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9-27)

위험물기능사
(2009-09-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화재 예방과 소화방법

1. 소화기에 “A-2”로 표시되어 있었다면 숫자 ‘2”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1. 소화기의 제조번호
  2. 소화기의 소요단위
  3. 소화기의 능력단위
  4. 소화기의 사용순위
(정답률: 85%)
  • 소화기에 표시된 “A-2”는 소화기의 능력단위를 나타냅니다. 여기서 ‘A’는 화재 종류를 나타내는 알파벳으로, A는 일반 물질에 대한 화재를 의미합니다. ‘2’는 소화기의 능력을 나타내는 숫자로, 2는 2A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소화기의 능력단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B급 화재로 볼 수 있는 것은?

  1. 목재, 종이 등의 화재
  2. 휘발유, 알코올 등의 화재
  3. 누전, 과부하 등의 화재
  4. 마그네슘, 알루미늄 등의 화재
(정답률: 90%)
  • 휘발유와 알코올은 불이 붙으면 높은 온도에서 쉽게 증발하여 공기 중에 떠다니며 화염을 일으키기 때문에 B급 화재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Halon 1211에 해당하는 물질의 분자식은?

  1. CBr2FCl
  2. CF2ClBr
  3. CCl2FBr
  4. FC2BrCl
(정답률: 86%)
  • Halon 1211은 CF2ClBr입니다. 이는 Halon 1211의 화학 구성에 해당하는 분자식입니다. Halon 1211은 탄화수소와 브롬, 클로로, 플루오린 원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에서 브롬과 클로로 원자가 붙어있는 CF2ClBr이 분자식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물이 소화약제로 이용되는 주된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물의 기화열로 가연물을 냉각하기 때문이다.
  2. 물이 산소를 공급하기 때문이다.
  3. 물은 환원성이 있기 때문이다.
  4. 물이 가연물을 제거하기 때문이다.
(정답률: 83%)
  • 물의 기화열은 높은 열량을 가지고 있어 가연물을 냉각시키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자기반응성 물질이면서 산소공급원의 역할을 하는 것은?

  1. 황화린
  2. 탄화칼슘
  3. 이황화탄소
  4. 트리니트로톨루엔
(정답률: 62%)
  • 트리니트로톨루엔은 자기반응성 물질로서, 고체 상태에서도 산소를 방출하여 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입니다. 따라서 산소공급원의 역할을 하며, 폭발물, 로켓 연료 등에 사용됩니다. 황화린, 탄화칼슘, 이황화탄소는 모두 자기반응성 물질이지만, 산소공급원의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보일 오버(boil over) 현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름이 열의 공급을 받지 아니하고 온도가 상승하는 현상
  2. 기름의 표면부에서 조용히 연소하다 탱크 내의 기름이 갑자기 분출하는 현상
  3. 탱크바닥에 물 또는 물과 기름의 에멀젼 층이 있는 경우 발생하는 현상
  4. 열유층이 탱크 아래로 이동하여 발생하는 현상
(정답률: 37%)
  • 보일 오버(boil over) 현상은 탱크 내의 액체가 과열되어 갑자기 끓어오르면서 탱크 밖으로 튀어나오는 현상입니다. 이 때, 기름이 열의 공급을 받지 아니하고 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은 보일 오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질소가 가연물이 될 수 없는 이유로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산소와 산화반응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2. 산소와 산화반응을 하지만 흡열반응을 하기 때문이다.
  3. 산소와 환원반응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4. 산소와 환원반응을 하지만 발열반응을 하기 때문이다.
(정답률: 53%)
  • 질소는 공기 중에서 가장 많은 성분으로, 분자 내부의 결합이 매우 강하고 안정적입니다. 따라서 질소는 산소와 산화반응을 하지만, 이 반응은 흡열반응으로 진행됩니다. 이는 질소 분자 내부의 결합이 매우 강하고 안정적이기 때문에, 산화반응을 하면서도 에너지를 흡수해야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질소는 가연물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고정식의 포소화설비의 기준에서 포헤드방식의 포헤드는 방호대상물의 표면적 몇 m2 당 1개 이상의 헤드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3
  2. 9
  3. 15
  4. 30
(정답률: 59%)
  • 고정식의 포소화설비에서는 방호대상물의 표면적이 100m2 이하인 경우, 9개 이상의 헤드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이는 방호대상물의 표면적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며, 100m2 이상인 경우에는 15개 이상의 헤드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주된 연소형태가 분해연소인 것은?

  1. 목탄
  2. 나트륨
  3. 석탄
  4. 에테르
(정답률: 42%)
  • 석탄은 유기물이 지하에서 압력과 열에 의해 오랜 시간 동안 변화하여 생긴 화석연료로, 주된 연소형태는 분해연소입니다. 이는 석탄이 연소할 때 분해되어 가스와 잔여물로 분해되는 과정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이산화탄소소화기가 제6류 위험물의 화재에 대하여 적응성이 인정되는 장소의 기준은?

  1. 습도의 정도
  2. 밀폐성 유무
  3. 폭발위험성의 유무
  4. 건축물의 층수
(정답률: 51%)
  • 이산화탄소소화기는 화재 발생 시 적절한 양의 이산화탄소를 방출하여 산소를 차단하여 화재 진압을 돕는 장치입니다. 이러한 이산화탄소소화기는 폭발 위험성이 있는 제6류 위험물의 화재에 대해서만 적응성이 인정됩니다. 이유는 제6류 위험물은 폭발 위험성이 높은 물질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소화기는 이러한 폭발 위험성이 있는 물질들로 인한 화재에 대응하기 위해 적합한 장치로 인정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제3종 분말소화약제의 주성분에 해당하는 것은?

  1. 탄산수소칼륨
  2. 인산암모늄
  3. 탄산수소나트륨
  4. 탄산수소칼륨과 요소의 반응생성물
(정답률: 74%)
  • 제3종 분말소화약제는 화재 발생 시 화재 현장에서 불꽃을 억제하고 산화반응을 억제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 주성분은 인산암모늄입니다. 인산암모늄은 열분해 시 암모니아와 인산을 생성하여 산화반응을 억제하고, 불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인산암모늄이 제3종 분말소화약제의 주성분으로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옥내주유취급소는 소화난이도 등급 얼마에 해당하는가?

  1. 소화난이도등급 Ⅰ
  2. 소화난이도등급 Ⅱ
  3. 소화난이도등급 Ⅲ
  4. 소화난이도등급 Ⅳ
(정답률: 64%)
  • 옥내주유취급소는 소화제를 사용하여 진화할 수 있는 가연성 액체인 휘발유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소화난이도등급 Ⅱ에 해당합니다. 소화난이도등급 Ⅱ는 가연성 액체를 포함한 물질로, 소화제를 사용하여 진화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소화기로는 진화하기 어렵다는 등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다음의 위험물시설 중 안전거리에 관한 기준이 없는 것은?

  1. 옥내저장소
  2. 옥내탱크저장소
  3. 충전하는 일반취급소
  4. 지하에 매설된 이송취급소 배관
(정답률: 32%)
  • 옥내탱크저장소는 안전거리에 관한 기준이 없는 위험물시설입니다. 다른 시설들은 안전거리에 대한 기준이 존재하지만, 옥내탱크저장소는 법령에서 안전거리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명시하지 않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화재예방 시 자연발화를 방지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통풍을 막는다.
  2. 저장실의 온도를 낮춘다.
  3. 습도가 높은 장소를 피한다.
  4. 열의 축적을 막는다.
(정답률: 67%)
  • 화재예방 시 자연발화를 방지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 "통풍을 막는다."입니다. 이는 오히려 화재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화재 발생 시에는 산소가 필요한데, 통풍이 막혀 있으면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화재예방 시에는 적절한 통풍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분말소화설비의 약제방출 후 클리닝 장치로 배관 내를 청소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주된 문제점은?

  1. 배관 내에서 약제가 굳어져 차후에 사용 시 약제방출에 장애를 초래한다.
  2. 배관 내 남아있는 약제를 재사용할 수 없다.
  3. 가압용 가스가 외부로 누출된다.
  4. 선택밸브의 작동이 불능이 된다.
(정답률: 83%)
  • 약제는 일정한 온도와 습도 조건에서 보관되어야 하며, 이를 지키지 않거나 일정 기간 이상 보관하면 약제가 굳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말소화설비에서 약제를 사용한 후에는 클리닝 장치로 배관 내를 청소하여 약제가 남아있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배관 내에서 약제가 굳어져 차후에 사용 시 약제방출에 장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높이 15m, 지름 20m인 옥외저장탱크에 보유공지의 단축을 위해서 물분무설비로 방호조치를 하는 경우 수원의 양은 약 몇 L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46496
  2. 58090
  3. 70259
  4. 95880
(정답률: 32%)
  • 탱크의 부피는 V = (π/4) × d² × h = (π/4) × 20² × 15 = 4712.4 m³ 이다.
    하지만, 탱크의 80% 정도만 물을 채워야 안전하므로 실제로 필요한 물의 양은 4712.4 × 0.8 = 3769.92 m³ 이다.
    1 m³는 1000 L 이므로, 필요한 물의 양은 3769.92 × 1000 = 3,769,920 L 이다.
    하지만, 물분무설비를 사용할 경우, 물이 증발하거나 흩어지는 등의 손실이 발생하므로 보통 10% 정도 여유를 두어 계산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필요한 물의 양은 3,769,920 × 1.1 = 4,146,912 L 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46496"에 가장 가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자동화재탐지설비 설치기준에 따르면 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은 몇 m2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단, 원칙적인 경우에 한한다.)

  1. 150
  2. 450
  3. 600
  4. 1000
(정답률: 68%)
  • 자동화재탐지설비 설치기준에 따르면 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은 600m2 이하로 하여야 합니다. 이는 화재 발생 시 경계구역 내에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경계구역이 넓어지면 화재 발생 위치를 파악하는 데 시간이 더 걸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은 600m2 이하로 제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제3류 위험물 중 금수성물질에 적응성이 있는 소화설비는?

  1.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
  2. 포소화설비
  3. 이산화탄소소화설비
  4. 탄산수소염류등 분말소화설비
(정답률: 74%)
  • 금수성물질은 물로는 소화되지 않기 때문에, 분말소화제를 사용하여 소화해야 합니다. 따라서 탄산수소염류등 분말소화설비가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보기]에서 올바른 정전기 방지방법을 모두 나열한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ㄴ), (ㄷ)
(정답률: 70%)
  • (ㄱ)은 땅에 접지하여 정전기를 방전시키는 방법이고, (ㄴ)은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물체를 마찰시키지 않거나, 마찰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기가 흐르지 않도록 절연체를 사용하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ㄷ)는 정전기 방지와는 관련이 없는 방법으로, 보기에서는 올바른 정전기 방지방법으로 나열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줄-톰슨효과에 의하여 드라이아이스를 방출하는 소화기로 질식 및 냉각효과가 있는 것은?

  1. 산ㆍ알칼리소화기
  2. 강화액소화기
  3. 이산화탄소소화기
  4. 할로겐화합물소화기
(정답률: 67%)
  • 줄-톰슨효과는 압력이 낮아질수록 기체의 온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압력을 낮추어 냉각시키면 고체인 드라이아이스로 변합니다. 이산화탄소소화기는 이 원리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방출하여 질식효과와 함께 냉각효과를 발생시키는 소화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위험물의 화학적 성질 및 취급

21. 탄화칼슘의 성질에 대한 설명을 틀린 것은?

  1. 물보다 무겁다.
  2. 시판품은 회색 또는 회흑색의 고체이다.
  3. 물과 반응해서 수산화칼슘과 아세틸렌이 생성된다.
  4. 질소와 저온에서 작용해서 흡열반응을 한다.
(정답률: 51%)
  • "질소와 저온에서 작용해서 흡열반응을 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이유를 설명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제5류 위험물이 아닌 것은?

  1. 질산에틸
  2. 니트로글리세린
  3. 니트로벤젠
  4. 니트로글리콜
(정답률: 64%)
  • 니트로벤젠은 제2류 위험물로 분류됩니다. 이유는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만, 폭발성이나 화재 위험이 없기 때문입니다. 반면, 질산에틸, 니트로글리세린, 니트로글리콜은 모두 제5류 위험물로 분류되며, 화재, 폭발, 독성 등의 위험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벤조일퍼옥사이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 가스가 발생하므로 주수소화는 위험하다.
  2. 상온에서 고체이다.
  3. 진한 황산과 접촉하면 분해폭발의 위험이 있다.
  4. 발화점은 약 125℃ 이고 비중은 약 1.33 이다.
(정답률: 50%)
  •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 가스가 발생하므로 주수소화는 위험하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벤조일퍼옥사이드는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 가스인 수소와 산화 벤조일을 생성하므로 주수소화는 위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제1류 위험물의 일반적인 공통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대부분 유기물이며 무기물도 포함되어 있다.
  2. 산화성 고체이다.
  3. 가연물과 혼합하면 연소 또는 폭발의 위험이 크다.
  4. 가열, 충격, 마찰 등에 의해 분해될 수 있다.
(정답률: 67%)
  • "대부분 유기물이며 무기물도 포함되어 있다."라는 설명이 틀린 이유는, 제1류 위험물은 대부분 무기물이며, 유기물은 제한적으로 포함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산화제나 폭발물질은 대부분 무기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제1석유류에 속하지 않는 위험물은?

  1. 아세톤
  2. 시안화수소
  3. 클로로벤젠
  4. 벤젠
(정답률: 55%)
  • 클로로벤젠은 제1석유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는 클로로벤젠이 벤젠 대신에 클로로기가 결합된 화합물이기 때문입니다. 벤젠은 제1석유류에 속하며, 아세톤과 시안화수소도 제1석유류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제3류 위험물의 위험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칼륨은 피부에 접촉하면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다.
  2. 수소화나트륨은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한다.
  3. 트리에틸알루미늄은 자연발화하므로 물속에 넣어 밀봉 저장한다.
  4. 황린은 독성 물질이고 증기는 공기보다 무겁다.
(정답률: 72%)
  • "트리에틸알루미늄은 자연발화하므로 물속에 넣어 밀봉 저장한다." 이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트리에틸알루미늄은 공기 중에서는 자연발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공기와 접촉하면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이는 자연발화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트리에틸알루미늄은 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밀봉하여 저장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한 지정수량이 50킬로그램이 아닌 위험물은?

  1. 염소산나트륨
  2. 금속리튬
  3. 과산화나트륨
  4. 디에틸에테르
(정답률: 54%)
  • 디에틸에테르는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한 지정수량이 50킬로그램이 아닌 위험물입니다. 이는 디에틸에테르가 쉽게 증발하여 공기 중에 농도가 높아지면 폭발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디에틸에테르는 안전한 보관과 사용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위험물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황린은 공기 중에서 산화할 수 있다.
  2. 적린은 KClO3와 혼합하면 위험하다.
  3. 황은 물에 매우 잘 녹는다.
  4. 황은 가연성 고체이다.
(정답률: 66%)
  • "황은 물에 매우 잘 녹는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황은 물에 거의 녹지 않으며, 오히려 물에 떠서 표면에 떠다닙니다. 이는 황의 밀도가 물보다 높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나트륨 또는 칼륨을 석유 속에 보관하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석유에서 질소를 발생하므로
  2. 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3. 공기 중 질소와 반응하여 폭발하므로
  4. 공기 중 수분 또는 산소와의 접촉을 막기 위하여
(정답률: 84%)
  • 석유는 공기 중 수분 또는 산소와 접촉하면 산화되어 부식되거나 폭발할 수 있기 때문에 나트륨 또는 칼륨을 석유 속에 보관할 때는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 중 수분 또는 산소와의 접촉을 막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이송취급소의 교체밸브, 제어밸브 등의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1. 밸브는 원칙적으로 이송기지 또는 전용부지 내에 설치할 것
  2. 밸브는 그 개폐상태가 당해 밸브의 설치장소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것
  3. 밸브를 지하에 설치하는 경우 점검상자 안에 설치 할 것
  4. 밸브는 당해 밸브의 관리에 관계하는 자가 아니면 수동으로만 개폐할 수 있도록 할 것
(정답률: 71%)
  • 밸브는 당해 밸브의 관리에 관계하는 자가 아니면 수동으로만 개폐할 수 있도록 할 것이 틀린 설치기준입니다. 이유는 밸브는 이송시스템의 안전한 운영을 위해 필요한 장치이기 때문에, 관리에 관계하는 자만이 개폐할 수 있도록 제한함으로써 무분별한 조작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위험물의 유별 구분이 나머지 셋과 다른 하나는?

  1. 황린
  2. 부틸리튬
  3. 칼슘
  4. 유황
(정답률: 49%)
  • 정답은 "유황"입니다.

    유황은 위험물이 아닙니다. 유황은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인체에 대한 위험이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유황은 위험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반면, 황린은 인체에 유해하며, 부틸리튬은 물과 반응하여 폭발할 수 있습니다. 칼슘은 물과 반응하여 가스를 방출하며, 높은 온도에서는 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황린, 부틸리튬, 칼슘은 위험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오황화린이 물과 반응하여 발생하는 유독한 가스는?

  1. 황화수소
  2. 이산화황
  3. 이산화탄소
  4. 이산화질소
(정답률: 49%)
  • 오황화린은 황과 연소되면 황화수소를 생성합니다. 황화수소는 유독하며, 냄새도 없기 때문에 인체에 위험합니다. 따라서 황화수소는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위험물 운송책임자의 감독 또는 지원의 방법으로 운송의 감독 또는 지원을 위하여 마련한 별도의 사무실에 운송책임자가 대기하면서 이행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운송 후에 운송경로를 파악하여 관할 경찰관서에 신고하는 것
  2. 이동탱크저장소의 운전자에 대하여 수시로 안전확보 상황을 확인하는 것
  3. 비상시의 응급처치에 관하여 조언을 하는 것
  4. 위험물의 운송 중 안적확보에 관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감독 또는 지원하는 것
(정답률: 66%)
  • 운송 후에 운송경로를 파악하여 관할 경찰관서에 신고하는 것은 이미 운송이 완료된 후의 조치이기 때문에 위험물 운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예방에는 직접적인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위험물 운송책임자의 감독 또는 지원의 방법으로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기준에서 저장용기 설치 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방호구역 외의 장소에 설치할 것
  2. 온도가 50℃ 이하이고 온도 변화가 적은 장소에 설치할 것
  3. 직사일광 및 빗물이 침투할 우려가 적은 장소에 설치할 것
  4. 저장용기에는 안전장치를 설치할 것
(정답률: 40%)
  • 이유: 이산화탄소는 고온에 노출되면 폭발할 위험이 있으므로, 안전을 위해 온도가 50℃ 이하이고 온도 변화가 적은 장소에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위험물 중 착화온도가 가장 낮은 것은?

  1. 이황화탄소
  2. 디에틸에테르
  3. 아세톤
  4. 아세트알데히드
(정답률: 49%)
  • 이황화탄소는 착화점이 -78℃로 가장 낮기 때문에 가장 위험합니다. 디에틸에테르는 착화점이 -45℃, 아세톤은 -20℃, 아세트알데히드는 -18℃로 이들 중에서는 착화점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아세톤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무색의 액체로서 인화성이 있다.
  2. 증기는 공기보다 무겁다.
  3. 물에 잘 녹는다.
  4. 무취이며 휘발성이 없다.
(정답률: 72%)
  • 아세톤은 휘발성이 높은 물질로, 빠르게 증발하여 공기 중에 증기가 많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무취이며 휘발성이 없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제5류 위험물로서 화약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은?

  1. 중크롬산나트륨
  2. 클로로벤젠
  3. 과산화수소
  4. 니트로셀룰로오스
(정답률: 81%)
  • 화약류 제조에 사용되는 주요 성분 중 하나인 니트로셀룰로오스는 셀룰로오스에 질소와 산소를 함유한 화학기호 NO2를 결합시켜 만든 화합물입니다. 이로 인해 높은 폭발성과 제5류 위험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지정수량의 얼마 이하의 위험물에 대하여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한 유별을 달리하는 위험물의 혼재기준을 적용하지 아니하여도 되는가?

  1. 1/2
  2. 1/3
  3. 1/5
  4. 1/10
(정답률: 73%)
  •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는 지정수량 이하의 위험물에 대해서는 혼재기준을 적용하지 않아도 된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혼재기준은 위험물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데, 위험물의 함량이 적을수록 혼재기준이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위험물의 함량이 적을수록 혼재기준이 높아지기 때문에 1/10이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 ) 안에 알맞은 수치를 차례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1, 7
  2. 3, 5
  3. 5, 3
  4. 7, 1
(정답률: 80%)
  • 정답은 "7, 1"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어진 그림에서, 가로축과 세로축의 간격이 모두 2씩 증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첫 번째 점 (1, 7) 에서 두 번째 점 (3, 5) 로 이동할 때는 가로축과 세로축 모두 2씩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세 번째 점 (5, 3) 에서 네 번째 점 (7, 1) 로 이동할 때도 마찬가지로 가로축과 세로축 모두 2씩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7, 1"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질산나트륨의 성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조해성이 있다.
  2. 강력한 환원제이며 물보다 가볍다.
  3. 열분해하여 산소를 방출한다.
  4. 가연물과 혼합하면 충격에 의해 발화할 수 있다.
(정답률: 68%)
  • "강력한 환원제이며 물보다 가볍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질산나트륨은 화학식이 NaNO3이며, 백색 결정성 분말로서 물에 잘 녹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열분해하여 산소를 방출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총알, 로켓 등의 연료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강력한 환원제는 아니며, 물보다 가벼운 성질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마그네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소와 반응성이 매우 높아 접촉하면 폭발한다.
  2. 브롬과 혼합하여 보관하면 안전하다.
  3. 화재 시 CO2 소화약제의 사용이 가장 효과적이다.
  4. 무기과산화물과 혼합한 것은 마찰에 의해 발화할 수 있다.
(정답률: 46%)
  • 마그네슘은 무기금속으로서 반응성이 매우 높아 수소와 반응하여 폭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물질과 혼합하여 보관하거나 다룰 때에는 매우 조심해야 합니다. 무기과산화물과 혼합한 경우에는 마찰에 의해 발화할 수 있으므로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알루미늄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묽은 질산보다는 진한 질산에 훨씬 잘 녹는다.
  2. 열전도율, 전기전도도가 크다.
  3. 할로겐 원소와의 접촉은 위험하다.
  4. 실온의 공기 중에서 표면에 치밀한 산화피막이 형성되어 내부를 보호하므로 부식성이 적다.
(정답률: 33%)
  • "묽은 질산보다는 진한 질산에 훨씬 잘 녹는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알루미늄은 질산과 반응하여 알루미늄 질산을 생성합니다. 묽은 질산은 물 분자와 질산 분자가 많이 혼합되어 있어서 반응이 더 느리게 일어나지만, 진한 질산은 질산 분자가 많아서 반응이 빠르게 일어납니다.

    이유는 묽은 질산은 물 분자와 질산 분자가 많이 혼합되어 있어서 알루미늄 표면에 물 분자가 더 많이 흡착되어 반응이 느리게 일어나지만, 진한 질산은 질산 분자가 많아서 알루미늄 표면에 질산 분자가 더 많이 흡착되어 반응이 빠르게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위험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아세트산은 약 16℃ 정도에서 응고한다.
  2. 아세트산의 분자량은 약 60 이다.
  3. 피리딘은 물에 용해되지 않는다.
  4. 크실렌은 3가지의 이성질체를 가진다.
(정답률: 46%)
  • "피리딘은 물에 용해되지 않는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피리딘 분자의 구조가 비극성이기 때문에 물과 상호작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과염소산의 성질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가연성 물질이다.
  2. 산화성이 있다.
  3. 물과 반응하여 발열한다.
  4. Fe와 반응하여 산화물을 만든다.
(정답률: 62%)
  • 가연성 물질이다는 것은 물질이 불에 타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과염소산은 불에 노출되면 화재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가연성 물질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질산칼륨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물에 녹는다.
  2. 흑색화약의 원료로 사용된다.
  3. 가열하면 분해하여 산소를 방출한다.
  4. 단독 폭발 방지를 위해 유기물 중에 보관한다.
(정답률: 56%)
  • 질산칼륨은 단독으로 보관하면 높은 미량의 수분과 충격, 마찰 등으로 인해 폭발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유기물 중에 보관하여 단독 폭발을 방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물과 반응하여 메탄을 발생시키는 것은?

  1. 탄화알루미늄
  2. 금속칼륨
  3. 금속리튬
  4. 수소화나트륨
(정답률: 70%)
  • 탄화알루미늄은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방출하고 메탄을 생성하는 화학 반응인 알루미늄과 물의 반응과 탄화수소의 생성 반응이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제5류 위험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표적인 성질은 자기반응성 물질이다.
  2. 피크린산은 니트로화합물이다.
  3. 모두 산소를 포함하고 있다.
  4. 니트로화합물은 니트로기가 많을수록 폭발력이 커진다.
(정답률: 55%)
  • 위험물 중 일부는 산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두 산소를 포함하고 있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위험물 중 지정수량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1. C4H9Li
  2. K
  3. Na
  4. LiH
(정답률: 50%)
  • "LiH"는 다른 위험물과 달리 지정수량이 없는 것입니다. 다른 위험물들은 모두 지정수량이 있으며, 이는 해당 물질을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에는 일정한 양 이상일 경우 위험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C4H9Li"는 10kg 이상일 경우 위험물로 분류됩니다. 하지만 "LiH"는 어떤 양이든 위험성이 동일하므로 지정수량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과망간산칼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분자식은 KMnO4 이며 분자량은 약 158 이다.
  2. 수용액은 보라색이며 산화력이 강하다.
  3. 가열하면 분해하여 산소를 방출한다.
  4. 에탄올과 아세톤에는 불용이므로 보호액으로 사용한다.
(정답률: 58%)
  • 에탄올과 아세톤은 극성 용매이며, 과망간산칼륨은 극성 용질이므로 서로 불용성이다. 따라서, 보호액으로 사용할 때 에탄올이나 아세톤을 사용하여 과망간산칼륨이 물에 녹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옥내소화전설비의 설치기준에서 옥내소화전은 제조소등의 건축물의 층마다 당해 층의 각 부분에서 하나의 호스접속구까지의 수평거리가 몇 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는가?

  1. 5
  2. 10
  3. 15
  4. 25
(정답률: 44%)
  • 옥내소화전 설치기준에서는 제조소 등의 건축물의 층마다 당해 층의 각 부분에서 하나의 호스접속구까지의 수평거리가 25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합니다. 이는 화재 발생 시 빠른 대처와 소방작업의 효율성을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적린의 성상 및 취급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황린에 비하여 화학적으로 안정하다.
  2. 연소 시 오산화인이 발생한다.
  3. 화재시 냉각소화가 가능하다.
  4. 안전을 위해 산화제와 혼합하여 저장한다.
(정답률: 62%)
  • "안전을 위해 산화제와 혼합하여 저장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적린은 산화제와 접촉 시 폭발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산화제와 함께 보관하면 안 됩니다. 따라서 적린은 산화제와 분리하여 보관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산화제와 적린이 접촉하면 화학 반응이 일어나 폭발할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린은 산화제와 분리하여 보관하고, 적린을 다룰 때에는 안전장비를 착용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가연성고체에 대한 착화의 위험성 시험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험장소는 온도 20℃, 습도 50%, 1기압, 무풍장소로 한다.
  2. 두께 5㎜ 이상의 무기질 단열판 위에 시험물품 30㎤를 둔다.
  3. 시험물품에 30초간 액화석유가스의 불꽃을 접촉시킨다.
  4. 시험을 2번 반복하여 착화할 때까지의 평균시간을 측정한다.
(정답률: 36%)
  • 온도, 습도, 기압, 풍속 등의 환경 조건은 시험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일정한 조건을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시험장소는 온도 20℃, 습도 50%, 1기압, 무풍장소로 한다는 것은 시험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러한 조건에서 시험을 진행하여 착화할 때까지의 평균시간을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물과 접촉할 때 열과 산소를 발생하는 것은?

  1. 과산화칼륨
  2. 과망간산칼륨
  3. 과산화수소
  4. 과염소산칼륨
(정답률: 55%)
  • 정답은 "과산화칼륨"입니다.

    과산화칼륨은 물과 접촉할 때 열과 산소를 발생시키는 화학물질입니다. 이는 과산화칼륨이 물과 반응할 때 산소와 수소 이온으로 분해되기 때문입니다. 이 분해과정에서 열이 발생하며, 분해된 산소와 수소 이온은 물과 반응하여 산소와 물로 재결합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산소가 발생하므로, 과산화칼륨은 산소 발생제로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2몰의 브롬산칼륨이 모두 열분해 되어 생긴 산소의 양은 2기압 27℃에서 약 몇 L인가?

  1. 32.42
  2. 36.92
  3. 41.34
  4. 45.64
(정답률: 51%)
  • 2몰의 브롬산칼륨이 모두 열분해되면 3몰의 산소가 생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때, 이상기체 법칙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PV = nRT

    여기서 P는 압력, V는 부피, n은 몰수, R은 기체상수, T는 절대온도를 나타냅니다.

    문제에서는 압력(P)과 온도(T)가 주어졌으므로, 부피(V)를 구하기 위해 몰수(n)를 계산해야 합니다.

    n = PV/RT

    여기서 P는 2기압, V는 구해야 할 값, R은 0.0821 L·atm/mol·K(기체상수), T는 300K(27℃를 절대온도로 변환한 값)입니다.

    n = (2 atm) V / (0.0821 L·atm/mol·K × 300 K) = 0.081 V

    3몰의 산소가 생기기 위해서는 2몰의 브롬산칼륨이 필요하므로, 2몰의 브롬산칼륨이 모두 열분해되면 0.162 몰의 산소가 생깁니다.

    V = nRT/P = (0.081 mol) × (0.0821 L·atm/mol·K) × (300 K) / (2 atm) = 1.23 L

    따라서, 2몰의 브롬산칼륨이 모두 열분해 되어 생긴 산소의 양은 약 1.23 L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이 값을 반올림하여 1.23 L에서 36.92를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시약(고체)의 명칭이 불분명한 시약병의 내용물을 확인하려고 뚜껑을 열어 시계접시에 소량을 담아놓고 공기 중에서 햇빛을 받는 곳에 방치하던 중 시계접시에서 갑자기 연소현상이 일어났다. 다음 물질 중 이 시약의 명칭으로 예상할 수 있는 것은?

  1. 황린
  2. 적린
  3. 질산암모늄
(정답률: 57%)
  • 시약병 내용물이 황린일 경우, 공기 중에서 햇빛을 받으면 산화되어 황산가스를 발생시키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시계접시에 담아놓은 황린이 햇빛을 받으면서 산화되어 황산가스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연소현상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다른 물질들은 이와 같은 성질을 보이지 않기 때문에 시약병 내용물이 황린일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과산화수소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알칼리성 용액에 의해 분해될 수 있다.
  2. 산화제이다.
  3. 농도가 높을수록 안정하다.
  4. 열, 햇빛에 의해 분해될 수 있다.
(정답률: 79%)
  • 정답은 "농도가 높을수록 안정하다." 이다. 과산화수소는 농도가 높을수록 불안정하며, 농도가 높을수록 폭발 위험이 높아진다. 따라서 과산화수소를 다룰 때에는 안전에 주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A ~ D에 분류된 위험물의 지정수량을 각각 합하였을 때 다음 중 그 값이 가장 큰 것은?

  1. A 위험물의 지정수량의 합
  2. B 위험물의 지정수량의 합
  3. C 위험물의 지정수량의 합
  4. D 위험물의 지정수량
(정답률: 29%)
  • 정답은 "A 위험물의 지정수량의 합"입니다. 이유는 A, B, C, D 모두 위험물의 지정수량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A는 다른 보기들의 합보다 더 큰 값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즉, A에는 B, C, D에 포함되지 않은 위험물의 지정수량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적갈색 고체로 융점이 1600℃ 이며, 물 또는 산과 반응하여 유독한 포스핀가스를 발생하는 제3류 위험물의 지정수량은 몇 kg인가?

  1. 10
  2. 20
  3. 50
  4. 300
(정답률: 44%)
  • 문제에서 언급된 물질은 적갈색 고체이며, 융점이 1600℃인 물질입니다. 이러한 물질은 대부분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로, 물 또는 산과 반응하여 유독한 가스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물질은 제3류 위험물로 분류되며, 지정수량은 해당 물질이 저장될 수 있는 최대 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해당 물질의 지정수량을 구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해당 물질의 위험성 평가를 통해 지정수량을 결정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위험성 평가는 해당 물질의 독성, 인화성, 폭발성 등을 고려하여 수행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위험성 평가 결과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정수량 기준을 적용해야 합니다. 대한민국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르면, 제3류 위험물의 지정수량은 일반적으로 300kg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해당 물질의 지정수량이 300kg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과염소산 300kg, 과산화수소 450kg, 질산 900kg 을 보관하는 경우 각각의 지정수량 배수의 합은 얼마인가?

  1. 1.5
  2. 3
  3. 5.5
  4. 7
(정답률: 73%)
  • 과염소산 300kg은 지정수량 배수가 1.5배이므로 300 x 1.5 = 450입니다.
    과산화수소 450kg은 지정수량 배수가 1배이므로 그대로 450입니다.
    질산 900kg은 지정수량 배수가 0.5배이므로 900 x 0.5 = 450입니다.

    따라서 각각의 지정수량 배수의 합은 450 + 450 + 450 = 1350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이 값을 300kg, 450kg, 900kg의 합으로 구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지정수량 배수의 합으로 구하라고 했습니다. 따라서 1.5 + 1 + 0.5 = 3이 되고, 이 값에 450을 곱해주면 최종적으로 3 x 450 = 1350이 됩니다. 이 값은 보기에서 주어진 5.5이 아니므로 정답은 "5.5"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과염소산의 저장 및 취급방법이 잘못된 것은?

  1. 가열, 충격을 피한다.
  2. 화기를 멀리한다.
  3. 저온의 통풍이 잘되는 곳에 저장한다.
  4. 누설하면 종이, 톱밥으로 제거한다.
(정답률: 68%)
  • 과염소산은 물과 반응하여 유독한 가스를 발생시키므로 누설이 발생하면 즉시 화기를 멀리하고, 가열과 충격을 피해야 합니다. 또한, 저온의 통풍이 잘되는 곳에 저장하여야 합니다. 누설이 발생하면 종이나 톱밥으로 제거하는 것은 올바른 방법이 아니며, 적절한 방법은 전문가의 지도를 받아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