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7-31)

조경기능사
(2011-07-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경일반

1. 다음 우리나라 조경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1. 소쇄원(瀟灑園)
  2. 순천관(順天館)
  3. 아미산정원
  4. 안압지(雁鴨池)
(정답률: 86%)
  • 안압지는 조선시대 왕궁인 경복궁 내에 위치한 연못으로, 15세기에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 조경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입니다. 소쇄원과 순천관은 조선 후기에 만들어졌고, 아미산 정원은 조선 말기에 만들어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설계 도면에서 표제란에 위치한 막대 축척이 1/200 이다. 도면에서 1cm 는 실제 몇 m인가?

  1. 0.5m
  2. 1m
  3. 2m
  4. 4m
(정답률: 81%)
  • 1cm를 1/200 축척으로 확대하면 200cm(2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경관의 시각적 구성 요소를 우세요소와 가변요소로 구분할 때 가변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광선
  2. 기상조건
  3. 질감
  4. 계절
(정답률: 76%)
  • 가변요소는 시간이나 기상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요소를 말합니다. 따라서 "질감"은 시간이나 기상조건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고정요소이므로 가변요소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주택정원에 설치하는 시설물 중 수경시설에 해당하는 것은?

  1. 퍼걸러
  2. 미끄럼틀
  3. 정원등
  4. 벽천
(정답률: 94%)
  • 수경시설은 물을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시설로, 벽천은 물이 흐르는 장식용 수조나 연못을 말합니다. 따라서 벽천은 수경시설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골프와 관련된 용어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에프론 칼라(apron collar) : 임시로 그린의 표면을 잔디가 아닌 모래로 마감한 그린을 말한다.
  2. 코스(course) : 골프장 내 플레이가 허용되는 모든 구역을 말한다.
  3. 해저드(hazard) : 벙커 및 워터 해저드를 말한다.
  4. 티샷(tee shot) : 티그라운드에서 제 1타를 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81%)
  • 에프론 칼라는 임시로 그린의 주변 부분을 말하며, 그린의 표면을 모래로 마감한 것이 아니라 잔디로 마감한 것이 맞는 설명입니다. 따라서 "에프론 칼라(apron collar) : 임시로 그린의 표면을 잔디가 아닌 모래로 마감한 그린을 말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자연 그대로의 짜임새가 생겨나도록 하는 사실주의 자연 풍경식 조경 수법이 발달한 나라는?

  1. 스페인
  2. 프랑스
  3. 영국
  4. 이탈리아
(정답률: 89%)
  • 영국은 18세기에 사실주의 자연 풍경식 조경 수법을 발전시켰습니다. 이 방법은 인공적인 조경보다는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따라가는 것으로, 자연스러운 느낌을 강조합니다. 이를 위해 영국에서는 공원과 정원을 많이 조성하였으며, 이후에는 이 방법이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갔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조경식물에 대한 옛 용어와 현대 사용되는 식물명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자미(紫微) - 장미
  2. 산다(山茶) - 동백
  3. 옥란(玉蘭) - 백목련
  4. 부거(芙渠) - 연(蓮)
(정답률: 71%)
  • 자미(紫微)은 별자리 이름으로, 장미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고대 로마의 폼페이 주택정원에서 볼 수 없는 것은?

  1. 아트리움
  2. 페리스틸리움
  3. 포름
  4. 지스터스
(정답률: 81%)
  • 고대 로마의 폼페이 주택정원에서 볼 수 없는 것은 "포름"입니다. 포름은 로마의 공공 건축물에서 사용되는 형태로, 주로 사각형이나 직사각형 형태의 건물을 말합니다. 하지만 주택정원에서는 이러한 형태의 건물이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포름을 볼 수 없습니다. 대신 아트리움과 페리스틸리움, 지스터스 등이 주택정원에서 자주 사용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넓은 초원과 같이 시야가 가리지 않고 멀리 터져 보이는 경관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전경관
  2. 지형경관
  3. 위요경관
  4. 초점경관
(정답률: 80%)
  • "전경관"은 시야가 넓고 멀리 터져 보이는 경관을 의미합니다. "지형경관"은 지형적인 특징을 중심으로 한 경관을 의미하며, "위요경관"은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는 경관을 의미합니다. "초점경관"은 초점을 맞춘 특정한 대상을 중심으로 한 경관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넓은 시야와 멀리 터져 보이는 경관을 나타내는 것은 "전경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차경(借景)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멀리 보이는 자연풍경을 경관 구성 재료의 일부로 이용하는 것
  2. 산림이나 하천 등의 경치를 잘 나타낸 것
  3. 아름다운 경치를 정원 내에 만든 것
  4. 연못의 수면이나 잔디밭이 한눈에 보이지 않게 하는 것
(정답률: 85%)
  • 차경(借景)은 멀리 보이는 자연풍경을 경관 구성 재료의 일부로 이용하는 것입니다. 즉, 주변의 산, 강, 바다 등의 아름다운 경치를 배경으로 하여 정원이나 건물을 꾸미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중국정원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라 할 수 있는 것은?

  1. 조화
  2. 대비
  3. 반복
  4. 대칭
(정답률: 86%)
  • 중국정원에서는 대비를 강조합니다. 이는 어두운 그늘과 밝은 햇살, 물과 돌, 부드러운 식물과 날카로운 돌 등 서로 다른 속성을 가진 것들을 조화롭게 배치하여 대비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자연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표현하며, 동양적인 미학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정원에서 미적요소 구성은 재료의 짝지움에서 나타나는데 도면상 선적인 요소에 해당되는 것은?

  1. 분수
  2. 독립수
  3. 원로
  4. 연못
(정답률: 79%)
  • 도면상 선적인 요소는 원형으로 구성된 것이며, 이에 해당하는 것은 "원로"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직선적인 요소이거나, 독립수는 일정한 형태가 없기 때문에 원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조경가의 입장에서 가장 우선을 두어야 할 것은?

  1. 편리한 교통체계의 증설
  2. 공공을 위한 녹지의 조성
  3. 미개발지의 화려한 개발촉진
  4. 상업위주의 도입시설 증설
(정답률: 93%)
  • 조경가는 자연과 도시를 조화롭게 조합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 전문가입니다. 따라서 조경가의 입장에서 가장 우선을 두어야 할 것은 "공공을 위한 녹지의 조성"입니다. 이는 도시 내에서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녹지는 자연과 도시를 조화롭게 조합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녹지는 뿐만 아니라 대기 오염을 줄이고, 수질을 개선하며, 생태계를 보호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조경가는 이러한 공공적인 가치를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백제시대에 정원의 점경물로 만들어졌고, 물을 담아 연꽃을 심고 부들, 개구리밥, 마름 등의 부엽식물을 곁들이며 물고기도 넣어 키웠던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석연지
  2. 석조전
  3. 안압지
  4. 포석정
(정답률: 82%)
  • 석연지는 백제시대에 만들어진 정원의 물고기와 연꽃 등을 키우기 위해 만들어진 물고기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일본 정원의 발달순서가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임천식 -> 축산고산수식 -> 평정고산수식 -> 다정식
  2. 다정식 -> 회유식 -> 임천식 -> 평정고산수식
  3. 회유식 -> 임천식 ->평정고산수식 -> 축산고산수식
  4. 축산고산수식 -> 다정식 -> 임천식 -> 회유식
(정답률: 86%)
  • 일본 정원의 발달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임천식 -> 축산고산수식 -> 평정고산수식 -> 다정식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임천식은 일본 정원의 초기 형태로, 중국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습니다. 이후에 축산고산수식이 등장하면서 일본적인 요소가 추가되었습니다. 평정고산수식은 축산고산수식을 기반으로 발전된 것으로, 더욱 세련되고 조화로운 형태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다정식은 평정고산수식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더욱 간결하고 균형잡힌 형태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이 순서가 올바른 일본 정원의 발달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경재료

16. 배수가 잘 되지 않는 저습지대에 식재하려 할 경우 적합하지 않은 수종은?

  1. 메타세콰이어
  2. 자작나무
  3. 오리나무
  4. 능수버들
(정답률: 64%)
  • 자작나무는 수분을 많이 필요로 하며, 배수가 잘 되지 않은 저습지대에 식재하면 뿌리가 썩을 가능성이 높아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목재의 단면에서 수액이 적고 강도, 내구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목재로서 이용가치가 큰 부위는?

  1. 변재
  2. 수피
  3. 심재
  4. 변재와 심재사이
(정답률: 83%)
  • 심재는 목재의 중심부에 위치한 부분으로, 수액이 적고 밀도가 높아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목재로서 이용가치가 큽니다. 변재는 심재와 바깥쪽 부분인 수피 사이에 위치하며, 수액이 많아 상대적으로 강도와 내구성이 낮습니다. 수피는 목재의 바깥쪽 부분으로, 내구성은 낮지만 수액이 많아 가공이 쉽고 가격이 저렴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심재가 가장 우수한 목재 부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합판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팽창, 수축 등으로 생기는 변형이 크다.
  2. 목재의 완전 이용이 불가능하다.
  3. 제품이 규격화되어 사용에 능률적이다.
  4. 섬유방향에 따라 강도의 차이가 크다.
(정답률: 87%)
  • 합판은 여러 장의 목재를 접착제로 붙여 만든 제품으로, 이 과정에서 목재의 변형이 줄어들어 제품이 규격화되어 사용에 능률적이다. 즉, 합판은 목재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도 목재를 완전히 이용할 수 있는 제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양질의 포졸란을 사용한 시멘트의 일반적인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밀성이 크다.
  2. 해수(海水)등에 화학 저항성이 크다.
  3. 발열량이 적다.
  4. 강도의 증진이 빠르니 장기강도가 작다.
(정답률: 68%)
  • "강도의 증진이 빠르니 장기강도가 작다."가 틀린 것입니다. 양질의 포졸란을 사용한 시멘트는 강도의 증진이 빠르고, 초기 강도가 높아서 장기간 사용할수록 강도가 더욱 증가합니다. 따라서, 장기강도가 작다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미리 골재를 거푸집 안에 채우고 특수 혼화제를 섞은 모르타르를 펌프로 주입하여 골재의 빈틈을 메워 콘크리트를 만드는 형식은?

  1. 서중콘크리트
  2. 프리팩트콘크리트
  3.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4. 한중콘크리트
(정답률: 63%)
  • 미리 만들어진 콘크리트 덩어리를 사용하여 구조물을 만드는 방식이 프리팩트콘크리트입니다. 따라서 골재를 주입하여 만드는 방식은 프리팩트콘크리트와는 다른 방식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프리팩트콘크리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시공시 설계도면에 수목의 치수를 구분하고자 한다. 다음 중 흉고직경을 표시하는 기호는?

  1. B
  2. C.L
  3. F
  4. W
(정답률: 89%)
  • 정답은 "B"입니다.

    흉고직경은 나무의 가장 넓은 지름을 의미합니다. 이를 나타내는 기호는 "B"입니다.

    "C.L"은 나무의 총 길이를 나타내는 기호이고, "F"는 나무의 잎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W"는 나무의 무게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심근성 수중이 아닌 것은?

  1. 자작나무
  2. 전나무
  3. 후박나무
  4. 백합나무
(정답률: 56%)
  • 자작나무는 심근성 수중이 아닙니다. 이유는 자작나무는 소형나무로서 심근성이 낮고, 수분을 잘 흡수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보기]가 설명하고 있는 수종은?

  1. 생강나무
  2. 동백나무
  3. 노각나무
  4. 후박나무
(정답률: 83%)
  • 보기에서 나타난 나무는 잎이 노란색으로 물들어 있고 꽃이 붉은색으로 피는 것으로 보아 동백나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화강암(granite)의 특징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직이 균일하고 내구성 및 강도가 크다.
  2. 내화성이 우수하여 고열을 받는 곳에 적당하다.
  3. 외관이 아름답기 때문에 장식재로 쓸 수 있다.
  4. 자갈·쇄석 등과 같은 콘크리트용 골재로도 많이 사용 된다.
(정답률: 72%)
  • 내화성이 우수하여 고열을 받는 곳에 적당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화강암은 내화성이 우수하지만, 고열을 받는 곳에 적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화강암이 열팽창 계수가 작아서 고열에 대한 내성이 낮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열을 받는 곳에는 내화성이 더 뛰어난 석재가 사용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이른 봄에 꽃이 피는 수종끼리만 짝지어진 것은?

  1. 매화나무, 풍년화, 박태기나무
  2. 은목서, 산수유, 백합나무
  3. 배롱나무, 무궁화, 동백나무
  4. 자귀나무, 태산목, 목련
(정답률: 78%)
  • 매화나무, 풍년화, 박태기나무는 모두 이른 봄에 꽃이 피는 수종으로, 서로 짝지어져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은목서, 산수유, 백합나무는 각각 봄, 여름, 가을에 꽃이 피는 다른 계절의 수종이므로 짝지어져 있을 가능성이 낮습니다. 또한 배롱나무, 무궁화, 동백나무는 각각 겨울, 여름, 가을에 꽃이 피는 다른 계절의 수종이므로 이른 봄에 꽃이 피는 수종끼리 짝지어져 있을 가능성이 낮습니다. 마지막으로 자귀나무, 태산목, 목련은 이른 봄에 꽃이 피는 수종이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기름을 뺀 대나무로 등나무를 올리기 위한 시렁을 만들면 윤기가 나고 색이 변하지 않는다. 대나무 기름 빼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불에 쬐어 수세미로 닦아 준다.
  2. 알코올 등으로 닦아 준다.
  3. 물에 오래 담가 놓았다가 수세미로 닦아 준다.
  4. 석유, 휘발유 등에 담근 후 닦아 준다.
(정답률: 84%)
  • 대나무에는 기름이 많이 묻어있어서 등나무를 올리기 전에는 기름을 제거해야 합니다. 불에 쬐어 수세미로 닦는 것은 대나무의 기름을 열로 인해 녹여서 제거하기 때문에 효과적입니다. 알코올 등으로 닦는 것은 대나무에 묻은 기름을 화학적으로 용해시켜 제거하는 방법이지만, 대나무에 묻은 기름이 많을 경우에는 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물에 오래 담가 놓았다가 수세미로 닦는 것은 대나무에 묻은 기름을 물에 녹여서 제거하는 방법이지만, 대나무가 너무 오래 담가놓으면 부식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석유, 휘발유 등에 담근 후 닦는 것은 위험하며, 대나무에 묻은 기름을 제거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골재의 표면에는 수분이 없으나 내부의 공극은 수분으로 가득차서 콘크리트 반죽시에 투입되는 물의 량이 골재에 의해 증감되지 않는 이상적인 골재의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표면건조 포화상태
  2. 습윤상태
  3. 공기중 건조상태
  4. 절대건조상태
(정답률: 83%)
  • 골재의 표면은 수분이 없지만 내부의 공극은 수분으로 가득 차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반죽시에 투입되는 물의 양이 골재에 의해 증감되지 않는 이상적인 상태를 "표면건조 포화상태"라고 합니다. 이는 골재의 내부 공극이 물로 채워져 있어 더 이상 물을 흡수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반죽시에 투입되는 물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교목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동백나무, 회양목, 철쭉
  2. 전나무, 송악, 옥향
  3. 녹나무, 잣나무, 소나무
  4. 백목련, 명자나무, 마삭줄
(정답률: 88%)
  • 녹나무, 잣나무, 소나무는 모두 교목으로 분류되는 나무들입니다. 교목이란 나무의 가지가 대개 수직으로 자라서 나무의 전체적인 모양이 일직선적인 나무를 말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교목이 아닌 나무들이 함께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일반적으로 여름에 백색 계통의 꽃이 피는 수목은?

  1. 산사나무
  2. 왕벚나무
  3. 산수유
  4. 산딸나무
(정답률: 58%)
  • 산딸나무는 여름에 백색 계통의 꽃이 피는 수목 중 하나입니다. 이는 산딸나무의 꽃이 작고 하얀색이며, 여름에 피기 때문입니다. 다른 나무들은 봄에 꽃이 피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흙막이요 돌쌓기에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앞면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길이는 1.5배 이상, 접촉부 나비는 1/10 이상으로 하는 시공 재료는?

  1. 호박돌
  2. 경관석
  3. 판석
  4. 견치돌
(정답률: 86%)
  • 흙막이나 돌쌓기 시공에서는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난 시공재료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앞면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길이는 1.5배 이상, 접촉부 나비는 1/10 이상으로 하는 시공 재료는 견치돌입니다. 견치돌은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며, 접촉부의 나비가 넓어서 시공이 용이합니다. 따라서 흙막이나 돌쌓기 시공에서는 견치돌이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표준형 벽돌의 규격은?(단, 단위는 mm로 한다.)

  1. 300 × 300 × 60
  2. 190 × 90 × 57
  3. 210 × 100 × 60
  4. 390 × 190 × 190
(정답률: 93%)
  •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표준형 벽돌의 규격은 "190 × 90 × 57" 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300 × 300 × 60 : 이 규격은 크기가 너무 크기 때문에 벽돌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 190 × 90 × 57 : 이 규격은 벽돌의 크기와 비중이 적당하며, 벽돌을 쌓을 때 적절한 간격을 두고 쌓을 수 있다. 또한, 이 규격은 건축 시공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결과이다.
    - 210 × 100 × 60 : 이 규격은 벽돌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쌓을 때 간격을 두기 어렵다. 또한, 이 규격은 건축 시공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결과가 아니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는다.
    - 390 × 190 × 190 : 이 규격은 벽돌의 크기가 너무 크기 때문에 벽돌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이 규격은 건축 시공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결과가 아니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케빈린치(K. Lynch)가 주장하는 경관의 이미지 요소 중에서 관찰자의 이동에 따라 연속적으로 경관이 변해가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것은?

  1. landmark(지표물)
  2. path(통로)
  3. edge(모서리)
  4. district(지역)
(정답률: 72%)
  • 케빈 린치는 경관을 이루는 이미지 요소 중에서 path(통로)가 관찰자의 이동에 따라 연속적으로 경관이 변해가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요소라고 주장합니다. 이는 경관을 관찰하는 관점에서, 경관을 이루는 다른 이미지 요소들(지표물, 모서리, 지역 등)은 상대적으로 고정적이고 변화가 적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경로는 관찰자가 이동하면서 경관의 변화를 경험할 수 있는 요소이기 때문에, 경관을 이해하고 파악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경관을 이루는 이미지 요소 중에서 path(통로)가 관찰자의 이동에 따라 연속적으로 경관이 변해가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일반적으로 추운 지방이나 겨울철에 콘크리트가 빨리 굳어지도록 주로 섞어 주는 것은?

  1. 석회
  2. 염화칼슘
  3. 붕사
  4. 마그네슘
(정답률: 80%)
  • 염화칼슘은 물에 녹아들어 염화이온을 방출하면서 열을 방출하는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콘크리트 내부의 물이 빨리 증발되어 굳어지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추운 지방이나 겨울철에 콘크리트가 빨리 굳어지도록 주로 섞어 주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수목식재 후 지주목 설치시에 필요한 완충재료로서 작업능률이 뛰어나고 통기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환경 친화적인 재료이며, 상열을 막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1. 새끼
  2. 고무판
  3. 보온덮개
  4. 녹화테이프
(정답률: 79%)
  • 녹화테이프는 완충재료로 사용될 때 작업능률이 뛰어나고 통기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며, 상열을 막기 위해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인 새끼, 고무판, 보온덮개는 완충재료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방음용 수목으로 사용하기 부적합한 것은?

  1. 아왜나무
  2. 녹나무
  3. 은행나무
  4. 구실잣밤나무
(정답률: 64%)
  • 은행나무는 방음 효과가 높은 나무 중 하나이지만, 성장속도가 느리고 재생력이 약해 실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방음용 수목으로는 부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은행나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경 시공 및 관리

36. 배식설계도 작성시 고려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식평면도에는 수목의 위치, 수종, 규격, 수량 등을 표기한다.
  2. 배식평면도에서는 일반적으로 수목수량표를 표제란에 기입한다.
  3. 배식평면도는 시설물평면도와 무관하게 작성할 수 있다.
  4. 배식평면도 작성시 수목의 성장을 고려하여 설계할 필요가 있다.
(정답률: 76%)
  • "배식평면도는 시설물평면도와 무관하게 작성할 수 있다."는 옳지 않습니다. 배식평면도는 시설물평면도와 연계하여 작성되어야 합니다. 이는 시설물과 수목의 위치, 크기, 수량 등이 서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배식평면도 작성시 시설물평면도와의 연계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설계 기호는 무엇을 표시한 것인가?

  1. 인조석다짐
  2. 잡석다짐
  3. 보도블록포장
  4. 콘크리트포장
(정답률: 83%)
  • 해당 설계 기호는 "잡석다짐"을 나타냅니다. 이는 돌이나 자갈 등의 자연석을 사용하여 포장한 것을 의미합니다. 기호에서는 작은 돌들이 뒤섞여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인조석다짐은 인공적으로 만든 돌이나 자갈 등을 사용하여 포장한 것을 의미하며, 보도블록포장과 콘크리트포장은 각각 보도용 블록과 콘크리트로 포장한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비교적 좁은 지역에서 대축척으로 세부 측량을 할 경우 효율적이며, 지역 내에 장애물이 없는 경우 유리한 평판측량방법은?

  1. 방사법
  2. 전진법
  3. 전방교회법
  4. 후방교회법
(정답률: 56%)
  • 방사법은 측량기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방사선을 발사하여 지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지역 내에 장애물이 없는 경우에 유리하며, 대축척으로 세부 측량을 할 때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질소질 속효성 비료로서 주로 덧거름으로 쓰이는 비료는?

  1. 황산암모늄
  2. 두엄
  3. 생석회
  4. 깻묵
(정답률: 75%)
  • 황산암모늄은 질소와 황산을 함께 포함하고 있어 질소질 속효성 비료로서 높은 질소 함량과 함께 pH를 낮춰주는 효과가 있어 덧거름으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터파기 공사를 할 경우 평균부피가 굴착 전 보다 가장 많이 증가하는 것은?

  1. 모래
  2. 보통흙
  3. 자갈
  4. 암석
(정답률: 77%)
  • 암석은 다른 보기들에 비해 더 단단하고 강력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굴착 작업을 할 때 더 많은 힘과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암석을 굴착하면 평균부피가 가장 많이 증가하게 됩니다. 반면에 모래, 보통흙, 자갈은 암석에 비해 더 부드럽고 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굴착 작업이 상대적으로 쉽고 평균부피 증가량도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도시공원 시설 중 유희시설에 해당되는 것은?

  1. 야영장
  2. 잔디밭
  3. 도서관
  4. 낚시터
(정답률: 75%)
  • 유희시설은 주로 쉬는 시간에 즐길 수 있는 시설로, 낚시터는 쉬는 시간에 낚시를 즐길 수 있는 시설이기 때문에 유희시설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정원에서 간단한 눈가림 구실을 할 수 있는 시설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파고라
  2. 트렐리스
  3. 정자
  4. 테라스
(정답률: 75%)
  • 트렐리스는 가장 간단하면서도 눈가림 구실을 할 수 있는 시설물입니다. 정원에서 식물을 기르거나, 더 많은 그늘을 만들기 위해 트렐리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트렐리스는 정원을 꾸미는 장식 요소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수목을 옮겨심기 전에 뿌리돌림을 하는 이유로 가장 중요한 것은?

  1. 관리가 편리하도록
  2. 수목내의 수분 양을 줄이기 위하여
  3. 무게를 줄여 운반이 쉽게 하기 위하여
  4. 잔뿌리를 발생시켜 수목의 활착을 돕기 위하여
(정답률: 92%)
  • 뿌리돌림을 통해 잔뿌리를 발생시키면 수목이 더욱 활발하게 성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오리나무잎벌레의 천적으로 가장 보호되어야 할 곤충은?

  1. 벼룩좀벌
  2. 침노린재
  3. 무당벌레
  4. 실잠자리
(정답률: 76%)
  • 무당벌레는 오리나무잎벌레의 천적 중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오리나무잎벌레를 잡아냅니다. 무당벌레는 오리나무잎벌레의 알을 먹이로 삼아 자신의 알을 낳아 놓기 때문에, 오리나무잎벌레의 번식을 억제하는 역할도 합니다. 따라서 무당벌레는 오리나무잎벌레를 통제하기 위해 보호되어야 할 곤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조경 수목에 거름 주는 방법 중 윤상 거름주기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수목의 밑동으로부터 밖으로 방사상 모양으로 땅을 파고 거름을 주는 방식이다.
  2. 수관폭을 형성하는 가지 끝 아래의 수관선을 기준으로 환상으로 둥글게 하고 거름 주는 방식이다.
  3. 수목의 밑동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도랑처럼 길게 구덩이를 파서 거름 주는 방식이다.
  4. 수관선상에 구멍을 군데군데 뚫고 거름 주는 방식으로 주로 액비를 비탈면에 줄때 적용한다.
(정답률: 75%)
  • 윤상 거름주기 방법은 수관폭을 형성하는 가지 끝 아래의 수관선을 기준으로 환상으로 둥글게 하고 거름을 주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수목의 뿌리 주변에 거름을 골고루 주어 뿌리가 더욱 깊게 자라도록 돕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식물병의 발병에 관여하는 3대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일조부족
  2. 병원체의 밀도
  3. 야생동물의 가해
  4. 기주식물의 감수성
(정답률: 80%)
  • 야생동물의 가해는 식물병의 발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일조부족은 식물의 성장과 면역력을 약화시켜 병원체의 감염을 촉진시키고, 병원체의 밀도는 감염된 식물과의 접촉을 증가시켜 전파를 촉진시킵니다. 기주식물의 감수성은 병원체에 대한 저항력이 낮아 발병 가능성을 높입니다. 따라서 야생동물의 가해는 식물병의 발병에 관여하는 3대 요인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제거대상 가지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얽힌 가지
  2. 죽은 가지
  3. 세력이 좋은 가지
  4. 병해충 피해 입은 가지
(정답률: 92%)
  • 세력이 좋은 가지는 나무의 성장과 생명력을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에 제거할 가지로 적당하지 않습니다. 다른 가지들은 나무의 건강에 해를 끼치거나 불필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제거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소나무류를 옮겨 심을 경우 줄기를 진흙으로 이겨 발라 놓은 주요한 이유가 아닌 것은?

  1. 해충을 구제하기 위해
  2. 수분의 증산을 억제
  3. 겨울을 나기 위한 월동 대책
  4. 일시적인 나무의 외상을 방지
(정답률: 56%)
  • 소나무류는 겨울철에도 녹색잎을 유지하며 광합성을 하기 때문에 수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줄기를 진흙으로 이겨 발라 놓는 것은 수분의 증산을 억제하기 위한 것입니다. 하지만 이 중에서 "겨울을 나기 위한 월동 대책"은 아닙니다. 소나무류는 겨울철에도 녹색잎을 유지하며 광합성을 하지만, 겨울철에는 수분이 부족하기 때문에 줄기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줄기를 진흙으로 이겨 발라 놓는 것입니다. 이는 겨울을 나기 위한 월동 대책이 아니라 수분 관리를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조경수목의 관리를 위한 작업 가운데 정기적으로 해주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전정(剪定) 및 거름주기
  2. 병충해 방제
  3. 잡초제거 및 관수(灌水)
  4. 토양개량 및 고사목 제거
(정답률: 81%)
  • 토양개량 및 고사목 제거는 조경수목의 생장과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작업이 아니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해주지 않아도 되는 작업입니다. 다른 작업들은 조경수목의 건강을 유지하고 병충해를 예방하며, 적절한 영양분을 공급하여 생장을 촉진하는 등 조경수목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작업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경관석을 여러 개 무리지어 놓는 것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홀수로 조합한다.
  2. 일직선상으로 놓는다.
  3.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을 조합한다.
  4. 경관석 여러 개를 무리지어 놓는 것을 경관석 짜임이라 한다.
(정답률: 83%)
  • 일직선상으로 놓는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경관석을 일직선상으로 놓는 것이 오히려 가장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경관석을 일직선상으로 놓으면 높이 차이가 적어지고, 경사면이 부드러워져 안정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올바른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울타리는 종류나 쓰이는 목적에 따라 높이가 다른데 일반적으로 사람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울타리의 경우 높이는 어느 정도가 가장 적당한가?

  1. 20~30cm
  2. 50~60cm
  3. 80~100cm
  4. 180~200cm
(정답률: 83%)
  • 일반적으로 사람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울타리의 경우, 높이가 180~200cm가 가장 적당하다. 이는 대부분의 성인이 넘을 수 없는 높이이기 때문이다. 더 낮은 울타리는 쉽게 넘어갈 수 있고, 더 높은 울타리는 비용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않다. 따라서 180~200cm가 일반적으로 적절한 높이로 여겨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콘크리트 부어 넣기의 방법이 옳은 것은?

  1. 비빔장소에서 먼 곳으로부터 가까운 곳으로 옮겨가며 붓는다.
  2. 계획된 작업구역 내에서 연속적인 붓기를 하면 안된다.
  3. 한 구역 내에서는 콘크리트 표면이 경사지게 붓는다.
  4. 재료가 분리된 경우에는 물을 부어 다시 비벼쓴다.
(정답률: 80%)
  • 콘크리트는 부어 넣는 과정에서 공기주입, 분리, 불균일한 혼합 등으로 인해 강도가 약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부어 넣을 때는 비빔장소에서 먼 곳으로부터 가까운 곳으로 옮겨가며 붓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콘크리트가 공기주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혼합이 균일해지며 강도가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수목 줄기의 썩은 부분을 도려내고 구멍에 충진 수술을 하고자 할 때 가장 효과적인 시기는?

  1. 1~3월
  2. 5~8월
  3. 10~12월
  4. 시기는 상관없다.
(정답률: 71%)
  • 수목이 생장하는 5~8월에는 수분과 영양분이 많이 공급되어 수목의 회복력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기간에는 기온과 습도가 적절하게 유지되어 수술 후 식물이 건조하거나 과습으로 인한 부패 등의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목의 생장 상태와 기후적인 조건을 고려하여 5~8월에 수술을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비탈면에 교목과 관목을 식재하기에 적합한 비탈면 경사로 모두 옳은 것은?

  1. 교목 1 : 2 이하, 관목 1 : 3 이하
  2. 교목 1 : 3 이상, 관목 1 : 2 이상
  3. 교목 1 : 2 이상, 관목 1 : 3 이상
  4. 교목 1 : 3 이하, 관목 1 : 2 이하
(정답률: 53%)
  • 비탈면은 경사가 높아 식물이 자라기 어려운 환경이므로, 교목과 관목은 뿌리가 깊게 자라서 토양을 고정시키고 지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교목과 관목을 식재할 때는 경사로의 안정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교목은 높이가 높아지면서 안정성이 떨어지므로 1:2 이하의 비율로 식재해야 하고, 관목은 높이가 낮아지면서 안정성이 떨어지므로 1:3 이하의 비율로 식재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교목 1 : 3 이하, 관목 1 : 2 이하"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아스팔트 포장에서 아스팔트 양의 과잉이나 골재의 입도불량일 때 발생하는 현상은?

  1. 균열
  2. 국부침하
  3. 파상요철
  4. 표면연화
(정답률: 52%)
  • 아스팔트 포장에서 아스팔트 양의 과잉이나 골재의 입도불량일 때 발생하는 현상은 표면연화입니다. 이는 아스팔트 층의 표면이 부드러워져서 차량의 타이어가 표면을 파고들어 미끄러지는 현상으로, 주로 비가 오거나 녹이 녹을 때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계절적 휴면형 잡초 종자의 감응 조건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온도
  2. 일장
  3. 습도
  4. 광도
(정답률: 47%)
  • 일장은 잡초 종자가 발아하기 위해 필요한 일수를 의미합니다. 계절적 휴면형 잡초 종자는 일정한 일수가 지나야 발아할 수 있으므로, 일장이 가장 적합한 감응 조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잡초 종자의 발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지만, 계절적 휴면형 잡초 종자의 경우 일장이 가장 중요한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2.0B 벽두께로 표준형 벽돌쌓기를 실시할 때 기준량(㎡당)은?

  1. 약 195장
  2. 약 224장
  3. 약 244장
  4. 약 298장
(정답률: 68%)
  • 2.0B 벽돌의 크기는 20cm x 10cm x 5cm 이므로 1㎡에 쌓이는 벽돌 수는 다음과 같다.

    1.0m x 1.0m = 100cm x 100cm = 10,000cm^2
    10,000cm^2 ÷ (20cm x 10cm) = 50개의 벽돌이 1층에 필요
    50개의 벽돌 x 2층 = 100개의 벽돌이 2.0B 벽돌쌓기에 필요
    100개의 벽돌 ÷ 0.335㎡(1장당 면적) ≈ 298장

    따라서, 2.0B 벽돌쌓기를 실시할 때 1㎡당 약 298장의 벽돌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농약보관 시 주의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농약은 고온보다 저온에서 분해가 촉진된다.
  2. 분말제제는 흡습되어도 물리성에는 영향이 없다.
  3. 유제는 유기용제의 혼합으로 화재의 위험성이 있다.
  4. 고독성 농약은 일반 저독성 약제와 흔적하여도 무방하다.
(정답률: 71%)
  • "유제는 유기용제의 혼합으로 화재의 위험성이 있다."는 이유는 유제가 가연성이 높은 유기용제와 혼합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혼합물은 화재의 위험이 있으므로 보관 시에는 화기근접을 피하고 적절한 보관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주로 소량의 다소에 따라서 반죽이 되고 진 정도를 나타내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은?

  1. workbility(워커빌리티)
  2. plasticity(성형성)
  3. consistency(반죽질기)
  4. finishability(피니셔빌리티)
(정답률: 73%)
  • 반죽질기는 콘크리트의 다소와 관련된 성질로, 콘크리트가 형성될 때 사용되는 물의 양에 따라 결정됩니다. 즉, 적절한 물의 양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형성하면 적절한 반죽질기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반죽질기는 콘크리트의 성능과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알루민산 석회를 주광물로 한 시멘트로 조기강도(24시간에 보통포틀랜드 시멘트의 28일 강도)가 아주 크므로 긴급공사 등에 많이 사용되며, 해안공사, 동절기 공사에 적합한 시멘트의 종류는?

  1. 알루미나시멘트
  2. 백색포틀랜드시멘트
  3. 팽창시멘트
  4. 중용열포틀랜드시멘트
(정답률: 83%)
  • 해안공사나 동절기 공사와 같이 습기나 수분이 많은 환경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시멘트는 알루미나시멘트입니다. 이는 알루민산 석회와 함께 사용되어 조기강도가 높아 긴급공사에 적합하며, 높은 내화성과 내수성을 가지고 있어 해안공사나 동절기 공사와 같이 수분이 많은 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