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7-18)

위험물기능사
(2004-07-1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화재 예방과 소화방법

1. NaHCO3 A제 와 Al2(SO4)3 B제로 되어 있는 소화기는?

  1. 산,알칼리소화기
  2. 드라이케미칼소화기
  3. 이산화탄소소화기
  4. 포말소화기
(정답률: 37%)
  • NaHCO3 A제와 Al2(SO4)3 B제는 화학반응을 일으켜 CO2 가 방출되면서 소화작용을 합니다. 이러한 소화작용을 이용하여 불을 끌 수 있는 소화기를 포말소화기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NaHCO3 A제와 Al2(SO4)3 B제로 되어 있는 소화기가 포말소화기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소화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소공급차단에 의한 소화는 제거효과이다.
  2. 물에 의한 소화는 냉각효과이다.
  3. 가연물을 제거하는 효과는 제거효과이다.
  4. 소화분말에 의한 효과는 분말의 가열분해에 의한 질식 및 억제 냉각의 상승효과이다.
(정답률: 86%)
  • "산소공급차단에 의한 소화는 제거효과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산소공급차단에 의한 소화는 질식효과로서, 연소 반응에 필요한 산소 공급을 차단하여 연소 반응을 억제하는 효과입니다. 따라서, 제거효과가 아닌 억제효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물질 중 소화제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1. NH4H2PO4
  2. HCN
  3. NaHCO3
  4. CCℓ4
(정답률: 49%)
  • HCN은 독성이 매우 강한 물질로, 소화제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오히려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자기반응성물질이 질식소화 효과가 없는 가장 큰 이유는?

  1. 인화성 액체이기 때문에
  2. 산소함유 물질이기 때문에
  3. 연소가 폭발적이기 때문에
  4. 산화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정답률: 58%)
  • 자기반응성물질은 산소함유 물질이기 때문에 질식소화 효과가 없습니다.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면 연소가 계속 일어나기 때문에 질식소화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산소공급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수소화나트륨 화재발생 시 주수소화가 부적당한 가장 큰 이유는?

  1. 발열반응을 일으킴
  2. 수화반응을 일으킴
  3. 중화반응을 일으킴
  4. 중합반응을 일으킴
(정답률: 76%)
  • 수소화나트륨은 물과 반응하여 수소와 나트륨하이드록사이드를 생성하는 수화반응을 일으킵니다. 이 과정에서 열이 발생하며, 이는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하여 발열반응을 일으킵니다. 따라서 주수소화로는 충분히 제어하기 어렵고, 적절한 소화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고체 및 액체상 물질의 연소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목탄과 같이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에서 불타는 연소를 표면연소라 한다.
  2. 알코올의 연소는 표면연소이다.
  3. 산소공급원을 가진 물질 자체가 연소하는 것을 자기연소라 한다.
  4. 목재와 같이 열분해되어 가연성 기체가 연소하는 것을 분해연소라 한다.
(정답률: 66%)
  • 알코올의 연소는 표면연소가 아니라 가스상 연소이다. 알코올은 액체상에서 증기가 발생하여 공기와 혼합되어 가스상으로 연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알코올의 연소는 표면연소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한옥에 불이 났을 때 어느 소화기를 사용하는 것이 적당한가?

  1. A급
  2. B급
  3. C급
  4. D급
(정답률: 82%)
  • 한옥은 전통적인 나무와 종이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불이 나면 빠르게 번지고 확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불이 나면 빠르게 진압할 수 있는 A급 소화기를 사용하는 것이 적당합니다. A급 소화기는 일반적으로 물, 건조화학제, 탄산가스 등을 사용하여 불을 진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금속나트륨 화재에 적응한 소화약제는?

  1. 팽창질석, 마른모래
  2. 할로겐화합물
  3. 분말소화약제
  4. 이산화탄소
(정답률: 75%)
  • 금속나트륨 화재는 물로 소화할 수 없기 때문에, 적응한 소화약제는 화재 영역에서 산화반응을 억제하고, 열을 흡수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소화약제 중에서 팽창질석과 마른모래는 화재 영역에서 열을 흡수하면서 동시에 화재 영역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금속나트륨 화재에 적합한 소화약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산화성액체 위험물에 적응하는 소방설비가 아닌 것은?

  1. 스프링클러설비
  2. 포소화설비
  3. 이산화탄소소화설비
  4. 물분무소화설비
(정답률: 57%)
  • 이산화탄소소화설비는 산화성액체 위험물에 대한 소화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이산화탄소소화설비는 산화성액체를 소화하는 것이 아니라, 산소를 차단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산화성액체 위험물에 대한 적응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간이소화용구로 팽창질석 또는 팽창진주암을 삽과 함께 준비하는 경우 능력단위 3단위에 해당하는 양은?

  1. 240리터 이상
  2. 300리터 이상
  3. 480리터 이상
  4. 600리터 이상
(정답률: 35%)
  • 팽창질석 또는 팽창진주암은 물에 닿으면 팽창하여 소화를 돕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간이소화용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양이 필요합니다. 팽창질석 또는 팽창진주암을 삽과 함께 준비하는 경우, 능력단위 3단위에 해당하는 양은 480리터 이상이어야 충분한 양이 확보됩니다. 이는 적어도 3명의 인원이 1일간 섭취하는 음식물의 양을 충분히 소화시키기 위한 양으로 계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위험물의 화재위험에 관한 사항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비점이 높을수록 위험하다.
  2. 폭발한계가 좁을수록 위험하다.
  3. 착화에너지가 작을수록 위험하다.
  4. 인화점이 높을수록 위험하다.
(정답률: 36%)
  • 착화에너지란 물질이 화염에 의해 연소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를 말합니다. 따라서 착화에너지가 작을수록 물질이 쉽게 연소되므로 화재위험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착화에너지가 작을수록 위험하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어떤 소화기에 "A-3, B-5, C적용" 라고 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알 수 있는 것이 아닌 것은?

  1. 일반화재인 경우 이 소화기의 능력단위는 5단위이다.
  2. 유류화재에 적용할 수 있는 소화기이다.
  3. 전기화재에 적용할 수 있는 소화기이다.
  4. ABC 소화기이다.
(정답률: 69%)
  • 정답: "일반화재인 경우 이 소화기의 능력단위는 5단위이다."

    설명: "A-3, B-5, C적용"은 소화기의 능력을 나타내는 표시입니다. 여기서 A는 일반화재, B는 유류화재, C는 전기화재를 가리킵니다. 숫자는 해당 화재를 억제하는 능력을 나타내며, 숫자가 높을수록 더 큰 화재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3, B-5, C적용"에서 B-5는 유류화재를 억제하는 능력이 5단위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정보에서는 일반화재와 전기화재를 억제하는 능력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일반화재인 경우 이 소화기의 능력단위는 5단위이다."라는 정보를 알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할로겐 화합물의 소화제에서 할론 2402 의 화학식은?

  1. CBr2F2
  2. CBrClF2
  3. CBrF3
  4. C2Br2F4
(정답률: 70%)
  • 할로겐 화합물의 화학식에서 첫 번째 문자는 탄소(C)를 나타내고, 그 뒤에 따라오는 문자들은 각각 브롬(Br), 클로린(Cl), 플루오린(F)을 나타낸다. 할론 2402의 화학식은 C2Br2F4이다. 이는 브롬 2개와 플루오린 4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른 보기들은 브롬, 클로린, 플루오린의 수가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소화설비의 1소요 단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외벽이 내화구조인 연면적 150m2인 제조소
  2. 외벽이 내화구조가 아닌 연면적 50m2인 제조소
  3. 지정수량 10배인 위험물
  4. 외벽이 내화구조가 아닌 연면적 75m2인 저장소
(정답률: 48%)
  • 소화설비의 1소요 단위는 연면적 50m2이므로, "외벽이 내화구조인 연면적 150m2인 제조소"는 해당되지 않는다. 내화구조는 화재 발생 시 화염이 퍼지는 것을 막아 안전성을 높이기 때문에, 연면적이 큰 제조소에서는 내화구조가 요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인산암모늄분말소화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분말의 색은 담홍색으로 착색한다.
  2. A, B, C급 화재에 사용한다.
  3. 질식ㆍ 냉각의 소화효과가 있다.
  4. 열분해 하면 물과 메타인산만 생성되어 인체에 무해하다.
(정답률: 41%)
  • 인산암모늄분말소화제는 열분해하면 물과 메타인산만 생성되어 인체에 무해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인산암모늄분말소화제는 열분해하면 유독한 암모니아 가스를 방출하므로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분말 소화약제 중 인산염류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은 몇 종 인가?

  1. 제1종 분말
  2. 제2종 분말
  3. 제3종 분말
  4. 제4종 분말
(정답률: 72%)
  • 인산염류를 주성분으로 하는 분말 소화약제는 제3종 분말입니다. 이는 인산염류가 소화약제의 주성분으로 사용되는 경우, 보통 제3종 분말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다른 분말 소화약제들은 다른 주성분을 사용하거나, 인산염류를 보조성분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화재의 위험성이 가장 적은 것은?

  1. 가연성 기체가 연소범위 내의 농도에 있다.
  2. 산소기체와 수소기체가 공존한다.
  3. 미분의 숯가루가 공기 중에 분산되어 있다.
  4. 등유에 금속 나트륨이 담겨져 있다.
(정답률: 74%)
  • 등유에 금속 나트륨이 담겨져 있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성이 가장 적습니다. 금속 나트륨은 물과 반응하여 폭발하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등유에 담겨져 있으면 물이나 습기와 접촉할 일이 없어 화재의 위험이 줄어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표준상태에서 탄소 1몰이 완전히 연소하면 몇 ℓ의 이산화탄소가 생성 되는가?

  1. 11.2
  2. 22.4
  3. 44.8
  4. 56.8
(정답률: 80%)
  • 탄소 1몰이 완전히 연소하면 이산화탄소 1몰이 생성됩니다. 이산화탄소의 분자량은 44g/mol이며, 1몰의 이산화탄소는 44g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 우리는 이산화탄소의 부피를 구해야 합니다. 이산화탄소는 기체 상태이므로, 이상기체법을 이용하여 부피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상기체법에 따르면, 1몰의 기체는 22.4L의 부피를 가집니다. 따라서, 탄소 1몰이 완전히 연소하면 1몰의 이산화탄소가 생성되고, 이산화탄소 1몰은 22.4L의 부피를 가지므로, 정답은 22.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제1류 위험물의 취급 저장 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용기의 전락, 전도 방지조치를 한다.
  2. 충격, 마찰을 피하며 화기를 피해 저장한다.
  3. 가연물 및 강산과의 접촉을 금지한다.
  4. 가급적 습기가 많은 곳에서 보관한다.
(정답률: 79%)
  • 가급적 습기가 많은 곳에서 보관한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제1류 위험물 중 일부는 물과 반응하여 폭발하거나 발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습기가 많은 곳에서 보관하면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알코올 화재 시 포소화제가 쓰이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포가 깨어져 소화효과가 없다.
  2. 연소면을 확대한다.
  3. 유독가스가 발생한다.
  4. 포와 반응하여 산소를 발생한다.
(정답률: 35%)
  • 알코올 화재 시 포소화제가 쓰이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포가 깨어져 소화효과가 없기 때문입니다. 포는 물과 함께 반응하여 화재를 진압하는데, 알코올은 물과 섞이지 않기 때문에 포가 깨어지지 않고 소화효과가 없습니다. 따라서 알코올 화재 시에는 다른 소화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위험물의 화학적 성질 및 취급

21. 다음은 염소산나트륨에 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은?

  1. 물에는 녹지 않는다.
  2. 악취를 내며 황색의 고체이다.
  3. 조해성은 있으나 흡습성은 없다.
  4. 가열하면 분해하여 산소를 발생한다.
(정답률: 60%)
  • 염소산나트륨은 화학식이 NaClO3이며, 가열하면 분해하여 산소를 발생하는 이유는 염소산나트륨 분자 내부의 산소 결합이 불안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열에 의해 분해되어 산소를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물질 중 물과 급격히 반응하여 발열하고, 산소를 발생시키는 것은?

  1. 과망간산칼륨
  2. 과산화수소
  3. 과염소산나트륨
  4. 과산화칼륨
(정답률: 61%)
  • 과산화칼륨은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산소를 방출하는 강한 산화제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으며, 화학 실험에서 산소 공급원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질산나트륨은 열분해하여 산소를 방출시킨다.
  2. 과산화마그네슘은 가열하면 MgO와 O2를 발생한다.
  3. 과산화나트륨은 상온에서 적당한 물과 반응하여 H2와 O2가 생성된다.
  4. 2몰의 염소산칼륨은 400℃에서 가열하면 분해하여 KCl, O2 등이 생성된다.
(정답률: 52%)
  • "과산화나트륨은 상온에서 적당한 물과 반응하여 H2와 O2가 생성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과산화나트륨은 물과 반응하여 NaOH와 H2O2를 생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물질 중 요오드에틸시안은과 혼합되면 폭발성물질이 형성되어 폭발의 위험성이 있는 것은?

  1. 질산수은[HgNO3]
  2. 질산바륨[Ba(NO3)2]
  3. 질산암모늄[NH4NO3]
  4. 질산은[AgNO3]
(정답률: 28%)
  • 요오드에틸시안은은 요오드와 에틸시안화물이 혼합된 물질로, 이 물질은 공기 중 수증기와 반응하여 폭발성 물질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요오드에틸시안은은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질산은[AgNO3]은 은과 질산이 결합한 화합물로, 질산은이라는 강산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강산성으로 인해 질산은[AgNO3]은 다른 금속과 반응하여 폭발성 물질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질산은[AgNO3]은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가연성고체 물질의 일반적 성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연소속도가 빠른 고체들이다.
  2. 산화제와의 접촉은 위험하다.
  3. 저온에서 착화되기 쉬운 가연성 물질이다.
  4. 물과 접촉시 산소와 불활성가스가 발생한다.
(정답률: 54%)
  • 물과 접촉시 산소와 불활성가스가 발생하는 것은 일반적인 가연성고체 물질의 성질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일반적으로 가연성 물질이 물과 접촉하면 물에 의해 화학반응이 일어나서 연소가 억제되는데 반해, 이 물질은 물과 접촉하면 산소와 불활성가스가 발생하여 연소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적린과 혼합했을 때 불안정한 폭발성 혼합물질을 만드는 것은?

  1. 황린
  2. 에틸알코올
  3. 염소산칼륨
(정답률: 33%)
  • 염소산칼륨은 산화제이며, 적린과 혼합하면 폭발성 혼합물질을 만들 수 있습니다. 적린은 산성성분이며, 염소산칼륨과 반응하면 염소가 방출되면서 폭발성을 띄게 됩니다. 따라서 염소산칼륨은 적린과 혼합했을 때 불안정한 폭발성 혼합물질을 만드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칠황화린(P4S7)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담황색의 결정이다.
  2. 이황화탄소에 약간 녹는다.
  3. 냉수와 작용해서 불연성 가스를 발생한다.
  4. 조해성이 있고, 수분을 흡수하면 분해한다.
(정답률: 39%)
  • 냉수와 작용해서 불연성 가스를 발생하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칠황화린은 물과 반응하여 황화수소와 황산을 생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마그네슘분의 성질 중 옳지 않은 것은?

  1. 산이나 염류에 침식 당한다.
  2. 산과 작용하여 산소를 발생한다.
  3. 점화하면 백광을 내고 심하게 탄다.
  4. 미분상태의 경우 공기 중 습기와 반응하여 자연발화한다.
(정답률: 49%)
  • 마그네슘분은 산과 작용하여 산소를 발생시키는 것이 맞는 성질입니다. 이는 마그네슘분이 산화되면서 산소를 방출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산과 작용하여 산소를 발생한다."는 옳은 성질입니다.

    그 외의 성질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산이나 염류에 침식 당한다: 마그네슘분은 산과 반응하여 침식되는 성질이 있습니다.
    - 점화하면 백광을 내고 심하게 탄다: 마그네슘분은 공기 중에서 쉽게 연소되며, 이때 백광을 내고 매우 강한 열을 발생시킵니다.
    - 미분상태의 경우 공기 중 습기와 반응하여 자연발화한다: 마그네슘분은 공기 중 습기와 반응하여 자연발화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따라서 보관 시에는 건조한 장소에 보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물과 작용하여도 가연성 기체를 발생 시키지 않는 것은?

  1. 수소화칼슘
  2. 탄화칼슘
  3. 산화칼슘
  4. 금속칼륨
(정답률: 42%)
  • 정답은 "산화칼슘"입니다.

    이유는 산화칼슘은 물과 반응하여 칼슘 수산화물(Ca(OH)2)을 생성하는데, 이 과정에서 가연성 기체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반면, 수소화칼슘과 탄화칼슘은 물과 반응하여 각각 가연성인 수소와 메탄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위험합니다. 또한 금속칼륨은 물과 반응하여 폭발적인 화학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위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인화칼슘과 물이 반응하여 발생하는 가스는?

  1. CO
  2. HCl
  3. PH3
  4. H2S
(정답률: 73%)
  • 인화칼슘과 물이 반응하여 발생하는 가스는 인화수소 (PH3) 입니다. 이는 인화칼슘이 물과 반응하여 칼슘하이드록사이드와 인화수소를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인 CO, HCl, H2S는 인화칼슘과 반응하여 생성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메탄올의 성상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K, Na 금속의 저장액으로 이용된다.
  2. 무색,투명한 액체로서 물, 에테르에 잘녹는다.
  3. 눈에 들어가면 시신경에 장애를 주어 실명하게 된다.
  4. 비중이 물 보다 작으며, 수용액의 농도가 높아질 수록 인화점이 낮아진다.
(정답률: 49%)
  • 정답은 "K, Na 금속의 저장액으로 이용된다."입니다. 메탄올은 금속의 저장액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메탄올은 물과 에테르에 잘 녹는 무색, 투명한 액체이며, 눈에 들어가면 시신경에 장애를 주어 실명하게 됩니다. 또한 비중이 물보다 작으며, 수용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인화점이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물질 중 발화점이 가장 낮은 것은?

  1. 디에틸에테르
  2. 이황화탄소
  3. 가솔린
  4. 벤젠
(정답률: 44%)
  • 이황화탄소는 분자 내에 화학결합으로 결합된 황과 탄소 원자들이 서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어서 분자 내부의 분자운동이 자유롭고, 이로 인해 발화점이 가장 낮은 물질입니다. 따라서 이황화탄소가 가장 발화점이 낮은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은 제4류 위험물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가연성 액체이다.
  2. 물에 잘 녹는 극성용매이다.
  3. 일반적으로 전기의 도체이다.
  4. 인화점이 높을수록 증기발생이 용이하다.
(정답률: 20%)
  • 제4류 위험물은 일반적으로 전기의 도체이다. 이는 제4류 위험물이 전기를 통해 화재나 폭발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4류 위험물을 다룰 때에는 전기적 안전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위험물 중 물과 가장 잘 혼합되는 것은?

  1. 디에틸에테르
  2. 초산메틸
  3. 장뇌류
  4. 아세톤
(정답률: 58%)
  • 아세톤은 분자 구조상 극성이 높아 물과 잘 혼합됩니다. 따라서 위험물 중에서 물과 가장 잘 혼합되는 것은 아세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제4류 위험물 중 제1석유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아세톤
  2. 휘발유
  3. 톨루엔
  4. 윤활유
(정답률: 48%)
  • 윤활유는 제1석유류가 아닙니다. 제1석유류는 휘발성이 높은 경유류, 휘발유, 아세톤 등을 말하며, 윤활유는 기계 부품 등을 윤활하는 데 사용되는 미끈한 유체로, 제2석유류에 속합니다. 따라서 윤활유가 제4류 위험물 중 제1석유류에 속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연소할 때 유독한 황화수소가스를 발생하는 물질은?

  1. 아세톤
  2. 크실렌
  3. 이황화탄소
  4. 아세트알데히드
(정답률: 75%)
  • 이황화탄소는 화학식이 CS₂로, 연소할 때 유독한 황화수소가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아세톤, 크실렌, 아세트알데히드는 연소할 때 유독한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질산에틸(Ethyl Nitrate)의 성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물에는 잘 녹는다.
  2. 상온에서 액체이다.
  3. 알코올에는 녹지 않는다.
  4. 황색이고 불쾌한 냄새가 난다.
(정답률: 56%)
  • 질산에틸은 분자 내부에 에틸기(Ethyl group)와 질소산기(Nitrate group)가 결합한 화합물로, 분자 내부의 질소산기는 전하를 가지고 있어서 분자 전체적으로 극성을 띠고 있습니다. 이러한 극성 때문에 질산에틸은 물과 잘 녹아서 상온에서 액체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반면, 알코올과는 녹지 않는 이유는 알코올 분자가 질산에틸과 유사한 극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서로 간섭하여 녹지 않는 것입니다. 또한, 질산에틸은 황색이고 불쾌한 냄새가 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트리니트로톨루엔(TNT)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물에 녹지 않는다.
  2. 장기간 저장시 자연분해 할 위험이 없다.
  3. 피크르산에 비해 충격, 마찰에 민감하다.
  4. 중성물질이므로 금속과 반응하지 않는다.
(정답률: 38%)
  • TNT는 피크르산에 비해 충격, 마찰에 민감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이것이 TNT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TNT는 충격이나 마찰로 인해 폭발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한 다루기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니트로화합물 중 쓴맛이 있고 유독하며, 물에 전리하여 강한산이 되며, 뇌관의 첨장약으로 사용되는 것은?

  1. 니트로글리세린
  2. 셀룰로이드
  3. 트리니트로페놀
  4. 트리메틸렌트리니트로아민
(정답률: 34%)
  • 트리니트로페놀은 쓴맛이 있고 유독하며, 물에 전리하여 강한 산이 되기 때문에 뇌관의 첨장약으로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제5류 위험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질산에스테르류
  2. 디아조화합물
  3. 아크릴로니트릴류
  4. 니트로화합물
(정답률: 44%)
  • 아크릴로니트릴류는 제2류 위험물로 분류되며, 인체에 대한 위험성이 높은 화학물질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제5류 위험물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은 질산의 성상에 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

  1. 질산은 비휘발성 물질이다.
  2. KClO3와 혼합하면 안정한 질산염이 생성된다.
  3. 자신은 불연성물질로 강한 환원력을 갖고 있다.
  4.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질산의 비중이 1.49이상을 위험물로 간주하고 있다.
(정답률: 49%)
  • 정답은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질산의 비중이 1.49이상을 위험물로 간주하고 있다."이다. 이는 질산이 높은 농도에서 폭발성을 띄기 때문이다. 따라서, 안전한 사용을 위해 질산을 다룰 때에는 적절한 안전장비와 절차를 준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과산화수소의 저장 방법으로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착색병에 100% 넣고 밀봉해서 건조한 곳에 둔다.
  2. 폴리에틸렌 병에 90% 이상 넣어 밀봉해서 보관한다.
  3. 가스를 빼는 마개가 붙은 폴리에틸렌병에 90% 이하 넣어서 둔다.
  4. 가스를 빼는 마개가 붙은 내산 유리병에 100% 넣어서 양지바른 곳에 둔다.
(정답률: 60%)
  • 과산화수소는 불안정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과도한 압력이나 충격 등으로 인해 폭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과산화수소를 저장할 때는 안전한 용기에 보관해야 합니다. 가스를 빼는 마개가 붙은 폴리에틸렌병에 90% 이하 넣어서 둔다는 것은, 과산화수소를 저장할 때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가스를 빼는 작업을 할 수 있는 용기를 사용하고, 용기에 넣는 과산화수소의 양을 90% 이하로 제한하여 안전하게 보관한다는 의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위험물 제조소에서 위험물 게시판에 기재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취급 최대수량
  2. 위험물의 성분· 함량
  3. 위험물의 유별· 품명
  4. 위험물 안전관리자 성명
(정답률: 28%)
  • 위험물의 성분· 함량은 위험물의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정보이지만, 게시판에 기재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는 위험물 안전관리계획서나 안전보건자료 등에서 상세히 기재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게시판에는 위험물의 유별· 품명, 취급 최대수량, 위험물 안전관리자 성명 등을 기재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위험물을 저장 할 때 보호액으로 물을 사용하는 물질은?

  1. 아연
  2. 구리
  3. 황린
(정답률: 63%)
  • 황린은 물과 반응하여 황산을 생성하므로, 화재 발생 시 물을 사용하여 진화시키는 것이 안전합니다. 그러나 다른 물질들은 물과 반응하여 화재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보호액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제6류 위험물의 취급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소화 작업시 저장용기의 냉각을 위해 용기벽에 주수한다.
  2. 분해를 촉진하는 약품과의 접촉은 피하는 것이 좋다.
  3. 가연물과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좋다.
  4. 화재시 할로겐소화가 가장 적당하다.
(정답률: 44%)
  • "화재시 할로겐소화가 가장 적당하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할로겐소화는 화재를 진압하는 방법 중 하나로, 할로겐화합물을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제6류 위험물은 할로겐화합물과 반응하여 더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할로겐소화는 적절한 방법이 아닙니다.

    따라서 제6류 위험물의 화재 진압 방법은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물을 사용하여 불을 끄거나, 화재를 진압하는 데 적합한 화재 진압제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휘발유를 취급시 주의사항에 관한 내용이다. 틀린 것은?

  1. 증기가 모여있지 않도록 통풍을 잘 시킨다.
  2. 온도가 0℃이하 일 때는 화기가 접근해도 무방하다.
  3. 유체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하므로 옮겨담는 작업에는 특히 주의해야 한다.
  4. 제1류위험물과 같은 강산화제와 혼합하거나 강산류와 혼합하면 혼촉발화의 위험이 있다.
(정답률: 75%)
  • 정답은 "온도가 0℃이하 일 때는 화기가 접근해도 무방하다." 이다.

    이유는 온도가 0℃ 이하일 때는 휘발유가 액체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증기가 모이지 않아 화기가 접근해도 불이 붙지 않는다. 하지만 이는 휘발유가 얼어서 고체 상태가 되지 않는 한의 이야기이며, 일반적으로는 휘발유는 -40℃ 이하에서도 증발하기 때문에 화기가 접근하면 폭발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온도가 낮아도 화기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염소산나트륨의 저장 및 취급시 주의사항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가열, 충격, 마찰을 피한다.
  2. 분해를 촉진하는 약품류와의 접촉을 피한다.
  3. 조해성이므로 용기의 밀폐, 밀봉에 주의 한다.
  4. 공기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물속에 저장한다.
(정답률: 86%)
  • 공기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물속에 저장하는 이유는 염소산나트륨이 공기 중에서 수분과 반응하여 수산화나트륨과 염소산가스를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반응은 화재나 폭발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물속에 저장하여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안전을 유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은 위험물을 저장 할 때 필요한 보호액으로 짝지은 것이다. 올바른 것은?

  1. 적린 – 질산
  2. 금속칼륨 - 에탄올
  3. 이황화탄소 – 물
  4. 금속나트륨 - 황산
(정답률: 58%)
  • 이황화탄소는 물과 반응하여 화학반응이 일어나 이산화황과 메탄올을 생성하므로, 이황화탄소를 저장할 때는 물이 필요하다. 이러한 반응으로 인해 이황화탄소의 증기가 발생하면서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보호장비를 착용하고 취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유기과산화물의 저장시 주의사항으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화기나 열원으로 부터 멀리한다.
  2. 강한 환원제와 가까이 하지 않는다.
  3. 직사일광을 피하고 찬곳에 저장한다.
  4. 산화제이므로 다른 산화제와 같이 저장해도 괜찮다.
(정답률: 72%)
  • "산화제이므로 다른 산화제와 같이 저장해도 괜찮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유기과산화물은 산화제이기 때문에 다른 산화제와 함께 저장하면 화재나 폭발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강한 환원제와 가까이 하지 않고, 화기나 열원으로부터 멀리하며, 직사일광을 피하고 찬곳에 저장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아세틸퍼옥사이드의 지정수량은 얼마인가?

  1. 10kg
  2. 50L
  3. 100kg
  4. 1000L
(정답률: 41%)
  • 아세틸퍼옥사이드는 고체 상태에서 판매되며, 일반적으로 지정 수량은 무게 단위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10kg"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부피 단위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은 제3류 위험물의 일반적 성질에 대한 설명이다. 올바른 것은?

  1. 무기화합물질로만 구성되어 있다.
  2. 대표적인 성질은 자기반응성 물질이다.
  3. 황린을 제외하고 모두 물에 대하여 반응이 일어나는 물질이다.
  4. 칼륨, 나트륨, 알킬리튬은 물보다 무겁고 나머지 품목은 물보다 가볍다.
(정답률: 71%)
  • 정답은 "황린을 제외하고 모두 물에 대하여 반응이 일어나는 물질이다." 이다. 이유는 제3류 위험물은 대부분 물과 반응하여 열, 가스, 화재 등의 위험을 일으키는 물질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제3류 위험물은 물과 반응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탄화칼슘(CaC2)를 대량 저장시 용기에 어떤 가스를 봉입하는가?

  1. 포스겐
  2. 인화수소
  3. 질소가스
  4. 아황산가스
(정답률: 66%)
  • 탄화칼슘은 수분과 반응하여 아세틸렌 가스를 발생시키는데, 이 가스는 불에 매우 민감하므로 저장 시 폭발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대량 저장 시에는 아세틸렌 가스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용기에 질소가스를 봉입합니다. 질소는 공기 중에서도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비활성 기체로, 아세틸렌 가스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안전하게 탄화칼슘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탄화칼슘이 물과 반응했을 때 생성되는 것은?

  1. 소석회 + 수소
  2. 생석회 + 인화수소
  3. 소석회 + 아세틸렌
  4. 생석회 + 일산화탄소
(정답률: 68%)
  • 탄화칼슘이 물과 반응하면 소석회와 아세틸렌이 생성됩니다. 이는 탄화칼슘이 물과 반응하여 칼슘하이드록사이드와 수소가 생성되고, 이어서 생성된 수소와 아세틸렌이 반응하여 소석회와 아세틸렌이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아세트알데히드(CH3CHO)의 성질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요오드포름 반응을 한다.
  2. 물, 에탄올, 에테르에 녹는다.
  3. 산화되면 에탄올, 환원되면 아세트산이 된다.
  4. 환원성을 이용하여 은거울반응과 페엘링반응을 한다.
(정답률: 21%)
  • "요오드포름 반응을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아세트알데히드는 요오드포름 반응을 하지 않습니다. 대신, 환원성을 이용하여 은거울반응과 페엘링반응을 합니다. 은거울반응은 아세트알데히드가 환원제로 작용하여 은이 이온화되어 은반응물이 생기는 반응입니다. 페엘링반응은 아세트알데히드가 페놀과 반응하여 색소를 생성하는 반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적린과 염소산칼륨의 위험물이 혼합하면 않되는 주된 이유는?

  1. 용해되기 때문
  2. 반응하여 수소(g)가 발생하기 때문
  3. 저장용기를 부식, 용해 시키기 때문
  4. 가열, 충격, 마찰에 의해 폭발하기 때문
(정답률: 50%)
  • 적린과 염소산칼륨은 서로 반응하여 폭발적인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위험물질입니다. 이러한 반응은 가열, 충격, 마찰 등의 외부적인 자극에 의해 쉽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혼합하여 저장하면 폭발 위험이 크게 증가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들은 분리하여 저장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아래의 물질 중 인화점이 0綽 이하이며, 물에 녹는 것은 모두 몇 개인가?

  1. 1개
  2. 2개
  3. 3개
  4. 4개
(정답률: 47%)
  • 정답은 "1개"입니다.

    인화점이 0℃ 이하인 물질은 메탄올(Methanol)과 에탄올(Ethanol)입니다. 이 중 에탄올은 물에 녹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물에 녹는 물질은 1개입니다. 메탄올은 물에 녹지만,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인화점이 0℃ 이하이면서 물에 녹는 물질은 에탄올 1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불포화지방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수소와 산소를 첨가하여 포화지방산으로 만든다.
  2. 불포화지방산은 포화지방산보다 요오드값이 높다.
  3. 경화유는 불포화지방산에 수소첨가한 것이다.
  4. 이중결합이 함유된 것이 많다.
(정답률: 7%)
  • "수소와 산소를 첨가하여 포화지방산으로 만든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수소를 첨가하여 포화지방산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제1류 위험물은 산화성고체이며 아염소산염류, 염소산염류, 과염소산염류, 무기과산물류의 지정수량은 모두 50kg 이다.
  2. 제3류 위험물 중 칼륨, 나트륨, 알킬알루미늄, 알킬리듐의 지정수량은 모두 10kg 이다.
  3. 제5류 위험물 중 유기과산화물류, 질산에스테르류의 지정수량은 각각 10kg이다.
  4. 제6류 위험물은 산화성액체이며 과염소산, 과산화수소, 질산의 지정수량은 모두 500kg 이다.
(정답률: 67%)
  • "제6류 위험물은 산화성액체이며 과염소산, 과산화수소, 질산의 지정수량은 모두 500kg 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제6류 위험물은 산화성액체, 산화성고체, 산화성가스 등 다양한 형태의 물질을 포함하며, 과염소산, 과산화수소, 질산 외에도 다른 물질들의 지정수량이 500kg 이하로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은 진한질산의 성질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부식성이 강하다.
  2. 강한 산화작용을 한다.
  3. 물과는 임의로 혼합하고 발영한다.
  4. 진한질산을 가열하면 분해하여 수소가 발생한다.
(정답률: 64%)
  • 진한질산을 가열하면 분해하여 수소가 발생하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이는 질산 분자가 열에 의해 분해되어 질산 이온과 수소 이온으로 분리되기 때문입니다. 질산 분자는 HNO3로 표기되며, 가열 시 분해 반응은 다음과 같이 일어납니다.

    2HNO3 → H2O + 2NO2 + O2↑

    이 반응에서 질산 분자가 물과 산화제로 작용하여 수소 이온과 산화물 이온을 생성합니다. 이 때 생성된 수소 이온은 물 분자와 결합하여 수소 이온(H+)이 되며, 이는 산성을 나타내는 성질입니다. 따라서 진한질산은 강한 산성을 띠며, 가열 시 수소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산화성 액체 위험물의 소화시 가장 위험한 요인은?

  1. 액체의 기포 발생
  2. 발화로 인한 화상
  3. 포스겐가스의 발생
  4. 부식성에 의한 피해
(정답률: 33%)
  • 산화성 액체는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발화하거나 폭발할 수 있는 위험물질입니다. 따라서 소화 시에는 발화를 막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액체의 기포 발생이나 포스겐가스의 발생은 발화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지만, 발화로 인한 화상은 직접적인 인명피해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위험한 요인입니다. 부식성에 의한 피해는 화학물질의 특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인 위험요인으로는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