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ID-GL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11-17)

RFID-GL
(2013-11-1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RFID 시스템 개요

1. 다음 중 RFID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무선 주파수를 이용해 사물에 내장된 정보를 읽어 내는 기술이다.
  2. 전자 태그를 사물에 부착하여 언제나, 어떠한 상황에서도 항상 사물을 인식하거나 사물이 주의사항을 인지할 수 있게 한다.
  3. 기존 IT 시스템과 실시간으로 정보 교환ㆍ처리를 할 수 있게 한다.
  4. 각종 물류, 산업현장, 제조 공장 등에서 주로 적용 되고 있다.
(정답률: 63%)
  • "각종 물류, 산업현장, 제조 공장 등에서 주로 적용 되고 있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RFID는 무선 주파수를 이용해 사물에 내장된 정보를 읽어내는 기술로, 전자 태그를 사물에 부착하여 언제나, 어떠한 상황에서도 항상 사물을 인식하거나 사물이 주의사항을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기존 IT 시스템과 실시간으로 정보 교환ㆍ처리를 할 수 있게 하므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일반적으로 RFID와 바코드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RFID는 바코드에 비하여 비싸다.
  2. RFID는 무선 신호의 세기에 따라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3. 바코드는 제한된 정보만을 제공할 수밖에 없다.
  4. RFID의 경우 수정 또는 재입력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78%)
  • RFID의 경우 수정 또는 재입력이 불가능한 이유는 바로 RFID 태그에 저장된 정보가 일회성이기 때문이다. 즉, 태그에 저장된 정보는 한 번 쓰이면 수정이나 재입력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정보를 수정하거나 재입력해야 할 경우에는 새로운 RFID 태그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리더와 수동형 태그의 동작 원리를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가 - 나 - 다 - 라
  2. 나 - 라 - 다 - 가
  3. 가 - 나 - 라 - 다
  4. 나 - 다 - 라 - 가
(정답률: 66%)
  • 나 - 리더가 태그를 읽어들이고, 해당 태그에 대한 정보를 컴퓨터에 전달한다.
    라 - 컴퓨터는 해당 태그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고, 필요한 작업을 수행한다.
    다 - 수동형 태그는 외부적인 에너지(예: 전자파)를 이용하여 리더와 통신하고, 리더는 해당 에너지를 감지하여 태그 정보를 읽어들인다.
    가 -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리더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이용하며, 수동형 태그는 주로 바코드와 같은 정보를 담고 있다. 따라서, 나 - 라 - 다 - 가 순서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안테나로부터 일정한 거리에서 안테나 주변의 위치에 따라 복사 전계의 크기를 그린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방사 패턴
  2. 실효 등방성 복사 전력
  3. 지향성
  4. 입력 임피던스
(정답률: 68%)
  • 안테나 주변에서 발생하는 복사 전계의 크기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을 방사 패턴이라고 합니다. 이 그래프는 안테나의 지향성과 입력 임피던스 등의 특성을 나타내며, 실효 등방성 복사 전력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RFID 기술

5. 다음 중 전자파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RFID에 사용되는 주파수는 13.56MHz, 433MHz, 2.45GHz 등이 있다.
  2. 파장과 주파수는 상호 반비례 관계이다.
  3. 910MHz 주파수의 파장은 약 33cm이다.
  4. 유전체와 자성체로 구성되는 매질에서 빛의 속도로 진행한다.
(정답률: 59%)
  • "유전체와 자성체로 구성되는 매질에서 빛의 속도로 진행한다."는 전자파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광파에 대한 설명이다. 전자파는 진공이나 공기와 같은 매질에서도 진행할 수 있다.

    유전체와 자성체로 구성되는 매질에서 빛의 속도로 진행한다는 것은 광파가 진행할 때 매질 내에서 느려지는 현상을 설명하는 것이다. 이는 광섬유 통신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전자파의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전달 경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도전성이 높은 큰 물체에 전자파가 입사되면 대부분 투과한다.
  2. 반사는 입사 전자파의 파장보다 큰 물체에 파가 입사될 때 일어난다.
  3. 송수신기가 가시거리 경로에 놓여 있지 않은 경우에도 산란에 의해 전파가 수신기에 도달한다.
  4. 회절은 파장에 비해 매우 작은 구조물들로 구성되는 매질을 전자파가 통과할 때 발생한다.
(정답률: 49%)
  • 정답은 "반사는 입사 전자파의 파장보다 큰 물체에 파가 입사될 때 일어난다."이다. 이유는 전자파가 물체와 만나면 그 물체의 표면에서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흡수되거나 투과된다. 이 때, 반사가 일어나는 조건은 전자파의 파장보다 큰 물체에 파가 입사될 때이다. 이는 파장이 큰 전자파는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되기 쉽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RFID 안테나의 전송 케이블과 커넥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동축 케이블이 사용된다.
  2. 전송 선로 종단에 연결되는 부하 값에 관계없이 특성 임피던스 값은 동일하다.
  3. 전송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로 50Ω과 75Ω이 흔하게 사용된다.
  4. UHF 대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커넥터는 50Ω용 SMA이다.
(정답률: 55%)
  • "전송 선로 종단에 연결되는 부하 값에 관계없이 특성 임피던스 값은 동일하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전송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송 케이블과 커넥터를 설계할 때에는 이 특성 임피던스를 고려하여 제작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설명 중 RFID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원거리에서도 물리적 접촉 없이 인식 가능하다.
  2. 스마트카드에 비해서는 메모리 용량이 크다.
  3.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수동형 태그의 송수신 형태는 자기장에 반응하여 동작하는 방법과 전자장에 반응하는 방법이 있다.
  4. 리더는 보통 컴퓨터나 PDA 등에 연결되어 운용되며, 응용 목적에 따라 운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RFID 시스템을 제어한다.
(정답률: 56%)
  • "스마트카드에 비해서는 메모리 용량이 크다."는 RFID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습니다.

    RFID 기술은 스마트카드와는 다른 용도로 사용되며, 메모리 용량의 크기는 사용되는 태그의 종류와 용도에 따라 다릅니다. 따라서 스마트카드와 비교하여 메모리 용량이 크다는 설명은 일반화된 설명으로 옳지 않습니다.

    정답: 스마트카드에 비해서는 메모리 용량이 크다. (X)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리더와 태그 간의 데이터 전송 시 리더의 안테나는 고정되어 있고, 태그는 규칙성이 없는 임의의 방향으로 놓여 있다. 태그 안테나의 특성이 선형편파일 때 효율적인 데이터 수신을 위한 리더 안테나의 편파는 무엇인가?

  1. 선형 편파
  2. 원형 편파
  3. 수평 편파
  4. 수직 편파
(정답률: 62%)
  • 원형 편파는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전파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태그가 어떤 방향에 위치하더라도 안테나 간의 편광 차이가 발생하지 않아 데이터 전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반면에 선형 편파, 수평 편파, 수직 편파는 특정 방향으로 전파가 집중되기 때문에, 태그의 위치에 따라 안테나 간의 편광 차이가 발생하여 데이터 전송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원형 편파가 가장 효율적인 데이터 수신을 위한 리더 안테나의 편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RFID 태그가 부착된 물질의 종류에 따라 RFID 무선 신호가 투과할 수 있는 두께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900MHz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 아래 물질 중 투과 두께가 큰 것에서 작은 것 순서로 나열하면?

  1. ⓑ > ⓒ > ⓔ > ⓐ > ⓓ
  2. ⓓ > ⓑ > ⓒ > ⓔ > ⓐ
  3. ⓓ > ⓒ > ⓑ > ⓐ > ⓔ
  4. ⓑ > ⓓ > ⓒ > ⓔ > ⓐ
(정답률: 57%)
  • RFID 무선 신호의 투과 두께는 물질의 전기적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전기적 특성이 비슷한 물질일수록 투과 두께이 크다. 따라서, 물질의 종류를 전기적 특성에 따라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유리) > ⓒ(나무) > ⓑ(플라스틱) > ⓐ(알루미늄) > ⓔ(철)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최근 RFID 분야에서 사용되는 칩리스(Chipless) 태그중 인쇄형 RFID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저렴한 폴리머 소재를 많이 이용하며, 제조 기법도 비교적 간단하다.
  2. 반도체를 실리콘이 아닌 유기물로 제작하여 가격이 저렴한 것이 특징이다.
  3. 롤(roll-to-roll) 공정이 가능하여 안테나와 태그를 동시에 형성시킬 수 있다.
  4. 수동형에만 적용 가능한 단점이 있으나, 사용되는 유기물들의 안정성이 높아 시간 경과에 따른 성능 저하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정답률: 60%)
  • 수동형에만 적용 가능한 단점이 있으나, 사용되는 유기물들의 안정성이 높아 시간 경과에 따른 성능 저하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인쇄형 RFID 기술은 일반적으로 저렴한 폴리머 소재를 이용하며, 제조 기법도 비교적 간단하다. 반도체를 실리콘이 아닌 유기물로 제작하여 가격이 저렴한 것이 특징이며, 롤(roll-to-roll) 공정이 가능하여 안테나와 태그를 동시에 형성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그림은 RFID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부호화 방식중 맨체스터(Manchester) 방식으로 11개 비트의 디지털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결과이다. 아래 그림에서 첫 번째 비트값이 1이라면 2번째부터 9번째까 지의 8개 비트값을 16진수로 변환한 값은?

  1. B1
  2. 4E
  3. 3B
  4. CE
(정답률: 57%)
  • Manchester 부호화 방식에서는 1과 0의 신호가 각각 상승(edge)과 하강(edge)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그림에서 2번째부터 9번째까지의 비트값을 보면, 상승과 하강이 번갈아가며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10101010과 같은 패턴을 이루고 있으므로, 16진수로 변환하면 B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그림은 UHF 대역 수동형 RFID 태그의 아날로그 회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A에 들어갈 것은 무엇인가?

  1. 클록 발생기
  2. 정합회로
  3. 리셋회로
  4. 복조기
(정답률: 58%)
  • A에 들어갈 것은 "안테나"이다.

    정답이 "정합회로"인 이유는 UHF 대역에서는 안테나와 RFID 태그 사이의 임피던스 매칭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안테나와 태그의 임피던스가 일치하지 않으면 전력 손실이 발생하고 통신 거리가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안테나와 태그 사이에는 정합회로가 필요하다. 정합회로는 안테나와 태그의 임피던스를 일치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안테나의 크기를 D, 파장을 λ라고 할 때, 근거리장과 원거리장의 경계는?

  1. 2D/λ2
  2. 2D22
  3. 2D/λ
  4. 2D2
(정답률: 72%)
  • 안테나의 크기 D는 파장 λ보다 크거나 같아야 효과적인 전파 수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D/λ ≥ 1 이어야 한다.

    근거리장과 원거리장은 안테나와 송신기 또는 수신기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근거리장은 안테나와 송신기 또는 수신기 사이의 거리가 파장보다 작을 때, 원거리장은 안테나와 송신기 또는 수신기 사이의 거리가 파장보다 클 때 발생한다.

    근거리장과 원거리장의 경계는 D/λ = 1 일 때이다. 이때의 거리를 장거리장이라고 한다.

    따라서, D/λ = 1 일 때의 거리를 장거리장이라고 하고, 이때의 거리는 2D2/λ 이다. 따라서 정답은 "2D2/λ"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설명의 빈칸에 들어갈 태그의 상태는 무엇인가 ?

  1. Ready
  2. Acknowledged
  3. Arbitrate
  4. Open
(정답률: 52%)
  • 빈칸에 들어갈 태그의 상태는 "Open"이다.

    "Arbitrate"가 정답인 이유는 이미지에서 보이는 두 개의 컴퓨터 사이에 있는 중재자(화살표가 가리키는 부분) 때문이다. 이 중재자는 두 컴퓨터 간의 통신이 원활하지 않을 때 중재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상태를 "Arbitrate"라고 부른다. 그러나 이미지에서는 중재자의 상태가 "Ready"이므로 "Arbitrate"는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태그의 TID 메모리 영역에 들어있는 정보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태그의 클래스 확인자
  2. 오류 확인을 위한 CRC 코드
  3. 제작사
  4. 태그 모델 넘버
(정답률: 70%)
  • 정답은 "제작사"입니다.

    태그의 TID 메모리 영역에는 태그의 클래스 확인자, 태그 모델 넘버, 그리고 오류 확인을 위한 CRC 코드가 들어있습니다. 이 중에서 제작사는 TID 메모리 영역에 들어있지 않습니다.

    CRC 코드는 주로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데이터를 전송할 때, 송신 측에서 데이터에 대한 CRC 코드를 계산하여 함께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는 받은 데이터에 대해 다시 CRC 코드를 계산하여 송신 측에서 보낸 CRC 코드와 비교합니다. 만약 두 CRC 코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고, 다시 전송하게 됩니다. 따라서 CRC 코드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리더가 태그의 Access 과정에 사용하는 명령으로 설명이 잘못된 것은 무엇인가?

  1. Req_RN 명령 : 태그 메모리의 특정 뱅크에서 데이터를 쓸 때 사용
  2. Read 명령 : 태그 메모리의 특정 뱅크에서 데이터를 읽어 올 때 사용
  3. Kill 명령 : 태그를 무력화시켜 사용할 수 없도록 한다.
  4. Lock 명령 : 메모리 뱅크 또는 특정 비밀번호에 대해 읽기 및 쓰기 권한을 설정
(정답률: 60%)
  • 정답은 "Req_RN 명령 : 태그 메모리의 특정 뱅크에서 데이터를 쓸 때 사용"이다. Req_RN 명령은 태그의 랜덤 번호를 요청하는 명령으로, 데이터를 쓰는 명령이 아니다. 데이터를 쓰는 명령은 Write 명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리더는 송신부, 수신부, 프로세서부로 나뉜다. 프로세서부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미들웨어 시스템과 네트워크 통신을 제공한다.
  2. 리더의 기능을 제어한다.
  3. 리더의 메모리를 제어한다.
  4. 태그의 기본적인 OS(Operation System)를 제공한다.
(정답률: 60%)
  • 태그는 일반적으로 작은 용량의 메모리와 제한된 처리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태그의 기본적인 OS를 제공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태그의 기본적인 OS(Operation System)를 제공한다."는 옳지 않은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리더 인터페이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리더와 외부의 인터페이스는 용도에 따라 통신, 안테나, 테스트 포트 등으로 분류 할 수 있다.
  2. 테스트 포트는 리더의 정상 동작 여부 검증, 또는 소프트웨어의 수정을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3. 모노스태틱 리더의 안테나는 송신 전용으로 사용한다.
  4. 바이스태틱 리더는 송수신 안테나를 구분해서 사용한다.
(정답률: 68%)
  • "모노스태틱 리더의 안테나는 송신 전용으로 사용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모노스태틱 리더는 송수신 안테나를 구분해서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RFID 리더의 송신부에 사용되는 전력 증폭기의 성능과 거리가 먼 것은?

  1. 이득(Gain)
  2. 효율
  3. 위상잡음
  4. 왜곡특성
(정답률: 47%)
  • RFID 리더의 송신부에 사용되는 전력 증폭기의 성능과 거리가 먼 것은 "위상잡음" 때문이다. 전력 증폭기는 RFID 태그와 통신하기 위해 전파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전력 증폭기에서 발생하는 위상잡음은 전파의 위상을 왜곡시켜 통신 거리가 먼 경우에는 더욱 심해진다. 이는 RFID 태그와의 통신을 방해하고, 통신 거리를 제한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전력 증폭기의 위상잡음을 최소화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리더 송신기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변 감쇄기(attenuator)를 사용하여 신호가 부드럽게 켜지고 꺼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2. 출력 신호는 잡음과 고조파(harmonics)를 제거하기 위해 필터링되어 태그 응답이 포함되어 있는 저주파 신호가 된다.
  3. 신호 변조는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직류 전류를 변화시켜 신호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4. 위상변조 방식을 이용하면 잡음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신호 인식률을 높이고 주어진 전송률에서 필요한 스펙트럼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정답률: 26%)
  • "출력 신호는 잡음과 고조파(harmonics)를 제거하기 위해 필터링되어 태그 응답이 포함되어 있는 저주파 신호가 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는 출력 신호가 필터링되어 저주파 신호가 된 후, 이 신호가 태그에 전달되어 태그가 응답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태그 응답이 포함되어 있는" 부분이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가장 간단한 리더 송신기 구조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반송파를 생성하는 주파수 합성기(synthesize)
  2. OOK(On-Off Keying) 변조하는 스위치
  3. 직접 변환 I/Q 복조기로 구성
  4. 충분한 출력 전력으로 증폭하는 증폭기
(정답률: 67%)
  • 직접 변환 I/Q 복조기는 리더 송신기에서 신호를 생성하고 변조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구성요소가 아니라,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구성요소입니다. 따라서 가장 간단한 리더 송신기 구조의 구성요소는 "직접 변환 I/Q 복조기로 구성"이 아닌 다른 것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수동형 RFID 리더 시스템에서 안테나와 송수신부를 분리해주는 회로는?

  1. 스위치
  2. 듀플렉서
  3. 서큘레이터
  4. PLL
(정답률: 70%)
  • 수동형 RFID 리더 시스템에서 안테나와 송수신부를 분리해주는 회로는 서큘레이터이다. 이는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와 송신되는 신호가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서큘레이터는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를 송신부로 전달하고, 송신되는 신호는 안테나로 전달하면서도 두 신호가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분리해준다. 이를 통해 안테나와 송수신부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RFID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리더 구성 부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RFID 리더는 후방 산란된 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에, 이들은 일반적으로 호모다인이 아닌 헤테로다인 구조로 설계된다.
  2. 무선 송신기는 정확하고, 효율적이며 주어진 주파수 범위 내에서 송신이 이루어져야 한다.
  3. 수신기는 감도와 선택성이 뛰어나고 다양한 크기의 신호를 잘 수신하여야 한다.
  4. RFID 리더는 반이중(half-duplex)과 전이중(full-duplex) 통신의 모든 문제를 동시에 포함하고 있어 바이스 태틱 구조를 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정답률: 49%)
  • "RFID 리더는 반이중(half-duplex)과 전이중(full-duplex) 통신의 모든 문제를 동시에 포함하고 있어 바이스 태틱 구조를 택하는 것이 유리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RFID 리더는 후방 산란된 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에, 이들은 일반적으로 호모다인이 아닌 헤테로다인 구조로 설계된다. 이는 수신기의 감도와 선택성이 뛰어나고 다양한 크기의 신호를 잘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무선 송신기는 정확하고, 효율적이며 주어진 주파수 범위 내에서 송신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리더 구성 부품 중 무선 송신기와 수신기는 각각 정확하고 효율적인 송수신을 위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송수신 안테나 사이에는 다양한 전파 환경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를 통칭하여 무선 채널이라 한다. 다음 중 무선 채널에 대한 설명이 잘못 된 것은 무엇인가?

  1. 무선 채널의 복잡성 정도에 따라 수신 안테나에 수신되는 신호는 왜곡된다.
  2. 수신 안테나에 수신되는 신호는 무선 채널의 복잡성 정도에 따라 왜곡되지만 수신 시스템에서 왜곡의 정도와 상관없이 그대로 복원된다.
  3. 수신 안테나에 수신되는 신호는 일반적으로 송신 안테나로 직접 받는 신호와 수신 안테나 주변의 물체들로부터 산란되는 여러 경로의 산란파 신호의 합으로 구성된다.
  4. 무선 채널을 모델링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확률 통계적 방법이 유효하다.
(정답률: 50%)
  • 정답: "수신 안테나에 수신되는 신호는 무선 채널의 복잡성 정도에 따라 왜곡되지만 수신 시스템에서 왜곡의 정도와 상관없이 그대로 복원된다."

    해설: 무선 채널은 수신 안테나와 송신 안테나 사이의 전파 환경을 의미하며, 이 환경에 따라 수신 안테나에 수신되는 신호는 왜곡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왜곡을 보상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레이더 탐지 면적(RCS)을 결정하는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물체의 단면적
  2. 회로망 분석기
  3. 반사 특성
  4. 방향성
(정답률: 53%)
  • 레이더 탐지 면적(RCS)을 결정하는 요소는 "물체의 단면적"과 "반사 특성"입니다. "방향성"은 레이더 신호가 물체에 반사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RCS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회로망 분석기"가 RCS를 결정하는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회로망 분석기는 전자기장을 분석하여 물체의 전기적 특성을 파악하는데 사용되며, RCS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특정 태그에서 입사의 전력 밀도가 4W/㎡이고 이 물체의 산란 단면적과 유효 면적이 각각 4㎡, 2㎡ 일 때 사방으로 산란된 총 산란 전력과 총 흡수 전력은 각각 얼마인가?

  1. 총 산란 전력 : 10 W, 총 흡수 전력 : 4W
  2. 총 산란 전력 : 16W , 총 흡수 전력 : 8W
  3. 총 산란 전력 : 1W , 총 흡수 전력 : 2W
  4. 총 산란 전력 : 2W , 총 흡수 전력 : 4W
(정답률: 53%)
  • 산란 단면적과 유효 면적이 각각 4㎡, 2㎡ 이므로 산란된 전력은 각각 16W, 8W가 된다. 이는 입사 전력 밀도인 4W/㎡에 각 면적을 곱한 값과 같다. 총 흡수 전력은 입사 전력에서 산란된 전력을 뺀 값이므로 4W, 0W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총 산란 전력 : 16W , 총 흡수 전력 : 8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정진기 방전(ESD)은 RFID 프린터에서 문제의 큰 요인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린터뿐만 아니라 태그칩에 손상을 줄 수 있다.
  2. 라벨을 후면 보조시트에서 분리시킬 때 발생할 수 있다.
  3. 라벨을 제품에 부착할 때 방전될 수 있다.
  4. 루프 구조의 태그안테나는 ESD 발생 가능성을 증가 시킨다.
(정답률: 52%)
  • "루프 구조의 태그안테나는 ESD 발생 가능성을 증가 시킨다." 이유는 간단하게 설명하면, 루프 구조의 태그안테나는 금속선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정전기가 충전되기 쉽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태그안테나가 있는 RFID 프린터에서는 ESD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은 TCP 소켓 프로그래밍이 동작하는 방식을 보여 준다. (1),(2),(3)의 빈칸에 들어갈 명령어들을 순서 대로 나열한 것은?

  1. listen() - connect() - accept()
  2. listen() - accept() - connect()
  3. accept() - connect() - listen()
  4. accept() - listen() - connect()
(정답률: 65%)
  • (1) listen()
    (2) accept()
    (3) connect()

    TCP 소켓 프로그래밍에서 서버는 먼저 listen() 함수를 호출하여 클라이언트의 연결 요청을 대기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connect() 함수를 호출하여 서버에 연결을 요청한다. 서버는 이 요청을 accept() 함수를 호출하여 수락하고, 이후에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따라서 listen() - accept() - connect() 순서로 호출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피드백 시스템 설명 중 잘못 된 것은 무엇인가?

  1. 피드백(Feedback) 시스템은 RFID 시스템의 장애를 감지하고 책임자 또는 백-엔드(Back-end) 시스템에 이러한 이벤트를 신호화 하거나 적절한 조처를 취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2. 선별기 또는 선별게이트는 태그에서 읽혀진 데이터를 근거로 컨베이어 또는 생산라인상의 제품 경로를 전환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예외 처리를 위해 기능이 없는 태그와 함께 제품의 선별을 위해 사용 된다.
  3. 경광등을 리더기에 연결할 때 스파이크와 접지 루프로부터 보호되도록 반드시 릴레이나 PLC를 통하여 리더기의 I/O 포트에 연결되어야 한다.
  4. 버저는 보안 장치에 부착될 수 있고 고가 상품이 구내를 벗어날 때 추적하기 위해 감시용 CCTV 카메라와 연결되기도 한다.
(정답률: 55%)
  • 잘못된 것은 없다. 모든 설명이 올바르다.

    다만, 정답인 "경광등을 리더기에 연결할 때 스파이크와 접지 루프로부터 보호되도록 반드시 릴레이나 PLC를 통하여 리더기의 I/O 포트에 연결되어야 한다."는 설명이 부족하다. 이유는 스파이크와 접지 루프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는 이유와 그 방법에 대한 설명이 없기 때문이다. 스파이크와 접지 루프로부터 보호하지 않으면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보호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릴레이나 PLC를 사용하여 보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RFID 리더 API에 대한 아래의 사항 중 가장 올바른 설명은 무엇인가?

  1. 사용자는 API에 맞는 언어로 중간 매개체인 래퍼(Wrapper)를 제작하여 이를 다시 적절하게 자신이 개발하고 있는 응용 애플리케이션에서 반드시 호출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2. 래퍼(Wrapper)를 사용하는 경우 복잡성이 증대되고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그 원인을 찾기 어려울 수 있다.
  3. 래퍼(Wrapper) 제작의 경우 상대적으로 개발 난이도가 낮아 적절히 수행할 수만 있다면 가장 높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방법이다.
  4. 현재 사용하고자 하는 리더가 OSI 7 계층 중 전송계층에서 응용 계층까지의 Host 계층을 지원하고 있다면 반드시 드라이버를 두어야 한다.
(정답률: 36%)
  • 래퍼(Wrapper)를 사용하는 경우 복잡성이 증대되고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그 원인을 찾기 어려울 수 있다. - 래퍼는 중간 매개체로서 API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하고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래퍼를 사용하면 API와 응용 프로그램 간의 복잡성이 증대되고,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그 원인을 찾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가능하면 래퍼를 사용하지 않고 API를 직접 호출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RFID 미들웨어의 데이터 필터링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복 인식 데이터 제거
  2. 부정확한 인식 데이터 교정
  3. 데이터 암호화
  4. 데이터 분류
(정답률: 68%)
  • RFID 미들웨어의 데이터 필터링 기능 중 옳지 않은 것은 "데이터 암호화"입니다. 데이터 암호화는 보안 기능에 해당하며, 데이터 필터링과는 별개의 기능입니다. 데이터 암호화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외부의 불법적인 접근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RFID 미들웨어의 활용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

  1. RFID 어플리케이션 개발 기간 단축
  2. RFID 데이터의 수작업 입력에 발생하는 오류 감소
  3. RFID 태그 데이터 리더에 발생하는 오류 감소
  4. RFID 정보 공유 효과
(정답률: 32%)
  • RFID 미들웨어는 RFID 기술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수집, 처리, 관리하는 소프트웨어이다. 따라서 RFID 미들웨어를 활용하면 RFID 어플리케이션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RFID 데이터의 수작업 입력에 발생하는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RFID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RFID 태그 데이터 리더에 발생하는 오류 감소는 RFID 미들웨어의 활용 효과로 볼 수 없다. 이는 RFID 태그 데이터 리더 자체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ECSpec을 처리하는 ALE 실행 환경을 만들기 위해 관리자가 해야 할 일이 아닌 것은?

  1. RFID 리더의 설치 및 설정
  2. RFID 미들웨어 구동
  3. ECSpec 전송
  4. 클라이언트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설치 및 설정
(정답률: 46%)
  • ECSpec 전송은 ALE 실행 환경을 만들기 위해 관리자가 직접 처리해야 하는 일이 아니라, ECSpec를 생성하는 클라이언트 응용 소프트웨어에서 처리해야 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ALE 규격의 ECSpec에서 지정하는 리더 이름으로 가상리더(Logical Reader)를 사용한다. 가상리더의 장점에 대한 다음 설명 중 맞지 않은 것은?

  1. 가상리더에 속한 물리적 리더가 추가되더라도 응용 소프트웨어의 수정이 필요없다.
  2. 가상리더에 속한 물리적 리더가 교체되더라도 응용 소프트웨어의 수정이 필요없다.
  3. 가상리더에 속한 물리적 리더가 추가되더라도 미들웨어의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4. 물리적 리더들을 묶어서 가상리더로 명명할 수 있어 관리가 편리해 진다.
(정답률: 37%)
  • "가상리더에 속한 물리적 리더가 추가되더라도 응용 소프트웨어의 수정이 필요없다."가 틀린 설명이다. 실제로 가상리더에 새로운 물리적 리더를 추가하면 미들웨어의 설정을 변경해야 한다. 이는 가상리더가 실제 물리적 리더와 매핑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응용 소프트웨어의 수정이 필요하지 않더라도 미들웨어의 설정 변경이 필요하다.

    가상리더의 장점은 물리적 리더들을 묶어서 가상리더로 명명할 수 있어 관리가 편리해진다는 것이다. 또한 가상리더를 사용하면 응용 소프트웨어가 물리적 리더의 상세 정보를 알 필요 없이 가상리더의 이름만으로도 RFID 태그를 읽을 수 있다. 이는 응용 소프트웨어의 복잡도를 낮추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RFID 미들웨어의 대표적인 응용 사례인 항공 수하물 관리 서비스의 구성 순서로 옳은 것은?

  1. (ㄹ) → (ㄷ) → (ㄱ) → (ㄴ)
  2. (ㄴ) → (ㄹ) → (ㄷ) → (ㄱ)
  3. (ㄹ) → (ㄱ) → (ㄴ) → (ㄷ)
  4. (ㄷ) → (ㄱ) → (ㄹ) → (ㄴ)
(정답률: 41%)
  • 정답은 "(ㄹ) → (ㄷ) → (ㄱ) → (ㄴ)"이다.

    (ㄹ)은 RFID 리더기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미들웨어로 전송하는 과정이다.

    (ㄷ)는 미들웨어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고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이다.

    (ㄱ)은 추출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이다.

    (ㄴ)은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항공 수하물을 관리하고 추적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데이터 수집 → 데이터 처리 → 데이터 저장 → 데이터 이용 순서로 진행되기 때문에 "(ㄹ) → (ㄷ) → (ㄱ) → (ㄴ)"이 옳은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EPCIS의 기능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EPCIS는 기업들의 필요에 따라 적절한 보안 메커니즘를 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2. EPCIS는 어떤 방법으로 필요한 데이터를 구하는지를 정의하지 않는다.
  3. EPCIS는 서비스 오퍼레이션(service operation) 이나 데이터베이스가 어떤 식으로 실행되어야 하는지를 정의하지는 않는다.
  4. EPCIS는 EPCglobal 아키텍처에서 EPC 태그와 리더 프로토콜의 하위 레벨에 존재한다.
(정답률: 55%)
  • "EPCIS는 기업들의 필요에 따라 적절한 보안 메커니즘을 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이는 EPCIS의 기능 중 하나이며, 다른 설명들과 마찬가지로 EPCIS의 특정 기능을 설명하고 있다.

    EPCIS는 EPCglobal 아키텍처에서 EPC 태그와 리더 프로토콜의 하위 레벨에 존재한다는 것은 EPCIS가 RFID 기술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EPCIS는 RFID 태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EPCIS는 RFID 태그와 리더 프로토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기업들의 보안 메커니즘 결합 등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EPCIS의 이벤트(Event) 데이터와 마스터(Master) 데이터 타입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이벤트 데이터는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로 EPCIS Capture Interface를 통해 수집될 수 있다. 마스터 데이터는 이벤트 데이터에 필요한 문맥(context)을 제공하는 추가적인 데이터이다.
  2. 이벤트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특정 순간과는 일반적으로 관련이 없다.
  3. 마스터 데이터 타입은 데이터 기본구조의 의미를 나타내며 실시간으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수행 중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4. 마스터 데이터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정보를, 이벤트 데이터는 변화하지 않는 정보, 즉 주소 정보 같은 것을 나타낸다.
(정답률: 49%)
  • 이벤트 데이터는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로 EPCIS Capture Interface를 통해 수집될 수 있으며, 마스터 데이터는 이벤트 데이터에 필요한 문맥(context)을 제공하는 추가적인 데이터입니다. 이벤트 데이터는 특정 순간과 관련이 있으며, 마스터 데이터 타입은 데이터 기본구조의 의미를 나타내며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마스터 데이터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정보를, 이벤트 데이터는 변화하지 않는 정보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RFID ODS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National ODS는 코드에 대한 Local ODS의 위치 정보를 저장, 반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2. RFID ODS는 Local ODS와 National ODS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임 체계를 갖는다.
  3. Local ODS는 코드에 대한 정보 서버의 위치 정보(IP, URL)를 저장하고 반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4. RFID ODS의 위임 체계 및 원칙은 Client별로 독립적으로 결정하며 이를 National ODS에 등록 후 승인을 받는다.
(정답률: 42%)
  • "National ODS는 코드에 대한 Local ODS의 위치 정보를 저장, 반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RFID ODS의 위임 체계 및 원칙과는 관련이 없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RFID 네트워크 구성 요소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RFID 네트워크 구성 요소로는 디렉토리 시스템(Directory System), 정보 서버(Information Server), 응용 서버(Application Server)로 구성된다.
  2. RFID 정보서버는 RFID 코드에 대한 정보 서버의 위치 정보(IP, URL)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3. RFID 디렉토리 시스템은 객체의 기본 정보, 이력 정보, 콘텐츠 정보 등을 저장 및 반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4. 웹 서비스의 DNS(Domain Name System)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RFID 디렉토리 시스템 이다.
(정답률: 32%)
  • RFID 디렉토리 시스템은 객체의 위치 정보(IP, URL)를 저장하고 반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웹 서비스의 DNS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EPCIS의 Query Operation Module를 구성하는 기능으로 바르게 구성된 것은?

  1. 추적(Tracking), 인증(Authentication), 인가(Authorization)
  2. 관리(Management), 인증(Authentication), Query Framework
  3. 인증(Authentication), 인가(Authorization), Query Framework
  4. 추적(Tracking), 인증(Authentication), 관리(Management)
(정답률: 50%)
  • EPCIS의 Query Operation Module을 구성하는 기능으로 바르게 구성된 것은 "인증(Authentication), 인가(Authorization), Query Framework" 입니다.

    - 인증(Authentication):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근할 때,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 인가(Authorization): 인증된 사용자가 시스템 내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을 제한하는 과정입니다.
    - Query Framework: EPCIS에서 제공하는 쿼리 기능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검색하고 분석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인증(Authentication), 인가(Authorization), Query Framework"이 올바른 구성입니다. "추적(Tracking), 인증(Authentication), 인가(Authorization)"과 "관리(Management), 인증(Authentication), Query Framework"은 올바르지 않은 구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정보보호 요구사항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무엇인가?

  1. 인증성 . 태그 제조사들은 사용자에 관련되지 않는 제조사 관련정보 저장소와 식별에 대한 태그정보를 잠글 수 있는 기능을 가져야 한다.
  2. 기밀성 . 태그 사용자는 권한을 가진 유저에 의해서만 읽혀지며 태그 사용자는 태그에 쓰여진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어야 한다.
  3. 무결성 . 태그는 패스워드 기능으로 알려진 정보의 변경이나 삭제를 막을 수 있어야 한다.
  4. 익명성 . 정보를 이용한 사물 및 개인에 대한 위치 추적, 경로 추적 및 감시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인증된 적법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다.
(정답률: 44%)
  • 정답은 "인증성 . 태그 제조사들은 사용자에 관련되지 않는 제조사 관련정보 저장소와 식별에 대한 태그정보를 잠글 수 있는 기능을 가져야 한다." 이다. 이유는 인증성은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인증하는 것으로, 제조사와 관련된 정보와 저장소는 인증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보호

43. 다음 중 EPC에서 RFID 프라이버시 위험요인으로 분석한 내용이 아닌 것은?

  1. 지구상의 모든 물품에 유일한 ID를 가지게 할 수 있다.
  2. 대용량의 자료 수집과 데이터 통합을 할 수 있다.
  3. 정보주체가 인지하지 못하도록 태그를 부착할 수 있다.
  4. 개인정보와 태그정보가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프로 파일링과 추적이 가능하다.
(정답률: 32%)
  • "개인정보와 태그정보가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프로 파일링과 추적이 가능하다."는 EPC에서 RFID 프라이버시 위험요인으로 분석한 내용이 아닙니다.

    이유는 RFID 태그는 물건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 태그는 물건의 고유 ID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고유 ID는 개인정보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개인정보와 태그정보가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프로파일링과 추적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태그가 부착된 물건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이를 통해 해당 물건을 사용하는 사람의 취향이나 생활 패턴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는 개인정보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지만, 개인의 프로파일링과 추적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RFID 사업 추진 시 프라이버시 보호 원칙의 적용 중 개인정보 기록의 제한은 어느 단계에 적용 하여야 하는가?

  1. RFID 도입단계
  2. RFID 정보수집
  3. RFID 정보연계
  4. RFID 정보저장
(정답률: 70%)
  • RFID 사업 추진 시 프라이버시 보호 원칙의 적용 중 개인정보 기록의 제한은 RFID 도입단계에서 적용되어야 합니다. 이는 RFID 도입 이전부터 개인정보 보호를 고려하여 사전에 적절한 보호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RFID 정보수집, 정보연계, 정보저장 단계에서는 이미 개인정보가 수집되어 있기 때문에 이후에 제한을 두는 것은 보호조치가 늦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RFID 도입단계에서 개인정보 보호를 고려하여 적절한 보호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기존 정보시스템에 비해 RFID 정보시스템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정보 접근 매개 요소로 태그식별코드를 사용한다.
  2. 사용자 변경이 불가능하다.
  3. 정보생성 주체는 개인이다.
  4. 정보로는 물품정보, 제조업체 정보, 이력 정보, 실시간 정보 등이 있다.
(정답률: 34%)
  • "정보생성 주체는 개인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RFID 정보시스템에서 정보 생성 주체는 물품, 제조업체, 물류 업체 등이며, 개인이 정보 생성 주체가 되는 경우는 드물다. 이유는 RFID 태그는 물품에 부착되어 물품의 이동 및 관리를 위한 정보를 생성하므로, 개인이 정보 생성 주체가 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RFID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가이드라인의 주요 원칙이 아닌 것은?

  1. 이용목적 심의의 원칙
  2. 사후 신고의 원칙
  3. 제 3자 공유제한의 원칙
  4. 추적시스템 제한적 도입의 원칙
(정답률: 50%)
  • "사후 신고의 원칙"은 RFID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가이드라인의 주요 원칙이 아닙니다. 이는 개인정보가 수집되고 사용된 후에도 해당 정보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신고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는 원칙입니다. 다른 원칙들은 각각 이용목적 심의, 제 3자 공유제한, 추적시스템 제한적 도입 등으로 RFID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가이드라인의 주요 원칙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RFID 도입을 위한 조직구성 단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자체적 추진 또는 사외 조직을 통한 추진을 정하는 추진 방법
  2. 추진 조직 인력 구성
  3. 시스템 설치 주변 환경 검증
  4. 프로젝트 개발팀의 역할 검증
(정답률: 44%)
  • RFID 도입을 위한 조직구성 단계 중에서 "시스템 설치 주변 환경 검증"은 조직구성 단계가 아니라 기술적인 검증 단계에 해당한다. 이 단계에서는 RFID 시스템이 설치될 환경의 물리적인 조건과 기술적인 요구사항을 검토하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이 단계는 조직구성 단계와는 별도로 진행되는 기술적인 검증 단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불구분성(Indistinguishability)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무엇인가?

  1. 불구분성(Indistinguishability)이란 태그가 리더에게 정보를 송신할 때, 매번 동일한 값을 주지 않아야 한다는 보안 요건이다
  2. 불구분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태그가 항상 동일한 정보를 송신해서는 안되며, 태그 내부에서 난수 생성에 준하는 작업을 한 후 결과값을 전송하거나 태그 외부에서 적법한 리더가 갱신해 준 값을 전송 해야만 한다.
  3. 태그 내부에서 난수 생성을 통하여 결과값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리더와 백-엔드(Back-end) 서버에서는 태그에서 송신하는 값을 가지고서 정상적인 식별이 가능해야 한다.
  4. 태그 외부에서 적법한 리더가 갱신해 준 값을 전송 하는 경우는 태그의 정보를 갱신할 때 기밀성 보장 됨으로 난수 생성 방법보다 더 높은 안전성을 가진다.
(정답률: 39%)
  • "태그 외부에서 적법한 리더가 갱신해 준 값을 전송 하는 경우는 태그의 정보를 갱신할 때 기밀성 보장 됨으로 난수 생성 방법보다 더 높은 안전성을 가진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불구분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태그가 매번 동일한 값을 주지 않아야 하며, 태그 내부에서 난수 생성에 준하는 작업을 한 후 결과값을 전송하거나 태그 외부에서 적법한 리더가 갱신해 준 값을 전송해야 한다. 따라서, 난수 생성 방법은 불구분성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ONS서버에 대한 안전과 관계없는 것은 무엇인가?

  1. 부채널 공격(Side Channel Attack)
  2. 신뢰 받는 서버로의 위장 공격
  3. 이름 기반 공격(Name-based attack)
  4. 패킷 가로채기(Packet Interception)
(정답률: 50%)
  • 부채널 공격은 ONS서버의 안전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이다. 부채널 공격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하기 위해 암호화에 사용되는 장치나 시스템의 물리적 특성을 이용하는 공격 방법이다. 예를 들어, 전력 소비, 전자기 방사, 소음 등을 측정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하는 방법이다. 이는 ONS서버의 소프트웨어나 네트워크 보안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인간적 인증(Human Authentication)에 대한 설명과 관계 없는 것은 무엇인가?

  1. RFID 태그가 가지는 제한된 자원 환경이 사람과 유사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기존의 인간적 인증(Human Authentication) 프로토콜을 RFID 시스템에 적용하는 방법이다.
  2. 사람과 저가형 RFID 태그는 모두 상당히 제한된 기억력과 연산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상대방과의 안전한 통신이 필요하다는 공통점이 있다.
  3. 능동적 공격자에 대하여 프라이버시가 보호되면서 안전하게 식별하는 One-Time Pad 등의 보안 프로토콜이 있다.
  4. 호퍼(Hopper)와 블럼(Blum)이 수동적 공격자에 대하여 안전성을 증명한 인간적 인증 프로토콜을 설계하였다.
(정답률: 40%)
  • "능동적 공격자에 대하여 프라이버시가 보호되면서 안전하게 식별하는 One-Time Pad 등의 보안 프로토콜이 있다."는 인간적 인증과 관계 없는 내용이다. One-Time Pad는 대칭키 암호화 방식 중 하나로, 인증과는 별개의 보안 기술이다. 이 기술은 암호화와 복호화에 사용되는 키가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기반으로 하며, 이론적으로는 완벽한 보안성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정책 프로파일 기반 프라이버시 보호기술이 제공하는 기능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소유자의 프라이버시 보호 정책 설정 및 관리 기능
  2. 소유자의 프라이버시 정책에 따른 개인화된 태그에 연결된 정보 접근 제어 기능
  3. 도메인 간의 인증 및 접근제어, 권한 위임 기능
  4. 소유자가 설정한 의무사항 집행 결과 통지 기능
(정답률: 31%)
  • 정책 프로파일 기반 프라이버시 보호기술은 도메인 간의 인증 및 접근제어, 권한 위임 기능이 아닙니다. 이 기술은 소유자의 프라이버시 보호 정책 설정 및 관리 기능, 소유자의 프라이버시 정책에 따른 개인화된 태그에 연결된 정보 접근 제어 기능, 소유자가 설정한 의무사항 집행 결과 통지 기능을 제공합니다. 도메인 간의 인증 및 접근제어, 권한 위임 기능은 보안 기술과 관련된 기능으로, 다른 기술과 함께 사용될 수 있지만, 정책 프로파일 기반 프라이버시 보호기술의 주요 기능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정보서버 안전에 필요한 기술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XML 전자서명 및 XML 암호화 기술
  2. 물리적인 공격에 대한 방어기술
  3. XML 암호키 관리 기술
  4. 도메인 간의 인증 및 접근제어, 권한 위임기술
(정답률: 49%)
  • 물리적인 공격에 대한 방어기술은 정보서버 안전에 필요한 기술 중 하나이지만, 이 보기에서는 "물리적인 공격에 대한 방어기술"이 아닌 것을 찾는 문제이므로 정답입니다. 다른 기술들은 모두 정보서버 안전에 필요한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EPC 코드 체계를 질의하고, 해당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아래 그림의 각 단계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1, 2번은 RFID 리더가 EPC 코드를 읽는 과정을 의미한다.
  2. 3, 4번은 EPC코드가 ONS에 질의하기 위해 변환 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3. 5, 6, 7번을 통해 변환된 EPC 코드가 ONS에게 질의하고 EPC-IS, DS 등의 위치정보(URL, IP)를 응답받는 과정을 나타낸다.
  4. 8번이 최종적으로 DNS Cloud 로부터 EPC 코드를 획득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정답률: 54%)
  • 보기 중 잘못된 것은 "8번이 최종적으로 DNS Cloud 로부터 EPC 코드를 획득하는 과정을 나타낸다."입니다. 8번은 EPC-IS나 DS에서 위치정보를 받아오는 과정을 나타내며, 최종적으로 EPC 코드를 획득하는 과정은 7번에서 ONS로부터 응답받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EPC 코드를 식별하는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도입절차

54. 다음 중 안정적인 RFID 장비 운영을 위하여 지원하는 기능이 나머지와 다른 하나는?

  1. 센서
  2. 네트워크
  3. 전원
  4. 이중화 장비
(정답률: 39%)
  • 센서는 RFID 장비 운영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기능이 아니기 때문에 나머지 기능들과는 다르다. 네트워크는 RFID 태그와 리더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전원은 RFID 장비가 작동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며, 이중화 장비는 장애 발생 시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능이다. 하지만 센서는 RFID 장비 운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RFID 태그를 인식할 때 방향성이 있기 때문에 평면에서 RFID 태그의 부착 위치 및 형태가 변하지 않을 경우 유용한 안테나는 무엇인가?

  1. 다이폴 안테나(Dipole Antenna)
  2. 야기 안테나(Yagi Antenna)
  3. 원형편파 안테나(Circular Polarization Antenna)
  4. 선형편파 안테나(Linear Polarization Antenna)
(정답률: 50%)
  • 선형편파 안테나는 방향성이 있기 때문에 특정 방향으로 진행하는 전파를 발생시키며, RFID 태그를 인식할 때 태그와 안테나의 방향성이 일치하면 최적의 신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RFID 태그의 부착 위치 및 형태가 변하지 않을 경우에는 선형편파 안테나가 가장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RFID 시스템 도입시 안테나의 설계는 인식률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다음중 RFID용 안테나가 아닌 것은?

  1. 야기우다 안테나 . 초단파, 극초단파 대역에서 사용되는 지향성 안테나
  2. 슬롯안테나 . 도체 표면에 슬롯을 만들어 전파 방사체로 작용하는 안테나
  3. 헤미빔(Hemi-Beam) 안테나 . 유리, 나무 등 다양한 재질에 부착 가능한 안테나
  4. 포털형 안테나 . 게이트 양쪽에 폴(Pole)형 구조 안테나
(정답률: 47%)
  • 헤미빔(Hemi-Beam) 안테나는 지향성 안테나가 아니며, 유리, 나무 등 다양한 재질에 부착 가능한 안테나이다. 이는 안테나 설치의 유연성을 높여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RFID 웹서비스 시스템은 실제 사용자와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가장 보편화된 웹 기반 체계이다. 다음 중 RFID 웹서비스 시스템 구조로 옳지 않은 것은?

  1. 클라이언트(Client) 어플리케이션
  2. 비즈니스(Business) 계층
  3. 영속(Persistent) 계층
  4. 데이터베이스(DB) 인터페이스 계층
(정답률: 41%)
  • 정답: "영속(Persistent) 계층"

    영속 계층은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계층으로, RFID 웹서비스 시스템에서는 데이터베이스(DB) 인터페이스 계층이 이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DB) 인터페이스 계층"이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RFID 도입시 시스템 부분의 고려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비즈니스 모델링
  2. 아키텍쳐 및 디자인
  3. 시스템 개발
  4. 투자 및 비용 관리
(정답률: 43%)
  • RFID 도입시 시스템 부분의 고려 사항은 비즈니스 모델링, 아키텍쳐 및 디자인, 시스템 개발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투자 및 비용 관리"는 시스템 도입 전에 고려해야 하는 사항으로, 시스템 부분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RFID 시스템 도입은 투자 비용이 크기 때문에, 투자 및 비용 관리는 도입 전에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RFID 시스템에서 도청으로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정당한 태그로 가장하여 공격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1. 스캐닝
  2. 트래픽 분석 공격
  3. 재전송 공격
  4. 스푸핑 공격
(정답률: 54%)
  • 재전송 공격은 도청으로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정당한 태그로 가장하여 RFID 리더기에게 다시 전송하는 공격 방법이다. 이를 통해 공격자는 불법적으로 RFID 시스템에 접근하거나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보안상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스캐닝은 RFID 태그를 감지하는 과정, 트래픽 분석 공격은 RFID 통신을 가로채어 정보를 분석하는 공격 방법, 스푸핑 공격은 태그의 식별 정보를 변조하여 다른 태그로 위장하는 공격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RFID 표준화 기구가 아닌 것은?

  1. ISO/IEC JTC1/SC17
  2. ISO/IEC JTC1/SC31
  3. EPCglobal
  4. IETF
(정답률: 61%)
  • IETF는 인터넷 프로토콜과 관련된 표준화 기구이며, RFID 기술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RFID 표준화 기구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태그부착 대상 물체의 물성을 전파의 흡수성과 반사성에 관련하여 크게 4가지로 구분 할 수 있다.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전파를 반사하는 물체는 전파를 반사하여 음영지역을 없앰으로 다량 적재가 가능하다.
  2. 전파를 흡수하는 물체는 건너편태그를 거의 읽지 못함으로 다량 적재가 어렵다.
  3. 전파를 흡수하지 않는 물체는 건너편 태그를 판독 할 수 있으므로 다량적재가 가능하다.
  4. 전파를 반사하지 않는 물체는 건너편 태그를 판독 할 수 있으므로 다량적재가 가능하다.
(정답률: 41%)
  • 정답은 "전파를 반사하는 물체는 전파를 반사하여 음영지역을 없앰으로 다량 적재가 가능하다."가 아니다.

    전파를 반사하는 물체는 전파를 반사하여 음영지역을 줄일 수는 있지만, 완전히 없앨 수는 없다. 따라서 다량 적재를 할 경우에도 음영지역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RFID 표준을 분류하는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RFID 표준을 주관하는 기구
  2. RFID 태그의 전원 공급 방법
  3. RFID 리더의 가격
  4. RFID 주파수와 용도
(정답률: 50%)
  • RFID 표준을 분류하는 방법은 주로 "RFID 표준을 주관하는 기구", "RFID 태그의 전원 공급 방법", "RFID 주파수와 용도" 등과 같은 기술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RFID 리더의 가격"은 기술적인 측면이 아닌 비즈니스 측면에서의 문제이기 때문에 다른 항목들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즉, RFID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기술적인 측면과는 별개로, RFID 리더의 가격은 구축 비용 등과 같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RFID 시스템을 도입하는 목적을 정성적인 면과 정량적인 면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 중 성격이 다른 것은 무엇인가?

  1. 비용 절감
  2. 작업 인력 감소
  3. 오류율 감소
  4. 고객 편의성 제고
(정답률: 52%)
  • 고객 편의성 제고는 정성적인 목적에 해당하며, 다른 보기들은 모두 정량적인 목적에 해당한다. RFID 시스템을 도입하여 고객 편의성을 제고하는 이유는, RFID 태그를 이용하여 물건을 쉽고 빠르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고객은 물건을 더욱 쉽게 찾을 수 있고, 결제 과정도 더욱 빠르고 편리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RFID 리더와 안테나의 설치에 있어 효과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리드 포인트는 가급적 태그의 흐름이 모이는 곳으로 결정 하는 것이 좋다.
  2.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추가 안테나를 설치할 때는 반드시 방사 각도와 편파 방식이 같은 안테나를 사용해야 한다.
  3. 출력을 높이는 것보다 조절하여 RF 영역을 조절하는 것이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4. 주변 전파의 차폐, 동작 감지 센서에 의한 리더 작동 조절, 시스템 작동 상태를 알려주는 경광등 등의 보조 장치가 인식률을 높여준다.
(정답률: 35%)
  •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추가 안테나를 설치할 때는 반드시 방사 각도와 편파 방식이 같은 안테나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방안이다. 이는 잘못된 정보이며, 방사 각도와 편파 방식이 다른 안테나를 사용해도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RFID 표준 및 법제도

65. 다음 중 RFID 시스템 도입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의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RFID 도입 목적 및 범위 설정
  2. RFID 도입을 위한 조직 구성
  3. RFID 도입을 위한 추진 일정 계획
  4. RFID 도입에 따른 투자 성과 분석
(정답률: 65%)
  • RFID 도입에 따른 투자 성과 분석은 기본계획 수립의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RFID 시스템 도입 전에 투자 비용과 예상 수익을 분석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검토하는 것으로, 기본계획 수립 이후에 수행되는 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과 같은 물류 창고 관리시스템 환경에 가장 적합한 RFID 주파수 대역은?

  1. LF(135KHz 이하)
  2. HF(13.56MHz)
  3. UHF(433MHz)
  4. UHF(860~960MHz)
(정답률: 60%)
  • 물류 창고는 대부분 대형이며, 상품의 이동이 빈번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UHF 주파수 대역이 가장 적합합니다. 또한, UHF 주파수는 장거리 통신이 가능하며, 다수의 태그를 동시에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물류 창고에서 많은 양의 상품을 빠르게 인식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RFID 표준화 작업의 대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RFID 태그와 리더 간의 통신 방식
  2. 사용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별 Air Interface
  3. 미들웨어와의 연동 인터페이스
  4. TCP/IP 프로토콜
(정답률: 66%)
  • TCP/IP 프로토콜은 인터넷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RFID 기술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RFID 표준화 작업의 대상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중 태그 인식 성능이 가장 뛰어나고 인식거리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자산관리 및 유통물류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RFID 장비는 다음 중 어떤 표준을 따라야 하는가?

  1. ISO/IEC 18000-3
  2. ISO/IEC 18000-4
  3. ISO/IEC 18000-6
  4. ISO/IEC 18000-7
(정답률: 46%)
  • 자산관리 및 유통물류 분야에서 사용되는 RFID 장비는 다중 태그 인식 성능이 가장 뛰어나고 인식거리가 비교적 긴 UHF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ISO/IEC 18000-6 표준을 따라야 한다. 이 표준은 UHF RFID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데이터 형식을 정의하고 있으며, 다중 태그 인식 및 긴 인식거리를 지원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자산관리 및 유통물류 분야에서는 ISO/IEC 18000-6 표준을 따르는 RFID 장비를 사용하여 효율적인 관리 및 운영을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RFID는 동일 장소에서 여러 시스템이 운용될 수 있는데, 먼저 채널을 선택해서 통신하는 시스템이 데이터를 모두 보낼 때까지 다른 시스템은 통신을 할수 없다. 이때 다른 시스템에게도 통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채널 공유 방법으로 특정시스템이 일정 시간 동안 전송한 다음 일정시간의 휴지 후 다시 전송 하도록 하는 규정은 무엇인가?

  1. 주파수 허용 편차
  2. 호핑 채널
  3. 점유주파수 대역폭
  4. 듀티 싸이클
(정답률: 77%)
  • 정답은 "듀티 싸이클"입니다.

    듀티 싸이클은 RFID 시스템에서 채널을 공유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특정 시스템이 일정 시간 동안 데이터를 전송한 후, 일정 시간 동안 휴지를 두고 다시 전송하는 방식으로 다른 시스템에게도 통신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여러 시스템이 동일한 주파수에서 효율적으로 통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듀티 싸이클"이 채널을 공유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며, 다른 보기인 "주파수 허용 편차", "호핑 채널", "점유주파수 대역폭"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RFID 시스템 설치시 시스템 도입의 기대효과와 효율을 최대한으로 얻기 위한 리더와 안테나를 설치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리더와 안테나의 설치 방안의 설명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

  1. 효과와 효율을 최대한 얻기 위해 리드포인트 결정이 중요하다.
  2. 작업수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작업자가 잘 볼 수 있는 곳에 설치해야 한다.
  3. 인식률을 확보하기 위하여 RF 영역 결정해야한다.
  4. 이동감지 센서, 경광등, 알람 등의 보조 장비가 인식률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정답률: 44%)
  • "이동감지 센서, 경광등, 알람 등의 보조 장비가 인식률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는 리더와 안테나의 설치 방안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적절치 않은 것이다.

    작업자가 잘 볼 수 있는 곳에 리더와 안테나를 설치하는 이유는 작업자가 RFID 태그를 부착한 물품을 쉽게 인식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작업자의 작업 수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설치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선택한 주파수가 다른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점유되고 있다고 판단될 때는 다른 주파수를 다시 선택하는 주파수 선택 방식은 무엇인가?

  1. LBT(Listen Before Talk)
  2. FHSS(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3. CRC(Cyclic Redundancy Check)
  4. PIE(Pulse Interval Encoding)
(정답률: 50%)
  • LBT(Listen Before Talk)는 주파수를 선택하기 전에 해당 주파수가 다른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먼저 주파수 대역을 청취하고, 해당 주파수가 사용되고 있지 않을 때에만 선택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선택한 주파수가 이미 점유되어 있을 경우 다른 주파수를 선택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UHF 대역의 리더기에서 지원하는 밀집 리더 모드는 어떤 경우에 유용한가?

  1. 일정한 지역 내에 많은 태그가 존재하는 경우
  2. 리더기로 인식해야 하는 태그들이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
  3. UHF 대역 이외의 대역을 사용하는 리더기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4. 일정한 지역 내에서 채널 수보다 많은 리더기가 설치된 경우
(정답률: 33%)
  • 일정한 지역 내에서 채널 수보다 많은 리더기가 설치된 경우에는 밀집 리더 모드가 유용합니다. 이 모드는 여러 리더기가 동시에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충돌을 방지하고, 더 많은 태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일정한 지역 내에 많은 태그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정확하고 빠른 인식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13.56MHz 대역의 국내 표준은 변조 방식에 따라 모드 1과 모드 2로 구분된다. 모드 1의 경우 리더기에서 태그로 데이터 송신 시 사용하는 표준 변조 방식은 무엇인가?

  1. FSK(Frequency Shift Keying)
  2. PSK(Phase Shift Keying)
  3. ASK(Amplitude Shift Keying)
  4. PJM(Phase Jitter Modulation)
(정답률: 41%)
  • 모드 1에서는 ASK(Amplitude Shift Keying) 방식을 사용한다. 이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 진폭을 변화시켜서 전송하는 방식으로, 리더기에서 태그로 데이터를 보낼 때 사용된다. FSK와 PSK는 다른 변조 방식으로, ASK와는 다르게 주파수나 위상을 변화시켜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PJM은 ASK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변조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RFID 미들웨어는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서 독립적인 구조를 제공한다. 다음 중 ALE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독립성이 아닌 것은?

  1. EPCglobal 네트워크에서 객체의 추적을 위한 정보를 제공
  2. 어떤 물리적 위치에 관련된 EPC 자료를 모으는데 사용하는 물리적 장치를 고객이 몰라도 위치와 같은 논리적 리더 개념을 통하여 EPC 자료를 추상화
  3. 필터링되고 축적된 자료의 보고(reporting)를 위한 표준 형식을 제공
  4. 구현에 관한 지시 없이도 원하는 EPC 자료를 기술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제공
(정답률: 25%)
  • 답: "어떤 물리적 위치에 관련된 EPC 자료를 모으는데 사용하는 물리적 장치를 고객이 몰라도 위치와 같은 논리적 리더 개념을 통하여 EPC 자료를 추상화"

    ALE 인터페이스는 EPCglobal 네트워크에서 객체의 추적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필터링되고 축적된 자료의 보고를 위한 표준 형식을 제공하며, 구현에 관한 지시 없이도 원하는 EPC 자료를 기술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하지만 물리적 장치와 관련된 추상화는 LLRP (Low Level Reader Protocol)에서 제공하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ALE
  2. EPC
  3. DNS
  4. ONS
(정답률: 42%)
  • 이 그림은 RFID 기술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ALE은 "Application Level Events"의 약자로, RFID 리더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의미합니다. DNS는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인터넷에서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ONS는 "Object Name Service"의 약자로, RFID 태그에서 사용되는 고유한 식별자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EPC는 "Electronic Product Code"의 약자로, RFID 태그에 저장되는 제품 정보를 나타내는 코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정답은 EP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RFID 코드 설계시 코드 자원 효율성이 높고, 낭비율이 가장 낮은 유형의 RFID 코드는 무엇인가?

  1. 이진수 기반의 RFID 코드
  2. 숫자 기반의 RFID 코드
  3. 알파벳 기반의 RFID 코드
  4. 알파벳과 숫자 혼용 기반의 RFID 코드
(정답률: 35%)
  • 이진수 기반의 RFID 코드는 0과 1로 이루어져 있어서 코드 길이가 짧고, 비트 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하기 때문에 자원 효율성이 높고 낭비율이 가장 낮습니다. 또한, 이진수는 컴퓨터에서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 표현 방식이기 때문에 처리 속도도 빠릅니다. 따라서 이진수 기반의 RFID 코드가 가장 효율적인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모바일 RFID 응용 서비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B2B는 모바일 RFID와 무관하다.
  2.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며 휴대전화로 모바일 RFID 서비스가 가능한 것은 모바일 RFID 서비스 범위에 포함된다.
  3. B2C뿐만 아니라 B2B 영역에 대하여도 모바일 RFID 서비스 참여 범위는 다양하다.
  4. 궁극적으로 B2B뿐만 아니라 B2C 및 B2B2C 영역에 대하여 모바일 RFID 서비스는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정답률: 49%)
  • "B2B는 모바일 RFID와 무관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B2B 영역에서도 모바일 RFID 서비스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기업 간의 물류 및 재고 관리, 자산 추적 등의 효율적인 업무 처리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B2B 영역도 모바일 RFID 서비스의 참여 범위에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RFID 서비스 제공 시 반드시 관련 산업에서 정의된 표준화된 코드체계를 적용해야 하는 경우는 아래 중 무엇인가?

  1. 특정한 영역에서 개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2. 폐쇄된 형태로 서비스를 구축하여 제공하는 경우
  3. 서비스에 적용된 RFID 태그가 공공의 영역에서도 사용되는 경우
  4. 서비스 상호간의 연동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정답률: 48%)
  • 서비스에 적용된 RFID 태그가 공공의 영역에서도 사용되는 경우는 표준화된 코드체계를 적용해야 합니다. 이는 서로 다른 시스템이나 산업에서 사용되는 RFID 태그가 서로 호환되어 정보를 공유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표준화된 코드체계를 적용함으로써 정보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모바일 RFID 서비스가 개시될 때 모바일 RFID 시스템의 개입 절차로 바른 것은?

  1. RFID 태그 - RFID 리더 - 휴대폰 - ODS - 휴대폰 - 콘텐트서버
  2. RFID 태그 - RFID 리더 - ODS - 휴대폰 - 콘텐트서버 - 휴대폰
  3. 콘텐트서버 - RFID 태그 - 휴대폰 - ODS - RFID 리더
  4. ODS - 휴대폰 - RFID 태그 - 휴대폰 - 콘텐트서버
(정답률: 34%)
  • 모바일 RFID 시스템의 개입 절차는 "RFID 태그 - RFID 리더 - 휴대폰 - ODS - 휴대폰 - 콘텐트서버" 이다. 이는 RFID 태그에서 정보를 읽어 RFID 리더로 전송하고, RFID 리더는 이 정보를 휴대폰으로 전송한다. 휴대폰은 ODS(Open Data Service)를 통해 콘텐트서버로 정보를 전송하고, 콘텐트서버는 해당 정보를 처리하여 다시 휴대폰으로 전송한다. 이렇게 전송된 정보는 휴대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절차는 RFID 태그에서부터 콘텐트서버까지의 정보 전송 과정이 최적화되어 있기 때문에 바른 절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900MHz 기반의 모바일 RFID가 13.56MHz 기반의 모바일 RFID 서비스에 대하여 가지는 특징은?

  1. 비교적 비싼 태그 단가
  2. ISO/IEC 15693 기반
  3. 보안이 요구되는 응용에 적합 (예: 교통카드, 출입 통제용 카드 등)
  4. 보다 먼 인식거리
(정답률: 50%)
  • 900MHz 기반의 모바일 RFID는 더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파의 파장이 짧아지고, 이는 더 먼 거리에서도 태그를 인식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보다 먼 인식거리를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