)
  2. 자동선반(automatic lathe)
  3. 모방선반(copying lathe)
  4. 정면선반(face lathe)
(정답률: 62%)
  • 터릿선반은 회전공구대를 설치하여 여러 가지 절삭공구를 공정에 맞게 설치할 수 있어 볼트, 작은나사 등을 능률적으로 가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터릿선반(turret lath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평면은 물론 각종 공구, 부속장치를 이용하여 불규칙하고 복잡한 면, 드릴의 홈, 기어의 치형 등도 가공할 수 있는 공작기계는?

  1. 선반
  2. 플레이너
  3. 호빙 머신
  4. 밀링 머신
(정답률: 48%)
  • 밀링 머신은 회전하는 밀링 커터를 이용하여 작업물의 표면을 절삭하고 가공하는 공작기계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불규칙한 면, 드릴의 홈, 기어의 치형 등 다양한 형태의 작업물을 가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불규칙하고 복잡한 면을 가공할 수 있는 공작기계로서 밀링 머신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WA, 60, K, m, V로 표시한 숫돌의 각 기호 중 K가 뜻하는 것은?

  1. 숫돌입자
  2. 결합도
  3. 입도
  4. 조직
(정답률: 70%)
  • K는 "결합도"를 뜻합니다. 숫돌에서 결합도란 분자 내의 원자들이 서로 결합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분자 내의 원자들이 얼마나 강하게 결합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는 분자의 안정성과 성질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K는 숫돌 입자의 결합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측정자의 직선 또는 원호 운동을 기계적으로 확대하여 그 움직임을 지침의 회전 변위로 변환시켜 눈금으로 읽는 게이지는?

  1. 한계 게이지
  2. 게이지 블록
  3. 하이트 게이지
  4. 다이얼 게이지
(정답률: 67%)
  • 측정자의 운동을 기계적으로 확대하여 회전 변위로 변환시켜 눈금으로 읽는 게이지를 말하는데, 이 중에서도 측정값을 다이얼 형태로 표시하는 게이지를 다이얼 게이지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다이얼 게이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절삭공구에서 구성인선의 방지 대책이 아닌 것은?

  1. 절삭 깊이를 크게 한다.
  2. 경사각을 크게 한다.
  3. 윤활성이 좋은 절삭 유제를 사용한다.
  4. 절삭속도를 크게 한다.
(정답률: 68%)
  • 정답: 절삭 깊이를 크게 한다.

    이유: 절삭 깊이를 크게 하면 절삭력이 증가하게 되어 구성인선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구성인선 방지를 위해서는 적절한 절삭 깊이를 설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가공물을 화학 가공액 속에 넣고 화학반응을 일으켜 가공물의 표면을 필요한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을 화학적 가공이라 한다. 화학적 가공이 특징 중 틀린 것은?

  1. 강도나 경도에 관계없이 가공할 수 있다.
  2. 변형이나 거스러미가 발생하지 않는다.
  3. 가공경화 또는 표면변질 층이 발생한다.
  4. 복잡한 형상과 관계 없이 표면 전체를 한번에 가공할 수 있다.
(정답률: 39%)
  • 화학적 가공은 가공물의 표면을 화학반응을 통해 가공하는 것이므로, 가공경화 또는 표면변질 층이 발생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가공물의 표면을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고 동시에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가공물의 표면을 보호하면서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손 다듬질 가공에서 수나사는 무엇으로 가공하는가?

  1. 스크레이퍼
  2. 다이스
  3. 리머
(정답률: 63%)
  • 수나사는 다이스로 가공합니다. 다이스는 원하는 모양의 구멍을 뚫어내는 가공 도구로, 수나사의 나사 부분을 만들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절삭 가공시 제품의 정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1. 공작기계의 정밀도
  2. 절삭조건
  3. 작업자의 숙련도
  4. 제품의 크기
(정답률: 67%)
  • 절삭 가공은 공작기계의 정밀도, 절삭조건, 작업자의 숙련도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그러나 제품의 크기는 정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에서는 가장 관련이 적습니다. 제품의 크기가 작더라도 공작기계의 정밀도와 절삭조건, 작업자의 숙련도 등이 적절하게 조절되면 정밀한 가공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제품의 크기는 정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에서는 가장 관련이 적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절삭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칩의 색깔에 의한 방법
  2. 열전대에 의한 방법
  3. 칼로리메터에 의한 방법
  4. 초음파 탐지에 의한 방법
(정답률: 66%)
  • 초음파 탐지는 물질의 밀도나 구성에 따라 속도가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물질 내부의 결함이나 불순물을 탐지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절삭온도를 측정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센터리스 연삭기의 통과 이송법에서 조정숫돌은 연삭 숫돌 축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몇 도 경사시키는가?

  1. 1 ~ 1.5°
  2. 2 ~ 8°
  3. 9 ~ 10°
  4. 10 ~15°
(정답률: 56%)
  • 센터리스 연삭기의 통과 이송법에서 조정숫돌은 연삭 숫돌 축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2~8도의 경사를 부여합니다. 이는 연삭 숫돌의 중심축과 조정숫돌의 중심축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러한 경사를 부여함으로써 연삭 작업 시 조정숫돌과 연삭 숫돌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정확한 연삭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CNC공작법 및 안전관리

41. 수직 밀링머신에서 평면가공에 주로 사용하는 커터로 외주와 정면에 절삭 날이 있는 커터는?

  1. 정면 밀링 커터
  2. 더브테일 커터
  3. 엔드밀
  4. 메탈 스트링 소
(정답률: 54%)
  • 정면 밀링 커터는 외주와 정면에 절삭 날이 있는 커터로, 평면가공에 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정답은 "정면 밀링 커터"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종류의 커터를 나타내며, 정면 밀링 커터와는 다른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밀링 작업에서 떨림(chattering)이 발생할 경우 나타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1. 가공물의 가공면을 거칠게 한다.
  2. 공구 수명을 단축시킨다.
  3. 생산 능률를 저하시킨다.
  4.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정답률: 78%)
  • 생산 능률을 저하시킨다.

    밀링 작업에서 떨림(chattering)이 발생하면 가공면이 거칠어지고 공구 수명이 단축되며 생산 능률이 저하됩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이유는 떨림(chattering)이 발생하면 가공면이 거칠어지고 치수 정밀도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떨림을 방지하여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CNC 프로그램에서 부(보조) 프로그램을 호출하는 보조 기능은?

  1. M00
  2. M30
  3. M98
  4. M99
(정답률: 60%)
  • M98은 서브프로그램을 호출하는 명령어입니다. CNC 프로그램에서 서브프로그램은 부(보조)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M98 명령어를 사용하여 부 프로그램을 호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M98이 부(보조) 프로그램을 호출하는 보조 기능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CNC 선반 가공기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기계좌표계 좌표값 수정
  2. 공구 옵셋량 수정
  3. 공작물 좌표계 좌표값 수정
  4. 프로그램 수정
(정답률: 38%)
  • 기계좌표계 좌표값 수정은 CNC 선반 가공기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기계좌표계 좌표값은 기계의 원점과 축의 이동거리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이 잘못 설정되면 가공물의 위치가 정확하지 않게 되어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계좌표계 좌표값을 수정하는 것은 오차를 더욱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CNC 선반 가공기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연삭 작업시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작업의 능률을 고려해 안전 커버(cover)를 떼고 작업한다.
  2. 연삭 작업을 할 때에는 보안경을 착용한다.
  3. 연삭 숫돌의 교환은 지정된 공구를 사용한다.
  4. 연삭 숫돌을 설치 후 3분 정도 공회전을 시켜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정답률: 81%)
  • 작업의 능률을 고려해 안전 커버(cover)를 떼고 작업한다는 것은 틀린 안전사항입니다. 안전 커버는 작업 중에도 반드시 유지되어야 하며, 작업의 능률을 고려할 때에도 안전을 우선시해야 합니다. 안전 커버를 떼고 작업하면 작업 중에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게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CNC 선반에서 보정화면에 입력되는 값과 관계 없는 것은?

  1. X축 길이 보정 값
  2. Z축 길이 보정 값
  3. 공구인선 반경 값
  4. 공구의 지름 보정 값
(정답률: 41%)
  • CNC 선반에서 보정화면에 입력되는 값 중에서 공구의 지름 보정 값은 관계 없는 값입니다. 이는 공구의 지름이 정확하게 측정되어 있기 때문에 보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다른 값들은 각 축의 이동 거리나 공구의 형태에 따라 보정이 필요한 값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CNC 공작기계 운전 전에 주의해야 할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공작물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2. 모든 기능 버튼이 올바른 위치에 있는지 확인한다.
  3. 자주 사용하는 공구와 재료는 기계 위에 놓는다.
  4. 습동유 등의 윤활 상태를 확인한다.
(정답률: 84%)
  • 자주 사용하는 공구와 재료를 기계 위에 놓으면 작업 효율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작업 중에 공구나 재료를 찾아 다니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작업 공간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어 안전성도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CNC기계의 움직임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속도 제어와 위치 검출을 하는 일종의 피트백 장치

  1. 서보모터
  2. 컨트롤러
  3. 엔코더
  4. 볼스크류
(정답률: 37%)
  • 엔코더는 CNC 기계의 움직임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속도 제어와 위치 검출을 하는 피드백 장치입니다. 따라서 CNC 기계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제어하기 위해서는 엔코더가 필요합니다. 서보모터는 엔코더와 함께 사용되어 CNC 기계의 움직임을 제어합니다. 컨트롤러는 CNC 기계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치이며, 볼스크류는 CNC 기계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CNC 선반에서 52 부분을 가공하고 측정한 결과 51.97이었다. 기존의 X축 보정값이 0.002라면 보정값을 얼마로 수정해야 52로 가공되는가?

  1. 0.002
  2. 0.028
  3. 0.03
  4. 0.032
(정답률: 54%)
  • 보정값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가공값과 목표값의 차이를 계산해야 합니다. 이 경우, 가공값은 51.97이고 목표값은 52이므로 차이는 0.03입니다. 기존의 X축 보정값이 0.002이므로, 이 값을 보정값으로 사용하면 0.03 - 0.002 = 0.028의 차이가 남습니다. 따라서, 보정값을 0.032로 수정해야 52로 가공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CNC 프로그램 작성시, 시간을 단축하고 프로그램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사용할 기계가 채택하고 있는 사항들을 알아두어야 하는데 틀린 것은?

  1. 계속 유효기능과 1회 유효기능
  2. 부 프로그램의 작성법과 용도
  3. 고정사이클의 종류와 사용 용도
  4. 볼스크류의 종류와 사양
(정답률: 56%)
  • 볼스크류의 종류와 사양은 기계가 채택하고 있는 사항이 아니라, 공구 선택과 관련된 사항입니다. 따라서, CNC 프로그램 작성시 시간을 단축하고 프로그램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사용할 기계가 채택하고 있는 사항들은 "계속 유효기능과 1회 유효기능", "부 프로그램의 작성법과 용도", "고정사이클의 종류와 사용 용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은 CNC 선반의 프로그램이다. N14에서 주축의 회전수는 몇 rpm 인가?

  1. 200
  2. 3000
  3. 3185
  4. 6370
(정답률: 56%)
  • N14에서 G96 명령어가 사용되어 있으며, 이는 주축 회전속도를 분당 회전수로 지정하는 명령어입니다. P값이 3000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주축의 회전수는 3000rp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도면의 점 B에서 점 A로 절삭하여 할 때의 프로그램 좌표값 중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G01 X40. Z50. F0.2 ;
  2. G01 U20. W-50. F0.2 ;
  3. G01 U20. Z10. F0.2 ;
  4. G01 X40. W-50. F0.2 ;
(정답률: 31%)
  • 점 B에서 점 A로 절삭할 때, X축 좌표는 40, Z축 좌표는 50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G01 X40. Z50. F0.2 ;"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X축과 Z축 좌표가 조합되어 점 A로 절삭할 수 없는 좌표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CNC 선반에서 테이퍼 절삭시 공구 날끝 반지름 보정을 위하여 준비한 기능은?

  1. G01
  2. G41
  3. G71
  4. G81
(정답률: 62%)
  • CNC 선반에서 테이퍼 절삭시 공구 날끝 반지름 보정을 위해 사용되는 기능은 G41입니다. G41은 컴퓨터에게 공구의 반지름을 알려주는 명령어로, 이를 통해 컴퓨터는 공구의 실제 위치를 정확하게 계산하여 절삭 작업을 수행합니다. 다른 보기인 G01은 직선 보간, G71은 원형 보간, G81은 드릴링 순환 보간에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CNC 선반작업에서 공구 인선 반지름 보정을 인선의 좌측으로 보정하고, 프로그램의 경로 왼쪽에서 공구가 이동하여 가공하는 것은?

  1. G40
  2. G41
  3. G42
  4. G43
(정답률: 61%)
  • G41은 공구 인선 반지름을 좌측으로 보정하는 명령어입니다. CNC 선반작업에서는 공구의 실제 지름과 프로그램상의 지름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정해주어야 합니다. G41을 사용하면 공구가 프로그램 경로의 왼쪽에서 이동하여 가공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G41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머시닝센터 작업에서 같은 지름의 구멍이 동일평면상에 여러 개 있을 때 공구를 R점 복귀 후 이동하여 가공 하는 것은?

  1. G99
  2. G49
  3. G97
  4. G96
(정답률: 40%)
  • 머시닝센터 작업에서 같은 지름의 구멍이 동일평면상에 여러 개 있을 때 공구를 R점 복귀 후 이동하여 가공하는 것은 G99입니다. G99는 서브프로그램 종료 후 R포인트로 복귀하고, 동일한 평면상에서 다음 작업 위치로 이동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같은 지름의 구멍이 여러 개 있을 때, 이 명령어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가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그림에서 A(10,20)에서 시계방향으로 360° 원호 가공을 하려고 할 때 맞게 명령한 것은?

  1. G02 X10. R10.
  2. G03 X10. R10. ;
  3. G02 I10. ;
  4. G03 I10. ;
(정답률: 41%)
  • 정답은 "G02 I10.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G02: 시계방향 원호 가공 명령어
    - I10.: X축 방향으로 10만큼 이동한 후, I값을 10으로 설정하여 360도의 원호를 그리도록 함

    따라서, A(10,20)에서 시계방향으로 360° 원호 가공을 하기 위해서는 G02 I10. ;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CAM 시스템의 가공 과정 흐름도로 올바른 것은?

  1. 공구경로 생성 → 곡면 모델링 → NC 데이터 생성 → DNC 전송
  2. 곡면 모델링 → 공구경로 생성 → NC 데이터 생성 → DNC 전송
  3. 곡면 모델링 → NC 데이터 생성 → 공구경로 생성 → DNC 전송
  4. 공구경로 생성 → NC 데이터 생성 → 곡면 모델링 → DNC 전송
(정답률: 49%)
  • CAM 시스템의 가공 과정 흐름도는 "곡면 모델링 → 공구경로 생성 → NC 데이터 생성 → DNC 전송"이 올바른 것입니다. 이는 곡면 모델링을 먼저 수행하여 가공 대상의 모델링을 완료한 후, 이를 기반으로 공구경로를 생성하고, 이를 토대로 NC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마지막으로 DNC 전송을 통해 가공기계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실제 가공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곡면 모델링이 가공 과정의 첫 단계이며, 이후 공구경로 생성, NC 데이터 생성, DNC 전송 순서로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CNC 작업 중 기계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조치 사항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알람 내용을 확인한다.
  2. 경보등이 점등 되었는지 확인한다.
  3. 간단한 내용은 조작설명서에 따라 조치하고 안되면 전문가에게 의뢰한다.
  4. 기계가공이 안되기 때문에 무조건 전원을 끈다.
(정답률: 79%)
  • 기계가공이 안되는 이유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상이 발생한 원인을 파악하지 않고 무작정 전원을 끄면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뿐더러 기계나 작업물에 더 큰 피해를 입힐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알람 내용을 확인하고 경보등이 점등되었는지 확인한 후, 조작설명서에 따라 간단한 조치를 시도해본 후에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전문가에게 의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1.5초 동안 일시정지(G04) 기능의 명령이다. 틀린 것은?

  1. G04 U1.5;
  2. G04 X1.5 ;
  3. G04 P1.5 ;
  4. G04 P1500 ;
(정답률: 58%)
  • 정답은 "G04 U1.5;"이다. U는 일시정지 기능을 나타내는 명령어가 아니기 때문이다.

    "G04 P1.5 ;"는 1.5초 동안 일시정지하는 명령어이다. P는 일시정지 시간을 지정하는 매개변수이며, 단위는 초이다.

    "G04 X1.5 ;"는 X축 좌표값을 1.5로 이동하는 명령어이다.

    "G04 P1500 ;"은 1500초 동안 일시정지하는 명령어이다. P의 단위가 초이므로 1500은 25분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복합형 고정 싸이클 G76 코드를 이용하여 "M30x1.5" 2줄 나사 가공시 ( ) 부분에 적합한 내용은?

  1. F1.0
  2. F1.5
  3. F2.0
  4. F3.0
(정답률: 48%)
  • G76 코드는 고정 싸이클 중 하나로, 나사 가공에 사용됩니다. M30x1.5 나사를 가공할 때, G76 코드를 이용하여 나사의 깊이, 각도, 피치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때, F 값은 나사의 가공 속도를 결정합니다. F 값이 클수록 가공 속도가 빨라지며, 작을수록 느려집니다. M30x1.5 나사는 크기가 크기 때문에 가공 속도를 빠르게 설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따라서, F3.0이 가장 적합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