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10-01)

위험물기능사
(2006-10-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화재 예방과 소화방법

1. 분무소화기에서 나온 물 18kg 이 섭씨 100도, 2atm에서 차지하는 부피는? (단, 기체상수 값은 0.082m3·atm/kmol·K 이고, 이상 기체임을 가정한다.)

  1. 10.29m3
  2. 15.29m3
  3. 20.29m3
  4. 25.29m3
(정답률: 51%)
  • 이 문제는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PV = nRT

    여기서 P는 압력, V는 부피, n은 몰수, R은 기체상수, T는 온도를 나타냅니다.

    먼저, 물의 몰수를 구해야 합니다. 물의 분자량은 18g/mol이므로, 18kg의 물은 몰수로 환산하면 1000mol입니다.

    다음으로, 온도와 압력을 절대온도와 절대압력으로 변환해야 합니다. 섭씨 100도는 켈빈 온도로 변환하면 373K입니다. 또한, 2atm는 대기압을 포함한 절대압력이므로, 1atm을 더해줘야 합니다. 따라서, 압력은 3atm가 됩니다.

    이제,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에 값을 대입하여 부피를 구합니다.

    V = nRT/P = (1000mol) x (0.082m3·atm/kmol·K) x (373K) / (3atm) = 15.29m3

    따라서, 정답은 "15.29m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황의 화재예방 및 소화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산화제와 혼합하여 저장한다.
  2. 정전기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3. 화재 시 다량의 물을 분무 주수하여 소화한다.
  4. 화재 시 유독가스가 발생하므로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소화한다.
(정답률: 71%)
  • "산화제와 혼합하여 저장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산화제는 화재를 일으키는 물질이므로 다른 물질과 혼합하여 저장하면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산화제는 따로 보관하고 다른 물질과 분리하여 보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기준에서 저장용기 설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온도가 섭씨 40도 이하이고 온도변화가 적은 곳에 설치하여야 한다.
  2. 방호구역 내에 설치하여야 한다.
  3. 직사일광 및 빗물이 침투할 우려가 적은 곳에 설치하여야 한다.
  4. 저장용기에는 안전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62%)
  • 이산화탄소는 인체에 위험한 가스이므로, 방호구역 내에 설치하여 작업자와 주변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방호구역 내에 설치하여야 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제거소화의 예가 아닌 것은?

  1. 가스 화재 시 가스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밸브를 닫아 소화시킨다.
  2. 유전 화재 시 폭약을 사용하여 폭풍에 의하여 가연성 증기를 날려 보내 소화시킨다.
  3. 연소하는 가연물을 밀폐시켜 공기 공급을 차단하여 소화한다.
  4. 촛불 소화 시 입으로 바람을 불어서 소화시킨다.
(정답률: 71%)
  • 촛불 소화 시 입으로 바람을 불어서 소화시킨다. - 이것은 물리적인 방법으로, 제거소화가 아닌 것입니다.

    연소하는 가연물을 밀폐시켜 공기 공급을 차단하여 소화한다. - 이것은 가연물의 연소 반응을 차단하여 소화하는 화학적인 방법으로, 제거소화의 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드라이케미칼(Dry Chemical)의 주성분은?

  1. NaHCO3
  2. Na2CO3
  3. CCl4
  4. CH3Br
(정답률: 42%)
  • 드라이케미칼은 화재 진압에 사용되는 소화제 중 하나입니다. 이 중 주성분은 화학식이 NaHCO3인 탄산나트륨입니다. 이유는 탄산나트륨이 열에 의해 분해되면 이산화탄소와 수산화나트륨을 생성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NaHCO3가 드라이케미칼의 주성분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가장 올바른 소화방법은?

  1. 벤젠 화재 시 주수한다.
  2. 타고 있는 이황화탄소의 드럼통에 주수한다.
  3. 금속칼륨 화재 시 할론 소화약제를 사용한다.
  4. 금속나트륨의 저장창고 화재 시 CO2 소화기를 사용한다.
(정답률: 37%)
  • 타고 있는 이황화탄소의 드럼통에 주수하는 것이 올바른 소화방법인 이유는 이황화탄소가 물과 반응하여 화학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화학반응으로 인해 더 많은 열이 발생하고 화재가 더욱 심각해질 수 있기 때문에, 이황화탄소를 끄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이황화탄소는 물과 반응하여 유독가스인 황화수소를 생성하기 때문에, 물 대신 주수제로 이황화탄소를 끄는 것이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C.T.C 소화약제는?

  1. 1취화 4불화 에탄
  2. 1취화 3불화 메탄
  3. 카본테트라클로라이드
  4. 1염화 1취화 메탄
(정답률: 55%)
  • C.T.C 소화약제는 카본테트라클로라이드입니다. 이는 화재 발생 시 산소를 차단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약제로, 불꽃을 끄는 데에는 효과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물이 소화제로 이용되는 주된 이유는?

  1. 물의 기화열로 가연물을 냉각하기 때문이다.
  2. 물이 공기를 차단하기 때문이다.
  3. 물은 환원성이 있기 때문이다.
  4. 물이 가연물을 제거하기 때문이다.
(정답률: 78%)
  • 물의 기화열은 물이 가열되어 기체 상태로 변할 때 흡수되는 열의 양을 말합니다. 이러한 물의 기화열을 이용하여 불이나 가연물을 냉각시키면, 가열된 물이 기체 상태로 변하면서 많은 열을 흡수하여 불을 꺼지게 하거나 가연물을 냉각시켜 확산을 막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이 소화제로 이용되는 주된 이유는 "물의 기화열로 가연물을 냉각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황린의 화재 시 소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모래 등을 덮어서 질식 소화한다.
  2. 다량의 물을 고압으로 주수하여 온도를 발화점 이하로 낮추어 냉각 소화한다.
  3. 강알칼리 액으로 소화한다.
  4. 가연성 가스를 이용하여 소화한다.
(정답률: 53%)
  • 황린의 화재는 가연성 물질이 불타고 있기 때문에 물을 사용하여 소화하면 오히려 불을 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래 등을 사용하여 질식 소화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모래 등으로 불을 덮으면 산소를 차단하여 연소 반응을 막아 불을 꺼뜨리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높이 15m, 지름 25m인 공지 단축 옥외 저장탱크에 보유공지의 단축을 위해서 물분무소화설비로 방호조치를 하는 경우 수원의 양은 약 몇 L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34221
  2. 58090
  3. 70259
  4. 95880
(정답률: 47%)
  • 물의 부피는 V = πr^2h 이므로, 이 탱크의 부피는 V = π(12.5)^2(15) = 7382.125 m^3 이다.

    물분무소화설비로 방호조치를 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10분 동안 1mm의 물막이 생기도록 물을 분무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7382.125 m^3의 탱크에 10분 동안 1mm의 물막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물의 양을 계산해야 한다.

    1mm의 물막은 1m^3의 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7382.125 m^3의 탱크에 10분 동안 1mm의 물막을 만들기 위해서는 7382.125 L의 물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는 최소한의 양이며, 실제로는 물분무소화설비의 성능, 환경 등에 따라 필요한 물의 양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답은 주어진 보기 중 어느 것도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위험물은 지정수량의 몇 배를 1소요 단위로 하는가?

  1. 1
  2. 10
  3. 50
  4. 100
(정답률: 86%)
  • 위험물은 지정수량의 10배를 1소요 단위로 합니다. 이는 위험물의 양이 증가할수록 위험성도 증가하기 때문에, 일정한 기준을 두어 안전하게 다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위험물을 다룰 때에는 반드시 해당 위험물의 지정수량과 10배를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소화설비의 설치기준에 의하여 옥외소화전설비의 수원의 수량은 옥외소화전 설치 개수에 몇 m3을 곱한 양 이상이 되도록 하는가?

  1. 7.5m3
  2. 13.5m3
  3. 20.5m3
  4. 25.5m3
(정답률: 71%)
  • 소화설비의 설치기준에 따르면, 옥외소화전 설치 개수에 따라 수원의 수량이 결정됩니다. 이때, 옥외소화전 설치 개수에 몇 m3을 곱한 양 이상이 되도록 합니다.

    따라서, 옥외소화전 설치 개수에 따라 수원의 수량이 달라집니다. 보기에서 올바른 답은 "13.5m3"입니다. 이는 옥외소화전 설치 개수에 1을 곱한 후 13.5를 곱한 값이 되기 때문입니다.

    즉, 옥외소화전 설치 개수가 1개일 때는 13.5m3의 수원이 필요하며, 2개일 때는 27m3의 수원이 필요합니다. 이와 같이, 옥외소화전 설치 개수에 따라 수원의 수량이 결정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물질 중 소화약제로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제1인산암모늄
  2. 탄산수소나트륨
  3. 황산알루미늄
  4. 탄화알루미늄
(정답률: 45%)
  • 탄화알루미늄은 소화약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탄화알루미늄이 소화약제로 사용되지 않는 이유는 그것이 소화를 촉진시키지 않기 때문입니다. 탄화알루미늄은 주로 화장품, 치약 등에 사용되며, 소화약제로 사용되는 것은 제1인산암모늄, 탄산수소나트륨, 황산알루미늄 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금속분의 화재 시 주수해서는 안 되는 이유는?

  1. 산소가 발생하기 때문에
  2. 수소가 발생하기 때문에
  3. 질소가 발생하기 때문에
  4. 유독가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정답률: 80%)
  • 금속분이 화재를 일으키면 열에 의해 금속분 내부의 수분이 증발하여 수소가 발생합니다. 이 수소는 공기와 접촉하여 폭발성이 높은 가스인 수소가스로 변화하며, 이로 인해 불이 붙은 지역 주변에 폭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속분의 화재 시 주수해서는 안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우리나라에서 B급 화재에 부여된 표시 색상은?

  1. 황색
  2. 백색
  3. 청색
  4. 초록
(정답률: 88%)
  • 우리나라에서 B급 화재에 부여된 표시 색상은 황색입니다. 이는 B급 화재가 액체 화학물질에 의한 화재이며, 황색은 액체 화학물질을 나타내는 색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팽창질석(삽1개 포함)의 능력단위 1은 용량의 몇 L인가?

  1. 70L
  2. 100L
  3. 130L
  4. 160L
(정답률: 64%)
  • 팽창질석은 물에 담그면 팽창하여 부피가 커지는데, 이때 1개의 팽창질석이 물에 담긴 상태에서 용량이 160L인 용기에 넣어지면 가득 차게 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팽창질석의 능력단위 1은 160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연소 속도와 의미가 가장 가까운 것은?

  1. 기화열의 발생속도
  2. 환원속도
  3. 착화속도
  4. 산화속도
(정답률: 62%)
  • 정답: 산화속도

    설명: 연소란 화학 반응 중 하나로, 연료와 산소가 반응하여 열과 빛을 발생시키는 과정입니다. 이때 연료가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되는데, 이 과정에서 산화속도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산화속도란 연료가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되는 속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연소 속도와 가장 가까운 의미를 가진 것은 산화속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기준에서 전역방출방식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저장용기의 충전비는 저압식일 경우 얼마인가?

  1. 0.9 이상 1.4 이하
  2. 0.9 이상 2.0 이하
  3. 1.1 이상 1.4 이하
  4. 1.1 이상 2.0 이하
(정답률: 48%)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기준에서 저장용기의 충전비는 저압식일 경우 1.1 이상 1.4 이하입니다. 이는 안전성과 효율성을 고려한 결과로, 충전비가 0.9 이하일 경우 소화능력이 떨어지고, 2.0 이상일 경우 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1 이상 1.4 이하의 범위가 적절한 충전비라고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위험물안전관리법상 특수인화물의 정의에 대하여 옳게 나타낸 것은?

  1. 1기압에서 발화점이 섭씨 100도 이하인 것
  2. 1기압에서 발화점이 섭씨 40도 이하인 것
  3. 1기압에서 발화점이 섭씨 영하 20도 이하인 것
  4. 1기압에서 발화점이 섭씨 21도 이하인 것
(정답률: 50%)
  •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 특수인화물은 "1기압에서 발화점이 섭씨 100도 이하인 것"으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이는 해당 물질이 상온에서도 쉽게 증발하여 불꽃이나 열에 의해 발화될 수 있는 위험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은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적절한 안전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물질의 연소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에서 불타는 연소를 표면연소라 한다.
  2. 알코올의 연소는 표면연소이다.
  3. 산소공급원을 가진 물질 자체가 연소하는 것을 자기연소라 한다.
  4. 피크르산의 연소는 자기연소이다.
(정답률: 72%)
  • 알코올의 연소는 표면연소가 아니라 가스상 연소이다. 알코올이 공기와 접촉하여 연소할 때, 먼저 알코올 분자가 열에 의해 분해되어 가스 상태로 변환된 후, 이 가스가 공기와 접촉하여 연소하는 것이다. 따라서 알코올의 연소는 표면연소가 아니라 가스상 연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위험물의 화학적 성질 및 취급

21. 석유 속에 저장되어 있는 금속조각을 떼어 불꽃반응을 하였더니 노란 불꽃을 나타내었다. 어떤 금속이겠는가?

  1. 칼륨
  2. 나트륨
  3. 구리
  4. 리튬
(정답률: 82%)
  • 석유 속에 저장되어 있는 금속조각을 떼어 불꽃반응을 하였을 때 노란 불꽃이 나타난다면 이는 나트륨(Na)이다. 나트륨은 불꽃반응 시 노란색 불꽃을 내기 때문이다. 칼륨(K)은 보라색, 구리(Cu)는 초록색, 리튬(Li)은 붉은색 불꽃을 내기 때문에 이들은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과망간산나트륨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적자색의 결정이다.
  2. 지정수량은 1000kg이다.
  3. 조해성이 없다.
  4. 물에 잘 녹는다.
(정답률: 58%)
  • 과망간산나트륨은 조해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물과 접촉 시 폭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해성이 없다"는 설명이 잘못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물질 중 제5류의 니트로화합물에 속하는 것은?

  1. 셀룰로이드류
  2. 니트로셀룰로우스
  3. 트리니트로톨루엔
  4. 니트로벤젠
(정답률: 62%)
  • 제5류의 니트로화합물은 세 개 이상의 니트로기(-NO2)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말합니다. 따라서, "셀룰로이드류", "니트로셀룰로우스", "니트로벤젠"은 모두 제5류의 니트로화합물이 아닙니다. 반면에, "트리니트로톨루엔"은 분자 내에 세 개의 니트로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5류의 니트로화합물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피크린산은 페놀의 어느 원소(작용기)와 NO2가 치환된 것인가?

  1. O
  2. H
  3. C
  4. OH
(정답률: 34%)
  • 피크린산은 페놀의 OH (하이드록시) 원소와 NO2가 치환된 것입니다. 이는 피크린산의 화학 구조에서 OH 원소가 존재하고, 이 OH 원소가 NO2와 치환된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위험물 중 인화점이 가장 낮은 것은?

  1. 아세톤
  2. 이황화탄소
  3. 클로로벤젠
  4. 디에틸에테르
(정답률: 52%)
  • 디에틸에테르가 인화점이 가장 낮은 위험물이다. 이는 디에틸에테르가 쉽게 증발하여 공기 중에서 높은 농도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에틸에테르는 불에 노출될 경우 쉽게 불이 붙을 수 있으며, 인체에 대한 위험성도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제4류 위험물을 취급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

  1. 통풍이 잘되고 비교적 온도가 낮은 곳에 저장한다.
  2. 증기는 낮은 곳에 모이기 쉬우므로 환기에 주의하여야 한다.
  3. 석유류는 전기의 양도체로서 전기가 잘 흐르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4. 빈 저장 용기라 할지라도 가연성 가스가 남아 있을 수 있으므로 취급에 주의하여야 한다.
(정답률: 71%)
  • "석유류는 전기의 양도체로서 전기가 잘 흐르므로 주의하여야 한다."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석유류는 전기의 양도체로 작용하여 전기가 흐르기 쉽기 때문에 전기적인 환경에서 취급할 때는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이유는 석유류가 전기를 통해 불꽃을 일으키면 폭발이나 화재의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금속칼륨의 취급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보호액 속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저장한다.
  2. 수분 또는 습기가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3. 용기에서 꺼낼 때는 손을 깨끗이 닦고 만져야 한다.
  4. 다량 연소하면 소화가 어려우므로 가급적 소량으로 나누어 저장한다.
(정답률: 75%)
  • "용기에서 꺼낼 때는 손을 깨끗이 닦고 만져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금속칼륨은 공기 중에서 산화되기 쉬우므로 손에 묻은 기름 또는 땀 등의 물질이 금속칼륨과 반응하여 화재나 폭발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금속칼륨을 다룰 때는 반드시 보호액 안에 보관하고, 사용할 때는 적절한 보호장비를 착용하고 안전한 방법으로 다루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벤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불포화결합을 이루고 있으나 첨가반응보다는 치환반응이 많다.
  2. 무색투명한 액체이다.
  3. 물에 잘 녹으며 에테르에는 녹지 않는다.
  4. 끓는점은 약 섭씨 80도이다.
(정답률: 69%)
  • "물에 잘 녹으며 에테르에는 녹지 않는다."가 틀린 것이다. 벤젠은 비극성 분자로서 물과는 상호작용이 적기 때문에 물에 잘 녹지 않는다. 그러나 에테르는 비극성 분자로서 벤젠과 상호작용이 있기 때문에 벤젠은 에테르에도 녹는다. 따라서 "물에 잘 녹으며 에테르에는 녹지 않는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과산화수소가 MnO2 촉매에서 분해되어 생성되는 물질은?

  1. 물과 수소가스
  2. 물과 질소가스
  3. 물과 산소가스
  4. 물과 탄산가스
(정답률: 56%)
  • 과산화수소(H₂O₂)가 MnO₂ 촉매에 의해 분해되면, 산소가스(O₂)와 물(H₂O)이 생성됩니다. 이는 MnO₂가 과산화수소 분해반응을 촉매화하여, 과산화수소 분자를 두 개의 물 분자와 산소 분자로 분해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물과 산소가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물질 중 상온에서 액상인 것은 무엇인가?

  1. 질산에틸
  2. 셀룰로이드
  3. 피크르산
  4. T.N.T
(정답률: 62%)
  • 정답: 질산에틸

    설명: 질산에틸은 상온에서 액상이며, 다른 물질들은 고체 상태입니다. 질산에틸은 에틸알코올과 질산의 반응으로 만들어지는 유기 화합물로, 냉각점이 낮아 상온에서 액상으로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금속나트륨의 저장 보호액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아세톤
  2. 메탄올
  3. 식초
  4. 유동파라핀
(정답률: 65%)
  • 유동파라핀은 공기와 접촉하여 산화되지 않으며, 물과 반응하지 않아 금속나트륨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습니다. 반면, 아세톤과 메탄올은 인화성이 있어 화재의 위험이 있고, 식초는 산성이므로 금속나트륨과 반응하여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동파라핀이 가장 적절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과산화수소(H2O2)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갈색 용기에 보관한다.
  2. 용기를 밀전해서는 안 된다.
  3. 25% 농도의 수용액은 소독제로 사용한다.
  4. 과산화수소가 누설되면 다량의 물로 씻어낸다.
(정답률: 43%)
  • "25% 농도의 수용액은 소독제로 사용한다."이 틀린 설명입니다. 과산화수소는 산화제이기 때문에 산화작용을 일으키며, 산화작용이 일어나면 산화된 물질이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과산화수소는 산화작용을 일으키는 물질로서, 소독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과산화수소는 산화작용을 이용하여 살균력을 발휘하므로, 살균제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과염소산암모늄의 저장 및 취급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용기는 밀전 및 밀봉하고 파손을 막아야 한다.
  2. 저장 장소는 열원이나 산화되기 쉬운 물질로부터 떨어져야 한다.
  3. 충격이나 마찰을 피한다.
  4. 알코올류의 보호액을 사용하여야 하며 보호액의 유출을 막아야 한다.
(정답률: 67%)
  • 알코올류의 보호액은 과염소산암모늄이 공기 중의 수분과 반응하여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입니다. 보호액의 유출을 막는 것은 보호액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과염소산암모늄이 산화되는 것을 막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질산나트륨은 열분해 되어 산소를 방출한다.
  2. 과산화마그네슘은 가열하면 MgO와 O2를 발생한다.
  3. 과산화나트륨은 상온에서 물과 반응하여 H2와 O2가 주로 생성된다.
  4. 염소산칼륨은 고온에서 가열하면 분해하여 KCl과 O2등이 생성된다.
(정답률: 56%)
  • "과산화나트륨은 상온에서 물과 반응하여 H2와 O2가 주로 생성된다."이 설명은 맞는 설명입니다. 과산화나트륨은 물과 반응하여 과산화수소(H2O2)와 산소(O2)를 생성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H2와 O2가 생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공기 중에서 표면에 산화피막을 형성하여 내부를 보호하는 제2류 위험물로 짝지어진 것은?

  1. 황화린, 마그네슘
  2. 적린, 알루미늄분
  3. 알루미늄분, 아연분
  4. 아연분, 부틸알코올
(정답률: 43%)
  • 알루미늄분과 아연분은 공기 중에서 산화되어 표면에 산화피막을 형성하여 내부를 보호하는 제2류 위험물로 분류됩니다. 이는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화재 발생 시 산화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화재 위험이 낮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알루미늄분과 아연분은 안전한 보관과 운반이 가능한 물질로 인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위험물의 성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삼황화린은 황색의 고체이다.
  2. 인화석회는 백색의 고체이다.
  3. 탄화칼슘 시판품은 흑회색의 고체이다.
  4. 금속나트륨은 은백색의 연한 금속이다.
(정답률: 29%)
  • 정답은 "삼황화린은 황색의 고체이다." 이다. 삼황화린은 무색의 액체이다.

    인화석회는 백색의 고체이다. 이는 인화석회가 카르본산칼슘(CaCO3)을 주성분으로 하며, 백색 분말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과산화칼륨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분홍색(또는 적색)의 액체이다.
  2. 가열하면 산소가 발생된다.
  3. 물과 반응하면 수산화칼슘이 된다.
  4. 에틸알코올에는 용해되지 않는다.
(정답률: 56%)
  • 과산화칼륨은 분홍색(또는 적색)의 액체이며, 가열하면 산소가 발생하는 이유는 과산화칼륨 분자 내부의 산소 결합이 불안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열에 의해 분해되면 산소가 발생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지정수량이 다른 물질은?

  1. 황화린
  2. 적린
  3. 철분
  4. 유황
(정답률: 72%)
  • 정답은 "철분"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모두 화학식에서 지정된 수량이 있지만, 철분은 어떤 형태의 철분인지 명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황화린은 HgS로서 황과 수은이 1:1 비율로 결합되어 있고, 적린은 Fe2O3으로서 철과 산소가 2:3 비율로 결합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철분은 Fe라는 원소와 결합한 형태가 다양하기 때문에 지정된 수량이 없습니다. 따라서 "철분"이 지정수량이 다른 물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옥내탱크저장소의 탱크전용실에 펌프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위험물이 누설되더라도 유출되지 않도록 불연재료로 된 턱을 설치하여야 한다. 이 때 턱의 높이는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20cm
  2. 30cm
  3. 40cm
  4. 50cm
(정답률: 34%)
  • 펌프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위험물이 누설될 경우, 불연재료로 된 턱을 설치하여 유출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이 때, 턱의 높이는 최소 20c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유는 위험물이 누설될 경우, 턱의 높이가 20cm 이상이면 유출된 위험물이 턱 안에 갇혀서 외부로 유출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턱의 높이는 20cm 이상이 되어야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물과 작용해서 유독성 가스를 발생하는 것은?

  1. AlP
  2. Mg
  3. Na
  4. K
(정답률: 44%)
  • 알루미늄 인산염 (AlP)은 물과 반응하여 인화수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화합물입니다. 이러한 반응은 유독성 가스를 발생시키므로 AlP는 물과 작용하여 유독성 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입니다. Mg, Na, K는 물과 반응하여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과산화나트륨의 저장 및 취급시의 주의사항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가열·충격을 피한다.
  2. 유기물질의 혼입을 막는다.
  3. 가연물과 접촉을 피한다.
  4. 화재 예방을 위해 물분무 소화설비 또는 스프링클러 설비가 설치된 곳에 보관한다.
(정답률: 78%)
  • "화재 예방을 위해 물분무 소화설비 또는 스프링클러 설비가 설치된 곳에 보관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과산화나트륨은 물과 반응하여 산소를 방출하므로 물분무 소화설비나 스프링클러 설비가 설치된 곳에 보관하면 화재 위험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화재 예방을 위해 건조하고 시원한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제4류 위험물의 일반적 성질 중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인화되기 쉽다.
  2. 증기와 공기가 혼합되어 있으면 연소 위험성이 있다.
  3. 일반적으로 물보다 가볍고 물에 녹기 어렵다.
  4. 대부분의 증기는 공기보다 가볍다.
(정답률: 60%)
  • "대부분의 증기는 공기보다 가볍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는 일반적인 제4류 위험물의 성질 중 하나입니다. 제4류 위험물은 대체로 인화성이 높고 증기와 공기가 혼합되어 있으면 연소 위험성이 있으며, 물보다 가볍고 물에 녹기 어렵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대부분의 증기는 공기보다 가볍다"는 특징은 제4류 위험물의 일반적인 특징 중 하나입니다. 이는 대체로 증기 분자의 질량이 공기 분자의 질량보다 가벼워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황이 연소하여 발생하는 가스는?

  1. 이황화질소
  2. 일산화탄소
  3. 이황화탄소
  4. 이산화황
(정답률: 54%)
  • 황이 연소할 때, 황과 산소가 반응하여 이산화황이 생성됩니다. 따라서 황이 연소하여 발생하는 가스는 "이산화황"입니다. 이황화질소, 일산화탄소, 이황화탄소는 황과 질소, 탄소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가스이며, 황의 연소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탄화칼슘에 수분을 접촉시킬 때 주로 발생하는 기체는 무엇인가?

  1. 아세틸렌
  2. 산소
  3. 질소
  4. 수소
(정답률: 68%)
  • 탄화칼슘과 수분이 반응하면 칼슘하이드록사이드와 아세틸렌이 생성됩니다. 따라서 주로 발생하는 기체는 아세틸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위험류의 혼재기준에 의거 혼재하여 저장 할 수 없는 것은? (단, 주어진 위험물은 지정수량의 1/5이라고 한다.)

  1. 적린과 황화린
  2. 마그네슘과 유황
  3. 철분과 알루미늄분
  4. 황린과 과염소산나트륨
(정답률: 62%)
  • 위험물 혼재기준에 따르면, 황린과 과염소산나트륨은 다른 위험물과 혼재하여 저장할 수 없습니다. 이는 두 물질이 함께 혼재하면 폭발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알루미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산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한다.
  2. 산화제와 혼합하여 저장하여서는 안 된다.
  3. 마그네슘보다 열전도도 및 전기전도도가 낮다.
  4. 소화방법으로 주수소화는 위험하다.
(정답률: 67%)
  • 알루미늄은 산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키며, 산화제와 혼합하여 저장하면 폭발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소화방법으로 주수소화는 위험합니다. 하지만 알루미늄은 마그네슘보다 열전도도 및 전기전도도가 높습니다. 따라서 "마그네슘보다 열전도도 및 전기전도도가 낮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위험물안전관리법에 명시된 아세트알데히드의 옥외저장 탱크에 필요한 설비가 아닌 것은?

  1. 보냉장치
  2. 냉각장치
  3. 철이온 혼입방지장치
  4. 불활성 기체를 봉입하는 장치
(정답률: 56%)
  • 아세트알데히드는 철이온과 반응하여 폭발성 물질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옥외저장 탱크에는 철이온 혼입방지장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철이온 혼입방지장치가 아닌 "불활성 기체를 봉입하는 장치"가 옳지 않은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제2류 위험물인 가연성 고체 물질의 일반적 성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연소속도가 빠른 고체이다.
  2. 산화제와의 접촉은 위험하다.
  3.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착화되기 쉬운 물질이다.
  4. 모두 물과 접촉 시 산소와 불화성 가스가 발생하는 물질이다.
(정답률: 68%)
  • "모두 물과 접촉 시 산소와 불화성 가스가 발생하는 물질이다."는 일반적인 성질이 아닙니다. 일부 가연성 고체 물질은 물과 접촉 시 산소와 불화성 가스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가연성 고체 물질의 일반적인 성질을 설명하지 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과망간산칼륨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흑자색(또는 적자색)의 결정이다.
  2. 가열시 분해되어 산소를 발생한다.
  3. 살균제, 소독제로 사용된다.
  4. 물에 녹지 않으므로 소량의 알코올에 녹인 후에 물을 가하여 수용액을 만든다.
(정답률: 47%)
  • 과망간산칼륨은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소량의 알코올에 녹인 후에 물을 가하여 수용액을 만들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제5류 위험물의 공통된 취득 방법이 아닌 것은?

  1. 용기의 파손 및 균열에 주의한다.
  2. 저장 시 가열, 충격, 마찰을 피한다.
  3. 운반용기 외부에 주의사항으로 “자연발화”를 표기한다.
  4. 점화원 및 분해를 촉진시키는 물질로부터 멀리한다.
(정답률: 76%)
  • 제5류 위험물은 자연발화의 위험이 있는 물질로, 운반용기 외부에 주의사항으로 “자연발화”를 표기하는 것은 취득 방법이 아니라 운반 시 주의사항이다. 따라서 정답은 "운반용기 외부에 주의사항으로 “자연발화”를 표기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위험물을 저장하기 위하여 그림과 같이 종으로 설치한 원통형 탱크의 내용적을 구하는 공식은?

(정답률: 42%)
  • 탱크의 형태가 원통형이므로 내용적은 원기둥의 부피 공식을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원기둥의 부피 공식은 밑면의 넓이(A)와 높이(h)를 곱한 값에 π를 곱한 것이다. 따라서, 내용적(V)은 V = Ahπ 이다. 이 문제에서는 밑면의 넓이가 반지름(r)과 관련되어 있으므로, A = πr² 이다. 따라서, V = πr²h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황린의 저장 및 취급에 있어서 주의할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독성이 있으므로 취급에 주의할 것
  2. 물과의 접촉을 피할 것
  3. 산화제와의 접촉을 피할 것
  4. 화기의 접근을 피할 것
(정답률: 80%)
  • 황린은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므로 물과의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이는 화재나 폭발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경유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물에 녹지 않는다.
  2. 비중이 물보다 무겁다.
  3. 담황색(또는 담갈색)의 액체이다.
  4. 탄소수가 약 15~20인 탄화수소화합물의 혼합물이다.
(정답률: 49%)
  • 비중이 물보다 무겁다는 것은 경유가 물보다 더 무거운 물질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경유가 물보다 밀도가 높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는 경유가 물 위에 떠다니지 않고 바닥으로 가라앉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비중이 물보다 무겁다는 것은 경유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위험물 중 금수성 물질은 어느 것인가?

  1. 염소산칼륨
  2. 황린
  3. 수소화칼슘
  4. T.N.T.
(정답률: 46%)
  • 금수성 물질은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물질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수소화칼슘은 물과 반응하여 열과 가스를 발생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수소화칼슘은 금수성 물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질산의 성질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강한 산화력을 가지고 있으며 톱밥, 목탄분 등에 스며들어 자연발화 할 수 있다.
  2. Au, Pt를 매우 잘 녹이면서 수소가 발생한다.
  3. 햇빛에 의해 일부 분해된다.
  4. 물보다 무거운 액체이다.
(정답률: 53%)
  • 정답은 "물보다 무거운 액체이다."입니다.

    Au와 Pt는 질산에 의해 매우 잘 녹이며, 이 과정에서 질산 분자가 분해되어 수소가 발생합니다. 이는 질산이 강한 산화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질산은 높은 산성도를 가지고 있어 많은 물질들을 산화시키고 분해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Au와 Pt와 같은 귀금속도 질산에 의해 산화되어 녹아내리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중유를 A중유, B중유, C중유 3종류로 분류하는 기준은?

  1. 인화점
  2. 착화점
  3. 융점
  4. 동점도
(정답률: 26%)
  • 중유를 A중유, B중유, C중유로 분류하는 기준은 화학적 성질에 따라 구분됩니다. 이 중에서 인화점, 착화점, 융점은 각각 중유의 불꽃점화성, 불꽃점화점, 녹는점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하지만 이 세 가지 지표가 모두 동일한 경우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동점도라는 답이 나오게 됩니다. 즉, 이 세 가지 지표가 모두 동일한 경우에는 다른 기준을 사용하여 분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각 물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유황은 물에 녹지 않는다.
  2. 오황화린은 CS2에 녹는다.
  3. 상황화린은 가연성 물질이다.
  4. 질황화린은 더운물에 분해되어 이산화황을 발생한다.
(정답률: 52%)
  • 질황화린은 더운물에 분해되어 이산화황을 발생하는 이유는 질황화린 분자가 더운물과 상호작용하여 분해되면서 이산화황(SO2) 분자가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이산화황은 물과 반응하여 황산(H2SO4)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질황화린은 더운물과 접촉할 경우 황산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아세트알데히드의 저장 취급 시 주의 사항이 아닌 것은?

  1. 산, 또는 강산화제와의 접촉을 피한다.
  2. 취급설비에는 구리합금의 사용을 피한다.
  3. 수용성이기 때문에 화재 시 물로 희석 소화가 가능하다.
  4. 옥외저장탱크에 저장 시 조연성 가스를 주입한다.
(정답률: 46%)
  • 아세트알데히드는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방출하고 증기가 발생하므로, 옥외저장탱크에 저장 시 조연성 가스를 주입하여 증기 발생을 억제하고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옥외저장탱크에 저장 시 조연성 가스를 주입한다."는 올바르지 않은 주의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T.N.T(Trinitrotoluen)의 분자량은 약 얼마인가?

  1. 134
  2. 171
  3. 227
  4. 269
(정답률: 52%)
  • T.N.T의 분자식은 C7H5N3O6이다. 각 원자의 원자량을 더하면 분자량을 구할 수 있다. C의 원자량은 12.01, H의 원자량은 1.01, N의 원자량은 14.01, O의 원자량은 16.00이다. 따라서,

    C7H5N3O6의 분자량 = (7 x 12.01) + (5 x 1.01) + (3 x 14.01) + (6 x 16.00) = 227.13

    소수점 이하를 버리면 T.N.T의 분자량은 227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특수인화물의 일반적인 성질이 아닌 것은?

  1. 비점이 높다.
  2. 인화점이 낮다
  3. 발화점이 낮다
  4. 증기압이 높다.
(정답률: 41%)
  • 특수인화물은 일반적으로 비점이 높지 않습니다. 이는 대부분의 특수인화물이 고온에서 분해되거나 분해되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특수인화물은 일반적으로 인화점이 낮고 발화점이 낮으며 증기압이 높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