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4-01)

조경기능사
(2007-04-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경일반

1. 다음중 인도정원에 영향을 미친 가장 중요한 요소는?

  1. 노단
  2. 토피어리
  3. 돌수반
(정답률: 89%)
  • 인도정원은 물이 없으면 존재하지 않을 정도로 물이 중요한 요소입니다. 물은 식물의 생장과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며, 인도정원에서는 물이 없으면 식물들이 죽어버리고 정원의 아름다움도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물은 인도정원에서 사용되는 수영장, 분수, 연못 등의 수족관을 운영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인도정원에서 물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골프장 코스 중 출발지점을 가리키는 것은?

  1. 티(tee)
  2. 그린(green)
  3. 페어웨이(fair way)
  4. 해저드(hazard)
(정답률: 94%)
  • 골프에서 출발지점은 티(tee)라고 부릅니다. 이는 공을 쳐 올리기 위해 나무나 플라스틱으로 만든 작은 삼각형 모양의 기둥으로, 공을 올려놓고 쳐내는 곳입니다. 따라서 출발지점을 가리키는 것은 티(te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수형(樹刑)구성에 가장 예민한 영향을 미치는 환경 인자는?

  1. 공기
  2. 수분
  3. 토양
  4. 광선
(정답률: 75%)
  • 광선은 수형의 성장과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광합성을 통해 얻은 에너지를 이용하여 수형은 생장하고, 광선의 방향에 따라 가지의 방향과 각도가 결정됩니다. 따라서 광선이 부족하거나 불규칙하게 들어오면 수형의 성장과 형태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중세 수도원의 전형적인 정원으로 예배실을 비롯한 교단의 공공건물에 의해 둘러싸인 네모난 공지를 가리키는 것은?

  1. 아트리움(Atrium)
  2. 페리스탈리움(Peristylium)
  3. 클라우스트룸(Claustrum)
  4. 파티오(Patio)
(정답률: 57%)
  • 클라우스트룸은 중세 수도원의 전형적인 정원으로, 교단의 공공건물에 의해 둘러싸인 네모난 공지를 가리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아트리움, 페리스탈리움, 파티오는 이와 다른 공간을 가리키므로 정답은 클라우스트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조선시대 후원에 장식용으로 사용되지 않은 것은?

  1. 괴석
  2. 세심석
  3. 굴뚝
  4. 석가산
(정답률: 70%)
  • 석가산은 조선시대 후원에 장식용으로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이는 석가산이 불교에서 중요한 상징물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조선시대는 유교가 국교로 채택되어 있었기 때문에, 불교와 관련된 물건들은 후원에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석가산은 후원에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시공 후 전체적인 모습을 알아보기 쉽도록 그린 그림과 같은 형태의 도면은?

  1. 평면도
  2. 입면도
  3. 조감도
  4. 상세도
(정답률: 86%)
  • 주어진 도면은 시공 후 전체적인 모습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그려진 그림입니다. 이러한 도면을 조감도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조감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미국에서 하워드의 전원 도시의 영향을 받아 도시 교외에 개발된 주택지로서 보행자와 자동차를 완전히 분리하고자 한 것은?

  1. 래드번(Rad burn)
  2. 레치워어드(Letch worth)
  3. 웰린(Welwyn)
  4. 요세미티
(정답률: 79%)
  • 래드번은 하워드의 전원 도시 개념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도시 교외로서, 보행자와 자동차를 완전히 분리하여 안전하고 조용한 주거 환경을 제공하고자 했습니다. 이를 위해 도로망이 구성되어 있으며, 주택 지역과 상업 지역이 분리되어 있습니다. 또한, 주택 지역 내에는 공원과 녹지가 많이 조성되어 있어 자연 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명도 대비가 가장 큰 것은?

  1. 검정과 노랑
  2. 빨강과 파랑
  3. 보라와 연두
  4. 주황과 빨강
(정답률: 84%)
  • 검정과 노랑이 명도 대비가 가장 큰 것은 검정이 가장 어두우면서도 노랑이 가장 밝기 때문입니다. 검정과 노랑은 색상환에서 서로 멀리 떨어져 있어 대비가 크기 때문에 눈에 더욱 띄게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정원의 넓이를 한층 더 크고 변화 있게 하려는 조경기술 중 가장 좋은 방법은?

  1. 축을 강조
  2. 눈가림 수법
  3. 명암을 대비
  4. 통경선
(정답률: 60%)
  • 눈가림 수법은 정원에서 다양한 식물들을 배치하여 시각적인 장면을 만들어내는 조경기술입니다. 이 방법은 정원의 넓이를 한층 더 크고 변화 있게 만들어주며, 다양한 색상과 형태의 식물들을 배치하여 시각적인 흥미를 높여줍니다. 또한, 눈가림 수법은 식물들의 성장과 변화를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원의 넓이를 한층 더 크고 변화 있게 하려는 조경기술 중 가장 좋은 방법은 눈가림 수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른 나라의 조경양식을 받아들이는데 가장 장애가 되는 것은?

  1. 과학기술
  2. 자연환경
  3. 암석
  4. 수목
(정답률: 88%)
  • 다른 나라의 조경양식을 받아들이는데 가장 장애가 되는 것은 자연환경입니다. 각 나라의 지리적, 기후적, 지질학적 특성에 따라 자연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다른 나라의 조경양식을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사막 지역에서는 물이 부족하고 건조한 환경이기 때문에, 초목이나 사막 식물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하지만, 습지 지역에서는 물이 많이 있고 습기가 높은 환경이기 때문에, 초목이나 사막 식물을 사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른 나라의 조경양식을 받아들일 때는 해당 지역의 자연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한 식물과 디자인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조경 분야 중 프로젝트의 수행 단계별로 구분하는 순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설계 -> 계획 -> 시공 -> 관리
  2. 계획 -> 설계 -> 시공 -> 관리
  3. 설계 -> 관리 -> 계획 -> 시공
  4. 시공 -> 설계 -> 계획 -> 관리
(정답률: 92%)
  • 정답은 "계획 -> 설계 -> 시공 -> 관리"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계획: 조경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전에 목표와 일정을 설정하고, 필요한 자원과 예산을 계획합니다.

    2. 설계: 계획에 따라 조경 디자인을 수행하고, 필요한 자원과 예산을 고려하여 상세한 계획을 수립합니다.

    3. 시공: 설계된 계획에 따라 조경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건설, 식재, 조명 등의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4. 관리: 조경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유지보수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식물의 관리, 잔디의 관리, 시설물의 유지보수 등이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도시 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 구분한 공원 가운데 그 규모가 가장 작은 것은?

  1. 묘지공원
  2. 체육공원
  3. 근린공원
  4. 어린이 공원
(정답률: 84%)
  • 어린이 공원은 어린이들이 놀이와 체육활동을 할 수 있는 작은 규모의 공원으로, 다른 공원들과는 달리 주로 도시 내 작은 지역에 위치하며, 놀이시설과 벤치, 풀 등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도시 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 구분한 공원 가운데 그 규모가 가장 작은 것은 어린이 공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마운딩(moundng)의 기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배수 방향을 조절
  2. 자연스러운 경관을 조성
  3. 공간기능을 연결
  4. 유효토심 확보
(정답률: 65%)
  • "공간기능을 연결"은 마운딩의 가장 거리가 먼 기능입니다. 이는 마운딩이 지형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공간의 흐름을 만들어내고, 이를 통해 서로 다른 공간들을 연결하여 유기적인 공간구성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마운딩은 공간의 통로를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공간기능들을 연결하여 보다 효율적인 공간구성을 이룰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독도는 광활한 바다에 우뚝 솟은 바위섬이다. 독도의 전망대에서 바라보는 경관의 유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파노라마경관
  2. 지형경관
  3. 위요경관
  4. 초점경관
(정답률: 87%)
  • 독도는 광활한 바다를 둘러싸고 있으며, 전망대에서는 360도로 넓은 바다를 바라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광활한 경관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것이 파노라마경관입니다. 따라서, 독도의 전망대에서는 파노라마경관이 가장 적합한 유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이집트 데르엘바하리 신전에 사용한 배식기법은?

  1. 열식
  2. 점식
  3. 군식
  4. 혼식
(정답률: 71%)
  • 이집트 데르엘바하리 신전에서 사용한 배식기법은 열식입니다. 이는 대규모의 인원이 함께 식사하는 방식으로, 식사를 위해 준비된 음식이 한 번에 모두 나눠지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간격으로 나눠져 제공되는 방식입니다. 이는 대규모의 인원이 함께 식사할 때 효율적이며, 음식을 더욱 많은 사람들이 먹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경재료

16. 다음 중 수목의 용도에 따르는 설명이 틀린 것은?

  1. 가로수는 병충해 및 공해에 강해야한다.
  2. 녹음수는 낙엽활엽수가 좋으며, 가지 다듬기를 할 수 있어야 한다.
  3. 방풍수는 심근성이고, 가급적 낙엽수이어야 한다.
  4. 방화수는 상록활엽수이고, 잎이 두꺼워야 한다.
(정답률: 77%)
  • 방풍수는 심근성이어야 하는 이유는 바람이 강한 지역에서도 뿌리가 깊게 박혀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가급적 낙엽수이어야 하는 이유는 낙엽수는 겨울철에 잎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바람이 많이 부는 계절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아 방풍 효과가 높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가시 산울타리용으로 사용하기 부적합한 수종은?

  1. 탱자나무
  2. 호랑가시나무
  3. 가시나무
  4. 찔레나무
(정답률: 58%)
  • 가시 산울타리용으로 사용하기 부적합한 수종은 "가시나무"입니다. 가시나무는 가시가 많아서 산울타리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만, 그 가시가 뾰족하고 날카로워서 사람이나 동물에게 다칠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시 산울타리용으로는 가시가 적당한 다른 수종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용광로에서 선철을 제조할 때 나온 광석찌꺼기를 석고와 함께 시멘트에 섞은 것으로서 수화열이 낮고, 내구성이 높으며, 화학적 저항성이 큰 한편, 투수가 적은 특징을 갖는 것은?

  1. 실리카시멘트
  2. 고로시멘트
  3. 중용열 포틀랜드시멘트
  4. 조강 포틀랜드시멘트
(정답률: 81%)
  • 용광로에서 선철을 제조할 때 나온 광석찌꺼기를 석고와 함께 시멘트에 섞은 것은 고로시멘트입니다. 이는 고로시멘트가 석고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고로시멘트는 석회암과 광석을 고온에서 소성하여 만들어지며, 수화열이 낮고 내구성이 높으며 화학적 저항성이 크고 투수가 적은 특징을 갖습니다. 따라서 건축물의 내구성을 높이는데 적합한 시멘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아황산가스에 강한 수종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소나무, 전나무
  2. 히말라야시다, 느티나무
  3. 삼나무, 편벽나무
  4. 사철나무, 은행나무
(정답률: 80%)
  • 아황산가스는 대기오염물질 중 하나로, 식물에게 해로운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아황산가스가 많은 환경에서는 아황산가스에 강한 수종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사철나무와 은행나무는 아황산가스에 강한 수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유는 사철나무와 은행나무는 뿌리를 통해 아황산가스를 흡수하여 해독하는 능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 해에 자란 가지에 꽃눈이 분화하여 월동 후 봄에 개화하는 형태의 수종은?

  1. 능소화
  2. 배롱나무
  3. 개나리
  4. 장미
(정답률: 65%)
  • 해당 문제에서 설명한 형태인 "그 해에 자란 가지에 꽃눈이 분화하여 월동 후 봄에 개화하는" 것은 개나리에 해당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분류상 덩굴성 식물은?

  1. 서향
  2. 송악
  3. 병아리꽃나무
  4. 피리칸사스
(정답률: 86%)
  • 송악은 덩굴성 식물로서 다른 식물이나 물체에 매달려 자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서향, 병아리꽃나무, 피리칸사스는 덩굴성 식물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은 송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수종 중 낙엽활엽수는?

  1. 후박나무
  2. 가시나무
  3. 박태기나무
  4. 동백나무
(정답률: 57%)
  • 박태기나무는 가을에 잎이 노랗게 변하고 떨어지는 낙엽활엽수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생육환경 중 건조한 지역에 잘 견디는 수종은?

  1. 삼나무
  2. 가중나무
  3. 수국
  4. 주엽나무
(정답률: 68%)
  • 가중나무는 건조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수종으로,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 수분을 흡수하고 보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잎이 작고 가늘어서 증발이 적고, 햇빛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건조한 지역에서도 잘 자라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수성암(퇴적암)계통의 석재가 아닌 것은?

  1. 점판암
  2. 사암
  3. 석회암
  4. 안산암
(정답률: 71%)
  • 안산암은 화성암(화성퇴적암) 계통의 석재이기 때문에 수성암(퇴적암) 계통의 석재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자연석을 모양으로 지칭할 때 사석에 해당되는 것은?

(정답률: 79%)
  • 사석은 다양한 모양과 색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모양으로 지칭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사석은 보기에서 제시되지 않았습니다. ""는 직육면체 모양의 자연석인 천연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석재의 비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중이 클수록 조직이 치밀하다.
  2. 비중이 클수록 흡수율이 크다.
  3. 비중이 클수록 압축 강도가 크다.
  4. 석재의 비중은 일반적으로 2.0~2.7이다.
(정답률: 77%)
  • "비중이 클수록 흡수율이 크다."가 틀린 것입니다. 비중이 클수록 석재의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흡수율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석재의 비중이 클수록 조직이 치밀하고 압축 강도가 크다는 것은 맞습니다. 석재의 비중은 일반적으로 2.0~2.7이며, 이는 석재가 물보다 무겁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목재 건조시 건조 시간은 단축되나 목재의 크기에 제한을 받고, 강도가 다소 약해지며 광택도 줄어드는 건조방법은?

  1. 증기법
  2. 찌는 법
  3. 공기 가열 건조법
  4. 훈연 건조법
(정답률: 59%)
  • 찌는 법은 목재를 물에 담그고 물을 끓여서 발생하는 증기로 목재를 건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건조 시간이 단축되면서도 목재의 크기에 제한을 받지 않아 다양한 크기의 목재를 건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강도가 다소 약해지며 광택도 줄어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관상적인 측면에서 본 분류 중 열매를 감상하기 위한 수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은행나무
  2. 모과나무
  3. 반송
  4. 낙우송
(정답률: 90%)
  • 모과나무는 열매가 매우 맛있고 달콤하며, 색도 아름다워서 관상적으로 감상하기에 적합한 수종입니다. 반면, 은행나무는 열매가 독성이 있어 먹을 수 없고, 반송과 낙우송은 열매가 작고 별로 맛이 없어서 감상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목재의 방부제인 C.C.A의 성분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크롬-구리-비소
  2. 크롬-구리-아연
  3. 철-구리-아연
  4. 탄소-구리-비소
(정답률: 78%)
  • C.C.A는 목재를 방부하는데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C는 크롬(Cr), C는 구리(Cu), A는 비소(As)를 나타냅니다. 이 세 가지 성분이 바르게 짝지어진 이유는, 크롬은 목재를 방부하는 역할을 하며, 구리는 목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비소는 목재를 방부하는데 필요한 독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크롬-구리-비소가 C.C.A의 성분으로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시멘트의 저장법으로 틀린 것은?

  1. 방습 창고에 통풍이 되지 않도록 보관한다.
  2. 땅바닥에서 10cm 이상 떨어진 마루에서 쌓는다.
  3. 13포대 이상 쌓지 않는다.
  4. 3개월 이상 저장하지 않는다.
(정답률: 68%)
  • 시멘트는 습기에 노출되면 건조하고 경도가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 시 방습 창고에 보관하고 통풍을 막아야 합니다. 따라서 "방습 창고에 통풍이 되지 않도록 보관한다."는 올바른 저장법입니다. "땅바닥에서 10cm 이상 떨어진 마루에서 쌓는다."는 올바른 저장법이 아닙니다. 이유는 땅바닥은 습기가 많아 시멘트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마루 위에 쌓아서 바닥과의 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제품의 제작과정이 다른 것은?

  1. 시멘트벽돌
  2. 붉은벽돌
  3. 점토벽돌
  4. 내화벽돌
(정답률: 66%)
  • 정답은 "시멘트벽돌"입니다. 시멘트벽돌은 시멘트, 모래, 물 등의 혼합물을 성형하여 만들어지는 반면, 붉은벽돌, 점토벽돌, 내화벽돌은 각각 붉은 진흙, 점토, 내화재료 등을 사용하여 제작됩니다. 따라서 시멘트벽돌은 다른 벽돌들과는 제작과정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화단용 초화류의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가급적 키가 커야 한다.
  2. 가지가 많이 갈라져 꽃이 많이 달려야 한다.
  3. 개화기간이 길어야 한다.
  4.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강해야 한다.
(정답률: 93%)
  • 가지가 많이 갈라져 꽃이 많이 달려야 한다. 이 조건은 초화류의 꽃이 더욱 아름답게 보이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하지만 "가급적 키가 커야 한다."는 조건은 화단에서 초화류가 더욱 잘 자라고 번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큰 식물은 더 많은 양분과 물을 흡수할 수 있으며,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 더욱 안정적인 생장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화류가 화단에서 잘 자라고 번식하려면 가급적 키가 커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벽돌쌓기 방법 중 가장 견고하고 튼튼한 것은?

  1. 영국식 쌓기
  2. 미국식쌓기
  3. 네덜란드식 쌓기
  4. 프랑스식 쌓기
(정답률: 82%)
  • 영국식 쌓기는 벽돌을 겹치는 방식으로 쌓는 것으로, 벽돌이 서로 끼워지면서 견고한 구조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가장 견고하고 튼튼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또한 벽돌을 쌓을 때 사용하는 시멘트나 모르타르의 양이 적어 건축물의 무게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단풍나무류에 속하는 수종은?

  1. 신나무
  2. 낙상홍
  3. 계수나무
  4. 화살나무
(정답률: 6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운반 거리가 먼 레미콘이나 무더운 여름철 큰크리트의 시공에 사용하는 혼화제는?

  1. 지연제
  2. 감수제
  3. 방수제
  4. 경화촉진제
(정답률: 88%)
  • 운반 거리가 먼 레미콘이나 무더운 여름철 큰 크리트의 시공에는 혼화 과정에서 시간이 지연되는 지연제가 사용됩니다. 이는 혼화 과정에서 시간이 지연되어 시공 중 혼화 반응이 일어나는 속도를 늦추어 시공자가 더욱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경 시공 및 관리

36. 정원수 전반에 가해하며, 메타유제(메타시스톡스)의 살포로 방제되는 병해충은?

  1. 빗자루병
  2. 흰가루병
  3. 조명나방
  4. 진딧물
(정답률: 58%)
  • 메타유제(메타시스톡스)는 식물에 분무하여 병해충을 방제하는 농약입니다. 이 중에서도 진딧물은 메타유제의 살포로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병해충입니다. 진딧물은 식물의 잎이나 줄기를 먹고 생활하는 작은 곤충으로, 식물의 생장을 방해하고 열매나 꽃을 망가뜨리는 등의 피해를 줍니다. 따라서 정원수 전반에서 진딧물 방제가 필요한 경우에는 메타유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잔디의 뗏밥주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토양은 기존의 잔디밭의 토양과 같은 것을 5mm 체로 쳐서 사용한다.
  2. 난지형 잔디의 경우 생육이 왕성한 6~8월에 준다.
  3. 잔디포장 전면에 골고루 뿌리고, 레이크로 긁어준다.
  4. 일시에 많이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정답률: 88%)
  • 일시에 많이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잔디는 너무 많은 양의 물을 받으면 뿌리가 부패하고 병해가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당한 양의 물을 조금씩 자주 주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보도에 콘크리트 블록을 포장하려고 하는데 면적이 10m2일 때 소요되는 블록의 장수는?(단, 보도용 콘크리트 규격은 25cmX25cmX6cm, 줄눈 두께는3mm, 모래깔기는 3cm 으로 하되, 줄눈두께와 할증은 계산시 고려하지 않는다.)

  1. 100장
  2. 110장
  3. 130장
  4. 160장
(정답률: 55%)
  • 보도 면적이 10m2이므로, 이를 덮기 위해 필요한 콘크리트 블록의 총 부피는 다음과 같습니다.

    10m2 × 0.03m (모래깔기 두께) = 0.3m3

    콘크리트 블록 하나의 부피는 다음과 같습니다.

    0.25m × 0.25m × 0.06m = 0.0015m3

    따라서, 필요한 콘크리트 블록의 장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0.3m3 ÷ 0.0015m3 = 200장

    하지만, 줄눈 두께와 할증은 고려하지 않으므로, 실제 필요한 콘크리트 블록의 장수는 더 많아집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160장"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콘크리트 공사 중 콘크리트 표면에 곰보가 생기거나 콘크리트내부에 공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작업은?

  1. 콘크리트 다지기
  2. 콘크리트 비비기
  3. 콘크리트 붓기
  4. 콘크리트 양생
(정답률: 83%)
  • 콘크리트 다지기는 콘크리트를 균일하게 압축하여 곰보나 공극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때문입니다. 콘크리트 비비기는 콘크리트를 균일하게 섞는 작업이며, 콘크리트 붓기는 콘크리트를 형태에 맞게 부어주는 작업입니다. 콘크리트 양생은 콘크리트를 형태에 맞게 성형하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진딧물, 깍지벌레와 관계가 가장 깊은 병은?

  1. 흰가루병
  2. 빗자루병
  3. 줄기 마름병
  4. 그을음병
(정답률: 76%)
  • 그을음병은 진딧물과 깍지벌레가 식물을 먹고 남긴 배설물에 의해 전파되는 병이다. 이 병은 식물의 잎이 검게 변하고 마른 상태로 변하며,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열매의 수확량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진딧물과 깍지벌레의 발생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정원수의 전지 및 전정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보통 바깥 눈의 바로 윗부분을 자른다.
  2. 도장지, 병지, 고사지, 쇠약지, 서로 휘감긴 가지 등을 제거한다.
  3. 침엽수의 전정은 생장이 왕성한 7~8월경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4. 도구로는 고지가위, 양손가위, 꽃가위, 한손가위 등이 있다.
(정답률: 73%)
  • 정원수의 전지 및 전정방법으로 틀린 것은 없습니다.

    "침엽수의 전정은 생장이 왕성한 7~8월경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의 이유는 이 때 침엽수의 생장이 가장 활발하기 때문입니다. 이 때 전정을 하면 식물이 빠르게 회복하고 새로운 가지가 자라기 때문에 전체적인 생장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7~8월경에 전정을 하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수목 생육기 중 깍지벌레의 구제 농약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메치온유제(수프라사이드)
  2. 지오람수화제(호마이)
  3. 메타유제(메타시스톡스)
  4. 디프수화제(디프록스)
(정답률: 55%)
  • 깍지벌레는 주로 나무의 내부를 먹어 침해하므로, 내부까지 침투하여 효과적인 방제가 필요합니다. 메치온유제(수프라사이드)는 내부까지 침투하여 작용하는 성분으로, 깍지벌레 방제에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메치온유제(수프라사이드)가 가장 적당한 농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전정(剪定)을 통해 얻어지는 결과라 볼 수 없는 것은?

  1. 수세의 조절
  2. 개화 결실의 조정
  3. 일광, 통풍의 양호
  4. 지상부의 쇠약
(정답률: 89%)
  • 전정은 식물의 성장을 조절하고 건강한 생장을 유지하기 위해 가지, 잎, 꽃 등을 자르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수세의 조절, 개화 결실의 조정, 일광과 통풍의 양호는 전정을 통해 얻어지는 결과입니다. 그러나 지상부의 쇠약은 전정을 통해 얻어지는 결과가 아닙니다. 지상부의 쇠약은 식물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아 생기는 증상으로, 전정을 통해 해결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조적공사 중 중간에 공간을 두고 앞뒤에 면이 보이게 옆 세워 놓고 다음은 마구리 1장을 옆 세워 가로 걸쳐대어 쌓는 방법은?

  1. 공간벽쌓기
  2. 세워쌓기
  3. 옆세워쌓기
  4. 장식쌓기
(정답률: 56%)
  • 옆세워쌓기는 조적공사 중 중간에 공간을 두고 앞뒤에 면이 보이게 옆에 놓은 벽돌을 가로로 걸쳐대어 쌓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벽돌을 세로로 세우는 것보다 더욱 안정적이며, 벽돌을 가로로 놓기 때문에 벽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가 높습니다. 또한, 벽돌을 가로로 놓기 때문에 벽의 견고성이 높아지며, 마구리 1장을 옆에 세워 가로 걸쳐대어 쌓는 방법을 사용하면 더욱 효율적으로 벽을 쌓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옆세워쌓기가 조적공사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흙 더돋기는 계획된 높이보다 얼마나 더 하는가?

  1. 5%
  2. 10%
  3. 20%
  4. 30%
(정답률: 82%)
  • 흙 더돋기는 일반적으로 계획된 높이보다 10% 정도 더합니다. 이는 건축물의 기초를 더욱 견고하게 만들기 위해 필요한 추가 흙의 양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디딤돌 놓기 방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돌의 머리는 경관의 중심을 향해서 놓는다.
  2. 돌 표면이 지표면보다 3~5cm 정도 높게 앉힌다.
  3. 디딤돌이 시작되는 곳 또는 급하게 구부러지는 곳 등에 큰 디딤돌을 놓는다.
  4. 돌의 크기와 모양이 고른 것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61%)
  • 정답은 "돌의 크기와 모양이 고른 것을 선택하여 사용한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입니다.

    디딤돌을 놓는 방법은 경관을 보존하고 안전한 길을 만들기 위해 디딤돌을 일정한 간격으로 놓는 것입니다. 따라서 디딤돌의 크기와 모양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디딤돌의 머리는 경관의 중심을 향해서 놓으며, 디딤돌 표면은 지표면보다 3~5cm 정도 높게 앉힙니다. 또한, 디딤돌이 시작되는 곳이나 급하게 구부러지는 곳 등에는 큰 디딤돌을 놓아 안정성을 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바다를 매립한 공업단지에서 토양의 염분함량이 많을 때는 토양 염분을 몇 % 이하로 용탈시킨 다음 식재하는가?

  1. 0.08
  2. 0.02
  3. 0.1
  4. 0.3
(정답률: 49%)
  • 바다를 매립한 공업단지에서는 바다에서 유입된 염분이 토양에 쌓이기 때문에 토양의 염분함량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식물이 생장하는 데 필요한 물과 영양분을 흡수하기 어렵기 때문에, 토양 염분을 용탈시켜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토양 염분을 0.1% 이하로 낮추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0.02" 인 이유는, 토양 염분을 0.02%로 용탈시켜도 충분히 식물이 생장하는 데 필요한 물과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시공관리 내용이 아닌 것은?

  1. 공정관리
  2. 품질관리
  3. 원가관리
  4. 하자관리
(정답률: 73%)
  • 하자관리는 이미 발생한 결함이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시공과정에서의 관리보다는 시공이 완료된 이후의 유지보수나 보증서비스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시공과정에서의 관리와는 다른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다듬어야 할 가지들 중 얽힌 가지는?

  1. 1
  2. 2
  3. 3
  4. 4
(정답률: 74%)
  • 정답인 "2"는 다른 가지들과 서로 얽혀있어서 다듬어야 할 가지입니다. 다른 가지들은 모두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콘크리트의 구성 재료 중 품질이 우수한 골재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단단하고 둥근 모양을 가지는 골재가 좋다.
  2. 소요의 내화성과 내구성을 가진 것이 좋다.
  3. 골재에는 흙, 기름, 푸석돌 등이 없어야 좋다.
  4. 납작하고 길죽한 모양을 가지는 골재가 강도를 높이는데 좋다.
(정답률: 83%)
  • 납작하고 길죽한 모양을 가지는 골재가 강도를 높이는데 좋다는 이유는 이러한 모양의 골재가 서로 더 밀착하여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모양의 골재는 콘크리트 내부에서도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원로의 기울기가 몇 도 이상일 때 일반적으로 계단을 설치하는가?

  1. 10°
  2. 15°
(정답률: 76%)
  • 원로의 기울기가 15도 이상일 때 일반적으로 계단을 설치합니다. 이는 안전상의 이유로, 15도 이상의 기울기에서는 인간이 안전하게 오르내릴 수 있는 계단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15도 이상의 기울기에서는 비가 내리면 미끄러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계단을 설치하여 안전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열효율이 높고 물체의 투시성이 좋은 광질(光質 )의 특성 때문에 안개지역 조명, 도로 조명, 터널 조명 등으로 사용하기 가장 적합한 등은?

  1. 할로겐등
  2. 형광등
  3. 수은등
  4. 나트륨등
(정답률: 75%)
  • 나트륨등은 열효율이 높고 물체의 투시성이 좋아 안개지역 조명, 도로 조명, 터널 조명 등으로 사용하기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나트륨등이 노란색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어 빛이 먼 거리까지 퍼지며, 빛이 흡수되는 물체들의 색상을 왜곡시키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나트륨등은 에너지 소비가 적어 경제적이며,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해도 광원의 밝기가 유지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정원석 쌓기 및 수목을 들어 올리는데 가장 적합한 기구나 기계는?

  1. 불도져
  2. 탬덤 로울러
  3. 체인 블록
  4. 덤프트럭
(정답률: 85%)
  • 정원석 쌓기 및 수목을 들어 올리는 작업은 무거운 물체를 들어야 하므로, 강력한 들어올리기 기구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체인 블록은 체인과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무게를 분산시키면서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원석 쌓기나 수목 들어올리기에 가장 적합한 기구나 기계는 체인 블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경관석 놓기의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경관석은 충분한 크기와 중량감이 있어야 한다.
  2. 경관석은 모양, 색채, 질감 등이 아름다워야 한다.
  3. 여러 개 짝을 지어 배석할 때는 대개 짝수로 구성하여 균형을 유지하도록 배치한다.
  4. 조경공간에서 시선이 집중되는 곳에 경관석을 배치 한다.
(정답률: 88%)
  • "조경공간에서 시선이 집중되는 곳에 경관석을 배치 한다."가 틀린 내용입니다.

    여러 개 짝을 지어 배석할 때는 대개 짝수로 구성하여 균형을 유지하도록 배치하는 이유는, 홀수로 배치하면 중앙에 위치한 돌이 너무 두드러지게 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짝수로 배치하여 균형을 맞추면 더욱 자연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제 1신장기를 마치고 가지와 잎이 무성하게 자라면 통풍이나 채광이 나쁘게 되기 때문에 도장지나 너무 혼잡하게 된 가지를 잘라 주어 광, 통풍을 좋게 하기 위한 전정은?

  1. 봄 전정
  2. 여름 전정
  3. 가을 전정
  4. 겨울 전정
(정답률: 69%)
  • 여름 전정은 가지와 잎이 무성하게 자랄 때, 너무 혼잡해져서 통풍이나 채광이 나빠지는 것을 개선하기 위해 하는 전정으로, 여름철에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도면을 그릴 때 일반적으로 마지막에 실시해야 할 내용인 것은?

  1. 도면의 축척을 정한다.
  2. 표제란의 내용을 기재한다.
  3. 테두리 선 및 방위를 그린다.
  4. 물체의 표현 위치를 정한다.
(정답률: 72%)
  • 도면의 표제란은 도면의 정보를 요약하고 식별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마지막에 표제란의 내용을 기재하여 도면의 정보를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수목의 일반적인 전정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수형이나 목적에 맞지 않는 가지부터 자른다.
  2. 가지를 자를 때는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자른다.
  3. 가지를 자를 때 수관 밖에서부터 안쪽으로 자른다.
  4. 가는 가지를 먼저 자르고, 그 다음 굵은 가지를 자른다.
(정답률: 67%)
  • 가는 가지를 먼저 자르고, 그 다음 굵은 가지를 자르는 것은 일반적인 전정방법이 아니며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가는 가지는 더 많은 잎을 가지고 있어서 광합성을 더 많이 하기 때문에, 굵은 가지보다 더 많은 영양분을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가는 가지를 먼저 자르면 나머지 가지들이 영양분을 더 적게 받아 성장이 더디게 됩니다. 일반적으로는 수형이나 목적에 맞지 않는 가지부터 자르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건설업자가 대상 계획의 기업ㆍ금융ㆍ토지조달ㆍ설계ㆍ시공ㆍ기계기구설치ㆍ시운전 및 조업지도 까지 주문자가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을 조달하여 주문자에게 인도하는 도급계약방식은?

  1. 지명경쟁입찰
  2. 수의계약가지명경쟁입찰
  3. 턴키(Turn-key)입찰
  4. 제한경쟁입찰
(정답률: 71%)
  • 턴키(Turn-key)입찰은 건설업자가 대상 계획의 모든 과정을 담당하여 주문자에게 완제품을 인도하는 도급계약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즉, 주문자는 건설업자에게 필요한 모든 것을 맡기고 최종 완성된 제품을 받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돌쌓기의 종류 중 찰 쌓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뒤 채움에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줄눈에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쌓는다.
  2. 돌만을 맞대어 쌓고 잡석, 자갈 등으로 뒤 채움을 하는 방법이다.
  3. 마름돌을 사용하여 돌 한켜의 가로 줄눈이 수평적 직선이 되도록 쌓는다.
  4. 막돌, 깬 돌, 깬 잡석을 사용하여 줄눈을 파상 또는 골을 지어 가며 쌓는 방법이다.
(정답률: 63%)
  • 찰 쌓기는 뒤 채움에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줄눈에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쌓는 방법입니다. 이는 돌을 더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더 안정적인 구조물을 만들기 위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제도용구 가운데 곡선을 긋기 위한 도구는?

  1. T자
  2. 삼각자
  3. 운형자
  4. 삼각축척자
(정답률: 90%)
  • 운형자는 곡선을 그리기 위한 도구로, 곡선을 그리기 쉽도록 곡선 모양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도구입니다. T자나 삼각자는 직선을 그리기 위한 도구이고, 삼각축척자는 각도를 재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곡선을 그리기 위해서는 운형자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