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화재 예방과 소화방법
1. 다음 중 제4류 위험물의 화재 시 물을 이용한 소화를 시도하기 전에 고려해야 하는 위험물의 성질로 가장 옳은 것은?
2. 다음 점화에너지 중 물리적 변화에서 얻어지는 것은?
3. 금속분의 연소 시 주수소화 하면 위험한 원인으로 옳은 것은?
4. 다음 중 유류저장 탱크화재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거리가 먼 것은?
5. 다음 중 정전기 방지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6. 폭발의 종류에 따른 물질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7. 착화 온도가 낮아지는 원인과 가장 관계가 있는 것은?
8. 제5류 위험물의 화재예방상 유의사항 및 화재 시 소화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 과염소산의 화재 예방에 요구되는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0. 15℃의 기름 100g에 8000J의 열량을 주면 기름의 온도는 몇 ℃가 되겠는가? (단, 기름의 비열은 2J/g·℃이다.)
11. 제6류 위험물의 화재에 적응성이 없는 소화설비는?
12. 소화약제로서 물의 단점인 동결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물질은?
13. 다음 중 D급 화재에 해당하는 것은?
14.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철분, 금속분, 마그네슘에 적응성이 있는 소화설비는?
15.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4류 위험물에 적응성이 없는 소화설비는?
16. 물은 냉각소화가 주된 대표적인 소화약제이다. 물의 소화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무상 주수를 함으로서 부가적으로 작용하는 소화효과로 이루어진 것은?
17. 다음 중 소화약제 강화액의 주성분에 해당하는 것은?
18.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소화설비의 적응성에 관한 내용이다. 옳은 것은?
19. 다음 중 공기포 소화약제가 아닌 것은?
20. 분말소화약제 중 제1종과 제2종 분말이 각각 열분해 될 때 공통적으로 생성되는 물질은?
2과목: 위험물의 화학적 성질 및 취급
21. 포름산에 대 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2. 제3류 위험물에 해당하는 것은?
23. 지방족 탄화수소가 아닌 것은?
24. 위험물안전관리 법령상 위험물의 지정수량으로 옳지 않은 것은?
25. 셀룰로이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6. 에틸알코올의 증기 비중은 약 얼마인가?
27. 과염소산나트륨의 성질이 아닌 것은?
28. 인화칼슘이 물과 반응할 경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29. 화학적으로 알코올을 분류할 때 3가 알코올에 해당하는 것은?
30.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품명이 다른 하나는?
31. 주수소화를 할 수 없는 위험물은?
32. 제1류 위험물 중 흑색화약의 원료로 사용되는 것은?
33. 다음 중 제6류 위험물에 해당하는 것은?
34. 다음 중 제4류 위험물에 해당하는 것은?
35. 다음의 분말은 모두 150마이크로미터의 체를 통과하는 것이 50중량퍼센트 이상이 된다. 이들 분말 중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품명이 “금속분”으로 분류되는 것은?
36. 다음 중 분자량이 가장 큰 위험물은?
37. 인화칼슘, 탄화알루미늄, 나트륨이 물과 반응하였을 때 발생하는 가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38. 연소 시 발생하는 가스를 옳게 나타낸 것은?
39. 염소산나트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0. 질산칼륨을 약 400℃에서 가열하여 열분해시킬 때 주로 생성되는 물질은?
41.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한 피난설비에 관한 내용이다. ( )에 알맞은 것은?
42. 옥내저장소에 제3류 위험물인 황린을 저장하면서 위험물안전관리 법령에 의한 최소한의 보유공지로 3m를 옥내저장소 주위에 확보하였다. 이 옥내저장소에 저장하고 있는 황린의 수량은? (단, 옥내저장소의 구조는 벽·기둥 및 바닥이 내화구조로 되어 있고 그 외의 다른 사항은 고려하지 않는다.)
43.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이동탱크저장소에 의한 위험물운송 시 위험물운송자는 장거리에 걸치는 운송을 하는 때에는 2명 이상의 운전자로 하여야 한다. 다음 중 그러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
44. 각각 지정수량의 10배인 위험물을 운반할 경우 제5류 위험물과 혼재 가능한 위험물에 해당하는 것은?
45.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옥외탱크저장소의 기준에 따라 다음의 인화성 액체 위험물을 저장하는 옥외저장탱크 1~4호를 동일의 방유제 내에 설치하는 경우 방유제에 필요한 최소 용량으로서 옳은 것은? (단, 암반탱크 또는 특수액체위험물탱크의 경우는 제외한다.)
46.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사업소의 관계인이 자체소방대를 설치 하여야할 제조소등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47. 소화난이도등급Ⅱ의 제조소에 소화설비를 설치할 때 대형수동식소화기와 함께 설치하여 야 하는 소형수동식소화기등의 능력단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8. 다음 중 위험물안전관리법이 적용되는 영역은?
49.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의 운반 시 운반용기는 다음의 기준에 따라 수납 적재하여야 한다. 다음 중 틀린 것은?
50.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을 운반하기 위해 적재할 때 예를 들어 제6류 위험물은 1가지 유별(제1류 위험물)하고만 혼재할 수 있다. 다음 중 가장 많은 유별과 혼재가 가능한 것은? (단, 지정수량의 1/10을 초과하는 위험물이다.)
51. 다음 위험물 중에서 옥외저장소에서 저장·취급할 수 없는 것은? (단, 특별시·광역시 또는 도의 조례에서 정하는 위험물과 IMDG Code에 적합한 용기에 수납된 위험물의 경우는 제외한다.)
52. 디에틸에테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3.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지하탱크저장소 탱크전용실의 안쪽과 지하저장탱크와의 사이는 몇 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여야 하는가?
54. 다음 ( ) 안에 들어갈 수치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단, 제4류 위험물에 적응성을 갖기 위한 살수밀도기준을 적용하는 경우를 제외한다.)
55.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조소등의 위치·구조 또는 설비 가운데 총리령이 정하는 사항을 변경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제조소등의 위치·구조 또는 설비를 변경한 때 1차 행정처분기준으로 옳은 것은?
56.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조소등의 관계인이 정기적으로 점검하여야 할 대상이 아닌 것은?
57.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제조소의 옥외에 있는 하나의 액체위험물 취급탱크 주위에 설치하는 방유제의 용량은 해당 탱크용량의 몇 %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58.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이송취급소에 설치하는 경보설비의 기준에 따라 이송기지에 설치하여야 하는 경보설비로만 이루어진 것은?
59.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의 탱크 내용적 및 공간용적에 관한 기준으로 틀린 것은?
60.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등급의 종류가 나머지 셋과 다른 하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