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1-26)

조경기능사
(2014-01-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경일반

1. 토양의 단면 중 낙엽이 대부분 분해되지 않고 원형 그대로 쌓여 있는 층은?

  1. L층
  2. F층
  3. H층
  4. C층
(정답률: 85%)
  • 정답은 "L층"입니다. 이 층은 리프 라이터(Litter) 층으로, 낙엽과 같은 식물 부산물이 쌓여 있습니다. 이 층은 분해가 덜 된 상태로 쌓여 있기 때문에 토양의 유기물 함량이 높아지고, 이를 통해 토양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색의 대비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보색인 색을 인접시키면 본래의 색보다 채도가 낮아져 탁해 보인다.
  2. 명도단계를 연속시켜 나열하면 각각 인접한 색끼리 두드러져 보인다.
  3. 명도가 다른 두 색을 인접시키면 명도가 낮은 색은 더욱 어두워 보인다.
  4. 채도가 다른 두 색을 인접시키면 채도가 높은 색은 더욱 선명해 보인다.
(정답률: 62%)
  • "보색인 색을 인접시키면 본래의 색보다 채도가 낮아져 탁해 보인다." 설명이 틀린 것은 없습니다.

    보색은 서로 대조되는 색으로, 인접한 위치에 놓이면 서로의 색상을 강화시키고 채도를 낮추어 탁해 보이게 만듭니다. 이는 색상 대비를 강조하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조경 프로젝트의 수행단계 중 주로 공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다른 분야와는 달리 생물을 다룬다는 특수한 기술이 필요한 단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조경계획
  2. 조경설계
  3. 조경관리
  4. 조경시공
(정답률: 80%)
  • 조경시공은 조경 프로젝트의 수행단계 중 생물을 다루는 특수한 기술이 필요한 단계로, 실제로 조경 디자인을 구현하고 유지보수하는 과정에서 생물학적인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경시공은 다른 분야와는 달리 생물을 다루는 특수한 기술이 필요한 단계로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일반적으로 옥상정원 설계시 일반조경 설계보다 중요하게 고려할 항목으로 관련으로 가장 적은 것은?

  1. 토양층 깊이
  2. 방수 문제
  3. 지주목의 종류
  4. 하중 문제
(정답률: 86%)
  • 옥상정원 설계시 일반조경 설계보다 중요하게 고려할 항목은 "하중 문제"입니다. 이는 옥상정원이 건물의 구조물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적절한 하중 계산과 강도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지주목의 종류"는 옥상정원 설계시 중요하지만, 일반조경 설계에서도 고려되는 요소입니다. 지주목은 식물의 생장과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일반조경 설계에서도 적절한 종류와 위치를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지주목의 종류"는 옥상정원 설계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지만, 일반조경 설계에서도 고려되는 요소이므로, 다른 항목들보다는 상대적으로 적은 중요도를 가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로마의 조경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집의 첫번째 중정(Atrium)은 5점형 식재를 하였다.
  2. 주택정원은 그리스와 달리 외향적인 구성이었다.
  3. 집의 두번째 중정(Peristylium)은 가족을 위한 사적 공간이다.
  4. 겨울 기후가 온화하고 여름이 해안기후로 시원하여 노단형의 별장(Villa)이 발달하였다.
(정답률: 79%)
  • 로마의 주택에서 두번째 중정인 Peristylium은 가족을 위한 사적 공간이었습니다. 이는 주로 가족들이 모여 쉬고 놀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었으며, 대개는 정원이나 수영장 등이 함께 조성되어 있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앙드레 르노트르(Andre Le notre)가 유명하게 된 것은 어떤 정원을 만든 후 부터인가?

  1. 베르사이유(Versailles)
  2. 센트럴 파크(Central Park)
  3. 토스카나장(Villa Toscana)
  4. 알함브라(Alhambra)
(정답률: 83%)
  • 앙드레 르노트르는 베르사이유 정원을 만들어 유명해졌습니다. 베르사이유 정원은 프랑스 국왕 루이 14세의 궁전과 함께 건축되어 왕궁과 정원이 하나로 이어져 있는 대표적인 바로크 정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경관 구성의 기법 중 한 그루의 나무를 다른 나무와 연결시키지 않고 독립하여 심는 경우를 말하며, 멀리서도 눈에 잘 띄기 때문에 랜드 마크의 역할도 하는 수목 배치 기법은?

  1. 점식
  2. 열식
  3. 군식
  4. 부등변 삼각형 식재
(정답률: 87%)
  • 점식은 한 그루의 나무를 독립적으로 심는 기법으로, 다른 나무와 연결되지 않고 혼자서 눈에 띄게 심기 때문에 랜드 마크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점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계획 구역 내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과 이용자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는 분석 방법은?

  1. 자연환경 분석
  2. 인문환경 분석
  3. 시각환경 분석
  4. 청각환경 분석
(정답률: 89%)
  • 인문환경 분석은 계획 구역 내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의 문화, 경제, 사회적 상황 등을 파악하여 이용자들의 요구와 필요에 맞는 계획을 수립하는 분석 방법입니다. 따라서, 인문환경 분석은 계획 구역 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적절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일본정원과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1. 축소 지향적
  2. 인공적 기교
  3. 통견선의 강조
  4. 추상적 구성
(정답률: 84%)
  • 통견선은 일본정원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정원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하여 조화롭게 보이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통견선의 강조"가 일본정원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반면, "축소 지향적", "인공적 기교", "추상적 구성"은 일본정원에서는 적용되지 않는 개념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 어린이공원의 설계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유지거리는 250m 이하, 1개소의 면적은 1500㎡ 이상의 규모로 한다.
  2. 휴양시설 중 경로당을 설치하여 어린이와의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다.
  3. 유희시설에 설치되는 시설물에는 정글짐, 미끄럼틀, 시소 등이 있다.
  4. 공원시설 부지면적은 전체 면적의 60% 이하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87%)
  • 정답: "휴양시설 중 경로당을 설치하여 어린이와의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다."

    해설: 어린이공원 설계기준으로는 유지거리, 면적, 유희시설 등이 규정되어 있지만, 경로당 설치와 관련된 내용은 없습니다. 따라서, "휴양시설 중 경로당을 설치하여 어린이와의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수목을 표시를 할 때 주로 사용되는 제도 용구는?

  1. 삼각자
  2. 템플릿
  3. 삼각축척
  4. 곡선자
(정답률: 90%)
  • 수목을 표시할 때는 일정한 간격으로 나무의 위치를 표시해야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제도 용구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은 템플릿입니다. 템플릿은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이 뚫려 있는 판자나 금속판으로, 이를 이용하여 나무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삼각자나 삼각축척, 곡선자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기 때문에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귤준망의 [작정기]에 수록된 내용이 아닌 것은?

  1. 서원조 정원 건축과의 관계
  2. 원지를 만드는 법
  3. 지형의 취급방법
  4. 입석의 의장법
(정답률: 68%)
  • 정답은 "서원조 정원 건축과의 관계"입니다. 귤준망의 [작정기]는 조선시대 정원 건축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있지만, 서원조 정원 건축과의 관계는 다루지 않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식재설계에서의 인출선과 선의 종류가 동일한 것은?

  1. 단면선
  2. 숨은선
  3. 경계선
  4. 치수선
(정답률: 79%)
  • 식재설계에서 인출선은 제품의 외형을 나타내는 선이며, 치수선은 제품의 크기와 위치를 나타내는 선입니다. 인출선과 치수선은 모두 제품의 외형을 결정하는 중요한 선이지만, 치수선은 제품의 크기와 위치를 정확하게 나타내기 때문에 인출선과 선의 종류가 동일한 것은 치수선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치수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이탈리아 정원의 장식과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둥 복도, 열주, 퍼골라, 조각상, 장식분이 된다.
  2. 계단 폭포, 물무대, 정원극장, 동굴 등이 장식된다.
  3. 바닥은 포장되며 곳곳에 광장이 마련되어 화단으로 장식된다.
  4. 원예적으로 개량된 관목성의 꽃나무나 알뿌리 식물 등이 다량으로 식재되어진다.
(정답률: 70%)
  • "기둥 복도, 열주, 퍼골라, 조각상, 장식분이 된다."는 이탈리아 정원의 장식과 관련된 설명이지만, 다른 보기들은 모두 식물과 관련된 내용이므로 "원예적으로 개량된 관목성의 꽃나무나 알뿌리 식물 등이 다량으로 식재되어진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시공 후 전체적인 모습을 알아보기 쉽도록 그린 그림과 같은 형태의 도면은?

  1. 평면도
  2. 입면도
  3. 조감도
  4. 상세도
(정답률: 86%)
  • 주어진 그림은 건물의 전체적인 모습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그려진 그림입니다. 이러한 형태의 도면을 조감도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조감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경재료

16. 주철강의 특성 중 틀린 것은?

  1. 선철이 주재료이다.
  2. 내식성이 뛰어나다.
  3. 탄소 함유량은 1.7~6.6%이다.
  4. 단단하여 복잡한 형태의 주조가 어렵다.
(정답률: 72%)
  • 단단하여 복잡한 형태의 주조가 어렵다는 것은 주철강이 고온에서 녹아 흐르는 능력이 낮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조 시에는 단순한 형태로 주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섬유포화점은 목재 중에 있는 수분이 어떤 상태로 존재하고 있는 것을 말하는가?

  1. 결합수만이 포함되어 있을 때
  2. 자유수만이 포함되어 있을 때
  3. 유리수만이 포함되어 있을 때
  4. 자유수와 결합수가 포함되어 있을 때
(정답률: 52%)
  • 섬유포화점은 목재 내부의 수분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결합수만이 포함되어 있을 때 측정된다. 결합수는 목재 내부에서 화학적으로 결합된 수분으로, 목재가 건조할수록 결합수의 비중이 낮아지기 때문에 섬유포화점이 낮아진다. 따라서 결합수만을 측정하는 섬유포화점이 목재 내부의 수분 상태를 가장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옥상정원을 만들 때 배합하는 경량재로 사용하기 가장 어려운 것은?

  1. 사질 양토
  2. 버미큘라이트
  3. 펄라이트
  4. 피트
(정답률: 82%)
  • 사질 양토는 다른 경량재에 비해 물이 잘 흐르지 않아 배수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옥상정원에서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다른 경량재들에 비해 적은 비율로만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골재의 함수상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절대건조상태는 105±5℃ 정도의 온도에서 24시간 이상 골재를 건조시켜 표면 및 골재알 내부의 빈틈에 포함되어 있는 물이 제거된 상태이다.
  2. 공기 중 건조 상태는 실내에 방치한 경우 골재입자의 표면과 내부의 일부가 건조된 상태이다.
  3. 표면건조포화 상태는 골재입자의 표면에 물은 없으나, 내부에는 물이 꽉 차 있는 상태이다.
  4. 습윤 상태는 골재 입자의 표면에 물이 부착되어 있으나 골재 입자 내부에는 물이 없는 상태이다.
(정답률: 60%)
  • 습윤 상태는 골재 입자의 표면에 물이 부착되어 있으며, 골재 입자 내부에도 물이 포함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습윤 상태는 골재 입자의 표면에 물이 부착되어 있으나 골재 입자 내부에는 물이 없는 상태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자작나무과(科)의 물오리나무 잎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78%)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물오리나무의 잎은 대칭적이며, 잎의 모양이 마치 물고기의 지느러미처럼 생겼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물오리나무의 잎은 물고기를 상징하는 우리나라 문화와도 어울리며, 예쁜 모양으로 인해 꽃꽂이나 꽃다발 등 꽃꽂이 예술에서도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실리카질 물질(SiO2)을 주성분으로 하여 그 자체는 수경성(hydraulicity)이 없으나 시멘트의 수화에 의해 생기는 수산화칼슘[Ca(OH)2]과 상온에서 서서히 반응하여 불용성의 화합물을 만드는 광무질 미분말의 재료는?

  1. 실리카흄
  2. 고로슬래그
  3. 플라이애시
  4. 포졸란
(정답률: 46%)
  • 실리카질 물질(SiO2)은 수경성이 없기 때문에 시멘트의 수화에 의해 생기는 수산화칼슘[Ca(OH)2]과 반응하여 수화성 화합물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때, 포졸란은 수화성이 높아서 수산화칼슘과 빠르게 반응하여 불용성의 화합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광무질 미분말의 재료로 포졸란이 선택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물푸레나무과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미선나무
  2. 광나무
  3. 이팝나무
  4. 식나무
(정답률: 49%)
  • 식나무는 물푸레나무과에 속하지 않습니다. 식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종류로, 잎이 바늘 모양이며 소나무와 비슷한 모습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석재의 가공방법 중 혹두기 작업의 바로 다음 후속작업으로 작업면을 비교적 고르고 곱게 처리할 수 있는 작업은?

  1. 물갈기
  2. 잔다듬
  3. 정다듬
  4. 도드락다듬
(정답률: 78%)
  • 혹두기 작업은 석재의 표면을 균일하게 다듬는 작업이지만, 작업면에는 여전히 고르지 않은 부분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이후에는 작업면을 비교적 고르고 곱게 처리할 수 있는 "정다듬"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 작업은 석재의 표면을 더욱 균일하게 다듬어주는 역할을 하며, 다음 단계의 가공 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조경 수목 중 아황산가스에 대해 강한 수종은?

  1. 양버즘나무
  2. 삼나무
  3. 전나무
  4. 단풍나무
(정답률: 74%)
  • 양버즘나무는 아황산가스에 강한 수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양버즘나무가 아황산가스를 흡수하여 대기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양버즘나무는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 토양을 공기화하고, 이를 통해 대기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역할도 합니다. 따라서, 양버즘나무는 도시환경에서 자주 식재되는 수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수목은 생육조건에 따라 양수와 음수로 구분하는데, 다음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무궁화
  2. 박태기나무
  3. 독일가문비나무
  4. 산수유
(정답률: 68%)
  • 정답: 독일가문비나무

    설명: 무궁화, 박태기나무, 산수유는 모두 온난한 기후에서 잘 자라는 양수목에 속합니다. 하지만 독일가문비나무는 추운 기후에서도 잘 자라는 음수목으로, 다른 나무들과는 성격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고광나무(Philadelphus schrenkii)의 꽃 색깔은?

  1. 적색
  2. 황색
  3. 백색
  4. 자주색
(정답률: 59%)
  • 고광나무의 꽃은 백색입니다. 이는 고광나무의 꽃이 보통 백색으로 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화성암의 심성암에 속하며 흰색 또는 담회색인 석재는?

  1. 화강암
  2. 안산암
  3. 점판암
  4. 대리석
(정답률: 69%)
  • 화성암은 심성암에 속하는 암석으로, 화강암은 이 중에서 흰색 또는 담회색인 석재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화강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대취란 지표면과 잔디(녹색식물체)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미 죽었거나 살아있는 뿌리, 줄기 그리고 가지 등이 서로 섞여 있는 유층을 말한다. 다음 중 대취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겨울에 스캘팡이 생기게 한다.
  2. 대취층에 병원균이나 해충이 기거하면서 피해를 준다.
  3. 탄력성이 있어서 그 위에서 운동할 때 안전성을 제공한다.
  4. 소수성인 대취의 성질로 인하여 토양으로 수분이 전달되지 않아서 국부적으로 마른 지역을 형성하며 그 위에 잔디가 말라 죽게 한다.
(정답률: 52%)
  • "한겨울에 스캘팡이 생기게 한다."는 대취의 특징으로 옳은 것이다. 이유는 대취층이 땅 위로 돌출되어 있어서 눈이나 비가 오면 물이 쌓이고, 그 물이 얼어서 대취층에 스캘팡이가 생기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가을에 꽃향기를 풍기는 수종은?

  1. 매화나무
  2. 수수꽃다리
  3. 모과나무
  4. 목서류
(정답률: 74%)
  • 정답: 목서류

    이유: 가을에 꽃향기를 풍기는 수종 중에서는 목서류가 가장 대표적입니다. 목서류는 가을에 꽃을 피우며 향기가 강한데, 대표적인 종류로는 개나리나무, 느티나무, 상수리나무 등이 있습니다. 반면에 매화나무는 겨울에 꽃을 피우며 향기가 강하고, 수수꽃다리와 모과나무는 가을에 꽃을 피우지만 향기가 강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정원 수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잎이 아름다운 것
  2. 값이 비싸고 희귀한 것
  3. 이식과 재배가 쉬운 것
  4. 꽃과 열매가 아름다운 것
(정답률: 92%)
  • 값이 비싸고 희귀한 것은 정원에서 재배하기 어렵고 유지보수 비용이 높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또한, 이러한 식물들은 보호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관련 법규에 따라 재배가 제한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난지형 잔디에 해당되는 것은?

  1. 레드톱
  2. 버뮤다그라스
  3. 켄터키 블루그라스
  4. 톨 훼스큐
(정답률: 87%)
  • 정답은 "버뮤다그라스"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레드톱: 주로 국내에서 잔디로 사용되는 종류 중 하나이지만, 난지형 잔디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레드톱은 습기에 민감하고, 빛과 온도에도 민감하여 난지형 환경에서는 잘 자라지 않습니다.
    - 켄터키 블루그라스: 미국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잔디 종류 중 하나이지만, 난지평 환경에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켄터키 블루그라스는 습기와 온도에 민감하며, 높은 유지보수 비용이 필요합니다.
    - 톨 훼스큐: 주로 골프장 등에서 사용되는 잔디로, 난지형 환경에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톨 훼스큐는 높은 잔디로 자라기 때문에, 잔디를 자주 깎아줘야 하며, 높은 유지보수 비용이 필요합니다.
    - 버뮤다그라스: 난지형 환경에서 가장 적합한 잔디 종류 중 하나입니다. 버뮤다그라스는 건조하고 더운 환경에서도 잘 자라며, 유지보수 비용이 낮습니다. 또한, 잔디가 빠르게 자라기 때문에, 자주 깎아줘야 하는 불편함이 없습니다.

    따라서, 난지형 잔디에 해당되는 것은 "버뮤다그라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겨울 화단에 식재하여 활용하기 가장 적합한 식물은?

  1. 팬지
  2. 메리골드
  3. 달리아
  4. 꽃양배추
(정답률: 90%)
  • 겨울철에는 낮은 온도와 건조한 기후로 인해 대부분의 식물이 쉽게 죽거나 성장이 둔화됩니다. 그러나 꽃양배추는 겨울철에도 잘 자라는 강한 생명력을 가진 식물입니다. 또한 꽃양배추는 겨울철에도 화려한 꽃을 피우며 화단을 아름답게 꾸밀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겨울 화단에 식재하여 활용하기 가장 적합한 식물은 꽃양배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노박덩굴(Celastraneae)과 식물 중 상록계열에 해당하는 것은?

  1. 노박덩굴
  2. 화살나무
  3. 참빗살나무
  4. 사철나무
(정답률: 75%)
  • 사철나무는 상록계열 식물로서, 다른 보기인 노박덩굴, 화살나무, 참빗살나무는 모두 활엽수이기 때문입니다. 상록계열 식물은 겨울철에도 녹색잎을 유지할 수 있는 반면, 활엽수는 잎이 떨어지는 데크로노미층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잎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도료 중 건조가 가장 빠른 것은?

  1. 오일페인트
  2. 바니쉬
  3. 래커
  4. 레이크
(정답률: 86%)
  • 래커는 건조가 가장 빠른 도료입니다. 이는 래커가 휘발성이 높아서 빠르게 증발하고 건조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래커는 매우 단단하고 광택이 높아서 마감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지력이 낮은 척박지에서 지력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식재 가능한 콩과(科) 수종은?

  1. 소나무
  2. 녹나무
  3. 갈참나무
  4. 자귀나무
(정답률: 75%)
  • 자귀나무는 척박지에서도 잘 자라는 수종으로,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 수분과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어서 지력을 높이기에 적합합니다. 또한 콩과(科) 수종으로서 질소 고정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토양의 비옥도를 높이는데도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경 시공 및 관리

36. 지형을 표시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등고선의 종류는?

  1. 조곡선
  2. 주곡선
  3. 간곡선
  4. 계곡선
(정답률: 86%)
  • 주곡선은 지형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등고선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종류입니다. 이는 지형의 높이가 변화하는 지점에서 그 경계를 나타내는 등고선으로, 지형의 높이를 나타내는 등고선 중에서 가장 진한 선으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지형을 표시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등고선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소나무의 순자르기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세가 좋거나 어린나무는 다소 빨리 실시하고, 노목이나 약해 보이는 나무는 5~7일 늦게 한다.
  2. 손으로 순을 따 주는 것이 좋다.
  3. 5~6월경에 새순이 5~10㎝ 자랐을 때 실시한다.
  4. 자라는 힘이 지나치다고 생각될 때에는 1/3~1/2정도 남겨두고 끝 부분을 따 버린다.
(정답률: 77%)
  • 정답은 "5~6월경에 새순이 5~10㎝ 자랐을 때 실시한다."입니다. 이유는 이 때가 소나무가 가장 자라는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순자르기 방법에 대한 설명이지만, 이 문제는 순자르기 시기에 대한 문제이므로, 순자르기 시기에 대한 설명이 가장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시멘트의 응결을 빠르게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혼화제는?

  1. 지연제
  2. 발표제
  3. 급결제
  4. 기포제
(정답률: 87%)
  • 급결제는 시멘트의 응결을 빠르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혼화제 중 하나입니다. 이는 시멘트와 물이 혼합되어 응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학 반응을 가속화시켜 응결 시간을 단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건설 현장에서 시간을 절약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난지형 한국잔디의 발아적온으로 맞는 것은?

  1. 15~20℃
  2. 20~23℃
  3. 25~30℃
  4. 30~33℃
(정답률: 54%)
  • 난지형 한국잔디는 온도가 30~33℃일 때 발아가 가장 잘 일어납니다. 이는 이 잔디가 열대성 작물로서 높은 온도와 습도를 선호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온도 범위에서 적절한 습도와 함께 씨앗이 발아하면 빠르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온도를 넘어서면 잔디가 과열되어 성장이 어려워지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용적 배합비 1:2:4 콘크리트 1m3 제작에 모래가 0.45m3 필요하다. 자갈은 몇 m3 필요한가?

  1. 0.45m3
  2. 0.5m3
  3. 0.90m3
  4. 0.15m3
(정답률: 84%)
  • 용적 배합비 1:2:4에서 모래의 부피는 1+2+4=7 부분 중 2 부분이므로, 1m3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0.45m3의 모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자갈의 부피는 1-0.45=0.55m3가 됩니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답이 0.90m3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자갈의 부피를 구할 때 실수를 하여 잘못된 값이 계산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에서는 오답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축적이 1/5000인 지도상에서 구한 수평 면적이 5cm2라면 지상에서의 실제면적은 얼마인가?

  1. 1250m2
  2. 12500m2
  3. 2500m2
  4. 25000m2
(정답률: 50%)
  • 축적이 1/5000이므로 1cm2의 면적이 실제로는 5000cm2의 면적이 된다. 따라서 5cm2의 면적은 5 x 5000 = 25000cm2의 면적이 된다. 이를 m2로 변환하면 25000cm2 ÷ 10000 = 2.5m2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500m2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잡초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재생 능력이 강하고 번식 능력이 크다.
  2. 종자의 휴면성이 강하고 수명이 길다.
  3. 생육 환경에 대하여 적응성이 작다.
  4. 땅을 가리지 않고 흡비력이 강하다.
(정답률: 86%)
  • 잡초는 생육 환경에 대하여 적응성이 작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잡초는 생존에 필요한 영양분과 물을 빠르게 흡수하고, 다양한 환경에서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잡초는 생육 환경에 대하여 적응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겨울철에 제설을 위하여 사용되는 해빙염(deicing salt)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염화칼슘이나 염화나트륨이 주로 사용된다.
  2. 장기적으로는 수목의 쇠락(decline)으로 이어진다.
  3. 흔히 수목의 잎에는 괴사성 반점(점무늬)이 나타난다.
  4. 일반적으로 상록수가 낙엽수보다 더 큰 피해를 입는다.
(정답률: 52%)
  • 일반적으로 상록수가 낙엽수보다 더 큰 피해를 입는다는 것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상록수와 낙엽수 모두 해빙염에 노출되면 잎의 괴사성 반점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수목의 쇠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유는 해빙염이 녹아나면서 지하수나 토양에 스며들어 수분을 빼앗아 수분 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소나무류의 잎솎기는 어느 때 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1. 12월경
  2. 2월경
  3. 5월경
  4. 8월경
(정답률: 66%)
  • 소나무류의 잎솎기는 8월경에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유는 이 때 소나무류의 생장이 끝나고, 잎이 노랗게 변하고 떨어지기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8월경에 잎솎기를 하면 겨울철에 더욱 건강한 상태로 견디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천적 등 방제대상이 아닌 곤충류에 가장 피해를 주기 쉬운 농약은?

  1. 훈증제
  2. 전착제
  3. 침투성 살충제
  4. 지속성 접촉제
(정답률: 60%)
  • 지속성 접촉제는 살충제 중에서도 오랫동안 효과가 지속되는 농약으로, 작물 표면에 분사하면 작물 표면에 머무르면서 해충을 죽이거나 방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농약은 방제대상이 아닌 곤충류에게도 피해를 주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토양수분 중 식물이 이용하는 형태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결합수
  2. 자유수
  3. 중력수
  4. 모세관수
(정답률: 83%)
  • 식물은 뿌리를 통해 토양에서 물과 영양분을 흡수합니다. 이때, 모세관수는 뿌리에서 물과 영양분을 흡수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모세관수는 뿌리의 끝부분에 위치한 작은 관으로, 물과 영양분이 모세관수를 통해 흡수되어 식물 전체에 공급됩니다. 따라서 모세관수는 식물이 이용하는 가장 알맞은 토양수분의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 )에 알맞은 것은?

  1. 공종
  2. 검토
  3. 시공
  4. 공정
(정답률: 82%)
  • 이미지에서는 건설 현장에서 일하는 작업자들이 보이고 있습니다. 이 작업자들은 건설 공정에서 일하는 것으로 보아, 정답은 "공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선의 종류와 선긋기의 내용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파선 : 단면
  2. 가는 실선 : 수목인 출선
  3. 1점 쇄선 : 경계선
  4. 2점 쇄선 : 중심선
(정답률: 67%)
  • 정답은 "2점 쇄선 : 중심선"입니다. 2점 쇄선은 두 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선으로, 그 사이에 있는 부분이 중심선입니다. 따라서 2점 쇄선은 중심선을 나타내는 선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전정도구 중 주로 연하고 부드러운 가지나 수관 내부의 가늘고 약한 가지를 자를 때와 꽃꽃이를 할 때 흔히 사용하는 것은?

  1. 대형전정가위
  2. 적심가위 또는 순치기가위
  3. 적화, 적과가위
  4. 조형 전정가위
(정답률: 77%)
  • 적심가위 또는 순치기가위는 연하고 부드러운 가지나 수관 내부의 가지를 자를 때와 꽃꽃이를 할 때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정도구입니다. 이는 가위의 끝이 뾰족하고 얇아서 섬세한 작업이 가능하며, 또한 끝 부분이 살짝 올라가 있어서 자를 때 다른 가지를 손상시키지 않고 정확하게 자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형전정가위나 적화, 적과가위, 조형 전정가위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콘크리트용 골재로서 요구되는 성질로 틀린 것은?

  1. 단단하고 치밀할 것
  2. 필요한 무게를 가질 것
  3. 알의 모양은 둥글거나 입방체에 가까울 것
  4. 골재의 낱알 크기가 균등하게 분포할 것
(정답률: 62%)
  • "골재의 낱알 크기가 균등하게 분포할 것"이 틀린 것은,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골재의 크기가 다양하게 분포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큰 골재는 콘크리트 내부에서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고, 작은 골재는 콘크리트의 밀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골재의 크기가 균등하게 분포하는 것보다는 다양하게 분포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임목(林木) 생장에 가장 좋은 토양구조는?

  1. 판상구조(platy)
  2. 괴상구조(blocky)
  3. 입상구조(granular)
  4. 견파상구조(nutty)
(정답률: 73%)
  • 임목 생장에 가장 좋은 토양구조는 입상구조(granular)입니다. 입상구조는 작은 입상(aggregate)들이 모여서 이루어진 구조로, 공기와 물의 이동이 용이하며 뿌리가 자라기 쉽습니다. 또한, 입상구조는 토양 내부의 미생물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영양분 공급이 잘 이루어지며, 토양의 pH 조절이나 수분 관리 등이 용이합니다. 따라서, 입상구조를 가진 토양은 임목 생장에 가장 적합한 토양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방위각 150˚를 방위로 표시하면 어느 것인가?

  1. N 30˚E
  2. S 30˚E
  3. S 30˚W
  4. N 30˚W
(정답률: 62%)
  • 방위각 150˚는 남쪽에서부터 시계 방향으로 150˚ 떨어진 방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남쪽에서 시작하여 동쪽으로 90˚ 이동한 후, 다시 북쪽에서 60˚만큼 동쪽으로 이동한 방향이 바로 S 30˚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이식한 수목의 줄기와 가지에 새끼로 수피감기하는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경관을 향상시킨다.
  2. 수피로부터 수분 증산을 억제한다.
  3. 병해충의 침입을 막아준다.
  4. 강한 태양광선으로부터 피해를 막아준다.
(정답률: 84%)
  • 이식한 수목의 줄기와 가지에 새끼로 수피감기하는 것은 수목의 생장을 촉진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이는 수목이 더욱 건강하고 크게 자라도록 돕습니다. 이러한 수피는 경관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합니다. 즉, 이식한 수목이 더욱 아름다워지고, 자연스러운 모습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비탈면을 보호하는 방법으로 짧은 시간과 급경사 지역에 사용하는 시공방법은?

  1. 자연석 쌓기법
  2. 콘크리트 격자틀공법
  3. 떼심기법
  4. 종자뿜어 붙이기법
(정답률: 74%)
  • 종자뿜어 붙이기법은 비탈면에 씨앗을 뿌리고 그 위에 흙과 비료를 뿌려서 식물이 자라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시공이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들어가며, 식물이 자라서 비탈면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짧은 시간과 급경사 지역에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농약을 유효 주성분의 조성에 따라 분류한 것은?

  1. 입제
  2. 훈증제
  3. 유기인계
  4. 식물생장 조정제
(정답률: 56%)
  • 농약을 유효 주성분의 조성에 따라 분류한 것은 "화학적 성질"에 따른 분류입니다. 유기인계는 화학적으로 탄소를 기반으로 하는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해당합니다. 입제는 농작물에 직접 뿌리는 액체 형태의 농약, 훈증제는 농작물을 연기로 처리하는 농약, 식물생장 조정제는 농작물의 성장을 조절하는 농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소나무류 가해 해충이 아닌 것은?

  1. 알락하늘소
  2. 솔잎혹파리
  3. 솔수염하늘소
  4. 솔나방
(정답률: 76%)
  • 알락하늘소는 소나무류를 해충으로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솔잎혹파리, 솔수염하늘소, 솔나방은 모두 소나무류를 해충으로 간주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고속도로의 시선유도 식재는 주로 어떤 목적을 갖고 있는가?

  1. 위치를 알려준다.
  2. 침식을 방지한다.
  3. 속력을 줄이게 한다.
  4. 전방의 도로 형태를 알려준다.
(정답률: 84%)
  • 고속도로의 시선유도 식재는 전방의 도로 형태를 알려주기 위해 설치됩니다. 이는 운전자가 전방의 도로 상황을 미리 파악하여 안전운전에 도움을 주기 위함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시선유도 식재의 목적이 아니며, 위치를 알려주는 것은 GPS 등 다른 장치가 수행하고, 침식 방지와 속력 감소는 다른 교통안전 시설들이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여성토의 정의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가라앉을 것을 예측하여 흙을 계획높이보다 더 쌓는 것
  2. 중앙분리대에서 흙을 볼록하게 쌓아 올리는 것
  3. 옹벽 앞에 계단처럼 콘크리트를 쳐서 옹벽을 보강하는 것
  4. 잔디밭에서 잔디에 주기적으로 뿌려 뿌리가 노출되지 않도록 준비하는 토양
(정답률: 82%)
  • "가라앉을 것을 예측하여 흙을 계획높이보다 더 쌓는 것"이 가장 알맞은 정의이다. 이는 건축물이나 도로 등을 건설할 때, 지반의 가라앉음을 예측하여 미리 흙을 계획높이보다 더 쌓아서 안정성을 높이는 것을 말한다. 이를 토목공학에서는 '안정보강'이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등고선의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등고선 상에 있는 모든 점은 높이가 다르다.
  2. 등경사지는 등고선 간격이 같다.
  3. 급경사지는 등고선 간격이 좁고, 완경사지는 등고선 간격이 넓다.
  4. 등고선은 도면의 안이나 밖에서 폐합되며 도중에 없어지지 않는다.
(정답률: 69%)
  • "등고선 상에 있는 모든 점은 높이가 다르다."가 옳은 이유는 등고선은 같은 높이를 가진 지점들을 연결한 선으로, 높이가 다른 지점들은 서로 다른 등고선에 속하기 때문입니다. 즉, 등고선 상에 있는 모든 점은 해당 등고선의 높이와 같으며, 다른 등고선에 속하는 점들과는 높이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토양침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토양의 침식량은 유거수량이 많을수록 적어진다.
  2. 토양유실량은 강우량보다 최대강우강도와 관계가 있다.
  3. 경사도가 크면 유속이 빨라져 무거운 입자도 침식된다.
  4. 식물의 생장은 투수성을 좋게 하여 토양 유실량을 감소시킨다.
(정답률: 68%)
  • "토양의 침식량은 유거수량이 많을수록 적어진다."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유입량이 많을수록 유속이 빨라져 침식량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입량이 적을수록 침식량이 적어지는 것이 아니라, 유입량이 많을수록 침식량이 적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