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ID-GL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5-30)

RFID-GL
(2012-05-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RFID 시스템 개요

1. 다음 중 RFID의 능동형(Active)태그의 주요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태그에는 배터리가 부착되어 사용된다
  2. 수십m 원거리 통신용이다
  3. HF대역에서 사용된다
  4. 태그 가격이 고가이고 전원 수명이 제한적이다
(정답률: 80%)
  • "HF대역에서 사용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능동형 RFID 태그는 주로 UHF (Ultra High Frequency) 대역에서 사용된다. 이는 수십m 원거리 통신이 가능하며, 태그에는 배터리가 부착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하지만 태그 가격이 고가이고 전원 수명이 제한적이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ONS(Object Naming Servic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ONS(Object Naming Service)는 제품의 EPC 코드와 그 제품의 정보를 연결해주는 서비스이다
  2. RFID 미들웨어는 EPC 데이터를 수집한 후 이 제품의 상세 정보가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 알기 위해 ONS에 조회할 수 있다
  3. ONS는 정보가 있는 주소값을 조회하고 확인하며 실제정보를 담고 있는 주소체계이다
  4. ONS는 현재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DNS(Domain Name Server)의 확장성, 안정성, 고성능을 모델로 한 것이다
(정답률: 42%)
  • "ONS는 정보가 있는 주소값을 조회하고 확인하며 실제정보를 담고 있는 주소체계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ONS는 제품의 EPC 코드와 그 제품의 정보를 연결해주는 서비스이며, RFID 미들웨어는 EPC 데이터를 수집한 후 이 제품의 상세 정보가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 알기 위해 ONS에 조회할 수 있다. ONS는 현재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DNS(Domain Name Server)의 확장성, 안정성, 고성능을 모델로 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국내에서 물류관리, 제조, 창고관리 등 산업 전반에서 활용되며 전파의 자유공간 손실 측면에서 유리한 주파수 대역으로 옳은 것은?

  1. 433MHz 대역
  2. 900MHz 대역
  3. 13.56MHz 대역
  4. 2.45GHz 대역
(정답률: 75%)
  • 정답: 900MHz 대역

    이유: 900MHz 대역은 전파의 특성상 건물 내부나 장애물이 있는 환경에서도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하며, 높은 신호 강도와 광대역성을 가지고 있어 물류관리, 제조, 창고관리 등 산업 전반에서 활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다른 대역에 비해 전파의 자유공간 손실이 적어 더 멀리까지 통신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RFID의 태그와 바코드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 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코드와 RFID 태그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정보의 판독 방법이다
  2. 일반적으로 바코드는 코드를 개별적으로 하나씩 읽어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시켜야 하는 것에 비해 RFID 태그는 다량의 복수 정보를 수동으로 인식시킨다
  3. RFID 태그는 바코드보다 재사용, 손상도, 활용도, 사용 기간 등을 고려하여 비교할 경우 더 경제적이다.
  4. RFID태그는 바코드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
(정답률: 59%)
  • 정답은 "일반적으로 바코드는 코드를 개별적으로 하나씩 읽어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시켜야 하는 것에 비해 RFID 태그는 다량의 복수 정보를 수동으로 인식시킨다"이다. 이 설명은 바코드와 RFID 태그의 차이점을 반대로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바코드는 일반적으로 스캐너를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코드를 읽어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시키는 반면, RFID 태그는 무선 신호를 사용하여 다량의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RFID 기술

5. 다음 중 RFID의 리더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송신부(transmitter)
  2. 수신부(receiver)
  3. 프로세서부(processor)
  4. 출력(display)
(정답률: 75%)
  • RFID 리더는 송신부, 수신부, 프로세서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출력(display)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RFID 리더는 태그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처리하고, 필요한 경우 출력장치를 통해 정보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출력장치는 RFID 리더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RFID 리더의 송신기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확성(accuracy) : 송신기는 기저대역의 신호를 반송 주파수를 통해 정확히 변조하여 원하는 주파수에 반송 주파수를 유지해야 한다
  2. 유연성(flexibility) : 송신기는 전력소모를 줄이고 큰 간섭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사용중이거나 읽어야 할 태그들이 있을 경우에는 꺼져야 한다
  3. 낮은 불요파 방사(low spurious emission) : 송신 신호의 왜곡은 허가받은 주파수 대역 이외의 주파수에서의 방사로 나타나는데, 이는 허가받은 사용자들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이를 낮추어야 한다
  4. 효율성(efficiency) : 송신기는 너무 많은 DC전력을 낭비하는 것 없이 신호가 왜곡되지 않게 원하는 정확한 출력 전력으로 전송해야 한다. 송신기의 전력 증폭기는 무선 송수신기에서 가장 큰 DC전력을 소모 한다
(정답률: 67%)
  • "유연성(flexibility) : 송신기는 전력소모를 줄이고 큰 간섭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사용중이거나 읽어야 할 태그들이 있을 경우에는 꺼져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오히려 송신기의 유연성을 제한하는 것이며, 실제로는 송신기는 가능한 모든 태그를 읽을 수 있도록 계속 켜져 있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보기에서 리더와 수동형 태그 사이의 신호전달 과정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A - B - C
  2. B - A - C
  3. C - A - B
  4. A - C - B
(정답률: 67%)
  • A - B - C 순서대로 옳다.

    A는 리더가 수행하는 역할로,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한다. B는 수동형 태그가 신호를 받아들이는 역할을 하며, C는 수동형 태그가 받은 신호를 리더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A가 먼저 신호를 보내고, B가 신호를 받아들이고, C가 받은 신호를 리더에게 전달하는 순서로 진행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설명하는 용어는 무엇인가?

  1. 후방산란(Backscatter)
  2. EIRP(Effective Isotropic Radiated Power)
  3. 전파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4. 산란(Scattering)
(정답률: 75%)
  •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송신기에서 발생한 전파가 대상물에 부딪혀 반사되어 다시 송신기 쪽으로 돌아오는 현상을 후방산란(Backscatter)이라고 한다. 그림에서는 송신기에서 발생한 전파가 대상물에 부딪혀 반사되어 다시 송신기 쪽으로 돌아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설명은 리더인터페이스에 관한 설명이다. 어떤 형태의 인터페이스인가?

  1. 듀얼스태틱(dualstatic)
  2. 바이스태틱(bistatic)
  3. 모노스태틱(monostatic)
  4. 하프스태틱(halfstatic)
(정답률: 73%)
  • 리더인터페이스는 송신과 수신이 같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모노스태틱이다. 다른 인터페이스들은 송신과 수신이 서로 다른 위치에 있어서 그에 따라 이름이 붙여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역방향 링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리더에서 태그로의 링크
  2. 역방향 링크 동작에서 수동형 태그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 제공
  3. 신호를 변조하여 태그에 명령과 데이터를 전달한다
  4. 태그가 후방 산란하여 정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진행파 신호의 전력을 전송
(정답률: 45%)
  • 태그가 후방 산란하여 정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진행파 신호의 전력을 전송하는 것이 역방향 링크에 대한 설명으로 옳습니다. 이는 리더에서 태그로의 링크를 통해 수동형 태그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 제공과 함께 신호를 변조하여 태그에 명령과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무엇인가?

  1. 필터
  2. DC오프셋
  3. 혼합기
  4. 발진기
(정답률: 67%)
  • 주어진 회로에서 입력 신호에 대한 노이즈를 제거하고 정확한 출력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필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기본적인 안테나와 관련된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안테나 입력전력 : 안테나 입력단에서 입사하는 총 전력이다
  2. 안테나 손실 : 안테나 구조에서 소비되는 총 손실로 보통 도체 손실과 유전체 손실의 합이다
  3. 안테나 방사전력 : 안테나에서 공중으로 방사되는 총전력으로 안테나 입력전력에서 안테나 손실을 뺀 것과 같다
  4. 안테나 효율 : 안테나의 입력전력이 등방성으로(모든 방향으로 똑같이) 방사한다고 가정할 경우의 전력 밀도에 대한 특정 방향의 실제 전력밀도의 비이다
(정답률: 44%)
  • 정답은 "안테나 효율 : 안테나의 입력전력이 등방성으로(모든 방향으로 똑같이) 방사한다고 가정할 경우의 전력 밀도에 대한 특정 방향의 실제 전력밀도의 비이다"이다. 이유는 안테나 효율은 입력전력과 방사전력의 비율로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 방사전력과 입력전력에서 손실을 뺀 값의 비율로 정의되기 때문이다. 즉, 안테나 효율은 실제로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전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은 어떤 타입의 RFID 태그 안테나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인가?

  1. 다이폴 타입 태그 안테나
  2. 유도성 결합 미앤더 형태의 태그 안테나
  3. 등방에 가까운 패턴을 갖는 태그 안테나
  4. 도체 부착용 태그 안테나
(정답률: 70%)
  • 주어진 그림에서 안테나의 형태가 다이폴(dipole) 형태이기 때문에 "다이폴 타입 태그 안테나"이다. 다이폴 안테나는 두 개의 평행한 긴 철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안테나는 방향성이 있어서 특정 방향으로 신호를 전파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RFID 시스템의 안테나 측정 및 성능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칩의 위치에서 태그 안테나를 바라본 임피던스를 실제로 직접 측정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네트워크 분석기를 사용해 측정 지그(jig)를 고안해 측정하면 오차가 없다.
  2. 태그에서 수신되는 전파는 리더에서 오는 직접파와 주위의 많은 산란체에서 산란되어 오는 전파의 합으로 구성된다.
  3. 태그의 RCS 측정은 회로망 분석기(Network Analyzer), 송수신 안테나, 태그 샘플로 구성 가능하다
  4. 태그 인식은 일반적으로 리더와 태그의 성능에 의존한다. 태그 안테나만의 성능을 판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태그의 RCS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정답률: 60%)
  • "태그에서 수신되는 전파는 리더에서 오는 직접파와 주위의 많은 산란체에서 산란되어 오는 전파의 합으로 구성된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칩의 위치에서 태그 안테나를 바라본 임피던스를 실제로 직접 측정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네트워크 분석기를 사용해 측정 지그(jig)를 고안해 측정하면 오차가 없다."는 측정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측정 지그(jig)를 사용하면 오차 없이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이다.

    "태그의 RCS 측정은 회로망 분석기(Network Analyzer), 송수신 안테나, 태그 샘플로 구성 가능하다"는 RCS 측정에 필요한 장비와 구성에 대한 설명이다.

    "태그 인식은 일반적으로 리더와 태그의 성능에 의존한다. 태그 안테나만의 성능을 판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태그의 RCS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는 태그 인식과 태그 안테나의 성능 판단에 대한 설명이다.

    따라서, "태그에서 수신되는 전파는 리더에서 오는 직접파와 주위의 많은 산란체에서 산란되어 오는 전파의 합으로 구성된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RFID 리더와 상위 시스템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ISO에서의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계층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인가?

  1. 물리 계층(Physical Layer)
  2.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3.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4. 데이터링크 계층(Data Link Layer)
(정답률: 58%)
  • 전송 계층은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오류 검출 및 복구, 흐름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RFID 리더와 상위 시스템 간의 통신에서도 데이터의 안정적인 전송을 위해 전송 계층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TCP/IP계층이 아닌 것은?

  1.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2. 전송계층(Transport Layer)
  3. 인터넷계층(Internet Layer)
  4.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Network Access Layer)
(정답률: 65%)
  • 데이터 링크 계층은 물리적인 네트워크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MAC 주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TCP/IP 계층 구조에서는 물리적인 전송을 담당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전송하는 인터넷 계층,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전송 계층이 있습니다. 따라서, TCP/IP 계층 구조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ISO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7 계층 중 시스템이 통신하고 체크 포인팅과 유휴, 종료, 다시 시작 과정을 수행하는 계층은?

  1. 물리 계층(Physical Layer)
  2. 세션 계층(Session Layer)
  3.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4.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정답률: 56%)
  • 세션 계층은 시스템 간의 통신을 관리하고 체크 포인팅, 유휴, 종료, 다시 시작 과정을 수행하는 계층입니다. 이 계층은 데이터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나 중단 등을 처리하며, 안정적인 통신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세션 계층(Session Lay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모바일 RFID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구성요가 아닌 것은 ?

  1. ODS(Object Directory Service)
  2. OIS(Object Information Service)
  3. Root ODS
  4. RA(Registration Authority)
(정답률: 52%)
  • RA(Registration Authority)는 모바일 RFID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구성요건 중 하나가 아닙니다. RA는 인증서 발급 및 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모바일 RFID 서비스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개정되어 국내에서 RFID, USN 및 모바일 RFID 서비스 용도로 운용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은 무엇인가?

  1. 910 ~ 914MHz
  2. 917 ~ 923.5MHz
  3. 217 ~ 923.5MHz
  4. 2.4GHz
(정답률: 50%)
  • 정답은 "917 ~ 923.5MHz"이다. 이는 국내에서 RFID, USN 및 모바일 RFID 서비스 용도로 운용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이기 때문이다. 이 주파수 대역은 UHF (Ultra High Frequency) 대역으로, 장거리 통신이 가능하며 다수의 태그를 동시에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주파수 대역은 국제적으로도 사용되는 대역으로, 국내에서도 이를 사용함으로써 국제적인 표준화와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서버의 일종으로써 RFID 태그 인식 시 휴대폰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보여줄 정보가 콘텐츠 서버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주소)를 지정해주는 기능을 하는 것은?

  1. RFID 리더
  2. ODS(Object Directory Service)
  3. OIS(Object Information Service)
  4. Root ODS
(정답률: 65%)
  • ODS(Object Directory Service)는 RFID 태그 인식 시 휴대폰을 통해 보여줄 정보가 저장된 콘텐츠 서버의 위치를 지정해주는 기능을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ODS(Object Directory Service)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RFID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다른 구성 요소들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1KW 전력은 30dBW로 표현할 수 있는데 이를 dBm 으로 표현하면?

  1. 30dBm
  2. 40dBm
  3. 50dBm
  4. 60dBm
(정답률: 65%)
  • 1KW는 1000W이고, 1W는 30dBm이므로 1000W는 30dBm + 30dBm + 30dBm = 90dBm이 됩니다. 따라서, 1KW 전력은 60dBm으로 표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파형은 진폭, 파장, 주파수, 속도로써 특성을 나타내는데 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진폭(amplitude)은 파의 크기로 음피크(negative peak)와 양피크(positive peak)간의 거리로 정의된다
  2. 파장은 파의 모양이 반복되는 거리를 의미하고 미터 (meter) 단위로 표기한다
  3. 주파수는 1초동안 파가 동일한 지점을 몇 번 반복해서 지나는지를 의미한다
  4. 속도는 파가 특정한 지점을 얼마나 빨리 지나는지를 나타낸다
(정답률: 47%)
  • 주파수는 파의 한 지점을 1초 동안 지나는 횟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거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진폭(amplitude)은 파의 크기로 음피크(negative peak)와 양피크(positive peak)간의 거리로 정의된다"는 것은 파가 얼마나 크게 진동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양피크와 음피크 사이의 거리가 클수록 진폭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유도되는 전류의 세기는 자속의 변화율에 비례하고 전류의 방향은 렌츠의 법칙으로부터 자속의 흐름을 방해 하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에 의해 수동형 RFID에서 리더와 태그 사이에서 전력과 데이터를 주 고받을 수 있는데 이를 나타내는 적합한 이론은?

  1. 렌츠의 법칙
  2. 패러데이의 법칙
  3. 맥스웰 방정식
  4. 비오-사바르 법칙
(정답률: 59%)
  • 패러데이의 법칙은 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유도되는 전기력의 크기와 방향을 나타내는 법칙으로, 수동형 RFID에서 리더와 태그 사이에서 전력과 데이터를 주고받는 원리를 설명하는데 적합한 이론입니다. 이는 자속의 변화율에 비례하는 전류의 세기와 렌츠의 법칙에 따라 자속의 흐름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전류가 발생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패러데이의 법칙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안테나에서 방사에 의해 전자파가 생성되기까지의 거리를 근거리장(near-field)이라고 하고 이후의 거리를 원거리장(far-field)이라 부른다. 900MHz의 근거리장과 원거리장의 경계가 되는 거리는 얼마인가?

  1. 약 10cm
  2. 약 1m
  3. 약 2.2m
  4. 약 2.4km
(정답률: 60%)
  • 근거리장과 원거리장의 경계는 파장의 길이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파장의 2배 이상일 때 원거리장으로 간주된다. 900MHz의 파장은 약 33cm이므로, 2배 이상인 약 66cm 이상에서 원거리장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약 2.2m"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주파수의 특성을 설명한 것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주파수가 높을수록 데이터 전송률이 높다
  2. 주파수 대역대가 넓을수록 데이터 전송률이 높다
  3. 높은 주파수에서는 안테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4. 주파수가 높을수록 주변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정답률: 43%)
  • "주파수가 높을수록 주변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주파수가 높을수록 파장이 짧아지기 때문에, 주파수가 낮은 경우보다 물체를 통과하는 데 더 많은 장애물이 있어서 신호가 약해지는 현상이 적어진다. 따라서 주파수가 높을수록 신호의 강도가 유지되는 거리가 더 멀어지고, 주변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인코딩은 바이너리 디지털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표현하는 것을 말하는데 다음중 RFID 인코딩 방식이 아닌 것은?

  1. Manchester
  2. NRZ
  3. Miller
  4. FM1
(정답률: 58%)
  • RFID는 주로 Manchester, NRZ, Miller 인코딩 방식을 사용하지만 FM1은 RFID에서 사용되지 않는 인코딩 방식이다. FM1은 주로 광학 저장 장치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RFID 인코딩 방식 중 대역폭이 커서 데이터 전송속도가 느린 반면에 안정된 클럭 정보를 추출할 수 있어 오류가 적은 장점을 가진 것은?

  1. Manchester
  2. NRZ
  3. Miller
  4. FM1
(정답률: 50%)
  • Manchester 인코딩 방식은 데이터 비트를 전송할 때 신호의 상승과 하강에 따라 클럭 정보를 추출하기 때문에 안정된 클럭 정보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NRZ, Miller, FM1 인코딩 방식은 클럭 정보를 추출하기 어렵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주파수 변조방식 중 바이너리 코드 신호를 캐리어 신호의 주파수에 변조하여 표현하는 주파수편이변조(FSK) 방식을 표현하는 것은?

(정답률: 66%)
  • FSK 방식은 바이너리 코드 신호를 두 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로 변조하여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이 때, 0과 1에 대해 각각 다른 주파수를 할당하여 변조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는 0과 1에 대해 각각 다른 주파수를 할당한 ""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리더와 태그의 결합은 근거리장 결합과 원거리장 결합으로 나눌 수 있는데 다음 중 원거리장 결합은 어느 것인가?

  1. 유도 결합
  2. 페라이트 결합
  3. 전자기파 결합
  4. 용량성 결합
(정답률: 64%)
  • 원거리장 결합은 전자기파 결합입니다. 이는 리더와 태그 사이에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식으로, 리더와 태그 사이의 거리가 멀어도 통신이 가능합니다. 이는 RFID 기술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기존 태그의 설계를 고쳐 제작하였더니 새 태그는 기존 태그 소비전력의 2배, 안테나 이득은 8배가 되었다. 다른 조건이 동일하고 기존 태그도 이론상 최대 인식 거리에서 인식되었다면 태그의 인식거리는 최대 얼마나 늘었겠는가?

  1. 동일하다.
  2. 1.4배
  3. 2배
  4. 4배
(정답률: 31%)
  • 안테나 이득이 8배가 되었으므로, 태그의 전송 신호가 더욱 강해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인식 거리는 기존 태그의 인식 거리보다 더 멀리까지 인식될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새 태그의 소비 전력이 2배가 되었으므로, 더 많은 전력을 사용하여 더 멀리까지 인식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태그의 인식 거리는 최대 2배까지 늘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EPCglobal Class1 Generation2 태그의 상태가 아닌 것은?

  1. Arbitrate
  2. Reply
  3. Start
  4. Secured
(정답률: 73%)
  • EPCglobal Class1 Generation2 태그의 상태 중에서 "Start"는 실제로 태그가 수행하는 작업이 아니라, 리더기와의 통신을 시작하기 위한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Start"는 태그의 상태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안테나와 태그 칩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부착 및 연결 되는데 안테나 표면에 금속 bump를 생성한 후 태그칩을 뒤집어 칩의 pad를 직접 범퍼에 부착하는 방법은 다음 중 어느 것 인가?

  1. 유체 자가 조립 방식
  2. L자형 슬릿 부착 방식
  3. ACF 접합 방식
  4. 플립 칩 방식
(정답률: 62%)
  • 플립 칩 방식은 안테나 표면에 금속 bump를 생성한 후 태그칩을 뒤집어 칩의 pad를 직접 범퍼에 부착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태그칩과 안테나 사이의 전기적 거리를 최소화하여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태그칩과 안테나 사이에 공간이 없기 때문에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태그 메모리 영역 중에서 실질적인 태그 ID가 저장된 곳으로 오류정정을 위한 CRC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는?

  1. User 메모리
  2. TID 메모리
  3. EPC 메모리
  4. Reserved 메모리
(정답률: 27%)
  • EPC 메모리는 RFID 태그에서 가장 중요한 정보인 태그 ID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이며, 오류정정을 위한 CRC 코드도 함께 저장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EPC 메모리가 정답입니다. User 메모리는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TID 메모리는 제조사에서 할당한 고유한 태그 ID가 저장되어 있습니다. Reserved 메모리는 예약된 메모리 영역으로, 현재는 사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프린터 구동시 대상 물체에 축적된 전하가 급속히 방출되는 정전기 방전(ESD)으로 인해 태그 및 프린터가 손상될 수 있는데 이러한 손상으로부터 프린터 및 태그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프린터 내부에 ESD 브리슬 설치한다
  2. 프린트 된 이후에 태그는 ESD로부터 안전하다
  3. 건조한 환경에서는 가습기를 사용한 상태에서 프린트를 한다
  4. 작업자는 정전기 방지 매트위에서 작업한다
(정답률: 49%)
  • 정답: "프린트 된 이후에 태그는 ESD로부터 안전하다"는 맞지 않는 것이다.

    설명: 프린트 된 이후에도 태그는 여전히 ESD로부터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트 된 이후에도 적절한 ESD 방지 조치를 취해야 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ESD 방지를 위한 적절한 조치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생산라인에서 제품 또는 패키징 과정에서 속도를 줄이지 않고 부착할 수 있는 라벨 부착기는 무엇인가?

  1. 공기압 라벨 부착기
  2. Wipe-on 라벨 부착기
  3. 휴대형 라벨 부착기
  4. 인레이 부착기
(정답률: 34%)
  • Wipe-on 라벨 부착기는 라벨을 롤에서 떼어내어 제품 표면에 빠르게 부착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생산라인에서 속도를 줄이지 않고 부착할 수 있습니다. 반면, 공기압 라벨 부착기는 라벨을 부착하기 위해 공기압을 사용하기 때문에 부착 속도가 느리고, 휴대형 라벨 부착기는 소형 제품에 적합하지만 대량 생산에는 부적합합니다. 인레이 부착기는 라벨이 제품 표면에 노출되지 않는 형태로 부착되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라벨 부착기와는 다른 용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안정적인 RFID 장비 운영을 위하여 지원하는 기능이 나머지와 다른 하나는?

  1. 센서
  2. 네트워크
  3. 전원
  4. 이중화 장비
(정답률: 43%)
  • 센서는 RFID 장비 운영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기능이 아니기 때문에 나머지 기능들과는 다르다. 네트워크는 RFID 태그와 리더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전원은 RFID 장비가 작동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며, 이중화 장비는 장애 발생 시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능이다. 하지만 센서는 RFID 장비 운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동일한 지역에서 많은 무선 주파수 기기를 사용할 경우 주파수 간섭현상이 일어나 급격한 성능저하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회피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전파 차폐제
  2. LBT(Listen Befor Talk)
  3. 흡수제
  4. Tag Spoofing
(정답률: 44%)
  • Tag Spoofing은 무선 주파수 기기의 신호를 가로채서 위조하는 방법으로, 다른 기기들과 충돌하지 않고도 무선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주파수 간섭현상을 회피할 수 없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Tag Spoofin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UHF 대역의 RFID 안테나 도입 시 태그 및 안테나의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서 긴 인식거리가 필요한 환경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안테나 형태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원형편파 안테나
  2. 선형편파 안테나
  3. 슬롯 안테나
  4. 다이폴 안테나
(정답률: 70%)
  • 선형편파 안테나는 방향성이 뚜렷하며, 긴 인식거리를 필요로 하는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보이기 때문에 UHF 대역의 RFID 안테나 도입 시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안테나 형태이다. 이는 안테나의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A사는 새로운 여성 화장품을 기획하면서 개별 상품 관리를 위해 RFID를 도입하고자 한다. A사는 기술 검토를 위해 당신의 회사에 컨설팅을 요청했다고 한다면 컨설턴트 입장에서 RFID 태그를 상품에 부착하기 위해서 고려해야할 기술적 검토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포장 인쇄도료의 특징
  2. 생산과정에서의 컨베이어 밸트의 이동 속도
  3. 화장품 생산환경
  4. 화장품의 생산량
(정답률: 54%)
  • RFID 태그 부착은 상품의 개별 관리를 위한 기술이므로, 가장 중요한 기술적 검토사항은 화장품의 생산량이다. RFID 태그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생산량이 감소하면 비용 측면에서 불리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RFID 태그 부착 방법을 최적화하여 생산량을 유지하면서도 효율적인 개별 관리를 할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RFID 도입에 따른 인식환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리더를 많이 설치하고 안테나를 많이 설치할수록 인식율이 좋아진다
  2. RFID 시스템 도입에서 가장 문제가 되었던 것은 설치환경과 무관한 리더와 태그의 낮은 성능 때문이었다
  3. RFID 태그는 태그 부착면 재질, 태그 프린팅에 따라 인식거리 및 성능이 많이 달라진다
  4. 센서, 경광등, 전원 등은 RFID 시스템 효율, 안정성 등과 관계가 없다
(정답률: 44%)
  • "RFID 태그는 태그 부착면 재질, 태그 프린팅에 따라 인식거리 및 성능이 많이 달라진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태그의 부착면이나 인쇄 등의 요소가 인식 거리와 성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리더나 안테나의 설치 수는 인식율을 높일 수 있지만, 태그 자체의 성능은 부착면과 인쇄 등의 요소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이보다 더 중요한 요소이다. 센서, 경광등, 전원 등은 RFID 시스템의 효율과 안정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일반적으로 RFID 와 바코드를 비교시 다음 중 그 차이를 올바르게 표현하지 못 한 것은?

  1. RFID 태그는 바코드에 비해서는 단가가 높다
  2. 바코드와 RFID 태그의 큰 차이점은 정보의 판독 방법이다
  3. 바코드는 근거리에서 작동하지만 RFID는 무선 신호의 세기에 따라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4. RFID 는 입력된 정보의 수정은 가능하나 바코드처럼 재입력은 불가능하다
(정답률: 52%)
  • 정답: "RFID 는 입력된 정보의 수정은 가능하나 바코드처럼 재입력은 불가능하다"

    이유: RFID 태그는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므로, 정보를 수정할 수 있지만 바코드처럼 물리적으로 스캔하여 재입력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바코드는 광학적으로 정보를 판독하기 때문에, 스캔한 정보를 수정하거나 재입력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RFID에서의 안테나의 역할은 아주 중요하다.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의 역할은 다르지만 RFID 에서는 송수신 구분 없이 사용한다. 이러한 송수신 구분이 없는 현상을 무엇이라 부르는가?

  1. 가역성(reciprocity)
  2. 공진 주파수(resonant frequency)
  3. 이득(gain)
  4. 지향성(directivity)
(정답률: 63%)
  • 가역성(reciprocity)은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의 역할이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안테나가 전파를 송신할 때와 수신할 때의 동작이 같다는 것이다. 따라서 RFID에서는 송수신 구분 없이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보호

43. Air Interface는 리더와 태그 간의 무선 통신을 위한 규약을 말하며, 주파수, 통신 방식, 접속 방식, 변복조 방법 등을 총칭하는 말이다. 아래의 보기들 중 올바르지 않게 짝 지어진 것은?

  1. 주파수 대역 - RFID 에서는 수백 KHz부터 수 GHz 까지를 사용하고 있다. 사용 빈도가 높은 주파수 대역으로는 125/135kHz와 13.56MHz, 860~960MHz, 2.4GHz 등이 있다
  2. 듀플렉싱(Duplexing) - 하나의 단말기에서 송신과 수신의 양방향 통신을 위한 규약을 말한다
  3. 인코딩(Encoding) - 바이너리 디지털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4. 변조 방식 - 진폭편이변조(ASK), 주파수편이변조(FSK), 위상편이변조(PSK), 주파수분할방식(FDD), 시분할방식(TDD)이 사용된다
(정답률: 45%)
  • "듀플렉싱(Duplexing) - 하나의 단말기에서 송신과 수신의 양방향 통신을 위한 규약을 말한다"가 올바르지 않게 짝 지어졌다.

    - 주파수 대역: RFID에서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주로 125/135kHz, 13.56MHz, 860~960MHz, 2.4GHz 등이 사용된다.
    - 듀플렉싱(Duplexing): 단말기에서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전이중(Full Duplex) 방식과 번갈아가며 송신과 수신을 하는 반이중(Half Duplex) 방식이 있다.
    - 인코딩(Encoding): 디지털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한다.
    - 변조 방식(Modulation): 진폭편이변조(ASK), 주파수편이변조(FSK), 위상편이변조(PSK), 주파수분할방식(FDD), 시분할방식(TDD) 등의 방식이 사용된다. 이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신호의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RFID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리더
  2. 호스트 컴퓨터
  3. 태그
  4. 카메라
(정답률: 71%)
  • 카메라는 RFID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RFID 시스템은 리더, 호스트 컴퓨터, 태그로 구성되며, 카메라는 다른 기술과 함께 사용될 수 있지만 RFID 시스템의 핵심 구성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보기의 태그 분류로 알맞은 것은?

  1. 전력 공급 방식에 따른 분류
  2. 주파수에 따른 분류
  3. 태그의 형태에 따른 분류
  4. 안테나 종류에 따른 분류
(정답률: 47%)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전력 공급 방식에 따른 분류로, 각각의 태그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태그의 ID 정보를 가지고 있는 메모리로 태그의 클래스 확인자(class identifier), 제작사, 그리고 태그 모델 넘버 등을 저장하며 읽기 전용인 메모리는 무엇인가?

  1. Reserved 메모리
  2. EPC 메모리
  3. TID 메모리
  4. USER 메모리
(정답률: 46%)
  • TID 메모리는 태그의 ID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클래스 확인자, 제작사, 태그 모델 넘버 등을 저장하는 읽기 전용 메모리이다. 따라서, TID 메모리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I/Q 변조기(In-phase/Quadrature Modulator)에서 두개의 증폭기에 입력되는 위상차이는 얼마인가?

  1. 0도
  2. 90도
  3. 180도
  4. 360도
(정답률: 60%)
  • I/Q 변조기에서는 위상차이가 90도이다. 이는 I 채널과 Q 채널이 서로 직교하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하다. I 채널은 실수부분, Q 채널은 허수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두 신호를 합성하면 원하는 복소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두 개의 증폭기에 입력되는 신호는 90도의 위상차이를 가져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리더의 구성 요소중 다음 보기와 같이 기능을 제어하는 곳은 어디인가?

  1. 태그
  2. 수신부
  3. 송신부
  4. 프로세서
(정답률: 61%)
  • 프로세서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중앙 처리 장치(CPU)로서,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출력하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리더의 구성 요소 중에서도 기능을 제어하는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곳이 프로세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아래의 보기는 어떤 것의 특성에 대해서 나열 해 놓은 것이다. RFID 시스템 중 이러한 특성을 만족시켜야만 안정적으로 그 기능이 구현이 된다. 무엇에 대한 특성인가?

  1. RFID 카드
  2. 리더 무선 송신기
  3. 리더 무선 수신기
  4. RFID 태그
(정답률: 58%)
  • 위의 보기는 RFID 시스템 중 "리더 무선 수신기"에 대한 특성을 나열한 것이다. 이는 RFID 시스템에서 태그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안정적으로 수신하기 위해서는 리더 무선 수신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리더 무선 수신기"이다.

    - RFID 카드: RFID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태그 중 하나로, 정보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 리더 무선 송신기: RFID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리더 중 하나로, 태그에게 정보를 요청하고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 리더 무선 수신기: RFID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리더 중 하나로, 태그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안정적으로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 RFID 태그: RFID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태그 중 하나로, 정보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RFID 송신기는 다른 무선기기, 특히 다른 RFID 리더가 존재할 때 매우 복잡해진다. 송신기에서 방출된 신호가 인근의 여러 리더에 동시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신호가 부드럽게 켜지고 꺼질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두고 있는데 이는 무엇인가?

  1. 감쇄기
  2. 토폴로지
  3. 모뎀
  4. AP
(정답률: 35%)
  • 정답은 "AP"이다. AP는 Access Point의 약자로,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신호를 발생시키고 수신하는 장치이다. RFID 송신기에서 AP는 신호를 부드럽게 켜고 끌 수 있도록 하여 인근의 다른 리더와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감쇄기는 신호의 감쇄를 조절하는 장치, 토폴로지는 네트워크 구성 방식, 모뎀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RFID 리더는 상위 시스템과 연동될 때는 API를 통하든 그렇지 않든 간에 서로 다른 두 시스템 간의 통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기종 시스템과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ISO에서는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란 모델로 정리하고 7계층으로 이를 나누어 각각의 프로토콜을 정의 하였다. 다음 보기 중 이 7계층 간의 용어와 정의가 잘 못 짝지어진 것은?

  1.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장치들의 전기적, 물리적 세부 사항들을 정의하는 최하위 계층
  2.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 개체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전송방식, 물리 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검출 및 처리, 수정하는 데 필요한 기능적/절차적 수단을 제공하는 계층
  3.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 양 끝단의 두 장치 간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달을 위한 계층
  4.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 사용자가 다른 데이터 구조를 처리하는 부담을 덜어준다. 이 계층에서는 양단의 상이한 데이터 표현 방식 및 부호 체계, 암호화 등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정답률: 48%)
  • 정답: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 개체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전송방식, 물리 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검출 및 처리, 수정하는 데 필요한 기능적/절차적 수단을 제공하는 계층"

    네트워크 계층은 양 끝단의 두 장치 간의 경로 설정 및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입니다. 이 계층에서는 IP 주소를 할당하고 라우팅을 수행하여 데이터가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달을 위한 계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네트워크 계층은 데이터를 보내는 쪽과 받는 쪽 간의 경로를 설정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RFID 리더 통신 설정 중 시리얼 통신의 설정 파라미터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Baud Rate
  2. Stop Bit 수
  3. Bus Bit 수
  4. Parity의 종류
(정답률: 55%)
  • Bus Bit 수는 시리얼 통신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비트 수를 나타내며, 다른 설정 파라미터들은 데이터 전송 속도나 오류 검출 등과 관련된 것이므로 거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Bus Bit 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RFID 미들웨어의 대표적인 응용 사례인 항공 수하물 관리 서비스의 서비스 구성 순서로 옳은 것은?

  1. 태그 데이터 수집 → 필터링 → 수하물 관리 시스템 전달 → 수하물 관리 데이터베이스와 연동 및 서비스 제공
  2. 수하물 관리 데이터베이스 연동 → 태그 데이터 수집 → 필터링 → 수하물 관리 시스템 전달 및 서비스 제공
  3. 태그 데이터 수집 → 수하물 관리 시스템 전달 → 수하물 관리 데이터베이스와 연동 → 필터링 및 서비스 제공
  4. 태그 데이터 수집 → 수하물 관리 데이터베이스와 연동 → 필터링 → 수하물 관리 시스템 전달 및 서비스 제공
(정답률: 52%)
  • 정답은 "태그 데이터 수집 → 필터링 → 수하물 관리 시스템 전달 → 수하물 관리 데이터베이스와 연동 및 서비스 제공" 입니다.

    RFID 태그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한 후, 수하물 관리 시스템으로 전달합니다. 이후 수하물 관리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태그 데이터 수집 → 필터링 → 수하물 관리 시스템 전달 → 수하물 관리 데이터베이스와 연동 및 서비스 제공이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도입절차

54. 현재의 RFID 기술은 보안 기능이 취약하여 많은 위협에 노출된 상태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RFID 프라이버시 보호 가이드라인의 표준화를 추진 중에 있다. 아래의 보기 중 RFID 프라이버시 보호 가이드라인의 표준화 목적에 가장 가까운 것은?

  1. RFID는 사물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2. RFID 시스템의 이용에 따른 이용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안전한 RFID 이용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3. 프라이버시를 존중하기 위한 비공개(이중)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다
  4. 투명성을 위해서 모든 물품의 정보 수집이 반드시 필요하다
(정답률: 56%)
  • 정답: RFID 시스템의 이용에 따른 이용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안전한 RFID 이용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설명: RFID 기술은 개인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호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의 표준화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개인 정보 유출 등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안전한 RFID 이용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RFID 태그를 적용하여 업무나 프로세스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원활한 업무 수행이 가능한 수준의 성능이 요구된다. 적용 업무에 따른 고려사항으로 가장 거리 가 먼 것은?

  1. 태그에 저장할 코드 용량
  2. 요구되는 인식거리
  3. 인식이 가능한 태그의 이동 속도
  4. 태그 부착 대상의 형태
(정답률: 36%)
  • 태그 부착 대상의 형태가 가장 거리가 먼 고려사항인 이유는 다른 성능 요구사항들은 기술적인 개선으로 보완할 수 있지만, 태그 부착 대상의 형태는 개선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물건에 부착되는 태그는 물건의 크기, 형태, 재질 등에 따라 인식이 어려울 수 있으며, 사람에 부착되는 태그는 몸의 움직임에 따라 인식이 불안정할 수 있다. 따라서, 태그 부착 대상의 형태를 고려하여 적절한 태그를 선택하고 부착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현재 RFID 기술을 주파수 대역별로 나누는 이유는 주파수 대역별 전파 특성 때문에 RFID 시스템의 구성, 태그나 리더의 내ㆍ외부 구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 이다. 여기에서 주파수 대역별 전파 특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고주파의 경우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기 용이하다
  2. 고주파의 경우 외부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3. 저주파는 잡음의 영향을 고주파에 비해 덜 받는다
  4. 저주파는 고주파의 비해 태그의 크기가 작아진다
(정답률: 71%)
  • 저주파는 고주파에 비해 파장이 길기 때문에, 태그와 리더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도 전파가 전달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태그의 크기를 작게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RFID 표준화 작업의 대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RFID 태그와 리더 간의 통신 방식
  2. 사용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별 Air Interface
  3. 미들웨어와의 연동 인터페이스
  4. TCP/IP 프로토콜
(정답률: 67%)
  • TCP/IP 프로토콜은 인터넷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RFID 기술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RFID 표준화 작업의 대상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RFID 표준화 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ISO 산하의 TC104에서는 컨테이너 관련 RFID 표준화를 담당한다
  2. 대표적인 조직으로는 국제표준화기구인 EPCglobal과 사실상의 표준화 규격을 제시하는 ISO/IEC가 있다
  3. JTC1/SC17에서는 사람 중심의 IC 카드에 대한 표준화 심의를 수행한다
  4. JTC1/SC31 산하의 WG4에서 사물 관리를 위한 RFID에 대한 표준을 담당한다
(정답률: 36%)
  • "JTC1/SC17에서는 사람 중심의 IC 카드에 대한 표준화 심의를 수행한다"는 RFID와 관련이 없는 IC 카드에 대한 내용이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ISO/IEC는 국제적인 표준화 기구로서, EPCglobal은 RFID 기술을 위한 국제적인 표준화 조직이다. TC104은 컨테이너 관련 RFID 표준화를 담당하며, JTC1/SC31 WG4는 사물 관리를 위한 RFID에 대한 표준을 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이 주파수 대역은 축산물 유통이나 출입카드 등에서 활용되며 Air Interface 표준은 ISO/IEC 18000-2 이다. 통신 방식은 FDX(Full DupleX)나 HDX(Half DupleX)을 사용하며 변조방식은 OOK(100% ASK) 이다. 이 주파수 대역은?

  1. 135KHz 이하
  2. 13.56MHz
  3. 860 ~ 960MHz
  4. 2.45GHz
(정답률: 39%)
  • 이 주파수 대역은 "135KHz 이하"이다. 이는 축산물 유통이나 출입카드와 같은 저주파 대역에서 사용되는 RFID 기술이기 때문이다. 저주파 대역은 전파가 장애물을 통과하기 쉽고, 짧은 거리에서 통신이 가능하며, 안테나 크기가 작아지는 등의 장점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용도에 적합하다. 따라서, 13.56MHz, 860 ~ 960MHz, 2.45GHz와 같은 고주파 대역은 이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점유 주파수 대역폭의 계산식은 아래와 같다. 전송 속도가 40kbps 이고 DSB일 경우 채널 주파수 점유 대역폭은 얼마인가?

  1. 100 KHz
  2. 100 MHz
  3. 200 KHz
  4. 200 MHz
(정답률: 45%)
  • DSB(Double Side Band) 방식에서는 주파수 대역폭이 전송 속도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점유 주파수 대역폭 = 전송 속도 / 2

    따라서, 전송 속도가 40kbps일 때, 점유 주파수 대역폭은 20kHz가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가 KHz가 아닌 MHz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20kHz를 1000으로 나누어 0.02MHz로 변환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200 KHz"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RFID 프라이버시 위험요인과 거리가 먼 것은?

  1. 숨겨진 태그
  2. 물품에 대한 유일한 식별 정보
  3. 숨겨진 리더
  4. 훼손된 태그
(정답률: 47%)
  • 훼손된 태그는 RFID 기술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프라이버시 위험요인과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태그가 손상되어 정보를 제대로 전송하지 못하거나, 정보가 왜곡되어 전송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훼손된 태그는 물품에 대한 유일한 식별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며, 숨겨진 태그나 리더와 같은 프라이버시 위험요인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RFID관련 프라이버시 보호 가이드라인과 관련하여 정보의 수집과 이용제한 및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한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

  1. RFID 내 개인정보의 목적 및 내용 대조를 통한 정확성 확보
  2. RFID 내 개인정보의 멸실, 훼손, 수정방지
  3. RFID 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 확보
  4. RFID 내 개인정보의 누설 방지
(정답률: 58%)
  • RFID 기술은 물건의 위치와 상태 등을 추적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개인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 확보는 RFID 기술과는 거리가 먼 내용입니다. 개인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은 보안적으로 안전한 곳에 위치해야 하며, 이는 RFID 기술의 주요 목적과는 다릅니다. 따라서 "RFID 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 확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RFID사업 추진시 프라이버시 보호 원칙을 적용하기 위한 ‘RFID도입’ 단계에 해당하는 내용은?

  1. 개인정보 기록의 제한
  2. 개인정보 수집의 제한
  3. 개인정보의 이용/제공 제한
  4. 물품정보와 개인정보와 연계 제한
(정답률: 26%)
  • RFID사업 추진시 프라이버시 보호 원칙을 적용하기 위한 ‘RFID도입’ 단계에서는 개인정보 기록의 제한이 중요합니다. 이는 RFID 기술을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수집하거나 저장하는 것을 제한하고, 필요한 경우에도 최소한의 개인정보만을 수집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정보 유출 등의 문제를 예방하고,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RFID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최소한의 가이드 라인 내용에서의 주요원칙이 아닌 것은?

  1. 사전 신고의 원칙
  2. 추적시스템 제한적 도입의 원칙
  3. 다중 선택의 원칙
  4. 선택 가능성의 원칙
(정답률: 46%)
  • 다중 선택의 원칙은 RFID 기술에서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주요 원칙이 아닙니다. 다른 세 가지 원칙은 모두 RFID 기술에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중요한 원칙입니다. 사전 신고의 원칙은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사전 동의를 받는 것을 의미하며, 추적시스템 제한적 도입의 원칙은 RFID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을 제한하여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선택 가능성의 원칙은 개인이 자신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공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RFID 표준 및 법제도

65. 다음 중 RFID 도입을 위한 조직 구성 중 프로젝트 개발팀의 역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RFID 도입 비용 분석
  2. RFID 시스템 제품 요구사항 작성
  3. RFID 표준 프로토콜의 개발
  4. RFID 시스템 설치
(정답률: 40%)
  • RFID 표준 프로토콜의 개발은 조직 구성 중 프로젝트 개발팀의 역할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RFID 기술 자체에 대한 표준화가 이미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프로젝트 개발팀은 RFID 시스템 제품 요구사항 작성, RFID 도입 비용 분석, RFID 시스템 설치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은 RFID 시스템의 어떤 부분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인가? 각 측정을 거친 응용프로그램이 전체 시스템 운용에서 안정적으로 구동되는가를 검정하는 것으로 측정은 해당 응용프로그램과 관련된 업무절차에 따라 초기 데이터입력에서 최종 산출물까지를 점검하여 확인한다

  1. 장비측정
  2. 단위측정
  3. 통합측정
  4. 인수측정
(정답률: 50%)
  • 인수측정은 전체 시스템 운용에서 안정적으로 구동되는지를 검증하는 것으로, 해당 응용프로그램과 관련된 업무절차에 따라 초기 데이터입력에서 최종 산출물까지를 점검하여 확인한다. 따라서, RFID 시스템의 어떤 부분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수측정이 선택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RF 영역을 결정하기 위해 설치 시 고려되어야 하는 중요한 사항이 아닌 것은?

  1. RS-232, RS-422 등의 통신 지원
  2. 안테나 설치 위치 및 각도
  3. 설치 안테나의 개수
  4. 리더의 출력 감쇠 조절
(정답률: 32%)
  • RS-232, RS-422 등의 통신 지원은 RF 영역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아닙니다. 이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RF 영역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RF 영역을 결정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중요한 사항은 안테나 설치 위치 및 각도, 설치 안테나의 개수, 리더의 출력 감쇠 조절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아래의 내용에서 RFID 시스템 측정 목적에 해당되는 것을 모두 고르시오

  1. (ㄱ), (ㄴ), (ㄷ), (ㄹ)
  2. (ㄱ), (ㄷ), (ㄹ)
  3. (ㄷ), (ㄹ)
  4. (ㄱ), (ㄹ)
(정답률: 57%)
  • - (ㄱ) RFID 태그의 위치와 이동 경로를 추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
    - (ㄴ) RFID 태그의 배터리 수명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
    - (ㄷ) RFID 태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여 신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
    - (ㄹ) RFID 리더기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여 리더기의 위치와 신호 범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 (ㄹ)"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RFID 시스템 측정 방법 중 단위 측정이 완료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모듈 간의 기능 및 상호 인터페이스에 대한 완전성을 측정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1. 단위 측정
  2. 통합 측정
  3. 성능 측정
  4. 인수 측정
(정답률: 52%)
  • 통합 측정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모듈 간의 기능 및 상호 인터페이스에 대한 완전성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단위 측정에서 개별적으로 테스트된 각각의 모듈을 통합하여 전체 시스템의 동작을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통합 측정은 시스템의 실제 동작을 확인하고 문제를 발견하여 수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에서 비즈니스 기능모델에서 정의된 하나 하나의 기능들을 상호 객체들 간의 세부적인 흐름과 관계를 식별하여 설계하는 것을 지칭하는 RFID 시스템의 업무 기능구조 관점은?

  1.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
  2. 비즈니스 개념 모델
  3. 비즈니스 기능 모델
  4.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정답률: 44%)
  • RFID 시스템의 업무 기능구조를 설계하는 것은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의 관점에 해당합니다. 이는 각각의 비즈니스 기능들을 사용자(Actor)와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으로 표현하며, 세부적인 흐름과 관계를 식별하여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설계하는 데에 유용합니다. 따라서,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은 RFID 시스템의 업무 기능구조를 설계하는 데에 적합한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에서 해상 컨테이너용 RFID 표준으로 860 ~ 960MHz 대역을 사용하는 RFID 시스템의 규격을 규정하고 있는 표준은?

  1. ISO 69873
  2. ISO 14815
  3. ISO 10374
  4. ISO 11784
(정답률: 40%)
  • 정답은 "ISO 10374"입니다. 이는 해상 운송에 사용되는 컨테이너용 RFID 시스템의 규격을 규정하는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860 ~ 960MHz 대역을 사용하며, 컨테이너의 위치, 상태, 운송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해상 운송 산업에서 RFID 기술을 적용할 때 이 표준을 준수하여 시스템을 구축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RFID 표준화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RFID 기술이 가지고 있는 기능들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키기 위한 작업이다
  2. 다양한 통신 방식과 고도의 정보 기술의 응용으로 복잡해진 이들 간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3. 태그 리더간의 통신에 관련한 기능들을 서로 호환될 수 있도록 규격화하여 서계 어느 나라에서도 호환 되는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다
  4. RFID 표준을 적용하기 위하여 일정 비용을 지불 해야 한다
(정답률: 60%)
  • "RFID 표준을 적용하기 위하여 일정 비용을 지불 해야 한다"는 설명이 가장 거리가 먼 것이 아닌가요? 이유는 RFID 표준화는 국제적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이며, 이를 위한 비용은 국가나 기업 등에서 부담하게 됩니다. 따라서 개인이 RFID 표준을 적용하기 위해 비용을 지불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표준화 작업을 하는 그룹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WG1-데이터 캐리어
  2. WG2-데이터 구조
  3. WG3-실시간 위치 시스템
  4. WG4-사물 관리를 위한 RFID
(정답률: 66%)
  • WG1은 데이터 캐리어, WG2는 데이터 구조, WG4는 사물 관리를 위한 RFID와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는 그룹이지만, WG3은 실시간 위치 시스템과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는 그룹이 아니기 때문에 잘못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에서 주파수 호핑 대역방식(FHSS)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FHSS방식은 Anti-Jamming 등의 목적으로 개발되었음
  2. 빠른 시간에 랜덤하게 여러 주파수로 호핑하여 간섭 및 충돌에 강함
  3. FHSS 방식을 이용하여 물류에 대한 인식률을 높일 수 있음
  4. 일반적으로 좁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곳에서 적합함
(정답률: 30%)
  • "FHSS방식은 Anti-Jamming 등의 목적으로 개발되었음", "빠른 시간에 랜덤하게 여러 주파수로 호핑하여 간섭 및 충돌에 강함", "FHSS 방식을 이용하여 물류에 대한 인식률을 높일 수 있음"은 모두 FHSS 방식의 특징이나 장점을 설명한 것이고, "일반적으로 좁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곳에서 적합함"은 FHSS 방식이 좁은 주파수 대역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FHSS 방식은 좁은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는 간섭과 충돌을 피하기 위해 빠르게 여러 주파수로 호핑하기 때문에,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더 많은 간섭과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FHSS 방식은 일반적으로 좁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곳에서 더욱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에서 2.45GHz(ISO/IEC 18000-4)대역 RFID의 특징이 아닌 것은 ?

  1. 수동형 및 능동형 표준을 기반으로 한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됨
  2. 응용분야로는 자산관리, 유통물류, 통행료 자동 징수 등에 사용되고 있음
  3. 통신방식에 따라 모드1과 모드2로 구분되며, 상호 호환되지 않음
  4. 모드2의 태그변조방식은 후방산란 방식임
(정답률: 27%)
  • "모드2의 태그변조방식은 후방산란 방식임"이 아닌 것은 "모드1과 모드2로 구분되며, 상호 호환되지 않음"입니다.

    모드1과 모드2는 RFID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두 가지 통신 방식입니다. 모드1은 단방향 통신 방식으로, 리더기가 태그에게 질문을 하고 태그가 응답하는 방식입니다. 반면에 모드2는 양방향 통신 방식으로, 리더기와 태그가 서로 대화하는 방식입니다.

    태그변조방식은 RFID 시스템에서 태그가 리더기에게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후방산란 방식은 태그가 리더기의 신호를 받아들인 후, 그 신호를 반사하여 리더기에게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모드2에서 사용되는 태그변조방식이 후방산란 방식인 것은, 태그가 리더기의 신호를 받아들인 후에 그 신호를 반사하여 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에서 국내 433MHz주파수 대역의 RFID 무선설비의 기술기준이 아닌 것은?

  1. 항만, 내륙컨테이너 집하장, 부두창고 등 컨테이너 집하관리장소에 한해 사용됨
  2. 통신속도가 느리고, 인식거리가 짧음
  3. 컨테이너 관리용 전자봉인(e-Seal)의 기반기술로 사용되고 있음
  4. 태그와 리더사이의 통신시 대역폭이 서로 다른 것이 특징임
(정답률: 68%)
  • "항만, 내륙컨테이너 집하장, 부두창고 등 컨테이너 집하관리장소에 한해 사용됨"은 국내 433MHz주파수 대역의 RFID 무선설비의 기술기준 중 하나이지만, "통신속도가 느리고, 인식거리가 짧음"은 기술기준이 아닙니다. 이유는 433MHz 주파수 대역은 전파의 파장이 길어서 통신속도가 느리고, 전파의 진폭이 작아서 인식거리가 짧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기술기준이 아닌 물리적인 특성입니다. "컨테이너 관리용 전자봉인(e-Seal)의 기반기술로 사용되고 있음"과 "태그와 리더사이의 통신시 대역폭이 서로 다른 것이 특징임"은 국내 433MHz주파수 대역의 RFID 무선설비의 기술기준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출생내력 등 식별정보가 입력된 칩을 동물에 이식하여 혈통 관리 및 위치 파악에 많이 활용하는 RFID 주파수 대역은?

  1. 125kHz
  2. 13.56MHz
  3. 433.92MHz
  4. 2.45GHz
(정답률: 62%)
  • 125kHz 주파수 대역은 비교적 짧은 거리에서도 안정적인 신호를 보내고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동물 등 작은 물체에 이식하여 사용하기 적합하며, 또한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많이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일정한 지역 내에서 채널수보다 많은 수의 리더기가 설치되어 운용될 경우 리더 간 상호 간섭 영향을 최소 화하기 위해 900MHz 대역에서 정의된 것은?

  1. RN-16
  2. Dense Reader Mode
  3. RBW
  4. Anti-Jamming
(정답률: 61%)
  • Dense Reader Mode는 일정한 지역 내에서 채널수보다 많은 수의 리더기가 설치되어 운용될 경우 리더 간 상호 간섭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900MHz 대역에서 정의된 모드입니다. 이 모드는 리더 간 충돌을 방지하고, 리더 간 간섭을 최소화하여 RFID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Dense Reader Mode가 정답입니다. RBW는 Resolutions Bandwidth, Anti-Jamming은 방해 방지 기술을 의미합니다. RN-16은 RFID 기술 표준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의 EPCglobal Class1 Generation2의 특성 중에서 잘못된 것은?

  1. 초당 640Kbytes 이상의 빠른 속도
  2. 단일 리더 모드만 지원
  3. 벤더마다 별도의 데이터 메모리 지원이 가능
  4. 초당 네 개 이상 동시 쓰기 기능 지원
(정답률: 42%)
  • EPCglobal Class1 Generation2는 단일 리더 모드만 지원하지 않습니다. 여러 리더가 동시에 태그를 읽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일 리더 모드만 지원"은 잘못된 특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EPC 구성요소인 ALE(Application Level Events)의 특징인 것은?

  1. EPCglobal 네트워크 구성원 간의 데이터 교환의 주요 수단
  2. raw EPC자료를 얻고, 해당 데이터를 필터링과 계산 하고, 응용사이에 독립적 구조 제공
  3. 실시간 이벤트 정보를 관리하고 구성원의 기존 시스템과 연동하기 위한 정보 관장
  4. 미들웨어로부터 태그 이벤트 정보를 받아 이를 이용해 상품의 상태 및 추적 정보를 생성하여 로컬 저장소에 저장하고 관리
(정답률: 40%)
  • ALE(Application Level Events)은 raw EPC 자료를 얻고, 해당 데이터를 필터링과 계산하여 응용사이에 독립적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를 통해 EPCglobal 네트워크 구성원 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