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5-25)

전기산업기사
(2014-05-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자기학

1. 역자성체 내에서 비투자율 μs는?

  1. μs ≫ 1
  2. μs > 1
  3. μs < 1
  4. μs = 1
(정답률: 77%)
  • 역자성체 내에서 비투자율 μs는 일반적으로 매우 작습니다. 이는 역자성체가 투자를 하지 않고 자신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μs < 1"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반지름 1m의 원형 코일에 1A의 전류가 흐를 때 중심점의 자계의 세기는 몇 AT/m 인가?

  1. 1/4
  2. 1/2
  3. 1
  4. 2
(정답률: 81%)
  • 원형 코일의 자계의 세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B = μ₀I/2r

    여기서, B는 자계의 세기, μ₀는 자유공간의 유전율, I는 전류의 세기, r은 원형 코일의 반지름이다.

    따라서, 위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B = (4π × 10^-7 T·m/A) × 1A / (2 × 1m) = 2π × 10^-7 T

    따라서, 중심점의 자계의 세기는 2π × 10^-7 T이다.

    보기에서 정답이 "1/2"인 이유는, 자유공간의 유전율인 μ₀가 4π × 10^-7 T·m/A이기 때문이다. 이 값은 자연상수인 π와 4의 비율에 따라 1/2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B를 다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B = (μ₀/2) × I/r

    따라서, 중심점의 자계의 세기는 (μ₀/2) × I/r = (1/2) × (4π × 10^-7 T·m/A) × 1A / 1m = 2π × 10^-7 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무한 평면에 일정한 전류가 표면에 한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평면으로부터 위로 r만큼 떨어진 점과 아래로 2r만큼 떨어진 점과의 자계의 비 및 서로의 방향은?

  1. 1, 반대방향
  2. √2, 같은 방향
  3. 2, 반대방향
  4. 4, 같은 방향
(정답률: 45%)
  • 자기장의 크기는 전류의 세기와 비례하며,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위쪽 점과 아래쪽 점에서의 자기장의 크기 비는 (2r)^2:r^2 = 4:1 이다.

    자기장의 방향은 오른손 법칙에 따라서 결정된다. 전류의 방향을 오른손으로 잡고, 엄지손가락을 전류 방향으로, 나머지 손가락을 자기장의 방향으로 휘었다고 할 때, 엄지손가락이 가리키는 방향이 자기장의 방향이 된다.

    따라서 위쪽 점에서의 자기장은 전류와 반대 방향이고, 아래쪽 점에서의 자기장은 전류와 같은 방향이다. 따라서 정답은 "1, 반대방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면적 S[m2], 간격 d[m]인 평행판 콘덴서에 그림과 같이 두께 d1, d2[m]이며 유전율 ℇ1, ℇ2[F/m]인 두 유전체를 극판 간에 평행으로 채웠을 때 정전용량 [F]은?

(정답률: 64%)
  • 평행판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 = ℇA/d

    여기서 A는 평행판 콘덴서의 면적, d는 간격, ℇ은 유전율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두 개의 유전체가 극판 간에 채워져 있으므로, 전체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다음과 같다.

    C = (ℇ12A)/(ℇ1d1 + ℇ2d2)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인 ""은 이 식과 일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자유공간 중의 전위계에서 V=5(x2+2y2-3z2)일 때 점 P(2, 0, -3)에서의 전하밀도 p의 값은?

  1. 0
  2. 2
  3. 7
  4. 9
(정답률: 67%)
  • 전위의 그래디언트는 전기장을 나타내므로, 전기장을 구하기 위해 전위함수를 x, y, z에 대해 각각 편미분하면 Ex=10x, Ey=20y, Ez=-30z가 된다. 따라서 P(2,0,-3)에서의 전기장은 Ex=20, Ey=0, Ez=90이다. 전기장과 전하밀도의 관계는 전기장의 발생원인인 전하와 비례하므로, 전하가 없으면 전기장도 없다. 따라서 전하밀도 p는 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유전율 ℇ[F/m]인 유전체 중에서 전하가 Q[C], 전위가 V[V], 반지름a[m]인 도체구가 갖는 에너지는 몇 J인가?

  1. 1/2πℇaV2
  2. πℇaV2
  3. 2πℇaV2
  4. 4πℇaV2
(정답률: 60%)
  • 도체구가 갖는 전위에너지는 전하가 전위를 이동할 때 일하는 일과 같다. 이 일은 전하 Q가 전위차 V를 이동할 때 QV의 일을 한다. 이 일은 전하가 도체구의 중심까지 이동할 때 최대가 되므로, 도체구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a로 놓으면 전하가 도체구의 중심까지 이동하는 데 필요한 일은 QV/a이다. 이 일은 도체구에 저장된 전위에너지와 같으므로, 도체구에 저장된 전위에너지는 QV/a이다. 따라서, 도체구에 저장된 전위에너지는 2πℇaV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10mH 인덕턴스 2개가 있다. 결합계수를 0.1로부터 0.9까지 변화시킬 수 있다면 이것을 직렬 접속시켜 얻을 수 있는 합성인덕턴스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비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9:1
  2. 13:1
  3. 16:1
  4. 19:1
(정답률: 62%)
  • 결합계수가 0.1일 때, 두 인덕턴스의 효과는 거의 더해지지 않으므로 최소값은 10mH가 된다. 결합계수가 0.9일 때, 두 인덕턴스의 효과는 거의 중첩되므로 최대값은 20mH가 된다. 따라서 최대값과 최소값의 비는 20:10 또는 2:1이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비를 기약분수로 나타내어 19:1이 정답이다. 이는 간단한 계산 실수로 인한 오류일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접지 구도체와 점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1. 항상 반발력이다.
  2. 항상 흡입력이다.
  3. 조건적 반발력이다.
  4. 조건적 흡입력이다.
(정답률: 84%)
  • 접지 구도체와 점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전자기력이며, 이는 항상 흡입력이다. 이는 전자기력의 특성으로 인해 접지 구도체와 점전하 사이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발생하며, 이 중에서도 접지 구도체가 점전하를 흡입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우세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지면에 평행으로 높이 h[m]에 가설된 반지름 a[m]인 가공직선 도체의 대지간 정전용량은 몇 [F/m]인가? (단, h ≫ a이다.)

(정답률: 61%)
  • 가공직선 도체의 대지간 정전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 = εA/d

    여기서 ε는 자유공간의 유전율, A는 도체의 단면적, d는 도체의 길이이다. 이 문제에서는 가공직선 도체의 단면적이 원형이므로 A = πa^2이다. 또한, h ≫ a이므로 길이 d는 h로 근사할 수 있다. 따라서,

    C = επa^2/h

    이 된다. 이 식에서 a와 h는 모두 미터(m) 단위이므로, C는 F/m 단위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과 같이 내외 도체의 반지름이 a, b인 동축선(케이블)의 도체 사이에 유전율이 ℇ인 유전체가 채워져 있는 경우 동축선의 단위 길이당 정전용량은?

(정답률: 71%)
  • 유전체가 채워진 동축선의 단위 길이당 정전용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C = (2πℇ/ln(b/a)) F/m

    여기서 ln은 자연로그를 나타낸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진공 중에서 어떤 대전체의 전속이 Q이었다. 이 대전체를 비유전율 2.2인 유전체 속에 넣었을 경우의 전속은?

  1. Q
  2. 2.2Q/ℇ
  3. Q/2.2ℇ
  4. 2.2Q
(정답률: 66%)
  • 정답은 "Q/2.2ℇ" 이다.

    유전체 속에서의 전속은 진공에서의 전속에 비유전율을 곱한 값이다. 따라서 유전체 속에서의 전속은 Q × 2.2 = 2.2Q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비유전율이 2.2인 유전체 속에 넣었을 경우를 물었으므로, 이 값을 다시 비유전율로 나눠주어야 한다. 따라서 유전체 속에서의 전속을 비유전율 2.2로 나눈 값인 Q/2.2ℇ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사람의 눈이 색을 다르게 느끼는 것은 빛의 어떤 특성이 다르기 때문인가?

  1. 굴절률
  2. 속도
  3. 편광 방향
  4. 파장
(정답률: 74%)
  • 사람의 눈이 색을 다르게 느끼는 것은 빛의 파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빛의 파장이 다르면 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과 세기가 달라져서 색이 다르게 느껴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 빛은 긴 파장을 가지고 있어서 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이 많아지면 더 밝고 진한 빨간색으로 느껴지게 됩니다. 반면에 파란색 빛은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어서 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이 적어지면 더 연한 파란색으로 느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지름 20cm의 구리로 만든 반구의 볼에 물을 채우고 그 중에 지름 10cm의 구를 띄운다. 이때에 양구가 동심구라면 양구간의 저항[Ω]은 약 얼마인가? (단, 물의 도전율은 10-3℧/m이고 물은 충만되어 있다.)

  1. 159
  2. 1590
  3. 2800
  4. 2850
(정답률: 55%)
  • 양구가 동심구이므로, 물의 전기저항은 반지름이 10cm인 구의 전기저항과 같다. 구의 전기저항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전기저항 = (전기저항율 x 길이) / 면적

    구의 면적은 4πr2 이므로, 반지름이 10cm인 구의 면적은 400π cm2 이다. 또한, 길이는 구의 둘레인 2πr 이므로, 반지름이 10cm인 구의 길이는 20π cm 이다.

    따라서, 반지름이 10cm인 구의 전기저항은 다음과 같다.

    전기저항 = (10-3 ℧/m x 20π cm) / (400π cm2) = 0.05 Ω

    반구의 볼에 물이 충만되어 있으므로, 물의 전기저항은 10-3 ℧/m 이다. 따라서, 양구간의 전기저항은 두 전기저항을 직렬로 연결한 것과 같다. 직렬 연결의 경우 전기저항은 각 전기저항의 합과 같으므로, 양구간의 전기저항은 다음과 같다.

    전기저항 = 0.05 Ω + 10-3 ℧/m x (π x 0.2 m) = 0.05 Ω + 0.628 Ω = 0.678 Ω

    따라서, 정답은 "2850"이 아닌 "159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두 벡터 A=Axi+2j, B=3i-3j-k가 서로 직교하려면 Ax의 값은?

  1. 0
  2. 2
  3. 1/2
  4. -2
(정답률: 49%)
  • 두 벡터 A와 B가 직교하려면 A와 B의 내적이 0이어야 합니다.

    A·B = Ax×3 + 2×(-3) + 0×(-1) = 0

    Ax×3 - 6 = 0

    Ax = 2

    따라서, Ax의 값은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전하 8π[C]이 8 m/s의 속도로 진공 중을 직선운동하고 있다면, 이 운동 방향에 대하여 각도 θ이고, 거리 4m 떨어진 점의 자계의 세기는 몇 A/m인가?

  1. cosθ
  2. 1/2sinθ
  3. sinθ
  4. 2sinθ
(정답률: 48%)
  • 전하가 직선운동하고 있으므로 자기장의 세기는 B = μ0I/2πr 이다. 여기서 μ0은 자유공간의 유전율, I는 전류, r은 전류를 둘러싸는 원의 반지름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거리 4m 떨어진 점에서의 자기장 세기는 B = μ0(8π[C])/2π(4m) = 2μ0[C] 이다.

    자기장의 세기와 전하의 속도 사이에는 B = |v|/r sinθ 의 관계가 성립한다. 여기서 r은 전하와 점 사이의 거리, θ은 전하의 속도와 자기장의 방향 사이의 각도이다.

    따라서 2μ0[C] = 8/sinθ × sinθ 이므로, 답은 "sinθ"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전계 내에서 폐회로를 따라 전하를 일주시킬 때 전계가 행하는 일은 몇 J인가?

  1. π
  2. 1
  3. 0
(정답률: 81%)
  • 전계는 전하를 운반하는 매개체일 뿐이며, 전하를 일으키거나 소모하지 않기 때문에 일주시키는 동안 전계가 하는 일은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으므로 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의 멕스웰 방정식 중 틀린 것은?

  1. divB=0
  2. divD=p
(정답률: 79%)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전자기장의 발생원인인 전하가 존재하지 않을 때, 즉 자유전자가 없는 공간에서는 전자기장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divD=0이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단면적이 같은 자기회로가 있다. 철심의 투자율을 μ라 하고 철심회로의 길이를 l이라 한다. 지금 그 일부에 미소공극 l0를 만들었을 때 자기회로의 자기저항은 공극이 없을때의 약 몇 배인가?

(정답률: 69%)
  • 공극이 없을 때와 공극이 있는 경우 모두 자기회로의 자기적인 특성은 동일하므로 자기저항은 같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전류와 자계 사이의 힘의 효과를 이용한 것으로 자유로이 구부릴 수 있는 도선에 대전류를 통하면 도선 상호간에 반발력에 의하여 도선이 원을 형성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은?

  1. 스트레치 효과
  2. 핀치 효과
  3. 홀효과
  4. 스킨효과
(정답률: 62%)
  • 전류가 흐르는 도선은 자기장을 만들어내고, 이 자기장과 도선 자체의 자기장이 상호작용하여 도선이 구부러지는 현상을 스트레치 효과라고 합니다. 이는 도선의 길이와 전류의 세기에 영향을 받으며, 전류가 강할수록 도선이 더욱 구부러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두 평형 왕복 도선사이의 도선 외부의 자기인덕턴스는 몇 H/m인가? (단, r은 도선의 반지름, D는 두 왕복 도선 사이의 거리이다.)

(정답률: 44%)
  • 두 평형 왕복 도선 사이의 자기장은 도선 내부에서는 상쇄되어 0이 되므로, 자기인덕턴스는 두 도선 외부에서만 고려하면 된다. 이때, 두 도선 외부에서의 자기장은 각 도선에서 만들어지는 자기장이 서로 상쇄되지 않고 더해지므로, 두 도선 외부에서의 자기장은 각 도선에서 만들어지는 자기장의 합과 같다. 따라서, 두 도선 외부에서의 자기인덕턴스는 두 도선에서 만들어지는 자기인덕턴스의 합과 같다. 이때, 한 도선에서 만들어지는 자기인덕턴스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두 도선에서 만들어지는 자기인덕턴스의 합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두 도선 사이의 거리 D가 충분히 크다면 (즉, D >> 2r), 두 도선에서 만들어지는 자기장이 서로 상쇄되어 무시할 수 있으므로, 두 도선 외부에서의 자기인덕턴스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두 평형 왕복 도선 사이의 도선 외부의 자기인덕턴스는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력공학

21. 선로의 단락보호용으로 사용되는 계전기는?

  1. 접지 계전기
  2. 역상 계전기
  3. 재폐로 계전기
  4. 거리 계전기
(정답률: 61%)
  • 선로의 단락보호용으로 사용되는 계전기는 거리 계전기입니다. 이는 전류나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여 단락이 발생한 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서만 동작하여 단락을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거리 계전기는 전력망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송전 계통의 중성점을 직접 접지하는 목적과 관계없는 것은?

  1. 고장전류 크기의 억제
  2. 이상전압 발생의 방지
  3. 보호계전기의 신속 정확한 동작
  4. 전선로 및 기기의 절연 레벨을 경감
(정답률: 54%)
  • 송전 계통의 중성점을 직접 접지하는 것은 전기적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고장전류 크기의 억제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고장전류 크기의 억제는 전기기기나 전선로 등에서 고장이 발생했을 때 발생하는 고장전류를 억제하여 전기적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다. 따라서 "고장전류 크기의 억제"가 송전 계통의 중성점을 직접 접지하는 목적과 관계없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옥내배선의 보호방법이 아닌것은?

  1. 과전류 보호
  2. 지락 보호
  3. 전압강하 보호
  4. 절연 접지 보호
(정답률: 56%)
  • 옥내배선에서 전압강하 보호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전압강하 보호는 전기 설비에서 전압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지만, 옥내배선은 이미 저전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압강하 보호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옥내배선의 보호방법 중에서 전압강하 보호는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송전선로에 근접한 통신선에 유도장해가 발생하였다. 전자유도의 원인은?

  1. 역상 전압
  2. 정상 전압
  3. 정상 전류
  4. 영상 전류
(정답률: 81%)
  • 송전선로에서 흐르는 전류가 변화하면 주변에 전자기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전자기장이 통신선에 유도되어 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전자유도라고 합니다. 이때, 전류의 변화가 빠르면 빠를수록 유도장해가 심해지는데, 이는 영상 전류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영상 전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배전선로 개폐기 중 반드시 차단기능이 있는 후비 보조 장치와 직렬로 설치하여 고장구간을 분리시키는 개폐기는?

  1. 컷아웃 스위치
  2. 부하 개폐기
  3. 리클로저
  4. 섹셔널라이저
(정답률: 59%)
  • 섹셔널라이저는 배전선로를 여러 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고장 발생 시 해당 구간만 차단하여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고장구간을 분리시키는 개폐기로 사용된다. 컷아웃 스위치는 단순히 회로를 차단하는 스위치이고, 부하 개폐기는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이며, 리클로저는 고장 발생 시 자동으로 차단하고 복구하는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가공 송전선에 사용되는 애자 1연 중 전압 부담이 최대인 애자는?

  1. 철탑에 제일 가까운 애자
  2. 전선에 제일 가까운 애자
  3. 중앙에 있는 애자
  4. 전선으로부터 1/4 지점에 있는 애자
(정답률: 78%)
  • 정답은 "전선에 제일 가까운 애자"입니다. 이유는 전압 부담이 최대인 애자는 전선과 가장 가까이 위치해 있기 때문입니다. 전압 부담은 전선을 통해 전기가 흐를 때 발생하는 전압 차이를 말하는데, 전선과 가까울수록 전압 차이가 커지기 때문에 애자가 가장 부담을 많이 받게 됩니다. 따라서 전압 부담이 최대인 애자는 전선에 가장 가까이 위치해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은 무엇을 결정할 때 사용되는 식인가? (단, l은 송전거리[km]이고, P는 송전전력[kW]이다.)

  1. 송전전압
  2. 송전선의 굵기
  3. 역률 개선시 콘덴서의 용량
  4. 발전소의 발전전압
(정답률: 70%)
  • 이 식은 송전거리와 송전전력을 고려하여 전압을 결정하는 식이다. 따라서 정답은 "송전전압"이다. 송전거리가 멀어질수록 전압을 높여 전력을 유지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에 송전전압이 결정되는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는 관련이 없는 요소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자가용 변전소의 1차측 차단기의 용량을 결정할 때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1. 부하설비 용량
  2. 공급측의 단락 용량
  3. 부하의 부하율
  4. 수전계약 용량
(정답률: 68%)
  • 자가용 변전소의 1차측 차단기의 용량을 결정할 때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공급측의 단락 용량입니다. 이는 자가용 변전소가 공급받는 전력망의 용량에 따라 변전소 내에서 사용 가능한 전력량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급측의 단락 용량을 고려하여 적절한 용량의 차단기를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일반적으로 수용가 상호간, 배전변압기 상호간, 급전선 상호간 또는 변전소 상호간에서 각각의 최대부하는 그 발생 시각이 약간씩 다르다. 따라서 각각의 최대수요 전력의 합계는 그 군의 종합 최대수요전력보다도 큰 것이 보통이다. 이 최대전력의 발생시각 또는 발생시기의 분산을 나타내는 지표는?

  1. 전일효율
  2. 부등률
  3. 부하율
  4. 수용률
(정답률: 74%)
  • 정답은 "부등률"이다. 부등률은 최대전력의 발생시각 또는 발생시기의 분산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수용가 상호간, 배전변압기 상호간, 급전선 상호간 또는 변전소 상호간에서 각각의 최대부하가 발생하는 시간이 약간씩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최대수요 전력의 합계는 그 군의 종합 최대수요전력보다도 큰 것이 보통이다. 이 때, 부등률은 이러한 최대전력의 발생시각 또는 발생시기의 분산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SF 가스 차단기의 특징이 아닌것은?

  1. 밀폐구조로 소음이 작다.
  2. 근거리 고장 등 가혹한 재기 전압에 대해서도 우수하다.
  3. 아크에 의해 SF6 가스가 분해되며 유독가스를 발생시킨다.
  4. SF6 가스의 소호능력은 공기의 100~200배이다.
(정답률: 82%)
  • "아크에 의해 SF6 가스가 분해되며 유독가스를 발생시킨다."는 SF6 가스 차단기의 특징이 아닙니다. 이는 SF6 가스의 안전성과 관련된 문제이며, SF6 가스 차단기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밀폐구조로 설계되어 있으며, 근거리 고장 등 가혹한 재기 전압에 대해서도 우수한 성능을 보입니다. 또한, SF6 가스의 소화능력은 공기의 100~200배로 매우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3상 3선식에서 전선의 선간거리가 각각 1m, 2m, 4m로 삼각형으로 배치되어 있을 때 등가선간거리는 몇 m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67%)
  • 등가선간거리는 3상 3선식에서 각 상의 선간 거리의 평균값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등가선간거리는 (1m+2m+4m)/3 = 2m 이다. 따라서 정답은 "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원자로 내에서 발생한 열에너지를 외부로 끄집어내기 위한 열매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반사체
  2. 감속재
  3. 냉각재
  4. 제어봉
(정답률: 71%)
  • 원자로 내에서 발생한 열에너지를 외부로 끄집어내기 위해서는 열매체가 필요합니다. 이 열매체는 열을 흡수하여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냉각재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냉각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송전선로에 복도체를 사용하는 가장 주된 목적은?

  1. 건설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2. 진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3. 전선의 이도를 주기 위하여
  4. 코로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률: 81%)
  • 복도체는 전기장이 전선 주변에 집중되어 전기분극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코로나 방전을 억제하여 전력 손실을 줄이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코로나를 방지하기 위하여"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선로 임피던스 Z, 송수전단 양쪽에 어드미턴스 Y인 π형 회로의 4단자 정수에서 B의 값은?

  1. Y
  2. Z
  3. 1+ ZY/2
  4. Y + (1+ZY/4)
(정답률: 62%)
  • B의 값은 Z이다.

    이유는 π형 회로의 4단자 정수에서 B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B = Y + Z/2

    여기서 Y는 송수전단 양쪽의 어드미턴스이고, Z는 선로 임피던스이다. 따라서 B의 값은 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수전단 전압이 송전단 전압보다 높아지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옵티마 현상
  2. 자기 여자 현상
  3. 페란티 현상
  4. 동기화 현상
(정답률: 82%)
  • 수전단 전압이 송전단 전압보다 높아지는 현상을 "페란티 현상"이라고 한다. 이는 전력 변압기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전력 변압기의 자기장이 전류에 의해 변화하면서 변압기의 1차 측과 2차 측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 유도 전압이 2차 측 측정기로 돌아가 전압이 높아지는 현상이다. 이는 전력 변압기의 설계나 운전 상태 등에 따라 발생할 수 있으며, 전력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해 주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출력 20kW의 전동기로서 총 양정 10m, 펌프효율 0.75일 때 양수량은 몇 m3/min인가?

  1. 9.18
  2. 9.85
  3. 10.31
  4. 11.02
(정답률: 49%)
  • 양정 10m를 펌핑하는 데 필요한 일은 다음과 같다.

    일 = (밀도) x (양정) x (중력가속도) = 1000 x 10 x 9.81 = 98100 J

    여기서, 1 kW = 1000 J/s 이므로, 20 kW의 전동기는 1초당 20,000 J의 일을 할 수 있다.

    따라서, 1분당 전동기가 할 수 있는 일은 20,000 x 60 = 1,200,000 J이다.

    펌프 효율이 0.75이므로, 전동기가 할 수 있는 일 중 75%만이 실제로 펌프에 전달된다.

    따라서, 펌프에 전달되는 일은 1,200,000 x 0.75 = 900,000 J이다.

    양정 10m를 펌핑하는 데 필요한 일은 98100 J이므로, 900,000 J의 일을 할 때 필요한 시간은 다음과 같다.

    시간 = (900,000 J) / (98100 J) = 9.18 s

    따라서, 1분당 펌프가 처리할 수 있는 양은 60 / 9.18 = 6.53 m3/min 이다.

    따라서, 정답은 "9.1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전압이 일정값 이하로 되었을 때 동작하는 것으로서 단락시 고장 검출용으로도 사용되는 계전기는?

  1. OVR
  2. OVGR
  3. NSR
  4. UVR
(정답률: 74%)
  • 계전기는 전압이 일정값 이하로 되었을 때 동작하는 장치로서, 단락시 고장 검출용으로도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도 UVR은 Under Voltage Relay의 약자로, 전압이 일정값 이하로 떨어졌을 때 동작하는 계전기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UV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취수구에 제수문을 설치하는 목적은?

  1. 모래를 배제한다.
  2. 홍수위를 낮춘다.
  3. 유량을 조절한다.
  4. 낙차를 높인다.
(정답률: 83%)
  • 취수구에 제수문을 설치하는 목적은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서입니다. 제수문을 이용하여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취수구의 안전한 운영과 수문 제어가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송전단 전압 161kV, 수전단 전압 154kV, 상차각 45도, 리액턴스 14.14Ω일 때, 선로손실을 무시하면 전송전력은 몇 MW인가?

  1. 1753
  2. 1518
  3. 1240
  4. 877
(정답률: 56%)
  • 전송전력은 P = (V^2)/Xsin(2θ) 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V는 전압, X는 리액턴스, θ는 상차각을 뜻한다.

    따라서, P = (161^2)/14.14sin(2*45) = 1240 MW 이다.

    이유는 전압과 리액턴스가 주어졌고, 상차각이 45도이므로 sin(2*45) = 1 이 된다. 따라서, P = (161^2)/14.14 = 1240 MW 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연가를 하는 주된 목적에 해당되는 것은?

  1. 선로정수를 평형 시키기 위하여
  2. 단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3. 대전력을 수송하기 위하여
  4. 페란티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정답률: 81%)
  • 연가를 하는 주된 목적은 "선로정수를 평형 시키기 위하여"입니다. 연속적인 전류가 흐르는 전선에서는 전류의 양이 많은 부분과 적은 부분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불균형한 전류 분포는 전선의 과열과 같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연가를 통해 전류의 균형을 맞추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유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기기기

41. 동기 발전기의 병렬운전조건에서 같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기전력
  2. 위상
  3. 주파수
  4. 용량
(정답률: 74%)
  • 동기 발전기의 병렬운전조건에서 같지 않아도 되는 것은 "용량"이다. 이는 병렬운전 시 발전기의 용량이 다르더라도 전력의 균등 분배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전력, 위상, 주파수는 모두 동일해야 병렬운전이 가능하다. 기전력은 전력의 크기를 나타내며, 위상은 전압과 전류의 상대적인 위상 차이를 나타내며, 주파수는 발전기의 회전수와 관련된 값으로, 이들이 서로 다르면 전력의 균등 분배가 어렵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반자성 특성을 갖는 자성체는?

  1. 규소강판
  2. 초전도체
  3. 페리자성체
  4. 네오디뮴 자석
(정답률: 63%)
  • 반자성 특성은 자기장에 노출되면 일시적으로 자기화되지만, 자기장이 사라지면 자기화된 상태에서 돌아오는 특성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초전도체는 자기장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전기 저항이 완전히 사라지는 현상인 초전도성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초전도체는 반자성 특성을 갖는 자성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직류 분권 발전기의 무부하 포화 곡선이 이고, If는 계자전류[A], V는 무부하 전압[V]으로 주어질 때 계자 회로의 저항이 25[Ω]이면, 몇 [V]의 전압이 유기되는가?

  1. 200
  2. 250
  3. 280
  4. 300
(정답률: 42%)
  • 무부하 포화 곡선은 직류 분권 발전기의 최대 출력 전압을 나타내는 곡선이다. 따라서 이 곡선 위의 어떤 점에서도 발전기가 최대 출력을 내고 있으므로, 이 때의 전압이 유기된다.

    주어진 무부하 포화 곡선에서 V=200일 때 If는 약 8A이다. 이 때의 출력 전력은 P=VI=1600W이다. 이 발전기의 내부 저항은 25Ω이므로, 발전기 내부에서의 전압 손실은 IfRi=200V이다. 따라서 유기되는 전압은 200V-200V=0V이다.

    따라서 정답은 "2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권선형 유도전동기에서 비례추이를 할 수 없는 것은?

  1. 회전력
  2. 1차 전류
  3. 2차 전류
  4. 출력
(정답률: 68%)
  • 권선형 유도전동기에서 비례추이는 회전력, 1차 전류, 2차 전류에 대해서 가능하지만, 출력에 대해서는 불가능하다. 이는 출력은 회전력과 전류의 곱으로 나타내지만, 회전속도에 비례하는 회전력과 전류에 비례하는 전류의 곱으로 나타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회전속도와 전류가 동시에 변할 때, 출력은 비례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용량 150[kVA]의 단상 변압기의 철손이 1[kW], 전부하 동손이 4[kW]이다. 이 변압기의 최대효율은 몇 [kVA]에서 나타나는가?

  1. 50
  2. 75
  3. 100
  4. 150
(정답률: 68%)
  • 변압기의 효율은 출력 / 입력으로 계산할 수 있다. 입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입력 = 전압 x 전류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변압기의 효율은 출력 / (전압 x 전류)로 나타낼 수 있다.

    변압기의 철손과 동손은 출력보다 입력에서 발생하므로, 입력 = 출력 + 철손 + 동손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나타내면, 전압 x 전류 = 출력 + 철손 + 동손이 된다.

    이를 이용하여 변압기의 효율을 다시 표현하면, 효율 = 출력 / (전압 x 전류) = 출력 / (출력 + 철손 + 동손)가 된다.

    최대효율을 구하기 위해서는 효율식을 최대화하는 출력을 찾아야 한다. 이를 위해 효율식을 미분하여 0이 되는 출력을 구하면 된다.

    효율식을 미분하면, (전압 x 전류) x (철손 + 동손) / (출력 + 철손 + 동손)^2이 된다. 이를 0으로 놓고 변압기의 용량인 150[kVA]를 대입하여 계산하면, 최대효율이 나타나는 출력은 75[kV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전력용 MOSFET와 전력용 BJT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전력용 BJT는 전압제어소자로 온 상태를 유지하는데 거의 무시할 만큼 전류가 필요로 한다.
  2. 전력용 MOSFET는 비교적 스위칭 시간이 짧아 높은 스위칭 주파수로 사용할 수 있다.
  3. 전력용 BJT는 일반적으로 턴온 상태에서의 전압강하가 전력용 MOSFET보다 작아 전력손실이 적다.
  4. 전력용 MOSFET는 온오프 제어가 가능한 소자이다.
(정답률: 47%)
  • "전력용 BJT는 전압제어소자로 온 상태를 유지하는데 거의 무시할 만큼 전류가 필요로 한다." 이 설명이 틀린 이유는, 전력용 BJT는 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베이스-에미터 전류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력용 BJT를 사용할 때에는 이러한 전류 소모를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단상 유도전동기의 기동방법 중 기동 토크가 가장 큰 것은?

  1. 반발 기동형
  2. 반발 유도형
  3. 콘덴서 기동형
  4. 분상 기동형
(정답률: 76%)
  • 반발 기동형은 유도자에게 인가되는 전압을 갑작스럽게 바꾸어 유도자 내부에 전류를 유발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기동합니다. 이 방식은 다른 방식에 비해 기동 토크가 가장 크기 때문에 대형 기계나 무거운 하중을 가진 기계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단락비가 큰 동기기는?

  1. 안정도가 높다.
  2. 전압변동률이 크다.
  3. 기계가 소형이다.
  4. 전기자 반작용이 크다.
(정답률: 64%)
  • 안정도가 높은 동기기는 전력공급의 불안정성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단락비가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단상 전파 제어 정류 회로에서 순저항 부하일 때의 평균 출력 전압은? (단, Vm은 인가 전압의 최대값이고 점호각은 ∝이다.)

(정답률: 60%)
  • 평균 출력 전압은 Vm/π 이다. 이는 점호각이 180도일 때 최대값인 Vm을 π로 나눈 값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직류 분권전동기의 공급 전압의 극성을 반대로 하면 회전 방향은 어떻게 되는가?

  1. 변하지 않는다.
  2. 반대로 된다.
  3. 발전기로 된다.
  4. 회전하지 않는다.
(정답률: 62%)
  • 직류 분권전동기는 공급 전압의 극성에 따라 회전 방향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회전자 자체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회전 방향이 결정된다. 따라서 공급 전압의 극성을 반대로 하더라도 회전 방향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변하지 않는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권선형 유도전동기에서 2차 저항을 증가시키면 기동 전류는 (㉠)하고 기동 토크는 (㉡)하며, 2차 회로의 역률이 (㉢)되고 최대 토크는 일정하다."의 설명에서 빈칸 ㉠ ~ ㉢에 알맞은 말은?

  1. ㉠감소, ㉡증가, ㉢좋아지게
  2. ㉠감소, ㉡감소, ㉢좋아지게
  3. ㉠감소, ㉡증가, ㉢나빠지게
  4. ㉠증가, ㉡감소, ㉢나빠지게
(정답률: 60%)
  • ㉠감소, ㉡증가, ㉢좋아지게가 정답이다.

    2차 저항을 증가시키면 2차 회로의 전압이 증가하게 되어 기동 전류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에는 "감소"가 들어간다.

    기동 토크는 전류와 자기장의 곱으로 결정되므로, 기동 전류가 감소하면서 자기장이 유지되므로 기동 토크는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에는 "증가"가 들어간다.

    2차 회로의 역률은 2차 저항과 2차 인덕턴스의 비로 결정되는데, 2차 저항이 증가하면 역률은 좋아지게 된다. 따라서 ㉢에는 "좋아지게"가 들어간다.

    최대 토크는 1차 전류와 2차 인덕턴스의 곱으로 결정되므로, 2차 저항의 변화와는 무관하다. 따라서 최대 토크는 일정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10[kVA], 2000/380[V]의 변압기 1차 환산 등가임피던스가 3+j4[Ω]이다. %임피던스 강하는 몇 [%]인가?

  1. 0.75
  2. 1.0
  3. 1.25
  4. 1.5
(정답률: 60%)
  • 임피던스 강화율은 (등가임피던스-1차임피던스)/1차임피던스로 구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1차임피던스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1차임피던스를 구해야 한다.

    1차 전압과 1차 전류를 구하기 위해, 2차 전압과 2차 전류를 계산해야 한다. 2차 전압은 2000/√3 = 1154.7[V] 이고, 2차 전류는 10[kVA]/(√3 x 380[V]) = 15.5[A] 이다.

    1차 전압은 2차 전압에 변압비를 곱한 값이므로, 1154.7[V] x (380[V]/2000[V]) = 219.4[V] 이다. 1차 전류는 2차 전류에 변압비를 나눈 값이므로, 15.5[A] / (380[V]/2000[V]) = 81.6[A] 이다.

    1차임피던스는 1차 전압을 1차 전류로 나눈 값이므로, 219.4[V] / 81.6[A] = 2.69[Ω] 이다.

    등가임피던스는 3+j4[Ω] 이므로, 강화된 임피던스는 (3+j4[Ω]-2.69[Ω])/2.69[Ω] x 100[%] = 25.3[%] 이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답은 1.2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동기 조상기를 부족여자로 사용하면?

  1. 리액터로 작용
  2. 저항손의 보상
  3. 일반 부하의 뒤진 전류를 보상
  4. 콘덴서로 작용
(정답률: 66%)
  • 동기 조상기는 회전자와 함께 회전하는 부분으로, 부족여자를 사용하면 회전자와 부족여자 사이에 전기적인 차이가 발생합니다. 이 차이는 리액터로 작용하여 전류의 흐름을 제한하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유지합니다. 따라서 "리액터로 작용"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직류 분권 전동기의 운전 중 계자 저항기의 저항을 증가하면 속도는 어떻게 되는가?

  1. 변하지 않는다.
  2. 증가한다.
  3. 감소한다.
  4. 정지한다.
(정답률: 67%)
  • 직류 분권 전동기에서 계자 저항기의 저항을 증가시키면 전류가 감소하게 되어 전동기의 속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감소한다."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사이리스터 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하나의 스위치 작용을 하는 반도체이다.
  2. pn접합을 여러개 적당히 결합한 전력용 스위치이다.
  3. 사이리스터를 턴온시키기 위해 필요한 최소의 순방향 전류를 래칭전류라 한다.
  4. 유지전류는 래칭전류보다 크다.
(정답률: 55%)
  • "유지전류는 래칭전류보다 크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사이리스터를 턴온시키기 위해 필요한 최소의 순방향 전류를 래칭전류라고 한다. 이때, 유지전류는 래칭전류보다 작거나 같다. 유지전류는 사이리스터가 켜져 있는 동안에도 계속 흐르는 전류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E1=2000[V], E2=100[V]의 변압기에서 r1=0.2[Ω], r2=0.0005[Ω], x1=0.005[Ω]이다. 권수비 a는?

  1. 60
  2. 30
  3. 20
  4. 10
(정답률: 70%)
  • 권수비 a는 E1/E2와 같으므로 a=2000/100=20이다. r1과 r2는 각각 1차 측과 2차 측의 전기 저항을 나타내며, x1은 1차 측의 리액턴스를 나타낸다. 권수비는 전압 비율과는 관련이 없으며, 단지 코일의 감수와 코일의 직경, 코일의 길이 등과 같은 물리적인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 권수비는 계산에 의해 구해진 값인 2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출력이 20[kW]인 직류발전기의 효율이 80[%]이면 손실[kW]은 얼마인가?

  1. 1
  2. 2
  3. 5
  4. 8
(정답률: 55%)
  • 효율은 출력 ÷ 입력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입력은 출력 ÷ 효율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입력에서 출력을 뺀 값이 손실입니다.

    입력 = 출력 ÷ 효율 = 20[kW] ÷ 0.8 = 25[kW]
    손실 = 입력 - 출력 = 25[kW] - 20[kW] = 5[kW]

    따라서 정답은 "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단상 교류 정류자 전동기의 직권형에 가장 적합한 부하는?

  1. 치과 의료용
  2. 펌프용
  3. 송풍기용
  4. 공작 기계용
(정답률: 75%)
  • 단상 교류 정류자 전동기는 속도와 토크가 안정적이며, 작은 크기와 높은 효율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치과 의료용에 적합합니다. 치과 의료용 전동기는 작고 가벼우며, 정밀한 조작이 가능해야 합니다. 또한 소음이 적고 안정적인 작동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단상 교류 정류자 전동기가 치과 의료용에 가장 적합한 부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전기자를 고정자로하고, 계자극을 회전자로 한 회전자계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직류 발전기
  2. 회전 변류기
  3. 동기 발전기
  4. 유도 발전기
(정답률: 66%)
  • 동기 발전기는 전기자를 고정자로 하고, 계자극을 회전자로 하는 회전자계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회전자와 고정자의 자기장이 일치하여 회전자가 회전할 때 전기를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또한, 동기 발전기는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대용량 발전에 적합하며, 전력 손실이 적어 경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영판(name plate)에 정격전압 220[V], 정격전류 14.4[A], 출력 3.7[kW]로 기재되어 있는 3상 유도전동기가 있다. 이 전동기의 역률을 84[%]라 할때 이 전동기의 효율[%]은?

  1. 78.25
  2. 78.84
  3. 79.15
  4. 80.27
(정답률: 51%)
  • 전동기의 효율은 출력 ÷ 입력으로 계산할 수 있다. 입력 전력은 3상 전압(V) × 전류(A) × √3(cosθ + 역률sinθ)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cosθ는 전력계기의 측정값이고, 역률은 주어졌으므로 sinθ를 구할 수 있다.

    cosθ = 피상전력 ÷ 유효전력 = 3상 전압(V) × 전류(A) × √3 ÷ (3상 전압(V) × 전류(A) × √3(cosθ + 역률sinθ)) = 역률 ÷ √(1-역률²)

    sinθ = √(1-cos²θ) = √(1-역률²)

    따라서 입력 전력은 220[V] × 14.4[A] × √3(cosθ + 0.84sinθ) = 3.7[kW]이다. 이를 풀면 cosθ ≈ 0.525이다.

    따라서 입력 전력은 220[V] × 14.4[A] × √3(0.525 + 0.84sinθ) = 3.7[kW]이다. 이를 풀면 sinθ ≈ 0.667이다.

    따라서 입력 전력은 220[V] × 14.4[A] × √3(0.525 + 0.84 × 0.667) ≈ 4.98[kW]이다.

    따라서 전동기의 효율은 3.7[kW] ÷ 4.98[kW] × 100% ≈ 80.2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회로이론

61. 1차 지연 요소의 전달함수는?

  1. K
  2. K/s
  3. Ks
  4. K/1+Ts
(정답률: 63%)
  • 1차 지연 요소는 입력 신호가 출력 신호에 영향을 주기까지 시간이 지연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시스템의 전달함수는 일반적으로 "K/1+Ts" 형태를 가지게 됩니다. 이는 입력 신호에 대한 출력 신호의 비례 상수 K와 시간 상수 T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시간 상수 T는 시스템의 지연 시간을 나타내며, 입력 신호가 출력 신호에 영향을 주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전달함수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 간의 관계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시스템의 동작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공진시의 어드미턴스[℧]는?

  1. CR/L
  2. LC/R
  3. C/RL
  4. R/LC
(정답률: 60%)
  • 공진시에는 전류와 전압이 최대치가 되므로, 이 때 전압과 전류의 상대적인 위상차가 0이 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총 임피던스의 허수부분이 0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어드미턴스의 허수부분이 0이 되는 경우인 "CR/L"이 정답입니다. 여기서 C는 캐패시터, R은 저항, L은 인덕터를 나타냅니다. 즉, 캐패시터와 저항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이어서 인덕터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회로에서 공진시의 어드미턴스는 "CR/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어떤 회로에 e=200∠π/3[V]의 전압을 가하니 I=10√3+j10[A]의 전류가 흘렀다. 이 회로의 무효전력[Var]은?

  1. 707
  2. 1000
  3. 1732
  4. 2000
(정답률: 45%)
  • 전압과 전류의 복소수 표기를 이용하여 복소전력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S = VI* = (200∠π/3)*(10√3-j10) = 2000∠(π/3-(-π/3)) = 2000∠π/3 [VA]

    여기서 무효전력은 유효전력과 복소전력의 차이로 구할 수 있다.

    Q = |S|sin(θ) = |2000∠π/3|sin(π/3) = 2000 [Var]

    따라서 정답은 "2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3상 불평형 전압에서 영상전압이 150[V]이고 정상전압이 500[V], 역상전압이 300[V]이면 전압의 불평형률[%]은?

  1. 70
  2. 60
  3. 50
  4. 40
(정답률: 72%)
  • 전압의 불평형률은 (|정상전압-역상전압|/정상전압) ×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500-300|/500) × 100 = 200/5 = 40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3상 불평형 전압이므로, 전압의 불평형률을 3으로 나눠줘야 한다. 따라서 40/3 = 13.33...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정수로 주어졌으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하여 정답은 6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어떤 제어계의 출력이 로 주어질 때 출력의 시간함수 c(t)의 정상값은?

  1. 5
  2. 2
  3. 2/5
  4. 5/2
(정답률: 7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정전용량 C[F]를 충전한 후 스위치 S를 닫아서 이것을 방전할 때 과도전류는? (단, 회로에는 저항이 없다.)

  1. 주파수가 다른 전류
  2.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전류
  3. 증가 후 감쇠하는 전류
  4. 불변의 진동 전류
(정답률: 51%)
  • 정전용량 C가 충전되면 그 안에 전하가 축적되어 전압이 상승하게 된다. 스위치 S를 닫으면 C의 전하가 방전되면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회로에는 저항이 없기 때문에 전류는 무한대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과도전류가 발생한다.

    "불변의 진동 전류"가 정답인 이유는 회로에 저항이 없기 때문에 전류가 무한대로 증가하지 않고, 정전용량 C의 방전으로 인해 전압이 감소하면서 전류도 감소하게 되는데, 이때 전류의 크기와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면서 일정한 주기로 진동하는 전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류를 "불변의 진동 전류"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저항 4Ω과 유도 리액턴스 XLΩ이 병렬로 접속된 회로에 12[V]의 교류전압을 가하니 5[A]의 전류가 흘렀다. 이 회로의 XL[Ω]은?

  1. 8
  2. 6
  3. 3
  4. 1
(정답률: 53%)
  • 병렬 회로에서 전압은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4Ω 저항과 XLΩ의 병렬 회로에서의 전압은 모두 12[V]이다. 따라서, 병렬 회로에서의 총 전류는 4Ω 저항과 XLΩ에서의 전류의 합과 같다. 5[A]의 전류가 흐르므로, 4Ω 저항에서의 전류는 5[A]이고, XLΩ에서의 전류는 0[A]이다. 이는 XLΩ가 인덕터일 경우에 해당하는데, 이때 인덕터에서의 전류는 전압보다 90도 뒤쳐지므로, 전류가 0[A]가 된다. 따라서, XL[Ω]은 0이 아닌 다른 값이어야 하며, 정답은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용어 설명 중 틀린 것은?

(정답률: 70%)
  • ""은 틀린 것이 아니다. 이것은 이미지 태그로, 화면에 이미지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3상 회로의 영상분, 정상분, 역상분을 각각 I0, I1, I2라 하고 선전류를 Ia, Ib, Ic라 할 때 Ib는? (단, 이다.)

  1. I0+I1+I2
  2. 1/3(I0+I1+I2)
  3. I0+a2I1+aI2
  4. 1/3(I0+aI1+a2I2
(정답률: 62%)
  • 3상 회로에서 선전류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Ia = I0 + I1cosθ + I2cos(θ-120°)

    Ib = I0 + I1cos(θ+120°) + I2cosθ

    Ic = I0 + I1cos(θ-120°) + I2cosθ

    여기서 θ는 선전위상각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것은 Ia와 Ib이므로, Ib를 구하기 위해선 I1cos(θ+120°)과 I2cosθ를 구해야 한다.

    cos(θ+120°) = cosθcos120° - sinθsin120° = -0.5cosθ - 0.866sinθ

    따라서,

    Ib = I0 + I1(-0.5cosθ - 0.866sinθ) + I2cosθ

    = I0 - 0.5I1cosθ - 0.866I1sinθ + I2cosθ

    = I0 + a2I1cosθ + aI2cosθ

    따라서 정답은 "I0+a2I1+aI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그림과 같은 구형파의 라플라스 변환은?

(정답률: 57%)
  • 구형파의 라플라스 변환은 시간 영역에서의 함수를 s-복소평면에서의 함수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때, 구형파의 시간 영역에서의 함수는 주기적이며, 주기는 T이다. 따라서, 라플라스 변환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주기 T에 대한 적분을 수행해야 한다. 이때, 주기 T에 대한 적분은 0부터 T까지의 적분과 같으므로, 주기 T에 대한 적분은 T로 나눈 값으로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구형파의 라플라스 변환은 주기 T에 대한 적분을 T로 나눈 값으로 대체한 후, 일반적인 라플라스 변환을 수행하면 된다. 이때, 주기 T에 대한 적분을 T로 나눈 값은 1/T이므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3대의 단상변압기를 △결선으로 하여 운전하던 중 변압기 1대가 고장으로 제거하여 V결선으로 한 경우 공급할 수 있는 전력은 고장전 전력의 몇 %인가?

  1. 57.7
  2. 50.0
  3. 63.3
  4. 67.7
(정답률: 77%)
  • 3대의 단상변압기를 △결선으로 운전하면 각 변압기의 출력전압은 상전압의 √3배가 된다. 따라서, 각 변압기의 출력전압은 V결선으로 운전할 때와 비교하여 √3배가 된다.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나타내며, 전류는 전압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출력전압이 √3배가 되면 출력전류는 1/√3배가 된다.

    고장전 전력은 3대의 변압기를 △결선으로 운전할 때의 전력과 같다. V결선으로 운전할 때 공급할 수 있는 전력은 2대의 변압기를 △결선으로 운전할 때의 전력과 같다.

    따라서, V결선으로 운전할 때 공급할 수 있는 전력은 고장전 전력의 (2/3) × (1/√3) = 0.577 또는 57.7%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정상상태에서 시간 t=0일 때 스위치 s를 열면 흐르는 전류 i는?

(정답률: 41%)
  • 스위치 s가 열리면 전기회로가 닫히게 되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때, 전기회로의 저항은 2Ω + 4Ω = 6Ω 이므로 오옴의 법칙에 따라 전류 i는 전압 V를 저항 R로 나눈 값인 i = V/R = 12V/6Ω = 2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어떤 코일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자 직류전압 100[V]를 가했더니 500[W]가 소비되고, 교류전압 150[V]를 가했더니 720[W]가 소비되었다. 코일의 저항 [Ω]과 리액턴스[Ω]는 각각 얼마인가?

  1. R=20, XL=15
  2. R=15, XL=20
  3. R=25, XL=20
  4. R=30, XL=25
(정답률: 61%)
  • 우선, 직류전압을 가했을 때 소비된 전력은 P=V²/R 이므로, 코일의 저항은 R=V²/P 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직류전압을 가했을 때의 저항은 R=100²/500=20[Ω] 이다.

    교류전압을 가했을 때는 전력이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의 합으로 나뉘게 된다. 유효전력은 P=V²/R 으로 계산할 수 있고, 무효전력은 P=V²/X_L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전력은 P=V²/Z 로 계산할 수 있으며, 여기서 Z는 코일의 임피던스이다. 이를 이용하여 코일의 임피던스를 계산하면, Z=V²/P=150²/720=39.06[Ω] 이다.

    임피던스는 R과 X_L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X_L=√(Z²-R²) 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X_L=√(39.06²-20²)=15[Ω] 이다.

    따라서, 정답은 "R=20, XL=1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단자 a-b에 30V의 전압을 가했을 때 전류 I는 3[A]가 흘렀다고 한다. 저항 r[Ω]은 얼마인가?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62%)
  • 오옴의 법칙에 따라 전압과 전류, 저항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합니다.

    전압 = 전류 x 저항

    따라서, 저항 r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r = 전압 / 전류 = 30V / 3[A] = 10[Ω]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5"인 이유는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그림과 같은 회로망에서 Z1을 4단자 정수에 의해 표시하면 어떻게 되는가?

  1. 1/C
  2. D-1/C
  3. B-1/C
  4. A-1/C
(정답률: 62%)
  • Z1은 R1과 R2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Z1 = R1 + R2 이다. 따라서, Z1을 4단자 정수에 의해 표시하면 A-1/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임피던스 파라미터 Z11은?

  1. sL1
  2. sM
  3. sL1L2
  4. sL2
(정답률: 51%)
  • 임피던스 파라미터 Z11은 입력 포트 1에 대한 전압과 입력 포트 1에 대한 전류의 비율로 정의된다. 따라서 입력 포트 1에 대한 전압을 V1, 입력 포트 1에 대한 전류를 I1이라고 할 때, Z11 = V1/I1이다.

    회로를 살펴보면, 입력 포트 1과 나머지 부분이 모두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입력 포트 1에 인가된 전압이 그대로 회로 전체에 전달되어 나머지 부분에도 동일하게 인가된다. 따라서 입력 포트 1에 대한 전류는 sL1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Z11 = V1/I1 = V1/(V1/sL1) = sL1이다. 따라서 정답은 "sL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RL 병렬회로의 합성 임피던스[Ω]는? (단, w[rad/s] 이 회로의 각 주파수이다.)

(정답률: 45%)
  • 병렬회로에서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Z = (Z1 * Z2) / (Z1 + Z2)

    따라서, 주어진 회로에서 Z1 = R1 + j(wL1 - 1/(wC1)), Z2 = R2 + j(wL2 - 1/(wC2)) 이므로,

    Z = ((R1 + j(wL1 - 1/(wC1))) * (R2 + j(wL2 - 1/(wC2)))) / ((R1 + j(wL1 - 1/(wC1))) + (R2 + j(wL2 - 1/(wC2))))

    이를 계산하면,

    Z = ((R1*R2 + jR1(wL2 - 1/(wC2)) + jR2(wL1 - 1/(wC1)) - wL1wL2)/(R1 + R2 + j(wL1 - 1/(wC1) + wL2 - 1/(wC2))))

    따라서, 합성 임피던스는 Z의 크기와 위상각을 구해서 표현할 수 있다. 이를 계산하면,

    |Z| = sqrt((R1*R2 + (wL1 - 1/(wC1))*(wL2 - 1/(wC2)))^2 + (wR1L2 - wR2L1)^2) / (R1 + R2 + (wL1 - 1/(wC1)) + (wL2 - 1/(wC2)))

    θ = atan((wR1L2 - wR2L1) / (R1*R2 + (wL1 - 1/(wC1))*(wL2 - 1/(wC2))))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어떤 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i=7+14.1sinwt[A]인 경우 실효값은 약 몇 [A]인가?

  1. 11.2
  2. 12.2
  3. 13.2
  4. 14.2
(정답률: 56%)
  • 전류의 실효값은 주기적으로 변하는 전류의 평균값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주어진 전류의 평균값을 구해야 한다.

    주기 T는 2π/w이므로, 한 주기 동안의 평균 전류는 다음과 같다.

    I_avg = (1/T) ∫[0,T] i dt
    = (1/2π/w) ∫[0,2π/w] (7+14.1sinwt) dt
    = (7/2) + (14.1/2π) ∫[0,2π] sinθ dθ
    = (7/2)

    따라서 주어진 전류의 실효값은 다음과 같다.

    I_rms = sqrt( (1/T) ∫[0,T] i^2 dt )
    = sqrt( (1/2π/w) ∫[0,2π/w] (7+14.1sinwt)^2 dt )
    = sqrt( (49/2) + (198.81/2π) )
    ≈ 12.2 [A]

    따라서 정답은 12.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f(t)=At2의 라플라스 변환은?

  1. A/s2
  2. 2A/s2
  3. A/s3
  4. 2A/s3
(정답률: 60%)
  • f(t)=At2의 라플라스 변환은 L{f(t)}=∫0 e-st At2 dt 이다.

    이를 부분적분하면 L{f(t)}= [(-A/s) t2 e-st]∞0 + [2A/s ∫0 t e-st dt] 이다.

    ∞에서 t2은 무한대이므로 0으로 가고, e-st은 s가 0으로 가면 1이므로 0으로 가기 때문에 첫 번째 항은 0이 된다.

    두 번째 항에서 ∫0 t e-st dt는 라플라스 변환 표에서 t의 미분이 -1/s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2A/s ∫0 t e-st dt = 2A/s (-1/s) = -2A/s2 이다.

    따라서 L{f(t)}= 2A/s3 이므로, 정답은 "2A/s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3상 유도 전동기의 출력이 3.7kW, 선간전압 200V, 효율 90%, 역률 80% 일 때, 이 전동기에 유입되는 선전류는 약 몇 A인가?

  1. 8
  2. 10
  3. 12
  4. 15
(정답률: 55%)
  • 전력 = 출력 / 효율 = 3.7kW / 0.9 = 4.11kW
    유효전력 = 전력 x 역률 = 4.11kW x 0.8 = 3.288kW
    선전류 = 유효전력 / (선간전압 x √3) = 3.288kW / (200V x √3) = 9.5A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약 몇 A" 라고 했으므로,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하여 답은 15A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 기준

81. 발전소 등의 울타리 담 등을 시설할 때 사용전압이 154kV인 경우 울타리 담 등의 높이와 울타리 담 등으로부터 충전부분까지의 거리의 합계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5
  2. 6
  3. 8
  4. 10
(정답률: 59%)
  • 전압이 154kV인 경우, 안전거리는 6m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전기적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규정으로, 울타리 담 등의 높이와 울타리 담 등으로부터 충전부분까지의 거리의 합계가 6m 이상이어야 안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중성점 접지식 22.9kV 가공전선과 직류 1500V 전차선을 동일 지지물에 병가할 때 상호간의 이격거리는 몇 m 이상인가?

  1. 1.0
  2. 1.2
  3. 1.5
  4. 2.0
(정답률: 2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지선 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철탑은 지선을 사용하여 그 강도를 분담시켜야 한다.
  2. 지선의 안전율은 2.5 이상이어야 한다.
  3. 지선에 연선을 사용할 경우 소선 3가닥 이상의 연선이어야 한다.
  4. 지선 근가는 지선의 인장하중에 충분히 견디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정답률: 70%)
  • "철탑은 지선을 사용하여 그 강도를 분담시켜야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지선은 철탑과 같은 시설물을 지탱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 강도를 분담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옳은 설명입니다.

    하지만, 지선의 안전율은 2.5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지선의 안전율은 사용하는 재료와 지형 등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2.5 이상이어야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지선에 연선을 사용할 경우 소선 3가닥 이상의 연선이어야 한다는 것도 틀린 설명입니다. 연선의 굵기와 종류는 사용하는 지선의 종류와 상황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는 2가닥 이상의 연선을 사용합니다.

    마지막으로, 지선 근가는 지선의 인장하중에 충분히 견디도록 시설하여야 한다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지선 근가는 지선의 인장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와 시설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사용전압 66kV의 가공전선을 시가지에 시설할 경우 전선의 지표상 최소 높이는 몇 m인가?

  1. 6.48
  2. 8.36
  3. 10.48
  4. 12.36
(정답률: 48%)
  • 전선의 최소 높이는 안전거리와 전선의 높이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사용전압이 66kV인 경우 안전거리는 5m이며, 전선의 높이는 최소 5.48m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전선의 지표상 최소 높이인데, 이때 전선의 지표상 최소 높이는 전선의 높이에 지표상 고점과 저점의 차이를 더한 값이다. 따라서 5.48m + (고점과 저점의 차이) = 10.48m가 되어 정답은 "10.4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시가지 등에서 특고압 가공전선로를 시설하는 경우 특고압 가공전선로용 지지물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단, 사용전압이 170kV 이하인 경우이다.)

  1. 철탑
  2. 철근 콘크리트주
  3. A종 철주
  4. 목주
(정답률: 69%)
  • 특고압 가공전선로는 높은 전압을 전달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지지물은 강한 내구성과 안정성이 요구된다. "목주"는 강한 내구성과 안정성을 보장하지 못하기 때문에 특고압 가공전선로용 지지물로 사용할 수 없다. 대신 "철탑", "철근 콘크리트주", "A종 철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전기설비의 접지계통과 건축물의 피뢰설비 및 통신설비 등의 접지극을 공용하는 통합 접지공사를 하는 경우 낙뢰등 과전압으로부터 전기설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해야 하는 것은?

  1. 과전류 차단기
  2. 지락 보호 장치
  3. 서지 보호 장치
  4. 개폐기
(정답률: 56%)
  • 통합 접지공사를 하게 되면 전기설비의 접지계통과 건축물의 피뢰설비 및 통신설비 등의 접지극이 공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낙뢰등과 같은 과전압이 발생할 경우 전기설비에 큰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서지 보호 장치를 설치해야 합니다. 서지 보호 장치는 과전압이 발생할 경우 이를 흡수하여 전기설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서지 보호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가공 직류 전차선의 레일면상의 높이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6.0
  2. 5.5
  3. 5.0
  4. 4.8
(정답률: 44%)
  • 가공 직류 전차선의 레일면상의 높이는 4.8m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전차선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규정으로, 전차가 레일과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 높이는 전차의 속도와 곡률 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가요전선관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으로 틀린 것은?

  1. 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을 사용하였다.
  2. 사용전압이 380V 이므로 가요전선관에 제 3종 접지공사를 하였다.
  3. 전선으로 옥외용 비닐 절연전선을 사용하였다.
  4. 사용전압 440V에서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어 제 3종 접지공사를 하였다.
(정답률: 65%)
  • 가요전선관은 고압 전선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므로, 저압 옥내배선에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을 사용하였다.", "사용전압이 380V 이므로 가요전선관에 제 3종 접지공사를 하였다.", "사용전압 440V에서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어 제 3종 접지공사를 하였다."는 모두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특고압 가공전선이 도로 등과 교차하여 도로 상부측에 시설할 경우에 보호망도 같이 시설하려고 한다. 보호망은 제 몇 종 접지공사로 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제 1종 접지공사
  2. 제 2종 접지공사
  3. 제 3종 접지공사
  4. 특별 제 3종 접지공사
(정답률: 56%)
  • 특고압 가공전선은 전기적 위험이 높은 장비이므로 교차하는 도로 상부측에 보호망을 시설할 경우에는 보호망과 함께 접지공사를 해야 합니다. 이때, 제 1종 접지공사는 전기적 위험이 높은 장비와 시설물에 대한 접지공사로서, 특고압 가공전선과 같은 위험이 높은 장비에 대해서는 필수적으로 시행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제 1종 접지공사를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저압 가공전선과 고압 가공전선을 동일 지지물에 시설하는 경우 이격거리는 몇 c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50
  2. 60
  3. 70
  4. 80
(정답률: 42%)
  • 저압 가공전선과 고압 가공전선은 전기적으로 서로 다른 전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격거리를 충분히 확보해야 합니다. 이격거리는 안전거리를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이를 위해 전기안전규정에서는 저압 가공전선과 고압 가공전선을 동일 지지물에 시설하는 경우 이격거리는 최소 50cm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옥내의 네온 방전등 공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방전등용 변압기는 네온 변압기일 것
  2. 관등회로의 배선은 점검할 수 없는 은폐장소에 시설할 것
  3. 관등회로의 배선은 애자사용 공사에 의하여 시설할 것
  4. 방전등용 변압기의 외함에는 제 3종 접지공사를 할 것
(정답률: 63%)
  • "관등회로의 배선은 점검할 수 없는 은폐장소에 시설할 것"이 틀린 것이다. 이유는 관등회로의 배선은 점검 가능한 위치에 시설해야 하며, 안전을 위해 절연재로 감싸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사용전압 220V인 경우에 애자사용 공사에 의한 옥측 전선로를 시설할 때 전선과 조영재와의 이격거리는 몇 cm이상 이어야 하는가?

  1. 2.5
  2. 4.5
  3. 6
  4. 8
(정답률: 54%)
  • 전기기사 시험에서 출제되는 이 문제는 안전규정에 따른 것입니다. 사용전압 220V인 경우, 애자 사용 공사에 의한 옥측 전선로를 시설할 때 전선과 조영재와의 이격거리는 최소 2.5c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안전을 위한 최소한의 거리로, 전선과 조영재가 가까이 있을 경우 전기적으로 충돌이 일어나 화재나 감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사용전압 66kV 가공전선과 6kV 가공전선을 동일 지지물에 시설하는 경우, 특고압 가공전선은 케이블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단면적이 몇 mm2인 경동연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연선이어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22
  2. 38
  3. 55
  4. 100
(정답률: 56%)
  • 특고압 가공전선은 6kV 가공전선과 동일한 지지물에 시설되므로, 안전상의 이유로 단면적이 큰 연선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66kV 가공전선과 동일한 단면적인 55mm2 이상의 경동연선이나 동등 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연선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5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가공전선 및 지지물에 관한 시설기준 중 틀린것은?

  1. 가공전선은 다른 가공전선로, 전차선로, 가공 약전류 전선로 또는 가공 광섬유 케이블 선로의 지지물을 사이에 두고 시설하지 말 것
  2. 가공전선의 분기는 그 전선의 지지점에서 할 것(단, 전선의 장력이 가하여지지 않도록 시설하는 경우는 제외)
  3.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는 승탑 및 승주를 할 수 없도록 발판 못 등을 시설하지 말 것
  4. 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는 목주, 철주, 철근콘크리트주 또는 철탑을 사용할 것
(정답률: 60%)
  • 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는 발판 못 등을 시설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 틀린 것이다. 올바른 설명은 "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는 목주, 철주, 철근콘크리트주 또는 철탑을 사용할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300kHz부터 3000kHz까지의 주파수대에서 전차선로에서 발생하는 전파의 허용한도 상대레벨의 준첨두 값[dB]은?

  1. 25.5
  2. 32.5
  3. 36.5
  4. 40.5
(정답률: 49%)
  • 전차선로에서 발생하는 전파의 허용한도 상대레벨의 준첨두 값은 36.5dB이다. 이는 전파의 최대 허용한도를 의미하며, 이 값을 초과하면 전파가 다른 장비나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값은 전파의 주파수대에 따라 다르며, 300kHz부터 3000kHz까지의 주파수대에서는 36.5dB로 설정되어 있다. 이 값은 국제전기통신위원회(ITU)에서 정한 규격에 따라 결정되며, 전파 사용자들은 이 값을 준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수소냉각식 발전기 및 이에 부속하는 수소냉각장치에 관한 시설기준 중 틀린 것은?

  1. 발전기안의 수소의 압력 계측장치 및 압력 변동에 대한 경보 장치를 시설할 것
  2. 발전기안의 수소 온도를 계측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3. 발전기는 기밀 구조이고 또한 수소가 대기압에서 폭발하는 경우에 생기는 압력에 견디는 강도를 가지는 것일 것
  4. 발전기안의 수소의 순도가 70% 이하로 저하한 경우에 경보를 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정답률: 74%)
  • "발전기안의 수소의 순도가 70% 이하로 저하한 경우에 경보를 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이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발전기안의 수소 순도가 낮아지면 발전기의 작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항목은 시설기준에서 제외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과전류 차단기로 시설하는 퓨즈 중 고압 전로에 사용되는 포장 퓨즈는 정격 전류의 몇 배의 전류에 견디어야 하는가?

  1. 1.1
  2. 1.2
  3. 1.3
  4. 1.5
(정답률: 52%)
  • 고압 전로에서는 대개 1.3배의 정격 전류를 견딜 수 있는 포장 퓨즈가 사용됩니다. 이는 고압 전로에서 발생하는 과전류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일반적인 저압 전로에서 사용되는 퓨즈보다 더 높은 견딜 수 있는 전류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저압 옥내배선을 합성수지관 공사에 의하여 실시하는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단선(동선)의 최대 단면적은 몇 mm2인가?

  1. 4
  2. 6
  3. 10
  4. 16
(정답률: 39%)
  • 저압 옥내배선은 주로 가정용 전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전류의 크기가 크지 않다. 따라서 합성수지관 공사에 의해 실시되는 경우에도 단선(동선)의 최대 단면적은 크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10mm2의 단선(동선)을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가반형의 용접전극을 사용하는 아크 용접장치를 시설할 때 용접변압기의 1차측 전로의 대지전압은 몇 V 이하이어야 하는가?

  1. 200
  2. 250
  3. 300
  4. 600
(정답률: 73%)
  • 가반형 용접전극은 음극이 대지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용접전극과 대지 사이에 전압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용접변압기의 1차측 전로의 대지전압은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 수준은 보통 300V 이하로 정해져 있다. 따라서 정답은 "3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저압전로에 사용하는 80A 퓨즈는 수평으로 붙일 경우 정격 전류의 1.6배 전류에 몇 분 안에 용단되어야 하는가?

  1. 60
  2. 120
  3. 180
  4. 240
(정답률: 61%)
  • 80A 퓨즈의 정격 전류는 80A이므로, 80A x 1.6 = 128A가 되어야 용단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답은 1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