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4-07)

위험물기능사
(2002-04-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화재 예방과 소화방법

1. 소화 효과로 옳지 못한 것은?

  1. 산소공급 차단에 의한 소화는 제거효과 이다.
  2. 물에 의한 소화는 냉각효과 이다.
  3. 가연물의 제거에 의한 소화는 제거효과 이다.
  4. 소화분말에 의한 소화는 억제냉각 질식의 상승효과이다.
(정답률: 80%)
  • 산소공급 차단에 의한 소화는 제거효과가 아니라 억제효과이다. 산소공급 차단으로 인해 연소 반응이 중단되어 불꽃이 꺼지는 것이기 때문에 억제효과이다. 제거효과는 화재원을 제거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드라이 아이스의 성분은?

  1. CO
  2. CO2
  3. H2O
  4. H2O2
(정답률: 70%)
  • 드라이 아이스는 고체 이산화탄소(CO2)입니다. 이는 이산화탄소가 압력을 가하고 온도가 낮아지면 고체 상태로 변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소화시 분말소화기의 주 역할은?

  1. 공기차단
  2. 가연성 물질의 제거
  3. 냉각효과
  4. 가연성 물질을 불연성 물질로 변화시킨다.
(정답률: 73%)
  • 분말소화기의 주 역할은 가연성 물질을 가연성이 없는 물질로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분말소화기는 가연성 물질과 산소를 분리시키는 공기차단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분말소화기가 분말을 뿌리면서 공기를 차단하여 가연성 물질과 산소가 접촉하지 못하도록 하여 불을 끄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혼합되었을 때 화재위험이 따르지 않는 것은?

  1. 아세틸렌과 은
  2. 염소산나트륨과 황산
  3. 삼산화크롬과 벤젠
  4. 황린과 물
(정답률: 83%)
  • 황린과 물은 혼합되어도 화학반응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화재위험이 따르지 않습니다. 그러나 나머지 보기들은 혼합되면 화학반응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화재위험이 따르게 됩니다. 예를 들어, 아세틸렌과 은은 혼합되면 폭발적인 화학반응이 일어나고, 염소산나트륨과 황산은 혼합되면 발열반응이 일어나서 화재위험이 따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알칼리금속의 화재시 소화제로서 가장 적당한 것은?

  1. H2O
  2. CCl4
  3. NaHCO3
  4. 마른 모래
(정답률: 80%)
  • 알칼리금속은 물과 반응하여 폭발적인 화학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물을 사용한 소화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CCl4은 화재를 진압하는 데 사용되지만, 화재를 직접 소화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NaHCO3은 화재를 진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알칼리금속과 반응하여 가스를 방출할 수 있으므로 마른 모래가 더 적합합니다. 마른 모래는 화재를 직접 소화하고, 알칼리금속과 반응하여 가스 방출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금속나트륨의 화재시 소화방법으로 적당한 소화는?

  1. 탄산가스
  2. 마른모래
  3. 사염화탄소
(정답률: 97%)
  • 금속나트륨은 물과 반응하여 폭발적인 화학반응을 일으키므로 물로는 소화할 수 없습니다. 또한, 사염화탄소는 화재를 진압하는데 사용되지만, 금속나트륨과 반응하여 더 큰 화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마른모래를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마른모래는 금속나트륨과 반응하지 않으며, 열을 흡수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가연성 물질이 공기중에서 연소할 때 연소상의 설명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목탄과 같이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에서 불타는 연소를 표면연소라 한다.
  2. 알코올의 연소는 표면연소이다.
  3. 산소공급원을 가진 물질자체가 연소하는 것을 자기연소라 한다.
  4. 목재와 같이 열분해되어 가연성 기체가 연소하는 것을 분해연소라 한다.
(정답률: 72%)
  • 알코올은 기체나 액체 상태에서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에서 연소하기 때문에, "알코올의 연소는 표면연소이다."가 알맞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위험물의 옥외탱크 저장소에 설치하는 고정포 방출구의 설치 기준으로서 맞지 않는 것은?

  1. 탱크의 측면에 고정 설치할 것
  2. 포 방출구에는 점검구를 설치할 것
  3. 탱크의 높이에 따라 균등 설치할 것
  4. 납,주석등으로 밀봉되어 있을 것
(정답률: 22%)
  • "탱크의 높이에 따라 균등 설치할 것"이 맞지 않는 기준입니다. 옥외탱크의 높이가 높을수록 탱크 내부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고정포 방출구를 탱크의 상단에 설치하면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탱크의 높이에 따라 균등하게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안전한 위치에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소화설비 중 산화성액체 위험물에 적응하는 설비가 아닌 것은?

  1. 스프링클러설비
  2. 포말소화설비
  3. 이산화탄소소화설비
  4. 물분무소화설비
(정답률: 50%)
  • 이산화탄소소화설비는 산화성액체 위험물에 대한 적응이 아닙니다. 이유는 이산화탄소소화설비는 산화성물질을 소화하는 것이 아니라, 산소를 제거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산화성액체 위험물에 대한 적응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방송에 의한 비상방송설비의 설치기준에 어긋나는 것은?

  1. 확성기의 음성입력은 3W 이상일 것
  2. 음량 조정기를 설치하는 경우 음량 조정기의 배선은 2선식으로 할 것
  3. 확성기는 각층마다 설치할 것
  4. 조작부의 조작위치는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정답률: 53%)
  • "음량 조정기를 설치하는 경우 음량 조정기의 배선은 2선식으로 할 것"은 기존의 방송설비와의 호환성을 위해 필요한 조치이며, 3선식으로 배선을 할 경우 기존의 방송설비와 연결이 되지 않아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포마이드(foamide) 의 화학반응식은 어느 것인가?

  1. 2NaHCO3 + H2SO4 → Na2SO4 + 2H2O + CO2
  2. 2NaHCO3 Na2CO3 + H2O + CO2
  3. 4KMnO4 + 6H2SO4 → 2K2SO4 + 3MnSO4 + 6H2O + O2
  4. 6NaHCO3 + Al2(SO4)318H2O → 6CO2 + 2Al(OH)3 + 3Na2SO4 + 18H2O
(정답률: 28%)
  • 정답은 "6NaHCO3 + Al2(SO4)318H2O → 6CO2 + 2Al(OH)3 + 3Na2SO4 + 18H2O" 입니다.

    포마이드는 화학식이 NaHCO3인 화합물입니다. 이 화합물이 알루미늄 수황산과 반응할 때, 6NaHCO3과 Al2(SO4)318H2O가 반응하여 6CO2, 2Al(OH)3, 3Na2SO4, 18H2O가 생성됩니다. 이 반응식은 화학식을 균형있게 맞춘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감지기로 정온점이 감지기 주위의 평상시 최고 온도보다 20도이상 높은 감지기는?

  1. 차동식 감지기
  2. 바이메탈식 감지기
  3. 공기식 감지기
  4. 보상식 스포트형 감지기
(정답률: 22%)
  • 보상식 스포트형 감지기는 온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정확한 온도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감지기 주위의 평상시 최고 온도보다 20도 이상 높은 경우에도 정확한 온도를 감지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탐지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차동식 감지기, 바이메탈식 감지기, 공기식 감지기는 보상식 스포트형 감지기보다 온도 변화에 둔감하므로 이 경우에는 정확한 감지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소방시설 설비 중 소화활동 설비가 아닌 것은?

  1. 제연설비
  2. 무선통신보조설비
  3. 비상벨설비
  4. 비상콘센트설비
(정답률: 40%)
  • 비상벨설비는 소화활동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설비로, 화재 발생 시 대피 및 구조활동을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화재 진압 및 소화활동에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설비들이지만, 비상벨설비는 대피 및 구조활동을 위한 설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단백포 소화약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재연소 방지능력이 우수하다.
  2. 겨울철에는 유동성이 커진다.
  3. 동물, 식물성 단백질을 첨가시킨 형태로 내구력이 없어 보관시 유의한다.
  4. 다른 포약제에 비하여 부식성이 있다.
(정답률: 54%)
  • "재연소 방지능력이 우수하다."는 단백포 소화약제에 대한 올바른 설명입니다. 하지만 "겨울철에는 유동성이 커진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겨울철에는 온도가 낮아져서 소화액의 활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오히려 유동성이 낮아집니다.

    따라서, 단백포 소화약제는 겨울철에는 유동성이 낮아지므로 보관 및 사용 시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동물, 식물성 단백질을 첨가시킨 형태로 내구력이 없어 보관 시에도 유의해야 합니다. 또한, 다른 포약제에 비하여 부식성이 있다는 점도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 중 전역 방출 방식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방호대상물이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구획되어 밀폐에 가까운 상태로 될 수 있는 부분에 소화제를 방출하는 방식이다.
  2. 방호대상물에 따라 방출약제 양과 방출시간이 달라진다.
  3. 설비의 구조나 기능은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와 거의 유사하다.
  4. 광대한 소방대상물 내에 한정된 소규모의 방호대상물이 있는 경우 방호대상물을 방출약제로 덮어 소화하는방식이다.
(정답률: 36%)
  • 정답은 "광대한 소방대상물 내에 한정된 소규모의 방호대상물이 있는 경우 방호대상물을 방출약제로 덮어 소화하는방식이다."입니다. 이유는 전역 방출 방식은 방호대상물이 내화구조나 불연재료로 구획되어 밀폐에 가까운 상태로 될 수 있는 부분에 소화제를 방출하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정전기 방지방법으로 옳게 짝 지워 놓은 것은?

  1. ㉠, ㉡
  2. ㉠, ㉢
  3. ㉡, ㉢
  4. ㉠, ㉡, ㉢
(정답률: 49%)
  • 정전기 방지를 위해서는 물체 간 마찰이나 분리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따라서, ㉠은 신발을 벗고 바닥에 발을 직접 대는 것으로 물체 간 마찰을 최소화하고, ㉡은 천 소재의 옷을 입는 것으로 물체 간 분리를 최소화하여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어떤 소화기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표시되어 있었다. 알 수 있는 사실이 아닌 것은? (단, A-3, B-5, C적용)

  1. 일반화재인 경우 이 소화기의 능력단위는 5단위이다.
  2. 유류화재에 적용할 수 있는 소화기이다.
  3. 전기화재에 적용할 수 있는 소화기이다.
  4. ABC 소화기이다.
(정답률: 77%)
  • 정답은 "전기화재에 적용할 수 있는 소화기이다."입니다.

    "일반화재인 경우 이 소화기의 능력단위는 5단위이다."라는 내용은 알 수 있습니다.

    "유류화재에 적용할 수 있는 소화기이다."와 "ABC 소화기이다."는 해당 소화기의 적용 대상이라는 사실을 알려줍니다.

    하지만 "전기화재에 적용할 수 있는 소화기이다."는 잘못된 정보입니다. 전기화재는 전기가 흐르는 장치나 전기선 등에서 발생하는 화재로, 전기를 차단하지 않는 한 소화기로 직접 진압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따라서 전기화재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전기를 차단하는 장치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B 급화재에 사용되는 소화기의 표시 색깔은?

  1. 청색원형에 흑색 문자
  2. 백색원형에 흑색 문자
  3. 황색원형에 흑색 문자
  4. 녹색원형에 흑색 문자
(정답률: 68%)
  • 황색은 B급 화재를 나타내는 색상이며, 원형 모양은 소화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흑색 문자는 소화기의 종류와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B급 화재에 사용되는 소화기의 표시 색깔은 황색원형에 흑색 문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질식효과로 소화하기 위해서는 공기 중 산소농도를 몇 %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3%
  2. 7%
  3. 15 %
  4. 20%
(정답률: 44%)
  • 질식효과란 인체가 공기 중의 산소를 제대로 흡입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공기 중의 산소농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질 때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인체는 공기 중의 산소농도가 21%일 때 최적의 호흡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농도가 15% 이하로 떨어지면 질식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질식효과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공기 중의 산소농도를 15% 이상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자기반응성 위험물의 화재시 가장 적절한 소화설비는?

  1. 분말 소화설비
  2. 포 소화설비
  3. 주수 소화설비
  4.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정답률: 54%)
  • 자기반응성 위험물은 물과 반응하여 더 큰 화재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물을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물의 화재시에는 물 대신 산소를 차단하거나 불꽃을 끄는 소화설비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주수 소화설비는 산소를 차단하고 불꽃을 끄는 효과가 있으며, 물 대신 사용할 수 있는 화재진압제입니다. 따라서 자기반응성 위험물의 화재시 가장 적절한 소화설비는 주수 소화설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위험물의 화학적 성질 및 취급

21. 염소산칼륨(KClO3)의 성질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냉수 및 알코올에 잘 녹는다.
  2. 가열에 의해서 가연성가스가 발생한다.
  3. 상온에서 매우 불안정하므로 저온창고에 보관한다.
  4. 무색 단사정계 판상결정 또는 분말로서 이산화망간 등이 존재하면 분해가 촉진되어 산소를 방출한다.
(정답률: 32%)
  • 염소산칼륨은 무색 단사정계 판상결정 또는 분말로 존재하며, 이산화망간 등의 촉매 작용에 의해 분해가 촉진되어 산소를 방출한다. 이는 염소산칼륨이 산화제로 작용하여 분해될 때 산소를 방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물질은 안정성이 낮아 상온에서 매우 불안정하므로 저온창고에 보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과염소산암모늄(NH4ClO4)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충격에 비교적 안정하다.
  2. 폭약이나 성냥 원료로 쓰인다.
  3. 물, 에탄올, 아세톤, 에테르에 잘녹는다.
  4. 비중이 1.87 이고 분해온도가 130℃ 정도이다.
(정답률: 35%)
  • "물, 에탄올, 아세톤, 에테르에 잘녹는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과염소산암모늄은 물에는 잘 녹지만, 에탄올, 아세톤, 에테르에는 거의 녹지 않습니다. 이는 과염소산암모느의 극성이 높아서 물 분자와 상호작용이 강하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은 황의 성질에 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은? (단, 고무상황 제외)

  1. 물에 잘녹는다.
  2. 이황화탄소(CS2)에 녹는다.
  3. 완전연소시 무색의 CO 유독한 가스가 발생한다.
  4. 전기의 도체이므로 마찰에 의하여 정전기가 발생된다
(정답률: 45%)
  • 이황화탄소(CS2)는 분자 내에 극성이 없기 때문에, 황과 탄소가 강하게 결합하여 분자가 안정적이다. 이에 따라, 다른 극성을 가진 물과는 상호작용이 적어 물에는 잘 녹지 않지만, 이황화탄소(CS2)와는 유사한 극성을 가진 물질과는 상호작용이 높아 이황화탄소(CS2)에는 잘 녹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금속 칼륨의 위험성에 관한 설명중 옳은 것은?

  1. 물과 격렬히 반응하여 산소를 발생한다.
  2. 물과 격렬히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한다.
  3. 금속칼륨은 공기와의 접촉을 막기위해 알칼리성 수용액에 저장한다.
  4. 에탄올에 저장할 경우 반응하여 일산화탄소와 염화칼륨이 생성된다.
(정답률: 62%)
  • 금속 칼륨은 물과 격렬히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킵니다. 이는 금속 칼륨이 물과 반응할 때 수소 분자를 생성하고, 이 수소 분자가 발생하면서 폭발적인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금속 칼륨은 다룰 때에는 극도의 주의가 필요하며, 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보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나트륨, 칼륨의 보호액은?

  1. 에탄올
  2. 아세톤
  3. 석유
(정답률: 64%)
  • 나트륨, 칼륨의 보호액은 석유인 이유는 석유가 물과는 달리 물에 녹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석유를 사용하면 나트륨, 칼륨 등의 금속이 물에 녹지 않고 보호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이황화탄소를 수조속에 저장하는 이유 중 옳은 것은?

  1. 가연성 증기의 발생억제
  2.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3. 축합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4. 수용액 상태로 존재시 안전하기때문
(정답률: 71%)
  • 이황화탄소는 가연성이 높은 물질로, 수조속에 저장할 경우 가연성 증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황화탄소를 수용액 상태로 저장함으로써 가연성 증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물질 중 인화점이 상온 이상인 것은?

  1. 중유
  2. 벤젠
  3. 아세톤
  4. 이황화탄소
(정답률: 57%)
  • 중유는 인화점이 232℃로 상온 이상이므로 정답입니다. 벤젠, 아세톤, 이황화탄소는 모두 인화점이 상온 이하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제4류 위험물중 특수인화물 지정품목은?

  1. 아세톤
  2. 기계류
  3. 초산메틸
  4. 디에틸에테르
(정답률: 71%)
  • 디에틸에테르는 매우 불안정하며 쉽게 증기화되어 폭발성이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4류 위험물 중 특수인화물로 지정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가솔린의 성질에 관한 설명중 옳은 것은?

  1. 무색, 무취의 액체이다.
  2. 증기비중은 공기비중보다 크다.
  3. 인화점이 300℃이다.
  4. 물에 잘녹는다.
(정답률: 47%)
  • 가솔린은 무색, 무취의 액체이며, 증기비중은 공기비중보다 큽니다. 이는 가솔린의 분자량이 공기의 분자량보다 작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가솔린은 공기보다 가벼우며, 공기 중에서도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질산에틸(C2H5ONO2)의 성질에 관한 설명중 옳은 것은?

  1. 물에 잘 용해된다.
  2. 인화점은 경유와 같다.
  3. 지정수량은 10kg이다.
  4. 방향성을 갖고 있는 고체이다.
(정답률: 50%)
  • 질산에틸은 물에 잘 용해되며, 인화점이 경유와 같아서 불안정하다는 점에서 위험한 물질입니다. 따라서 안전한 보관과 운반을 위해 지정수량이 10kg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방향성을 갖고 있는 고체가 아니므로 해당 보기는 틀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T.N.T[C6H2CH3(NO2)3]를 녹이는 용제가 아닌 것은?

  1. 벤젠
  2. 에테르
  3. 아세톤
(정답률: 62%)
  • T.N.T는 유기화합물로, 물과는 상호작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T.N.T를 녹이는 용제로는 물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셀룰로이드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물에 녹으며, 자연발화의 위험이 적다.
  2. 비중이 1보다 크고, 열,빛,산소에 의해 황색을 띤다.
  3. 저장실 온도는 20℃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4. 지정수량은 100kg이고, 발화점은 약 180℃ 이다.
(정답률: 36%)
  • "물에 녹으며, 자연발화의 위험이 적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셀룰로이드는 물에 녹지 않으며, 일정한 조건에서는 자연발화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셀룰로이드를 다룰 때에는 안전에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황산의 위험성에 있어서 옳지 않은 것은?

  1. 물을 가하면 발열한다.
  2. 유기물을 탄화 분해시킨다.
  3. 불연성 물질이며 탈수 작용을 한다.
  4. 금속과 작용하여 산소를 발생시켜 다른 가연물의 연소를 돕는다.
(정답률: 23%)
  • 황산은 금속과 작용하여 산소를 발생시켜 다른 가연물의 연소를 돕는다는 것이 옳지 않습니다. 황산은 오히려 산화작용을 억제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연물의 연소를 돕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과산화수소(H2O2)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안정하면 쉽게 분해되지 않는다.
  2. 강한 산화성이 있다.
  3. 일광의 직사에 의해서 분해된다.
  4. 물, 알콜에 잘녹는다.
(정답률: 28%)
  • 정답은 "안정하면 쉽게 분해되지 않는다."가 아닌 "일광의 직사에 의해서 분해된다."입니다.

    과산화수소는 안정성이 낮아 쉽게 분해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과산화수소 분자 내부의 산소-산소 결합이 약하고, 분자 내부의 양성자와 음성자가 서로 밀접하게 위치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과산화수소는 물, 알콜 등과 쉽게 반응하여 분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정하면 쉽게 분해되지 않는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금속분 중 지정수량이 다른 물질은?

  1. Al분
  2. Zn분
  3. Fe분
  4. Sb분
(정답률: 35%)
  • Fe분은 다른 보기들과 달리 지정수량이 없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어떤 양만큼의 금속분이 존재하는지가 지정되어 있지만, Fe분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과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위험물 저장시 보호액 연결이 올바른 것은?

  1. 황린 – 물
  2. 금속칼륨 - 에탄올
  3. 이황화탄소 – 석유
  4. 금속나트륨 - 황산
(정답률: 67%)
  • 위험물 저장시 보호액은 화학물질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선택되어야 합니다. 황린은 물과 반응하여 황산을 생성하므로, 황린을 저장할 때는 물을 보호액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의 화학물질과 반응하여 안전하지 않은 화학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올바른 보호액으로 선택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옥내 저장소 바닥에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구조를 해야 할 위험물이 아닌 것은?

  1. (C2H5)3Al
  2. 제4류의 갑종위험물
  3. 제5류 위험물
  4. H2SO4
(정답률: 45%)
  • "(C2H5)3Al"은 유기알루미늄 화합물로서, 물과 반응하여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물이 침투해도 위험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제5류 위험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탄화칼슘의 저장 및 취급시 주의사항중 옳지 않 은 것은?

  1. 수분이나 습기를 피한다.
  2. 용기의 마개를 밀봉하지 않는다.
  3. 질소가스와 같은 불연성 가스를 채운다.
  4. 옥외저장탱크는 방수성 피복설비를 한다.
(정답률: 77%)
  • 탄화칼슘은 수분과 반응하여 카세오칼슘과 수소를 생성하므로 수분이나 습기를 피해야 합니다. 따라서 "용기의 마개를 밀봉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주의사항입니다. 용기의 마개를 밀봉하지 않으면 외부 공기가 들어와 수분과 반응하여 카세오칼슘과 수소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기의 마개를 밀봉하여 외부 공기와 수분이 들어오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니트로 셀룰로오스의 저장, 수송중에는 어떤 물질로 습면시키는가?

  1. 석유 또는 에테르
  2. 파라핀
  3. 물 또는 알코올
  4. 아세톤
(정답률: 49%)
  • 니트로 셀룰로오스는 물과 알코올에 잘 녹기 때문에 저장 및 수송 중에는 물 또는 알코올로 습면시킵니다. 석유나 에테르, 파라핀, 아세톤 등 다른 물질로 습면시키면 단열성이나 인화성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금속칼륨 표면이 회백색으로 변했다. 이 표면물질의 분자식은?

  1. KOH
  2. KCl
  3. K2O
  4. KNO3
(정답률: 38%)
  • 금속칼륨 표면이 회백색으로 변한 것은 산화작용이 일어난 결과입니다. 산화작용으로 인해 금속칼륨과 산소가 결합하여 산화물이 생성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 표면물질의 분자식은 K2O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PH3의 생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액을 pH9(약알칼리성)로 유지시키면서 저장하는 물질은?

  1. 적린
  2. 황린
  3. 황산
  4. 황화린
(정답률: 63%)
  • PH3는 암모니아와 마찬가지로 약산성을 띄고 있기 때문에, 보호액을 약알칼리성으로 유지시키면 PH3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때 사용되는 물질 중에서 황린은 알칼리성을 띄고 있으며, 물에 녹기 쉽고 안정성이 높아서 보호액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황린이 PH3 생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액을 pH9로 유지시키면서 저장하는 물질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중 사진감광제, 사진제판, 보온병 제조 등에서 사용되는 위험물은?

  1. 질산칼륨(KNO3)
  2. 질산나트륨(NaNO3)
  3. 질산은(AgNO3)
  4. 염소산칼륨(KClO3)
(정답률: 53%)
  • 질산은(AgNO3)은 은을 함유하고 있어서 사진감광제, 사진제판 등에서 사용됩니다. 또한 보온병 제조에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황화린이 물에 녹을 때 발생하는 유독 가스의 성분은?

  1. H2S
  2. SO2
  3. P2O5
  4. PH3
(정답률: 30%)
  • 황화린은 물과 반응하여 황화수소(H2S)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물에 녹을 때 발생하는 유독 가스의 성분은 H2S입니다. SO2, P2O5, PH3은 황화린과는 관련이 없는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트리니트로페놀[피크린산,C6H2(NO2)3OH]의 성질중 틀린 것은?

  1. 단독으로는 마찰,충격에 둔감하여 폭발하지 않는다.
  2. 백색의 결정이다.
  3. 냉수에는 녹기 힘들지만 에테르에는 잘 녹는다.
  4. 금속염 물질과 혼합하는 것은 위험하다.
(정답률: 10%)
  • 정답은 "백색의 결정이다."입니다.

    트리니트로페놀은 황색 혹은 노란색의 결정으로 나타나며, 백색이 아닙니다. 이유는 분자 내에 세 개의 질소와 삼개의 질소산화물기가 존재하여 색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제6류 위험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HNO3(비중1.49이상)
  2. H2SO4(비중1.82이상)
  3. H2O2(3wt%)
  4. HClO4
(정답률: 40%)
  • H2O2(3wt%)은 제6류 위험물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H2O2의 농도가 3wt% 이하이기 때문이다. 제6류 위험물은 농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농도가 높은 화학물질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소방법상 특수가연물의 정의를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특수가연물이라함은 화재를 소화할 때 주수소화는 곤란하고 반드시 불활성가스를 사용해야 하는 물질이다
  2. 합성수지류라 함은 불연성 또는 난연성이 아닌 고체의 합성수지제품· 합성수지 반제품 등을 말한다.
  3. 제1종 가연물이라 함은 상온에서 고체인 것으로 60℃미만인 것을 말한다.
  4. 면화류는 난연성 제품의 가연물로 면상 또는 톱상의 섬유 및 마사원료를 말한다.
(정답률: 25%)
  • 합성수지류는 불연성이나 난연성이 아닌 고체의 합성수지제품이나 합성수지 반제품을 말한다. 이는 특수가연물의 정의 중 하나로, 화재를 소화할 때 불활성 가스를 사용해야 하는 물질로 분류된다. 이유는 합성수지류가 불연성이나 난연성이 아니기 때문에 물이나 일반 소화제로는 소화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불활성 가스를 사용하여 소화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위험물 찌꺼기 등을 안전한 장소에 폐기하여야 할 때 최소한 몇 일에 1회이상 처분하여야 하는가?

  1. 1일
  2. 2일
  3. 3일
  4. 4일
(정답률: 32%)
  • 위험물 찌꺼기 등은 화재, 폭발, 유해 물질 누출 등의 위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위험물을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1일에 1회 이상 폐기하여야 합니다. 이는 위험물이 쌓이지 않도록 하여 안전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8%의 황산구리 수용액 100g을 만들려면 몇 g의 황산구리결정(CuSO4.5H2O)이 필요한가? (단,Cu:63.5, S:32, O:16, H:1)

  1. 8g
  2. 12.5g
  3. 14.5g
  4. 18g
(정답률: 42%)
  • CuSO4의 몰량을 구해보면 Cu: 63.5g/mol, S: 32g/mol, O: 16g/mol 이므로 CuSO4의 분자량은 63.5 + 32 + (4 × 16) = 159.5g/mol 입니다.

    따라서 8%의 황산구리 수용액 100g을 만들기 위해서는 100g × 8/100 = 8g의 CuSO4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CuSO4 결정을 사용해야 하므로,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몰질량을 이용해야 합니다.

    CuSO4·5H2O의 몰질량은 CuSO4의 몰질량에 5 × 2(물 분자 수) = 10g/mol이 더해진 값이므로 159.5 + 10 = 169.5g/mol 입니다.

    따라서 8%의 황산구리 수용액 100g을 만들기 위해서는 (8g ÷ 159.5g/mol) × 169.5g/mol = 12.5g의 CuSO4·5H2O 결정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5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자연에서 산출되는 황을 가열하여 녹인다음 냉각시키면 노란갈색의 바늘 모양의 결정을 얻는다. 이것이 이름은?

  1. 삼방황
  2. 단사황
  3. 고무상황
  4. 무정형황
(정답률: 42%)
  • 이름에서 "단"은 "하나"를 의미하고, "사"는 "결정"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단사황"은 하나의 결정으로 이루어진 황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삼"은 세 개, "고무상"은 고무처럼 늘어지는 모양, "무정형"은 규칙적인 형태가 없는 것을 의미하므로 정답은 "단사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위험물과 이의 화재시 소화 방법을 열거하였다. 다음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마그네슘 분말 - 건조사
  2. 유황 - 물 분무
  3. 황린 - 대량의 물
  4. 아연분 - 질소가스
(정답률: 38%)
  • 아연분은 질소가스와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아연분 - 질소가스"가 적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A와 B와의 품명이 다른 위험물을 동일 장소에서 취급할 경우, 이 장소에 위험물의 취급량 산출 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1. A의 취급량 + B의 취급량
(정답률: 69%)
  • 위험물의 품명이 다른 경우에는 각각의 위험물이 독립적으로 취급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하여 더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취급량을 합산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안전한 방법으로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이 방법은, A와 B의 취급량 중에서 더 큰 값을 선택하고, 그 값을 기준으로 다른 위험물의 취급량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더 큰 위험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제4류 위험물에 공통되는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인화점과 착화온도와의 온도차가 적은 것이 많다.
  2. 위험물에 따라 착화온도차는 있지만 고열체에 닿으면 발화한다.
  3. 자연 발화성이 있다.
  4. 비중 1 이하의 것은 적다.
(정답률: 32%)
  • 위험물에 따라 착화온도차는 있지만 고열체에 닿으면 발화한다: 제4류 위험물은 고열에 노출되면 발화하는 성질이 있으며, 이는 착화온도와는 별개의 성질이다. 따라서 인화점과 착화온도와의 온도차가 적은 것이 많더라도 고열에 노출되면 발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불포화지방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수소와 산소를 첨가하여 포화지방산으로 만든다.
  2. 불포화지방산은 포화지방산보다 요오드값이 높다.
  3. 경화유는 불포화지방산에 수소첨가한 것이다.
  4. 이중결합이 함유된 것이 많다.
(정답률: 18%)
  • "수소와 산소를 첨가하여 포화지방산으로 만든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수소를 첨가하여 포화지방산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방향족 탄화수소는 어느 것인가?

  1. 벤젠
  2. 에틸렌
  3. 부타디엔
  4. 아세틸렌
(정답률: 46%)
  • 벤젠은 6개의 탄소 원자와 6개의 수소 원자로 이루어진 고리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 구조가 방향족 구조이기 때문에 방향족 탄화수소입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고리 구조를 가지지 않고, 이중결합이나 삼중결합을 가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방향족 탄화수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시판 중인 과산화수소 수용액(40%)이 분해하기 쉬우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안정제로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은?

  1. HgO
  2. CaO3
  3. MnO2
  4. H3PO4
(정답률: 37%)
  • 과산화수소는 분해되면 산소와 물로 분해되는데, 이때 산화작용이 일어나므로 산화제로 작용하는 물질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안정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환원제로 작용하는 물질입니다. H3PO4는 환원제로 작용하여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등유의 저장 및 취급시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

  1. 화기를 피해야 한다.
  2.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밀봉 밀전한다,
  3. 누출에 주의하고 용기에는 항상 여유를 남긴다.
  4. 정전기 불꽃으로 인하여 위험성이 없다.
(정답률: 74%)
  • 정전기 불꽃은 등유와 공기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방전으로 인해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등유의 저장 및 취급시에는 정전기 불꽃을 예방하기 위해 지폐나 천 등으로 마찰을 일으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전기 불꽃으로 인하여 위험성이 없다"는 선택지는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화재시 알코올포를 사용하여 진화하는 위험물은?

  1. 아세톤
  2. 등유
  3. 경유
  4. 가솔린
(정답률: 48%)
  • 알코올포는 불에 대한 확산을 막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화재시 진화시키는 물질에 따라 효과가 달라집니다. 아세톤은 불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여, 알코올포를 사용하면 오히려 불을 더 크게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세톤은 알코올포를 사용하여 진화시키는 위험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소화 활동 설비가 아닌 것은?

  1. 비상콘센트설비
  2. 무선통신보조설비
  3. 상수도소화용수설비
  4. 연소방지설비
(정답률: 17%)
  • 상수도소화용수설비는 소화 활동을 수행하는 설비가 아니라, 소화 작업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설비입니다. 따라서, 상수도소화용수설비가 소화 활동 설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위험물 저장탱크의 밸브를 놋쇠(황동)로 하는 이유로 적절한 것은?

  1. 제작시에 발생되는 경제적 손실을 줄이기 위해
  2. 밸브의 제작이 용이하므로
  3. 열전도도가 좋기 때문에
  4. 저장 위험물과의 반응을 막기 위해
(정답률: 58%)
  • 저장 위험물은 화학적 반응에 민감하므로, 저장탱크의 밸브를 놋쇠(황동)로 만들어 저장 위험물과의 반응을 막기 위해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가솔린의 일반적 제조방법이 아닌 것은?

  1. 중축합법
  2. 직류법
  3. 분해증류법
  4. 접촉개질법
(정답률: 20%)
  • 정답: 중축합법

    설명: 가솔린의 일반적인 제조 방법은 분해증류법이나 접촉개질법입니다. 중축합법은 유체 케이크를 생성하기 위해 높은 압력과 온도에서 탄소 분자를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가솔린 제조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