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능력검정시험 초급(폐지)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1-14)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초급(폐지)
(2012-01-14 기출문제)

목록

1. (가) 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

  1. 고인돌이라는 무덤을 만들었다.
  2. 민무늬 토기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3. 가락바퀴로 실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4. 반달 돌칼을 이용해 곡식을 수확하였다.
(정답률: 50%)
  • 가) 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락바퀴로 실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이다. 이유는 가락바퀴는 청동기 시대에 등장한 기술이며, 이 시대는 청동기 이전의 신석기 시대인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시대에는 가락바퀴로 실을 만들지 않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1. 신분의 차이가 있는 사회였다.
  2. 청동기 문화를 바탕으로 건국되었다.
  3. 개인의 재산 소유가 인정되는 사회였다.
  4. 영고라는 축제를 열어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
(정답률: 85%)
  • "영고라는 축제를 열어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는 국가에 대한 설명과는 관련이 없는 문장이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영고는 고조선 시대에 열리던 농경 축제로, 하늘과 대지의 신에게 풍년과 안전을 빌기 위해 제사를 지내는 것이다. 이는 국가의 정치, 경제, 사회 구조 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영고라는 축제를 열어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밑줄 그은‘이들’이 사용했던 유물로 옳은 것은? [2점]

(정답률: 96%)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이들이 사용했던 유물 중 유일하게 한글이 적혀있기 때문입니다. "", "", ""는 모두 중국어나 일본어로 적혀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과 관련된 삼국 시대의 종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1. 삼국의 문화 발전에 기여하였다.
  2. 삼국 중 신라가 가장 먼저 받아들였다.
  3. 왕권을 강화시켜 주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4. 백성들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역할을 하였다.
(정답률: 65%)
  • "삼국의 문화 발전에 기여하였다."는 삼국 시대의 종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습니다.

    삼국 시대의 종교는 불교와 토교가 있었으며, 이들은 왕권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백성들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역할을 했습니다. 이 중에서도 신라는 불교를 가장 먼저 받아들였으며, 이는 신라의 문화 발전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삼국 중 신라가 가장 먼저 받아들였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인물의 활동을 알 수 있는 비석으로 옳은 것은? [2점]

(정답률: 96%)
  • 비석에 새겨진 인물은 고구려의 왕 중 하나인 동명왕입니다. ""는 동명왕이 건립한 성곽인 현재의 경주 성곽을 의미합니다. ""은 고구려의 수도였던 평양을, ""는 동명왕의 무덤인 천마총을, ""는 동명왕의 아들인 천축왕의 무덤인 천마총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는 공통점으로 옳은 것은? [3점]

  1. 금속 공예 기술의 발달
  2. 천문 과학 기술의 발달
  3. 토목 건축 기술의 발달
  4. 토지 측량 기술의 발달
(정답률: 85%)
  • 이 모든 기술들은 인류의 문명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모두 과학 기술의 발달로 이어졌다. 하지만 이 중에서도 천문 과학 기술의 발달은 인류의 지식과 인식을 크게 바꾸었고, 우주와 지구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은 문화재 학습 카드이다. (가)에 들어갈 문화재로 옳은 것은? [2점]

(정답률: 44%)
  • 정답은 ""이다. 이는 경주 석굴암 석조여래좌상으로, 석굴암은 대한민국의 사찰로, 석조여래좌상은 석조물로 만들어진 불상이다. 이는 대한민국의 문화재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밑줄 그은‘왕’의 재위 시기에 있었던 역사적 사건으로 옳은 것은? [3점]

  1. 공산 전투
  2. 귀주 대첩
  3. 매소성 전투
  4. 한산도 대첩
(정답률: 78%)
  • 밑줄 그은 '왕'은 고려의 왕 중에서도 많은 업적을 남긴 왕 중 한 명인 공민왕입니다. 이 중에서도 '매소성 전투'는 고려시대의 중요한 역사적 사건 중 하나입니다. 이 전투는 1019년에 일어난 것으로, 고려와 후진족의 전쟁 중 하나였습니다. 후진족은 고려와 국경을 접하고 있었으며, 고려와의 전쟁을 계속해서 일으키고 있었습니다. 이에 공민왕은 대군을 일으켜 후진족에 대항하였고, 매소성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이 전투는 고려의 국력을 다시 한 번 입증하게 된 중요한 사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여진족의 침입으로 멸망하였다.
  2. 엄격한 신분 제도인 골품제가 있었다.
  3. 해동성국이라 불릴 정도로 성장하였다.
  4. 진대법을 실시해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켰다.
(정답률: 77%)
  • 해동성국이라 불릴 정도로 성장하였다는 이유는 진대법을 실시해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켰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축전에 전시된 문화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 현재 송광사에 보관되어 있다.
  2. 석탑을 보수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3.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이다.
  4. 부처의 힘으로 외적을 물리치기 위해 만들어졌다.
(정답률: 67%)
  • 이 문화재는 부처의 힘으로 외적을 물리치기 위해 만들어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사건이 일어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2점]

  1. (가)
  2. (나)
  3. (다)
  4. (라)
(정답률: 72%)
  • - 일어난 사건: 2011년 3월 11일 일본 동북지방 대지진 및 쓰나미
    - 연표에서 해당 사건이 일어난 시기: 2011년
    - 정답: "(다)"
    - 이유: 연표에서 2011년에 해당 사건이 기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지도의 이동 경로와 관련된 역사적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1. 별무반 조직
  2. 삼별초 항쟁
  3. 위화도 회군
  4. 홍건적 격퇴
(정답률: 82%)
  • 지도는 660년경 신라와 발해가 합쳐져 새로운 나라인 통일신라가 탄생한 후, 676년에는 신라의 왕이 신라의 국호를 통일로 바꾸면서 만들어졌다. 이동 경로에서는 삼별초 항쟁이 관련되어 있는데, 이는 892년에 발생한 신라 말기의 농민 반란으로, 별무반 조직을 중심으로 일어난 것이다. 이 반란은 위화도 회군과 홍건적 격퇴와도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자료를 남긴 인물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3점]

  1. 화통도감을 설치하였다.
  2. 과거 제도를 실시하였다.
  3. 북진 정책을 추진하였다.
  4.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였다.
(정답률: 71%)
  • 이 인물은 조선시대 중기인 정조입니다. 그는 화통도감을 설치하여 지리, 천문, 지리 등의 지식을 정리하였고, 과거 제도를 실시하여 법률 체계를 개선하였습니다. 또한, 북진 정책을 추진하여 조선의 영토를 확장하고 국력을 강화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북진 정책을 추진하였다." 입니다. 노비안검법은 정조의 아들인 순조 때에 시행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점]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ㄷ, ㄹ
(정답률: 70%)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한글 자음의 조합이며, 각각의 자음은 서로 다른 소리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ㄴ, ㄷ"이 옳은 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가)와 같은 변화에 대해 학생들이 나눈 대화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정답률: 92%)
  • 학생 1: "이 그래프를 보면 2009년부터 2010년으로 넘어갈 때 급격한 상승세가 보이네요. 그리고 2010년부터 2011년으로 넘어갈 때는 조금 더 완만한 상승세가 보이네요." - 적절한 대화

    학생 2: "이 그래프를 보면 2009년부터 2011년으로 넘어갈 때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네요." - 적절한 대화

    학생 3: "이 그래프를 보면 2010년부터 2011년으로 넘어갈 때 급격한 하락세가 보이네요." - 적절하지 않은 대화

    학생 4: "이 그래프를 보면 2009년부터 2011년으로 넘어갈 때 상승세와 하락세가 번갈아 나타나고 있네요." - 적절한 대화

    정답: ③, 학생 3의 대화는 그래프에 나타난 변화와 정반대의 내용을 언급하고 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홈페이지의 기관과 비슷한 기능을 담당했던 조선의 기관으로 옳은 것은? [3점]

  1. 이조
  2. 호조
  3. 예조
  4. 병조
(정답률: 17%)
  • 조선 시대에는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들이 있었습니다. 이 중에서도 "호조"는 조선 시대에 군사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군사력을 유지하고 향상시키는 역할을 했습니다. 이조는 중앙정부의 중심이 되는 기관으로, 국가의 정책을 수립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예조는 조세와 재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국가의 재정을 관리하고 세금을 징수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병조는 군사력을 유지하고 향상시키는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 중 하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신분에 속하지 않은 것은? [3점]

  1. 법률을 담당한 율관
  2. 예능을 담당한 광대
  3. 의약을 담당한 의관
  4. 통역을 담당한 역관
(정답률: 80%)
  • 이유는 나라의 관료 제도에서 "광대"라는 직위가 없기 때문입니다. 나라의 관료 제도에서는 법률, 의약, 통역 등 다양한 분야를 담당하는 관리들이 있지만, 예능을 담당하는 직위는 없습니다. 따라서 "예능을 담당한 광대"가 다음 신분에 속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퍼즐의 (ㄱ)~(ㄹ)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

  1. (ㄱ) - 그림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기관이다.
  2. (ㄴ) - 서민들의 생활을 재미있고 현실감 있게 표현한 그림이다.
  3. (ㄷ) - 선비들이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를 그린 그림이다.
  4. (ㄹ) - 정조 때 거중기를 이용해 쌓은 성이다.
(정답률: 63%)
  • (ㄱ) - 그림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기관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ㄴ) - 서민들의 생활을 재미있고 현실감 있게 표현한 그림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ㄷ) - 선비들이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를 그린 그림이 아니라, 서민들이 그린 그림이다. 따라서 "(ㄷ) - 선비들이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를 그린 그림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ㄹ) - 정조 때 거중기를 이용해 쌓은 성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과 관련된 음식으로 옳은 것은? [3점]

(정답률: 80%)
  • 해산물 중에서도 가장 많이 섭취되는 생선 중 하나인 참치는 고단백, 저지방, 비타민B, 오메가3 등이 풍부하여 건강에 좋은 음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참치캔은 보존기간이 길고 가격이 저렴하여 일상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식품입니다. 따라서 ""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인물 카드의 주인공으로 옳은 것은? [2점]

  1. 김구
  2. 이봉창
  3. 안중근
  4. 박은식
(정답률: 86%)
  • 이봉창은 대한독립만세군의 창설자이며, 그림 속 인물은 대한독립만세군의 군대를 지휘하며 일제 강점기에 독립운동을 전개한 이봉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을 창제한 왕 때에 편찬된 책으로 옳은 것은? [3점]

(정답률: 41%)
  • 정답은 "" 인 이유는 이 책은 '삼국사기'로 유명한 조선시대 역사서인 '삼국유사'를 참고하여 편찬되었기 때문이다. ""은 '삼국사기'가 아니라 '삼국유사'를 참고한 것이고, ""와 ""은 해당 책과 관련이 없는 다른 역사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단체가 만들어진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2점]

  1. (가)
  2. (나)
  3. (다)
  4. (라)
(정답률: 53%)
  • 정답: (다)

    설명: 연표에서 보면 1945년 8월 15일에 일본군의 패배로 인해 광복이 이루어졌고, 이후 1948년 7월 17일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해산되어 대한민국 정부가 출범하였습니다. 따라서 대한민국 정부의 출범 시기는 1948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은 조선 후기를 배경으로 쓴 가상 일기이다. (ㄱ) ~ (ㄹ) 중 이 시기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1. (ㄱ)
  2. (ㄴ)
  3. (ㄷ)
  4. (ㄹ)
(정답률: 90%)
  • (ㄹ)은 "한복을 입은 여성"으로, 조선 후기에는 여성들이 한복을 입는 것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에 옳지 않은 모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을 발표한 이유로 옳은 것은? [3점]

  1. 외세의 침략을 막기 위해
  2. 천주교 믿는 것을 막기 위해
  3. 경복궁 중건을 기념하기 위해
  4. 신하들의 다툼과 나뉨을 막기 위해
(정답률: 67%)
  • 이유는 "신하들의 다툼과 나뉨을 막기 위해" 이다. 이는 조선시대 왕들이 자신의 후계자를 정하기 위해 신하들 간의 경쟁과 다툼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만든 시험으로, 이를 통해 신하들의 능력과 충성도를 평가하고 후계자를 선발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가)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최초의 철도가 개통된 곳이다.
  2. 서양식 병원이 처음으로 들어선 곳이다.
  3. 국채 보상 운동이 처음으로 일어난 곳이다.
  4. 최초의 근대적 사립 학교가 들어선 곳이다.
(정답률: 40%)
  • 정답은 "최초의 철도가 개통된 곳이다." 이다. 이유는 이미지에 보이는 "신촌역"이 최초의 철도역으로 개통된 곳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가)에 들어갈 제목으로 적절한 것은? [2점]

  1. 민주화를 이룬 ‘6월 민주 항쟁’
  2. 독재 정치를 막은 ‘4·19 혁명’
  3. 민족적 저항을 보여 준 ‘3·1 운동’
  4. 군사 정권에 저항한 ‘5·18 민주화 운동’
(정답률: 6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시기의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2점]

  1. 새마을 운동 전개
  2. 경부 고속 국도 개통
  3.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추진
  4. 국제 통화 기금(IMF) 관리 체제 극복
(정답률: 64%)
  •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추진"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미지에서는 1970년대 초반의 사실을 다루고 있는데,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은 1962년부터 1971년까지 진행되었다. 따라서 이미 완료된 사실이다.

    국제 통화 기금(IMF) 관리 체제 극복은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에 이루어졌다. 이전에는 외환위기 등으로 IMF의 도움을 받아왔으나, 1997년 이후에는 경제 구조 개혁 등을 통해 IMF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극복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사진 전시회의 주제로 적절한 것은? [2점]

  1. 독립군 전적지 탐방
  2. 항일 의병 운동의 발자취
  3. 간토 대지진과 한국인의 희생
  4. 6·25 전쟁의 잊을 수 없는 상처
(정답률: 86%)
  • 주어진 사진에서는 전쟁으로 인한 피해와 상처를 보여주고 있으므로 "6·25 전쟁의 잊을 수 없는 상처"가 가장 적절한 주제이다.

    "독립군 전적지 탐방"은 독립운동과 관련된 역사적 장소를 탐방하는 주제이고, "항일 의병 운동의 발자취"는 항일운동과 관련된 역사적 사건을 다루는 주제이다. "간토 대지진과 한국인의 희생"은 자연재해와 관련된 주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과 관련된 사진 자료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정답률: 54%)
  • 옳지 않은 것은 ""이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모두 신용카드 사용 시 발생하는 혜택들을 나열하고 있는 반면, ""은 혜택이 아닌 신용카드 사용 시 발생하는 부정적인 요소인 이자를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주제에 해당되는 비석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정답률: 67%)
  • ""은 "조선시대의 문신이자 학자인 이황(李滉)의 비"이지만, 비석에 새겨진 내용은 이황의 업적이 아니라 다른 인물인 "이규보(李奎報)"의 업적을 기록한 것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과 같이 전개된 역사적 사건으로 옳은 것은? [3점]

  1. 갑신정변
  2. 갑오개혁
  3. 을미사변
  4. 임오군란
(정답률: 61%)
  • 이미지는 "갑신정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갑신정변"은 1884년에 일어난 대한제국의 정치적 사건으로, 갑오개혁 이후에 일어난 것입니다. 이 사건은 군인들이 정치적인 개혁을 요구하며 일으킨 것으로, 이후에는 군인들이 정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 더욱 커졌습니다. "갑신정변"은 대한제국의 정치적인 변화를 이끌어낸 중요한 사건 중 하나입니다. "갑오개혁"은 1884년에 일어난 대한제국의 개혁 사건으로, 이전의 민간인 중심의 정치체제를 군인 중심의 체제로 바꾸는 등의 개혁을 이루었습니다. "을미사변"은 1801년에 일어난 조선의 정치적인 사건으로, 이전의 왕권 중심의 체제를 양반 중심의 체제로 바꾸는 등의 개혁을 이루었습니다. "임오군란"은 1592년부터 1598년까지 일어난 일본의 침략 전쟁으로, 조선의 정치적인 변화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자료의 시대 상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1. 산미 증식 계획이 실시되었다.
  2. 일본으로 많은 양의 쌀이 유출되었다.
  3. 우리나라의 1인당 쌀 소비량이 증가하였다.
  4. 일제의 경제 수탈로 일부 농민들이 만주로 떠났다.
(정답률: 79%)
  • "일제의 경제 수탈로 일부 농민들이 만주로 떠났다."는 시대 상황과 일치하지 않는다. 이는 일제 강점기 시기의 사건이지만, 이미 일본으로 쌀이 유출되었다는 사실로 보아 이미 1930년대 후반부터 1940년대 초반부터의 시대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우리나라의 1인당 쌀 소비량이 증가한 이유는 "산미 증식 계획이 실시되었다."로 설명할 수 있다. 1960년대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산미 증식 계획이 실시되어 쌀 생산량이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쌀 가격이 하락하여 1인당 쌀 소비량이 증가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

  1. 우리나라의 가장 동쪽에 위치한 섬이다.
  2. 청·일 전쟁 중에 일본의 영토로 편입되었다.
  3. 세종실록지리지에 우리나라 영토로 기록되어 있다.
  4. 일본의 옛 지도 중에는 조선의 영토로 표시되어 있는 것도 있다.
(정답률: 78%)
  • "세종실록지리지에 우리나라 영토로 기록되어 있다."는 옳은 설명이므로, 옳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가상 인터뷰에서 밑줄 그은‘비밀 단체’로 옳은 것은? [2점]

  1. 신민회
  2. 북로 군정서
  3. 조선 의용대
  4. 한국 광복군
(정답률: 64%)
  • 인터뷰에서 밑줄 그인 '비밀 단체'는 "신민회"이다. 이는 인터뷰에서 언급된 "북로 군정서"와 "조선 의용대"의 활동을 지원하고, 한국 광복군과도 연계되어 활동한 비밀 단체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지도에 나타난 시기의 대외 교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 여진은 고려의 이름을 서양에 알려 주었다.
  2. 거란은 고려에 인삼과 종이를 수출하였다.
  3. 송은 고려로부터 수은과 향료를 수입하였다.
  4. 아라비아 상인은 고려의 벽란도에서 무역 활동을 하였다.
(정답률: 74%)
  • 고려시대에는 여러 나라와 대외 교류가 이루어졌다. 이 지도에서는 여진, 거란, 송, 아라비아 상인 등이 나타나 있다. 이 중에서도 아라비아 상인은 고려의 벽란도에서 무역 활동을 하였다. 벽란도는 당시 중국과 일본, 그리고 아라비아와의 무역이 이루어지는 핵심 지역이었다. 따라서 아라비아 상인이 벽란도에서 무역 활동을 한 것은 고려와 아라비아 간의 무역이 활발했음을 보여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인물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3점]

  1. 신식 군대인 별기군을 양성하였다.
  2. 서양과 조약을 맺고 교역을 추진하였다.
  3. 전환국을 설치하여 화폐를 발행하였다.
  4. 서원을 40여 곳만 남기고 모두 철폐하였다.
(정답률: 74%)
  • 이 인물은 조선시대 제12대 왕으로, 경종입니다. 경종은 서원을 40여 곳만 남기고 모두 철폐하였습니다. 이유는 서원이 너무 많아서 국가의 재정을 탕진시키고, 사람들이 공부에만 몰두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가)에 들어갈 문화재로 옳은 것은? [2점]

(정답률: 58%)
  • 정답은 ""입니다. 이는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문화재인 석굴암 석굴암암각화상으로, 석굴암은 대한민국의 사찰 중 하나로, 석굴암암각화상은 석굴암에 있는 대불과 보살상 중 하나로, 국보 제23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가) 폴더에 들어갈 사진 자료로 옳은 것은? [3점]

(정답률: 54%)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 : 이 사진은 폴더 아이콘이 아닌 파일 아이콘입니다.
    - "" : 이 사진은 폴더 아이콘입니다.
    - "" : 이 사진은 문서 파일 아이콘입니다.
    - "" : 이 사진은 실행 파일 아이콘입니다.

    따라서, 폴더에 들어갈 사진 자료로는 ""가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가)~(라) 국가와 문화재의 연결이 옳은 것은? [2점]

  1. (가)
  2. (나)
  3. (다)
  4. (라)
(정답률: 81%)
  • (다) 국가와 문화재는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국가는 문화재를 보호하고 보존하여 국민의 문화유산을 지키는 역할을 하며, 문화재는 국가의 역사와 정체성을 대표하는 중요한 자산이다. 또한 문화재를 통해 국가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고 전파할 수 있기 때문에 국가와 문화재는 서로 상호작용하며 연결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1. 강제로 군대를 해산시켰어요.
  2. 국권을 빼앗고 총독부를 설치했어요.
  3. 외교권을 빼앗고 통감부를 설치했어요.
  4. 운요호 사건을 빌미로 체결할 것을 강요했어요.
(정답률: 58%)
  • 일본은 운요호 사건을 빌미로 체결할 것을 강요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