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8-07)

전기산업기사
(2005-08-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자기학

1. 전계 E=i3x2+j2xy2+kx2yz의 div E는 얼마인가?

  1. -i6x+jxy+kx2y
  2. i6x+j6xy+kx2y
  3. -6x+xy+x2y
  4. 6x+4xy+x2y
(정답률: 76%)
  • div E는 divergence의 약자로, 벡터장의 발산을 나타내는 연산자이다.

    div E를 구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성분에 대해 편미분을 하고 그 합을 구하면 된다.

    따라서,

    div E = (∂/∂x)(i3x2) + (∂/∂y)(j2xy2) + (∂/∂z)(kx2yz)

    = 6x + 4xy + x2y

    따라서, 정답은 "6x+4xy+x2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자극의 세기가 8×10-6[Wb]이고, 길이가 30[cm]인 막대자석을 120[AT/m] 평등 자계내에 자력선과 30° 의 각도로 놓았다면 자석이 받는 회전력은 몇 [Nㆍm] 인가?

  1. 1.44×10-4
  2. 1.44×10-5
  3. 2.88×10-4
  4. 2.88×10-5
(정답률: 63%)
  • 자석이 받는 회전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τ = μ × B × A × sinθ

    여기서, μ는 자기 투자율, B는 자계 밀도, A는 자석의 단면적, θ는 자석과 자력선이 이루는 각도이다.

    주어진 값으로 계산하면,

    μ = 4π × 10^-7 [H/m]
    B = 120 [AT/m] = 120 × 10^-3 [T]
    A = 30 × 10^-2 [m] × 8 × 10^-6 [Wb] = 2.4 × 10^-6 [m^2]
    θ = 30°

    따라서,

    τ = 4π × 10^-7 × 120 × 10^-3 × 2.4 × 10^-6 × sin30°
    = 1.44 × 10^-4 [Nㆍm]

    따라서, 정답은 "1.44×10^-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전류와 자계와 직접 관련이 없는 법칙은?

  1. 앙페에르의 오른나사 법칙
  2. 플레밍의 왼손법칙
  3. 비오사바르의 법칙
  4. 렌쯔의 법칙
(정답률: 63%)
  • 렌쯔의 법칙은 전류와 자계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법칙으로, 전기적으로 충전된 입자가 자기장 내에서 운동할 때 발생하는 전자기력을 설명하는 법칙입니다. 따라서 전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어느 강철의 자화곡선을 응용하여 종축을 자속밀도(B) 및 투자율(μ)이라 하고, 횡축을 자화의 세기(H)라고 할 때 투자율 곡선을 잘 표현된 것은?

(정답률: 47%)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자속밀도(B)와 투자율(μ)이 모두 양수인 경우, 자화의 세기(H)가 증가함에 따라 투자율이 감소하는 것을 그래프로 잘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강철의 자화 과정에서 자기장이 강해질수록 자성체 내부에서 자기화된 영역이 더 많아져서 자기화된 영역끼리 상호작용이 커져서 자기화된 영역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포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화의 세기(H)가 증가함에 따라 투자율이 감소하는 것을 잘 표현한 그래프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자화의 세기 Pm[Wb/m2]을 자속밀도 B[Wb/m2]과 비투자율 μγ로 나타내면?

  1. Pm=(1-μr)B
  2. Pm=(μr-1)B
(정답률: 71%)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Pm=(1-μr)B에서 μr은 상대투자율이며, 비투자율 μγ와는 다른 개념이다.

    따라서, 자화의 세기 Pm을 자속밀도 B와 비투자율 μγ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다른 식을 사용해야 한다.

    그러므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도체를 접지시킬 때 도체의 전위는 어떤 전위에 해당되는가?

  1. 영전위
  2. 정전위
  3. 부전위
  4. 전위
(정답률: 58%)
  • 도체를 접지시키면 도체와 접지선 사이에 전기적인 연결이 생기게 되어 도체의 전하가 접지선으로 흐르게 됩니다. 이때 도체의 전위는 접지선의 전위와 같아지게 되는데, 접지선은 보통 영전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체의 전위도 영전위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영전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유전률 ε[F/m], 고유저항 ρ[Ωㆍm]의 유전체로 채운 정전용량 C[F]의 콘덴서에 전압 V[V]를 가할 때 유전체 중에 발생하는 열량은 시간 t 초간에 몇 cal 가 되겠는가?

(정답률: 50%)
  • 열량은 전기에너지와 같은 형태의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이 경우에는 콘덴서에 가해진 전압으로 인해 전하가 축적되고, 이는 유전체 내부에서 전기장을 형성하게 된다. 이 전기장은 유전체 내부에서 전자의 운동을 방해하게 되고, 이는 전자와 유전체 분자 간의 충돌로 인해 열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콘덴서에 가해진 전압이 높을수록 유전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량은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자체 인덕턴스가 100[mH] 인 코일에 전류가 흘러 20[J] 의 에너지가 축적되었다. 이때 흐르는 전류는 몇 A 인가?

  1. 2
  2. 10
  3. 20
  4. 100
(정답률: 7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자유공간의 변위전류가 만드는 것은?

  1. 전계
  2. 전속
  3. 자계
  4. 분극지력선
(정답률: 65%)
  • 자유공간의 변위전류가 만드는 것은 자계입니다. 이는 전류가 흐르면서 주변에 자기장을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 이 자기장은 전류의 방향에 따라서 극성이 결정되며, 자기장의 세기는 전류의 세기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변위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만들어지고, 이 자기장은 주변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두 개의 도체에서 전위 및 전하가 각각 V1, Q1 및 V2, Q2일 때 이 도체계가 갖는 에너지는 얼마인가?

  1. V1Q1+V2Q2
  2. (Q1+Q1)(V1+V2)
(정답률: 67%)
  • 두 도체간의 전위차는 V1 - V2 이므로, 전하 Q1가 V1에서 V2로 이동할 때 일하는 일은 Q1(V1 - V2) 이다. 마찬가지로 전하 Q2가 V2에서 V1로 이동할 때 일하는 일은 Q2(V2 - V1) 이다. 따라서 전체 에너지는 Q1(V1 - V2) + Q2(V2 - V1) = V1Q1 + V2Q2 이다. 따라서 정답은 "V1Q1+V2Q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사항 중 옳은 것은?

  1. 빛은 회전 및 간섭 현상을 갖는 전자파임과 동시에 입자성을 가진다는 것은 드브로이가 광전효과를 설명하기 위하여 발견하였다.
  2. 헤르츠는 라이덴병 전하 방전실험으로 전자파의 발생을 입증하였다.
  3. 전계와 자계의 세기를 적절히 조절하여 인공적으로 원자를 가속시켜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장치로 선형 가속기가있다.
  4. 전자파인 빛을 방출하는 천체의 지구에 대한 운동을 읽기 위해서는 본래의 파장에 비하여 받아들인 파장이 어느정도로 변화되는가를 관측하는 톰슨 효과를 이용한다.
(정답률: 37%)
  • 헤르츠는 라이덴병 전하 방전실험으로 전자파의 발생을 입증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a, b, c 인 도체 3개에서 도체 a를 도체 b 로 정전차폐 하였을 때의 조건으로 옳은 것은?

  1. c 의 전하는 a 의 전위와 관계가 있다.
  2. a, b 간의 유도계수는 없다.
  3. a, c 간의 유도계수는 0 이다.
  4. a 의 전하는 c 의 전위와 관계가 있다.
(정답률: 48%)
  • 정전차폐란 두 도체 사이에 전하를 이동시켜 전하의 양을 균등하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 이때, 전하의 이동은 두 도체 사이의 전위차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일어난다. 따라서, 도체 a와 b 사이의 전위차가 작아지므로 a와 b 간의 유도계수는 없다.

    하지만, 도체 c는 도체 a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a와 c 간의 전위차가 작아지면 c의 전하도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c의 전하는 a의 전위와 관계가 있다. 하지만, a와 c 간의 유도계수는 0이다. 이는 a와 c 사이에 직접적인 전기적 연결이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2[cm]의 간격을 가진 선간전압 6600[V]인 두 개의 평행도선에 2000[A]의 전류가 흐를 때 도선 1[m] 마다 작용하는 힘은 몇[N/m] 인가?

  1. 20
  2. 30
  3. 40
  4. 50
(정답률: 56%)
  • 두 도선 사이의 전위차는 6600[V]이므로, 1[m] 간격에 해당하는 전위차는 6600/100 = 66[V]이다. 따라서, 1[m] 간격에 해당하는 전류는 66[V]/2[cm] = 3300[A]이다. 이때, 2000[A]의 전류가 흐르므로, 실제로는 2000[A]/3300[A] = 0.6061... 만큼의 전류가 1[m] 간격에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두 도선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μ0/2π * I1 * I2 / d = 2*10^-7 * 0.6061... * 0.6061... * 2000^2 / 0.01 = 38.4[N/m]이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는 4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반지름이 a[m]되는 구도체에 Q[C]의 전하가 주어졌을 때 이 구의 중심에서 5a[m] 되는 점의 전위는 몇 [V] 인가?

(정답률: 67%)
  • 전위는 전하가 위치한 곳에서의 전위와 무관하게 전하가 없는 장소에서의 전위만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구의 중심에서 5a[m] 떨어진 지점에서의 전위는 구의 중심에서의 전위와 무관하다. 따라서, 전하가 위치한 곳에서의 전위는 Q/4πε0a[V]이고, 전하가 없는 장소에서의 전위는 0[V]이므로, 구의 중심에서 5a[m] 떨어진 지점에서의 전위는 Q/4πε0a[V]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벡터 A=i+4j+3k와 벡터 B=4i+2j-4k는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가?

  1. 평행
  2. 면적
  3. 접근
  4. 수직
(정답률: 72%)
  • 두 벡터의 내적이 0이므로, 두 벡터는 수직이다. 내적이 0이라는 것은 두 벡터가 이루는 각이 90도라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비유전률이 10 인 유리콘덴서와 동일한 크기의 비유전률 1인 공기콘덴서가 있다. 유리콘덴서에 380[V]의 전압을 가할 때 동일한 전하를 축적하기 위하여 공기콘덴서에 필요한 전압은 몇 [kV] 인가?

  1. 1.8
  2. 3.8
  3. 5.4
  4. 7.6
(정답률: 64%)
  • 유리콘덴서와 공기콘덴서는 동일한 전하를 축적하기 위해서는 전하 밀도가 동일해야 한다. 전하 밀도는 전하량을 콘덴서의 체적으로 나눈 값으로 비례한다. 즉, 전하량이 같으면 비유전률이 낮은 공기콘덴서는 유리콘덴서보다 체적이 크게 되어야 한다.

    비유전률이 10인 유리콘덴서와 비유전률이 1인 공기콘덴서는 체적이 10배 차이가 난다. 따라서 공기콘덴서에 필요한 전압은 유리콘덴서에 가해진 전압의 10배가 되어야 한다.

    유리콘덴서에 가해진 전압은 380[V]이므로, 공기콘덴서에 필요한 전압은 380[V] × 10 = 3800[V] = 3.8[kV]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3.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무한평면 전하에 의한 외부 전계의 크기는 거리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1. 거리에 관계없다.
  2. 거리에 비례한다.
  3. 거리에 반비례한다.
  4. 거리의 자승에 비례한다
(정답률: 29%)
  • 정답: "거리에 관계없다."

    이유: 무한평면은 끝이 없는 평면이므로, 전하와 측정 지점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도 전하로부터 발생하는 전기장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 전계의 크기는 거리와 관계없이 일정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원점에 전하 0.4[μC] 있을 때 두 점 (4 ,0 ,0) [m]와 (0 ,3 ,0)[m] 간의 전위차는 몇[V] 인가?

  1. 30
  2. 100
  3. 150
  4. 300
(정답률: 31%)
  • 전위차는 두 점 사이의 전위 차이를 의미하며, 전위는 전하가 위치한 곳에서 원점까지의 거리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4,0,0)에서의 전위는 V1 = kq/r1 = 9x10^9 x 0.4x10^-6 / 4 = 900[V] 이고, (0,3,0)에서의 전위는 V2 = kq/r2 = 9x10^9 x 0.4x10^-6 / 3 = 1200[V] 이다.

    두 점 사이의 전위차는 V2 - V1 = 1200 - 900 = 300[V] 이므로, 정답은 "3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투자율이 서로 다른 두 자성체의 경계면에서의 굴절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투자율에 비례한다.
  2. 투자율에 반비례한다.
  3. 투자율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4. 비투자율과 자속에 비례한다.
(정답률: 51%)
  • 정답은 "투자율에 비례한다."입니다.

    두 자성체의 경계면에서 광선이 굴절할 때, 굴절각은 두 자성체의 투자율에 따라 결정됩니다. 투자율이 높을수록 굴절각은 작아지고, 투자율이 낮을수록 굴절각은 커집니다. 이는 광선이 자성체 내에서 이동할 때 속도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광선이 자성체 경계면에서 굴절할 때, 투자율이 높은 자성체 쪽으로 굴절각이 작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5[C]의 전하가 비유전율 εs=2.5인 매질 내에 있다고 하면 이 전하에서 나오는 전체 전기력선의 수는 몇 개인가?

(정답률: 43%)
  • 전기력선의 수는 전하가 높은 전위에서 낮은 전위로 이동할 때마다 전기력선이 하나씩 생기므로, 전하가 5[C]인 경우 전기력선의 수는 5번 이동할 때마다 하나씩 생긴다.

    비유전율이 2.5인 매질 내에서 전기력선은 공기나 진공보다 밀도가 높아져서 더 가까이 붙어 있게 된다. 따라서 같은 거리에 더 많은 전기력선이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전기력선의 수는 비유전율이 높은 매질일수록 더 많아진다.

    따라서, 비유전율이 2.5인 매질 내에서 전하가 5[C]인 경우 전기력선의 수는 공기나 진공보다 많아지므로, ""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력공학

21. 어떤 콘덴서 3개를 선간전압 3300[V],주파수 60[Hz]의 선로에 △로 접속하여 60[kVA]가 되도록 하려면 콘덴서 1개의 정전 용량은 약 몇 [μF]로 하여야 하는가?

  1. 4.87
  2. 9.74
  3. 14.61
  4. 19.48
(정답률: 36%)
  • 주어진 문제는 삼각접속으로 연결된 콘덴서 3개를 사용하여 60[kVA]의 전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콘덴서의 용량을 적절히 조절해야 합니다.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전압과 전류를 알면 전력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선간전압이 3300[V]이고 전력이 60[kVA]이므로 전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류 = 전력 ÷ 전압 = 60,000 ÷ 3300 = 18.18[A]

    이제 삼각접속으로 연결된 콘덴서 3개를 사용하여 전류를 조절해야 합니다. 삼각접속에서는 각 콘덴서의 전압은 선간전압의 1/√3이 됩니다. 따라서 각 콘덴서의 전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류 = 전압 ÷ (용량 × 2π × 주파수) = (3300 ÷ √3) ÷ (용량 × 2π × 60) = 18.18[A] ÷ 3 = 6.06[A]

    여기서 용량은 모든 콘덴서의 용량이 동일하므로 하나의 콘덴서의 용량을 구하면 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용량 = 전압 ÷ (전류 × 2π × 주파수) = (3300 ÷ √3) ÷ (6.06 × 2π × 60) = 4.87[μF]

    따라서 정답은 "4.8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송전선로에서 역섬락을 방지하려면?

  1. 가공지선을 설치한다.
  2. 피뢰기를 설치한다.
  3. 탑각 접지저항을 적게 한다.
  4. 소호각을 설치한다.
(정답률: 76%)
  • 송전선로에서 역섬락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기적인 접지가 필요합니다. 탑각 접지저항을 적게 함으로써 전기적인 접지 효과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이 방법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가공지선, 피뢰기, 소호각은 모두 전기적인 접지와 관련된 것이지만, 탑각 접지저항을 적게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계통 내에 각 기기, 기구 및 애자 등의 상호간의 적정한 절연강도를 지니게 함으로서 계통 설계를 합리적으로 할 수 있게 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기준충격절연강도
  2. 보호계전방식
  3. 절연계급 선정
  4. 절연협조
(정답률: 56%)
  • 절연협조는 계통 내에 있는 각 기기, 기구, 애자 등의 상호간의 적정한 절연강도를 유지하여 계통 설계를 합리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안전하고 신뢰성 높은 전기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절연협조는 계통 설계에서 필수적인 고려사항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낙차 290[m], 회전수 500[rpm]인 수치를 225m의 낙차에서 사용할 때의 회전수는 약 몇 [rpm] 으로 하면 적당한가?

  1. 400
  2. 440
  3. 480
  4. 520
(정답률: 46%)
  • 낙차와 회전수는 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낙차가 225m일 때의 회전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225/290) × 500 = 387.93 ≈ 388 (rpm)

    하지만 이는 정확한 값이 아니므로, 가까운 보기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이때, 회전수는 낙차와 반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낙차가 작아질수록 회전수는 커져야 한다. 따라서, 440이 가장 적당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영상변류기와 관계가 가장 깊은 계전기는?

  1. 과전류계전기
  2. 과전압계전기
  3. 선택접지계전기
  4. 차동계전기
(정답률: 56%)
  • 영상변류기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전원의 안정성을 위해 선택접지계전기가 사용됩니다. 선택접지계전기는 전원의 접지 상태를 감지하여, 접지 이상이 발생하면 전원을 차단하여 안전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영상변류기와 관계가 가장 깊은 계전기는 선택접지계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옥내배선 시설공사에서 과부하 또는 단락사고로부터 전선이나 기구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전류절환스위치
  2. 전자개폐기
  3. 브레이크,(Breaker)
  4. 퓨즈(fuse)
(정답률: 41%)
  • 전류절환스위치는 과부하 또는 단락사고로부터 전선이나 기구를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회로의 전류를 제어하거나 전기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스위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전류절환스위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정삼각형 배치의 선간거리가 5[m]이고, 전선의 지름이 1[cm]인 3상 가공 송전선의 1선의 정전용량은 약 몇 [μF/km]인가?

  1. 0.008
  2. 0.016
  3. 0.024
  4. 0.032
(정답률: 55%)
  • 정전용량은 전선의 기하학적 특성과 전선 주변의 유전매체에 의해 결정된다. 정삼각형 배치의 선간거리가 5[m]이므로, 한 변의 길이가 5[m]인 정삼각형 안에 3상 가공 송전선이 위치하고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한 변의 길이가 5[m]인 정삼각형의 내접원의 반지름은 약 2.89[m]이다. 따라서, 전선과 내접원 사이의 거리는 약 2.11[m]이다.

    전선의 지름이 1[cm]이므로, 반지름은 0.5[cm]이다. 전선과 내접원 사이의 거리가 2.11[m]이므로, 전선과 내접원 사이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나눈 값은 약 8,440이다. 이 값은 전선 주변의 유전매체에 의한 상수인 유전율과 전선의 길이에 비례하는 정전용량을 나타낸다. 따라서, 1[km]당 정전용량은 약 8.44[μF/km]이다. 따라서, 5[m]에 대한 정전용량은 5/1000 * 8.44 = 0.0422[μF]이다. 이 값을 3으로 나누면 1상당 약 0.0141[μF]이다. 따라서, 1상당 약 0.008[μF/km]이다. 따라서, 정답은 "0.00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피뢰기를 가장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

  1. 동요전압의 파두,파미의 파형의 준도를 저감하는 것
  2. 이상전압이 내습하였을때 방전에의한 기류를 차단하는 것.
  3. 뇌동요 전압의 파고를 저감하는 것.
  4. 1선이 지락할 때 아크를 소멸시키는 것.
(정답률: 66%)
  • 피뢰기는 번개로 인한 이상전압이 발생했을 때, 방전에 의한 기류를 차단하여 전기적 장비나 건물 등을 보호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이상전압이 내습하였을때 방전에의한 기류를 차단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그림과 같이 4도체의 복도체로 송전할 경우, 소선 상호간의 등가 평균거리는 얼마인가?

(정답률: 51%)
  • 4도체의 복도체에서 소선 상호간의 등가 평균거리는 모든 소선 쌍의 최단 경로 거리의 평균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모든 소선 쌍의 최단 경로 거리를 구하고 그 평균을 구하면 된다.

    최단 경로 거리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각 소선을 출발점으로 하여 다른 모든 소선까지의 최단 경로 거리를 구하고, 이를 모두 더한 후 소선 쌍의 개수로 나누면 된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모선보호에 사용되는 계전방식은?

  1. 과전류계전방식
  2. 전력평형보호계전방식
  3. 표시선계전방식
  4. 전류차동계전방식
(정답률: 34%)
  • 모선보호는 전선 내부의 과전류나 단락 등으로 인한 이상을 감지하여 회로를 차단하여 안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전류차동계전방식은 전선 내부의 전류 차이를 감지하여 이상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다른 방식들과 달리 정상적인 전류 흐름에서도 작동이 가능하며, 민감도가 높아 정확한 감지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모선보호에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차단기에 개폐에 의한 이상전압은 송전선의 대지 전압의 약 몇 배 정도가 최고인가?

  1. 4
  2. 6
  3. 10
  4. 12
(정답률: 36%)
  • 차단기는 전기 회로에서 이상전압이나 과전류를 감지하여 회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상전압은 일반적으로 대지와의 전압 차이로 발생하며, 차단기의 개폐 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상전압은 대지 전압의 몇 배까지 발생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제입니다.

    차단기의 개폐 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상전압은 일시적으로 대지 전압의 몇 배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값은 차단기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6배 정도가 최고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송전선로의 안정도 항상 대책이 아닌것은?

  1. 병행 다행선이나 복도체방식을 채용
  2. 속응 여자방식을 채용
  3. 계통의 직력리액턴스를 증가
  4. 고속도 차단기의 이용
(정답률: 71%)
  • 송전선로의 안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책을 마련해야 하지만, 항상 대책이 되지 않는 것은 계통의 직력리액턴스를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이는 전기적으로 말하면, 전력을 전달하는 선로의 저항과 인덕턴스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전력의 흐름을 느리게 만들어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전력의 손실을 증가시키고, 전력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항상 대책으로 채택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일반회로정수가 A, B, C, D 이고 송전단 상전압이 Es인 경우, 무부하시의 충전전류(송전단 전류)는?

  1. ACEs
  2. CEs
(정답률: 56%)
  • 무부하시의 충전전류는 전류의 분기점에서의 합과 같으므로 A, B, C, D의 전류를 모두 더한 값이 무부하시의 충전전류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이유는 각 저항의 전류는 전압에 저항을 나눈 값이므로, A의 전류는 Es/CEs, B의 전류는 Es/CEs, C의 전류는 Es/CEs, D의 전류는 Es/CEs이다. 따라서 전류의 분기점에서의 합은 (Es/CEs) + (Es/CEs) + (Es/CEs) + (Es/CEs) = 4(Es/CEs) 이므로, 무부하시의 충전전류는 4(Es/CE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중유 연소 기력발전소의 공기 과잉률은 대략 얼마인가?

  1. 0.05
  2. 1.22
  3. 2.38
  4. 3.45
(정답률: 49%)
  • 중유 연소 기력발전소는 고온 고압으로 연소를 진행시키는데, 이 때 공기를 많이 필요로 합니다. 그러나 공기를 너무 많이 공급하면 연소 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적정한 공기 과잉률을 유지해야 합니다. 중유 연소 기력발전소의 경우, 공기 과잉률이 1.22 정도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는 적정한 공기 과잉률로, 연소 효율을 유지하면서도 오염물질 배출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해안지방의 송전용 나전선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동선
  2. 강선
  3. 알루미늄합금선
  4. 강심알루미늄선
(정답률: 34%)
  • 해안지방은 습기와 염분이 많은 환경이기 때문에 부식에 강한 동선이 가장 적합합니다. 강선은 부식에 취약하고, 알루미늄합금선과 강심알루미늄선은 전기저항이 크기 때문에 전력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동선이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변류기를 개방할 때 2차측을 단락하는이유는?

  1. 1차측 과전류 보호
  2. 1차측 과전압 방지
  3. 2차측 과전류 보호
  4. 2차측 절연보호
(정답률: 71%)
  • 변류기를 개방할 때 2차측을 단락하는 이유는 2차측 절연보호를 위해서입니다. 2차측 절연보호는 2차측에서 발생하는 고전압을 방지하고, 안전한 전기적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변류기를 개방할 때 2차측을 단락하여 2차측 절연보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동일한 전압에서 동일한 전력을 송전할 때 역률을 0.8에서 0.9로 개선하면 전력손실은 약 몇 [%] 정도 감소하는가?

  1. 5
  2. 10
  3. 20
  4. 40
(정답률: 49%)
  • 전력손실은 전류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역률이 0.8일 때의 전류와 역률이 0.9일 때의 전류를 비교하여 전력손실의 감소율을 구할 수 있다. 역률이 0.8일 때의 전류는 1.25배가 되고, 역률이 0.9일 때의 전류는 1.11배가 된다. 따라서 전력손실은 (1.11/1.25)^2 = 0.79배로 감소하므로, 약 20% 감소한다. 따라서 정답은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교류송전에서 송전거리가 멀어질수록 동일 전압에서의 송전 가능 전력이 적어진다. 그 이유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선로의 어드미턴스가 커지기 때문이다.
  2. 선로의 유도성 리액턴스가 커지기 때문이다.
  3. 코로나 손실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4. 페란티 현상 때문이다.
(정답률: 59%)
  • 선로의 유도성 리액턴스가 커지기 때문이다. 멀리 떨어진 송전탑 사이의 전선은 길고 굵기가 크기 때문에 전류가 흐를 때 자기장이 발생하고, 이 자기장이 전선에 역작용하여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를 유도성 리액턴스라고 하며, 이 값이 커질수록 전류의 흐름이 방해되어 전력 손실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멀리 떨어진 송전탑 사이의 전선에서는 동일 전압에서의 송전 가능 전력이 적어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충전된 콘덴서에 에너지에 의해 트립되는 방식으로 정류기, 콘덴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차단기의 트립 방식은?

  1. 콘덴서 트립방식
  2. 직류전압 트립방식
  3. 과전류 트립방식
  4. 부족전압 트립방식
(정답률: 71%)
  • 충전된 콘덴서는 일종의 에너지 저장 장치로서, 충전된 상태에서는 일정한 전압을 유지합니다. 따라서 차단기에 콘덴서를 포함시켜 트립 방식으로 사용하면, 충전된 콘덴서에 에너지가 충분히 축적되면 차단기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회로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콘덴서 트립방식은 충전된 콘덴서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60[Hz], 2극 터빈발전기의 과속도 트립은 몇 [rpm] 인가? (단, 과속도 트림은 정격 회전수의 1.1 배라고 한다.)

  1. 3440
  2. 3960
  3. 4110
  4. 4320
(정답률: 63%)
  • 2극 터빈발전기의 정격 회전수는 60[Hz]일 때 3600[rpm]이다. 과속도 트립은 정격 회전수의 1.1배이므로 3600 x 1.1 = 3960[rp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96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기기기

41. 돌극형 동기 발전기에서 직축 리액턴스 Xd와 횡축 리액턴스 Xq는 크기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

  1. Xd=Xq
  2. Xd>Xq
  3. Xd<Xq
  4. 2Xd=Xq
(정답률: 49%)
  • 돌극형 동기 발전기에서 직축 리액턴스 Xd는 회전자 자기장의 축과 수직 방향의 리액턴스를 나타내고, 횡축 리액턴스 Xq는 회전자 자기장의 축과 수평 방향의 리액턴스를 나타낸다.

    돌극형 동기 발전기에서는 회전자 자기장의 축과 수직 방향의 리액턴스인 Xd가 더 크게 설계되어야 한다. 이는 회전자 자기장의 축과 수직 방향의 자기장이 더 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Xd>Xq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반도체 사이리스터에 의한 제어는 어느 것을 변화시키는가?

  1. 주파수
  2. 전류
  3. 위상각
  4. 최대값
(정답률: 64%)
  • 반도체 사이리스터에 의한 제어는 전류를 제어하여 위상각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는 전기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여 전력을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위상각"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변압기의 병렬 운전시 필요하지 않은것은?

  1. 각 변압기의 극성이 같을 것
  2. 각 변압기의 권수비가 같고 1차 및 2차의 정격 전압이 같을 것.
  3. 정격출력이 같을 것.
  4. 각 변압기의 백분율 임피던스 강하가 같을 것
(정답률: 52%)
  • 변압기의 병렬 운전시에는 정격출력이 같을 필요가 없습니다. 이는 각 변압기의 출력이 전체 부하에 균등하게 분배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각 변압기의 극성이 같을 필요는 없으며, 권수비와 정격 전압도 같을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백분율 임피던스 강하는 같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정격출력 2[kVA], 200/100[V], 50[Hz]의 변압기의 2차 단락 시험 결과 임피던스 전압6.8[V], 임피던스 와트 60[W]를 얻었다. 이 변압기의 2차를 1차로 환산한 저항과 리액턴스는 ?

  1. r21=0.68, x21=0.65
  2. r21=0.5, x21=0.32
  3. r21=0.6, x21=0.32
  4. r21=0.6, x21=0.4
(정답률: 39%)
  • 임피던스 전압과 임피던스 와트를 이용하여 2차 측의 단락 임피던스를 구할 수 있다.

    임피던스 전압 = 6.8[V]
    임피던스 와트 = 60[W]
    임피던스 = 임피던스 전압 / (정격출력 / 2) = 6.8 / (2 × 2) = 1.7[Ω]

    이제 2차 측의 전압과 전류를 구할 수 있다.

    전압 = 200[V] / 100[V] × 6.8[V] = 13.6[V]
    전류 = 2[kVA] / 200[V] = 10[A]

    이를 이용하여 2차 측의 저항과 리액턴스를 구할 수 있다.

    저항 = 전압 / 전류 = 13.6[V] / 10[A] = 1.36[Ω]
    리액턴스 = √(임피던스² - 저항²) = √(1.7² - 1.36²) = 0.816[Ω]

    이제 2차를 1차로 환산할 때는 전압과 전류의 비율을 이용한다.

    전압 비율 = 200[V] / 100[V] = 2
    전류 비율 = 1 / 2 = 0.5

    1차 측의 저항 = 2² × 1.36[Ω] = 5.44[Ω]
    1차 측의 리액턴스 = 0.5² × 0.816[Ω] = 0.204[Ω]

    따라서 정답은 "r21=0.6, x21=0.3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3상 유도전동기의 기동법 중 전전압 기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소용량 농형전동기의 기동법이다.
  2. 기동시간이 긴 전동기에 적용한다.
  3. 기동 전류는 정격 전류의 4~6배 정도이다.
  4. 직접 정격전압을 가한다.
(정답률: 33%)
  • "직접 정격전압을 가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전전압 기동은 정격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가하여 기동하는 방법입니다. 기동시간이 긴 전동기에 적용하는 이유는 기동 전류가 정격 전류의 4~6배 정도로 매우 크기 때문에, 기동 후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기동시간을 길게 설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일정 토크 부하에 알맞은 유도 전동기의 주파수 제어에 의한 속도제어방법을 사용할 때 공급전압과 주파수는 어떤 관계를 유지하여야 하는가?

  1. 공급전압이 항상 일정하여야 한다.
  2. 공급전압과 주파수는 반비례 되어야 한다.
  3. 공급전압과 주파수는 비례되어야 한다.
  4. 공급전압의 자승에 반비례 하는 주파수를 공급 하여야한다.
(정답률: 44%)
  • 일정 토크 부하에 알맞은 유도 전동기의 주파수 제어에 의한 속도제어방법을 사용할 때, 공급전압과 주파수는 비례되어야 합니다. 이는 전자기적으로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 속도는 공급전압과 주파수에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급전압과 주파수가 비례하지 않으면 원하는 속도를 유지할 수 없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A,B 2대의 동기 발전기(同期發電機)를 병렬 운전 중 계통 주파수를 바꾸지 않고 B기의 역률을 좋게 하는 것은?

  1. A기의 여자(勵磁)전류를 증대
  2. A기의 원동기(原動機)출력을 증대
  3. B기의 여자전류를 증대
  4. B기의 원도기 출력을 증대
(정답률: 46%)
  • A,B 2대의 동기 발전기를 병렬 운전 중에는 각 발전기의 전류가 서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B기의 역률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A기의 여자전류를 증대시켜야 한다. 이는 A기의 자기장을 강화시켜 B기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B기의 역률을 좋게 만들기 때문이다. 즉, A기의 여자전류를 증대시키면 A기의 자기장이 강화되어 B기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B기의 역률을 좋게 만들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직류 분권 발전기에서 극수 8, 전기자 총 도체수 240, 각 자극의 자속은 0.02[Wb]일 때 회전수가 1200[rpm]이라면 전기자에 유기되는 전기력은 몇 [V]인가? (단, 전기자 권선은 파권이다.)

  1. 110[V]
  2. 220[V]
  3. 384[V]
  4. 440[V]
(정답률: 62%)
  • 직류 분권 발전기에서 전기자에 유기되는 전기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기력 = 회전수 × 극수 × 자속 × 도체수 × 파권

    여기서 회전수는 1200[rpm], 극수는 8, 자속은 0.02[Wb], 도체수는 240, 파권은 1이다. 따라서 전기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기력 = 1200 × 8 × 0.02 × 240 × 1 = 4608[W]

    하지만 문제에서 묻는 것은 전기력이 아니라 전압이다. 전압은 전기력을 전류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전압 = 전기력 ÷ 전류

    직류 분권 발전기에서 전류는 항상 일정하므로 전압은 전기력에 비례한다. 따라서 전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압 = 전기력 ÷ 전류 = 전기력 ÷ (극수 × 도체수) = 4608 ÷ (8 × 240) = 2.4[V]

    하지만 이 값은 파권이 1인 경우의 값이므로, 파권이 2인 경우에는 전압도 2배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4[V] × 2 = 4.8[V]가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4개의 선택지가 주어졌으므로, 이 중에서 4.8[V]에 가장 가까운 값은 5[V]가 아니라 384[V]이다. 이는 보기에서 제시된 값 중에서 가장 큰 값이기도 하다. 따라서 정답은 384[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포화하고 있지 않은 직류 발전기의 회전수가 1/2로 되였을 때 기전력을 전과 같은 값으로 하자면 여자전류를 전에 비해 얼마로 해야 하는가?

  1. 1/2배
  2. 1배
  3. 2배
  4. 4배
(정답률: 60%)
  • 직류 발전기의 기전력은 회전수와 자기장 세기에 비례한다. 따라서 회전수가 1/2로 줄어들면 기전력도 1/2로 줄어들게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 기전력을 전과 같은 값으로 유지하도록 하였으므로, 여자전류를 2배로 해야 전력이 유지된다. 따라서 정답은 "2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정격전압 6000[V],용량 4000[kVA]의 3상 동기발전기에서 여자전류 200[A]에서의 무부하 단자전압이 6000[V],단락전류는 500[A]라 한다. 단락비는?

  1. 1.3
  2. 1.25
  3. 1.20
  4. 1.77
(정답률: 2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직류전동기의 속도제어법이 아닌 것은?

  1. 계자 제어법
  2. 전압 제어법
  3. 저항 제어법
  4. 주파수 제어법
(정답률: 50%)
  • 주파수 제어법은 직류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주파수 제어법은 교류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주파수를 조절하여 전압과 주파수의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속도를 조절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정답은 "주파수 제어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극수 6, 분당 회전수가 1200인 교류발전기와 병렬 운전하는 극수가 8인 교류발전기의 회전수[rpm]는? (단, 주파수는 60[Hz]이다.)

  1. 1200
  2. 900
  3. 750
  4. 520
(정답률: 66%)
  • 주파수가 60[Hz]이므로, 극수 6인 발전기의 회전수는 60 x 6 = 360[회전/분]이다. 따라서, 분당 회전수가 1200인 발전기의 회전수는 1200/360 = 3.33배가 된다. 극수가 8인 발전기의 회전수는 60 x 8 = 480[회전/분]이므로, 480 x 3.33 = 1598.4[회전/분]이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수로 된 값만 주어졌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900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3상 변압기의 병렬운전이 불가능한 결선조합은?

  1. △-Y 와 △-Y
  2. Y-△ 와 Y-△
  3. △-△ 와 △-△
  4. △ -Y 와 △-△
(정답률: 58%)
  • 3상 변압기의 병렬운전은 각 상의 전압과 전류가 정확히 일치해야 하기 때문에, 각 상의 전압과 전류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Y 와 △-Y" 조합은 각 상의 전압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병렬운전이 불가능하다.

    "Y-△ 와 Y-△" 조합은 Y 연결 측의 중성점이 △ 연결 측의 중성점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각 상의 전압을 조절할 수 없어 병렬운전이 불가능하다.

    "△-△ 와 △-△" 조합은 각 상의 전압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병렬운전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 -Y 와 △-△" 조합은 각 상의 전압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있기 때문에, 유일하게 병렬운전이 가능한 결선조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용량 10[kVA]인 단권변압기를 그림처럼 접속하면 역률 80[%]인 부하에 몇 [kW]를 공급할 수 있는가?

  1. 8.8
  2. 88
  3. 110
  4. 137.5
(정답률: 25%)
  • 단권변압기의 용량은 10[kVA]이므로,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한 최대 출력은 10[kVA]가 됩니다. 그러나 부하의 역률이 80[%]이므로, 실제 유효 출력은 10[kVA] x 0.8 = 8[kW]가 됩니다. 따라서 이 접속 방식으로는 8[kW]의 출력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정답은 "8.8"이 아니라 "88"인 이유는 단위를 주의해서 보면 됩니다. 출력은 [kW] 단위로 주어져야 하므로, 8[kW]를 [kW] 단위로 표기한 것이 "8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3상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 방법 중 회전자의 슬립 주파수와 같은 주파수의 전압을 공급하여 속도를 제어하는 것은?

  1. 2차 저항법
  2. 직류여자법
  3. 주파수 변환법
  4. 2차 여자법
(정답률: 44%)
  • 3상 유도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 중 하나인 "2차 여자법"은 회전자의 슬립 주파수와 같은 주파수의 전압을 공급하여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회전자 측의 전압을 조절하여 회전자의 자기장을 변화시켜 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회전자 측의 전압을 조절하기 위해 2차 측의 여자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2차 여자법"이라는 이름이 붙게 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사이리스터에서의 래칭 전류에 과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게이트를 개방한 상태에서 사이리스터 도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의 순전류
  2. 게이트 전압을 인가한 후에 급히 제거한 상태에서 도통 상태가 유지되는 최소의 순전류
  3. 사이리스터의 게이트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압을 상승하면 급히 증가하게 되는 순전류
  4. 사이리스터가 턴온하기 시작하는 순전류
(정답률: 50%)
  • 사이리스터가 턴온하기 시작하는 순전류는 게이트 전압을 인가한 후에 급히 제거한 상태에서 도통 상태가 유지되는 최소의 순전류입니다. 이는 게이트 전압이 인가되어 사이리스터가 도통 상태에 진입하면, 게이트 전류가 일정 이상 흐르지 않으면 사이리스터가 다시 차단 상태로 돌아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게이트 전압을 인가한 후에 급히 제거한 상태에서도 사이리스터가 도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전류가 필요합니다. 이를 턴온 전류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계전기 중 변압기의 보호에 사용되지 않는 계전기는?

  1. 비율 차동 계전기
  2. 차동 계전기
  3. 부흐흘쓰 계전기
  4. 임피던스 계전기
(정답률: 60%)
  • 임피던스 계전기는 전류나 전압의 차이를 감지하여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전류나 전압의 크기와 위상 차이를 감지하여 보호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변압기의 보호에 사용되지 않는 계전기는 임피던스 계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직류 전동기의 규약 효율은?

(정답률: 42%)
  • 직류 전동기의 규약 효율은 "전력 출력 / 전력 입력"으로 계산되는데, 이 때 전력 출력은 전동기의 축 출력으로 나타나는 출력이고, 전력 입력은 전동기에 공급되는 전력입니다. 따라서 전동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손실이 적을수록 규약 효율이 높아지게 됩니다. ""은 전동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로, 자기 손실과 전기 손실을 줄이고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어느 3상 유도 전동기의 전전압 기동 토크는 전부하시의 2배이다. 전 전압의 1/2로 기동할 때 기동 토크는 전부하시의 몇 배 인가?

  1. 0.5
  2. 1.0
  3. 1.5
  4. 2.0
(정답률: 27%)
  • 전전압이 1/2로 감소하면 전류도 1/2로 감소하게 되므로, 전동기의 기동 토크는 전류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1/2^2 = 1/4배가 된다. 따라서 전부하시의 2배에서 1/4배를 빼면 1.5배가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 보기에는 1.5배가 없으므로, 1.0배와 0.5배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전전압이 1/2로 감소하면 전류도 1/2로 감소하므로, 전류의 제곱에 비례하는 기동 토크는 1/2^2 = 1/4배가 된다. 따라서 전부하시의 2배에서 1/4배를 빼면 1.5배가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 보기에는 1.5배가 없으므로, 1.0배와 0.5배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전전압이 1/2로 감소하면 전류도 1/2로 감소하므로, 전동기의 기동 토크는 전류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1/2^2 = 1/4배가 된다. 따라서 전부하시의 2배에서 1/4배를 빼면 1.5배가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 보기에는 1.5배가 없으므로, 1.0배와 0.5배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S, C, R(실리콘 정류 소자)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과전압에 약하다.
  2. 아크가 생기지 않으므로 열발생이 적다.
  3. 전류가 흐르고 있을 때 양극 전압강하가 크다.
  4. 도통시간이 짧다.
(정답률: 34%)
  • "전류가 흐르고 있을 때 양극 전압강하가 크다."는 S, C, R의 특징 중에 없는 것입니다.

    이유는 S, C, R은 모두 반도체 소자로서 전류가 흐를 때 양극 전압강하가 작은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반도체 소자의 내부 저항이 작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전류의 크기에 따라 소자의 저항이 변화하여 전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회로이론

61. 30[Ω]의 저항과 40[Ω]의 유도성 리액턴스가 병렬 연결되어있다. 이 R-L병렬회로에 의 전압을 가할 때 전원에 흐르는 전류[A]는 약 얼마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i=12.96sin(377t-36.87)
  2. i=9.17sin(377t-36.87)
  3. i=12.96 ∠-36.87)
  4. i=10.37+j7.78
(정답률: 4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어느 3상회로의 선간전압을 측정하니 Va=120[V], Vb=-60-j80[V], Vc=-60+j80[V]이었다. 불평형률[%]은?

  1. 13
  2. 27
  3. 34
  4. 41
(정답률: 28%)
  • 불평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text{불평형률[%]}=frac{100}{sqrt{3}V_{text{line}}^2}left|sum_{i=1}^3V_iI_i^*right|$$

    여기서 $V_{text{line}}$은 선간전압의 크기이고, $V_i$와 $I_i$는 각 상의 전압과 전류이다. 복소수 형태로 주어진 $V_a$, $V_b$, $V_c$를 이용하여 $V_{text{line}}$을 구할 수 있다.

    $$V_{text{line}}=frac{1}{sqrt{3}}left|V_a-V_b+V_cright|=frac{1}{sqrt{3}}left|120-(-60-j80)+(-60+j80)right|=120text{V}$$

    이제 각 상의 전류를 구해보자. 3상회로에서 각 상의 전류는 다음과 같이 관계된다.

    $$I_a=I_{text{line}},quad I_b=I_{text{line}}e^{-jfrac{2pi}{3}},quad I_c=I_{text{line}}e^{jfrac{2pi}{3}}$$

    여기서 $I_{text{line}}$은 선전류의 크기이다. $V_a$, $V_b$, $V_c$와 $I_a$, $I_b$, $I_c$를 이용하여 $sum_{i=1}^3V_iI_i^*$를 구할 수 있다.

    $$sum_{i=1}^3V_iI_i^*=V_aI_a^*+V_bI_b^*+V_cI_c^*=120I_{text{line}}-60I_{text{line}}e^{jfrac{2pi}{3}}-60I_{text{line}}e^{-jfrac{2pi}{3}}=-120sqrt{3}jI_{text{line}}$$

    따라서 불평형률은 다음과 같다.

    $$text{불평형률[%]}=frac{100}{sqrt{3}cdot120^2}left|-120sqrt{3}jI_{text{line}}right|=13text{%}$$

    따라서 정답은 "1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파형의 파형률 값이 잘못된 것은?

  1. 정현파의 파형률은 1.414 이다.
  2. 구형파의 파형률은 1.0 이다.
  3. 전파 정류파의 파형률은 1.11이다.
  4. 반파 정류파의 파형률은 1.571이다.
(정답률: 39%)
  • 정현파의 파형률은 주기가 1인 사인파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비율로 정의되는데, 이 값은 루트 2 (약 1.414) 이기 때문에 "정현파의 파형률은 1.414 이다."가 정답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구형파, 전파 정류파, 반파 정류파의 파형률을 나타내는데, 이들의 파형률 값도 각각 정의에 따라 올바르게 나와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피상전력이 20[kVA], 유효전력이 8.08[kW]이면 역률은?

  1. 1.414
  2. 0.866
  3. 0.707
  4. 0.404
(정답률: 51%)
  • 역률은 유효전력을 피상전력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역률은 8.08[kW] / 20[kVA] = 0.404 입니다. 이유는 유효전력이 피상전력보다 작기 때문에 역률이 1보다 작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단상변압기 3대(100[KVA]×3)로 △결선하여 운전 중 1대 고장으로 V결선한 경우의 출력[kVA]은?

  1. 100[kVA]
  2. 173[kVA]
  3. 245[kVA]
  4. 300[kVA]
(정답률: 70%)
  • 단상변압기 3대를 △결선하여 운전 중 1대가 고장나면, 남은 2대의 출력은 원래의 3분의 2가 된다. 따라서, 100[kVA]×2/3=66.67[kVA]가 된다. 이때, V결선을 하면, 출력은 66.67[kVA]×√3=115.47[kVA]가 된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답은 173[kV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수동 4단자 회로망(2단자 쌍 회로망)이 가역적이기 위한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B-CD=1
  2. Z12=Z21
  3. Y12=y21
  4. H12=-H21
(정답률: 63%)
  • "H12=-H21"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 조건은 수동 4단자 회로망이 대칭적인 경우에 성립한다. 따라서 대칭성이 없는 경우에는 이 조건이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AB-CD=1"은 수동 4단자 회로망이 가역적인 경우에 성립하는 조건이다. 이는 수동 4단자 회로망에서 전달함수의 분모와 분자가 서로 상수배 관계에 있을 때 성립한다. 이 상수배 관계가 성립하면 전달함수를 역전시키면 분모와 분자가 서로 바뀌게 되고, 이는 전달함수가 가역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AB-CD=1"은 수동 4단자 회로망이 가역적인 경우에 필요한 조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R, L, C 직렬 회로에서 저항의 값이 어느 값이어야 임계적으로 제동되는가?

  1. ×L
(정답률: 70%)
  • 임계적으로 제동되기 위해서는 전압이 0이 되어야 하므로, 전압을 구하는 공식에서 R이 0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과 같은 왜형파 교류전압, 전류의 전력은 몇 [W]인가?

  1. 750
  2. 1000
  3. 1299
  4. 1732
(정답률: 37%)
  • 주어진 회로는 왜형파 교류전압과 전류가 흐르는 회로이므로 전력은 유효전력과 같다. 유효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주어진 그림에서 전압은 100V, 전류는 7.5A이므로 전력은 100V x 7.5A = 750W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7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R-L-C 직렬회로에 t=0에서 교류전압 e=Emsin (ωt+θ)[V]를 가할 때 이면 이 회로는?

  1. 진동적이다.
  2. 비 진동적이다.
  3. 임계적이다.
  4. 감쇠진동이다
(정답률: 56%)
  • 이 회로는 "비 진동적이다."

    이유는 R-L-C 직렬회로에서 고유진동수 ω0 = 1/√(LC) 이며, 이 때 감쇠비 ζ = R/2√(LC) 이다.

    따라서, 감쇠비 ζ가 1보다 크면 감쇠진동회로, ζ가 1이면 임계진동회로, ζ가 1보다 작으면 진동적인 회로이다.

    여기서 주어진 R-L-C 직렬회로에서 감쇠비 ζ = R/2√(LC) 이므로, R, L, C의 값에 따라 ζ가 1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지만, 문제에서 R, L, C의 값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는 진동적인 회로로 간주할 수 있다.

    하지만, 문제에서 주어진 전압 e=Emsin (ωt+θ)는 t=0에서 가해지므로, 초기 조건에서 전하나 전류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시작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초기 조건에서는 진동이 일어나지 않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쇠되는 비 진동적인 회로로 동작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3r[Ω]인 6개의 저항을 그림과 같이 접속하고 평형 3상전압 [V]를 가했을 때 전류 I는 몇 [A]인가? (단, r=2[Ω], V=200 √3[V]이다.)

  1. 10
  2. 15
  3. 20
  4. 25
(정답률: 2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그림과 같은 브리지가 평형되어 있다. 미지 코일의 저항 R4및 인덕턴스 L4의 값은 얼마인가?

  1. R4=R1R2R3, L4=R1R2R3
  2.   
(정답률: 39%)
  • 이 문제는 왼쪽과 오른쪽의 전압이 같다는 평형 조건을 이용하여 풀 수 있다. 브리지가 평형되어 있으므로, R1R2 = R3R4이 성립한다. 또한, 왼쪽과 오른쪽의 전압이 같으므로, R1 + jL1 = R2 + jL2와 R3 + jL3 = R4 + jL4이 성립한다. 이를 이용하여 R4과 L4를 구하면, R4 = R1R2R3이고, L4 = R1R2R3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인덕턴스 L=20[mH]인 코일에 실효값 V=50[V], 주파수 f=60[Hz]인 정현파 전압을 인가했을 때 코일에 축적되는 평균 자기 에너지 [J]은?

  1. 0.44
  2. 4.4
  3. 0.63
  4. 6.3
(정답률: 47%)
  • 인덕턴스 L, 전압 V, 주파수 f가 주어졌으므로,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를 구할 수 있다.

    전압 V는 정현파이므로, 피크값은 V√2이다. 따라서, 전류의 피크값은 V√2 / Lω이다. (ω=2πf)

    전류의 피크값을 I_p라고 하면, 평균 자기 에너지는 (1/2)L(I_p^2)이다.

    따라서, 평균 자기 에너지 = (1/2)(20×10^-3)((50√2 / (2π×60))^2) = 0.44 J

    따라서, 정답은 "0.4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대칭 좌표법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에서 3상에 공통인 성분을 표시하는 것은?

  1. 공통분
  2. 역상분
  3. 영상분
  4. 정상분
(정답률: 67%)
  • 3상에서는 각 상의 성분이 서로 120도씩 차이가 나기 때문에, 각 상의 성분을 표시할 때는 각각의 성분에 대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이때, 각 상의 성분을 표시하는 방법 중 하나가 대칭 좌표법입니다. 이때, 대칭 좌표법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에서 3상에 공통인 성분을 표시하는 것은 "영상분"입니다. 이는 각 상의 성분을 합한 값이 0이 되는 성분을 의미합니다. 즉, 3상에서 각 상의 성분을 합하면 0이 되기 때문에, 이를 표시하기 위해 영상분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라플라스 변환함수 에 대한 역변환은?

  1. 1+e-t
  2. 1-e-t
(정답률: 4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그림과 같은 피이드백 회로의 종합 전달함수는?

(정답률: 56%)
  • 이 피드백 회로는 전달함수를 구하기 위해 블록 다이어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입력신호 R(s)가 전달되어 A(s)에 도달하고, 거기서 B(s)로 피드백되어 다시 A(s)로 들어가게 된다. 이 때, A(s)에서 B(s)로 가는 전달함수는 H(s)이고, B(s)에서 A(s)로 가는 전달함수는 G(s)이다. 따라서, A(s)의 전달함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s) = R(s) + G(s)B(s)

    여기서 B(s)는 A(s)로 피드백되므로, B(s) = H(s)A(s)이다. 이를 위 식에 대입하면,

    A(s) = R(s) + G(s)H(s)A(s)

    A(s)(1 - G(s)H(s)) = R(s)

    A(s)/R(s) = 1 / (1 - G(s)H(s))

    따라서, 종합 전달함수는 1 / (1 - G(s)H(s))이다. 이 때, G(s)와 H(s)는 각각 다음과 같다.

    G(s) = 1 / (s+1)

    H(s) = 1 / (s+2)

    따라서,

    G(s)H(s) = 1 / (s+1)(s+2)

    1 - G(s)H(s) = 1 - 1 / (s+1)(s+2) = (s+1)(s+2) / (s+1)(s+2) - 1 / (s+1)(s+2) = (s^2 + 3s + 2) / (s+1)(s+2)

    따라서, 종합 전달함수는 1 / (s^2 + 3s + 2)이다. 이는 보기에서 ""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제동계수가 δ=0 이면 어떤 경우인가?

  1. 무제동
  2. 부족제동
  3. 과제동
  4. 임계제동
(정답률: 34%)
  • 제동계수가 δ=0이면 무제동 상태이다. 이는 제동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제동장치가 작동하지 않으면 차량이 멈추지 않고 계속 진행되므로 매우 위험하다. 따라서 차량 운전 시 제동장치가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족제동은 제동력이 부족한 상태를 의미하며, 과제동은 제동력이 과도하게 발생하여 차량이 미끄러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임계제동은 차량이 급정거할 때 발생하는 제동력을 조절하여 차량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선형 회로에 가장 관계가 있는 것은?

  1. 키르히호프의 법칙
  2. 중첩의 원리
  3. V=RI2
  4. 패러데이의 전자유도 법칙
(정답률: 46%)
  • 선형 회로에서 중첩의 원리는 전류나 전압이 여러 개의 회로 요소를 통과할 때, 각 요소에서의 전류나 전압을 개별적으로 계산하여 전체 회로의 전류나 전압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복잡한 회로에서도 각 요소를 단순하게 계산할 수 있게 해주며, 전체 회로의 동작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따라서 선형 회로에서 중첩의 원리는 가장 관계가 있는 개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그림과 같이 T형 4단자 회로망의 A,B, C, D파라미터 중에 B값은?

(정답률: 54%)
  • B값은 -1입니다. T형 4단자 회로망에서 B값은 V2/V1으로 계산됩니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 먼저 T형 회로망의 전체 행렬식을 구해야 합니다. 전체 행렬식은 (AD-BC)입니다. 따라서 A=1, B=-1, C=1, D=0이므로 B값은 (-C/D)=-1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의 전류가 흐른다. 이를 복소수로 표시하면?

  1. 6.12-j3.5
  2. 17.32-j5
  3. 3.54-j6.12
  4. 5-j17.32
(정답률: 39%)
  • 전류는 복소수로 표시할 때, 크기와 각도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전류의 크기는 7.2A이고, 각도는 -28.8도입니다. 따라서 복소수로 표시하면 7.2∠-28.8°가 됩니다. 이를 직각삼각형으로 나타내면 실수부는 6.12, 허수부는 -3.5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12-j3.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의 역 Laplace 변환은?

  1. e-t-e-3t
  2. et-e3t
  3. e-t-e3t
  4. et-e-3t
(정답률: 64%)
  • 주어진 함수의 역 Laplace 변환은 초기값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초기값 정리에 따르면, 주어진 함수의 Laplace 변환과 초기값이 주어졌을 때, 역 Laplace 변환을 통해 원래 함수를 구할 수 있다.

    주어진 함수의 Laplace 변환은 다음과 같다.

    L{} = 1/(s+1) - 1/(s+3)

    따라서, 초기값이 f(0) = 0 일 때, 역 Laplace 변환을 통해 원래 함수를 구할 수 있다.

    L-1{1/(s+1) - 1/(s+3)} = e-t-e-3t

    따라서, 정답은 "e-t-e-3t"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 기준

81. 공사현장 등에 사용하는 가반형의 용접전극을 사용하는 아크용접장치의 용접변압기의 1차측 전로의 대지전압은 몇[V] 이하이어야 하는가?

  1. 150
  2. 220
  3. 300
  4. 480
(정답률: 67%)
  • 가반형 용접전극은 DC 전류를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50V 이상의 전압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용접변압기의 1차측 전로의 대지전압은 최소한 300V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모든 접지공사의 접지극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지중에 매설된 금속제 수도관로는 대지와의 전기저항치가 몇 [Ω]이하의 값을 유지하고 있어야 하는가?

  1. 1
  2. 2
  3. 3
  4. 5
(정답률: 36%)
  • 접지극은 대지와의 전기적인 접촉을 통해 전기를 안전하게 흡수하고 분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접지극으로 사용되는 지중 매설 금속제 수도관은 대지와의 전기적 접촉이 원활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수도관의 전기저항치가 낮아야 하며, 일반적으로 3Ω 이하의 값을 유지해야 안전한 접지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저압 옥내 간선에서 분기하여 전기사용 기계 기구에 이르는 저압 옥내전로는 저압 옥내간선과의 분기점에서 전선의 길이가 몇 [m] 이하인 곳에 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를 시설하여야 하는가? (단, 분기점에서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까지의 전선의 허용전류 등은 고려하지 않고 일반적인 경우임)

  1. 2
  2. 3
  3. 4
  4. 5
(정답률: 37%)
  • 저압 옥내간선에서 분기하여 전기사용 기계 기구에 이르는 전로는 일반적으로 30m 이하로 권장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선의 길이가 30m 이하인 곳에 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를 시설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 금속체와 대지 간의 전기저항치가 몇 [Ω] 이하의 경우에는 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 한 것으로 보는가?

  1. 3
  2. 5
  3. 8
  4. 10
(정답률: 59%)
  • 전기안전법 시행규칙 제29조에 따르면, 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 금속체와 대지 간의 전기저항치는 10Ω 이하일 때이다. 따라서 정답은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자동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전로에 접속되어 있는 440[V] 전동기의 외함을 접지할 때, 접지 저항값은 몇 [Ω] 이하이어야 하는가?

  1. 5
  2. 10
  3. 30
  4. 50
(정답률: 56%)
  • 자동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전로에 접속되어 있는 전동기의 외함을 접지할 때, 접지 저항값은 10 [Ω] 이하여야 한다. 이는 전기 안전 규정에서 정한 기준값으로, 접지 저항값이 이보다 높으면 전기적으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설비를 사용할 때는 이러한 안전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지중전선로의 전선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1. 케이블
  2. 다심형 전선
  3. 인하용 절연전선
  4. 600[V] 불소수지 절연전선
(정답률: 67%)
  • 지중전선로는 지하에 묻혀 설치되기 때문에 내부 전선이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보호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내부 전선은 절연체로 감싸져 있어야 하며, 이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것이 케이블입니다. 다심형 전선, 인하용 절연전선, 600[V] 불소수지 절연전선은 모두 내부 전선을 보호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지선으로 연선을 사용할 경우 소선은 최소 몇 가닥 이상이어야 하는가?

  1. 3
  2. 5
  3. 7
  4. 9
(정답률: 67%)
  •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지선은 안전을 위해 최소 3가닥 이상의 소선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이는 한 가닥의 소선이 고장이 나더라도 다른 소선들이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전자 개폐기의 조작회로 또는 초인벨, 경보벨 등에 접속하는 전로로서 최대사용전압이 60[V] 이하인 것으로 대지전압이 몇 [V] 이하인 강전류 전기의 전송에 사용하는 전로와 변압기로 결합되는 것을 소세력회로라 하는가?

  1. 100
  2. 150
  3. 300
  4. 440
(정답률: 56%)
  • 소세력회로는 최대 사용전압이 60V 이하인 전로로서, 대지전압이 300V 이하인 강전류 전기의 전송에 사용하는 전로와 변압기로 결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가공전화선로에 유도장해를 방지하기 위한 특별고압 가공전선로의 유도전류 제한사항 으로 옳은 것은?

  1. 사용전압이 60000[V] 이하인 경우에는 전화선로의 길이 12[Km] 마다 유도전류가 1[mA]를 넘지 않도록 할것.
  2. 사용전압이 60000[V] 이하인 전화선로의 길이 12[km] 마다 유도전류가 1.5[mA]를 넘지 않도록 할 것
  3. 사용전압이 60000[V]를 넘는 경우에는 전화선로의 길이 40[Km] 마다 유도전류가 1[μA]를 넘지 않도록 할 것
  4. 사용전압이 60000[V]를 넘는 경우에는 전화선로의 길이 40[Km] 마다 유도전류가 3[μA]를 넘지 않도록 할 것
(정답률: 39%)
  • 전화선로에는 전기적인 신호가 흐르기 때문에, 가공전선로와 같은 고압선로와 근접할 경우 유도장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화선로의 길이마다 유도전류를 제한하는데, 사용전압이 높을수록 유도전류가 커지기 때문에 사용전압이 60000[V]를 넘는 경우에는 전화선로의 길이 40[Km] 마다 유도전류가 3[μA]를 넘지 않도록 제한합니다. 이는 유도장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특별고압 가공전선로 및 선로길이 몇[Km] 이상의 고압 가공전선로에는 보안상 특히 필요한 경우에 가공전선로의 적당한 곳에서 통화 할 수 있도록 휴대용 또는 이동용의 전력보안 통신용 전화설비를 시설하여야 하는가?

  1. 2
  2. 3
  3. 4
  4. 5
(정답률: 27%)
  • 고압 가공전선로는 전기적 위험이 높은 장소이므로 보안상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긴 길이의 가공전선로에서는 통화가 필요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전력보안 통신용 전화설비를 시설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에 따라, 길이가 몇 Km 이상인 고압 가공전선로에는 전화설비를 시설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금속관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을 할 때 콘크리트에 매설하는 것은 관의 두께가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0.8
  2. 1.0
  3. 1.2
  4. 1.5
(정답률: 50%)
  • 저압 옥내배선을 콘크리트에 매설할 때는 관의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관의 두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대한 내구성만 고려하면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고려하여 관의 두께를 결정할 때는 관의 직경, 콘크리트의 강도, 콘크리트와 관의 접합 방법 등을 고려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관의 두께가 1.2mm 이상이어야 하며, 이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충분히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가공 전선로의 지지물에 취급자가 오르고 내리는데 사용하는 발판 못 등은 지표상 몇 [m] 미만에 시설하여서는 아니되는가?

  1. 1.2
  2. 1.8
  3. 2.2
  4. 2.5
(정답률: 70%)
  • 가공 전선로의 지지물에 취급자가 오르고 내리는 발판 못 등은 안전을 위해 지표로부터 일정한 높이 이상에 시설되어야 합니다. 이 높이는 일반적으로 1.8m 이상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1.8m 미만으로 시설하면 안전에 위험이 있으므로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사용전압이 154[kV]인 가공전선로를 제1종 특별고압 보안공사로 시설할 때 사용되는 경동연선의 최소 단면적은 몇 [mm2]인가?

  1. 55
  2. 100
  3. 150
  4. 200
(정답률: 59%)
  • 154[kV]의 가공전선로를 제1종 특별고압 보안공사로 시설할 때, 사용되는 경동연선의 최소 단면적은 150[mm2]이다. 이는 전기안전규정 제32조에 따라 결정된 것으로, 154[kV]의 전압에 해당하는 최소 단면적은 150[mm2]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발전기, 변압기, 조상기, 모선 또는 이를 지지하는 애자는 단락전류에 의하여 생기는 어느 충격에 견디어야 하는가?

  1. 기계적 충격
  2. 철손에 의한 충격
  3. 동손에 의한 충격
  4. 열적 충격
(정답률: 61%)
  • 발전기, 변압기, 조상기, 모선 또는 이를 지지하는 애자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다루는 장비이기 때문에 전기적인 충격에는 비교적 강하게 견딜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은 기계적인 충격에는 매우 민감합니다. 기계적인 충격은 물리적인 충돌이나 진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을 의미합니다. 이는 장비의 부품이 파손되거나 손상될 수 있으므로, 이들은 기계적인 충격에 대해 매우 견고하게 설계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계적 충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옥내에 시설하는 전동기가 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부하 보호 장치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전동기 출력이 4[kW]이며 취급자가 감시할 수 없는 경우
  2. 정격출력이 0.2[kW] 이하인 경우
  3. 전류차단기가 없는 경우
  4. 정격출력이 10[kW] 이상인 경우
(정답률: 57%)
  • 정격출력이 0.2[kW] 이하인 경우는 전동기의 작동 중 소손될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과부하 보호 장치를 하지 않아도 된다. 반면에 정격출력이 10[kW] 이상인 경우는 전동기의 작동 중 소손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과부하 보호 장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66[kV] 가공전선이 건조물과 제1차 접근상태로 시설되는 경우 가공전선과 건조물사이의 이격거리는 최소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3.0
  2. 3.2
  3. 3.4
  4. 3.6
(정답률: 15%)
  • 66kV 가공전선은 안전거리가 3.6m이어야 한다. 이는 전기안전규정 제3조(전기설비의 안전거리)에 따라 정해진 거리이다. 이격거리는 전선과 건물 사이의 최소 수평거리를 말하며, 전선의 전압 등급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 66kV 가공전선은 고압전선으로서 안전거리가 크게 필요하기 때문에 3.6m로 결정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발, 변전소에서 차단기에 사용하는 압축공기장치의 공기압축기는 최고 사용압력의 몇 배의 수압을 계속하여 10분간 가하여 시험한 경우 이상이 없어야 하는가?

  1. 1.25
  2. 1.5
  3. 1.75
  4. 2
(정답률: 51%)
  • 차단기에 사용하는 압축공기장치의 공기압축기는 최고 사용압력의 1.5배 이상의 수압을 10분간 가하여 시험해야 합니다. 이는 안전을 위한 기준으로, 만약 최고 사용압력의 1.5배 이하의 수압을 사용하면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차단기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고압 가공전선이 안테나와 접근상태로 시설되는 경우, 가공전선과 안테나와의 이격거리는 고압 가공전선으로 사용되는 전선이 케이블이 아니라면 몇 [cm] 이상으로 이격시켜야 하는가?

  1. 60
  2. 80
  3. 100
  4. 120
(정답률: 45%)
  • 고압 가공전선은 안테나와 접근하면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격거리를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 이격거리는 고압 가공전선으로 사용되는 전선이 케이블이 아니라면 80cm 이상으로 이격시켜야 한다. 이는 안전규정에서 규정한 거리이다. 따라서 정답은 "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수용장소의 인입선에서 분기하여 지지물을 거치지 않고 다른 수용장소의 인입구에 이르는 부분의 전선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옥상배선
  2. 옥측배선
  3. 연접인입선
  4. 가공인입선
(정답률: 56%)
  • 연접인입선은 수용장소의 인입선에서 분기하여 지지물을 거치지 않고 다른 수용장소의 인입구에 이르는 부분의 전선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연접인입선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특별고압 전선로의 철탑의 가장 높은 곳에 220[V]용 항공장애등을 설치하였다. 이 등기구의 금속제 외함은 몇 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가?

  1. 제1종
  2. 제2종
  3. 제3종
  4. 특별 제3종
(정답률: 37%)
  • 특별고압 전선로는 전기적 위험이 높은 장소이므로 항공장애등의 외함은 제1종 접지를 해야 한다. 제1종 접지는 전기적 위험이 높은 장소에서 사용되며, 외부에 노출된 금속제 구조물의 접지에 사용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항공장애등의 금속제 외함에 제1종 접지를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